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805B1 - 현수바닥판교의 연속 압출식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슬라이드 거더 일체형 현수바닥판교 - Google Patents

현수바닥판교의 연속 압출식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슬라이드 거더 일체형 현수바닥판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805B1
KR101562805B1 KR1020150007584A KR20150007584A KR101562805B1 KR 101562805 B1 KR101562805 B1 KR 101562805B1 KR 1020150007584 A KR1020150007584 A KR 1020150007584A KR 20150007584 A KR20150007584 A KR 20150007584A KR 101562805 B1 KR101562805 B1 KR 101562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cable
alternation
bridge
se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희
김제인
Original Assignee
홍석희
주식회사 일승하이텍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수현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희, 주식회사 일승하이텍,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수현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홍석희
Priority to KR1020150007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01D21/065Incremental laun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바닥판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기존과 같이 지지긴장재인 제1 케이블에 세그먼트를 장착하기 위해 지보공이나 크레인, 오버행어장치 및 위치조절장치 등의 핸들링 설비를 배제하여, 시작측 교대에서 요구되는 작업공간과 주변 자연환경 훼손을 최소화시키고,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도달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외부 동력 장치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일정 장소에서 간소하고 용이하게 지지긴장재와 세그먼트 장착을 수행함으로써 시공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지지긴장재에 따라 세그먼트의 이동을 위한 롤러 장치를 최소로 배치 및 이동 시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현장 조립되는 세그먼트간의 연결을 신속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협소한 교대위에서도 세그먼트의 장착 이동 연결 시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세그먼트의 단부의 형상이 풍하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부착하는 페어링 설치를 배제하도록 하는 원형 슬라이드 거더에 가로보와 프리캐스트 판넬 바닥판을 일체로 하는 현수바닥판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현수바닥판교의 연속 압출식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슬라이드 거더 일체형 현수바닥판교{Incremental extruding construction Method of suspension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with slide girder thereof}
본 발명은 현수바닥판교의 연속 압출식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슬라이드 거더 일체형 현수바닥판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도교와 같이 경량하중이 작용하고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교량을 구성하는 현수바닥판 세그먼트와 이를 이용한 현수바닥판교 시공 과정에서 지지긴장재에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장착하기 위해 지보공과 크레인 및 오버행어 장치 등을 배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요되는 큰 작업공간과 주변 자연환경 훼손을 최소화시키며,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도달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외부 동력 장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지지긴장재와 세그먼트 장착 과정을 일정 장소에서 용이하게 수행함으로서 시공 안정성을 높이고, 지지긴장재에 따라 세그먼트의 이동과 고정을 위한 롤러와 가이드 장치의 최소 배치가 가능한 것은 물론 경량 세그먼트의 고정 조립 및 이동 시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현장 조립되는 세그먼트간의 연결을 신속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협소한 교대위에서도 세그먼트의 장착 이동 연결 시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교량의 경간 사양과 무관하게 신속하고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며, 각 세그먼트의 중량을 최소화하여 이동 효율을 높이고, 세그먼트의 단부의 형상이 풍하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부착하는 페어링 설치를 배제할 수 있는 현수바닥판교의 연속 압출 시공공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슬라이드 거더 일체형 현수바닥판교에 관한 것이다.
교량과 같은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하천, 해협, 저지 또는 다른 교통로나 구축물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만든 일정 경간 이상을 갖는 구조물을 말하며, 그 시공방법이나 건너야 할 대상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교량이 있고, 무엇보다 교량은 건너야 할 대상 및 시설의 기능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와 통행자나 통행물품이 불안하지 않는 사용성과 친환경적인 미관 및 내구성 등이 전반적으로 만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들 중에서도 현수교의 구조형식이 있으며, 특히 현수교 중에서 보행자나 자전거 통행용 보도교는 현수 케이블(지지긴장재)에 세그먼트(Segment)화된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현장에서 장착하여 서로 연결 조립하고 케이블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시공 공법이 보편적이다.
도 1은 종래 현수바닥판교의 프리캐스트 바닥판 세그먼트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현수바닥판교의 시공 단계를 보인 블록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종래 교량 시공 단계를 보인 상태 도면이다.
우선 종래 현수바닥판 세그먼트는, 그 상부면에 지지긴장재인 제1 케이블(C1)을 관통시키기 위한 한 쌍의 슬라이딩홈(11)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홈(11)의 바닥면과 양 측벽에 장착브래킷(12)이 체결되며, 상기 장착브래킷(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케이블(C1)로부터 세그먼트(10)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롤러(13)와, 상기 롤러(13)의 양측에 설치되어 롤러(13)로 통해 이동한 세그먼트를 제1 케이블(C1)에 안전하게 정착하여 고정하고 롤러(13)가 제1 케이블(C1) 상에서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복수의 가이드(14)를 포함하여 구비하게 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세그먼트 단부는 콘크리트 성형에 따라 직사각형 형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풍하중에 의해 발산진동 등이 영향이 커서, 상기 단부에 바람에 의한 항력계수 등을 축소하도록 별도의 강재 페어링(15)이 추가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현수바닥판용 세그먼트(10)를 이용한 교량 시공을 설명하면,
도 3(a)과 같이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시작측 교대(1)와 도달측 교대(2)와 활동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그라우팅앵카(4)를 시공된다.
이후 도 3(b)과 같이 프리캐스트 제작된 세그먼트(10)를 이동시킬 수 있게 이동인장로프와 윈치 등의 작업설비를 설치하고, 작업용 공중비계를 가설한다.
이후 도 3(c)과 같이 시작측 교대(1)와 도달측 교대(2)를 연결하여 지지긴장재 제1 케이블(C1)을 설치 및 긴장하고, 시작측 교대(1)에 상기 제1 케이블(C1)에 바닥판 세그먼트를 장착하기 위한 지보공, 오버행어장치 및 크레인 등을 가설 및 설치한다.
이렇게 이동인장로프와 윈치 및 제1 케이블(C1)의 시공이 완료된 다음 세그먼트(10)의 실질적인 조립과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시작측 교대(1)에서 세그먼트(10)의 슬라이딩홈(12)내에 제1 케이블(C1)이 거치될 수 있게 지보공과 오버행어장치 등을 이용하여 세그먼트(1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롤러(13)와 가이드(14)를 장착 조립한다.
이후 도 3(d)과 같이 이동인장로프에 연결된 윈치를 이용하여 해당 제1 케이블(C1)상에 장착된 세그먼트(10)를 도달측 교대(2)를 향해 이동시킨다.
이렇게 복수개의 세그먼트(10)의 조립과 이동을 반복 수행하면서 시작측 교대(1)와 도달측 교대(2) 사이를 세그먼트(10)로 배열하게 된다.
이후 도 4(e)와 같이 세그먼트(10)의 일렬 배열이 완료되면, 이웃하는 세그먼트(10)와 세그먼트(10)를 서로 연결 시공한다.
이렇게 세그먼트(10)의 일렬 배열과 연결 시공이 완료되면, 이동인장로프, 윈치 및 작업용 공중비계 등을 제거한다.
이후 도 4(f)와 같이 시작측 교대(1)와 도달측 교대(2)상에 접속부를 시공하고, 최선단의 세그먼트(10)와 최후단의 세그먼트(10)를 각 접속부에 연결 시공한다.
이렇게 최선단의 세그먼트(10)와 최후단의 세그먼트(10)가 교대 각 접속부에 강결되면, 지보공과 오버행어장치 등을 제거한다.
이후 도 4(g)와 같이 배열된 세그먼트(10)에 미리 배치된 쉬스관을 삽입 관통하는 긴장재용 제2 케이블(C2)을 시공한 상태에서, 배열된 세그먼트(10)의 양에 따라 제2 케이블(C2)을 긴장시키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세그량을 조정한다.
이후 도 4(h)와 같이 핸드레일 등의 마감 및 각종 부대시설을 시공하여 마무리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현수바닥판 세그먼트(10)와, 이를 이용한 종래 현수바닥판교 시공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종래 단위 세그먼트(10)는 가이드(14)와 롤러(13) 등이 제1 케이블(C1) 상에 최소 2개 이상의 개수로 설치되어야 함으로써 부가 설비로 인한 공사비 증가나 시공성이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 세그먼트(1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경우에서만 적용이 가능하여, 과다한 중량으로 인해 현장에서 가설되는 이동인장로프와 윈치의 요구되는 사양 역시 비례적으로 상승되어야 하고, 지지긴장재용 제1 케이블(C1)에 도입되는 세그먼트(10)의 개수가 증가됨에 따라 제1 케이블(C1)의 긴장상태를 매번 새롭게 조정하는 과정이 빈번하게 발생됨으로써, 이로 인한 시공지연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세그먼트(10)의 단부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축조됨에 따라, 풍하중에 의한 영향이 커서 공진현상 발생이나 큰 진폭의 진동 발생에 의해 보행자들에게 조성되는 불안감을 축소하기 위하여, 세그먼트 단부에 별도의 풍하중 영향을 축소하기 위한 강재 페어링을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고, 이러한 강재 페어링 설치에 따른 공사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긴장재용 제1 케이블(C1)상에 일렬의 세그먼트(10) 시공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세그먼트(10) 간의 연결작업이 공중에서 오버행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출된 미완성 상태의 세그먼트 상부에서 연결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날씨 등의 외부 환경변수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됨으로써, 이로 인한 시공안전성 결여와 시공지연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 프리캐스트 제작된 세그먼트(10)를 지지긴장재용 제1 케이블(C1)상에 거치시키기 위해서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시작측 교대(1)에 거치된 세그먼트(10)를 제1 케이블(C1)까지 상승시키기 위한 오버행어설비와 횡방향 위치조정설비 등이 추가로 배치되어야 하고, 뿐만 아니라 세그먼트(10)를 상기 오버행어설비와 횡방향 위치조정설비에 결속시키기 위해서는 프리캐스트 제작된 세그먼트(10)에 별도의 장착공을 가공하거나 별도의 브래킷을 추가 장착해야 하고, 더불어 해당 세그먼트(10)를 오버행어설비나 횡방향 위치조정설비에 결속하기 위한 추가 크레인 장비가 필요함에 따라 전체적인 공사 기간과 공사비의 상승이 초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시작측 교대(1)에 크레인, 오버행어설비, 횡방향 위치조정설비 등의 세그먼트(10)를 제1 케이블(C1)에 결속하기 위한 복잡한 설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시작측 교대(1)에 큰 규모의 작업공간이 마련되어야 하고,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도달측 교대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인장로프와 윈치 등 외부 동력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함으로써, 이로 인한 공사 시간과 공사비의 추가 상승뿐만 아니라 주변 자연을 훼손시키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또한 종래 현수바닥판교 시공 방법은 횡단하는 교량 연장 내에 교각을 설치해야하는 경우, 교각과 간섭에 의해 단일 종래 시공 방법만으로는 효율적인 시공이 곤란하고, 이를 위해 여러 공법이나 장치 등을 혼용함에 따라 공사비와 공기 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46243호(2014.01.08 공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과 같이 지지긴장재인 제1 케이블에 세그먼트를 장착하기 위해 지보공이나 크레인, 오버행어장치 및 위치조절장치 등의 핸들링 설비를 배제하여, 시작측 교대에서 요구되는 작업공간과 주변 자연환경 훼손을 최소화시키고,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도달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외부 동력 장치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일정 장소에서 간소하고 용이하게 지지긴장재와 세그먼트 장착을 수행함으로써 시공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지지긴장재에 따라 세그먼트의 이동을 위한 롤러 장치와 고정을 위한 가이드를 최소로 배치 및 이동 시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현장 조립되는 세그먼트간의 연결을 신속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협소한 교대위에서도 세그먼트의 장착 이동 연결 시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교량 연장에 따른 경간 수에 관계없이 신속하게 세그먼트를 설치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세그먼트 이동 메커니즘을 이용한 현수바닥판교의 연속 압출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협소한 현장 환경 즉 시작측 교대에 설치된 압출 제작장에서 손쉽게 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 거더 일체형의 조립식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세그먼트의 단부의 형상이 풍하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부착하는 페어링 설치를 배제하도록 하고, 세그먼트에 대해 고정 및 이동을 위한 롤러나 가이드 설비를 최소화하여 세그량에 따른 추진력 효율을 높이기 위한 소수의 특정 세그먼트에 롤러 및 가이드 설비를 부착하여 종래의 세그먼트보다 지지긴장재인 제1 케이블에 가해지는 하중감소로 인한 이동 효율을 높이고, 시공과정에서 지지긴장재인 제1 케이블의 장력 조정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연속압출공법에 의해 시작측 교대에서 세그먼트의 조립을 신속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완료된 세그먼트들의 순차적인 압출시공과 상호 간의 접속시공을 신속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음으로써, 교량이 설치되는 주변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고, 교량의 경간 사양과 무관하게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현수바닥판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이격된 교대(1,2)를 서로 연결하는 케이블에 지지되면서 종방향으로 연결 시공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이용한 현수바닥판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이격된 교대(1,2)를 시공하는 단계(S1);
양쪽 교대(1,2)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케이블(C1)을 시공하는 단계(S2);
한쪽 교대(1)에서 상기 제1 케이블(C1)상에 하나의 세그먼트(100)를 거치 및 조립시키는 단계(S3);
한쪽 교대(1)에 마련된 세그먼트 이동유닛을 이용하여 제1 케이블(C1)상에 거치 및 조립 완료된 세그먼트(100)를 압출 이동시키는 단계(S4);
한쪽 교대(1)에서 제1 케이블(C1)상에 새로운 세그먼트(100)를 거치 및 조립시키는 단계(S5);
한쪽 교대(1)에서 이웃하는 세그먼트(100)와 세그먼트(100)를 서로 연결 시공하는 단계(S6);
한쪽 교대(1)에 마련된 세그먼트 이동유닛을 이용하여 제1 케이블(C1)상에 거치 및 조립 완료된 복수의 세그먼트(100)를 압출 이동시키는 단계(S7);
상기 최선단의 세그먼트(100)가 다른쪽 교대(2)에 도달할 때까지 복수의 세그먼트(100)의 거치와 조립 및 압출 이동을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단계(S8);
양쪽 교대(1,2)에 마련된 접속부에 최선단의 세그먼트(100)와 최후단의 세그먼트(100)를 접속 시공하는 단계(S9); 및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100)를 삽입 관통하는 제2 케이블(C2)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는 단계(S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케이블(C1)상에 거치 및 조립되는 세그먼트(100)는,
제1 케이블(C1)을 내부로 수용하게 원주 일부분이 절개된 관부(111)를 상기 제1 케이블(C1)을 감싸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관부(111)의 양쪽에 제1 케이블(C1)을 지지 관통시키게 가이드(113)가 형성된 엔드플레이트(112)를 조립시켜 슬라이드 거더(110)를 구성하고,
서로 이웃하는 슬라이드 거더(110)의 사이에 복수의 횡방향 가로보(121)와 종방향 쉬스관(122)이 내설된 프리캐스트 판넬(120)을 구성하며,
상기 슬라이드 거더(110)와 프리캐스트 판넬(120)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거더(110)와 프리캐스트 판넬(120) 연결하기 위한 강결부(124)가 형성되되, 상기 강결부(124)는 슬라이드 거더(110)와 프리캐스트 판넬(120)의 사이 공간에 철근 또는 강재를 배치하고 모르타르를 충전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현수바닥판교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대(1,2) 시공이 완료되면, 한쪽 교대(1)에는 세그먼트(100)의 조립과 압출 이동을 위한 세그먼트 이동유닛을 포함한 제작 압출장(150)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술한 현수바닥판교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거치 및 조립 완료된 복수의 세그먼트(100)들 중 선택된 세그먼트(100)에는, 제1 케이블(C1)을 따라 압출 이동되는 세그먼트(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노즈롤러(130)를 연결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현수바닥판교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C1)을 따라 세그먼트(100)를 압출 이동시키기 중에, 또는 세그먼트(100)를 압출 이동시키는 전후단계에서, 제1 케이블(C1)의 긴장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현수바닥판교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대(1,2)를 시공하는 단계(S1)에는 교대(1,2)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교각(3)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 경우 한쪽 교대(1)에 마련된 세그먼트 이동유닛을 이용하여 이웃하는 교각(3)을 항해 세그먼트를 압출 이동시키는 중, 최선단의 세그먼트가 교각(3)에 진입할 시, 교각(3)에 마련된 세그먼트 이동유닛을 이용하여 세그먼트의 압출 이동을 보강하여 병행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이격된 교대(1,2)를 서로 연결하는 케이블에 지지되면서 종방향으로 연결 시공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현수바닥판교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100)는, 제1 케이블(C1)을 내부로 수용하게 원주 일부분이 절개된 관부(111)와, 상기 관부(111)의 양쪽에 결합되어 제1 케이블(C1)을 지지 관통시키는 가이드(113)가 형성된 엔드플레이트(112)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거더(110); 서로 이웃하는 슬라이드 거더(110)의 사이를 연결하며, 횡방향의 가로보(121)와 종방향의 쉬스관(122)이 내설된 프리캐스트 판넬(120); 및 상기 슬라이드 거더(110)와 프리캐스트 판넬(120)을 서로 연결시키게 슬라이드 거더(110)와 프리캐스트 판넬(120)의 사이공간에 철근 또는 강재를 배치하고 모르타르를 충전시켜 형성되는 강결부(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지긴장재인 제1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원형의 슬라이드식 거더와 프리스트레스 도입을 위한 제2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쉬스관이 내설된 판넬을 일체로 하는 현장 조립식 현수바닥판용 세그먼트를 구성함으로써, 종래 세그먼트마다 설치되는 케이블 안내용 가이드 등의 부가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의 개수도 최선단과 특정 세그먼트에 국부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공사비 절감과 공기 단축을 가져올 수 있으며, 경량화에 따른 지지긴장재용 케이블에 가해지는 하중감소로 인하여 시공과정에서 긴장재용 케이블의 장력 및 세그량 조정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원형의 슬라이드식 거더를 일체로 하는 현수바닥판용 세그먼트를 구성함으로써, 교량의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풍하중에 대한 풍력계수를 줄일 수 있어, 종래 세그먼트의 압출시공 후 플로터와 같은 풍하중 저감부재의 설치가 불필요하고, 이로써 시공 시간과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작측 교대에 마련된 압출 및 제작 장에서 리프팅과 푸싱 혹은 풀링 방식의 이동 유닛을 이용하여 세그먼트의 조립 및 압출 시공을 번갈이가며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교대에 마련되는 작업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원활한 세그먼트의 조립 및 압출시공이 가능하며, 이로써 전체 교량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출 및 제작장에서 세그먼트와 지지긴장재인 제1 케이블을 직접 장착할 수 있으므로, 종래 세그먼트의 조립과 지지긴장재인 제1 케이블의 장착과정에서 필요로 되는 크레인, 오버행어설비 및 위치조정설비 등의 다양한 종류의 세그먼트 핸들링 설비가 배제됨으로써, 이러한 부가 설비의 설치 및 제거에 따른 시간과 비용절감은 물론 주변 자연 훼손을 최소화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협소한 공간의 시작측 교대의 압출 및 제작장에서 세그먼트의 조립시공뿐만 아니라 도달측 교대를 향해 세그먼트의 압출시공 및 세그먼트 상호간의 접속시공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시공 공정이 신속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속 압출공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현수바닥판교는 이동을 위한 롤러와 제1 케이블에 고정하는 가이드 등 부속 설비를 최소화하여 공사비 절감과 공가 단축에 효율적 공법이다.
또한 현수바닥판교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지지강도나 교량의 경간과 무관하게 주변 자연의 훼손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원활한 교량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현수바닥판용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현수바닥판교의 시공 단계를 보인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종래 현수바닥판교의 시공 단계를 보인 작업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현수바닥판교의 시공 단계를 보인 블록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현수바닥판교의 시공 단계를 보인 작업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현수바닥판용 세그먼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슬라이드 거더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현수바닥판용 세그먼트의 부분 단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압출 이동용 노즈롤러의 상세 구성을 보인 측면도(a) 및 정면도(b).
도 12는 본 발명의 의한 세그먼트와 세그먼트 간의 연결 시공 상태를 보인 다양한 실시 예.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현수바닥판용 세그먼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a) 및 측면도(b).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리프팅 푸싱 방식에 의한 현수바닥판용 세그먼트의 압출 시공 단계를 보인 상세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리프팅 풀링 방식에 의한 현수바닥판용 세그먼트의 압출 시공 단계를 보인 상세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교각이 구비되는 현수 바닥판교의 연속 시공 과정을 보인 상태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현수바닥판교의 시공 단계를 보인 블록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현수바닥판교의 시공 단계를 보인 작업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이격된 교대(1,2)를 서로 연결하는 케이블에 지지되면서 종방향으로 연결 시공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이용한 현수바닥판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교대(1,2)를 시공하는 단계(S1);
양쪽 교대(1,2)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케이블(C1)을 시공하는 단계(S2);
한쪽 교대(1)에서 상기 제1 케이블(C1)상에 하나의 세그먼트(100)를 거치 및 조립시키는 단계(S3);
한쪽 교대(1)에 마련된 세그먼트 이동유닛을 이용하여 제1 케이블(C1)상에 거치 및 조립 완료된 세그먼트(100)를 압출 이동시키는 단계(S4);
한쪽 교대(1)에서 제1 케이블(C1)상에 새로운 세그먼트(100)를 거치 및 조립시키는 단계(S5);
한쪽 교대(1)에서 이웃하는 세그먼트(100)와 세그먼트(100)를 서로 연결 시공하는 단계(S6);
한쪽 교대(1)에 마련된 세그먼트 이동유닛을 이용하여 제1 케이블(C1)상에 거치 및 조립 완료된 복수의 세그먼트(100)를 압출 이동시키는 단계(S7);
상기 최선단의 세그먼트(100)가 다른쪽 교대(2)에 도달할 때까지 복수의 세그먼트(100)의 거치와 조립 및 압출 이동을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단계(S8);
양쪽 교대(1,2)에 마련된 접속부에 최선단의 세그먼트(100)와 최후단의 세그먼트(100)를 접속 시공하는 단계(S9); 및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100)를 삽입 관통하는 제2 케이블(C2)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는 단계(S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한쪽 교대(1:시작측 교대)에서 제1 케이블(C1)에 대한 세그먼트의 거치, 조립 및 압출 이동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제1 케이블(C1)상에 세그먼트(100)의 일렬 배열을 신속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도 6(a)과 같이 교대 시공단계(S1)로써, 교축방향(종방향)으로 이격된 시작측 교대(1)와 도달측 교대(2)를 시공한다.
이러한 교대(1,2) 시공 시에는 교량의 요구하중에 의한 케이블 긴장력이 크거나 협소공간에 의해서 교대 자중으로 활동이나 전도 및 지지력 등이 부족할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그라운드 앵커(4) 등이 추가 시공될 수 있다.
이처럼 기본적인 교대(1,2) 시공이 완료되면, 선택된 시작측 교대(1) 상면에는 제1 케이블 선상에 맞추어 후술되는 세그먼트의 조립 및 압출 시공을 위한 작업공간인 제작 압출장(150)을 마련한다. 이러한 제작 압출장(150)에는 후술되는 세그먼트의 압출 이동을 위한 리프팅 푸싱 혹은 풀링 방식의 세그먼트 이동유닛이 함께 장착 구비된다.
이후 도 6(b)과 같이 지지긴장재 제1 케이블 시공단계(S2)로써, 종방향으로 이격된 양쪽 교대(1,2)를 연결하는 긴장재로서 제1 케이블(C1)을 시공한다. 이러한 제1 케이블(C1)은 적어도 2열 이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시작측 교대(1)에 긴장력과 세그 조정 잭(101)이 구비되고, 도달측 교대(2)에는 제1 케이블 고정 장치(102)가 구비된다. 결국 세그먼트 압출에 따라 발생하는 제1 케이블 세그 량이 큰 경우는 긴장력과 세그 조정 잭(6)을 이용하여 제1 케이블(C1)의 장력과 세그 량의 조정이 가능하다.
이후 도 6(c)과 같이 제1 케이블에 대한 세그먼트의 거치 및 조립단계(S3)로써, 시작측 교대(1)에 마련된 작업공간에서 제1 케이블(C1)에 대해 세그먼트(100)를 거치 및 조립시키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현수바닥판용 세그먼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슬라이드 거더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현수바닥판용 세그먼트의 부분 단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현수바닥판용 세그먼트(100)는, 지지긴장재로서 기 설치된 제1 케이블(C1)을 관통시키며 결속되는 원형 구조를 갖는 복수의 슬라이드 거더(110)와,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거더(110) 사이를 연결하게 복수의 횡방향 가로보(121)와 복수의 종방향 쉬스관(122)이 내설되는 프리캐스트 판넬(120), 및 상기 슬라이드 거더(110)와 프리캐스트 판넬(120)을 결합시키는 강결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드 거더(110)는, 종방향의 길이를 가지며 제1 케이블(C1)을 내부로 수용하게 원주 내측 일부분이 절개된 원호 형상을 유지하는 관부(111)와, 상기 관부(111)의 양쪽에 각기 결합되어 제1 케이블(C1)을 지지 관통시키게 가이드(113)가 형성된 엔드플레이트(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거더(110)를 원형 파이프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세그먼트의 가설이 완료된 다음 세그먼트의 측면에 페어링 등의 풍하중 저감부재를 추가 설비할 필요 없이 풍하중에 의한 진동이나 공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만족시킨다. 이러한 슬라이드 거더(110)의 내부에는 프리캐스트 판넬(120)과 결합하기 위하여 철근 또는 강재를 포함한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충진시켜서 구성되는 강결부(124)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13)의 조립 시, 가이드(113)와 제1 케이블(C1)의 습동부에는 마찰감소를 위한 윤활제를 주입하거나 피복관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세그먼트(100)는 한쪽 교대(1)에서 현장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세하게 제1 케이블(C1)상에 슬라이드 관부(111)를 위치시키고, 관부(111)의 양쪽 단에 분할 구조를 이루는 엔드플레이트(112)와 가이드(113)를 서로 조립시켜 제1 케이블(C1)상에 슬라이드 거더(110)를 조립시킨다. 이후 제1 케이블(C1)상에 결속된 2열(혹은 2열 이상)의 슬라이드 거더(110) 내부 사이에 복수의 횡방향 가로보(121)와 복수의 종방향 쉬스관(122)이 내설되는 프리캐스트 판넬(120)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강결부(124) 즉, 철근 또는 강재를 포함한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충진시켜 조립 연결시킨다.
도 10의 표시번호 115는 조립되는 프리캐스트 판넬(120)이 올려지는 지지리브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프리캐스트 판넬(120)의 상부면에는 통상적 재료의 마감재(123)를 부착하여 마무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한쪽 교대(1)에서 제1 케이블(C1)상에 장착 및 조립이 완료된 세그먼트(100)는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세그먼트(100)들을 서로 연결시키며 후술되는 압출 시공을 거치며 종방향으로 이격된 교대(1)와 교대(1)를 연결하는 현수바닥판교를 구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케이블(C1)에 결속하기 위해 프리캐스트 제작된 세그먼트마다 별도의 가이드나 롤러를 설치하는 종래와 달리, 가이드(113)를 갖는 중공 구조의 슬라이드 거더(110)를 이용하여 제1 케이블(C1)에 조립 결속시키고, 이때 상기 가이드(113)는 세그먼트(100)의 이동 및 지지를 확보해 주게 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압출 이동용 노즈롤러의 구성을 보이는 측면도(a) 및 정면도(b)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세그먼트(100)는 압출 시공 과정에서 세그먼트(100)의 원활한 압출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노즈롤러(130)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즈롤러(130)는, 세그먼트(100)의 선단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 정착브래킷(131)과 상기 정착브래킷(131)을 연결하는 힌지핀(133)상에 설치되는 롤러(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국 노즈롤러(130)는 세그먼트(100)의 압출 이동 시 제1 케이블(C1)을 따라 세그먼트(10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며, 노즈롤러(130)는 차후 세그먼트(100)의 압출 시공이 완료된 다음 해당 세그먼트(100)로부터 분리 제거된다.
이러한 노즈롤러(130)는 압출 시공되는 최선단 세그먼트 혹은 복수의 특정 세그먼트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제1 케이블(C1)의 세그량이 커서 압출 능력이 저하될 경우는 특정 세그먼트(100)에 추가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의한 세그먼트와 세그먼트 간의 연결 시공 상태를 보인 다양한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압출 시공됨에 따라 바닥판교를 구성하는 세그먼트(100)의 전단 혹은 후단에는 이웃하는 세그먼트(100)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40)가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40)는 서로 이웃하는 슬라이드 거더(110)의 대향하는 엔드플레이트(112)를 서로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플랜지 구조를 이루는 엔드플레이트(112)를 서로 볼트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혹은 슬라이드 거더(110)의 단부 외면에 이웃하는 슬라이드 거더(111)를 삽입 안내하는 가이드소켓을 부착 구성하여 세그먼트(100)의 압출 이동 시 슬라이드 거더(110)의 연결부(140)를 자연스레 일치시키게 한 다음 상기 가이드소켓과 슬라이드 거더(110)를 서로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현수바닥판용 세그먼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a) 및 측면도(b)이다.
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세그먼트(100")는, 그 상부면에 지지긴장재인 제1 케이블(C1)을 관통시키기 위한 한 쌍의 슬라이딩홈(110")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홈(110")상에 결합되어 제1 케이블(C1)로부터 세그먼트(10)의 고정시키고 이동을 안내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노즈롤러(130")와 가이드(140")가 구성되는 프리캐스트 판넬(1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세그먼트(100")는 종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와 비교하여, 세그먼트의 이동 및 고정을 위한 노즈롤러(130")와 가이드(140")의 설치 개수가 대폭적으로 감소된 구조를 보이고 있고, 프리캐스트 판넬(120")의 양측 단부(150")가 풍하중 경감용 페어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연속 압출 공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기존과 크게 구별되지 않는 세그먼트(100")라 하더라도, 노즈롤러(130") 및 가이드(140")의 설치 개수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제1 케이블(C1)을 따라 압출 이동되는 복수의 세그먼트(100")들 중 소수 개수의 선택된 세그먼트(100")에 한해서 노즈롤러(130") 및 가이드(140")를 부분적으로 조립함으로써, 세그먼트의 신속한 거치 및 조립이 가능한 것은 물론 전체 현수바닥판교의 공사시간과 비용을 함께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프리캐스터 판넬의 양측 단부(150")를 반원형으로 제작함으로써 풍하중을 경감시키는 페어링 역할을 겸하도록 한 것이다.
계속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관부(111)와 엔드플레이트(112)를 서로 조립하여 가이드(113) 내에 제1 케이블(C1)을 장착하여 슬라이드 거더(110)를 먼저 조립 시공하고, 상기 슬라이드 거더(110) 내측 사이에는 가로보(121)를 설치하고, 슬라이드 거더(110)의 마주하는 일측에 지지리브(115)를 접합시키고, 지지리브(115) 상부에 프리캐스트 판넬(120)을 올려놓은 다음 프리캐스트 판넬(120)의 양 측면을 슬라이드 거더(110)와 강결부(124)로 고정 결합시킨다.
이때 최선단 세그먼트(100A)의 선단에는 노즈롤러(130)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최선단의 세그먼트를 '100(A)'로 표시하였다.
이후 도 6(d),(e), 및 도 7(f)과 같이 세그먼트 압출단계(S4)로써, 시작측 교대(1)에서 조립이 완료된 세그먼트(100)를 제1 케이블(C1)을 따라 압출시킨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상기 세그먼트의 거치 및 조립공정(S3)과 세그먼트 압출공정(S4)을 시작측 교대(1)에서 번갈아가며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며, 제1 케이블(C1)상에 세그먼트(10)를 연속 배열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세그먼트의 압출 이동 공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는 일실시 예인 리프팅 푸싱 방식에 의한 세그먼트의 연속 압출시공 단계를 보인 상세도이다.
도 14(a)와 같이 시작측 교대(1)에 마련된 제작 압출장(150)의 새들(105)위에서 먼저 최선단 세그먼트(100A)를 조립 시공한다. 이러한 최선단 세그먼트(10A)의 선단에는 제1 케이블(C1)을 따라 구름 동작하며 세그먼트(100A)의 이동을 안내하는 착탈 구조의 노즈롤러(130)를 장착시키며, 상기 새들(105) 상면에는 세그먼트 제작 및 연결시 구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브레이크판을 부착할 수 있다.
이후 도 14(b)와 같이 조립 완료된 최선단 세그먼트(100A)의 저부에 마련된 푸시형 이동유닛(200)을 이용하여 제1 케이블(C1)을 따라 해당 세그먼트(100A)를 종방향 길이만큼 전진 이동(도면에서 우측)시킨다.
실시 예에 의한 푸시형 이동유닛(200)은 세그먼트(100)를 받치는 승강잭(201)과, 세그먼트(100)와 함께 상기 승강잭(201)을 수평 이동시키는 푸시잭(20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잭(201)의 하면에는 활동이 가능한 슬라이딩판(203)이 설치되고, 상면에는 세그먼트가 고정되는 브레이크판이 부착될 수 있다.
즉, 새들(105)에 올려진 세그먼트(100)에 대한 조립이 완료되면, 승강잭(201)을 상승시켜 새들(105)로부터 해당 세그먼트(100)를 상승 이격시키고, 이 상태에서 푸시잭(202)을 전진시키며 승강잭(201) 하면에 설치된 슬라이딩판(203)을 따라 승강잭(201)과 함께 세그먼트(100)를 서서히 전진 이동시킨다. 이렇게 세그먼트(100)의 종방향 길이만큼의 이동이 완료되면, 다시 푸시잭(202)과 승강잭(201)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한편 이렇게 매번 세그먼트(100)가 제1 케이블(C1)을 따라 전진 이동한 다음에는 제1 케이블 세그량이 커서 압출능력이 저하될 경우에는 긴장 및 세그 조정 잭(101)을 이용하여 제1 케이블(C1)의 긴장력과 세그 량을 재조정할 수 있다.
이후 도 14(c)와 같이 비어 있는 새들(105)위에서 새로운 세그먼트(100)를 거치 및 조립 시공한다.
이렇게 새로운 세그먼트(100)의 거치 및 조립이 완료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40)를 이용하여 전방 세그먼트(100A)와 새롭게 조립된 세그먼트(100)를 서로 연결부(140)로 조립시킨다. (S6)
이후 도 14(d)와 같이 조립 완료된 세그먼트(100)의 저부에 있는 푸시형 이동유닛(200)을 재 동작시켜 제1 케이블(C1)을 따라 해당 세그먼트(100)를 종방향 길이만큼 전진 이동시킨다. 결국 전방 세그먼트(100A)와 후방 세그먼트(100)는 연동하여 제1 케이블(C1)을 따라 전진 이동된다. (S7)
이상과 같이 푸시형 이동유닛(200)을 이용한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세그먼트(100)를 연동하여 이동시키고, 이러한 압출 시공은 최선단 세그먼트(100A)가 다른쪽 교대(2)에 도달하기까지 계속되는 리프팅 푸싱 방식에 의한 연속 압출공법이 완성되게 된다. (S8)
한편 도 15는 다른 실시 리프팅 풀링 방식에 의한 세그먼트의 압출시공 단계를 보인 상세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작측 교대(1)에서 세그먼트(100)의 조립과 압출시공을 번갈아가며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있어서는 도 14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다만 도 14에 도시된 세그먼트 압출시공 시에는 푸시형 이동유닛(200)을 이용하여 세그먼트(100)의 압출을 수행하는 것인데 반해, 도 15에 도시된 세그먼트 압출시공 시에는 풀링형 이동유닛(300)을 이용하여 세그먼트(100)의 압출을 수행하도록 한 것에 차이가 있다.
실시 예에 의한 풀링형 이동유닛(300)은 부여된 명칭에서와 같이 해당 세그먼트(100)를 끌어당겨 제1 케이블(C1)을 따라 압출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풀링잭(301)과, 조립 완료된 세그먼트(100)에 가 체결되는 홀딩부재(302), 및 상기 풀링잭(301)과 홀딩부재(302)를 연결하는 인장로프(303)를 포함한다.
미 설명부호 '106'는 풀링형 이동유닛(300)의 풀링잭(301)이 설치되는 '반력대'이다.
결국 새들(105) 위에서 조립 완료된 세그먼트(100)에 대해 홀딩부재(302)를 체결하고, 인장로프(303)를 매개로 홀딩부재(302)와 연결된 풀링잭(301)을 작동시켜 제1 케이블(C1)을 따라 세그먼트(100)를 전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중간 새들(105)의 상면에는 세그먼트의 거치 초기 브레이크판이 설치되고, 이후 해당 세그먼트의 압출 시에는 브레이크판을 제거하고 슬라이딩판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는 교량 구배에 따라 활동 방지용 브레이크판 설치 여부가 정하여진다.
전술한 푸시형 이동유닛(200)의 경우는 세그먼트(100)에 대한 홀딩수단이 구비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세그먼트의 압출 동작 및 원위치 복귀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풀링형 이동유닛(300)의 경우는 제1 케이블(C1)이 상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역 구배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인 압출 시공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계속해서 상기 도 7(f)과 같이 모든 세그먼트(100)의 압출 시공이 완료되면, 도 7(g)과 같이 세그먼트 접속부 시공단계(S5)로써, 최선단의 세그먼트(100A)와 교대(2)에 구비된 접속부를 연결하고, 최후단의 세그먼트(100)와 교대(1)에 구비된 접속부를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S9)
이처럼 교대(1,2)에 마련된 접속부에 세그먼트(100)를 연결하는 방식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강결 방식 또는 힌지 방식을 취하게 되는데, 이러한 강결 또는 힌지 방식의 세그먼트 연결시공은 종래 교량가설 공법 및 구조계에 사용되는 일반화된 기술이 적용되는 것으로 그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도 7(h)과 같이 제2 케이블 삽입 및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S6)로써, 일렬로 배열된 세그먼트(100)를 관통하게 제2 케이블(C2)을 삽입 시공하고, 제2 케이블(C2)에 간장력을 가해 세그먼트(100)의 설치개수에 따른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킨다. (S10)
도시 생략된 제2 케이블(C2)의 긴장 정착방법 역시 종래 교량가설 공법 및 구조계에 사용되는 일반화된 기술이 적용되는 것으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제2 케이블(C2)을 통한 세그먼트(20)의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시에는 기 설치된 제1 케이블(C1)을 연동하여 제1,2 케이블(C1,C2)을 병행하여 세그먼트(100)의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세그먼트의 프리스트레스 도입이 완료되면, 도 7(i) 및 도 10과 같이 세그먼트(100)들의 상부 공간 혹은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보도 마감재(123)를 추가 형성하고, 보행자나 자전거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게 난간(109) 등의 추가 시설물의 시공을 완료함으로써, 교량 시공을 완료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속 현수바닥판 교량 시공 단계를 보인 도면이다.
한편 교량 시공 시 양쪽 교대(1,2)의 경간이 상대적으로 넓거나 요구되는 지지하중이 상대적으로 큰 교량의 경우에는 양쪽 교대(1,2)의 사이 공간에 하나 이상의 교각(3)을 필요로 하게 된다.
즉, 도 16(a)과 같이 교대(1,2) 및 교각(3) 시공이 완료되면, 도 16(b)과 같이 긴장재로서 제1 케이블(C1)을 시공하고, 이후 도 16(c)과 같이 한쪽 교대(1)에 마련된 작업공간에서 세그먼트(100)의 조립을 수행하고, 이어서 푸시 혹은 풀링형 이동유닛(100,200)을 이용하여 세그먼트(100)를 연속적으로 압출시킨다.
한편 상세 도시는 생략되었으나, 교각(3)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작측 교대(1)에 마련된 압출 혹은 풀링형 이동유닛(200,300)과 동일한 구성의 별도 세그먼트 이동유닛(40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세그먼트(100)의 거치 조립과 압출시공을 번갈아가며 수행하는 과정에서 도 16(d)과 같이 최선단 세그먼트(100A)가 교각(3)에 진입하는 전, 교각(3)의 상부면에 세그먼트 이동유닛(400)을 장착시키고, 최선단 세그먼트(100A)가 세그먼트 이동유닛(400)에 진입한 이후에는 한쪽 교대(1)의 세그먼트 이동유닛(200,300)을 이용하여 세그먼트(100)를 압출시키는 것과 동시에 교각(3)에 구비된 세그먼트 이동유닛(400)을 동시 동작시켜 전방 세그먼트(100)의 압출 이동을 추가 보완하게 된다.
이처럼 교대(1)와 교각(3)에서 세그먼트(100)의 압출 구동을 동시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교량하중이나 경간사양과 무관하게 작은 구동력으로도 신속하고 안전한 세그먼트의 압출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교각(3)상에 구비되는 세그먼트 이동유닛(400)은 도 1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세그먼트(100)를 받치는 승강잭(201)과, 세그먼트(100)와 함께 상기 승강잭(201)을 수평 이동시키는 푸시잭(202)으로 구성된 푸시형 이동유닛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교각(3)으로 세그먼트(100)가 진입하는 과정에서 승강잭(201)을 이용하여 해당 세그먼트(100)를 들어 올려줌으로써, 세그먼트(100)가 교각(3)에 간섭이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고, 특히 한쪽 교대(1)와 교각(3)을 연결하는 제1 케이블(C1)을 역 구배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작은 구동력으로 세그먼트의 원활한 압출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승강 잭(201)을 이용하여 세그먼트(10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제1,2 케이블(C1,C2)의 장력 조정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1: 제1 케이블 C2: 제2 케이블
1,2: 교대 3: 교각
4: 그라운드 앵커 100,100": 세그먼트
101: 긴장 세그 조정 잭 102: 고정장치
105: 새들(Saddle) 106: 반력대
110: 슬라이드 거더 111: 관부
112: 엔드플레이트 113: 가이드
115: 지지리브 120,120": 프리캐스트 판넬
121: 가로보 122: 쉬스관
123: 마감재 124: 강결부
130,130": 노즈롤러(Nose roller) 131: 정착브래킷
132: 롤러 133: 힌지핀
140: 연결부 150: 압출 제작장
200,300,400: 세그먼트 이동유닛

Claims (8)

  1. 종방향으로 이격된 교대(1,2)를 서로 연결하는 케이블에 지지되면서 종방향으로 연결 시공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이용한 현수바닥판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이격된 교대(1,2)를 시공하는 단계(S1);
    양쪽 교대(1,2)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케이블(C1)을 시공하는 단계(S2);
    한쪽 교대(1)에서 상기 제1 케이블(C1)상에 하나의 세그먼트(100)를 거치 및 조립시키는 단계(S3);
    한쪽 교대(1)에 마련된 세그먼트 이동유닛을 이용하여 제1 케이블(C1)상에 거치 및 조립 완료된 세그먼트(100)를 압출 이동시키는 단계(S4);
    한쪽 교대(1)에서 제1 케이블(C1)상에 새로운 세그먼트(100)를 거치 및 조립시키는 단계(S5);
    한쪽 교대(1)에서 이웃하는 세그먼트(100)와 세그먼트(100)를 서로 연결 시공하는 단계(S6);
    한쪽 교대(1)에 마련된 세그먼트 이동유닛을 이용하여 제1 케이블(C1)상에 거치 및 조립 완료된 복수의 세그먼트(100)를 압출 이동시키는 단계(S7);
    상기 최선단의 세그먼트(100)가 다른쪽 교대(2)에 도달할 때까지 복수의 세그먼트(100)의 거치와 조립 및 압출 이동을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단계(S8);
    양쪽 교대(1,2)에 마련된 접속부에 최선단의 세그먼트(100)와 최후단의 세그먼트(100)를 접속 시공하는 단계(S9); 및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100)를 삽입 관통하는 제2 케이블(C2)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는 단계(S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케이블(C1)상에 거치 및 조립되는 세그먼트(100)는,
    제1 케이블(C1)을 내부로 수용하게 원주 일부분이 절개된 관부(111)를 상기 제1 케이블(C1)을 감싸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관부(111)의 양쪽에 제1 케이블(C1)을 지지 관통시키게 가이드(113)가 형성된 엔드플레이트(112)를 조립시켜 슬라이드 거더(110)를 구성하고,
    서로 이웃하는 슬라이드 거더(110)의 사이에 복수의 횡방향 가로보(121)와 종방향 쉬스관(122)이 내설된 프리캐스트 판넬(120)을 구성하며,
    상기 슬라이드 거더(110)와 프리캐스트 판넬(120)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거더(110)와 프리캐스트 판넬(120) 연결하기 위한 강결부(124)가 형성되되, 상기 강결부(124)는 슬라이드 거더(110)와 프리캐스트 판넬(120)의 사이 공간에 철근 또는 강재를 배치하고 모르타르를 충전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바닥판교의 시공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대(1,2) 시공이 완료되면, 한쪽 교대(1)에는 세그먼트(100)의 조립과 압출 이동을 위한 세그먼트 이동유닛(200,300)을 포함한 제작 압출장(150)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바닥판교의 시공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및 조립 완료된 복수의 세그먼트(100)들 중 선택된 세그먼트(100)에는, 제1 케이블(C1)을 따라 압출 이동되는 세그먼트(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노즈롤러(130)를 연결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바닥판교의 시공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C1)을 따라 세그먼트(100)를 압출 이동시키기 중에, 또는 세그먼트(100)를 압출 이동시키는 전후단계에서, 제1 케이블(C1)의 긴장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바닥판교의 시공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대(1,2)를 시공하는 단계(S1)에는 교대(1,2)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교각(3)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 경우 한쪽 교대(1)에 마련된 세그먼트 이동유닛을 이용하여 이웃하는 교각(3)을 항해 세그먼트(100)를 압출 이동시키는 중, 최선단의 세그먼트가 교각(3)에 진입할 시, 교각(3)에 마련된 세그먼트 이동유닛을 이용하여 세그먼트(100)의 압출 이동을 보강하여 수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바닥판교 시공방법.
  8. 종방향으로 이격된 교대(1,2)를 서로 연결하는 케이블에 지지되면서 종방향으로 연결 시공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현수바닥판교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100)는,
    제1 케이블(C1)을 내부로 수용하게 원주 일부분이 절개된 관부(111)와, 상기 관부(111)의 양쪽에 결합되어 제1 케이블(C1)을 지지 관통시키는 가이드(113)가 형성된 엔드플레이트(112)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거더(110);
    서로 이웃하는 슬라이드 거더(110)의 사이를 연결하며, 횡방향의 가로보(121)와 종방향의 쉬스관(122)이 내설된 프리캐스트 판넬(120); 및
    상기 슬라이드 거더(110)와 프리캐스트 판넬(120)을 서로 연결시키게 슬라이드 거더(110)와 프리캐스트 판넬(120)의 사이공간에 철근 또는 강재를 배치하고 모르타르를 충전시켜 형성되는 강결부(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거더 일체형 현수바닥판교.
KR1020150007584A 2015-01-15 2015-01-15 현수바닥판교의 연속 압출식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슬라이드 거더 일체형 현수바닥판교 KR101562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584A KR101562805B1 (ko) 2015-01-15 2015-01-15 현수바닥판교의 연속 압출식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슬라이드 거더 일체형 현수바닥판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584A KR101562805B1 (ko) 2015-01-15 2015-01-15 현수바닥판교의 연속 압출식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슬라이드 거더 일체형 현수바닥판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805B1 true KR101562805B1 (ko) 2015-10-26

Family

ID=5442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584A KR101562805B1 (ko) 2015-01-15 2015-01-15 현수바닥판교의 연속 압출식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슬라이드 거더 일체형 현수바닥판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8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4747A (zh) * 2019-12-16 2020-04-28 中国人民解放军63921部队 一种快速架设的缆索支撑桥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243B1 (ko) * 2011-09-28 2014-01-08 박경룡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243B1 (ko) * 2011-09-28 2014-01-08 박경룡 착탈식 롤러가 부착된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4747A (zh) * 2019-12-16 2020-04-28 中国人民解放军63921部队 一种快速架设的缆索支撑桥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2835B2 (ja) 多径間連続橋の橋桁架設方法
KR101794683B1 (ko)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충전강관 트러스 거더의 조립을 이용한 교량의 런칭시공방법
US4697397A (en) Trussed girder, roof framing using the trussed gird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roof framing of a building using the trussed girder
US7669272B2 (en) Method of launching bridge spans in bridge construction
KR101456635B1 (ko) 하로식 폼 트래블러와 선조립된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4777319B2 (ja) 橋梁架設方法
JP4777922B2 (ja) 移動吊支保工
JP2008031733A (ja) 橋の架設工法
KR101198812B1 (ko)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JP2001131918A (ja) 橋梁の施工方法
KR20150108625A (ko) 비자주식 빔 런처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5106989B2 (ja) 波形鋼板ウエブ橋架設装置、および波形鋼板ウエブ橋の架設方法
JPH0841826A (ja) 橋の施工方法および橋の施工装置ならびに主桁ユニット
JP6376444B2 (ja) 伸縮式ブリッジ
KR101562805B1 (ko) 현수바닥판교의 연속 압출식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슬라이드 거더 일체형 현수바닥판교
JP4336659B2 (ja) 上路式吊床版橋の構築方法
KR100981982B1 (ko) 프리캐스트 코핑용 인양 시스템
CN110952786B (zh) 一种桁架结构及其安装方法
JP2006265976A (ja) 波形鋼板ウェブuコンポ橋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2001214414A (ja) 外ケーブル方式によるpc箱桁の施工方法
KR20080111686A (ko) Phc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슬래브 일체형phc합성거더
KR20050018195A (ko) 다수개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량을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중지점 지지브라켓 및 이의설치방법
RU2242559C1 (ru) Способ цикличной продольной надвижки неразрезного железобетонного пролетного строения моста
RU2608378C1 (ru) Способ реконструкции и усиления сталежелезобетонного разрезного пролетного строения напрягаемыми канатами
CN114232488A (zh) 一种大跨径斜拉桥主梁架设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