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2958A -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분배장치, 분배방법과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분배장치, 분배방법과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2958A
KR20070062958A KR1020070050786A KR20070050786A KR20070062958A KR 20070062958 A KR20070062958 A KR 20070062958A KR 1020070050786 A KR1020070050786 A KR 1020070050786A KR 20070050786 A KR20070050786 A KR 20070050786A KR 20070062958 A KR20070062958 A KR 20070062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distribution
unit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3204B1 (ko
Inventor
타카시 쿠마가이
이주루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2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1Access to banking information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3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o authorised users
    • G11B20/0014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o authorised users involving a user identifier, e.g. a unique customer I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1Billing for the use of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5Local VOD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7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03Content authoring by describing the content as an MPEG-21 Digital I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2Usage or charge determin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43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ATRA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33Copying or moving data from one record carrier to anoth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67Address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1Flat as opposed to hierarchical combination, e.g. library of tapes or discs, CD changer, or groups of record carriers that together store one tit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3Personal computer,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7Numbering, addr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3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6Microprocessor, CP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6Common channel signaling, CCS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4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16Code signals, fram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9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33Earth satelli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76Information service, downloading of information, 0800/0900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89LAN,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99Virtual channel/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12Applications of a database
    • Y10S707/944Business rel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2Access augmentation or optimi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3Query processing, i.e. searching
    • Y10S707/99936Pattern matching ac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8Application of database or data structure, e.g. distributed, multimedia, or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통신시스템은 다수의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제 1저장부와, 다수의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제 2저장부와, 상기 제 1저장부와 상기 제 2저장부내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정보의 단일한 세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저장부와 상기 제 2저장부내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액세스하는 제어부와, 통신을 위해 상기 제 1저장부, 상기 제 2저장부와 상기 제어부를 상호접속시키는 통신부와, 상기 제 1저장부 또는 상기 제 2저장부의 이용에 응답하여 소정의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설정하는 부과금설정부로 구성되는 통신시스템.

Description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분배장치, 분배방법과 단말장치{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distribution apparatus, distribution method and terminal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분배시스템의 구성의 보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데이터 분배시스템을 형성하는 몇 가지 장치의 내부구조의 보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콘텐츠 데이터(악곡의 권리)를 구입하기 위해 이용되는 조작 스크린의 보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a - 4c는, 도 3a와 도 3b와 비슷하나, 악곡상점에다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로부터 반납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조작스크린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서버에 제공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의 보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콘텐츠 데이터(악곡의 권리)가 구입될 때에 도 1의 데이터 분배시스템내의 분배센터와 사용자측사이의 절차들을 나타내는 처리변화도이다.
도 7은, 도 6과 비슷하나, 콘텐츠 데이터(악곡의 권리)가 악곡상점에 저장될 때에 도 1의 데이터 분배시스템 내의 분배센터와 사용자측 사이의 절차들을 나타내 는 도면이다.
도 8은 콘텐츠 데이터가 악곡상점으로부터 반납될 때에 도 1의 데이터 분배시스템내의 분배센터와 사용자측 사이의 절차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 도 9e는 도 1의 데이터 분배시스템내의 TOC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11의 데이터 분배시스템내의 TOC(제 1 TOC)의 구조의 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과 비슷하나, 도 1의 데이터 분배시스템내의 다른 TOC(제 2 TOC)의 구조의 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TOC에 근거하여 주로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딩시에 액세스하는 것에 관해서는 도 1의 데이터 분배시스템의 다른 구성장치들간의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a - 도 13d는 다른 TOC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TOC 구조의 다른 보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데이터 분배시스템의 구성의 보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서버
2 : 분배단말장치
3 : 휴대단말장치
4 : 통신망
5 : 부과금통신망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와 같은 오디오 데이터를 주로 분배하기 위한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분배장치, 분배방법과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예를 들면 인터넷 또는 위성방송과 같은 망을 이용하는 EMD(Electronic Music Distribution)라고 불리우는 데이터분배 서비스가 제안되고 시행되어졌다.
EMD를 위한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분배업자는 분배를 위해 콘텐츠 데이터와 같은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한편, 내장된 기록매체를 가지는 재생장치로서 작용하는 기록매체 또는 개인단말장치를 소유한다. 개인적인 사용자는 대표적으로 서버측과 희망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계약구매를 마무리하며 다운로딩 요청을 그 서버로 발행한다. 다운로딩 요청에 응답하여, 서버측은 부과금설정을 수행하고 그 요청 대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업로딩한다. 마지막으로, 악곡 데이터는 개인단말장치내에 내장된 기록매체상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소유된 기록매체상에 기록된다. 즉, 사용자측에서 보면, 구매된 내용 데이터는 실제로 성공적으로 얻어진다.
그러므로, EMD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구매계약의 형태는 소위 "다운로드마다 의 구매"라고 불리운다. 콘텐츠 데이터가 악곡단위로 구매(다운로드)될 때에, 구매가 설정되고 더 이상의 계약이 남아 있지 않게 된다. 즉, 예를 들면, 만약 사용자가 단지 한 개의 악곡의 어떤 콘텐츠 데이터를 구입하고 다운로드한다면, 다운로딩을 통해 콘텐츠 데이터의 제공에 관한 거래가 수행된다. "다운로드마다의 구매" 형태로, 재생횟수의 수, 재생주기등이 저작권등의 소유자의 의도에 따라 때때로 제한된다는 것을 주목하자.
상술한 "다운로드마다의 구매"의 형태를 띤 EMD에서는, 예를 들면, 부과금설정이 사용자에 의해 한 번 수행된 한 개의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딩을 위해 수행된다. 그리고 또한 서버측은 상술한 계약형태에 따라 데이터 관리와 사용자 관리를 수행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이러한 단점은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몇 가지 조작실수 또는 몇 가지 편의를 위해 한 번 다운로딩으로 구매한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한다.
상술한 "다운로드마다의 구매"의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사용자측의 이러한실수는 회복할 수 없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가 이와 같이 일단 삭제된 콘텐츠 데이터를 원한다면, 그 사용자는 다시 한 번 그 콘텐츠 데이터를 구매하고 다운로드해야 한다.
특히, 예를 들면, 사용자측이 많은 콘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지만, 사용자에 의해 저장장치 또는 저장매체의 용량이 작기 때문에,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유지할 수 있는 용량이 없게 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서는, 사용자가 다운로드되고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중 몇 개의 데 이터를 연속적으로 삭제하지 않는한 사용자는 새로운 콘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없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에 의해 다운로드된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요구된다. 그러면, 만약 이 때에 삭제된 콘텐츠 데이터가 다시 한번 요구된다면, 사용자는 구매계약을 마무리하고 콘텐츠 데이터를 다시 한 번 다운로드해야 한다.
이와 같이, "다운로드마다의 구매"의 형태는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면 "다운로드마다의 구매"의 형태가 아니고 예를 들면, 사용자측에 의해 삭제된 콘텐츠 데이터의 재다운로딩이 보장되는 다른 형태를 띤 분배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분배장치, 분배방법과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다수의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제 1저장수단과, 다수의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제 2저장수단과, 상기 제 1저장수단과 상기 제 2저장수단내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정보의 단일한 세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저장수단과 상기 제 2저장수단내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액세스하는 제어수단과, 통신을 위해 상기 제 1저장수단, 상기 제 2저장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을 상호접속시키는 통신수단과, 상기 제 1저장수단과 상기 제 2저장수단의 이용에 응답하여 소정의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설정하는 부과금설정수단으로 구성되는 통신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 1저장수단과 제 2저장수단내에 저장된 콘 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정보의 단일한 세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저장수단과 상기 제 2저장수단내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액세스하는 액세스 단계와, 상기 제 1저장수단과 상기 제 2저장수단의 이용의 용량에 응답하여 상기 제 1저장수단 또는 상기 제 2저장수단의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하는 부과금설정단계로 구성되는 통신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수의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통신용 상기 분배장치를 외부장치에 접속시키는 통신수단과, 외부장치로부터의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액세스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콘텐츠 정보에 대한 액세스에 응답하여 각 사용자에 대한 관리정보를 발생시키고 관리정보를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하며,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와 사용자의 ID를 최소한 포함하는 분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희망하는 콘텐츠 정보를 분배하는 분배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분배방법은 외부장치로부터의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수단 내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액세스하는 액세스 단계와, 콘텐츠 정보에 대한 액세스에 응답하여 각 사용자에 대한 관리정보를 발생시키는 발생단계와, 상기 액세스된 콘텐츠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하는 전달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 정보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와 사용자의 ID를 최소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분배장치로부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단말장치는, 다수의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분배장치로부터 분배장치내에 저장된 다수의 콘텐츠 ID들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최소한 한 개의 콘텐츠 ID를 분배장치로 전달하는 통신수단과,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최소한 한 개의 콘텐츠 ID를 상기 분배장치로 전달하는 상기 통신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분배장치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ID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들을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를 위해 분배장치에 요청한 경우에, 상기 통신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된 상기 어드레스들을 상기 분배장치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양태에 따르면, 분배장치로부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분배장치로부터 상기 분배장치내에 저장된 다수의 콘텐츠 ID들을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최소한 한 개의 콘텐츠 ID를 상기 분배장치로 전달하는 콘텐츠 ID 전달단계와, 상기 분배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들을 저장수단내에 저장단계와, 상기 콘텐츠 ID들중 어느 ID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를 재전송하는 요청이 발행될 때에 상기 저장수단내에 저장된 상기 어드레스들을 상기 분배장치로 전달하는 어드레스 전달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와 분배장치는 공통적으로 단말장치와 분배장치 내에 모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관리될 수 있는 한 개의 관리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단말장치와 분배장치의 각각은 그 관리 데이터에 근거하여 액세스될 수 있다. 이것은 콘텐츠 데이터등을 구입하기 위해서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가 관리 데이터에 근거하여 수행되며, 그리고 예를 들면, 분배장치와 단말장치 사이에서 전달된 콘텐츠 데이터의 관리가 단말장치 또는 분배장치측에 의해 독자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부과금설정은 단말장치측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분배단말장치의 저장부의 저장용량에 따라 수행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권리가 사용자에 의해 구입되는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가상상점의 용량에 대해 돈의 액수가 부과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분배측은 지금까지 "다운로드마다의 구매"에 따라 콘텐츠의 분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 분배사업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에 의해 구입된 콘텐츠 데이터가 상점을 이용하여 관리되는 매우 편리한 방식으로 분배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단말장치측으로부터 지정된 콘텐츠 데이터는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복사 또는 이동하는 방식으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따라서, 다운로딩시에는, 상술한 관리 데이터에 근거하여 이러한 액세싱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다운로드되는 콘텐츠를 지정하는 조작 또는 그와 같은 조작이 신속히 수행된다.
게다가, 액세스 요청이 수신될 때에 가끔 분배 시스템은 인증을 요구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관리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증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부과금설정이 단말장치에 의해 이용되는 분배장치의 저장용량의 이 용 용량에 근거하여 수행될 때에, 돈의 액수는, 예를 들면 미리 계약에 따라 규정된 고정용량에 대해 부과된다. 즉, 부과금설정은 액세싱 결과에 따라 변하는 저장 용량의 이용 용량에 따라 수행된다. 이와 같이, 이용 용량의 부과금설정은 어느 정도의 자유도를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분배 시스템의 관리 또는 사용자에 대한 편의를 위해 적절한 부과금 규정이 설정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데이터가 "다운로드마다의 구매"에 의해 거래되지 않고 콘텐츠 데이터의 권리가 거래되는 시스템이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콘텐츠 데이터를 다시 한 번 다운로드하여 그 콘텐츠 데이터를 분배장치측에 저장할 수 있는 권리에 근거하여 분배장치를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만약 사용자측의 저장용량이 불충분하고 사용자가 예를 들면, 어느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한다면, 단지 콘텐츠 데이터의 권리가 유지된다면, 사용자는 콘텐츠 데이터를 새롭게 구입할 필요가 없이 분배장치측으로부터 콘텐츠 데이터의 공급을 수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금까지 "다운로드마다의 구매"에 의해 달성되지 못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사용자에 의해 누릴 수 없었던 장점이 기대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권리의 관리(악곡상점관리)에 대한 부과금의 새로운 관리가 기대될 수 있다.
콘텐츠 권리의 이러한 구매정보가 분배장치측에 의해 처리되는 경우에, 예를 들면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실수로 그것의 콘텐츠 데이터 또는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의 권리정보를 잃어버리더라도, 만약 분배측 장치가 사용자측으로부터 액세스된다면, 잃어버린 콘텐츠 데이터 또는 권리를 회복시킬 수가 있으며, 이것은 서비스 의 가치를 상승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들, 특징들과 장점들은 동일 부분들 또는 동일 요소들이 참조 기호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과, 다음의 설명과 첨부된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기술된다. 아래에 기술된 실시예들은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를 주로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분배하기 위한 데이터 분배시스템으로서 형성된다.
설명은 다음의 순서에 따라 진행된다.
1. 데이터 분배시스템
1-1 일반적인 구성
1-2 내부구성
1-3 콘텐츠 분배서비스의 이용형태의 보기
1-4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구성
2. 콘텐츠 구입절차
3. 콘텐츠 기탁절차
4. 콘텐츠반납 절차
5. 실시예의 관리 데이터
5-1. 관리 데이터 구조의 보기
5-2. 관리 데이터에 근거하는 데이터 분배절차의 보기
6. 수정
1. 데이터 분배시스템
1-1. 일반적인 구성
도 1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분배시스템의 구조의 보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1)는 다음부터 기술되는 바와 같이 콘텐츠 데이터를 분배 콘텐츠로 저장하기 위한 대용량의 기록매체를 포함하며 콘텐츠 데이터의 분배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들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콘텐츠 데이터는 대표적으로 주로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이며 여기에서는 도시 되지 않은 레코드 제조회사로부터 대표적으로 공급된다.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는 악곡 데이터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악곡 데이터와 관련된 단어들 또는 재킷들의 텍스트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다는 것을 주목하자.
서버(1)는 통신망(4)을 통해 많은 분배단말장치(2)와 통신하기 위해서 구성되어 있다. 서버(1)는 통신망(4)을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분배단말장치(2)로 전달한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구성에서는, 분배단말장치(2)와 서버(1)가 상호 통신을 위해 접속되어 있는 장비들이 콘텐츠 데이터의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측에 의해 소유되어 진다는 것을 주목하자. 다음의 설명에서는, 사업자측의 장비들은 "분배센터"로 칭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에 설명되는 휴대단말장치(3)는 분배단말장치(2)의 간섭없이 콘텐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서버(1)와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자.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는, 분배센터(서버(1)와 분배단말장치(2))내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단말장치(3)내에 다운로드하고 콘텐츠 데이터의 획득권리가 유지되는 동안에 휴대단말장치(3)내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분배센터측으로 반환하는 것 즉, 권리가 사용자에 의해 소유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분배센터내에 기탁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술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이러한 처리가 수행될 때에, 사용자에게 요금이 부과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부과금 절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요금을 수집하기 위해 부과금통신망(5)이 제공된다. 부과금통신망(5)은 예를 들면, 각 사용자가 정보분배 시스템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는 계약을 체결한 금융기관과 접속되어 있다. 부과금통신망(5)은 서버(1)에 접속되어 있지만, 그러한 경우가 아니라면, 그것은 통신망(4)에 접속될 수도 있다. 이 보기에서는, 분배단말장치(2) 또는 휴대단말장치(3)의 이용상황에 관한 부과금은 서버(1)의 중개없이도 처리될 수 있다.
분배단말장치(2)의 각각은 이동중에 있는 사용자가 편의점과 같은 상점 또는 드라이브 여관과 같이 분배단말장치(2)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는 장소에서 실제로 위치하고 있다. 분배단말장치(2)는 도 1에 도시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휴 대단말장치(3)가 장착부(220)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된 휴대단말장치(3)와 상호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그 후에, 만약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를 분배단말장치(2)상에 장착된 휴대단말장치(3)내에 다운로드하라는 요청이 발행된다면, 분배단말장치(2)는 서버(1)로 그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요청된 콘텐츠 데이터는 서버(1)로 전달된다. 그리고 휴대단말장치(3)로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콘텐츠 데이터는 휴대단말장치(3)내에 업로드된다. 반대로, 만약 휴대단말장치(3)내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분배센터측내에 기탁하라는 요청이 발행된다면, 휴대단말장치(3)는 그 장치가 필요하다면 서버(1)와 함께 협력하기 위해 통신을 수행한다면 반환 기탁(back deposition) 처리를 실행한다.
상술한 콘텐츠 데이터의 전달에 관한 이러한 요청들은 예를 들면 휴대단말장치(3)내에 제공된 조작부(302) 또는 분배단말장치(2)내에 제공된 조작부(202)를 조작시킴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자. 게다가, 이러한 조작들중 어느 조작이 수행될 때에, 그 조작에 대응하는 콘텐츠는 휴대단말장치(3)의 표시부(301) 또는 분배단말장치(2)의 표시부(203) 상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장치(3)는 그것이 분배단말장치(2)에 장착(접속)될 때에 분배단말장치(2)와 상호 통신할 수 있다. 휴대단말장치(3)는 분배단말장치(2)를 통해 서버(1)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휴대단말장치(3)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분배단말장치(2)로부터 출력된 콘텐츠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내장된 소정의 형태의 기록매체상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정보 분배시스템은 소위 주문형 데이터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서버(1)내에 저장된 많은 양의 정보의 범위내에서, 휴대단말장치(3)의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콘텐츠 데이터와 같은 정보가 휴대단말장치(3)의 기록매체상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상술한 통신망(4)은 특별히 제한되어 있지 않으며, 예를 들면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CATV(Cable Television Community Antenna Television), 통신위성, 전화망, 무선통신등이 통신망(4)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자.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 휴대단말장치(3)에 기록매체가 장착되는 반면에, 선택적으로 휴대단말장치(3)에 이동 가능한 기록매체가 장착될 수 있다. 게다가, 기록매체의 종류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자기디스크나, 광디스크, 자기광디스크, 혹은 메모리(반도체메모리, 자기메모리나 혹은 광메모리)일 수 있다. 게다가, 기록매체가 반도체인 곳에서, 그것은 그 안에 장착되는 플레시메모리를 갖는 스마트매체(상표)나, 그 안에 플레시메모리와 메모리콘트롤러를 갖는 메모리스틱(상표)이나 혹은 SD카드(상표)일 수 있다.
1-2. 내부구성
도 2는 도 1을 참조로 도시된 서버(1), 분배단말장치(2)와 휴대단말장치(3)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서버(1)를 먼저 설명하겠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는 제어부(101), 저장부(102), 검색부(103), 인증처리부(104), 부과금처리부(105)와 인터페이스부(106)로 이루어진다. 기능회로부는 버스선(107)에 의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연결된다.
제어부(101)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통신망(4)으로부터 그곳에 공급된 각종 정보에 답하여 서버(1)의 기능회로부의 제어를 실행한다.
통신망(4)에 의해 분배단말장치(2)와 상호 통신하도록 인터페이스부(106)가 제공된다. 전송에 대한 전송 프로토콜은 유니크 프로토콜이나 인터넷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TCP/IP(전송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나 혹은 데이터가 패킷형식으로 전송되는 유사 프로토콜일 수 있다.
검색부(103)는 제어부(101)의 제어하에 저장부(102)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요청된 데이터에 대한 검색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검색처리는 분배단말장치(2)로부터 전송되고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통신망(4)으로부터 제어부(101)에 입력된 요청 데이터에 기초해 실행된다.
저장부(102)는, 예를 들어, 대용량의 기록매체와, 기록매체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장치 등을 포함하고 상술한 분배를 위한 콘텐츠데이터가 저장된 콘텐츠데이터 저장영역(110)을 갖는다. 저장부(102)는 각 사용자에 대해, 즉, 각 휴대단말장치에 대해 설정된 ID(이하 "사용자ID"로 함)와 같은 사용자에 따른 정보로 시작하는 요청 정보와, 각 사용자에 의해 권리로서 얻어진 콘텐츠데이터를 관리하는 각종 정보와 부과금설정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저장영역(111)을 갖는다.
여기에, 저장부(102)에 의해 채택된 기록매체가 현재 방송장비로 사용되는 자기테이프 등일지라도, 현 시스템의 특성중 하나로 요구되는 기능을 충족하기 위해, 가급적이면 하드디스크나, IC 메모리, 혹은 자기광디스크 등의 임의로 액세스 가능한 매체가 채택된다.
게다가,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저장부(102)에 저장된 데이터는 디지털압축 데이터이다.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ATRAC2, ATRAC3, TwinVQ(Transform domain weighted Interleave Vector Quantization)(상표), MPEG-2AAC(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Advanced Audio Coding)(상표), MP3(MPEG-1 Audio Layer3)(상표), MS Audio(WMA: Windows Media Audio)(상표)와 같은 오디오데이터에 대한 각종 압축방식이 유용하지만, 예를 들어, 만일 압축해제가 분배단말장치측에서 가능하면, 압축방식은 압축기술에 특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게다가, 비디오데이터가 저장부(102)에 저장되는 압축방식은 MPEG4, MPEG7, JPEG, JPEG200 혹은 웨이브레트(wavelet)변환을 사용한 압축 등일 수 있다.
인증처리부(104)는 인증을 요청한 휴대단말장치(3)가 합법적인 것인지의 여부를 인증하기 위해, 예를 들어, 요청데이터와 함께 전송된 사용자ID와 현재 본 실시예의 정보분배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장치(3)의 (예를 들어, 저장부(102)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사용자ID들과 대조하고 제어부(101)에 인증처리 의 결과를 출력한다. 제어부(101)는 그 인증에 기초해 휴대단말장치(3)에 의한 분배센터의 이용을 허용할지 여부를 설정한다.
부과금처리부(105)는 휴대단말장치(3)를 소유한 사용자에 의한 정보분배시스템의 사용에 따라 제어부(101)의 제어하에 소정의 요금을 부과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망(4)을 통해 분배단말장치(2)로부터 콘텐츠데이터를 구매하기 위한 요청정보가 서버(1)에 공급되면, 제어부(101)는 요청정보에 답하여 필요한 정보를 통신한다. 이 경우에, 제어부(101)는 통신된 정보에 기초해 실제 이용상태를 파악하고 소정의 룰에 따라서 부과금처리부(105)에 의해 이용 콘텐츠에 대한 요금이 설정되도록 제어한다.
이제 분배단말장치(2)를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분배단말장치(2)는 버스선(212)으로 서로 연결된 조작부(202), 표시부(203), 제어부(207), 저장부(208), 인터페이스부(209), 전원부(210)(예를 들어, 충전회로 포함)와 탑재식별부(211)를 포함한다.
제어부(207)는 마이크로컴퓨터와 필요 요소들을 포함하고, 필요하면 분배단말장치(2)에 있는 기능회로부를 조작한다.
인터페이스부(209)는 통신제어단자(201)와 정보입출력단자(205) 사이에 끼워지고 통신망(4)을 통해 서버(1)와의 상호 통신과 휴대단말장치(3)와 상호 통신을 허용한다. 즉, 서버(1)와 휴대단말장치(3)가 인터페이스부(209)를 통해 서로 통신이 가능한 환경이 얻어진다.
이 경우에, 저장부(208)도 비교적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 가능하여, 예를 들어, 서버(1)로부터 한번 전송되어 휴대단말장치(3)에 다운로드된 콘텐츠데이터는 저장부(208)에 저장될 수 있다. 게다가, 휴대단말장치(3)에 관한 관리정보와 분배단말장치(2)를 이용해 얻어진 일련의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부(208)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데이터 다운로드를 위한 요청이 분배단말장치(2)에 접속된 휴대단말장치(3)로부터 수신되고, 그 다음에 요청 대상인 콘텐츠데이터가 저장부(208)에 이미 저장되어 있으면, 서버(1)에의 액세스 없이 분배단말장치(2)와 휴대단말장치(3)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다운로드가 완료되고, 다운로드에 필요한 시간이 경감되고 서버(1)에서의 부담 감소가 그 만큼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이 경우에, 사용자가 소유한 휴대단말장치(3)에 관한 정보가 분배단말장 치에 저장되면, 사용자의 정보를 얻기 위해 서버(1)와 휴대단말장치(3)에 모두 액세스할 필요가 없다.
저장부(208)는, 예를 들어, 메모리를 포함하여 서버(1)나 휴대단말장치(3)로부터 전송된 요청정보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08)에 기록 및 독출은 제어부(207)에 의해 실행된다.
전원부(210)는, 예를 들어, 스위칭변환기 등을 포함하여, 도시되지 않은 상업용 ac전원을 받아 소정의 전압의 dc전원을 생성하고 분배단말장치(2)의 기능회로부에 동작전원으로서 dc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10)는 휴대단말장치(3)측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회로를 포함하고, 휴대단말장치(3)의 전원입력단자(307)를 통해 휴대단말장치(3)에 전원단자(206)로부터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 다. 이 경우에, 전원부(210)(그리고 충전회로)의 요청된 조작이 제어부(207)에 의해 제어된다.
탑재식별부(211)는 분배단말장치(2)의 탑재부(220)에 휴대단말장치(3)가 탑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한다. 탑재식별부(211)는, 예를 들어, 광단속기나 혹은 기계적인 스위치와 같은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전원단자(206)나 혹은 휴대단말장치(3)가 분배단말장치(2)에 적절히 탑재될 때 성립되는 정보 입출력단자(205)에 포함된 소정의 단자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조작부(202)는, 예를 들어, 각종 키 등과 터치패널과 같은 조작수단을 포함하고, 조작부(202)에 대해 실행된 조작정보가 버스선(212)을 통해 제어부(207)에 공급된다. 제어부(207)는 그곳에 공급된 조작정보에 답하여 요구된 제어절차를 적절히 실행한다.
표시부(203)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분배단말장치(2)의 본체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분배단말장치(2)에 제공되고, 예를 들어, 액정표시부나 혹은 CRT(음극선관)와 같은 표시장치와 표시부 등을 위한 표시구동부를 포함한다. 표시부(203)의 표시조작은 제어부(207)에 의해 제어된다.
이제, 휴대단말장치(3)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휴대단말장치(3)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분배단말장치(2)에 탑재될 때,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정보 입출력단자(205)를 통해 분배단말장치(2)와 연결되고, 분배단말장치(2)의 전원부(210)로부터 전원단자(206)와 전원입력단자(307)를 통해 휴대단말장치(3)에 전원이 공급된다.
게다가, 도 2에 나타낸 휴대단말장치(3)는 제어부(311), ROM(312), RAM(313), 신호처리부(314), 한 쌍의 I/O포트(317,318), 배터리회로부(319), 표시부(301)와 조작부(302)가 버스선(32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 경우도, 제어부(311)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포함하고, 휴대단말장치(3)에서 기능부의 조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ROM(312)은 제어부(311)가 필요한 제어처리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데이터와 각종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저장한다. RAM(313)은 분배단말장치(2)와 통신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제어부(311)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I/O포트(317)는 정보 입출력단자(306)를 통해 분배단말장치(2)(혹은 서버(1))와 상호 통신을 허용하도록 제공된다. 휴대단말장치(3)에 전송되거나 수신될 정보와 다운로드될 데이터가 I/O포트(317)를 통해 입출력된다.
휴대단말장치(3)에 제공된 저장부(320)는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하거나 그로부터 재생을 실행하기 위한 드라이버와 그 외 필요요소들을 포함하고, 분배단말장치(2)를 통해 서버(1)로부터 다운로드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공된다.
저장부(320)에 의해 채택된 기록매체는 특정한 한가지만으로 제한되지 않음을 유념해야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랜덤 액세스가 고려되는데, 예를 들어, 플레시메모리와 같은 메모리 요소를 채택한 기록매체나, 혹은 하드디스크나 광디스크 같은 랜덤 액세스를 허용하는 기록매체가 적절히 채택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구매계약에 따라 다운로드된 데이터가 저장 부(320)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320)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휴대단말장치(3)의 수단에 의해 오디오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즐길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휴대단말장치(3)는 신호처리부(314)를 포함한다.
신호처리부(314)는 버스선(321)을 통해 저장부(320)로부터 독출된 오디오데이터를 수신하고 오디오데이터를 위해 필요한 신호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만일 저장부(320)에 저장된 오디오데이터가 소정의 형식에 따른 압축처리를 포함하는 소정의 인코딩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이면, 신호처리부(314)는 압축된 오디오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압축해제처리를 포함하는 소정의 압축 해제처리를 실행하고, 결과 데이터를 D/A변환기(315)에 출력한다. D/A변환기(315)에 의해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된 오디오데이터는 헤드폰단자(309)에 공급된다. 여기서, 헤드폰(8)이 헤드폰단자(309)에 연결되면, 악곡 등의 다운로드되어 재생되는 데이터가 외부로 사운드로서 출력될 수 있다.
휴대단말장치(3)는 그 것에 제공된 마이크로폰단자(310)를 가진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2)이 마이크로폰단자(310)에 연결되고 사운드가 마이크로폰(12)에 입력되면, 사운드신호가 A/D변환기(316)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되고 신호처리부(314)로 입력된다.
*이 경우에, 신호처리부(314)는, 예를 들어, 그 곳에 입력된 디지털 입력신호를 위해 저장부(320)에 데이터를 기록하기에 적절한 압축처리와 필요한 인코딩처리를 행하도록 조작한다. 인코딩처리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제어 부(311)의 제어하에 저장부(320)에 저장될 수 있다.
I/O포트(318)는 커넥터(308)를 사용하여 외부에 연결된 장치에 신호의 입출력을 허용하도록 제공된다. 커넥터(308)는, 예를 들어, 표시장치, 키보드, 모뎀, 혹은 단말어댑터와의 연결을 허용한다. 이것은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장치(3)의 이용형태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휴대단말장치(3)에 제공된 배터리회로부(319)는 적어도 재충전가능배터리와 휴대단말장치(3)의 기능부에 조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재충전가능배터리의 전력을 소용 있게 하는 전원회로를 포함한다.
휴대단말장치(3)가 탑재되고 분배단말장치(2)에 연결되는 곳에서 전원단자(206)와 전원입력단자(307)를 통해 재충전가능배터리를 대체한 전원이 분배단말장치(2)의 전원부(210)로부터 휴대단말장치(3)의 배터리회로부(319)로 출력된다. 충전가능배터리로의 충전전류 또한 전원부(210)로부터 배터리회로부(319)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휴대단말장치(3)의 표시부(301)와 조작부(302)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장치(3)의 몸체에 제공되고, 휴대단말장치(3)와 함께, 표시부(301)의 표시제어가 제어부(311)에 의해 실행된다. 게다가, 제어부(311)는 조작부(302)로부터 출력된 조작정보에 기초해 필요한 제어처리를 적절히 실행한다.
1-3. 콘텐츠 분배서비스의 이용형태의 보기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데이터 분배시스템에 따라, 휴대단말장치(3)의 사용자는 "다운로드마다 구매함"으로써 악곡의 콘텐츠데이터를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각 악곡의 콘텐츠데이터의 권리를 구매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에 의해 권리가 소유된 콘텐츠데이터가 사용자가 원할 때 휴대단말장치(3)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그 반대로, 휴대단말장치(3)에 분명히 다운로드 되어 저장된 콘텐츠데이터를 이동하여 분배센터측에 기탁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분배센터측은 권리가 사용자에게 귀속된 콘텐츠데이터를 수신하고 보관하는 형태로 데이터관리를 수행한다. 그러면, 분배센터측에 기탁된 콘텐츠데이터의 반환요청이 휴대단말장치(3)측으로부터 이루어지면, 휴대단말장치(3)에 콘텐츠데이터가 다시 다운로드 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악곡의 콘텐츠데이터의 권리를 소유한 사용자가 서버측에 가상적으로 제공된 악곡상점에 악곡을 기탁하거나 악곡상점에 기탁된 악곡을 되찾아 오는 상점경영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이것에 관련한 부과금방식으로서, 권리가 구매될 때, 요금은 권리와 관련해 고려됨으로써 설정되고, 게다가 사용자의 악곡상점 이용 시에, 요금을 부과하는 이용상태에 따라 가격이 설정된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의 데이터분배시스템의 이용형태를 도 3a,3b,4a,4b와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음 설명에서 휴대단말장치(3)가 분배단말장치(2)에 탑재되는 형식으로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분배시스템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함을 유념해야한다. 게다가, 이 경우에 사용자가 실행할 각종 조작 이 분배단말장치(2)에 제공된 조작부(202)의 조작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도 3a,3b,4a,4b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수순에 따라 분배단말장치(2)의 표시부(203)의 콘텐츠를 표시함으로써, 분배센터측과 휴대단말장치(3)측의 콘텐츠데이터의 콘텐츠데이터 리스트가 이용형태와 부합하여 표시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장치(3)가 아래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에 의해 관리데이터가 공유되는 분배단말장치(2)에 탑재되지 않을지라도 그러한 리스트의 표시가 가능하다. 한 예로서, 분배단말장치(2)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에 관한 관리데이터가 휴대단말장치(3)측에 의해 독출 및 취득되지 않을지라도, 분배단말장치(2)는 아래에 설명한 방식으로 분배측과 휴대단말장치(3)측의 콘텐츠데이터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가 원하는 악곡의 콘텐츠데이터를 새로이 구매하고자 한다고 가정해보자. 따라서, 휴대단말장치(3)의 사용자가 분배단말장치(2)의 조작부(202) 상에서 악곡의 권리를 구매하기 위한 조작을 실행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악곡의 권리 구매용 조작스크린이, 예를 들어, 분배단말장치(2)의 표시부(203) 상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된다. 이 조작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ID를 입력하도록 요청되고, 사용자는 휴대단말장치(3)를 탑재하거나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서 그 것의 사용자ID를 입력한다. 그러면, 실제로, 예를 들어, 사용자ID 등의 정보에 기초해 인증이 얻어지는 단계에, 도 3에 도시된 표시가 개시된다. 앞으로 설명할 도 3b와 4a에서 4c의 조작스크린이 표시될 때, 이것이 유사하게 적용된다.
도 3a에 도시된 조작스크린에서, 콘텐츠리스트(A1)가 좌측에 나타나 있다. 콘텐츠리스트(A1)는 분배센터측에 의해 준비된 콘텐츠데이터, 즉, 소정의 표시형식으로 서버(1)로부터 업로드될 수 있는 콘텐츠데이터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도 3a에, 제시된 음악(1)에서부터 음악(10)의 10곡의 콘텐츠데이터의 리스트를 나타내었다. 실제로, 분배센터측에 의해 공급된 악곡의 수는 매우 많으며, 그 데이터의 리스트의 일부가 실제로 표시되고, 표시된 리스트의 일부가 소정의 조작에 의해 변경된다.
게다가, 도 3a에, 콘텐츠리스트(A1)의 좌측에 커서(crs)가 표시되어 있다. 커서(crs)는 사용자가 콘텐츠데이터 중 하나를 지정함으로써 소위 GUI조작에 의해 콘텐츠리스트(A1)에 표시된 콘텐츠데이터의 지정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사용자 콘텐츠리스트(A2)가 도 3a에 도시된 조작스크린의 우측에 표시된다. 사용자 콘텐츠리스트(A2)에, 분배단말장치(2) 상에 탑재된 휴대단말장치(3)에 일반적으로 저장된 콘텐츠데이터가 리스트로서 표시된다. 도 3a에, 음악(1), 음악(2), 음악(4), 음악(6)과 음악(7)의 다섯 악곡에 대한 콘텐츠데이터가 사용자가 소유한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콘텐츠리스트(A1)와 사용자 콘텐츠리스트(A2) 사이에, 사용자가 소위 GUI 조작을 함으로써 조작될 수 있는 구매버튼(BT1)이 표시된다.
구매를 위한 조작스크린이 이러한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현재 분배측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콘텐츠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이 소유한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도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매를 위한 조작스크린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이 콘텐츠리스트(A1)에 있는 콘텐츠데이터의 타이틀 중에서 구매할 콘텐츠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 커서(crs)의 이동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콘텐츠리스트(A1)에서 음악(9)을 선택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만일 사용자가 구매버튼(BT1)을 조작하면, 표시스크린은 도 3b에 나타낸 표시스크린과 같이 변화한다.
도 3b에, 사용자가 구매를 결정한 음악(9)의 타이틀이 사용자 콘텐츠리스트(A2)에 부가적으로 표시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음악(9)의 구매를 결정하는 조작을 행하였기 때문에,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는 그때까지 저장된 콘텐츠데이터에 부가된 음악(9)의 콘텐츠데이터를 포함함을 나타낸다. 즉, 이것은 사용자가 음악(9)의 콘텐츠데이터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취득했음을 나타낸다. 그러면, 예를 들어, 휴대단말장치(3)가 사용자에 의해 분배단말장치(2)에 탑재되면, 음악(9)의 콘텐츠데이터가 휴대단말장치(3)에 복제되고 도 3b에 도시된 사용자 콘텐츠리스트(A2)에 의해 지시된 저장콘텐츠가 얻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콘텐츠데이터의 권리만을 구매하고 콘텐츠데이터의 다운로드 없이 서버(1)측에 의해 할당된 사용자 자신의 악곡상점에 콘텐츠데이터 자체를 보관하는 것이 실제적으로 가능한 것임을 유념해야 한다.
사용자가 콘텐츠데이터의 권리를 구매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콘텐츠데이터를 다운로드한 후에, 사용자는 다운로드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의 휴대단말 장치(3)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를 이동하여 분배센터에 제공된 악곡상점에 기탁하거나 악곡상점에 기탁된 악곡데이터를 다시 다운로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휴대단말장치(3)와 악곡상점 사이에서 콘텐츠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조작절차가, 예를 들어, 도 4a, 4b, 4c에 도시되어 있다.
휴대단말장치(3)의 사용자가, 예를 들어, 분배단말장치(2)로 하여금 분배센터와 상점 사이에서 콘텐츠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게 하는 조작모드를 설정하도록 소정의 조작을 수행한다고 가정하면, 그에 따라 조작스크린이,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된다.
도 4a에 도시된 조작스크린에, 상점콘텐츠리스트(A3)가 좌측에 표시된다. 이 경우에 표시된 상점콘텐츠리스트(A3)는 휴대단말장치(3)를 소유한 사용자가 권리를 구매하고 분배센터에 제공된 사용자 자신의 악곡상점에 기탁된 콘텐츠데이터임을 나타낸다. 여기서, 음악(3), 음악(5), 음악(8), 음악(9)과 음악(10)의 다섯 콘텐츠데이터가 상점콘텐츠리스트(A3)에 리스트되고, 사용자가 상점콘텐츠리스트(A3)를 바라볼 때, 현재 다섯 콘텐츠데이터가 상점에 기탁되었음을 확신할 수 있다.
그와 반대로, 예를 들어, 도 3a와 3b에 도시된 콘텐츠리스트(A1)는 분배센터측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콘텐츠데이터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도 4a에 도시된 조작스크린의 우측에, 사용자 콘텐츠리스트(A2)가 표시된다. 사용자 콘텐츠리스트(A2)는 도 3a와 3b를 참조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소유한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된 콘텐츠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게다가, 상점콘텐츠리스트(A3)의 좌측에, 상점콘텐츠리스트(A3)안에 있는 콘텐츠를 지정하는 커서(crs1)가 표시되고, 사용자 콘텐츠리스트(A2)의 우측에, 사용자 콘텐츠리스트(A2)에 있는 콘텐츠를 지정하는 커서(crs2)가 표시된다.
기탁버튼(BT2)과 반환버튼(BT3)의 두 조작버튼이 상점콘텐츠리스트(A3)와 사용자 콘텐츠리스트(A2) 사이에 표시된다.
우선,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가 분배센터측의 상점에 기탁되는 조작이 설명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커서(crs2)가 기탁될 콘텐츠데이터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사용자 콘텐츠리스트(A2)측에 커서(crs2)를 이동하는 소정의 조작을 수행할 것이다. 여기서, 커서(crs2)는 음악(6)에 위치해 있다. 그러면,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기탁버튼(BT2)에 대한 조작을 수행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스크린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린으로 변한다.
도 4b에 도시된 조작스크린에, 음악(6)의 타이틀이 사용자 콘텐츠리스트(A2)로부터 삭제된다. 그 대신에, 음악(6)의 콘텐츠데이터가 상점콘텐츠리스트(A3)에 더해진다. 즉,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되었던 음악(6)의 콘텐츠데이터가 분배센터측의 상점으로 이동되어 기탁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 다음에, 만일 휴대단말장치(3)가 분배단말장치(2)에 탑재되면,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되었던 음악(6)의 콘텐츠데이터가 분배센터의 상점에 이동된다. 실제처리를 이후에 기술하겠지만, 여기서 간략히 기술하면, 분배센터측의 데이터베이스 콘텐츠가 갱신되어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된 음악(6)의 콘텐츠데이터가 이후에 휴대단말장치(3)로부 터 삭제될 때까지 음악(6)의 콘텐츠데이터가 상점에 기탁됨으로써 관리되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는 분명히 상점으로 이동된다.
현재 상점에 기탁된 콘텐츠데이터를 휴대단말장치(3)측으로 반환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예를 들면, 도 4a에 나타낸 조작스크린의 상점 콘텐츠리스트(A3)측에 표시된 커서(crs1)를 우선 조작해서 상점에서 반환될 콘텐츠데이터를 지정한다. 여기서, 음악(9)의 콘텐츠데이터가 지정되는 것을 가정한다. 이 상태에서, 반환 버튼(BT3)이 조작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조작스크린은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크린으로 된다. 특히, 사용자가 지정한 음악(9)의 콘텐츠데이터는 상점 콘텐츠리스트(A3)의 목록에서 삭제되지만 대신에 사용자 콘텐츠리스트(A2)에 부가된다.
결과적으로, 음악(9)의 콘텐츠데이터가 상점에서 휴대단말장치(3)로 반환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 휴대단말장치(3)가 분배단말장치(2)에 장착되면, 음악(9)의 콘텐츠데이터는 사실상 분배측에서 휴대 단말 장치(3)로 업로드되고, 휴대 단말 장치(3)는 음악(9)의 콘텐츠데이터를 저장한다. 음악(9)의 콘텐츠데이터 전체가 저장되어 서버(1) 또는 분배단말장치(2)에 존재하더라도, 분배 센터측이 상점을 관리하고 음악(9)의 콘텐츠데이터가 사용자의 상점에서 인출되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
1-4.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구성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데이터 분배시스템의 상점관리를 실행하기 위 해서, 예를 들면, 분배 센터측은 상점 등에서 사용자가 구매한 콘텐츠데이터의 권리를 포함하는 정보와, 그 권리가 구매되는 콘텐츠데이터의 기탁상태에 관한 내력들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정보는 서버(1)의 저장부(102)의 데이터베이스 저장영역(111)에 데이터베이스로서 저장되어 유지된다.
도 5는 데이터베이스 저장영역(111)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콘텐츠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에는 콘텐츠 구매 데이터베이스(111-1), 기탁상태데이터베이스(111-2), 사용자 인증/부과금결제 데이터베이스(111-3), 사용자 기호 데이터베이스(111-4) 및 서로 관련된 상품 데이터베이스(111-5)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설명한 데이터베이스의 콘텐츠는 한 사용자(휴대단말장치(3))에 해당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콘텐츠가 각각의 사용자를 위해서 준비되어 저장되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 이후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는 사용자 ID의 정보를 갖기 때문에 각각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콘텐츠 구매 데이터베이스(111-1)는 한 사용자에 의한 악곡에 대한 권리의 구매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사용자 ID의 정보, 구매된 콘텐츠 ID, 구매된 콘텐츠명 정보, 구매된 콘텐츠 수량 정보, 구매 내력정보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ID는 예를 들면 휴대단말장치(3)를 가지는 각각의 사용자에게만 고유하게 되도록 분배 콘텐츠 측에서 제공한 ID이다. ID는 콘텐츠 구매 데이터베이스(111-1)가 무엇인지를 사용자에게 지정한다. 사용자 ID는 예를 들면 분배 센 터측이 휴대단말장치(3) 측에 의해 액세스될 때, 휴대단말장치(3)가 분배 센터측과 체결된 합법적인 계약을 갖는 합법적인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인증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분배 센터측은 거기에 인가된 콘텐츠 ID를 갖추어 거기에서 제공된 각각의 콘텐츠 데이터를 관리한다. 구매된 콘텐츠 ID는 사용자가 구매한 콘텐츠데이터(악곡들)의 콘텐츠 ID에 관한 정보이다.
구매된 콘텐츠명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콘텐츠데이터의 명칭에 관한 정보이다. 이 예에서는, 콘텐츠데이터가 악곡 데이터이며 따라서, 각각의 콘텐츠는 일반적으로 악곡의 타이틀이 될 수 있다.
구매한 콘텐츠 수량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권리가 구매되는 데이터의 콘테츠의 수량을 나타내는 값에 대한 정보이다.
구매 내력정보는 그 때까지 사용자의 콘텐츠데이터의 구매 내력을 나타낸다. 즉, 콘텐츠 ID로 나타낸 콘텐츠데이터의 수량을 각각 나타내는 데이터와 콘텐츠의 구매 연도, 달, 일시가 시계열적으로 관리된다.
따라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콘텐츠를 가지는 상기 콘텐츠 구매 데이터베이스(111-1)는 사용자가 구매한 콘텐츠의 권리를 관리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구매된 콘텐츠 ID와 구매된 콘텐츠 수량정보가 사용자 ID와의 조화된 관계로 조회되면, 어떤 콘텐츠데이터의 권리량이 사용자 ID로 지정한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것인지를 인지할 수 있다.
기탁상태 데이터베이스(111-2)는 한 사용자에 대해서 가상적으로 제공된 악 곡상점의 이용 상태를 파악하는 정보를 분배센터측에 저장한다. 기탁상태 데이터베이스(111-2)에는 예를 들면 사용자 ID, 상점 용량정보, 기탁된 콘텐츠수량, 기탁된 콘텐츠 ID, 기탁된 콘텐츠명 정보, 기탁 내력정보 및 기탁 빈도정보가 포함된다.
사용자 ID는 상기 기술된 콘텐츠 구매 데이터베이스(111-1)에서처럼 사용자를 지정한다.
상점 용량정보는 현재 사용자가 사용한 악곡상점의 데이터 용량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사용자가 악곡의 콘텐츠데이터를 기탁할 예정이면, 분배 센터측으로 하여금 사용자에 의해 상점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저장용량을 할당하게 한다. 예를 들면, 서버(1)에서 제어부(101)의 일부 영역의 용량은 사용자에게 상점으로서 할당된다. 이후에, 악곡상점의 사용에 대한 부과금 설정은 상점의 용량 크기에 의거해 주로 실행된다.
여기서, 상점 용량의 설정은 몇 가지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첫째, 어떤 소정의 용량 크기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상점 용량은 미리 계약에 따라서 설정된다. 예를 들면, 분배 센터측이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서 4MB ∼ 최대한도까지 할당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한 상점의 이용 및 다른 필요한 요소를 고려하여 2MB 또는 3MB등의 고정된 상점 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가 설정한 상점용량에 따라서 부과금설정이 결정된다.
둘째, 상점 용량이 사용자에 의해 상점에 기탁된 콘텐츠의 데이터 크기에 따 라서 적합하게 변화된다. 특히, 예를 들어, 몇 개의 콘텐츠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기탁되고 기탁된 콘텐츠데이터의 총 데이터 크기가 750KB이면, 부과금 설정은 750KB의 상점 용량에 따라서 실행된다. 그리고, 어떤 콘텐츠데이터가 이후에 부가적으로 기탁되어 그 결과 기탁된 콘텐츠데이터의 총 데이터 크기가 1MB이면, 1MB의 상점 용량에 따라서 부과금 설정이 실행된다.
사용자 인증/부과금결제 데이터베이스(111-3)는 사용자의 인증 및 부과금에 관한 정보를 갖는다. 사용자 인증/부과금결제 데이터베이스(111-3)에는 사용자 ID, 미처리부과금데이터, 부과금결제내력, 결제 금융기관 코드와 결제코드가 포함된다. 그 정보는 사용자 ID에 의해 지정된 사용자의 부과금에 대해서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인증/부과금결제 데이터베이스(111-3)를 생성하기 위해서, 부과될 금액량을 설정하기 위한 조건정보가 요구된다. 부가될 금액량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될 구매된 정보 ID와 구매된 콘텐츠 수량정보를 콘텐츠 구매 데이터베이스(111-1)에 입력하고 저장될 상점 용량정보를 기탁상태데이터베이스(111-2)에 입력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구매된 콘텐츠 ID 및 구매된 콘텐츠 수량정보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권리에 대한 부과금 설정이 실행되고, 상점 용량정보에 의해 상점의 사용 상태에 따라서 부과금 설정이 실행된다.
상기 기술된 부과금결제를 위한 조건으로서의 정보는 단지 예이며, 어떤 다른 정보가 데이터 분배시스템의 실제 조작 방식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부과금결제는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사 용자 ID와 대응 관계로 등록된 신용카드번호에 의거해 지정된 은행 계좌 등에서 부과된 금액을 지불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서버(1)에 대응하는 서버 부과금 번호,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부과금 번호, 사용자에게 부과된 금액, 서버 ID 및 서버 패스워드는 부과금 통신망(5)을 거쳐서 서버(1)에서 은행 센터로 전송된다. 따라서 은행 센터는 서버 ID 및 서버 패스워드에 의거해 인증처리를 실행하고 인증이 성공적으로 실행되면, 은행 센터는 사용자 부과금 번호에 대응하는 부과금에서 지정한 부과된 금액을 공제하고 금액과 함께 서버 부과금 번호에 대응하는 부과금을 증가시킴으로써 결제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선불카드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춘 분배단말장치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삽입한 선불 카드로부터 잔금을 줄이는 것과 같은 처리로 부과금결제를 실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사용자 기호 데이터베이스(111-4)는 콘텐츠 구매 데이터베이스(111-1) 및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기탁상태데이터베이스(111-2)에 저장된 요구정보에 의거에 얻은 정보를 저장하여 분배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악곡의 취향 등의 경향을 파악하게 한다.
사용자 기호 데이터베이스(111-4)의 정보는 예를 들면 악곡들의 콘텐츠데이터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일용품으로서 제공될 콘텐츠데이터를 분배센터에 제공해서 지정하는 레코드 제조회사와 같은 분배센터 또는 분배원의 관리자에 의해 실제로 사용된다.
사용자 기호 데이터베이스(111-4)에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ID로 지정된 각 사용자에 대한 구매된 콘텐츠 ID, 구매된 콘텐츠 수량 정보, 기탁상태 정보, 검색키, 검색데이터, 통지 내력정보가 포함된다.
구매된 콘텐츠 ID와 구매된 콘텐츠 수량 정보는 동일한 사용자 ID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 구매 데이터베이스(111-1)에 저장되고 콘텐츠 구매 데이터베이스(111-1)에서 수신된 정보에서 생성된다. 기탁상태정보는 기탁된 콘텐츠 정보에서 생성되고, 기탁된 콘텐츠 ID 및 기탁 빈도 정보는 동일한 사용자 ID로 지정한 기탁상태데이터베이스(111-2)에 저장되고 기탁상태 데이터베이스(111-2)에서 수신된다.
검색키에는 상기 기술된 구매된 콘텐츠 ID, 구매된 콘텐츠 수량정보 및 기탁상태정보에서 소정 조건에 따라서 추출된 복수의 키가 포함된다. 일 예로서, 구매된 콘텐츠 ID 및 구매된 콘텐츠 수량정보에서, 선호하는 악곡의 장르 또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아티스트에 관한 정보가 얻어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검색키는 미리 콘텐츠 일부에 삽입된 장르정보 또는 아티스트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반면, 기탁상태 정보로부터 악곡상점으로 그리고 악곡상점에서 매우 빈번하게 이동되는 악곡의 장르 또는 아티스트가 속하는 것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키가 얻어진다. 상기 기술된 검색키를 추출하는 유사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검색 데이터는 이후에 기술되는 상품 데이터베이스(111-5)로부터 상기 기술된 검색키로 실행된 콘텐츠데이터에 대한 검색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통지 내력정보는 검색데이터에 관해서 생성된 통지내력에 대한 정보이다.
상품 데이터베이스(111-5)에는 콘텐츠판매 촉진 데이터, 구매가격 데이터, 검색빈도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품 데이터베이스(111-5)는 분배센터에 설치되지만, 예를 들어, 상품으로서 콘텐츠데이터(악곡들)를 분배센터에 제공하는 레코드 제조 회사측의 시스템에 실제로 기록되는 경우조차도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콘텐츠판매 촉진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상기 기술된 검색키로 검색된 콘텐츠의 검색결과에 의거해 관리자의 의도에 따라서 생성된 판매 촉진을 위한 데이터가 포함된다. 콘텐츠판매 촉진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그 분배단말장치(2) 등을 이용하는 서버(1)에 액세스할 때 분배단말장치(2)측에 전달되며, 예를 들면 동시에 콘텐츠데이터가 제공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그 자체로 악곡을 구매할 때 보면서 데이터의 콘텐츠를 고려할 수 있다.
구매가격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판매 촉진 등에 대한 콘텐츠데이터(악곡)의 판매가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구매가격 데이터는 예를 들어, 판매 촉진을 위해서 악곡 데이터의 가격정보가 콘텐츠 촉진 데이터로서 포함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검색빈도 데이터에는 검색이 검색키 등으로 실행되는 빈도정보가 포함된다. 검색빈도 데이터는 분배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기호의 경향을 파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색빈도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콘텐츠판매 촉진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이러한 데이터베이스가 서버(1)에 저장되는 반면에, 예를 들어, 분배단말장치(2)의 저장부(208)가 충분한 저장용량을 가지면, 또한, 서버(1)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콘텐츠를 분배단말장치(2)에 전달하여 분배단말장치(2)에 저장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이후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콘텐츠의 상점관리 또는 각각의 분배단말장치(2)에 대해서 별개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콘텐츠를 가지므로, 어떤 악곡에 대한 콘텐츠데이터의 권리가 사용자에 의해 구매되는 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그 권리가 구매된 콘텐츠데이터의 상점 내의 기탁상태가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악곡의 콘텐츠데이터의 권리가 거래의 대상이 되며 그러한 권리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저장되어 관리된다. 또한, 그 권리가 구매되는 콘텐츠데이터는 분배센터측에 설치된 악곡상점을 이용해서 기탁/인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측에서 소유한 기록매체의 용량이 줄어들 때까지 사용자가 많은 콘텐츠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면, 현재 기록매체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 중 하나가 상점에 기탁되도록 적절하게 선택되어 이동되면, 콘텐츠데이터는 그 만큼 기록매체에서 제거되고 그 용량은 그 만큼 증가하며, 결과적으로, 좋아하는 콘텐츠데이터가 새로이 구매되어 다운로드될 수 있다. 그러나, 기록매체로부터 제거된 콘텐츠데이터는 악곡상점에 기탁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소유권은 보장되며, 도 4a, 4b 및 4c를 참조해서 상기 기술된 동작이 실행되면, 콘텐츠데이터는 악곡상점에서 인출되어 재다운로드될 수 있다. 즉, 사용자측이 소유한 그 매 체의 용량이 매우 크지 않은 경우조차도, 사용자는 새로운 콘텐츠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의도로 과거의 콘텐츠데이터를 포기할 필요는 없다.
하나의 예로서, 휴대단말장치(3)를 소유한 사용자가, 예를 들어, 다른 먼 곳에 가서 어느 특정한 악곡(콘텐츠데이터)을 듣고 싶어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 사용자는, 예를 들어, 악곡의 콘텐츠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악곡상점으로부터 악곡을 돌려 받기에 가까운 곳에 있는 분배단말장치(2)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만일 휴대단말장치(3)의 용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현재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콘텐츠를 우선 상점에 기탁하고 원하는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악곡상점에 콘텐츠데이터를 기탁하거나 구매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가 구매한 콘텐츠데이터의 권리와 사용자의 상점관리는, 예를 들어, 서버(1)와 같은 분배센터측에 의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콘텐츠데이터의 권리를 구매한 후에 그 관리의 책임이 사용자에게 귀속되어야 함을 통지 받았을 지라도, 콘텐츠데이터는 여러 이유로 유실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다운로드마다의 구매"라는 전형적인 계약에 따라서 사용자가 유실된 콘텐츠데이터를 다시 취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콘텐츠데이터를 다시 구매하여 다운로드 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유실한 콘텐츠데이터의 권리가 분배센터측에 남아있기 때문에, 무상으로 혹은 일반구매에 비해 낮은 가격으로 재다운로드 할 수 있는 대책이 이미 채택될 수 있다. 즉, 분배센터측은 권리가 구매한 사용자에 있는 콘텐츠데이터에 대한 백업기능도 역시 가진다.
게다가, 콘텐츠데이터는 비교적 큰 용량을 가지기 때문에, 통신망의 특성에 따라, 실제 다운로드에 있어서 전송이 중단되어 다운로드의 실패로 되는 가능성이 꼭 낮을 필요는 없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금전상의 손실없이 콘텐츠데이터를 다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따라, 지금까지 "다운로드마다의 구매"에 의한 콘텐츠데이터 판매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분배센터측은 악곡상점의 제공에 의해 부수적으로 요금을 부가할 수 있고, 전혀 새로운 사업형태가 착수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기호 데이터베이스(111-4)가 제공되고 상품데이터베이스(111-5)와 연관되며, 데이터 분배시스템을 이용하는 각 사용자의 기호의 경향과 모든 사용자의 기호의 경향이 파악되고 관리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분배측이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기호에 관한 정보를 기초하여 효과적인 판매 촉진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자기호 데이터베이스(111-4)에 저장된 정보의 콘텐츠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기탁상태 데이터베이스(111-2)에 저장된 정보의 콘텐츠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운로드마다 구매"의 경우에, 사용자가 구입한 콘텐츠의 내력에만 기초한 기호만이 파악된다. 즉, 예를 들어, 어떤 빈도로 사용자가 다운로드된 콘텐츠데이터의 악곡을 즐기는지에 관한 정보가 파악될 수 없다.
그와 반대로, 본 실시예에 따라, 다운로드 후에 사용자의 콘텐츠데이터 이용 상태가 특히 기탁상태 데이터베이스(111-2)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기호 데이터베이스(111-4)의 콘텐츠 정보로부터 파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탁상태정보에 기초해, 사용자가 어떤 콘텐츠데이터를 상점에 기탁하고 어떤 콘텐츠데이터를 사용자 자신의 휴대단말장치(3)에 보유하는지가 파악될 수 있다. 반면에, 기탁상태정보에 포함된 기탁내력에 기초하여, 어떤 콘텐츠가 휴대단말장치(3)에 오래도록 보유되고 그와 반대로 어떤 콘텐츠가 악곡상점에 오래도록 기탁되는지가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콘텐츠데이터의 기탁/반납 빈도가 파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악곡상점에 기탁하지 않고 휴대단말장치(3)에 오래도록 보유되거나 혹은 악곡상점과 휴대단말장치(3)측 사이에서 빈번히 송신되는 콘텐츠데이터가 사용자가 자주 즐기는 콘텐츠데이터로서 취급된다. 반면에, 오래도록 악곡상점에 기탁되는 그러한 콘텐츠데이터는 사용자가 그리 흥미를 갖지 않는 콘텐츠데이터로서 취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특별한 기호가 그 악곡상점의 이용상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고, 그러한 기호에 기초해 판매가 촉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높이 어필하는 판매촉진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2. 콘텐츠 구입절차
앞에서, 콘텐츠데이터의 권리 구매와 악곡상점에 콘텐츠데이터의 기탁/반환이 데이터분배시스템의 이용형태의 예로서 기술되었고 분배센터측(서버(1))이 소유 한 데이터베이스(111) 구성의 예가 상술되었다. 데이터베이스(111)에 휴대단말장치(3)가 액세스되고, 콘텐츠데이터의 권리 구매나 혹은 악곡상점에 콘텐츠데이터의 기탁/반환에 답하여 갱신된다.
따라서, 콘텐츠데이터의 권리 구매, 악곡상점에 콘텐츠데이터의 기탁/반환과 그러한 구매나 기탁/반환에 기초한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이 시술된다.
도 6은 콘텐츠데이터의 권리가 구매될 때 분배센터측과 사용자측의 절차를 나타내는 처리변화도이다. 여기에, 사용자측의 절차와 휴대단말장치(3)측에 대한 절차가 제어부(311)에 의해 실행된다. 반면에, 분배센터측의 절차는 전형적으로 서버(1)의 절차이고 제어부(101)에 의해 실행된다. 휴대단말장치(3)가 분배단말장치(2)에 연결된 곳에서, 분배단말장치(2)는 휴대단말장치(3)와 서버(1)가 통신하여 휴대단말장치(3)와 서버(1) 사이에서 전송될 데이터가 실제적으로 송신되도록 중개하는 기능을 한다. 이것을 위한 절차가 분배단말장치(2) 내에 있는 제어부(207)에 의해 실행된다. 반면에, 휴대단말장치(3)와 서버(1)가 서로 직접 통신할 때, 분배센터측의 절차가 서버(1)의 절차에 의해 완료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장치(3)의 사용자가 휴대단말장치(3)(혹은 분배단말장치(2))로 하여금 어떤 콘텐츠데이터를 지정하고 그 콘텐츠데이터의 권리구매를 요청하도록 소정의 조작을 실행하면, 사용자측의 휴대단말장치(3)로부터 단계(S101)의 분배센터에 구매요청이 송신된다. 분배센터는 단계(S102)에서 구매요청을 수신한다. 그 다음 단계(S103)에서, 분배센터는 사용자측에 사용자 확인 요청을 송신한다.
사용자측은 단계(S104)에서 사용자 확인 요청을 수신하고 다음 단계(S105)의 인증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인증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휴대단말장치(3)를 소유한 사용자에 할당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거나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된 사용자ID가 전송된다.
분배센터측은 단계(S106)에서 인증데이터를 수신하고 단계(S107)에서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인증처리로서, 예를 들어, 분배센터측은 분배센터측에 액세스한 사용자(휴대단말장치(3))가 합법적인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분배센터측에 저장된 사용자ID와 그곳에 전송된 사용자ID 등과의 비교를 실행한다. 그 다음에, 예를 들어, 만일 인증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절차는 다음 단계(S108)로 진행하는데, 여기서 분배센터측은 사용자측에 구매확인요청을 전송한다.
실제 인증처리에서, 예를 들어, 휴대단말장치(3)로부터 전송될 정보로서, 예를 들어, 각 휴대단말장치(3)에 고유하게 할당된 휴대단말ID가 사용자ID 대신에 전송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게다가, 암호를 해독하기 위한 키(key)정보가 준비되고 전송되는 동안에 인증에 대한 정보가 암호화되어 전송되고 수신된다.
사용자측은 단계(S109)에서 구매확인요청을 수신하고 다음 단계(S110)에서 구매 확인절차로서 구매될 악곡의 통지를 발송한다. 특히, 실제 절차로서, 사용자측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지정된 콘덴츠데이터(악곡)에 제공된 콘텐츠ID를 분배센터측에 전송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복수의 콘텐츠데이터가 동시에 구매될 콘텐츠데이터로서 지정될 수 있고, 단계(S110)에서, 복수의 콘텐츠데이터의 콘텐츠ID가 전송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한다.
분배센터측은 그곳에 전송된 콘탠츠ID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ID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데이터용으로 분배센터측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를 검색한다. 이 경우, 제어부(101)는 검색부(103)가 저장부(102) 내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데이터를 검색하도록 제어한다. 휴대단말장치(3)가 분배단말장치(2)에 접속되고 콘텐츠데이터가 분배단말장치(2)의 저장부(208)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부(208)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가 자연히 검색될 수 있다.
대상(object) 콘텐츠데이터에 대한 검색이 상술한 것처럼 단계(S112)에 수행된 후에, 분배센터측은 다음 단계(S113)에서 검색된 콘텐츠데이터와 관리데이터를 전송한다. 주의할 점은, 지금부터 관리데이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겠지만, 데이터분배시스템의 휴대단말장치(3)와, 서버(1)와, 분배단말장치(2) 사이에서 복사되고 이동될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정보콘텐츠를 가지고 있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그러한 관리데이터를 TOC(Table of Contents)로도 칭하기로 한다. TOC는 MS-DOS 내에서 FAT(File Allocation Table)에 대응한다.
사용자측(휴대단말장치(3))은 단계(S114)에서 상술한 방식으로 전송된 콘텐츠데이터 및 TOC의 수신을 시작하며, 콘텐츠데이터 및 TOC를 계속 수신하면서 콘텐츠데이터 및 TOC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분배센터측은 단계(S113)에서 콘텐츠 및 TOC가 전송된 후 소정의 시점에서 다운로드마침확인요청을 전송한다. 사용자측의 휴대단말장치(3)측은 단계(S117)에서 다운로드마침확인요청을 수신하고, 콘텐츠데이터 및 TOC의 수신 및 저장이 완료된 시점에서 예를 들어 단계(S118)에서 다운로드마침확인요청을 수신한 다. 그 후, 휴대단말장치(3)측은 단계(S119)에서 다운로드가 종료된 것을 나타내는 마침통지를 전송한다.
분배센터측은 단계(S120)에서 마침통지를 수신한다. 결과적으로, 분배센터측은 현재의 콘텐츠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적절히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분배센터측은 다음 단계(S121)에서의 처리결과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한다. 특히, 예를 들어, 콘텐츠구매데이터베이스(111-1)가 처음으로 갱신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이번에 다운로드된 콘텐츠데이터에 대한 권리를 갖는 것으로 확정되고, 이후, 분배센터측에 의해 관리가 수행된다. 사실상 결과적으로 콘텐츠데이터의 다운로드처리가 실패한 경우에도 분배센터측은 콘텐츠데이터에 대한 권리를 사용자가 가지는 것을 관리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다음 단계(S122)에서 이번에 구매한 콘텐츠데이터의 권리에 관한 부과금설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부과된 금액이 콘텐츠에 따라 결정되고, 부과된 금액을 수집하기 위해 예를 들어 부과금통신망(5)을 거처 부과된 금액의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입력한 계좌번호 또는 신용카드번호가 암호화되고 전송된다. 예를 들어, 사실상 사용자 인증/부과금결제 데이터베이스(111-3)가 부수적으로 생성되거나 갱신된다.
단계(S122)가 이 방식으로 완료된 후에, 분배센터측은 단계(S123)에서 사용자측에게 구매완료통지를 전송한다. 사용자측이 단계(S124)에서 구매완료통지를 수신하면, 콘텐츠데이터의 올바른 구매계약이 결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콘텐츠기탁절차
앞에서는, 휴대단말장치(3)의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사용자측에 의해 처리된 콘텐츠데이터가 악곡상점에 기탁되는 처리에 대해 도 7의 처리 수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이 경우, 사용자측(휴대단말장치(3))은 우선 예를 들어 단계(S201)에서 사용자의 소정의 조작에 따라 분배센터측에게 콘텐츠데이터를 악곡상점에 기탁하라는 요청을 전송한다. 분배센터는 단계(S202)에서 이 요청을 수신하고 단계(S203)에서 사용자확인요청을 사용자측에게 전송한다. 여기에서, 단계(S203-S207)에서의 처리는 도 6의 단계(S103-S107)와 관련된 상술한 인증처리에서와 유사한 것이며, 따라서 편의상 이에 대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단계(S207)에서 사용자 인증의 확인결과가 얻어지면, 분배센터측은 단계(S208)에서 기탁콘텐츠확인요청을 사용자측에게 전송한다.
사용자측은 단계(S209)에서 기탁콘텐츠확인요청을 수신하고 단계(S210)에서 이번에 기탁되는 지정된 콘텐츠데이터의 콘텐츠ID를 전송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복수의 콘텐츠데이터가 기탁되도록 복수의 콘텐츠ID가 전송될 수 있다.
분배센터측은 단계(S211)에서 기탁되는 악곡에 대응하는 콘텐츠ID를 수신하고 단계(S212)에서 사용자와 관련한 데이터베이스의 콘텐츠를 참고한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기탁을 위한 요청의 대상인 콘텐츠데이터에 대한 권리가 적절한 수순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구매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또한, 예를 들어 상점용량정보에 기초하여 악곡상점의 용량이 고정적으로 설정 및 할당되거나, 악곡상점용 량의 프리용량이 사용자에게 할당되도록 이루어지는 등에 대한 계약 여부를 체크한다. 이어서, 체크결과로부터 콘텐츠데이터가 기탁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분포센터측은 기탁의 승인통지를 사용자측에게 발행한다.
사용자측(휴대단말장치(3))은 단계(S214)에서 기탁의 승인통지를 수신하며, 다음 단계(S215)에서 예를 들면 휴대단말장치(3)의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데이터로부터 이번의 기탁 대상으로서 지정된 콘텐츠데이터를 삭제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데이터삭제가 완료된 후에, 사용자측은 단계(S216)에서 콘텐츠데이터의 삭제가 수행되었다는 통지를 발행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적어도 휴대단말장치(3)의 저장부(320)의 저장된 콘텐츠가 변경된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휴대단말장치(3)에서, 저장부(320)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데이터의 관리를 위해 이용되는 TOC에 대한 갱신이 실제로 수행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이 경우 갱신된 TOC가 전송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분배센터측 또는 분배단말장치측의 서버(1)는 TOC를 생성하도록 휴대단말장치(3)로부터 전송되어 온 TOC를 이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적어도 서버(1) 또는 분배단말장치(2) 자신에 저장되고 관리되는 콘텐츠데이터와 각각의 개인사용자를 위한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가 서로 조합된 관계로 관리될 수 있다.
콘텐츠데이터의 삭제처리가 단순히 관리데이터인 TOC에 대해 재기입하는 것이고, 전형적인 휴대단말장치(3)의 저장매체가 플레시메모리 또는 덮어쓰기가 불가능한 유사한 메모리이더라도, 제어부(311)가 플레시메모리로부터 저장된 콘텐츠를 삭제하는 처리를 사실상 수행할 수 있다.
분배센터측은 단계(S217)에서 콘텐츠삭제통지를 수신하고, 다음 단계(S218)에서 다음의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단계(S218)에서, 분배센터측은 우선 상술한 처리의 결과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여기에서, 분배센터측은 이번에 기탁된 콘텐츠데이터가 악곡상점에 있는 것으로 관리되도록 악곡상점관리를 위한 기탁상태 데이터베이스(111-2)를 갱신한다. 여기에서, 기탁되는 콘텐츠데이터의 삭제가 이전 단계(S215)에서 휴대단말장치(3)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휴대단말장치(3)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에게는 콘텐츠데이터가 휴대단말장치(3)로부터 분배센터측으로 이동되도록 전송되고 악곡상점에 기탁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단계(S218)에서, 이번에 콘텐츠데이터의 기탁에 의해 상점관리를 위한 부과된 금액이 변경되면, 분배센터측은 부과금설정을 수행하고, 또한 사용자 인증/부과금결제 데이터베이스(111-3)의 갱신을 수행한다.
단계(S218)의 처리가 완료된 후, 분배센터측은 기탁확인통지를 단계(S219)에서 사용자측에게 전송한다. 사용자측이 단계(S220)에서 기탁확인통지를 수신함에 따라, 이때의 요청 대상의 콘텐츠데이터의 기탁을 위한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콘텐츠반환 절차
앞에서는, 악곡상점에 기탁되어 있는 콘텐츠데이터가 휴대단말장치(3)에 반환되는 절차에 대해서 도 8의 처리수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이 경우도, 사용자측은 우선 단계(S301)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예를 들어 악곡상점에 기탁되어 있는 콘텐츠를 반환하는 요청을 전송한다.
분배센터는 단계(S302)에서 요청을 수신하고 단계(S303)에서 사용자 확인요청을 사용자 측에 전송한다. 이 경우에도, 단계(S303-S307)에서의 처리는 도 6의 단계(S103-S107)와 연관된 상술한 사용자인증을 위한 절차에서의 것과 유사하다.
그리고, 사용자인증에 대한 긍정결과가 단계(S307)에서 얻어지면, 분배센터측은 단계(S308)에서 사용자에 의해 악곡상점으로부터 휴대단말장치(3)로 반환되는 콘텐츠데이터의 확인요청을 전송한다. 사용자측은 단계(S309)에서 이 확인요청을 수신하고, 다음 단계(S310)에서 반환되는 콘텐츠데이터의 콘텐츠ID의 통지를 발행한다.
분배센터측은 단계(S311)에서 콘텐츠ID를 수신하고, 반환을 위한 요청 대상의 콘텐츠데이터가 단계(S312)에서 반환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콘텐츠ID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사용자ID와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콘텐츠를 참조한다. 예를 들면, 분배센터측은 반환을 위한 요청 대상의 콘텐츠데이터에 대한 권리를 현재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지와, 현재 악곡상점에 보관되어 관리되는 등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콘텐츠구매 데이터베이스(111-1)와 기탁상태 데이터베이스(111-2)를 참조한다.
그리고 나서, 예를 들어, 단계(S312)의 처리결과로부터 요청 대상의 콘텐츠데이터의 반환이 허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별되면, 분배센터측은 예를 들어 서 버(1)가 처리를 수행하면서 단계(S313)에서의 요청 대상의 콘텐츠데이터를 위한 저장부(102)의 콘텐츠데이터저장영역(110)을 검색한다. 이어서, 다음 단계(S314)에서, 분배센터측은 검색된 콘텐츠데이터의 카피를 전송하며, 전송에 의해 그 콘텐츠가 변경된 TOC를 전송한다.
사용자측은 단계(S315)에서 전송된 콘텐츠데이터와 TOC의 수신을 시작하고, 다음 단계(S316)에서 이 데이터의 수신과 저장부(320)로의 데이터의 저장을 수행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S317-321)에서,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여 단계(S116-120)의 처리로서 상술한 다운로드 종료를 위한 상호확인처리와 유사한 처리가 수행된다.
*분배센터측은 단계(S321)에서 사용자측으로부터 전송된 마침통지를 수신하고, 다음 단계(S322)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만약 휴대단말장치(3)측에 대한 콘텐츠데이터의 반환으로 인해 부과된 금액에 변경이 일어난 경우에는, 분배센터측은 부과금설정처리를 수행한다. 단계(S322)에서의 처리는 도 7의 단계(S218)에서의 처리와 유사하다. 특히, 분배센터측은 기탁상태 데이터베이스(111-2)의 콘텐츠를 변경하여 예를 들어 콘텐츠데이터가 악곡상점으로부터 휴대단말장치(3)로 반환함에 따라 상점관리가 분배센터측 상에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단계(S322)에서의 처리가 완료된 후, 분배센터측은 콘텐츠데이터의 반환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통지하기 위해 단계(S323)에서 사용자에게 기탁확인통 지를 전송한다. 사용자측(휴대단말장치(3))이 단계(S324)에서 기탁확인통지를 수신함에 따라, 콘텐츠데이터를 반환하기 위한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5. 실시예의 관리데이터
5-1. 관리데이터구조의 보기
도 6,7,8을 참조하여 상술한 처리동작에서는, 콘텐츠데이터의 복사 또는 이동이 분배센터측과 사용자측 사이에서 수행될 경우, TOC(관리데이터)의 송수신도 수행됨을 나타내고 있다.
TOC는 소정의 구조를 가지고 있고 예를 들어 데이터분배시스템을 형성하는 장치(서버(1), 분배단말장치(2) 및 휴대단말장치(3))들 각각의 저장부에 저장된다. TOC는 독출되어 필요에 따라 적절히 이용된다.
독출된 TOC는 도 3a,3b,4a,4b,4c를 참조하여 상술한 조작스크린을 표시하기 위해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휴대단말장치(3))측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분배단말장치(2) 또는 서버(1)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거기에 접근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도 3a,3b,4a,4b,4c를 참조하여 설명한 조작스크린은 휴대단말장치(3)가 설치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TOC가 휴대단말장치(3)로부터 얻어질 수 없는 경우의 다른 환경에서도 분배단말장치(2)로부터 스스로 예를 들어 분배센터측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의 TOC가 데이터분배시스템을 형성하는 장치(서버(1), 분배단말장치(2), 휴대단말장 치(3))들 각각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데이터의 관리를 위한 TOC콘텐츠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다른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의 관리를 위한 TOC콘텐츠가 서로 관련되는 구조를 가지로 있기 때문인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TOC는 서버(1), 분배단말장치(2), 휴대단말장치(3) 중에서 완전하고 서로 독립되어 있는 콘텐츠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서버(1), 분배단말장치(2) 및 휴대단말장치(3)의 다른 것들 사이에서 공통적인 콘텐츠를 가지고 있다.
도 9a-9e는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의 TOC를 갖는 데이터분배시스템을 형성하는 장치들 사이의 콘텐츠데이터관리의 개념을 나타낸 것이다.
도 9a는 휴대단말장치(3) 또는 분배단말장치(2)에 의해 접근될 수 있는 서버(1)의 저장부(102)에 저장되어 있는 그들의 콘텐츠의 실제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있다. 도 9b는 분배단말장치(2)의 저장영역(저장부(208))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데이터의 실제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있다. 도 9c는 휴대단말장치(3)의 저장영역(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데이터의 실제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있다. 휴대단말장치(3), 분배단말장치(2), 서버(1) 각각을 위해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콘텐츠데이터에 대한 기입/독출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그러한 실제 어드레스들이 직접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TOC처럼, 도 9d에 나타낸 제 1TOC와 도 9e에 나타낸 제 2TOC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TOC는 서버(1)에 대응하는 서버TOC와, 분배단말장치(2)에 대응하는 제 1분배단말TOC로 이루어진다. 제 1TOC는 서버(1)와 분배단말장치(2)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이다.
서버TOC는 예를 들어 분배단말장치(2)에 대해서도 처리를 허용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가상 어드레스(논리 어드레스)"로 서버(1)의 접근가능한 영역의 실제 어드레스를 대체함으로써 생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 1분배단말TOC는 분배단말장치(2)의 저장영역의 실제어드레스를 가상 어드레스로 대체함으로써 생성된다.
요약하면, 제 1TOC는 가상 어드레스로 기술되는 서버TOC와 제 1분배단말TOC를 가지고 있다. 즉,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데이터와 분배단말장치(2)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데이터가 제 1TOC라 불리는 단일 TOC로 관리된다.
따라서, 서버(1)에 저장되어 있고 다른 장치로부터 접근이 가능한 콘텐츠데이터와 분배단말장치(2)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데이터는 제 1TOC의 콘텐츠를 참조하여 중심화된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TOC가 참조되면, 예를 들어 분배단말장치(2)는 분배단말장치(2) 자신의 저장부(208)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뿐만 아니라 서버(1)의 저장부(102)에 저장되어 잇는 콘텐츠에도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분배단말장치(2) 상의 예를 들어 도 3a, 3b에 나타낸 센터콘텐츠리스트를 생성하고 표시하기 위해서, 분배단말장치(2)는 TOC를 얻기 위해 서버(1)에 접근하지 않고 스스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에 대한 TOC의 송수신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조작스크린이 표시되기까지의 시간이 감소하게 되고, 통신처리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제 2TOC는 분배단말장치(2)측과 휴대단말장치(3)측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도 9e에서처럼 휴대단말TOC와 제 2분배단말TOC로부터 형성된다. 또한, 이 경우, 제 2분배단말TOC는 휴대단말장치(3)측에서도 처리를 허용하는 가상 어드레스로 분배단말장치(2)의 저장영역의 실제 어드레스를 대체함으로써 생성된다. 휴대단말TOC는 분배단말장치(2)측에서도 처리를 허용하는 가상 어드레스로 휴대단말장치(3)의 저장영역의 실제어드레스를 대체함으로써 생성된다.
따라서, 분배단말장치(2)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와,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는 상술한 제 2TOC로 중심화된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TOC가 참조되면, 예를 들어 휴대단말장치(3)는 그 자신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뿐만 아니라, 분배단말장치(2)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에도 접근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장치(3)에 고유한 휴대단말ID 또는 사용자 ID 등의 사용자 또는 휴대단말장치(3)를 특정할 수 있는 ID정보가 분배단말장치(2)에 입력되면, 분배단말장치(2)는 스스로 휴대단말장치(3)로부터 TOC를 얻지 않고도 도 3a 및 3b에 나타낸 조작스크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상술한 제 1 및 제 2TOC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도 10 및 도 11은 전체적인 개념적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예를 들어 제 1TOC 및 제 2TOC는 공통적인 TOC를 적어도 사용하는 장치들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데이터가 이 장치들 사이의 처리를 허용하는 가상 어드레스로 관리되기만 하다면 사실상 어떠한 형태를 취해도 좋다.
제 1TOC는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상단 위치에 위치하는 사용자 ID를 가지는 것으로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이다.
사용자ID 아래에는, 서버TOC와 제 1분배단말TOC가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 서버TOC는 그 상단에 위치하고 서버를 특정하는 각 서버에 유일한 서버ID를 포함하고 있다. 서버ID에 의해 표시되는 서버에 관리되는 콘텐츠는 서버ID 아래에 위치한다. 실제 저장영역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는 예를 들어 가상 어드레스가 도 10에 나타낸 콘텐츠ID와 좌표화되는 방식으로 관리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 1분배단말TOC는 그 상단에 위치하는 각 분배단말장치(2)에 고유한 분배단말ID를 가지며, 여기에서 제 1분배단말TOC를 가지는 분배단말장치(2)는 분배단말ID에 의해 특정된다. 분배단말ID 아래에는, 가상 어드레스들과 분배단말장치(2)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의 콘텐츠ID가 조화된 관계로 배치된다.
제 2TOC에 있어서도, 사용자는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상단에 위치하는 사용자ID에 의해 특정된다. 사용자 ID 아래에는, 제 2분배단말TOC와 휴대단말TOC가 위치한다.
제 2분배단말TOC는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상단에 위치하는 분배단말ID를 가지며, 분배단말 ID 아래에는, 콘텐츠ID들과 가상 어드레스들이 조화된 관계로 저장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휴대단말TOC는 상단에 위치한 각 휴대단말장치(3)에 고유하며 휴대단말TOC를 갖는 휴대단말 장치(3)를 특정하는 휴대단말ID를 가진다. 휴대단말ID 아래에는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의 콘텐츠ID와 가상 어드레스가 좌표식 관계로 저장되어 있다.
5-2. 관리데이터에 근거하는 데이터 분배절차의 보기
도 6,7,8의 처리동작에 있어서, 악곡상점에 대해서 콘텐츠데이터를 기탁/반환 및 콘텐츠데이터에 대한 권리의 구매 및 다운로드와 관련한 통신처리를 주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콘텐츠데이터를 구매 또는 악곡상점으로부터 콘텐츠데이터를 반환할 때에, 콘텐츠데이터의 다운로드 시에 주로 상술한 TOC에 의해 접근하는 처리동작에 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도 12는 휴대단말장치(3)가 분배단말장치(2)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서버(1)로부터 콘텐츠데이터를 다운로드할 때 서버(1), 분배단말장치(2), 휴대단말장치(3)의 처리를 나타낸 것이다. 서버(1)의 처리는 제어부(101)에 의해 수행되며, 분배단말장치(2)의 처리는 제어부(207)에 의해 수행된다. 휴대단말장치(3)는 제어부(311)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제 1TOC가 서버(1) 및 분배단말장치(2)의 저장부(102,208)에 저장되어 있고, 제 2TOC는 분배단말장치(2) 및 휴대단말장치(3)의 저장부(208,320)에 저장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콘텐츠데이터의 다운로드시에, 휴대단말장치(3)는 우선 단계(S401)에서 다운로드를 위한 요청이 수신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예를 들어, 지정된 콘텐츠로서 악곡으로 다운로드를 개시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조작의 결과로서 다운로드를 위한 요청이 수신되면, 단계(S402)로 처리가 진행한다. 이 경우, 제 1TOC와 제 2TOC는 상술한 것처럼 서버(1)와 휴대단말장치(3)에 연결된 분배단말장치(2)가 공통적으로 소요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 2TOC가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 2TOC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단말ID와 사용자ID는 단계(S402)에서 분배단말장치(2)로 전송된다. 사용자ID와 휴대단말ID는 예를 들어 분배단말장치(2)측에 대한 인증처리를 위해 이용된다. 단계(S402)에서, 또한 다운로드의 대상으로서 지정된 콘텐츠데이터의 콘텐츠ID도 사용자ID 및 휴대단말ID와 함께 전송된다.
휴대단말장치(3)가 단계(S403-S402)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분배단말장치(2)측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제 2TOC를 갱신하지만, 휴대단말장치(3)는 예를 들어 휴대단말장치(3)에 의해 갱신된 제 2TOC가 저장부(320)에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부(320)의 분할을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S404)에서, 휴대단말장치(3)는 현재 휴대단말장치(3)가 소유하고 있는 제 2TOC 내부로부터 적어도 휴대단말장치(3) 자신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와 관련한 TOC의 콘텐츠인 휴대단말TOC를 전송한다.
한편, 분배단말장치(2)는 우선 단계(S431)에서 휴대단말장치(3)측으로부터 다운로드를 위한 요청이 수신되기를 기다린다. 그리고, 분배단말장치(2)가 단계(S402,S404)에서 휴대단말장치(3)의 처리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의 수신을 확인하면, 다운로드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별되고 다음 단계(S432)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S432)에서, 분배단말장치(2)는 다운로드요청을 전송한 휴대단말장치(3)가 합법적인 것인지 여부에 관한 인증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것은, 도 6,7,8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동작에서처럼 단계(S402)에서의 처리결과로서 전송된 사용자ID 및 휴대단말ID와, 분배단말장치(2)측이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ID 및 휴대단말 ID 사이를 비교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또는, 인증처리를 위해 단계(S402)에서의 처리결과로서 전송된 콘텐츠ID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휴대단말장치(3)가 합법적인 것이 아니면, 그 때 그것으로부터 전송된 콘텐츠ID는 분배센터측에 의해서 관리되는 형식을 갖지 않으므로, 그 콘텐츠ID는 인증처리에 이용될 수 있다.
그 때, 단계(S432)에서 현재 분배단말장치(2)에 접속된 휴대단말장치(3)가 합법적인 것이라고 긍정의 결과가 얻어지면, 그 후 처리는 단계(S433)로 진행한다. 도 12에 도시하지 않았더라도, 긍정의 인증결과가 얻어지지 않으면, 그 후, 예를 들면, 표시부상에 경고가 표시되며, 더 이상의 처리가 실행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1)가 분배센터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콘텐츠 데이터 전체를 저장하더라도, 분배단말장치(2)는 예를 들면, 분배단말장치(2) 자신의 저장부(208)에서 그 때까지 처리를 다운로드함으로써 서버(1)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데이터를 저장한다.
따라서, 단계(S433)에서, 분배단말장치(2)는 이전의 단계(S431)에서 수신되는 콘텐츠ID로 표시되는 콘텐츠데이터에 대하여 분배단말장치(2) 자신의 저장부(208)에 기록된 콘텐츠데이터를 검색한다.
이는 같은 저장부(208)에 저장된 제 2TOC의 제 2분배단말TOC나 제 1TOC의 제 1분배단말TOC를 참조함으로써 실행된다.
그리고 나서 다음의 단계(S434)에서, 분배단말장치(2)는 단계(S433)의 검색결과로서 분배단말장치(2)의 저장부(208)에 콘텐츠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S434)에서 긍정의 결과가 얻어지면, 그 후 처리는 단계(S435)로 진행하나, 부정의 결과가 얻어지면, 그 후 처리는 단계(S438)로 진행한다.
단계(S435)에서, 분배단말장치(2)는 분배단말장치(2) 그 자신의 제 2TOC의 콘테츠내에서부터 사용자ID, 분배단말ID 및 휴대단말ID를 송신하고, 검색의 적중과 콘텐츠ID로 통합된 가상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콘텐츠ID를 휴대단말장치(3)로 전송한다. 그 다음에, 다음 단계(S436)에서, 분배단말장치(2)는 저장부(208)로부터 검색된 콘텐츠데이터를 독출하고, 그 독출한 콘텐츠데이터를 휴대단말장치(3)로 전송한다.
분배단말장치(2)는 저장부(208)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독출할 때, 우선 휴대단말장치(3)로부터 송신된 콘텐츠ID로 통합된 제 2TOC의 분배단말TOC의 가상어드레스를 검색한다. 그 다음에, 제어부(207)는 그 가상어드레스를 저장부(208)의 대응하는 실제어드레스로 변환하고, 그 실제어드레스를 액세스하여 콘텐츠데이터를 독출한다. 즉, 제어부(207)는 가상어드레스를 저장부(208)의 실제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물리적 어드레스변환기능에 논리성을 갖는다.
휴대단말장치(3)는 단계(S405)에서, 단계(S435)의 처리결과로서 송신된 정보의 수신을 기다린다. 그와 같은 정보가 수신되면, 그 후 휴대단말장치(3)는 단계(S406)에서 단계(S436)의 처리결과로서 전송된 콘텐츠데이터가 수신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 다음에, 이와 같은 콘텐츠데이터가 수신되는지가 판별되면, 그 후 처리는 단계(S407)로 진행한다.
단계(S407)에서, 휴대단말장치(3)는 수신된 콘텐츠데이터를 저장부(320)에 기입하는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그 다음에, 콘텐츠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면, 휴대단말장치(3)는 다음의 단계(S408)에서 제 2TOC를 갱신한다. 특히, 휴대단말장치(3)는 제 2TOC의 휴대단말 TOC의 콘텐츠를 갱신하여, 단계(S407)의 처리결과로서 저장부(320)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를 TOC의 콘텐츠에 반영하고 더 나아가 단계(S405)에서 수신된 정보(분배단말ID, 콘텐츠ID 및 분배단말장치(2)의 가상어드레스)를 이용하는 제 2TOC의 (제 2)분배단말TOC를 갱신한다.
또한, 분배단말장치(2)측에서는, 콘텐츠데이터가 상술한 단계(S436)에서 송신된 후에 유사한 방식으로 제 2TOC의 콘텐츠의 갱신이 실행된다. 따라서, 적어도 이 단계에서는, 휴대단말장치(3)와 분배단말장치(2)가 공통으로 지닌 제 2TOC의 콘테츠가 서로 매치된다. 그러나, 단계(S408)에서 최종적으로 갱신된 콘텐츠는 분배단말장치(2)에 저장된 제 2TOC에 반영되지 않는다.
한편, 단계(S434)에서 부정의 결과가 얻어지고 처리가 단계(S438)로 진행하면, 그 후 분배단말장치(2)는 서버(1)로부터 콘텐츠데이터를 취득하는 액세스를 실행한다. 따라서, 이 단계(S438)에서, 분배단말장치(2)는 우선 제 1TOC와 제 1TOC의 분배단말TOC에 기술된 사용자ID, 서버ID 및 분배단말ID를 서버(1)로 전송한다. 더욱이, 분배단말장치(2)는 이때 휴대단말장치(3)로부터 지정된 콘텐츠ID를 송신한다.
서버(1)측은 우선 단계(S451)에서 분배단말장치(2)로부터 전송된 다운로딩 요구가 수신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 다음에, 서버(1)가 상술한 단계(S438)의 처리결과로서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면, 다운로딩 요구가 수신되었음을 판정하고, 단 계(S45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452)에서, 서버(1)는 콘텐츠데이터를 검색한다. 콘텐츠데이터를 서버(1)에 두면, 그 후 서버(1)는 수신된 사용자ID를 갖는 제 1TOC를 참조한다. 그 때, 서버(1)는 제 1TOC내에서부터 콘텐츠ID로 통합된 가상어드레스를 검색하고, 가상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저장부(102)의 실제어드레스를 액세스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사하게 물리적 어드레스 변환기능에 논리성을 갖는다. 한편, 콘텐츠데이터의 권리구매시, 서버(1)는 저장부(102)에 저장된 제 1TOC 전체의 서버TOC내에서부터 그 수신된 콘텐츠ID를 검색한다. 그 다음에, 제어부(101)는 콘텐츠ID에 대응하는 가상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저장부(102)를 액세스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검색을 실행한 후의 처리로서, 본 예에서, 서버(1)는 단계(S453)의 제 1TOC의 콘텐츠를 갱신한다. 여기서, 서버(1)는 단계(S451)에서 분배단말장치(2)로부터 수신된 정보(사용자ID, 분배단말ID, 콘텐츠ID, 제 1TOC의 분배단말TOC)에 기초하여 (제 1)분배단말TOC를 갱신한다. 특히, 서버(1)의 제 1TOC는 사용자ID에 대응하는 최신 분배단말TOC로 갱신되어, 분배단말TOC는 콘텐츠ID에 대응하는 가상어드레스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서버(1)측은 이 때 액세스된 서버(1)를 갖는 분배단말장치(2)의 콘텐츠데이터의 관리가 무엇인지를 혼자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분배단말장치(2)의 제 1TOC의 분배단말TOC의 갱신(단계 S444)에 의해서 갱신된 콘텐츠는 단계(S453)에서 갱신되지 않는다.
그 후, 서버(1)는 단계(S454)에서 사용자ID, 서버ID 및 분배단말ID를 분배단말장치(2)로 송신하고 서버TOC로 송신한다. 서버TOC는 추가적으로 이 때 다운로드 대상으로서 지정된 콘텐츠의 콘테츠ID와 그 콘텐츠ID로 통합된 가상어드레스를 가지므로, 이 후 그 콘텐츠ID를 검색할 필요없이 가상어드레스의 지정에 의해서 콘텐츠를 직접 액세스하는 콘텐츠를 갖는다.
그 다음에 다음의 단계(S455)에서, 단계(S452)에서 검색된 콘텐츠데이터는 저장부(102)로부터 독출되고 분배단말장치(2)로 전송된다.
분배단말장치(2)는 단계(S439)에서 단계(S454)의 처리결과로서 서버(1)로부터 전송된 정보의 수신을 기다린다. 그 정보가 수신된 것을 판별하면, 그 후 분배단말장치(2)는 단계(S440)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그 단계에서 단계(S455)의 처리결과로서 서버(1)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데이터의 수신을 기다린다. 그 다음에 단계(S440)에서 콘텐츠데이터가 수신된 것을 판별하면, 그 후 처리는 단계(S441)로 진행한다.
단계(S441)에서는, 분배단말장치(2)가 단계(S440)에서 수신된 콘텐츠데이터를 분배단말장치(2) 자체의 저장부(208)에 기입함으로써 저장부(208)는 콘텐츠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다음의 단계(S442)에서, 분배단말장치(2)는 단계(S439)의 서버(1)측에서부터 수신된 가상어드레스, 사용자ID, 분배단말ID, 휴대단말ID, 콘텐츠ID를 휴대단말장치(3)로 전송한다. 여기서, 가상어드레스는 서버(1)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따라서 제 2TOC에 반영되는 가상어드레스이다. 즉, 휴대단말장치(3)의 제 2TOC는 가상어드레스에 따라서 갱신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데이터가 휴대단말장치(3)로부터의 다운로딩 요구에 응하여 분배단말장치(2)의 저장부(208)에 또한 저장되는 예를 기술한다. 그러나, 저장부(208)는 콘텐츠데이터를 서버(1)로부터 휴대단말장치(3)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버퍼로서만 이용될 수 있다. 이 예시에서, 콘텐츠데이터는 다운로딩 처리가 완료된 후 저장부(208)로부터 삭제된다. 결과적으로, 대응하는 제 1TOC의 분배단말TOC와 대응하는 제 2TOC의 분배단말TOC의 콘텐츠들은 어느 것도 갱신되지 않는다.
그 다음에 다음의 단계(S443)에서, 분배단말장치(2)는 단계(S440)에서 수신된 콘텐츠데이터를 휴대단말장치(3)로 전송한다.
그 콘텐츠 데이터에 응하여, 휴대단말장치(3)는 상술한 바를 참조하여 단계(S406)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443)의 콘텐츠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된 후, 분배단말장치(2)는 다음의 단계(S444)에서, 예를 들면, 제 1TOC의 서버TOC의 콘텐츠의 재배치를 실행하며, 서버(1)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데이터가 저장될 저장부(208)의 물리적 어드레스를 가상어드레스로 변환하고, 그 후 (제 1)분배단말장치TOC의 콘텐츠를 재기입함으로써 제 1TOC를 갱신한다. 분배단말장치(2)는 또한 제 2TOC의 갱신을 실행한다. 유사하게, 분배단말장치(2)는 서버(1)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데이터가 저장될 저장부(208)의 물리적 어드레스를 가상어드레스로 변환하고, 또한 제 2TOC의 분배단말TOC의 갱신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는, 예를 들면,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상술한 콘텐츠데이터의 권리구매시의 다운로드나 도 4a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상술한 악곡상점에 기탁한 콘텐츠데이터의 반환시의 다운로드시에 실행된다. 이 예시에서는, 콘텐츠데이터의 관리는, 예를 들면, 도 9a 내지 도 9e,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TOC(제 1TOC와 제 2TOC)에 기초하여 실행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휴대단말장치(3)의 사용자는 분배단말장치(2)를 통해서 서버(1)에 저장된 정보를 액세스할 수 있다. 이 예시에서는, 예를 들면, 제 1TOC가 분배단말장치(2)와 서버(1)가 거기에 개별적으로 저장된 콘텐츠의 관리정보를 공통으로 갖도록 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분배단말장치(2)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콘텐츠 리스트(A1)를 혼자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리스트(A1)는 서버(1)측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데이터 전체의 리스트를 항상 제공할 수 있고, 휴대단말장치(3)의 사용자는 특히 분배센터측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가 서버(1)측에만 존재하거나 분배단말장치(2)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의식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또한 휴대단말장치(3)의 TOC콘텐츠는 분배단말장치(2)의 제 2TOC로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장치(3)와 분배단말장치(2)간의 파일 액세스가 허용된다.
더욱이, 악곡상점에 기탁한 콘텐츠데이터의 처리의 반환시, 제 1TOC와 제 2TOC는 기탁시 이미 갱신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장치(3)의 제어부(311)는 단계(S402)의 제 2TOC의 분배단말TOC의 가상어드레스, 사용자ID, 휴대용단말ID, 콘텐츠ID를 송신한다. 이 예시에서, 분배단말장치(2)의 제어부(207)는 가상어드레스를 실제어드레스로 변환하고, 원하는 콘텐츠데이터를 직접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데이터는 분배단말장치(2)의 저장부(208)가 아니라 서버(1)의 저장부(102)에 저장되어 있으며, 콘텐츠ID는 분배단말장치(2)의 제 1TOC에 이미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분배단말장치(2)의 제 1TOC로부터 검색된 콘텐츠ID에 대응하는 가상어드레스가 분배단말장치(2)로부터 서버(1)로 송신되면, 그 후 서버(1)는 콘텐츠ID에 대한 검색처리에 의해서가 아니라 어드레스의 물리적 변환에 대한 논리적인 용이한 처리에 의해서 저장부(102)의 콘텐츠데이터를 액세스할 수 있다.
서버(1)가 지니고 있는 TOC때문에, 분배단말장치(2)와 휴대단말장치(3)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갱신되며, 검색을 포함하지 않는 용이한 직접액세스를 달성할 수 있다.
서버(1)가 지닌 제 1TOC에서, 분배단말TOC는 서버(1)가 새롭게 액세스되는 분배단말ID에 응하여 증가하고, 최종적으로 각 사용자ID에 대하여 복수의 분배단말TOC가 저장된다.
분배단말장치(2)가 지닌 제 1TOC에서, 서버TOC는 분배단말장치(2)가 새롭게 액세스하는 서버ID에 응하여 증가하며, 최종적으로 각 사용자ID에 대하여 복수의 서버TOC가 저장된다.
분배단말장치(2)가 지닌 제 2TOC에서, 휴대단말TOC는 그 분배단말장치(2)를 액세스하는 새로운 휴대단말장치(3)에 응하여 증가하고, 최종적으로 각 사용자ID에 대하여 복수의 휴대단말TOC가 저장된다.
휴대단말장치(3)가 지닌 제 2TOC에서, 분배단말TOC는 휴대단말장치(3)가 액세스하는 새로운 분배단말ID에 응하여 증가하고, 최종적으로 각 사용자ID에 대하여 복수의 분배단말TOC가 저장된다.
6. 수정
본 실시예의 상기 기술은 서버(1)와 분배단말장치(2)가 공통으로 제 1TOC를 갖고, 분배단말장치(2)와 휴대단말장치(3)가 공통으로 제 2TOC를 갖는 조건에서 진행된다. 그러나, 서버(1), 분배단말장치(2) 및 휴대단말장치(3)가 발전된 형식으로서 단일 공통 TOC를 갖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예를 들면, 이제 막 기술한 TOC와 같은 개념을 나타낸다.
또한, 이 예시에서는, 도 9a, 9b 및 9c에 나타낸 TOC에서와 유사하게, 휴대단말장치(3)나 분배단말장치(2)에 의해서 액세스될 수 있는 서버(1)의 저장부(102)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데이터의 실제어드레스를 도 13a에 나타내고, 분배단말장치(2)의 저장영역(저장부(208))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실제어드레스를 도 13b에 나타낸다. 더욱이, 휴대단말장치(3)의 저장영역(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데이터의 실제어드레스를 도 13c에 나타낸다.
이 예시에서, TOC는 도 1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버TOC, 분배단말TOC, 휴대단말TOC로부터 형성된다. 여기서, 서버TOC, 분배단말TOC 및 휴대단말TOC는 도 9d 및 도 9e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유사한 콘텐츠를 갖는다. TOC는 서버(1), 분배단말장치(2) 및 휴대단말장치(3)가 공통으로 가지고 있다.
TOC의 구조예를 도 14에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시한 TOC에서도, 그 사용자ID에 의해서 지정된 각 사용자가 유일하기 때문에, 사용자ID는 맨 위에 위치된다. 사용자ID 아래에, 서버 TOC, 분배단말TOC 및 휴대단말TOC가 위치한다.
서버TOC에서는, 서버(1)에 저장된 액세스가능한 콘텐츠의 콘텐츠ID와 서버(1)의 가상어드레스가 통합된 관계로 위치된다. 유사하게, 분배단말TOC에서는, 분배단말장치(2)에 저장된 콘텐츠의 콘텐츠ID와 분배단말장치(2)의 가상어드레스가 통합된 관계로 저장되고, 휴대단말TOC에서는,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된 콘텐츠의 콘텐츠ID와 휴대단말장치(3)의 가상어드레스가 통합된 관계로 저장되어 있다.
또한 서버(1), 분배단말장치(2) 및 휴대단말장치(3)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TOC를 공통으로 갖고 있으며, 예를 들면, 콘텐츠데이터의 다운로드시에, 각 장치가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단말장치(3)는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분배단말장치(2)나 서버(1)의 저장부를 액세스할 수 있다. 더우기, 예를 들면, 휴대단말장치(3)는 분배단말장치(2)의 중재없이 서버(1)와 서로 통신할 때, 서버(1)에 저장된 콘텐츠를 즉시 액세스할 수 있다.
서버(1)가 갖고 있는 TOC때문에, 분배단말장치(2)와 휴대단말장치(3)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갱신되며, 검색을 포함하지 않는 용이한 직접 액세스를 달성할 수 있다.
서버(1)가 갖고 있는 TOC에서, 분배단말TOC나 휴대단말TOC는 서버(1)가 새로 액세스되는 분배단말ID나 휴대단말ID에 응하여 증가하며, 최종적으로, 각 사용자ID 에 대하여 복수의 분배단말TOC나 복수의 휴대단말TOC가 저장된다.
분배단말장치(2)가 갖고 있는 TOC에서, 서버TOC나 휴대단말TOC는 분배단말장치(2)가 새로 액세스하는 서버ID나 분배단말장치(2)가 새로 액세스되는 휴대단말ID에 응하여 증가하며, 각 사용자ID에 대하여 복수의 서버TOC나 복수의 휴대단말TOC가 저장된다.
휴대단말장치(3)가 갖고 있는 TOC에서, 분배단말TOC나 서버TOC는 휴대단말장치(3)가 새로 액세스하는 분배단말ID나 서버ID에 응하여 증가하며, 최종적으로, 각 사용자ID에는 복수의 서버TOC나 분배단말TOC가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단말장치(3)로부터 분배단말장치(2)나 서버(1)로 기탁할 때, TOC의 처리를 재기입함으로써 기탁처리를 실현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그러나, 대신에, 콘텐츠정보를 휴대단말장치(3)로부터 분배단말장치(2)나 서버(1)로 실제로 이동시켜도 좋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 분배시스템에 대한 수정을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여, 나타낸 시스템은 분배센터측의 장비로서, 서버(1), 회계통신 네트워크(5) 및 통신네트워크(4)를 포함한다. 그 시스템은 더욱이 사용자측의 장비로서, 휴대단말장치(3)외에도 기록재생장치(6)를 포함한다.
기록재생장치(6)는 예를 들면, 정지형의 장치로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가정에 설치된다. 기록재생장치(6)는 통신네트워크(4)에 접속되어 서버(1)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의 분배센터측과 휴대단말장치(3)의 사이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권리의 매매, 분배센터측으로부터의 콘텐츠 의 부수적인 다운로드, 악곡상점에 대한 기탁/반환처리가 서버(1)와 기록재생장치(6)간에 실행될 수 있다.
기록재생장치(6)는 휴대단말장치(3)가 거기에 장착되도록 한다. 기록재생장치(6)는 거기에 장착된 휴대단말장치(3)와 통신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휴대단말장치(3)로 이동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서버(1)로부터 다운로드되고 기록재생장치(6)에 저장된 콘텐츠를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된 콘텐츠를, 반대로, 기록재생장치(6)로 이동시키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기록재생장치(6)로 전송하고 저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록재생장치(6)와 휴대단말장치(3) 사이의 전송이 카피되지 않고 이동하는 이유는 다운로드된 콘텐츠가 이용자측에 의해서 복제됨으로써 콘텐츠의 악곡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처리를 본 시스템에 적용하면, 분배센터측의 처리는 서버(1)에 의해서 실행되는 반면, 사용자측의 처리는 기록재생장치(6)에 의해서 실행된다.
또한, 이제 막 기술한 것과 같은 시스템은 도 9a 내지 도 9e,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유사한 TOC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서버(1)에 저장된 콘텐츠를 관리하는 TOC와 기록재생장치(6)에 저장된 콘텐츠를 관리하는 또 다른 TOC로 이루어진 제 1TOC는 서버(1)와 기록재생장치(6)에 저장되며, 기록재생장치(6)에 저장된 콘텐츠를 관리하는 TOC와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된 콘텐츠를 관리하는 또 다른 TOC로 이루어진 제 2TOC는 기록재생장치(6)와 휴대단말장 치(3)에 저장된다.
대신에, 도 13a 내지 도 13d 및 도 14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유사한 서버(1), 기록재생장치(6) 및 휴대단말장치(3)에 저장된 콘텐츠를 관리하는 TOC세트로 이루어진 단일TOC는 서버(1), 기록재생장치(6), 휴대단말장치(3) 각각에 저장되어도 좋다. 이는 서버(1), 기록재생장치(6), 휴대단말장치(3) 각각이 대상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데이터 분배시스템은 도 1 및 도 15에 나타낸 것과 다른 장치구성을 가져도 좋다. 더욱이, 데이터 분배시스템에 의해서 분배될 콘텐츠로서의 데이터도 역시 주로 악곡과 같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게임용 소프트웨어, 비디오 데이터 및 소설과 같은 기록의 텍스트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가 사용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와 분배장치는 공통적으로 단말장치와 분배장치내에 모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관리될 수 있는 한 개의 관리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단말장치와 분배장치의 각각은 그 관리 데이터에 근거하여 액세스될 수 있다. 이것은 콘텐츠 데이터등을 구입하기 위해서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가 관리 데이터에 근거하여 수행되며, 그리고 예를 들면, 분배장치와 단말장치 사이에서 전달된 콘텐츠 데이터의 관리가 단말장치 또는 분배장치측에 의해 독자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부과금설정은 단말장치측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분배단말장치의 저장부의 저장용량에 따라 수행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권리가 사용자에 의해 구입되는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가상상점의 용량에 대해 돈의 액수가 부과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분배측은 지금 까지 "다운로드마다의 구매"에 따라 콘텐츠의 분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 분배사업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에 의해 구입된 콘텐츠 데이터가 상점을 이용하여 관리되는 매우 편리한 방식으로 분배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단말장치측으로부터 지정된 콘텐츠 데이터는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복사 또는 이동하는 방식으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따라서, 다운로딩시에는, 상술한 관리 데이터에 근거하여 이러한 액세싱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다운로드되는 콘텐츠를 지정하는 조작 또는 그와 같은 조작이 신속히 수행된다.
게다가, 액세스 요청이 수신될 때에 가끔 분배 시스템은 인증을 요구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관리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증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부과금설정이 단말장치에 의해 이용되는 분배장치의 저장용량의 이용 용량에 근거하여 수행될 때에, 돈의 액수는, 예를 들면 미리 계약에 따라 규정된 고정용량에 대해 부과된다. 즉, 부과금설정은 액세싱 결과에 따라 변하는 저장 용량의 이용 용량에 따라 수행된다. 이와 같이, 이용 용량의 부과금설정은 어느 정도의 자유도를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분배 시스템의 관리 또는 사용자에 대한 편의를 위해 적절한 부과금 규정이 설정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데이터가 "다운로드마다의 구매"에 의해 거래되지 않고 콘텐츠 데이터의 권리가 거래되는 시스템이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콘텐츠 데이터를 다시 한 번 다운로드하여 그 콘텐츠 데이터를 분배장치측에 저장할 수 있는 권리에 근거하여 분배장치를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만약 사용자측의 저장용량이 불충분하고 사용자가 예를 들면, 어느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한다면, 단지 콘텐츠 데이터의 권리가 유지된다면, 사용자는 콘텐츠 데이터를 새롭게 구입할 필요가 없이 분배장치측으로부터 콘텐츠 데이터의 공급을 수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금까지 "다운로드마다의 구매"에 의해 달성되지 못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사용자에 의해 누릴 수 없었던 장점이 기대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권리의 관리(악곡상점관리)에 대한 부과금의 새로운 관리가 기대될 수 있다.
콘텐츠 권리의 이러한 구매정보가 분배장치측에 의해 처리되는 경우에, 예를 들면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실수로 그것의 콘텐츠 데이터 또는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의 권리정보를 잃어버리더라도, 만약 분배측 장치가 사용자측으로부터 액세스된다면, 잃어버린 콘텐츠 데이터 또는 권리를 회복시킬 수가 있으며, 이것은 서비스의 가치를 상승시키게 된다.

Claims (48)

  1.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 1저장부와,
    다수의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 2저장부와,
    관리정보의 단일 세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저장부와 상기 제 2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로, 상기 관리정보의 단일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정보에서 콘텐츠 ID와 상기 콘텐츠 정보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상응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저장부와 상기 제 2저장부를 관리하며,
    통신을 위해 상기 제 1저장부, 상기 제 2저장부와 상기 제어부를 상호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저장부는 원거리에 위치되고 상기 제 2저장부는 가까운 거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물리적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논리적 어드레스에 의해 기술되는 관리정보의 단일한 세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저장부와 상기 제 2저장부의 각각의 소정의 물리적 어드레스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액세스하는 통신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저장부에 저장된 다수의 콘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한 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다수의 콘텐츠 정보 중 최소한 한 정보가 상기 제 2저장부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저장부로 복사 또는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다수의 콘텐츠 정보 중 최소한 한 정보에 대응하는 관리정보의 논리적 어드레스를 검색하고, 상기 논리적 어드레스를 상기 제 2저장부의 물리적 어드레스로 변환하고 상기 물리적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상기 제 2저장부를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저장부 또는 상기 제 2저장부의 이용에에 따라 소정의 사용자에 부과되어지는 돈의 액수를 설정하기 위해 구성된 부과금설정부과, 상기 제 1저장부에 저장된 다수의 콘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한 정보를 삭제하도록 구성된 삭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과금설정부는, 상기 삭제부에 의해 삭제된 콘텐츠 정보의 콘텐츠 ID가 상기 관리정보에 의해 관리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가 상기 제 2저장부로부터 상기 제 1저장부로 전달될 때에 는, 전달요청을 발행한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설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저장부 또는 상기 제 2저장부의 이용에 따라 소정의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부과금설정부과, 상기 제 1저장부에 저장된 다수의 콘텐츠 정보 중 최소한 한 정보를 삭제하는 삭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과금설정부는, 상기 삭제부에 의해 삭제된 콘텐츠 정보의 콘텐츠 ID가 상기 관리정보에 의해 관리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가 상기 제 2저장부로부터 상기 제 1저장부로 전달될 때에는, 전달요청을 발행한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정상요금보다 더 적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2저장부의 이용 용량에 따라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부과금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저장부에 대한 이용 용량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부과, 상기 설 정부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의 이용 용량에 따라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설정하는 부과금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제 2저장부를 관리하는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이용 용량을 적합하게 설정하고, 상기 부과금설정부는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의 이용 용량에 따라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과금설정부는 상기 제 2저장부에 각각의 사용자를 위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 2저장부의 이용 용량에 따라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사용자를 위해 최소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부과된 돈의 액수와 사용자의 ID가 외부의 결제센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 2저장부에 대한 액세스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저장부는 다수의 사용자 ID들을 저장하고,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 2저장부가 액세스되는 사용자 ID와 상기 제 2저장부를 액세스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다수의 사용자 ID들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4. 제 1저장매체를 포함하는 단자기기와 제 2저장매체를 포함하는 서버 사이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관리 정보의 단일 세트를 사용함으로써 콘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한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로, 상기 관리 정보의 단일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정보의 콘텐츠 ID와 콘텐츠 정보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대응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기기의 상기 제 1저장매체와 상기 서버의 상기 제 2저장매체 모두를 관리하고,
    상기 관리 정보의 단일 세트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저장매체와 상기 제 2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액세스하는 액세스 단계와,
    상기 제 1저장매체와 상기 제 2저장매체 사이의 요구된 콘텐츠 정보를 통신하는 통신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5. 분배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와,
    통신을 위해 상기 분배장치를 외부장치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통신부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관리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관리 정보 업데이트 부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콘텐츠 정보의 콘텐츠 ID와 상기 콘텐츠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고,
    외부장치로부터 사용자 요구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이용 용량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저장부의 사용을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부과금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물리적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논리적 어드레스에 의해 기술되는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부의 소정의 물리적 어드레스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외부장치의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다수의 콘텐츠 정보 중 최소한 한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저장부로부터 외부장치로 복사 또는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다수의 콘텐츠 정보 중 최소한 한 정보에 대응하는 관리정보의 논리적 어드레스를 검색하고, 상기 논리적 어드레스를 상기 저장부의 물리적 어드레스로 변환하고 상기 물리적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부를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외부장치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가 삭제되고 콘텐츠 ID가 관리정보에 의해 관리될 때에, 상기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될 때에는, 상기 부과금설정부는 전달요청을 발행한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설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외부장치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가 삭제되고 콘텐츠 ID가 관리정보에 의해 관 리될 때에, 상기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될 때에는, 상기 부과금설정부는, 전달요청을 발행한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정상요금보다 더 적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22. 제 16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부과금설정부는 상기 저장부의 이용 용량에 따라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대한 이용 용량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과금설정부는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의 이용 용량에 따라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저장부를 관리하는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이용 용량을 적합하게 설정하고, 상기 부과금설정부는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의 이용 용량에 따라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부과금설정부는 상기 저장부에 각각의 사용자를 위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저장부의 이용 용량에 따라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사용자를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부과된 돈의 액수와 사용자의 ID가 적어도 외부의 결제센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2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저장부에 대한 액세스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다수의 사용자 ID들을 저장하고,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저장부가 액세스되는 사용자 ID와 상기 저장부를 액세스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다수의 사용자 ID들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29.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제 1장치와 제 2장치 사이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희 망하는 콘텐츠 정보를 분배하는 분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장치로부터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를 위한 관리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로, 상기 관리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콘텐츠 정보의 콘텐츠 ID와 콘텐츠 정보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고,
    제 2장치로부터의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액세스하는 액세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방법.
  30. 분배장치로부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콘텐츠 정보와 상기 분배장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ID와 대응하는 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분배장치로부터 분배장치 내에 저장된 다수의 콘텐츠 ID들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ID를 분배장치로 전달하는 통신부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ID를 상기 분배장치로 전달하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분배장치로부터 상기 저장부로 수신된 콘텐츠 ID들을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 정보가 상기 저장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분배장치에 제공된 저장매체의 소정의 물리적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논리적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적 어드레스는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분배장치에 의해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관리정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관리정보에 포함된 논리적 어드레스를 추출하고 상기 분배장치에 논리적 어드레스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4.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다수의 콘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ID를 상기 분배장치로 전달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5.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분배장치로부터 단말장치로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통 신방법으로, 상기 관리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ID와 상기 분배장치에 저장된 대응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관리하는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배장치로부터 상기 분배장치 내에 저장된 다수의 콘텐츠 ID들을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ID를 상기 분배장치로 전달하는 전달단계와, 상기 분배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콘텐츠 ID들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정보에 저장된 대응하는 어드레스들이 상기 분배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6. 단말장치, 분배단말장치 및 서버장치가 통신을 위해 상호 접속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서버장치에 제공된 제 1저장매체와,
    다수의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분배단말장치에 제공된 제 2저장매체와,
    다수의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된 제 3저장매체와,
    콘텐츠 관리정보의 단일 테이블에 근거하여 제 1, 제 2 및 제 3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에 액세스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관리정보의 단일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정보의 콘텐츠 ID와 콘텐츠 정보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대응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저장매체 중 적어도 2개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제 1저장매체와 상기 제 2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콘텐츠의 단일 테이블에 의해 관리하는 제 1관리정보와, 상기 제 2저장매체와 상기 제 3저장매체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콘텐츠의 다른 단일 테이블에 의해 관리하는 제 2관리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38.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콘텐츠의 단일 테이블에 의해 관리하는 분배된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3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관리정보는 상기 서버장치와 상기 분배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부에 저장되고, 상기 제 2관리정보는 상기 분배단말장치와 상기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40.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물리적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논리적 어드레스에 의해 기술되는 상기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과 제 2저장매체의 각각의 소정의 물리적 어드레스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저장매체 또는 상기 제 2저장매체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다수의 콘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한 정보에 대응하는 관리정보의 논리적 어드레스를 검색하며, 상기 논리적 어드레스를 상기 제 1저장매체 또는 상기 제 2저장매체의 물리적 어드레스로 변환시키고 상기 물리적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저장매체 또는 상기 제 2저장매체를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42.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저장매체는 하드디스크이고 상기 제 3저장매체는 반도체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43.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압축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ATRAC 포맷으로 압축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4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저장부 또는 상기 제 2저장부의 이용에 따라 소정의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돈의 액수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부과금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4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사용자의 I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48.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사용자의 I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방법.
KR1020070050786A 2000-04-11 2007-05-25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분배장치, 분배방법과 단말장치 KR100813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15775A JP4433560B2 (ja) 2000-04-11 2000-04-11 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
JPJP-P-2000-00115775 2000-04-1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643A Division KR100774291B1 (ko) 2000-04-11 2001-04-09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분배장치, 분배방법과 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958A true KR20070062958A (ko) 2007-06-18
KR100813204B1 KR100813204B1 (ko) 2008-03-13

Family

ID=186273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643A KR100774291B1 (ko) 2000-04-11 2001-04-09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분배장치, 분배방법과 단말장치
KR1020070050786A KR100813204B1 (ko) 2000-04-11 2007-05-25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분배장치, 분배방법과 단말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643A KR100774291B1 (ko) 2000-04-11 2001-04-09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분배장치, 분배방법과 단말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6996563B2 (ko)
EP (2) EP1699152A1 (ko)
JP (1) JP4433560B2 (ko)
KR (2) KR100774291B1 (ko)
CN (3) CN1242575C (ko)
DE (1) DE60139045D1 (ko)
TW (1) TW5505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8713B1 (en) 1999-03-30 2004-04-27 Tivo, Inc. Distribu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US9607328B2 (en) 1999-03-30 2017-03-28 Tivo Solutions Inc. Electronic content distribution and exchange system
US8131648B2 (en) * 1999-10-20 2012-03-06 Tivo Inc. Electronic content distribution and exchange system
JP4433560B2 (ja) 2000-04-11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
US20020069308A1 (en) * 2000-07-10 2002-06-06 Songpro.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digital multimedia content
EP2378733B1 (en) * 2000-11-10 2013-03-13 AOL Inc.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and subscription system
US20030046420A1 (en) * 2001-08-28 2003-03-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dia service e-utility
WO2003038704A1 (fr) * 2001-10-31 2003-05-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de transfert et recepteur d'informations de contenu
JP4523280B2 (ja) * 2002-01-08 2010-08-11 ティヴォ インク 電子コンテンツの分散および交換システム
JP4039158B2 (ja) * 2002-07-22 2008-01-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881992B1 (en) * 2002-07-31 2011-02-01 The Pnc Financial Services Group,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and managing corporate action information
US20040177115A1 (en) * 2002-12-13 2004-09-09 Hollander Marc S. System and method for music search and discovery
US7797064B2 (en) * 2002-12-13 2010-09-14 Stephen Loomis Apparatus and method for skipping songs without delay
US7412532B2 (en) * 2002-12-13 2008-08-12 Aol Llc, A Deleware Limited Liability Company Multimedia scheduler
US7912920B2 (en) 2002-12-13 2011-03-22 Stephen Loomis Stream sourcing content delivery system
GB0315151D0 (en) * 2003-06-28 2003-08-06 Ibm Graphical user interface operation
JP2005332137A (ja) * 2004-05-19 2005-12-02 Sony Corp コンテンツデータ供給システム、コンテンツデータ供給装置および方法、コンテンツ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615262B2 (ja) * 2004-06-30 2011-01-19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4395607B2 (ja) * 2004-08-06 2010-01-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ラオケシステムおよびカラオケ処理プログラム
EP1808794B1 (en) 2004-10-15 2015-05-27 Godo Kaisha IP Bridge 1 Content delivery method, content delivery service computer, content delivery service system, data discard recognition method, data discard recognition computer, and terminal
JP4529639B2 (ja) * 2004-10-28 2010-08-25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情報譲渡等機能付装置、電子情報譲渡等プログラム及び電子情報譲渡等方法
CA2588630C (en) * 2004-11-19 2013-08-20 Tiv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transfer of previously broadcasted content
US20060143132A1 (en) 2004-11-30 2006-06-29 Valenti William L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a market in used digital content
JP4131964B2 (ja) 2004-12-10 2008-08-13 株式会社東芝 情報端末装置
JP4722519B2 (ja) * 2005-03-25 2011-07-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計算機システム及びストレージサーバ、検索サーバ、端末装置並びに検索方法
US20060235800A1 (en) * 2005-04-18 2006-10-19 Alcatel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media streaming systems
KR100706506B1 (ko) * 2005-06-02 2007-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녹화 및 재생 장치에서의 미디어 복사 장치및 방법
JP4556789B2 (ja) * 2005-07-07 2010-10-0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再生プログラム
JP4412269B2 (ja) 2005-07-28 2010-02-1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42204A (ja) * 2005-08-02 2007-02-15 Sony Corp 再生装置、期限通知方法および期限通知プログラム
US20070198492A1 (en) * 2006-02-17 2007-08-23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suggesting prices for rights in files on a network
US7702781B2 (en) * 2006-03-03 2010-04-20 Teoco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storing data files at a remote storage facility
CN101051401A (zh) * 2006-04-05 2007-10-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多功能电子装置
US20080034066A1 (en) * 2006-08-03 2008-02-07 Michael Shamus Method for distribution of music
US20080228459A1 (en) * 2006-10-12 2008-09-18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apacity Planning and Resource Optimization in a Distributed System
US9317179B2 (en) 2007-01-08 2016-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to a user of a cloud computing service
US7865572B2 (en) * 2007-01-08 2011-01-04 Mspo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gital content from a personal computer to a mobile handset
US7865571B2 (en) 2007-01-08 2011-01-04 Mspo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gital content from a personal computer to a mobile handset
US7937451B2 (en) * 2007-01-08 2011-05-03 Mspo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gital content from a computer to a mobile handset
US20080172442A1 (en) * 2007-01-17 2008-07-17 Inventec Corporation Multi-computer system and configuration method therefor
JP4853717B2 (ja) * 2007-02-23 2012-01-11 日本電気株式会社 サーバ移行計画作成システム、サーバ移行計画作成方法
US7930228B1 (en) 2007-06-29 2011-04-19 Hawkins Charles S Promoting compliance by financial institutions with due diligence requirements
JP2009140169A (ja) * 2007-12-05 2009-06-25 Sony Corp サーバ装置、端末装置、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送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63595A (ja) * 2008-01-09 2009-07-23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111302B2 (en) * 2008-01-31 2015-08-18 Phm Associates Limited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 retail organization
US9098342B2 (en) * 2009-09-18 2015-08-04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Extracting overlay invariants network for capacity planning and resource optimization
US9286446B2 (en) * 2009-12-11 2016-03-15 Sony Corporation Domain spanning applications
CN102473220B (zh) * 2010-05-07 2015-06-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分发系统
JP2012141987A (ja) * 2010-12-30 2012-07-26 Sony Corp 映画などのコンテンツアイテムに関する社会的相互作用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ITMI20111100A1 (it) * 2011-06-17 2011-09-16 Cristiano Leila Sistema e procedimento radiofonico/telematico per la trasmissione, distribuzione e acquisto di contenuti radiofonici in tempo reale: aggiornamenti e integrazioni al brevetto per invenzione industriale n° 0001382326
RU2493596C1 (ru) * 2012-04-04 2013-09-20 Михаил Борисович Ступеньков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ехнической эксплуатацией зданий, сооружений
JP6083497B2 (ja) * 2012-07-06 2017-02-22 株式会社Ecs ページ編集プログラム
JP5768071B2 (ja) * 2013-02-18 2015-08-26 株式会社東芝 配信装置
KR102170179B1 (ko) * 2013-11-08 2020-10-26 주식회사 케이티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영상 제공 방법 및 단말
US9921756B2 (en) * 2015-12-29 2018-03-20 EMC IP Holding Company LLC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an index of data blocks stored in a storage system using a shared storage module
KR102104602B1 (ko) * 2018-11-15 2020-04-24 김철수 맞춤형 소음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7350A (en) * 1988-12-15 1992-05-26 Flashpoint Computer Corporation Memory address mechanism in a distributed memory architecture
US5011489A (en) * 1989-10-05 1991-04-30 University Of South Florida Endothelium stripp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245420A (en) * 1990-11-27 1993-09-14 Scientific-Atlanta, Inc. CATV pay per view interdiction system
JP3958355B2 (ja) * 1992-12-09 2007-08-15 セドナ・パテント・サービシズ・エルエルシー ケーブルテレビ配送システム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コントローラ
US7509270B1 (en) * 1992-12-09 2009-03-24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Electronic Book having electronic commerce features
US5619690A (en) * 1993-06-21 1997-04-08 Hitachi, Ltd. Computer system including a computer which requests an access to a logical address in a secondary storage system with specification of a local address in the secondary storage system
US5610841A (en) 1993-09-30 1997-03-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server
JPH07129604A (ja) 1993-10-29 1995-05-19 Hiuka Sangyo Kk 購入済電子ブックデータのリモート書庫システム
US5771354A (en) * 1993-11-04 1998-06-23 Crawford; Christopher M. Internet online backup system provides remote storage for customers using IDs and passwords which were interactively established when signing up for backup services
US5658282A (en) * 1994-01-18 1997-08-19 Endovascular, Inc. Apparatus for in situ saphenous vein bypass and less-invasive varicose vein treatment
US5560005A (en) 1994-02-25 1996-09-24 Actamed Corp. Methods and systems for object-based relational distributed databases
KR0147328B1 (ko) * 1994-12-23 1998-09-15 양승택 정보제공자 프로토콜 수용을 위한 정보제공자 서비스 제어 방법
US5567847A (en) * 1995-02-21 1996-10-22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Disproportionation of amines to produce secondary amines
CN101303717B (zh) * 1995-02-13 2015-04-29 英特特拉斯特技术公司 用于安全交易管理和电子权利保护的系统和方法
JP3547840B2 (ja) 1995-03-16 2004-07-28 株式会社東芝 マルチメディアサーバ
US6003030A (en) * 1995-06-07 1999-12-14 Intervu,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storage and retrieval of data on a distributed computer network
US6181867B1 (en) 1995-06-07 2001-01-30 Intervu, Inc. Video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6067564A (en) * 1995-10-31 2000-05-23 Sanyo Electric Co., Ltd. Pay broadcasting receiver apparatus
US5695495A (en) * 1995-11-20 1997-12-09 Ellman; Alan G. Electrosurgical electrode for sclerotherapy
US5790664A (en) * 1996-02-26 1998-08-04 Network Engineering Software, Inc. Automated system for management of licensed software
US20060265336A1 (en) * 1996-02-26 2006-11-23 Graphon Corporation Automated system for management of licensed digital assets
US6152899A (en) * 1996-03-05 2000-11-28 Vnus Medical Technologies, Inc. Expandable catheter having improved electrode design, and method for applying energy
US6036687A (en) * 1996-03-05 2000-03-14 Vnus Medic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venous insufficiency
AU733465B2 (en) * 1996-03-05 2001-05-17 Tyco Healthcare Group, Lp Vascular catheter-based system for heating tissue
JPH09319624A (ja) 1996-05-31 1997-12-12 Toshiba Corp ファイル管理装置
JPH10187525A (ja) * 1996-10-28 1998-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代理情報取得装置および情報転送管理装置
KR100302263B1 (ko) * 1997-03-25 2001-09-22 모리시타 요이찌 스트림 데이터 전송방법 및 시스템
US20030040962A1 (en) * 1997-06-12 2003-02-27 Lewis William H. System and data management and on-demand rental and purchase of digital data products
JPH1166824A (ja) * 1997-08-15 1999-03-09 Sony Corp オーディオサーバシステム
US6014589A (en) * 1997-11-12 2000-01-11 Vnus Medical Technologies, Inc. Catheter having expandable electrodes and adjustable stent
JPH11224288A (ja) 1998-02-06 1999-08-17 Hitachi Ltd 利用条件販売型デジタルコンテンツ販売電子モールシステム
US6385596B1 (en) * 1998-02-06 2002-05-07 Liquid Audio, Inc. Secure online music distribution system
JPH11232226A (ja) * 1998-02-13 1999-08-27 Nec Corp 協同作業支援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4022971B2 (ja) 1998-02-16 2007-12-19 ソニー株式会社 記憶装置およびデータ削除方法
US6477506B1 (en) * 1998-02-23 2002-11-05 Sony Corporation Terminal apparatus, information service center, transmitting system, and transmitting method
JP2000036781A (ja) * 1998-07-17 2000-02-02 Sony Corp 著作権管理装置、著作物配信装置および著作物配信受信システム
JP2000048079A (ja) 1998-07-30 2000-02-18 Daina Ware:Kk 二次コピー管理機能を備えたデジタルコンテンツ蓄積再生装置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蓄積専用装置
US6959288B1 (en) * 1998-08-13 2005-10-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gital content preparation system
US6226618B1 (en) * 1998-08-13 2001-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content delivery system
KR100386554B1 (ko) * 1998-09-09 2003-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교환 시스템의 과금 데이터 전송 방법
US6460076B1 (en) * 1998-12-21 2002-10-01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Pay per record system and method
US7209892B1 (en) * 1998-12-24 2007-04-24 Universal Music Group, Inc. Electronic music/media distribution system
US6398777B1 (en) * 1999-02-01 2002-06-04 Luis Navarro Endovascular laser device and treatment of varicose veins
US6466909B1 (en) * 1999-06-28 2002-10-15 Avaya Technology Corp. Shared text-to-speech resource
US6200332B1 (en) * 1999-07-09 2001-03-13 Ceramoptec Industries, Inc. Device and method for underskin laser treatments
US20020144278A1 (en) * 1999-07-26 2002-10-03 Pratts Edwin Daniel System for transmitting desired digital media and audio signals in a 3-dimensional holographic format via computer network
US6594675B1 (en) * 1999-08-26 2003-07-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for using file name to access application program where a logical file system processes pathname to determine whether the request is a file on storage device or operation for application program
US6289455B1 (en) * 1999-09-02 2001-09-11 Crypotography Resear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piracy of digital content
US6293944B1 (en) * 1999-09-10 2001-09-25 Alan G. Ellman Combined syringe and electrosurgical electrode for sclerotherapy
KR100346214B1 (ko) * 1999-09-11 2002-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과금 통보 방법
US6606744B1 (en) * 1999-11-22 2003-08-12 Accenture, Llp Providing collaborative installation management in a network-based supply chain environment
WO2001041023A1 (en) * 1999-12-03 2001-06-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mpany, Limited 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a reference server
US7213005B2 (en) * 1999-12-09 2007-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using web broadcasting services
US6436061B1 (en) * 1999-12-29 2002-08-20 Peter D. Costantino Ultrasound treatment of varicose veins
US6956833B1 (en) * 2000-02-08 2005-10-18 Sony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devices for wireless data storage on a server and data retrieval
US6402745B1 (en) * 2000-02-23 2002-06-11 Peter J. Wilk Intravenous whip electrode for vein ablation
JP4433560B2 (ja) 2000-04-11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
US6726674B2 (en) * 2001-09-04 2004-04-27 Jomed Gmbh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localized delivery of sclerotherapeutic agents
US20060075455A1 (en) * 2004-10-05 2006-04-06 Robert Koch Digital rights management and payment for a file download
US8073380B2 (en) * 2005-12-30 2011-12-06 Nokia Corporation Media content delivery and recording over broadcast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97263A (ja) 2001-10-26
KR100774291B1 (ko) 2007-11-08
US20060036604A1 (en) 2006-02-16
JP4433560B2 (ja) 2010-03-17
US8447698B2 (en) 2013-05-21
KR100813204B1 (ko) 2008-03-13
US6996563B2 (en) 2006-02-07
US20060112072A1 (en) 2006-05-25
CN1819497B (zh) 2012-07-11
US9973733B2 (en) 2018-05-15
CN1242575C (zh) 2006-02-15
US20050216303A1 (en) 2005-09-29
CN1627820A (zh) 2005-06-15
US20120316958A1 (en) 2012-12-13
US20020059237A1 (en) 2002-05-16
KR20010098479A (ko) 2001-11-08
DE60139045D1 (de) 2009-08-06
US7263513B2 (en) 2007-08-28
EP1699152A1 (en) 2006-09-06
CN1627820B (zh) 2010-09-29
TW550550B (en) 2003-09-01
US7711698B2 (en) 2010-05-04
CN1327315A (zh) 2001-12-19
EP1146676B1 (en) 2009-06-24
EP1146676A2 (en) 2001-10-17
CN1819497A (zh) 2006-08-16
EP1146676A3 (en) 200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204B1 (ko)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분배장치, 분배방법과 단말장치
EP0938075B1 (en) Terminal apparatus, information service center, transmitting system, and transmitting method
CN1129136C (zh) 数据自动售货机系统及其方法
US8751324B2 (en) Media conten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CA2488247C (en) Content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content distribution device and user terminal device thereof
JP2002091452A (ja) 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配信方法
KR20010034011A (ko) 단말장치, 부과금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방법
EP1418759B1 (en) Process for distributing audiovisual documents using portable terminals.
JP2001325457A (ja)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コンシンツ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JP4127753B2 (ja) データ配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284736B2 (ja) 情報送信方法及び情報送信装置
JP2001297205A (ja) デジタルビデオ配信管理システム、ビデオ配信管理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デジタルビデオ配信管理方法
JP2002027375A (ja) 受信装置
KR20010096251A (ko) 게임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컴퓨터 게임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JPH09288635A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装置並びに情報受信装置
WO2001086480A2 (en) Network library service
JP2005173721A (ja) コンテンツ保管流通システム
WO2006110847A2 (en) Media conten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