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9981A -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 - Google Patents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9981A
KR20070059981A KR1020060121886A KR20060121886A KR20070059981A KR 20070059981 A KR20070059981 A KR 20070059981A KR 1020060121886 A KR1020060121886 A KR 1020060121886A KR 20060121886 A KR20060121886 A KR 20060121886A KR 20070059981 A KR20070059981 A KR 20070059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light
shielding
colo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0103B1 (ko
Inventor
아키코 다카하시
켄이치 오카다
미카 카나마루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9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서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시이트 형태로 성형하여 수득할 수 있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상기 감압성 접착제 층이 1% 이하의 투광도를 갖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는 높은 차광성을 갖는다.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 차광성, 감압성, 접착제

Description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LIGHT-SHIELD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도 1a 및 1b는 기재를 포함하지 않는 본 발명의 양면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예들을 각각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기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양면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예들을 각각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기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단면 차광성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예들을 각각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광학적으로-투명한 기재
2.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
3. 이형가능한 라이너
특허 문헌 1: JP-A-8-6229
특허 문헌 2: JP-A-5-43846
특허 문헌 3: JP-A-2003-82302
특허 문헌 4: JP-T-3-50ll32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차광성을 갖는 수분산성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아크릴 중합체는 단량체 종의 선택범위가 광범위하고 이로부터 수득되는 감압성 접착 물질이 다양한 우수한 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감압성 접착 물질의 주성분으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용매- 기재의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고 최근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의 원인으로서 많이 간주되어 있다. 그러므로, 용매를 제거하는 것이 강하게 요망된다. 한편, 수분산성 아크릴 감압성 접착 물질은 용매로서 물을 이용하고, 환경 및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배경의 관점에서, 다양한 기능 및 특성을 갖는 수분산성 아크릴 감압성 접착 물질이 개발되어왔다.
수분산성 아크릴 감압성 접착 물질을 채용하는 감압성 접착제 테이프와 관련하여, 어떠한 용도를 위해서는 차광성이 요구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차광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제 테이프로서, 차광 기재와 광학적으로-투명한 감압성 접착제 층을 결합시키고,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테이프를 차광 층과 추가로 결합시켜서 제조 된 감압성 접착제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또한, 감압성 접착 물질 그 자체에 차광성을 부여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그러나, 착색제 등을 접착제 조성물에 첨가하여 감압성 접착제 그 자체에 차광성을 부여하는 것은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어려움이 수반되며, 착색제가 감압성 접착 물질의 접착성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친다. 결과적으로, 그 자체에 충분한 차광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 물질은 수득된 바 없으며, 충분한 차광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는 착색된 감압성 접착 물질과 착색된 기재를 결합하여서만이 얻을 수 있다(특허 문헌 2) .
차광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 물질을 제공하기 위한 착색제로서, 카본 블랙과 같은 검은색 착색제가 보통 사용된다. 그러나, 주성분으로서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 물질에 충분한 차광성을 달성할 수 있는 양의 착색제를 첨가하여 접착력 및 유연성과 같은 다른 성질도 만족시키는 감압성 접착 물질을 수득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면, 다량의 착색제가 충분한 차광성을 얻기 위하여 첨가되면, 첨가된 착색제 그 자체는 접착성을 방해하는 경향이 있고, 감압성 접착제를 보다 단단하게 함으로써, 접착성을 감소시킨다.
수분산성 아크릴 감압성 접착 물질과 관련된 특허 문헌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을 비롯한 다양한 문헌에서, 착색제 또는 안료가 첨가될 수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들은 감압성 접착 물질을 가시적으로 만들거나 특정 파장의 빛을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매우 소량으로 첨가하는 것을 의도하며, 차광 목적으로 다량의 착색제를 수분산성 아크릴 감압성 접착 물질에 첨가하는 기술은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우레탄 접착제에 카본 블랙을 첨가하여 제조한 접착 물 질이 개시되어 있지만(특허 문헌 4), 상기의 개시내용은 접착제를 가시적으로 만들기 위하여 소량의 착색제를 첨가하는 것만을 포함하며, 충분한 차광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우수한 접착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제를 수득할 수 있는 다량의 착색제의 첨가기술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로 제조되고 차광성 및 접착성 면에서 우수한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자들이 광범위한 연구를 행한 결과,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혼합하는 경우에서 혼합방법을 고안함으로써 착색제가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만족스러운 분산안정성을 가지고 분산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욱이, 충분한 양의 착색제를 첨가함으로써, 차광성 및 접착성 면에서 우수한 감압성 접착제 층을 갖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를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서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시이트 형태로 성형하여 수득할 수 있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상기 감압성 접착제 층이 1% 이하의 투광도를 갖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광학적으로-투명한 기재; 및 주성분으로서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를 제공하는데, 여기서, 상기 층은 상기 기재의 하나 이상의 면 위에 배치되고, 상기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는 1% 이하의 투광도를 갖는다.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은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액에, 20 내지 50 중량%의 고형분 농도를 갖는 수성 분산액 상태의 착색제를 혼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로서, 0.5㎛ 이하의 중앙값 크기를 갖는 착색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착색제로서, 예를 들면, 카본 블랙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는 예를 들면, 자동차 재료, 주거 재료, 전자 성분 등을 고정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는, 감압성 접착제 층이 그 자체로서 충분한 차광성을 갖는 차광 감압성 접착 물질로부터 제조되기 때문에 기재를 포함하지 않고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로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기재를 포함하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로서 제조되는 경우에도, 차광성이 없는 기재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것과 같이 기재 선택에 대하여 넓은 선택이 있을 것이다. 추가로, 차광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복수의 차광층을 적층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이는 보다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그리고 훨씬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감압성 접착제 층이 유기 용매를 용매로서 함유하지 않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는 잔류 유기 용매에 의한 오염이 없고 자동차 재료, 주거 재료, 전자 성분 등을 고정시키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는 주성분으로서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시이트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을 포함한다.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는 그러한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광학적으로-투명한 기재의 적어도 한 면 상에 그러한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구조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1a 내지 3b는 각각 본 발명의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3b에, 광학적으로-투명한 기재 (1),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 (2), 및 이형가능한 라이너 (3)가 각각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는 도 1a 및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면 접착제 시이트로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도 2a 및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를 포함하는 양면 접착제 시이트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3a 및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를 포함하는 단면 접착제 시이트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이형가능한 라이너는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구성성분으로서 포함되지 않는다.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는 도 1a, 2a 및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형가능한 라이너 (3)를 갖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 (2)의 표면 (감압성 접착제 표면)을 덮는 시이트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1b 및 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양면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경우, 감압성 접착제 표면을 이형가능한 라이너 (3)로 덮고 다른 접착제 표면을 노출될 상태로 두면서 롤로 감을 수도 있고, 또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경우 이형가능한 라이너를 사용하지 않고 롤로 감을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는 테이프 형태를 갖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테이프로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를 구성하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 (2)이 차광성을 갖기 때문에, 도 1a 및 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재가 없는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경우 및 도 2a, 2b, 3a 및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재를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경우 모두에서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는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0%의 투광도를 가진다. 기재 도 1a 및 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재가 없는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경우,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투광도는 (예를 들면,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 (2)의 양면이 차광성이 없는 이형가능한 라이너 (3)로 덮여진 상태에 대하여 측정된)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 (2)의 투광도로서 측정된다. 도 2a, 2b, 3a 및 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재를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경우,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투광도는 광학적으로-투명한 기재 (1) 및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 (2)의 적층 부재 (또는 광학적으로-투명한 기재 (1),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 (2) 및 이형가능한 라이너 (3)의 적층 부재)의 투광도로서 측정된다. 투광도는 수가 테스트 인스트루먼츠 사(Suga Test Instruments Co., Ltd)에서 제조한 헤이즈 미터(상표명: HZ-I)로 측정될 수 있다.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 (2)은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액에, 20 내지 50중량%의 고형분 농도를 갖는 수성 분산액 상태의 착색제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는 아크릴 중합체가 물에 분산되어 있는 유화액 중의 아크릴 중합체 조성물이다. 아크릴 중합체의 예들은 이들의 주요 단량체 성분 (단량체 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Figure 112006089986279-PAT00001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2 내지 14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화학식(1)에서 R2 (2 내지 14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의 예들은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옥틸기, 이소옥틸기, 2-에틸헥실기, 노닐기, 이소노닐기, 데실기, 이소데실기, 운데실기, 및 도데실기를 포함한다. R2로 나타내는 알킬기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틸기 또는 2-에틸헥실기이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의 특정한 예들은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로서,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로서,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단독으로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부틸 아크릴레이트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부틸 아크릴레이트 (중량비)가 약 0/100 내지 55/45, 바람직하게는 5/95 내지 60/40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은 주성분으로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이외에, "공중합가능한 단량체 성분"으로도 지칭될 수 있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다른 단량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에 대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 테르의 비율은 80중량% 이상 (예를 들면, 80 내지 99.8중량%),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상 (예를 들면, 85 내지 99.5중량%),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예를 들면, 90 내지 99중량%)이다.
공중합가능한 단량체 성분은 아크릴 중합체에 가교결합 포인트를 도입하거나 아크릴 중합체의 응고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공중합가능한 단량체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특정하게, 아크릴 중합체에 가교결합 포인트를 도입하기 위하여, 작용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성분, 특히 열적으로 가교결합가능한 가교결합 포인트를 아크릴 중합체에 도입하기 위한 열적으로 가교결합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성분이 공중합가능한 단량체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작용기-함유 단량체 성분은 접착되는 물품에 대한 접착력을 증가시킨다. 그러한 작용기-함유 단량체 성분은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하고, 가교결합 포인트를 구성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들의 예들은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소크로톤산, 및 말레산 무수물 및 이타콘산 무수물을 비롯한 이들의 산무수물; 히드록실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비롯한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알코올 및 알릴 알코올; 아미드 단량체, 예컨대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프로판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 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및 N-메톡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아미노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t-부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시아노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질소 원자-함유 고리를 갖는 단량체, 예컨대 N-비닐-2-피롤리돈, N-메틸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리딘,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옥사졸, N-비닐모르폴린, N-비닐카프롤락탐 및 N-(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을 포함한다. 작용기-함유 단량체 성분으로서,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산 또는 이들의 산 무수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작용기-함유 단량체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작용기-함유 단량체 성분의 양은, 주요 단량체 성분으로서 100 중량부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에 대하여 12 중량부 이하, 예를 들면, 0.5 내지 12 중량부, 및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중량부의 범위로 선택된다.
또한, 다른 공중합가능한 단량체 성분이 아크릴 중합체의 응고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다른 공중합가능한 단량체 성분의 예들은 비닐 에스테르 단량체,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방향족 비닐 단량체, 예컨대 스티렌, 치환된 스티렌 예를 들어 α-메틸 스티렌, 및 비닐톨루엔; 비-방향족 고리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예컨대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펜틸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를 비롯한 시클로알킬 (메트)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및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방향족 고리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예컨대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비룻한 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비롯한 아릴옥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및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비롯한 아릴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올레핀계 단량체,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렌, 부타디엔 및 이소부틸렌;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이소시아네이트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알콕시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에테르 단량체, 예컨대 메틸 비닐 에테르 및 에틸 비닐 에테르; 및 다작용성 단량체, 예컨대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부틸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그러한 다른 공중합가능한 단량체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를 중합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또는 보통 사용되는 중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중합을 위하여, 다양한 중합법, 예컨대 통상의 집단하 전법(collective charging method) (집단 중합법), 또는 단량체 적가법 (연속 첨가법 또는 분할 첨가법)이 이용될 수 있다. 중합 온도는 단량체의 유형 및 중합 개시제의 유형에 따라 적절하게, 예를 들면, 20 내지 100℃의 범위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중합시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는 통상적으로 또는 보통 사용되는 것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예들은 아조형 중합 개시제, 예컨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 디술페이트 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 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및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 프로피오네이트); 과황산염, 예컨대 과황산 칼륨 및 과황산 암모늄; 과산화물 중합 개시제, 예컨대 벤조일 과산화물, t-부틸 히드로과산화물, 디-t-부틸 과산화물, t-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 디쿠밀 퍼옥시드,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도데칸 및 과산화수소; 치환된 에탄 중합 개시제, 예컨대 페닐-치환된 에탄; 방향족 카르보닐 화합물; 및 과산화물 및 환원제의 조합, 예컨대 과산화수소수 및 아스코르빈산의 조합을 비롯한 과산화물 및 환원제의 조합, 과산화수소수 및 철 (II) 염의 조합을 비롯한 과산화물 및 철 (II) 염의 조합, 및 과황산염 및 아황산나트륨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리독스(redox) 개시제를 포함한다.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보통 사용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모든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1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추가로,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중합반응에 쇄이동제가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또는 보통 사용되는 쇄이동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예들은 머캅탄, 예컨대 도데칸티올(라우릴머캅탄), 글리시딜머캅탄, 2-머캅토에탄올, 머캅토아세트산, 2-에틸헥실 티오글리콜산, 및 2,3-디메틸머캅토-1-프로판올; 및 α-메틸 스티렌 이량체를 포함한다. 쇄이동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쇄이동제는 보통 사용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모든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5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된다.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가 에멀젼 형태이므로, 이는 에멀젼 중합법에 의해 에멀젼 형태로 중합된 물질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고, 또는 에멀젼 중합법 이외의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 중합체를 물에 분산시켜 제조될 수도 있다. 에멀젼 중합에서 또는 아크릴 중합체를 물에 분산시킬 때 유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유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화제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유화제 또는 비이온성 유화제이다. 음이온성 유화제의 예들은 알킬 술페이트 염 음이온성 유화제, 예컨대 나트륨 라우릴술페이트, 암모늄 라우릴술페이트, 및 칼륨 라우릴술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염 형의 음이온성 유화제, 예컨대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술페이트 염 형 음이온성 유화제, 예컨대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술페 이트; 술페이트 염 음이온성 유화제, 예컨대 나트륨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및 술포숙시네이트 음이온성 유화제, 예컨대 이나트륨 라우릴 술포숙시네이트 및 이나트륨 라우릴 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시네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비이온성 유화제의 예들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비이온성 유화제,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형의 비이온성 유화제,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를 포함한다. 유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화제의 양은 아크릴 중합체를 에멀젼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한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 중합체 또는 전체 단량체 성분에 대하여 0.2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조성물에 차광성을 제공하는 착색제를 포함한다.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액에 착색제를 첨가할 때, 착색제, 물, 및 임의로 적합한 분산제를 먼저 혼합한 후, 착색제의 수성 분산액을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액에 첨가하여 착색제의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는, 안료와 같은 착색제를 수성 분산물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고속 교반 또는 장시간 교반함으로써 표면을 친수성 개질 처리한 착색제를 사용하여 분산을 달성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착색제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은 소수성 표면을 갖는 착색제를 사용 하는 경우에도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 중에 착색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우수한 분산제 안정성을 가지고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수성 분산액 중에서, 착색제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 특히 25 내지 45중량%의 고형분 농도를 갖는다. 고형분 농도가 50중량%를 초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데, 수성 분산액의 점도가 높아져서, 수성 분산액 제조시의 교반에 의해 생성되는 기포가 쉽게 제거될 수 없거나 또는 어떤 경우에 착색제가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에 쉽게 분산될 수 없기 때문이다. 고형분 농도가 20중량% 미만이면 바람직하지 않은데, 착색제의 수성 분산액으로서 다량의 물이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에 첨가되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를 낮춤으로써 감압성 접착제 층을 제조하는 후속 공정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착색제의 양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착색제의 유형 및 원하는 차광성 수준에 따라 조절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중의 모든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이하, 예컨대 0.2 내지 5 중량부, 특히 5 중량부 이하, 예컨대 0.2 내지 3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착색제의 양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감압성 접착 물질이 보다 단단하게 되어 접착성을 낮출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아크릴 중합체 및 착색제 외에도 기타 성분, 예컨대 다양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중의 모든 고형분이 그러한 기타 성분을 포함한다.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중에서, 차광성 (투광도)은 주로 첨가되는 착색 제의 유형과 양에 의해 결정되나, 착색제의 입자 크기 또한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차광성에 영향을 미친다. 동일한 중량에 대하여, 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착색제는 보다 큰 입자 크기를 갖는 착색제와 비교하여 보다 큰 총 표면적을 가짐으로써, 보다 높은 착색력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동일한 중량으로 첨가된 동일한 유형의 착색제에 대하여, 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착색제가 보다 큰 입자 크기를 갖는 착색제와 비교하여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보다 높은 차광성을 제공한다. 달리 말하면, 동일한 유형의 착색제로 동일한 차광성을 얻기 위해서는, 원하는 차광성은 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착색제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큰 입자 크기를 갖는 착색제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적은 양(중량)으로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착색제는 바람직하게는 중앙값으로 0.5㎛ 이하, 예를 들면, 0.05 내지 0.5㎛, 및 보다 바람직하게 0.3㎛ 이하, 예를 들면, 0.05 내지 0.3㎛의 입자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제의 입자 크기는 베크만 콜터사(Beckman Coulter Co.)에 의해 제조된 "LS 13 320"에 의한 광산란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착색제의 예들은 카본 블랙, 예컨대 퍼니스(furnace) 블랙, 써말(thermal) 블랙, 아세틸렌 블랙, 채널(channel) 블랙, 램프(lamp) 블랙, 및 케첸(ketzen) 블랙; 산화물, 예컨대 산화철,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코발트, 산화구리, 산화크롬 및 알루미나; 황산염, 예컨대 황산 칼슘, 황산 바륨, 황산철, 및 황산수은; 탄산염, 예컨대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및 돌로마이트(dolomite); 금속 분말, 예컨대 철 분말, 구리 분말, 주석 분말, 납 분말 및 알루미늄 분말; 유기 안료, 예컨대 아조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디옥사진 안료; 및 그래파이트를 포 함한다. 착색제는 접착성 및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다른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통상적인 착색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착색제 중에서, 블랙 착색제, 예컨대 산화철, 그래파이트 또는 카본 블랙이 우수한 차광성 때문에 바람직하고, 특히 카본 블랙이 내광성 및 내후성 면에서 우수하고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접착성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착색제 및 물을 혼합하여 착색제의 수성 분산액의 제조할 때 적합한 분산제가 사용될 수 있다.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고 안정한 분산액이 제조될 수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착색제 표면이 친수성 처리를 거친 경우, 분산제는 사용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가 분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예들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 폴리옥시알킬렌 벤질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비스페닐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알킬술페이트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술페이트 염, 폴리옥시에틸렌 벤질페닐 에테르 술페이트 염,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염, 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술포숙시네이트 반(half) 에스테르, 지방산 염 (비누), 알킬포스페이트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염, 및 스티렌-말레산 수지 반 에스테르;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메틸화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알킬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분산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분산제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착색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2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착색제의 수성 분산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분산제는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화제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착색제의 수성 분산액은 물, 착색제 및 선택적인 분산제를 혼합 및 교반하여 수득할 수 있다. 분산 공정은 통상적인 또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균일한 분산액은 약 1000 내지 4000 rpm의 속도로 약 2 내지 20 분 동안 분산기로 교반하여 수득할 수 있다. 교반 범위는 사용되는 착색제 및 분산제의 유형에 따라 균일한 분산액을 얻을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액과 착색제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혼합은 착색제의 수성 분산액을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액에 첨가하는 방법, 또는 착색제의 수성 분산액에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액을 첨가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보통은 착색제의 수성 분산액을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액에 첨가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한 경우에,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액의 고형분 농도는 예를 들면, 약 45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 50 내지 70중량%의 범위이다. 이는 점도와 사용되는 착색제의 수성 분산액 및 공정성과의 균형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아크릴 중합체 및 착색제 이외에 기 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아크릴 중합체 및 그러한 기타 성분(착색제 이외의 성분)을 혼합하여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은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전구물)을 제조한 후, 이어서 착색제의 수성 분산액을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전구물에 첨가 및 혼합하거나; 또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전구물을 착색제의 수성 분산액에 첨가 및 혼합한다. 그러한 경우에도,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액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전구물)의 고형분 농도는, 예를 들면, 약 45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중량%의 범위 내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타 성분의 일부 또는 전체를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액 및 착색제의 혼합물에 첨가할 수도 있고,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 및 기타 성분을 착색제의 수성 분산액에 차레로 첨가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아크릴 중합체 및 착색제 이외에도,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개질을 위하여, 예컨대 접착성의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다른 성분의 예들은 가교결합제 및 접착성-부여 수지를 포함한다.
가교결합제의 예들은 이소시아네이트 가교결합제, 에폭시 가교결합제, 옥사졸린 가교결합제, 아지리딘 가교결합제, 멜라민 가교결합제, 과산화물 가교결합제, 우레아 가교결합제, 금속 알콕시드 가교결합제, 금속 킬레이트 가교결합제, 금속 염 가교결합제, 카르보디이미드 가교결합제, 아민 가교결합제,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한다. 가교결합제는 지용성인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수용성인 것일 수도 있다. 가교결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교결합제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면, 10 중량부 이하, 예컨대 0.005 내지 10 중량부, 및 바람직하게 0.01 내지 5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접착성-부여 수지의 예들은 접착을 제공할 수 있는 로진 수지, 접착을 제공할 수 있는 테르펜 수지, 접착을 제공할 수 있는 탄화수소 수지, 접착을 제공할 수 있는 에폭시 수지, 접착을 제공할 수 있는 엘라스토머 수지, 접착을 제공할 수 있는 페놀계 수지, 및 접착을 제공할 수 있는 케톤 수지를 포함한다. 접착성-부여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접착을 부여하는 로진 수지의 특정한 예들은 변성되지 않은 로진 (조 로진), 예컨대 검 로진, 목재 로진 및 톨유 로진, 수소화 로진, 불균형화된 로진, 중합화된 로진 또는 달리 화학적으로 개질된 로진을 비롯한, 상기 변성되지 않은 로진을 수소화, 불균형화 또는 중합하여 변성시켜 수득하는 변성된 로진, 및 다양한 로진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로진 유도체의 예들은 로진 에스테르, 예컨대 변성되지 않은 로진을 알코올로 에스테르화시켜 형성된 로진 에스테르 화합물, 수소화 로진, 불균형화된 로진 또는 중합화된 로진과 같은 변성된 로진을 알코올로 에스테르화시켜 형성된 변성된 로진의 에스테르 화합물; 변성되지 않은 로진 또는 수소화된 로진, 불균형화된 로진 또는 중합화된 로진을 비롯한 변성된 로진을 불포화된 지방산으로 변성시켜 제조한 불포화된 지방산-변성된 로진; 로진 에스테르를 불포화된 지방산으로 변성시켜 제조한 불포화된 지방산-변성된 로진 에스테르; 변성되지 않은 로진, 수소화된 로진, 불균형화된 로진 또는 중합화된 로진을 비룻한 변성된 로진, 불포화된 지방산-변성된 로진 또는 불포화된 지방산-변성된 로진 에스테르 중의 카르복실기를 환원시켜 제조한 로진 알코올; 및 비-변성된 로진, 변성된 로진 및 로진 유도체, 특히 로진 에스테르와 같은 로진의 금속염을 포함한다. 로진 유도체로서, 페놀을 로진, 예컨대 비-변성된 로진, 변성된 로진 또는 로진 유도체에 산 촉매와 함께 첨가한 후 열중합하여 수득한 로진 페놀 수지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접착을 부여하는 테르펜 수지의 예들은, 테르펜 수지, 예컨대 α-피넨 중합체, β-피넨 중합체 및 디펜텐 중합체, 및 상기 테르펜 수지를 변성화(예컨대 페놀 변성화, 방향족 변성화, 수소화 변성화 또는 탄화수소 변성화)시켜 제조한 변성된 테르펜 수지를 포함한다.
접착을 부여하는 탄화수소 수지의 예들은 다양한 탄화수소- 기재의 수지, 즉,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예를 들면, 지방족 탄화수소의 중합체, 예컨대 올레핀 또는 4 내지 5 탄소 원자를 갖는 디엔, 예를 들면, 올레핀, 예컨대 1-부텐, 이소부틸렌 또는 1-펜텐, 또는 디엔, 예컨대 부타디엔, 1,3-펜타디엔 또는 이소프렌;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예를 들면, 8 내지 10의 탄소 원자를 갖는 비닐함유 방향족 탄화수소, 예컨대 스티렌, 비닐 톨루엔, α-메틸 스티렌, 인덴 및 메틸인덴;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예컨대 소위 C4 석유 분획 또는 C5 석유 분획의 고리 이량체화 및 이어지는 중합에 의해 제조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시클릭 디엔 화합물, 예컨대 시클로펜타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에틸리덴노르보넨 또는 디펜텐 및 이들의 수소화된 생성물, 및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및 지방족 방향족 석유 수지의 방향족 고리를 수소화시켜 제조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방향족 석유 수지, 예컨대 스티렌-올레핀 공중합체; 수소화된 탄화수소 수지; 쿠마론 수지; 및 쿠마론-인덴 수지를 포함한다.
접착성-부여 수지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원하는 접착력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10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0 중량부 및 보다 바람직하게 20 내지 6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 예컨대 노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항산화제, 광안정제, 이형성 조절제, 가소제, 연화제, 충전제, 및 대전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또한 염기, 예컨대 암모니아수 또는 pH 조절용 산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에서,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 (2)은,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제조된 차광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광학적으로-투명한 기재 (1) 또는 이형가능한 라이너 (3) 상에 통상의 코팅기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선택적인 가열 건조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a, 2b, 3a 및 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재를 포함하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에서,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 (2)은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광학적으로-투명한 기재 (1) 상에 코팅하거나, 또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이형가능한 라이너 (3) 상에 코팅하여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 (2)을 형성시킨 후,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 (2)을 광학적으로-투명한 기재 (1) 상에 접착시킴으로써 이형가능한 라이너를 포함하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를 수득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 (2)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건조 후의 두께는 예를 들면, 2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두께는 도 1a 및 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재를 포함하지 않는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경우에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 (2)의 투광도가 1% 이하가 되고, 도 2a, 2b, 3a 및 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재를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경우에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 (2) 및 광학적으로-투명한 기재 (1)에 의해 형성된 적층의 투광도가 1% 이하가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조절됨으로써,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된다. 통상의 코팅기의 예들은 그라뷰어 롤 코팅기, 리버스 롤 코팅기, 키스(kiss) 롤 코팅기, 딥 롤 코팅기, 바아 코팅기, 나이프 코팅기, 및 스프레이 코팅기를 포함한다.
광학적으로-투명한 기재 (1)는 반투명성을 갖는 기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들의 예들은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필름,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폴리염화비닐 필름; 반투명성을 갖는 종이, 예컨대 반지(Japanese paper) 또는 크래프트지; 반투명성을 갖는 천, 예컨대 면직물 또는 스테이플 섬유 직물; 및 반투명성을 갖는 부직물,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부직물 또는 비닐론 부직물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필름은 비-신장 필름 또는 단축 신장 필름 또는 이축 신장성 필름을 비롯한 신장 필름일 수 있다. 또한, 감압성 접착제 층이 제공될 기재의 면은 통상적인 표면 처리, 예를 들면, 하부코팅제 또는 코로나 방전으로 처리될 수 있다. 광학적으로-투명한 기재 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약 20 내지 200㎛이다. 또한, 기재로서 반투명성을 갖지 않는 기재, 예를 들면, 투광도가 1% 미만인 기재가 광학적으로-투명한 기재 (1)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형가능한 라이너 (3)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것들로부터 적절하게 선택된다. 이형가능한 라이너로서, 이형제, 예컨대 실리콘-형 이형제, 불소화-형 이형제 또는 장쇄 알킬 형 이형제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한 면이 이형가능하게 처리된 층을 갖는 기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불소화 중합체, 예컨대 폴리테트라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에 의해 제조된 낮은 점착성을 갖는 기재, 또는 비-극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비롯한 올레핀계 수지에 의해 제조된 낮은 점착력을 갖는 기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 한면 또는 양면 상에 실리콘 형 이형제의 이형층을 갖는 통상의 얇은 기재가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형가능한 라이너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5 내지 500㎛, 바람직하게 25 내지 500㎛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는 예를 들면, 차광성을 요구하는 다양한 용도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는 자동차 재료, 예컨대 도어 트림, 바닥 매트 및 흡음 물질을 고정하는데; 주거 재료, 예컨대 외장 패널, 스커팅 보드 또는 바닥 재를 고정하는데; 그리고 전자 성분을 고정하는데, 예컨대 백라이트 모듈 및 액정 모듈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득된 본 발명의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는 높은 차광성 및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다. 또한, 감압성 접착제 층 그 자체가 높은 차광성을 가지기 때문에, 통상적인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에서와 같이 차광 기재를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차광 층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재가 광범위한 범위내에서 선택가능하며, 시이트가 기재를 포함하지 않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로서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를 기본 중합체로서 사용하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이는 예를 들면, 잔류 유기 용매에 의한 거의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유리하게는 자동차 재료, 주거 재료, 전자 성분 등의 고정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하기에서,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지만, 본 발명이 그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부"는 "중량부"를 의미하고, "%"는 "중량%"를 의미한다.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
냉각 파이프, 질소 도입 파이프, 온도계 및 교반기가 장착된 분리가능한 플라스크에서, 0.1 부의 2,2'-아조비스[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 수화물 (상품명: VA-057, 와코 퓨어 케미칼 인더스트리즈사(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 및 40 부의 이온교환된 물을 충진하고 질소 기체를 도입 하면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68 부의 부틸 아크릴레이트, 29 부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9 부의 아크릴산 및 8 부의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술페이트 26% 수용액을 24.3 부의 물에 첨가하여 제조한 에멀젼을 4 시간 동안 적가하고,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중합 후, 암모니아수를 pH 8이 되도록 첨가함으로써,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전구물의 제조
100 부 (고형분)의 상기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에, 0.7 부의 물에 용해시킨 수용성 옥사졸린 가교결합제 (상품명: 에포크로스(Epocross) WS-700, Nippon Shokubai Co.사 제조)을 첨가하고, 감압성 접착성-부여 로진 페놀 수지 (상품명: Tamanol E-200-NT,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의 수성 분산액을 고형분으로 계산하여 30 부의 양으로 첨가함으로써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전구물 (아크릴 중합체 및 감압성 접착성-부여 수지 함유 수성 분산액)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중앙값 크기 0.353㎛인 카본 블랙 (상품명: SEAST SO FEF, Tokai Carbon Co. 제조) 25 g, 분산제 (상품명: Arastar 703S, 30중량% 수용액,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 8.3 g (고형분 함량으로 2.5 g), 및 이온교환된 물 66.7 g을 3,000 rpm에서 10분 동안 분산기에 의해 교반하여 25%의 고형분 농도를 갖는 카본 블랙의 수성 분산액을 수득하였다. 수성 카본 블랙 분산액을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전구물 100부(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1 부의 양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균일한 수성 분산액이 되도록 3-1 모터로 교반함으로써,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 물을 수득하였다. 분산제는 100 부의 카본 블랙에 대하여 고형분으로 10 부를 첨가하였다.
실시예 2
0.096㎛의 중앙값 크기를 갖는 카본 블랙의 수성 분산액(AQUA 블랙 162, Tokai Carbon Co., LTD. 제조)를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전구물 100 부 (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고형분 함량으로 1 부의 양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균일한 수성 분산액이 되도록 3-1 모터로 교반함으로써,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0.082㎛ 중앙값 크기를 갖는 카본 블랙의 수성 분산액(상품명: UNISPERSE 블랙 C-S, Ciba Ltd. 제조)를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전구물 100 부 (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1부의 양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균일한 수성 분산액이 되도록 3-1 모터로 교반함으로써,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전구물 100 부 (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0.809㎛의 중앙값 크기를 갖는 카본 블랙 (상품명: AQUA 블랙 HA3, Tokai Carbon Co., Ltd. 제조) 1 부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1 모터로 교반함으로써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8.197㎛의 중앙값 크기를 갖는 착색된 입자(상품명: CHEMISNOW CMX- 600RBK(W), 고형분 농도 66%의 수성 분산액, Soken Chemical Engineering Co., Ltd. 제조)를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전구물 100 부 (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1부의 양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3-1 모터로 교반함으로써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제조
실리콘 이형제 (상품명: SLB-80W3D, Kaito Chemical Industry Co., Ltd. 제조)에 의해 제조된 이형층을 갖는 이형가능한 라이너 상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수득한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이형층의 표면 상에 코팅하고 100℃에서 2 분 동안 건조시켜 두께 60㎛의 감압성 접착제 층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감압성 접착제 층을 광학적으로-투명한 부직물 기재 (상품명: SP Base Paper-14, Daifuku Paper M.F.G Co., Ltd. 제조)의 양면 상에 접착시킴으로써, 광학적으로-투명한 기재,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 및 이형가능한 라이너를 포함하는 양면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를 수득하였다.
평가 시험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에 대하여 하기 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착색제의 분산성
차광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소정의 양(약 20 g)으로 이형지 상에 도포하고, 시각적으로 관찰하여 착색의 균일성을 판단하였다.
투광도
수득한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를 25 cm2 면적의 정사각형으로 절단하여 샘플을 제조하고, 헤이즈 미터 (상품명: HZ-I, Suga Test Instruments Co. 제조)에 의해 투광도를 측정하였다.
접착력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한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를 스테인레스 스틸 (SUS) 플레이트 상에 2 kg 롤러를 1 주기로 왕복시키는 방법으로 접착시키고, 23℃에서 20분 동안 방치한 후, 300 mm/분의 인장 속도 및 180°의 박리각 조건에서 인장 시험기에 의해 박리시켜 접착력을 결정하였다(23℃, 50%RH; N/20 mm).
말단 박리 예방 성능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한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를 두께 0.5 mm, 종방향 크기 100 mm 및 횡방향 크기 10 mm를 갖는 알루미늄 플레이트 상에, 감압성 접착제 층의 한면이 알루미늄 플레이트에 접촉하고, 감압성 접착제의 다른 면이 50 mm 직경을 갖는 ABS 수지의 원통형 막대의 측면 표면 상에 접착되고,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의 종방향이 ABS 원통형 막대의 종방향으로 놓이도록 하는 방식으로 접착시켰다. 시이트를 70℃의 환경에서 원통형 막대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2 시간 동안 방치시키고, 알루미늄 플레이트의 말단에서의 박리 길이(높이, 단위 mm)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06089986279-PAT00002
본 발명이 그 특정한 실시태양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되었지만, 당업자에게는 본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본 출원은 2005년 12월 6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5-352768호에 근거한 것이며,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광성 및 접착성 면에서 우수한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가 제공된다.

Claims (8)

  1. 주성분으로서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시이트 형태로 성형하여 수득할 수 있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상기 감압성 접착제 층이 1% 이하의 투광도를 갖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
  2. 광학적으로-투명한 기재; 및
    주성분으로서 수분산성 아크릴 중합체,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로서, 상기 층은 상기 기재의 하나 이상의 면 위에 배치되고,
    상기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가 1% 이하의 투광도를 갖는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이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액에 20 내지 50중량%의 고형분 농도를 갖는 수성 분산액 상태의 착색제를 혼합하여 수득할 수 있는 것인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착색제가 0.5㎛ 이하의 중앙값 크기를 갖는 것 인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착색제가 카본 블랙인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자동차 재료의 고정에 사용하기 위한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거 재료의 고정에 사용하기 위한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자 성분의 고정에 사용하기 위한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
KR1020060121886A 2005-12-06 2006-12-05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 KR101350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52768 2005-12-06
JP2005352768A JP4688658B2 (ja) 2005-12-06 2005-12-06 遮光性粘着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981A true KR20070059981A (ko) 2007-06-12
KR101350103B1 KR101350103B1 (ko) 2014-01-09

Family

ID=3781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886A KR101350103B1 (ko) 2005-12-06 2006-12-05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2) EP1795567B1 (ko)
JP (1) JP4688658B2 (ko)
KR (1) KR101350103B1 (ko)
CN (2) CN101195730B (ko)
DE (1) DE602006016396D1 (ko)
MY (1) MY144572A (ko)
TW (1) TWI38762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8930A1 (ko) * 2013-07-19 2015-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9799926B2 (en) 2013-07-31 2017-10-24 Lg Chem, Ltd. Curved electrode stack and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1179B2 (ja) 2007-06-13 2012-12-19 日東電工株式会社 装飾用両面粘着シート
CN101784917B (zh) * 2007-07-25 2014-04-02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屏蔽膜
JP2011057839A (ja) * 2009-09-09 2011-03-24 Lintec Corp 粘着シート
JP5967688B2 (ja) * 2009-09-16 2016-08-10 Dic株式会社 遮光性粘着剤組成物及び遮光性粘着テープ
JP5986452B2 (ja) * 2011-08-10 2016-09-06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車両用床シート、車両の床構造体、車両の床構造体の施工方法
JP6171673B2 (ja) * 2013-07-25 2017-08-02 Dic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スピーカー
JP6232833B2 (ja) * 2013-08-20 2017-11-22 Dic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スピーカー
JP6317591B2 (ja) * 2014-02-06 2018-04-25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337492B2 (ja) * 2014-02-13 2018-06-06 Dic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6675825B2 (ja) * 2014-11-20 2020-04-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着色粘着シート
JP6774806B2 (ja) * 2015-09-18 2020-10-2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2018129426A (ja) * 2017-02-09 2018-08-16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エーハの加工方法及び粘着テープ
TWI804497B (zh) * 2017-06-26 2023-06-11 日商迪愛生股份有限公司 黏著帶及將黏著帶由被黏物剝離的方法
JP6957255B2 (ja) * 2017-07-28 2021-11-0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およびグラファイトシート積層体
KR20200100052A (ko) * 2017-12-20 2020-08-25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접착 방법과,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8059930A (zh) * 2017-12-21 2018-05-22 四川东材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超薄排气遮蔽胶带/胶膜的制备方法
JP6673446B1 (ja) * 2018-11-16 2020-03-2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透明部材貼合用粘着シート
JP7303620B2 (ja) * 2018-10-22 2023-07-0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7215872B2 (ja) * 2018-10-22 2023-01-3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7167952B2 (ja) * 2020-03-05 2022-11-0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透明部材貼合用粘着シート
JP7469926B2 (ja) * 2020-03-24 2024-04-1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7469925B2 (ja) * 2020-03-24 2024-04-1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6438A (ja) * 1982-02-09 1983-08-13 モダン・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自動車外装用粘着シ−トおよびその製造法
JPS6268870A (ja) * 1985-09-20 1987-03-28 Nitto Electric Ind Co Ltd 水分散型アクリル系粘着剤
US4762880A (en) 1987-05-05 1988-08-09 Uniroyal Plastics Co., Inc. Water-based thermoforming adhesives
JP3319749B2 (ja) * 1990-08-31 2002-09-03 ニチバン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粘着体及びその粘着体の製造方法
JPH0543846A (ja) 1991-08-13 1993-02-23 Sekisui Chem Co Ltd 着色された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US5360833A (en) * 1992-11-25 1994-11-01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s for UV curable epoxysilicone release agents
JPH086229A (ja) 1994-06-21 1996-01-12 Sekisui Chem Co Ltd 遮光性粘着シート
JP3500240B2 (ja) * 1995-10-27 2004-02-2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着色フイルム
US6760086B2 (en) * 1998-03-26 2004-07-06 Tomoegawa Paper Co., Ltd. Attachment film for electronic display device
JP2001323236A (ja) * 2000-05-16 2001-11-22 Nitto Denko Corp 水分散型アクリル系感圧性接着剤および粘着テープ類
JP4883739B2 (ja) * 2000-06-13 2012-02-22 日東電工株式会社 水分散型粘着シート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79899B2 (ja) * 2001-02-09 2007-02-14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遮光性粘着シート
JP3690298B2 (ja) * 2001-02-23 2005-08-31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JP5220973B2 (ja) * 2001-07-17 2013-06-26 ソマール株式会社 遮光フィルム
JP2003082302A (ja) 2001-09-13 2003-03-19 Tomoegawa Paper Co Ltd 電子ディスプレイ用着色粘着剤付フィルム
JP5252764B2 (ja) * 2003-03-10 2013-07-31 日東電工株式会社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製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5008871A (ja) * 2003-05-23 2005-01-13 Achilles Corp 両面自己粘着フォームシート
JP2005126624A (ja) * 2003-10-27 2005-05-19 Lintec Corp 遮光用両面粘着テープ
JP2005352768A (ja) 2004-06-10 2005-12-22 Olympus Corp 情報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8930A1 (ko) * 2013-07-19 2015-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9799926B2 (en) 2013-07-31 2017-10-24 Lg Chem, Ltd. Curved electrode stack and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95730B (zh) 2011-06-22
JP4688658B2 (ja) 2011-05-25
CN101195730A (zh) 2008-06-11
MY144572A (en) 2011-10-14
EP1795567A3 (en) 2009-02-18
TW200732442A (en) 2007-09-01
CN102134457B (zh) 2013-06-12
DE602006016396D1 (de) 2010-10-07
EP2105483A1 (en) 2009-09-30
TWI387627B (zh) 2013-03-01
CN102134457A (zh) 2011-07-27
EP1795567B1 (en) 2010-08-25
EP1795567A2 (en) 2007-06-13
JP2007154078A (ja) 2007-06-21
EP2105483B1 (en) 2013-05-08
KR101350103B1 (ko)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103B1 (ko) 차광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
JP6873180B2 (ja) 粘着シート
KR102500919B1 (ko)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 박리 방법
KR101891873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
US8710139B2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EP2572803B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2020094224A (ja) 両面粘着シート
KR101888199B1 (ko) 점착 테이프
KR20140016842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시트 및 광학 필름
KR20050000340A (ko)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접착제 제품
JP2010209261A (ja) アクリル系粘着シート
JP2010163477A (ja) 粘着シート
JP2012021053A (ja) スピーカー化粧用シート固定用両面粘着テープ
JP2017061587A (ja) 接着シート及び接着シート貼り付け方法
JP5097567B2 (ja) アクリル系粘着シート
JP6317938B2 (ja) 粘着シート
JP6125157B2 (ja) 粘着シート
KR20140098685A (ko) 난연성 점착제 조성물
JP4799824B2 (ja) 粘着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US20230103937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20220025222A1 (en) Water-disper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2017190447A (ja) 剥離ライナー付き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