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4541A -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화상 처리 프로그램,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화상 처리 프로그램,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4541A
KR20070064541A KR1020060123790A KR20060123790A KR20070064541A KR 20070064541 A KR20070064541 A KR 20070064541A KR 1020060123790 A KR1020060123790 A KR 1020060123790A KR 20060123790 A KR20060123790 A KR 20060123790A KR 20070064541 A KR20070064541 A KR 20070064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lor conversion
color
processing
pal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2658B1 (ko
Inventor
히로유키 가와노
유즈루 스즈키
구니카즈 우에노
고이치 후지이
šœ스케 고다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4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062Discrimination between different image types, e.g. two-tone, continuous t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20Processor architectures; Processor configuration, e.g. pipel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16Conversion to subtractive colou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 변환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색 변환 처리에 요하는 처리량을 감소시켜서, 고속화를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입력 처리부(1)로부터 넘겨진 화상에 대해서, 블록 팔레트 변환부(2)에서 블록 단위로 상기 블록의 화소보다도 적은 색 수의 팔레트색 정보와 화소마다 팔레트색을 선택하기위한 선택 정보로 변환한다. 그리고, 팔레트색 정보에 대해서 제 1 색 변환부(3)에서 색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복원부(4)에서 선택 정보에 따라서 색 변환 처리 후의 팔레트색을 선택하여 블록 단위의 색 변환 후의 화상을 얻는다. 색 변환 처리는 팔레트색에 대해서만 행해지기 때문에, 모든 화소에 대해서 색 변환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현격히 처리량을 감소시켜서 고속화할 수가 있다.
블록 팔레트 변환부, 속성 판별부, 광 자기 디스크, 필터 처리부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화상 처리 프로그램, 기억 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동작의 구체예의 설명도.
도 3은 속성 판별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의 기능 또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한 경우에서의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매체의 일례의 설명도.
도 9는 DLUT에 의한 색 변환 방법의 일례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 처리부 2 : 블록 팔레트 변환부
3 : 제 1 색 변환부 4 : 복원부
5 : 속성 판별부 6 : 필터 처리부
7 : 제 2 색 변환부 8 : 출력 화상 생성부
9 : 출력 처리부 11 : 제 1 에지 검출부
12 : 제 2 에지 검출부 21 : 프로그램
22 : 컴퓨터 31 : 광 자기 디스크
32 : 광 디스크 33 : 자기 디스크
34 : 메모리 41 : 광 자기 디스크 장치
42 : 광 디스크 장치 43 : 자기 디스크 장치
본 발명은 입력 화상에 대해서 색 변환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화상에 대한 색 변환 처리는, 예를 들면, 복사기에서 스캔 화상에 화상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처리 화상을 프린트 엔진에 출력하는 경우 등, 다양한 장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복사기에서의 종래의 색 변환 처리의 하나로서, 예를 들면, DLUT(Direct Look-up Table)라고 불리는 보간(補間) 기능이 있는 다차원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도 9는 DLUT에 의한 색 변환 방법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여기서는 3차원의 L*a*b*색 공간을 L*, a*, b* 각각의 축을 소정 수로 분할한다. 공간은 입방체 또는 직방체로 분할되는데, 그 정점을 격자점이라고 부르고, 이 격자점마다 색 변환 후의 값을 유지해 둔다. 예를 들면, CMYK색 공간으로 변환하는 것이면, 격자점에 CMYK값을 대응시켜서 유지해 두면 된다.
분할된 입방체 또는 직방체는 보간 연산을 위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개의 사면체로 더 분할된다. 입력되는 L*, a*, b*의 값으로부터, 어느 사면체에 속하는지를 판정하여, 속하는 사면체의 4정점(격자점)에 대응하는 CMYK값을 사용한 보간 연산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입력된 임의의 L* a* b*값을 CMYK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DLUT를 사용하는 색 변환 방법에서는, 격자점의 값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점에서, 비선형의 색 변환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밀도로 색 변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색 재현 범위 외의 색에 대해서도 통일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특히, 복사기에서는, 이 DLUT에 의한 색 변환 수법을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여, 고속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화상의 고해상도화와 함께, 이 색 변환 처리에 요하는 처리량은 증가의 일로를 걷고 있다. 또한, 이 색 변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할 경우, 메모리 액세스나 연산량이 매우 많기 때문에, 방대한 처리 시간이 걸리고 있다. 또한, DLUT는 다차원이기 때문에 액세스하는 어드레스가 연속하지 않아, 그 때문에 메모리 액세스에는 다대한 시간을 요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색 변환은 상당히 시간이 걸리는 처리이며, 그 때문에 색 변환 처리의 고속화가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복사기에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화상을 문자 영역과 그림 영역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영역마다 적합한 처리를 행하고 있다. 색 변환 처리에서도 각각의 영역에 대해서 다른 색 변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영역에 적합한 색 변환을 행하는 것도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색 변환의 처리는 화소마다 행해지기 때문에, 각각의 영역에 적합한 처리를 행했다고 해서 처리량이 변하는 것은 아니라, 여전히 색 변환 처리에 다대한 처리 시간을 요하고 있었다.
한편, 색 변환 기술과는 다르지만, 화상 데이터의 압축 기술의 하나로서, 예를 들면, GBTC(Generalized Block Truncation Coding)로 대표되는 블록 부호화 기술이 있다. GBTC에 대해서는, 특허 문헌 2나 특허 문헌 3 등에 기재되어 있다.
컬러 화상에 대한 블록 부호화 기술에서는, 블록 내의 화소의 색을 소수의 팔레트색에 근사시킴으로써 데이터량의 삭감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블록 부호화 기술과 색 변환 기술과는 전혀 다른 기술로서 이용되고 있어, 색 변환 처리시에 팔레트색에 근사한 색 등의 기술이 이용되는 경우는 없었다.
[특허 문헌 1] 특허 제302337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 평9-9069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 평6-164950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색 변환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색 변환 처리에 요하는 처리량을 감소시켜, 고속화를 도모한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화상 처리 장치의 기능 또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 및, 그 화상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화상 중에는 문자나 선화(線畵)와 같이 높은 해상성은 요구되지만 색의 계조성(階調性)은 그다지 요구되지 않는 화상 또는 화상 부분과, 사진 등과 같이 그다지 해상성은 요구되지 않지만, 높은 색의 계조성이 요구되는 화상 또는 화상 부분이 있는 것에 착안하여, 후자와 같은 화상 또는 화상 부분에 대해서는 블록의 화소 수보다도 적은 색 수의 팔레트색 정보에 대해서 색 변환 처리를 행하고, 복원하여 원래의 크기 또는 해상도의 화상으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블록의 화소 수보다도 적은 팔레트색 정보에 대해서 색 변환 처리를 실시하므로, 블록의 모든 화소에 대해서 색 변환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비해서 처리량을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어, 고속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높은 해상성이 요구되는 화상 또는 화상 부분에 대해서는, 팔레트색 정보로 변환하지 않고 각각의 화소에 대해서 색 변환 처리를 행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이 색 변환 처리 결과와, 팔레트색 정보로 변환해서 색 변환 처리를 행하여 복원한 결과로부터 출력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팔레트색 정보로 변 환하지 않은 색 변환 처리는 팔레트색으로 변환하는 경우의 색 변환 처리에 비하여 연산량이 적은 색 변환 방식에 의해 행함으로써, 전체의 처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는, 예를 들면, 원고 모드나 컬러 모드, 화질 우선인지 속도 우선인지를 나타내는 처리 시간의 모드 등의 각종 처리 모드나, 시스템 리소스의 상황 등에 따라서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의 영역마다 속성 판정을 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 화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물론, 이들을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처리 모드 또는 처리 대상의 화상에 따른 색 변환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요구되는 색 변환 정밀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처리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팔레트색 정보로의 변환을 행하지 않은 경우의 색 변환 처리는 그다지 색 변환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보다 고속의 색 변환 수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해상성이 중시되는 화상으로서 문자나 선화 등의 화상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의 화상에 대해서는 에지를 추출하여 적응 필터 처리를 행함으로써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흑백 모드의 경우에는 색 변환 자체를 행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더 한층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팔레트색 정보로의 변환시에는, 처리 모드에 따라서 팔레트색의 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화상 또는 화상 중의 영역에 대응한 색 변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상성이 중시되는 화상 또는 화상 부분에 대해서는 블록 내의 화소의 색을 근사시키지 않고 그대로 팔레트색 정보로 하고, 해상성이 그다지 중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블록의 화소 수보다도 적은 팔레트색 정보로 변환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 중, 1은 입력 처리부, 2는 블록 팔레트 변환부, 3은 제 1 색 변환부, 4는 복원부, 5는 속성 판별부, 6은 필터 처리부, 7은 제 2 색 변환부, 8은 출력 화상 생성부, 9는 출력 처리부이다. 입력 처리부(1)는 입력된 화상에 대해서, 색 변환 처리 전에 행하는 각종 화상 처리를 행한다. 또한, 입력 화상 및 출력 화상의 색 공간은 임의이다.
블록 팔레트 변환부(2)는 입력 처리부(1)를 거쳐서 입력되는 화상을 블록 단위로, 블록의 화소 수보다도 적은 색 수의 팔레트색 정보와, 그 블록의 화소마다 팔레트색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로 변환한다.
제 1 색 변환부(3)는 블록 팔레트 변환부(2)에서 변환된 팔레트색 정보에 대해서, 각각의 팔레트색의 색 변환 처리를 행한다. 입력 화상과 출력 화상의 색 공간이 다른 경우에는 색 공간의 변환도 여기에서 행한다. 이 제 1 색 변환부(3)는 이 예에서는 사진 등의 그림 화상과 같이, 해상성보다도 계조성이 중시되는 화상에 대한 색 변환을 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DLUT 등에 의해 고정밀도의 색 변환을 행할 수 있다. 고정밀도의 색 변환을 행해도, 블록의 화소 수보다도 적은 색 수의 팔레트색 정보로 변환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 대상이 되는 색 수는 원래의 화상과 비교하여 적어져 있으므로, 팔레트화하지 않고 색 변환을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현격히 처리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처리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복원부(4)는 제 1 색 변환부(3)에 의해 색 변환된 팔레트색 정보를, 블록 팔 레트 변환부(2)에서 변환한 선택 정보에 따라서 선택하여, 블록 단위로 화상을 복원한다.
속성 판별부(5)는 입력 화상 중의 영역마다 속성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출력 화상 생성부(8) 및 출력 처리부(9)에 넘긴다. 속성 판별의 수법은 임의이며, 공지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문자 선화 부분과 그 밖의 부분을 판별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필터 처리부(6)는 입력 화상에 대해서 에지를 추출하여 적응 필터 처리를 실시한다. 이 처리는 문자 선화 부분의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행하는 에지 강조 처리이다. 또한, 이 필터 처리부(6)를 설치하지 않고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색 변환부(7)는 필터 처리부(6)에 의해 필터 처리가 실시된 화상에 대해서 색 변환을 실시한다. 입력 화상과 출력 화상의 색 공간이 다른 경우에는, 색 공간의 변환도 여기에서 행한다. 이 제 2 색 변환부(7)는 이 예에서는 문자나 선 등의 선화 화상 등과 같이 해상성이 중시되는 화상에 대한 색 변환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 제 2 색 변환부(7)도 DLUT 등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계조성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그다지 고정밀도한 색 변환은 필요없다. 따라서, 제 1 색 변환부(3)보다도 연산량이 적은 색 변환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참조 데이터를 적게 하여 보간 방법을 간략화하는 등, 처리의 간단화에 의한 고속화가 가능하다. 물론, DLUT 이외의 방법, 예를 들면, 매트릭스 변환 등, 다른 색 변환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력 화상 생성부(8)는 복원부(4)에서 블록 단위로 복원한 화상 또는 제 2 색 변환부(7)에서 색 변환 처리를 실시한 화상으로부터 출력 화상을 생성한다. 복원부(4)에서 복원한 화상과, 제 2 색 변환부(7)에서 색 변환을 실시한 화상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는, 예를 들면, 속성 판별부(5)에 의한 판별 결과나 미리 설정되는 처리 모드, 시스템 리소스의 상황 등에 따라 행할 수 있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속성 판별부(5)가 문자 선화라고 판별한 영역에 대해서는 제 2 색 변환부(7)에서 색 변환을 실시한 화상을 선택하고,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복원부(4)에서 복원한 화상을 선택해서, 양자를 합성하여 출력 화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처리 모드로서는, 예를 들면, 원고 모드나 컬러 모드 등이 있다. 원고 모드가 예를 들면, 문자 원고이면 제 2 색 변환부(7)에서 색 변환 처리를 실시한 화상을 선택하고, 사진 원고이면 복원부(4)에서 복원한 화상을 선택해서 출력 화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컬러 모드가 컬러인 경우에는 복원부(4)에서 복원한 화상을 선택하고, 흑백인 경우에는 제 2 색 변환부(7)에서 흑백 계조의 변환을 실시한 화상 또는 제 2 색 변환부(7)에 의한 색 변환을 행하지 않고 필터 처리부(6)에서 필터 처리를 실시한 화상을 선택하여, 출력 화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처리 속도를 중시할지 또는 화질을 중시할지를 설정한 처리 속도 모드에 의해서도 전환할 수 있다. 처리 속도를 중시하는 속도 우선 모드인 경우에는 복원부(4)에서 복원한 화상을 선택하고, 화질을 중시하는 화질 우선 모드인 경우에는 제 2 색 변환부(7)에서 색 변환 처리를 실시한 화상을 선택하면 좋다. 물론 다른 처리 모드가 존재하는 경우도 동일하여, 계조성이 중시되는지 해상성이 중시되는지에 따라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좋다.
또한, 이들의 처리 모드와 속성 판별부(5)에 의한 판별 결과를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속도 우선 모드에서는 화상 전체에 대해서 복원부(4)에서 복원한 화상을 선택하지만, 화질 우선 모드에서는 속성 판별부(5)에 의한 판별 결과에 따라서 영역마다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원고 모드로서 문자 사진 혼재 모드에서는 속성 판별부(5)에 의한 판별 결과에 따라서 영역마다 어느 하나를 선택하지만, 문자 모드나 사진 모드에서는 화상 전체로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처리 모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속성 판별부(5)에 의한 판별 결과의 이용을 조합시킬 수 있다. 반대로, 처리 모드만으로 처리를 전환하는 경우에는, 속성 판별부(5)를 설치하지 않고 구성해도 좋다.
출력 처리부(9)는 색 변환 처리 후의 화상에 대해서 각종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이 때, 속성 판정부(5)에 의한 판정 결과에 따라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동작의 구체예의 설명도이다. 여기서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부에 사진, 하부에 문자가 존재하는 화상을, 블록 팔레트 변환부(2), 제 1 색 변환부(3), 복원부(4)에 의한 처리와 필터 처리부(6), 제 2 색 변환부(7)에 의한 처리의 양자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도 2의 (a)에 나타낸 화상은 입력 처리부(1)에서 처리된 후, 블록 팔레트 변환부(2)와 속성 판별부(5)에 입력된다. 블록 팔레트 변환부(2)에서는 도 2의 (a)에 나타낸 화상을 블록 단위로 팔레트색 정보와 선택 정보로 변환한다. 도 2에서는 도 2의 (a)에 나타낸 화상 중 1개의 블록에 대해서 도 2의 (b)에 나타내고, 그 블록으로부터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팔레트색 정보와 선택 정보로 변환하 는 것으로서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1블록 4×4화소로서 예시하고 있다. 이 블록 내의 화소의 색을, 예를 들면, 도 2의 (c)에 나타낸 몇 개의 팔레트색 정보에 근사시킨다. 이 때의 팔레트색의 수는 블록의 화소 수보다도 적게 한다. 이 예에서는 블록 내의 16화소의 색을 최대 4색의 팔레트색으로 집약하고 있다. 그리고, 각 화소에 대해서는, 팔레트색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로 변환한다. 이 때, 팔레트색과 다른 색의 화소에 대해서도 유사한 팔레트색을 선택한다. 이 처리에 의해서 각 화소의 색은 팔레트색 중 어느 하나에 근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팔레트색 정보 중의 각 팔레트색에 대해서, 제 1 색 변환부(3)에서 그림용의 고정밀도한 색 변환 처리를 행한다. 이 색 변환 처리는 블록의 화소 수보다도 적은 팔레트색의 색 수만큼 행해지므로, 블록의 각각의 화소에 대해서 행할 경우에 비해서 색 변환을 위한 처리량이 현격히 감소하게 되어, 고속으로 색 변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 후, 복원부(4)에서는 도 2의 (c)에 나타낸 선택 정보에 따라서, 색 변환 처리 후의 팔레트색 정보 중의 팔레트색을 선택하고, 도 2의 (d)에 나타낸 색 변환 처리 후의 블록을 얻는다. 또한, 복원부(4)에서 복원한 화상은 도 2의 (d)에 1블록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입력된 화상에 대해서 블록마다 이러한 처리가 실시되게 된다.
한편, 속성 판별부(5)에서는 입력 처리부(1)에서 처리된 화상에 대해서 1 내지 복수 화소마다 속성을 판별해 둔다. 여기서는 도 2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의 사진 부분이 그림의 속성을 갖고, 하부의 문자 부분이 문자 선화의 속성을 갖는다고 판별한 것으로 한다.
또한, 입력 처리부(1)에서 처리된 화상은 필터 처리부(6)에서 필터 처리되어 에지 강조된 후, 제 2 색 변환부(7)에서 문자 선화용의 색 변환 처리가 실시된다. 이 문자 선화용의 색 변환 처리는 그다지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처리량이 적은, 고속 처리가 가능한 방식에 의해 색 변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도 2의 (f)는 제 2 색 변환부(7)에 의한 색 변환 후의 화상이라고 한다.
출력 화상 생성부(8)에서는, 여기서는 속성 판별부(5)의 판별 결과에 따라서 출력 화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하고, 도 2의 (d)에 나타낸 판별 결과로부터, 화상의 상부는 복원부(4)에서 복원한 화상을, 하부는 도 2의 (f)에 나타낸 제 2 색 변환부(7)에 의한 색 변환 후의 화상을 선택하고, 도 2의 (g)에 나타낸 출력 화상을 생성한다. 생성된 출력 화상은 출력 처리부(9)에서 처리되어,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출력 화상 중의 사진 부분에서는 팔레트화하여 색 변환 처리를 행하고, 복원하므로, 실질적인 해상성은 저하되지만, 고정밀도로 색 변환된다. 또한, 문자 부분은 해상성을 그대로 색 변환이 행해진다. 그리고, 제 1 색 변환부(3) 및 제 2 색 변환부(7) 모두, 종래의 화상 그대로의 고정밀도한 색 변환에 비교하여 처리 속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처리도 고속화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속성 판별부(5)나 필터 처리부(6)에서 더 한층 고속화가 가능하다. 도 3은 속성 판별부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 중, 11은 제 1 에지 검출부, 12는 제 2 에지 검출부이다. 속성의 판별 방법으로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여기서는, 특히 간이한 속성 판별 방법으로서 에지량에 의해 판별하는 방법을 채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에지 검출부(11)는, 예를 들면, 간단한 에지 검출 필터에 의해 에지량을 검출하여, 그 에지량이 제 1 임계값보다도 크면 문자 속성으로 판정하고, 제 1 임계값보다도 작은 제 2 임계값보다도 에지량이 작으면 그림 속성으로 판정하고, 그 이외이면 속성 불명으로 판별한다. 이들 제 1, 제 2 임계값은 이전 화소의 속성 판별 결과에 의해 가변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전 화소가 문자 속성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제 1 임계값만 또는 제 1 임계값과 제 2 임계값 양쪽을 낮게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서 처리 대상의 화소도 문자 속성으로 판별될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예를 들면, 이전 화소가 그림 속성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제 2 임계값만 또는 제 1 임계값과 제 2 임계값 양쪽을 높게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서 처리 대상의 화소도 그림 속성으로 판별될 확률이 높아진다. 이러한 임계값의 변경에 의해, 처리량이 적은 제 1 에지 검출부에서 속성이 결정되는 화소 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전체의 처리량을 감소시켜서,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2 에지 검출부(12)는 제 1 에지 검출부(11)보다도 상세한 처리에 의해 속성을 판별하는 것으로, 여러가지 방식 또는 각종 방식의 조합에 의해, 속성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지 검출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 1 에지 검출부(11)보다도 큰 사이즈의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얻어지는 에지량에 의한 속성의 판별은 소정의 임계값과의 비교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그 임계값은 제 1 에지 검출부(11)에서 얻어진 에지량에 의해 가중치가 부여되고, 그 가중 연산 은 제 1 에지 검출부(11)의 제 1 임계값과 제 2 임계값의 중간값과 에지량의 차분의 값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제 1 에지 검출부(11) 및 제 2 에지 검출부(12)에 의해서 문자 속성이라고 검출된 화소(또는 복수 화소로 이루어지는 영역)에 대해서는, 필터 처리부(6)에서 필터 처리가 실시된다. 이 때 속성 판별부(5)의 제 1 에지 검출부(11)에서 얻어진 에지량을 사용하고, 예를 들면, 그 에지량과 에지 강조 필터에서 얻어지는 에지 강도의 곱의 합연산(sum of product)의 결과를 필터 처리 결과로 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처리부(6)에서도 속성 판별부(5)에서의 판별 결과, 특히 제 1 에지 검출부(11)에서 검출한 것인지, 또는 제 2 에지 검출부(12)에서 검출한 것인지에 따라서, 필터 처리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에지 검출부(11)에서 문자 속성으로서 검출한 경우에는, 사이즈가 작은 강조 필터에 의해 필터 처리를 행하고, 제 2 에지 검출부(12)에서 문자 속성으로서 검출한 경우에는, 사이즈가 큰 강조 필터에 의해 필터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물론 필터 처리 방법을 변경해도 좋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서, 제 1 에지 검출부(11)에서 문자 속성이 검출된 경우에는, 필터 처리부(6)에서도 처리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 처리량을 저감할 수 있고, 따라서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속성 판별부(5)의 구성이나 필터 처리부(6)의 처리의 변경 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각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 중의 부호는 도 1과 동일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예에서는, 속성 판별부(5)는 판별 결과에 따라서 화상을 블록 팔레트 변환부(2) 또는 필터 처리부(6)에 할당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화상의 할당은 화상의 판별 결과 외에, 처리 모드에 의해서도 행할 수 있고, 양자를 조합시켜서 할당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속성 판별은 블록 팔레트 변환부(2)에서 1화소 이상이 되는 블록 단위로 행하면 좋으며, 블록 팔레트 변환부(2)에서 팔레트화할 때의 블록 단위로 행하면 더욱 좋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출력 화상 생성부(8)에서 선택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도 제 1 색 변환부(3) 및 제 2 색 변환부(7)에서 색 변환 처리를 행하고 있지만, 이 제 2 실시예에서의 구성에서는, 어느 하나의 색 변환 처리밖에 행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제 2 색 변환부(7)에서 처리 시간을 요하는 비교적 정밀도가 좋은 색 변환 처리를 행한 경우에도, 전체적인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고속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 중의 부호는 도 4와 동일하다. 이 예에서는, 제 2 색 변환부(7)로서 제 1 색 변환부(3)를 겸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 팔레트 변환부(2)에 의해서 처리해야 할 화소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해상성이 요망되는 문자 선화 부분에 대해서 고정밀도의 색 변환을 행해도, 화상 전체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색 변환부의 구성을 공통화함으로써, 구성을 간소화하여, 메모리량을 삭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는, 입력 화상의 데이터로서 PDL(Printer Description Language)로 기술된 데 이터를 받아들이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입력 처리부(1)에서는, 입력된 PDL로 기술된 입력 화상의 데이터를 해석하여, 각각의 묘화 오브젝트의 속성을 판별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입력 처리부(1)에서 속성 판별부(5)의 기능도 실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PDL로부터 판별한 속성이 문자 속성의 영역이면 필터 처리부(6)에 입력하고, 그림 속성의 영역이면 블록 팔레트 변환부(2)에 입력하여, 각각의 색 변환 처리를 행하면 좋다. 또한, PDL의 데이터 중에 라스터(raster) 화상이 포함되어 있던 경우에는, 그 라스터 화상에 대해서 영역 분리 처리를 행하여, 문자 또는 그림 중 어느 하나의 색 변환 처리를 실시하면 좋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프린터 또는 프린터 기능을 갖는 장치에 본원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 유효한 구성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 중의 부호는 도 1과 동일하다. 이 예에서는 블록 팔레트 변환부(2)에서 변환하는 팔레트색 정보의 색 수를 가변으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블록 팔레트 변환부(2)에서 변환하는 팔레트색 정보의 색 수를 적게 하면 그만큼 제 1 색 변환부(3)에서 색 변환 처리를 행하는 화소 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처리를 고속화할 수 있다. 그 반면, 몇가지의 색으로 통합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해상성은 열화되게 된다. 또한, 팔레트색 정보의 색 수를 블록 중의 화소 수와 동일하게 하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팔레트화하지 않고 색 변환 처리를 행한 경우와 동일한 해상성을 얻을 수 있다.
속성 판별부(5)는 화상의 판별 결과나 부여된 처리 모드 등을 토대로 블록 팔레트 변환부(2) 및 복원부(4)에 대해서 제어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문자 선화부로 판별한 영역에 대해서는 필터 처리부(6)의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블록 팔레트 변환부(2)는 속성 판별부(5)로부터 넘겨받는 제어 정보를 기초로 팔레트색 정보의 최대 색 수를 설정한다. 그리고, 블록 팔레트 변환부(2)는 동(同) 속성 판별부(5)를 통해서 넘겨받는 화상에 대해서 블록 단위로 팔레트색 정보 및 선택 정보로의 변환을 행한다. 제 1 색 변환부(3)는 팔레트색 정보 중 각각의 팔레트색에 대해서 색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복원부(4)는 색 변환된 팔레트색 정보의 팔레트색을 선택 정보에 따라서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고속 처리 모드에서의 처리나, 사진 등의 그림 영역에 대해서는 팔레트색 정보의 최대 색 수를 블록의 화소 수보다 적게 하여 제 1 색 변환부(3)에서의 처리량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처리 속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화질 우선의 처리 모드나 문자 선화 영역에 대해서는, 팔레트색 정보의 최대 색 수를 많게 하고, 예를 들면, 블록의 화소 수로서 제 1 색 변환부(3)에서의 색 변환을 행하면, 고해상도 또한 고계조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블록 팔레트 변환부(2)의 팔레트색 정보의 색 수를 제어함으로써, 처리의 고속화와 해상성의 열화 방지를 요구에 따라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선화 영역에서 팔레트색 정보의 색 수를 많게 했다고 해도, 문자색은 소수일 경우가 대부분이며, 따라서 실제로 이용되는 팔레트색 정보의 색 수는 소수이다. 그 때문에,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문자 선화 영역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색 변환을 위한 처리량을 감소시켜서, 고속화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선화에 대해서 블록 내의 색 수를 한정하는 것이면, 그림 영역과 동일 정도의 팔레트 색 수에 근사해도 좋고, 그 경우에는 전체 화상 영역에서 동일한 팔레트화, 색 변환 처리, 복원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의 기능 또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한 경우에서의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매체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면 중, 21은 프로그램, 22는 컴퓨터, 31은 광 자기 디스크, 32는 광 디스크, 33은 자기 디스크, 34는 메모리, 41은 광 자기 디스크 장치, 42는 광 디스크 장치, 43은 자기 디스크 장치이다.
상술한 각 실시예 및 그 변형예로서 설명한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21)에 의해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그램(21)으로 실현되는 경우, 그 프로그램(21) 및 그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데이터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억 매체란, 컴퓨터의 하드웨어 자원에 구비되어 있는 판독 장치에 대해서, 프로그램의 기술 내용에 따라, 자기, 광, 전기 등의 에너지의 변화 상태를 야기하여, 거기에 대응하는 신호의 형식으로, 판독 장치에 프로그램의 기술 내용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광 자기 디스크(31), 광 디스크(32)(CD나 DVD 등을 포함), 자기 디스크(33), 메모리(34)(IC 카드, 메모리 카드 등을 포함) 등이다. 물론 이들의 기억 매체는 휴대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기억 매체에 프로그램(21)을 저장해 두고, 예를 들면, 컴퓨터(22)의 광 자기 디스크 장치(41), 광 디스크 장치(42), 자기 디스크 장치(43), 또는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슬롯이나 인터페이스에 이들의 기억 매체를 장착함으로써, 컴퓨터로부터 프로그램(21)을 판독하여,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의 기능 또는 화상 처리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미리 기억 매체를 컴퓨터(22)에 장착 또는 내장해 두고, 예를 들면,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프로그램(21)을 컴퓨터(22)에 전송해서, 기억 매체에 프로그램(21)을 저장하여 실행시켜도 좋다. 물론, 일부의 기능에 대해서 하드웨어에 의해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전체를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화상을 블록화하고, 블록의 화소 수보다도 적은 색 수의 팔레트색 정보로 변환하여 색 변환 처리를 행할 색 수를 감소시킨 후 색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복원하여 원래의 화상의 크기 또는 해상도로 복귀시킨다. 이것에 의해, 적은 색 수에 대해서 색 변환 처리를 행하면 되어, 처리량을 저하시키고, 처리 시간을 단축하여 고속화할 수 있다. 또한, 처리 모드나 화상 또는 화상 중의 영역에 따라서, 팔레트색 정보로 변환하여 색 변환 처리를 행한 화상과, 팔레트색 정보로 변환하지 않고 색 변환을 행한 화상으로부터 출력 화상을 생성함으로써, 각각의 처리 모드나, 화상 또는 화상 중의 영역에 따른 색 변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요구된 색 변환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색 변환 처리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8)

  1. 입력 화상에 대해서 색 변환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상을 블록 단위로 상기 블록의 화소보다도 적은 색 수의 팔레트색 정보와 화소마다 상기 팔레트색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로 변환하는 블록 팔레트 변환 수단과, 상기 블록 팔레트 변환 수단으로 변환된 상기 팔레트색 정보에 대해서 색 변환을 행하는 제 1 색 변환 수단과, 상기 제 1 색 변환 수단에 의해서 색 변환된 팔레트색 정보를 상기 선택 정보에 따라서 선택하여 상기 블록 단위로 화상을 복원하는 복원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 화상에 대해서 색 변환을 실시하는 제 2 색 변환 수단과, 상기 복원 수단으로 복원된 화상 또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으로부터 출력 화상을 생성하는 출력 화상 생성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입력 화상에 대해서 에지를 추출하여 적응 필터 처리를 실시하는 필터 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은 상기 필터 수단에 의한 필터 처리 후의 화상에 대해서 색 변환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입력 화상 중의 영역마다 속성을 판별하는 속성 판별 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출력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서 판별된 속성에 의거하여 상기 복원 수단으로 복원된 화상 또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을 영역마다 선택하여 출력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상은 PDL에 의해 기술된 데이터이며, 상기 속성 판별 수단은 PDL의 기술을 해석하여 상기 속성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 문자 선화(線畵)로 판정된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을 선택하고, 사진으로 판정된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복원 수단으로 복원된 화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화상 생성 수단은 처리 모드에 따라서 상기 복원 수단으로 복원된 화상 또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화상 생성 수단은 원고 모드에 따라서 상기 복원 수단으로 복원된 화상 또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화상 생성 수단은 컬러 모드에 따라서 상기 복원 수단으로 복원된 화상 또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화상 생성 수단은 컬러 모드에 따라서 상기 복원 수단으로 복원된 화상 또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동시에, 흑백 모드시에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에 의한 색 변환을 행하지 않고 상기 필터 수단에 의한 필터 처리 후의 화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1.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화상 생성 수단은 처리 시간에 따라서 상기 복원 수단으로 복원된 화상 또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2.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화상 생성 수단은 시스템 리소스(resource)의 상황에 따라서 상기 복원 수단으로 복원된 화상 또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팔레트 변환 수단은 처리 모드에 따라서 팔레트색의 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4. 입력 화상에 대해서 색 변환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상을 블록 단위로 상기 블록의 화소보다도 적은 색 수의 팔레트색 정보와 화소마다 상기 팔레트색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에 블록 팔레트 변환 수단으로 변환하여, 변환된 상기 팔레트색 정보에 대해서 제 1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을 행하고, 색 변환된 팔레트색 정보를 상기 선택 정보에 따라서 복원 수단으로 선택하여 상기 블록 단위로 화상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입력 화상에 대해서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을 더 실시하고, 상기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 또는 상기 복원된 화상으로부터 출력 화상 생성 수단으로 출력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입력 화상에 대해서 필터 수단에 의해 에지를 추출하여 적응 필터 처리를 더 실시하고, 상기 필터 수단에 의한 필터 처리 후의 화상에 대해서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에 의한 색 변환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속성 판별 수단에 의해서 입력 화상 중의 영역마다 속성을 더 판별하고, 상기 출력 화상의 생성시에, 판별된 영역의 속성에 의거하여 상기 복원 수단으로 복원된 화상 또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을 영역마다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상은 PDL에 의해 기술된 데이터이며, 상기 PDL의 기술을 해석하여 상기 속성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화상의 생성시에, 문자 선화로 판정된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을 선택하고, 사진으로 판정된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복원 수단으로 복원된 화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20.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화상의 생성은 상기 복원 수단으로 복원된 화상 또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처리 모드에 따라서 선택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21.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화상의 생성은 상기 복원 수단으로 복원된 화상 또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원고 모드에 따라서 선택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22. 제 15 항 내지 제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화상의 생성은 상기 복원 수단으로 복원된 화상 또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컬러 모드에 따라서 선택 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화상의 생성은 상기 복원 수단으로 복원된 화상 또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컬러 모드에 따라서 선택하여 행하는 동시에, 흑백 모드시에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에 의한 색 변환을 행하지 않고 상기 필터 수단에 의한 필터 처리 후의 화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24. 제 15 항 내지 제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화상의 생성은 상기 복원 수단으로 복원된 화상 또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처리 시간에 따라서 선택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25.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화상의 생성은 상기 복원 수단으로 복원된 화상 또는 상기 제 2 색 변환 수단으로 색 변환이 실시된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시스템 리소스의 상황에 따라서 선택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2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색 정보로의 변환시에, 처리 모드에 따라서 팔레트색의 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27. 컴퓨터에, 입력 화상에 대해서 색 변환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의 기능 또는 제 14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
  28. 입력 화상에 대해서 색 변환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의 기능 또는 제 14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060123790A 2005-12-17 2006-12-07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기억 매체 KR100852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64148 2005-12-17
JP2005364148A JP4623301B2 (ja) 2005-12-17 2005-12-17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541A true KR20070064541A (ko) 2007-06-21
KR100852658B1 KR100852658B1 (ko) 2008-08-18

Family

ID=3754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790A KR100852658B1 (ko) 2005-12-17 2006-12-07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81526B2 (ko)
EP (1) EP1798954A1 (ko)
JP (1) JP4623301B2 (ko)
KR (1) KR100852658B1 (ko)
CN (1) CN10055097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536A1 (ko) * 2019-07-21 202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팔레트 모드의 적용 여부에 따라 디블로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3300B2 (ja) * 2005-12-17 2011-02-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267147B2 (ja) * 2009-01-16 2013-08-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527779B (zh) * 2009-03-12 2012-06-27 北京大学 一种校色的方法和装置
JP5039736B2 (ja) * 2009-03-24 2012-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70173A (ja) * 2011-09-21 2013-04-18 Fuji Xerox Co Ltd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4050576A1 (ja) * 2012-09-27 2014-04-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色変換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色変換方法
CN105164995B (zh) * 2013-04-29 2018-08-17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颜色图像处理
US9654806B2 (en) * 2014-03-26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palette size, palette entries and filtering of palette coded blocks in video coding
US9583305B2 (en) 2014-04-23 2017-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posure method using control of settling tim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integrated circuit devices by using the same
CN104021579A (zh) * 2014-06-10 2014-09-03 广州博冠信息科技有限公司 图片变色方法及装置
WO2016119667A1 (zh) * 2015-01-27 2016-08-04 同济大学 图像处理方法及装置
CN105828079B (zh) * 2015-01-27 2020-06-16 同济大学 图像处理方法及装置
WO2016158317A1 (ja) * 2015-03-31 2016-10-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WO2017125151A1 (en) * 2016-01-20 2017-07-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pipeline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1826A (ja) 1984-09-27 1986-04-25 Honda Motor Co Ltd クラツチコントロ−ル系の防振装置
US4668995A (en) 1985-04-12 1987-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reproducing mixed images
JPH0323374A (ja) * 1989-06-19 1991-01-31 Honda Motor Co Ltd パワーユニット
EP0407213B1 (en) 1989-07-07 1997-12-03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69032908T2 (de) * 1989-11-20 1999-09-09 Canon Kk Bildverarbeitungsgerät
JP3023374B2 (ja) 1990-10-25 2000-03-21 株式会社リコー 複写機の像域別画像処理装置
JPH06164950A (ja) 1992-11-26 1994-06-10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符号化/復号化方法
US6434266B1 (en) * 1993-12-17 2002-08-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colors in a color image
JP3284829B2 (ja) * 1995-06-15 2002-05-20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H09179973A (ja) * 1995-12-27 1997-07-1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US6204933B1 (en) * 1997-06-20 2001-03-20 Hitachi, Ltd. Information print system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H1188700A (ja) * 1997-09-04 1999-03-30 Hitachi Ltd カラー画像信号の符号化方法、復号化方法およびカラー画像処理装置
JP3608356B2 (ja) * 1997-11-18 2005-01-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方法
JP3304858B2 (ja) * 1997-11-28 2002-07-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送信装置および画像送信方法
JP2001223913A (ja) * 1999-11-30 2001-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TW514876B (en) * 2000-01-31 2002-12-21 Sony Corp Digital pictur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ethod thereof, digital picture recording apparatus, method thereof, transmitting method thereof, and data record medium thereof
JP4261739B2 (ja) * 2000-06-15 2009-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記憶媒体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2182635A (ja) * 2000-12-18 2002-06-26 Konami Co Ltd 画像データの減色変換方法、減色画像の表示方法及びそれらの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記憶媒体
JP2002209103A (ja) * 2001-01-09 2002-07-26 Minolta Co Ltd 画像処理装置
JP4323742B2 (ja) * 2001-12-28 2009-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215814B2 (en) * 2002-12-06 2007-05-08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performing image correction for object, and method thereof
JP4386339B2 (ja) * 2003-10-10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536A1 (ko) * 2019-07-21 202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팔레트 모드의 적용 여부에 따라 디블로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23301B2 (ja) 2011-02-02
CN1984229A (zh) 2007-06-20
JP2007166561A (ja) 2007-06-28
US7881526B2 (en) 2011-02-01
EP1798954A1 (en) 2007-06-20
CN100550973C (zh) 2009-10-14
KR100852658B1 (ko) 2008-08-18
US20070139675A1 (en)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658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기억 매체
KR100816709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화상 처리 프로그램 및기억 매체
JP5132517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2008025935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2004104432A (ja) 画像処理装置
JP200631968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839582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rinting in black coloring material based on attribute information
US9948824B2 (en) Image compress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compr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173665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69331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5001296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duct
JP4656457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
JPH1063833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7185451B2 (ja) 画像処理装置と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051221A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化装置、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2024006426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generating color-reduced image with high object reproducibility, control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307017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320593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画像処理方法
JPH0496575A (ja) 画像符号化方法
JP3135311B2 (ja) 画像処理装置
JP2954234B2 (ja) カラー文書画像処理システム
JP202311140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04112604A (ja) 画像処理装置
JP2007166563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3344255B2 (ja) 画像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