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3433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3433A
KR20070063433A KR1020060126691A KR20060126691A KR20070063433A KR 20070063433 A KR20070063433 A KR 20070063433A KR 1020060126691 A KR1020060126691 A KR 1020060126691A KR 20060126691 A KR20060126691 A KR 20060126691A KR 20070063433 A KR20070063433 A KR 20070063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housing
panel
cover
ima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야 아마따쯔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3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4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렌즈와 촬상 소자를 갖는 촬상 블록이 배열되는 카메라 하우징, 및 카메라 하우징의 외표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하우징의 외표면 측에는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를 수용하는 매체 수용 섹션이 형성된다. 기록 매체는 카메라 하우징에 대한 하우징 커버의 일방향 슬라이드에 따라 매체 수용 섹션에 수용된다.
촬상 블록, 카메라 하우징, 하우징 커버, 기록 매체, 리브, 수광/발광 유닛

Description

촬상 장치 {IMAGING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것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3은 그 디스플레이 유닛이 개방된 상태의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4는 그 일부가 분해된 상태의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5는 그 디스플레이 유닛 및 개폐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촬상 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6은 그 하드 디스크, 내측 커버, 및 하우징 커버가 분해된 상태의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7은 단면 도시된 제2 패널의 하우징 리브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
도8은 디스플레이 유닛이 폐쇄된 상태의 촬상 장치의 확대 배면도.
도9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도8에 도시된 것과 역으로 폐쇄된 상태의 촬상 장치의 확대 배면도.
도10은 촬상 장치의 내부 구조의 일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11은 내부 구조의 일부의 확대 횡단면도.
도12는 그 제2 패널, 조작 블록, 및 배터리가 제거된 상태의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13은 손바닥에 파지된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14는 스피커용 부착 구조물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15는 스피커용 부착 구조물의 확대 사시도.
도16은 그 제1 패널 및 배터리가 제거된 상태의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17은 보드 유닛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18은 보드 유닛의 확대 사시도.
도19는 도18에 도시된 것과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보드 유닛의 확대 사시도.
도20은 유지 베이스, 회로 보드, 및 가압 부재 사이의 위치 관계의 개략 확대 평면도.
도21은 보드 유닛이 유닛 결합 섹션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확대 사시도.
도22는 보드 유닛이 유닛 결합 섹션과 결합된 상태의 개략 확대 배면도.
도23은 촬상 블록, 열방사 판금 등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24는 촬상 블록에 제어 보드 등이 부착된 상태의 확대 사시도.
도25는 촬상 블록, 열방사 판금 등의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촬상 장치 5: 카메라 하우징
6: 하우징 커버 17: 매체 수용 섹션
19a: 수광/발광 유닛 32: 하드 디스크
33: 내측 커버 44: 파지 섹션
77: 촬상 블록 79: 촬상 소자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대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그 내부에 촬상 블록이 배열되는 카메라 하우징의 외표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우징 커버를 제공함으로써 기록 매체에 대한 보전성의 향상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카메라 및 스틸 카메라와 같은 동화상 촬영 및 정지 화상 촬영(still image photographing)을 수행할 수 있는 촬상 장치가 존재한다.
촬상 장치에는, 피사체의 화상을 캡처하기 위한 촬영 렌즈, 포커스 기능 및 줌 기능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나타내는 다양한 렌즈, 촬영 시에 필요한 각종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촬영 버튼, 촬영 시에 또는 촬영된 화상의 재생시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등이 제공된다.
이러한 촬상 장치에는,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가 필요하다. 기록 매체로서는, 하드 디스크가 사용되는 기록 매체와 같이 외부 하우징에 미리 수용되는 기록 매체가 존재한다(예를 들면, JP-A-2001-6266 참조).
그러나, 과거의 촬상 장치에서는, 외부 하우징에 미리 수용된 하드 디스크를 교체 또는 보수하려면, 외부 하우징을 분해하고 하드 디스크를 외부 하우징 내에 제공된 드라이브 유지 유닛으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촬상 장치의 보전성이 낮다. 예를 들면, 외부 하우징을 분해하고 하드 디스크를 드라이브 유지 유닛으로부터 제거하는 작업 및 하드 디스크의 교체 또는 보수와 같은 여러 종류의 작업은 복잡하고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기록 매체의 보전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렌즈와 촬상 소자를 갖는 촬상 블록이 배열되는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외표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외표면 측에는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를 수용하는 매체 수용 섹션이 형성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카메라 하우징에 대한 하우징 커버의 일방향 슬라이드에 따라 매체 수용 섹션에 수용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는, 하우징 커버의 일방향 슬라이드에 따라 매체 수용 섹션에 기록 매체를 수용할 수 있고 하우징 커버의 다른 방향 슬라이드에 따라 매체 수용 섹션으로부터 기록 매체를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상 장치는 소정 렌즈와 촬상 소자를 갖는 촬상 블록이 배열되는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외표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외표면 측에는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를 수용하는 매체 수용 섹션이 형성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카메라 하우징에 대한 하우징 커버의 일방향 슬라이드에 따라 매체 수용 섹션에 수용된다.
따라서, 하우징 커버를 제거함으로써 기록 매체를 교체 및 보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촬상 장치의 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매체 수용 섹션에 배열되어 기록 매체를 밀봉하는 내측 커버가 제공된다. 따라서, 내측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커버의 형상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커버의 외표면이 촬영 시에 파지되는 파지 섹션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촬영을 실행하기 위해 파지 섹션을 파지할 때, 기록 매체로부터 파지 섹션을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바닥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구동시에 발생된 열이 손바닥으로 전달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촬상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커버의 외표면과 하우징 커버의 내표면 사이에 갭이 형성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 내부에 발생된 진동 및 열은 파지 섹션을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바닥에 덜 쉽게 전달된다. 이로 인해 촬상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커버의 내표면 또는 내측 커버의 외표면과 접촉하는 리브가 내측 커버의 외표면 또는 하우징 커버의 내표면에 제공된다. 따라서, 내측 커버가 매체 수용 섹션에서 가압된다. 이로 인해 매체 수용 섹션에서 기록 매체 및 내측 커버의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광 유닛 또는 발광 유닛중 적어도 하 나를 가지며,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빛이 입사 또는 출사되는 수광/발광 유닛이 제공된다. 하우징 커버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기록 매체가 매체 수용 섹션에 수용될 때, 수광/발광 유닛은 하우징 커버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하우징 커버가 카메라 하우징에 부착되도록 슬라이딩되고 기록 매체가 매체 수용 섹션에 수용될 때, 동시에, 수광/발광 유닛이 하우징 커버에 의해 폐쇄된다. 이로 인해 촬상 장치의 조립 작업 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정지 화상 촬영 및 동화상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컴퓨터에 내장되는 카메라 및 스틸 카메라와 같은 동화상 촬영 또는 정지 화상 촬영 기능을 갖는 다양한 촬상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후, 상하, 좌우 각각의 방향은 촬영자 측에서 바라본 방향을 나타낸다. 피사체 측을 전방으로 지칭하고 촬영자 측을 후방으로 지칭한다.
촬상 장치(비디오 카메라)(1)는 보디 유닛(2), 및 상기 보디 유닛(2) 상에 자유롭게 회전운동하고(자유롭게 개방 및 폐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유닛(3)을 구비한다(도1 내지 도3 참조).
상기 보디 유닛(2)은 외부 하우징(4), 및 상기 외부 하우징(4)에 배치되는 각각의 필요한 유닛을 갖는다. 외부 하우징(4)은 카메라 하우징(5),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5)에 대해 슬라이드가능한 하우징 커버(6)를 구비한다.
카메라 하우징(5)의 내부 공간은,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와 같은 다양한 렌즈와 후술하는 CCD(전하결합소자)와 같은 촬상 소자를 갖는 촬상 블록이 배열되는 촬상-블록 배열 섹션(5a)으로서 형성된다(도4 참조).
제1 패널(7), 제2 패널(8), 제3 패널(9), 제4 패널(10), 및 원통형 패널(11)은 카메라 하우징(5)을 형성하도록 상호 연결된다(도1 내지 도4 참조). 예를 들어, 제1 패널(7)은 좌측 섹션(7a) 및 하면 섹션(7b)을 구성한다. 제2 패널(8)은 우측 섹션(8a)을 구성한다. 제3 패널(9)은 상면 섹션(9a)을 구성한다. 제4 패널(10)은 후면 섹션(10a)을 구성한다. 원통형 패널(11)은 제1 패널(7), 제2 패널(8), 및 제3 패널(9)이 조합된 상태에서 이들 패널의 전방 단부와 조합된다.
제1 패널(7)의 좌측 섹션(7a)은 그 전방 단부와 하측 단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편평 섹션(7c)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편평 섹션(7c)에는 복수의 조작 버튼(12)이 배열된다(도3 및 도5 참조). 이들 조작 버튼(12)은 예를 들어, 백라이트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백라이트 보정 버튼, 화상의 흐려짐(blur)을 보정하기 위한 흐려짐 보정 버튼, 피사체의 눈이 적색으로 촬영되는 소위 적목(red-eye) 촬영을 방지하기 위한 적목 방지 버튼, 및 색조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화이트 밸런스 버튼으로서 작용한다. 편평 섹션(7c)에는 스피커 구멍(7d)이 형성된다. 편평 섹션(7c)의 스피커 구멍(7d) 근처에는 나사 삽입 구멍(7e)이 형성된다. 편평 섹션(7c) 후단의 외표면에는 고무 패드(13)가 상호 수직 이격되도록 부착된다.
제1 패널(7)의 좌측 섹션(7a)의 하단에는 개폐 커버(7f)가 제공된다(도3 및 도5 참조). 좌측 섹션(7a)의 상기 개폐 커버(7f)가 제공되는 위치에는 장방형 배열 구멍(7g)이 형성된다(도5 참조). 제1 패널(7)에서, 배열 구멍(7g)의 좌우 위치에는 각각 나사 삽입 구멍(7h)이 형성된다. 개폐 커버(7f)를 개방 및 폐쇄함으로써 연결 단자(14)가 노출된다. 연결 단자(14)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2.0 단자, HDMI(Hight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및 전원용 단자이다.
제1 패널(7)의 좌측 섹션(7a)의 하단의 후단에 있는 외표면에는 위치설정 돌기(15)가 제공된다. 위치설정 돌기(15)는 제1 패널(7)의 것과는 다른 부재로 형성된다. 위치설정 돌기(15)는, 제1 패널(7)에 대한 디스플레이 유닛(3)의 위치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3)에 형성되는 후술되는 위치설정 리세스에 삽입되는 기능을 갖는다. 제1 패널(7)에 표면 페인팅이 적용되기 때문에, 위치설정 리세스가 형성되는 벽면과 접촉하게 될 위치설정 돌기(15)는 위치설정 돌기(15)에 표면 페인팅을 적용하지 않도록 제1 패널(7)의 그것과 다른 부재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페인트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패널(7)의 하면 섹션(7b)의 일 단부에는 스크루 관통 구멍(7i)이 형성된다(도4 참조).
제2 패널(8)의 우측 섹션(8a)에는, 도6에 도시하듯이, 우측으로 돌출하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 리브(16)가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 리브(16)에 의하면 우측으로 개방되는 얕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매체 수용 섹션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우측 섹션(8a)은 카메라 하우징(5)의 외표면측에 형성된 매체 수용 섹 션(17)과 카메라 하우징(5)의 내부 공간, 즉 촬상-블록 배열 섹션(5a)을 구획하는 격벽으로서 기능한다.
하우징 리브(16)의 상하에 위치한 섹션에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홈(16a)이 형성된다(도7 참조). 우측 섹션(8a)에는 관통 구멍(8b)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 구멍(8b)은 커버 부재(18)에 의해 폐쇄된다(도6 참조).
제2 패널(8)의 우측 섹션(8a)의 전방 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향하는 보드(19)가 부착된다(도6 참조). 상기 보드(19) 상에는, 소정 기능을 나타내는 빛이 입사 및 출사되는 수광/발광 유닛(19a)이 배열된다. 수광/발광 유닛(19a)으로서는, 자동 촬영시에 리모콘에서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수광체 및 야간 촬영이 가능한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광체가 사용된다.
제2 패널(8)의 우측 섹션(8a)에는, 유지 판금(20)이 보드(19) 바로 아래의 위치에 부착된다. 유지 판금(20)에는 유지 구멍(20a)이 형성된다.
제3 패널(9)의 좌측 에지에는 절취부(9b)가 형성된다(도4 참조). 제3 패널(9)의 상면에는 장식 패널(21)이 부착된다. 장식 패널(21)은 열전도성이 높고 가벼운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재료로 형성된다.
장식 패널(21)은 옆으로 긴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전방 단부에는 사운드 구멍(21a)이 형성된다. 사운드 구멍(21a)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제3 패널(9)의 섹션에는 사운드 입력 구멍(9c)이 형성된다. 사운드 입력 구멍(9c)의 바로 아래 위치에는 도시되지 않은 마이크가 배열된다. 따라서, 촬영시의 사운드는 장식 패널(21)의 사운드 구멍(21a)과 제3 패널(9)의 사운드 입력 구 멍(9c)을 통해서 마이크에 입력된다.
장식 패널(21)의 좌측 에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피부착 피스(21b)가 제공된다. 피부착 피스(21b)는 제3 패널(9)의 절취부(9b)로부터 카메라 하우징(5)의 내부로 돌출된다.
제4 패널(10)의 하단에는 배터리 장착 리세스(10b)가 형성된다(도4 참조).
배터리 장착 리세스(10b)에는 배터리(22)가 부착된다(도3 참조). 배터리(22)가 부착되는 섹션 위의 섹션은 후방으로 돌출된다. 돌출되는 섹션은 뷰파인더 유닛(23)으로서 제공된다.
뷰파인더 유닛(23)의 우측에는 조작 블록(24)이 부착된다(도1 내지 도4 참조). 조작 블록(24)에는 조작 스위치(25)가 제공된다. 조작 스위치(25)로서는, 예를 들어, 촬영 모드와 플레이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모드 전환(switch over) 스위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 촬영을 시작 및 정지하기 위한 촬영 스위치, 및 주밍(zooming)을 수행하기 위한 줌 스위치가 제공된다.
원통형 패널(11)에는 장식 링(26)이 외부 끼움 형상으로 부착된다. 장식 링(26)은 열전도성이 높고 가벼운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재료로 형성된다. 원통형 패널(11)의 내부에서 그 전방 단부에는 렌즈 셔터(27)가 배열된다(도1 및 도2 참조).
디스플레이 유닛(3)은 도5에 도시된 A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운동(자유롭게 개방 및 폐쇄)하고 도5에 도시된 B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보디 유닛(2) 상에 지지된다.
도5에 도시하듯이, 디스플레이 유닛(3)은 디스플레이 하우징(28), 및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28)에 의해 유지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9)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28)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9)이 제공되는 측인 제1 표면(30)은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표면(30)의 반대쪽에 있는 제2 표면(31)(도1 참조)은 완만한 거의 아치형의 표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하우징(28)은 상하 방향으로 중심에서 두껍고 상단과 하단에서 얇게 형성된다. 제1 표면(30)의 하단의 후단에는 위치설정 리세스(30a)가 형성된다(도4 및 도5 참조).
디스플레이 패널(29)의 표면(화상 디스플레이 표면)은 제1 표면(30)보다 제2 표면(31)측으로 약간 더 오목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하우징(28)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9)이 배열되는 섹션이 배열 리세스(28a)로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유닛(3)은 보디 유닛(2)에 대해 예를 들어 0°(폐쇄 상태)에서 90°(개방 상태)로 회전 운동가능하게 만들어진다. 폐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3)은 도시되지 않은 가압 스프링에 의해 보디 유닛(2)과 접촉하는 방향(도5에 도시된 A1방향)으로 가압(urge)된다. 개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3)은 동일한 도시되지 않은 가압 스프링에 의해 보디 유닛(2)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도5에 도시된 A2방향)으로 가압된다.
디스플레이 유닛(3)의 제1 표면(30)이 좌측 섹션(7a)과 대향하도록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도8에 도시하듯이, 제1 표면(30)은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는 고무 패드(13)와 접촉한다. 상하 방향으로 중심에 위치하는 고무 패드(13)는 디스플레이 하우징(28)의 배열 리세스(28a)에 배치된다. 이 시점에서, 좌측 섹션(7a)에 제공 된 위치설정 돌기(15)는 제1 표면(30)에 형성된 위치설정 리세스(30a)에 삽입된다. 보디 유닛(2)에 대한 디스플레이 유닛(3)의 위치설정이 수행된다.
그러므로, 보디 유닛(2)에 대한 디스플레이 유닛(3)의 위치설정은 제1 표면(30)에 형성된 위치설정 리세스(30a)와 좌측 섹션(7a)에 제공된 위치설정 돌기(15)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디 유닛(2)에 대한 디스플레이 유닛(3)의 위치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좌측 섹션(7a)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하는 위치설정 섹션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해 촬상 장치(1)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촬상 장치(1)의 크기 감소를 실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3)의 제2 표면(31)이 좌측 섹션(7a)과 대향하도록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도9에 도시하듯이, 제2 표면(31)은 상하 방향 중심에 위치한 고무 패드(13)와 접촉한다. 이 시점에서, 실질적으로 아치형 표면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표면(31)은 좌측 섹션(7a)에 제공된 위치설정 돌기(15)로부터 후퇴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3)이 위치설정 돌기(15)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제2 표면(31)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표면(31)은 위치설정 돌기(15)와 접촉이 방지되도록 임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할 뿐이다. 따라서, 촬상 장치(1)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카메라 하우징(5)의 우측 섹션(8a)에 형성된 매체 수용 섹션(17)에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32)와 같은 소정의 기록 매체 드라이브가 배열된다. 하드 디스크(32)는 내측 커버(33)에 의해 밀봉된 상태에서 하우징 커버(6)에 의해 매체 수용 섹션(17)에 수납된다(도6, 도10 및 도11 참조).
하드 디스크(32)는 편평하고 옆으로 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종방향 일단부로부터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34)이 인출된다.
하드 디스크(32)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댐퍼(dampers)(35)가 부착된다. 댐퍼(35)는 충격 및 진동을 쉽게 흡수하는 고무와 같은 재료로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트인(fit-in:끼워넣기) 섹션(36), 및 상기 피트인 섹션(36)의 전후 양 단부로부터 피트인 섹션(36)에 직교하는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압 섹션(37)을 구비한다. 피트인 홈(36a)의 외측에 있는 섹션이 외측 유지 섹션(36b)으로서 제공된다. 피트인 홈(36a)의 내측에 있는 섹션이 내측 유지 섹션(36c)으로서 제공된다.
하드 디스크(32)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피트인 홈(36a)에 끼움으로써 하드 디스크(32)에 댐퍼(35)가 부착된다.
댐퍼(35)가 하드 디스크(32)에 부착되는 상태에서, 하드 디스크(32)의 전면 및 후면의 상하 양 단부가 가압 섹션(37)에 의해 가압된다(도11 참조).
카메라 하우징(5)의 내부 공간인 매체 수용 섹션(17), 즉 촬상-블록 배열 섹션(5a)을 형성하는 우측 섹션(8a)의 내측에는 제어 회로 보드(38)가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된다(도10 내지 도12 참조). 제어 회로 보드(38)에는 하드 디스크(3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 촬상 블록의 각 유닛에 대한 조작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 회로 등이 형성된다. 제어 회로 보드(38)에는 다수의 전자 부품(38a) 및 하드 디스크(32)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38b)가 장착된다. 제어 회로 보드(38)의 하단에서, 커넥터(38b)가 장착되는 표면의 반대쪽 표면에는 연결 단자(14)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38c)가 장착된다(도10 및 도11 참조).
하드 디스크(32)는 댐퍼(35)가 부착된 상태에서 매체 수용 섹션(17)에 배열된다(도10 및 도11). 이 시점에서, 도6 및 도11에 도시하듯이, 하드 디스크(32)에 연결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34)은 우측 섹션(8a)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8b)을 통해서 삽입되고, 제어 회로 보드(38)의 커넥터(38b)에 연결된다. 가요성 인쇄회로기판(34)이 커넥터(38b)에 연결될 때, 관통 구멍(8b)은 커버 부재(18)에 의해 폐쇄된다(도10 및 도11 참조).
도11에 도시하듯이, 가요성 인쇄회로기판(34)은 소정 상태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매체 수용 유닛(17)에 수용된다. 가요성 인쇄회로기판(34)의 상기 관통 구멍(8b)을 통해서 삽입된 섹션은 관통 구멍(8b)의 개방 에지에 대해 가압되고, 커버 부재(18)에 의해 유지된다.
이런 식으로, 한 쌍의 가요성 인쇄회로기판(34)이 관통 구멍(8b)의 개방 에지에 대해 가압되고, 커버 부재(18)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34)이 커넥터(38b)로부터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촬상-블록 배열 섹션(5a)에 배열된 촬상 블록의 구동 시에는, 진동 및 열 발생, 특히 CCD 및 제어 회로 보드(38)에서의 열 발생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촬상-블록 배열 섹션(5a) 및 매체 수용 섹션(17)은 격벽으로 기능하는 우측 섹션(8a)에 의해 구획되므로, 촬상 블록 및 제어 회로 보드(38)에서 발생된 열 및 진동이 하드 디스크(32)로 덜 쉽게 전달된다. 따라서, 하드 디스크(32)의 작동 신 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역으로, 하드 디스크(32)가 구동될 때는, 하드 디스크(32)에 진동 및 열 발생이 일어날 수 있다. 격벽으로 작용하는 우측 섹션(8a)은 진동 및 열 발생이 촬상 블록에 쉽게 전달되지 못하게 한다.
하드 디스크(32)가 구동될 때는, 하드 디스크의 회전으로 인해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소리는 격벽으로 작용하는 우측 섹션(8a)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발생된 소리는 촬상-블록 배열 섹션(5a)에 배열된 마이크에 노이즈로서 덜 쉽게 전달된다.
더욱이, 격벽으로서 작용하는 우측 섹션(8a)에 형성된 관통 구멍(8b)이 커버 부재(18)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에, 매체 수용 섹션(18)과 촬상-블록 배열 섹션(5a) 사이의 차폐 특성이 높다. 따라서, 양 섹션 사이에서 진동, 열, 및 사운드의 전달의 제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측 커버(33)는 좌측으로 개방되는 얕은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6에 도시하듯이,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된 편평 섹션(33a) 및 상기 편평 섹션(33a)의 외주 에지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하는 주변 에지(33b)가 일체로 형성되어 내측 커버(33)를 형성한다.
하우징 커버(6)는 좌측 및 후방으로 개방되는 얕은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6, 도10 및 도11에 도시하듯이, 하우징 커버(6)는 주 표면 섹션(39), 상기 주 표면 섹션(39)의 전방 에지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하는 앞면 섹션(40), 및 상기 주 표면 섹션(39)의 상측 및 하측 에지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하는 측부 섹션(41)을 각각 구비한다.
주 표면 섹션(39)의 내표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39a)가 제공된다. 이들 리브(39a)는 상호 수직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앞면 섹션(40)에는 투과 구멍(40a)이 형성된다. 투과 구멍(40a)의 전방 개방 에지에는, 앞면 섹션(40)의 표면의 약간 뒤에 배치된 계단형 표면 섹션(40b)이 제공된다. 계단형 표면 섹션(40b)에는 적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커버(42)가 부착된다.
앞면 섹션(40)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유지 돌기(43)가 제공된다. 유지 돌기(43)에는 유지 구멍(43a)이 형성된다.
측부 섹션(41)의 좌측 단부의 내표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돌출 스트립(41a)이 각각 제공된다.
하드 디스크(32)가 매체 수용 섹션(17)에 배열된 상태에서, 내측 커버(33)는 주변 에지(33b)의 선단 에지가 하우징 리브(16)의 선단 에지에 대해 부딪히는 상태로 부착되어 하드 디스크(32)를 밀봉한다. 하드 디스크(32)가 내측 커버(33)에 의해 밀봉되는 상태에서, 하우징 커버(6)는 매체 수용 섹션(17)을 폐쇄하도록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카메라 하우징(5)에 부착된다.
하우징 커버(6)의 슬라이드는 슬라이드 돌출 스트립(41a)을 하우징 리브(16)의 슬라이드 홈(16a)으로 각각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하우징 커버(6)가 슬라이드되어 카메라 하우징(5)에 부착될 때, 보드(19) 상에 배열된 수광/발광 유닛(19a)은 앞면 섹션(40)에 부착된 커버(42)의 후방에 정확히 배치되며, 수광/발광 유닛(19a)의 일부는 투과 구멍(40a)에 배치된다(도11 참조).
역으로, 하우징 커버(6)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내측 커버(33)를 제거함으로써 하드 디스크(32)를 외부 하우징(4)의 내부로부터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 나사를 하우징 커버(6)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나사 관통 구멍을 통해서 삽입하여 하우징 커버(6)를 카메라 하우징(5)에 나사체결함으로써 하우징 커버(6)를 카메라 하우징(5)에 고정할 수 있다.
전술했듯이, 촬상 장치(1)에서, 하우징 커버(6)는 카메라 하우징(5)에 부착되도록 슬라이딩되고 하드 디스크(32)는 매체 수용 섹션(17)에 수용된다. 동시에, 수광/발광 유닛(19a)은 하우징 커버(6)에 의해 폐쇄된다. 이로 인해 촬상 장치의 조립 작업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우징 커버(6)를 슬라이딩시키고 하우징 커버(6)를 카메라 하우징(5)에 부착함으로써 하드 디스크(32)를 매체 수용 섹션(17)에 수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드 디스크(32)를 외부 하우징(4)에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더욱이, 하우징 커버(6)와 내측 커버(33)를 제거함으로써 하드 디스크(32)를 교체 및 보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드 디스크(32)는 충격으로 인한 영향을 받기 쉬운 장치이며 그 취급에 있어서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술했듯이, 하우징 커버(6)가 카메라 하우징(5)에 부착되고 하드 디스크(32)가 매체 수용 섹션(17)에 수용되면, 촬상 장치(1)에 대한 다른 조립 단계들이 완성된 후 하드 디스크(32)를 최종 단계에서 조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드 디스크(32)의 손상 및 파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6)의 외표면이 촬영 시에 사용자의 손바닥(100)에 의해 쥐어지는 파지 섹션(44)으로서 형성된다(도13 참조).
하우징 커버(6)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카메라 하우징(5)에 부착된 상태에서, 하우징 커버(6)의 리브(39a)는 내측 커버(33)의 편평 섹션(33a)과 접촉된다(도10 및 도11 참조). 따라서, 내측 커버(33)는 하우징 커버(6)에 의해 가압되고, 매체 수용 섹션(17)에서 하드 디스크(32) 및 내측 커버(33)의 백래시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는, 내측 커버(33)의 외표면 측으로 돌출하는 리브(39a)가 하우징 커버(6)의 내표면에 제공된다. 역으로, 하우징 커버(6)의 내표면 측으로 돌출하는 리브를 내측 커버(33)의 외표면 상에 제공하여 매체 수용 섹션(17)에서 하드 디스크(32) 및 내측 커버(33)의 백래시를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커버(33)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파지 섹션(44)을 파지하여 촬영을 수행할 때, 하드 디스크(32)로부터 파지 섹션(44)을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바닥(100)까지의 거리가 길다. 따라서, 하드 디스크(32)의 구동시에 발생된 열이 손바닥(1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촬상 장치(1)의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측 커버(33)를 제공함으로써, 내측 커버(33)의 외측에 위치되는 하우징 커버(6)의 형상을 쉽게 파지되는 형상 등으로서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우징 커버(6)가 카메라 하우징(5)에 부착되는 상태에서, 하우징 커버(6)의 내표면과 내측 커버(33)의 외표면 사이에는 리브(39a)에 의해 고정 갭(에어 층)(17a)이 형성된다(도10 및 도11 참조). 그러므로, 촬상 장치(1)에서 발생된 진동 및 열이 파지 섹션(44)을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바닥(100)에 덜 쉽게 전달된다. 이로 인해 촬상 장치(1)의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우징 커버(6)가 카메라 하우징(5)에 부착되는 상태에서, 하우징 커버(6)의 유지 돌기(43)와 카메라 하우징(5)에 부착된 유지 판금(20)은 상하로 중첩된다(도11 참조). 유지 돌기(43)의 유지 구멍(43a)과 유지 판금(20)의 유지 구멍(20a)을 통해서 스트랩(45)이 삽입된다(도13 참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스트랩(45)을 사용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32)에 부착된 댐퍼(35)에서는, 도10에 도시하듯이, 내측 유지 섹션(36c)의 좌우 방향 폭(H1)이 외측 유지 섹션(36b)의 좌우 방향 폭(H2)보다 크게 설정된다. 예를 들면, 내측 유지 섹션(36c)의 폭(H1)은 약 5mm로 설정되고 외측 유지 섹션(36b)의 폭(H2)은 약 3mm로 설정된다.
촬상 장치(1)에서, 카메라 하우징(5)의 촬상-블록 배열 섹션(5a)에 배열된 각각의 유닛은 고정된 상태에 있다. 매체 수용 섹션(17)에 배열된 하드 디스크(32)는 댐퍼(35)에 의해 유지되며, 내측 커버(33) 및 제2 패널(8)과 접촉하지 않는다. 하드 디스크(32)는 내측 커버(33)에 의해 밀봉된다. 하우징 커버(6)는 내측 커버(33)의 외측에 갭(17a)을 두고 설치된다.
그러므로, 촬상 장치(1)에서, 하드 디스크(32)로 전달되는 충격력은 촬상 장 치(1)가 하우징 커버(6)측을 아래로 해서 떨어질 때보다 촬상 장치(1)가 디스플레이 유닛(3)측을 아래로 해서 떨어질 때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하드 디스크(32)에 전달될 것으로 추정되는 충격력의 차이를 고려하여, 댐퍼(35)의 내측 유지 섹션(36c)의 폭(H1)은 댐퍼(35)의 외측 유지 섹션(36b)의 폭(H2)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런 식으로 내측 유지 섹션(36c)의 폭(H1)과 외측 유지 섹션(36b)의 폭(H2)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댐퍼(35)의 좌우 방향 폭을 최적화한 후 하드 디스크(32)에 주어지는 충격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촬상 장치(1)의 좌우 방향 폭을 최소화하고 하드 디스크(32)의 작동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댐퍼(35)의 내측 유지 섹션(36c)의 폭(H1)과 외측 유지 섹션(36b)의 폭(H2)의 크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촬상 장치(1)의 각 유닛의 낙하 방향 및 중량의 차이에 기초하여 하드 디스크(32)에 주어지는 충격력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폭(H1)과 폭(H2)을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유닛의 중량으로 인해 하드 디스크(32)에 주어지는 충격력의 영향 등을 고려하면, 하드 디스크(32)에 전달되는 충격력은 촬상 장치(1)가 하우징 커버(6)측을 아래로 해서 떨어질 때보다 촬상 장치(1)가 디스플레이 유닛(3)측을 아래로 해서 떨어질 때 더 작은 것으로 추정될 때, 내측 유지 섹션(36c)의 폭(H1)을 외측 유지 섹션(36b)의 폭(H2)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패널(7)의 좌측 섹션(7a)의 내표면에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된 배열 리브(7j)가 제공된다. 상기 배열 리브(7j)는 스피커 구멍(7d)을 둘러싸는 위치에 제 공된다(도14 및 도15 참조). 좌측 섹션(7a)의 내표면에는, 배열 리브(7j)의 외측에 나사 보스(7k)가 정확히 제공된다.
카메라 하우징(5)의 내측에는 접지 판금(46)이 고정된다(도14 및 도16 참조). 접지 판금(46)은 카메라 하우징(5)의 내측에 제공되는 도시되지 않은 접지 회로에 연결된다. 접지 판금(46)에는 피부착 피스(46a)가 제공된다. 피부착 피스(46a)에는 나사 구멍(46b)이 형성된다.
제1 패널(7)의 배열 리브(7j)의 내측에는 실질적으로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 스피커(47)가 배열된다.
스피커(47)는 가압 판금(48)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에서 제1 패널(7)에 부착된다(도14 및 도15 참조). 가압 판금(48)은 스프링 특성을 갖는 예를 들어 SUS(스테인레스 스틸)와 같은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다. 가압 판금(48)은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압 섹션(49), 상기 가압 섹션(49)의 종방향으로 일단부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는 연속 섹션(50), 및 상기 연속 섹션(50)의 좌측 단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피부착 섹션(51)을 구비한다. 가압 섹션(49)의 종방향 양 단부에는 나사 관통 구멍(49a)이 각각 형성된다. 가압 섹션(49)의 종방향 중심에는 좌측으로 돌출되는 엠보싱 형상의 스프링 가압 섹션(49b)이 제공된다. 피부착 섹션(51)의 선단에는 나사 구멍(51a)이 형성된다.
가압 판금(48)은 제1 부착 나사(52)를 나사 관통 구멍(49a)을 통해서 삽입함으로써 제1 패널(7)의 좌측 섹션(7a)의 내표면에 부착되고, 제1 패널(7)의 나사 보스(7k)에 각각 나사체결된다. 가압 판금(48)이 좌측 섹션(7a)에 부착되는 상태에 서, 스프링 가압 섹션(49b)은 스피커(47)의 뒷면 중심과 탄성 접촉하여 스피커(47)를 유지한다.
가압 판금(48)이 좌측 섹션(7a)에 부착되는 상태에서, 좌측 섹션(7a)의 외표면측으로부터 나사 삽입 구멍(7e) 안으로 제2 부착 나사(53)가 삽입된다. 제2 부착 나사(53)는 가압 판금(48)의 나사 구멍(51a)을 통해서 삽입되고 접지 판금(46)의 나사 구멍(46b)에 나사체결된다. 따라서, 가압 판금(48)의 피부착 섹션(51)과 접지 판금(46)의 피부착 피스(46a)는 제2 부착 나사(53)에 의해 서로 표면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스피커(47)가 정전기로 대전될 때, 이 정전기는 가압 판금(48) 및 접지 판금(46)을 통해서 스피커(47)로부터 접지 회로로 신속히 흐르며, 접지 회로로부터 방전된다.
전술했듯이, 촬상 장치(1)에서는, 스프링 가압 섹션(49b)을 갖는 가압 판금(48)이 사용되어 스피커(47)를 가압하고 스피커(47)의 대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가압 판금(48)과 스피커(47) 사이에는 고무 부시와 같은 쿠션이 불필요하다. 이로 인해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가압 판금(48)의 일부를 엠보싱 형상의 돌기로서 형성함으로써 스프링 가압 섹션(49b)이 형성되기 때문에, 가압 판금(48)을 가공하기가 용이하다. 이로 인해 제작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가압 판금(48)과 접지 판금(46)은 제2 부착 나사(53)에 의해 연결되며, 제2 패널(7)은 카메라 하우징(5)의 내부에 고정된 접지 판금(46)에 부착된다. 따라서, 가압 판금(48)과 접지 판금(46)의 연결 및 제2 패널(7)의 조립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촬상 장치(1)의 조립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카메라 하우징(5)의 내부에는 보드 유닛(54)이 부착된다(도16 참조).
도17 내지 도19에 도시하듯이, 보드 유닛(54)은 유지 베이스(55), 상기 유지 베이스(55)에 의해 유지되는 회로 보드(56), 상기 회로 보드(56)를 유지 베이스(55)의 반대측으로부터 가압하는 가압 부재(57), 및 상기 회로 보드(56)와 가압 부재(57)를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58)을 구비한다.
도17에 도시하듯이, 유지 베이스(55)는 베이스 섹션(59), 상기 베이스 섹션(59)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는 단자 배열 섹션(60), 상기 베이스 섹션(59)의 뒷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결합 섹션(61), 및 상기 베이스 섹션(59)의 우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결합 섹션(62)을 구비한다.
베이스 섹션(59)에는 상향 돌출하는 삽입 핀(59a)이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하여 제공된다.
단자 배열 섹션(60)에는 배열 리세스(60a)가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배열 리세스(60a)는 상향 좌측으로 개방된다. 단자 배열 섹션(60)의 하면에는 로킹 폴(pawl)(60b)이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하여 제공된다(도19 참조).
도17에 도시하듯이, 제1 결합 섹션(61)은 베이스 섹션(59) 뒷면의 좌측 단부 근처 위치로부터 돌출하며, 거의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결합 섹션(61)의 선 단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결합 폴(61a)이 제공된다.
제2 결합 섹션(62)은 베이스 섹션(59)의 우측 전방 단부로부터 돌출되며, 거의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결합 섹션(62)의 선단에는 좌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폴(62a)이 제공된다.
회로 보드(56)에는 핀 관통 구멍(56a)이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핀 관통 구멍(56a)의 직경(도20에 도시된 S2)은 베이스 섹션(59)의 삽입 핀(59a)의 직경(도20에 도시된 S1)보다 크게 설정된다. 회로 보드(56)에는 커넥터(63)가 장착된다. 커넥터(63)에는 연결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가요성 인쇄배선판(64)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가요성 인쇄배선판(64)은 회로 보드(56)로부터 우측으로 돌출한다. 연결 단자(14)는 회로 보드(56)의 하면의 좌측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장착된다. 연결 단자(14)는 회로 보드(56)에 형성된 회로를 통해서 가요성 인쇄배선판(64)에 연결된다.
가압 부재(57)는 상하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 표면 섹션(65), 상기 가압 표면 섹션(65)의 좌측 에지의 전후 양 단부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돌출하는 피고정 섹션(66), 상기 가압 표면 섹션(65)의 우측 에지로부터 하향 돌출되고 추가로 우측으로 돌출하는 고정 섹션(67), 및 가압 표면 섹션(65)의 약간 위에 설치되는 리프트 방지 섹션(68)을 갖는다. 상기 가압 표면 섹션(65)에는 핀 삽입 구멍(65a)이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피고정 섹션(66)에는 나사 구멍(66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 섹션(67)의 선단에는 삽입 구멍(67a)이 형성된다. 핀 삽입 구멍(65a)의 직경(도20에 도시된 S3)은 회로 보드(56)의 핀 삽입 구멍(56a)의 직경(S2)보다 작게 설정된다.
유지 프레임(58)은 상하 방향으로 향하는 유지 표면 섹션(69), 상기 유지 표면 섹션(69)의 좌측 에지로부터 하향 돌출하는 단자 삽입 섹션(70), 및 상기 단자 삽입 섹션(70)의 하측 에지로부터 우측으로 돌출하는 로킹 섹션(71)을 갖는다.
상기 단자 삽입 섹션(70)에는 단자 삽입 구멍(70a)이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단자 삽입 구멍(70a)은 각각 연결 단자(14)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로킹 섹션(71)은 단자 삽입 섹션(70)의 하단의 전후 양 단부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된다(도19 참조). 로킹 섹션(71)에는 로킹 구멍(71a)이 각각 형성된다.
보드 유닛(54)은 후술하듯이 조립된다.
먼저, 유지 베이스(55)의 베이스 섹션(59)에 회로 보드(56)가 배치되며, 핀 관통 구멍(56a)에 삽입 핀(59a)이 각각 삽입된다. 연결 단자(14)는 유지 베이스(55)의 단자 배열 섹션(60)에 각각 배열된다. 단자 배열 섹션(60)에 배열된 연결 단자(14)는, 단자 배열 섹션(60)을 형성하는 연결 단자(14)와 각각의 표면 사이에 일정한 갭이 형성되는 상태에서 배열된다.
가압 부재(57)는 회로 보드(56)에 배치되고, 삽입 핀(59a)은 핀 삽입 구멍(65a)에 삽입된다.
이어서, 유지 프레임(58)은 회로 보드(56) 및 가압 부재(57)에 대해 우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유지 프레임(58)이 우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도19에 도시하듯이, 유지 베이스(55)의 로킹 폴(60b)은 각각 로킹 섹션(71)의 로킹 구멍(71a)의 개 방 에지에 의해 로크되고, 유지 프레임(58)과 유지 베이스(55)가 연결된다. 연결 단자(14)의 선단은 유지 프레임(58)의 단자 삽입 구멍(70a)과 연관하여 배열된다. 유지 프레임(58)의 유지 표면 섹션(69)의 일부는 가압 부재(57)의 리프트 방지 섹션(68) 아래에 위치한다(도18 참조). 유지 표면 섹션(69)의 일부가 리프트 방지 섹션(68)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지 프레임(58)의 리프트가 방지된다.
이렇게 조립된 보드 유닛(54)에서, 회로 보드(56)는 유지 베이스(55)의 베이스 섹션(59)과 가압 부재(57)의 가압 표면 섹션(65)에 의해 가압된다. 그러나, 전술했듯이, 회로 보드(56)의 핀 관통 구멍(56a)의 직경(S2)이 유지 베이스(55)의 삽입 핀(59a)의 직경(S1)보다 크게 설정되기 때문에, 회로 보드(56)는 핀 관통 구멍(56a)과 삽입 핀(59a) 사이의 치수 차이(S2-S1)의 범위 내에서 유지 베이스(55) 및 가압 부재(57)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만들어진다.
카메라 하우징(5)의 내부에서 하단에는 두 개의 유닛 결합 섹션(72, 73)과 유닛 고정 섹션(74)이 제공된다(도21 참조). 유닛 결합 섹션(72, 73)에는 결합 구멍(72a, 73a)이 각각 형성된다. 유닛 고정 섹션(74)에는 나사 구멍(74a)이 형성된다.
보드 유닛(54)에서, 가요성 인쇄배선판(64)의 선단은 제어 회로 보드(38)의 커넥터(38c)에 연결된다. 유지 베이스(55)의 제1 결합 섹션(61) 및 제2 결합 섹션(62)은 각각 유닛 결합 섹션(72, 73)의 결합 구멍(72a, 73a)에 삽입된다. 제1 결합 섹션(61)과 제2 결합 섹션(62)이 각각 결합 구멍(72a, 73a)에 삽입될 때, 각각의 결합 폴(61a, 62a)은 유닛 결합 섹션(72, 73)과 결합되고 보드 유닛(54)은 카 메라 하우징(5)의 내부에 유지된다(도16 참조). 이 시점에서, 고정 섹션(67)의 선단은 유닛 고정 섹션(74)에 중첩된다.
보드 유닛(54)이 카메라 하우징(5)의 내부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도22에 도시하듯이, 가요성 인쇄배선판(64)은 소정의 상태로 구부러진다. 구부러지기 전에 본래 상태로 되돌아가는 가요성 인쇄배선판(64)에 의해 초래되는 이동력은 좌측 방향(도16 및 도22에 도시된 화살표 F방향)으로 작용한다. 가요성 인쇄배선판(64)의 이 이동력은 보드 유닛(54)에 좌측 가압력으로서 제공된다. 유닛 결합 섹션(72, 73)에 대한 제1 결합 섹션(61) 및 제2 결합 섹션(62)의 접촉 압력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낙하 방지 수단의 별도 제공 없이, 보드 유닛(54)이 유닛 결합 섹션(72, 73)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했듯이, 촬상 장치(1)에서는, 고정되기 전에 보드 유닛(54)을 카메라 하우징(5)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패널(7)과 제2 패널(8)을 연결하기 위한 작업 등에서 보드 유닛(54)이 제1 패널(7)에 미리 부착되고 인쇄배선판(64)이 커넥터(38c)에 연결되는 경우에 비해 가요성 인쇄배선판(64)을 커넥터(38c)에 연결하는데 있어서 작은 작업 공간만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요성 인쇄배선판(64)을 커넥터(38c)에 연결하는데 있어서 작은 작업 공간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요성 인쇄배선판(64)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통신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전자기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USB 2.0 또는 높은 표준의 단자 또는 HDMI 단자가 연결 단자로서 사용될 때는, 길이와 통신 속도 사이의 관계 등으로 인해 단자의 길이를 표준 하에 고 정 길이와 같거나 작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로인해 이들 단자의 적절한 사용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보드 유닛(54)이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제1 패널(7)은 제2 패널(8), 제3 패널(9), 제4 패널(10), 및 원통형 패널(11)과 조립된다. 이 시점에서, 도21에 도시하듯이, 부착 나사(75)가 제1 패널(7)에 형성된 나사 관통 구멍(7i) 및 보드 유닛(54)의 고정 섹션(67)에 형성된 삽입 구멍(67a)을 통해서 삽입되며, 유닛 고정 섹션(74)에 형성된 나사 구멍(74a)에 나사결합된다.
제1 패널(7)이 제2 패널(8) 등과 조립될 때, 도5에 도시하듯이, 보드 유닛(54)의 단자 배열 섹션(60)의 선단은 제1 패널(7)에 형성된 배열 구멍(7g)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나사 부재(76)가 나사 삽입 구멍(7h)을 통해서 삽입되고, 가압 부재(57)에 형성된 나사 구멍(66a)에 각각 나사결합된다.
이런 식으로, 부착 나사(75)는 고정 섹션(67)의 삽입 구멍(67a)을 통해서 삽입되어 유닛 고정 섹션(74)의 나사 구멍(74a)에 나사결합되고, 나사 부재(76)는 각각 가압 부재(57)의 나사 구멍(66a)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보드 유닛(54)이 제1 패널(7)에 고정된다.
촬상 장치(1)에서는, 전술했듯이, 제1 패널(7)이 제2 패널(8) 등에 연결될 때 보드 유닛(54)이 제1 패널(7)에 고정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1) 조립 작업이 간단해진다. 이로 인해 촬상 장치(1) 조립 작업 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했듯이, 회로 보드(56)는 핀 관통 구멍(56a)과 삽입 핀(59a) 사이의 치수 차이 범위 내에서 유지 베이스(55) 및 가압 부재(57)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된 다. 그러므로, 소정의 연결 케이블을 연결 단자에 연결하는데 있어서, 연결 케이블로부터 연결 단자(14)로 하중이 주어질 때, 회로 보드(56)가 유지 베이스(55) 및 가압 부재(57)에 대해 이동된다. 따라서, 연결 단자(14)와 회로 보드(56)의 연결 섹션에 있는 땜납이 쉽게 박리되는 것이 덜하다. 이로 인해 연결 단자(14)를 회로 보드(56)로부터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 하우징(5)의 촬상-블록 배열 섹션(5a)에는 촬상 블록(77)이 배열된다(도16 참조). 촬상 블록(77)은 렌즈 경통(78), 상기 렌즈 경통(78)에 배열되는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와 같은 소정의 렌즈, 및 상기 렌즈 경통(78)의 뒷면에 배열되는 예를 들어 CCD와 같은 촬상 소자(79)를 구비한다(도23 참조).
촬상 블록(77)의 뒤쪽에는 제어 보드(80)가 정확히 배열된다. 상기 제어 보드(80)는 촬상 소자(79)용 구동 회로를 가지며, 그 뒷면에는 타이밍 발생기와 같은 소정의 칩 부품(80a)을 갖는다. 제어 회로 보드(80)의 중심에는 구멍(80b)이 형성된다. 촬상 소자(79)는 제어 회로 보드(80)의 앞면에 상기 구멍(80b)을 커버하도록 부착된다.
제어 보드(80)의 뒷면에는 실드 케이스(81)가 부착된다(도23 및 도24 참조). 이 실드 케이스(81)는 옆으로 긴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실드 표면 섹션(81a), 및 상기 실드 표면 섹션(81a)의 좌우 양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피부착 피스 섹션(81b)을 갖는다. 실드 케이스(81)의 피부착 피스 섹션(81b)은 제어 보드(80)에 부착된다. 피부착 피스 섹션(81b)은 예를 들어 납땜에 의해 제어 보드(80)에 부착된다. 납땜된 섹션은 제어 보드(80)에 형성된 접지 패턴에 연결된 다.
실드 케이스(81)는 예를 들어 타이밍 발생기와 같은, 제어 보드(80)의 상측에 장착된 칩 부품(80a)을 차단한다. 그러므로, 타이밍 발생기와 같은 칩 부품(80a)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기 노이즈는 불필요한 방사를 방지하도록 실드 케이스(81)에 의해 차단된다.
실드 케이스(81)의 실드 표면 섹션(81a)의 전후 양면에는 각각 열전달 시트(82, 83)가 접착된다. 앞쪽의 열전달 시트(82)는 제어 보드(80)의 상측에 장착된 칩 부품(80a)과 표면 접촉 관계로 설정된다.
제어 보드(80)의 구멍(80b)에는 열전달 쿠션(84)이 배열된다. 열전달 쿠션(84)은 촬상 소자(79)와 표면 접촉 관계로 설정된다.
제어 보드(80)의 하측에 장착된 칩 부품(80a)에는 열전달 쿠션(85)이 배열된다.
카메라 하우징(5)의 촬상-블록 배열 섹션(5a)에는 열방사 판금(86)이 촬상 블록(77)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열된다. 열방사 판금(86)은 후면 섹션(87), 상기 후면 섹션(87)의 좌측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측부 섹션(88), 및 상기 후면 섹션(87)의 상측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상면 섹션(89)을 갖는다.
후면 섹션(87)의 중심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엠보싱된 형상의 접촉 돌기(87a)가 제공된다.
상면 섹션(89)의 전방 단부에는 직각으로 구부러진 연결 섹션(89a)이 제공된다. 연결 섹션(89a)은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열방사 판금(86)이 촬상-블록 배열 섹션(5a)에 배열되는 상태에서, 후면 섹션(87)의 접촉 돌기(87a)는 열전달 쿠션(84)과 표면 접촉 관계로 설정되고, 후면 섹션(87)의 접촉 돌기(87a)의 상하 양측의 섹션은 열전달 시트(83) 및 열전달 쿠션(85)과 각각 표면 접촉 관계로 설정된다. 상면 섹션(89)의 연결 섹션(89a)은 예를 들어 나사결합에 의해 장식 패널(21)의 피부착 피스(21b)에 연결된다.
촬상 블록(77)이 구동될 때, 촬상 소자(79) 및 제어 보드(80)에 장착된 칩 부품(80a)은 열을 발생시킨다. 촬상 소자(79)에서 발생된 열은 열방사 판금(86)의 후면 섹션(87)을 통해서 열전달 쿠션(84)으로부터 상면 섹션(89)의 연결 섹션(89a)으로 전달되고, 연결 섹션(89a)으로부터 장식 패널(21)로 전달되며, 대기로 방출된다. 칩 부품(80a)에서 발생된 열은 열방사 판금(86)의 후면 섹션(87)을 통해서 열전달 시트(82), 실드 케이스(81), 열전달 시트(83), 또는 열전달 쿠션(85)으로부터 상면 섹션(89)의 연결 섹션(89a)으로 전달되고, 연결 섹션(89a)으로부터 장식 패널(21)로 전달되며, 대기로 방출된다.
이런 식으로, 촬상 장치(1)에서, 촬상 소자(79)와 칩 부품(80a)에서 발생된 열은 하부 위치에 배치된 열방사 판금(86)으로부터 상부 위치에 배치된 장식 패널(21)로 전달되고, 통상의 촬영 상태에서 방출된다. 이로 인해 열방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칩 부품(80a)에서 발생된 열은 실드 케이스(81)를 통해서 열방사 판금(86)으로 전달되어 방출된다. 따라서, 실드 케이스(81)는 전자기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 및 열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로 인해 부품 수의 증가 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간단한 구조로 전자기 노이즈를 차단하고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촬상 소자(79) 및 칩 부품(80a)에 발생된 열은 장식 패널(21)로부터 방출된다. 그러나, 장식 패널(21)에는 마이크에 사운드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사운드 구멍(21a)이 형성되기 때문에, 촬상 소자(79) 및 칩 부품(80a)에 발생된 열은 또한 사운드 구멍(21a)이 형성되는 표면으로부터 방출된다. 사운드 구멍(21a)이 형성되기 때문에, 장식 패널(21)의 열방사 면적은 크게 설정된다. 이로 인해 열방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장식 패널(21)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촬상 장치(1)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열방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 회로 보드(38)는 촬상 블록(77)의 우측에 배열된다(도12 참조).
제어 회로 보드(38)에는 열방사판(90)이 부착된다. 열방사판(90)은 베이스 표면 섹션(90a), 상기 베이스 표면 섹션(90a)의 상측 에지와 하측 에지 양자에 제공되는 피부착 표면 섹션(90b), 및 상기 베이스 표면 섹션(90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연결 표면 섹션(90c)을 갖는다. 상기 열방사판(90)의 피부착 표면 섹션(90b)은 제어 회로 보드(38)에 부착된다. 연결 표면 섹션(90c)은 예를 들어 나사결합에 의해 장식 링(26)에 연결된다.
열방사판(90)의 베이스 표면 섹션(90a)과 제어 회로 보드(38)에 장착된 전자 부품(38a) 사이에는 도시되지 않은 열전달 시트가 배열된다. 열전달 시트의 양 표면은 전자 부품(38a) 및 열방사판(90)의 베이스 표면 섹션(90a)과 각각 표면 접촉 관계로 설정된다.
촬상 장치(1)가 구동될 때, 제어 회로 보드(90)에 장착된 전자 부품(38a)은 열을 발생한다. 전자 부품(38a)에 발생된 열은 열방사판(90)의 베이스 표면 섹션(90a)을 통해서 열전달 시트로부터 연결 표면 섹션(90c)으로 전달되고, 연결 표면 섹션(90c)으로부터 장식 링(26)으로 전달되며, 대기로 방출된다.
이런 식으로, 촬상 장치(1)에서, 전자 부품(38a)에 발생된 열은 장식 링(26)으로부터 방출되고, 촬상 소자(79) 및 칩 부품(80a)에 발생된 열은 장식 패널(21)로부터 방출된다. 촬상 장치(1)가 두 줄의 열전달 경로를 갖기 때문에, 열방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장식 링(26)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므로, 촬상 장치(1)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열방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전후, 상하, 및 좌우 방향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용에 있어서, 방향이 이들 방향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및 구성을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 유닛의 특정 형상 및 구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의 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 형상 및 구조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 또는 그 등가물의 범위에 포함되는 한 설계 요건 및 기타 요인에 따라서 다양한 수정예, 조합예, 서브-조합예, 및 변경예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 내부에 촬상 블록이 배열되는 카메라 하우징의 외표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외표면 측에는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를 수용하는 매체 수용 섹션이 형성되는 바, 하우징 커버를 제거함으로써 기록 매체를 교체 및 보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촬상 장치의 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체 수용 섹션에 배열되어 기록 매체를 밀봉하는 내측 커버가 제공되므로, 내측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커버의 형상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어서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커버의 외표면이 촬영 시에 파지되는 파지 섹션으로서 형성되므로, 기록 매체로부터 파지 섹션을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바닥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구동시에 발생된 열이 손바닥으로 전달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어서 촬상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커버의 외표면과 하우징 커버의 내표면 사이에 갭이 형성되기 때문에, 촬상 장치 내부에 발생된 진동 및 열이 파지 섹션을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바닥에 덜 쉽게 전달되어서 촬상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커버의 내표면 또는 내측 커버의 외표면과 접촉하는 리브가 내측 커버의 외표면 또는 하우징 커버의 내표면에 제공되므로, 내측 커버가 매체 수용 섹션에서 가압되기 때문에, 매체 수용 섹션에서 기록 매체 및 내측 커버의 백래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커버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기록 매체가 매체 수용 섹션에 수용될 때, 수광/발광 유닛이 하우징 커버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에, 촬상 장치의 조립 작업 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소정 렌즈와 촬상 소자를 갖는 촬상 블록이 배열되는 카메라 하우징과,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외표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이며,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외표면 측에는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를 수용하는 매체 수용 섹션이 형성되고,
    상기 기록 매체는 카메라 하우징에 대한 하우징 커버의 일방향 슬라이드에 따라 매체 수용 섹션에 수용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수용 섹션에 배열되어 기록 매체를 밀봉하는 내측 커버가 제공되는 촬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 커버의 외표면이 촬영 시에 파지되는 파지 섹션으로서 형성되는 촬상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내측 커버의 외표면과 하우징 커버의 내표면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촬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하우징 커버의 내표면 또는 내측 커버의 외표면과 접촉하는 리브가 내측 커버의 외표면 또는 하우징 커버의 내표면에 제공되는 촬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수광 유닛 또는 발광 유닛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빛이 입사 또는 출사되는 수광/발광 유닛이 제공되고,
    하우징 커버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기록 매체가 매체 수용 섹션에 수용될 때, 수광/발광 유닛이 하우징 커버에 의해 폐쇄되는 촬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하드 디스크인 촬상 장치.
KR1020060126691A 2005-12-14 2006-12-13 촬상 장치 KR200700634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60490A JP2007166289A (ja) 2005-12-14 2005-12-14 撮像装置
JPJP-P-2005-00360490 2005-1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433A true KR20070063433A (ko) 2007-06-19

Family

ID=3774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691A KR20070063433A (ko) 2005-12-14 2006-12-13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47830A1 (ko)
EP (1) EP1798959A3 (ko)
JP (1) JP2007166289A (ko)
KR (1) KR20070063433A (ko)
CN (1) CN100492157C (ko)
TW (1) TW2007238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002A (ko) * 2004-02-28 200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4662165B2 (ja) * 2006-06-08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9044567A (ja) * 2007-08-09 2009-02-26 Hitachi Ltd 撮像装置
US7933516B2 (en) * 2008-09-11 2011-04-26 Panasonic Corporation Camera body and imaging device equipped with same
US7933515B2 (en) * 2008-09-11 2011-04-26 Panasonic Corporation Camera body and imaging device equipped with same
JP5554983B2 (ja) * 2009-12-22 2014-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1765023B (zh) * 2010-02-08 2013-02-20 金凌实业(杭州)有限公司 一种3d系统
JP5645634B2 (ja) * 2010-12-15 2014-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GB201507347D0 (en) * 2015-04-29 2015-06-10 Tomtom Int Bv Camera mounting system
JP6850080B2 (ja) * 2016-05-27 2021-03-31 株式会社キーエンス 画像処理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9856A (en) * 1972-04-17 1974-06-25 D Pearl Camera capsule
JPH0270180A (ja) * 1988-05-26 1990-03-09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
KR930007231A (ko) * 1991-09-13 1993-04-22 강진구 캠코더의 물체추적장치와 그 방법
JPH10269325A (ja) * 1997-03-26 1998-10-09 Ricoh Co Ltd 記録媒体の着脱構造
JPH1117987A (ja) * 1997-06-19 1999-01-22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的撮像装置
JP2000122116A (ja) * 1998-10-14 2000-04-28 Nikon Corp カメラ
JP4387546B2 (ja) * 2000-03-22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カメラ、画像入力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カメラの形態変更方法
JP4151003B2 (ja) * 2002-09-13 2008-09-1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カメラ一体型記録再生装置
JP3948478B2 (ja) * 2003-03-31 2007-07-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ード装着装置
JP4207712B2 (ja) * 2003-08-18 2009-01-1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5071426A (ja) * 2003-08-20 2005-03-17 Sony Corp ディスク状記録媒体を用いた撮影装置
JP3846475B2 (ja) * 2003-12-22 2006-11-1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0673950B1 (ko) * 2004-02-20 2007-01-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0617863B1 (ko) * 2004-03-04 2006-08-2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식 메모리 카드의 탑재가 가능한 슬라이딩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US20050251597A1 (en) * 2004-05-10 2005-11-10 Guobiao Zhang Wireless Smart Hard-Disk Drive
JP2008263317A (ja) * 2007-04-10 2008-10-30 Sony Corp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47830A1 (en) 2007-06-28
TW200723863A (en) 2007-06-16
CN1983012A (zh) 2007-06-20
JP2007166289A (ja) 2007-06-28
EP1798959A3 (en) 2010-08-11
EP1798959A2 (en) 2007-06-20
CN100492157C (zh)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3433A (ko) 촬상 장치
US20070153120A1 (en) Imaging apparatus
US10261396B2 (en) Electronic device
CN100583953C (zh) 摄像装置
US10859892B2 (en) Electronic device
JP2010134449A (ja) カメラボディ、交換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
JP2007166290A (ja) 撮像装置
US7724318B2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display panel and protective plate
JP2007166292A (ja) 撮像装置
JP2011229046A (ja) 撮像装置
JP6861334B2 (ja) 撮像装置
JP2007212775A (ja) 携帯機器
JP2011138912A (ja) 電子機器
JP2007166288A (ja) 撮像装置
JP2011023647A (ja) 電子機器
JP2019133050A (ja) 撮像装置
CN217825078U (zh) 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WO2024188234A1 (zh) 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JP2013130797A (ja) 電子機器
JP4981533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GB2559517A (en) Electronic device
JP2018169603A (ja) 電子機器
JP2007134772A (ja) 撮像装置
JP2012141425A (ja) 表示装置
JP2006177996A (ja) カメラの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