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010B1 -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 자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 자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010B1
KR100440010B1 KR10-2001-0056009A KR20010056009A KR100440010B1 KR 100440010 B1 KR100440010 B1 KR 100440010B1 KR 20010056009 A KR20010056009 A KR 20010056009A KR 100440010 B1 KR100440010 B1 KR 100440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door
signal
air
doo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2626A (ko
Inventor
주성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6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010B1/ko
Publication of KR20030022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54Automatic securing or unlocking of bolts triggered by certain vehicle parameters, e.g. exceeding a speed threshol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각도센서와; 주행중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와; 이들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내부 연산작용에 의해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콘트롤 유니트와; 콘트롤 유니트로부터 입력된 신호값에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압력변화에 따른 피스톤의 직선이동에 의해 피스톤 로드와 연결된 자동차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하는 엑츄에이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로에서 자동차문 개방시 항상 일정속도와 일정각도로 열리게 되고, 주행중에도 부주의로 인해 자동차문이 개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 및 차량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 자동 제어장치.{Automatic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oor of a car on a ramp}
본 발명은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로에서 자동차 주차시 자동차문이 개폐되는 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함으로써 평지 및 경사로에서의 개폐속도의 차이로 인한 위험요인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주행 중에는 실수에 의한 자동차문의 개방을 완전히 차단하여 차량손상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잇는 자동차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경사로 주차시 자동차문을 개폐할 경우 자동차문에 역학적인 힘의 분산이 작용되어 수평한 평지에서 개폐할 경우와는 달리 자동차문의 개방속도가 많이 달라지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자동차문의 개페속도는 경사로의 기울기에 비례하여 달라지는데, 평지와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의 개방속도 차이가 심할 경우에는 탑승자가 특별하게 주의하여 자동차문을 잡고 있지 않으면 자동차문이 자력으로 열리거나 닫히게 때문에 항상 위험발생의 요인으로 작용했었고, 특히 힘이 없는 노약자일 경우에는 더욱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자동차문의 손상까지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경사로 주차시 각도센서로부터 입력된 펄스신호에 따라 콘트롤 유니트에서는 그에 따른 적절한 제어신호로 스텝핑 모터를 회전시켜 엑츄에이터 내부의 유입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피스톤이 일정한 속도로 직선운동 되면서 이에 연결된 자동차문을 일정한 속도로 개폐시킬 수 있는 자동차문 제어장치를 제공하는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주행 시 컨트롤 유니트가 차속센서를 감지하여 엑튜에이터의 공기 유입구를 전기적으로 차단하여 자동차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문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텝핑 모터의 회전에 따른 에어 섀도우의 공기량 조절과정을 예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각도센서 12 : 위치감지 추
20 : 차속센서 30 : 컨트롤 유니트
40 : 엑튜에이터 41 : 스텝핑 모터
42 : 에어 섀도우 43 : 발광소자
44 : 수광소자 45 : 체크밸브
46 : 피스톤 47 : 피스톤 로드
48 : 공기 유입구 49 : 홀(Hole)
50 : 자동차문 52 : 힌지(Hin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각도센서와; 주행중의 자동차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와; 상기 각도센서 및 차속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내부 연산작용에 의해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콘트롤 유니트와; 상기 콘트롤 유니트로부터 입력된 신호값에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압력변화에 따른 피스톤의 직선이동에 의해 피스톤 로드와 연결된 자동차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하는 엑츄에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문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문 자동 제어장치는 자동차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각도센서(10),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20), 상기 각도센서(10)와 차속센서(20)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내부 연산작용에 의해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 유니트(30), 상기 컨트롤 유니트(3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자동차문을 개폐하는 엑츄에이터(40)로 구성된다.
각도센서(10)는 자동차의 경사각 즉, 기울기에 따라 중앙의 위치감지 추(12)가 일정각도 움직여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저항을 가변시켜 컨트롤 유니트(30)에 송출하게 된다.
또한, 컨트롤 유니트(30)는 상기 각도센서(10) 및 차속센서(20)로부터 발생된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 받아 내부의 연산작용에 의해 상기 입력값에 상응하는 소정의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후술하는 엑츄에이터(40)에 인가한다.
한편, 엑츄에이터(40)는 상기 컨트롤 유니트(3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일정각도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수행하는 스텝핑 모터(41)와, 스텝핑 모터(41)의 축단부에 결합된 에어 섀도우(Air Shadow:42)와, 에어 섀도우(42)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 상호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발광소자(43) 및 수광소자(44)의 상호 작용에 의해 빛의 통과 또는 차단상태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닫힘위치 센서(미도시) 및 열림위치 센서(미도시)와, 엑츄에이터(40)의 내부 압력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며 엑츄에이터(40)의 내부공기를 제어하는 체크밸브(45)와, 엑츄에이터(4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직선운동하며 자동차문(50)의 일측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47)를 이동시키는 피스톤(46)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텝핑 모터(41)는 컨트롤 유니트(30)로부터 1개의 펄스신호가 발생될 때 마다 0.8도씩 회전하게 되며, (+)의 펄스 신호시 정회전, (-)의 펄스 신호시 역회전을 하게 된다.
한편, 도 2는 스텝핑 모터(41)의 회전에 따른 에어 섀도우(42)의 위치 변화를 통해 공기의 유입이 통과 또는 차단되는 모습을 예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핑 모터(41) 축에 결합된 에어 섀도우(42)에는 발광소자(43)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통과 또는 차단하기 위한 홀(Hole:4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가 평지에 주차된 상태에서 자동차문을 개방시킬 경우, 도 1의 각도센서(10)의 위치감지 추(12)는 G위치에 놓이게 되고, 이에 따라 가변된 전기적인 신호를 컨트롤 유니트(30)에 송출하게 되며, 컨트롤 유니트(30)에서는 기 설정된 내부의 연산작용을 거쳐 상기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엑츄에이터(40)의 스텝핑 모터(41)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스텝핑 모터(41)는 컨트롤 유니트(30)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일정각도 만큼 회전하여 에어 섀도우(42)가 도 2의 (가)와 같은 위치로 설정됨에 따라 공기 유입구(48)가 완전히 개방되어 유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46)을 Y에서 X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47)와 연결된 자동차문(50)을 힌지(52)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만큼 회동시켜 정상일 때와 같이 자동차문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에어 섀도우(42)가 완전한 개방상태로 되었는지의 확인은 열림위치 센서에 의해 확인되어 진다.
한편, 자동차가 경사로에 주차된 상태에서 자동차문을 개방시킬 경우, 도 1의 각도센서(10)의 위치감지 추(12)는 증가된 경사량만큼 일정각도 이동하여 도면의 G지점에서 H지점으로 움직이면서 그 저항 변화에 따른 신호값을 컨트롤 유니트(30)에 송출하고, 컨트롤 유니트(30)에서는 내부의 연산작용을 거쳐 상기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엑츄에이터(40)의 스텝핑 모터(41)로 보내어 에어섀도우(42)에 의해 공기 유입구(48)의 개도를 조절하고 엑츄에이터(4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함으로써 공기압에 따른 피스톤(46)의 수평 이동량을 조절하여 자동차문(50)이 항상 일정하게 열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2에 나타낸 (나) 내지 (마)까지의 과정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자동차가 주차된 경사로의 기울기량에 따라 에어 섀도우(42)의 위치가 가변되어 엑츄에이터(40) 내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자동차문(50)이 항상 일정하게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경사로에서 운전자가 자동차문을 닫을 때에는 피스톤(46)이 X에서 Y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른 엑츄에이터(40)의 내부압력의 증가로 인해 체크밸브(45)가 개방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게 됨으로써 정상상태의 경우와 같이 자동차문(50)이 잘 닫히게 된다.
한편, 자동차의 주행시에는 차속센서(2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컨트롤 유니트(30)에서 입력받아 내부 연산작용에 의해 그 입력값에 따른 일정 신호값을 스텝핑 모터(41)로 출력하여 스텝핑 모터(41)가 일정각도 회전되어 에어 섀도우(42)가 도 2의 (바)와 같은 위치에 놓이게 됨으로써 공기 유입구(48)를 완전히 차단하게 되어 엑츄에이터(4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따라서 피스톤(46)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아 자동차문(50)은 닫힘상태로 계속하여 유지된다. 이때 에어 섀도우(42)가 완전한 닫힘상태로 되었는지의 확인은 닫힘위치 센서에 의해 확인되어 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로에서 자동차 주차시 자동차문이 개폐되는 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함으로써 평지 및 경사로에서의 개폐속도의 차이로 인한 위험요인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주행 중에는 실수에 의한 자동차문의 개방을 완전히 차단하여 차량손상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자동차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각도센서(10)와;
    주행중의 자동차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20)와;
    상기 각도센서(10) 및 차속센서(20)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내부 연산작용에 의해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콘트롤 유니트(30)와;
    상기 콘트롤 유니트(30)로부터 입력된 신호값에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압력변화에 따른 피스톤(46)의 직선이동에 의해 피스톤 로드(47)와 연결된 자동차문(50)의 개폐를 제어하는 하는 엑츄에이터(40)로서, 상기 컨트롤 유니트(3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일정각도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수행하는 스텝핑 모터(41)와, 스텝핑 모터(41)의 축단부에 결합된 에어 섀도우(42)와, 에어 섀도우(42)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 상호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발광소자(43) 및 수광소자(44)의 상호 작용에 의해 빛의 통과 또는 차단상태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닫힘위치 센서(미도시) 및 열림위치 센서(미도시)와, 엑츄에이터(40)의 내부 압력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며 자동차문을 닫을 때 엑츄에이터(40)의 내부공기를 제어하는 체크밸브(45)와, 엑츄에이터(4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직선운동하며 자동차문(50)의 일측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47)를 이동시키는 피스톤(4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 자동제어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핑 모터(41)는 컨트롤 유니트(30)로부터 1개의 펄스신호가 발생될 때 마다 0.8도씩 회전하게 되며, (+)의 펄스 신호시 정회전, (-)의 펄스 신호시 역회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 자동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스텝핑 모터(41) 축에 결합된 에어 섀도우(42)에는 발광소자(43)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통과 또는 차단하기 위한 홀(4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 자동제어 장치.
KR10-2001-0056009A 2001-09-11 2001-09-11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 자동 제어장치. KR100440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009A KR100440010B1 (ko) 2001-09-11 2001-09-11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 자동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009A KR100440010B1 (ko) 2001-09-11 2001-09-11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 자동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626A KR20030022626A (ko) 2003-03-17
KR100440010B1 true KR100440010B1 (ko) 2004-07-14

Family

ID=2772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009A KR100440010B1 (ko) 2001-09-11 2001-09-11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 자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0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968B1 (ko) 2006-12-07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능동형 도어힌지 구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841B1 (ko) 2019-05-01 2021-01-15 송진건 문콕 예방 가능한 자동차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6717A (en) * 1981-01-30 1982-08-06 Mazda Motor Corp Door opening and closing assisting unit
JPH06336879A (ja) * 1993-05-31 1994-12-06 Hino Shatai Kogyo Kk 車両用自動ドア装置の制御装置
KR19990052088A (ko) * 1997-12-20 1999-07-05 정몽규 스윙 도어의 안전 제어 장치
KR20010008713A (ko) * 1999-07-02 2001-02-05 김영환 차량의 도어 안전 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47789A (ko) * 2000-12-14 2002-06-22 이계안 버스의 스윙아웃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6717A (en) * 1981-01-30 1982-08-06 Mazda Motor Corp Door opening and closing assisting unit
JPH06336879A (ja) * 1993-05-31 1994-12-06 Hino Shatai Kogyo Kk 車両用自動ドア装置の制御装置
KR19990052088A (ko) * 1997-12-20 1999-07-05 정몽규 스윙 도어의 안전 제어 장치
KR20010008713A (ko) * 1999-07-02 2001-02-05 김영환 차량의 도어 안전 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47789A (ko) * 2000-12-14 2002-06-22 이계안 버스의 스윙아웃도어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968B1 (ko) 2006-12-07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능동형 도어힌지 구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626A (ko) 200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3216B2 (en) Window opening and closing controller
US20040090083A1 (en) Method for the automatic operation of a vehicle door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US7320497B2 (en) Power lift gate for automotive vehicle
US5932931A (en) Vehicle window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external force
KR100990809B1 (ko) 파워 테일 게이트의 정속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703062A3 (en) Power window device
EP1219766B1 (en) Closure apparatus and method for closing a lid of a compartment, in particular the trunk lid of a vehicle
JP2002525234A (ja) 自動車の電気的に作動される集合体の動きを電気的に制御及び調節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702995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reference angle for controlling a vehicle rotational closure system
JP4372233B2 (ja) スライド・チルト式のサンルーフ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440010B1 (ko) 경사로에서의 자동차문 자동 제어장치.
US6304048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orque in an automotive power window system
JP2009057038A (ja) 車両用セキュリティ装置及び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JP3854097B2 (ja) 車両用開閉体の制御装置
JP3987233B2 (ja) 開閉体開閉装置
KR100242088B1 (ko) 차량 도어의 개폐각 제어장치
KR19980083215A (ko) 후방 충돌 자동 방지 방법 및 장치
US6452351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 object caught in the path of an automotive window using a piezoelectric torque sensing device
KR19980068830A (ko) 자동차용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KR100682521B1 (ko) 고무차륜 경량전철에 적용된 플러그 타입 도어의 개폐장치 및 방법
JP3799922B2 (ja) 車両用オートスライドドア制御装置
JP3480093B2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KR100328166B1 (ko) 자동 조절되는 자동차용 선바이져
CN116480242A (zh) 一种汽车电动车门用减速执行器及其控制方法、汽车
KR20000006322U (ko) 자동차용 속도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