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437Y1 - 차량용 통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437Y1
KR200393437Y1 KR20-2005-0015559U KR20050015559U KR200393437Y1 KR 200393437 Y1 KR200393437 Y1 KR 200393437Y1 KR 20050015559 U KR20050015559 U KR 20050015559U KR 200393437 Y1 KR200393437 Y1 KR 200393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pening
inlet
housing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국
Original Assignee
박원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국 filed Critical 박원국
Priority to KR20-2005-0015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4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437Y1/ko
Priority to PCT/KR2006/002107 priority patent/WO2006129976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7Openings in or near to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8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the openings being situated directly in front of vehicle front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타원형의 개구부를 가지는 차량의 전면유리 내부 상측과 상기 차량의 내부 천정이 당접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정면에 상기 전면유리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외부 공기의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가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출되도록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어 구동기어의 구동력을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에 전달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환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통풍장치{Ventilation apparatus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통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면유리 상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 개폐 가능한 통풍장치가 설치되어 외부 공기가 통풍가능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통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통풍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차안의 공기를 통풍시키기 위해서는 대개 창문을 이용하여 통풍시키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에 있어서 창문을 이용한 통풍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러나 상기 창문을 이용한 차량의 통풍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 중인 차량의 전면창문으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앞좌석 다시 말해서, 운전석과 조수석에 탑승한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진행하지 않고 뒷자석으로 흐르기 때문에, 상기 앞좌석의 운전자나 탑승자는 상기 전면창문을 개방하더라도 별다른 통풍 효과를 느끼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이에 따라 차량 내부의 쾌적한 환경을 위하여 에어컨 등과 같은 냉방장치를 가동시켜야 하므로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천정에 '썬루프'라고 하는 통풍장치를 장착할 수 있으나, 이 또한 유입된 공기가 진행중인 차량의 뒷좌석으로 흐르기 때문에 앞좌석의 운전자나 탑승자는 별다른 통풍 효과를 느끼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전면유리 내부 상측과 상기 차량의 내부 천정이 당접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창문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차량 내부의 탑승자에게 직접 유입되도록 하여 차량 내부의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통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개구부를 가지는 차량의 전면유리 내부 상측과 상기 차량의 내부 천정이 당접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정면에 상기 전면유리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외부 공기의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가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출되도록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어 구동기어의 구동력을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에 전달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통풍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구의 외주연에는 상기 전면유리의 개구부에 당접 지지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개폐부재의 내측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을 통하여 개폐부재에 고정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플랜지의 상측 내부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종동기어와 구동기어의 구동시 상기 유입구를 원호를 그리며 개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주재는 개폐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구동기어를 가이드 지지하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와 구동기어의 구동시 가이드부재에 의해 가이드 지지되어 일직선상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진동이나 사고시 상기 구동모터,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가 외부로 이탈되거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이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중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에어필터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유출구에는 외부 공기의 유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부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차량의 내부 천정이 당접되는 부분에 설치되기 위한 안전판넬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통풍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풍장치는, 타원형의 개구부(11)를 가지는 차량의 전면유리(10) 내부 상측과 차량의 내부 천정(20)이 당접되는 부분(차량 내부의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의 시계 범위를 넘지 않는 부분)설치되며, 차량의 전면유리(10)의 내부에 당접되도록 비스듬한 각도로 경사진 정면(101)과, 저면(미도시)을 향해 경사진 배면(102)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상인 하우징(100)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110),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구동기어(120), 구동기어(120)에 치합되어 구동기어(120)의 구동력을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103)에 전달하는 종동기어(130)를 포함하며, 하우징의 외부에 구동모터(110)의 정/역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150)가 설치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도 2의 통풍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측단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통풍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하우징(100)의 정면(101)은, 도 4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상기 전면유리(10)의 개구부(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101a)가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배면(102)은 상기 유입구(101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기 위한 유출구(102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101a)의 외주연에는 전면유리(10)의 개구부(11)에 당접되어 고정되기 위한 플랜지(101b)가 형성되고, 플랜지(101b)의 상측 내부에 힌지(103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101a)를 개폐시키는 강화유리 등과 같은 개폐부재(103)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101b)는 상기 차량의 전면유리(10)의 개구부(11)에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접합되어 비나 이슬 등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03)의 내측 중앙 양측면에는 나사 등과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한 쌍의 고정브라켓(103b)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103b) 각각에는 원호 형상을 가지는 종동기어(130)의 일단이 고정 결합된다.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에는, 도 4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수단(160)으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110)가 구비되고,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을 구동축(111)을 통해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구동기어(120)가 상기 원호 형상의 종동기어(130)에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10)의 구동시 회전되는 구동기어(120)에 의해 원호 형상의 종동기어(130)가 힌지(103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개폐부재(103)를 회동시켜 상기 유입구(101a)가 개폐부재(103)에 의해 원호 형상(부채가 접혔다가 펴지는 형상)으로 개폐되도록 한다.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에는, 도 4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01a)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다시말해서 작은 크기의 돌멩이 등과 같은 이물질이나 벌레 등과 같은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고, 차량의 심한 진동이나 사고시, 상기 구동모터(110), 구동기어(120) 및 종동기어(130) 등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180)이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안전망(180)의 일측에는 유입구(101a)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중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에어필터(190)가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안전망(180)은, 차량의 심한 진동이나 사고시, 상기 구동모터(110), 구동기어(120) 및 종동기어(130) 등이 차량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유입구(101a) 내측면에 더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여기서, 상기 안전망(180)은, 상기 종동기어(130)가 관통되는 관통공(미도시)을 가진다.
하우징(100)의 배면(102) 유출구(102a)에는, 도 4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01a), 안전망(180) 및 에어필터(190)를 경유한 외부 공기의 유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부재(102b)가 설치된다.
여기서, 하우징(100)의 배면(102)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차량 탑승자를 향하여 유출되도록 하우징(100)의 저면을 향하는 라운딩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하우징(100)의 정면(101)은 타원형의 개구부(11)를 가지는 차량의 전면유리(10)에 접착제 등과 같은 접합부재에 의해 접합되고, 하우징(100)의 상면(104)은 차량의 천정(20) 내부 프레임(21)에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안전판넬(104a)이 결합되어 차량의 충돌이나 심한 진동시 상기 하우징(1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풍장치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통풍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하우징(100)의 외부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150)로부터 유입구(101a)의 개폐를 위한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공급수단(160)으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은 구동모터(110)가 정/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이 구동축(111)을 따라 구동기어(120)에 전달된다.
이후, 구동기어(120)의 정/역회전에 따라 구동기어(120)에 치합된 종동기어(130)에 의해 하우징(100)의 정면(101) 플랜지(101b)의 상측에 힌지(103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개폐부재(103)가 전후 이송하게 되어 유입구(101a)가 개폐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150)의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구동모터(110)의 회전은 계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모터(110)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103)의 이송동작이 과동작(예를 들면, 구동모터(110)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해 종동기어(130)가 구동기어(120)와의 치합가능한 범위를 이탈하는 것)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동모터(110)의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170)가 더 구비되어 구동모터(110)가 미리 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되면 전원공급수단(160)의 전원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통풍장치에 있어서 개폐부재의 구성과 작용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풍장치는, 하우징(100) 유입구(101a)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03)의 동작이 유입구(101a)의 외주연에 형성된 플랜지(101b)의 상측 내부에 힌지(103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원호 형상의 종동기어(130)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어 원호를 따라 이송동작 하도록 설명하고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에 따르면, 상기 힌지와 같은 회동결합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개폐부재(103)에 일단이 고정 결합된 일자 형상의 종동기어(130)가 구동기어(120)에 치합되고, 개폐부재(103)에 일단이 고정 결합된 일자형상의 가이드프레임(130a)에 의해 구동기어(120)가 가이드되도록 지지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103)가 상기 유입구(101a)에 대하여 직선상으로 이송동작하여 유입구(101a)를 개폐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풍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면유리의 상측부에 각각 통풍장치가 설치되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차량 내부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직접 유입되어 차량 내부의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 내부 운전석 또는 조수석 상측 전면유리에 설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차량 앞좌석에 위치된 탑승자에게 직접 유입되어 차량 내부의 쾌적한 승차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냉방장치를 가동하지 않음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도 외부와 연통되어 차량의 실내를 통풍시킴으로써, 차량 내부에 어린이나 애완동물을 탑승시킨 상태로 자리를 비워도 차량 내부의 열집중으로 인한 어린이나 애완동물의 질식사를 방지하고 차량 내부의 귀중품 도난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에 있어서 창문을 이용한 통풍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통풍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도 2의 통풍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측단면도 및 배면도;
도 5는 도 2의 통풍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도 2의 통풍장치가 적용된 차량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통풍장치에 있어서 개폐부재의 구성과 작용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 101a : 유입구 101b : 플랜지
103 : 개폐부재 102a : 유출구 110 : 구동모터
120 : 구동기어 130 : 종동기어 150 : 스위치
160 : 전원공급수단 170 : 센서수단 180 : 안전망
190 : 에어필터

Claims (10)

  1. 개구부를 가지는 차량의 전면유리 내부 상측과 상기 차량의 내부 천정이 당접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정면에 상기 전면유리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외부 공기의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가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출되도록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어 구동기어의 구동력을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에 전달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외주연에는 상기 전면유리의 개구부에 당접 지지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개폐부재의 내측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을 통하여 개폐부재에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플랜지의 상측 내부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종동기어와 구동기어의 구동시 상기 유입구를 원호를 그리며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개폐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구동기어를 가이드 지지하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와 구동기어의 구동시 가이드부재에 의해 가이드 지지되어 일직선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진동이나 사고시 상기 구동모터,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가 외부로 이탈되거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중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에어필터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유출구에는 외부 공기의 유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차량의 내부 천정이 당접되는 부분에 설치되기 위한 안전판넬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장치.
KR20-2005-0015559U 2005-06-01 2005-06-01 차량용 통풍장치 KR200393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559U KR200393437Y1 (ko) 2005-06-01 2005-06-01 차량용 통풍장치
PCT/KR2006/002107 WO2006129976A1 (en) 2005-06-01 2006-06-01 Ventilation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559U KR200393437Y1 (ko) 2005-06-01 2005-06-01 차량용 통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437Y1 true KR200393437Y1 (ko) 2005-08-22

Family

ID=3748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559U KR200393437Y1 (ko) 2005-06-01 2005-06-01 차량용 통풍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93437Y1 (ko)
WO (1) WO2006129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4248B (zh) * 2018-10-30 2024-05-03 佛吉亚印度私营责任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内部的通风口
CN115056631A (zh) * 2022-04-27 2022-09-16 重庆金康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一种车辆空调进风管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4310U (ja) * 1981-10-08 1983-04-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産業車輛類における運転室の換気装置
KR970057378U (ko) * 1996-04-30 1997-11-10 버스 차량용 환풍구 커버 자동 개폐장치
KR980001048A (ko) * 1996-06-19 1998-03-30 정몽규 자동차의 환풍구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29976A1 (en)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3437Y1 (ko) 차량용 통풍장치
JP2012086647A (ja) カウルルーバとカウルパネルを有する自動車
JP2001301451A (ja) 車両用空気清浄器
KR100482508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연동형 에어익스트랙터 그릴장치
KR100399180B1 (ko) 차량 환기장치의 배출챔버
JP2006240551A (ja) 自動車用の空気出し入れ装置
KR100774417B1 (ko) 자동차용 능동형 에어익스트랙터 그릴 장치
KR101627094B1 (ko) 차량부착용 스마트 공기순환장치
KR200141332Y1 (ko) 자동차의실내환기장치
KR20040072923A (ko)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에어 벤트
JPH10175420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排気装置
KR100412847B1 (ko) 자동차의 가변제어형 실내 환기장치
KR100356211B1 (ko) 자동차의 실내 공기 배출장치
JPS62210119A (ja) 車両用空気清浄器
JP2008100569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520363B1 (ko) 자동차용 실내 압력 조절장치
KR200159939Y1 (ko) 자동차의 그릴부 구조
KR100515140B1 (ko) 자동차의 환기장치
KR20020022967A (ko) 자동차용 리어 에어컨 시스템
JP2004082807A (ja) 車両用換気装置
KR20050122031A (ko) 버스용 자동환기장치
KR20040073191A (ko) 회전팬이 구비된 차량의 에어벤트
KR0137228B1 (ko) 차량용 2중 윈도우 구조
KR0114356Y1 (ko) 자동차의 산소 감지센서를 갖는 내외기 절환장치
KR970007642B1 (ko) 자동차의 자연 통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