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243B1 -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243B1
KR101346243B1 KR1020110098588A KR20110098588A KR101346243B1 KR 101346243 B1 KR101346243 B1 KR 101346243B1 KR 1020110098588 A KR1020110098588 A KR 1020110098588A KR 20110098588 A KR20110098588 A KR 20110098588A KR 101346243 B1 KR101346243 B1 KR 101346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egment
tension rope
sliding groov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530A (ko
Inventor
주홍일
박경룡
Original Assignee
박경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룡 filed Critical 박경룡
Priority to KR1020110098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24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자전거나 보행자를 위한 간이식 교량을 단기간 내에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동일방향으로 한 쌍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에는 너트와의 체결을 위한 연장봉이 슬라이딩홈 형성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면서 그 연장봉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절삭부가 형성된 교량세그먼트와; 저면에 상기 교량세그먼트의 슬라이딩홈 바닥부 내부에 매설되는 매설앙카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하부판과; 외측면에 상기 교량세그먼트의 슬라이딩홈 양측면 내부에 매설되는 매설앙카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타공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타공홀과 연통되는 나선홀이 형성되는 너트통이 외측면에 결합된 측판과;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볼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홀과 측판의 타공홀 및 너트통의 나선홀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해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홈을 통과하는 이동 인장 로프를 따라 상기 교량세그먼트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착탈롤러와; 배면에는 상기 고정대의 내측면에 관통설치되는 결합봉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인장 로프를 따라 이동되는 가드홈이 형성된 가드부;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SEGMENT EQUIPPED WITH REMOVABLE ROLLER AND BRIDGE CONSTRUCTING METHOD USING THIS}
본 발명은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전거나 보행자를 위한 간이식 교량을 단기간 내에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호소(湖沼), 해협, 만(灣), 운하, 저지 또는 다른 교통로나 구축물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만든 구조물을 교량이라고 한다. 지지할 시설의 종류 및 건너야 할 것의 종류에 따라 다종다양한 다리가 있으며 그 역할은 다리가 받쳐주는 통로와 시설의 기능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일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추어야 한다.
현재 교량을 건축할 때 시공이 용이하도록 교량의 상판을 세그먼트화하여 시공하고 있으며, 그 일예로, 선등록된 특허 "제10-0767388호"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제작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강재빔 상면에 긴장재용 쉬스관이 하연에 매설된 중앙 고정 세그먼트를 얹어 설치하고, 상기 중앙 고정 세그먼트의 단부에 결합되도록 하면에 일측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격자형 프레임에 롤러
가 부착된 이동수단에 얹어져 설치되며 긴장재용 쉬스관이 하연 및 복부에 매설된 측방 가동 세그먼트를 중앙고정 세그먼트 측방에 세팅하고, 상기 중앙 고정 세그먼트 및 측방 가동 세그먼트에 매설된 쉬스관에 긴장재를 삽입한 후, 긴장재 양 단부를 긴장시켜 측방 가동 세그먼트가 중앙 고정 세그먼트의 양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수단은 회전체의 양 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부가 형성된 격자형프레임; 상기 회전체로서 일 방향으로 굴러가도록 병렬 배치되도록 격자형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된 원통형 롤러; 및 상기 격자형 프레임 중앙부에 설치된 회전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선행기술은 보다 안전하고 정밀한 세그먼트 결합이 가능하고, 시공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으나, 종래기술의 중앙 고정 세그먼트는 콘크리트를 통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중앙 고정 세그먼트를 교각의 상부로 인양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기중기를 이용하여 인양해야되므로 교량 설치시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 또한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전거나 보행자를 위한 간이식 교량을 단기간 내에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일방향으로 한 쌍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에는 너트와의 체결을 위한 연장봉이 슬라이딩홈 형성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면서 그 연장봉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절삭부가 형성된 교량세그먼트와; 저면에 상기 교량세그먼트의 슬라이딩홈 바닥부 내부에 매설되는 매설앙카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하부판과; 외측면에 상기 교량세그먼트의 슬라이딩홈 양측면 내부에 매설되는 매설앙카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타공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타공홀과 연통되는 나선홀이 형성되는 너트통이 외측면에 결합된 측판과;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볼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홀과 측판의 타공홀 및 너트통의 나선홀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해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홈을 통과하는 이동 인장 로프를 따라 상기 교량세그먼트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착탈롤러와; 배면에는 상기 고정대의 내측면에 관통설치되는 결합봉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인장 로프를 따라 이동되는 가드홈이 형성된 가드부;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교량세그먼트를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한 착탈롤러는 고정대의 상부에 볼팅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고정대의 안착홈과 지지부에 끝단이 삽입되고 이동 인장 로프와 밀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부와, 상기 고정대의 안착홈과 지지부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의 끝단이 삽입되는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은 자전거나 보행자를 위한 간이식 교량을 단기간 내에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의 시공순서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의 일 실시예의 시공순서를 도시한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의 시공순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는 교량세그먼트(10)와, 하부판(60)과, 측판(70)과, 고정대(80)와, 착탈롤러(20)와, 가드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교량세그먼트(10)는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고, 다수개의 콘크리트 블럭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교량을 설치하고자 하는 거리에 해당되는 길이만큼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교량세그먼트(10)에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양측부분은 내부공간을 향해 수직, 수평 방향으로 연속절곡되고, 상기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끝단부와 교량세그먼트(10)의 중앙부분 사이에는 동일방향으로 한 쌍의 슬라이딩홈(11)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홈(11)의 전,후측에는 너트(N)와 체결을 위한 연장봉(30)이 슬라이딩홈(11) 형성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면서 그 연장봉(30)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절삭부(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교량세그먼트(10)에는 슬라이딩홈(11)과 동일한 방향으로 고정 인장 로프(50)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통공(13)이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을 일렬로 나열배치한 다음 연장봉(30)을 각각 이웃하는 교량세그먼트(10)의 절삭부(12)에 노출되도록 관통설치하고 교량세그먼트(10)의 절삭부(12)에 노출되는 연장봉(30)의 양측에 각각 너트(N)를 체결긴장하고, 그 이후에 상기 교량세그먼트(10)의 통공(13)에 고정 인장 로프(50)를 관통시킨 다음 인장잭(미도시) 등을 통해 체결긴장하면 상기 너트(N) 및 인장잭의 체결동작을 통해 상기 연장봉(30) 및 고정 인장 로프(50)가 인장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행자의 하중 및 자체 하중에 의해 교량세그먼트(10)들에서 휨, 변형, 유동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연장봉(30) 및 고정 인장 로프(50)의 장력 및 수평력을 통해 변형량을 감소시켜 안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판(60)은 저면에 매설앙카(61)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60)은 교량세그먼트(10)의 슬라이딩홈(11) 바닥부 내부에 매설되고, 상기 매설앙카(61) 또한 교량세그먼트(10)의 슬라이딩홈(11) 바닥부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하부판(60)은 교량세그먼트(10)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판(70)은 외측면에 매설앙카(71)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측판(70)은 교량세그먼트(10)의 슬라이딩홈(11) 양측면 내부에 각각 매설되고, 상기 매설앙카(71) 또한 교량세그먼트(10)의 슬라이딩홈(11) 양측면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측판(70)은 교량세그먼트(10)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70)의 외측면에는 내주연에 상기 측판(70)의 타공홀(72)과 연통되는 나선홀(74)이 형성된 너트통(73)이 결합되며, 상기 너트통(73)은 교량세그먼트(10)의 교량세그먼트(10)의 슬라이딩홈(11) 양측면 내부에 매설된다.
상기 고정대(80)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볼트홀(81)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홀(81)과 측판(70)의 타공홀(72) 및 너트통(73)의 나선홀(74)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해 상기 측판(70)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부에는 안착홈(82)이 형성된다.
상기 착탈롤러(20)는 상기 고정대(8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슬라이딩홈(11)을 통과하는 이동 인장 로프(40)를 따라 상기 교량세그먼트(10)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지지부(21)와, 회전부(22)와, 베어링(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1)는 고정대(80)의 상부에 각각 볼팅고정되고, 상기 회전부(22)는 상기 고정대(80)의 안착홈(82)과 지지부(21)에 끝단이 삽입되고 이동 인장 로프(40)와 밀착되는 가이드홈(23)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24)은 고정대(80)의 안착홈(82)과 지지부(21)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22) 끝단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부(22)가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가드부(90)는 상부면에는 상기 고정대(80)의 내측면에 관통설치되는 결합봉(91)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이동 인장 로프(40)를 따라 이동되는 가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가드부(90)의 가드홈은 교량세그먼트(10)를 착탈롤러를 통해 이동시킬 경우 상기 착탈롤러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교량세그먼트(10)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콘크리트로 제작된 교량세그먼트(10)에 인양 와이어를 안전하게 결속하고 인양기로 인양하여 이동식 작업대에 교량세그먼트(10)를 안착시킨다.
이후, 상기 이동식 작업대를 교량 시공을 위해 이동 인장 로프(40)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예컨대, 상기 이동식 작업대의 저면에는 롤러 등의 슬라이딩 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식 작업대가 놓여 지는 바닥면에는 레일부(미도시)를 마련하여 상기 이동식 작업대가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통해 이동 인장 로프(40)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이동식 작업대를 상승시켜 교량세그먼트(10)의 슬라이딩홈(11)에 이동 인장 로프(40)가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식 작업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모서리부분에는 상단부가 승강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승강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승강판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는 유압 또는 공압이 주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이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되는 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다.
이후, 측판(70)의 내부 양측면에 고정대(80)를 각각 위치시킨 다음 상기 측판(70)의 볼트홀(81)과 측판(70)의 타공홀(72) 및 너트통(73)의 나선홀(74)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고정대(80)가 상기 측판(70)의 내부 양측면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고정대(80)의 내부에 이동 인장 로프(40)를 배치하고, 상기 이동 인장 로프(40) 위로 가드부(90)를 설치하여 상기 가드부(90)의 가드홈에 이동 인장 로프(40)가 밀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고정대(80)의 상부에 이동 인장 로프(40) 위에 착탈롤러(20)를 설치하여 착탈롤러(20)를 구성하는 가이드홈(23)에 이동 인장 로프(40)가 밀착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교량세그먼트(10)가 착탈롤러(20) 및 가드부(90)를 통해 이동 인장 로프(4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며, 교량을 설치하고자 하는 거리에 해당되는 길이만큼 교량세그먼트(10)를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일렬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을 연장봉(30) 및 너트(N)를 통해 연결결합한다.
예컨대,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을 일렬로 나열배치한 다음 연장봉(30)을 각각 이웃하는 교량세그먼트(10)의 절삭부(12)에 노출되도록 관통설치하고 교량세그먼트(10)의 절삭부(12)에 노출되는 연장봉(30)의 양측에 각각 너트(N)를 체결긴장하여 교량세그먼트(10)들을 연쇄적으로 연결결합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의 통공(13)에 고정 인장 로프(50)를 관통시킨 다음 인장 시켜 교량세그먼트(10)들이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이를 좀 더 보충하면, 상기 교량세그먼트(10)의 통공(13)에 고정 인장 로프(50)를 관통시킨 다음 인장잭(미도시) 등을 통해 체결긴장하면 상기 인장잭의 체결동작을 통해 상기 고정 인장 로프(50)가 인장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착탈롤러(20) 및 교량세그먼트(10)의 너트통(73)에 체결된 볼트를 해체하여 착탈롤러(20)를 교량세그먼트(10)에서 해체한다.
이후에,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C)를 타설, 양생하여 바닥판을 형성하므로서, 보행자 및 자전거가 통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의 상단 양측에 난간(14)을 설치하여 통행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시공을 완료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량세그먼트(10)를 제작할 때 난간(14)이 설치될 부분에는 다수개의 고정관(미도시)을 매설하여 상기 난간(14)의 수직부 하측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되는 본 발명의 교량은 착탈롤러(20) 및 가드부(90)를 통해 교량세그먼트(10)를 안정적이면서 신속히 이동시킬 수 있어 자전거나 보행자를 위한 간이식 교량을 단기간 내에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의 일 실시예의 시공순서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교량세그먼트(10)는 다수개의 강판을 조합하여 형성한 후 상기 강판의 연결부분에 용접이나 리벳 또는 볼팅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콘크리트로 제작된 교량세그먼트(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교량세그먼트(10)를 강판으로 제작하여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콘크리트로 제작된 교량세그먼트(10)의 시공방법과 동일하게 이동식 작업대에 상기 교량세그먼트(10)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작업대를 교량 시공을 위해 이동 인장 로프(40)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작업대를 상승시켜 교량세그먼트(10)의 슬라이딩홈(11)에 이동 인장 로프(40)가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의 슬라이딩홈(11)에 고정대(80)를 용접결합하고 상기 고정대(80)에 서포터(100)를 설치한 다음 상기 고정대(80)의 내부에 이동 인장 로프(40) 위로 가드부(90)를 용접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대(80)의 상부에 이동 인장 로프(40) 위로 착탈롤러(20)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가 착탈롤러(20) 및 가드부(90)를 통해 이동 인장 로프(4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일렬로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을 연장봉(30) 및 너트(N)를 통해 연결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에서 착탈롤러(20)를 해체하는 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C)를 타설, 양생하여 바닥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의 상단 양측에 난간(14)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로 제작된 교량세그먼트(10)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에 도입된 교량세그먼트(10)들의 통공(13)에 고정 인장 로프(50)를 관통시킨 다음 인장하는 단계가 본 실시예에서 도입되지 않는 이유는 강판으로 제작된 교량세그먼트(10)는 비교적 경량이기 때문에 휨모멘트가 크게 발생되지 않아 인장하는 단계가 도입되지 않더라도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로 인해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다.
10 : 교량세그먼트 11 : 슬라이딩홈
12 : 절삭부 13 : 통공
14 : 난간 20 : 착탈롤러
21 : 지지부 22 : 회전부
23 : 가이드홈 24 : 베어링
25 : 덮개 30 : 연장봉
40 : 이동 인장 로프 50 : 고정 인장 로프
60 : 하부판 61,71 : 매설앙카
70 : 측판 72 : 타공홀
73 : 너트통 80 : 고정대
81 : 볼트홀 82 : 안착홈
90 : 가드부 91 : 결합봉
92 : 가드홈 100 : 서포터

Claims (5)

  1. 동일방향으로 한 쌍의 슬라이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11)에는 너트(N)와의 체결을 위한 연장봉(30)이 슬라이딩홈(11) 형성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면서 그 연장봉(30)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절삭부(12)가 형성된 교량세그먼트(10)와;
    저면에 상기 교량세그먼트(10)의 슬라이딩홈(11) 바닥부 내부에 매설되는 매설앙카(61)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하부판(60)과;
    외측면에 상기 교량세그먼트(10)의 슬라이딩홈(11) 양측면 내부에 각각 매설되는 매설앙카(71)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타공홀(7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내주연에 상기 타공홀(72)과 연통되는 나선홀이 형성되는 너트통(73)이 외측면에 결합된 측판(70)과;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볼트홀(81)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홀(81)과 측판(70)의 타공홀(72) 및 너트통(73)의 나선홀(74)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해 상기 측판(70)의 내부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부에 안착홈(82)이 형성된 고정대(80)와;
    상기 고정대(8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홈(11)을 통과하는 이동 인장 로프(40)를 따라 상기 교량세그먼트(10)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착탈롤러(20)와;
    상부에는 상기 고정대(80)의 내측면에 관통설치되는 결합봉(9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이동 인장 로프(40)를 따라 이동되는 가드홈이 형성된 가드부(90);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량세그먼트(10)에는 슬라이딩홈(11)과 동일방향으로 고정 인장 로프(50)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통공(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롤러(20)는 고정대(80)의 상부에 볼팅고정되는 지지부(21)와, 상기 고정대(80)의 안착홈(82)과 지지부(21)에 끝단이 삽입되고 이동 인장 로프(40)와 밀착되는 가이드홈(23)이 형성된 회전부(22)와, 상기 고정대(80)의 안착홈(82)과 지지부(21)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의 끝단이 삽입되는 베어링(2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4. 청구항 2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식 작업대에 상기 교량세그먼트(10)를 안착시키는 제1 단계와;
    상기 작업대를 교량 시공을 위해 이동 인장 로프(40)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작업대를 상승시켜 교량세그먼트(10)의 슬라이딩홈(11)에 이동 인장 로프(40)가 배치되도록 하는 제3 단계와;
    상기 고정대(80)의 내부에 이동 인장 로프(40) 위로 가드부(90)를 설치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고정대(80)의 상부에 이동 인장 로프(40) 위로 착탈롤러(20)를 설치하는 제5 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가 착탈롤러(20) 및 가드부(90)를 통해 이동 인장 로프(4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일렬로 배치되도록 하는 제6 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을 연장봉(30) 및 너트(N)를 통해 연결결합하는 제7 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의 통공(13)에 고정 인장 로프(50)를 관통시킨 다음 인장하는 제8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에서 착탈롤러(20)를 해체하는 제9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C)를 타설, 양생하여 바닥판을 형성하는 제10 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의 상단 양측에 난간(14)을 설치하는 제11 단계;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따른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식 작업대에 상기 교량세그먼트(10)를 안착시키는 제1 단계와;
    상기 작업대를 교량 시공을 위해 이동 인장 로프(40)로 이동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작업대를 상승시켜 교량세그먼트(10)의 슬라이딩홈(11)에 이동 인장 로프(40)가 배치되도록 하는 제3 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의 슬라이딩홈(11)에 고정대(80)를 용접결합하고 상기 고정대(80)에 서포터(100)를 설치한 다음 상기 고정대(80)의 내부에 이동 인장 로프(40) 위로 가드부(90)를 용접결합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고정대(80)의 상부에 이동 인장 로프(40) 위로 착탈롤러(20)를 설치하는 제5 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가 착탈롤러(20) 및 가드부(90)를 통해 이동 인장 로프(4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일렬로 배치되도록 하는 제6 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을 연장봉(30) 및 너트(N)를 통해 연결결합하는 제7 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에서 착탈롤러(20)를 해체하는 제8 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C)를 타설, 양생하여 바닥판을 형성하는 제9 단계와;
    상기 교량세그먼트(10)들의 상단 양측에 난간(14)을 설치하는 제10 단계;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20110098588A 2011-09-28 2011-09-28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346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588A KR101346243B1 (ko) 2011-09-28 2011-09-28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588A KR101346243B1 (ko) 2011-09-28 2011-09-28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530A KR20130034530A (ko) 2013-04-05
KR101346243B1 true KR101346243B1 (ko) 2014-01-08

Family

ID=4843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588A KR101346243B1 (ko) 2011-09-28 2011-09-28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2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456B1 (ko) * 2014-08-07 2015-01-16 박정환 모듈러식 강재 현수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1562805B1 (ko) * 2015-01-15 2015-10-26 홍석희 현수바닥판교의 연속 압출식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슬라이드 거더 일체형 현수바닥판교
KR102221518B1 (ko) * 2020-06-09 2021-03-02 합자회사 세가온 무주탑 보도 현수교의 세그먼트 교량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9403A (ja) * 1992-01-30 1993-08-20 Jdc Corp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吊床版橋の架設工法
JPH06322722A (ja) * 1993-05-18 1994-11-22 Shimizu Corp 吊床版橋の送り出し架設工法およびその工法に使用するpc床版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9403A (ja) * 1992-01-30 1993-08-20 Jdc Corp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吊床版橋の架設工法
JPH06322722A (ja) * 1993-05-18 1994-11-22 Shimizu Corp 吊床版橋の送り出し架設工法およびその工法に使用するpc床版ユニッ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456B1 (ko) * 2014-08-07 2015-01-16 박정환 모듈러식 강재 현수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1562805B1 (ko) * 2015-01-15 2015-10-26 홍석희 현수바닥판교의 연속 압출식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슬라이드 거더 일체형 현수바닥판교
KR102221518B1 (ko) * 2020-06-09 2021-03-02 합자회사 세가온 무주탑 보도 현수교의 세그먼트 교량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530A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29354B (zh) 一种顺水桥移动模架及其施工方法
CN110528402B (zh) 一种超宽箱梁多桁片组合挂篮的施工方法
KR101028868B1 (ko) 교량 측경간 가시설 양중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측경간 시공방법
JP5649637B2 (ja) 橋梁の架設装置および橋梁の架設方法
KR20140084107A (ko) 셀프-런칭 이동식 비계공법
KR101129698B1 (ko) 캔틸레버 시공용 행거식 가설재 및 그를 이용한 캔틸레버부 시공방법
KR101346243B1 (ko)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JP2014009461A (ja) Spc橋梁架設方法
KR20150108625A (ko) 비자주식 빔 런처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H0841826A (ja) 橋の施工方法および橋の施工装置ならびに主桁ユニット
JP2006077521A (ja) 橋梁構築装置
JP2009121108A (ja) 高構造物の補強工法における鉄筋組立方法、及び鉄筋組立用冶具
CN116537071A (zh) 一种液压顶升整体式钢架平台及其翻模施工方法
KR20100105174A (ko) 교량용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KR20100039080A (ko) 스틸박스 교량의 이동식 거푸집 설치 및 해체장치
JP4719179B2 (ja) 支保工の解体・撤去方法および上部支保工
CN106012834A (zh) 一种空间扭曲曲线异型反对称钢主塔内支撑及张拉系统
CN114561873B (zh) 桥梁高墩施工方法
KR20120047331A (ko) 교량용 안전망
CN202023149U (zh) 建筑用挂篮
CN115094758A (zh) 变截面薄壁空心墩双层模板系统施工方法
CN205152805U (zh) 移动式预制梁张拉防护装置
KR20070043742A (ko)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이동 지지장치
JP4884189B2 (ja) 柱状構造物の補強工法
JPH07259334A (ja) 自昇式型枠装置に用いられる型枠パネル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