KR20070083512A -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512A
KR20070083512A KR1020077004526A KR20077004526A KR20070083512A KR 20070083512 A KR20070083512 A KR 20070083512A KR 1020077004526 A KR1020077004526 A KR 1020077004526A KR 20077004526 A KR20077004526 A KR 20077004526A KR 20070083512 A KR20070083512 A KR 20070083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structure channel
situ concrete
infrastructure
channel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5224B1 (ko
Inventor
프랭크 듀프레
Original Assignee
프랭크 듀프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랭크 듀프레 filed Critical 프랭크 듀프레
Publication of KR20070083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길이의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소정 길이의 적어도 두 개의 세그멘트(2)로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각 세그멘트(2)는 인-시츄 콘크리트(in-situ concrete)(9) 또는 레미콘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한 조각씩 생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인프라스트럭쳐 채널(infrastructure channel), 세그멘트, 인-시츄 콘크리트(in-situ concrete)

Description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제조방법{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n infrastructure channel}
본 발명은 소정 길이의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infrastructure channel)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프라스트럭쳐 채널들은 모든 상수도 및 하수도를 하나로, 바람직하게는 사람크기의 밀폐된 채널로, 통합하기 위하여 특히 새로운 빌딩건축분야 또는 광범위 재개발 프로젝트에서 사용된다. 그것의 공간적 설계 덕택에, 상수도 및 하수도는 직접적으로 그리고 영구적으로 모니터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쳐의 멀티-유틸리티 덕트내의 케이블 배출(cable emissions)과 관 누설은 액체 또는 반-고체 형태로 빌딩의 밑바닥에 도달되거나 또는 유틸리티 덕트의 공기 채워진 공간에서 가스로 누출될 수 있다. 파이프라인에서 누출은 굴착할 필요없이 설치된 누출 경고시스템에 의해 지적될 수 있다. 게다가, 인프라스트럭쳐 채널 내에 새로운 상수도 및 하수도를 교체하거나 설치하는 것은 굴착없이 시공구(construction openings)를 거쳐 접근이 가능하므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상수도 및 하수도 뿐만아니라,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내부 또한 상업적으로 유용한 채널 검사 카메라시스템을 사용하여 검사될 수 있다.
멀티-유틸리티 덕트에서 상수도 및 하수도로부터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고정 파트를 분리하는 것은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을 사용하는 개발 해법(development solution)에 의해 초과 달성되는 이중-벽 파이프의 보호 기능에 의하여, 인프라스트럭쳐 채널 함몰로부터 야기되는 누설에 대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안전을 제공한다. 더욱이, 뿌리들은 밀폐되지 않은 세그멘트 접합들과 틈 손상을 통한 상수도 및 하수도를 관통할 수 없다.
DE 20113897 U1은 연속적인 채널을 생성하기 위해 결합되는 개별의, 단일-조각의 조립식 세그멘트로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을 개시한다. 각 조립식 세크멘트는 바닥판을 구비하고, 두 측벽들이 그 위에 결합되고 상부에 둥근 천장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조립식 세그멘트들은 생산라인에서 제조되고 전면 상의 밀폐수단에 의해 시공현장에서 조립된다. 손상없이 조립식 세그멘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전달 동안 비싼 보강 보호물(reinforcing protection)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게다가, 조립식 세그멘트 바닥판의 전체 표면을 수용하기 위한 평평한 트렌치를 만드는 것은 상당한 일을 요한다. 게다가, 인접 조립식 세그멘트에 향하는 말단을 밀폐하는 것은 오직 상당한 수고를 가지고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공장-제조 조립식 세그멘트들은 그들의 길이가 생산기술의 제약 때문 에 매우 한정되는 불리한 점을 갖고 있다.
게다가, 채널 시공으로는 단지 조립식 시공뿐만 아니라, 크래킹 또는 풍화의 경우에 보강이 노출되고, 채널의 완전한 파괴를 일으키는, 예컨대 붕괴 결과에 이르는, 부식될 수 있는 불리한 점을 갖는 스틸 보강재를 구비한 캐스트-인-시츄(cast-in-situ) 콘크리트 공법이 알려져 있다. 화재시에는 콘크리트는 스틸 보강을 펑하고 터트리고 채널은 연속적으로 파괴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프라스트럭쳐 채널(infrastructure channel)의 신속하고 값싼 제조를 확보하는 처음에 언급된 종류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그 목적은 인-시츄(현장내)(in-situ)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한 조각씩 각 세그멘트를 생산함으로써 달성된다.
인프라스트럭쳐의 각각의 개별 세그멘트는 인-시츄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시공현장에서 단일 조각씩 제조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인-시츄 콘크리트'라는 용어는 레미콘을 또한 포함한다. 생산된 각 세그멘트의 길이는, 세그멘트가 4m~40m 사이의, 바람직하게는 10m~20m 사이의, 더 바람직하게는 15m의, 길이로, 하루 작업으로써 생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경우에서 특정한 치수로 만들어진다. 스틸 보강은 필요하지 않다. 스틸 보강의 결여, 각 세그멘트의 상대적으로 긴 길이 그리고 상대적으로 최소 준비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이 신속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저렴하게 제조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신축이음 지수판(expansion joint waterstop)은 두 인접 세그멘트 사이에 주입된다. 신축이음 지수판은 중심관에 의해 서로 결합된 두 밀폐 조각(sealing strip)을 포함하고, 각 밀폐 조각(sealing strip)은 하나의 세그멘트의 한쪽 말단에 대응한다.
기능성의 이유로, 밀폐 부분을 구비한 신축이음 지수판은 각 세그멘트의 말단 표면에 삽입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말단 셔터(end shutter)가 사용되고, 말단 셔터는 인-시츄 콘크리트가 정착된 후 실질적으로 어떤 누수도 차단하도록 세그멘트에 확실하게 결합되는 신축이음 지수판을 위한 틈을 제공한다. 게다가, 신축이음 지수판의 기능성을 확보하는 발포된 중합체, 특히 폴리스티렌,로 구성되는 성분 준비가 이루어진다.
인-시츄 콘크리트의 검팩팅(compacting) 동안 배출된 물을 흡수하기 위하여 그리고 그 다음의 경화 동안 인-시츄 콘크리트에 그것을 다시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 거푸집은 배수 토목섬유(drainage geotextile)로 바람직하게 걸쳐진다. 스틸 내부 거푸집, 콘크리트 경화 위치(concreting position) 및 굴착위치(driving position)로 움직일 수 있는 힌지결합된 스틸 셔터(hinged steel shutter),은 플라스틱 리벳에 의해 내부 거푸집에 확고하게 부착되는 플라스틱 메쉬에 의해 걸쳐진다. 콘크리트 경화 위치에서 내부 거푸집을 가로질러 확고하게 걸쳐진 재생 배수 토목섬유는 플라스틱 메쉬에 부착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시작과 말단은 인-시츄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동안 목재 판넬 및/또는 스트립 쉬트 커튼(strip sheet curtain)에 의해 막혀 있다. 인프라스트럭쳐 채널 내에 공기의 모든 바람직하지 않은 통풍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door)를 구비한 목재 판넬을 구비하여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시작을 막는 것과 제조된 세그멘트의 각 형상의 말단을 스트립 쉬트 커튼을 구비하여 막는 것은 이치에 맞다. 스트립 쉬트 커튼은 내부 거푸집 상에, 예를 들어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말단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게다가, 목재 판넬은 건설현장에 부품, 특히 쉬트 절연재(sheet insulation),을 옮기기 위해 조종장치(handling device), 특히 케이블웨이 크레인(cableway crane),을 안전하게 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시츄 콘크리트를 양생하기 위한 대기 가습기(atmospheric humidifier)는 거푸집이 세그멘트로부터 제거된 후에 세그멘트 내에 세워진다. 대기 가습기의 효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관성의 이유 때문에 관여된 세그멘트의 수(數)의 상관관계에 따라 쉬트 벽이 인프라스트럭쳐 채널 내에 세워진다. 쉬트 벽은 휴대용 형태로 전개될(나타날) 수 있고 대기 가습기를 갖춘 양생이 각 세그멘트 위한 약 세 섹션에서 완성되도록 순차로 시공공정에 따라 이동되어 질 수 있다.
인-시츄 콘크리트에서 높은 비산 먼지의 정도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거푸집을 제각기 일찍 제거하기 위하여, 열적으로 단열된 외부 거푸집이 더 선택되어 진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세그멘트들은 거푸집의 제거 후에 적어도 하나의 에어 버블 필름(air bubble film)에 의해 덮어진다. 에어 버블 필름은 인-시츄 콘크리트에서 크랙킹을 일으킬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열적 스트레스들을 방지하고 상대적으로 거푸집 제거시간이 짧게 걸리도록 한다. 에어 버블 필름들은 세개에서 여섯개 세그멘트까지 덮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케이블웨이 크레인에 의해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위로 놓여 질 수 있다. 에어 버블 필름은 거푸집 제거에 앞서 커버가 뒤따르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입구를 막는 목재 판넬들에 일측 말단이 고정되고 거푸집에 다른 말단이 고정된 케이블웨이 크레인은 또한 거푸집의 제거 동안 전방으로 끌어당겨진다. 만일 소위 동절기 시공 보호 매팅(winter construction protective matting)으로 실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dimension)에서 단지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커버가 사용된다면, 인-시츄 콘크리트의 내부핵심과 대기 온도사이의 너무나도 큰 온도차이의 위험이 있다. 게다가, 동절기 시공 보호 매팅은 즉시적이고 계속적인 단열을 제공하지 못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시츄 콘크리트의 온도는 온도와 시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콘크리트의 양생을 확인하기 위해 측정되어 진다. 첫째로 제시간에 세그멘트로부터 거푸집을 제거하기 위한 최적 지점을 결정하고 인-시츄 콘크리트 경화를 위한 양생기간을 특정하는데 이바지 하도록, 온도는 세그멘트를 따라 소정의 공간적 간격을 두고, 바람직하게는 외부 및 내부 직경에서 그리고 횡단면에 대한 중간지점에서, 측정되어 질 수 있다. 온도 측정 데이터는 거푸집 제거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크리트 양생 컴퓨터(concrete maturity computer)에 공급된다.
인-시츄 콘크리트 양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물의 요구량을 준비하기 위해, 인-시츄 콘크리트에 물을 대기 위하여 에어 버블 필름 아래에 스프링클러 호스, 특히 마이크로 스프링클러 호스,를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스프링클러 호스가 전개되어져(is developed) 인-시츄 콘크리트 응고는 부식(eroding)으로부터 보호되고, 그것이 성장이 미세한-틈을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게 되는 이유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조절가능한 히팅 시스템은 내부 거부집 안에서 작동된다. 하나 또는 다수의 가스 버너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히팅은 대기 온도가 낮을 때 특히 요구되고 온도 측정 데이터에 의해 콘크리트 양생 컴퓨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을 제조하기 위한 인-시츄 콘크리트의 경우에, 인조섬유가 인-시츄 콘크리트에 혼합되면서 보강재는 인조섬유, 특히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인-시츄 콘크리트는 짧은 경화시간과 특히 6N/㎟ 의 그린 강도(생강도, 젖음강도)(green strength)를 갖는다. 이것은 거푸집이 빨리 제거되는 것을 허용한다. 더욱이, 인-시츄 콘크리트는 불균형하게 많은 비산먼지를 포함하고 있다. 외부 온도에 의존하여, 비산 먼지의 정도는 시멘크의 정도보다 더 많을 수 있다. 그러한 방식은 강화콘크리트용 독일 표준하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개별적인 세그멘트들이 스틸을 구비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 표준은 본 발명에서는 의미없는 것이다. 높은 비산먼지의 정도가 경제적 뿐만 아니라, 생태학적인 이익을 제공한다. 그러나, 특히 가열 양생은 수축 크랙 발전(전개)의 위험에서 축소에 따라, 표준 방식의 경우보다 적다.
하나의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경우에 있어서, 세그멘트의 상부 천정은 배관, 특히 고압 관,이 내부로 도입되는 그런 방식으로 특정치수로 만들어진 커버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단단한(rigid) 배관은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중심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커버는 상대적으로 많은 규모(넓이 치수)(dimensions)를 구비하여야 한다. 특히 다음의 활동을 위해 벌어질 수 있는, 커버를 수용하기 위한 틈(opening)은 내부 거푸집에서 절단된 원뿔(코니칼)의 의해 생성되어 지고 그리고 틈에 상응하는 바깥 외곽을 구비한 커버는 정확하게 맞도록 사전제조된 몰드에서 적절히 제조되어 진다.
바람직하게는,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관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를 구비하고 있다. 받침대는 예를 들어 매듭 막대(tie rod)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형상 또는 Z-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받침대는 도관을 위한 확실한 지지를 보증하고 연결된 두 파이프의 말단이 함께 용접되도록 한다. 게다가, 받침대는 도관을 교체하기 위한 롤러를 지지하기 위해 특정치수로 만들어진다. 기능성의 이유 때문에, 받침대는 섬유 시멘트로 이루어져 있다.
앞서 언급된 특징들과 아래에서 개시되는 것들은 각각의 특별한 경우에서 지적된 것들과 다른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더 말한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청구항들에 의해서 한정된다.
본 발명은 대응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나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하나의 완전한 세그멘트와 두개의 대략적 세그멘트를 갖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을 관통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하나의 세그멘트를 관통하는 횡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원근도에서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표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정면도.
도 5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용 받침대의 확대도.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은 밀폐수단으로 인접된 세그멘트들의 직면 말단(facing end)에 접하는 각 세그멘트의 직면 말단(3)을 갖는 다수의 세그멘트(2)로 구성되어 있다. 각 경우에 세그멘트(2)에 대항하여 접하는 신축이음 지수판의 양 측면에 결합된 밀폐요소(7,8)를 갖는, 중심 호스(6)를 포함하는 신축이음 지수판을 가지고 두 직면 말단(facing end)(3) 사이에 존재하는 틈(4)을 밀폐하기 위하여 신축이음 지수판(5)이 준비된다.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의 각 세그멘트(2)는 원-피스(하나의-조각) 시공 방법(9)에 의해 인-시츄 콘크리트(9)로부터 현장에서 연속적으로 제조된다. 이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현저하게 평평하고 압착된 지면이 굴착 갱에서 생성된다. 제조되어야할 각 세그멘트(2)의 길이는 그것이 하루 작업량으로 완성될 수 있을 정도로 특정한 치수로 만들어진다.
세그멘트(2)를 제조하기 위하여, 스틸 금속으로 구성되고 힌지들(12)을 구비 한, 바닥없는 내부 거푸집(11)이 인-시츄 콘크리트(9)가 양생된 후 안으로 내부 거부집(11)의 섹션을 회전시키는데 이바지하는 힌지들(12)을 갖추고 맨 처음 설치된다. 콘크리트로 만드는 과정은 평평한 지면에 처음 퍼부어 제조되는 벽 돌출부를 갖는 밑바닥(10)을 가지고, 연결된 부분 단계별로 진행된다. 밑바닥(10)의 인-시츄 콘크리트(9)가 경화되기 위해 순차로 측벽들(16)과 천정(17)이 콘크리트 타설되기 전에 짧은 대기 시간이 있다.
인-시츄 콘크리트 응고(정착)로부터 빠져나오는 물을 흡수하는 배수 토목섬유(15)는 내부 거푸집(11) 위로 걸쳐 연결되고 그 다음에 인-시츄 콘크리트(9)의 다음의 양생 기간동안 다시 그것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배수 토목섬유(15)가 설치된 후, 열적으로 단열되는 외부 쉘(shell)(19)은 벽체들(16)과 천정(17)을 위해 설치된다. 그리고 신축이음 지수판(5)을 위한 틈을 갖는 말단 셔터가 각 직면 말단에 사용된다. 세그멘트(2)가 완성되고 인-시츄 콘트리트(9)가 경화된 후, 내부 거푸집(11)은 함께 접어지고 그 다음에 화살표(18) 방향으로 완성된 세그멘트(2)에서 끌어내어 진다. 세그멘트(2)는 도어(door)를 구비한 목재판넬(20)에 의해 입구 쪽으로 이제 닫혀진다.
외부 쉘(19)을 해체하면서, 에어 버블 필름의 쉬트는 시공 공정에 따라 대신 들어서는 세그멘트(2) 위의, 인스트럭쳐 채널(1)의 시작부에 부착된 하나의 프레임(22)과 그것의 말단에 부착된 다른 프레임(23)을 구비한, 케이블웨어 크레인(21) 에 의한 해체에 따라 연속적으로 끌어당겨지고, 되어 있다.
인츠라스트럭쳐 채널(1)의 전체 길이가 완성될 때까지,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의 다음 세그멘트(2)는 그리고 나서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은 접근가능한 쉘을 형성하고 여기에 모든 요구된 직경의 상수도 및 하수도 라인들이 놓여질 수 있다. 맨홀은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을 따라 적어도 간격을 두고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상수도 및 하수도 라인의 파기 또는 수리는 아무때나 굴착없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하나의 조각씩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의 세그멘트(2)를 제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특히 크랙의 형성에 대하여 퀄리티의 손실없이 그렇게 하기 위해, 빨리 굳고, 6N/㎟ 부근의 높은 그린 강도(생강도, 젖음강도)(green strength)를 보증하고 그리고 낮은 수화열을 갖는 천천히 연속적인 양생을 허용하는 인-시츄 콘크리트(9)에 대한 방식이 요구된다. 인조섬유(14)의 형태의 보강재(13)는 인-시츄 콘크리트(9)의 특별한 탄성을 갖추어, 특히 텐션과 스트레스를 구비하여, 크랙(틈) 방지와, 그리고 초기 임팩크, 쇼크 및 마모강도 증가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인-시츄 콘크리트(9)에 더해진다.
한편으로 받침대들은 도관(24)을 안전하게 수용하고, 다른 한편으로 그들의 직면 말단에서 도관(24)이 다른 도관(24)에 용접되도록 허용할 뿐만 아니라, 도 관(24)을 교체하기 위한 롤러를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받침대들(25)이 전개되도록, 받침대들(25)이 도관(24)을 지지하기 위해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의 어느 한쪽의 측벽(26)에 하나의 받침대위에 다른 하나를 정렬시키도록 준비된다.
본 발명은 인프라스트럭쳐 채널(infrastructure channel)의 신속하고 값싼 제조를 확보하는, 소정 길이의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그 목적은 인-시츄(현장내)(in-situ) 콘크리트 또는 레미콘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한 조각씩 각 세그멘트를 생산함으로써 달성된다.

Claims (19)

  1. 소정 길이의 적어도 두 개의 세그멘트(2)로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각 세그멘트(2)는 인-시츄 콘크리트(in-situ concrete)(9) 또는 레미콘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한 조각씩 생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신축이음 지수판(expansion joint waterstop)(5)이 두 개의 인접한 세그멘트(2) 사이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밀폐 요소들(7, 8)을 구비한 상기 신축이음 지수판(5)이 상기 세그멘트들(2)의 각 직면 말단(facing end)(3)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쉘(11)은 배수 토목섬유(drainage geotextile)(15)에 의해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의 시작과 말단은 인-시츄 콘크리트(9)가 양생되는 동안 목재 판넬 및/또는 스트립 쉬트 커튼(strip sheet curtain)에 의해 막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푸집이 세그멘트로부터 제거된 후 대기 가습기가 상기 세그멘트(2)의 중앙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존재하는 세크멘트들(2)의 수와 상관관계에 따라 쉬트 벽(sheet wall)이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 내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의 제조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적으로 단열된 외부 쉘(19)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의 제조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멘트들(2)은 거푸집 제거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에어 버블 필름에 의해 덮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스프링클러 호스, 특히 마이크로-스프링클러 호스는 인-시츄 콘크리트(9)에 물을 대기위해 상기 에어 버블 필름 아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의 제조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시츄 콘크리트(9)의 온도가 측정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의 제조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절가능한 히팅 시스템이 내부 쉘(11) 내에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1)의 제조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인-시츄 콘크리트에 있어서,
    보강재(13)가 인조섬유(14), 특히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시츄 콘크리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급속하게 굳어지는 것과 특히 6N/㎟ 의 그린 강도(생강도, 젖음 강도)(green strength)를 특징으로 하는 인-시츄 콘크리트.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불균형하게 많은 정도의 비산먼지를 특징으로 하는 인-시츄 콘크리트.
  16.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인프라스트럭쳐 채널에 있어서,
    세그멘트(2)의 상부 천정은 커버를 구비하고,
    커버는 도관, 특히 고압 라인,이 중심으로 도입될 수 있는 방법으로 특정 치수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측벽들(26)의 적어도 하나는 도관(24)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5)는 사전-긴장된(pre-tensioning) 채로 상기 측벽(2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5)는 섬유 시멘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채널.
KR1020077004526A 2004-07-26 2005-07-25 인프라스트럭쳐 채널 KR101295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4011702U DE202004011702U1 (de) 2004-07-26 2004-07-26 Infrastruktur-Kanal
DE202004011702.9 2004-07-26
PCT/DE2005/001318 WO2006012855A1 (de) 2004-07-26 2005-07-25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nfrastruktur-ka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512A true KR20070083512A (ko) 2007-08-24
KR101295224B1 KR101295224B1 (ko) 2013-08-12

Family

ID=3339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526A KR101295224B1 (ko) 2004-07-26 2005-07-25 인프라스트럭쳐 채널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776507B1 (ko)
KR (1) KR101295224B1 (ko)
AT (1) ATE484631T1 (ko)
CA (1) CA2574892C (ko)
DE (2) DE202004011702U1 (ko)
DK (1) DK1776507T3 (ko)
EG (1) EG24424A (ko)
ES (1) ES2350986T3 (ko)
NO (1) NO338129B1 (ko)
WO (1) WO2006012855A1 (ko)
ZA (1) ZA2007004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26013B4 (de) * 2004-05-27 2007-05-03 Theodor Cordes Gmbh & Co Kg Erdverlegbare Rohrleitung mit Wurzelschutz, und Verfahren zum Verlegen einer Rohrleitung
DE102007061802B3 (de) * 2007-12-19 2009-03-05 Frank Dupre Kanalsystem zum Aufnehmen von Stromkabeln
US9844524B2 (en) * 2015-06-29 2017-12-19 Vanguard Soap LLC Soap composition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5931B1 (ko) 1970-03-30 1975-11-20
DE2944385A1 (de) * 1979-11-02 1981-05-14 Josef Riepl Bau-Aktiengesellschaft, 8000 München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chlitzwaenden
DE3524687A1 (de) 1985-07-11 1986-02-27 Josef Riepl Bau-Aktiengesellschaft, 8000 Münch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ortbetonkanaelen mit eingelegter innenauskleidung in monolithischer bauweise
BG44644A1 (ko) 1986-01-10 1989-01-16 Pet R Kh Shivarov
DE3838239A1 (de) 1988-09-07 1990-03-15 Niederberg Chemie Begehbares sammlerrohr und kanalrohr
JPH08165700A (ja) * 1994-12-12 1996-06-25 Seibu Polymer Corp 暗渠の継手
HU223387B1 (hu) 1998-12-28 2004-06-28 Béla Boldoghy Belsővázas, bennmaradó zsaluidommal könnyített épületszerkezet, továbbá idomtest és rácsváz, valamint eljárás ezek előállítására
GB2360472A (en) 2000-03-24 2001-09-26 Joseph Ash Storage Tanks Ltd Method of coating storage tanks with concre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38129B1 (no) 2016-08-01
EP1776507B1 (de) 2010-10-13
CA2574892C (en) 2012-09-18
CA2574892A1 (en) 2006-02-09
NO20071081L (no) 2007-04-26
ES2350986T3 (es) 2011-01-28
KR101295224B1 (ko) 2013-08-12
DE502005010392D1 (de) 2010-11-25
ATE484631T1 (de) 2010-10-15
EG24424A (en) 2009-06-10
ZA200700468B (en) 2008-04-30
DE202004011702U1 (de) 2004-10-21
WO2006012855A1 (de) 2006-02-09
DK1776507T3 (da) 2011-01-24
EP1776507A1 (de)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05805B (zh) 膨胀加强带控裂大型现浇水池及其施工方法
CN110258848A (zh) 一种建筑节能cl复合剪力墙的施工方法
KR102278758B1 (ko) 하수 사각형거용 물막이 장치, 하수 사각형거용 물돌리기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하수 사각형거 바닥 보수 공법
JPH04231595A (ja) 下水管を衛生処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415106B1 (ko) 터널의 공동 채움 시공 장치
CN110905523A (zh) 一种地铁竖井施工方法
RU2133909C1 (ru) Способ повторной изоляции на месте подземного паропро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вторно изолированного подземного паропровода
KR101295224B1 (ko) 인프라스트럭쳐 채널
CN102767218A (zh) 卫生间沉箱用框架、卫生间沉箱及施工方法
KR20070115112A (ko) 공동구 시공방법
CN113373985B (zh) 地下室防水施工方法
EP2941517B1 (en) Method and device for drainage and detection of leakage
CA2053749C (en) Concrete formwork for a draft tube
JP2764252B2 (ja) 地下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修材および補修方法
KR102473807B1 (ko) 물돌리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각 관거 보수 공법
CN110409508B (zh) 一种后浇带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333384Y1 (ko) 자주식 가물막이 수밀재
JP2003020669A (ja) 管渠の改修工法
CN115435147A (zh) 一种换流站水工管线集中布置的施工方法
CN114658085A (zh) 模块式预制组合薄壁钢筋砼检查井施工方法
KR20210130577A (ko) 방수 기능을 강화한 콘크리트 전기통신용 맨홀
CN117684570A (zh) 小型地下防渗结构一次浇筑施工方法
Demis et al. Round Peg in a Square Hole for Combating SOB’s–Using FRP Tanks for Replacing H2S Damaged Structures in the City of Aurora Collection System
CN117947815A (zh) 一种深埋大直双孔并排廊道施工方法
CN117385927A (zh) 地下综合管廊综合施工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