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734A -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734A
KR20070078734A KR1020070008550A KR20070008550A KR20070078734A KR 20070078734 A KR20070078734 A KR 20070078734A KR 1020070008550 A KR1020070008550 A KR 1020070008550A KR 20070008550 A KR20070008550 A KR 20070008550A KR 20070078734 A KR20070078734 A KR 20070078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amine
polarizing plate
polyvinyl alcohol
crosslink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361B1 (ko
Inventor
김승애
나균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070078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3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28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91Complexes with metal-heteroatom-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편광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

Description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ADHESIVE FOR POLARIZER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접착성이 유지되면서 얼룩이 없는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전계발광소자 등 각종 화상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자와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투명보호필름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편광자와 투명보호필름의 접착에 이용되는 편광판용 접착제로는 수계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에 가교제를 혼합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화상표시장치는 박형, 경량화, 균일성, 내열성, 내습성, 내수성 등 고정밀, 고기능화의 고품위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화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접착제 역시도 내습성, 내수성뿐 아니라, 가습 환경하에서도 박리가 방지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특개평 제7-198945호에서는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편광판용 접착제를 제안하였 다.
그러나, 제안된 편광판용 접착제는 알칼리성의 pH 조건에서는 얼룩이 발생하고, 접착제의 저장안정성(pot life)이 짧으며, 내습성, 내수성이 충분하지 않을 뿐 아니라, 산성의 pH 조건에서는 내열 평가 시 편광판의 색상이 변하는 황변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성이 유지되면서 얼룩이 없는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상태는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상태는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를 혼합하여 접착제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상태는 적어도 일면에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편광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상태는 편광자, 투명보호필름, 및 상기 편광자와 상기 투명보호필름 사이에 위치하며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상태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상태로서, 편광판용 접착제는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를 포함한다.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는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 및 상기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편광자와 투명보호필름을 충분히 접착할 수 있고, 광학적 투시도가 우수하며, 경시적인 황변 등의 변화가 없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특히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와의 원활한 가교반응을 고려하면 아세트아세틸기가 함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 및 검화도는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기만 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중합도가 200 ~ 4,000이며, 검화도가 70몰% ~ 99.9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 움직임의 자유로움에 따른 함유 물질과의 유연한 혼합을 고려하면 중합도는 1,500 ~ 2,500이며, 검화도는 90몰% ~ 99.9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0.1 ~ 30몰%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범위에서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와의 반응이 원활할 수 있으며, 목적하는 접착제의 내수성에 충분히 유의적일 수 있다.
상기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의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가지는 수용성 가교제로서 아민계 리간드를 함유하는 금속 착물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능한 금속으로는 지르콘늄(Zr), 타이타늄(Ti), 하프늄(Hf), 텅스텐(W), 철(Fe), 코발트(Co), 니켈(Ni), 루테늄(Ru), 오스뮴(Os), 로듐(Rh), 이리듐(Ir), 팔라듐(Pd), 백금(Pt) 등의 전이 금속이 가능하며, 중심 금속에 결합된 리간드로는 일차아민, 이차아민 (다이아민), 삼차아민 이나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등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민기를 포함한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그 사용량은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범위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목적하는 접착제에 충분히 유의적인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접착제의 저장 안정성(pot life)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는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상기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이며, 상기 수용액의 pH는 9이하일 수 있다. 상기 수용액의 pH를 9이하로 조절하는 경우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편광판용 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접착제가 각종 디스플레이장치에 이용되는 편광판에 사용되는 경우 소자 간의 접착성 및 내수성이 양호해지고, 고습 환경에서도 박리가 발생되지 않으며, 얼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상기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를 함유하는 접착제 수용액은 pH 조절제를 사용하여 그 pH를 9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pH를 2초과 9이하의 범위로 조절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pH를 4 내지 8.5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pH를 2초과 9이하의 범위로 조절하게 되면, 보다 우수한 얼룩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우수한 내수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수용액의 pH를 2이하로 제조하여 편광판을 만들 경우에도, 얼룩이 없고 접착력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 편광판을 고온에 오래 방치하는 경우 편광판이 그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도록 편광판이 붉게 변하는 황변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pH 조절은 수용액 중에 산을 함유시키는 것에 따라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H 조절제는 강산 및 약산 모두 사용 가능하다. 예로서, 질산, 염산, 황산, 및 아세트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을 들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수용액의 pH가 9이하라면, 상기 접착제 수용액에는 각종 커플링제, 각종 점착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및 각종 안정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접착제는 고품위의 편광자,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장치 등의 접착제층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접착제는 편광자와 투명보호필름을 접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보호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타 이렌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및 사이클로올레핀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형성된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상태로서, 편광판용 접착제의 제조방법은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를 혼합하여 접착제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 상태에는 전술한 실시 상태의 내용이 모두 적용된다.
상기 접착제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 및 상기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 1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접착제의 제조방법은 pH 조절제를 이용하여 상기 접착제 수용액의 pH를 9이하 범위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질산, 염산, 황산, 및 아세트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상태로서, 편광자는 적어도 일면에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박리 가능한 이형필름이 형성된 편광자에 있어서, 그 적어도 일면에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상태로서, 편광판은 편광자, 투명보호필름, 및 상기 편광자와 상기 투명보호필름 사이에 위치하며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와 투명 보호필름을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합지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로는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재료를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투명보호필름은 투명 고분자 또는 필름으로서 투명성이나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단성 등이 우수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투명보호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타이렌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및 사이클로올레핀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형성된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상태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CD), 전계발광표시장치(EL), 플라즈마표시장치(PDP)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만으로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 실시예 1>
(a) 편광필름(편광자)의 제조
두께 75㎛의 폴리비닐알코올필름을 가이드롤을 이용하여 움직이면서, 요오드와 요오드화칼륨의 염색액에 침지하여 염색한 후 약 3~5배 연신 처리하였다. 이어서, 상기 필름을 붕산과 요오드화칼륨의 조 안으로 투입하여 가교 처리를 하고, 80 ℃에서 5~8분간 건조하여 편광필름을 얻었다.
(b) 접착제의 제조
순수에 아세트아세틸기(5%)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평균중합도 2000, 감화도 94%)를 녹여 3.8%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순수에 지르콘늄 아민 화합물 (제품명-AC-7, 회사명-daichi Kigenso kagaku Kogyo)를 녹여 3.8%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지르코늄 아민 화합물 수용액을 상기에서 제조한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 100 중량부당 20 중량부의 비로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이 혼합 용액에 1M의 염산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8.5로 조절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c) 편광판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필름의 양면에 보호필름으로서 두께 80 ㎛의 비누화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즈(TAC) 필름을 접착시키고 라미네이트한 후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실시예 1의 접착제 조성물 중 1M의 염산을 이용하여 혼합 용액의 pH를 4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실시예 1의 접착제 조성물 중 가교제를 타이타늄 아민 콤플렉스 (제품명-TYZOR TE, 회사명-Dupont)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실시예 1의 접착제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하였고, 편광판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폴리알코올계 편광필름의 일면은 두께 80㎛의 비누화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 필름을 접착시키고, 다른 일면은 코로나처리된 50㎛의 사이클로올레핀필름(Zeon社의 zeonor필름)을 접착시켜 라미네이트 한 후 건조시켰다. 내수성 평가를 위한 아크릴레이트계열의 점착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필름면에 도포하였다.
< 비교예 1>
접착제 조성물 중 염산을 이용하여 pH를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접착제 조성물 중 염산을 이용하여 pH를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비교예 1의 접착제 조성물 중 가교제를 에틸렌다이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접착제 조성물을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1에서 제시된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얼룩, 저장 안정성( pot life ) 및 내수성 평가
<얼룩 평가>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120×120 ㎟ 크기로 잘랐다. 두 편광판을 겹치는데 이 때, 편광필름의 연신 방향이 서로 직교가 되도록 겹쳤다. 이후 LCD 패널에 들어가는 백라이트 위에 직교가 된 편광판을 올려놓은 후 얼룩 발생 여부를 평가하였다.
<저장 안정성 - Pot life 의 평가>
접착제를 조제 후 10분간 교반하고, 접착제 50mL를 100mL 바이얼에 넣고 겔화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겔화의 확인은 접착제가 실처럼 길게 늘어질 것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을 육안에 의해 확인하였다. Pot life는 길면 길수록 바람직하고 공정 적용에 용이하기 위해서는 최소 24hr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day 이상이 필요하다.
<내수성 평가>
얼룩 평가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 한 후 아크릴레이트계열의 점착제를 편광판의 트리아세틸셀룰로즈(TAC) 필름 한 면에 도포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편광판을 50×80 ㎟ 크기로 잘랐다. 이 때, 편광 필름의 연신 방향을 장축으로 하고, 그에 직교하는 방향을 단축으로 하였다. 상기 도포된 점착제에 의하여 상기 편광판을 유리에 적층한 후 내수성 내수성은 60 ℃ 온도 및 100%의 상대습도(항온조 이용)에서 8시간 방치하였을 때의 박리 정도를 측정했다. 박리 정도는 편광판의 단부로부터 벗겨진 양을 측정하고, 이를 샘플의 크기에 대한 비율로 확인하였다. 박리 정도는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위 결과를 하기 표 1에 요약하였다.
구분 접착제 조성 얼룩 저장안정성 (pot life) 내수성 평가 <박리정도%>
실시예 1 PVA 100중량부/AC-7 20중량부 1M 염산 첨가(pH 8.5) 얼룩 없음 7day이상 1
실시예 2 PVA 100중량부/AC-7 20중량부 1M 염산 첨가(pH 4) 얼룩 없음 7day이상 1
실시예 3 PVA 100중량부/TE 20중량부 1M 염산 첨가(pH 8.5) 얼룩 없음 7day이상 2
실시예 4 PVA 100중량부/AC-7 20중량부 1M 염산 첨가(pH 8.5) 얼룩 없음 7day이상 1
비교예 1 PVA 100중량부/AC-7 20중량부 얼룩 발생 7day이상 1
비교예 2 PVA 100중량부/TE 20중량부 얼룩 발생 7day이상 2
비교예 3 PVA 100중량부/EDA 20중량부 얼룩 심함 1HR 3
비교예 4 PVA만 사용 얼룩 없음 7day이상 100
비교예 1의 경우는 저장안정성(pot life)은 길지만 3일 경과 시 접착제가 뿌옇게 변화되는 문제가 있었고, 비교예 2의 경우도 저장안정성(pot life)은 길지만 1일 경과시 접착제가 노랗게 변하는 황변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4의 편광판에서는 얼룩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내수성 평가에서 8시간 방치 시 박리 정도가 2% 이내로 내수성이 아주 우수하였다.
반면, 비교예 1 ~ 3의 경우는 편광판에서는 편광필름의 연신 방향으로 얼룩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내수성 평가에서는 박리 정도가 3% 이내로 양호한 수준을 보여주었다.
비교예 4의 경우는 저장안정성(pot life)도 길고 얼룩도 발생하지 않았으나, 내수성 평가에서 박리 정도가 100%가 되면서 완전 박리가 발생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접착제는 저장안정성이 우수하고, 액정표시장치, 전계발광표시장치, 플라즈마표시장치 등의 각종 화상표시장치에 이용되는 편광판에 적용되는 경우 소자 간의 접착성 및 내수성이 양호하고, 고습 환경에서도 박리가 발생되지 않으며, 내열에서의 황변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고, 얼룩이 발생되지 않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는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 및 상기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는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상기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이며,
    상기 수용액의 pH는 9이하인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의 pH는 질산, 염산, 황산, 및 아세트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으로 조절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는,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0.1 내지 30몰%로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는 아민계 리간드를 포함하는 금속 착물인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금속 착물은 지르콘늄(Zr), 타이타늄(Ti), 하프늄(Hf), 텅스텐(W), 철(Fe), 코발트(Co), 니켈(Ni), 루테늄(Ru), 오스뮴(Os), 로듐(Rh), 이리듐(Ir), 팔라듐(Pd), 및 백금(Pt)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전이금속에 일차아민, 이차아민, 삼차아민 및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민기를 리간드로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에 따른 편광판용 접착제는 편광자와 투명보호필름을 접합시키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투명보호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타이렌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및 사이클로올레핀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형성된 필름인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10.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를 혼합하여 접착제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의 제 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 및 상기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 1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시켜 제조하는 것인 편관판용 접착제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pH 조절제를 이용하여 상기 접착제 수용액의 pH를 9이하 범위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는 질산, 염산, 황산, 및 아세트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인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상기 아세트아세틸기를 0.1 내지 30몰%로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금속화합물 가교제는 아민계 리간드를 포함하는 금속 착물인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금속 착물은 지르콘늄(Zr), 타이타늄(Ti), 하프늄(Hf), 텅스텐(W), 철(Fe), 코발트(Co), 니켈(Ni), 루테늄(Ru), 오스뮴(Os), 로듐(Rh), 이리듐(Ir), 팔라듐(Pd), 및 백금(Pt)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전이금속에 일차아민, 이차아민, 삼차아민 및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민기를 리간드로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의 제조방법.
  17. 적어도 일면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에 따른 편광판용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편광자.
  18. 편광자, 투명보호필름, 및 상기 편광자와 상기 투명보호필름 사이에 위치하며 청구항 1에 따른 편광판용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19. 청구항 18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70008550A 2006-01-27 2007-01-26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64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111 2006-01-27
KR20060009111 2006-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734A true KR20070078734A (ko) 2007-08-01
KR100864361B1 KR100864361B1 (ko) 2008-10-17

Family

ID=38309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550A KR100864361B1 (ko) 2006-01-27 2007-01-26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34987B2 (ko)
EP (1) EP1853677B1 (ko)
JP (1) JP5042986B2 (ko)
KR (1) KR100864361B1 (ko)
CN (1) CN101309990B (ko)
TW (1) TWI361825B (ko)
WO (1) WO200708670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7636A1 (ko) * 2012-11-16 2014-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박형 편광자 및 편광판
KR101498823B1 (ko) * 2012-11-16 2015-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박형 편광자 및 편광판
WO2015178741A1 (ko) * 2014-05-22 2015-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그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WO2016195440A1 (ko) * 2015-06-03 2016-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US10048417B2 (en) 2013-06-18 2018-08-14 Lg Chem, Ltd. Thi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9563B2 (ja) * 2007-08-07 2012-01-1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34448A (ja) * 2008-10-31 2010-06-17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406053B (zh) * 2008-12-25 2013-08-21 Nitto Denko Corp A laye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and a laminated system of polarizing plate
KR101052251B1 (ko) * 2009-06-25 2011-07-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실리콘 태양전지용 접착시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실리콘 태양전지용 접착시트 및 태양전지
US20150000823A1 (en) 2009-09-18 2015-01-01 Tovis Co., Ltd. Curved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KR101179436B1 (ko) * 2009-09-18 2012-09-04 주식회사 토비스 곡면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US9315693B2 (en) 2012-08-01 2016-04-19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Glyoxal adhesive system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KR101498822B1 (ko) 2012-11-16 2015-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박형 편광자 및 편광판
MX2015013411A (es) 2013-03-20 2016-01-08 Essilor Int Adhesivo basado en poliuretano para estructura polarizante y lente polarizada.
ES2689126T3 (es) 2014-01-31 2018-11-08 Essilor International Estructura de polarización que comprende un sistema adhesivo de glioxal y lente polarizada que la comprende
JP7394112B2 (ja) 2019-03-14 2023-12-07 株式会社クラレ 接着剤及び偏光板
KR20220118743A (ko) 2021-02-19 2022-08-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3069B2 (ja) * 1980-09-26 1984-10-19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木材用接着剤
JPH03221575A (ja) 1990-01-26 1991-09-30 Dainippon Toryo Co Ltd 軽量建材用塗料組成物
JP3323255B2 (ja) * 1992-12-07 2002-09-09 株式会社クラレ 偏光膜およびその製造法
JPH07198945A (ja) 1993-12-27 1995-08-01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偏光板
JP3532308B2 (ja) * 1995-06-21 2004-05-31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紙加工剤
US5698363A (en) * 1995-07-10 1997-12-16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method
US6069203A (en) * 1997-09-29 2000-05-30 Shell Oil Company High solids coating compositions
JPH11116925A (ja) 1997-10-17 1999-04-27 Hoechst Gosei Kk 室温架橋性樹脂エマルジョン組成物と該組成物を主材とする木工用接着剤
US6346570B1 (en) * 1999-08-30 2002-02-12 Kuraray Co., Ltd. Water resistant composition, coating agent, and recording material
JP2001121815A (ja) 1999-10-29 2001-05-08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242626B2 (ja) 2002-10-28 2009-03-25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偏光板
TW200428043A (en) * 2003-04-16 2004-12-16 Sumitomo Chemical Co Polariz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4334168A (ja) * 2003-04-16 2004-11-25 Sumitomo Chem Co Ltd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10760A (ja) * 2003-05-26 2005-01-13 Nitto Denko Corp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5173440A (ja) 2003-12-15 2005-06-30 Nippon Kayaku Co Ltd 偏光素子用接着剤並びに偏光板
JP4301558B2 (ja) * 2003-12-26 2009-07-2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DE112004002698T5 (de) 2004-02-03 2008-09-04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Tintenstrahlaufzeichnungsmaterial
WO2005085383A1 (ja) * 2004-03-03 2005-09-15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偏光素子用水性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偏光板
US7799393B2 (en) * 2004-10-20 2010-09-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jet media coatings including expoxy-functionalized inorganic particulates and amine-functionalized inorganic particulate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7636A1 (ko) * 2012-11-16 2014-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박형 편광자 및 편광판
KR101498823B1 (ko) * 2012-11-16 2015-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박형 편광자 및 편광판
US9612376B2 (en) 2012-11-16 2017-04-04 Lg Chem, Ltd. Preparing method for thin polarizer, thin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US10048417B2 (en) 2013-06-18 2018-08-14 Lg Chem, Ltd. Thi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5178741A1 (ko) * 2014-05-22 2015-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그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US10451916B2 (en) 2014-05-22 2019-10-22 Lg Chem, Lt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rotective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WO2016195440A1 (ko) * 2015-06-03 2016-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US10479870B2 (en) 2015-06-03 2019-11-19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and polarizer manufactured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42986B2 (ja) 2012-10-03
EP1853677A1 (en) 2007-11-14
TWI361825B (en) 2012-04-11
TW200738837A (en) 2007-10-16
WO2007086709A1 (en) 2007-08-02
KR100864361B1 (ko) 2008-10-17
CN101309990A (zh) 2008-11-19
EP1853677B1 (en) 2012-10-10
JP2008536160A (ja) 2008-09-04
WO2007086709A9 (en) 2010-01-28
US20080278810A1 (en) 2008-11-13
EP1853677A4 (en) 2010-11-10
US9034987B2 (en) 2015-05-19
CN101309990B (zh)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361B1 (ko)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94445B1 (ko)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708972B1 (ko) 대전 방지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TWI701139B (zh) 附有塗敷層之偏光膜、附有黏著劑層之偏光膜、及圖像顯示裝置
JP4762320B2 (ja) 液晶表示装置
US7709578B2 (en) Adhesive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US9366900B2 (en) Adhesive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0995509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TWI715556B (zh) 附黏著劑層之偏光薄膜、其製造方法以及影像顯示裝置及其連續製造方法
KR20180013768A (ko) 광학 적층체
TW201307512A (zh) 附黏著劑層之偏光薄膜及影像顯示裝置
TW201235436A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optical film with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optical laminate
TW200817734A (en)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6043315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790079B1 (ja)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555782B1 (ko) 박형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90049382A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KR102030636B1 (ko) 편광판용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JP5143204B2 (ja)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627928B1 (ko)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
KR101624796B1 (ko) 편광판용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WO2011108647A1 (ja)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624797B1 (ko) 편광판용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CN117597613A (zh) 偏振板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