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363B1 -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363B1
KR100520363B1 KR10-2003-0073811A KR20030073811A KR100520363B1 KR 100520363 B1 KR100520363 B1 KR 100520363B1 KR 20030073811 A KR20030073811 A KR 20030073811A KR 100520363 B1 KR100520363 B1 KR 100520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tated
variable
latch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458A (ko
Inventor
홍광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3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363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85Controlling the flow of heating or cooling liquid, e.g. valve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를 닫을 때 도어를 고정시키는 도어 랫치의 위치에 따라서 구동모터를 회동시키면서 그릴을 개방시켜 도어의 개폐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도어에 설치된 랫치(4)가 회전됨에 따라서 저항값이 가변 되도록 상기 랫치(4)의 일측에 설치된 가변저항(11)과, 상기 가변저항(11)에서 가변되는 저항값을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도어의 개폐상태를 운전자에게 인식시키는 램프(12)와, 상기 제어부(10)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13)와, 상기 구동모터(13)가 회전됨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되며 일면에는 복수개의 요입홈(15)이 구비된 승강부재(14)와. 상기 승강부재(14)의 요입홈(15)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되는 작동바(16)에 연결되고 벤트 도어(6)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러버 커튼(7)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the inside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를 닫을 때 도어를 고정시키는 도어 랫치의 위치에 따라서 구동모터를 회동시키면서 그릴을 개방시켜 도어의 개폐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된 도어를 닫을 경우에는 실내의 압력이 상승되어 도어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차 실내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압력 조절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에 스트라이커(2)가 설치되어 있고, 도어(3)의 일측에는 상기 스트라이커(2)에 의해서 회전되면서 도어(3)를 고정시키는 랫치(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3)에는 차량 내부와 외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웨더스트립(5)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차량의 후방에는 내부와 외부가 통하여지도록 하기 위한 벤트 도어(6)가 설치되어 있고, 그 벤트 도어(6)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및 먼지등을 차단하기 위한 러버 커튼(7)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3)를 닫을 경우에 차 실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압력에 의해서 러버 커튼(7)이 개방되면서 벤트 도어(6)를 통하여 내부와 외부가 통하여 지게 되므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차량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를 최소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러버 커튼(7)이 개방되므로 압력을 신속하게 조절할 수 없었음은 물론 벤트 도어(6)를 통하여 빗물 및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주행시 벤트 도어(6)를 통하여 소음이 유입되어 차량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러버 커튼(7)의 고무 특성치를 상승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이때에는 실내의 압력조절 능력이 저하되어 도어를 닫을 때 탑승자의 귀가 멍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는 자석 및 코일로 이루어진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개(약 3개)의 트렌지스터와 함께 다단계(약 3단계)의 전자 저항 값으로 모터를 작동시켜 벤트 도어(6)를 개폐시키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는 부품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원가 상승은 물론 차량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를 개폐시킬 때 회전되는 랫치의 회전량에 따라서 변화되는 저항값에 의해서 러버 커튼이 개방되도록 구동모터의 회전량을 조절하여 차량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는 도어에 설치된 랫치가 회전됨에 따라서 저항값이 가변 되도록 상기 랫치의 일측에 설치된 가변저항과, 상기 가변저항에서 가변되는 저항값을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도어의 개폐상태를 운전자에게 인식시키는 램프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됨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되며 일면에는 복수개의 요입홈이 구비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요입홈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되는 작동바에 연결되고 벤트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러버 커튼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로 출입하도록 설치된 도어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랫치(4)의 일측에는 그 랫치(4)가 회전됨에 따라서 저항값이 가변 되도록 가변저항(11)이 설치되어 있고, 그 가변저항(11)에는 가변되는 저항값을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되, 상기 제어부(10)는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차량에 설치된 각종 전기/전자부품을 제어하는 ECU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10)에는 그 제어부(10)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도어의 개폐상태를 운전자에게 인식시키는 램프(12)가 연결되어 있고, 그 램프(12)는 운전석의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에는 그 제어부(10)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13)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13)의 회전축에는 구동모터(13)가 작동될 때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부재(14)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승강부재(14)의 일면에는 복수개의 요입홈(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14)의 요입홈(15)에는 작동바(16)가 끼워져 있되, 그 작동바(16)는 벤트 도어(6)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러버 커튼(7)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부품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베터리(20)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가 열림 상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2)와 랫치(4)가 분리된 상태로서 가변저항(11)에서는 저항값이 출력되지 않는 것으로서, 구동모터(13)는 구동되지 않고, 벤트 도어(6)는 러버 커튼(7)에 의해서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램프(12)가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도어가 열려진 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3)를 닫게 되면 스트라이커(2)와 랫치(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되어 상기 랫치(4)가 회전되므로 그 랫치(4)의 일측에 설치된 가변저항에서 저항값이 출력되게 되고 그 저항값은 제어부(10)로 입력되므로 상기 제어부(10)에서는 제어신호가 발생되어 구동모터(13)를 정 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13)에 의해서 발생된 회전력은 승강부재(14)를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며, 상기 승강부재(14)가 이동됨에 따라서 작동바(16)가 작동되고 그 작동바(16)에 연결된 러버 커튼(7)이 회전되면서 벤트 도어(6)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벤트 도어(6)가 개방되면 차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차 실내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3)가 완전히 닫혀지면 스트라이커(2)와 랫치(4)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되고 이때 가변저항(11)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제어부(10)로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10)에서는 구동모터(13)가 역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신호가 발생되어 구동모터(13)가 역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구동모터(13)가 역 방향으로 회전되면 승강부재(14)와 작동바(16)의 작용으로 러버 커튼(7)이 회전되면서 개방되어 있던 벤트 도어(6)는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3)가 열려질 때에는 상술한 과정을 역순으로 동작되면서 차 실내의 압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조절장치에 의한 실내압의 변화량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장치에 비하여 압력의 변화가 현저히 감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상태에 따라서, 변화되는 저항값을 이용하여 구동모터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차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도어의 개폐동작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 실내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외부에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 및 소음을 차단하여 승객에게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하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력 조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벤트 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도어 고정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차량 실내의 압력을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랫치 6 : 벤트 도어
7 : 러버 커튼 10 : 제어부
11 : 가변저항 12 : 램프
13 : 구동모터 14 : 승강부재
15 : 요입홈 16 : 작동바

Claims (2)

  1. 도어에 설치된 랫치(4)가 회전됨에 따라서 저항값이 가변 되도록 상기 랫치(4)의 일측에 설치된 가변저항(11)과, 상기 가변저항(11)에서 가변되는 저항값을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도어의 개폐상태를 운전자에게 인식시키는 램프(12)와, 상기 제어부(10)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13)와, 상기 구동모터(13)가 회전됨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되며 일면에는 복수개의 요입홈(15)이 구비된 승강부재(14)와. 상기 승강부재(14)의 요입홈(15)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되는 작동바(16)에 연결되고 벤트 도어(6)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러버 커튼(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는 차량에 설치된 각종 전기/전자부품을 제어하는 ECU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KR10-2003-0073811A 2003-10-22 2003-10-22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KR100520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811A KR100520363B1 (ko) 2003-10-22 2003-10-22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811A KR100520363B1 (ko) 2003-10-22 2003-10-22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458A KR20050038458A (ko) 2005-04-27
KR100520363B1 true KR100520363B1 (ko) 2005-10-13

Family

ID=37240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811A KR100520363B1 (ko) 2003-10-22 2003-10-22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3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458A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8308B2 (en) Automated closure system and method
KR100527124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안전장치
US10378264B2 (en) Drive motor for opening and closing body
JP2007269102A (ja) 車両用ウインドスロッブ低減装置
JP2003278443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100520363B1 (ko)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JP3644412B2 (ja) 窓開閉連動式空調装置
KR100963321B1 (ko) 차량용 썬루프 조절장치
JP2009005494A (ja) アクチュエータ装置
KR200393437Y1 (ko) 차량용 통풍장치
KR100774417B1 (ko) 자동차용 능동형 에어익스트랙터 그릴 장치
JPH11506070A (ja) 車両内に配設された調整駆動部の電子的監視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482508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연동형 에어익스트랙터 그릴장치
KR20080020041A (ko) 자동차의 속도가변식 선루프의 디플렉터
KR100439889B1 (ko) 차량의 루프 벤틸레이터 개폐장치
KR100472150B1 (ko) 차량의 썬루프 소음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421988B2 (ja) ドア開閉装置
JPH0565398B2 (ko)
JP2023087157A (ja) 開閉ドアの開閉保持装置
JP2005139656A (ja) 自動ドア制御装置
KR100440010B1 (ko)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 자동 제어장치.
KR100513744B1 (ko) 차량용 파워윈도우 속도가변장치
KR100435860B1 (ko) 자동차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
KR100200155B1 (ko) 탑승자검출식 윈도우개폐제어장치
JPH0563918U (ja) 車両の車内空気圧逃が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