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417B1 -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417B1
KR100578417B1 KR1020040077257A KR20040077257A KR100578417B1 KR 100578417 B1 KR100578417 B1 KR 100578417B1 KR 1020040077257 A KR1020040077257 A KR 1020040077257A KR 20040077257 A KR20040077257 A KR 20040077257A KR 100578417 B1 KR100578417 B1 KR 100578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ear
connector
discharge port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8202A (ko
Inventor
박종길
Original Assignee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7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417B1/ko
Publication of KR20060028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automatic and non-automatic control, e.g. for changing from automatic to manual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조기의 냉 ·온기 토출구에 대한 도어의 개폐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토출구별 송풍량 배분의 만족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성 요소들을 단순화함으로써 공간적인 제약성을 극복하게 되는 도어 구동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공조기의 냉 ·온기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1도어와 제2도어 및 제3도어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는 제1치차와 제2치차 및 제3치차;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가 연동되도록 상기 제1치차와 상기 제2치차를 연결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3도어가 연동되도록 상기 제1치차와 상기 제3치차를 연결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는 제4치차를 구비한 액튜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조기, 토출구, 도어, 벨트, 체인, 치차, 송풍량

Description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Door Operating Device of HVAC System}
도 1 : 공조기 도어 및 그 구동장치들에 대한 종래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송풍 모드 조절 스위치와 케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5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도어 11,21,31 : 레버축
12 : 제1치차 20 : 제2도어
22 : 제2치차 30 : 제3도어
32 : 제3치차 40 : 제1커넥터
50 : 제2커넥터 60 : 액튜에이터
70 : 송풍 모드 조절 스위치 71 : 케이블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조기 분야에 관련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기에서 생성된 냉 ·온기가 차량의 소정 부위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해당 부위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실내의 냉 ·난방과 환기 ·제습 등을 위해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즉 HVAC(Heating, Ventilating & Air Conditioning) 시스템은, 승차자의 필요에 따라 냉 ·난방 온도와 송풍량 및 송풍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송풍량과 송풍 방향의 제어는, 차량의 소정 부위에 마련된 토출구와 이 토출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작동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토출구는 그 위치에 따라, 차실내 상부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벤트(vent) 토출구, 차실내 하부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푸트(foot) 토출구, 앞유리창의 제습 위치에 형성된 디프로스트(defrost) 토출구로 구분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1에는 상기 토출구들이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어 및 그 구동장치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토출구에 각각 구비되는 벤트 도어(110)와 푸트 도어(120) 및 디프로스트 도어(130)가 마련되고, 이들 도어(110,120,130)에는 각각 레버(111,121,13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벤트 도어 레버(111)와 디프로스트 도어 레버(131)가 캠(140)과 직접 연결 됨과 아울러 푸트 도어 레버(121)는 링크(150)를 매개로 캠(140)에 연결되어 있다. 또, 캠(140)은 액튜에이터(160)에 케이블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원하는 송풍 모드에 따라 운전석 측에 마련되어 있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액튜에이터(160)를 작동시키면, 이 액튜에이터(160)의 작동에 캠(140)이 연동하게 되고, 캠(140)과 연결되어 있는 도어(110,120,130)가 레버(111,121,131)를 축으로 회전함으로써 해당 모드에 부합되도록 토출구를 개폐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도어의 구동장치는, 도어(110,120,13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각 구성 요소들이 서로 유격(遊動離隔)을 일으킴으로써 정밀한 제어가 어렵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110,120,130)들 간의 개폐량 조절이 정밀하지 못하여 원하는 송풍 모드에 부합하는 송풍량의 배분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또, 도어(110,120,13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 요소들의 수량과 두께로 인해 공간적인 면에서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 공조기의 냉 ·온기 토출구에 대한 도어의 개폐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토출구별 송풍량 배분의 만족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성 요소들을 단순화함으로써 공간적인 제약성을 극복하게 되는 도어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는, 공조기의 냉 ·온기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1도어와 제2도어 및 제3도어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는 제1치차와 제2치차 및 제3치차;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가 연동되도록 상기 제1치차와 상기 제2치차를 연결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3도어가 연동되도록 상기 제1치차와 상기 제3치차를 연결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는 제4치차를 구비한 액튜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벨트 또는 체인으로 개시될 수 있다. 또, 상기 액튜에이터는, 송풍 모드 조절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 작동하거나, 송풍 모드 조절 스위치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수동 작동하는 구조로 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기의 냉 ·온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세 개 구비되어 있는데, 이들 도어를 편의상 제1도어(10)와 제2도어(20) 및 제3도어(30)로 지칭한다. 그리고, 이들 도어에 대해, 예를 들어 제1도어(10)는 푸트 토출구를 개폐하는 푸트 도어라 하고, 제2도어(20) 는 벤트 토출구를 개폐하는 벤트 도어라 하며, 제3도어(30)는 디프로스트 토출구를 개폐하는 디프로스트 도어라고 가정한다. 각각의 도어(10,20,30)는 회전 중심축이 되는 레버축(11,21,31)들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으며, 각 레버축(11,21,31)의 말단부에는 도어(10,20,30)별로 제1치차(12)와 제2치차(22) 및 제3치차(32)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치차(12)와 제2치차(22)는 제1커넥터(40)에 의해 서로 연결됨과 아울러, 제1치차(12)와 제3치차(32)는 제2커넥터(5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들 커넥터(40,50)는 벨트 또는 체인으로 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치차(12,22,32)들이 커넥터(40,5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제1도어(10)와 제2도어(20)가 서로 연동되고, 제1도어(10)와 제3도어(30)가 서로 연동된다. 또, 제1커넥터(40)와 제2커넥터(50)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는 제4치차(61)를 구비한 액튜에이터(60)가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커넥터(40)가 제4치차(61)와 물려져 있다. 이에 따라, 액튜에이터(60)의 작동에 의해 제4치차(61)가 제1커넥터(40)를 어느 일방 또는 타방으로 이동시키면, 이들 커넥터(40,5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치차(12,22,32)가 회전하여 도어(10,20,30)로 하여금 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한다. 한편, 액튜에이터(60)는, 운전석측에 마련된 송풍 모드 조절 스위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 작동하거나, 또는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송풍 모드 조절 스위치(70)와 케이블(71)로 연결되어 수동으로 작동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액튜에이터(60)와 송풍 모드 조절 스위치의 연결구조는 종래의 공조 시스템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설명에서 푸트 도어와 벤트 도어로 각각 가정된 제1도어(10)와 제2도어(20)가 푸트 토출구와 벤트 토출구를 개폐하는 경우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예컨대, 푸트 토출구를 개방하고 벤트 토출구를 폐쇄한다고 했을 때, 차량 탑승자가 송풍 모드 조절 스위치를 조작하여 액튜에이터(60)를 작동시키면 액튜에이터(60)에 구비된 제4치차(6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4치차(61)와 물려있는 제1커넥터(40)가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전동(傳動)함으로써 제1치차(12)와 제2치차(22)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1치차(12)와 일체화되어 있는 레버축(11)을 중심으로 제1도어(푸트 도어 : 10)가 회전하여 푸트 토출구를 개방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치차(22)와 일체화되어 있어 레버축(21)을 중심으로 제2도어(벤트 도어 : 20)가 회전하여 벤트 토출구를 폐쇄하게 된다. 이 때, 제1커넥터(40)와 이격된 상태로 제1치차(12)에 함께 감겨져 있는 제2커넥터(50) 역시 액튜에이터(60)의 동력을 제3치차(32)로 전동하여 제3치차(32)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제3치차(32)와 일체화되어 있는 레버축(31)을 중심으로 제3도어(30)가 회전하여 디프로스트 토출구는 폐쇄된다.
다음으로, 푸트 도어와 디프로스트 도어로 각각 가정된 제1도어(10)와 제3도어(30)가 푸트 토출구와 디프로스트 토출구를 개폐하는 경우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즉, 푸트 토출구를 폐쇄하고 디프로스트 토출구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차량 탑승자가 송풍 모드 조절 스위치를 조작하여 액튜에이터(60)를 작동 시키면 액튜에이터(60)에 구비된 제4치차(6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4치차(61)와 물려있는 제1커넥터(40)가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전동(傳動)하여 제1치차(12)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제1치차에 걸려있는 제2커넥터(50)로 회전력이 전동되어 제3치차(32)가 회전한다. 따라서, 제1치차(12)와 일체화되어 있는 레버축(11)을 중심으로 제1도어(10)는 푸트 토출구를 폐쇄하는 대신, 이와 동시에 제3치차(32)와 일체화되어 있어 레버축(31)을 중심으로 제3도어(30)는 디프로스트 토출구를 개방하게 된다. 이 때, 제2커넥터(50)와 이격된 상태로 제1치차(12)에 함께 감겨져 있는 제1커넥터(40) 역시 액튜에이터(60)의 동력을 제2치차(22)로 전동하여 제2치차(22)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제2치차(22)와 일체화되어 있는 레버축(21)을 중심으로 제2도어(20)가 회전하여 벤트 토출구는 폐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어(10)와 제2도어(20)가 서로 연동하고, 제1도어(10)와 제3도어(30)도 서로 연동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송풍 모드에 따라 도어들이 적절하게 개폐된다.
특히 이러한 도어들을 개폐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커넥터로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의 링크에 의한 연결 구조에 비해 유격 현상을 최소화하게 되므로, 토출구별 풍량 배분에 있어서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 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성 요소들에 있어서, 종래의 캠이나 링크가 배제되는 대신 간단한 구조와 작은 크기의 치차와 커넥터로 단순화됨으로써, 공간적인 제약성을 극복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량 공조기의 냉 ·온기 토출구에 대한 도어의 개폐 각도가 정밀하게 제어됨에 따라 토출구별 송풍량이 만족스럽게 배분됨으로써, 차량 실내에 대한 공기조화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어의 개폐를 위한 구성 요소들이 단순화되므로, 공간적인 제약성을 극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공조기의 냉 ·온기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1도어와 제2도어 및 제3도어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는 제1치차와 제2치차 및 제3치차;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가 연동되도록 상기 제1치차와 상기 제2치차를 연결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3도어가 연동되도록 상기 제1치차와 상기 제3치차를 연결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는 제4치차를 구비한 액튜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는 송풍 모드 조절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는 송풍 모드 조절 스위치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수동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KR1020040077257A 2004-09-24 2004-09-24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KR100578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257A KR100578417B1 (ko) 2004-09-24 2004-09-24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257A KR100578417B1 (ko) 2004-09-24 2004-09-24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202A KR20060028202A (ko) 2006-03-29
KR100578417B1 true KR100578417B1 (ko) 2006-05-11

Family

ID=3713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257A KR100578417B1 (ko) 2004-09-24 2004-09-24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4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5035B4 (de) 2014-04-09 2020-03-05 Hanon Systems Kraftfahrzeug-Klimaanlage mit mehreren Steuerklappen
JP7321016B2 (ja) * 2019-07-17 2023-08-04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車両用エアコン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3713A (ja) 1984-03-16 1985-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ンパ−駆動装置
JPH10119540A (ja) 1996-06-11 1998-05-12 Trw Inc 車輌用可変温度制御装置
KR19980065673U (ko) * 1997-05-06 1998-12-05 신영주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
JP2000153706A (ja) 1998-08-04 2000-06-06 Kankoku Delphi Kk 自動車空調装置のドアプレ―ト駆動機構
KR100399180B1 (ko) 2001-03-13 2003-09-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환기장치의 배출챔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3713A (ja) 1984-03-16 1985-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ンパ−駆動装置
JPH10119540A (ja) 1996-06-11 1998-05-12 Trw Inc 車輌用可変温度制御装置
KR19980065673U (ko) * 1997-05-06 1998-12-05 신영주 자동차용 모드 스위치 조립체
JP2000153706A (ja) 1998-08-04 2000-06-06 Kankoku Delphi Kk 自動車空調装置のドアプレ―ト駆動機構
KR100399180B1 (ko) 2001-03-13 2003-09-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환기장치의 배출챔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202A (ko)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8284B1 (en) Ventilation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ntilation in motor vehicles
US20180170149A1 (en) Air register with hybrid door closure
JP6341114B2 (ja) 車両用空調装置
EP1086839A1 (en) Air mix damper device and vehicle air conditioner
KR100571755B1 (ko) 온도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듀얼액츄에이터 장치 및 그 액츄에이터
KR20090099280A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EP1364819B1 (en) Motorized damper door for vehicle air duct
US6383071B1 (en) Vehicular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0578417B1 (ko)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JP444201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53156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21225B1 (ko) 차량용 후석공조장치의 공조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
US20100126072A1 (en) Door Opera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JP5218914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リンク機構
KR101241778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조작 장치
JP4239433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60041067A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도어 조작용 캠기구
JP4487436B2 (ja) 空調装置のリンクプレート構造
JP200715323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95074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2441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531638B1 (ko) 온도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듀얼액츄에이터 장치 및 그 액츄에이터
KR101430012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JPH09263120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102475366B1 (ko) 차량의 독립 공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