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180A - 표면상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 Google Patents

표면상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180A
KR20070057180A KR1020077006145A KR20077006145A KR20070057180A KR 20070057180 A KR20070057180 A KR 20070057180A KR 1020077006145 A KR1020077006145 A KR 1020077006145A KR 20077006145 A KR20077006145 A KR 20077006145A KR 20070057180 A KR20070057180 A KR 20070057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
support
fluid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6140B1 (ko
Inventor
안토니 로렌스 파이크
던컨 비. 길모어
레이몬드 엘 호프
Original Assignee
플랫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4904616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4904616A0/en
Application filed by 플랫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플랫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70057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4Means for mounting ladders on uneven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20Telescopic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8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connected to the floor
    • A47B91/1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connected to the floor adapted to mounting on inclined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6Self-levelling le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26Height adjustable supports for receiving both ladder fe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6Locking mechanisms
    • F15B15/262Locking mechanisms using friction, e.g. brake p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7/00Details of attaching or adjusting engine beds, frames, or supporting-legs on foundation or base; Attaching non-moving engine parts, e.g. cylinder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Actuator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Ladders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표면상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서,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지지 요소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대해 안정한 포지션에서 상기 피스톤을 유지하기 위한 브레이킹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는 상기 구조물과 연관된 하중이 지지 요소의 조정에 영향을 미치도록 정렬되며, 상기 구조물과 관련된 하중에 의해 영향을 받는 실린더내의 유압의 증가가 상기 브레이킹 수단을 활성화시킨다.
지지부, 다리, 유압, 테이블, 사다리, 삼각대, 가구,

Description

표면상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A SUPPORT FOR SUPPORTING A STRUCTURE ON A SURFACE}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표면상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어 둘 이상의 자체-조정형(self-adjusting) 지지 요소를 구비하는 지지부에 관한 것이다.
테이블, 사다리, 및 삼각대와 같은 구조물들은 표면상에 위치 잡기 위한(이하, 포지셔닝(positioning)이라 함) 다리들을 가지고 있다. 모든 다리가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 구조물의 자세(포지션)가 불안정해질 것이다. 각 다리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구조물의 포지션이 보다 안정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다리의 바닥에 주로 위치하는 나사-타입 기계장치(mechanism)에 의해 종종 이루어진다.
그 대신에, 모든 다리들이 표면과 접촉하지만, 구조물이 표면에 대해 원하는 배향(orientation)을 가지지 못할 수도 있다. 다시, 동일한 타입의 나사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각 다리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표면에 대한 구조물의 포지션이 조정될 수 있다. 대형 기계나 집과 같은 기타 구조물들이 다리 없이 지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고, 또는 지지 빔이나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지면과 접촉할 수 있다. 통 상적으로, 이러한 대형 구조물의 높이 또는 경사(level or tilt) 조정은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잭(jack) 또는 쐐기(wedge)에 의해 이루어진다.
어떠한 경우라도, 구조물의 포지션 조정은 통상적으로 어려운 작업이고 또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따라서, 기술적으로 진보된 해결책이 요구된다.
사다리, 삼각대 및 테이블과 같은 구조물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피스톤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피스톤이 구조물의 각각의 다리와 연관된다. 피스톤들은 서로 유체연통된다. 따라서, 피스톤들은 각각의 지지 다리의 포지션을 함께 조정한다. 구조물의 포지션이 안정하다고 판단될 때, 피스톤들을 수동으로 격리하여 추가적인 조정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자체-조정 지지부를 제공하지 못한다.
제1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표면상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며, 상기 지지부는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요소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내부에서 이동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대해 안정한 포지션에서 상기 피스톤을 유지하기 위한 브레이킹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는 구조물과 연관된 하중(loading)이 지지 요소의 조정에 영향을 미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조물과 관련된 하중에 의해 영향을 받는 실린더 내의 유압의 증가가 상기 브레이킹 수단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실린더 또는 각각의 실린더는, 통상적으로 유체 유입구/배출구를 구비하고, 통상적으로 상기 유입구/배출구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양이 상기 실린더 또는 각각의 실린더에 대한 상기 피스톤 또는 각각의 피스톤의 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 또는 각각의 실린더는 통상적으로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사용시에 피스톤의 운동이 상기 지지 요소 또는 각각의 지지 요소의 표면 접촉부의 표면에 대한 운동에 영향을 미치도록 위치된다.
통상적으로, 지지부는 둘 이상의 지지 요소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 유체 유입구/배출구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유체 도관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구/배출구 사이에서 흐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시에, 지지부가 표면상에 위치되고 표면 접촉부들 중 하나 이상이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 실린더에 대한 피스톤의 운동이 표면에 대한 표면 접촉부들의 포지션을 조정하도록 지지부가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지지부는 자체-조정형이며, 이는 실질적으로 상당한 이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지지부를 구비하는 구조물이 표면상에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표면 접촉부가 표면과 접촉하는 한편,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접촉부가 표면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표면은 평평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구조물이 경사진 포지션으로 표면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표면과 접촉하는 표면 접촉부와 관련된 상기 피스톤 또는 각 피스톤이 내측으로 움직이고 통상적으로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 상기 다른 접촉부 또는 다른 각각의 접촉부와 관련된 상기 실린더 또는 각각의 실린더 내로 유체를 밀어서 통상 각 접촉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조물이 통상적으로 구성된다.
그 대신에, 모든 접촉부들이 표면과 접촉했지만, 예를 들어 구조물의 후방으로 구조물이 경사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후방 지지 요소 또는 각각의 후방 지지 요소에 대한 하중은 증대되고, 전방 지지 요소 또는 각각의 전방 지지 요소에 대한 하중은 감소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증대된 하중과 관련된 상기 피스톤 또는 각 피스톤이 내측으로 이동하고 또 상기 감소된 하중과 연관된 상기 지지 요소 또는 각 지지 요소와 관련된 상기 실린더 또는 각 실린더 내로 유체를 통상적으로 밀어내도록 지지부가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조정 후에 그리고 모든 접촉부들이 표면과 접촉하는 경우에, 지지 요소들 상의 하중이 실린더 또는 각 실린더 내의 유압을 증대시켜 상기 브레이킹 수단을 활성화시키도록 그리고 피스톤의 이동을 방해하여 구조물이 조정되고 안정한 포지션에 있도록, 상기 지지부가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 피스톤은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표면 접촉부를 포함한다. 그 대신에, 표면 접촉부가, 피스톤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고 그리고 상기 실린더에 대한 피스톤의 운동이 표면 접촉부들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도록 포지셔닝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각 실린더가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표면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대신에, 표면 접촉부가, 피스톤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고 그리고 상기 실린더에 대한 피스톤의 이동이 표면 접촉부들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도록 포지셔닝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실린더 내의 압력 증가가 브레이킹 수단을 활성화시킬 때까지, 피스톤이 실린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지지부가 구성된다. 예를 들어, 모든 실린더 내의 압력이 서로 동일해질 때 그러한 경우가 될 것이다.
각 지지 요소의 브레이킹 수단이 유압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중에 유체가 유입구/배출구로부터 실린더 내로 그리고 공동(cavity) 내로 침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동을 각 지지 요소의 피스톤이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피스톤은 세장형(elongate)이고, 하나 이상의 측면 부분에는 상기 공동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리세스(recess)가 마련된다. 통상적으로, 유체가 상기 공동으로 침투한 경우에, 사용중에 브레이크-패드나 브레이크-실린더 또는 각각의 브레이크-패드나 브레이크-실린더가 실린더의 내부 벽을 향해 이동하도록, 브레이크-패드 또는 브레이크-실린더가 피스톤의 상기 리세스 또는 각각의 리세스 내에 위치되고 정렬된다. 이 경우에, 상기 공동 내의 유체 압력의 증가가 실린더의 내부 벽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패드나 브레이크-실린더 또는 각각의 브레이크-패드나 브레이크-실린더의 압력을 증대시키고 그에 따라 실린더 내의 피스톤의 이동에 대항하여 작용하도록, 상기 브레이킹 수단이 통상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실린더가 내부 측벽 내에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구비할 수 있다. 브레이크-패드나 브레이크-실린더 또는 각각의 브레이크-패드나 브레이크-실린더가 상기 내부 측벽의 상기 리세스 또는 각 리세스 내에 포지셔닝되고 정렬되어 피스톤에 대고 누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지지 요소의 브레이킹 수단이 기계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표면 접촉부의 이동이 제한될 때까지 통상적으로 피스톤과 함께 실린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브레이크 부분을 지지 요소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브레이크 부분이 표면 접촉부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브레이크 부분의 이동이 제한될 때, 실린더에 대한 피스톤의 추가적인 이동이 브레이킹 수단을 활성화시키도록, 피스톤 및 브레이크 부분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의 내측 벽에 대한 브레이크 부분의 이동이 일어나도록, 브레이킹 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시에 실린더의 내측 벽에 대한 브레이크 부분의 운동을 일으키는 쐐기 부분을 피스톤 및 브레이킹 수단이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부분이 실린더의 내측 벽에 대해 눌러지는 경우에 실린더의 내측 벽상의 하나 이상의 치형부와 연동하도록 구성된 외부 부분 상의 하나 이상의 치형부를 상기 브레이크 부분이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가 유체 유입구/배출구와 상호연결되고 사용시에 통상적으로 실린더의 위쪽에 위치되는 유체 저장용기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저장용기를 포함할 수 있는 폐쇄 시스템이 형성되도록 실린더 및 유체 유입구/배출구가 연결된다.
또한, 지지부는 유압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통상적으로, 밸브가 개방되고 유압 액체가 지지부 내로 펌핑될 때, 상기 지지 요소 또는 각각의 지지 요소가 제1 높이로부터 제2 높이로 구조물을 상승시키도록 지지부가 구성된다.
예를 들어, 구조물은 테이블과 같은 가구 품목, 집과 같은 건물, 또는 비행기를 포함하는 표면 상에 놓일 수 있는 기타 구조물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구조물은 3 또는 4 개의 지지 요소를 구비하나, 그와 달리 다른 개체수의 지지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서, 바닥면(underlying surface) 상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조정가능한 지지부가 제공되며, 상기 지지부는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 및 브레이킹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 중 하나는 구조물에 연결되거나 구조물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 중 나머지 하나는 바닥면과 살짝 파묻히게 결합하도록(engage) 작동하는 접촉부과 연관되며, 상기 브레이킹 수단은 상기 실린더에 대한 상기 피스톤의 상대적인 운동을 방지하며, 상기 브레이킹 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한 부분에 대한 소정(predetermined) 하중 조건의 인가에 응답하여 작동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서,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를 위한 브레이킹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브레이킹 시스템은 실린더 내의 유체 압력 증가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 브레이킹 수단을 포함한다.
제3 측면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중에 유체가 유입구/배출구로부터 실린더 내로 그리고 공동 내로 침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공동을 상기 피스톤이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의 하나 이상의 측면 부분이 상기 공동과 연결된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체가 상기 공동으로 침투된 경우에, 사용중에 브레이크-패드나 브레이크-실린더 또는 각각의 브레이크-패드나 브레이크-실린더가 실린더의 내부 벽을 향해 이동하도록, 브레이크-패드 또는 브레이크-실린더가 피스톤의 상기 리세스 또는 각각의 리세스 내에 놓이고 정렬된다. 이어서, 상기 공동내의 유체 압력의 증가가 실린더의 내부 벽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패드나 브레이크-실린더 또는 각각의 브레이크-패드나 브레이크-실린더의 압력을 증대시키고 그에 따라 실린더 내의 피스톤의 이동에 대항하여 작용하도록, 상기 브레이킹 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제3 측면의 제2 실시예에서, 브레이킹 시스템은 피스톤으로부터 피스톤 플레이트를 격리하는 공동을 포함한다. 사용시에 피스톤 플레이트 및 피스톤이 서로에 대해 먼 포지션에서 유지되도록 그리고 실린더 내의 유체 압력의 증가시에 피스톤 플레이트 및 피스톤이 서로 근접하게 이동하여 브레이킹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공동이 저항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동은, 사용시에 유체가 유입구/배출구로부터 유입구/배출구 연장부 내로 그리고 실린더 내로 침투할 수 있도록 공동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배출구 연장부, 및 실린더 내의 유체 압력 증가시에 상기 유입구/배출구 연장부를 통하여 실린더 내로 유체가 침투하는 것을 중단시켜 실린더에 대한 피스톤의 브레이킹을 활성화시키는 중단 수단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형태에서, 저항 수단이 스프링 또는 유체-충진형 블래더(bladder)를 포함한다.
일 형태에서, 유입구/배출구 연장부가 상기 공동을 통해 실린더 내로 연장하는 튜브를 포함한다.
일 형태에서, 상기 튜브가 가요성(flexible)을 가지고, 피스톤 플레이트 및 피스톤 중 하나 이상이 상기 공동 내로 연장하는 크림퍼(crimper)를 포함함으로써, 실린더 내의 유체 압력이 증가하고 피스톤 플레이트 및 피스톤이 서로 근접하게 이동할 때, 상기 크림퍼가 상기 가요성 튜브를 압착하고 실린더 내로의 유체 흐름을 중단시킨다.
다른 일 형태에서, 실린더 내의 유체 압력이 증대되고 피스톤 플레이트 및 피스톤이 서로 근접하게 이동할 때, 튜브를 통해 실린더 내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밸브가 중단시키도록, 상기 튜브가 밸브를 포함한다.
일 형태에서, 상기 튜브는 관통하여 연장하는 제1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동은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유체가 튜브를 통해 침투할 수 있게 허용하는 흐름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는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폐쇄 포지션에서 상기 흐름 개구가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막혀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실린더 내로 유체가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일 형태에서, 상기 유입구/배출구 연장부가 상기 실린더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하는 나선형의 가요성 튜브 부분을 포함한다.
제3 측면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브레이킹 수단이 둘 이상의 지지 요소 사이에 위치되고 둘 이상의 유체 저장용기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유체 저장용기 내의 압력이 임계값 미만일 때 상기 유체 저장용기들이 서로 유체연통하도록 그리고 상기 모든 유체 저장용기 내의 압력이 임계값 이상일 때 상기 유체 저장용기가 유체연통하지 않도록 상기 유체 저장용기들이 구성된다.
제4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면상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며, 상기 지지부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 상기 피스톤이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대해 안정한 포지션에서 상기 피스톤을 유지하기 위한 브레이킹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는 상기 구조물과 연관된 하중이 상기 지지 요소를 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 요소의 표면 접촉부의 이동성이 임계값 아래로 내려간 경우에 상기 구조물과 연관된 하중이 상기 브레이킹 수단을 활성화시킨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지지부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구조물용 지지부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지지부의 개략도이다.
도 10a 및 10b는 구조물용 지지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2의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볼 밸브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실시예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7은 헬리콥터에서 이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요소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8은 헬리콥터에서 이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요소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지지부를 설명한다. 도 1a는 구조물(16)을 지지하는 지지부(10)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3 또는 4개의 지지 요소를 포함하며, 도 1a에는 지지 요소들 중 두 개만이 도시되어 있다. 각 지지 요소(12 및 14)는 실린더(18) 및 피스톤(20)을 포함한다. 각 실린더(18)는 튜브(24)에 의해 다른 지지 요소의 유체 유입구/배출구(22)에 연결된 유체 유입구/배출구(22)를 구비한다. 실린더(18)는 유체로 충진된다. 유입구/배출구(22)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양은 실린더(18) 내에서 피스톤(20)의 이동을 결정한다. 각 유체 유입구/배출구(22)가 다른 유체 유입구/배출구(22)에 연결됨에 따라, 각 실린더 내의 피스톤 중 하나의 상향 운동이 튜브(24)를 통해 유체를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다른 실린더(20)를 하향 이동시킨다.
지지부가 표면(26)상에 위치될 때, 구조물의 중량에 의해 지지 요소(14) 내의 피스톤(20)이 상향 이동되고 지지 요소(12) 내의 피스톤(20)이 하향 이동된다. 그에 따라, 피스톤의 운동이 지지 요소(12 및 14)의 높이를 조정한다. 양 피스톤이 조정 포지션에 도달하면, 구조물(16)과 관련된 하중이 실린더내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브레이크(도시 안 됨)가 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정지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실린더 내에서의 피스톤의 조정 및 고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지부는 자체-조정형이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지지부(10)는 또한 유압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밸브(25)를 포함한다. 밸브(25)가 개방되면, 유체가 지지부(12)와 지지부(14)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밸브(25) 양측의 유체가 소정 임계값 이상으로 가압되면 밸브(25)를 통한 유체의 흐름이 제한되거나 방지되도록, 밸브(25)는 유체 전달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대조적으로, 밸브(25)의 일측의 유체 압력이 임계값 이하로 낮아졌을 때, 밸브(25)는 유체가 전달되도록 조정된다. 유체 전달이 이루어질 때, 밸브(25)의 양측의 압력은 설정(preset) 한계 이하로 낮아지고, 각 지지 요소(12, 14)의 상호연결된 밸브(25)가 개방되어 유체 이동을 허용할 것이다.
이는 하중 변화시에 지지 요소(30)가 자체-조정될 수 있게 한다. 즉, 다리 중 하나가 들린(unloaded) 경우에, 밸브(25)의 개방 및 튜브(24)를 통한 유체 흐름에 의해 다리 높이 조정이 가능하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지지부(26)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물은 테이블(26)이다.
도 2는 도 1a 및 1b에 도시된 지지 요소(12 또는 14)와 같은 구조물 지지를 위한 지지 요소(30)를 도시한다. 지지 요소(30)는 실린더(32)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내에서는 피스톤(34)이 안내된다. 실린더(32)는 유압 액체 또는 물과 같은 유체(38)를 수용하고 배출하기 위한 유체 유입구/배출구(36)를 구비한다. 피스톤(34)은 실린더(32) 내에 유체(38)를 밀봉(sealing)하기 위한 시일(35)을 구비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36)는 다른 지지 요소(도시 안 됨)의 다른 유체 유입구/ 배출구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피스톤(34)은 피스톤의 측면 부분에서 개구부(42 및 44)를 구비하는 공동(40)을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42 및 44)에서, 브레이크 실린더(46 및 48)가 안내되고, 실린더(32) 내의 유체 압력이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46 및 48)가 실린더(32)의 내측 벽에 대해 가압되어 피스톤(34)을 실린더(32)에 대한 정지 포지션에 있게 한다. 또한, 실린더(32)는 구조물 장착을 위한 나사산부(33)를 구비한다. 이러한 기계장치는 지지 요소(30) 내에서 밸브로서 작동한다.
통상적으로, 테이블과 같은 구조물이 상호연결된 3 또는 4 개의 지지 요소(30)에 의해 지지된다. 테이블을 표면 위에 놓은 후에, 불균일한 표면에 맞춰 지지 요소가 조정되고 피스톤들이 조정 포지션에 도달할 때까지 실린더들 사이에서 유체가 흐른다. 구조물의 중량이 임계 압력 이상으로 압력을 상승시킬 것이고, 브레이크 실린더(46 및 48)가 실린더(32)의 내부 벽에 대하여 이동되어 피스톤을 정지상태로 위치시킬 것이다. 결과적으로, 테이블이 안정한 위치를 가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50)를 도시한다. 역시, 지지 요소(50)는 도 1a 및 1b에 도시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실시예의 지지 요소(12 또는 14)와 같이 기능할 것이다. 지지 요소(50)는 내부에서 피스톤(54)이 안내되는 실린더(52)를 포함한다. 실린더(52)는 유압 액체 또는 물과 같은 유체(58)를 수용하고 배출하기 위한 유체 유입구/배출구(56)를 구비한다. 피스톤(54)은 실린더(52) 내에 유체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55)을 구비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56)는 다른 지지 요소(도시 안 됨)의 다른 유체 유입구/배출구에 연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50)는 피스톤(54)의 아래쪽에 위치되는 다른 피스톤(60)을 포함한다. 피스톤(54)은 피스톤(60)의 대응하는 원통형 보어(66)에 수용되는 원통형 돌출부(62)를 구비한다. 피스톤(60)은 유압 유체(58)로 충진되고 개구부(70 및 72)를 가지는 공동(68)을 구비한다. 브레이크 실린더(74 및 76)가 개구부(70 및 72) 내에서 안내되고, 공동(68) 내의 유체 압력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브레이크 실린더(74 및 76)가 실린더(52)의 내부 벽에 대해 가압되어 피스톤을 위치시키고, 그에 따라 피스톤(54)이 실린더(52)에 대해 정지한 포지션에 있게 된다. 공동(68) 내의 유체 압력이 구조물과 연관된 하중에 대응하여 증가한다. 즉, 구조물과 연관된 하중에 의해 지지 요소(50)의 표면 접촉부(102)의 이동성(moveability)이 임계값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이다.
실린더(32)는 또한 구조물 장착을 위한 나사산부(77)를 구비한다.
또한, 지지 요소(50)는 돌출부(62) 주변에 위치된 압축 스프링(79)을 포함한다. 구조물이 들어 올려지고 그에 따라 지지 요소(50)에 대한 하중이 감소될 때, 스프링(79)이 피스톤(54 및 60)을 서로 멀리 밀어내는 역할을 하며, 그에 따라 공동(68)내의 유체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브레이크 실린더(74 및 76)의 후방-이동(back-movement)이 지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80)를 도시한다. 역시, 지지 요소(80)는 도 1a 및 1b에 도시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실시예의 지지 요소(12 또는 14)와 같이 기능할 것이다. 지지 요소(80)는 내부에서 피스톤(84)이 안내되는 실린더(82)를 포함한다. 실린더(82)는 유압 액체 또는 물과 같은 유체(88)를 수용하고 배출하기 위한 유체 유입구/배출구(86)를 구비한다. 피스톤(84)은 실린더(82) 내에 유체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85)을 구비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86)는 다른 지지 요소(도시 안 됨)의 다른 유체 유입구/배출구에 연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80)는 피스톤(84)의 아래쪽에 위치되는 다른 피스톤(90)을 포함한다. 피스톤(84)은 피스톤(90)의 리세스(96) 내에 위치되는 원통형 돌출부(92)를 구비한다.
피스톤(90)은 고무류 물질과 같은 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링-부분(98)을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84)의 돌출부(92)는 쐐기 부분(100)을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피스톤(90)은 표면 접촉부(102)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요소(80)가 실린더(82)에 대한 피스톤(84)의 이동 후에 조정된 포지션에 있을 때 표면 접촉부는 표면과 접촉하고 피스톤(90)의 이동이 제한된다. 구조물의 중량이 피스톤(90)에 대항하여 하향 방향으로 피스톤(84)을 추가로 이동시키며, 쐐기 부분(100)이 실린더(82)의 내부 벽에 대항하여 바깥쪽으로 탄성 링-부분(98)에 쐐기 작용하며 그에 따라 실린더(82) 내에서 피스톤(90 및 84)의 추가적인 이동이 방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110)를 도시한다. 역시, 지지 요소(110)는 도 1a 및 1b에 도시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실시예의 지지 요소(12 또는 14)와 같이 기능할 것이다. 지지 요소(110)는 내부에서 피스톤(114)이 안내되는 실린더(112)를 포함한다. 실린더(112)는 유압 액체 또는 물과 같은 유체(118)를 수용하고 배출하기 위한 유체 유입구/배출구(도시 안 됨)를 구비한다. 피스톤(114)은 실린더(112) 내에 유체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115)을 구비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는 다른 지지 요소(도시 안 됨)의 다른 유체 유입구/배출구에 연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110)는 피스톤(114)의 아래쪽에 위치된 표면 접촉부(120) 및 피스톤(114)의 주변 돌출부(122)를 포함한다.
돌출부(122)는 쐐기-형상의 측면 돌출부(124)를 구비하고, 표면 접촉부(120)는 쐐기-형상의 리세스(126)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표면 접촉부가 두 개의 부분(120a 및 120b)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요소(110)가 실린더(112)에 대한 피스톤(114)의 이동 후에 조정된 포지션에 있을 때 표면 접촉부(120)는 표면과 접촉하여 그에 따라 표면 접촉부(120)의 이동이 제한된다. 구조물의 중량이 표면 접촉부(120)에 대항하여 하향 방향으로 피스톤(114)을 추가로 이동시키며, 쐐기 부분(122)이 상기 부분들(120a 및 120b)을 실린더(112)의 내부 벽을 향하여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실린더(112)의 내부 벽의 하부는 표면상의 하나 이상의 치형부(128)를 구비하고, 상기 부분(120a 및 120b)도 치형 표면(130)을 구비한다. 상기 부분(120a 및 120b)이 실린더(112)의 내부 측벽을 향해 이동될 때, 치형부(128)가 치형 표면(130)과 맞물리고, 그러한 맞물림이 피스톤(118) 및 표면 접촉부(120)의 추가적인 이동을 방지한다.
도 6 및 도 7은 테이블(141)에서 사용되는 두 개의 지지 요소(140 및 140')를 도시한다. 상기 지지 요소(140 및 140')는 피스톤(134 및 134')이 내부에서 안내되는 실린더(132 및 132')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132 및 132')는 유체 유입구/배출구 개구부(136 및 136')를 구비한다. 상기 유체 유입구/배출구 개구부(136 및 136')는 서로 유체연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요소(140 및 140')는 피스톤(134 및 134')의 아래에 위치되고 그 피스톤에 부착되는 피스톤 연장부(144 및 144')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 연장부(144 및 144')는 망원경식 실린더(142 및 142') 내에서 안내된다.
사용시에, 테이블(141)이 불균일한 표면상에 놓이고, 통상적으로 지지 요소(140 및 140')가 불균일한 표면에 맞춰 조정된다. 구조물과 연관된 하중이 작용하여 실린더(132 및 132')내의 유체 압력을 임계 압력 이상으로 높이고 브레이킹 수단(135)이 실린더(132 및 132')에 대해 고정된 포지션에서 피스톤(134 및 134')을 유지하도록 작용할 때까지, 유체(138)가 실린더(132 및 132')들 사이에서 흐를 것이다. 결과적으로, 테이블(141)이 안정한 포지션을 가질 것이다.
도 8, 9 및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150)를 도시한다. 다시, 지지 요소(150)는 도 1a 및 1b에 도시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실시예의 지지 요소(12 또는 14)와 같이 기능할 것이다. 지지 요소(150)는 내부에서 피스톤(154)이 안내되는 실린더(152)를 포함한다. 피스톤(154)은 실린더(152)로부터 유체(158)가 빠져나가는 것을 중단시키는 시일(155)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152)는 유체 유입구/배출구(156)를 구비한다. 상기 유체 유입구/배출구(156)는 다른 유체 유입구/배출구(156')와 유체연통한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150)는 피스톤(154)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그 피스톤에 부착되는 피스톤 연장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 연장부(160)는 망원경식 실린더(162) 내에서 안내된다. 이러한 피스톤 연장부(160) 및 망원경식 실린더(162)의 조합체가 지지 요소(150)의 피스톤(154) 및 실린더(152) 조립체를 보호한다. 사용시에 피스톤(154) 및 실린더(152)의 조립체 상에 작용하는 횡방향 부하가 상기 보호하는 피스톤 연장부(160) 및 망원경식 실린더(162) 조합체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시에, 피스톤 연장부(160) 및 망원경식 실린더(162)에 의해, 피스톤 연장부(160) 및 망원경식 실린더(162)가 없는 경우에 요구되는 강도(strength) 보다 적은 강도의 경량 물질로 지지 요소(150)가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테이블(161)로 통합된 두 개의 지지 요소(150 및 150')를 도시한다. 지지 요소(150 및 150')는 유체 채널(163)에 의해 유체 연통된다.
도 11 내지 도 14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170)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지지 요소(170)는 피스톤(174)이 내부에서 안내되는 실린더(172)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172)는 유압 액체 또는 물과 같은 유체(178)를 수용하고 배출하기 위한 유체 유입구/배출구(176)를 구비한다. 유체(178)가 블래더(179) 내에 수용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176)는 다른 지지 요소(도시 안 됨)의 다른 유체 유입구/배출구와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피스톤(174)은 피스톤(184)의 측면 부분에 개구부(182 및 184)를 가지는 공동(180)을 구비한다. 공동(180)은 유압 유체나 물과 같은 유체(181)를 수용한다. 개구부(182 및 184) 내에서, 브레이크 실린더(186 및 188)가 안내되고, 실린더(172) 내의 유체 압력이 임계값 보다 높은 경우에, 브레이크 실린더(186 및 188)가 실린더(172)의 내측 벽에 대해 가압되어 실린더(172)에 대해 피스톤(174)을 고정 포지션에 위치시킨다. 공동(180)은 그 공동(180)내에 유 체(181)를 유지하기 위한 시일(189)을 더 포함한다. 실린더(172)는 또한 구조물에 장착하기 위한 나사산부(173)를 구비한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동 유체(181)가 블래더(183) 내에서 보관된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피스톤 플레이트(194)가 실린더(172)와 피스톤(174) 내의 유체(178) 사이에 위치된다. 피스톤 플레이트(194)는 공동(180) 내로 연장하는 피스톤 플레이트 가이드(195)를 포함한다. 공동(180) 내에 유체(181)를 유지하기 위해 시일(197)이 위치된다.
실린더(172) 내의 유체 압력이 임계값 보다 높은 경우에, 압력이 공동(180) 내의 유체(181)를 통해 브레이크 실린더(186 및 188)로 전달되어 브레이크 실린더(186 및 188)가 실린더(172)의 내측 벽에 대해 가압되도록 한다. 임계값에서, 피스톤(174)이 실린더(172)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서 유지된다.
지지 요소(170)의 전체 길이를 줄이기 위해, 실린더(172) 내의 유체(178) 및 브레이크 실린더(186 및 188)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200)를 상세히 도시한다. 지지 요소(200)는 피스톤(204)이 내부에서 안내되는 실린더(202)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202)는 유압 액체 또는 물과 같은 유체(208)를 수용하고 배출하기 위한 유체 유입구/배출구(206)를 구비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206)는 다른 지지 요소(도시 안 됨)의 다른 유체 유입구/배출구와 연결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206)는 상기 실린더(202)의 유체 챔버(209)를 통해 연장하는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07)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200)는 피스톤 플레이트(214)와 피스톤(204) 사이에 위치된 공동(210)을 구비한다. 공동(210)은 상기 피스톤(204) 내로 연장하는 개구부(211)를 구비한다. 피스톤 플레이트(214)는 유체 챔버(209)와 접하고 피스톤 플레이트 가이드(216)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피스톤(204) 내의 개구부(211)내로 연장한다. 피스톤 플레이트(214)는 크림퍼(crimper; 218)를 더 포함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07)가 공동(210) 내로 그리고 유체 유입구/배출구(206)로 연장함으로써, 유체가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07) 내에서 공동(210)을 통해 진행한 후에 유체 챔버(209)로 유입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07)가 공동(210)을 통해 연장하는 가요성 부분(208)을 포함한다.
공동(210)은 저항 수단(212)을 더 포함한다. 저항 수단(212)은 피스톤(204)으로부터의 먼 위치에 피스톤 플레이트(214)를 유지한다. 유체 챔버(209) 내의 유체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저항 수단(212)에 작용하여 피스톤 플레이트(214)를 피스톤(204)에 인접하게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으로 인해 크림퍼(218)가 가요성 부분(208)과 접촉하게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사용시에, 이는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07) 및 유입구/배출구(206)를 통해 유체 챔버(209) 내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실린더(202) 및 유체 챔버(209) 내의 유체 압력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이러한 흐름 방지는 피스톤(204)의 제동을 일으키며, 피스톤(204)이 실린더(202)에 대한 고정 포지션에서 유지되게 한다.
도 16 내지 도 1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220)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지지 요소(220)는 피스톤(224)이 내부에서 안내되는 실린더(222)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222)는 유압 액체 또는 물과 같은 유체(228)를 수용하고 배출하기 위한 유체 유입구/배출구(226)를 구비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226)는 다른 지지 요소(도시 안 됨)의 다른 유체 유입구/배출구와 연결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226)는 상기 실린더(222)의 유체 챔버(229)를 통해 연장하는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27)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220)는 피스톤 플레이트(234)와 피스톤(224) 사이에 위치된 공동(230)을 구비한다. 피스톤 플레이트(214)는 유체 챔버(229)와 접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27)가 공동(230) 내로 그리고 유체 유입구/배출구(226)로 연장함으로써, 유체(228)가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27) 내에서 공동(220)을 통해 진행한 후에 유체 챔버(229)로 유입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27)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브레이킹 밸브(236)를 포함한다. 개방 위치에서, 유체(228)가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27) 및 유입구/배출구(226)을 통해 흐른다. 폐쇄 위치에서,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27)가 폐쇄되어 시스템 내에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막는다.
공동(230)은 저항 수단(232)을 더 포함한다. 저항 수단(232)은 피스톤(224)으로부터 먼 위치에 피스톤 플레이트(234)를 유지한다. 유체 챔버(229) 내의 유체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저항 수단(232)에 작용하여 피스톤 플레이트(234)를 피스 톤(224)에 인접하게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으로 인해 밸브(236)가 폐쇄 위치로 가게 된다.
폐쇄된 밸브(236)는 피스톤(224)의 제동을 일으킴으로써, 피스톤(224)이 실린더(222)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서 유지된다.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피스톤 플레이트(234)는 피스톤(224) 내의 피스톤 공동(237) 내로 연장하는 피스톤 플레이트 가이드(235)를 포함한다.
브레이킹 밸브(236)는 피스톤 밸브 또는 볼 밸브이다.
도 18은 지지 요소(220) 내의 볼 밸브(236)를 상세히 도시한다. 볼 밸브(236)는 공동(230) 내로 연장하는 밸브 아암(238)을 포함한다. 실린더(222) 내의 유체 압력이 높아졌을 때, 피스톤 플레이트(234)가 피스톤(224)에 근접하게 이동하여, 밸브 아암(238)을 작동시켜 이동시킨다. 임계 압력에서, 볼 밸브(236)는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27)를 폐쇄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240)를 상세히 도시한다. 지지 요소(240)는 피스톤(244)이 내부에서 안내되는 실린더(242)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242)는 유압 액체 또는 물과 같은 유체(248)를 수용하고 배출하기 위한 유체 유입구/배출구(246)를 구비한다. 유체(178)가 블래더(249) 내에 수용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246)는 다른 지지 요소(도시 안 됨)의 다른 유체 유입구/배출구와 연결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 개구부(246)는 블래더(249)를 통해서 연장하는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47)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240)는 피스톤 플레이트(254)와 피스톤(244) 사이에 위치된 공동(250)을 구비한다. 피스톤 플레이트(254)는 블래더(249)와 접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47)는 공동(250) 내로 그리고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47)로 연장함으로써, 유체(248)가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47) 내에서 공동(250)을 통해 진행한 후에 블래더(249)로 유입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47)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브레이킹 부재(256)를 포함한다. 개방 위치에서, 유체(248)가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47) 및 유입구/배출구(246)를 통해 흐른다. 폐쇄 위치에서, 유체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47)가 폐쇄되어 시스템 내에서 유체(248)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브레이킹 부재(256)는 제1 세라믹 디스크(257) 및 제2 세라믹 디스크(258)를 포함한다. 제1 세라믹 디스크(257)는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47)를 통해 유체(248)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개구(259)를 포함한다.
공동(250)은 저항 블래더(252)를 더 포함한다. 저항 블래더(252)는 공기 또는 유체가 충진되고 피스톤 플레이트(254)를 피스톤(244)으로부터 먼 위치에서 유지한다. 유체 챔버(249) 내의 유체 압력이 증가하면 저항 수단(252)에 대항하여 피스톤 플레이트(254)를 피스톤(244)에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이동은 제2 세라믹 디스크(258)를 이동시킴으로써, 개구(259)를 막아 유입구/배출구 연장부(247)를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피스톤(244)을 제동시켜, 피스톤(244)이 실린더(242)에 대해 고정된 포지션에서 유지되게 한다.
도 20은 지지 요소 내의 레버(lever) 브레이킹 수단(300)을 도시한다. 지지 요소(290)는 내부에서 피스톤(294)이 안내되는 실린더(292)를 포함한다. 실린더(292)는 유압 액체나 물과 같은 유체(298)를 수용 및 배출하기 위한 유체 유입구/배출구(296)를 구비한다. 유체(298)가 블래더(299) 내에 수용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296)는 다른 지지 요소(도시 안 됨)의 다른 유체 유입구/배출구에 연결된다.
브레이킹 수단(300)은 브레이킹 아암(306)을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킹 아암은 피스톤 가이드(305)에 부착되고 그에 따라 피스톤 플레이트(304)에 간접적으로 부착된다. 실린더(292) 내의 유체 압력이 임계값에 도달하면, 피스톤 플레이트(304)가 하향 이동하여 브레이킹 아암(306)을 작동시킨다. 브레이킹 아암(306)은 실린더(292)의 내부 벽과 접촉하게 된다. 브레이킹 아암(306)과 실린더(292)의 내부 표면 사이의 접촉이 피스톤(294)을 실린더(292)에 대한 정지 포지션에서 유지한다.
이러한 지지는 여러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시스템은 건물, 이동가능한 건물, 비계(scaffolding), 삼각대, 사다리, 소위 백색 가전(white goods), 테이블, 의자, 가구, 스탠드, 시청용 플랫폼(viewing platforms), 기계류, 불도저 및 건설 장비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밸브 요소(310)를 도시한다. 밸브 요소(310)는 두 개의 지지 요소(도시 안 됨) 사이에 위치된다. 밸브 요소(310)는 상부 유체 저장용기(311) 및 하부 유체 저장용기(312)를 포함한다. 세라믹 디스크(313)가 상부 유체 저장용기(311)와 하부 유체 저장용기(312) 사이에 배치된다. 밸브 요소(310)는 두 개의 대향 피스톤, 즉 상부 피스톤(315) 및 하부 피스톤(316)을 더 포함한다. 상부 피스톤(315)은 상부 유체 저장용기(311) 내의 압력 변화에 의해 충격을 받도록 위치된다. 하부 피스톤(316)은 하부 유체 저장용기(312) 내의 압력 변화에 의해 충격을 받도록 위치된다. 세라믹 디스크(313)는 상부 저장용기 개구(320) 및 하부 저장용기 개구(321)를 포함한다. 상부 피스톤(315)은 상부 피스톤 개구(322)를 포함하고, 하부 피스톤은 하부 피스톤 개구(323)를 포함한다. 피스톤(315 및 316)이 스프링(318 및 319)에 의해 편향되어, 압력이 상부 유체 저장용기(311) 내에서 임계값 이하로 낮아졌을 때, 상부 피스톤 개구(322)가 상부 저장용기 개구(320)와 정렬되어 유체가 관통하여 흐를 수 있게 한다. 유사하게, 하부 저장용기(312) 내에서 압력이 임계값 이하로 낮아졌을 때, 하부 피스톤 개구(323)가 하부 저장용기 개구(321)와 정렬되어 유체가 관통하여 흐를 수 있게 한다.
피스톤(315 또는 316)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의 힘이 스프링(318 또는 319)의 편향력 보다 작은 경우에, 밸브(310)가 개방 위치에 있게 되고 유체가 밸브를 통해 흐를 수 있다. 하나의 다리(도시 안 됨)가 지면과 같은 표면 위에 놓인 경우에, 테이블의 질량이 그 다리와 연관된 저장용기 내의 유체 압력을 높여 그 다리와 연관된 피스톤을 이동시켜 연관된 개구를 덮을 수 있도록, 지지부가 구성된다.
도 21에서, 하나의 조정가능한 다리 내의 유체가 하부 저장용기(312)에 연결되고 그 다리가 올려져 부하를 더 이상 받지 않게 되는 경우에, 하부 피스톤(316)과 다리 사이의 유체 압력이 감소한다. 압력 감소로 인해 하부 피스톤(316)이 이 동하여 하부 피스톤 개구가 세라믹 디스크(313) 내의 하부 저장용기 개구와 정렬되도록, 스프링(319)의 인장력이 설정된다. 이는 각 다리 사이에서 유체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만약, 그 대신에, 상부 저장용기(311)와 연관된 다리가 들린다면, 상부 피스톤(315)과 연관 다리 사이의 유체 압력이 감소되어, 상부 피스톤(315)이 이동되어 상부 저장용기 개구(322)가 열리게 할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밸브 요소(330)를 도시한다. 밸브 요소(330)는 두 개의 지지 요소(도시 안 됨) 사이에 위치된다. 밸브 요소(330)는 상부 유체 저장용기(331) 및 하부 유체 저장용기(332)를 포함한다. 상부 겔(gel) 요소(333)가 상부 저장용기(311)와 연관되고, 하부 겔 요소(334)가 하부 저장용기(332)와 연관된다. 겔 요소의 두 측면들 사이에서 힘의 불균형이 일어나도록 겔 요소(333 및 334)가 성형된다. 겔 요소들의 외측 엣지(edge)(335 및 336)는 내측 엣지(337 및 338) 보다 큰 표면적을 가진다. 상부 저장용기(331) 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부 겔 요소(333)의 외측 엣지(335)상의 압력이 힘의 불균형을 생성하여, 겔 요소(333)의 변형을 초래하고 상부 저장용기(311)와 하부 저장용기(332) 사이의 유체 흐름을 감소시킬 것이다. 하부 저장용기(332) 및 상부 저장용기(331) 모두가 특정 압력 이상일 때 하부 겔 요소(334) 및 상부 겔 요소(333)가 변형되어 서로 접하고 하부 저장용기(332)와 상부 저장용기(331) 사이의 유체 흐름이 방지되도록, 밸브 요소(330)가 구성된다. 하부 저장용기(332) 또는 상부 저장용기(331)의 압력이 손실된다면, 관련된 겔 요소가 역으로 튀어올라(spring back) 상부 저장용기(331)와 하부 저장용기(332) 사이에서 유 체가 흐를 수 있게 한다.
하나의 조정가능한 다리 내의 유체가 하부 저장용기(332)와 연결되고, 조정가능한 제2 다리(도시 안 됨) 내의 유체가 상부 저장용기(331)와 연결되도록, 밸브 요소(330)가 구성된다. 따라서, 만약 하나의 다리가 들려서 더 이상 부하를 받지 않는다면, 각 다리들 사이의 유체 전달이 허용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밸브 요소(340)를 도시한다. 밸브 요소(340)는 두 개의 지지 요소(도시 안 됨) 사이에 위치된다. 밸브 요소(340)는 상부 유체 저장용기(341) 및 하부 유체 저장용기(342)를 포함한다. 상부 저장용기(341) 내의 압력 증가가 상부 피스톤(343)에 충격(impact)을 가하도록 상부 피스톤(343)이 상부 저장용기(341)와 연관된다. 유사하게, 하부 저장용기(342) 내의 압력 증가가 하부 피스톤(344)에 충격을 가하도록 하부 피스톤(344)이 하부 저장용기(342)와 연관된다. 각 피스톤(343 및 344)이 내측 박막(345 및 346)과 외측 박막(347 및 348) 사이에 배치된다. 대응하는 저장용기 내의 압력 증가가 내측 박막(345 및 346) 보다 외측 박막(347 및 348)에 충격을 가하도록, 상부 피스톤(345)과 박막(345 및 347) 그리고 하부 피스톤(344)과 박막(346 및 348)의 형상이 결정된다. 힘의 불균형이 각 피스톤의 두 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부 저장용기(341) 내의 압력이 증가하면, 상부 피스톤(343)의 외측 엣지 상의 압력이 힘의 불균형을 생성하여 피스톤(343)을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부 저장용기(341)와 하부 저장용기(342) 사이의 유체 흐름을 감소시킨다.
하부 저장용기(342) 및 상부 저장용기(341) 모두가 특정 압력 이상일 때 하부 피스톤(344)의 내측 박막(346)과 상부 피스톤(343)의 내측 박막(345)이 서로 접하여, 하부 저장용기(342)와 상부 저장용기(341) 사이의 유체 흐름을 방지하도록, 밸브 요소(340)가 구성된다. 상부 저장용기(341) 또는 하부 저장용기(342)의 압력이 손실된다면, 관련된 피스톤이 역으로 튀어올라 상부 저장용기(341)와 하부 저장용기(342) 사이에서 유체가 흐를 수 있게 할 것이다.
하나의 조정가능한 다리 내의 유체가 하부 저장용기(342)와 연결되고, 조정가능한 제2 다리(도시 안 됨) 내의 유체가 상부 저장용기(341)와 연결되도록, 밸브 요소(340)가 구성된다. 따라서, 만약 하나의 다리가 들려서 더 이상 부하를 받지 않는다면, 각 다리들 사이의 유체 전달이 허용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밸브 요소(350)를 도시한다. 밸브 요소(350)는 두 개의 지지 요소(도시 안 됨) 사이에 위치된다. 밸브 요소(350)는 상부 저장용기(351) 및 하부 저장용기(352)를 포함한다. 상부 저장용기(351) 내의 압력 증가가 상부 피스톤(353)에 충격을 가하도록 상부 피스톤(353)이 상부 저장용기(351)와 연관된다. 유사하게, 하부 저장용기(352) 내의 압력 증가가 하부 피스톤(354)에 충격을 가하도록 하부 피스톤(354)이 하부 저장용기(352)와 연관된다. 각 피스톤(353 및 354)이 변형가능한 박막 튜브(356)의 하나의 측면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박막 튜브는 상부 저장용기(351)와 하부 저장용기(352)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한다. 피스톤의 내측 엣지(359 및 360) 보다 더 넓은 외측 엣지(357 및 358)를 가지도록, 상부 피스톤(355)과 하부 피스톤(354)의 형상이 결정된다. 따라서, 대응하는 저장용기 내의 압력 증가가 내측 엣지(359 및 360) 보다 외측 엣지(357 및 358)에 충격을 가한다. 힘의 불균형이 각 피스톤의 두 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부 저장용기(351) 내의 압력이 증가되면, 상부 피스톤(353)의 외측 엣지 상의 압력이 힘의 불균형을 생성하여 피스톤(353)을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부 저장용기(351)와 하부 저장용기(352) 사이의 변형가능한 박막 튜브(356)를 통한 유체 흐름을 감소시킨다.
하부 저장용기(352) 및 상부 저장용기(351) 모두가 특정 압력 이상일 때 변형가능한 박막 튜브(356)가 하부 저장용기(352)와 상부 저장용기(351) 사이의 유체 흐름을 방지하도록, 밸브 요소(350)가 구성된다. 상부 저장용기(351) 또는 하부 저장용기(352)의 압력이 손실된다면, 관련된 피스톤이 역으로 튀어올라 상부 저장용기(351)와 하부 저장용기(352) 사이에서 유체가 흐를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조정가능한 다리 내의 유체가 하부 저장용기(352)와 연결되고, 조정가능한 제2 다리(도시 안 됨) 내의 유체가 상부 저장용기(351)와 연결되도록, 밸브 요소(350)가 구성된다. 따라서, 만약 하나의 다리가 들려서 더 이상 부하를 받지 않는다면, 각 다리들 사이의 유체 전달이 허용된다.
도 25 및 도 2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용 지지 요소의 밸브 요소(37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되는 각 다리(371-374)가 유체 블래더(375 및 375')를 포함한다. 가압되었을 때, 유체 블래더(375)가 테이블 다리의 하중을 받는다. 각 블래더(375)는 유체 블래더(375)들 사이의 유체 전달을 허용하는 두 개의 호스 연결부(376 및 377)를 구비한다. 임의의 주어 진 유체 블래더에 대해, 하나의 호스 연결부가 밸브(378)에 의해 제어되고 다른 호스 연결부가 블래더로 개방되도록, 호스(376 및 377)가 유체 블래더(375)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두 개의 블래더(375)를 구비하는 지지부의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376 및 377)가 교차 형태로 연결된다. 즉, 밸브(378)를 통해 연결된 하나의 다리 상의 호스(377)가 밸브가 없이 다른 다리 상의 블래더에 직접 연결되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연결 구성에서, 양 밸브들이 폐쇄되었을 때, 유체 전달은 일어나지 않으며, 밸브들 중 하나가 개방되었을 때 유체 전달이 일어난다.
4개의 블래더 구성에서, 각 블래더가 두 개의 가장 인접한 이웃에 연결된다. 도 6은 다리들 사이의 연결을 도시한다. 각 다리는 두 개의 다른 다리에 연결되나, 대각선방향으로 반대편 다리에는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리(372)가 지면 상에서 부하를 받지 않는다면, 두 개의 이웃하여 연결된 다리들로부터 유체를 끌어당길 수 있으나 대각선방향으로 반대인 다리로부터는 유체를 끌어당기지 않는다. 또한, 하나 이상의 다리가 지면으로부터 들리면, 모든 들려진 다리가 부하를 받는 다리로부터 유체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밸브(378)는 튜브 핀치 밸브(tube pinch valve)이며, 그것은 중량이 테이블 다리에 가해지는 경우에 유체 전달 튜브를 막는 작용을 한다. 모든 다리가 지면에 닿는다면, 각 블래더가 가압되고 테이블로부터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테이블 중량이 전달 튜브가 닫히도록 죄어서 유체 흐름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한다. 다리가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진다면, 해당 유닛은 더 이 상 테이블로부터 아무 하중도 받지 않으며, 다른 연결된 블래더로부터의 압력이 밸브(378)를 상부 튜브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하고 상부 튜브를 통해 유체가 흐를 수 있게 허용하며, 그에 따라 다리가 지면에 닿고 테이블 하중의 일부를 받기 시작할 때까지 다리를 연장시킨다.
도 27 및 도 28에는 헬리콥터 착륙 구조물(380)에 통합된 지지 요소를 도시한다. 헬리콥터 착륙 구조물(380)은 둘 이상의 독립적인 착륙 받침대(strut)(382)을 포함한다. 각 착륙 받침대(382)는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400)를 포함한다. 하나의 착륙 받침대(382)가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400)를 포함하는 경우에, 사용시에 상기 착륙 받침대가 4개 이상의 독립적인 착륙 요소가 되도록 착륙 받침대가 분할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요소(400)는 피스톤(404)이 내부에서 안내되는 실린더(402)를 포함한다. 착륙 구조물(382)의 이동이 피스톤(404)의 이동과 연관되도록, 피스톤(404)이 헬리콥터 착륙 받침대(382)에 부착된다. 실린더(402)는 유압 액체 또는 물과 같은 유체(408)의 수용 및 배출을 위한 유체 유입구/배출구(406)를 구비한다. 유체(408)는 블래더(409) 내에 수용된다. 유체 유입구/배출구(406)가 다른 지지 요소(도시 안 됨)의 다른 유체 유입구/배출구에 연결된다.
지지 요소(400)는 브레이킹 수단(384)을 더 포함한다.
사용시에, 헬리콥터(도시 안 됨)가 불균일한 표면상에 착륙할 때, 통상적으로 지지 요소(400)가 표면에 맞춰 조정되고, 별도의 착륙 받침대(도시 안 됨)와 연관된 다른 지지 요소(도시 안 됨)의 실린더와 실린더(402) 사이에서 유체가 흐를 것이다. 구조물과 연관된 하중이 실린더(402) 내의 유체 압력을 임계 압력 이상으로 올리도록 작용할 때까지 그리고 브레이킹 수단(384)이 실린더(402)에 대한 고정 포지션에서 피스톤(404)을 유지하는 작용을 할 때까지, 유체(408)가 흐를 것이다. 결과적으로, 헬리콥터 착륙 구조물(380)은 안정한 포지션을 가질 것이다. 이는 헬리콥터 착륙의 안전성을 높인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지지부도 가구나 백색 가전의 높이 조정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물(16)이 지지 요소(12 및 14)와 같은 4 개의 지지 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냉장고일 수 있다. 만약 냉장고가 후방으로 기울어진다면, 후방 지지 요소의 피스톤들이 상향 이동하고 전방 지지 요소들의 실린더들 내로 유압 액체를 밀어내고 전방 지지 요소들의 피스톤들이 하향 이동한다. 냉장고에서 손을 떼면(release), 냉장고는 조정된 위치에서 정지될 것이고, 냉장고의 중량으로 인해 각 지지 요소의 브레이크가 각 피스톤을 각 실린더와 결합시킬 것이다.
실린더 및 피스톤이 알루미늄이나 강철과 같은 금속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 대신에, 피스톤 및 실린더가 적합한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지지 요소들의 유입구/배출구들이 적합한 고무 호스를 이용하여 상호연결되나, 플라스틱이나 금속 호스를 이용하여 상호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호스의 내경 및 추가적인 밸브들을 이용하여 호스를 통한 유압 액체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변화된 하중 조건에 맞춰 조정하기 위한 지지부의 감도(반응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유입구/배출구들이 또한 저장용기를 통해 상 호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특정의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각 지지 요소의 실린더가 피스톤의 측면 부분에 대항하여 이동하는 부분들을 가지는 브레이킹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지 요소의 실린더가 표면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고, 피스톤은 구조물에 연결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들 및 실린더들이 임의의 적합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고 임의의 적합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지지부가 하나의 지지 요소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가 건물 구조물 지지를 위한 지주(prop)와 같은 단일 지지 부재일 수 있고, 그러한 단일 지지 부재는 압축될 수 있고 지지 부재가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하중 이상에서 결합되는 브레이킹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그리고 상기 설명에서, 언어의 표현이나 필요한 암시로 인해 문장에서 달리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포함한다"는 용어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특징들의 부가나 존재를 배제하지 않으면서 서술된 특징들의 존재를 특정하기 위해서 사용된 것이다.

Claims (46)

  1. 표면상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서, 상기 지지부가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요소 또는 각각의 지지 요소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대해 안정한 포지션에서 상기 피스톤을 유지하기 위한 브레이킹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는 상기 구조물과 연관된 하중이 지지 요소의 조정에 영향을 미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조물과 관련된 하중에 의해 영향을 받는 실린더 내의 유압의 증가가 상기 브레이킹 수단을 작동시키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가 유체 유입구/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배출구 또는 각각의 유입구/배출구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양이 상기 실린더 또는 각각의 실린더에 대한 상기 피스톤 또는 각각의 피스톤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또는 각각의 피스톤의 이동이 상기 지지 요소 또는 각각의 지지 요소의 표면 접촉부의 표면에 대한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4. 제3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지지 요소를 구비하며, 각각의 지지 요소는 표면 접촉부를 구비하고, 유체가 상기 유입구/배출구들 사이에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유체 유입구/배출구가 하나 이상의 유체 도관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시에, 상기 지지부가 표면 뤼에 놓이고 표면 접촉부들 중 하나 이상이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실린더에 대한 피스톤의 이동이 일어나 표면에 대한 표면 접촉부들의 포지션이 조정되도록 구성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피스톤은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 표면 접촉부를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7. 제5항에 있어서, 표면 접촉부가 상기 피스톤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요소인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내의 유체 압력의 증가가 상기 브레이킹 수단을 작동시킬 때까지,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지지 요소의 브레이킹 수단이 유압식인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지지 요소의 피스톤이, 사용시에, 유체가 상기 유입구/배출구로부터 상기 실린더 내로 그리고 공동 내로 침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동을 구비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지지 요소의 피스톤이 세장형이며, 하나 이상의 측면 부분이 상기 공동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구비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12. 제1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패드 또는 브레이크-실린더가 피스톤의 상기 리세스 또는 각각의 리세스 내에 위치되고, 유체가 상기 공동으로 침투된 경우에 상기 브레이크-패드 또는 상기 브레이크-실린더 또는 각각의 브레이크-패드 또는 각각의 브레이크-실린더가 사용시에 상기 실린더의 내부 벽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킹 수단은 상기 공동 내의 유체 압력의 증가가 상기 실린더의 내부 벽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패드 또는 브레이크-실린더 또는 각각의 브레이크-패드 또는 브레이크-실린더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실린더 내의 피스톤의 이동성에 대항하여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가 내부 측벽 내에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구비하며, 하나 이상의 상기 브레이크-패드 또는 브레이크-실린더가 상기 내부 측벽의 상기 리세스 또는 각각의 리세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의 이동성에 대항하여 작동하도록 상기 피스톤을 누르도록 구성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15.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지지 요소의 브레이킹 수단이 기계적인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16. 제15항에 있어서, 표면 접촉부의 이동이 제한될 때까지 상기 피스톤과 함께 실린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브레이크 부분을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부분은, 상기 브레이크 부분의 이동이 제한될 때, 상기 실린더에 대한 피스톤의 추가적인 이동이 상기 브레이킹 수단을 작동 시키도록 구성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킹 수단이 쐐기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쐐기 부분은 사용시에 상기 실린더의 내측 벽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 부분의 이동이 일어나도록 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개의 지지 요소를 가지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20.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개의 지지 요소를 가지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이 가구 품목인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이 테이블인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23.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킹 수단이 둘 이상의 지지 요소들 사이에 위치되고 둘 이상의 유 체 저장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둘 이상의 유체 저장용기는 하나 이상의 유체 저장용기 내의 압력이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유체 저장용기들이 유체연통하고 상기 둘 이상의 유체 저장용기 내의 압력이 임계값 이상일 때 상기 유체 저장용기들이 유체연통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장용기들 사이에 배치된 밸브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상기 저장용기들 사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저장용기 개구를 포함하는 세라믹 디스크; 및
    저장용기와 각각 연관된 둘 이상의 피스톤을 포함하며,
    각 피스톤은 피스톤 개구를 포함하고, 저장용기 내의 압력이 임계값 이하일 때 피스톤 개구가 상기 저장용기 개구와 정렬되어 유체가 통과하여 흐르도록 허용하고 모든 저장용기 내의 압력이 임계값 이상일 때 피스톤이 조정되도록 각 피스톤이 편향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저장용기와 각각 연관된 둘 이상의 실링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요소는 모든 저장용기 내의 압력이 임계값 이상일 때 실링 요소들이 접하여 저장용기들 사이의 유체 흐름을 방지하도록 압력 변화가 하나의 실링 요소를 다른 실링 요소에 대하여 이동시키도록 성형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요소가 겔로 구성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요소가 피스톤인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들이 박막들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30. 바닥면 상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조정가능한 지지부로서,
    상기 지지부는 피스톤과 실린더의 조립체 및 브레이킹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 중 하나는 상기 구조물에 연결되거나 상기 구조물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 중 나머지 하나는 바닥면과 맞붙도록 작동되는 접촉부와 연관되며, 상기 브레이킹 수단은 상기 실린더에 대한 상기 피스톤의 상대적인 운동을 방지하며, 상기 브레이킹 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한 부분에 대한 소정 하중 조건의 인가에 반응하여 작동되는 조정가능한 지지부.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킹 수단은 상기 접촉부과 연관된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의 일부에 인가된 임계 하중에 반응하여 작동하는 조정가능한 지지부.
  32.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용 브레이킹 시스템으로서:
    상기 브레이킹 시스템이 상기 실린더 내의 유체 압력 증가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 브레이킹 수단을 포함하는 브레이킹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사용중에 유체가 유입구/배출구로부터 실린더내로 그리고 공동내로 침투될 수 있도록 공동을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의 하나 이상의 측면 부분이 상기 공동과 연결된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구비하는 브레이킹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유체가 상기 공동으로 침투된 경우에 사용중에 브레이크-패드나 브레이크-실린더 또는 각각의 브레이크-패드나 브레이크 실린더가 실린더의 내부 벽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패드 또는 브레이크-실린더가 피스톤의 상기 리세스 또는 각각의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되는 브레이킹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킹 수단은 상기 공동내의 유체 압력의 증가가 실린더의 내부 벽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패드나 브레이크-실린더 또는 각각의 브레이크-패드나 브레이크-실린더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실린더 내의 피스톤 의 이동성에 대항하여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킹 시스템.
  36. 제32항에 있어서, 실린더 내의 유체 챔버, 상기 피스톤과 상기 유체 챔버 사이에 위치된 피스톤 플레이트, 및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플레이트 사이의 공동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동이:
    사용시에 상기 피스톤 및 피스톤 플레이트가 서로에 대해 먼 포지션에서 유지되도록 그리고 유체 챔버 내의 유체 압력의 증가시에 피스톤 및 피스톤 플레이트가 서로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저항 수단;
    사용시에 유체가 유입구/배출구 연장부를 통해 실린더 내로 흐를 수 있도록 공동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배출구 연장부; 및
    상기 실린더 내의 유체 압력 증가시에 상기 유입구/배출구 연장부를 통해서 실린더 내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중단시키는 중단 수단을 포함하는 브레이킹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수단이 스프링을 포함하는 브레이킹 시스템.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수단이 유체-충진 블래더를 포함하는 브레이킹 시스템.
  39. 제36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배출구 연장부가 상기 공동을 통해서 상기 실린더 내로 연장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브레이킹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가 가요성을 가지고, 피스톤 플레이트 및 피스톤 중 하나 이상이 상기 공동 내로 연장하는 크림퍼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실린더 내의 유체 압력이 증가하고 피스톤 플레이트 및 피스톤이 서로 근접하게 이동될 때, 상기 크림퍼가 상기 가요성 튜브를 압착하고 상기 실린더 내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킹 시스템.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실린더 내의 유체 압력이 증가하고 상기 피스톤 플레이트 및 피스톤이 서로 근접하게 이동할 때, 상기 밸브가 튜브를 통해 실린더 내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중단시키는 브레이킹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볼 밸브인 브레이킹 시스템.
  43.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관통하여 연장하는 제1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동은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유체가 튜브를 통해 침투할 수 있게 허용하는 흐름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흐름 개구가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막혀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실린더 내로 유체가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는 브레이킹 시스템.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각각 세라믹 디스크인 브레이킹 시스템.
  45. 제36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배출구 연장부가 상기 실린더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하는 나선형의 가요성 튜브 부분을 포함하는 브레이킹 시스템.
  46. 표면상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서, 상기 지지부는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지지 요소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대해 안정한 포지션에서 상기 피스톤을 유지하기 위한 브레이킹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는 상기 구조물과 연관된 하중이 상기 지지 요소의 조정을 실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 요소의 표면 접촉부의 이동성이 임계값 이하로 감소한 경우에 상기 구조물과 연관된 하중이 상기 브레이킹 수단을 작동시키는 구조물 지지용 지지부.
KR1020077006145A 2004-08-16 2005-08-16 표면상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KR101226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4904616 2004-08-16
AU2004904616A AU2004904616A0 (en) 2004-08-16 A support for supporting a structure on a surface
AU2005901474 2005-03-24
AU2005901474A AU2005901474A0 (en) 2005-03-24 A support for supporting a structure on a surface
PCT/AU2005/001226 WO2006017891A1 (en) 2004-08-16 2005-08-16 A support for supporting a structure on a su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180A true KR20070057180A (ko) 2007-06-04
KR101226140B1 KR101226140B1 (ko) 2013-01-25

Family

ID=3590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145A KR101226140B1 (ko) 2004-08-16 2005-08-16 표면상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3) US8302743B2 (ko)
EP (1) EP1778946B1 (ko)
JP (1) JP5377853B2 (ko)
KR (1) KR101226140B1 (ko)
CN (2) CN101023239B (ko)
AT (1) ATE553279T1 (ko)
AU (1) AU2005274676B2 (ko)
BR (1) BRPI0515200B1 (ko)
CA (1) CA2577193C (ko)
DK (1) DK1778946T3 (ko)
ES (1) ES2388370T3 (ko)
HK (1) HK1108175A1 (ko)
IL (1) IL181361A0 (ko)
MX (1) MX2007001933A (ko)
NZ (1) NZ553843A (ko)
PT (1) PT1778946E (ko)
WO (1) WO20060178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478B1 (ko) * 2018-01-04 2018-08-3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레이더의 수평자세 유지를 위한 받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53843A (en) * 2004-08-16 2009-07-31 Flat Pty Ltd A support for supporting a structure on an uneven surface by adjusting a piston cylinder assembly in response to loading condition
IE20080318A1 (en) * 2007-04-23 2008-10-29 Frank Sorohan A stabilising device
JP2012523513A (ja) * 2009-04-14 2012-10-04 アイ2ゼット・アンパルトセルスカブ 脚レベリング
JP2011106563A (ja) * 2009-11-17 2011-06-02 Mitaka Koki Co Ltd ベースの固定構造
CN102858204B (zh) * 2009-12-24 2016-06-01 福莱特公司 底座支架
NO341320B1 (no) * 2010-02-09 2017-10-09 Offshore Tech Partner As Støtdempingsanordning på lastbærer
GB2481449A (en) * 2010-06-25 2011-12-28 Warrentech Ltd A levelling device
GB2487408B (en) * 2011-01-21 2014-09-17 Eric Burden Self levelling support apparatus
GB2491132A (en) * 2011-05-23 2012-11-28 Steve Evans Balancer with self-levelling legs
KR20130001841A (ko) * 2011-06-28 2013-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로봇용 단차 승월장치 및 이동 로봇 승월 시스템과 이동 로봇의 단차 승월방법
ITMO20120195A1 (it) * 2012-08-02 2014-02-03 Montec S R L Dispositivo di auto-livellamento, particolarmente per elementi di arredo.
ITVI20120327A1 (it) * 2012-12-06 2014-06-07 Federico Muffarotto Sgabello perfezionato
KR101515294B1 (ko) 2013-08-05 2015-04-24 휴엠케이 주식회사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
WO2017100852A1 (en) * 2015-12-17 2017-06-22 Flat Pty Ltd Hydraulic support
CN105757408B (zh) * 2016-04-13 2024-02-2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及其调平装置
CN105755757B (zh) * 2016-04-13 2024-01-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具有自动调平功能的洗衣机底脚及洗衣机
CN105755750B (zh) * 2016-04-13 2024-04-0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具有自动调平功能的洗衣机底脚及洗衣机
CN105909922A (zh) * 2016-05-31 2016-08-31 万建新 流动介质的可开关多腔体相通的水平装置
CN107558114B (zh) * 2016-06-30 2020-06-30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液压调平底座及洗衣机
CN107558113B (zh) 2016-06-30 2021-04-2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自调平洗衣机
CN105931373B (zh) * 2016-07-01 2018-10-30 宁波八瓦孵化器管理有限公司 一种自动保持平衡的展示柜
CN107588290B (zh) * 2016-07-08 2020-05-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
CN106150331A (zh) * 2016-07-13 2016-11-23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自平衡液压梯
CN107761311B (zh) 2016-08-16 2020-06-23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具有自动调平功能的洗衣机底脚及洗衣机
CN107761321B (zh) 2016-08-16 2020-07-14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具有自动调平功能的洗衣机底脚及洗衣机
CN107761312B (zh) 2016-08-16 2020-10-1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具有自动调平功能的洗衣机底脚及洗衣机
CN107841856B (zh) * 2016-09-18 2020-10-0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调平功能的洗衣机
ES2748775T3 (es) * 2016-11-17 2020-03-17 Wheel Me As Mueble o dispositivo que comprende un dispositivo de estabilización
WO2018098444A1 (en) * 2016-11-28 2018-05-31 Verb Surgical Inc. Robotic surgical system to reduce unwanted vibration
CN108278452B (zh) * 2017-01-06 2020-12-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底脚及家用电器
CN108278450B (zh) * 2017-01-06 2021-08-0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底脚及家用电器
CN108277617B (zh) * 2017-01-06 2021-04-23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底脚及家用电器
CN108626528B (zh) * 2017-03-22 2021-04-23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底脚及家用电器
CN108626526B (zh) * 2017-03-22 2021-04-27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底脚及家用电器
CN108626529B (zh) * 2017-03-22 2021-04-23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底脚及家用电器
CN108626527B (zh) 2017-03-22 2021-04-20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底脚及家用电器
CN108625122B (zh) 2017-03-23 2021-03-26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底脚及家用电器
CN108626530B (zh) * 2017-03-23 2021-04-30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底脚及家用电器
CN108626531B (zh) 2017-03-23 2021-09-07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底脚及家用电器
CN108626532B (zh) 2017-03-23 2021-03-30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底脚及家用电器
CN108626305B (zh) * 2017-03-23 2021-10-2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底脚、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8660698B (zh) 2017-03-30 2020-12-2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液压升降底脚、具有该底脚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8660680B (zh) 2017-03-30 2020-10-1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调平装置、具有该调平装置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6989248B (zh) * 2017-05-07 2021-05-21 覃盛安 自适应瞬间平衡脚
US10945905B2 (en) * 2017-05-31 2021-03-16 Mizuho Osi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nd/or positioning a patient before, during, or after a medical procedure
CN109423860B (zh) * 2017-09-01 2022-05-1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支撑调平装置及家用电器
RU176443U1 (ru) * 2017-09-25 2018-01-18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Инжиниринговая компания "АЭМ-технологии" (АО "АЭМ-технологии") Опора универсальная
JP2020171388A (ja) * 2019-04-08 2020-10-22 豊 畑内 不整地対応脚長調節装置
CA3095809A1 (en) 2019-10-22 2021-04-22 Thorlabs, Inc. Motorized, height adjustable optical table with rigid, passive and active isolation
CN110916353A (zh) * 2019-11-25 2020-03-27 闫泰来 一种自动调节支架长度平衡桌
US11549636B1 (en) 2020-04-20 2023-01-10 Richard F. Langner Systems and methods for a self-stabilizing platform
CN111853475A (zh) * 2020-06-12 2020-10-30 顾成英 一种利用自重实现水平调节的摄像设备固定装置
CN111706248B (zh) * 2020-06-24 2022-05-06 张伟 一种梯子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2836A (en) * 1956-04-23 1961-07-18 Dawson Vogel Engineering Compa Fluid pressure spring for vehicle suspension and control apparatus therefor
US3560033A (en) * 1969-02-25 1971-02-02 Homer A Barkus Telescopic positive lock strut
GB1315833A (en) * 1970-08-07 1973-05-02 Dainty K J Levelling or stabilizing leg system
DE2164943C3 (de) * 1971-12-28 1981-03-19 Fritz Bauer + Söhne oHG, 8503 Altdorf Hydraulisch blockierbare Hubvorrichtung
US3865341A (en) * 1973-08-08 1975-02-11 Den Tal Ez Mfg Co Dental stool for dentist and dental assistant
JPS5783704A (en) 1980-11-07 1982-05-25 Hanshin Doryoku Kikai Kk Cylinder device
GB2095364B (en) * 1981-03-24 1985-07-24 Wipac Group Sales Adjustable fluid support devices for swivel chairs
JPS6123683Y2 (ko) 1981-04-30 1986-07-16
CH663338A5 (en) 1983-11-07 1987-12-15 Charles Richiger Ag Method and device for ensuring the floor contact of all the legs of an item of furniture having more than three legs
JPS6246255U (ko) 1985-09-10 1987-03-20
JPH0347552U (ko) 1989-09-14 1991-05-02
US5044468A (en) * 1990-11-09 1991-09-03 Worthington-Kemp Ladder leveling device
DE4119762A1 (de) * 1991-06-15 1992-12-17 Moebelwerk Ilse Gmbh & Co Kg Mit bremseinrichtung versehenes hubaggregat in teleskopierbaren saeulen, insbesondere von tischen
CN2202820Y (zh) * 1993-10-30 1995-07-05 航空航天部610研究所 液压调节锁
JPH0968207A (ja) * 1995-08-30 1997-03-11 Shimadzu Corp 液圧式シリンダ装置
DK172403B1 (da) * 1996-03-15 1998-05-18 Ole Flemming Broechmann Hydraulisk aktuatorkredsløb til et hæve-sænke-system for et arbejdsbord, et liggemøbel eller en anden tung genstand
DE29710550U1 (de) * 1997-06-17 1997-08-21 Krautheim Harald Hubgestell für einen höhenverstellbaren Tisch
DK9800142U3 (da) * 1998-04-15 1999-08-27 System B8 Moebler A S Telescoop-arrangement med dobbelt slag
GB2340529A (en) 1998-08-01 2000-02-23 Dennis Stanley Whitehouse Hydraulic levelling apparatus for ladders and scaffolding
DE10017636A1 (de) * 1999-04-07 2000-10-12 Horst Fluesshoeh Höhenverstellbarer Tisch
GB0023292D0 (en) * 2000-09-22 2000-11-08 Surefoot Ltd Self-levelling support
GB2375343A (en) * 2001-03-15 2002-11-13 Hydraulic Levelling Systems Lt Hydraulic levelling systems
CN2487581Y (zh) * 2001-06-12 2002-04-24 西南交通大学 可调阻尼减振器
NZ553843A (en) * 2004-08-16 2009-07-31 Flat Pty Ltd A support for supporting a structure on an uneven surface by adjusting a piston cylinder assembly in response to loading cond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478B1 (ko) * 2018-01-04 2018-08-3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레이더의 수평자세 유지를 위한 받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53279T1 (de) 2012-04-15
US9004239B2 (en) 2015-04-14
CN101023239A (zh) 2007-08-22
WO2006017891A9 (en) 2006-03-30
CA2577193A1 (en) 2006-02-23
NZ553843A (en) 2009-07-31
HK1108175A1 (en) 2008-05-02
WO2006017891A1 (en) 2006-02-23
MX2007001933A (es) 2007-08-07
US20160025261A1 (en) 2016-01-28
EP1778946A4 (en) 2009-09-23
PT1778946E (pt) 2012-07-18
DK1778946T3 (da) 2012-07-23
KR101226140B1 (ko) 2013-01-25
CN101864891B (zh) 2014-05-07
EP1778946B1 (en) 2012-04-11
US20120248266A1 (en) 2012-10-04
US8302743B2 (en) 2012-11-06
AU2005274676A1 (en) 2006-02-23
CA2577193C (en) 2013-04-02
US20080190696A1 (en) 2008-08-14
AU2005274676B2 (en) 2011-12-15
BRPI0515200B1 (pt) 2016-08-16
BRPI0515200A2 (pt) 2008-12-16
US9909709B2 (en) 2018-03-06
JP2008510087A (ja) 2008-04-03
EP1778946A1 (en) 2007-05-02
CN101864891A (zh) 2010-10-20
IL181361A0 (en) 2007-07-04
JP5377853B2 (ja) 2013-12-25
CN101023239B (zh) 2010-05-05
ES2388370T3 (es)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140B1 (ko) 표면상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US4959957A (en) Hydraulic actuating unit, in particular for raising a load, such as a hospital bed
US20200146449A1 (en) Hydraulic Support
EP2372167A1 (en) A device for controlling a piloting pressure, in particular of a balance valve.
AU2008100972B4 (en) A support for supporting a structure on a surface
US2895454A (en) Props, especially for use in coal mines
US20190264715A1 (en) Line rupture safeguard for a hydraulic cylinder
JPH0225696Y2 (ko)
US3230712A (en) Manual hydraulic jack
JPS5927280B2 (ja) スライドロツク装置付液圧プレス
GB2049612A (en) Docklevellers
JPH072675Y2 (ja) ゲートの水密装置
JPS60182376A (ja) 可変容量ポンプの出力制御装置
JPH037340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