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180B1 - 차량 환기장치의 배출챔버 - Google Patents

차량 환기장치의 배출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180B1
KR100399180B1 KR10-2001-0012960A KR20010012960A KR100399180B1 KR 100399180 B1 KR100399180 B1 KR 100399180B1 KR 20010012960 A KR20010012960 A KR 20010012960A KR 100399180 B1 KR100399180 B1 KR 100399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ischarge chamber
vehicle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2907A (ko
Inventor
김종만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180B1/ko
Publication of KR20020072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1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환기장치의 배출챔버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배출챔버는 그 개폐를 위해 고무재의 개폐판을 사용하여 고속주행으로 인한 부압의 발생시 개폐판의 떨림이 발생되어 이상음이 발생되고 이것이 차실내로 유입되어 차량의 정숙성과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예시도면 도 3 에서와 같이 배출챔버가 개방되어야 하는 경우 즉, 차량 도어를 닫을 때나 디프로스터 등의 가동을 위해 외기를 도입시킬 때를 개방조건으로 하는 전동식 개폐방식의 배출챔버로서, 도어개폐감지회로부(16)와 공조제어회로부(18)로부터 도어개방이나 외기유입덕트개방을 인식하는 제어부(20)에 의해 모우터(14)를 구동시키고 이 모우터(14)에 의해 개방되는 배출챔버를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환기장치의 배출챔버{Extract Chamber of Autombile Ventulating Device}
본 발명은 실내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차량 환기장치의 배출챔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챔버가 개방되어야 하는 경우에 전동식으로 배출챔버가 개방되도록 하는 차량 환기장치의 배출챔버에 관한 것이다.
예시도면 도 1 은 차실내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설명도로서, 일반적으로 차실내의 공기는 승차원의 호흡 등에 의해 오염되므로 실외기와 실내기를 교환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장치를 환기장치라 하며, 환기장치는 자연환기방식과 강제환기방식이 병용되고 있다.
자연환기방식은 차량 주행중 발생되는 풍압을 이용하여 차실내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방식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압이 발생되는 카울부에 유입부(1)가 설치되고 부압이 발생되는 차체 후부 하방에 배출챔버(2)가 설치되어 있다.
강제환기방식은 냉난방장치의 사용을 위해 전동팬 등을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외기를 도입시킨 것으로 외기의 도입과 배출은 자연환기방식과 같은 배려로 설치되어 있다.
차실내에 도입된 공기는 냉난방장치와 연동되어 온풍은 아래쪽으로 냉풍은 윗쪽으로, 또한 창의 흐림을 방지하기 위해 창을 따라 흐르도록 토출구의 위치가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토출구(3)는 대시패널에 내장된 덕트(미도시)의 개폐에 의해 선택되며, 이것의 선택은 대시패널에 장착된 선택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사용자가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예시도면 도 2 는 도 1 의 배출챔버를 나타낸 확대설명도로서, 배출챔버(2)는 챔버몸체(4)와 이 챔버몸체(4)의 중앙개방부 양측에 설치되는 고무재의 개폐판(5)과 밀폐를 위한 실러(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판(5)은 고무재의 탄성으로 중앙개방부를 폐쇄하고 있으며, 압력의 작용시 고무재의 휘어짐에 의해 중앙개방부가 개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를 닫을때 배출챔버의 개폐판(5)이 급상승된 실내압으로 개방되어 상기 급상승된 실내압에 의한 의한 탑승자의 불쾌감을 방지하고 도어의 닫힘이 용이해 지는 것이다.
또한, 디프로스터의 작용시 외기유입덕트의 개방에 연동되어 부압에 의해 차실내의 온풍순환을 돕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차량에는 환기장치가 설치되어 여러가지 기후나 주행조건에서 승차원에게 쾌적한 차실내 환경을 조성시켜 주고 있다.
그러나, 차량의 고속주행시 차체에 발생된 부압에 의해 배출챔버로 부터 소음이 차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차량의 정숙성과 상품성이 하락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배출챔버는 외기유입덕트가 개방되면 주행중의 부압에 의해 실내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기유입덕트가 폐쇄되면 차실내의 공기는 순환된다.
그런데, 고속주행시 외기유입덕트가 폐쇄되어 있더라도, 발생부압에 의해 고무재의 개폐판이 떨리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에 의해 이상음이 차실내로 유입되었던 것이며, 이것은 차실내의 정숙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출챔버가개방되어야 하는 경우에 전동식으로 배출챔버가 개방되도록 하는 차량 환기장치의 배출챔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배출챔버가 개방되어야 하는 경우 즉, 차량 도어를 닫을 때나 디프로스터 등의 가동을 위해 외기를 도입시킬 때를 개방조건으로 하는 전동식 개폐방식의 배출챔버로서, 도어개폐감지회로부와 공조제어회로부로부터 도어개방이나 외기유입덕트개방을 인식하는 제어부에 의해 모우터를 구동시키고 이 모우터에 의해 개방되는 배출챔버를 마련한 것이다.
도 1 은 차실내 공기흐름을 나타낸 설명도,
도 2 는 종래 배출챔버를 나타낸 도 1 A 부의 확대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챔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유입부, 2 - 배출챔버,
3 - 토출구, 4 - 챔버몸체,
5,10 - 개폐판, 12 - 회동축,
14 - 모우터, 16 - 도어개폐감지회로부,
18 - 공조제어회로부, 20 - 제어부,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챔버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본 발명은 도어개방시나 외기도입덕트의 개방시에만 개방되는 전동식의 개폐판이 마련된 배출챔버로서, 강성이 확보된 개폐판(10)(10')이 마련되고 이 개폐판(10)(10')에는 챔버몸체(4)와 힌지결합되게 회동축(1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개폐판(10)(10')의 회동축(12)(12')은 모우터(14)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바, 각 개폐판(10)(10')의 회동축(12)(12') 각각에 결합된 제1 및 제2 기어(11)(11')는 서로 치합되어 벨트 또는 체인(13)에 의해 모우터(14)의 구동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모우터(14)의 전원공급라인에는 도어개폐감지회로부(16)로 부터의 도어 개방이나 공조제어회로부(18)로 부터의 외기도입덕트 개방을 개폐판(10)(10')의 개방신호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20)가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출챔버가 개방되어야 하는 경우 즉, 차량 도어를 닫을 때나 디프로스터 등의 가동을 위해 외기도입덕트 개방으로 부터 외기를 도입시킬 때를 개방조건으로 하는 전동식 개폐방식의 배출챔버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도어개폐감지회로부(16)와 공조제어회로부(18)로부터 도어개방이나 외기유입덕트개방을 인식하는 제어부(20)에 의해 모우터(14)를 구동시키고 이 모우터(14)에 의해 개방되는 배출챔버를 마련한 것이다.
여기서, 도어개폐감지회로부(16)와 공조제어회로부(18)는 차량에 장착된 공지된 전기장치를 제어하는 회로부로서, 도어개폐감지회로부(16)는 차량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여 차실내의 계기판에 설치된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회로부이다.
한편, 공조제어회로부(18)는 차량의 냉난방 장치와 디프로스터를 가동시키고, 이에 따라 전기된 각 토출구를 위한 덕트의 개방을 제어하는 회로부로서, 전술된 스위치부에 의해 가동되며 상기 장치들을 가동시키기 위한 on/off 신호가 송출된다.
따라서, 상기된 회로부가 본 발명의 배출챔버를 개방하기 위한 상기 조건을 검출하는 센서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상기 조건을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가 필요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0)는 도어개폐회로부(16)에 포함된 도어개폐스위치(미도시)의 도어개방신호로부터 또는 공조제어회로부(18)에 포함된 외기유입덕트 개방스위치(미도시)의 외기유입덕트 개방신호로부터 모우터(14)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작용은 상기 조건에 따라 두가지 경우로 나누어져, 먼저 도어개방시를 설명하면 도어개방시에는 도어개폐감지회로부(16)의 제어에 따라 차실내의 경고등이 점등되고, 이와 동시에 경고등으로의 점등신호는 제어부(20)로 송출된다.
이에 의해 제어부(20)는 모우터(14)를 구동 개폐판(10)(10')을 작동시켜 배출챔버를 개방시키게 된다.
한편, 도어가 폐쇄되면 경고등으로의 점등신호가 차단되고 이 신호에 의해 제어부(20)는 모우터(14)를 역구동시켜 개폐판(10)(10')을 폐쇄하여 배출챔버를 폐쇄하는 것이며, 이러한 모우터(14)로의 전원공급원은 차량의 배터리임은 당연하다.
외기유입덕트의 개방시에는 전술된 스위치부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외기유입덕트가 개방되면 이와 동시에 제어부(20)는 상기 신호에 의해 모우터(14)를 구동시켜 배출챔버를 개방시키게 되며, 외기유입덕트의 폐쇄시 제어부(20)가 이를 위한 스위치부의 조작에 의한 신호로 배출챔버를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우터의 구동에 의한 개폐판이 배출챔버를 개폐시킴으로써, 고속주행시 배출챔버에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이상음이 차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차실내의 정숙성과 상품성이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챔버몸체(4)와 힌지결합되게 회동축(12)(12')이 형성된 강성의 개폐판(10)(10')과,
    상기 개폐판(10)(10')의 회동축(12)(12')을 회동시키는 모우터(14)와,
    도어개폐감지회로부(16)로부터 입력되는 도어개방신호와 공기제어신호부(18)로부터 입력되는 외기도입덕트 개방신호를 상기 개폐판(10)(10')의 개방신호로 하여 상기 모우터(14)로의 전원공급라인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20)가 형성된 차량 환기장치의 배출챔버.
KR10-2001-0012960A 2001-03-13 2001-03-13 차량 환기장치의 배출챔버 KR100399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960A KR100399180B1 (ko) 2001-03-13 2001-03-13 차량 환기장치의 배출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960A KR100399180B1 (ko) 2001-03-13 2001-03-13 차량 환기장치의 배출챔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907A KR20020072907A (ko) 2002-09-19
KR100399180B1 true KR100399180B1 (ko) 2003-09-22

Family

ID=2769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960A KR100399180B1 (ko) 2001-03-13 2001-03-13 차량 환기장치의 배출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1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417B1 (ko) 2004-09-24 2006-05-11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KR20240041532A (ko) 2022-09-23 2024-04-0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익스트렉션 체임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417B1 (ko) 2004-09-24 2006-05-11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KR20240041532A (ko) 2022-09-23 2024-04-0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익스트렉션 체임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907A (ko) 200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9180B1 (ko) 차량 환기장치의 배출챔버
KR200393437Y1 (ko) 차량용 통풍장치
KR100482508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연동형 에어익스트랙터 그릴장치
KR100774417B1 (ko) 자동차용 능동형 에어익스트랙터 그릴 장치
KR100520363B1 (ko)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KR100516744B1 (ko) 버스의 측면 환기 구조
KR20080074425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0204539Y1 (ko) 차량용 공기 배출장치
KR19980047176U (ko) 차량용 자동에어콘의 온도조절 방법
JPH10175420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排気装置
JP6702717B2 (ja) 自動車の空調システム
KR100412847B1 (ko) 자동차의 가변제어형 실내 환기장치
KR0114356Y1 (ko) 자동차의 산소 감지센서를 갖는 내외기 절환장치
KR20040066535A (ko) 자동차의 환기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24440A (ko)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부 개폐장치
KR0171723B1 (ko) 자동차용 차실공기 배출장치
KR20010059789A (ko) 차량용 냉난방장치
KR200159939Y1 (ko) 자동차의 그릴부 구조
KR19990041764U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온도조절도어.
KR20040090819A (ko) 차량의 썬루프 소음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37946U (ko) 자동차의 실내 공기 배출장치
JPH0325020A (ja) 自動車の強制換気システム
KR20040003484A (ko) 실내압력이 제어되는 차량 환기 시스템
KR19980031348U (ko) 자동차의 실내 오염공기 배출장치
KR19980044351U (ko) 차내 담배연기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