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395A -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395A
KR20070050395A KR1020067015973A KR20067015973A KR20070050395A KR 20070050395 A KR20070050395 A KR 20070050395A KR 1020067015973 A KR1020067015973 A KR 1020067015973A KR 20067015973 A KR20067015973 A KR 20067015973A KR 20070050395 A KR20070050395 A KR 20070050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medium
rotor
coupling
braking devic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643B1 (ko
Inventor
하인쯔 횔러
Original Assignee
보이트 터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이트 터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보이트 터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50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5/00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0Control or regulation for continuous braking making use of fluid or powdered medium, e.g. for use when descending a long slope
    • B60T10/02Control or regulation for continuous braking making use of fluid or powdered medium, e.g. for use when descending a long slope with hydrodynamic br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8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electro-magnetic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자 및 고정자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 및 상기 고정자는 대향하며, 제동동작시 공급되거나 접속된 작동매체에서 상기 회전자의 제동 모멘트를 상기 고정자로 전환되도록 상기 작동매체가 공급되거나 접속될 수 있는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는, 커플링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여 상기 회전자에 구동연결되거나 구동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접속가능한 팬 휠(fan wheel)이 구비되며, 상기 팬 휠은 상기 회전자에 구동연결되어 상기 제동장치의 냉기흐름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배치되며, 상기 커플링은 상기 작동매체의 공급 또는 접속 및 배출 또는 차단이 상기 커플링을 자동으로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작동매체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동장치{BRAKING DEVICE}
본 발명은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기로는, 트레일러 또는 소형 화물차 또는 궤도차와 같은 상대적으로 작은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항상 부가적으로 구비된 조정 브레이크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경사구간에서 화물차 또는 궤도차를 마모없는 연속 브레이크로 속도를 줄이는 것은 일반적이다. 여기서, 와류 브레이크로도 불리우는, 특히 전기역학적 리타더(retarder) 또는 유체역학적 리타더가 사용된다. 이러한 마모없는 두 개의 연속 브레이크는 작동매체를 사용하여, 제동할 파워 트레인에 의해 구동된 회전자의 제동 모멘트 또는 회전 모멘트가 고정자로 전환된다. 와류 브레이크의 경우,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의 전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전기적 전류가 작동매체로 특징지워진다. 유체역학적 리타더의 경우, 상기 작동매체는 유체, 예를 들어, 회전자와 고정자에 의해 형성된 원형융기 형태의 작동공간에서 제동 모멘트의 전환을 위한 순환 흐름(flow)을 형성하는 유체 오일 또는 물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연속 브레이크는 제동동작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서 외부의 오일 또는 냉각수 순환에 의하여 냉각된다. 리타더의 영역에서 냉각 매체에 의해 흡수되는 열을 주변에서 또는 또다른 냉각순환으로 방출하기 위해서, 냉각순환에는 상응하는 열교환기가 배치된다. 유체역학적 리타더의 경우, 차량냉각순환의 냉각매체가 동시에 상기 리타더의 작동매체일 때(이른바 워터 리타더에서), 상기 리타더는 차량냉각순환에도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마모없는 연속 브레이크가 비교적 작은 차량에, 예를 들어, 소형 화물차 또는 트레일러에 사용되어야만 하는 경우, 제동동작시 상기 연속 브레이크를 냉각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적합한 냉각순환이 존재하지 않는다. 적합한 냉각순환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은, 이러한 소형 차량에서 지금까지 연속 브레이크의 사용을 포기할 정도로 높은 비용과 구조적 곤란성과 연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하게 구성되고 외부의 냉각순환없이 처리하는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제는 청구항 1항에 따른 특징을 갖는 제동장치에 의하여 해결된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재하며, 특히, 와류 브레이크로 제동장치를 형성하는 경우 및, 유체역학적 리타더로서 제동장치를 형성하는 다른 경우를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에 따르면, 냉기흐름을 사용하여 상기 제동장치를 냉각하기 위해서 제동동작시 접속되는 팬 휠(fan wheel)이 구비된다. 상기 팬 휠은 예를 들어, 자체의 표면에 립(ribs) 또는 블레이드(blade)를 구비하며, 상기 립 또는 블레이드는 상기 팬 휠의 회전에 의하여 냉기를 상기 제동장치의 방향으로, 즉, 회전자 및 고정자의 방향으로 분다. 상기 냉기는, 대류에 의하여 상기 제동장치 내에 발생된 열을 흡수하기 위해서, 상기 제동장치의 외부 및/또는 내부에 존재하는 표면을 거쳐 안내될 수 있다.
비제동동작을 제동동작으로 전환할 때 상기 팬 휠을 접속하고 제동동작을 비제동동작으로 전환할 때 상기 팬 휠을 차단하기 위해서, 자동으로 활성화되고 비활성화되는 커플링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라 활성화될 때, 상기 커플링은 상기 팬 휠을 상기 회전자에 구동연결되도록 접속하고, 비활성화될 때는, 상기 팬 휠이 다시 구동되고 회전동작으로 전환되고나서 정지하도록 상기 접속을 다시 해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커플링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는 자동으로 수행되며, 특히, 상기 작동매체의 공급 또는 접속 또는 제거 또는 차단에 의하여 직접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와류 브레이크의 경우, 상기 커플링은 예를 들어, 감속을 위한 상응하는 자장을 형성하기 위해서 전기적 전류가 상기 제동장치에 의하여 안내되도록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류는 상기 커플링의 활성화에 동시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커플링은 전자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특히, 이동가능한 피스톤의 형태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제동전류의 활성화를 발생하는 자력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자와 상기 팬 휠 사이의 마찰연결부 또는 기계적 잠금부(locking)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를 유체역학적 리타더로 형성하는 경우, 제동에 필요한 순환흐름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리타더의 작동공간이 채워질 때 상기 커플링은 작동매체, 예를 들어, 오일 또는 물로 압력가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둘레의 영역에서 상기 작동매체에 접속된 압력안내부에 의하여, 압력가동된 작동매체는 상기 작동공간으로부터 제거되어 이동가능한 피스톤의 측면상에 안내될 수 있으므로, 상기 작동매체의 압력은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전자와 상기 팬 휠 사이의 구동연결을 제동동작시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기재된 와류 브레이크의 경우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자 및 상기 팬 휠 사이의 마찰연결부 또는 기계적 잠금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상기 커플링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피스톤은 예를 들어, 링 피스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링 피스톤의 중간축은 상기 회전자의 중간축에 일치하며, 상기 팬 휠과 상기 회전자 사이에 기계적 커플링 삽입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축방향에서, 즉,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이때, 기계적 커플링 삽입부 하부에는 각각의 기계적 커플링, 특히, 마찰커플링, 핀치커플링, 에나멜커플링, 볼트삽입부에 의한 커플링 또는 원심력커플링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제동장치의 축방향단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동장치의 정면을 나타내는 개략적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특히 커플링을 나타내는 제동장치의 방사상의 내부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를 유체역학적 커플링으로 형성하며 특히 콤팩트한 구성을 포함하는 실시예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서 유체역학적 리타더의 회전자(1)를 볼 수 있다. 상기 회전자(1)는 회전자축(1.1)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자축(1.1)에 의하여 상기 회전자(1)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회전자(1)의 블레이드 휠(blade wheel)은 상기 회전자(1)를 둘러싸는 고정자(2)의 블레이드 휠과 함께 원형융기 형태의 작동공간(5)을 형성한다. 상기 작동공간(5)에서는 제동동작시 링 흐름이 상기 작동매체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구조는 리타더에서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치 않다.
종래기술과는 달리, 상기 리타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열교환기(7)를 포함한다. 상기 링 열교환기(7)는 외부둘레를 따라서, 즉, 방사상으로 상기 작동공간(5)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링 열교환기(7)에서 상기 작동매체는 상기 작동공간(5)으로부터 안내되며, 거기서 냉각되고 상기 작동공간(5)으로 복귀되어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링 열교환기(7)는 내측상으로, 즉, 열흡수측면상으로 작동매체에 의해 열운반체로 작동된다.
상기 열을 상기 링 열교환기(7) 내의 작동매체로부터 주위로 방출하기 위해서, 상기 링 열교환기(7)는 열방출측면상으로 냉기로 범람한다. 이때, 필요한 냉기흐름은 정면측으로 상기 리타더에 배치된 팬 휠(fan wheel)(3)에 의하여 발생되 며, 상기 팬 휠(3)은 간섭에 대항하여 보호 글리터(8)를 사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상기 팬 휠(3)은 예를 들어, 방사-축방향 기류를 발생하는 립(ribs)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은 블레이드를 지지한다. 상기 팬 휠(3)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간섭된" 공기가 방사상으로 외부로 촉진되며 이어서 축방향으로 전환되므로, 간접적으로 상기 링 열교환기(7)에 대항하거나 이를 따라서 흐르게 된다.
상기 팬 휠(3)은 팬 회전축(3.1) 상에서 지지되며 특히 이에 통합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팬 회전축(3.1)은, 특히 도 1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어링(6)을 사용하여 상기 고정자(2)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팬 회전축(3.1)은 공동 회전축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동 회전축은 상기 회전자 회전축(1.1)을 둘러싼다. 상기 회전자 회전축(1.1)은 예를 들어, 상기 고정자(2) 외부에 배치되거나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자(2)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자(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상기 유체역학적 리타더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용기 위에 일반적인 여기부를 포함한다(참조부호 9 참조). 상기 작동매체를 상기 작동공간으로 운반하기 위해서, 차량 압력환기시스템으로부터의 압력공기에 의하여, 기압이 상기 작동매체를 나타내는 상기 리타더의 오일(또는 물) 상으로 배치된다. 비제동동작시 상기 리타더의 작동공간 내에 존재하는 공기가 배기시스템(10)에 의해 배출되므로, 비제동동작을 제동동작으로 전환할 때 상기 작동공간이 적절하게 작동매체로 충진될 수 있다.
상기 리타더를 압력공기, 특히, 전기적으로 연결된 비례적 제어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압력공기에 의해서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접속할 수도 있는 것은 자명하다. 제동동작을 시작하기 위해 오일(또는 물)을 상기 리타더의 작동공간으로 주입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전동기적으로 구동된 오일 피스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리타더의 커플링(4)을 볼 수 있다. 상기 커플링(4)은 비제동동작을 제동동작으로 전환시 상기 팬 휠(3)을 상기 회전자(1)와의 구동연결로 전환하는 데에 사용되므로, 원하는 냉기흐름을 발생하기 위해서, 비제동동작시 정지되는 상기 팬 휠(3)이 회전동작으로 전환된다. 상기 커플링(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으로 L자 형태, 즉, 측면상에 위치한 Ls의 형태로 형성된 링 피스톤(4.1)을 포함하므로, 상기 Ls의 짧은 섕크(shank)는 하부를 나타낸다. 상기 피스톤(4.1)은 제1 축방향 정면에서, 즉, 도 3의 좌측 정면에서, 작동매체에 의해 압력가동되며, 상기 작동매체는 채널(11)에 의하여 공급된다. 상기 채널(11)은 상기 고정자(2) 내에 형성되며 상기 링 피스톤(4.1)을 슬라이드 연결하여 둘러싸는 상기 고정자(2)의 영역으로 흐른다. 상기 채널(11)은, 상기 피스톤(4.1)이 축방향으로 상기 고정자(2)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며 동시에 상기 고정자(2)로부터, 특히, 단지 상기 고정자(2)에 의해서만 운반되도록 형성된다. 대향한 측면상에는, 즉, 유입측상에는, 상기 채널(11)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작동공간(5)의 방사상의 외부 둘레의 영역 내에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공간(5) 내에서 상기 회전자(1)의 작동에 의하여 방사상으로 외부로 가동되며 상기 외부 둘레에서 상기 고정자(2)로 유입되어 방사상으로 내부로 지 연되는 작동매체로 상기 작동공간(5)을 채울 때, 비교적 높은 압력하에 놓인 상기 작동매체의 일부가 배출되며, 상기 피스톤(4.1)의 이른바 정면측은 상기 채널(11)에 의하여 상기 작동매체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리타더가 상기 제동동작 내에 존재하는 한, 그에 상응하게 높은 압력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피스톤(4.1) 뒤의 말단 단면부 내에, 링 채널로 형성된 채널(11)이 우세하며, 상기 채널(11)은 상기 피스톤(4.1)을 해제된 위치에서, 즉, 도 3에 도시된, 좌측 위치에서 정지하므로, 상기 커플링(4)은 활성화된 상태로 정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의 외부 둘레의 영역에서 상기 고정자(2)의 의 후벽으로 유출되는 상기 작동매체의 일부는 방사상으로 외부로 상기 링 열교환기(7)로 안내되며 이어서 거기서 냉각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 또는 상기 고정자 블레이드의 후벽 내의 개구부에 의해서 상기 작동매체도 제거되며 상기 채널(11)로 공급된다.
다시 도 3과 관련하여, 베어링(4.3)이 도시된다. 상기 베어링(4.3)은 축방향 원형베어링으로 형성되며, 그 외부 베어링 링은 축방향으로 상기 피스톤(4.1)에 연결되므로, 상기 베어링 링은 상기 피스톤(4.1)의 축방향 이동동작에 간섭한다. 상기 피스톤(4.1)을 상기 고정자(2) 내에 슬라이딩 고정함으로써, 상기 피스톤(4.1) 및 상기 베어링(4.3)의 외부 베어링 링은 둘레방향으로 회전고정적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피스톤(4.1) 및 상기 베어링 외부 링의 회전동작을 가능케하는 고정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4.3)은 커플링부재(4.2)에 연결된 베어링 내부 링을 구비한다. 상기 커플링부재(4.2)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팬 회전축(3.1)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위치한다. 이때, 상기 커플링부재(4.2)는 상기 팬 회전축(3.1)과 회전개입되는데, 즉, 상기 커플링부재(4.2)는 둘레방향으로 상기 팬 회전축(3.1)에 회전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4.1)만이 상기 압력가동으로 인해 상기 작동매체에 의하여 이동동작을 해제된 위치에서, 즉, 상기 커플링(4)의 능동적 위치에서 구현할 때, 상기 피스톤(4.1)은, 상기 이동동작을 상기 베어링 원형에 의해 상기 내부 베어링 링 상으로 전달한 상기 베어링(4.3)의 외부 베어링 링에 의해서 상기 커플링부재(4.2)를 축방향으로 상기 팬 회전축(3.1) 상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커플링부재(4.2)는 상기 팬 회전축(3.1) 상의 배치와 관련하여 마찬가지로 해제된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정면측으로 상기 커플링부재(4.2)는 마찰막(4.4)을 구비한다. 상기 마찰막(4.4)은 상기 리타더의 회전자(1)로 향해 있다. 상기 해제된 위치에서, 마찰말단 내의 상기 마찰막(4.4)은 상기 회전자(1)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자(1)의 회전동작은 상기 마찰막(4.4)에 의하여 상기 커플링부재(4.2)를 상기 팬 회전축(3.1)으로 그리고 상기 전체 팬 휠(3) 상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상응하게, 상기 팬 휠(3)은 상기 팬 휠(3)과 상기 회전자(1) 사이의 폐쇄된 마찰커플링에서 상기 회전자(1)의 속도 또는 이와 유사한 속도로 순환한다. 상기 커플링(4)의 능동적 상태에 도달하며, 상기 리타더는 제동동작시 상기 팬 휠(3)로부터 발생한 기류에 의해 냉각된다.
상기 제동동작으로부터 상기 비제동동작으로의 전환시, 상기 작동매체 내의 압력은 상기 채널(11)의 접속위치에서 상기 작동공간(5)에서 형성되므로, 상기 피스톤(4.1)의 정면측 압력가동이 상기 작동매체에 의하여 약화된다. 상기 피스톤은 예를 들어, 스프링(미도시) 또는 상기 작동매체에 의하여 상기 압력가동에 대항하는 그 외 발생된 축력(axial force)에 의하여 삽입된 위치에서, 즉, 상기 커플링(4)의 수동적 위치로, 도 3에서는 우측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역압은 마찬가지로 작동매체에 의하여 발생되며, 상기 작동매체는 상기 제동동작으로부터 상기 비제동동작으로의 전환시 상기 채널(11)의 접속위치보다 높은 압력을 갖는 상기 작동매체순환의 적합한 위치로 포착된다.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4.1)이 상기 제동동작으로부터 상기 비제동동작으로의 전환시 구현되는 축방향동작으로 인해, 상기 커플링부재(4.2)는 축방향으로 삽입된 위치로 이동하는데, 즉, 상기 커플링부재(4.2)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축방향동작을 우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커플링(4)을 능동적 위치로부터 상기 수동적 위치로 전환시의 상기 커플링부재(4.2)의 삽입동작에 의하여, 상기 마찰막(4.4)은 상기 회전자(1)와의 개입으로부터 제거되므로, 상기 구동력은 상기 팬 회전축(3.1)으로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팬 휠(3)은 회전동작에 이르게 되고 최종적으로 정지한다.
상기 공기냉각의 차단과정을 상기 팬 휠(3)에 의하여 지연시키기 위해서, 상기 채널(11)의 영역 내에는, 즉, 상기 피스톤(4.1)과 상기 작동공간(5) 사이에는 압력 메모리(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 메모리는 상기 피스톤(4.1)을 가동하 는 작동매체 내의 압력강하를 지연시킨다. 이에 따라서, 상기 피스톤(4.1)이 상기 상대적으로 우세한 활성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작동매체에 의하여 우선적으로 해제된 위치로부터 지연되어 삽입된 위치로 슬라이딩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피스톤(4.1)은 상기 회전자(1)와 상기 팬(3) 사이의 구동연결을 소정의 시점에서야 비로소 상기 리타더의 차단 후에 해제한다. 따라서,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리타더의 사후환기는 상기 팬 휠(3)로부터 발생된 기류에 의해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에 따르면, 또다른 연결기계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4)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비제동동작으로부터 상기 제동동작으로의 전환시 상기 회전자(1)에 구동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동동작으로부터 상기 비제동동작으로의 전환시 다시 상기 구동연결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기계는 예를 들어, 단지 제동동작시에만 연결을 원하는 소모구동부이거나 전적으로 상기 제동동작시 동작해야만 하는 소정의 보조구동부일 수 있다. 최종적으로, 측정장치, 예를 들어, 속도측정장치의 주행바퀴가 상기 커플링(4)에 의하여 상기 제동동작시 상기 회전자(1)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는 여러 장점을 갖는다. 즉, 우선, 상기 제동장치는 외부 냉각순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트레일러 또는 소형화물차와 같은 소형 차량에서도 적합하다. 특히, 여기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를 포함하는 주거용 자동차 또는 주거용 트레일러의 구현이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를 이러한 주거용 자동차 또는 주거용 트레일러에 사용함으로 써, 지금까지 비용조건으로 인해 각각의 마모없는 연속 브레이크없이 처리되어야만 했던 차량이 비용적합하며 마모없는 연속 브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구비된 조정 브레이크의 부담을 경감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움푹 패인 팬 휠의 사용으로 인해, 부가적인 제동효과가 발생한다. 지금까지, 각각의 부가적인 제동효과는 상기 리타더로부터 방출되는 열 흐름의 수용을 의미한다. 이와는 달리, 전술한 발명에 따르면, 동시에 부가적인 제동효과가 발생하며 상기 리타더는 능동적으로 냉각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팬 휠이 비제동동작시 정지해 있으므로, 상기 비제동동작시 손실성능이 발생하지 않거나 단지 사소한 손실성능이 발생한다. 동시에, 추가적인 에너지 소비없이 완전히 자동으로 상기 시스템에 존재하는 에너지에 의하여 상기 비제동동작으로부터 상기 제동동작으로의 전환시 상기 팬 휠의 활성화가 수행되며, 상기 제동동작으로부터 상기 비제동동작으로의 전환시 상기 팬 휠의 비활성화가 수행된다.

Claims (15)

  1. 회전자(1) 및 고정자(2)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1) 및 상기 고정자(2)는 대향하며, 제동동작시 공급되거나 접속된 작동매체에서 상기 회전자(1)의 제동 모멘트를 상기 고정자(2)로 전환되도록 상기 작동매체가 공급되거나 접속될 수 있는 제동장치에 있어서,
    커플링(4)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여 상기 회전자(1)에 구동연결되거나 구동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접속가능한 팬 휠(fan wheel)(3)이 구비되며,
    상기 팬 휠(3)은 상기 회전자(1)에 구동연결되어 상기 제동장치의 냉기흐름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배치되며,
    상기 커플링(4)은 상기 작동매체의 공급 또는 접속 및 배출 또는 차단이 상기 커플링(4)을 자동으로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작동매체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는 와류 브레이크이며, 상기 작동매체는 전기적 전류이고, 상기 커플링(4)은 전자기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작동매체로 채워지고 비워질 수 있는 작동공간(5)을 구비한 유체역학적 리타더이며,
    상기 작동매체는 유체로서 오일, 물 또는 오일-물-혼합물이며,
    상기 커플링(4)은 압력가동에 의하여 상기 작동매체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4)은 피스톤(4.1)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4.1)은 작동매체를 안내하는 연결부(11)에서 상기 작동공간(5)과 함께 세워지므로, 상기 피스톤(4.1)은 상기 작동공간(5)을 작동매체로 충진할 때 압력가동되며,
    상기 피스톤(4.1)은 압력가동시 상기 작동매체에 의해 적어도 간접적으로 상기 팬 휠(3)과 상기 회전자(1) 사이의 기계적 커플링 삽입부를 형성하도록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4.1)은 링 피스톤으로 형성되며, 상기 링 피스톤의 축방향 중간축은 상기 회전자(1)의 회전축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팬 휠(3)은 팬 회전축(3.1)을 구비하며, 상기 팬 회전축(3.1)은 상기 이동가능한 결합부재(4.2) 상에서 회전고정적 연결부로 운반되며,
    상기 회전고정적 연결부는 상기 커플링(4)의 일부를 정의하며, 상기 피스톤(4.1)은 상기 팬 회전축(3.1)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피스톤(4.1) 및 상기 결합부재(4.2)는 축방향으로 단단히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4.1) 및 상기 결합부재(4.2)는 축베어링(4.3)으로서 축회전베어링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회전축(3.1)은 회전자 회전축(1.1)을 둘러싸는 공동회전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4.2)는 이동 연결부에서 상기 팬 회전축(3.1)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4.2)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자(1)로 향한 정면상에서 마찰막(4.4)을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11.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회전축(3.1)은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6)에 의하여 상기 고정자(2)로부터 상기 베어링 내부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12.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휠(3)은 상기 고정자(2)의 정면측에서 상기 회전자(1)에 대면한 측면상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13.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매체는 제동동작시 방사상으로 상기 작동공간(5) 외부에 배치된 링 열교환기(7)에 의하여 안내되며,
    상기 링 열교환기(7)는 상기 팬 휠(3)에 의하여 냉각공기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14. 제3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간(5)과 상기 커플링(4) 사이의 작동매체를 안내하는 연결부(11)에는 압력 메모리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 메모리는 상기 작동매체의 압력강하를 상기 커플링(4)의 영역에서 상기 작동매체를 비워냄으로써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정장치, 소모구동부 및/또는 보조구동부와 같은 또다른 연결기계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기계는 제동동작시 상기 커플링(4)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회전자(1)에 구동연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KR1020067015973A 2004-09-08 2005-08-03 제동장치 KR101197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43304.6 2004-09-08
DE102004043304A DE102004043304A1 (de) 2004-09-08 2004-09-08 Bremsvorrichtung
PCT/EP2005/008390 WO2006027056A1 (de) 2004-09-08 2005-08-03 Brems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395A true KR20070050395A (ko) 2007-05-15
KR101197643B1 KR101197643B1 (ko) 2012-11-07

Family

ID=3506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973A KR101197643B1 (ko) 2004-09-08 2005-08-03 제동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035440A1 (ko)
EP (1) EP1784325B1 (ko)
JP (1) JP2008512606A (ko)
KR (1) KR101197643B1 (ko)
CN (1) CN100509504C (ko)
DE (2) DE102004043304A1 (ko)
RU (1) RU2372226C2 (ko)
WO (1) WO20060270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03833B4 (de) * 2011-06-01 2014-11-20 Voith Patent Gmbh Schienenfahrzeug mit einem Bremssystem
DE102011120622A1 (de) * 2011-12-09 2013-06-13 Voith Patent Gmbh Abkoppelbarer hydrodynamischer Retarder und Steuerungsverfahren hierfür
US8646550B2 (en) * 2012-05-21 2014-02-11 Krassimire Mihaylov Penev Self rechargeable synergy drive for a motor vehicle
US9067500B2 (en) 2012-05-21 2015-06-30 Krassimire Mihaylov Penev Self rechargeable synergy drive for a motor vehicle
KR101733897B1 (ko) 2012-08-13 2017-05-08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유체식 감속 장치
CN103225659B (zh) * 2013-04-07 2014-05-14 武汉理工大学 液力缓速器用沸腾换热冷却装置
CN104033512B (zh) * 2014-06-20 2016-05-04 吉林大学 一种带摩擦闭锁和控制油路的可消除鼓风损失的液力缓速器
CN105691369B (zh) * 2016-03-01 2018-09-18 宁波华盛联合制动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精确传感液力缓速器空压的控制系统
CN108092459B (zh) * 2017-12-31 2020-03-31 中国能源建设集团华东电力试验研究院有限公司 减速装置
CN108110997B (zh) * 2017-12-31 2020-01-31 中国能源建设集团华东电力试验研究院有限公司 制动系统
CN108215809B (zh) * 2017-12-31 2019-08-09 中国能源建设集团华东电力试验研究院有限公司 智能定位器位置反馈跳变分析处理系统
CN109591843B (zh) * 2018-12-05 2020-07-03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能量转换的防爆型防跑车阻拦装置
EP4011720B1 (en) 2020-12-11 2023-08-30 Volvo Truck Corporation An electric machine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2953A (en) * 1946-08-02 1954-03-23 Clayton Manufacturing Co Dynamometer with built-in heat exchanger
US2672954A (en) * 1947-09-23 1954-03-23 Clayton Manufacturing Co Dynamometer
US3416016A (en) * 1965-01-11 1968-12-10 Hitachi Ltd Speed reduction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s
DE1625838A1 (de) * 1967-11-11 1970-08-20 Voith Getriebe Kg Hydrodynamische Bremse
US3483852A (en) * 1967-12-01 1969-12-16 Caterpillar Tractor Co Fluid coupling fan drive
DE1675246A1 (de) * 1968-01-12 1970-11-05 Teves Gmbh Alfred Hydrodynamische Bremse
GB1211629A (en) * 1968-10-24 1970-11-11 Berwick Forge And Fabricating Hydrodynamic retarder
US3696896A (en) * 1971-11-30 1972-10-10 Stoddard C Hamilton Lock-up device for fluid unit
DE2261708A1 (de) * 1972-12-16 1974-06-20 Luk Lamellen & Kupplungsbau Hysteresekupplung fuer kfz-nebentriebe
DE2361351C3 (de) * 1973-12-08 1978-09-28 Voith Getriebe Kg, 7920 Heidenheim Hydrodynamische Bremsanlage für ein vorzugsweise nichtantreibbares Rad eines Fahr- oder Flugzeuges
DE2929095A1 (de) * 1979-07-18 1981-02-19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Hysterese-kupplung
DE3241835C1 (de) * 1982-11-12 1984-02-16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Hydrodynamische Einrichtung
DE3440428A1 (de) * 1983-11-17 1985-05-30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7990 Friedrichshafen Temperaturgesteuerter luefterantrieb fuer maschinen grosser leistung
DE4041158C1 (ko) * 1990-12-21 1992-08-20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DE4130504A1 (de) * 1991-09-13 1993-03-18 Man Nutzfahrzeuge Ag Antriebsstrang mit wirbelstrombremse in einem kraftfahrzeug
DE4415031C1 (de) * 1994-04-29 1995-05-11 Daimler Benz Ag Hydrodynamische Einrichtung als Heizgenerator für ein Kraftfahrzeug
DE4440163C2 (de) * 1994-11-10 1997-02-20 Voith Turbo Kg Antriebseinheit mit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einem hydrodynamischen Retarder
JPH0932905A (ja) * 1995-07-21 1997-02-07 Exedy Corp 車両用動力伝達装置
DE19964646B3 (de) * 1998-10-01 2017-06-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raftübertragungseinrichtung
DE19917667A1 (de) * 1999-04-19 2000-10-26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Elektromagnetische Hystereseeinheit
DE19945201A1 (de) * 1999-09-21 2001-03-22 Mannesmann Sachs Ag Hydrodynamische Kupplungseinrichtung
JP3738662B2 (ja) * 2000-05-09 2006-01-2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渦電流式減速装置
DE10202634A1 (de) * 2002-01-24 2003-08-14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Hysteresebrem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43304A1 (de) 2006-03-30
CN100509504C (zh) 2009-07-08
JP2008512606A (ja) 2008-04-24
RU2007112951A (ru) 2008-10-20
RU2372226C2 (ru) 2009-11-10
EP1784325A1 (de) 2007-05-16
KR101197643B1 (ko) 2012-11-07
WO2006027056A1 (de) 2006-03-16
EP1784325B1 (de) 2009-10-28
US20080035440A1 (en) 2008-02-14
CN1914077A (zh) 2007-02-14
DE502005008418D1 (de)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643B1 (ko) 제동장치
KR101733897B1 (ko) 유체식 감속 장치
JP3259977B2 (ja) 多円板ブレーキ装置
KR20130004474A (ko) 수력 리타더 및 그의 동작 방법
US7281619B2 (en) Multiple-disk brake or clutch
JPS62228719A (ja) 流体力学的作動回路
CN104753245B (zh) 一种基于电动轮的摩擦‑电磁复合制动结构
JP2017145915A (ja) ブレーキ付きモータ
JP2015068391A (ja) 流体式減速装置
JP2004502909A (ja) ハイドロダイナミック・ブレーキ
JP3961754B2 (ja) 流体式リターダ
JP2005289158A (ja) ホイルインモータの冷却方法、ホイルインモータの冷却装置
KR101653217B1 (ko) 클러치 장치를 구비한 리타더 및 그 제어 방법
CN114787005A (zh) 具有热交换器的减速器
JP2005529799A (ja) 流体力学的ブレーキ
KR20040104757A (ko) 차량의 브레이크 냉각 시스템
US11535281B2 (en) Drive system for a rail vehicle, rail vehicle having the drive system and methods for the forward movement of a rail vehicle
KR200167751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냉각장치
CN116398555A (zh) 一种串联双循环园的电液复合缓速装置
JPH06245481A (ja) 電磁リターダ
KR100246664B1 (ko) 리타더 차단장치
JPH054587Y2 (ko)
JPH054586Y2 (ko)
JPH053665U (ja) 流体式リターダ冷却装置
KR19980055164A (ko) 브레이크 드럼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