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435A -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435A
KR20070050435A KR1020077002670A KR20077002670A KR20070050435A KR 20070050435 A KR20070050435 A KR 20070050435A KR 1020077002670 A KR1020077002670 A KR 1020077002670A KR 20077002670 A KR20077002670 A KR 20077002670A KR 20070050435 A KR20070050435 A KR 20070050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layer
image forming
transfer belt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아키 이케다
히로시 오카자키
마사히로 하부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코파인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코파인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코파인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0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43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28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applied by "rubber" bag or diaphrag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41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pressed against the wall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9/00Producing belts or ba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details of the the intermediate support, e.g.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통 내부면에, PTFE 또는 PFA로 이루어지는 표층 위에, THV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층을 형성해서, 제1 복합체를 형성하고, PI, PAI, PVDF 등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 위에,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층을 형성해서, 제2 복합체를 형성한 후, 제1 복합체와, 제2 복합체를 열융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METHOD AND EQUIPMENT FOR PRODUCING TRANSFER BEL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BEL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컬러 복사기, 컬러 레이저 프린터 등의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한 컬러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감광드럼 위의 토너상(像)을 전사재(종이)에 전사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이들 제조방법 또는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에 관한 것이다.
컬러 복사기, 컬러 레이저 프린터 등의 컬러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화상의 전사방식으로서, 감광드럼 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를 이용해서 전사재(종이)에 전사하는 방식이, 표준적으로 되고 있다.
도 8은, 이 방식의 하나인 중간전사방식의 개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너(1)와 현상롤러(2)에 의해, 감광드럼(3) 위에, 토너상이 형성된다. 이 방식은, 4연(連) 텐덤방식(tandem system)이기 때문에, 4색의 토너와 각각에 대응하는 현상롤러, 감광드럼이, 형성되어 있다. 감광드럼(3) 위에 형성된 토너상은, 1차 전사롤러(4)와, 감광드럼(3)과,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5)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5)에 전사된다. 형성된 컬러화상은, 2차 전사롤러(6)와,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5)와, 전사재(종이)(7)에 의해, 전사재(종이)(7)에 전사되고, 정착롤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정착된다. 다중전사방식인 경우도, 기본적인 원리는 동일하다.
이들 방식에서 이용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에 대해서는, 벨트의 둘레방향의 큰 저항률(표면저항률), 표면저항률보다는 작은 두께방향의 저항률(체적저항치)을 가지며, 또한 이들 저항률이 벨트면 위의 위치, 사용환경, 전압 등에 의해 변동되지 않을 것, 벨트의 둘레방향의 인장탄성률이 높을 것, 표면이 평활하고 또한 접촉각이 커서 토너가 벨트로부터 전사재(종이)에 전사되기 쉬울 것(우수한 박리토너성), 감광드럼이나 토너 등을 화학적으로 오염시키지 않을 것(우수한 비오염성), 난연성일 것, 등의 특성이 요망되고 있다.
단층인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에 의해, 이들 다수의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은 곤란하므로,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가 제안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2-287531호 공보에는, 저저항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베이스층과, 고저항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표층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표층이 가열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가 개시되어 있다.
또, 최근에는, 두께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도 요망되고 있으며, 이 성질을 만족시키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로서, 상기와 같은 베이스층과 표층에 부가해서, 탄성체에 의해 형성되는 탄성층을 가지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 다층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에 있어서는, 벨트의 둘레방향의 고인장탄성률은 베이스층에 의해, 두께방향의 탄성은 탄성층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안정된 체적저항치는, 베이스층 및 탄성층을 형성하는 재질의 선택 등에 의해 제어된다. 또, 큰 표면저항률, 우수한 박리토너성, 우수한 비오염성은, 표층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종래는, 이들 특성을 충분히 만족시키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는 얻지 못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로서, 본 발명자들은, 이하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를 발견하였다.
즉,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위에 형성된 우레탄 등의 엘라스토머에 의해 형성되는 탄성층과, 상기 탄성층 위에 형성된 불소함유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표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를 발견하였다.
상기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는, 표층으로서, 불소함유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표층이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큰 표면저항률, 우수한 박리토너성, 우수한 비오염성을 달성할 수 있으며, 또 베이스층과 표층 사이에, 우레탄 등의 엘라스토머에 의해 형성되는 탄성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방향의 충분한 유연성을 지니고 있으며, 토너를 뭉개지 않고, 반송을 할 수 있고, 고화질화에 대응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경우, 표층을 구성하는 불소함유 폴리머와, 탄성층을 구성하는 우레탄 등의 엘라스토머와의 접착은, 일반적으로는 플라스마처리나 블라스트 등의 물리적 처리, 혹은 프라이머에 의하지만, 전자의 경우, 과대한 노력, 시간을 필요로 하여, 고비용으로 되며, 후자의 경우, 얇은 표층을 통과시켜서 오염물질이 블리드(bleed)할 가능성이 있다.
또, 표층을 형성하는 물질을, 탄성층을 형성하는 우레탄 등에 스프레이법이나 디핑(deeping)법에 의해 도포하고, 그 후 소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탄성층의 우레탄 등의 열분해점이, 표층의 소성온도보다 낮기 때문에, 표층을 소성할 수 없다.
또, 베이스층과 탄성층에 의해 형성한 성형체에, 압출튜브형상의 표층을 끼우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지만, 작은 직경(Φ1OO㎜미만)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밖에 제조할 수 없다. 또, 30㎛미만의 박형인 표층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에 부가해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경우, 순환(endless)형상으로 제조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2-287531호 공보(청구항 1)
도 1은 외부통의 내부면에 제1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드럼형상 금형의 외부면에 제2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제2 복합체의 내부에 중자를 끼운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외부통 내부면의 제1 복합체 내에, 제2 복합체 내에 끼워진 상태의 중자를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1실시 형태의 단면도;
도 6은 워터백을 사용해서 제1 복합체와 제2 복합체의 접착을 실행하는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상기 장치를 사용해서 접착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가 이용되는 화상전사방식의 개략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토너 2: 현상롤러
3: 감광드럼 4: 1차 전사롤러
5: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 6: 2차 전사롤러
7: 전사재 8: 외부통
9: 표층 10: 드럼형상 금형
11: 베이스층 12: 탄성층
13: 중자 14: 바인더층
50: 워터백 51: 동체
52: 팽창한 동체 55: 종판
59: 펌프 60: 진공실
61: 덮개 62: 진공펌프
70: 히터
본 발명은,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위에 형성된 탄성층과, 상기 탄성층 위에 형성된 불소함유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표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에 대해서, 보다 큰 표면저항률, 우수한 박리토너성, 우수한 비오염성, 안정된 체적저항치 등을 가지는 동시에, 오염물질의 블리드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없고, 또한 표층과 탄성층과의 우수한 접착력이 확보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를, 과대한 노력, 시간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또 탄성층이 용해되거나, 열변형되는 일도 없이 제조하는 방법이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이나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 최근 신뢰성과 내구성에 대한 유저의 요구는 점점 까다로워지고 있으며, 이런 연유로 탄성층과 불소함유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표층을 종래 이상으로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접착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접착을 실행하는 제조방법이나 장치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각층에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로서 최적의 재질을 선정하는 동시에, 표층과 탄성층과의 사이에, 특정의 바인더층을 형성하고, 또한 표층과 바인더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체와, 베이스층과 탄성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체를, 각각 별개로 제조하고, 그 후 양복합체를 합체시키는 것, 또 순환형상으로 하기 위해서, 표층과 바인더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체를, 외부통 내부면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과제가 달성됨을 발견하였다.
또, 바인더층에 표층과 공통되는 물질을 배합함으로써 접착성이 개선됨을 발견하였다.
또, 각각 별개로 제조된 표층과 바인더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 복합체와, 베이스층과 탄성층으로 이루어지는 제2 복합체를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접착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은,
외부통 내부면에,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또는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ㆍ퍼플루오르알킬비닐에테르(PFA)로 이루어지는 표층을 형성한 후, 상기 표층 위에, 바인더층을 형성해서, 제1 복합체를 형성하는 제1 복합체형성공정과,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이미드(PAI), 및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개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 위에,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탄성층을 형성해서, 제2 복합체를 형성하는 제2 복합체형성공정과
상기 제1 복합체의 바인더층과, 상기 제2 복합체의 탄성층을 열융착시키는 복합체융착공정을 가지며,
상기 바인더층이, 융점이, 상기 탄성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열분해점이하이며, 열분해점이, 상기 표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융점이상인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표층으로서, 불소함유 폴리머 중에서도, 표면저항률, 비오염성이 우수한 동시에, 접촉각이 높고(크고), 토너 등의 부착물을 깨끗이 박리시킬 수 있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또는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ㆍ퍼플루오르알킬비닐에테르(PFA)가 이용되고 있다.
또, 탄성층으로서, 탄성력이 있는 엘라스토머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베이스층으로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로서의 인장탄성률, 탄성층과의 접착성 등의 점에서 특히 우수한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우수한 층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에 대해서, 상기와 같이, 표층과 상기 특정의 바인더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 복합체를 형성하고, 별도로, 베이스층과 탄성층으로 이루어지는 제2 복합체를 형성하며, 상기 바인더층과 상기 탄성층을 열융착시켜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를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제조법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인더층으로서는, 융점이, 상기 탄성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열분해점이하이며, 열분해점이, 상기 표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융점이상인 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즉, 상기 바인더층은, 융점이, 상기 탄성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열분해점이하이기 때문에, 상기 바인더층 및 상기 탄성층의 융점이상에서, 상기 바인더층 및 상기 탄성층의 열분해점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상기 바인더층과 상기 탄성층을 압착시킴으로써, 강고히 접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바인더층은, 열분해점이, 상기 표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융점이상인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표층의 융점이상, 또한 상기 표층의 열분해점이하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양자를 융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바인더층의 형성에는, 과대한 노력, 시간을 필요로 하는 일도 없고, 또한 프라이머와 같이 표층을 오염시키는 물질이 혼입되어 있지 않고, 얇은 표층을 통과시켜서 오염물질이 블리드할 가능성도 없다.
또, 탄성층에 결함이 있어도, 바인더층과 열융착시킬 때에, 상기 탄성층이 용융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결함을 소거할 수 있다.
또, 큰 구경(Φ1OO㎜이상)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30㎛미만, 특히 1㎛정도의 박형인 표층을 얻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한편 박형인 표층에도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우수한 층이 조합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에 대해서, 특정한 재질의 층을 추가하면서 상기 과제를 달성하는 제조방법을 발견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상기한 각층의 바로 위에, 상기한 다른 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층 사이에, 접착층 그 외의 다른 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무방하다.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에 있어서는, 박리토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층 표면의 거칠기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부통 내부면을 경면(鏡面)가공하는 것만으로, 이 요청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청구항 2는, 이 바람직한 형태에 해당하는 것이며, 상기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외부통 내부면이, 경면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외부통 내부면에 제1 복합체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2 복합체는, 상기 외부통 내부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제2 복합체의 형성은, 원통형상 금형 위에, 상기 베이스층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층 위에, 상기 탄성층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탄성층으로 이루어지는 제2 복합체를, 상기 원통형상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에 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3은, 이 바람직한 형태에 해당하는 것이며, 상기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제2 복합체형성공정이,
원통형상 금형 위에, 상기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층 위에, 상기 탄성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탄성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체를, 상기 원통형상 금형으로부터 분리하고, 원통형상의 제2 복합체를 형성하는 공정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외부통 내부면에, 상기 표층과 상기 바인더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 복합체를 형성한 후, 상기 제1 복합체와, 별도로 형성한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탄성층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의 제2 복합체를, 상기 제1 복합체의 바인더층과, 상기 제2 복합체의 탄성층을 열융착시켜서 합체시킬 필요가 있다.
이 융착방법으로서는, 원통형상의 상기 제2 복합체를 외부통 내부에 삽입한 후, 상기 제2 복합체를 가열하는 동시에, 팽창시켜서, 외부통 내부면에 형성된 상기 제1 복합체에 압접하는 방법이, 효율적이며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서는, 화약 등 폭발력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열팽창계수의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열수단과 공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원통형상의 상기 제2 복합체의 내부면에, 열팽창계수가 외부통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중자(中子)를 삽입하고, 상기 중자를 상기 외부통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외부통과 상기 중자를 가열해서, 2개의 복합체를 열융착시키는 방법이 효율적이다.
청구항 4는, 이 바람직한 형태에 해당하는 것이며, 상기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복합체융착공정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2 복합체의 내부면에, 열팽창계수가 외부통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중자를 삽입하는 중자 제1 삽입공정과,
상기 제2 복합체에 삽입된 상기 중자를 상기 외부통에 삽입하는 중자 제2 삽입공정과,
상기 외부통과 상기 중자를 가열하고, 상기 제1 복합체의 바인더층과 상기 제2 복합체의 탄성층을 열융착시키는 복합체융착공정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중자는, 열팽창계수가 큰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MC나일론 또는 불소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5는, 이 바람직한 형태에 해당하는 것이며, 상기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중자가, MC나일론 또는 불소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방법으로서는, 유체 압력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가열을 병용할 뿐만 아니라, 접착은 진공분위기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접착면에 가스가 잔존하지 않고, 확실한 접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이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해당하는 것이며, 상기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복합체융착공정이,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해서 반경을 증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양단부가 폐쇄된 중공 원통형상의 워터백(water bag)의 외주에 상기 제2 복합체를 끼우고, 또한 그 상태에서 외부통 내부면쪽에 고착되어 있는 상기 제1 복합체 내에 삽입하는 워터백삽입스텝과,
상기 워터백삽입스텝의 종료 후, 상기 워터백의 주위를 진공으로 하는 진공스텝과,
상기 워터백삽입스텝의 종료 후, 상기 워터백 내에 충전되어 있는 유체의 압력을 상승시켜서 상기 워터백의 직경을 크게 하고, 그 외주에 있는 상기 제2 복합체의 외주면을, 상기 제1 복합체의 내주면에 압압시키는 압압스텝과,
상기 진공스텝과 상기 압압스텝의 종료 후, 상기 진공실의 내부를 가열해서 상기 제2 복합체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복합체의 내주면을 접착시키는 접착스텝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제조방법에서는, 양단부가 폐쇄된 중공 원통형상의 워터백에 베이스층과 탄성층을 가지는 제2 복합체를 끼운 상태에서, 외부통 내부면쪽에 고착되어 있는 제1 복합체 내에 삽입하고, 압력조정용 펌프에 의해 워터백 내에 충전되어 있는 유체의 압력을 상승시켜서 워터백의 직경을 제2 복합체마다 증가시키고, 그 외부측면을 제1 복합체의 내부측면에 가압하고, 이 상태에서 진공으로 하여, 진공실마다 가열해서 제1 복합체와 제2 복합체의 접착을 실행한다. 쌍방의 복합체 접착이 종료되고, 압력을 본래의 대기압으로 하며, 다시 온도를 저하시킨 후, 워터백 내에 충전되어 있는 유체의 압력을 하강시켜서 워터백의 직경을 감소시키고, 제1 복합체와 제2 복합체가 단단히 접착된 수지제 벨트로부터 워터백을 인발하게 된다.
또한, 마지막으로, 이 수지제 벨트가, 외부통의 내부면으로부터 박리된다.
여기에, 워터백은, 내부의 유체에 의해 직경을 제어 가능하면, 그 재질은 문제 삼지 않는다
또, 유체는, 물에 한정되지 않고, 가스, 실리콘오일 등도 포함한다. 특히, 접착 시에 150℃이상으로 가열하는 경우에는, 증기압이 낮은 오일 쪽이 물보다 바람직하다.
또, 압력조정용 펌프는, 워터백 내의 압력을 제어, 조절 가능하면, 펌프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접착 시에 진공으로 하고 있는 것은, 접착면에 가스가 잔존하여, 보이드(void)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제1 복합체의 내부측면과 제2 복합체의 외부측면과의 접착은, 제1 복합체를 그 외부측면이 금속 원통제인 외부통에 고정된 상태로 하고, 제2 복합체를 그 내부쪽으로부터 반경방향 외부쪽으로 압압한 상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쌍방의 복합체 접착이 확실히 이루어지고, 치수 정밀도도 양호해진다.
또, 접착은 진공 중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착면에 가스가 잔존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 발생이 없고, 이 면에서도 양호한 접착과 치수의 확보가 이루어진다.
또한, 접착 시에 제1 복합체를 내부쪽으로부터 반경방향 외부쪽으로 압압하는 워터백은, 내부의 유체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외경을 신축 가능하기 때문에, 접착 전의 제1 복합체로의 삽입, 접착 후의 쌍방의 복합체가 접착된 벨트의 분리도 용이해진다.
이때, 워터백은, 실리콘고무제이면, 적어도 수지층의 접착 시에 압압하는 원통형상의 부분은, 200~250℃정도의 고온까지 유연성을 상실하지 않고, 또 수지와의 이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접착처리 종료 후에 제1 복합체와 제2 복합체가 접착되어서 이루어지는 수지제 벨트로부터 워터백을 인발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이 바람직한 형태에 해당하는 것이며, 상기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워터백은, 외주면에 실리콘고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용제에 용해되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바인더층을 구성하는 재료를, 용제에 용해시키고, 스프레이법이나 디핑법에 의해 표층에 도포하는 것만으로 접착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은, 이 바람직한 형태에 해당하는 것이며, 상기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으로서,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재료가, 용제에 용해되는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인더층은, 불소함유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4불화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PTFE, PFA와 접착하기 쉬울 것, 융점이 110℃로 낮은 등급 품이 있을 것, 분해점이 400℃(PTFE의 융점이상)로 높을 것, 우레탄 등과의 접착성이 우수할 것, 유연할 것 등의 이유에서,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및 비닐리덴플로라이드의 공중합체(THV)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인더층이 THV이며, 표층이 PTFE이며, 탄성층이 우레탄인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청구항 9는, 이 바람직한 형태에 해당하는 것이며, 상기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으로서, 바인더층이,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및 비닐리덴플로라이드의 공중합체(TH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표층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불소함유 폴리머는 박리토너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은 불소함유 폴리머를 표층에 이용하는 경우는, 바인더층도 불소함유 폴리머로 형성함으로써, 양층의 접착은 충분히 강고하다. 또, 표층을 형성하는 불소함유 폴리머와 동일한 불소함유 폴리머를 바인더층의 폴리머에 첨가함으로써, 양층의 접착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비록 바인더층이 불소함유 폴리머가 아니더라도 표층과의 접착이 가능하다.
바인더층에 함유시키는 불소함유 폴리머는, 분말형상물로서,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재료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 분말형상물의 입경은 O.O1~1O㎛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경이 O.O1㎛미만인 분말형상물은 제조가 곤란하며, 한편 입경이 1O㎛를 초과하면 침강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우며, 또한 표면 거칠기가 나빠지기 쉽기 때문이다.
다음에, 바인더층에 함유시키는 불소함유 폴리머의 양은, 지나치게 적으면 충분한 접착력 향상의 효과를 얻지 못하고, 한편, 지나치게 많으면 바인더층의 주된 구성재료인 THV 등의 특성에의 영향이 커진다. 이상을 고려한 바인더층에 함유시키는 불소함유 폴리머의 바람직한 양은,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재료 100부에 대해서, 1~300부이다. 특히, 표층이 PFA로 형성되고, 바인더층이 THV로 형성되는 경우는, THV에 PFA가 10~100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10은, 상기의 바람직한 형태에 해당하는 것이며, 상기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으로서, 바인더층에, 표층을 형성하는 불소함유 폴리머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탄성층의 엘라스토머로서는, 우레탄,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에틸렌고무, 실리콘고무,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지만, 우레탄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엘라스토머는, 이온도전화된 엘라스토머를 이용하는 것이, 체적저항치를 안정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청구항 11은, 이 바람직한 형태에 해당하는 것이며, 상기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엘라스토머가, 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는, 보다 큰 표면저항률, 우수한 박리토너성, 우수한 비오염성, 또한 안정된 체적저항치 등을 가지는 동시에, 오염물질의 블리드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없고, 또 표층과 탄성층과의 우수한 접착력이 확보되어 있으며, 고화질에 대응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이다.
청구항 12는, 이 바람직한 형태에 해당하는 것이며, 상기의 각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층두께는, 표층은 1~15㎛, 바인더층은 0.1~10㎛, 탄성층은 50~300㎛, 베이스층은 30~100㎛이다.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및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는, 제조방법의 발명인 청구항 6의 발명을 제조장치에서 인식한, 제1 복합체와 제2 복합체의 접착면을 압압하는 워터백과 그 압력조정용 펌프, 압압 시의 워터백을 수납하는 진공실, 및 진공실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를 가지는 장치를 사용해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이 바람직한 형태에 해당하는 것이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및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제조장치로서,
상기 제2 복합체를 외주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외부통 내부면쪽에 고착되어 있는 제1 복합체 내에 삽입되고, 또한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해서 반경을 증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중공 원통형상의 워터백과,
상기 워터백 내에 충전되어 있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정용 펌프와,
상기 워터백이 상기 압력조정용 펌프에 연통되어 있는 상태로 내부에 설치 가능한 진공실과,
상기 진공실의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
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제조장치의 발명에 있어서도, 청구항 7의 발명과 동일하고, 워터백은 실리콘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이 바람직한 형태에 해당하는 것이며,
상기 워터백은, 외주면에 실리콘고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에는, 전사와 정착을 동시에 실행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정착벨트도 포함되며, 특히 효율화의 면에서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최선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과 동일 및 균등한 범위 내에 있어서,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다양한 변경을 부가해도 된다.
(제 1의 실시의 형태)
본 실시의 형태는, 표층의 내부면쪽에 바인더층을 형성한 제1 복합체의 내부면쪽에, 베이스층의 외부면쪽에 탄성체층을 형성한 제2 복합체층을 삽입하고, 양층의 접착에 중자를 사용하는 것이다.
우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면을 경면가공한 열팽창계수 1.76×10-5/℃의 강철제인 외부통(8)의 내부면에, PTFE(융점 327℃, 열분해점 400℃)를, 디핑법에 의해 도포하고, 380℃에서 소성하여, 표층(9)을 형성하였다.
또한, THV폴리머(융점 120℃, 열분해점 400℃)를 아세트산부틸에 용해하고, 표층(9) 위에, 디핑법에 의해 제막(製膜)해서, 건조시키고, 바인더층(14)을 형성하였다. 또한, 바인더층(14)을 PTFE와 THV의 융점이상의 350℃에서 가열하고, 표층(9)에 밀착시켰다.
다음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럼형상 금형(10) 표면에, 카본도전처리를 실행하여, 체적저항치를 조정한 폴리이미드를 제막하고, 380℃에서 소성하여, 베이스층(11)을 형성하였다.
또한, 베이스층(11) 위에, 이온도전화된 수성 우레탄(융점 120℃, 열분해점 180℃)을 디핑법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탄성층(12)을 형성하였다.
이온도전처리는, 수성 우레탄에, 이온도전제를 분산시킴으로써 실행하였다.
다음에, 드럼형상 금형(10) 표면에 형성된 베이스층(11)과 탄성층(12)의 복합체를, 드럼형상 금형(10)으로부터 박리시키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복합체를,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C나일론제의 열팽창계수 8.O×10-5/℃의 중자(13) 외주에 끼운다.
다음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층(11)과 탄성층(12)의 복합체가 끼워진 중자(13)를, 바인더층(14)과 표층(9)의 복합층이 내부면에 형성된 외부통(8) 내부에 삽입하고, 진공 중에서 150℃로 가열하였다. 이 가열에 의해, 외부통(8)과 중자(13)의 열팽창계수에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열팽창한 중자(13)가, 외부통(8)의 내부면을 압압하고, 베이스층(11)과 탄성층(12)의 복합층과, 바인더층(14)과 표층(9)의 복합층과의 도 5에 도시되는 4층 구조의 복합체를 얻을 수 있었다.
다음에, 중자(13), 외부통(8)을 냉각시키고, 이들로부터 4층 구조의 복합체를 분리하여,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를 얻었다.
얻어진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는, 두께 65㎛인 베이스층(폴리이미드) 위에, 두께 200㎛인 탄성층(이온도전화된 우레탄)과, 두께 3㎛인 바인더층(THV)과, 두께 7㎛인 표층(PTFE)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이며, 표면저항률, 박리토너성, 비오염성 모두 우수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를 얻을 수 있었다.
또, 표층과 바인더층 사이, 바인더층과 탄성층 사이는, 강고히 접착되어 있으며, 블리드도 발생하고 있지 않았다.
또, 바인더층의 THV폴리머의 열분해점은, 120℃이지만, 표층의 PTFE의 융점은, 327℃이기 때문에, 스프레이법 등을 이용해서, 베이스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탄성층, 바인더층, 표층을 형성하는 방법에서는, 표층을 소성하는 것이 곤란하지만, 상기 제조법에 의함으로써, 확실한 표층의 소성이 가능하였다.
(제 2의 실시의 형태)
본 실시의 형태는, 표층을 형성하는 불소함유 폴리머가 함유되어 있는 바인더층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면을 경면가공한 열팽창계수 1.76×10-5/℃의 강철제인 외부통(8)의 내부면에, PFA(듀폰사 제품 350J 분산, 입경 0.2㎛)(융점 295℃)를, 디핑법에 의해 도포하고, 380℃에서 소성하여, 표층(9)을 형성하였다.
또한, THV폴리머(스미토모3M사 제품 THV220)(융점 120℃, 열분해점 400℃)를 아세트산부틸에 용해하고, 표층(9) 위에, 디핑법에 의해 제막해서, 건조시키고, 바인더층(14)을 형성하였다. 또한, 바인더층(14)을 PFA와 THV의 융점이상인 350℃에서 가열하고, 표층(9)에 밀착시켰다. 이외는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를 얻었다.
얻어진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는, 두께 60㎛인 베이스층(폴리이미드) 위에, 두께 200㎛인 탄성층(이온도전화된 우레탄)과, 두께 3㎛인 바인더층(THV)과, 두께 5㎛인 표층(PFA)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이며, 표면저항률, 박리토너성, 비오염성 모두 우수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를 얻을 수 있었다.
또,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체적저항치는, 탄성층(12)에 의해 안정적으로 제어되고 있었다.
또한, 표층과 바인더층 사이, 바인더층과 탄성층 사이는, 강고히 접착되어 있으며, 블리드도 발생하고 있지 않았다.
또, 바인더층의 THV폴리머의 융점은, 120℃이지만, 표층의 PFA의 융점은, 295℃이기 때문에, 스프레이법을 이용해서, 베이스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탄성층, 바인더층, 표층을 형성하는 방법에서는, 표층을 소성하는 것이 곤란하지만, 상기 제조법에 의함으로써, 탄성층과 바인더층을 강고히 접착할 수 있었다.
(제 3의 실시의 형태)
본 실시의 형태도, 표층을 형성하는 불소함유 폴리머가 함유되어 있는 바인더층에 관한 것이다.
바인더층을 형성할 때에, THV폴리머(스미토모3M사 제품 THV220)에 표층을 형성하는 PFA의 분말형상물(듀폰사 제품 340J, 입경 0.2㎛)을 THV폴리머 100부에 대해서 60부 사전에 첨가해서, THV폴리머를 아세트산부틸에 용해하였다.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를 얻었다.
얻어진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는, 두께 60㎛인 베이스층(폴리이미드) 위에, 두께 200㎛인 탄성층(이온도전화된 우레탄)과, 두께 3㎛인 바인더층(THV)과, 두께 5㎛인 표층(PFA)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이며, 표면저항률, 박리토너율, 비오염제 모두 우수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를 얻을 수 있었다.
다음에, 제 1의 실시의 형태 내지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 얻어진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표층과 바인더층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실행하였다.
즉 표층과 바인더층에 1㎝ 폭의 칼집을 내서 형성한 측정 개소에 있어서, 양층을 박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힘을 접착력으로서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 제 1의 실시의 형태, 제 2의 실시의 형태인 경우는 접착력이 0.06kg/㎝였지만, 제 3의 실시의 형태인 경우에는 0.35kg/㎝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바인더층에, 표층을 형성하는 불소함유 폴리머가 함유되어 있음으로써, 표층과 바인더층의 접착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4의 실시의 형태)
본 실시의 형태는, 제1 복합체와 제2 복합체의 접착에 워터백을 사용하는 것이다.
우선,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복합체와 제2 복합체의 접착을, 도 6,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50)은 워터백 전체를 가리키고, 실선으로 도시하는 (51)은 그 동체이며, 파선으로 도시하는 (52)는 직경이 증대된 상태의 동체이며, (55)는 동체의 상하 양단부의 종판(end plate)(경판(鏡板))이며, (59)는 펌프이다. (60)은 진공실이며, (61)은 해당 덮개이며, (62)는 진공펌프이다. 도 7에 있어서, (70)은 분리 가능한 전기히터이다.
워터백(50)은 전체가 일종의 액체용기로 되어 있으며, 또한 그 동체(51)는 실리콘고무제이다. 이런 연유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59)에 의해 내부의 유체의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그 동체(51)를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동체(51)의 두께는, 자립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1O㎜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팽창성에 하등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 접착면의 중앙으로부터 측부방향으로 양호하게 가스가 빠지도록, 고무의 중앙부는 조금 얇게 하고 있다.
또, 진공실(60)은 일종의 용기이며, 외주에 반제품인 수지벨트를 감은 워터백(50)을 외부에 있는 펌프(59)와 연결한 상태로 그 내부에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그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61)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내부는 진공펌프(6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제로는 이들 각부는, 예를 들면 워터백(50)의 동체(51)와 종판(55)과의 접속에는 복잡한 실링 기구를 가지고 있는 등, 구조는 다소 복잡하지만, 본 발명의 취지에는 관계가 희박하므로, 이들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다음에, 접착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베이스층(11)과 탄성층(12)으로 이루어지는 반제품인 제2 복합체가 끼워진 워터백(50)을, 바인더층(14)과 표층(9)으로 이루어지는 반제품인 제1 복합체가 내부측면에 고착된 외부통(8) 내부에 삽입하고, 또한 진공실(60) 내부에 설치하여, 내부의 유체 압력을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이런 연유로, 4층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반제품인 수지벨트는, 워터백(50)의 내부압력으로 팽창한 동체(52)에 의해, 외부통(8)의 내부면에 가압되어 있다.
또한 이때, 외부통(8)은 스테인리스제이며 전혀 변형하지 않는다. 한편, 워터백(50)의 동체(51, 52)는 실리콘고무제인 막이기 때문에, 워터백(50) 내의 유체 압력을 100기압으로 상승시키면, 양단부의 종판(55)의 유무에 상관없이, 전체가 균일하게 수지층을 외부통(8)의 내부측면에 압압하게 된다.
이때, 진공실(60) 내부의 공기도 진공펌프(62)에 의해 배출되고 있으며, 이런 연유로 진공실(60) 내부는 진공으로 되어 있다.
이런 상태에서, 진공실(60) 내부를 120℃로 유지해서 4층으로 이루어지는 순환 수지를 가열하였다. 이 가열 시에 워터백(50)이 팽창한 동체(52)가, 외부통(8)을 내부면쪽으로부터 균일하게 압압하고, 베이스층(11)과 중간층(12)으로 이루어지는 제2 복합체와, 바인더층(14)과 표층(9)으로 이루어지는 제1 복합체가 단단히 접착한 4층 구조의 수지벨트를 얻을 수 있었다.
다음에, 진공실(60) 내부를 대기압으로 되돌리고, 아울러 실온으로 저하시키고, 그 후 워터백(50) 내의 유체 압력을 저하시켜서 내부측면에 4층의 수지층이 부착된 외부통(8)을 진공실(60)밖으로 꺼냈다. 그리고 또한, 외부통(8)으로부터 4층 구조인 수지벨트를 분리하고,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를 얻었다.
얻어진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는, 두께 60㎛인 베이스층(폴리이미드) 위에, 두께 200㎛인 중간층(우레탄)과, 두께 1㎛인 바인더층(THV)과, 두께 5㎛인 표층(PTFE)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이며, 표면저항률, 박리토너성, 비오염성 모두 우수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중간층과 바인더층과의 접착성도 양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보다 큰 표면저항률, 우수한 박리토너성, 우수한 비오염성, 안정된 체적저항치 등을 가지는 동시에, 오염물질의 블리드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없으며, 또한 표층과 탄성층과의 우수한 접착력이 확보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를, 과대한 노력, 시간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또 탄성층이 용해되거나, 열변형되는 일도 없이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4)

  1. 외부통 내부면에,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또는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ㆍ퍼플루오르알킬비닐에테르(PFA)로 이루어지는 표층을 형성한 후, 상기 표층 위에, 바인더층을 형성해서, 제1 복합체를 형성하는 제1 복합체형성공정과,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이미드(PAI), 및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개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 위에,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탄성층을 형성해서, 제2 복합체를 형성하는 제2 복합체형성공정과
    상기 제1 복합체의 바인더층과, 상기 제2 복합체의 탄성층을 열융착시키는 복합체융착공정을 가지며,
    상기 바인더층이, 융점이, 상기 탄성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열분해점이하이며, 열분해점이, 상기 표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융점이상인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통 내부면이, 경면(鏡面)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2 복합체형성공정이,
    원통형상 금형 위에, 상기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층 위에, 상기 탄성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탄성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체를, 상기 원통형상 금형으로부터 분리하고, 원통형상의 제2 복합체를 형성하는 공정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융착공정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2 복합체의 내부면에, 열팽창계수가 외부통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중자(中子)를 삽입하는 중자 제1 삽입공정과,
    상기 제2 복합체에 삽입된 상기 중자를 상기 외부통에 삽입하는 중자 제2 삽입공정과,
    상기 외부통과 상기 중자를 가열하고, 상기 제1 복합체의 바인더층과 상기 제2 복합체의 탄성층을 열융착시키는 복합체융착공정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자가, MC나일론 또는 불소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융착공정이,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해서 반경을 증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양단부가 폐쇄된 중공 원통형상의 워터백(water bag)의 외주에 상기 제2 복합체를 끼우고, 또한 그 상태에서 외부통 내부면쪽에 고착되어 있는 상기 제1 복합체 내에 삽입하는 워터백삽입스텝과,
    상기 워터백삽입스텝의 종료 후, 상기 워터백의 주위를 진공으로 하는 진공스텝과,
    상기 워터백삽입스텝의 종료 후, 상기 워터백 내에 충전되어 있는 유체의 압력을 상승시켜서 상기 워터백의 직경을 크게 하고, 그 외주에 있는 상기 제2 복합체의 외주면을, 상기 제1 복합체의 내주면에 압압시키는 압압스텝과
    상기 진공스텝과 상기 압압스텝의 종료 후, 상기 진공실의 내부를 가열해서 상기 제2 복합체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복합체의 내주면을 접착시키는 접착스텝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백은, 외주면에 실리콘고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재료가, 용제에 용해되는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층이,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및 비닐리덴플로라이드의 공중합체(TH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층에, 표층을 형성하는 불소함유 폴리머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가 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
  13. 제 1항 내지 제 3항 및 제 6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제조장치로서,
    상기 제2 복합체를 외주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외부통 내부면쪽에 고착되어 있는 제1 복합체 내에 삽입되고, 또한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해서 반경을 증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중공 원통형상의 워터백과,
    상기 워터백 내에 충전되어 있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정용 펌프와,
    상기 워터백이 상기 압력조정용 펌프에 연통되어 있는 상태로 내부에 설치 가능한 진공실과,
    상기 진공실의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
    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백은, 외주면에 실리콘고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장치.
KR1020077002670A 2004-08-04 2005-08-03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 KR200700504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8275 2004-08-04
JPJP-P-2004-00228275 2004-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435A true KR20070050435A (ko) 2007-05-15

Family

ID=35787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670A KR20070050435A (ko) 2004-08-04 2005-08-03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85367A1 (ko)
KR (1) KR20070050435A (ko)
CN (1) CN100581797C (ko)
WO (1) WO20060138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1171A1 (ja) * 2004-06-09 2006-01-05 Bridgestone Corporation 現像ローラ、帯電ローラ、導電性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
NL1028625C2 (nl) * 2005-03-24 2006-09-27 Ideepak Holding B V Verbeterde sealinrichting voor het door middel van warmte aan elkaar sealen van foliemateriaa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8987B2 (ja) * 1997-12-15 2005-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状フィルム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1215820A (ja) * 2000-02-03 2001-08-10 Sumitomo Electric Fine Polymer Inc 樹脂被覆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87531A (ja) * 2001-03-28 2002-10-03 Canon Inc 転写ベル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転写ベルト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7776427B2 (en) * 2004-08-04 2010-08-17 Sumitomo Electric Fine Polymer, Inc. Transfer bel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81797C (zh) 2010-01-20
WO2006013891A1 (ja) 2006-02-09
US20080085367A1 (en) 2008-04-10
CN101035669A (zh) 200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6357B1 (en) Multilayer fuser rolls having fluoropolymer coating on a compliant baselayer and method of forming
US7776427B2 (en) Transfer bel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WO2001036831A1 (en) Cylindrical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8022056A (ja) 撥液膜とその製造方法、定着部材、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286542A (en) Welded non-woven endless belt
JP4398059B2 (ja) ゴム被覆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
EP1411396A1 (en) Endless bel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ndless belt
KR20070050435A (ko)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용 전사벨트
KR20070080234A (ko) 엔드레스 벨트와 그 제조방법
US6141873A (en) Method of manufacture of multi-layer roll having compliant PTFE top layer from a fibrillated PTFE membrane
JP2019066722A (ja) 定着ベルト基材の製造方法および定着ベルトの製造方法
JP2007292887A (ja) 画像形成装置用転写ベルト
JP2008122907A (ja) フッ素樹脂チューブ被覆ベ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定着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6047609A (ja) 画像形成装置用転写ベルト
JP4137099B2 (ja) 画像形成装置用転写ベルト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用転写ベルト
JP2007292888A (ja) 画像形成装置用の多層エンドレスベルト
JP2007322551A (ja) 画像形成装置用の多層エンドレスベルトの製造方法
JP4231498B2 (ja) 画像形成装置用転写ベルト
US9248610B2 (en) Methods of making belts for apparatus useful in printing
JP2007212740A (ja) Oa機器用ベル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oa機器
JPH10228203A (ja) 定着用ローラまたはベルト、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WO2006040879A1 (ja) 加圧ローラ用フィルム
JP6748676B2 (ja) 熱定着用ゴムロー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388765A2 (en) Sleeved fuser member
JP2006069200A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