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894A - 감열기록장치 - Google Patents

감열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894A
KR20070066894A KR1020060130640A KR20060130640A KR20070066894A KR 20070066894 A KR20070066894 A KR 20070066894A KR 1020060130640 A KR1020060130640 A KR 1020060130640A KR 20060130640 A KR20060130640 A KR 20060130640A KR 20070066894 A KR20070066894 A KR 20070066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heat generating
recording medium
thermal recording
gener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4119B1 (ko
Inventor
아키라 나카무라
타쿠 나이토우
히로시 와타나베
마사유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6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5Using suction for maintaining printing material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7Conveyor belts or lik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3Rollers driven, e.g. feed rollers separate from pla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4Aprons or guides for the print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22Clamps or grippers
    • B41J13/223Clamps or grippers on rotatable drums

Landscapes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PH를 이용한 감열기록장치로서 플래튼(platen) 롤러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천공기능과 반송기능을 모두 고정밀도로 달성하는 감열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TPH(서멀 프린트 헤드)의 발열소자(1)의 반송방향 상류측 근방에는 펌프에 접속된 흡인포트(3)가 개구되고, 그 하류측에는 반송롤러(7)가 설치되어 있다. 흡인펌프(5)에 의해 흡인포트(3)에서 공판원지(孔版原紙)(2)를 반송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흡인하여 반송롤러(7)에 의해 반송하면서 TPH를 작동시킨다. 공판원지는 TPH의 발열소자의 발열면에 확실히 흡착되어 안정적으로 반송되므로, 공판원지에 원하는 화상 등을 고정밀도로 천공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감열기록장치{THERMOSENSITIVE RECORDING DEVICE}
도 1은 메인 주사방향과 평행한 시선에서 본 제 1 실시형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메인 주사방향과 평행한 시선에서 본 제 2 실시형태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메인 주사방향과 평행한 시선에서 본 제 3 실시형태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메인 주사방향과 평행한 시선에서 본 제 4 실시형태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메인 주사방향과 평행한 시선에서 본 제 5 실시형태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메인 주사방향과 평행한 시선에서 본 제 6 실시형태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메인 주사방향과 평행한 시선에서 본 제 7 실시형태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메인 주사방향과 평행한 시선에서 본 제 8 실시형태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메인 주사방향과 평행한 시선에서 본 실시형태에서 롤형상의 공판원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0은 표면이 만곡된 서멀 헤드(thermal head)를 갖는 실시형태의 메인 주사방향과 평행한 시선에서 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은 메인 주사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발열소자를 구비한 서멀 프린트 헤드(Thermal print head)에 대하여, 감열기록매체(공판원지나 감열지)를 밀착시켜 서브 주사방향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발열소자를 임의로 구동하여 감열기록매체에 감열기록을 수행하는 감열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하기의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발열소자를 구비한 서멀 프린트 헤드(이하, 'TPH'라 함)를 이용한 감열기록장치로는, TPH와 플래튼(platen) 롤러의 조합에 의한 감열기록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감열기록장치에서는, TPH는 소정 위치에 고정되며, 이에 대하여 플래튼 롤러가 소정의 하중으로 접하면서 회전구동한다. 공판원지(孔版原紙)나 감열지(感熱紙) 등의 감열기록매체는, TPH와 플래튼 롤러의 사이에 끼어 반송되며, 그동안에 발열소자를 임의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감열기록매체에는 원하는 감열기록(공판원지의 경우에는 감열에 의한 천공)이 실시된다.
이와 같이, TPH를 이용한 종래의 감열기록장치의 구조로서, TPH(고정부재)와 플래튼 롤러(회전부재)를 조합함으로써 공판원지를 TPH의 발열소자에 밀착시키면서 반송하도록 한 것만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0-318236호
1. 본원 발명자에 의한 과제의 인식
본원 발명자는 상기 종래의 감열기록장치의 문제점을 해명하고 이를 개량하기 위하여, 감열기록매체에 TPH로 감열기록하는 하나의 구체예로서 공판원지에 감열에 의한 천공(제판(製版))을 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그 조건 등에 대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면밀히 검토하였다. 또한, 공판원지는 다공성의 지지체 시트 에 열용융성 필름을 부착한 구조로서, TPH의 발열소자에 의해 필름이 용융되어 구멍이 형성된다.
먼저, 여기서 제판이란, 공판원지에 독립적인 미세구멍을 형성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판원지의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제판유닛(상기 감열기록장치로서의 제판장치)에는, 임의의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는 기능(천공)과, 임의의 위치에 구멍을 형성하는 기능(반송)의 두 가지 기능이 필요하다.
2. 천공의 필요조건
먼저, 천공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TPH와 공판원지의 필름쪽을 밀착시키는 것인데, 이를 위해 공판원지를 TPH에 강력한 힘으로 눌러붙이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본원 발명자는 생각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제판유닛에서는, 낮은 압력으로 TPH에 공판원지를 밀착시키려고 하여도, TPH의 표면과 공판원지의 표면이 평탄하지 않기 때문에, 밀착할 수 없는 부분이 생겨 천공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피할 수 없다. 이에, 종래의 제판유닛에서는 TPH의 표면과 공판원지를 전면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하여, 플래튼 롤러에 의해 TPH에 가해지는 압력을 크게 설정하였다(가령 80 내지 100N).
플래튼 롤러의 사용에 추가하여, 이로 인해 TPH에 높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다음과 같은 과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즉, 압력을 높게 하였기 때문에 쓸데없는 에너지가 필요해지며, 또 높은 압력이 가해지는 각 부품에도 높은 강도가 필요해져 비용이 증대된다.
또, 압력을 높게 하였기 때문에 TPH나 플래튼 롤러가 휘어 압력의 균형이 깨져, 공판원지의 중앙부분에 천공이 정규상태로 형성되지 않는 등의 불량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높은 압력을 항시 가하는 구성에서는, TPH에 눌러 붙여져 있는 원기둥형의 플래튼 롤러의 둘레면 중 일부가 눌리어 단면이 D형으로 변형되며, 이로 인해 반송시(제판시)에 플래튼 롤러가 공판원지에 가하는 압력에 동요(動搖)가 일어나 반송편차나 천공불량이 생긴다. 이에, TPH압력방출기구와 같은 특수한 기구를 설치하여, 제판유닛을 사용하지 않을 때 플래튼 롤러와 TPH의 사이에 가해지고 있는 높은 압력을 방출하도록 하는 것도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일은 아니지만, 제판유닛 전체가 커지고 부품 수도 늘어 제조비용이 증대된다.
3. 고정밀 반송의 필요조건
다음으로, 고정밀 반송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미끄러짐(slip)이 잘 발생하지 않는 높은 반송력의 반송수단을 설치하는 것이라고 본원 발명자는 생각했다.
그런데, 종래의 제판유닛에서는, TPH(고정부재)에 플래튼 롤러(회전부재)를 조합한 반송기구로서, 공판원지를 플래튼 롤러에 의해 TPH에 문지르며 송출하기 때문에, 반송능력이 낮고 슬립이 발생하여 천공의 위치가 어긋나 천공된 화상이 변형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제판유닛에 따르면, 반송능력이 낮기 때문에, 경시변화나 공판원지의 표면상태의 편차 등에 따라 반송이 불안정해져 화상의 신축(伸縮)이 발 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여기서, 경시변화란, 높은 압력으로 TPH에 눌러 붙여져 있는 플래튼 롤러가 변형하여 그립(grip)력이 크게 저하되는 경우나, 공판원지의 표면에 박리제로서 도포되어 있는 실리콘오일이 플래튼 롤러로 옮겨져 미끄러지기 쉬워지는 현상을 가리킨다. 또한, 공판원지의 표면의 편차란, 일반적으로 공판원지는 롤형상으로 말린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중심에 가까운 쪽이 작은 곡률로 감겨 있어 공판원지의 다공성 지지체의 요철(凹凸)이 접해 있는 필름에 찍힘에 따라, 상기 필름쪽에 생긴 요철로 인해 플래튼 롤러와의 접촉면적이 적어져 미끄러지기 쉬워지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TPH(고정부재)와 플래튼 롤러(회전부재)를 서로 눌러 붙여 공판원지를 TPH의 발열소자에 밀착시키면서 반송하도록 한 종래의 제판유닛(감열기록장치로서의 제판장치)에 따르면, 임의의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는 천공기능과, 임의의 위치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반송기능의 두 가지 기능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TPH를 이용한 감열기록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플래튼 롤러를 이용한 구조로부터 완전히 벗어나, 전혀 새로운 기구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천공기능과 상기 반송기능의 두 가지 기능을 모두 높은 정밀도로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는,
메인 주사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발열소자를 구비한 서멀 프린트 헤드에 대하여, 감열기록매체를 밀착시켜 서브 주사방향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상기 발열소자를 임의로 구동하여 상기 감열기록매체에 감열기록을 수행하는 감열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열소자의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감열기록매체를 흡인하여 반송이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흡인수단과,
상기 감열기록매체의 반송방향에 관하여 상기 발열소자의 하류측에 설치되며, 상기 감열기록매체를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감열기록매체를 상기 흡인수단에 의해 흡인하면서 상기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함으로써 상기 감열기록매체를 상기 발열소자에 밀착시키면서 반송하며, 상기 발열소자를 임의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감열기록매체에 감열기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열기록매체가 공판원지이며, 상기 흡인수단이 상기 발열소자의 적어도 상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열기록매체가 감열지이며, 상기 흡인수단이 상기 발열소자의 상류측과 하류측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인수단은, 상기 흡인수단이 상기 감열기록매체를 흡인하는 흡인력을 검출하는 흡인력 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인력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흡인수단에 의한 흡인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인수단은 상기 감열기록매체의 메인 주사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흡인포트를 가지며, 상기 흡인포트의 메인 주사방향의 길이는 상기 감열기록매체의 메인 주사방향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는, 청구항 6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열소자의 메인 주사방향의 폭은 상기 흡인포트의 메인 주사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열소자와 상기 흡인수단이 설치된 상기 서멀헤드의 표면이, 상기 감 열기록매체의 반송방향에 대해 상기 발열소자 및 상기 흡인수단의 전방 및 후방의 양 위치에서 모두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감열기록매체가 상기 양 위치에서 상기 표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감열기록장치로서의 제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감열기록매체로는 공판원지를 이용한다. 공판원지는 롤형상으로 말려지며 사용에 따라 풀어내는 구성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1 내지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시트형상의 공판원지의 공급수단 내지 공판원지의 롤이 좌측에 배치되어 우측으로 풀리는 구성이며, 도 5에서는 시트형상의 공판원지의 공급수단 내지 공판원지의 롤이 우측에 배치되어 좌측으로 풀리는 구성이다.
(1) 제 1 실시형태(도 1)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제판장치는 TPH를 갖는다. TPH는 슬림한 직육면체형상의 부재로서, 그 외형의 길이방향(메인 주사방향, 즉 도 2에서 지면의 수직방향)을 따른 평탄한 바닥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나란한 복수의 발열소자(1)가 구비되어 있다. TPH는 발열소자(1)를 아래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바닥면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메인 주사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발열소자(1) 전체의 길이는, 공판원지(2)의 메인 주사방향의 폭(종이 폭)보다 작다. 또한, 본 예에서는 TPH의 평탄한 바닥면에는 특별히 부설물(구동을 위한 회로기판이나 소자 등)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판원지는 TPH의 평탄한 바닥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해 가게 된다.
TPH의 상기 발열소자(1)의 근방에는 공판원지를 흡인하여 반송할 수 있도록 유지하기 위한 흡인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즉, 공판원지의 반송방향(서브 주사방향)에 관하여, 발열소자(1)의 상류측에 인접한 위치에는 흡인수단으로서의 흡인포트(3)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흡인포트(3)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개구로서, 그 서브 주사방향의 폭은 가령 0.1mm 정도이고, 서브 주사방향에 대한 발열소자(1)와의 간격은 가령 0 내지 0.5mm 정도로 되어 있다. 특히 발열소자(1)의 엣지에 인접하여 흡인포트(3)가 설치되는 것(흡인포트(3)와 발열소자(1)의 간격은 0mm)이 바람직하다. 흡인포트(3)에는, 흡인수단으로서 흡인경로(4) 및 흡인펌프(5)가 접속되어 있다. 흡인포트(3)에서의 흡인방향은, 공판원지(2)의 지면(또는 TPH의 평탄한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이다.
흡인펌프(5)에 의한 흡인에 따라, 발열소자(1)의 상류측 근방위치에 있는 흡인포트(3)에서, 공판원지(2)를 서브 주사방향(반송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상방향으로, 가령 50kPa 정도의 작은 압력으로 흡인하여 TPH의 발열소자의 발열면에 확실하게 흡착할 수가 있다. 이러한 흡착상태는 공판원지(2)가 발열소자(1)에 안정적으로 밀착하는 상태인데, 후술하는 반송수단에 의해 공판원지(2)를 하류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발열소자(1)의 안정적인 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공판원지(2)를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는 상태이기도 하다.
한편, 본 예에서는, 흡인수단의 흡인경로(4)는 TPH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TPH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통상적인 TPH와 같은 컴팩트하고 슬림한 직사각형을 갖추고 있고, 공판원지가 안내되어 반송되는 TPH의 평탄한 바닥면에는 구동을 위한 회로기판이나 소자 등은 설치되지 않는다.
상기 흡인수단의 흡인경로(4) 도중에는 흡인펌프(5)가 공판원지(2)를 흡인하는 흡인력을 검출하기 위한 흡인력 검출수단으로서 압력계(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압력계(6)가 검출하는 압력값에 따라, 공판원지(2)가 흡인포트(3)에 소요(所要)의 상태로 흡인되며, 그 결과로서 공판원지(2)가 TPH의 발열소자(1)에 정규상태로 밀착(상술한 바와 같은 안정적으로 반송가능한 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공판원지(2)의 반송방향에 관해 발열소자(1)의 하류측에는, 공판원지(2)를 반송하는 반송수단으로서 한 쌍의 반송롤러(7)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반송롤러(7)에 의한 공판원지(2)의 핀칭 위치는, 흡인포트(3)에 흡인유지되어 발열소자(1)에 접해 있는 위치, 및 TPH의 평탄한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이다.
본 예의 구성부재의 위치관계에 따르면, 흡인포트(3)에 흡인되어 발열소자(1)에 밀착되며, 흡인포트(3) 및 발열소자(1)와 동일한 높이에 있는 반송롤러(7)에 의해 핀칭되어 반송되는 공판원지(2)는, 발열소자(1)의 표면(발열면) 또는 발열소자(1)가 배치된 TPH의 수평한 바닥면을 따라 전방으로 원활히 인출되며, 반송롤러(7)에 의해 앞쪽으로 송출되게 된다. 이러한 반송형태에서는, 흡인력과 반송롤러(7)에 의한 반송력을 적절히 조정하면, 공판원지(2)를 TPH의 발열소자(1)에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다음 공정(인쇄부 등)에 대하여 안정적이면서 고정밀도로 반송할 수가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공판원지(2)를 흡인펌프(5)에 의해 흡인하여 흡인포트(3) 내지 발열소자(1)에 흡착유지하면서 반송롤러(7)를 구동함으로써, 공판원지(2)를 발열소자(1)에 밀착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그대로 수평방향으로 문제없이 반송하며, 이러한 반송에 타이밍을 맞추어 발열소자(1)를 임의로 구동함으로써, 공판원지(2)에 원하는 화상 등을 고정밀도로 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흡인포트(3)를 발열소자(1)의 상류측에만 형성하였으나, 하류측과 상류측의 양쪽에 형성할 수도 있다. 하류측에서는 공판원지(2)의 천공된 부분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므로 흡착력은 약하지만, 적어도 상류측에 형성하고 하류측에도 보조적으로 흡인포트(3)를 형성한다면 문제가 없다. 이렇게 하면, 상류측에만 흡인포트(3)를 형성했을 경우에 비해 발열소자(1)에 대한 공판원지(2)의 밀착유지력이 그만큼 향상된다. 이 때에는, 반송롤러(7)에 의한 반송력을 증대시켜 공판원지(2)의 인출·반송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다.
(2) 제 2 실시형태(도 2)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TPH의 하면에 회로기판 등의 돌출된 부설물이 없기 때문에, 흡인포트(3)에 흡착된 공판원지를 그 바닥면을 따라 그대로 수평방향으로 반송하는 간소한 구성으로 할 수 있었으나, TPH 중에는 그 바닥면 쪽 등에 회로기판 등의 돌출된 부설물이 설치되어 있는 것도 있어, 이러한 TPH를 이용할 경우에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공판원지를 굴곡시키지 않고서 수평방향을 따라 그대로 반송해 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하의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TPH의 외면쪽에 돌출물이 있는 경우에도, 흡인유지에 의한 발열소자(1)와의 밀착을 유지하면서, 상기 돌출물을 피하여 공판원지를 문제없이 반송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예의 제판장치는 TPH의 구성이 제 1예와 달리, TPH의 바닥면에는 회로기판(P, 도시되지 않은 전자소자 등이 탑재됨)이 설치되며, 더욱이 이것을 커버하기 위한 안내판(8)이 설치되어 있다. 기타 구성은 제 1예와 동일하므로,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본 예에 따르면, 흡인펌프(5)에 의한 흡인에 의해, 발열소자(1)의 상류측 근방위치에 있는 흡인포트(3)에서, 공판원지(2)를 서브 주사방향(반송방향)에 대해 수직인 상방향으로, 가령 약 50kPa 정도의 작은 압력으로 흡인하여, TPH의 발열소자의 발열면에 확실하게 흡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흡착상태는 공판원지(2)가 발열소자(1)에 안정적으로 밀착하는 상태인데, 후술하는 반송수단에 의해 공판원지(2)를 안내판(8)을 피하여 비스듬한 하방의 하류를 향해 잡아당기면, 상기 발열소자(1)와의 안정적인 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공판원지(2)를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는 상태이기도 하다.
공판원지(2)의 반송방향에 관해 발열소자(1)의 하류측에는, 공판원지(2)를 반송하는 반송수단으로서 한 쌍의 반송롤러(7)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반송롤러(7)에 의한 공판원지(2)의 핀칭위치는, TPH의 발열소자(1)의 위치보다 약간 아래쪽이다. 또, 발열소자(1)보다 하류측인 TPH의 하면측에 설치된 안내부재로서의 상기 안내판(8)은, 반송되는 공판원지(2)를 안내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본 예의 구성부재의 위치관계에 따르면, 흡인포트(3)에 흡인되어 발열소자 (1)에 밀착하며, 안내판(8)에 안내되어 반송롤러(7)에 의해 핀칭되어 반송되는 공판원지(2)는, 발열소자(1)의 표면(발열면) 또는 발열소자(1)가 배치된 TPH의 수평한 바닥면에 대하여 비스듬한 전방(하류측)으로 예각(본 예에서는 약 15도, 90도 이하가 바람직함)으로 연이어 존재하며, 안내판(8)을 지난 후에 대략 수평해져 전방으로 인출되고, 반송롤러(7)에 의해 앞쪽으로 송출되게 된다. 이러한 반송형태에서도, 흡인력과 반송롤러(7)에 의한 반송력을 적절히 조정하거나, 또는 인출되는 공판원지(2)와 TPH의 바닥면의 각도를 90도 이내에서 적절히 조정하면, 공판원지(2)를 TPH의 발열소자(1)에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다음 공정(인쇄부 등)에 대하여 안정적이면서 고정밀도로 반송할 수가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공판원지(2)를 흡인펌프(5)에 의해 흡인하여 흡인포트(3) 내지 발열소자(1)에 흡착유지하면서 반송롤러(7)를 구동함으로써, 공판원지(2)를 발열소자(1)에 밀착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반송하며, 이러한 반송에 타이밍을 맞추어 발열소자(1)를 임의로 구동함으로써 공판원지(2)에 원하는 화상 등을 고정밀도로 천공할 수가 있다.
(3) 제 3 실시형태(도 3)
본 예는, 기본원리는 제 1예와 동일하지만, 흡인경로(4)가 TPH에 형성된 구조가 아니라, TPH에 인접 설치된 흡인블록(9)을 이용하여 TPH의 발열소자(1)의 근방에 흡인포트(3)를 배치한 것이다. 또한, TPH 자체의 구조, 외형이나 발열소자(1)의 배치, 개수 등은 제 2예와 동일하다.
TPH는 발열소자(1)가 수평한 상면측에 존재하도록 배치되며, TPH의 반송방향 (서브 주사방향, 도면의 좌우방향)의 상류측(도면의 좌측)에는, 발열소자(1)를 향해 하강하는 경사면(10)을 구비한,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사다리꼴인 흡인블록(9)이 배치되어 있다. 흡인블록(9)은 경사면(10)의 하방에 있는 TPH쪽의 측면이 후퇴된 단부(11)로 되어 있으며, 상기 단부(11)와 TPH의 사이에 흡인경로(4)가 설치되고, 경사면(10)의 하단에서 개구된 흡인포트(3)가 발열소자(1)의 상류측 근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인포트(3)에서의 흡인방향은, 공판원지(2)의 지면 내지 반송방향(서브 주사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하며, 흡인 방향은 반송 방향(도면의 우측 방향)과 반대(도면의 좌측 방향)이다. 발열소자(1)의 하류에는 안내판(8)이 있으며, 하류의 상방에는 반송수단으로서의 반송롤러(7)가 더 설치되어 있다. 흡인펌프(5)의 구성은 제 1예와 동일하다.
본 예의 구성부재의 위치관계에 따르면, 매엽형(시트형)의 공판원지(2)는 흡인블록(9)의 경사면(10)으로 안내되어 흡인포트(3)에 흡인되며, 이에 따라 발열소자(1)에 밀착된 상태에서, 안내판(8)으로 안내되어 반송롤러(7)에 의해 핀칭되어 반송된다. 이러한 형태로 반송되는 공판원지(2)는, 발열소자(1)의 표면 또는 발열소자(1)가 배치된 TPH의 수평한 상면에 대하여 비스듬한 전방(하류측)에 예각(본 예에서는 약 15도, 90도 이하가 바람직함)으로 연이어 존재하며, 안내판(8)을 지난 후에 대략 수평해져 전방으로 인출되고, 반송롤러(7)에 의해 앞쪽으로 송출되게 된다. 이러한 반송형태에서는, 흡인력과 반송롤러(7)에 의한 반송력을 적절히 조정하거나, 또는 인출되는 공판원지(2)와 TPH 상면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공판원지(2)를 흡인블록(9) 및 TPH의 발열소자(1)에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음 공정 (인쇄부 등)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가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공판원지(2)를 흡인펌프(5)로 흡인하여 흡인포트(3) 내지 발열소자(1)에 흡착유지하면서 반송롤러(7)를 구동함으로써, 공판원지(2)를 발열소자(1)에 밀착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반송하고, 이러한 반송에 타이밍을 맞추어 발열소자(1)를 임의로 구동함으로써, 공판원지(2)에 원하는 화상 등을 고정밀도로 천공할 수가 있다.
그 밖의 구성이나 변형예의 가능성, 작용효과 등은 제 1예와 동등하다.
(4) 제 4 실시형태(도 4)
본 예는 기본원리는 제 1예와 같지만, 흡인경로(4)가 TPH에 형성된 구조가 아니라, TPH에 인접설치된 흡인블록(12)을 이용하여 TPH의 발열소자(1)의 근방에 흡인포트(3)를 배치한 것이다. 또한, TPH는 발열소자(1)가 후단부의 모서리부에 가까운 상면측(배치했을 때는 하측이 됨)에 설치된 이른바 코너타입이라는 점 이외에는 구조, 외형, 발열소자(1)의 갯수 등이 제 1예와 동일하다.
TPH는 발열소자(1)를 하면측으로 하여 반송방향(서브 주사방향)의 하류측을 들어 올린 비스듬한(경사각도 약 30도) 자세로 배치되며, TPH의 반송방향의 상류측에는 수평한 안내면(13)을 구비한,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사다리꼴인 흡인블록(12)이 배치되어 있다. 흡인블록(12)은 그 전면과 TPH의 후단면의 사이에 흡인경로(4)가 설치되며, TPH의 후단면에 근접하여 설치된 발열소자(1)의 근방에 흡인포트(3)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인포트(3)에서의 흡인방향은, TPH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이며, 공판원지(2)의 지면 내지 반송방향(서브 주사방향)에 대하여, TPH의 상기 경사각도와 동일한 방향으로 쟀을 때 약 120도이다. TPH의 하류측에는 반송수단으로서의 반송롤러(7)가 설치되어 있다. 흡인펌프(5)의 구성은 제 1예와 동일하다.
본 예의 구성부재의 위치관계에 따르면, 매엽형(시트형)의 공판원지(2)는 흡인블록(12)의 안내면(13)으로 안내되어 흡인포트(3)에 흡인되며, 이로써 발열소자(1)의 모서리부에 감겨 그 발열면에 확실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그대로 대략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반송롤러(7)에 의해 수평상태인 채로 핀칭되어 반송된다. 이러한 반송형태에서는, 반송롤러(7)에 의한 반송력을 적절히 조정하거나, 또는 반송되는 공판원지(2)와 TPH 하면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TPH의 배치각도 또는 흡인블록(12)의 안내면(13)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공판원지(2)를 흡인블록(12) 및 TPH의 발열소자(1)에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밀도로 다음 공정(인쇄부 등)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가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공판원지(2)를 흡인펌프(5)로 흡인하여 흡인포트(3) 내지 발열소자(1)에 흡착 유지하면서 반송롤러(7)를 구동함으로써, 공판원지(2)를 발열소자(1)에 밀착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반송하고, 이러한 반송에 타이밍을 맞추어 발열소자(1)를 임의로 구동함으로써 공판원지(2)에 원하는 화상 등을 고정밀도로 천공할 수가 있다.
그 밖의 구성이나 변형예의 가능성, 작용효과 등은 다른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5) 제 5 실시형태(도 5)
본 예는 기본원리가 제 1예와 같지만, 흡인경로(4)가 TPH에 형성된 구조가 아니라, TPH에 인접하여 설치된 흡인블록(14)을 이용하여 TPH의 발열소자(1)의 근방에 흡인포트(3)를 배치한 것이다. 또, TPH는 발열소자(1)가 후단면의 모서리부에 설치된, 이른바 단면타입인 것 이외에는 구조, 외형, 발열소자(1)의 개수 등이 제 1예와 동일하다.
TPH는 후단면의 발열소자(1)를 하측으로 하여 반송방향(서브 주사방향)에 대해 수직인 자세로 배치되며, TPH의 반송방향 상류측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흡인블록(14)이 배치되어 있다. 흡인블록(14) 내에는 흡인경로(4)가 형성되어 있고, 그 흡인경로(4)의 개구인 흡인포트(3)는, TPH의 발열소자(1)의 상류측 근방으로서 발열소자(1)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흡인포트(3)에서의 흡인방향은 TPH의 바닥면(도면의 우측면)에 대해 평행하며, 공판원지(2)의 지면 내지 반송방향(서브 주사방향)에 대해 수직이다. TPH의 하류에는 반송롤러(7)가 설치되어 있다. 흡인펌프(5)의 구성은 제 1예와 동일하다.
본 예의 구성부재의 위치관계에 따르면, 매엽형(시트형)의 공판원지(2)는 흡인블록(14)의 안내면(15)으로 안내되어 흡인포트(3)에 흡인되며, 이에 따라 발열소자(1)의 모서리부에 걸림결합하여 감겨붙어 발열면에 확실히 밀착된 상태에서, 그대로 대략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반송롤러(7)에 의해 수평상태인 채로 핀칭되어 반송된다. 이러한 반송형태에서는, 반송롤러(7)에 의한 반송력 등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공판원지(2)를 흡인블록(14) 및 TPH의 발열소자(1)에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밀도로 다음 공정(인쇄부 등)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가 있 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공판원지(2)를 흡인펌프(5)로 흡인하여 흡인포트(3) 내지 발열소자(1)에 흡착하여 유지하면서 반송롤러(7)를 구동함으로써, 공판원지(2)를 발열소자(1)에 밀착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반송하고, 이러한 반송에 타이밍을 맞추어 발열소자(1)를 임의로 구동시킴으로써, 공판원지(2)에 원하는 화상 등을 고정밀도로 천공할 수가 있다.
그 밖의 구성이나 변형예의 가능성, 작용효과 등은 다른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6) 제 6 실시형태(도 6)
이상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반송수단을 모두 한 쌍의 반송롤러(7)로 구성하였으나, 그 밖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제 6 실시형태에서는, TPH의 하류측에, 하방의 벨트롤러(16)와 이것에 접하여 회동하는 상방의 반송롤러(7)로 이루어진 반송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벨트롤러(16)에는 흡인수단(17)이 설치되며, 통기성의 벨트를 통해 그 위에 있는 공판원지(2)를 흡인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반송롤러(7)와 벨트롤러(16)에 의해 핀칭된 공판원지(2)를 확실하게 유지하며 하류측으로 반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예에 따르면, 한 쌍의 반송롤러(7)에 의한 경우에 비해 잘 미끄러지지 않으며, 공판원지(2)를 하류를 향해 반송하는 작용이 한층 확실하고, 제판상태도 더욱 개선된다. 그 밖의 구성, 작용·효과, 변형예 등은 대체로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대응되는 부분에는 다른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은 생 략한다.
(7) 제 7 실시형태(도 7)
도 7에 도시된 제 7 실시형태에서는 TPH의 하류측에, 상방의 벨트롤러(16)와 이것에 접하여 회동하는 하방의 벨트롤러(16)로 이루어진 반송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하방의 벨트롤러(16)에는 흡인수단(17)이 설치되며, 통기성의 벨트를 통해 상하 벨트롤러(16,16)의 사이에 있는 공판원지(2)를 확실히 오류없이 흡인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양 벨트롤러(16,16)에 의해 핀칭된 공판원지(2)를 확실히 유지하며 하류로 반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예에 따르면, 제 6 실시형태에 비해 잘 미끄러지지 않으며 공판원지(2)를 하류를 향해 반송하는 작용이 더욱더 확실하고, 제판상태도 더욱 개선된다. 그 밖의 구성, 작용·효과, 변형예 등은 대체로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대응되는 부분에는 다른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8) 제 8 실시형태(도 8)
도 8에 도시된 제 8 실시형태에서는, 도 6의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인수단(17)을 갖는 하방의 벨트롤러(16)를, 발열소자(1)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에 달하도록 반송길이가 긴 것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방의 반송롤러(7)를 제거하며, 더욱이 반송수단으로서 본 제판장치의 하류에 배치된 인쇄수단인 인쇄드럼(20)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인쇄드럼(20)은 잉크 통과성을 갖는 원주형상의 판(版) 실린더와, 판 실린더의 외주에 설치되며 공판원지(2)의 선단부를 끼워 유지하는 개폐가능한 클램프 패 널(板)(21)과, 판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잉크공급수단을 가지며, 판 실린더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구동된다. 또한, 인쇄드럼(20)의 하방에는 도시되지 않은 가압롤러가 승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예에서는 흡인수단의 흡인경로(4)의 도중에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압력계(6) 등의 압력검출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그 검출신호는 제어수단(22)으로 보내지며, 제어수단(22)은 그 신호로부터 현재의 흡인력이 최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흡인수단으로서의 흡인펌프(5)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흡인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인쇄시에는, 공판원지(2)의 선단이 클램프 패널(21)에 핀칭된 상태에서 인쇄드럼(20)이 회동(回動)하여 공판원지(2)가 반송되고, 그동안에 흡인펌프(5)가 계속해서 구동되는 동시에, 공판원지(2)의 반송에 적합한 타이밍으로 TPH가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공판원지(2)에 필요한 천공을 실시하면서, 상기 공판원지(2)를 인쇄드럼(20)의 둘레벽에 감아 장착해간다. 그동안, 흡인력은 압력계(6) 및 제어수단(22)에 의한 제어작용에 의해 최적으로 유지되므로, 발열소자(1)에 대한 공판원지(2)의 밀착상태는 양호하다.
감아 장착한 후, 인쇄드럼(20)이 회동하는 동시에, 인쇄드럼(20)과 가압롤러의 틈새로 인쇄용지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이송되며, 이것과 타이밍을 맞추어 가압롤러가 상승하여 인쇄용지를 인쇄드럼(20)과의 사이에 끼우고, 이로써 인쇄용지는 인쇄롤러와 가압롤러에 의해 반송되면서 천공된 화상에 의한 인쇄가 이루어져 앞쪽 으로 배출된다.
본 예에 따르면, 제 7 실시형태에 비해 반송시에 더욱 잘 미끄러지지 않으며, 공판원지(2)를 하류를 향해 반송하는 작용이 더욱 확실하고, 제판상태도 더욱더 개선된다. 그 밖의 구성, 작용·효과, 변형예 등은 대체로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9) 그 밖의 실시형태(도 9)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도시된 공판원지(2)는 매엽형(시트형)이지만, 롤형상으로 감은 공판원지(2)도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그 공급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TPH의 상류측 부근에는, 롤형상의 공판원지(2)가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풀려나온 공판원지(2)는 가이드 샤프트(23)를 통해 TPH로 보내진다. 또한, TPH의 하류에 배치된 반송롤러(7)의 더 하류에는, 롤형상의 공판원지(2)로부터 풀려나온 길이가 긴 공판원지(2)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24)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8 실시형태(도 8)와 마찬가지로 압력계(6)와 제어수단(22)에 의해 최적의 흡인력을 실현하는 구성을 부가할 수도 있다.
본 예에 따른 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공판원지(2)의 롤을 소정 위치에 세트하고, 롤로부터 풀려나온 공판원지(2)를 제판장치 및 반송롤러(7)의 반송경로에 통과시키며, 도시되지 않은 센서를 이용하여 공판원지(2)의 선단의 위치를 결정한다. 즉, 제판개시버튼을 눌러 반송 롤러(7)를 작동시키고, 소정 위치에서 공판원지(2)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클램프 패널(21)이 소정의 클램프 위치로 설정되는 위치에 인쇄드럼(20)을 정지시킨다. 제판에 있어서는, 공판원지(2)를 클램프 패널(21)에 도입하고, 클램프 패널(21)을 회동시켜 공판원지(2)를 끼워 고정하며, 흡인펌프(5)를 작동시켜 흡인압력의 소정값을 확인한 후에 반송롤러(7)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인쇄드럼(20)을 동기회전시킨다. 그동안에 공판원지(2)의 반송에 맞추어 TPH의 발열소자(1)를 선택적으로 발열작동시켜 공판원지(2)를 천공한다. 제판의 종료 후, 흡인펌프(5)를 정지시키고 반송롤러(7)를 정지시켜 커터(27)에 의해 공판원지(2)를 절단한다. 이로써, 공판원지(2)를 제판하는 동시에 이것을 인쇄드럼(20)에 감아 장착할 수가 있다.
(10)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그 밖의 분야에서의 실시형태
이상 설명한 각 실시형태는 제판장치로 공판원지를 제판하는 것이었는데, 공판원지로서는 열가소성수지필름에 합성섬유의 지지체를 부착한 것, 열가소성수지필름에 천연섬유의 지지체를 부착한 것 모두가 포함되며, 그 밖에 열가소성수지필름으로만 이루어진 것(이른바, 지지체가 없는 마스터)도 포함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감열기록장치에는, 감열지에 감열기록하는 감열기록장치도 포함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감열기록 후의 감열지에는 제판된 공판원지와 같은 구멍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제판장치의 실시형태와는 달리, 감열지를 흡인하는 흡인수단을 발열소자(1)의 하류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물론, 상류측에 배치할 수도 있고, 양쪽에 배치하면 흡인유지력은 더욱 높아진다.
(11) 표면이 만곡된 서멀헤드를 구비한 실시형태(도 10)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발열소자(1)와 흡인수단의 흡인포트(3)가 형성된 서멀헤드(TPH)의 표면(도면의 하면)이, 공판원지(2)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발열소자(1) 및 흡인포트(3)의 전방 및 후방의 양 위치에서 모두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공판원지(2)의 공급원인 공판원지의 롤은, 반송방향에 관한 서멀헤드(TPH)의 바로 앞쪽에서 발열소자(1) 및 흡인포트(3)에 비해, 만곡된 상기 표면의 곡률 중심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며, 또한 반송롤러(7)는 반송방향에 관한 서멀헤드(TPH)의 뒤쪽에서 발열소자(1) 및 흡인포트(3)에 비해, 만곡된 상기 표면의 곡률 중심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공판원지(2)를 흡착수단에 의해 흡착하면서 반송롤러(7)에 의해 반송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판원지(2)는 발열소자(1)가 설치된 서멀헤드(TPH)의 볼록한 곡면에 감겨 붙도록 접해 있는 상태로 반송되므로, 제판시 감열기록매체의 발열소자에 대한 밀착성이 더욱 향상된다. 그 밖의 구성, 작용·효과, 변형예 등은 대체로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대응되는 부분에는 다른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상 설명한 복수의 실시형태의 각 구성부분은, 본 발명의 동일성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합하여 다른 실시형태로 할 수가 있으며, 그 경우에는 조합한 각 구성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작용 내지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1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따르면, 발열소자의 근방에 배치된 흡인수단에 의해 감열기록매체를 TPH의 발열소자에 밀착시키는 동시에, 반송방향에 관해 발열소자의 하류측에 설치된 반송수단에 의해 감열기록매체를 반송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흡인수단에 의한 비교적 작은 힘(에너지)에 의해 감열기록매체를 TPH의 발열소자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밀도로 감열기록매체를 반송할 수가 있다.
즉, 종래와 같이 회전하는 플래튼 롤러를 이용하여 감열기록매체를 커다란 압력으로 TPH에 눌러 붙이는 등의 기계적으로 매우 부담이 큰 구조와 달리, 비교적 작은 흡인에너지에 의해 발열소자에 밀착된 감열기록매체를, 그 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서브 주사방향으로 인출하여 반송하는, 장치 각 부 및 감열기록매체에 대한 기계적 부담이 적은 합리적인 구조에 의해 감열기록매체를 발열소자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전면에 걸쳐 밀착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높은 반송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고에 충실한 안정적인 감열기록(가령, 제판장치에 의한 공판원지에 대한 감열 천공)을 수행할 수가 있다. 또, 플래튼 롤러를 배제함에 따라 구조의 간이화 및 소형화가 달성되며, TPH만 채용하여도 플래튼 롤러에 의한 가압이 제거되어 소형화 및 비용절감이 달성되므로, 전체적으로 장치의 대폭적인 소형화 및 비용절감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 흡인수단에 의해 흡인되어 TPH의 발열소자에 밀착된 공판원지는, 반송수단에 의해 흡인방향과 직교하는 서브 주사방향으로 그대로 인출되어, TPH의 평탄한 외면을 따라 그대로 수평하게 앞쪽으로 반송되어 간다는 점에서, 반송에 지장을 일 으킬 가능성이 적어 바람직하다. 그러나, TPH의 외면에 공판원지의 반송에 지장이 있는 돌기물 등이 있을 경우 등에는, 공판원지를 흡인장소 내지 발열소자에서의 밀착위치로부터 약간 각도를 가지고 반송수단에 의해 인출하여 반송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흡인수단의 흡인력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따르면, 비교적 중간 부분이 약한 공판원지를 감열 천공할 경우에는, 흡인수단을 발열소자의 적어도 상류측에 설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따르면, 비교적 단단한 감열지에 감열기록할 경우에는, 흡인수단이 발열소자의 상류측과 하류측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3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있어서, 흡인수단이 감열기록매체를 흡인하는 흡인력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그 검출결과를 바탕으로 감열기록매체를 흡인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흡인력을 조정하는 등의 조작을 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따르면, 청구항 4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있어서, 흡인력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 흡인수단에 의한 흡인력을 제어함으로써 감열기록매체의 유지력을 최적으로 유지하며 TPH의 발열소자에 대하여 감열기록매체를 양호한 상태로 밀착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있어서, 흡인수단의 흡인포트로부터 공기가 누출되는 일이 없어 감열기록매체의 흡인에 의하여 발열소자에 대한 밀착이 확실해진다.
청구항 7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따르면, 청구항 6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있어서, 메인 주사방향으로 나란한 발열소자 전부를 감열기록매체에 밀착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감열기록매체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감열기록장치에 있어서, 발열소자와 흡인수단이 설치된 서멀헤드의 표면이, 발열소자와 흡인수단의 앞뒤에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감열기록매체를 흡착수단에 의해 흡착하면서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면, 감열기록매체는 서멀헤드의 표면에 감겨 붙도록 접하기 때문에, 제판시에 감열기록매체의 발열소자에 대한 밀착성이 더욱 향상된다.

Claims (8)

  1. 메인 주사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발열소자를 구비한 서멀 프린트 헤드에 대하여, 감열기록매체를 밀착시켜 서브 주사방향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상기 발열소자를 임의로 구동하여 상기 감열기록매체에 감열기록을 수행하는 감열기록장치로서,
    상기 발열소자의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감열기록매체를 흡인하여 반송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흡인수단과,
    상기 감열기록매체의 반송방향에 관하여 상기 발열소자의 하류측에 설치되며, 상기 감열기록매체를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감열기록매체를 상기 흡인수단에 의해 흡인하면서 상기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함으로써 상기 감열기록매체를 상기 발열소자에 밀착시키면서 반송하며, 상기 발열소자를 임의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감열기록매체에 감열기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기록매체가 공판원지이며, 상기 흡인수단이 상기 발열소자의 적어도 상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기록매체가 감열지이며, 상기 흡인수단이 상기 발열소자의 상류측 과 하류측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수단은, 상기 흡인수단이 상기 감열기록매체를 흡인하는 흡인력을 검출하는 흡인력 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력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흡인수단에 의한 흡인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수단은 상기 감열기록매체의 메인 주사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흡인포트를 가지며, 상기 흡인포트의 메인 주사방향의 길이는 상기 감열기록매체의 메인 주사방향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소자의 메인 주사방향의 폭은 상기 흡인포트의 메인 주사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소자와 상기 흡인수단이 설치된 상기 서멀헤드의 표면이, 상기 감열기록매체의 반송방향에 대해 상기 발열소자 및 상기 흡인수단의 전방 및 후방의 양 위치에서 모두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감열기록매체가 상기 양 위치에서 상기 표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장치.
KR1020060130640A 2005-12-22 2006-12-20 감열기록장치 KR100824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69514A JP2007168280A (ja) 2005-12-22 2005-12-22 感熱記録装置
JPJP-P-2005-00369514 2005-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894A true KR20070066894A (ko) 2007-06-27
KR100824119B1 KR100824119B1 (ko) 2008-04-21

Family

ID=3790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640A KR100824119B1 (ko) 2005-12-22 2006-12-20 감열기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46471A1 (ko)
EP (1) EP1800873A3 (ko)
JP (1) JP2007168280A (ko)
KR (1) KR100824119B1 (ko)
CN (1) CN19862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5533B (zh) * 2012-07-20 2016-04-27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防抖板及应用其的物件输送装置
US20140085390A1 (en) * 2012-09-27 2014-03-27 Timothy J. Young Vacuum pulldown of web in printing systems
JP6126731B1 (ja) * 2016-10-14 2017-05-10 新華情報システム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2805A (en) * 1987-08-14 1991-02-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JPH03230978A (ja) * 1990-02-05 1991-10-14 Minolta Camera Co Ltd 熱転写記録装置
JPH05254188A (ja) * 1992-03-16 1993-10-05 Konica Corp 熱転写画像形成装置
JPH09295434A (ja) * 1996-04-30 1997-11-18 Fuji Photo Film Co Ltd 感熱記録装置の防音機構
JP2000296642A (ja) 1999-02-08 2000-10-24 Fuji Photo Film Co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0318236A (ja) * 1999-05-10 2000-11-21 Riso Kagaku Corp 画像形成装置
US6226024B1 (en) * 1999-06-21 2001-05-01 Eastman Kodak Company Vacuum imaging drum with vacuum holes for maintaining a boundary in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2187298A (ja) * 2000-12-22 2002-07-02 Fuji Photo Film Co Ltd 感熱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46471A1 (en) 2007-06-28
JP2007168280A (ja) 2007-07-05
KR100824119B1 (ko) 2008-04-21
CN1986233A (zh) 2007-06-27
EP1800873A2 (en) 2007-06-27
EP1800873A3 (en)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2372B2 (en) Conveying device utilizing suction unit to attract print medium and printing apparatus using same
JP6210903B2 (ja) 空気力を利用したシート見当合わせと誘導された空気流による固定
JP4100198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100824119B1 (ko) 감열기록장치
JP5351567B2 (ja) ラベル貼付装置
JP4983517B2 (ja) 印刷装置
JPWO2017150002A1 (ja) ラベル貼付装置
JP5364325B2 (ja) シート貼付装置
JP2009234781A (ja) 画像形成装置
JP5552935B2 (ja) 保持部材の取付位置の確認方法、及び記録装置
JP6829714B2 (ja) ラベル貼付装置
JP2002103768A (ja) 印刷装置
JP4293853B2 (ja) ラベル貼付装置
JP2014148175A (ja) 記録装置
JP5163156B2 (ja) 印刷装置
JP2008094468A (ja) ラベル貼付装置
JP2008200877A (ja) ラベル製造装置およびラベルの製造方法
JP3556940B2 (ja) 媒体搬送ガイド
JP3817116B2 (ja) 孔版印刷装置
JP3101182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4839916B2 (ja) 画像記録装置
JP5163157B2 (ja) 印刷装置
JPH1012905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008927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55771A (ja) ラベル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