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9136A - 오름차 0차 방출 패턴을 나타내는 약물의 서방성 조성물,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오름차 0차 방출 패턴을 나타내는 약물의 서방성 조성물,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9136A
KR20070069136A KR1020077004326A KR20077004326A KR20070069136A KR 20070069136 A KR20070069136 A KR 20070069136A KR 1020077004326 A KR1020077004326 A KR 1020077004326A KR 20077004326 A KR20077004326 A KR 20077004326A KR 20070069136 A KR20070069136 A KR 20070069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layer
formulation
microencapsulated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0946B1 (ko
Inventor
젬마 카사데발
람쿠마르 수브라마니안
브라이언 바클레이
클라크 알핀
파드마자 쉬바난드
노이미 브이. 얌
Original Assignee
알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알자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69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35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77Tablets comprising drug-containing microparticles in a substantial amount of supporting matrix; Multiparticulate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77Tablets comprising drug-containing microparticles in a substantial amount of supporting matrix; Multiparticulate tablets
    • A61K9/2081Tablets comprising drug-containing microparticles in a substantial amount of supporting matrix; Multiparticulate tablets with microcapsules or coated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61K9/5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86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 A61K9/209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containing drug in at least two layers or in the core and in at least on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2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6Polysaccharides, e.g. gums, alginate; Cyclodextrin
    • A61K9/5042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phthalate or acetate succinate esters 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61K9/5047Cellulose ethers containing no ester group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73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having two or more different coatings optionally including drug-containing sub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84Mixtures of one or more drugs in different galenical for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granules, microcapsules or (coated)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61K9/16 or A61K9/50, e.g. for obtaining a specific release pattern or for combining different dr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sych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약물의 지속형 방출을 위한 제형 및 방법이 개시되었으며: 중합체 매트릭스, 및 마이크로캡슐화 약물을 포함하는 지연층 (여기에서 지연층에는 실질적으로 비-마이크로캡슐화 약물이 부재한다); 및 중합체 매트릭스, 및 비-마이크로캡슐화 약물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제2층(여기에서 제2층은 지연층에 인접하여 위치한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름차 0차 방출 패턴을 나타내는 약물의 서방성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SUSTAINED DRUG RELEASE COMPOSITION DEMONSTRATING AN ASCENDING ZERO ORDER RELEASE PATTERN, METHODS OF MANUFACTURING SUCH A COMPOSITION}
본 발명은 연장된 치료기간 동안 치료 약물의 목적하는 효과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연장된 기간 동안 위장관내에서 오름차 방출 속도로 약물을 방출하는 방법 및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에 의해 약물의 투여기간 동안 연장된 치료기간 동안 목적하는 치료적 약물 효과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오름차 속도로 약물이 방출될 수 있다.
약리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약물이 체내의 작용 부위에서 적절한 농도가 되도록 유효성을 갖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이러한 유효성은 적용된 약물의 양, 적용 부위로부터의 약물의 흡수율 및 흡수정도, 약물의 분포, 조직내에서의 결합 또는 위치화(localization), 약물의 생형질전환 및 배설을 포함하는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약물 유효성에 관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자 중 하나는 약물을 투여한 환자의 혈액 또는 혈장, 또는 다른 적절한 체액 또는 조직에서 수득되는 약물의 농도이다. 편의상, 상기 농도를 "혈장 약물 농도"라 하고, 임의의 적절한 체액 또는 조직에서 측정된 약물 농도를 포함한다. 혈장 약물 농도의 측정은 예를 들면, 상이한 약물 제형 및/또는 상이한 약물 적용 루트에 따른 비교 정보와 같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많은 약물에 있어서 목적하는 약리 효과, 즉, 치료적 약물 효과, 및 목적하지 않는 약리 효과, 즉, 부작용을 포함하는 다양한 약물 효과는 특정 혈장 약물 농도 또는 혈장 약물 농도의 범위와 상호관련이 있다.
경구 투여용 약물 제형은, 위장관(GI)내에서 흡수가 일어나고 표면부, 혈류 및 (GI 트랙의 부분별로 현저하게 다양한) 막 특성, 약물 존재의 생리화학적 특성, 약물-특정 수송 메카니즘의 존재 및 활성 등과 같은 국소 미소 서식 환경(microenvironment)의 생리화학적 특성을 포함하는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경구용 제형으로 투여되는 약물의 흡수 속도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은 약물이 제형으로부터 방출되는 속도이다. 경구용 제형에서 약물 방출 속도는 전형적으로 시험관내(in vitro)에서의 용해 속도, 즉, 단위 시간 당 제형으로부터 방출되는 약물의 양으로 측정한다.
통상 경구용 제형은 일반적으로 본질적으로 약물의 전체 용량이 매우 단시간내에 제형으로부터 방출되기 때문에 "속효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출된 약물의 이러한 볼루스가 흡수되면, 혈장 약물 농도는 보통 급속하게 최대 또는 피크 농도로 상승하며, 약물이 분배, 결합, 또는 조직내에 위치화, 생형질전환 및/또는 배설되면 그 결과 감소한다. 상기 감소기간은 약물 종류에 따라 다양하고 많은 요인에 의존하며, 감소기간은 특정 약물의 특성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장 약물 농도가 증가, 피크 도달 및 감소하는 기간의 특정 부분, 즉 혈장 약물 농도가 유효한 농도에 도달하거나 초과할 때 약물은 치료적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 간 동안 특정 포인트, 즉 혈장 약물 농도가 유효 농도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치료 효과가 사라지게 된다. 또한, 피크 농도인 때 전후, 즉 혈장 약물 농도가 가장 높은 범위내에 있을 때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측면에서, 혈장 약물 농도가 유효 혈장 약물 농도 범위 내에 있을 때 그 기간 동안 약물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유용할 것이다. 혈장 약물 농도는 시간이 지나면 감소하므로, 속효성 약물 제형을 다중 용량으로 적절한 간격으로 투여해야만 혈중 약물 농도가 유효 농도 범위내에서 유지되거나 다시 상승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반면 동시에, 혈중 약물 농도의 상승 및/또는 부작용이 일어나는 더 높은 범위에서 너무 오래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많은 약물의 경우, 목적하는, 목적하지 않는 약리 효과의 밸런스가 장기 치료기간 동안 만족스럽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속효성 제형을 다중, 분할 용량으로 적절한 간격으로 투여하여야만 한다.
약물 치료를 증대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제형으로부터 약물의 방출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일차적으로 약물의 흡수에 영향을 주는 비-속효성 경구 약물 제형이 제공되었다. 상기 비-속효성 송달 시스템의 예는 지연 방출형 및 서방성 시스템을 포함한다. 서방성 제형은 일반적으로 속효성 제형과 비교할 때 연장된 기간동안 약물을 방출한다. 경구용 제형에서 서방성 약물을 제공하는 많은 접근법들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접근법으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90 ed., pp. 1682-168에 소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저장소(reservoir) 기구 및 매트릭스 기구와 같은 확산 시스템, 캡슐화된 용해 시스템(예를 들면, "티니 타 임 정제"를 포함하는) 및 매트릭스 용해 시스템과 같은 용해 시스템 , 확산/용해 혼합 시스템, 삼투압 시스템 및 이온-교환 수지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은 그 전체 내용이 소개된 것과 같다고 본다.
연장된 기간이상 실질적으로 일정한 방출 속도로 약물을 방출하는 서방성 경구용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많은 약물에서, 혈장 약물 농도가 초기에 약물 방출이 시작되었을 때 단시간내에 상승하고 그 후 일정 속도로 약물 방출이 유지되면서 연장된 기간 이상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많은 약물에서, 이러한 실질적으로 일정한 혈장 약물 농도는 장기 치료 기간이상 약물의 일정한 유효성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초기에 혈장 약물 농도가 비교적 높은 피크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작용이 거의 문제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정-방출 제형의 장점은 시간에 따른 투여가 필요한 약물 용량의 횟수가 줄어들고 약물의 목적하거나 목적하지 않는 약리 효과가 더 잘 조화된다는 점이다.
비록 일정-방출 제형이 많은 다른 약물 치료에 있어 유효하다는 것이 증명 된 바 있으나, 완벽하게 만족스럽지는 않은 임상적 상황이 있다. 일정한 약물 방출이 실질적으로 유지되면 유효성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어떤 증상 또는 질병에 대한 일정-방출 제형을 투여한 몇몇 환자에게서 지속되는 유효성을 제공하기 위해 기대되는 약물의 치료적 효과가 목적하는 치료 기간이 끝나기 전에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패턴으로 송달을 조절하는 대체 수단의 제공이 요구된다.
연장된 기간동안 실질적으로 일정 속도로 약물을 방출하는 서방성 제형인 만족스럽지 않은 조건은 방출속도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기 보다는 오름차인 방출속도로 약물이 투여되었다. 전체적으로 만족스럽지 않은 연장된 기간동안 약물 방출의 실질적인 일정한 속도를 제공하는 서방성 경구용 제형으로 약물 치료를 하는 임상례로는 주의 결여 장애(Attention Deficit Disorder, ADD) 및 주의력 결핍 과다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를 포함하는 다양한 증상 및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중추신경계 흥분 약물의 사용이 있다.
미국 특허 출원 제 20010012847호(Lam 등)에 상기 증상 및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오름차 방출 속도 프로파일을 갖는 제형이 개시되어 있다.
오름차 속도의 방출을 제공하는 추가적 제형이 기술분야에 있어 또한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형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과 함께 적절한 연장된 기간 이상 상기 방출 속도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서방성 매트릭스 경구용 제형의 필요성이 증가되었다.
발명의 요약
일면에서, 본 발명은: (i) 중합체 매트릭스, 및 (ii)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을 포함하는 지연층(여기에서 지연층은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이 실질적으로 없다); (iii) 중합체 매트릭스, 및 (iv)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제2층(여기에서, 제2층은 지연층에 인접하여 위치한다)를 포함하는 약물의 서방성 제형과 관련된 것이다.
다른 일면에서, 본 발명은 (i) 중합체 매트릭스, 및 (ii)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을 포함하는 지연층(여기에서 지연층은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이 실질적으로 없다); (vii) 중합체 매트릭스, 및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제2층(여기에서, 제2층은 지연층에 인접하여 위치한다)를 포함하는 약물의 서방성 제형을 제조하는 방법과 관련된 것이다.
발명자들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이 기술분야의 문제점을 중합체 매트릭스,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및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의 배합물을 사용하여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예기치 못하게 발견하였다. 특히, 이 기술분야의 문제점은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지연층(여기에서, 지연층은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매트릭스가 실질적으로 없다); 및 중합체 매트릭스, 및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제2층 (여기에서 제2층은 지연층에 인접하여 위치한다)을 포함하는 서방성 약물 제형을 제공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제형과 관련이 있고, 여기에서 제2층에 존재하는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의 중량에 대한 지연층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의 중량비는 약 0.01:1 내지 약 10:1의 범위이다.
특정 메커니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 따른 제형으로부터의 약물 방출은 확산 및 부식(erosion)의 배합에 의한 작용일 것이다. 실험에서, 중합체 매트릭스는 미디아 침투에 의하여 수화하고 팽창한다. 이로 인해 중합체 매트릭스(건조 코어, 겔층 및 불용해된 겔층)내에 세 개의 유동 프론트: 팽창 프론트, 부식 프론트 및 확산 프론트가 나타나며 상이한 부위가 생긴다.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을 첨가하면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보다 느리게 방출되는 약물의 저장소를 제공하며, 이는 마이크로캡슐화 물질에 의해 도입된 수화 지연 때문이다. 그 후 제형으로부터 임의의 약물의 방출은 제형의 바로 그 표면에서 일어나는 매우 적은 양의 마이크로캡슐화된 및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입자를 제외하고, 중합체 매트릭스 겔층을 통한 약물 수송 뿐만 아니라, 중합체 완화, 팽창 및 용해에 의존한다. 일례에서, 중합체 매트릭스 물질 및 마이크로캡슐화된 물질은 중합체 매트릭스로부터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의 방출속도 비율이 중합체 매트릭스로부터의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의 방출보다 약 0.1 내지 약 3,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1.0 배 느린 범위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일례에서, 제형으로부터 약물의 전체 방출속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서브-층과 같은 부가층이 본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마이크로캡슐화되거나 마이크로캡슐화되지 않은 특정 양의 약물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부가층은 제형 실험동안 다양한 시간대에서 제형으로부터 약물의 방출속도를 지연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었다. 약물 방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다양한 요소들(중합체 매트릭스 및 마이크로캡슐화 물질이 동일하게 남아있다고 가정할 때)에는 중합체 농도에 대한 약물의 비율(더 많은 중합체 및 더 적은 약물은 방출속도를 감소시킴), 및 제형 기하학(방출이 되는 표면적이 넓을수록 방출속도가 증가함)을 들 수 있다. 중합체 분자량이 감소하면 거대분자(macromolecule)의 얽힘(entanglement) 정도가 감소한다. 그러므로, 물 흡수팽윤시 중합체 사슬의 이동도는 증가한다. 이는 물 및 약물 확산률을 증가시키고, 약물 방출속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본 발명은 특정 약물, 부형제, 중합체, 염 등으로 제한되지 않고 이들은 물론 변경가능한 것임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형태만을 설명할 목적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의도는 없는 것임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수치의 범위가 제공될 경우, 명백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은 한, 그 범위의 상한치와 하한치 사이의 하한치의 1/10 단위로 각각의 사이에 있는 값 그리고 기타 달리 표현되거나 그 표현된 범위에 있어서 사이에 끼인 값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들 보다 작은 범위의 상한치와 하한치는 독립적으로 보다 작은 범위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한 표시된 범위 내에서 구체적으로 제외된 한계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표시된 범위가 한계치의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할 경우, 포함된 한계치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제외한 범위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비록 본 발명은 목적하는 치료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특정예의 약물을 포함하는 일례의 제형, 상기 제형을 제조하는 방법 및 토피라메이트(topiramate), 팔리페리돈 및 리스페리돈-함유 제형을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설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넓게는 여기에 소개된 관점에서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명백하게 되는 바와 같이 목적하는 연장된 기간동안 임의의 적절한 약물 및 약물치료에 관하여 치료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연장된 기간동안 오름차 약물방출속도를 제공하는 경구용 서방성 제형, 상기 제형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제형을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오름차 방출속도"는 연장된 기간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또한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증분 단위시간 당 분배된 약물의 양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시간의 함수로서의 약물 방출속도는(단차 방식보다는 오히려) 항정(steady) 방식으로 증가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름차 방출 속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닐 수 있다. 제형에 대한 시간의 함수로서의 방출속도는 방출약물 % 대 시간으로서 또는 방출약물의 mg/hr(시간에 대해)로 측정해서 플롯한다. 오름차 방출속도는, 약 2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2시간 내지 약 18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시간 내지 약 1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시간 내지 약 18시간의 기간에 걸쳐 이전의 2시간 간격에 비해서 높은 2시간 간격 동안의 약물의 mg/시간으로 표시된 평균속도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평균속도의 증가는 용량의 30% 미만이 임의의 2시간 간격 동안 방출되도록,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량의 25% 미만이 임의의 2시간 간격 동안 방출되도록 점진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오름차 방출속도는 제형 중의 약물의 적어도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가 방출될 때까지 유지된다. 일례에서, 지연층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의 중량에 대한 제2층에 존재하는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의 중량비는 T25까지 총 약물 중량의 약 10% 내지 약 40%가 방출, T50까지 총 약물 중량의 약 40% 내지 약 65%가 방출, T75까지 총 약물 중량의 약 65% 내지 약 85%가 방출, 및 T90까지 총 약물 중량의 약 85% 내지 90%가 방출되는 것에서 선택된다.
측정된 주기적 방출속도, 예를 들면 t=1 시간(0과 같지 않은)에서의 주기적 방출속도는 선행하는 기간, 예를 들면 제형이 투여되기 전 시간동안의 방출속도보다 항상 더 클 수 있으며, 그러므로 최초 주기적 방출속도는 항상 오름차 방출속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예에 언급된 오름차 방출속도는: 약물의 서방성을 제공하기 위해 적합한 제형으로부터의 방출속도 및 또한 서방성 구성요소를 위한 초기 속효성 구성요소인 일정량의 약물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예들에서의 방출속도를 말한다. 그러므로, 다른 일례에서, 초기 약물 피크 다음 방출속도를 측정하면, 선행 기간동안의 방출속도보다 더 클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기초를 이루는 제형 위에 코팅되어 적용되는 속효성 용량의 약물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제형예에 적용되며, t=1시간에서 측정된 약물 방출은 속효성 약물 코팅으로부터 방출된 약물 및 기초를 이루는 제형으로부터 방출되는 약물을 일반적으로 모두 반영할 수 있으나, 약물 오버코트로부터 방출되는 약물의 양은 t=2시간일 때의 약물 방출속도가 t=1 시간일 때 약물 방출속도보다 더 큰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는 무시된다.
오름차 방출속도가 제공되는 기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연장된 기간"은 t=0시간에 시작하여 적어도 제형의 T.sub.90에 상응하는, 중간포인트까지 계속되는 기간, 바람직하게는 중간포인트이상 계속되는 기간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제형은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T.sub.90은 적어도 약 6시간이고, 결과적으로 "연장된 기간"은 오름차 방출속도가 적어도 3시간인 서방성 약물이 제공되는 것을 의도하기 때문이다.
"오름차 약물 혈장 농도"는 초기 용량을 준 후 처음 약 24시간 정도에서의 약물 혈장 농도 프로파일을 의미하며, 여기에서 프로파일은 최대 농도로 증가하는 양상을 띄고, 여기에서 상기 최대는 초기 용량을 준 후 약 6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8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후에 도달한다.
"지연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형으로부터 약물의 방출을 지연시키기 위한 기능을 하는 층을 의미한다.
"송달하다" 및 "송달"은 제형으로부터 약제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약제는 사용된 주변 용액에 용해될 수 있는 것이다.
"제형"은 중합체, 현탁제, 계면활성제, 붕해제, 용해 조절제, 결합제, 희석제, 윤활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삼투제, 착색제, 가소제, 코팅 등과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임의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기구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장치(기구)를 의미한다.
"약물"은 약제학적으로 활성있는 제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들의 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프로클로퍼진 에디실레이트(prochlorperzine edisylate), 황산 제1철(ferrous sulfate), 아미노카프로산(aminocaproic acid), 메카밀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mecamylamine hydrochloride), 프로카인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procainamide hydrochloride), 암페타민 설페이트(amphetamine sulfate), 메트암페타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methamphetamine hydrochloride), 벤즈암페타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benzamphetamine hydrochloride), 이소프로테레놀 설페이트(isoproterenol sulfate), 펜메트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phenmetrazine hydrochloride), 베타네콜 클로라이드(bethanechol chloride), 메타콜린 클로라이드(methacholine chloride), 필로카핀 하이드로클로라이드(pilocarpine hydrochloride), 아트로핀 설페이트(atropine sulfate), 스코폴아민 브로마이드(scopolamine bromide), 이소프로파미드 요다이드(isopropamide iodide), 트리디헥세틸 클로라이드(tridihexethyl chloride), 펜포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phenformin hydrochloride), 메틸페니데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methylphenidate hydrochloride), 테오필린 콜리네이트(theophylline cholinate), 세팔렉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cephalexin hydrochloride), 디페니돌(diphenidol), 메클리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meclizine hydrochloride), 프로클로페라진 말레이트(prochlorperazine maleate), 페녹시벤자민(phenoxybenzamine), 티에틸퍼진 말레이트(thiethylperzine maleate), 아니신돈(anisindone), 디페나디온 에리트리틸 ㅌ테트라니트레이트(phenadione erythrityl tetranitrate), 디곡신(digoxin), 이소플루로페이트(isoflurophate), 아세타졸아미드(acetazolamide), 메타졸아미드(methazolamide), 벤드로플루메티아지드(bendroflumethiazide), 클로로프로마이드(chloropromaide), 톨라자미드(tolazamide), 클로마디논 아세테이트(chlormadinone acetate), 페나글리코돌(phenaglycodol), 알로푸리놀(allopurinol), 알루미늄 아스피린(aluminum aspirin),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아세틸 설피속사졸(acetyl sulfisoxazole),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토피라메이트(topiramate), 팔리페리돈(paliperidone), 리스페리돈(risperidone), 옥시부티닌(oxybutynin), 메틸 페니데이트(methyl phenidate),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하이드로코티코스테론 아세테이트(hydrocorticosterone acetate), 코티손 아세테이트(cortisone acetat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및 베타메타손, 트라임시놀론, 메틸테스토스테론, 17-S-에스트라디올, 에티닐 에스트라디올, 에티닐 에스트라디올 3-메틸 에테르, 프레드니솔론, 17-.varies.하이드로코티코스테론 아세테이트, 19-노르프로게스테론, 노르게스테롤, 노레틴드론, 노레티스테론, 노레티에데론, 프로게스테론, 노르게스테론, 노레티노드렐과 같은 그의 유도체,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인도메타신, 나프록센, 페노프로펜, 술린닥, 인도프로펜, 니트로글리세린, 이소소비드 디나이트레이트, 프로파놀롤, 티몰롤, 아테놀롤, 알프레놀롤, 시메티딘, 클로니딘, 이미프라민, 레보도파, 클로프로마진, 메틸도파, 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 테오필린, 칼슘 글루코네이트, 케토프로펜, 이부프로펜, 세팔렉신, 에리스로마이신, 할로페리돌, 조메피락, 페러스 락테이트, 빈크아민, 디아제팜, 페녹시벤자민, 딜티아젬, 밀리논, 카프로프릴, 만도, 콴벤즈,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 라니티딘, 플루비프로펜, 페누펜(fenufen), 플루프로펜(fluprofen), 톨메틴, 알클로페낙, 메페나믹, 플루페나믹, 디푸이날(difuinal), 니모디핀, 니트렌디핀, 니솔디핀, 니카디핀, 펠로디핀, 리도플라진, 티아파밀, 갈로파밀, 암로디핀, 미오플라진, 리시놀프릴, 에날라프릴, 에날라프릴라트, 캡토프릴, 라미프릴, 파모티딘, 니자티딘, 수크랄페이트, 에틴티딘, 테트라톨롤, 미녹시딜, 클로디아제폭시드, 디아제팜, 아미트립틸린, 이미프라민, 및 테라조신 HCL 디-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는 단백질 및 펩티드인데, 비한정적 예로: 인술린, 콜치신, 글루카곤, 갑상선 자극 호르몬, 부갑상선 및 뇌하수체 호르몬, 칼시토닌, 레닌, 프로락틴, 코티코트로핀, 타이로트로픽 호르몬(thyrotropic hormone), 여포자극호르몬, 융모성생식선자극호르몬, 생식선자극호르몬(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소의 소마토트로핀, 돼지의 소마토트로핀, 옥시토신, 바소프레신, GRF, 프로락틴, 소마토스타틴, 리프레신, 판크레오지민, 황체형성 호르몬, LHRH, LHRH 효능제 및 길항제, 루프롤리드(leuprolide), 인터페론, 인터루킨, 인간 성장호르몬, 소의 성장 호르몬 및 돼지의 성장호르몬과 같은 성장호르몬, 프로스타글란딘, 생식 촉진제, 성장호르몬, 응고인자, 인간 이자 호르몬 분비 팩터(human pancreas hormone releasing factor), 아날로그 및 이들 화합물의 유도체와 같은 생식 저해제,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아날로그 또는 유도체, 및 이들의 다양한 배합물, 및 상기 화합물의 다양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형태의 이들 화합물의 다양한 배합물을 포함한다.
"속효성 제형"은 투여 후 단시간 내에, 즉 일반적으로 수분 내지 약 1 시간 내에 약물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방출하는 제형을 의미한다.
"매트릭스"는 특히 주변 및/또는 모양면에서, 지탱하거나 구조를 이루는 새로운 제형의 요소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중의 "환자"는 질병 또는 장애 치료가 필요한 동물, 전형적으로 포유류, 더욱 전형적으로 인간을 의미한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여기에 사용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음이온 또는 양이온이 염의 약리학적 활성 또는 독성에 크게 기여하지 않으며 그 자체로 화합물의 염기의 약리학적 등가물인 그들 염을 의미한다. 염 형성의 목적을 위해 유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의 예로 염산, 황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아세트산, 벤조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카본산 또는 인산; 및 염 형성의 목적을 위해 유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의 예로, 알칼리금속염, 예를 들면 소디움 또는 포타시움 염; 알칼리토금속염, 예를 들면 칼슘 또는 마그네슘 염; 및 적절한 유기 리간드와 함께 형성되는 염, 예를 들면 4차 암모늄 염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대표적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비한정적인 예로: 아세테이트, 벤젠술포네이트, 벤조에이트, 비카보네이트, 비설페이트, 비타르트레이트, 보레이트, 브로미드, 칼슘 에데테이트, 캄실레이트, 카보네이트, 클로라이드, 클라불라네이트, 시트레이트,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에데테이트, 에디실레이트, 에스톨레이트, 에실레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세프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타메이트, 글리콜릴아르사닐레이트, 헥실레소시네이트, 하이드라바민, 하이드로브로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나프토에이트, 요다이드, 이소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락토비오네이트, 라우레이트,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만델레이트, 메실레이트, 메틸브로미드, 메틸니트레이트, 메틸설페이트, 무케이트, 나프실레이트, 니트레이트, N-메틸글루카민 암모늄 염, 올레에이트, 파모에이트(엠보네이트), 팔미테이트, 판토테네이트, 포스페이트/디포스페이트, 폴리갈락투로네이트, 살리실레이트, 스테아레이트, 설페이트, 서브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탄네이트, 타르트레이트, 테오클레이트, 토실레이트, 트리에티오디드, 발레레이트 및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산 및 염기로: 아세트산, 2,2- 디클로로악트산(2,2-dichloroactic acid), 아실레이티드 아미노산, 아디프산, 알긴산, 아스코르브산, L-아스파르트산, 벤젠술폰산, 벤조산, 4-아세트아미도벤조산, (+)-캄포산, 캄포설폰산, (+)-(1S)-캄포-10-설폰산, 카프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신남산, 시트르산, 시클람산, 도데실설푸르산, 에탄-1,2-디술폰산, 에탄술폰산, 2-하이드로시-에탄설폰산(2-hydrocy-ethanesulfonic acid), 포름산, 푸마르산, 갈락타르산, 겐티스산(gentisic acid), 글루코헵톤산, D-글루콘산, D-글루코론산, L-글루탐산, a-옥소-글루타르산, 글리콜산, 히푸르산, 하이드로브롬산, 하이드로클로르산, (+)-L-락트산, (±)-DL-락트산, 락토비온산, 말레산, (-)-L-말산, 말론산, (±)-DL-만델산, 메탄술폰산, 나프탈렌-2-술폰산, 나프탈렌-1,5-디술폰산, 1-하이드록시-2-나프토산, 니코틴산, 질산, 올레산, 오로트산, 옥살산, 팔미트르산, 파모산, 포스포르산, L-피로글루탐산, 살리실산, 4-아미노-살리실산, 세바산, 스테아르산, 숙신산, 황산, 탄산(tannic acid), (+)-L-타르타르산, 티오시안산, p-톨루엔술폰산 및 운데실렌산을 포함하는 산; 및 암모니아, L-아르기닌, 베네타민, 벤자틴, 칼슘 하이드록시드, 콜린, 데아놀, 이데타놀아민, 디에틸아민,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N-메틸-글루카민, 하이드라바민, 1H-이미다졸, L-리신, 마그네슘 하이드록시드, 4-(2-하이드록시에틸)-모르폴린, 피페라진, 포타시움 하이드록시드, 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딘, 2차 아민, 소디움 하이드록시드,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및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염기, 및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중합체"는 수화시, 점성의 젤라틴성 표면 장막 또는 겔층을 형성하고, 제형의 중심으로의 용액의 침투 및 중심으로부터의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는 천연 및 합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임의의 일례에서, 이러한 겔층에 수반되는 생리화학적 특성으로는 제형으로부터의 수분 흡수 및 약물방출 메카니즘을 조절하는 것이 있다. 비록 바깥층으로부터 용해성 약물이 급격하게 방출될 수 있지만, 약물을 함유한 표면이 용해 미디아중에 노출되면 겔층을 통한 약물의 확산 또는 겔의 점진적인 부식에 의해 약물 방출이 시간에 따라 조절된다. 확산은 수용성 약물 방출을 조절하는 주요한 메카니즘이며, 매트릭스의 부식은 수불용성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는 주요 메카니즘이다. 반면, 일반적으로 약물의 방출은 상기 두 메카니즘에 의해 일어날 것이다.
적절한 중합체의 비한정적 예로: 메틸 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즈, 하이드록시에틸 메틸셀룰로즈, 카복시 메틸셀룰로즈 및 소디움 카복시 메틸셀룰로즈와 같은 친수성 셀룰로즈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중합체로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즈(HPMC) 및 이들의 유도체가 있다.
HPMC 유도체는 낮은, 정상 또는 높은 점도 등급으로 입수가능하다. 중합체의 점도는 제제로부터의 약물의 방출속도를 조절한다. 가장 적절한 특정 HPMC로는 메토셀 K100M, K15M, F4M, E4M, K4M, K100LV, K3, E15LV, E15LN, E15CLV, E50, E5 및 E3 (다우 케미컬, Midland Ml에서 입수가능)를 들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메토셀 K100M이다.
"중합체 및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매트릭스"는 중합체 및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을 포함하는 매트릭스를 의미한다.
"중합체 매트릭스"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매트릭스를 의미한다.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은 마이크로캡슐화 물질에 의해 캡슐화된 약물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물질의 비한정적 예로는 단백질, 폴리사카라이드, 전분, 왁스, 지방, 천연 및 합성 중합체, 및 수지 및/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례에서, 마이크로캡슐화된 물질은 합성 중합체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크릴레이트-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다.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을 제조하는 적합한 방법의 비한정적 예로 유동화된 베드 코팅, 분무 건조, 분무 냉각(spray chilling), 스피닝 디스크 코팅(spinning disk coating), 고정 노즐 공유압출성형(stationary nozzle coextrusion), 해교(peptization), 원심성 해드 공유압출성형(centrifugal head coextrusion), 액침 노즐 공유압출성형(submerged nozzle coextrusion), 팬 코팅(pan coating), 용매 증발법(solvent evaporation),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단순 및 복합) 및 상분리법(phase separation), 계면중합(interfacial polymerization), in-situ 중합, 리포좀 기술(liposome technology) 및 나노캡슐기술(nanoencapsulation)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례는 유동화 베드 코팅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부가적 기술 및 물질의 비한정적 예로는 PJ 왓츠 등, 유화/용매 증발법에 사용되는 마이크로캡슐화(Microencapsulation using emulsification/solvent evaporation: an overview of techniques and applications, Crit Rev Ther Drug Carrier Syst.) 1990;7(3):235~ 59; 조절되는 경구용 약물 송달 시스템을 위한 마이크로캡슐; 미국 특허 5,362,424 (1994.11.8. 등록); 마이크로캡슐화 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생성물(Microencapsulation process and products therefrom), 미국 특허 5,407,609, 타이스 등, 1995.4.18. 등록; 생분해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biodegradable polymers) 미국 특허 4,451 ,452 데이비그 등, 1984.5.29.등록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입자의 크기 범위는 하기 표에 나온 바와 같으며; 기술자는 목적하는 크기를 얻기 위하여 적절한 캡슐화 방법을 택할 수 있다.
Figure 112007016016195-PCT00001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은 실질적으로 마이크로캡슐화되지 않은 약물을 의미한다.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은 새로운 제형의 한 층 또는 한 층 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층에 존재하는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의 일례에서,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은 같거나 다른 농도로 각 층에 존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즉, 다른, 또는 혼합물)의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이 새로운 제형내에 존재할 수 있다.
약물의 "방출의 속도" 또는 "방출 속도"는 단위 시간당 제형으로부터 방출되는 약물의 양, 예를 들어 시간당 방출되는 약물의 밀리그램(mg/hr)을 의미한다. 약물 제형에 대한 약물 방출 속도는 전형적으로 시험관내 약물 방출 속도, 즉 적절한 조건하에 적합한 유체 중에서 측정된 단위 시간당 제형으로부터 방출되는 약물의 양으로서 측정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사용된 방출 속도 시험은 USP 타입 VII 배스 인덱서에 부착된 금속 코일 샘플 홀더에 놓인 제형에 대해서 37℃의 항온 수조에서 평형화된 약 50 mL의 산성화된 물(pH=3) 중에 침지하여 수행된다. 방출 속도 용액의 분취량을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에 주입하여 시험 간격 동안 방출되는 약물의 양을 정량화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투여 후" 지정된 시간에 얻어진 약물 방출 속도는 적절한 용해 시험 수행 후 지정된 시간에 얻어진 시험관내 약물 방출 속도를 의미한다. 제형 내에서 지정된 퍼센트의 약물이 방출되는 시간을 "Tx" 값으로 해서 기준으로 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x"는 방출되는 약물 퍼센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형으로부터 약물 방출을 평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준 측정치는 제형내 약물의 90%가 방출되는 시간이다. 이러한 측정치를 제형에 대한 "T90"이라고 한다. 편의상, 명확하기 위하여 약물 투여 시간을 0시간(t=0 시간)으로 보고, 투여 후 시간 단위는 예를 들면 t=30분 또는 t=2시간으로 한다.
"실질적으로 없다"는 제형, 층 또는 본 원소가 실질적으로 본 물질에 부존재함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일례에서, 제형, 층 또는 본 원소는 본 문질 중에 제형, 층 또는 본 원소 총 중량에 근거하여 약 5 wt%, 바람직하게는 약 2.5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1 wt%이하로 포함되어 있다.
"서방성"은 약물이 서방성 제형으로부터 약 12시간 또는 그 이상의 기간 정도 독성 레벨 이하의 치료 범위 내의 혈중(예, 혈장)농도로 유지되는 속도로 방출되는 것이다.
"서방성 제형"은 많은 시간 동안 약물을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제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제형은 1일 1회 용량에서 적어도 4시간 또는 그 이상의 T90 값을 나타내거나, 약 24시간 또는 그 이상의 T90 값을 나타낸다. 제형은 적어도 약 6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8시간 또는 그 이상 및, 특정 예에서는 약 12시간 또는 그 이상의 지속된 기간동안 약물을 연속적으로 방출한다.
"0차 혈장 프로파일" 또는 "플랫 혈장 프로파일(flat plasma profile)"은 특정 시간 간격에 따른 환자의 혈장중의 특정 약물의 양이 실질적으로 고정되어 있거나 변동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0차 혈장 프로파일은 한 시간 간격에서 그 다음 시간 간격까지 약 10% 이하로 변할 것이다.
"0차 방출 속도"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방출 속도, 약물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사용 환경에서 용액중에 용해되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약물의 방출 속도가 시간의 함수로서 약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이하로 변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에서 측정치는 축적 방출이 제형 중의 약물의 총 중량의 약 25 내지 약 75%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90% 사이인 기간에 대해 측정된다.
"실질적으로 봉합된"은 제형, 층 또는 본 원소가 실질적으로 본 물질을 인글로브(englobe), 코팅하거나 덮는 것(cover)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일례에서, 제형, 층, 또는 본 원소는 본 물질의 총 표면적에 근거하여 약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를 봉합한다.
구체예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제형 100을 나타낸다. 서방성 제형 100중에는 지연층 102, 제2층 104,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110, 및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112가 포함된다. 지연층 102는 제2층 104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지연층 102는 중합체 매트릭스 120 및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112를 포함한다. 실험에서, 지연층 102는 지연층 104 및 제2층 104의 접촉 부분으로 정의되는 계면으로부터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112의 방출을 지연시켜 서방성 제형 100으로부터의 약물 방출을 지연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는 지연층의 부식 및 지연층을 통한 약물의 확산의 조합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110의 방출은 도한 마이크로캡슐화에 의해 지연된다. 일반적으로(이 메카니즘은 본 발명에 다른 다양한 예의 실험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의미),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110이 GI 액과 같은 미디아와 접촉하게 되었을 때(제형 100의 표면, 중합체 매트릭스 120의 부식 또는 중합체 매트릭스 120을 통한 확산의 수단으로), 마이크로캡슐화된 물질은 코팅층에 있는 기공을 떠나 조절된 양상으로 서서히 용해되며 이 기공을 통해 약물이 방출된다. 지연층의 효과에 약물의 마이크로캡슐화의 효과가 더해져 오름차 방출속도가 나타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제형 200을 나타낸다. 서방성 제형 200은 지연층 202, 제2층 204, 제2층 206,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210,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212, 1차 중합체 매트릭스 220, 2차 중합체 매트릭스 222, 및 3차 중합체 매트릭스 224를 포함한다. 지연층 202는 제2층 104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지연층 202는 중합체 매트릭스 220 및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210을 포함한다. 제2층 204는 중합체 매트릭스 222 및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212를 포함한다. 제2층 206은 지연층 202와 반대로 제형 200의 부분 위에 있는 제2층 204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제2 지연층 206은 중합체 매트릭스 224 및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210을 포함한다.
실험에서, 제형 200을 그들이 필요한 환자에게 투여하였을 때, 지연층 202 및 제2층 206은 지연층 202 및 제2 지연층 206과 접촉하는 제2층 204의 부분으로 정의되는 계면으로부터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212의 방출이 지연시켜 제형 200으로부터의 약물 방출이 지연되도록 작용한다. 이는 지연층의 부식에 지연층을 통한 약물 확산이 더해져 일어날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210의 방출은 또한 마이크로캡슐화 효과에 의해 지연된다. 제형 200은 자연상태에서 다공성인 중합체 매트릭스 제형을 포함한다. 중합체 매트릭스가 물 또는 수성 위장관액에 접촉할 때, 중합체 매트릭스중의 중합체는 물 또는 용액을 흡수하여 팽창하거나 수화한다. 이 과정은 중합체 사슬의 이완을 야기하고, 그 결과 사슬이 풀리고, 사슬 사이의 분리 거리가 증가하여 약물이 확산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부식, 확산, 및 중합체 매트릭스의 팽창과 마이크로캡슐 밖으로의 용해의 조합은 약물 방출을 조절하는 이러한 시스템을 통한 다양한 방법이 된다. 중합체 매트릭스 및 마이크로캡슐화된 물질의 방출력의 밸런스를 맞춰, 오름차 방출 프로파일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 제형 200으로 소개된 새로운 제형(그러나 다른 제형도 또한 가능)을 통상의 중합체 매트릭스(예를 들면, 비교예 1)와 비교해보면, 방출 프로파일에서 세 가지 구별되는 점이 있는데: (a) 초기 즉시방출이 감소한다. 특정 매카니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효과는 바깥층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및 이 바깥층의 조합에 의한 기여일 수 있고(다량의 낮은 친수성의 중합체는 지연층에 더욱 소수성인 성질을 주고, 이는 초기 즉시 팽창 및 약물 방출을 막을 수 있다); (b) "오름차 프로파일"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에서 피크가 존재한다. 이 효과는 아마도, 시간에 따라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의 방출과 부식 및 확산 매카니즘에 의한 중합체 매트릭스를 통한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의 조합에 의해 얻어지게 되며; 및 (c) 프로파일의 종말점에서 방출이 끝난다. 이 효과는 중합체 확산 및 부식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의 방출에 기인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제형 300을 나타낸다. 서방성 제형 300은 지연층 302, 2번째 층 204,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310,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312, 1차 중합체 매트릭스 320, 및 2차 중합체 매트릭스 322를 포함한다. 지연층 302는 실질적으로 2번째 층 304를 둘러싼다. 지연층 302는 중합체 매트릭스 320 및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310을 포함한다. 제2층 304는 중합체 매트릭스 322 및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312를 포함한다. 실험에서, 제형 300이 이들이 필요한 환자에게 투여되었을 때, 지연층 302는 제2층 306에서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312의 방출이 지연되어 제형 300으로부터 약물의 방출을 지연시킨다. 이는 지연층의 부식 및 지연층을 통한 약물의 확산의 조합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제형 300에 적용되는 방출 매카니즘은 제형 200에서 언급된 바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제형 400을 나타낸다. 서방성 제형 400에는 지연층 402, 제2층 404, 제2층 406,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410,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412, 1차 중합체 매트릭스 420, 2차 중합체 매트릭스 422, 및 3차 중합체 매트릭스 424를 포함한다. 지연층 402는 제2층 404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지연층 402는 중합체 매트릭스 420 및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410을 포함한다. 제2층 404는 중합체 매트릭스 422,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410, 및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412를 포함한다. 제2 지연층 406은 지연층 402의 반대편의 제형 400의 부분위에 있는 제2층 404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제2 지연층 406은 중합체 매트릭스 424 및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410을 포함한다. 실험에서, 제형 400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였을 때, 지연층 402 및 제2 지연층 406은 지연층 402 및 제2 지연층 406과 접촉하는 제2층 404의 부분으로 저의되는 계면으로부터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412가 방출되는 것을 지연시켜 제형 400으로부터 약물이 방출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는 지연층을 통한 약물의 확산 및 지연층의 부식의 조합으로 인해 일어날 것이다. 제형 400에 적용되는 방출 매카니즘은 제형 200에서 설명한 바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제형 500을 나타낸다. 서방성 제형 500에는 지연층 502, 제2층 504, 바깥 지연층 508,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510,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512, 1차 중합체 매트릭스 520, 2차 중합체 매트릭스 522, 및 3차 중합체 매트릭스 524가 포함된다. 바깥 지연층 508은 실질적으로 지연층 502를 둘러싼다. 지연층 502는 1차 중합체 520 및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510을 포함한다. 실험에서, 제형 500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였을 때, 지연층 502는 제2층 504로부터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512가 지연방출되어 제형 500으로부터의 약물이 지연되어 방출되도록 작용한다. 이는 지연층의 부식 및 지연층을 통한 약물 확산의 조합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바깥 지연층 508은 또한 방출을 지연시키고, 임의의 초기 즉시방출을 감소시키거나 초기 조절하의 제형 500으로부터의 방출을 감소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제형 500에 적용되는 방출 매카니즘은 제형 200에 설명된 바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제형 600을 나타낸다. 서방성 제형 600에는 지연층 602, 제2 지연층 606, 3차 지연층 608, 4차 지연층 609,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610,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612, 1차 중합체 매트릭스 620, 2차 중합체 매트릭스 622, 및 3차 중합체 매트릭스 624, 4차 중합체 매트릭스 626, 5차 중합체 매트릭스 628이 포함된다. 지연층 602는 3차 지연층 608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지연층 602는 1차 중합체 매트릭스 620 및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610을 포함한다. 3차 지연층 608은 제2층 604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3차 지연층 608은 중합체 매트릭스 622를 포함한다. 제2층 604는 3차 중합체 매트릭스 624 및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612를 포함한다. 4차 지연층 609는 지연층 602 반대편 제형 600의 부분위에 있는 제2층 604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4차 지연층 606은 4차 중합체 매트릭스 626을 포함한다. 제2 지연층 606은 제2층 604 반대편 4차 지연층 609의 측면위에 있는 4차 지연층 609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제2 지연층 606은 5차 중합체 매트릭스 628 및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610을 포함한다. 실험에서, 제형 600이 이들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되었을 때, 지연층 602, 제2 지연층 606, 3차 지연층 608, 및 4차 지연층 609는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612의 방출을 지연시켜 제형 600으로부터 약물이 방출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는 지연층을 통한 약물의 확산 및 지연층의 부식의 조합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3차 지연층 608 및 4차 지연층 609의 조성물 및 두께는 제형 600으로부터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612가 초기 방출 또는 즉시방출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제형 600에 적용되는 방출 매카니즘은 상기 제형 200에서 설명된 바 있다.
새로운 제형은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기술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상기 기술의 비한정적 예로 미국 특허 5,980,942 (Katzhendler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을 제조하는 것과 관련된 부가 정보는 특히 Development of a Controlled Release Matrix Tablet Containing a Water-Soluble Drug Utilizing Hypromellose and Ethylcellulose. Tina Dasbach, Pushpa Inbasekaran, and Karen Balwinski The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l 48674; The Effect of Process Conditions on Various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s During Wet Granulation. Pushpa Inbasekaran and Karen Balwinski.The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l 48674; Direct Compression of Sustained-Release Hydrophilic Matrix Tablets Containing Hypromellose and MCC: Effects of a Lubricant T. D. Cabelka Technical Service and Development for METHOCEL Cellulose Ethers Larkin Laboratory, The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l 48674 USA; Lab-Scale to Full Production Scale Evaluation of a Controlled-Release Formulation Based on Hypromellose and Manufactured Using Roll Compaction Technology Paul Sheskeyi, Kerry Pacholkel , Gary Sackett2, and Larry Maher, 1 The Dow Chemical Company Larkin Laboratory Midland, Ml 48674. 2 The Vector Corporation Marion, IA 52302; The Utility 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as a Porosity Modifier in an Ethylcellulose Compression Coating Douglas K. Pollock and Karen M. Balwinski Presented at the 27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ntrolled Release of Bioactive Materials Paris, France, July 7-13, 2000 The Dow Chemical Company Larkin Laboratory, Midland, Ml 48674 USA에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에 도입된 약물의 양은 약물의 종류, 치료 적응증 및 예를 들면 매 12시간, 매 24시간 등의 목적하는 투여기간에 따라 다양하다. 투여되는 목적약물의 양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형이 투여될 수 있다.
연장된 기간동안 서방성 및 오름차 방출속도를 갖는 제형의 사용으로 인해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케이스 및 약물 치료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일례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형에는 CNS-작용 약물 및 심혈관계 작용 약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을 다른 많은 타입의 약물 및 약물 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적절한 타입의 약물의 비한정적 예로는 항-감염제, 진통제, 마취제, 관절염치료제, 항천식제, 경련방지제(anticonvulsant), 항우울제, 항당뇨제, 지사제, 항히스타민제, 항염증제, 항편두통제, 항종양제, 항파킨슨씨제, 항소양제, 항정신병제, 해열제, 진경제(antispasmodics), 항콜린제, 교감신경흥분제(sympathomimetics), 칼슘 채널 차단제, 베타 차단제, 항부정맥제(antiarrythmics), 항고혈압제, ACE 저해제, 이뇨제, 혈관확장제, 충혈완화제, 호르몬, 수면제(hypnotics), 면역억제제, 부교감신경억제제 (parasympathomimetics), 프로스타글란딘, 단백질, 펩티드, 진정제(sedatives), 정신안정제(tranquilizers)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비한정적 예로 CNS 및 심혈관계 적응증을 포함하는 다양한 적응증의 치료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하등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되며, 이들 실시예 및 기타 그와 동등한 것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도면 및 첨부한 청구의 범위를 감안해서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을 나타낸다.
도 7은 방출 속도 데이타를 나타낸다.
도 8은 방출 속도 데이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을 나타낸다.
도 10은 방출 속도 데이타를 나타낸다.
도 11은 방출 속도 데이타를 나타낸다.
도 12는 제형의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도 13은 방출 속도 데이타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라벨 청구범위의 약 5%가 제형의 지연층에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로 제형중 에 존재하고 라벨 청구범위의 약 95%는 제2층에 프리 약물로 존재한다. 이러한 배치는 오름차 방출속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토피라메이트의 마이크로캡슐화: 토피라메이트 50 g을 칭량하여 비이커에 옮겼다. 콜리코트 30DEMM(Kollicoat 30DEMM) 6 g을 토피라메이트에 적가하고 스파툴라로 5분동안 혼합하였다. 습윤 매스를 8 메쉬 스크린에 통과시키고 72시간동안 에어 드라이를 시켰다. 건조된 매스를 12 메쉬 스크린에 통과시켰다. 과립을 트래이 위에 놓고 6 g의 콜리돈 30DEMM을 과립위에 분무하고 28 ℃, 주위습도 조건에서 오븐에 방치하였다. 코팅 과정은 두번 반복하여 행하였고, 각 과정에서 약 6 g의 콜리돈 30DEMM을 첨가하였다. 세번째 코팅 후, 과립을 오븐에 하룻밤 남겨놓고, 건조 과립을 8 메쉬 스크린에 통과시켰다.
지연층의 제조: 230.8 mg 의 상기 마이크로캡슐화된 토피라메이트를 1.3 g의 HPMC K100 M Prem CR 및 1.3 g의 에틸 셀룰로즈와 혼합하였다. 물질을 롤러 믹서(U.S. Stoneware Jar Mill (Model 764 AVM))중에서 30분동안 혼합하였다.
제2층의 제조: 2.8 g의 토피라메이트를 1.9 g의 HPMC K15M Prem CR 및 1.7 g의 에틸 셀룰로즈와 혼합하고 롤러 믹서((U.S. Stoneware Jar Mill (Model 764 AVM)))로 30분간 혼합하였다. 3.4 g의 PEG 3350 및 30 mg의 블랙 산화제2철을 가하고 롤러밀로 20분간 혼합하였다. 30 mg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가하고 30초간 혼합하였다.
정제의 압축: 32.5 mg의 지연층 조성물을 칭량하고, 3/8" 원오목형 펀치세트의 주형공간에 넣었다. 지연층을 가볍게 다졌다. 335 mg의 제2층 조성물을 다져서 굳힌 지연층에 첨가하고 가볍게 다져주었다. 32.5 mg의 지연층 조성물을 첨가한 후 정제를 카버 프레스(Carver press)중에서 2 톤의 압축력을 주어 압축하였다.
약물 방출의 측정: USP 타입 2 기구를 사용하여 물 중에서 압축된 정제의 약물 방출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도 7에 나타냈다.
실시예 2:
라벨 청구범위의 약 5%가 제형의 지연층에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로 제형중에 존재하고 라벨 청구범위의 약 95%는 제2층 2에 비-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42.5% 및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 42.5%로 존재한다. 이러한 배치는 오름차 방출속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마이크로캡슐화된 토피라메이트는 실시예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한다. 지연층 조성물을 실시예 1에 개시된 바대로 제조하였다.
제2층의 제조: 1.4 g의 토피라메이트를 1.4 g의 마이크로캡슐화된 토피라메이트(실시예 1에 개시된 바대로 제조), 1.9 g의 HPMC K15M Prem CR 및 1.7 g의 에틸 셀룰로즈와 혼합한 후 롤러믹스(U.S. Stoneware Jar Mill (Model 764 AVM)) 중에서 30분동안 혼합하였다. 3.4 g의 PEG 3350 및 30 mg의 블랙 산화 제2철을 첨가하고 롤러밀에서 20분동안 혼합하였다. 30 mg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하고 30초동안 혼합하였다.
실시예 1의 지연 조성물 및 앞에서 제조된 제2층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압축된 정제를 제조하였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냈다.
실시예 3:
라벨 청구범위의 67%가 내부 코어중에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로 존재하고 라벨 청구범위의 33%가 내부 층중에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로 존재한다. 바깥 끝 캡에는 약물이 없다. 이러한 배치가 오름차 방출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1 단계: 팔리페리돈의 마이크로캡슐화
배취 #1
팔리페리돈 1 gm을 칭량하여 비이커에 넣고 HPMC K100 Prem 2 gm을 넣었다. 에탄올/콜리코트 EMM 3OD (83/17 wt/wt) 혼합물 약 1.4 gm을 혼합물에 첨가하여 과립화하였다.
배취 #2
팔리페리돈 6 gm을 칭량하여 비이커에 넣고 HPMC K100 Prem 2 gm을 넣었다. 에탄올/콜리코트 EMM 3OD (75/25 wt/wt) 혼합물 약 1.8 gm을 혼합물을 과립화하기 위하여 첨가하였다.
배취 #3
콜리코트 EMM 30D 약 4.8 gm을 혼합물을 과립화하기 위하여 배취 #2의 1.35gm에 첨가하였다.
2 단계: 바깥층, 내부 약물층 및 내부 코어의 제조
Figure 112007016016195-PCT00002
3 단계: 코어 압축
내부 코어층 30 mg을 칭량하여 5/32" 원오목형 펀치세트의 주형공간에 넣었다. 1 톤의 압축력을 카버 프레스에 적용하여 단일층 내부 코어를 제조하였다.
바깥층 80 mg을 칭량한 후 원오목형 펀치세트의 3/8" 주형공간에 첨가하였다. 층을 가볍게 다져주었다. 내부층 329 mg을 칭량하였다. 내부 약물층의 일부를 다져진 바깥층에 첨가하고 내부 압축 코어를 주형공간 중심에 위치시켰다. 잔여 내부 약물층 과립을 주형공간에 첨가하고 가볍게 다져주었다. 바깥층 80 mg을 칭량하여 주형공간에 첨가한 후, 캡슐화된 내부 코어가 있는 삼중층 코어를 카버 프레스로 2 톤의 압축력을 주어 압축하였다. 코어 구조를 도 9에 도시하였다.
4 단계 : 약물 방출의 측정
3 단계에서 제조한 압축 코어를 USP 타입 II 기구(UV 분석)를 사용하여 AGF중에서의 약물 방출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4
라벨 청구범위의 67%가 내부 코어중에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로 존재하고 라벨 청구범위의 33%가 내부층 중에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로 존재한다. 바깥 끝 캡은 약물-프리이다. 이러한 배치로 오름차 방출 프로파일이 나타난다.
1 단계: 리스페리돈의 마이크로캡슐화
배취 #1
리스페리돈 1 g을 칭량하여 비이커에 넣고 HPMC K100 Prem 2 g을 넣었다. 에탄올/콜리코트 EMM 3OD (83/17 wt/wt) 혼합물 약 1.4 g을 혼합물을 과립화하기 위하여 첨가하였다.
배취 #2
리스페리돈 6 g을 칭량하여 비이커에 넣고 HPMC K100 Prem 2 g을 넣었다. 에탄올/콜리코트 EMM 3OD (75/25 wt/wt) 혼합물 약 1.8 g을 혼합물을 과립화하기 위하여 첨가하였다.
배취 #3
콜리코트 EMM 30D 약 4.8 g을 혼합물을 과립화하기 위하여 배취 #2의 1.35g에 첨가하였다.
2 단계: 바깥층, 내부 약물층 및 내부 코어 제조
Figure 112007016016195-PCT00003
3 단계: 코어 압축
압축된 정제를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코어층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3의 과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약물의 라벨 청구범위의 100%가 매트릭스 코어에 존재한다. 이러한 배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체로 0차 방출속도를 나타내었다.
토피라메이트 28.6 g을 21.5 g의 HPMC K100M Prem 및 14.3 g의 에틸 셀룰로즈 및 35.14 g의 폴리에테일렌(polyetheylene) 글리콜 3350과 혼합하였다. 구성성분들을 롤러믹서((U.S. Stoneware Jar Mill (Model 764 AVM))로 30분동안 혼합하였다. 0.5 g의 Mg 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하고 30초동안 혼합하였다.
상기 블렌드 350 mg을 카버 프레스의 3/8" 툴링세트(tooling set)를 사용하여 2 톤의 힘으로 압축하였다.
압축된 정제에 대해 USP 타입 2 기구를 사용하여 물 중에서의 약물 방출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에 도시하였다.
비교예 2:
라벨 청구범위의 100%가 내부층에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로 존재한다. 바깥끝 캡은 약물-프리이다. 이러한 배치는 0차 방출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1 단계: 바깥층 및 내부 약물층의 제조
Figure 112007016016195-PCT00004
2 단계 : 코어 압축
바깥층을 75 mg을 칭량하여 3/8" 원오목형 펀치세트의 주형공간에 첨가하였다. 상기 층을 가볍게 다져주었다. 내부층 300 mg을 칭량하여 다져진 바깥층에 첨가하였다. 과립을 가볍게 다져주었다. 바깥층을 75 mg 칭량하여 주형공간에 첨가하고 카버 프레스로 3톤의 압축력을 주어 삼중층 코어를 압축하였다. 코어 레이아웃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3 단계 : 약물 방출의 측정
2 단계에서 제조된 압축된 코어를 USP 타입 II 기구(UV 분석)를 사용하여 AGF중에서의 약물 방출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13에 개시하였다.

Claims (22)

  1. (i) 중합체 매트릭스, 및
    (ii)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을 함유하는 지연층; 및
    (iii) 중합체 매트릭스, 및
    (iv) 비-마이크로캡슐화 약물 매트릭스를 함유하는 제2층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지연층에는 비-마이크로캡슐화 약물이 실질적으로 없으며,
    상기 제2층은 상기 지연층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약물의 서방성 제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연층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캡슐화 약물의 중량 대 제2층에 존재하는 비-마이크로캡슐화 약물의 중량의 비가 약 0.01:1 내지 약 10:1인 제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이 마이크로캡슐화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형.
  4. 제 1 항에 있어서, 지연층 및 제2층 사이에 위치한 서브-층을 추가로 포함하 는 제형.
  5.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매트릭스 물질 및 마이크로캡슐화 약물을 함유하는 제2 지연층을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에서 제2 지연층은 실질적으로 비-마이크로캡슐 약물이 부재하고; 제2 지연층이 제형 부분위의 제2층의 지연층 반대편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형.
  6. 제 1 항에 있어서, 지연층이 제2층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제형.
  7. 제 1 항에 있어서, 약물이 토피라메이트, 리스페리돈 또는 팔리페리돈을 포함하는 제형.
  8. 제 7 항에 있어서, 토피라메이트가 약 10 내지 약 1000 mg의 양으로 존재하는 제형.
  9. 제 7 항에 있어서, 리스페리돈이 약 1 내지 약 15 mg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제형.
  10. 제 7 항에 있어서, 팔리페리돈이 약 1 내지 약 15 mg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제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화 약물은 단백질, 폴리사카라이드, 전분, 왁스, 지방, 천연 및 합성 중합체, 수지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화 물질로 상기 마이크로캡슐화 약물이 캡슐화되는 제형.
  12. (i) 중합체 매트릭스, 및
    (ii) 마이크로캡슐화된 약물을 함유하는 지연층; 및
    (iii) 중합체 매트릭스, 및
    (iv) 비-마이크로캡슐화 약물 매트릭스를 함유하는 제2층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지연층에는 비-마이크로캡슐화 약물이 실질적으로 없으며,
    상기 제2층은 상기 지연층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약물의 서방성 제형을 제조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지연층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캡슐화 약물의 중량 대 제2층에 존재하는 비-마이크로캡슐화 약물의 중량의 비가 약 0.01:1 내지 약 10:1의 범위인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이 위치한 마이크로캡슐화 약물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지연층 및 제2층 사이에 노출된 서브-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중합체 매트릭스 물질 및 마이크로캡슐화 약물을 포함하는 제2 지연층의 제공을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에서 제2 지연층은 비-마이크로캡슐 약물이 실질적으로 없고; 제2 지연층이 제형 부분위의 제2층에 인접하여 지연층 반대편에 위치하는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지연층이 실질적으로 제2층을 둘러싸는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약물은 토피라메이트, 리스페리돈 또는 팔리페리돈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토피라메이트가 약 10 내지 약 1000 mg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리스페리돈이 약 1 내지 약 15 mg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팔리페리돈이 약 1 내지 약 15 mg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화 약물은 단백질, 폴리사카라이드, 전분, 왁스, 지방, 천연 및 합성 중합체, 수지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화 물질로 캡슐화되는 방법.
KR1020077004326A 2004-08-04 2005-08-02 오름차 0차 방출 패턴을 나타내는 약물의 서방성 조성물,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340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912604P 2004-08-04 2004-08-04
US60/599,126 2004-08-04
PCT/US2005/027490 WO2006017537A1 (en) 2004-08-04 2005-08-02 Sustained drug release composition demonstrating an ascending zero order release pattern, methods of manufacturing such a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136A true KR20070069136A (ko) 2007-07-02
KR101340946B1 KR101340946B1 (ko) 2013-12-13

Family

ID=3522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326A KR101340946B1 (ko) 2004-08-04 2005-08-02 오름차 0차 방출 패턴을 나타내는 약물의 서방성 조성물,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060034927A1 (ko)
EP (1) EP1802286B1 (ko)
JP (1) JP2008509144A (ko)
KR (1) KR101340946B1 (ko)
CN (1) CN101035519A (ko)
AT (1) ATE401868T1 (ko)
AU (1) AU2005271522B2 (ko)
BR (1) BRPI0513089B8 (ko)
CA (1) CA2575484A1 (ko)
DE (1) DE602005008460D1 (ko)
IL (1) IL181117A (ko)
MX (1) MX2007001563A (ko)
NO (1) NO338672B1 (ko)
NZ (1) NZ552841A (ko)
WO (1) WO2006017537A1 (ko)
ZA (1) ZA2007018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2700A1 (en) * 1997-04-21 2008-11-27 Biovail Laboratories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s using intelligent polymers
US20050208132A1 (en) * 2002-07-29 2005-09-22 Gayatri Sathyan Methods and dosage forms for reducing side effects of benzisozazole derivatives
US20050232995A1 (en) * 2002-07-29 2005-10-20 Yam Nyomi V Methods and dosage forms for controlled delivery of paliperidone and risperidone
US9744137B2 (en) * 2006-08-31 2017-08-29 Supernus Pharmaceuticals, Inc. Topiramat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enhancing its bioavailability
MX2009002336A (es) * 2006-09-01 2009-03-20 Teva Pharma Composiciones de imatinib.
EP1973528B1 (en) 2006-11-17 2012-11-07 Supernus Pharmaceuticals, Inc. Sustained-release formulations of topiramate
WO2008070670A2 (en) * 2006-12-04 2008-06-12 Supernus Pharmaceuticals, Inc. Enhanced immediate release formulations of topiramate
PT2079446E (pt) * 2007-08-21 2011-12-23 Teva Pharma Formulação de libertação sustida de paliperidona
US20090060983A1 (en) * 2007-08-30 2009-03-05 Bunick Frank J Method And Composition For Making An Orally Disintegrating Dosage Form
US20090087489A1 (en) * 2007-09-25 2009-04-02 Bella Gerber Imatinib compositions
US20090110716A1 (en) * 2007-10-31 2009-04-30 Frank Bunick Orally disintegrative dosage form
BRPI0906754A2 (pt) * 2008-02-04 2015-07-07 Torrent Pharmaceuticals Ltd Formulário de dosage prolongado da libertação de paliperidone
WO2010009900A1 (en) * 2008-07-25 2010-01-28 Krka, D.D. Novo Mesto Paliperidone composition comprising solid matrix particles
EP2161019A1 (en) * 2008-09-05 2010-03-10 KRKA, D.D., Novo Mesto Prolonged release multiparticula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aliperidone
WO2010044097A2 (en) * 2008-09-15 2010-04-22 Intas Pharmaceuticals Limited Novel dosage form of paliperidon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WO2010089775A2 (en) * 2009-02-05 2010-08-12 Getz Pharma Research Improved drug dosage form for controlled delivery of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tive agent
WO2011018246A2 (en) 2009-08-13 2011-02-17 Synthon B.V. Controlled release paliperidone composition
US20110052687A1 (en) * 2009-08-26 2011-03-03 Glenmark Generics Ltd Extend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paliperidone
US8807979B2 (en) * 2009-09-24 2014-08-19 Mcneil-Ppc, Inc.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dosage forms utilizing radiofrequency energy
US20110070286A1 (en) * 2009-09-24 2011-03-24 Andreas Hugerth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nicotine-comprising chewing gum and nicotine-comprising chewing gum manufactured according to said process
US8313768B2 (en) * 2009-09-24 2012-11-20 Mcneil-Ppc, Inc. Manufacture of tablet having immediate release region and sustained release region
US20110318411A1 (en) 2010-06-24 2011-12-29 Luber Joseph R Multi-layered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and the manufacture thereof
US8758780B2 (en) 2009-10-06 2014-06-24 Ascendis Pharma As Subcutaneous paliperidone composition
WO2011042450A1 (en) 2009-10-06 2011-04-14 Ascendis Pharma As Carrier linked paliperidone prodrugs
EP2547206B1 (en) 2010-03-15 2016-05-11 Inventia Healthcare Private Limited Stabilized prolong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typical antipsychotic
WO2012014052A2 (en) 2010-07-30 2012-02-02 Micro Labs Limited Novel coated extend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paliperidone
CN102058517A (zh) * 2010-12-31 2011-05-18 泰州万全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帕潘立酮缓释剂及其制备方法
DK2529756T3 (da) 2011-05-31 2021-08-02 Farm Rovi Lab Sa Risperidon- og/eller paliperidon-implantatformulering
SI2529757T1 (sl) 2011-05-31 2014-05-30 Laboratorios Farmaceuticos Rovi, S.A. Formulacija paliperidon implantata
US20130034605A1 (en) 2011-08-01 2013-02-07 Micro Labs Limited Extend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paliperidone
CN102579367B (zh) * 2012-03-23 2014-03-12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毒物药物研究所 托吡酯缓释药物组合物、其制备方法及用途
CN103316026B (zh) 2012-03-23 2016-05-11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毒物药物研究所 含芬特明和托吡酯的联合产品及其制备方法
JP6055076B2 (ja) 2012-03-23 2016-12-27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ファーマコロジー アンド トキシコロジー アカデミー オブ ミリタリー メディカル サイエンシズ ピー.エル.エー.チャイナ シネフリン及びトピラマートを含む組み合わせ製品
US9233491B2 (en) 2012-05-01 2016-01-12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achine for production of solid dosage forms
US9445971B2 (en) 2012-05-01 2016-09-20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ethod of manufacturing solid dosage form
US9511028B2 (en) 2012-05-01 2016-12-06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US8652527B1 (en) 2013-03-13 2014-02-18 Upsher-Smith Laboratories, Inc Extended-release topiramate capsules
US9101545B2 (en) 2013-03-15 2015-08-11 Upsher-Smith Laboratories, Inc. Extended-release topiramate capsules
WO2014167439A1 (en) * 2013-03-26 2014-10-16 Wockhardt Limited Modifi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opiramate or salts thereof
CN103271889B (zh) * 2013-05-23 2015-10-28 沈阳药科大学 帕利哌酮新型递增释放渗透泵制剂及其制备方法
RU2712267C2 (ru) 2014-01-10 2020-01-28 Джонсон энд Джонсон Консьюмер Инк.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блеток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адиочастотного излучения и частиц с поглощающим покрытием
CA3019007A1 (en) * 2016-04-26 2017-11-02 Markus Muller Film-like form of administration for the transmucosal delivery of antidiabetic peptides
US10493026B2 (en) 2017-03-20 2019-12-03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rocess for making tablet using radiofrequency and lossy coated particles
GB201715109D0 (en) * 2017-09-19 2017-11-01 Johnson Matthey Plc Release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36483B1 (ko) * 1973-07-12 1976-11-12 Choay Sa
US4316884A (en) * 1979-01-25 1982-02-23 Adria Laboratories, Inc. Sustain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DE3045135A1 (de) * 1980-11-29 1982-06-09 Sandoz-Patent-GmbH, 7850 Lörrach Pharmazeutische kompositionen enthaltende bioabbaubare polymere
DE3508097A1 (de) * 1984-07-21 1986-02-06 Hoechst Ag, 6230 Frankfurt Kombinationspraeparat aus xanthinderivaten und o-acetylsalicylsaeure bzw. deren pharmakologisch vertraeglichen salzen und dessen verwendung
DE3684446D1 (de) * 1985-12-28 1992-04-23 Sumitomo Pharma Arzneimittel mit verzoegerter stossweiser freisetzung.
ATE133087T1 (de) * 1989-05-04 1996-02-15 Southern Res Inst Einkapselungsverfahren
KR930006431B1 (ko) * 1990-10-11 1993-07-16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약물의 미세캡슐화 방법
IT1256393B (it) * 1992-11-17 1995-12-04 Inverni Della Beffa Spa Forme matriciali multistrato per il rilascio controllato di principi attivi
US5407687A (en) * 1994-02-22 1995-04-18 Glaxo Inc. Ranitidine solid dosage form
US5582838A (en) * 1994-12-22 1996-12-10 Merck & Co., Inc. Controlled release drug suspension delivery device
DE69735581T2 (de) * 1996-09-30 2007-01-25 Alza Corp., Palo Alto Dosierungsform für eine verzögerte und zunehmende wirkstoffsfreisetzung
US6919373B1 (en) * 1996-11-12 2005-07-19 Alza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prolonged drug therapy
PT965339E (pt) * 1996-11-15 2006-06-30 Ajinomoto Kk Composicao de nateglinida em comprimidos
US5980942A (en) * 1997-01-23 1999-11-09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Zero-order sustained release matrix tablet formulations of carbamazepine
ATE310507T1 (de) * 1999-12-28 2005-12-15 Ajinomoto Kk Orale zusammensetzungen für diabetes
GB0117618D0 (en) * 2001-07-19 2001-09-12 Phoqus Ltd Pharmaceutical dosage form
BR0313139A (pt) * 2002-07-29 2005-07-05 Alza Corp Métodos e formas de dosagem para fornecimento controlado de paliperido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81117A0 (en) 2007-07-04
NZ552841A (en) 2009-07-31
BRPI0513089A (pt) 2008-04-29
CA2575484A1 (en) 2006-02-16
JP2008509144A (ja) 2008-03-27
EP1802286A1 (en) 2007-07-04
EP1802286B1 (en) 2008-07-23
US20060034927A1 (en) 2006-02-16
AU2005271522B2 (en) 2011-02-10
ATE401868T1 (de) 2008-08-15
DE602005008460D1 (de) 2008-09-04
CN101035519A (zh) 2007-09-12
KR101340946B1 (ko) 2013-12-13
NO338672B1 (no) 2016-09-26
MX2007001563A (es) 2008-03-05
AU2005271522A1 (en) 2006-02-16
NO20071175L (no) 2007-05-03
ZA200701878B (en) 2008-07-30
IL181117A (en) 2010-11-30
BRPI0513089B1 (pt) 2019-10-29
WO2006017537A1 (en) 2006-02-16
BRPI0513089B8 (pt)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946B1 (ko) 오름차 0차 방출 패턴을 나타내는 약물의 서방성 조성물,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JP3955320B2 (ja) バンド付き持続放出活性剤投与形
EP1942875B1 (en)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
US20040052844A1 (en) Time-controlled, sustain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water-soluble resins
CZ189597A3 (cs) Dávkovací prostředek pro řízené uvolňování suspenze léčiva
KR101317592B1 (ko) 프레가발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비닐알코올-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위체류형 서방성 제제
KR20010075676A (ko) 활성 제제의 제어 수송
JP2003534269A (ja) 水溶性とそれ以外の活性物質の放出制御錠剤およびその方法
JP2007532620A (ja) 両親媒性デンプンを含む医薬組成物
CZ20023470A3 (cs) Farmaceutický prostředek
JP2002533380A (ja) 多孔性粒子を含む剤形
WO2006082523A2 (en) Pharmaceutical sustained release composition of metformin
WO2003103637A2 (en) Modified release, multiple unit drug delivery systems
Nanjwade et al. Formulation of extended-release metformin hydrochloride matrix tablets
US20170231927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memantine
JP2004513975A (ja) 作用物質の制御放出のための静水圧デリバリシステム
EP2726064B1 (en) Controlled release oral dosage form comprising oxycodone
US8697755B2 (en) Beta 2 adrenergic receptor agonists such as terbutaline for use in the treatment of nocturnal hypoglycemia
JP2006528604A (ja) 6−ジメチルアミノメチル−1−(3−メトキシ−フェニル)−シクロヘキサン−1,3−ジオールを含む、有効物質徐放性医薬
WO2018211336A2 (en) Solid dosage form containing sorafenib tosylate
JP2861388B2 (ja) 徐放性錠剤
CN114099500B (zh) 依达拉奉缓释药物组合物、制备方法及应用
MXPA01004371A (en) Controlled delivery of active agents
EP1545473A2 (en) Modified release, multiple unit drug delivery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