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380A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380A
KR20070061380A KR1020060122767A KR20060122767A KR20070061380A KR 20070061380 A KR20070061380 A KR 20070061380A KR 1020060122767 A KR1020060122767 A KR 1020060122767A KR 20060122767 A KR20060122767 A KR 20060122767A KR 20070061380 A KR20070061380 A KR 20070061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lide member
slide
fixed contact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6539B1 (ko
Inventor
모토나리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1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스위치의 전환 후에, 추가로 슬라이드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조작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제 1 고정 접점 (2) 이 배치된 기대 (1) 와, 기대 (1) 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된 슬라이드 부재 (7) 와, 슬라이드 부재 (7) 를 일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 (9) 와, 슬라이드 부재 (7) 의 슬라이드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슬라이드 부재 (7) 와 맞닿고,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판 (6) 과, 구동판 (6) 에 가압되고, 제 1 고정 접점 (2) 과 접촉/분리되는 가동 접점 (4) 을 구비하고, 구동판 (6) 을 슬라이드 부재 (7) 와 가동 접점 (4) 사이에 배치하여 기대 (1) 에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유지하고, 구동판 (6) 의 회전 운동에 의해 가동 접점 (4) 을 가압하여 제 1 고정 접점 (2) 과 접촉시킴과 함께, 구동판 (6) 에, 가동 접점 (4) 을 가압한 후에, 가동 접점 (4) 과 제 1 고정 접점 (2) 의 접촉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추가로 슬라이드 부재 (7) 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슬라이딩부 (6g) 를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1 단째 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구동부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 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기대 1a : 수납부
1b : 개구부 1c : 오목부
1d : 제 1 오목홈부 1e : 제 2 오목홈부
1f : 제 3 오목홈부 1g : 걸어맞춤 오목부
2 : 제 1 고정 접점 2a : 제 1 공통 고정 접점
2b : 제 1 개별 고정 접점 2c : 접속 단자
2d : 접속 단자 3 : 제 2 고정 접점
3a : 제 2 공통 고정 접점 3b : 제 2 개별 고정 접점
3c : 접속 단자 4 : 가동 접점
4a : 팽출부 4b : 외주연부
5 : 시트 부재 5a : 주단부 (周端部)
6 : 구동판 6a : 기부
6b : 날개부 6c : 조작편
6d : 스프링 수용부 6e : 회전 운동 지지부
6f : 유지 오목부 6g : 슬라이딩부
7 : 슬라이드 부재 7a : 슬라이드부
7b : 조작부 7c : 걸림부
7d : 각 구멍 7e : 각 구멍
7f : 스프링 걸림부 7g : 구동 돌기
7h : 보스 8 : 슬라이딩 접점
8a : 고정부 8b : 스프링편
9 : 탄성 부재 10 : 커버
10a : 덮개부 10b : 걸어맞춤 다리부
10c : 창구멍 10d : 설편 (舌片)
[특허 문헌 1] : 실용신안등록 제2572590호
본 발명은 각종 전자 기기의 조작용 스위치로서 사용되는 박형의 횡압 타입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횡압 타입 스위치 장치로서는 개구를 갖는 하우징과, 그 개구의 내바닥부에 형성된 고정 접점과, 그 고정 접점 상에 배치된 가동 접점과, 이 가동 접점 상에 형성되고,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방진용 시트와, 그 시트를 개재하여 가동 접점을 작동시키는 조작 부재와, 하우징의 상부에 부착되어, 개구를 덮는 덮개로 구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스위치 장치를 도 7, 도 8 에 나타낸다. 도 7 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 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고정 접점 (12, 13) 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하우징 (11) 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그 고정 접점 (12, 13) 으로부터 각각 도출된 외부 단자 (12a, 13a) 를 갖는다. 또, 하우징 (11) 은 네 귀퉁이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 (20) 와, 조작 부재 (16) 를 안내하는 안내부 (21) 와, 일방의 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벽부 (22) 와, 타방의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블록부 (23) 와, 그 타방의 측단의 돌기 (20) 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고, 덮개 (17) 를 거는 걸림부 (24, 25) 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접점 (14) 은 탄성을 갖는 박육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 (11) 의 개구 (10) 내에 배치된다. 이 가동 접점 (14) 은 조작 부재 (16) 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2 개의 노치 (26) 를 가지며, 주변부 (27) 가 고정 접점 (12) 과 항상 접촉함과 함께, 중앙부 (28) 가 상방으로 만곡된 상태에서 다른 고정 접점 (13) 상에 위치한다. 방진용 시트 (15) 는 주위가 하우징 (11) 의 상면 (11a) 에 탑재되고, 이 시트 (15) 상에 조작 부재 (16) 가 탑재된다.
덮개 (17) 는 돌기 (20) 와 각각 걸어맞춰지는 노치 (30) 와, 하우징 (11) 의 상면 (11a) 및 안내부 (21) 의 상단에 맞닿는 벽부 (31) 와, 걸림부 (24, 25) 에 각각 걸어맞춰지는 한 쌍의 아암부 (32) 를 구비하고 있다. 또, 덮개 (17) 는 중앙부로부터 하우징 (11) 의 내측으로 잘라 세워지고, 가동 접점 (14) 의 중앙부 (28) 와 대향하는 경사편 (33) 을 구비한다. 이 경사편 (33) 은 조작 부재 (16) 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한 쌍의 노치를 형성하고, 이 노치간의 직사각형 부분의 벽부 (22) 측의 단부를 터놓아, 하방으로 V 자 형상으로 절곡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 부재 (16) 는 경사편 (33) 및 가동 접점 (14) 의 중앙부 (28) 간에 개재하여 형성된 작동부 (34) 와, 이 작동부 (34) 의 측방에 형성되고, 안내부 (21) 상을 슬라이딩하는 가이드부 (35) 와, 하우징 (11) 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부 (36)로 이루어진다. 작동부 (34) 는 박육부 (34a) 를 개재하여 가압부 (36) 에 연결되며, 탄성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부 (35) 의 상면에는 덮개 (17) 의 이면을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가이드용 돌기 (37) 가 형성되고, 동일하게 가이드부 (35) 의 하면에도, 한 쌍의 가이드용 돌기 (38) 가 형성된다. 또, 작동부 (34) 및 가이드부 (35) 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 (39) 에는 경사편 (33) 이 걸어맞춰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시, 하우징 (11) 상에 가동 접점 (14) 을 탑재하고, 이 가동 접점 (14) 상을 시트 (15) 로 덮고, 이 시트 (15) 의 주위를 하우징 (11) 의 상면 (11a) 에 부착한다. 이어서, 그 시트 (15) 상에 조작 부재 (16) 를 배치한 후, 덮개 (17) 를 파지하여 하우징 (11) 상에 탑재시킨다. 이 때, 네 귀퉁이의 노치 (30) 에 돌기 (20) 를 각각 끼워 넣고, 벽부 (31) 를 하우징 (11) 상면 (11a) 및 안내부 (21) 의 상단에 맞닿게 함과 함께, 아암부 (32) 를 걸림부 (24, 25) 에 각각 건다.
본 실시예의 동작에서는 조작 부재 (16) 의 가압부 (36) 를 도 2 의 왼쪽 방향으로 가압하면, 경사편 (33) 상을 조작 부재 (16) 의 작동부 (34) 가 슬라이딩함으로써 안내되고, 작동부 (34) 가 박육부 (34a) 에서 탄성 변형하면서 도 2 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여, 이 작동부 (34) 의 선단이 시트 (15) 를 개재하여 가동 접점 (14) 의 중앙부 (28) 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중앙부 (28) 는 하방으로 반전되어 고정 접점 (13) 과 접촉하여 스위치 온 상태가 된다.
이어서, 가압부 (36) 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면, 박육부 (34a) 자체의 탄발력에 의해 작동부 (34) 가 도 2 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경사편 (33) 상을 슬라이딩함으로써, 조작 부재 (16) 가 도 2 의 오른쪽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또, 작동부 (34) 의 회전 운동에 수반하여, 가동 접점 (14) 의 중앙부 (28) 도 탄발력에 의해 상방으로 반전되어, 고정 접점 (13) 으로부터 이 격되어 스위치 오프가 된다.
그러나, 상기 기술한 종래의 스위치 장치에서는, 덮개에 형성한 경사편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의 일부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안내하여 가동 접점을 가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스위치가 전환된 후에, 추가로 슬라이드 부재를 이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조작량이 작아 단일의 전환 접점밖에 배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스위치 전환 후에 추가로 슬라이드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조작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하기 편리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해결 수단으로서, 제 1 고정 접점이 배치된 기대와, 이 기대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된 슬라이드 부재와, 이 슬라이드 부재를 일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그 슬라이드 부재와 맞닿고,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판과, 이 구동판에 가압되고, 상기 제 1 고정 접점과 접촉/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판을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기대에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유지하고, 이 구동판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가동 접점을 가압하여 상기 제 1 고정 접점과 접촉시킴과 함께, 상기 구동판에, 상기 가동 접점을 가압한 후에, 상기 가 동 접점과 상기 제 1 고정 접점의 접촉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추가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슬라이딩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2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가동 접점을 가압한 후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조작할 수 있는 제 2 스위치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3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 2 스위치부는, 상기 기대에 형성된 제 2 고정 접점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조작되는 슬라이딩 접점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4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가동 접점을 가압한 후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발생하는 클릭 발생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5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가동 접점을 반전시킬 수 있는 팽출부를 갖는 돔 형상의 반전 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접점을 탄성을 갖는 장편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고정 접점을 상기 제 1 고정 접점의 슬라이드 방향 후방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장편 형상의 판 스프링을 상기 돔 형상 반전 스프링의 주연 상방에 배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1 단째 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구동부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개구부를 갖고, 복수의 고정 접점 (2, 3) 이 배치된 기대 (1) 와, 복수의 고정 접점 (2, 3) 과 접촉/분리되는 가동 접점 (4) 및 슬라이딩 접점 (8) 과, 가동 접점 (4) 을 고정 접점 (2) 상에 유지하는 시트 부재 (5) 와,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가동 접점 (4) 을 가압하는 구동판 (6) 과, 슬라이딩 접점 (8) 이 형성되고, 구동판 (6) 을 회전 운동시킴과 함께, 기대 (1) 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된 슬라이드 부재 (7) 와, 슬라이드 부재 (7) 를 일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 (9) 와, 기대 (1) 의 개구부의 상면측을 덮는 커버 (10) 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기대 (1) 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고, 상면 및 일 측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수납부 (1a), 측면에 개구부 (1b) 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수납부 (1a) 의 개구부 (1b) 측의 대향하는 내벽면에는 한 쌍의 오목부 (1c, 1c)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 (1c, 1c) 에 구동판 (6) 이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 수납부 (1a) 의 내바닥면에는 단차를 갖는 원 형상이고 약간 큰 직경의 제 1 오목홈부 (1d) 가 형성되고, 이 제 1 오목홈부 (1d) 의 내측에는, 추가로 단차를 갖는 대략 원 형상이고 약간 작은 직경의 제 2 오목홈부 (1e)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 2 오목홈부 (1e) 의 주연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사각형상의 제 3 오목홈부 (1f, 1f)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오목홈부 (1e) 의 중앙에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고정 접점 (2) 을 구성하는 제 1 개별 고정 접점 (2b) 이 그 일부를 표출하여 매설되어 있으며, 그 타단측은 기대 (1) 의 개구부 (1b) 와는 직교하는 일방의 측면의 외측으로 도출되어 접속 단자 (2c)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3 오목홈부 (1f, 1f) 에는, 제 1 개별 고정 접점 (2b) 을 협지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동일하게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고정 접점 (2) 을 구성하는 제 1 공통 고정 접점 (2a, 2a) 이 그 일부를 표출하여 각각 매설되어 있으며, 그 타단측은 기대 (1) 의 내바닥부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기대 (1) 의 개구부 (1b) 와는 직교하는 다른 측면의 외측으로 도출되어 접속 단자 (2d)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고정 접점 (2) 의 슬라이드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수납부 (1a) 의 개구부 (1b) 와 대향하는 측면의 내벽면 근방의 내바닥면에는, 동일하게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고정 접점 (3) 을 구성하는 제 2 공통 고정 접점 (3a) 및 제 2 개별 고정 접점 (3b) 이 그 일부를 표출하여 매설되어 있다. 이 제 2 고정 접점 (3) 은 제 2 공통 고정 접점 (3a) 이 기대 (1) 내바닥부에서 제 1 고정 접점 (2) 의 제 1 공통 고정 접점 (2a)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기대 (1) 의 개구부 (1b) 와는 직교하는 다른 측면의 외측으로 도출된 접속 단자 (2d) 와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있다. 또, 제 2 개별 고정 접점 (3b) 은 그 타단측이 기대 (1) 의 개구부 (1b) 와는 대향하는 측면의 외측으로 도출되어 접속 단자 (3c)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기대 (1) 의 바닥면의 4 모서리부에는 각각 걸어맞춤 오목부 (1g)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어맞춤 오목부 (1g) 에, 후술하는 커버 (10) 의 걸림 다리부 (10b) 가 걸어맞춰짐으로써, 기대 (1) 의 상면측에 커버 (10) 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가동 접점 (4) 은 도전성의 박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원형이고 중앙에 반전시킬 수 있는 팽출부 (4a) 를 갖는 돔 형상의 반전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 접점 (4) 은 기대 (1) 의 수납부 (1a) 에 형성된 대략 원 형상인 제 2 오목홈부 (1e) 에 수용되어 있으며, 중앙의 팽출부 (4a) 의 정부(頂部)가 제 2 오목홈부 (1e) 의 중앙에 표출된 제 1 개별 고정 접점과 대향함과 함께, 원 형상의 외주연부 (4b) 일부가 이 제 2 오목홈부 (1e) 의 주연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제 3 오목홈부 (1f, 1f) 에 표출된 제 1 공통 고정 접점 (2a, 2a) 에 도통되어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동 접점 (4) 과 제 1 고정 접점 (2) 을 구성하는 제 1 공통 고정 접점 (2a) 및 제 1 개별 고정 접점 (2b) 으로 제 1 스위치부가 구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 (5) 는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시트로서,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시트 부재 (5) 는 기대 (1) 의 수납부 (1a) 에 형성된 원 형상의 제 1 오목홈부 (1d) 에 수용되어, 가동 접점 (4) 과 제 1 고정 접점 (2) 을 구성하는 제 1 공통 고정 접점 (2a) 및 제 1 개별 고정 접점 (2b) 의 상면측을 덮도록 탑재되어 있으며, 이 시트 부재 (5) 에 의해, 방진된 상태에서 가동 접점 (4) 이 제 2 오목홈부 (1e) 내에 유지되어 있다. 이 경우, 시트 부재 (5) 의 주단부 (5a) 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가동 접점 (4) 의 상면측으로부터 제 1 오목홈부 (1d) 에 접착되도록 해도 된다.
구동판 (6) 은 평판 형상의 금속판 등을 펀칭 절곡하여 형성되고, 대략 T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날개부 (6b, 6b) 를 갖는 평판 형상의 기부 (6a) 와, 기부 (6a) 의 중앙으로부터 양날개부 (6b, 6b) 의 연장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조작편 (6c) 을 갖고 있다. 또, 기부 (6a) 의 중앙에는 조작편 (6c) 과는 대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대략 L 자 형상으로 잘라세워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 (6d) 가 형성되고, 이 스프링 수용부 (6d) 를 협지하여 양날개부 (6b, 6b) 에는, 상방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동일 평면 상에 세워 형성된 회전 운동 지지부 (6e, 6e)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편 (6c) 에는, 초기 상태에서 슬라이드 부재 (7) 의 일부가 맞닿는 패임부로 이루어지는 유지 오목부 (6f)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지 오목부 (6f) 의 선단측에는 기부 (6a) 와 동일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평면 형상의 슬라이딩부 (6g)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동판 (6) 은 스프링 수용부 (6d) 에, 슬라이드 부재 (7) 에 일단측이 걸어맞춰진 탄성 부재 (9) 의 타단측이 걸어맞춰짐과 함께, 기부 (6a) 의 양날개부 (6b, 6b) 가 기대 (1) 수납부 (1a) 의 개구부 (1b) 측의 대향하는 내벽면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 (1c, 1c) 에 걸어맞춰지고 회전 운동 지지부 (6e, 6e) 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다. 또, 이 때, 구동판 (6) 은 시트 부재 (5) 를 개재하여 가동 접점 (4) 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가동 접점 (4) 의 팽출부 (4a) 의 정부의 상면과 조작편 (6c) 의 유지 오목부 (6f) 의 바닥부가 시트 부재 (5) 를 개재하여 맞닿아 있다.
슬라이드 부재 (7) 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약간 폭이 넓은 슬라이드부 (7a) 와 약간 폭이 좁은 조작부 (7b) 를 갖고 있으며, 그 중앙에 단차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걸림부 (7c, 7c)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부 (7a) 의 중앙에는 각 구멍 (7d) 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부재 (7) 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구동판 (6) 의 조작편 (6c) 의 슬라이딩부 (6g) 가 각 구멍 (7d) 내로 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 조작부 (7b) 의 중앙에 가늘고 긴 형상의 각 구멍 (7e)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각 구멍 (7e) 의 일단측 (도 5 에서는 우측) 의 내벽에는 스프링 걸림부 (7f) 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타단측 (도 5 에서 좌측) 의 내벽 근방에는 구동판 (6) 의 스프링 수용부 (6d) 가 삽입되어 있고, 각 구멍 (7e) 에는 스프링 걸림부 (7f) 와 스프링 수용부 (6d) 사이에 탄성을 갖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 (9) 가 걸어맞춰져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 (7) 의 하면측에는 각 구멍 (7d) 에 인접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는 구동 돌기 (7g)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동 돌기 (7g) 가 하면측에 배치된 구동판 (6) 의 유지 오목부 (6f) 와 맞닿아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 (7) 의 하면측에는 도전성의 박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접점 (8) 이 걸어맞춰져 있다. 이 슬라이딩 접점 (8) 은 평판 형상의 고정부 (8a) 와, 하방으로 굴곡되고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장편 형상의 스프링편 (8b, 8b) 을 갖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 (8a) 가 슬라이드 부재 (7) 의 하면에 형성된 보스 (7h) 에 코킹 등의 방법으로 고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 (7) 가 기대 (1) 의 수납부 (1a) 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접점 (8) 의 한 쌍의 장편 형상 스프링편 (8b, 8b) 은 돔 형상의 반전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 (4) 의 주연 상방에 각각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딩 접점 (8) 과 제 2 고정 접점 (3) 을 구성하는 제 2 공통 고정 접점 (3a) 및 제 3 개별 고정 접점 (3b) 으로 제 2 스위치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스위치부를, 기대 (1) 에 형성된 제 2 고정 접점 (3) 과, 슬라이드 부재 (7) 에 의해 슬라이드 조작되는 슬라이딩 접점 (8) 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제 2 스위치부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장편 형상의 스프링편 (8b) 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접점 (8) 을 돔 형상의 반전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 (4) 의 주연 상방에 배치한 점으로부터, 1 단째의 가동 접점 (4) 과 2 단째의 슬라이딩 접점 (8) 을 중첩하여 배치했기 때문에, 스위치를 크게 하지 않아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 슬라이드 부재 (7) 는 기대 (1) 의 수납부 (1a) 에 슬라이드부 (7a) 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됨과 함께, 조작부 (7b) 가 탄성 부재 (9) 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수납부 (1a) 의 개구부 (1b) 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 때, 슬라이드 부재 (7) 는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에 형성된 단차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걸림부 (7c, 7c) 가 기대 (1) 의 수납부 (1a) 의 내벽면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 (1c, 1c) 에 걸어맞춰진 구동판 (6) 의 양날개부 (6b, 6b) 의 회전 운동 지지부 (6e, 6e) 에 맞닿아 있어, 그 이상의 돌출이 규제되고 있다.
커버 (10) 는 평판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덮개부 (10a) 와, 4 모서리부로부터 하방으로 굴곡된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부 (10b) 를 갖고 있다. 또, 덮개부 (10a) 에는 ㄷ 자형의 창구멍 (10c) 이 형성되고, 이 창구멍 (10c) 의 중앙에는 장척 형상의 설편 (10d)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 (10) 가 기대 (1) 의 상면측에 탑재되어,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부 (10b) 의 선단부가, 기대 (1) 의 바닥면의 4 모서리부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 (1g) 에 코킹 등의 방법으로 절곡되어 걸어맞춰짐으로써, 커버 (10) 가 기대 (1) 의 수납부 (1a) 의 상면측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 덮개 (10a) 에 형성된 설편 (10d) 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 (4) 를 기대 (1) 의 수납부 (1a) 의 내바닥면측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스위치부의 확실한 전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 경우, 도시는 하지 않지만, 슬라이드 부재 (4) 의 하면측과 수납부 (1a) 의 내바닥면측의 대향하는 위치에, 요철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클릭용 캠부 (클릭 발생부) 를 형성함으로써, 제 1 스위치부를 구성하는 가동 접점 (4) 을 가압한 후에, 슬라이드 부재 (4) 가 구동판 (6) 의 슬라이딩부 (6g) 를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클릭 감촉이 얻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2 스위치부의 입력시에도 클릭 감촉이 얻어지기 때문에, 2 단 스위치 각 각의 온 상태를 적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 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3 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부재 (7) 는 탄성 부재 (9) 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도시 오른쪽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 때, 슬라이드 부재 (7) 의 구동 돌기 (7g) 는 구동판 (6) 의 유지 오목부 (6f) 에 맞닿아 있으며, 구동판 (6) 은 제 1 스위치부의 가동 접점 (4) 의 팽출부 (4a) 가 갖는 탄성 가압력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어, 가동 접점 (4) 의 팽출부 (4a) 의 정부는 제 1 고정 접점 (2) 의 제 1 개별 고정 접점 (2b) 과는 이간되어 있어, 제 1 스위치부는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 (7) 를 도시 왼쪽 방향 (화살표 A 방향) 으로 가압 조작하면, 탄성 부재 (9)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 부재 (7) 가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동 돌기 (7g) 가 구동판 (6) 의 유지 오목부 (6f) 로부터 벗어나 선단측의 슬라이딩부 (6g) 에 올라가게 된다. 이 때, 구동판 (6) 은 회전 운동 지지부 (6e, 6e) 를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 (도 4 에서는 하측) 으로 회전 운동하고, 유지 오목부 (6f) 의 바닥부가 시트 부재 (5) 를 개재하여 가동 접점 (4) 의 팽출부 (4a) 를 가압함으로써 팽출부 (4a) 가 하방으로 반전되고, 팽출부 (4a) 의 정부가 제 1 개별 고정 접점 (2b) 과 접촉하여, 제 1 개별 고정 접점 (2b) 과 제 1 공통 고정 접점 (2a) 이 가동 접점 (4) 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되고 제 1 스위치부가 온 상태가 된다. 또, 이 때, 가동 접점 (4) 의 팽출부 (4a) 가 반전됨으로써 클릭 감촉이 얻어진다.
또한, 이 때, 도 4 에서는 제 2 고정 접점 (3) 을 구성하는 제 2 개별 고정 접점 (3b) 과 슬라이딩 접점 (8) 의 스프링편 (8b) 이 단면 위치의 관계에서 서로 접촉한 것처럼 나타나 있는데, 실제로는 서로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도 4 에서는 깊이 방향) 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어, 제 2 스위치부는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시는 하지 않지만, 이 상태에서, 추가로 슬라이드 부재 (7) 를 왼쪽 방향 (도 4 에서는 왼쪽 방향) 으로 가압 조작하면, 더욱 탄성 부재 (9)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 부재 (7) 가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드 부재 (7) 의 구동 돌기 (7g) 가 구동판 (6) 의 슬라이딩부 (6g) 의 면상을 슬라이딩한다. 이 때, 구동판 (6) 은 회전 운동하지 않고, 가동 접점 (4) 이 구동판 (6) 의 유지 오목부 (6f) 의 바닥부에 의해 가압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제 1 스위치부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 (7) 의 하면측에 고착된 슬라이딩 접점 (8) 이 슬라이드 부재 (7) 에 종동하여 왼쪽 방향으로 이동되고, 슬라이딩 접점 (8) 의 한 쌍의 스프링편 (8b, 8b) 이 제 1 스위치부의 슬라이드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수납부 (1a) 내벽면 근방의 내바닥면에 형성된, 제 2 스위치부를 구성하는 제 2 공통 고정 접점 (3a) 및 제 2 개별 고정 접점 (3b) 과 접촉하여, 제 2 공통 고정 접점 (3a) 과 제 2 개별 고정 접점 (3b) 이 슬라이딩 접점 (8) 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제 2 스위치부가 온 상태가 된다. 이 때, 슬라이드 부재 (7) 및 수납부 (1a) 의 내바닥면에 상기 기술한 클릭 발생부를 형성하도록 하면, 제 2 스위치부의 입력시에도 클릭 감촉이 얻어지게 된다.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슬라이드 부재 (7) 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판 (6) 을 슬라이드 부재 (7) 와 가동 접점 (4) 사이에 배치하여, 기대 (1) 에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유지하고, 이 구동판 (6) 의 회전 운동에 의해 가동 접점 (4) 을 가압하여 제 1 고정 접점 (2) 과 접촉시킴과 함께, 이 구동판 (6) 에, 가동 접점 (4) 을 가압한 후에, 이 가동 접점 (4) 과 제 1 고정 접점 (2) 의 접촉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추가로 슬라이드 부재 (7) 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평판 형상의 슬라이딩부 (6g) 를 형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가동 접점 (4) 이 가압되어 제 1 고정 접점 (2) 과 온 상태가 된 후에도, 추가로 슬라이드 부재 (7) 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어, 스위치의 조작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되어, 사용하기 편리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가동 접점 (4) 을 가압한 후에, 제 1 스위치부가 온 상태인 채로, 슬라이드 부재 (7) 의 구동 돌기 (7g) 가 구동판 (6) 의 평판 형상의 슬라이딩부 (6g) 를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조작할 수 있는 제 2 스위치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하나의 스위치 장치로 복수의 입력을 행할 수 있는 2 단 스위치가 간단하게 얻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제 1 고정 접점이 배치된 기대와, 기대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된 슬라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를 일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슬라이드 부재와 맞닿고,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판과, 구동판에 가압되고, 제 1 고정 접점과 접촉/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구비하고, 구동판을 슬라이드 부재와 가동 접점 사이에 배치하여 기대에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유지하고, 구동판의 회전 운동에 의해 가동 접점을 가압하여 제 1 고정 접점과 접촉시킴과 함께, 구동판에, 가동 접점을 가압한 후에, 가동 접점과 제 1 고정 접점의 접촉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추가로 슬라이드 부재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슬라이딩부를 형성함으로써, 가동 접점이 가압되어 고정 접점과 온 상태가 된 후에도, 추가로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어, 스위치의 조작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되어, 사용하기 편리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가동 접점을 가압한 후에, 슬라이드 부재가 슬라이딩부를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조작할 수 있는 제 2 스위치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1 개의 스위치 장치로 복수의 입력을 행할 수 있는 2 단 스위치가 간단하게 얻어진다.
또, 제 2 스위치부는, 기대에 형성된 제 2 고정 접점과, 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조작되는 슬라이딩 접점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 2 스위치부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가동 접점을 가압한 후에, 슬라이드 부재가 슬라이딩부를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발생하는 클릭 발생부를 형성하여, 제 2 스위치부의 입력시에도 클릭 감촉이 얻어지기 때문에, 2 단 스위치 각각의 온 상태를 적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또, 가동 접점을 반전시킬 수 있는 팽출부를 갖는 돔 형상의 반전 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딩 접점을 탄성을 갖는 장편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제 2 스위치부를 구성하는 제 2 고정 접점을 제 1 고정 접점의 슬라이드 방향 후방에 배치함과 함께, 장편 형상의 판 스프링을 돔 형상 반전 스프링의 주연 상방에 배치하여, 2 단 스위치 구조에 있어서도 1 단째의 가동 접점과 2 단째의 슬라이딩 접점을 중첩하여 배치했기 때문에, 스위치를 크게 하지 않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제 1 고정 접점이 배치된 기대와, 이 기대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된 슬라이드 부재와, 이 슬라이드 부재를 일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그 슬라이드 부재와 맞닿고,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판과, 이 구동판에 가압되고, 상기 제 1 고정 접점과 접촉/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판을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기대에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유지하고, 이 구동판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가동 접점을 가압하여 상기 제 1 고정 접점과 접촉시킴과 함께, 상기 구동판에, 상기 가동 접점을 가압한 후에,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제 1 고정 접점의 접촉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추가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슬라이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을 가압한 후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조작할 수 있는 제 2 스위치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부는, 상기 기대에 형성된 제 2 고정 접점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조작되는 슬라이딩 접점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을 가압한 후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발생하는 클릭 발생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을 반전시킬 수 있는 팽출부를 갖는 돔 형상의 반전 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접점을 탄성을 갖는 장편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고정 접점을 상기 제 1 고정 접점의 슬라이드 방향 후방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장편 형상의 판 스프링을 상기 돔 형상 반전 스프링의 주연 상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060122767A 2005-12-08 2006-12-06 스위치 장치 KR100836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55084A JP2007157644A (ja) 2005-12-08 2005-12-08 スイッチ装置
JPJP-P-2005-00355084 2005-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380A true KR20070061380A (ko) 2007-06-13
KR100836539B1 KR100836539B1 (ko) 2008-06-10

Family

ID=38184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767A KR100836539B1 (ko) 2005-12-08 2006-12-06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7157644A (ko)
KR (1) KR100836539B1 (ko)
CN (1) CN100524567C (ko)
TW (1) TW2007372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2063B2 (ja) * 2011-06-20 2015-10-28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接点部材の取付け構造
JP5814676B2 (ja) 2011-07-28 2015-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ライドスイッチ、及びスライドスイッチを備える電子機器
CN102683076B (zh) * 2012-04-25 2014-09-03 赵凯 一种滑动式级进开关
US10674023B2 (en) 2015-07-30 2020-06-0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n operation apparatus with a button disposed on the side
TWI698895B (zh) 2018-11-16 2020-07-11 台灣華傑股份有限公司 導通切換機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5609A (en) 1981-07-24 1983-07-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Cam operated dual switch assembly
JP3438405B2 (ja) * 1995-05-17 2003-08-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イッチ
JPH08321227A (ja) * 1995-05-25 1996-1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
KR200298632Y1 (ko) 2002-09-03 2003-01-14 충-모우 유 과부하가 방지되는 스위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88089A (zh) 2007-06-27
JP2007157644A (ja) 2007-06-21
CN100524567C (zh) 2009-08-05
TW200737255A (en) 2007-10-01
KR100836539B1 (ko) 2008-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8505B2 (en) Keyswitch structure
US6222144B1 (en) Pushbutton switch
EP2149892B1 (en) Miniature switch
KR100836539B1 (ko) 스위치 장치
JP2003338231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H11260201A (ja) レバースイッチとその操作方法
JP2003257270A (ja) スイッチ装置
JP2006244977A (ja) 押釦スイッチ
JP2007265938A (ja) プッシュ・スライドスイッチ
JPH11363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2003242862A (ja) 多方向入力装置
JP4327004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4524247B2 (ja) スイッチ装置
KR0152293B1 (ko) 푸시버튼 스위치
JP202204362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5209565A (ja) 押釦スイッチ
EP1049121A2 (en) Sliding operation type switch apparatus
JP2003016873A (ja) スイッチ装置
JP2004087341A (ja) 押釦スイッチ
JP4185942B2 (ja) スイッチ装置
JP6344853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4111148A (ja) 押釦スイッチ及びその取付構造
JP2538773Y2 (ja) スイッチのハンドルの構造
JP2604618Y2 (ja) 押釦スイッチ
CN109148190B (zh) 用于按钮开关的驱动件及按钮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