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821A -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80821A KR20070080821A KR1020070009482A KR20070009482A KR20070080821A KR 20070080821 A KR20070080821 A KR 20070080821A KR 1020070009482 A KR1020070009482 A KR 1020070009482A KR 20070009482 A KR20070009482 A KR 20070009482A KR 20070080821 A KR20070080821 A KR 200700808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door
- link member
- arm
- vehicle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07—Details of pivots of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도어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두 개의 도어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회전부재와 링크부재가 결합됨에 있어서 링크부재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도어의 동작 정밀도를 최대화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작의 용이성 및 제작 비용의 감소 효과를 거둘 수 있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는, 히터코어(H) 및 증발기(E)가 내장되는 공조케이스(C)의 내부에, 사용자가 선택하는 온도 및 모드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들 중 적어도 2개의 도어(110, 120)를 연동하여 동작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도어(110, 120)들의 각 도어축(111, 121)에 연결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연동되어 동작하도록 일단부(151)가 일측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152)가 타측 회전부재에 연결되는 링크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150)는 상기 회전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의 링크체결공(132)에 삽입된 일단부(151)가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중첩되게 설치되어 연동되는 연동부재를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구동시키도록 상기 연동부재의 슬롯(16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공조, 공기조화, 도어, 액츄에이터, 링크부재, 피봇, 아암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차량 공조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가 공조케이스의 외벽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의 회전부재와 링크부재의 결합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가 공조케이스의 외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의 회전부재와 링크부재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의 회전부재와 링크부재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어 조작 장치 110 : 제1도어
111 : 제1도어의 도어축 120 : 제2도어
121 : 제2도어의 도어축 130 : 제1아암
131 : 링크이탈방지부재 140 : 제2아암
150 : 링크부재 151 : 링크부재의 일단부
152 : 링크부재의 타단부 160 : 캠 플레이트
161 : 슬롯 170 : 도어 액츄에이터
180 : 레버
C : 공조케이스 E : 증발기
H : 히터코어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도어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두 개의 도어를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에, 도어 액츄에 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캠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제1도어의 제1아암에, 다른 쪽의 제2도어를 연결하는 링크부재의 일단부가 상기 제1아암을 통하여 상기 캠 플레이트의 슬롯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에 송풍기(미도시)가 연결되는 공조케이스(1)와, 상기 공조케이스(1)에 내장되는 증발기(E) 및 히터코어(Heater Core, H)를 구비한다. 상기 증발기(E)는 냉방사이클을 구성하는 시스템들과 연결되고, 상기 히터코어(H)는 난방사이클을 구성하는 시스템들과 연결된다. 즉, 냉방사이클이 가동될 경우,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E)를 거치면서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다음,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난방사이클이 가동될 경우, 냉방사이클의 가동은 중지되고,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히터코어(H)를 거치면서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다음,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그리고, 풍량, 온도, 차량 실내에 대한 풍향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미도시) 및 공조케이스(1)에 걸쳐, 내/외기 흡입을 선택적으로 결정하는 에어 인테이크 도어(Air Intake Door, 미도시), 히터코어(H)를 거치는 유량과 바이패스하는 유량을 결정하는 온도조절도어(Temp Door, 5), 페이스(Face), 디프로스트(Drfrost), 플로어(Floor), 믹스(Mix), 바이 레벨(Bi-Level) 등의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도어(Mode Door, 2d, 3d, 4d) 등 다수의 도어들이 설치되며, 이 모드 도어(2d, 3d, 4d)들은 디프로스트 벤트(2), 페이스 벤트(3) 및 플로어 벤트(4)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모드들을 전환하게 된다.
상기 도어들은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데, 차량 실내에서 당해 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스위치에 연결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과 도어를 연결하는 레버 기구 등을 통하여 도어들이 조작될 수 있다.
또한, 자동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된 고급 차량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유니트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도어 액츄에이터(7)가, 공조케이스(1)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도어의 축에 직접으로 또는 레버기구 등을 개재하여 연결됨으로써, 자동으로 도어들이 피드백(Feedback) 제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 액츄에이터(7)는, 도어 조작 장치(10)를 통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도어를 구동하게 되는데, 도 2 및 도 3에는 2개의 도어를 구동하도록 이루어진 도어 조작 장치(1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3의 예에서, 링크부재(60)와 결합되는 회전부재는 제1아암(40) 및 제2아암(50)이며, 물론 상기 링크부재(60)와 결합되는 회전부재는 도어의 연동 동작 형태에 따라, 링크부재(60)와 아암 사이를 연결하며 도어의 개폐 각도를 조절하는 레버가 될 수도 있다.
국내실용신안공개 제1998-045709호 및 일본실용신안공개 제1993-76818호에 링크부재(60)와 아암 사이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의 구조에 따른 도 2 및 도 3의 도어 조작 장치(10)는, 제1도어(20)의 도어축(21)에 결합되고, 피봇(Pivot, 41)을 구비하는 제1아암(40)과; 상기 제1아암(4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2도어(30)쪽에 연결되는 링크부재(60)와; 그리고, 상기 피봇(41)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소정 형상의 슬롯(Slot, 71)을 구비하는 캠 플레이트(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캠 플레이트(70)는 도어 액 츄에이터(7)의 출력축에 결합된다. 그리고, 참조부호 50은, 제2도어(30)의 도어축(31)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재(60)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아암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도어 조작 장치(10)에 따르면, 도어 조작 장치(10)의 구동에 의하여 캠 플레이트(70)가 선회하고, 상기 캠 플레이트(70)의 선회에 따라 상기 피봇(41)에 의하여 제1아암(40)과 함께 제1도어(20)가 선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아암(40)의 선회에 따라 상기 제1아암(40)에 연결된 링크부재(60)를 통하여 제2도어(30)가 선회할 수 있다.
도 4는, 종래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의 회전부재와 링크부재의 결합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회전부재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제1아암과 제2아암이 링크부재와 직접 연결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어의 도어축에 직접 연결되어 도어의 개폐를 위한 회전 운동을 발생시키는 부품을 아암이라고 한다. 도 4의 참조부호 80은 레버(80)를 나타내는데, 각 아암이 같은 각도로 연동하도록 하지 않고 다른 각도로 연동하도록 하는 경우, 아암과 링크부재 사이에 다른 부품을 연결하여 연동 시의 동작을 설계할 수 있으며, 이 때 아암과 링크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부품을 레버(80)라고 한다. 정리하면, 도어축에 직접 연결되는 부품은 아암이라고 칭하며, 아암과 링크부재가 직접 연결되지 않는 경우 아암과 링크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부품을 레버라고 칭한다. 따라서, 링크부재(60)의 단부에는 아암이 연결될 수도 있고, 레버(8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링크부재(60)의 단부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하는 부품을 회전부재 로 통칭한다. 즉, 도 2 및 도 3에서는 제1아암과 제2아암이 회전부재가 되며, 도 4에서는 레버(80)가 회전부재가 된다. 물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아암, 제2아암 및 레버의 형태는 하나의 예일 뿐으로, 도어의 동작 설계에 따라 회전부재의 형태는 여러 가지로 변형될 수 있다. 도 4의 레버(8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캠 플레이트(70)의 슬롯(71)에 연결되는 피봇(81)을 가지고 있다.
종래 도어 조작 장치(10)에 있어서는, 회전부재(도 2 및 도 3에서는 제1아암(40), 도 4에서는 레버(80)가 된다)에 별도로 형성된 피봇(도 2 및 도 3에서는 참조부호 41, 도 4에서는 참조부호 81이 된다)에 의하여 회전부재와 캠 플레이트(70)가 조립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피봇과 링크부재(60)를 결합하기 위한 구멍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회전부재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60)를 회전부재에 연결할 때, 링크부재(60)의 단부가 빠지지 않도록, 상기 링크부재(60)의 양쪽 단부에 각각 링크부재 홀더(Link Holder, 61)를 개재하여 링크부재(60)를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구성요소가 소요되므로, 조립공정과 조립부품이 늘어나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링크부재 홀더(61)를 적용하게 되면, 링크부재 홀더(61)가 링크부재(60)의 단부와 함께 회전부재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링크부재(60)의 움직임에 유격이 발생하여 도어들의 동작이 부정확하게 이루어질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하나의 도어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두 개의 도어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회전부재와 링크부재가 결합됨에 있어서 링크부재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도어의 동작 정밀도를 최대화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작의 용이성 및 제작 비용의 감소 효과를 거둘 수 있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히터코어(H) 및 증발기(E)가 내장되는 공조케이스(C)의 내부에, 사용자가 선택하는 온도 및 모드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들 중 적어도 2개의 도어(110, 120)를 연동하여 동작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도어(110, 120)들의 각 도어축(111, 121)에 연결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연동되어 동작하도록 일단부(151)가 일측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152)가 타측 회전부재에 연결되는 링크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150)는 상기 회전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의 링크체결공(132)에 삽입된 일단부(151)가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중첩되게 설치되어 연동되는 연동부재를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구동시키도록 상기 연동부재의 슬롯(16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회전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에는 상기 링크부재(150) 의 일단부(151)가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가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링크부재(150)를 지지하는 링크이탈방지부재(1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이탈방지부재(131)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면의 평행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굴곡되어 상기 링크부재(150)를 지지하는 링크지지부(131a)와, 상기 링크지지부(131a)의 일측과 상기 회전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131c)와, 상기 링크부재(1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지지부(131a)의 타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링크조립부(131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의 돌출 길이는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가 삽입되는 상기 연동부재의 슬롯(161) 두께의 0.5배 이상 내지 1.5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연동부재는 도어 액츄에이터(170)에 의하여 구동되는 캠 플레이트(160)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도어축(111, 121)에 직접 연결되는 아암(130, 140) 또는 상기 아암(130, 140)과 상기 링크부재(150) 사이에 연결되는 레버(142, 1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지지부(131a)는 도어(110, 120)의 구동 시 회동하는 상기 링크부재(150)의 회전 궤적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 성형되거나, 또는 상기 링크부재(150)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원호부와 상기 연결부(131c)로 연장 연결되는 직선부로 이루어져, 상기 링크부재(15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링크부재(150)와 간섭 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180)는 일측에 회전부재와 결합하여 연동되는 피봇(183)이 구비되며, 타측에 링크이탈방지부재(181)가 형성되어 상기 링크이탈방지부재(181)가 형성된 측의 링크체결공(182)을 통과하여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에 연동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레버(180)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전부재는 도어축에 연결되는 아암(130)이며, 상기 돌출된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에 결합되는 연동부재는 캠 플레이트(1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조작 장치가 설치된 공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도어 조작 장치(100)가 적용되는 차량용 공조장치는, 히터코어(H) 및 증발기(E)가 내장되는 공조케이스(C)를 구비하며, 그 내부에는 다수의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들은 사용자가 선택하는 온도 및 모드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도어들은 도어 액츄에이터(170)들의 구동에 의하여 동작하 게 되는데, 그 중에는 2개 이상의 도어들이 도어 액츄에이터(170)에 연결되는 캠 플레이트(160)를 포함하는 링크부재 기구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연동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의 회전부재와 링크부재의 결합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조작 장치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에 직접 연결되는 회전부재는 도 8에서의 제1아암(130)으로 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 및 참조부호도 이에 따라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부재(150)의 단부에 직접 연결되는 회전부재는 다른 아암이나 레버가 되어도 물론 무방하며, 도 6에서는 다만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회전부재와 링크부재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를 든 것으로 도 6 및 이하의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가 상기 제1아암(130)과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가 상기 제1아암(1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링크부재(150)와 상기 제1아암(130)의 상대운동거리에 걸쳐 상기 제1아암(130)의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굴곡되어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를 지지하는 링크이탈방지부재(131)가 상기 제1아암(13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부재로서 조립 체결된다.
도 6(B)에는 상기 링크이탈방지부재(131)를 보다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상기 링크이탈방지부재(131)는 상기 제1아암(130)의 일측면의 평행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아암(130)의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굴곡되어 상기 링크부재(150)를 지지하 는 링크지지부(131a)와, 상기 링크지지부(131a)의 일측과 상기 회전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131c)와, 상기 링크부재(1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지지부(131a)의 타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링크조립부(131b)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지지부(131a)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0, 120)의 구동 시 회동하는 상기 링크부재(150)의 회전 궤적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 성형되거나, 상기 회전 궤적을 고려한 원호 형상 부분과 직선 형상 부분이 결합된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링크부재(15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링크부재(15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도 6에서,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는 상기 제1아암(13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이상 돌출되어 나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도 1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소정 길이(d)만큼 돌출된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는, 도 2 및 도 3의 참조번호 41 또는 도 4의 참조번호 81에 해당하는 피봇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링크부재 일단부(151)의 돌출되는 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피봇을 따로 구비하지 않고도 캠 플레이트와 제1아암(130)을 연결하여 연동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의 한 실시예로서, 제1아암(130)에 본 발명에 의한 링크이탈방지부재(131)가 적용되고,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가 돌출되어 피봇 역할을 하여 캠 플레이트(160)와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제1아암(130)은 회전부재가 되며, 캠 플레이트(160)는 연동부재가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가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가 삽입되는 상기 캠 플레이트 (161)의 슬롯(161) 두께의 0.5배 이상 내지 1.5배 이하가 되도록 한다. 이 때, 연동부재로서 작동하는 상기 캠 플레이트(160)를 상기 돌출된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로 구동시킬 때 힘의 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돌출 길이는 상기 캠 플레이트(160) 슬롯(161)의 두께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상기 링크부재(150)가 상기 제1아암(130)에 조립 체결되는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150)의 일측 일단부(151)는 링크조립부(131b)를 통과하여 상기 제1아암(130)의 링크부재체결구멍(132)에 끼워진다.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부(151)가 굴곡져 있는 부분까지 완전히 삽입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150)는 회전되어 상기 링크지지부(131a)와 제1아암(130)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상기 링크부재(150)가 회전하여 공조케이스(C)에 장착된 후 움직이는 범위는 도 7(C)에 도시된 L1 내로서, 상기 링크조립부(131b)는 상기 L1 범위 밖인 L2 범위에 걸쳐 형성되도록 설계된다. 초기 조립 시를 제외하면 상기 링크부재(150)는 L1 범위에서만 움직이기 때문에 상기 링크조립부(131b)가 개방되어 있어도 링크부재(150)가 제1아암(1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링크부재(150)는 L1 범위 내에서 링크지지부(131a)에 의해 이탈이 견고하게 방지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도어 조작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들 중 적어도 2개의 도어(110, 120)를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는데, 제1아암(130)과, 제2아암(140)과, 그리고 링크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아암(130)은, 차량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제1도어(110)의 도어축(111)의 끝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아암(130)이 선회할 경우에, 상기 제1도어(110)도 함께 선회하게 된다.
상기 링크부재(150)는, 상기 제1도어(110)와, 차량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제2도어(12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가 상기 제1아암(130)을 관통하여 제1아암(130)의 일면(도면에서는 상부)으로 돌출되고, 이 링크부재(150)의 돌출된 일단부(151)가 도어 액츄에이터(170)에 의하여 구동되는 캠 플레이트(160)의 슬롯(161)에 삽입된다. 즉, 상기 링크부재(150)는 상기 제1아암(130)을 통하여 제1도어(110)에 연결됨과 동시에, 그 돌출된 일단부(151)가 피봇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 액츄에이터(170)의 구동에 의하여 캠 플레이트(160)가 선회하면, 상기 캠 플레이트(160)의 슬롯(161)에 의하여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가 이동함에 따라 제1아암(130)과 함께 제1도어(110)가 선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아암(140)은 상기 제2도어(120)의 도어축(121) 끝단에 결합되는데, 이 제2아암(140)에는 슬롯(141)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재(150)의 타단부(152)가 상기 슬롯(14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링크부재(150), 제1아암(130) 및 제2아암(140)에 의하여 제1도어(110)와 제2도어(120)가 연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캠 플레이트(160)의 선회에 따라 제1아암(130)이 선회함으로써 제1도어(110)가 선회동작함과 동시에 상기 링크부재(150)가 이동하게 되고, 상기 링크부재(150)의 이동에 따라 제2아암(140)이 선회동작함으로써 제2도어(120)가 선회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150)의 각 단부가 삽입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링크부재(150)의 각 단부가 통과하는 제1아암(130)과 제2아암(140)중 적어도 한 쪽의 아암(예컨대, 130)에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150)의 단부가 그 아암(1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링크부재(150)와 상기 아암(130)의 상대운동거리에 걸쳐 상기 아암(130 또는 140)의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굴곡되어 상기 링크부재(150)의 단부를 지지하는 링크이탈방지부재(13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링크이탈방지부재(131)의 구조는 링크부재(150)의 단부가 연결되는 제2아암(14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물론 제1아암(130) 및 제2아암(140) 모두에 동시에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참조부호 142는, 제2아암(140)에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다른 구성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레버를 나타내는데, 물론 상기 링크이탈방지부재(131)의 구조는 상기 레버(142)에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링크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부품, 즉 아암이나 레버를 회전부재로 통칭할 때, 상기 링크이탈방지부재(131)는 어떤 회전부재에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도 10은 레버(180)에 상기 링크이탈방지부재(181)가 적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서, 레버(180)는 제1아암(130)과 캠 플레이트(160)를 연결하고 있다. 레버(180)의 일측에는 피봇(183)이 구비되어 제1아암(130)과 결합되며, 레버(180)의 타측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이탈방지부재(181)가 적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이탈방지부재(181)가 적용된 부분에 링크부재(150)가 결합되며, 상기 링크부재(150)가 결합되어 돌출된 링크부재의 일단부(151)에 캠 플레이트(160)가 결합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조모드를 전환하기 위하여 도어 액츄에이터(170)가 구동되면, 캠 플레이트(160)가 선회하고, 상기 캠 플레이트(160)의 선회에 따라 상기 캠 플레이트(160)의 슬롯(161)에 삽입된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가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링크부재(150)와 결합된 제1아암(130)이 제1도어(110)와 함께 선회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링크부재(1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150)에 타단부(152)에 연결된 제2도어(120)도 선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110) 및 제2도어(120)에 의하여 송풍공기의 유로가 변경되어 공조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 조작 장치(100)의 동작 시에, 링크부재(150)의 삽입된 단부가 링크이탈방지부재(131)에 의하여 파지되어 있으므로, 링크부재(150)의 삽입된 단부가 이탈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도어들(110, 120)이 오작동없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에 의하면,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가 제1아암(130)을 통하여 캠 플레이트(160)의 슬롯(161)에 결합되어 피봇의 기능을 겸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1아암(130)에 종래처럼 캠 플레이트(160)를 결합하기 위한 피봇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제1아암(130)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150)의 단부가 삽입되는 부재, 즉 제1아암(130)과 제2아암(140)에 링크부재(150)의 단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파지클립(131)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종래 링크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채용된 링크부재 홀더와 같은 별도의 부품을 적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수가 줄어들어 생산성 향상과 제조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채용된 링크부재 홀더와 같은 부품을 개재하지 않고, 링크부재(150)의 단부가 직접 제1아암(130)과 제2아암(140)에 연결되므로, 링크부재(150)가 삽입되는 부분의 유격을 감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확하게 도어들(110, 120)을 동작시킬 수 있다.
Claims (10)
- 히터코어(H) 및 증발기(E)가 내장되는 공조케이스(C)의 내부에, 사용자가 선택하는 온도 및 모드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들 중 적어도 2개의 도어(110, 120)를 연동하여 동작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100)에 있어서,상기 도어(110, 120)들의 각 도어축(111, 121)에 연결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연동되어 동작하도록 일단부(151)가 일측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152)가 타측 회전부재에 연결되는 링크부재(150)를 포함하고,상기 링크부재(150)는 상기 회전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의 링크체결공(132)에 삽입된 일단부(151)가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중첩되게 설치되어 연동되는 연동부재를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구동시키도록 상기 연동부재의 슬롯(16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에는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가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가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링크부재(150)를 지지하는 링크이탈방지부재(1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이탈방지부재(131)는상기 회전부재의 일측면의 평행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굴곡되어 상기 링크부재(150)를 지지하는 링크지지부(131a)와, 상기 링크지지부(131a)의 일측과 상기 회전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131c)와, 상기 링크부재(1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지지부(131a)의 타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링크조립부(131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의 돌출 길이는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가 삽입되는 상기 연동부재의 슬롯(161) 두께의 0.5배 이상 내지 1.5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
-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도어 액츄에이터(170)에 의하여 구동되는 캠 플레이트(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
-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도어축(111, 121)에 직접 연결되는 아암(130, 140) 또는 상기 아암(130, 140)과 상기 링크부재(150) 사이에 연결되는 레버(142, 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지지부(131a)는도어(110, 120)의 구동 시 회동하는 상기 링크부재(150)의 회전 궤적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 성형되어, 상기 링크부재(15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링크부재(15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지지부(131a)는도어(110, 120)의 구동 시 회동하는 상기 링크부재(150)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원호부와 상기 연결부(131c)로 연장 연결되는 직선부로 이루어져, 상기 링크부재(15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링크부재(15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80)는일측에 회전부재와 결합하여 연동되는 피봇(183)이 구비되며, 타측에 링크이탈방지부재(181)가 형성되어 상기 링크이탈방지부재(181)가 형성된 측의 링크체결공(182)을 통과하여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에 연동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레버(180)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전부재는 도어축에 연결되는 아암(130)이며, 상기 돌출된 링크부재(150)의 일단부(151)에 결합되는 연동부재는 캠 플레이트(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1/703,273 US8025096B2 (en) | 2006-02-08 | 2007-02-07 | Door actuat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60012017 | 2006-02-08 | ||
KR1020060012017 | 2006-02-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0821A true KR20070080821A (ko) | 2007-08-13 |
KR101241778B1 KR101241778B1 (ko) | 2013-03-14 |
Family
ID=38601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9482A KR101241778B1 (ko) | 2006-02-08 | 2007-01-30 |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177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3361B1 (ko) * | 2008-09-16 | 2014-10-21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자동차 공기조화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7763B1 (ko) | 2016-10-17 | 2018-09-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흡기조절장치 |
KR20230100993A (ko) * | 2021-12-29 | 2023-07-06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차량의 공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02043B2 (ja) * | 1991-08-28 | 2001-08-27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ドアリンクとその組付方法 |
JPH0891039A (ja) * | 1994-09-27 | 1996-04-09 | Nippondenso Co Ltd | 継手部 |
JPH10236137A (ja) * | 1996-12-24 | 1998-09-08 | Denso Corp | 車両用空調装置 |
-
2007
- 2007-01-30 KR KR1020070009482A patent/KR10124177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3361B1 (ko) * | 2008-09-16 | 2014-10-21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자동차 공기조화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41778B1 (ko) | 2013-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92108B2 (ja) | 空気通路開閉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 |
KR20090068417A (ko) |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 |
US8025096B2 (en) | Door actuat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of vehicle | |
KR101241778B1 (ko) |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 | |
KR100747305B1 (ko) | 외기 모드시 내기가 유입되는 자동차 공기 조화기용 내외기 | |
JP2000153706A (ja) | 自動車空調装置のドアプレ―ト駆動機構 | |
JP2000103224A (ja) |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ブロアユニット | |
JP5199842B2 (ja) | 空調風吹き出し機構 | |
KR100932627B1 (ko) | 차량의 공조장치용 캠과 액츄에이터 결합구조 | |
JP2001080347A (ja) | 車両用空調装置 | |
KR100564352B1 (ko) | 차량용 공조장치의 모드도어 링크장치 | |
JP4487436B2 (ja) | 空調装置のリンクプレート構造 | |
JP5353823B2 (ja) | 空調装置 | |
JP4434072B2 (ja) | リンク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 |
KR100578417B1 (ko) |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 |
JP3601091B2 (ja) | 吹出口切替装置 | |
KR100531638B1 (ko) | 온도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듀얼액츄에이터 장치 및 그 액츄에이터 | |
KR101465980B1 (ko) | 차량 공조장치의 도어조작용 구동부재 | |
JP4267993B2 (ja) | 車両用空調ユニットの組立構造およびこれに用いるリンク機構 | |
JP3700318B2 (ja) | リンク機構 | |
KR101200266B1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KR101497336B1 (ko) | 차량용 공조 장치의 컨트롤 스위치 조립체 | |
JP4029372B2 (ja) | 車両用空調装置 | |
JP4483051B2 (ja) | リンク機構 | |
JP2004058941A (ja) | リンク部材の取付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