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936Y1 - 다층 공압출 용기 - Google Patents

다층 공압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936Y1
KR200383936Y1 KR20-2005-0004913U KR20050004913U KR200383936Y1 KR 200383936 Y1 KR200383936 Y1 KR 200383936Y1 KR 20050004913 U KR20050004913 U KR 20050004913U KR 200383936 Y1 KR200383936 Y1 KR 2003839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container
coextrusion
density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05-0004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9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9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9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8Reinforcements of dissimilar materials, e.g. metal frames in plastic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압출 방법으로 성형되는 다층 공압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층(1)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단독 또는 선택적으로 혼합한 내층용 베이스 수지에 펄 안료(11)를 혼합한 혼합물을 용융 압출하여 형성시키고, 동시에 상기 용기의 외층(2)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단독 또는 혼합한 외층용 베이스 수지에 염료나 유기 안료를 단독 또는 혼합 첨가한 혼합물을 용융 압출하여 투명하게 형성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공압출 용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층 공압출 용기는 코팅, 증착, 도금, 인쇄 등과 같은 후가공 없이도 그 외관의 광택도가 우수하며, 금속질감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층 공압출 용기{Multi-layered Co-extruding Container}
본 고안은 다층 공압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층에는 수지에 무기물 입자인 펄 안료를 투입하고, 외층에는 투명한 수지를 사용하여 외관의 광택도가 우수하고 금속질감을 가지도록 한 다층 공압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제류나 화장품용의 용기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재질을 중공성형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보통이며, 용기의 색상 부여는 단순히 수지에 유색의 염료나 안료를 단순 혼합하여 단층으로 성형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이 단순히 염료나 안료를 투입하는 것으로는 바라는 질감의 표현이 어려울 뿐 아니라 광택성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특히 용기의 외관이 중요한 화장품 용기에는 질감 표현의 한계를 극복하고 광택도를 높이기 위해 1차로 중공성형된 용기의 외면을 코팅, 증착, 도금, 인쇄 등과 같은 후가공 처리를 함으로써 원하는 질감과 광택도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한 중공 성형 용기를 나타낸 것으로 안쪽의 중공성형층(100) 위에 코팅층(200)을 형성시킨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후가공 처리를 통하여 용기의 광택도를 높이거나 원하는 표면질감을 내도록 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어 제품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며, 폴리에틸렌 수지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재질 자체 특성이 비극성인 관계로 후가공에 대한 접착 특성이 좋지 못하여 후가공 작업 조건이 조금만 맞지 않아도 후가공한 부분에 쉽게 벗겨지는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후가공 처리를 하지 않아도 외관의 광택도가 우수하고, 원하는 표면질감의 표현, 특히 금속질감 표현이 가능하도록 한 다층 공압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공압출 방법으로 성형되는 다층 공압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단독 또는 선택적으로 혼합한 내층용 베이스 수지에 펄 안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용융 압출하여 형성시키고, 동시에 상기 용기의 외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단독 또는 혼합한 외층용 베이스 수지에 염료나 유기 안료를 단독 또는 혼합 첨가한 혼합물을 용융 압출하여 투명하게 형성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공압출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층 공압출 용기는 공압출 방법으로 성형되는 다층 공압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층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단독 또는 선택적으로 혼합한 내층용 베이스 수지에 펄 안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용융 압출하여 형성시키고, 동시에 상기 용기의 외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단독 또는 혼합한 외층용 베이스 수지에 염료나 유기 안료를 단독 또는 혼합 첨가한 혼합물을 용융 압출하여 투명하게 형성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층용 베이스 수지에 첨가되는 펄 안료는 내층용 베이스 수지에 대하여 0.2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층용 베이스 수지에는 0.05 내지 0.15 중량%의 황색 안료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공압출 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횡단면도로서, 샴푸 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공압출 용기는 내층(1)과 외층(2)을 공압출방법으로 동시에 성형시켜 만든 것으로, 합성수지의 공압출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내층(1)은 고밀도 폴레에틸렌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단독 또는 선택적으로 혼합한 내층용 베이스 수지에 무기물인 펄 안료(11)를 혼합한 혼합물을 용융 압출하여 형성시키고, 동시에 상기 용기의 외층(2)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단독 또는 혼합한 외층용 베이스 수지에 염료나 유기 안료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한 혼합물을 용융 압출하여 투명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공압출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층용 베이스 수지에 첨가하는 염료나 유기 안료로 황색의 것을 사용하면, 펄 안료(11)가 포함된 내층(1)의 색감과 어우러져 용기의 외관이 금색을 띄는 금속질감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층용 베이스 수지에 첨가되는 펄 안료(11)는 내층용 베이스 수지에 대하여 0.2 내지 10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2 중량% 미만일 경우 원하는 금속질감이 잘 나타나지 않으며, 1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용기의 성형시 불량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공압출 용기는 주방세제, 섬유유연제, 두발용화장품, 기초화장품, 색조화장품 등의 포장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본 고안에 따른 다층 공압출 용기의 외관 품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펄 안료(11)의 함량을 달리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한 다층 공압출 용기와 종래의 중공성형방법에 따라 제조한 단층 중공성형 용기(비교예)를 비교 실험한 것이다.
실시예 1
내층(1)은 펄 안료(11) 함량이 2 중량%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외층(2)은 황색 안료 함량이 0.1 중량%인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2층 용기를 공압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용량 500ml, 수지 중량 40g인 다층 공압출 용기를 성형하였다.
실시예 2
내층(1)은 펄 안료(11) 함량이 4 중량%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외층(2)에는 황색 안료 함량이 0.1 중량%인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2층 용기를 공압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용량 500ml, 수지 중량 40g의 다층 공압출 용기를 성형하였다.
비교예 1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황색 안료를 1 중량% 혼합하여 일반적인 성형 방법인 중공성형법으로 용량 500ml, 수지 중량 40g인 단층 중공성형 용기를 성형하였다.
다음의 [표 1]은 상기의 세가지 용기를 광택도 측정기(Gloss-Meter)를 이용하여 60도 각도 반사법으로 광택도를 측정한 값과, 20명의 사람에게 금속질감을 주는 느낌을 5점 만점 기준으로 육안 평가하여 그 평균값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나타낸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광택도 38.5 37.6 8.1
육안평가 3.5 4.2 1.3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종래의 단층 중공성형 용기에 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공압출 용기가 광택도 및 육안평가에서 월등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비교하면 광택도는 펄 안료(11) 함량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광택도가 투명한 외층(2)에 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금속질감의 육안평가에서는 펄 안료(11)의 함량이 많을수록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층 공압출 용기는 코팅, 증착, 도금, 인쇄 등과 같은 후가공 없이도 그 외관의 광택도가 우수하며, 금속질감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공 성형 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공압출 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공압출 용기를 나타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내층 2: 외층 11: 펄 안료

Claims (3)

  1. 공압출 방법으로 성형되는 다층 공압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층(1)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단독 또는 선택적으로 혼합한 내층용 베이스 수지에 펄 안료(11)를 혼합한 혼합물을 용융 압출하여 형성시키고, 동시에
    상기 용기의 외층(2)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단독 또는 혼합한 외층용 베이스 수지에 염료나 유기 안료를 단독 또는 혼합 첨가한 혼합물을 용융 압출하여 투명하게 형성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공압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용 베이스 수지에 첨가되는 펄 안료(11)는 내층용 베이스 수지에 대하여 0.2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공압출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용 베이스 수지에는 0.05 내지 0.15 중량%의 황색 안료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공압출 용기.
KR20-2005-0004913U 2005-02-24 2005-02-24 다층 공압출 용기 KR2003839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913U KR200383936Y1 (ko) 2005-02-24 2005-02-24 다층 공압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913U KR200383936Y1 (ko) 2005-02-24 2005-02-24 다층 공압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936Y1 true KR200383936Y1 (ko) 2005-05-10

Family

ID=4368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913U KR200383936Y1 (ko) 2005-02-24 2005-02-24 다층 공압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9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229B1 (ko) * 2006-12-27 2008-09-1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코팅효과를 갖는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KR101245812B1 (ko) * 2006-09-19 2013-03-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나무 질감을 갖는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812B1 (ko) * 2006-09-19 2013-03-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나무 질감을 갖는 용기
KR100859229B1 (ko) * 2006-12-27 2008-09-1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코팅효과를 갖는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5209C1 (ru) Полиэфирная емкость, изготовленная формованием с раздувом, с наформованным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м слоем
KR101280765B1 (ko) 수지제 용기,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 및 수지제 용기의제조장치
RU2592350C2 (ru) Непрозрачный многослойный контейнер
US20100291332A1 (en) Laminated molded body
US20140044904A1 (en) Deep gloss containers, and preforms for making them
EP1970181B1 (en) Preform for blow moulding a container
HUE029456T2 (en) Preform and storage device for radiation sensitive products, and a method for producing it
CN107922685A (zh) 装饰用树脂组合物和具有通过使用该组合物形成的金属色层的多层直接吹塑成形瓶
KR200383936Y1 (ko) 다층 공압출 용기
WO2021071937A1 (en) Lightweight multilayer foam film with enhanced perceived surface whiteness
JPH0911369A (ja) 多層樹脂容器
JP2985677B2 (ja) 着色液体包装体
JP2005219760A (ja) 多層構造樹脂容器
JP2001341240A (ja) 光沢性外観を有する多層構造樹脂成形品
JPH0538787A (ja) 表面光沢性に優れた多層プラスチツク容器
JPH1191042A (ja) 食品包装用積層フィルム
CN103465582A (zh) 一种高强度耐高温薄膜及其生产方法
JP2970292B2 (ja) 多層プラスチック容器
JP4454971B2 (ja) 多層ブロー容器
JP7422515B2 (ja) 合成樹脂製容器
US20220348749A1 (en) Molded article with metallic appearance
JP7292056B2 (ja) 押出しブロー容器
JPH06171638A (ja) 多層容器
JP2008207851A (ja) 合成樹脂製容器
JP2020138785A (ja) 押出しブロー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