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053A - 방기 (紡機) 에서의 섬유속 집속 장치 - Google Patents

방기 (紡機) 에서의 섬유속 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053A
KR20070049053A KR1020060086765A KR20060086765A KR20070049053A KR 20070049053 A KR20070049053 A KR 20070049053A KR 1020060086765 A KR1020060086765 A KR 1020060086765A KR 20060086765 A KR20060086765 A KR 20060086765A KR 20070049053 A KR20070049053 A KR 20070049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belt
fusion
fiber bundle
region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3754B1 (ko
Inventor
나오키 마루야마
다카히사 이시이
요시마사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70049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01H5/70Constructional features of drafting elements
    • D01H5/72Fibre-condensing guid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01H5/26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in which fibres are controlled by one or more endless apr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01H5/60Arrangements maintaining drafting elements free of fibre accumulations
    • D01H5/66Suction devices exclusively
    • D01H5/68Suction end-catch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01H5/70Constructional features of drafting elements
    • D01H5/86Aprons; Apron supports; Apron tensio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Woven Fabr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섬유 속의 집속·이송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다공 벨트를 구성하는 실의 교차부로의 방출 섬유의 끼임·부착을 억제하여 방출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다공 벨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기에서의 섬유속 집속 장치를 제공한다.
드래프트 장치 (12) 의 최종 송출 롤러쌍 (13) 의 하류측에 닙 롤러쌍 (16) 이 설치되어 있다. 닙 롤러쌍 (16) 의 닙점을 끼우고 섬유속 (F) 의 이동 방향의 양측에 흡인 구멍 (29a, 30a) 을 구비한 안내면 (29b, 30b) 을 갖는 흡인부 (17) 와, 안내면 (29b, 30b) 을 슬라이딩하면서 회전되는 다공 벨트 (18) 를 구비한다. 다공 벨트 (18) 는, 열융착사 (34) 가 교차부 (35) 를 갖도록 구성된 직물로 형성되고, 융착된 교차부 (35) 가 인접하는 융착 영역 (37) 과, 융착되지 않은 교차부 (35) 가 인접하는 비융착 영역 (38) 이 다공 벨트 (18) 의 길이 방향에서 교대로 존재하도록 교차부 (35) 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다.

Description

방기 (紡機) 에서의 섬유속 집속 장치 {A FASCICLE CLUSTER DEVICE IN SPINNING DEVICE}
도 1 에서, (a) 는 1 실시형태의 섬유속 집속 장치의 일부 파단 개략 측면도이고, (b) 는 융착 처리가 실시된 다공 벨트의 모식 사시도이고, (c) 는 융착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다공 벨트의 모식 사시도이고, (d) 는 다공 벨트에서의 실의 교차부의 모식도이며, (e) 는 개구율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 는, 흡인부와 보텀 닙 롤러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3 은, 다공 벨트의 융착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 사시도이다.
도 4 에서, (a), (b) 는 별도의 실시형태에서의 다공 벨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모식도이다.
도 5 는, 별도의 실시형태의 섬유속 집속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6 은, 종래 기술의 반송 벨트의 부분 개략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F···섬유속, 11···섬유속 집속 장치,
12···드래프트 파트로서의 드래프트 장치, 13···최종 송출 롤러쌍,
16···송출부로서의 닙 롤러쌍, 17···흡인부, 18···다공 벨트,
29a, 30a, 44a···흡인 구멍, 29b, 30b···안내면,
34···열융착사, 35···교차부, 37···융착 영역,
38···비융착 영역.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46472호 (단락번호 [0021]∼[0023], 도 1, 도 3)
본 발명은, 방기 (紡機) 에서의 섬유속 집속 장치에 관련되고, 자세하게는 예를 들어 정방기의 드래프트 장치 (드래프트 파트) 의 하류에 배치되고, 드래프트 장치에서 드래프트된 섬유속을 집속하는 섬유속 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래프트된 섬유속을 꼬아서 걸기 전에 미리 집속하고, 보풀의 저감 등의 실품질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섬유속 집속 장치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기본의 기능이 되는 섬유속의 집속·이송용으로서 엔드리스의 다공 벨트가 사용된다. 다공 벨트는, 폴리아미드 멀티 필라멘트 얀을 사용한 직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섬유속 집속 장치에서 사용하는 반송 벨트 (다공 벨트) 로서, 부직포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을 참조). 이 부직포 시트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필라멘트제의 종사 (경사 ; 51) 와 횡사 (위사 ; 52) 를 교차하여 중첩시킨 후, 가열 용융 처리를 행하여, 쌍방의 실의 교점 부분에서 서로 용착 ·고정함으로써, 종사 (51) 와 횡사 (52) 에 의해 격자 형상 영역 (53) 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엔드리스의 다공 벨트를 직물로 형성한 경우, 방출시에 다공 벨트를 형성하는 직물의 실의 절단 또는 다공 벨트의 단부의 풀림이 발생하면, 절단된 실단이나 풀린 실의 실단이 방출 중의 섬유속에 얽히거나, 섬유의 집속에 악영향을 주고, 실 끊김, 실 품질 불량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풀림이 시작되면 조기에 다공 벨트가 사용 불가능한 상태까지 도달할 우려도 있다.
특허문헌 1 의 반송 벨트는, 종사 (51) 및 횡사 (52) 를 중첩하여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종사 (51) 와 횡사 (52) 가 모든 교점 부분에서 서로 용착·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 벨트 (다공 벨트) 를 구성하는 종사 (51) 또는 횡사 (52) 가 절단되더라도, 절단한 실단이 방출되는 섬유속에 얽히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풀림이 발생하더라도 풀림이 커지는 것이 억제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반송 벨트와 같이, 반송 벨트를 구성하는 종사 (51) 와 횡사 (52) 가 모든 교점 부분에서 서로 용착·고정된 구성에서는, 반송 벨트의 유연성이 저하된다. 그 결과, 반송 벨트가 섬유속 집속 장치의 가이드부의 외형에 융합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섬유속의 집속·이송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다공 벨트를 구성하는 실의 교차부로의 방출 섬유의 끼임·부착을 억제하여 방출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다공 벨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기에서의 섬유속 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은, 드래프트 파트에서 드래프트된 섬유속을 집속하는 방기에서의 섬유속 집속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드래프트 파트의 최종 송출 롤러쌍의 하류측에 설치됨과 함께 닙 롤러를 구비한 송출부와, 그 송출부의 닙점을 끼우고 섬유속의 이동 방향의 적어도 상류측에 흡인 구멍을 구비한 안내면을 갖는 흡인부와, 상기 안내면을 슬라이딩하는 상태에서 회전되는 다공 벨트를 구비한다. 상기 다공 벨트는, 직물, 편물과 같이 실이 교차부를 갖도록 구성된 시트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융착된 교차부가 인접하는 융착 영역과, 융착되지 않는 교차부가 인접하는 비융착 영역이 적어도 상기 다공 벨트의 길이 방향에서 교대로 존재하도록 상기 교차부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시트 상체」는, 평직, 능직 등으로 직성된 직물이나 편물 외에, 한 방향으로 배열된 실로 구성된 실층을 실의 배열 방향이 교차하는 상태에서 2 층 적층하여 각 실의 교차부를 융착시킨 것도 포함한다. 또한,「융착 영역」은, 융착된 인접하는 교차부 뿐만 아니라 그 교차부에 대응하는 개구도 영역 내에 포함하고,「비융착 영역」은, 융착되어 있지 않은 인접하는 교차부 뿐만 아니라 그 교차부에 대응하는 개구도 영역 내에 포함한다.
드래프트 파트에서 드래프트된 섬유속은, 다공 벨트의 회전 운동에 따라 송출부를 통과한다. 그 때, 흡인 구멍의 흡인 작용이 다공 벨트를 통해 섬유속에 작용하고, 섬유속이 흡인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집속된다. 다공 벨트가 실의 교차부에 융착 처리가 행해져 있지 않은 시트상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트상체를 구성하는 실이 절단된 경우, 실단이 방출되는 섬유속에 얽히는 등에 의해 실 끊김이나 실 품질 불량을 야기하거나, 방출 중의 섬유속의 섬유가 시트상체를 구성하는 실의 교차부에 끼워져, 방출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공 벨트는, 시트상체를 구성하는 실의 교차부가 부분적으로 융착되고, 융착된 교차부가 인접하는 융착 영역과, 융착되지 않는 교차부가 인접하는 비융착 영역이 적어도 다공 벨트의 길이 방향에서 교대로 존재한다. 따라서, 시트상체를 구성하는 실이 절단되더라도, 절단된 실단이 방출되는 섬유속에 얽히는 것이 억제됨과 함께, 방출 중의 섬유속의 섬유가 실의 교차부에 끼이는 것도 억제되어 다공 벨트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교차부 모두가 융착된 경우와 달리, 다공 벨트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다공 벨트는 섬유속 집속 장치의 가이드부의 외형에 융합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섬유속의 집속·이송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회피된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융착 영역과 비융착 영역은 상기 다공 벨트의 폭방향에서도 교대로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공 벨트의 폭방향에서의 유연성도 향상된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융착 영역의 총면적이 상기 다공 벨트의 총면적에 차지하는 비율은 50∼95% 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공 벨트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또한 내구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다공 벨트를 구성하는 실은 폴리아미드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공 벨트를 얇게 하기 위해 실의 굵기를 0.1㎜ 정도로 해도 필요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는 면과 특성이 잘 맞아, 방출이 원활하게 실시된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다공 벨트는 폭방향에서의 단부측의 융착 영역의 면적 비율이, 중앙부측의 융착 영역의 면적 비율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폭방향에서의 단부측」이란 폭방향에서의 단부로부터 1/4∼1/3 인 범위를 의미하고, 중앙부측은 나머지 1/2∼1/3 인 범위를 의미한다. 또한,「융착 영역의 면적 비율」은, 융착 영역의 면적과 비융착 영역의 면적의 합계에 대한 융착 영역의 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공 벨트 전체로서의 융착 영역의 비율이 같은 경우, 융착 영역이 다공 벨트 전체에 대략 균일하게 분포하는 경우에 비해, 섬유속에 대한 흡인 작용이 양호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정방기에 장착되는 섬유속 집속 장치로 구체화한 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3 에 따라서 설명한다.
섬유속 집속 장치는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섬유속 집속 장치 (일본 공개특허 공보 2003-113450호) 와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이다.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유속 집속 장치 (11) 는, 드래프트 파트로서의 드래프트 장치 (12) 의 최종 송출 롤러쌍 (13) 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최종 송출 롤러쌍 (13) 은, 프론트 보텀 롤러 (14) 및 프론트 톱 롤러 (15)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섬유속 집속 장치 (11) 는 송출부로서의 닙 롤러쌍 (16), 흡인부 (17) 및 다공 벨트 (18) 를 구비하고 있다. 닙 롤러쌍 (16) 은 프론트 보텀 롤러 (14) 와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 (19) 에 형성된 구동 롤러부로서의 보텀 닙 롤러 (19a) 와, 보텀 닙 롤러 (19a) 에 다공 벨트 (18) 를 개재하여 가압되는 톱 닙 롤러 (20) 로 구성되어 있다. 톱 닙 롤러 (20) 는 드래프트 장치 (12) 의 프론트 톱 롤러 (15) 와 동일하게 2 방추마다, 지지 부재 (21) 를 개재하여 웨이팅 아암 (미도시) 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 (21) 는 프론트 톱 롤러 (15) 의 지지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섬유속 집속 장치 (11) 의 보텀측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래프트 장치 (12) 의 롤러 스탠드 (22) 사이에 배치되는 방추의 반, 이 실시형태에서는 4 방추분을 1 유닛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대 길이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롤러 스탠드 (22) 의 중간 위치에는, 백 보텀 롤러 (미도시) 보다 후측에서 기대 길이 방향에 연설된 지지 빔 (미도시) 에, 기단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 아암 (23) 이 배치되고, 롤러 스탠드 (22) 와 지지 아암 (23) 의 사이에 회전축 (19) 이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 (19) 은 복수 방추 (이 실시형태에서는 4 방추) 와 대응하는 소정 길 이로 형성되고, 그 양단에 고정된 베어링 (미도시) 이 엔드 플러그 (25) 에 끼워 맞춰져 있다. 그리고, 엔드 플러그 (25) 가 감합부 (25a) 에서 롤러 스탠드 (22) 및 지지 아암 (23) 에 설치된 지지부 (22a, 23a) 에 지지됨으로써, 회전축 (19) 은 롤러 스탠드 (22) 와 지지 아암 (23) 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 (22a, 23a) 는, 엔드 플러그 (25) 를 2 개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고, 인접하는 회전축 (19) 의 단부에 부착된 엔드 플러그 (25) 를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축 (19) 에는 길이 방향의 중앙에, 구동원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회전력전달부로서의 기어 (26) 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 (26) 는 회전축 (19) 과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 (19) 의 구동원으로서 프론트 보텀 롤러 (14) 가 사용되고, 프론트 보텀 롤러 (14) 에는 기어 (26) 와 대향하는 위치에 기어부 (14a ; 도 1(a) 에 도시)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아암 (23) 과 동일하게, 기단측이 지지 빔에 고정된 지지 아암 (27) 에 중간 기어 (28) 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중간 기어 (28) 는 기어부 (14a) 및 기어 (26) 에 맞물려 있다. 즉, 프론트 보텀 롤러 (14) 의 회전력은, 기어부 (14a), 중간 기어 (28) 및 기어 (26) 를 개재하여 회전축 (19) 에 전달된다.
정방기 기대에는 그 길이 방향 (도 1(a) 의 지면과 수직 방향) 으로 연장되도록 흡인 덕트 (미도시) 가 배치되어 있다. 흡인부 (17) 는, 회전축 (19) 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흡인 파이프 (29, 30) 와, 흡인 덕트에 연결된 부압을 흡인 파이프 (29, 30) 에 작용시키는 접속관 (31) 을 구비하고 있다. 접속관 (31) 은 일부가 기어 (26) 및 중간 기어 (28) 의 커버의 역할을 하도록, 기어 (26) 의 전측에 배치되고, 기단측에서 자바라 형상의 연결관 (32) 을 개재하여 흡인 덕트에 접속되어 있다. 흡인 파이프 (29, 30) 는 제 1 단부가 접속관 (31) 의 선단부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감합 구멍에 끼워 맞춰지고, 제 2 단부가 엔드 플러그 (25) 에 끼워 맞춰져 있다.
도 1(a)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 파이프 (29) 는, 닙 롤러쌍 (16) 의 닙점을 끼우고 섬유속 (플리스 (fleece) ; F) 의 이동 방향의 상류측으로 연장되는 흡인 구멍 (29a) 이 형성된 안내면 (29b) 을 갖는다. 흡인 파이프 (30) 는, 하류측에 연장되는 흡인 구멍 (30a) 이 형성된 안내면 (30b) 을 갖는다. 그리고, 흡인 파이프 (29) 는 보텀 닙 롤러 (19a) 의 닙점보다 섬유속 (F) 의 이동 방향 상류측에, 흡인 파이프 (30) 는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 파이프 (30) 의 하방 근방에는, 실이 끊어질 때에 드래프트 장치 (12) 로부터 송출되는 섬유속 (F) 을 흡인하는 작용을 이루는 싱글 타입의 뉴머 장치의 흡인 노즐 (33) 의 선단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흡인 노즐 (33) 의 기단은 흡인 덕트 (미도시) 에 접속되어 있다.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공 벨트 (18) 는 일부가 흡인 파이프 (29, 30) 에, 일부가 보텀 닙 롤러 (19a) 에 접촉하도록 감겨지고, 보텀 닙 롤러 (19a) 의 회전에 수반하여 안내면 (29b, 30b) 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다공 벨트 (18) 는, 평직 직물에 의해, 이음매가 없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 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통 형상으로 직성된 직물이 융착 처리가 실시된 후, 소정 폭으로 절단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1(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물을 구성하는 실에는 심초 구성의 열융착사 (34) 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열융착사 (34) 는, 직물을 구성하는 실의 교차부 (35) 에서 초부 (34a) 가 융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열융착사 (34) 는 심부 (34b) 및 초부 (34a) 가 각각 폴리아미드제이고, 심부 (34b) 에는 융점이 260℃ 인 폴리아미드가, 초부 (34a) 에는 융점이 220℃ 인 폴리아미드가 각각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심부 (34b) 는 모노 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다.
직물은 직경 (굵기) 이 0.05∼0.15㎜ 인 열융착사 (34) 로 직성되어 있다. 실이 가는 편이 방출 중의 섬유속 (F) 에 대한 흡인 작용은 바람직하지만, 다공 벨트 (18) 의 강도가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상기 범위의 굵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율이 25∼40% 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개구율이란, 도 1(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2 개의 경사 (36a) 및 2 개의 위사 (36b) 의 중심선 (파선으로 도시) 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의 면적을 A1, 2 개의 경사 (36a) 및 2 개의 위사 (36b) 에 의해 둘러싸인 사선을 그은 부분 (개구부) 의 면적을 A2 로 하였을 때, (A2/A1)×100(%) 로 정의된다.
다공 벨트 (18) 는, 직물을 구성하는 실의 교차부 (35) 의 전부에서 융착되는 것은 아니고, 융착된 교차부 (35) 가 인접하는 융착 영역 (37) 과, 융착되지 않는 교차부 (35) 가 인접하는 비융착 영역 (38) 이 적어도 다공 벨트 (18) 의 길이 방향에서 교대로 존재하도록 교차부 (35) 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다. 이 실 시형태에서는, 융착 영역 (37) 과 비융착 영역 (38) 은 다공 벨트 (18) 의 폭방향에서도 교대로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도 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융착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다공 벨트 (18) 는 전체가 균일한 원통 직물이지만, 융착 처리가 실시된 다공 벨트 (18) 는,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의 융착 영역 (37) 이 다공 벨트 (18) 의 전체에 대략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형성되고, 나머지의 영역이 비융착 영역 (38) 이 된다. 또한, 도 1(b) 에서는 경사 (36a) 및 위사 (36b)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교차부 (35) 가 융착될 때에, 열융착사 (34) 가 교차부 (35) 의 근방에서도 용융하기 때문에, 융착 영역 (37) 에서의 개구율은 비융착 영역 (38) 에서의 개구율보다 낮아진다. 그리고, 융착 영역 (37) 과 비융착 영역 (38) 은 눈으로 보기에도 상이하고,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융착 영역 (37) 이 비융착 영역 (38) 과 구별된 상태로 보인다.
융착 영역 (37) 의 총면적이 다공 벨트 (18) 의 총면적, 즉 융착 영역 (37) 의 총면적과 비융착 영역 (38) 의 총면적의 합에 차지하는 비율인 융착 영역 비율은, 50∼95% 가 바람직하고, 70∼9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융착 영역 비율이 50% 미만이면 다공 벨트 (18) 의 내구성이 불충분해지기 쉽고, 융착 영역 비율이 95% 를 초과하면 다공 벨트 (18) 의 유연성이 불충분해지기 쉽다. 또한, 하나의 융착 영역 (37) 의 크기는, 다공 벨트 (18) 의 폭의 크기에도 의하지만, 융착 영역 (37) 이 원형인 경우에는 지름이 다공 벨트 (18) 의 폭의 반 이하가 바람직하고, 면적에서는 1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다공 벨트 (18) 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다공 벨트 (18) 를 처음부터, 최종 제품의 폭으로 형성한 후, 융착 처리를 행하여 제조하는 것은 생산성이 낮기 때문에, 먼저 최종 제품의 폭의 복수배 (예를 들어, 십수배) 의 길이의 원통 직물을 준비한다. 다공 벨트 (18) 의 폭은 15∼25㎜ 정도이기 때문에, 수백 ㎜ 길이의 원통 직물을 준비한다. 그리고,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직물 (39) 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형의 원통체 (40a) 에 복수의 구멍 (40b) 이 형성된 융착 처리부 (40) 를 구비한 장치를 사용하여 융착 처리를 실시한다. 원통체 (40a) 는, 원통 직물 (39) 보다 길게 형성됨과 함께, 원통 직물 (39) 의 길이 이상의 범위에 구멍 (40b) 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 (40b) 은, 다공 벨트 (18) 의 융착 영역 (37) 에 대응한 크기로, 융착 영역 (37) 의 분포 상태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원통 직물 (39) 을 융착 처리부 (40) 의 원통체 (40a) 에 밖에서 감은 상태에서 원통체 (40a) 내에, 열융착사 (34) 의 초부 (34a) 가 용융 가능한 고온의 기체 (예를 들어 공기) 를 공급한다. 원통체 (40a) 내에 공급된 고온의 기체는 구멍 (40b) 으로부터 원통체 (40a) 의 밖으로 내뿜는다. 그리고, 원통 직물 (39) 의 구멍 (40b) 과 대응하는 부분의 영역에서의 열융착사 (34) 의 교차부 (35) 에서 초부 (34a) 가 융착되어 융착 영역 (37) 이 형성된다. 원통체 (40a) 로의 고온의 기체의 공급을 소정 시간 실시한 후, 원통체 (40a) 를 냉각한다. 냉각 후, 원통 직물 (39) 을 원통체 (40a) 로부터 떼어 낸다. 그 후, 원통 직물 (39) 을 소정 폭으로 절단하면 다공 벨트 (18) 가 완성된다.
원통체 (40a) 에 형성된 구멍 (40b) 의 크기, 수, 분포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상태에서 융착 영역 (37) 이 형성된 다공 벨트 (18) 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섬유속 집속 장치 (11) 의 작용을 설명한다.
정방기가 운전되면, 섬유속 (F) 은 드래프트 장치 (12) 에서 드래프트된 후, 최종 송출 롤러쌍 (13) 으로부터 섬유속 집속 장치 (11) 로 안내된다. 닙 롤러쌍 (16) 은 최종 송출 롤러쌍 (13) 의 표면 속도보다 약간 빠르게 회전되고, 섬유속 (F) 은 적절한 긴장 상태에서 닙 롤러쌍 (16) 의 닙점을 지난 후, 전향하여 꼬임을 받으면서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덕트의 흡인 작용이 접속관 (31) 을 개재하여 흡인 파이프 (29, 30) 및, 안내면 (29b, 30b) 에 형성된 흡인 구멍 (29a, 30a) 의 흡인 작용이 다공 벨트 (18) 를 개재하여 섬유속 (F) 에 미친다. 그리고, 섬유속 (F) 이 흡인 구멍 (29a, 30a) 과 대응하는 위치에 흡인 집속된 상태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섬유속 집속 장치 (11) 가 장비되지 않은 방기에 비해, 보풀의 발생이나 낙면이 억제되어 사질이 개선된다.
이 실시형태는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1) 섬유속 집속 장치 (11) 를 구성하는 흡인 파이프 (29, 30) 의 안내면 (29b, 30b) 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회전되는 다공 벨트 (18) 는, 그 소재가 되는 시트상체인 직물을 구성하는 실 (열융착사 (34)) 이 교차부 (35) 에서 부분적으로 융 착되어 있다. 따라서, 직물을 구성하는 실이 절단되더라도, 절단된 실단이 방출되는 섬유속 (F) 에 얽히는 것이 억제됨과 함께, 방출 중의 섬유속 (F) 의 섬유가 실의 교차부 (35) 에 끼는 것도 억제된다. 그 결과, 섬유속 (F) 의 집속·이송 기능의 저하가 억제됨과 함께, 다공 벨트 (18) 를 구성하는 실의 교차부 (35) 로의 방출 섬유의 끼임·부착을 억제하여 방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융착된 교차부 (35) 가 인접하는 융착 영역 (37) 과, 융착되지 않는 교차부 (35) 가 인접하는 비융착 영역 (38) 이 다공 벨트 (18) 의 적어도 길이 방향에서 교대로 존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교차부 (35) 가 모두 융착된 구성의 다공 벨트와 달리, 다공 벨트 (18) 의 유연성이 확보되고, 다공 벨트 (18) 는 섬유속 집속 장치 (11) 의 가이드부인 흡인 파이프 (29, 30) 의 외형 (안내면 (29b, 30b) 에 융합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섬유속 (F) 의 집속·이송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3) 융착 영역 (37) 과 비융착 영역 (38) 은 다공 벨트 (18) 의 폭방향에서도 교대로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공 벨트 (18) 의 폭방향에서의 유연성도 향상한다.
(4) 융착 영역 (37) 의 총면적이 다공 벨트 (18) 의 총면적에 차지하는 비율은 50∼95% 이다. 따라서, 다공 벨트 (18) 의 유연성이 확보됨과 함께, 내구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 비율을 70∼90% 로 하면, 다공 벨트 (18) 의 유연성과 내구성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5) 다공 벨트 (18) 를 구성하는 실은 폴리아미드제이다. 따라서, 다공 벨트 (18) 를 얇게 하기 위해 실의 굵기를 0.1㎜ 정도로 해도 필요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는 선과 특성이 잘 맞아, 방출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6) 다공 벨트 (18) 의 소재가 되는 직물 (시트상체) 을 구성하는 실에 심초 구성의 열융착사 (34) 가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직물을 구성하는 실을 그 교차부 (35) 에서 용이하게 융착할 수 있다.
(7) 다공 벨트 (18) 의 소재의 직물은 경사 (36a) 및 위사 (36b) 의 양방에 열융착사 (34) 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일방만이 열융착사 (34) 인 경우에 비해, 실의 교차부 (35) 의 융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8) 다공 벨트 (18) 는 0.1㎜ 정도의 가는 실로 발이 작게 직성되어 있기 때문에, 섬유속 (F) 에 대한 흡인 작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9) 다공 벨트 (18) 는 이음매가 없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섬유속 (F) 의 이송이 원활하게 실시됨과 함께, 이음매로부터 피로가 진행되기 쉬워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10) 다공 벨트 (18) 를 형성하는 직물은 필라멘트사로 직성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두께에서 스테플사에 비해 강도가 강해짐과 함께, 통기성이 향상된다.
(11) 다공 벨트 (18) 의 제조에 필요한 융착 처리 방법으로서, 구멍 (40b) 이 형성된 원통체 (40a) 에 원통 직물 (39) 을 밖에서 감은 상태에서 구멍 (40b) 으로부터 고온의 기체를 내뿜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 따라서, 형성해야 할 융착 영역 (37) 의 크기 및 분포에 대응한 상태에 구멍 (40b) 이 형성된 원통체 (40a) 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융착 영역 (37) 을 구비한 다공 벨트 (18) 를 용이하게 생산성이 높은 상태에서 제조할 수 있다.
실시형태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 다공 벨트 (18) 는, 융착 영역 (37) 이 다공 벨트 (18)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폭방향에서의 단부측의 융착 영역 (37) 의 면적 비율이, 중앙부측의 융착 영역 (37) 의 면적 비율보다 높아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여기에서,「폭방향에서의 단부측」이란, 폭방향에서의 단부로부터 1/4∼1/3 인 범위를 의미하고, 중앙부측은 나머지 1/2∼1/3 인 범위를 의미한다. 또한, 「융착 영역 (37) 의 면적 비율」이란, 융착 영역 (37) 의 면적과 비융착 영역 (38) 의 면적의 합계에 대한 융착 영역 (37) 의 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단부측의 융착 영역 (37) 의 면적 비율을 높게 하는 방법으로서, 같은 크기의 융착 영역 (37) 의 밀도를 바꾸는 방법이나, 크기가 다른 융착 영역 (37) 을 형성함과 함께 밀도를 바꾸는 방법이 있다. 중앙부측의 융착 영역 (37) 의 면적 비율이 작아지면, 개구율이 커지기 때문에, 다공 벨트 (18) 전체로서의 융착 영역 (37) 의 비율이 같은 경우, 융착 영역 (37) 이 다공 벨트 (18) 전체에 대략 균일하게 분포하는 경우에 비해, 섬유속 (F) 에 대한 흡인 작용이 양호해진다.
○ 단부측과 중앙부측에서 크기가 상이한 융착 영역 (37) 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단부측의 면적 비율을 높게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측에 면적이 큰 융착 영역 (37) 이 형성되고, 중앙부측에 면적이 작 은 융착 영역 (37) 이 형성되는 구성인 편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흡인 구멍 (29a, 30a) 으로부터의 흡인 작용이 섬유속 (F) 에 대해 균일하게 작용하기 쉬워진다.
○ 다공 벨트 (18) 의 폭방향에 배치되는 융착 영역 (37) 의 수가 각 열에서 같아지도록 배치해도 된다. 또한, 크기가 다른 융착 영역 (37) 이 혼재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 융착 영역 (37) 의 형태는 원형에 한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타원 등 적절하게 변경해도 된다.
○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공 벨트 (18) 의 양단에, 주위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융착 영역 (37) 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융착 영역 (37) 사이의 비융착 영역 (38) 의 존재에 의해 다공 벨트 (18) 의 유연성이 확보됨과 함께, 다공 벨트 (18) 의 단부가 보다 풀리기 어려워진다.
○ 다공 벨트 (18) 를 제조할 때에 있어서의 교차부 (35) 의 융착 처리는, 원통체 (40a) 의 구멍 (40b) 으로부터 내뿜는 고온의 기체를 사용하는 방법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원통 직물 (39) 을 롤러에 밖에서 감게 함과 함께, 융착 영역 (37) 의 형상으로 형성된 볼록부를 갖는 별도의 롤러를 원통 직물 (39) 에 가압한 상태에서 롤러를 가열하면서 회전시키는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그러나, 고온의 기체를 사용하는 방법인 편이 용이하다.
○ 최종 제품에서의 다공 벨트 (18) 의 폭으로 형성한 원통 직물 (39) 에 융착 처리를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 다공 벨트 (18) 는 평직의 직물로 형성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능직 등 다른 직조법으로 짜여진 직물을 사용해도 된다.
○ 다공 벨트 (18) 는 직물로 형성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편물 (편지) 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편물의 신축성에 의해, 텐션 장치를 특별히 설치하지 않아도 다공 벨트 (18) 가 적절한 장력 상태에서 회전된다.
○ 다공 벨트 (18) 는 직물이나 편물에 한하지 않고, 특허문헌 1 의 부직포와 같이, 한 방향으로 배열된 실 (열융착사 (34)) 로 구성된 실층을 열융착사 (34) 의 배열 방향이 교차하는 상태 (예를 들어, 직교 상태) 에서 2 층 적층하여 각 열융착사 (34) 의 교차부 (35) 를 부분적으로 융착한 시트상체로 형성해도 된다.
○ 다공 벨트 (18) 는 엔드리스로 짜여지거나 또는 뜨여진 직물 또는 편물로 형성된 이음매가 없는 루프 형상에 한하지 않고, 띠 형상의 직물 또는 편물 등의 양단을 고착한 이음매가 있는 루프 형상이어도 된다.
○ 다공 벨트 (18) 를 형성하는 직물은 모든 실을 열융착사로 구성하는 대신에, 경사만 또는 위사만을 열융착사로 구성해도 된다.
○ 열융착사 (34) 는 초부 (34a) 및 심부 (34b) 가 모두 폴리아미드제인 것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초부 (34a) 및 심부 (34b) 모두 폴리에스테르제인 것이나, 초부 (34a) 를 폴리에스테르제, 심부 (34b) 를 폴리아미드제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
○ 다공 벨트 (18) 는 대전 방지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 회전축 (19) 및 흡인 파이프 (29, 30) 는 4 방추를 1 유닛으로 하는 구성 에 한하지 않고, 롤러 스탠드 (22) 사이의 방추수 (예를 들어 8 방추) 를 1 유닛으로 하거나, 2 방추를 1 유닛으로 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반드시 전체 유닛을 같은 방추수로 하지 않고, 롤러 스탠드 (22) 사이의 방추수를 상이한 수로 나누고 (예를 들어 6 방추와 2 방추) 그것에 대응하여 2 종의 유닛을 설치해도 된다.
○ 섬유속 (F) 의 닙점을 끼우고 상류측 및 하류측에 흡인 구멍 (29a, 30a) 을 형성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닙점을 끼우고 상류측에만 흡인 구멍 (29a) 을 구비한 흡인 파이프 (29) 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흡인 파이프 (30) 대신에 흡인 파이프 (30) 와 동일한 외형으로, 흡인 구멍 (30a) 을 형성하지 않는 파이프 또는 바를 사용하면 제조 방법이나 조립을 상기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인 파이프 (30) 를 없애고 다공 벨트 (18) 를 흡인 파이프 (29) 와 보텀 닙 롤러 (19a) 의 사이에 감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 섬유속 집속 장치 (11) 의 송출부는 닙 롤러쌍 (16) 을 장비하는 구성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대략 계란형의 흡인 파이프 (44) 를 설치하고, 흡인 파이프 (44) 의 소정 위치에 흡인 구멍 (44a) 을 형성한다. 그리고, 흡인 파이프 (44) 및 텐션 롤러 (45) 의 외주를 따라 다공 벨트 (18) 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는다. 또한, 기어 (46) 를 개재하여 프론트 톱 롤러 (15) 의 회전을 톱 닙 롤러 (20) 에 전달하고, 톱 닙 롤러 (20) 를 다공 벨트 (18) 에 압접하면서 구동함으로써 다공 벨트 (18) 를 구동하도록 해도 된다.
○ 보텀 닙 롤러 (19a) 가 형성되는 회전축 (19) 을 전체 방추 공통의 샤프트로 하여, 드래프트 장치 (12) 의 프론트 보텀 롤러 (14) 와 동일하게 기대의 기어 엔드에 형성된 기어열을 개재하여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 다공 벨트 (18) 를 톱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 정방기의 드래프트 장치에 한하지 않고, 그 밖의 방기의 드래프트 장치에 적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로부터 파악되는 발명 (기술적 사상) 에 대해, 이하에 기재한다.
(1) 직물, 편물과 같이 실이 교차부를 갖도록, 또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 시트상체를 열융착사로 형성하고, 상기 시트상체를 일단이 폐색됨과 함께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원통체에 밖에서 감은 상태에서 상기 원통체에 상기 열융착사의 융점 이상의 온도의 기체를 공급함과 함께 상기 구멍으로부터 내뿜게 하고, 상기 구멍과 대응하는 상기 교차부의 융착 처리를 실시하는 다공 벨트의 제조 방법.
(2) 상기 기술적 사상 (1) 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시트상체는, 다공 벨트 복수분의 길이를 갖고, 상기 교차부의 융착 처리가 완료된 후,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어 다공 벨트가 형성된다.
(3)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공 벨트.
(4)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섬유속 집속 장치를 구비한 링 정방기.
본 발명에 의하면, 섬유속의 집속·이송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다공 벨트를 구성하는 실의 교차부로의 방출 섬유의 끼임·부착을 억제하여 방출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다공 벨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드래프트 파트에서 드래프트된 섬유속을 집속하는 방기에서의 섬유속 집속 장치로서,
    상기 드래프트 파트의 최종 송출 롤러쌍의 하류측에 설치됨과 함께 닙 롤러를 구비한 송출부와, 그 송출부의 닙점을 끼우고 섬유속의 이동 방향의 적어도 상류측에 흡인 구멍을 구비한 안내면을 갖는 흡인부와, 상기 안내면을 슬라이딩하는 상태에서 회전되는 다공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다공 벨트는, 직물, 편물과 같이 실이 교차부를 갖도록 구성된 시트상체로 형성되고, 또한 융착된 교차부가 인접하는 융착 영역과, 융착되지 않는 교차부가 인접하는 비융착 영역이 적어도 상기 다공 벨트의 길이 방향에서 교대로 존재하도록 상기 교차부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는 방기에서의 섬유속 집속 장치.
  2. 제 1 항에서,
    상기 융착 영역과 비융착 영역은 상기 다공 벨트의 폭방향에서도 교대로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기에서의 섬유속 집속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서,
    상기 융착 영역의 총면적이 상기 다공 벨트의 총면적에 차지하는 비율은 50∼9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기에서의 섬유속 집속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벨트를 구성하는 실은 폴리아미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기에서의 섬유속 집속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벨트는 폭방향에서의 단부측의 융착 영역의 면적 비율이, 중앙부측의 융착 영역의 면적 비율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기에서의 섬유속 집속 장치.
KR1020060086765A 2005-11-07 2006-09-08 방기 (紡機) 에서의 섬유속 집속 장치 KR100733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22782A JP4774930B2 (ja) 2005-11-07 2005-11-07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JPJP-P-2005-00322782 2005-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053A true KR20070049053A (ko) 2007-05-10
KR100733754B1 KR100733754B1 (ko) 2007-06-29

Family

ID=3781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765A KR100733754B1 (ko) 2005-11-07 2006-09-08 방기 (紡機) 에서의 섬유속 집속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783253B1 (ko)
JP (1) JP4774930B2 (ko)
KR (1) KR100733754B1 (ko)
CN (1) CN19629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2724B2 (ja) * 2009-12-09 2013-09-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紡機の繊維束集束装置における吸引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2003179A1 (de) * 2012-02-17 2013-08-22 Oerlikon Textile Components Gmbh Streckwerk zum Verziehen eines Vorgarns
IN2014DE03384A (ko) * 2013-12-05 2015-08-21 Rieter Ag Maschf
CN109295567B (zh) * 2018-11-21 2021-07-09 东华大学 一种提高紧密纺纱线性能的装置及方法
CN112481755A (zh) * 2020-10-27 2021-03-12 徐时平 气流槽聚紧密纺装置的集聚罗拉组件及紧密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4531B2 (ja) * 1998-06-03 2008-03-19 東洋紡績株式会社 自動車座席用織物
CH693214A5 (de) 1998-07-14 2003-04-15 Schurr Stahlecker & Grill Vorrichtung zum Verdichten eines verstreckten Faserverbandes.
DE19837182B4 (de) * 1998-08-17 2007-01-25 Stahlecker, Fritz Transportband zum Transportieren eines zu verdichtenden Faserverbandes
DE19959563A1 (de) * 1999-12-10 2001-06-13 Stahlecker Fritz Luftdurchlässiges Transportband zum Transportieren eines zu verdichtenden Faserverbandes
MXPA01000059A (es) * 2000-01-21 2002-08-06 Stahlecker Fritz Banda transportadora para transportar un haz de fibras a ser condensadas.
JP3704273B2 (ja) * 2000-05-08 2005-10-12 住江織物株式会社 車輌用内装表皮材及びその製造方法
DE10104182B4 (de) * 2001-01-24 2012-03-29 Maschinenfabrik Rieter Ag Transportband zum Transportieren eines zu verdichtenden Faserverbandes
JP3820951B2 (ja) * 2001-10-04 2006-09-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JP2004100093A (ja) * 2002-09-10 2004-04-02 Toyota Industries Corp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DE10318303A1 (de) * 2003-04-14 2004-10-28 Wilhelm Stahlecker Gmbh Transportband zum Transportieren eines Faserverbandes
ES2244323B1 (es) * 2003-05-21 2006-10-16 Maschinenfabrik Rieter Ag Cinta transportadora para transportar una mecha de fibras.
DE10324287A1 (de) * 2003-05-21 2004-12-16 Wilhelm Stahlecker Gmbh Transportband zum Transportieren eines Faserverbandes
DE10325385A1 (de) * 2003-05-30 2004-12-23 Spindelfabrik Süssen Schurr, Stahlecker & Grill GmbH Transportband zum Transportieren eines zu verdichtenden Faserverbandes
DE10325383A1 (de) * 2003-05-30 2005-01-05 J.H. Vom Baur Sohn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ransportbändern
JP4342268B2 (ja) * 2003-10-24 2009-10-14 義憲 前多 エラスティックウェビング
CN1584158B (zh) * 2004-06-09 2010-12-08 无锡莱福纶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紧密型纺纱用网格状吸聚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26798A (ja) 2007-05-24
JP4774930B2 (ja) 2011-09-21
CN1962979A (zh) 2007-05-16
CN1962979B (zh) 2010-09-29
EP1783253B1 (en) 2012-04-11
KR100733754B1 (ko) 2007-06-29
EP1783253A3 (en) 2009-10-28
EP1783253A2 (en)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1196C (zh) 纺纱机的纤维束集束装置
KR100733754B1 (ko) 방기 (紡機) 에서의 섬유속 집속 장치
KR101223343B1 (ko) 편직물과 상기 편직물을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23797B1 (ko) 신축성 부직포 및 테이프류
EP2009151B1 (en) Air-jet spinning device
US20090211722A1 (en) Belt and method of making a belt for a paper making machine
JP2002192641A (ja) 横伸縮性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CN105506793B (zh) 纺纱机中的特殊纱线纺织设备
JP6739176B2 (ja) シームループを有する抄紙用フェルト用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129630A (ja) 開繊された繊維束の製造方法、清掃部材の製造方法、繊維束の開繊装置、及び清掃部材の製造システム
JP5210679B2 (ja) 編物の編成方法及び製造装置
JP5400707B2 (ja) ドライヤーカンバスの継手
JP5616610B2 (ja) 織物
JP2004346472A (ja) スライバを搬送するための搬送ベルト
JP5571886B2 (ja) 抄紙用具
JP4921224B2 (ja) フクレ防止円筒状金網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00093A (ja)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KR20150049879A (ko) 부직포,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6228746B2 (ja) 搬送ベルト及び搬送ベルトの製造方法
JP2005146434A (ja) タイヤコード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2013124432A (ja) 繊維束集束装置の通気搬送ベルト
JP2023012027A (ja) 伸縮性を有する細幅レース編地の加工装置
JP2021088786A (ja) 長繊維不織布
KR20120058419A (ko) 원사, 특히 실 또는 자수사, 및 원사 제조 방법
TW200831730A (en) An arrangement for producing a knitted fabric with a draf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