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294B1 -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 - Google Patents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294B1
KR101515294B1 KR1020130092400A KR20130092400A KR101515294B1 KR 101515294 B1 KR101515294 B1 KR 101515294B1 KR 1020130092400 A KR1020130092400 A KR 1020130092400A KR 20130092400 A KR20130092400 A KR 20130092400A KR 101515294 B1 KR101515294 B1 KR 101515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hoses
support
plate
side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675A (ko
Inventor
김상곤
Original Assignee
휴엠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엠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엠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2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294B1/ko
Publication of KR2015001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붐대를 하천 건너편으로 이동하여 지지대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면이 평탄하지 않고 경사지더라로 지지대의 균형을 자동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중앙보강대, 상기 중앙보강대의 외면에 연결 설치되는 복수개의 사이드보강대 및 상기 사이드보강대 아래에 연결되며 지면에 직접 접촉하는 발판으로 구성한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중앙보강대의 외면에 고정핀으로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기 위한 챔버가 형성된 복수개의 실린더튜브, 상기 실린더튜브의 챔버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사이드보강대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에서 전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 하 이동 동작을 수행하는 피스톤로드로 구성하여 상기 사이드보강대를 상기 중앙보강대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 구성하는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실린터튜브는 제 1, 2호스로 연결 구성하여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 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2호스를 통해 상기 실린더튜브의 챔버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 1, 2호스에는 조작수단의 구동으로 동작하며 상기 제 1, 2호스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컨트롤밸브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The installation assist device of the bridge}
본 발명은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붐대를 하천 건너편으로 이동하여 지지대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면이 평탄하지 않고 경사지더라로 지지대의 균형을 자동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과정을 거치지 않고 긴급하게 교량을 설치하는 과정은 도 1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가)먼저 설치차량을 고정하고, 붐대(7)를 이용하여 지지대를 하천 건너편으로 이동시킨다.
나)다음, 상기 지지대를 하천 건너편 지면에 안착시킨다.
다)이어서 지지대를 지지한 붐대(7)를 경로로 하여 교량(9)을 이동시킨다. 이때 로프(10)를 이용하여 교량(9)을 하천 건너편까지 연결한 상태로 이동시킨다.
라)로프(10)를 이용하여 교량(9)을 지면까지 내린 후, 안착시킨다.
마)교량 안착 후 지지대를 붐대(7)를 통하여 회수시킨다.
바)지지대를 설치차량(8)에 고정시키고 상기 설치차량(8)을 이동하여 교량(9)만 남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지지대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지지대는 기본골격에 해당하는 하부지지대(111), 상기 하부지지대(11) 아래 양 끝단에 조립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2개의 발판(102), 하부지지대(111) 상부에 조립되는 중앙지지대(112), 하부지지대(111)와 중앙지지대(112)를 고정하는 연결핀, 상기 중앙지지대(112) 양측에 설치되는 사이드보강대(113) 그리고 상기 중앙지지대(112)를 조립하기 위한 붐연결브라켓, 붐연결브라켓과 중앙지지대를 고정하는 붐연결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지지대는 언급한 바와 같이 붐대 끝에 매달려 지면으로 내려와 안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지지대는 지면에 경사가 있을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지지대가 지면의 경사각에 대응하게 기울어지게 됨으로서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지지대는 지면이 평탄하지 못한 경우에는 설치가 불가능하며, 따라서 지지대 설치 전, 반드시 지면을 평평하게 고르는 작업을 선행해야 함으로서 불필요한 작업공정으로 인한 비용증가는 물론 작업 시간 및 인력 낭비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붐대를 하천 건너편으로 이동하여 지지대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면이 평탄하지 않고 경사지더라로 지지대의 균형을 자동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센터를 구성하는 중앙보강대, 상기 중앙보강대의 외면에 연결 설치되는 복수개의 사이드보강대 및 상기 사이드보강대 아래에 연결되며 지면에 직접 접촉하는 발판으로 구성한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중앙보강대의 외면에 고정핀으로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기 위한 챔버가 형성된 복수개의 실린더튜브, 상기 실린더튜브의 챔버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사이드보강대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에서 전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 하 이동 동작을 수행하는 피스톤로드로 구성하여 상기 사이드보강대를 상기 중앙보강대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 구성하는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실린터튜브는 제 1, 2호스로 연결 구성하여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 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2호스를 통해 상기 실린더튜브의 챔버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 1, 2호스에는 조작수단의 구동으로 동작하며 상기 제 1, 2호스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컨트롤밸브를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중앙보강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외부의 누름 압력으로 상기 컨트롤밸브의 유로를 차단하는 조정레버와,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일단이 접촉하는 스토퍼실린더로드, 상기 고정판 위에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스토퍼실린더로드에 상, 하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동판 및 상기 이동판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스토퍼실린더로드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동력으로 구동하며 상기 이동판을 하강시켜 상기 고정판에 관통 설치되어 있는 상기 조정레버를 눌러주도록 하는 스토퍼실린더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지대 안착면에 경사가 있을 경우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대에 유압밸브 및 실린더를 장착하여 좌, 우 높이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지지대를 설치하기 위해 미리 지면을 평평하게 고르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곧바로 지지대를 이동시킨 상태로 설치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작업 공정을 줄여줄 수 있음은 물론 작업 시간 및 인력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통상적인 교량 설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교량 설치용 지지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교량 설치용 지지대의 문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기한 조작수단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조작수단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대를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인원을 투입하지 않고 지지대와 붐대의 중량을 활용하여 좌우실린더의 로드를 이동시켜 발판의 위치를 결정한 후, 밸브로써 실린더로드의 위치를 고정하여 스스로 지면의 단차 또는 기울기를 보상할 수 있도록 고안한 교량설치 차량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를 구현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의 지지대를 하천 건너편으로 이동하여 지지대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면이 평탄하지 않고 경사질 경우, 지지대의 발판의 높낮이가 지면의 경사각에 맞추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지지대를 설치하기 위해 미리 지면을 평평하게 고르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곧바로 지지대를 이동시킨 상태로 설치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작업 공정을 줄여줄 수 있음은 물론 작업 시간 및 인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100)는 크게 중앙지지대(3), 중앙보강대(12), 한 쌍의 사이드보강대(13) 및 하부보강대(11) 그리고 발판(2)으로 외곽 뼈대를 구성한다.
상기 중앙지지대(3)의 상단에는 붐연결브라켓(5)이 붐연결핀(6)으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붐연결브라켓(5)은 교량 설치차량의 붐대에 결합되어 지지대(100)를 상기 붐대에 메달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앙보강대(12)는 상기 중앙지지대(3) 아래에 조작수단(50)을 사이에 두고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하단은 상기 하부지지대(11)의 상단 중앙에 힌지(30)로 결합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보강대(13)는 상기 중앙보강대(12)의 양측에 외향으로 소정각도 벌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단은 상기 중앙보강대(12)의 외면에 실린더부재(40)로 연결 구성되고 그 끝단은 하부보강대(11)의 양측에 각각 힌지(32)로 연결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보강대(13)는 상기 실린더부재(40) 및 컨트롤밸브(18)를 통해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하여 지지대(100)가 설치되어 지는 지면이 평탄하지 않고 경사질 경우, 지지대(100)의 발판(2)이 지면의 경사각에 맞추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발판(2)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하부보강대(11)는 상기 사이드보강대(13)와 발판(2)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보강대(13)에 상기 발판(2)을 연결 구성하게 된다.
상기 발판(2)은 지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지지대(100)가 지면에서 직립된 상태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발판(2)이 접촉하는 지면이 경사졌을 경우 사이드보강대(13)의 길이 조절을 통해 그 높낮이가 조정되며 지면의 경사각에 상관없이 지지대(100)를 직립상태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각 사이드보강대(13)와 중앙보강대(12)를 연결하는 실린더부재(40)는 지면의 경사각에 맞추어 발판(2)의 높낮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보강대(13)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부재(40)는 상기 중앙보강대(12)에 고정핀(16)으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기 위한 챔버가 형성된 실린더튜브(15)와, 상기 실린더튜브(15)의 챔버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사이드보강대(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2)에서 전해지는 누름 압력에 의해 상, 하 이동 동작을 수행하는 피스톤로드(14)로 구성한다.
상기한 실린더부재(40)는 한 쌍의 사이드보강대(13)에 각각 동일한 구조로 배치되는 데, 이때 각 실린더부재(40)를 구성하는 실린더튜브(15)는 제 1, 2호스(17, 17a)로 서로 연결 구성하여 각 실린더튜브(15)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튜브(15)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2호스(17, 17a)에는 다시 컨트롤밸브(18)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밸브(18)는 조작수단(50)의 동작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며 상기 제 1, 2호스(17, 17a)를 순환하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실리더부재(40)는 경사진 지면에 지지대(100)의 발판(2)이 접촉하게 되면 지면이 높은 쪽에 위치하는 발판(2)이 먼저 닿게 되고 이 상태에서 지지대는 계속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높은 지면측에 먼저 닿인 발판(2)은 눌려지며 사이드보강대(13)에 압력을 행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사이드보강대(13)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로드(14)는 발판(2)에서 전해지는 압력을 받아 실린더튜브(15)의 챔버에서 승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린더튜브(15)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 1호스(17)를 통해 상기 실린더튜브(15)의 챔버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는 반대편의 사이드보강대(13)와 중앙보강대(12)를 연결하는 다른 실린더부재(40)의 실린더튜브(15)의 챔버로 공급되어 지고, 이때의 유체 압력으로 실린더튜브(15)에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로드(14)는 하강하며 상기 사이드보강대(13)를 하강시켜 지면이 낮은 쪽에 위치하는 발판(2)을 하강시켜 접촉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린더튜브(15)의 챔버에 저장된 유체는 상기 피스톤로드(14)의 하강으로 제 2호스(17a)를 통해 다시 반대편 실린더튜브(15)의 챔버로 공급되며 상기 실린더튜브(15)의 피스톤로드(14)를 승강시키는 압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한 유체의 흐름으로 경사진 지면에 두 개의 발판(2)이 모두 접촉하고 나면 조작수단(50)을 통해 컨트롤밸브(18)를 동작시키게 되면 제 1, 2호스(17, 17a)를 순환하는 유체의 흐름은 단속되며 상기 발판(2)을 지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즉, 위와 같이 발판(2)의 높낮이가 지면의 경사각에 맞추어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서 작업자는 미리 지면을 평평하게 고르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지지대(100)를 지면으로 곧바로 이동시켜 설치하는 것만으로 지면에 경사각에 상관없이 지지대(100)를 수직으로 직립되도록 세워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2호스(17, 17a)에는 각각 컨트롤밸브(18)가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밸브(18)는 조작수단(5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 1, 2호스(17, 17a)를 폐쇄시켜 상기 제 1, 2호스(17, 17a)를 순환하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게 된다.
첨부된 도 6은 상기한 조작수단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조작수단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조작수단(50)은 상기 중앙보강대(12)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23), 상기 고정판(23)에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외부의 누름 압력으로 상기 컨트롤밸브(18)의 유로를 차단하는 조정레버(19), 상기 고정판(23)의 상면에 일단이 접촉하는 스토퍼실린더로드(25), 상기 고정판(23) 위에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스토퍼실린더로드(25)에 상, 하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동판(21), 상기 이동판(21)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스토퍼실린더로드(25)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동력으로 구동하며 상기 이동판(21)을 하강시켜 상기 고정판(23)에 관통 설치되어 있는 상기 조정레버(19)를 눌러주도록 하는 스토퍼실린더(2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조작수단(50)은 두 개의 발판(2)이 경사진 지면에 모두 안착되고 나면 상기 스토퍼실린더(22)는 구동하며 상기 이동판(21)을 하강시키게 되고, 상기 이동판은 상기 스토퍼실린더로드(25)를 타고 하강하며 고정판(23)에 관통 설치되어 있는 조정레버(19)를 눌러주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조정레버(19)는 컨트롤밸브(18)의 유로를 차단하여 제 1, 2호스(17, 17a)를 순환하는 유체의 흐름은 단속되며 상기 발판(2)을 지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 보정 지지대의 동작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교량 설치차량의 붐대를 이용하여 지지대(100)를 하천 반대편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지지대(100)를 하강시키게 되면 두 개의 발판(2)은 지면에 닿이게 되는 데, 이때 지면이 경사졌을 경우, 지면이 높은 쪽에 위치하는 발판(2)이 먼저 닿게 되고 이 상태에서 지지대(100)가 계속적으로 하강하게 되면 높은 지면측에 먼저 접촉한 발판(2)은 눌려지며 사이드보강대(13)에 압력을 행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사이드보강대(13)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로드(14)는 발판(2)에서 전해지는 압력을 받아 실린더튜브(15)의 챔버에서 승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린더튜브(15)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 1호스(17)를 통해 상기 실린더튜브(15)의 챔버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는 반대편의 사이드보강대(13)와 중앙보강대(12)를 연결하는 다른 실린더부재(40)의 실린더튜브(15)의 챔버로 공급되어 지고, 이때의 유체 압력으로 실린더튜브(15)에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로드(14)는 하강하며 사이드보강대(13)를 하강시켜 지면이 낮은 쪽에 위치하는 발판(2)을 하강시켜 접촉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린더튜브(15)의 챔버에 저장된 유체는 상기 피스톤로드(14)의 하강으로 제 2호스(17a)를 통해 다시 반대편 실린더튜브(15)의 챔버로 공급되며 상기 실린더튜브(15)의 피스톤로드(14)를 승강시키는 압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한 유체의 흐름으로 경사진 지면에 두 개의 발판(2)이 모두 접촉하고 나면 조작수단(50)인 스토퍼실린더(22)는 구동하며 상기 이동판(21)을 하강시키게 되고, 상기 이동판(21)은 상기 스토퍼실린더로드(25)를 타고 하강하며 고정판(23)에 관통 설치되어 있는 조정레버(19)를 눌러주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조정레버(19)는 컨트롤밸브(18)의 유로를 차단하여 제 1, 2호스(17, 17a)를 순환하는 유체의 흐름은 단속되며 상기 발판(2)을 지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지지대는 지면이 경사지더라도 수직으로 직립되도록 세워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발판 11: 하부보강대
12: 중앙보강대 13: 사이드보강대
14: 피스톤로드 15: 실린더튜브
17: 제 1호스 17a: 제 2호스
18: 컨트롤밸브 19: 조정레버
21: 이동판 22: 스토퍼실린더
23: 고정판 25: 스토퍼실린더로드
40: 실린더부재 50: 조작수단
100: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

Claims (2)

  1. 삭제
  2. 센터를 구성하는 중앙보강대(12), 상기 중앙보강대(12)의 외면에 연결 설치되는 복수개의 사이드보강대(13) 및 상기 사이드보강대(13) 아래에 연결되며 지면에 직접 접촉하는 발판(2)으로 구성한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중앙보강대(12)의 외면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기 위한 챔버가 형성된 복수개의 실린더튜브(15);
    상기 실린더튜브(15)의 챔버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사이드보강대(13)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2)에서 전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 하 이동 동작을 수행하는 피스톤로드(14)로 구성하여 상기 사이드보강대(13)를 상기 중앙보강대(12)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 구성하는 실린더 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실린터튜브(15)는 제 1, 2호스(17, 17a)로 연결 구성하여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 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2호스를 통해 상기 실린더튜브의 챔버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 1, 2호스(17, 17a)에는 조작수단(50)의 구동으로 동작하며 상기 제 1, 2호스(17, 17a)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컨트롤밸브(18)를 설치하며;
    상기 조작수단(50)은;
    상기 중앙보강대(12)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23)과;
    상기 고정판(23)에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외부의 누름 압력으로 상기 컨트롤밸브(18)의 유로를 차단하는 조정레버(19)와;
    상기 고정판(23)의 상면에 일단이 접촉하는 스토퍼실린더로드(25), 상기 고정판(23) 위에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스토퍼실린더로드(25)에 상, 하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동판(21) 및 ;
    상기 이동판(21)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스토퍼실린더로드(25)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동력으로 구동하며 상기 이동판(21)을 하강시켜 상기 고정판(23)에 관통 설치되어 있는 상기 조정레버(19)를 눌러주도록 하는 스토퍼실린더(2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
KR1020130092400A 2013-08-05 2013-08-05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 KR101515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400A KR101515294B1 (ko) 2013-08-05 2013-08-05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400A KR101515294B1 (ko) 2013-08-05 2013-08-05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675A KR20150016675A (ko) 2015-02-13
KR101515294B1 true KR101515294B1 (ko) 2015-04-24

Family

ID=5257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400A KR101515294B1 (ko) 2013-08-05 2013-08-05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2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4049B (zh) * 2019-05-06 2020-12-11 安徽省华腾农业科技有限公司经开区分公司 一种建筑工程快速早拆支撑
CN111705670A (zh) * 2020-06-24 2020-09-25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预制梁梁靴纵坡精确调节装置及施工方法
CN111945567B (zh) * 2020-08-04 2021-11-19 中化学交通建设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抵触支撑型适用范围广的桥梁支架用二次支撑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4468A (en) 1990-11-09 1991-09-03 Worthington-Kemp Ladder leveling device
KR100901333B1 (ko) 2007-08-06 2009-06-09 현대로템 주식회사 교량 가설장치를 탑재한 차량 및 이에 의한 교량가설방법
KR101138100B1 (ko) 2008-11-17 2012-04-24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특수 차량용 회전식 지지대
KR101226140B1 (ko) 2004-08-16 2013-01-25 플랫 피티와이 엘티디 표면상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4468A (en) 1990-11-09 1991-09-03 Worthington-Kemp Ladder leveling device
KR101226140B1 (ko) 2004-08-16 2013-01-25 플랫 피티와이 엘티디 표면상에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KR100901333B1 (ko) 2007-08-06 2009-06-09 현대로템 주식회사 교량 가설장치를 탑재한 차량 및 이에 의한 교량가설방법
KR101138100B1 (ko) 2008-11-17 2012-04-24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특수 차량용 회전식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675A (ko) 2015-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177B1 (ko)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의 콘크리트 거푸집을 해체하기 위한 프레임체
KR101515294B1 (ko) 교량설치 장치의 경사면 자동보정 지지대
KR102261511B1 (ko) 교량용 점검대
CN111456330B (zh) 一种用于预埋钢筋的定位模具
JP5394334B2 (ja) 高所作業用作業床の施工方法
KR101248838B1 (ko) 교량 상판의 인상용 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 공법
CN106629481A (zh) 液压修井井口升降台及其使用方法
KR100961547B1 (ko)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
KR101560547B1 (ko) 스트랜드 잭을 이용한 교량 해체장치
KR101816698B1 (ko) 해양플랜트용 비계 장치
KR200494176Y1 (ko) 해수펌프용 샤프트 이송지그
US200901881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buildings
KR20200095659A (ko) 슬래브폼 서포트장치
CN109457980A (zh) 一种牛腿装置及悬挑卸料平台的安装方法
KR101812729B1 (ko) 교량 인상 시스템 및 인상공법
CN106836146B (zh) 液压自升悬臂重型拱坝模板工作平台
CN108729640A (zh) 一种装配式建筑悬挑板的支撑架与悬挑板安装方法
CN204138087U (zh) 电梯导轨支架
JP2004197517A (ja) 撤去作業装置及び撤去工法
KR20210002152A (ko) 교량받침 교체장치
CA26185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buildings
KR101346243B1 (ko)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CN210368639U (zh) 一种方便调节的多功能桥梁施工用支撑架
KR20100003462A (ko) 빔 이동장치
JP2017071998A (ja) 移動架設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