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9759A -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9759A
KR20070069759A KR1020050132216A KR20050132216A KR20070069759A KR 20070069759 A KR20070069759 A KR 20070069759A KR 1020050132216 A KR1020050132216 A KR 1020050132216A KR 20050132216 A KR20050132216 A KR 20050132216A KR 20070069759 A KR20070069759 A KR 20070069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nmos
layer
pmos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2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50132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9759A/ko
Publication of KR20070069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035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 H01L21/28044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the conductor comprising at least another non-silicon conductiv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9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2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conductors, e.g. particular materials, 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NMOS 및 PMOS 형성 영역이 정의된 반도체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와, 기판 상에 게이트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NMOS 형성 영역의 게이트절연막 상에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제1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PMOS 형성 영역의 게이트절연막 상에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제2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폴리실리콘막 상에 텅스텐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텅스텐실리사이드막 상의 NMOS 및 PMOS 형성 영역의 각각에 게이트 예정 영역을 가리는 하드마스크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NMOS 형성 영역의 하드마스크막을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PMOS 형성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PMOS 형성 영역의 텅스텐실리사이드막, 제2폴리실리콘막 및 게이트절연막을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제1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PMOS 형성 영역의 하드마스크막을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NMOS 형성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2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NMOS 형성 영역의 텅스텐실리사이드막, 제1폴리실리콘막 및 게이트절연막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Method for forming dual gate of semiconductor devic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반도체기판 20: 게이트절연막
30a: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제1폴리실리콘막
30b: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제2폴리실리콘막
40: 텅스텐실리사이드막 50: 질화막 재질의 하드마스크막
60a: 제1마스크 패턴 60b: 제2마스크 패턴
100: PMOS 게이트 200: NMOS 게이트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dual gate)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반도체 집적도 증가에 따른 모스펫(MOSFET)의 마진(margin) 개선을 확 보하기 위해서, 단일 폴리 게이트(single poly gate)에서 듀얼 폴리 게이트(dual poly gate)를 적용하고 있다.
자세하게, 상기 듀얼 폴리 게이트 제조 공정은 N+ 폴리실리콘막을 NMOS의 게이트 물질로 사용하고, P+ 폴리실리콘막을 PMOS의 게이트 물질로 사용하는 것으로, 통상은 게이트 물질로서 비도핑된 비정질실리콘(undoped a-Si)막 또는 도핑된 폴리실리콘(doping poly-Si)막을 증착한 후, NMOS 게이트 영역 및 PMOS 게이트 영역 각각에 선택적으로 N+ 이온주입 및 P+ 이온주입을 수행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에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듀얼 게이트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게이트 전극 물질로 N형 폴리실리콘막과 P형 폴리실리콘막을 증착 후, 후속으로 텅스텐막실리사이드막과 하드마스크막을 증착한 다음, 이들을 식각하여 듀얼 게이트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 N형 폴리실리콘막과 P형 폴리실리콘막의 식각특성이 달라 게이트 식각 공정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여기서, 게이트 식각공정에 사용하는 가스로는 Cl2와 HBr 계열의 가스를 사용하는데, 이 가스들로 부터 발생하는 레디칼(radical)들은 Cl, HBr 구성이 Cl-, Br- 등의 안정된 상태로 바뀌기 용이한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로 N형 폴리실리콘막은 식각율이 빠르고, 텅스텐실리사이드막과 N형 폴리실리콘막간의 언터 컷(under cut)이 심각하여 소자간에 단락(short)이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즉, 게이트 식각 공정시 NMOS 게이트와 PMOS 게이트를 동시에 만족 시킬 수 없어 NMOS 게이트와 PMOS 게이트간의 프로파일(profile)이 상이하게 나오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 폴리 게이트의 식각 공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듀얼 폴리 게이트 형성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NMOS 및 PMOS 형성 영역이 정의된 반도체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게이트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MOS 형성 영역의 게이트절연막 상에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제1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PMOS 형성 영역의 게이트절연막 상에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제2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폴리실리콘막 상에 텅스텐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텅스텐실리사이드막 상의 NMOS 및 PMOS 형성 영역의 각각에 게이트 예정 영역을 가리는 하드마스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MOS 형성 영역의 하드마스크막을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PMOS 형성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PMOS 형성 영역의 텅스텐실리사이드막, 제2폴리실리콘막 및 게이트절연막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제1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PMOS 형성 영역의 하드마스크막을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NMOS 형성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2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NMOS 형성 영역의 텅스텐실리사이드막, 제1폴리실리콘막 및 게이트절연막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감광막, 비정질 카본막 및 카본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NMOS 및 PMOS 형성 영역이 정의된 반도체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게이트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MOS 형성 영역의 게이트절연막 상에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제1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PMOS 형성 영역의 게이트절연막 상에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제2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폴리실리콘막 상에 텅스텐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텅스텐실리사이드막 상의 NMOS 및 PMOS 형성 영역의 각각에 게이트 예정 영역을 가리는 하드마스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MOS 및 PMOS 형성 영역의 각각의 하드마스크막을 이용해서 텅스텐실리사이드막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NMOS 형성 영역의 하드마스크막을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PMOS 형성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PMOS 형성 영역의 제2폴리실리콘막과 게이트절연막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제1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PMOS 형성 영역의 하드마스크막을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NMOS 형성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2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NMOS 형성 영역의 제1폴리실리콘막과 게이트절연막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감광막, 비정질 카본막 및 카본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수행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NMOS 및 PMOS 형성 영역이 정의된 반도체 기판(10)을 마련한 후, 상기 기판(10) 상에 게이트절연막(20)을 형성한다. 그런다음, 상기 게이트절연막(20) 상에 상기 NMOS 형성 영역의 게이트절연막(20) 부분 상에 N형 불순물이 도핑된(doping) 제1폴리실리콘막(30a)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PMOS 형성 영역의 게이트절연막(20) 부분 상에 P형 불순물이 도핑된(doping) 제2폴리실리콘막(30b)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폴리실리콘막(30a, 30b) 상에 텅스텐실리사이드막(40)을 증착한 후, 상기 텅스텐실리사이드막(40) 상의 NMOS 및 PMOS 형성 영역의 각각에 게이트 예정 영역을 가리는 질화막 재질의 하드마스크막(50)을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NMOS 형성 영역의 하드마스크막(50)을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PMOS 형성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마스크 패턴(60a)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마스크 패턴(60a)은 감광막(photo resist) 또는 비정질 카본막(amorphous carbon layer) 또는 카본막(carbon)으로 형성한다.
그런다음, 상기 노출된 PMOS 형성 영역의 텅스텐실리사이드막(40), 제2폴리 실리콘막(30b) 및 게이트절연막(20)을 식각하여 PMOS 게이트(100)를 형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NMOS 형성 영역과 PMOS 형성 영역의 각각에 감광막 패턴을 이용하여 식각공정을 수행한다.
즉, 듀얼 폴리 게이트(dual poly gate) 형성시, 상기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제1폴리실리콘막(30a)과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제2폴리실리콘막(30b)의 식각(etch) 특성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각각 만족할 만할 식각 프로파일(etch profile)을 얻기 위하여 NMOS 형성 영역 및 PMOS 형성 영역에 각각에 감광막 패턴을 이용해서 식각공정을 수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마스크 패턴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PMOS 형성 영역의 하드마스크막(50)을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NMOS 형성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2마스크 패턴(60b)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마스크 패턴(60b)은 상기 제1마스크 패턴(60a)과 동일한 물질로 사용한다. 그런다음, 상기 노출된 NMOS 형성 영역의 텅스텐실리사이드막(40), 제1폴리실리콘막(30a) 및 게이트절연막(20)을 식각하여 NMOS 게이트(200)를 형성한다.
이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마스크 패턴을 제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드마스크막(50)을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PMOS 형성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마스크 패턴(60a)을 형성한 후, 상기 노출된 PMOS 형성 영역의 텅스텐실리사이드막(50), 제2폴리실리콘막(30b) 및 게이트절연막(20)을 식각한다. 그런다음, 하드마스크막(50)을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NMOS 형성 영 역을 노출시키는 제2마스크 패턴(60b)을 형성한 후, 상기 노출된 NMOS 형성 영역의 텅스텐실리사이드막(50), 제1폴리실리콘막(30a) 및 게이트절연막(20)을 식각하여, 결과적으로, NMOS 형성 영역 및 PMOS 형성 영역 각각에 최적화 된 식각 레시피(recipe)를 적용할 수 있다.
다시말해, NMOS 형성 영역 및 PMOS 형성 영역의 각각에 감광막 패턴을 이용해서 따로 따로 식각공정을 진행함에 따라 NMOS 형성 영역 및 PMOS 형성 영역 각각에 최적화 된 식각 레시피(recipe)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드마스크막(50)을 형성한 후, NMOS 형성 영역 및 PMOS 형성 영역 각각에 감광막 패턴(60a, 60b)을 이용해서 따로 따로 식각공정을 진행하여 텅스텐실리사이드막(50)과 폴리실리콘막(30a, 30b) 및 게이트절연막(20)을 식각하여 듀얼 폴리 게이트(100, 200)를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NMOS 형성 영역 및 PMOS 형성 영역 각각의 하드마스크막(50)을 식각마스크로 이용해서 텅스텐실리사이드막(40)을 식각한 후, NMOS 형성 영역 및 PMOS 형성 영역 각각에 감광막 패턴(60a, 60b)을 이용해서 따로 따로 식각공정을 진행하여 폴리실리콘막(30a, 30b)과 게이트절연막(20)을 식각하여 듀얼 폴리 게이트(100, 20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정신과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사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듀얼 폴리 게이트 형성시 감광막 패턴을 이용해서 NMOS 및 PMOS에 따로 따로 식각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식각율이 상이한 NMOS 및 PMOS 각각에 최적화된 게이트 식각 레시피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화 된 게이트 식각 프로파일을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소자의 집적도가 증가됨에 따라 기존 공정 대비 향상된 공정 수율 확보가 가능하므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4)

  1. NMOS 및 PMOS 형성 영역이 정의된 반도체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게이트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MOS 형성 영역의 게이트절연막 상에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제1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PMOS 형성 영역의 게이트절연막 상에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제2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폴리실리콘막 상에 텅스텐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텅스텐실리사이드막 상의 NMOS 및 PMOS 형성 영역의 각각에 게이트 예정 영역을 가리는 하드마스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MOS 형성 영역의 하드마스크막을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PMOS 형성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PMOS 형성 영역의 텅스텐실리사이드막, 제2폴리실리콘막 및 게이트절연막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제1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PMOS 형성 영역의 하드마스크막을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NMOS 형성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2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NMOS 형성 영역의 텅스텐실리사이드막, 제1폴리실리콘막 및 게이트절연막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감광막, 비정질 카본막 및 카본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
  3. NMOS 및 PMOS 형성 영역이 정의된 반도체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게이트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MOS 형성 영역의 게이트절연막 상에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제1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PMOS 형성 영역의 게이트절연막 상에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제2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폴리실리콘막 상에 텅스텐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텅스텐실리사이드막 상의 NMOS 및 PMOS 형성 영역의 각각에 게이트 예정 영역을 가리는 하드마스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MOS 및 PMOS 형성 영역의 각각의 하드마스크막을 이용해서 텅스텐실리사이드막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NMOS 형성 영역의 하드마스크막을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PMOS 형성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PMOS 형성 영역의 제2폴리실리콘막과 게이트절연막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제1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PMOS 형성 영역의 하드마스크막을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NMOS 형성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2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NMOS 형성 영역의 제1폴리실리콘막과 게이트절연막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감광막, 비정질 카본막 및 카본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
KR1020050132216A 2005-12-28 2005-12-28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 KR20070069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216A KR20070069759A (ko) 2005-12-28 2005-12-28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216A KR20070069759A (ko) 2005-12-28 2005-12-28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759A true KR20070069759A (ko) 2007-07-03

Family

ID=3850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2216A KR20070069759A (ko) 2005-12-28 2005-12-28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97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4203A (zh) * 2019-04-22 2020-10-27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半导体器件及其形成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4203A (zh) * 2019-04-22 2020-10-27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半导体器件及其形成方法
CN111834203B (zh) * 2019-04-22 2023-01-20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半导体器件及其形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9336B2 (en) Metal hard mask method and structure for strained silicon MOS transistors
JP2008522441A (ja) 特定のディメンションのゲート・サイドウォールスペーサを用いて半導体アレンジメントを形成する方法
US11038053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020043A1 (en) Methods for reducing cell pitch in semiconductor devices
KR20040079747A (ko) Ldd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20070069759A (ko)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
US6822291B2 (en) Optimized gate implants for reducing dopant effects during gate etching
US7125775B1 (en) Method for forming hybrid device gates
KR100224786B1 (ko)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전극 형성방법
KR20070071544A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100261683B1 (ko) 듀얼 게이트 전극 제조방법
KR10104438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70001590A (ko)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방법
KR20030076174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24424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79886B1 (ko) 넌 살리사이드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10057730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2922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0167605B1 (ko) 모스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20010004934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50002034A (ko) 고집적 모스펫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00305B1 (ko) Cmos의 제조 방법
KR19990071114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6933217B2 (en) Method for forming a ROM coding in a semiconductor device
KR100861358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