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208A - 수지제 용기,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 및 수지제 용기의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수지제 용기,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 및 수지제 용기의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53208A KR20070053208A KR1020077001930A KR20077001930A KR20070053208A KR 20070053208 A KR20070053208 A KR 20070053208A KR 1020077001930 A KR1020077001930 A KR 1020077001930A KR 20077001930 A KR20077001930 A KR 20077001930A KR 20070053208 A KR20070053208 A KR 200700532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ating layer
- resin
- container
- thickness
- resin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8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8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71 blow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599 antimicrob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034 disappearanc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843 anti-fung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8 desig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0 screen-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19 Ethylene 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RZJOMJEPLMPRA-UHFFFAOYSA-N olefin Natural products CCCCCCCC=C JRZJOMJEPLMP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6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pumps, e.g. piston pumps
- B29C48/37—Gear pu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47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pistons, accumulators or press ra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49—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two or more extruders to feed one die or nozz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7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e.g. geometry, dimensions or physic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9—Ampo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29C2049/2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only parts of the preforms or parisons are layer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5/00—Printing on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C2795/007—Printing on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after shap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2—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0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longitudinally different components within one layer, e.g. tubes with longitudinal stratified laye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0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tangentially different components within one layer, e.g. longitudinal stri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29C49/041—Extrusion blow-moulding using an accumulator he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29C49/04116—Extrusion blow-moulding characterised by the di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용기 본체(2)를 덮는 피복층(3)을 형성하고, 이 피복층(3)이 피복층 형성부위(4)로부터 피복층 비형성 부위(5)를 향하여 0.1~1.5㎛/㎜의 감소율로 연속적으로 서서히 두께를 줄이면서 소실되어 감과 동시에 적어도 피복층(3)이 소실되는 부위로부터 그 직전의 높이 방향 30㎜의 범위에 있어서의 두께 감소율이 0.1~0.5㎛/㎜가 되는 두께 감소부(6)를 가지도록 한다.
수지제 용기, 후방흡입 기구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 본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피복층을, 이 피복층이 형성되지 않는 부위와의 경계부분에 있어서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일체감 있는 장식디자인 처리를 할 수 있는 수지제 용기,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 및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지제 용기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식음료 등의 식품류, 비누나 샴푸 등의 위생용품 등, 다양한 상품이 수지제 용기에 수용되어 점포에서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상품의 특성에서 용기의 형태가 유사한 경향의 상품도 있고 동일한 상품이 유사한 용기에 수용되어 판매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한편, 일반 소비자는 구입을 결정할 때 상품의 품질, 가격 등을 고려한다. 당연한 일이지만 상품의 외관으로부터 받는 인상에 의해서도 구입 여부의 판단이 크게 나누어진다. 특히, 품질, 가격 등에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상품을 비교하는 경 우에는 이와 같은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또한, 상품의 외관 그 자체인 용기는 상품 이미지의 형성에 크게 관여한다. 일반적으로 양호한 상품 이미지가 형성되면 그 상품의 매출이 신장되는 경향이 있고 불량한 상품 이미지가 형성되면 그 상품의 매출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의 외관, 즉, 용기의 디자인이 소비자에 미치는 인상은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일으키는 데 매우 중요하게 되어 왔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상품을 수용하는 수지제 용기로서는 「블로우(blow)성형」으로 불리우는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제2000-142662호 공보(단락번호 10 등) 및 일본국 특개제2000-238116호 공보(단락번호 12 등) 참조) 블로우 성형은 압출기로부터 원통형으로 압출된 용융물(패리슨(parison))을 금형에 넣고 내부에 공기를 불어 넣어 중공성형품을 얻는 것이다. 일본국 특개제2000-142662호 공보(단락번호 10 등) 및 일본국 특개제2000-238116호 공보는 이층구조의 패리슨을 압출할 때, 한쪽의 층을 형성하는 수지의 압출량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기능적 장점이 갖추어진 다층박육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수지제 용기에 있어서는, 형상적인 디자인 처리를 하는 한편 상품명 등이 인쇄된 라벨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쉬링크 라벨(shrink label) 이나 스트레취 라벨(stretch label) 등의 필름재를 장착하거나 하여 상품의 차별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스크린 인쇄 등의 적절한 인쇄수단에 의해 용기표면에 직접 인쇄하거나 용기를 형성하는 재료 수지에 안료 등을 첨가하여 용기 전체를 균일하게 착색하는 것도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색채나 착색모양에 의해 디자인을 용기에 처리하기 위하여는 이러한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을 부착하거나 필름재를 장착하는 방법으로는 용기와의 일체감을 얻기 어렵고 디자인상의 제약이 크다. 또한, 이들은 폐기시에 라벨을 분리가 필요하기도 하므로 소비자들이 멀리한다는 점이 고려된다. 또한, 용기 표면에 직접 인쇄를 하는 방법은 비교적 평탄한 면이 아니면 인쇄가 곤란하게 되는 등 인쇄상의 제약도 있다. 또한 이들 방법은 이차적인 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제조 코스트 측면에서도 불리하다. 한편, 재료 수지에 안료 등을 첨가해서 용기에 착색을 하는 것은 성형과 착색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코스트적인 불리함은 비교적 적다. 그러나, 착색의 상태는 용기 전체에 걸쳐서 한결같고 색채의 변화를 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방법은 색채나 착색모양에 따르는 디자인을 용기에 처리하는 데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가 지적되고 있었다. 소비자에게 보다 호소력 있는 용기가 요구되고 있지만 효과적인 대안은 아직 제안되지 못하였다. 상기한 일본국 특개2000-142662호 공보(단락번호 10등) 및 일본국 특개2000-238116호 공보에서도 이러한 디자인상의 문제에 대하여는 전혀 검토되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용기 그 자체에 높은 자유도로 보다 일체감이 있는 장식 디자인을 처리하는 등 이로써 고부가가치를 용기에 부여하고 소비자에게 보다 호소력 있는 신규 수지제 용기,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 및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는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패리슨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제조된 수지제 용기로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는 피복층을 최소한 갖추고, 상기 피복층이 높이 방향으로 따라서 0.1 내지 1.5㎛/㎜의 감소율로 연속적으로 두께를 줄이는 두께 감소부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뛰어난 의장적 효과 또는 기능적 효과에 의해 고부가 가치를 용기에 부여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호소력 있는 수지제 용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는 상기 두께 감소부가 용기 몸통부의 높이 방향의 길이의 1/4 이상을 차지하는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중단없는 그라데이션(gradation) 변화를 광범위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수지제 용기의 의장성을 보다 뛰어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는 상기 피복층이 두께를 감소하면서 소실하고 또한 적어도 상기 피복층의 소실부위로부터 그 직전의 높이 방향 30㎜의 범위에 있어서의 상기 피복층의 두께 감소율이 0.1 내지 1.5㎛/㎜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피복층의 두께 변화에 의해 실현되는 의장상 또는 기능상의 변화에 방향성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연속적인 그라데이션 변화를 발생시켜 의장적 효과를 얻는 경우에는 피복층의 소실부위로부터 그 직전의 범위에 있어서의 두께 감소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그라데이션 변화가 도중에 끊어져 버리는 것을 유효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고 피복층의 소실부위 근방에서의 연속적이고 순조로운 그라데이션 변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면측에 색조 조정층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색조 조정층의 외면측에 상기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용기 본체와 피복층과의 색조를 조정하기 위한 색조 조정층을 형성함으로써 수지제 용기의 의장성을 보다 뛰어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는 상기 두께 감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과 상기 색조 조정층 각각의 높이 방향에 따른 두께의 변화가 서로 역방향의 관계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용기 본체, 피복층, 색조 조정층 각각의 색채 조합에 의한 연속적인 그라데이션 변화를 발생케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는 상기와 같은 색조 조정층을 구비함에 있어서, 수지제 용기의 표면에 인쇄를 하는 경우의 인쇄 적성을 고려하면 상기 피복층과 상기 색조 조정층이 동일한 수지로부터 형성되어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제 용기에 퍼얼감(pearly sense)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피복층과 상기 색조 조정층이 진주 안료를 함유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는 용기의 가장 내면에 내층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용기의 가장 외면에 외층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는 성형성을 고려하여 상기 기재 수지 및 상기 부재료의 MI가 0.1 내지 30 g/min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는 상기 피복층에 상기 용기 본체에 처리한 착색과 같은 계열 색의 다른 색조의 착색처리를 하거나, 상기 피복층에 상기 용기 본체에 처리한 착색과 다른 색조의 착색처리를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수지제 용기 자체의 색체를 변화시켜 보다 일체감 있는 장식 디자인 처리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의장적 효과를 발휘시킴으로써 고부가 가치를 용기에 부여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호소력이 있는 수지제 용기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는 상기 피복층에 항균제를 함유시킨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항균 작용과 항곰팡이 작용을 발휘하는 피복층이 부분적으로 형성되므로 코스트 증가를 억제하고 소량의 항균제로 보다 효과적인 항균 작용과 항곰팡이 작용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기능적 효과를 발휘시키는 것에 의하여도 고부가 가치를 용기에 부여하게 되어 소비자에게 보다 호소력이 있는 수지제 용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은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기재 수지를 주압출기로부터 연속공급함과 동시에, 부압출기로부터 공급되는 부재료를 다이 헤드내에 설치한 토출부로부터 토출시켜 상기 기재 수지에 합류시킨 후에 상기 다이 헤드의 선단측으로 개구하는 슬릿부로부터 패리슨을 압출하고, 상기 패리슨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는 피복층이 상기 부재료에 의해 형성된 수지제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부재료를 상기 기재 수지에 합류시킬 때 상기 부재료를 상기 토출부로부터 되돌려 놓는 후방흡입(suck-back) 제어를 임의의 타이밍에서 제어함으로써 상기 부압출기로부터 공급되어지는 부재료의 공급로에 있어서 수지압을 조정하면서 연속적으로 두께를 감소시키는 두께 감소부를 상기 피복층에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함으로써 부재료의 공급 속도의 미소한 조정이 가능하고 피복층의 두께를 미소한 감소율로 연속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두께 감소부에 연속적인 그라데이션 변화를 일으켜 의장적 효과를 얻는 경우에는 그라데이션 변화가 도중에 끊어져 버리는 것을 유효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은 후방흡입 제어의 효과를 유효하게 얻기 위하여 상기 부재료의 공급로에 있어서의 수지압이 상기 부재료를 상기 기재 수지에 합류시킬 때의 최고 수지압의 70 내지 15%로 감소하기까지 적어도 1회 이상의 후방흡입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부재료의 공급로에 있어서의 수지압의 단위시간당 감소율이 최대 감소율의 10%이하로 되기까지 후방흡입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방흡입 제어후의 수지압의 변화율이 너무 크게 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후방흡입 제어후의 상기 부재료의 공급로에 있어서 수지압의 감소율이 후방흡입 제어 전의 감소율의 5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은 패리슨의 압출방향에 대하여 성형틀의 상하를 역전시킴으로써 상기 피복층의 두께가 변화하는 방향을 역방향으로 하는 방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함으로써 대칭적인 완전히 반대의 색채 변화를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는 기재 수지를 공급하는 주압출기와, 부재료를 공급하는 부압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부압출기로부터 공급되는 부재료를 다이 헤드 내에 설치된 토출부로부터 토출시켜 상기 주압출기로 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기재 수지에 합류시킨 후에 상기 다이 헤드의 선단측으로 개구하는 슬릿부로부터 패리슨을 압출하고, 상기 파리송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상기 기재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 본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는 피복층이 상기 부재료에 의해 형성된 수지제 용기를 제조하는 장치이며, 상기 부압출기와 상기 다이 헤드 사이에 상기 부재료를 상기 토출부로부터 되돌리는 후방흡입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다이 헤드에는 상기 토출부가 상기 슬릿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는 상기 다이 헤드에는 상기 부재료가 공급되는 측으로 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토출부에 상대적으로 가까워 지게 형성된 환상부와 상기 환상부로부터 상기 토출부에 연속하는 보빈(bobbin) 형상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부재료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다이 헤드에 치우친 위치에 제2의 후방흡입 기구를 설치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뛰어난 의장적 효과 또는 기능적 효과에 따라 고부가 가치를 용기에 부여하여 소비자들에게 보다 호소력이 있는 수지제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개략을 나타내는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제1변형예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요부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제2변형예의 개략을 나타내는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제3변형예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요부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제4변형예의 개략을 나타내는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제5변형예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1에서 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해당하는 부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의 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8은 후방흡입 제어에 의해 부재료의 공급로에 있어서의 수지압이 변화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9는 도8의 a 내지 d의 그래프를 겹치게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의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이 헤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의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이 헤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12는 도1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의 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블로우 성형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개략을 나타내는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개략을 나타내는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17은 피복층의 두께 분포의 일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부호의 설명>
1 수지제 용기
1a 파리송
2 용기 본체
2b 몸통부
3 피복층
4 피복층 형성 부위
5 피복층 비형성 부위
6 두께 감소부
10 주압출기
20 다이 헤드
23 토출부
30 부압출기
42, 43 어큐무레이터(accumulator)
44 연통부
60 제2 후방흡입 기구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개략을 나타내고 수지제 용기(1)의 일부를 절결한 일부 절결 도면이다. 도시한 수지제 용기(1)는 샴푸용 용기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다.
수지제 용기(1)에는 용기 본체(2)를 부분적으로 덮는 피복층(3)이 용기 본체(2)와는 착색상태가 다른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는 구부(2a), 몸통부(2b) 및 저부(2c)를 구비하고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몸통부(2b)의 높이 방향의 거의 중앙으로부터 아래 부분 및 저부(2c)가 피복층(3)으로 피복되어져 있다.
여기서, 높이 방향이란 구부(2a)를 위로 하여 용기를 수평면에 놓은 경우 수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따르는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수지제 용기(1)는 피복층(3)이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피복층 형성부위(4)와 피복층 비형성부위(5)의 두 영역으로 나누어 진다. 피복층(3)의 이들 부위(4,5)의 경계측에는 피복층 형성부위(4)로부터 피복층 비형성부위(5)로 향하여 피복층(3)의 두께가 연속적으로 감소해 가는 두께 감소부(6)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복층(3)은 피복층 형성부위(4)로 부터 피복층 비형성부위(5)로 향하여 0.1 내지 1.5㎛/㎜의 감소율로 연속적으로 서서히 두께를 줄이면서 소실 해 가는 동시에 적어도 피복층(3)이 소실되는 부위로부터 그 직전의 높이 방향이 적어도 30mm, 바람직하게는 5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90mm의 범위에 있어서의 두께의 감소율이 0.1 내지 0.5㎛/㎜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 피복층(3)이 소실되는 위치를 파선으로 표시하였다.
용기 본체(2)의 표면을 덮는 피복층(3)의 두께가 얇아져 가면 그에 따라 용기 본체(2)의 표면이 점점 투명하게 보이게 된다. 그리고 용기 본체(2)의 표면을 덮는 피복층(3)이 없어지면 용기 본체(2)가 노출되고 그 표면을 직접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는 피복층(3)에 형성된 두께 감소부(6)에 있어서, 이러한 현상을 발생시키므로써 색채의 변화(그라데이션 변화)를 일으켜 용기 자체에 높은 자유도로 보다 일체감 있는 장식 디자인을 처리하는 것이다. 특히, 피복층(3)의 두께를 상기한 감소율로 연속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연속적인 그라데이션 변화를 가능하게 하고, 예를들면, 피복층(3)이 소실하기 직전의 부위에서 일정한 농도의 범위가 계속 유지되거나, 피복층(3)의 색채의 변화가 용기 본체(2)의 색채에 연속하지 않고 피복층 형성부위(4)와 피복층 비형성부위(5)와의 사이에 그라데이션 변화의 연속성이 없어져 버리는 등, 그라데이션 변화가 도중에 중단되어 버리는 것을 유효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이러한 두께 감소부(6)는 피복층 형성부위(4) 전체에 걸치도록 형성하여도 된다. 즉, 피복층 형성부위(4) 전체에 걸쳐 상기 현상이 발현하게 하는 것 도 가능하다. 실제의 제조면에서는 수지압의 설명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복층(3) 전체에 걸쳐 피복층(3)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편이 제조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이러한 경우 피복층(3)이 일정한 두께 이상의 부분에서는 피복층(3)의 두께가 변화하고 있어도 색조의 변화로서는 인식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두께 감소부(6)는 용기 몸통부의 높이 방향의 길이의 1/4이상을 차지하는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도중에 중단되지 않고 그라데이션 변화를 광범위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수지제 용기(1)의 의장성을 보다 뛰어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두께 감소부(6) 이외에서는 피복층(3)의 두께는 거의 일정하지만 다소의 두께 변화가 있어도 된다. 두께 감소부(6) 이외에서의 피복층(3)의 두께 변화는 수지제 용기(1)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피복층(3)의 두께 변화가 수지제 용기(1)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두께 감소부(6)로 된다.
또한, 피복층(3)의 투명도가 높은 경우에는 하층의 용기 본체(2)의 외관에 변화가 없고 상기 현상은 발현되기 어렵다. 그러나, 상기 현상을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즉, 피복층(3)의 두께 변화에 따라, 하층의 용기 본체(2)의 외관에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면 피복층(3)은 어느 정도 투명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샴푸, 콘디셔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제 다층 블로우 보틀(bottle)( 내용량 600㎖, 높이 180㎜, 몸통 지름 70㎜, 몸통부 평균 두께 약 1.0㎜)을 대상으로 하여 색조나 피복층(3)의 두께 변화를 다르게 한 5 종류의 수지제 용기(1)에 대하여 몸통부(2b)의 저면부(2c)측으로 부터의 높이 방향을 따라 피복층(3)의 두께를 측정하였을 때의 피복층(3)의 두께 분포의 일예(측정예 1 내지 5)를 도17에 나타내었다. 이들 수지제 용기(1)는 어느 것이나 들레 방향으로는 일정한 색조를 하면서 몸통부(2b)의 저면부(2c)로 부터 상방향(구부(2a)방향)으로 올라갈수록 색조가 진한색으로 부터 옅은 색으로 그라데이션 변화하고 있었다.
또한, 도17에 나타난 그래프의 횡축은 몸통부(2b)에 있어서의 저면부(2c)측으로 부터의 높이 위치를 표시하고 종축은 피복층(3)의 둘레 방향에서의 평균 두께를 나타내고 있다.
도17에 나타낸 측정예 중에 측정예 1, 2, 3에 대해서는 수지제 용기(1)의 상부에서 피복층(3)이 완전히 소실되었고 용기 본체(2)가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한편, 측정예 4, 5에서는 피복층(3)은 상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옅어져 가고 있지만 완전히 소실되지는 않았다.
또한, 측정예 1 내지 5의 수지제 용기(1)는 모두 색조의 그라데이션 변화가 얻어졌다. 그리고 색조 변화는 도중에 색조가 툭 끊어지는 일 없이 연속적이었다. 다만, 측정예 1, 2, 3의 수지제 용기(1)와 측정예 4, 5,의 수지제 용기(1)를 비교하여 보면 측정예 4, 5의 수지제 용기(1)에서는 상방에도 피복층(3)이 남아있었고, 순수한 용기 본체(2)의 색조가 나타나지 않았음으로 피복층(3)과 용기 본체(2)의 색의 조합에 따라서는 반드시 희망하는 색조 변화를 얻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에 반하여 측정예 1, 2, 3의 수지제 용기(1)에서는 피복층(3)의 소실부위로부터 그 직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30mm, 바람직하게는 5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90mm의 범위에 있어서, 피복층(3)의 두께 감소율이 0.1 내지 0.5㎛/㎜이 되 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2)의 색조에 연속하는 피복층(3)의 연속적이고 순조로운 그라데이션 변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17에서 감소율 0.1㎛/㎜을 보이는 기울기의 직선을 쇄선으로, 감소율 0.5㎛/㎜을 보이는 기울기의 직선을 일점파선으로, 감소율 1.5㎛/㎜을 보이는 기울기의 직선을 2점파선으로 각각 나타내었고,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정예 4, 5에서는 피복층(3)의 두께는 수지제 용기(1)의 높이 방향을 따라 0.1 내지 1.5㎛/㎜의 감소율로 감소되고 있고, 측정예 1, 2, 3에서는 0.1 내지 0.5㎛/㎜의 감소율로 피복층(3)의 두께가 변화되고 있다.
또한 색조변화의 정도를 색차의 측정 (Lab계) 을 하여 확인한 바, 모든 수지제 용기(1)도 색이 진한 부분 (피복층(3)의 두께의 가장 두꺼운 부분) 과 가장 색이 옅은 부분 (도17의 오른쪽 끝의 데이터 플롯 부분) 에서는 색차는 △E=15 이상이었다. △E=15의 부분은 도17의 높이 방향 위치로 말하면 측정예 1~5의 수지제 용기(1)에서는 몸통부(2b)의 저부(2c)측으로부터 약 90㎜ 높이의 위치였다. 따라서 도17과 색차의 측정결과로부터 측정예 1, 2, 3의 수지제 용기(1)의 두께 감소율의 변화는 높이 방향을 따라 피복층(3)의 소실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색차가 △E=15로 변화하는 범위에서 0.1~0.5㎛/㎜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같은 색조변화라도 측정예 1, 2, 3과, 측정예 4, 5에서는 피복층(3)의 두께가 상당히 다르다. 예를 들면 △E=15의 변화가 있었던 90㎜ 높이 부위에서 전자는 50㎛ 이하의 피복층(3)의 두께인 데에 대하여 후자에서는 80~140㎛ 정도이다. 이 차이는 피복층(3)에 포함되는 안료의 함유량의 차이에 의한 것이다. 안료의 함 유량이 많으면 피복층(3)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색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도1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용기 본체(2)를 임의로 선택된 안료 등의 착색제를 첨가한 기재수지로 형성한다. 이로써 용기 본체(2)에는 임의의 착색이 이루어진다.
한편 피복층(3)은 기재 수지에 첨가한 것과는 다른 착색제, 예를 들면 동색계의 착색제이지만, 보다 짙은 색조의 착색제를 첨가한 부재료로 형성한다. 즉 용기 본체(2)에는 동색계의 상대적으로 옅은 색조의 착색 처리를 하고, 피복층(3)에는 동색계의 상대적으로 짙은 색조의 착색을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복층(3)에는 피복층 비형성 부위(5)로 향함에 따라 그 두께가 얇아지는 두께 감소부(6)가 형성되어 있다. 피복층(3)이 얇아지면 피복층(3)을 통하여 용기 본체(2)의 표면이 보이게 된다. 이 때문에 피복층(3)이 얇아짐에 따라 용기 본체(2)의 색조가 강하게 나타나고, 그 한편으로 피복층(3)의 짙은 색조는 점점 약해진다. 그리고 피복층(3)이 소실되면 그 부위, 즉 피복층 비형성 부위(5)에서는 용기 본체(2) 그 자체의 색채가 수지제 용기(1)의 표면에서 관찰된다. 이로써 수지제 용기(1)를 높이 방향을 따라 아래에서 위를 향하여 보면 피복층(3)의 짙은 색조의 색채가 서서히 옅은 색조로 변화해 가고, 마지막으로는 용기 본체(2)의 옅은 색조의 색채로 되는 것과 같은 색채의 변화 (농담 변화) 가 두께 감소부(6)에서 관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색조가 다른 동색계의 착색제를 사용하는 이외에도 색조 가 다른 착색제를 사용하여 색채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기재 수지에 청색계의 착색제를 첨가하고, 피복층(3)을 형성하는 부재료에는 적색계의 착색제를 첨가한다. 이에 따라 수지제 용기(1)를 높이 방향을 따라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하여 보면 피복층(3)의 적색계의 색채가 점점 약해져 가는 한편, 청색계의 색채가 강하게 나타나고, 마지막에는 용기 본체(2)의 청색계의 색채로 되는 것과 같은 색채의 변화 (색조의 변화) 가 두께 감소부(6)에서 관찰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재 수지에는 착색제를 첨가하지 않고 용기 본체(2)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색채의 변화는 수지제 용기(1) 그 자체의 색채의 변화로서 관찰된다. 이 때문에 보다 일체감 있는 장식 디자인을 수지제 용기(1)에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재 수지에 첨가하는 착색제와, 부재료에 첨가하는 착색제를 교체하면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반대 색채의 변화가 관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특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용기 본체(2)의 높이 방향의 거의 중앙을 남기고 그 하측부분과 상측부분의 양쪽을 피복층(3)으로 덮도록 하여도 된다. 이 때 상하의 피복층(3)은 같은 색으로 착색되어 있어도 다른 색으로 착색이 되어 있어도 된다. 같은 색으로 착색하면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에서 대칭적인 색채의 변화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1에 도시한 예에서는 두께 감소부(6)가 형성되는 부위를 포함하여 용기 자체의 두께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으나, 두께 감소부(6)가 형성되는 부위의 두께를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2)의 두께를 일정하게 해 두고, 이것에 피복층(3)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피복층(3)이 피복층 비형성 부위(5)를 향하여 서서히 두께를 줄이면서 소실되어 가도록 형성되는 한 상술한 바와 같은 색채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두께 감소부(6)가 형성되는 부위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수지제 용기(1)의 표면에 있어서 용기 본체(2)와 피복층(3)을 거의 균일하게 형성하는 등 수지제 용기(1)와, 수지제 용기(1)에 실시할 장식 디자인과의 일체감이 손상되지 않는 정도의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일체감이 있는 장식 디자인을 용이하게 실현하는 데 있어서는 색채의 변화를 일으키는 두께 감소부(6)가 형성되는 부위에 있어서 용기 자체의 두께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복층 형성부위(4)이든 피복층 비형성 부위(5)이든지에 관계없이 적어도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의 두께를 거의 일정하게 한다. 이로써 통상 사용되고 있는 동종의 용기와, 용기 형상 그 자체는 아무런 변함이 없는 것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1에 도시한 예에서는 도면 작성상 그 단면에 있어서 용기 본체(2)와 피복층(3)과의 경계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양자의 경계가 명확하게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즉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기재 수지와, 피복층(3)을 형성하는 부재료가 일부에 있어서 혼합된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은 블로우 성형으로 수지제 용기(1)를 제조하는 경우, 기재 수지와 부재료와는 다이 헤드내에 있어서 용융상태로 합류한다. 그러므로 양자의 상용성이나 패리슨 형성을 위한 여러 조건 (예를 들면 합류시에 있어서의 기재 수지의 표면고화 정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패리슨 형성 시에 기재 수지와 부재료와의 접촉계면에서 기재 수지와 부재료를 혼융 상태로 할 수 있다. 기재 수지와 부재료가 그 접촉계면에서 서로 혼합된 상태에 있는 패리슨에 브로우 성형을 실시하면 용기 본체(2)와 피복층(3)과의 경계가 명확하게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재 수지와 부재료와의 혼융상태를 적당히 조정하여 용기 본체(2)와 피복층(3)과의 경계가 명확하게 형성되지 않도록 하면 피복층(3)의 단조로운 두께 변화에 따라 색채의 변화를 표현하는 경우에 비하여 색채의 변화를 보다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복층(3)이 소실되는 위치를 미시적으로 관찰했을 때에 피복층(3)이 소실되는 위치는 랜덤으로 나타나고, 연속적으로 (예를 들면, 직선형상으로)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피복층(3)이 소실하기 직전의 부분을 직선적으로 따라 관찰하면 일부에서는 피복층(3)이 잔존하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일부에서는 피복층(3)이 이미 소실되어 있는 것과 같은 상태가 혼재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색채의 보다 연속적인 해조변화(諧調變化)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피복층(3)이 소실되는 위치가 연속적이면, 피복층(3)이 소실되는 위치 를 따라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파선과 같이) 색채의 불연속적인 변화가 선 모양으로 관찰되는 경우도 있다. 즉 두께 감소부(6)에서는 연속적으로 색채가 변화되어 왔으나, 그 변화가 피복층 비형성 부위(5)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2)의 색채에 연속되지 않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그 불연속성이 선 모양으로 관찰되어 버린다. 상술한 양상은 이와 같은 선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양상의 것은 후술할 블로우 성형에 있어서 패리슨을 형성할 때나 그 연신공정 시에 조건을 적당하게 설정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제 용기(1)는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패리슨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나,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패리슨을 즉시 성형하는 용융 블로우 성형에 의한 것이 열경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수지제 용기(1)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는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등, 또는 이들에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환상 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변성 폴리에틸렌 등을 조합한 것 등, 이 종류의 수지제 용기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기재 수지나, 피복층(3)을 형성하는 부재료는 성형성을 고려하여 MI가 0.1~30g/10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부재료의 MI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피복층(3)의 두께 변화의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착색제로서도 유기계, 무기계 또는 광휘성 각종 안료나, 각종 염료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수지와 부재료에 다른 착색제를 첨가함으로써 기재 수지와 부재료와의 성상을 달리하고 있으나, 모두 수지 종류나 그레이드를 기재 수지와 부재료로 적절하게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2)와 피복층(3)에서 기계적 강도 등의 여러 물성을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피복층(3)을 형성하는 부재료로서 기재 수지와는 성상이 다른 수지를 사용하지만, 이와 같은 부재료로서는 기재 수지와는 같은 종류의 수지로 착색상태만이 다른 것, 기재수지와는 다른 종류의 수지로 착색상태도 다른 것, 기재수지와는 조성, 특성, 물성, 첨가제 등이 다른 것 등, 피복층(3)을 형성하는 목적에 따라 어떤 성상이 기재수지와 다르면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2는 제1 변형예의 개략을 도시하고, 도2(b)는 도2(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3은 제2 변형예의 개략을 도시하고, 수지제 용기(1)의 일부를 절결한 일부절결단면도이다. 도4는 제3 변형예의 개략을 도시하고, 도4(b)는 도4(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5는 제4 변형예의 개략을 도시하고, 수지제 용기(1)의 일부를 절결한 일부절결단면도이다. 도6은 제5 변형예의 개략을 도시하고, 도1 중 쇄선으로 둘러싼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한 예에서는 몸통부(2b)의 높이 방향의 거의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의 부분 및 저부(2c)에 피복층(3)을 형성하지만, 피복층(3)은 이와 같은 양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2에 도시한 제1 변형예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피복층(3)을 수지성 용기(1)의 측면(몸통부(2b))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하여도 된다. 특히 도시하지 않으나 피복층(3)의 형상은 이것 이외에도 삼각형상 등 기타 다각형상, 원형상, 별형상, 스트라이프 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지제 용기(1)에 형성하는 위치, 크기, 범위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피복층 비형성 부위(5)가 존재하면 용기 본체(2)의 거의 전체면이 피복층(3)으로 덮여 있어도 된다. 즉 전술한 감소율로 피복층(3)이 서서히 얇아지면서 소실되어 가는 두께 감소부(6)가 존재하는 한 본 실시형태의 범위 내이다.
또한 피복층(3)은 두께 감소부(6)에 있어서 단조롭게 두께를 줄이는 양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3에 도시한 제2 변형예와 같이 일단 두께를 줄인 후에 두께가 늘어나고, 다시 두께를 줄이도록 하는 등 두께 변화를 반복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색채가 반복하여 변화해 가는 모양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피복층(3)은 1종류뿐만 아니라 형상, 크기, 색채 등이 다른 것을 복수 형성하여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색채모양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피복층(3)은 수지제 용기(1)의 표면측에 나타나도록 형성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4에 도시한 제3 변형예와 같이 수지성 용기(1)의 내면측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피복층(3)의 두께가 얇고, 상대적으로 용기 본체(2) 쪽이 두꺼워지는 부분에서는 피복층(3)은 수지제 용기(1)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피복층(3)이 두껍고, 상대적으로 용기 본체(2)쪽이 얇아지는 부위에서는 용기 본체(2)를 통하여 피복층(3)이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양상으로 피복층(3)을 형성하면 피복층(3)이 두꺼워짐에 따라 피복층(3)의 색채 등이 수지제 용기(1)의 표면에 어슴프레하게 관찰된다.
이로써 미묘한 색채의 변화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된 피복층(3)을 수지제 용기(1)의 표면측에 형성한 피복층(3)과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보다 자유도가 높은 색채모양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용기 본체(2)는 어느 정도의 투명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은 것은 수지제 용기(1)의 포면측에 형성되는 피복층(3)과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된 색채모양은 필요에 따라 금형 내면의 요철형상의 전사나 엠보스 가공 등의 적당한 요철부형처리와 조합하거나 스크린 인쇄 등에 의한 인쇄와 조합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5에 도시한 제4 변형예와 같이 수지제 용기(1)에는 그 표면에 클리어층 등의 외층(7)을 적절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내면에도 가스베리어층 등의 내층(8)을 필요에 따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6에 도시한 제5 변형예와 같이 수지제 용기(1)에는 용기 본체(2)의 외면측에 색조조정층(9)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 색조조정층(9)의 외면측에 피복층(3)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제 용기(1)의 가장 내면에는 내층(8)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색조조정층(9)은 피복층 형성부위(4)에서는 피복층(3)으로 덮여 있으나 피복층 비형성 부위(5)에 있어서 외부에 노출하고, 피복층(3)과 함께 수지제 용기(1)의 외관에 나타난다. 그러므로 색조조정층(9)에 의하여 용기 본체(2)와 피복층(3)과의 색조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수지제 용기(1)에 퍼얼감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피복층(3)과 색조조정층(9)에 퍼얼 안료를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택감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피복층(3)과 색조조정층(9)을 광택감이 있는 재료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성형불량이 된 수지제 용기(1)나 바리 등을 분쇄하여 재활용한 재생수지를 새로운 수지에 혼입한 것을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기재수지에 사용한 경우에 색조조정층(9)에 함유시키는 안료나, 사용하는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용기 본체(2)의 색조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색조조정층(9)을 더하여 그라데이션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에는 두께 감소부(6)가 형성되는 부위에 있어서 피복층(3)과 색조조정층(9)의 각각의 높이 방향을 따른 두께의 변화가 서로 역방향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높이 방향을 따라 피복층(3)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가는 데 대하여 색조조정층(9)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지고, 반대로 피복층(3)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가는 데 대하여는 색조조정층(9)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져 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용기 본체(2), 피복층(3), 중간층의 각각의 색채의 조합에 의한 연속적인 그라데이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색조조정층(9)을형성하는 수지에는 특히 제한은 없으나, 수지제 용기(1)의 표면에 인쇄를 할 때의 인쇄적성을 고려하면 색조조정층(9)은 피복층(3)과 같은 수지로부터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2)와 함께 일체로 형성된 피복층(3)의 두께변화만으로 수지제 용기(1)의 표면에 색채변화를 표현하는 것 이 가능하다. 이로써 용기 그 자체에 높은 자유도로 색채나 착색모양에 의한 장식 디자인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얻어지는 장식 디자인은 용기 본체(2)와 일체로 형성되는 피복층(3)에 의하여 실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용기와의 일체감이 있는 장식 디자인이 된다. 이것에 의하여 높은 부가가치를 용기에 부여하고, 소비자에게 보다 호소력 있는 수지제 용기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수지제 용기를 제조하는 데에 적절한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함께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의 1 실시형태를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 주압출기(10)는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기재 수지를 가열용융하여 압출하고, 성형 사이클을 따라 다이 헤드(20)로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다이 헤드(20)는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로부터의 패리슨 컨트롤 프로그램에 의한 지시에 따라 셀(21)과 코어(22)의 간격을 필요에 따라 조정한다. 이로써 셀(21)과 코어(22)의 사이에 개구하는 슬릿부(28)로부터 소정의 두께로 패리슨이 압출된다.
셀(21)에는 피복층(3)을 형성하는 부재료를 다이 헤드(20)내에 공급하는 토출부(23)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부(23)에는 패리슨이 압출되기 직전에 주압출기(10)로부터 공급된 기재 수지에 부재료가 합류하도록 다이 헤드(20)의 선단측에 있어서 셀(21)과 코어(22)의 사이에 개구하는 슬릿부(28)의 근방에 바람직하게는 다이 헤드(20)의 선단으로부터 5㎜ 이내의 범위에 형성한다. 이로써 패리슨에 부재료의 부가 여부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두께로 패리슨을 압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부재료가 토출되고나서 즉시 슬릿부로부터 압출되므로 부재료의 패리슨의 둘레방향에서의 불균일이 없고, 의장적, 기능적으로 뛰어난 수지제 용기(1)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토출부(23)는 코어(22)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개구시키고, 패리슨의 전체 둘레에 부재료를 부가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로써 도1에 도시한 수지제 용기(1)와 같은 양상으로 피복층(3)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코어(22)를 둘러싼 전체 둘레 중에서 일부(한 곳 또는 여러 곳)로부터 부재료를 부가하도록 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코어(22)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개구하는 토출부(23)를 적당한 폐색부재로 부분적으로 막는 등 하면 된다. 이로써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피복층(3)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리슨이 압출되는 방향을 따라 2단으로 토출부(23a, 23b)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토출부(23a, 23b)로부터는 각각 성상이 다른 2종류의 부재료가 공급되도록 하여도 좋으며, 같은 성상의 부재료를 공급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양상으로 할 경우 후술하는 부압출기(30)롤 토출부(23a, 23b)의 각각에 대응시켜서 개별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토출부(23a)로부터는 피복층(3)을 형성하는 부재료를 공급함과 동시에 토출부(23b)로부터는 전술한 바와 같은 클리어층(7) 등을 형성하는 재료를 공급하도록 하여도 된다. 특히 도시하지 않으나, 패리슨의 표면에 클리어층(7) 등을 형성하는 경우 패리슨이 압출된 직후 또는 그 후에 패리슨의 표면에 클리어층(7) 등을 형성하는 재료가 공급되도록 다이 헤드(2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토출부(23)에 대응시켜서 복수의 부압출기(30)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많은 종류의 부재료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재 수지와 부재료가 다이 헤드(20) 내에서 합류하도록 토출부(23)가 형성되어 있는 한, 다이 헤드(20)의 구체적인 구조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이외에도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전식 다이 헤드(20)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슬릿형상의 토출부(23 (슬릿(24))가 코어(22)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고정 다이부(21a)와 회전 다이부(21b)에 의하여 다이 헤드(20)를 구성하고, 양자의 간격에 의하여 토출부(23)를 형성한다. 도12(도11의 C-C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부(23)의 일부를 폐색부재(21c)로 부분적으로 막는다. 폐색부재(21c)는 회전 다이부(21b)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슬릿(24)이 형성된다. 슬릿(24)은 복수라도 된다.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기어(25)에 의하여 회전 다이부(21b)는 코어(2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슬릿(24)이 코어(2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식 다이 헤드(20)를 사용하면 그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피복층(3)을 보다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이 헤드(20)에 공급된 부재료는 코어(22)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듯이 형성된 환상부(26)와, 이 환상부(26)로부터 토출부(23)에 연속하는 거의 원뿔형상으로 형성된 간격으로 이루어진 보빈 형상부(27)를 거쳐서 토출부(23)에 이른다 (도7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부재료는 환상부(26)를 만족시키면서 보빈 형상 부(27)로 흘러 들어가 토출부(23)로 공급된다.
따라서, 토출부(23)를 코어(22)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개구시킨 경우, 부재료를 다이 헤드(20)에 공급하는 후술하는 연통로(44)에 가까운 도7에 있어서 코어(22)의 오른쪽에 개구하는 부분과, 연통로(44)로부터 먼 왼쪽에 개구하는 부분으로 부재료가 토출하는 타이밍에 어긋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즉 상기 오른쪽에 개구하는 부분에 비하여 상기 왼쪽에 개구하는 부분으로부터의 부재료의 토출이 늦어진다.
이와 같은 타이밍의 어긋남은 부재료가 긍급되는 쪽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토출부(23)에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도록, 환상부(26)를 수평면에 대하여 도7에 있어서 왼쪽 아래로 기울어지게함으로써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를 대신하여 또는 이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환상부(26)의 지름을 크게 하는 등으로 부재료가 환상부(26)를 채운 후, 환상부(26)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균등하게 보빈 형상부(27)로 흐르기 시작하도록 하거나, 환상부(26) 및/또는 보빈 형상부(27)의 적당한 부위를 좁혀서 부재료의 유속을 좁혀진 부위마다 조정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부재료의 토출 타이밍의 흐름을 해소함으로써 피복층 형성부위(4)와 피복층 비형성 부위(5)와의 경계를 둘레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이와 같은 부재료의 토출 타이밍의 어긋남을 의도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피복층(3)의 형상에 따라 변화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3에 개략을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 헤드(20)로부터 압출되어, 소정 위치 에 피복층(3)을 형성하는 부재료(3a)가 부가된 패리슨(1a)은 한 쌍의 금형(60a, 60b) 사이로 보내진다. 패리슨(1a)이 금형(60a, 60b) 사이에 보내지면 금형(60a, 60b)이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몰드 크램핑 동작이 이루어진다. 몰드 크램핑 동작 완료 후, 금형 내에 가압 공기를 분사하여 블로우 성형을 한다. 이로써 용기 본체(2)의 일부를 덮는 피복층(3)이 용기 본체(2)와 일체로 형성된 중공형상의 수지제 용기(1)가 얻어진다.
또한 주압출기(10)로부터의 기재수지의 공급은 성형 사이클에 따라 적당하게 제어되지만, 패리슨 압출 직후에 블로우 성형을 할 경우 주압출기(10)로부터의 기재수지의 공급은 성형의 타이밍과 동기하도록 제어된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패리슨(1a)이 압출되는 하류측이 용기의 저부측이 되도록 금형(60a, 60b)을 세트하고 있다. 수지제 용기(1)에 실시하는 장식 디자인에 따라서는 금형(60a, 60b)의 상하를 반대로 하여도 된다. 즉 특히 도시하지 않으나 패리슨(1a)이 압출되는 상류측이 용기의 저부측이 되도록 금형(60a, 60b)를 세트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13에 도시한 예는 높이 방향의 거의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에 피복층(3)이 형성된 수지제 용기(1)(도1 참조)를 제조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으나, 금형(60a, 60b)의 상하를 역전시키면 높이 방향의 거의 중앙으로부터 위쪽으로 피복층(3)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금형(60a, 60b)의 상하를 역전시키는 것은 로트마다 할 수도 있으나 동일한 로트로 임의로 금형(60a, 60b)의 상하를 역전시킬 수 있는 가능한 회전기구를 구비하여도 된다.
한편 전술한 수지제 용기(1)의 예에 있어서 기재수지에 첨가하는 착색제와, 부재료에 첨가하는 착색제를 교체하면 반대의 색채변화가 관찰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피복층(3)의 두께 변화의 방향은 바뀌지 않으므로, 전혀 반대의 색채변화가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샴푸용 용기와 린스용 용기를 같은 방향을 따라 관찰하면, 삼푸용 용기와 린스용 용기로 대칭적인 전혀 반대의 색채변화가 관찰되도록 하여, 양자의 구별을 짓는 경우에는 충분하지 않다. 금형(60a, 60b)의 상하를 역전시키면 피복층(3)의 두께가 변화하는 방향 자체가 역방향이 된다. 이로써 대칭적인 전혀 반대의 색채변화를 표현할 수 있고, 상술한 것과 같은 경우에도 충분히 대응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에서는 피복층(3)을 형성하는 부재료의 공급이 1회 형성 사이클마다 실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하여 공급된다.
또한 1회 형성 사이클이란 1개의 수지제 용기(1)가 형성된 후 다음 수지제 용기(1)가 형성될 때까지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도7에 있어서 다이 헤드(20)내에서 기재수지에 합류시키는 부재료는 부압출기(30)로부터 공급된다. 부압출기(30)는 전환부(41)에 접속되어 있고, 용융한 소정량의 부재료를 간헐적으로 압출한다. 전환부(41)는 저장부(40)의 일부를 구성하고, 전환 밸브(45)에 의하여 부재료의 저장과 공급의 전환을 실시한다.
부압출기(30)로부터 압출된 부재료는 저장부(40)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저 장부(40)는 2개의 어큐무레이터(42, 43)를 구비한다. 전환부(41)의 전환밸브(45)는 부압출기(30)와 어큐무레이터(42, 43)와의 사이, 및 어큐무레이터(42, 43)와 연통로(44)와의 사이에 접속, 전환을 교대로 실시한다. 연통로(44)는 저장부(40)와 다이 헤드(20)를 연결한다.
저장부(40)에 축적된 부재료는 연통로(44)를 지나 다이 헤드(20)의 토출부(23)에 공급된다. 이 때 부재료의 공급은 2개의 어큐무레이터(42, 43)으로부터 교대로 간헐적으로 이루어진다.
전환밸브(45)와 어큐무레이터(42, 43)의 동작도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부터의 패리슨 컨트롤 프로그램에 의하여 지시에 따라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부압출기(30)로부터 용융압출된 부재료를 전환밸브(45)를 통하여 한쪽의 어큐무레이터(42)에 충전한다. 그리고 주압출기(10)로부터 기재수지가 압출되고, 부재료를 합류시키고자 하는 부위가 다이 헤드(20)의 출구 부근에 가까워지면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전환밸브(45)가 전환된다. 이것과 함께 어큐무레이터(42)가 작동한다. 이어서, 어큐무레이터(42)에 충전되어 있던 부재료가 연통로(44)를 통하여 다이 헤드(20)의 토출부(23)에 공급된다. 이로써 다이 헤드(20)내에서 부재료가 기재수지에 합류하여 소정 부위에 부재료가 부가된 패리슨이 압출된다.
이 때 전환밸브(45)는 한쪽 어큐무레이터(42)와, 연통로(44)를 접속함과 동시에 다른 쪽의 어큐무레이터(43)와, 부압출기(30)을 접속한다 (도7에 도시한 상태). 이로써 부압출기(30)로부터 압출된 부재료가 어큐무레이터(43)에 충전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부압출기(30)로부터 두개의 어큐무레이터(42, 43)에, 교대로 부재료가 저장되고, 또한 어큐무레이터(42, 43)으로부터 교대로 다이 헤드(20)의 토출부(23)에 소정량의 부재료가 공급된다.
여기서 전환밸브(45)의 전환동작은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로 하고, 2개의 어큐무레이터(42, 43)의 동작은 각각의 실린더(42a, 43a) 등으로 실시한다.
이 때 어큐무레이터(42, 43)의 작동속도를 조정함으로써 부재료의 공급속도, 즉 패리슨에의 부재료를 부가하는 양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피복층(3)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피복층(3)에 전술한 바와 같은 감소율로 피복층(3)의 두께를 연속적으로 감소시키는 두께 감소부(6)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부재료의 공급속도의 미세한 조정을 요한다. 특히 피복층(3)이 두께를 줄이면서 소실되어 가는 경우에는 피복층(3)을 소실시키기 직전에 있어서의 부재료의 공급속도의 미세한 조정이 곤란해지며, 토출부(23) 부근의 부재료가 기재수지의 흐름에 끌려서 부재료의 공급량을 줄일 수가 없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피복층(3)의 두께를 의도한 대로 감소시킬 수가 없거나, 피복층(3)의 두께가 감소하지 않고 반대로 두꺼워져 버리거나 한다. 또한 토출부(23)로부터 압출시켜야 하는 부재료가 토출부(23) 부근에 머물러 피복층(3)의 두께가 의도한 것 이상으로 감소해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피복층(3)이 소실하기 직전의 부위에서 일정한 농도의 범위가 이어져 버리거나, 피복층(3)의 색채변화가 용기 본체(2)의 색채에 연속되지 않고 피복층 형성부위(4)와 피복층 비형성 부위(5)와의 사이에서 그라데이션 변화의 연속 성이 상실되어 버리거나 하여 그라데이션 변화가 도중에 끊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생산 능률면에서 성형 사이클을 빠르게 하였을 때에 특히 현저해진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는 다이 헤드(20)의 토출부(23)로부터 부재료를 토출시켜서 기재수지에 합류시킴에 있어서 임의의 타이밍으로 부압출기(30)로부터 다이 헤드(20)로 공급되는 부재료의 공급로, 즉 연통로(44)내의 수지압을 조정하여 다이 헤드(20)의 토출부(23)로부터 부재료를 되돌리는 후방흡입 제어(60)를 실시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와 같은 후방흡입 제어는 예를 들면 어큐무레이터(42, 43)로부터 부재료를 공급한 후에 각각의 실린더(42a, 43a)를 반대로 동작시킴으로써 연통로(44)내의 부재료를 어큐무레이터(42, 43)내에 되돌리도록 하여 어큐무레이터(42, 43)를 후방흡입 기구로서 기능시키도록 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7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어큐무레이터(42)로부터 부재료를 공급한 후에 피스톤(42b)을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동작시켜서 부재료를 어큐무레이터(42, 43)내에 되돌리도록 하면 된다.
또한 연통로(44)가 긴 경우 등에는 어큐무레이터(42, 43)을 후방흡입 기구로서 기능시켜도 부재료를 다이 헤드(20)의 토출부(23)로부터 되돌리는 데에 어느 정도의 시간을 요하고, 후방흡입 제어의 효과를 즉시 얻기 어려운 것이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 헤드(20)에 치우친 위치에 제2 후방흡입 기구(6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제2 후방흡입 기구(60)는 연통로(44)내의 부재료를 흡인하여 연통로(44)내의 수지압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구성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60a)에 의하여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피스톤(60b)를 동작시켜서 연통로(44)내의 부재료를 흡인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후방흡입 기구(60)는 다이 헤드(20)의 근처에 형성할수록 후방흡입 제어가 민감하게 작용한다. 그러나 그만큼 연통로(44)내의 수지압의 감소율이 커져 버리고, 이에 따라 다이 헤드(20)의 토출부(23)로부터 필요 이상의 부재료가 되돌려지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피복층(3)의 두께 감소율이 커져서 원하는 그라데이션 변화를 얻을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방흡입 제어는 어큐무레이터(42, 43)와 제2 후방흡입 기구(60)를 병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어큐무레이터(42, 43)에 의한 둔감한 후방흡입 제어와, 제2 후방흡입 기구(60)에 의한 민감한 후방흡입 제어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그 적용범위를 한층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후방흡입 제어는 얻으려고 하는 그라데이션 변화 등에 따라 임의의 타이밍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연통로(44) 내의 수지압이 부재료를 기재수지에 합류시킬 때의 최고수지압의 70~15%로 감소할 때까지 적어도 1회 이상의 후방흡입 제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압이 상기 범위로 감소하기 전에 후방흡입 제어를 하면 필요 이상의 부재료를 토출부(23)로부터 되돌려 버리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상기 범위보다도 수 지압이 감소한 후에 후방흡입 제어를 실시한 것으로는 후방흡입 제어의 효과를 얻기 어려워져 버린다. 그 결과 피복층(3)의 두께를 의도한 대로 감소시키는 것이 곤란해져 버리고, 연속적인 그라데이션 변화를 얻기 어려워져 버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부재료가 토출부(23)로부터 토출함으로써 연통로(44)내의 수지압은 서서히 감소하고, 그 감소율도 수지압의 감소에 수반하여 작아져 간다. 후방흡입 제어는 이 때의 수지압의 단위시간당 감소율이 최대감소율의 10% 이하가 될 때까지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타이밍을 놓친 경우에도 후방흡입 제어의 효과를 얻기 어려워져 버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연통로(44)내의 수지압의 감소율이 필요 이상으로 커져 버리면, 토출부(23)로부터 되돌려지는 부재료가 과도하게 많아져 버리는 경향에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향은 제2 후방흡입 기구(60)에 의한 후방흡입 제어만을 실시하였을 때에 현져해진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후방흡입 제어 후의 연통로(44)내의 수지압의 감소율은 후방흡입 제어 전의 수지압의 감소율의 5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어큐무레이터(42, 43)과, 제2 후방흡입 기구(60)를 병용하여 후방흡입 제어를 실시함과 동시에 병용하는 2개의 후방흡입 기구 각각이 연통로(44)내의 부재료를 흡인하는 양(후방흡입량)을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후방흡입 제어 후의 수지압의 변화율이 과도하게 커져 버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2 후방흡입 기구(60)에 의한 후방흡입량을 적게 설정하고, 후방흡입 제어의 초기단계에서 제2 후방흡입 기구(60)에 의한 민감한 후방흡입 제어를 하고, 이어서 어큐무레이터(42, 43)에 의한 후방흡입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연통로(44)내의 수지압의 감소율이 극단적으로 커져 버리는 것을 피하면서 연통로(44)내의 수지압을 임의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부재료 공급속도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8에, 도7에 도시한 제조장치에 있어서 후방흡입 제어를 실시하지 않았던 경우와, 후방흡입 제어를 실시한 경우에 있어서의 연통로(44)내의 수지압 변화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8a의 그래프는 후방흡입 제어를 실시하지 않은 때의 연통로(44)내의 수지압 변화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수지압은 연통로(44)의 다이(20) 근방 부위에서 측정하였다.
도8b의 그래프는 어큐무레이터(42, 43)에 의한 후방흡입 제어만을 실시하였을 때의 것이며, 도8c의 그래프는 제2 후방흡입 기구(60)에 의한 후방흡입 제어만을 실시하였을 때의 것이다. 또한 도8(d)의 그래프는 어큐무레이터(42, 43)에 의한 후방흡입 제어와, 제2 후방흡입 기구(60)에 의한 후방흡입 제어를 병용하였을 때의 것이다.
또한 도시하는 그래프에 있어서 종축은 수지압, 횡축은 시간이며, 어큐무레이터(42, 43)에 의한 부재료의 공급개시시점을 ta, 어큐무레이터(42, 43)에 의한 후방흡입 제어 개시시점을 tb, 제2 후방흡입 기구(60)에 의한 후방흡입 제어개시시점을 tc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8(a)~(d)의 그래프를 겹친 것을 도9에 도시한다.
후방흡입 제어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통로(44)내가 항상 양압상태가 되어 있는 데에 대하여(도8(a) 참조), 후방흡입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부재료의 공급이 완료한 후에는 연통로(44)내의 양압상태가 해소된다(도8(b)~(d) 참조).
또한 도8(b)의 그래프와, 도8(c)의 그래프를 대비하면 제2 후방흡입 기구(60)에 의한 후방흡입 제어를 개시하고나서의 수지압의 감소율이 어큐무레이터(42, 43)에 의한 후방흡입 제어만을 실시하였을 때에 비하여 커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8(d)의 그래프에 있어서 제2 후방흡입 기구(60)에 의한 후방흡입량은 제2 후방흡입 기구만에 의한 후방흡입 제어를 실시하였을 때의 후방흡입량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하고 있으나, 제2 후방흡입 기구(60)에 의한 후방흡입 제어 이후에 어큐무레이터(42, 43)에 의한 후방흡입 제어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그 감소율이 극단적으로 커지지 않고 연통로(44) 내의 수지압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부압출기(30)로서는 소정의 조작을 따라서 정량씩 수지를 압출하는 압출기뿐만 아니라 일정간격으로 정량의 수지를 압출하는 왕복이동형 스크류를 구비한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부압출기(30)의 스크류의 전진 후퇴 운동은 전환밸브(45)의 동작과, 어큐무레이터(42, 43)의 동작과 동기하여 제어된다. 또한 부압출기(30)로서는 수지를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예에서는 일정량의 부재료가 간헐적으로 다이 헤드(20)에 공급되지만, 부재료의 공급이 1회의 성형 사이클마다 실시되는 한 부재료의 공급은 연속적 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부(40)를 기어펌프(50)로 치환하여 부압출기(30)로부터 압출되는 부재료의 유속을 제어하여 연속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어펌프(50)는 기어 케이스(51)와 2개의 기어(52a, 53a)를 구비한다. 기어(52a, 53a)는 도면 중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맞물리면서 회전하다. 유입부(54)에 있어서 두개의 기어(52a, 53a)의 맞물림이 멀어지면 부압출기(30)로 부터 공급된 부재료가 기어홈(52b, 53b)내로 들어간다.
기어홈(52b, 53b) 내로 들어간 부재료는 기어 케이스(51)와 기어홈(52b, 53b)과의 사이에 유지되어 기어(52a, 53a)의 회전에 따라 그 회전방향, 즉 도면 중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을 따라 유출부(55)로 운반된다. 유출부(55)에 있어서 기어(52a, 53a)의 톱니가 재차 맞물리면 기어홈(52b, 53b) 내의 부재료가 압출되어 유출부로 점차 공급된다.
이와 같은 기어펌프(50)를 사용하면 부압출기(30)로부터의 부재료의 압출량과, 기어(52a, 53a)의 회전속도를 적당하게 조정함으로써 다이 헤드(20)에 공급하는 부재료의 유속을 제어하면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어(52a, 53a)를 역전시킴으로써 후방흡입 제어도 가능하다.
본 장치를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보다 높은 자유도로써 피복층(3)의 두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회전식 다이 헤드(20)와 조합하면 피복층(3)의 형상을 보다 한층 복잡한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개략을 도시하고, 수지제 용기(1)의 일부를 절결한 일부절결단면도이다.
도시하는 수지제 용기(1)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샴푸용 용기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수지제 용기(1)에는 용기 본체(2)를 덮는 피복층(3)이 형성되어 있으나, 제1 실시형태와는 다르고, 피복층(3)이 형성되는 위치는 용기의 전체면이다.
피복층(3)에는 서서히 두께를 줄여가는 박육부분(두께가 얇은 부분,(6a))이 형성되어 있다. 박육부분(6a)에서는 피복층(3)이 서서히 얇아짐에 따라서 피복층(3)을 투명하게 하여 용기 본체(2)의 표면이 보인다. 이로써 색채의 변화가 발현되는 것은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두께 감소부(6)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형태의 박육부분(6a)은 제1 실시형태의 두께 감소부(6)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박육부분(6a)은 상기 현상을 발현하는 부분으로서 피복층(3)의 기타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된 피복층(3)의 소정범위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 박육부분(6a)과 기타 피복층(3)과의 경계를 파선으로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는 피복층(3)이 소실되지 않는 것으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박육부분(6a)에서는 피복층(3)이 서서히 얇아진 후 그대로 두께를 유지하거나 두께가 서서히 증가해 간다. 두께를 증가시킨 후에 다시 얇아지듯이 두께 변화를 반복 하여도 된다. 피복층(3)이 서서히 얇아지면서 소실되고, 피복층 비형성 부위(5)가 형성되는 것은 예를 들면 피복층(3)이 용기 본체(2)의 거의 전체면을 덮는 것이라도 제1 실시형태의 범위 내인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15에 도시한 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지제 용기(1)에는 용기 본체(1)의 전체면을 덮는 피복층(3)이 형성되어 있다. 높이방향의 거의 중앙에는 수지제 용기(1)의 둘레방향을 따라 띠형상의 박육부분(6a)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단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제 용기(1)를 높이방향 아래로부터 위로 관찰하면 피복층(3)은 서서히 두께를 줄인 후에 일정 두께를 유지하고, 그 후에 두께가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이것은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제3 변형예에 있어서 용기본체(2)와 피복층(3)과의 위치관계를 바꾼 것에 거의 해당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3 변형예와 동일한 색채변화를 박육부분(6a)에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보다 일체감 있는 장식디자인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통상 사용되고 있는 동종의 용기와 용기형상 그 자체는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피복층 형성부위(4)거나 피복층 비형성 부위(5)에 관계없이 용기 자체의 두께를 거의 일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한 이유에서 박육부분(6a) 여부에 관계없이 적어도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의 두께를 거의 일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가 제1 실시형태와 크게 다른 것은 이상의 점이며, 그 이외는 거 의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다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지제 용기(1)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상기한 제조장치에 의하여 적절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용기 본체(2)와 함께 일체로 형성된 피복층(3)의 두께 변화만으로 수지제 용기(1)의 표면에 색채변화를 표현할 수 있다. 이로써 용기 그 자체에 높은 자유도로 색채나 착색모양에 의한 장식 디자인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얻어진 장식 디자인은 용기 본체(2)와 일체로 형성되는 피복층(3)에 의하여 실현되는 것이므로, 더욱 용기와의 일체감이 있는 장식 디자인이 된다. 이로써 높은 부가가치를 용기에 부여하고, 소비자에게 호소력 있는 수지제 용기가 얻어진다.
[제3 실시형태]
이상 설명해 온 제1 및 제2 실시형태는 의장적 효과를 발휘시킴으로써 수지성 용기에 높은 부가가치를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는 기능적 효과를 발휘시킴으로써도 높은 부가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제3 실시형태로서 후자의 예를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수지제 용기의 개략을 도시하고, 수지제 용기(1)의 일부를 절결한 일부절결단면도이다. 도시하는 수지제 용기(1)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샴푸용 용기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수지제 용기(1)에는 용기 본체(2)를 부분적으로 덮는 피복층(3)이 형성되어 있으나, 제1 실시형태와 는 다르고, 피복층(3)이 형성되는 위치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의 저부(2c) 및 그 근방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2)를 형성하는 기재 수지에는 특별한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통상 이 종류의 수지제 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수지를 그대로 사용한다. 한편, 피복층(3)을 형성하는 부재료는 기재수지와 같은 수지에 항균제를 첨가함으로써 기재수지와 성상을 달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가 제1 실시형태와 크게 다른 것은 이상의 점이며, 그 이외는 거의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다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지제 용기(1)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전술한 제조장치에 의하여 적절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로서 예시하는 샴푸용 용기는 목욕탕 등의 고습환경 하에서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되는 것이며, 곰팡이가 생겨 버리는 경우도 많다. 곰팡이가 생긴 용기를 그대로 방치하면 비위생적이며, 외관상으로도 불쾌하다. 이와 같은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는 용기를 형성하는 수지에 항균제를 첨가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항균제는 고가이며, 용기의 코스트 증가를 피할 수 없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곰팡이가 생기기 쉬운 용기의 저부 및 그 근방에 항균제를 함유하는 피복층(3)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이로써 코스트 증가를 억제하고, 소량의 항균제로 보다 효과적인 항균작용이나 항곰팡이 작용을 발휘하는 부가가치가 높은 수지제 용기(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곰팡이가 생기기 쉬운 것은 용기의 저부 및 그 근방이지만, 용기 측면 에서도 전혀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만일 용기 측면에 곰팡이가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본 실시형태의 수지제 용기(1)는 곰팡이가 생기는 부분과, 항균제의 항곰팡이 작용에 의하여 곰팡이의 발생이 억제되고 있는 부분이 명료하게 관찰되어 버리는 경우는 없다. 즉, 항균제가 첨가된 피복층(3)은 두께 감소부(6)에 있어서 그 두께가 서서히 얇아져 가기 때문에 이에 따라 항곰팡이 작용도 점점 약해져 간다. 이와 같은 피복층(3)의 두께변화가 없으면 항곰팡이 작용을 발휘하는 부분과, 발휘하지 않는 부분과의 경계가 명확해 지고, 곰팡이의 발생여부로 명료한 경계가 나타나서, 매우 불쾌해저 버리는 문제가 고려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수지와 부재료와는 항균제의 첨가 여부만이 상이하다. 그러므로 외관상으로 피복층 형성부위(4)와 피복층 비형성 부위(5)와의 구별이 되지 않고, 통상의 용기와 아무런 차이가 없다. 이로써 소비자에게 의외성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기능적 효과에 따라 높은 부가가치를 용기에 부여하고, 소비자에 대하여 보다 호소력 있는 수지제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샴푸용 용기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식료품, 음료품 등의 식품류, 미용비누 등 외 위생용품, 화장품류, 의약품류 등의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샴푸용 용기 등의 비교적 강성이 있는 용기에 한정하지 않고 유연성을 구비한 용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우수한 의장적 효과 또는 기능적 효과에 의하여 높은 부가가치를 용기에 부여하고, 소비자에 대하여 보다 호소력 있는 수지제 용기,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1)
-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패리슨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제조되는 수지제 용기로서,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는 피복층을 적어도 구비하고,상기 피복층이 높이 방향을 따라 0.1~1.5㎛/㎜의 감소율로 연속적으로 두께를 줄이는 두께 감소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감소부가 용기 몸통부의 높이 방향의 길이 1/4 이상을 차지하는 범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
-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이 두께를 줄이면서 소실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 피복층의 소실부위로부터 그 직전의 높이 방향 30㎜의 범위에 있어서의 상기 피복층의 두께 감소율이 0.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외면측에 색조조정층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색조조정층의 외면측에 상기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감소부가 형성되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과 상기 색조조정층의 각각의 높이 방향을 따른 두께의 변화가 서로 역방향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과 상기 색조조정층이 같은 수지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과 상기 색조조정층이 퍼얼 안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의 가장 내면에 내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의 가장 외면에 외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수지, 및 상기 부재료의 MI가 0.1~3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에 상기 용기본체에 실시한 착색과 동색계가 다른 색조의 착색을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성 용기.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에 상기 용기본체에 실시한 착색과 다른 색조의 착색을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성 용기.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에 항균제를 함유시 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성 용기.
-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기재수지를 주압출기로부터 연속 공급함과 동시에 부압출기로부터 공급되는 부재료를 다이 헤드내에 설치한 토출부로부터 토출시켜서 상기 기재수지에 합류시킨 후에 상기 다이 헤드의 선단측에 개구하는 슬릿부로부터 패리슨을 압출하고, 상기 패리슨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는 피복층이 상기 부재료에 의하여 형성된 수지제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상기 부재료를 상기 기재수지에 합류시킬 때에 상기 부재료를 상기 토출부로부터 되돌리는 후방흡입 제어를 임의의 타이밍으로 실시함으로써 상기 부압출기로부터 공급되는 부재료의 공급로에 있어서의 수지압을 조정하면서 연속적으로 두께를 줄이는 두께 감소부를 상기 피복층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의 공급로에 있어서의 수지압이 상기 부재료를 상기 기재수지에 합류시킬 때의 최고수지압의 70~15%로 감소할 때까지 적어도 1회 이상의 후방흡입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
- 제14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의 공급로에 있어서의 수지압의 단위시간당 감소율이 최대감소율의 10% 이하가 될 때까지 후방흡입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
-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방흡입 제어 후의 상기 부재료의 공급로에 있어서의 수지압의 감소율이 후방흡입 제어 전의 감소율의 5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
-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리슨의 압출방향에 대하여 성형틀의 상하를 역전시킴으로써 상기 피복층의 두께가 변화하는 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
- 기재수지를 공급하는 주압출기와, 부재료를 공급하는 부압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부압출기로부터 공급되는 부재료를 다이 헤드내에 형성한 토출부로부터 토출시켜서 상기 주압출기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기재수지에 합류시킨 후에 상기 다이 헤드의 선단측에 개구하는 슬릿부로부터 패리슨을 압출하여 상기 패리슨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상기 기재수지에 의하여 형성되는 용기 본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는 피복층이 상기 부재료에 의하여 형성된 수지제 용기를 제조하는 장치이며,상기 부압출기와 상기 다이 헤드와의 사이에 상기 부재료를 상기 토출부로부터 되돌리는 후방흡입 기구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상기 다이 헤드에는 상기 토출부가 상기 슬릿부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헤드에는 상기 부재료가 공급되는 측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토출부에 상대적으로 가깝도록 형성된 환형상부와, 상기 환형상부로부터 상기 토출부에 연속된 추형상부로 이루어진 상기 부재료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
- 제19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헤드에 가까운 위치에 제2의 후방흡입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220444 | 2004-07-28 | ||
JPJP-P-2004-00220444 | 2004-07-28 | ||
PCT/JP2005/013860 WO2006011565A1 (ja) | 2004-07-28 | 2005-07-28 | 樹脂製容器、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及び樹脂製容器の製造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3208A true KR20070053208A (ko) | 2007-05-23 |
KR101280765B1 KR101280765B1 (ko) | 2013-07-05 |
Family
ID=3578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01930A KR101280765B1 (ko) | 2004-07-28 | 2005-07-28 | 수지제 용기,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 및 수지제 용기의제조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3) | US20080063823A1 (ko) |
EP (2) | EP1772385B1 (ko) |
JP (2) | JP4924036B2 (ko) |
KR (1) | KR101280765B1 (ko) |
CN (1) | CN100564169C (ko) |
AT (2) | ATE495981T1 (ko) |
DE (1) | DE602005026011D1 (ko) |
WO (1) | WO2006011565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0689B1 (ko) * | 2008-06-27 | 2010-09-07 | 애경산업(주) | 다색조 용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098837A1 (de) * | 2006-02-27 | 2007-09-07 | Alpla-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 Herstellverfahren für extrusionsgeblasene kunststoffflaschen und extrusionsgeblasene kunststoffflasche |
DE102006034318C5 (de) * | 2006-07-21 | 2011-02-24 | Henkel Ag & Co. Kgaa | Mehrschichtige Verpackung |
US7959426B2 (en) | 2007-09-27 | 2011-06-14 | Graham Packaging Company, L.P. | Apparatus for producing a multi-layer parison having a layer of varying thickness |
IT1397716B1 (it) * | 2009-02-05 | 2013-01-24 | Lumson Spa | Contenitore con decorazioni in rilievo |
US9125018B2 (en) * | 2009-02-09 | 2015-09-01 | Qualcomm Incorporated | Triggered location services |
CN101537900B (zh) * | 2009-04-24 | 2010-12-08 | 广东欧亚包装股份有限公司 | 变壁铝质包装罐、其制造方法及专用模具 |
EP2384984B8 (en) * | 2010-05-06 | 2013-09-25 | Clariant Masterbatches (Italia) S.p.A. |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ultilayer blow-molded hollow articles, and such a multilayer blow-molded hollow article |
DE102010036103B4 (de) * | 2010-09-01 | 2018-11-08 | Inotech Kunststofftechnik Gmbh | Mehrkomponenten-Spritzguss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ülsenförmigen Vorformlings und Vorformling |
JP5382162B2 (ja) * | 2012-04-10 | 2014-01-08 | 東洋製罐株式会社 | 加飾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容器 |
CA2934929C (en) * | 2013-12-27 | 2019-06-25 | Nippon Paint Automotive Coatings Co., Ltd. | Method of forming multilayer coating film |
WO2017156384A1 (en) * | 2016-03-11 | 2017-09-14 | Ring Container Technologies | Method of manufacture of a container |
EP3463862A1 (en) * | 2016-05-31 | 2019-04-10 | SIG Technology AG | Laminate for dimensionally stable foodstuff containers having an outer polymer layer with a reflectance |
CN106476245A (zh) * | 2016-10-14 | 2017-03-08 | 宁波志达汽车部件有限公司 | 一种双色出气管的加工设备和制备方法 |
US11040475B2 (en) | 2017-09-08 | 2021-06-22 | Graham Packaging Company, L.P. | Vertically added processing for blow molding machine |
CN115256872B (zh) * | 2022-03-17 | 2023-11-17 | 鹿啄泉矿泉水有限公司 | 具有颜色渐变效果的瓶体以及瓶坯成型工艺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29752A (en) * | 1963-10-07 | 1967-07-04 | Owens Illinois Inc | Method for making plastic articles |
JPS5314105B2 (ko) * | 1973-05-24 | 1978-05-15 | ||
JPS5453088A (en) * | 1977-10-03 | 1979-04-26 | Toppan Printing Co Ltd | Multilayer container with appearance of different hues and method of making said container |
JPS5862634A (ja) * | 1981-10-12 | 1983-04-14 | Nippon Kogaku Kk <Nikon> | 電子閃光装置 |
JPS5862634U (ja) * | 1981-10-22 | 1983-04-27 | 凸版印刷株式会社 | 呈色性多層容器 |
JP2510101B2 (ja) * | 1991-07-03 | 1996-06-26 | 株式会社ジャパニック | 屎尿処理装置 |
AUPO617497A0 (en) * | 1997-04-14 | 1997-05-08 | Jacobs, Ian Orde Michael | Injection moulding |
JP2000117818A (ja) * | 1998-10-14 | 2000-04-25 | Tigers Polymer Corp | 複合パリソンの成形方法および装置 |
JP4186275B2 (ja) * | 1998-10-30 | 2008-11-26 | 阪神化成工業株式会社 | 多層薄肉容器 |
JP2000203587A (ja) * | 1999-01-19 | 2000-07-25 | Toppan Printing Co Ltd | 汚染防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JP3464405B2 (ja) * | 1999-02-18 | 2003-11-10 | 阪神化成工業株式会社 | 多層薄肉容器 |
JP3982173B2 (ja) * | 2000-12-05 | 2007-09-26 | 東洋製罐株式会社 | プラスチック製容器の製造方法 |
US6547995B1 (en) * | 2001-09-21 | 2003-04-15 | Stratasys, Inc. | Melt flow compensation in an extrusion apparatus |
JP2003211523A (ja) * | 2002-01-29 | 2003-07-29 | Toyo Seikan Kaisha Ltd | プラスチック製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成形装置 |
US20050287323A1 (en) * | 2002-09-05 | 2005-12-29 | Yoshino Kogyosho Co., Ltd. | Laminated formed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rmed body |
JP4334204B2 (ja) * | 2002-11-21 | 2009-09-30 | メルク株式会社 | 高輝度高彩度虹彩顔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2005
- 2005-07-28 JP JP2006527853A patent/JP4924036B2/ja active Active
- 2005-07-28 EP EP05767420A patent/EP1772385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5-07-28 CN CNB2005800238381A patent/CN100564169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7-28 DE DE602005026011T patent/DE602005026011D1/de active Active
- 2005-07-28 EP EP10000449A patent/EP2186737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5-07-28 WO PCT/JP2005/013860 patent/WO200601156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07-28 AT AT05767420T patent/ATE495981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7-28 US US11/629,621 patent/US2008006382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07-28 AT AT10000449T patent/ATE525296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7-28 KR KR1020077001930A patent/KR10128076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
- 2009-02-13 US US12/379,140 patent/US793530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2-13 US US12/379,141 patent/US789196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9-28 JP JP2011213121A patent/JP5321663B2/ja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0689B1 (ko) * | 2008-06-27 | 2010-09-07 | 애경산업(주) | 다색조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TE525296T1 (de) | 2011-10-15 |
JP2012035915A (ja) | 2012-02-23 |
ATE495981T1 (de) | 2011-02-15 |
CN1984815A (zh) | 2007-06-20 |
US7891963B2 (en) | 2011-02-22 |
KR101280765B1 (ko) | 2013-07-05 |
US20090206523A1 (en) | 2009-08-20 |
DE602005026011D1 (de) | 2011-03-03 |
EP2186737B1 (en) | 2011-09-21 |
WO2006011565A1 (ja) | 2006-02-02 |
US20080063823A1 (en) | 2008-03-13 |
CN100564169C (zh) | 2009-12-02 |
JP4924036B2 (ja) | 2012-04-25 |
EP2186737A1 (en) | 2010-05-19 |
EP1772385B1 (en) | 2011-01-19 |
US20090208599A1 (en) | 2009-08-20 |
EP1772385A4 (en) | 2009-07-08 |
JPWO2006011565A1 (ja) | 2008-05-01 |
US7935300B2 (en) | 2011-05-03 |
JP5321663B2 (ja) | 2013-10-23 |
EP1772385A1 (en) | 2007-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80765B1 (ko) | 수지제 용기,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 및 수지제 용기의제조장치 | |
RU2455209C1 (ru) | Полиэфирная емкость, изготовленная формованием с раздувом, с наформованным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м слоем | |
AU2005210651B2 (en) | Preforms made of two or more materials and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 |
JPWO2004022307A1 (ja) | 積層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JP3982173B2 (ja) | プラスチック製容器の製造方法 | |
US20100291332A1 (en) | Laminated molded body | |
US5156857A (en) | Extrusion die for extrusion blow molding equipment | |
WO1986002316A1 (en) | Two-color sheet, article, method and apparatus | |
US20120256356A1 (en) | Laminated and molded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JP2008189314A (ja) | 合成樹脂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成形方法 | |
CA2003255C (en) | Apparatus for extrusion blow molding equipment, blow molding articles, parisons and containers made therefrom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 |
EP0692363B1 (en) | Coextrusion head for blow-thermoforming machines with rapid changing of the coloured layers of the extruded plastic | |
KR200383936Y1 (ko) | 다층 공압출 용기 | |
JP5472829B2 (ja) | 合成樹脂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成形方法 | |
JP4849327B2 (ja) | 合成樹脂製押出成形品の表面加飾方法 | |
JP3049303B2 (ja) | スリーブ成形法及びスリーブ成形品 | |
JP2004299733A (ja) | チューブ及びチューブ成形品及びチューブ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