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559A - 포장 용기 및 의료용 포장 시트 - Google Patents

포장 용기 및 의료용 포장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559A
KR20070041559A KR1020077002803A KR20077002803A KR20070041559A KR 20070041559 A KR20070041559 A KR 20070041559A KR 1020077002803 A KR1020077002803 A KR 1020077002803A KR 20077002803 A KR20077002803 A KR 20077002803A KR 20070041559 A KR20070041559 A KR 20070041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rface layer
resi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6682B1 (ko
Inventor
히로시 오다카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1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6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general shape other than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12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B65B55/14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Abstract

기재층과, 융점 130℃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를, 표면층이 용기 내면측에 위치하도록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공기 투과성 및 박테리아 배리어성을 구비한 덮개재를 히트 시일한다.
포장 용기

Description

포장 용기 및 의료용 포장 시트{PACKAGING CONTAINER AND MEDICAL PACKAGING SHEET}
본 발명은 가열 성형시 등에서의 내열성이 우수함과 함께, 용기 내면과 수용물과의 스티킹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고, 추가로 덮개재의 박리 용이성도 구비한 의료용 포장 용기로서 바람직한 포장 용기, 및 그러한 포장 용기에 사용하는 데 바람직한 의료용 포장 시트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의료용 포장 용기로서, 용기 본체에, 공기 투과성 및 박테리아 배리어성을 구비한 멸균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덮개재를 히트 시일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의료용 포장 용기의 일례로서, 특허 문헌 1 에는, 용기 본체의 용기 내면측이 되는 면의 전체 면에 접착재를 적층하고, 이에 덮개재를 히트 시일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은, 종래, 덮개재측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재를 용기 본체 측에 형성함으로써, 덮개재의 공기 투과성을 손상시키기 않고, 완전한 밀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1-31146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열판 사이에 두고 가열하여, 플러그 어시스트식의 압공 성형에 의해 성형하거나 소정 용기 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본 출원인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이러한 성형 방법을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것 (단락 번호 [0020],[0021]) 에 적용하면, 열판에 의한 가열시에 접착재가 열판에 부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를 알아내었다. 가열 온도를 저하시키면, 이러한 문제는 회피할 수 있으나, 이렇게 하면 이번에는 시트에 내부 변형이 남은 채로 용기 형상으로 성형하게 되고, 멸균 처리시의 가열 등에 의해 용기가 변형되어 버리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 특허 문헌 1 에서는, 용기의 내면측에 접착재를 형성해도, 접착재는 수용물에 전혀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는 없다고 개재되어 있지만 (단락 번호[0021]), 특허 문헌 1 과 같이, 용기 내면측의 전체 면에 접착재를 형성했을 경우에는, 접착재와 내용물과의 부착 (스티킹) 이 발생한다는 문제도 알아내었다. 특히, 실린지 등의 의료용 장치를 수용하는 의료용 포장재에서는, 100℃ 를 초과하는 높은 온도에서 멸균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고온 환경하에 노출된 접착재가 용융 또는 연화되어, 내용물에 부착되는 것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포장 용기에 덮개재로서 사용하는 멸균지 등은, 공기 투과성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고, 역박리를 위한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곤란하고, 개봉시에 덮개재가 파단되어, 내용물에 지분(紙粉) 이 혼입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용기 본체에 덮개재를 히트 시일하여 이루어지는 이러한 종류의 포장 용기에서는, 내용물의 밀봉성에 가하여, 용기를 개봉하여 내용물을 꺼낼 때에, 덮개재가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 된 것으로서, 가열 성형시 등에서의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점과 함께, 용기 내면과 수용물과의 스티킹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덮개재의 시일성 및 박리 용이성도 구비한 의료용 포장 용기로서 바람직한 포장 용기, 및 그러한 포장용 용기에 사용하는 데 바람직한 의료용 포장 시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 용기는, 용기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공기 투과성 및 박테리아 배리어성을 구비한 덮개재를 히트 시일하여 이루어지는 포장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가, 기재층과 용기 내면측에 위치하는 표면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층을, 융점 130℃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가열 성형시에서의 표면층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성형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없어진다. 또, 표면층은, 히트 시일되는 부위에 있어서 접착층으로서 기능하는 것인 바, 히트 시일 부위 이외의 것에서도 용기 본체의 내면측에 노출되고, 내용물과 접하고 있지만,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멸균 처리 등의 고온 환경하에 노출되어도, 표면층과 내용물의 스티킹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 용기는, 상기 덮개재가 다공성 필름, 부직포, 직포 또는 감균지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용기 본체에서의 기재층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용기 본체에서의 표면층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50∼95중량% 와, 폴리에틸렌계 수지 5∼50중량% 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가열 성형시에서의 표면층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함께, 용기 개봉시에서의 덮개재의 박리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덮개재로서 사용하는 다공성 필름, 부직포 또는 직포를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배합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융점이 130℃ 이상인 랜덤 폴리프로필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융점이 낮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덮개재를 손상시키지 않고, 표면층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성분 사이에서, 수지끼리의 적당한 접착을 얻을 수 있다.
또, 덮개재에 내열성이 높은 멸균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배합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호모 폴리프로필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표면층의 내열성이 보다 향상됨과 함께, 내용물과 표면층의 스티킹을 보다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배합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중 어느 하나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밀도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밀도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밀도 (O.9g/㎤) 에 근사하다. 이에 따라,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밀도 분포의 균일성이 유지되고, 투명성이 요구되는 포장 용기에서는, 내용물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배합하는 저밀도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그 밀도가, O.89g/㎤∼O.92g/㎤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 용기는, 실린지, 약액 충전제 실린지, 가아제, 핀셋, 또는 메스 등의 의료 기구를 내용물로 하여 수용하고, 덮개재를 히트 시일한 후에, 1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의 온도에서 멸균 처리되는 포장 용기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의료용 포장 시트는, 공기 투과성 및 박테리아 배리어성을 구비한 덮개재를 히트 시일하여, 의료 기구를 내용물로 하여 수용하는 데 사용하는 의료용 포장 시트로서, 기재층의 내용물과 접하는 면측에 표면층을 적층한 적층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표면층이 융점 130℃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관련된 의료용 포장 시트는,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적층체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가열 성형시에서의 표면층의 내열성이 우수하며, 덮개재를 히트 시일하여 용기로서 사용했을 경우에, 표면층과 내용물과의 스티킹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 성형시 등에서의 내열성이 우수한 포장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용기 내면과 수용물과의 스티킹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덮개재의 소재, 기재층을 형성하는 수지, 및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를 특정 조합으로 함으로써, 덮개재의 박리 용이성을 구비한 포장 용기로 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적층체로서는, 예를 들어, 기재층을 형성하는 수지와,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의 각각을 압출기로부터 압출하여, 적층한 후에 다이스 등에 의해 부착하면서 권취해 가는 공압출법 등에 의하여, 시트상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 용기는, 용기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덮개재를 히트 시일함으로써 얻을 수 있지만, 용기 본체의 형태는, 내용물의 형상에 따라 여러 가지의 형태를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아제 등의 얇은 것을 내용물로 하는 경우에는, 시트상으로 형성한 적층체의 표면층측과 덮개재 사이에 내용물을 끼워, 내용물의 주위를 히트 시일함과 함께, 불필요한 부분을 커트하도록 해도 되고, 결과적으로, 용기 본체 (적층체)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덮개재가 히트 시일되어 있으면 된다.
또, 실린지 등과 같이 내용물이 입체적 형상을 갖는 것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시트상으로 형성한 적층체를 열판 사이에 끼워 성형 온도까지 가열하여, 표면층이 용기 내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플러그 어시스트식의 압공 성형에 의해 성형하는 등의 적당한 성형 수단에 의하여, 용기 본체를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함과 함께, 용기 본체의 개구부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덮개재를 히트 시일하기 위한 플렌지부를 형성하는 등 하면 된다.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적층체가 구비되는 기재층은, 통상은, 원하는 용기 형상으로 성형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박테리아의 투과를 차단하는 박테리아 배리어성을 가지고 있으면 되지만, 용기 본체의 내열성이나 투명성을 고려하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랜덤 폴리프로필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층은, 필요에 따라, 공기의 투과를 차단하는 공기 비투과성이나 수증기 배리어성 등을 첨가 또는 보충하기 위한 수지층을 적층시킨 다층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표면층은, 융점 130℃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가열 성형시에서의 표면층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성형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없어진다. 또한, 표면층은, 히트 시일되는 부위에 있어서 접착층으로서 기능하는 것인 바, 히트 시일 부위 이외의 것에 있어서도 용기 본체의 내면측에 노출되어, 내용물과 접하고 있지만, 이러한 표면층을 상기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멸균 처리 등의 고온 환경하에 노출되어도, 표면층과 내용물과의 스티킹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층의 두께는, 덮개재와의 히트 시일성을 고려하여, 통상은 1∼100㎛, 바람직하게는 10∼50㎛ 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러한 표면층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50∼95중량%, 바람직하게는 60∼80중량% 와, 폴리에틸렌계 수지 5∼50중량%,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 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폴리프로필렌을 배합하는 비율이 상기 범위에 미치면 못하면 표면층의 내열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또, 폴리프로필렌을 배합하는 비율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비율이 적어지면, 히트 시일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버린다.
덮개재에 멸균지를 사용하는 경우로서,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중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비교적 높은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표면층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자체의 내열성이 향상됨과 함께, 만일, 고온 환경하에 노출되어도 용기의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지만,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적층체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가열 성형시에, 기재층을 형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성형 온도까지 가열하여, 고온에서 성형해도,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열판에 부착되거나 열판의 표면 형상이 표면층에 전사되는 등 하여, 얻어지는 포장 용기의 외관 품위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성형 온도를 높게 함으로써, 적층체의 내부 변형을 제거할 수 있고, 성형 후의 용기 변형, 특히, 멸균 처리 등의 가열에 의한 용기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추가로 용기 변형에 의한 덮개재의 박리도 방지할 수 있다.
또,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배합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면, 표면층의 내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과 함께, 내용물과 표면층의 스티킹을 보다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배합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 예를 들어, LLDPE 나 LDPE 등과 같이, 밀도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밀도 (O.9g/㎤) 에 근접하는 것 (바람직하게는, 밀도 O.89g/㎤∼O.92g/㎤ 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을 사용하면,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밀도 분포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본체의 투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내용물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메탈로센계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시킨 메탈로센계 LLDPE 는 밀도가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가까운 값을 나타내고, 굴절률이 근사하기 때문에, 기재층 및 표면층에 배합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호모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함과 함께, 표면층에 배합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메탈로센계 LLDPE 로 하는 양태는, 용기 본체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덮개재로서는, 박테리아 배리어성을 구비함과 함께, 내용물의 멸균 처리시에 멸균 가스를 투과하고, 멸균 처리 후에는 멸균 가스의 공기 치환이 가능한 공기 투과성을 구비하고, 용기 본체에 히트 시일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공성 필름, 부직포, 직포 또는 멸균지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것을 덮개재에 사용하면, 표면에 개구하는 다수의 구멍이나, 섬유끼리의 간극에, 히트 시일시에 용융한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들어가, 그 엥커 효과에 의한 기계적 결합 및/또는 덮개재와 표면층과의 화학적 상용성에 의하여, 덮개재와 표면층 사이에 적당한 접착성을 발휘시킬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덮개재와 표면층 사이에서의 적당한 접착성이, 덮개재의 박리 용이성의 발휘에 기여한다. 이 때, 다공성 필름, 부직포 또는 직포에 폴리에틸렌계 수지제인 것을 사용하면, 용기 본체의 표면층에 배합된 폴리에틸렌계 수지와의 화학적 상용성에 의해서도 덮개재와 표면층과의 적당한 접착성을 얻을 수 있어 덮개재의 박리 용이성을 적당히 발휘시키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덮개재로서 다공성 필름, 부직포, 직포 또는 멸균지 중 어느 것을 사용함과 함께, 용기 본체에서의 기재층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하고, 용기 본체에서의 표면층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덮개재의 소재, 기재층을 형성하는 수지, 및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를 이러한 조합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 용기의 성형시 등에서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함께, 용기 개봉시에서의 덮개재의 박리 용이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즉,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에, 기재층을 형성하는 수지와 동종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배합함으로써, 표면층과 기재층과의 상용성이 양호해져, 기재층과 표면층과의 접착성을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다공성 필름, 부직포, 직포 또는 멸균지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덮개재와 표면층 사이에서 적당한 접착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재층과 표면층 사이 및 덮개재와 표면층 사이에서의 층간 접착 강도의 밸런스에 의해, 용기의 밀봉성을 확보하면서, 덮개재의 박리 용이성을 발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때, 다공성 필름, 부직포, 직포로서 폴리에틸렌계 수지제인 것을 사용하면, 표면층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성분 사이에 수지끼리의 적당한 접착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서술한 층간 접착 강도의 밸런스를 조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덮개재의 박리 용이성을 발휘시키기 위해, 이데미츠 유니텍 주식회사 제조의 「매직 토프」와 같은 역박리 구조를 사용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 용기는, 실린지, 약액 충전제 실린지, 가아제, 핀세트, 또는 메스 등의 의료 기구를 내용물로 하여 수용하고, 덮개재를 히트 시일한 후에, 1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의 온도에서 멸균 처리가 실시되는 포장 용기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EGO 멸균 등의, 고온 가열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멸균 처리가 실시되는 의료용 포장 용기로서도 사용 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1) 표면층 및 기재층에 하기의 재료를 사용하여, 공압출법에 의해 표면층 15㎛, 기재층 400㎛ 가 되도록 적층 시트를 제조했다.
(i) 표면층
호모 폴리프로필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제조 : E-304GP) 60중량% 와, 메탈로센계 LLDPE (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 카넬 KF370) 40중량% 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ii) 기재층
호모 폴리프로필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제조 :E-304GP)
(2) 상기 (1) 에서 얻어진 적층 시트를 열판 사이에 두고 155℃ 로 가열하여, 표면층이 용기 내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플러그 어시스트식의 압공 성형에 의하여,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플렌지부가 형성된 소정 형상인 용기 본체를 10개 얻었다. 이 용기 본체 전체에 동일한 실린지를 넣어, 얻어진 10개의 용기 중 5개에 대해서는, 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덮개재 (듀폰 제조 : 타이벡) 를 사용하여,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고, 온도 150℃, 가열 시간 2.5초에서 플렌지부에 히트 시일했다. 남은 5개의 용기에 대해서는, 멸균지 (다이닛폰 인쇄제조) 를 사용하고,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고, 온도 190℃, 가열 시간 2.5초에서 플렌지부에 히트 시일했다.
[실시예 2]
(1) 표면층 및 기재층에 하기의 재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시트를 얻었다.
(i) 표면층
호모 폴리프로필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제조 : E-304GP) 70중량% 와, 메탈로센계 LLDPE (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 카넬 KF370) 30중량% 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ii) 기재층
호모 폴리프로필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제조 : E-304GP)
(2) 상기 (1) 에서 얻어진 적층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린지를 수용한 용기 본체에 2 종류의 덮개재를 히트 시일한 용기를 각각 5개씩, 합계 10개 얻었다.
[실시예 3]
(1) 표면층 및 기재층에 하기의 재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시트를 얻었다.
(i) 표면층
랜덤 폴리프로필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제조 : F744NP) 70중량% 와, 메탈로센계 LLDPE (닛폰 폴리에틸렌 제조 : 카넬 KF370) 30중량% 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ii) 기재층
호모 폴리프로필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제조 :E-304GP)
(2) 상기 (1) 에서 얻어진 적층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린지를 수용한 용기 본체에 2 종류의 덮개재를 히트 시일한 용기를 각각 5개씩, 합계 10개 얻었다.
[실시예 4]
(1) 표면층 및 기재층에 하기의 재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시트를 얻었다.
(i) 표면층
호모 폴리프로필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제조 : E-304GP) 70중량% 와, LDPE (토소제 : 페트로센 203) 30중량% 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ii) 기재층
호모 폴리프로필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제조 : E-304GP)
(2) 상기 (1) 에서 얻어진 적층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린지를 수용한 용기 본체에 2 종류의 덮개재를 히트 시일한 용기를 각각 5개씩, 합계 10개 얻었다.
[실시예 5]
(1) 표면층 및 기재층에 하기의 재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시트를 얻었다.
(i) 표면층
호모 폴리프로필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제조 : E-304GP) 60중량% 와, LDPE (토소제 : 페트로센 203) 40중량% 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ii) 기재층
호모 폴리프로필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제조 :E-304GP)
(2) 상기 (1) 에서 얻어진 적층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린지를 수용한 용기 본체에 2 종류의 덮개재를 히트 시일한 용기를 각각 5개씩, 합계 10개 얻었다.
[실시예 6]
(1) 표면층 및 기재층에 하기의 재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시트를 얻었다.
(i) 표면층
랜덤 폴리프로필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제조 : F744NP) 70중량% 와, LDPE (토소제 : 페트로센 203) 30중량% 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ii) 기재층
호모 폴리프로필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제조 :E-304GP)
(2) 상기 (1) 에서 얻어진 적층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린지를 수용한 용기 본체에 2 종류의 덮개재를 히트 시일한 용기를 각각 5개씩 , 합계 10개 얻었다.
[비교예 1]
(1) 표면층 및 기재층에 하기의 재료를 사용하여, 공압출법에 의해 표면층 15㎛, 기재층 400㎛ 가 되도록 적층 시트를 제조했다.
(i) 표면층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미츠이 듀폰 폴리케미칼 제조 : 에바플렉스 P2505G)
(ii) 기재층
호모 폴리프로필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제조 : E-304GP)
(2) 상기 (1) 에서 얻어진 적층 시트를 열판 사이에 두고 155℃ 로 가열했지만, 시트가 열판에 부착되어 버려, 성형할 수 없었다.
[비교예]
비교예 1 과 동일한 적층 시트를, 표면층측이 100℃, 기재층측이 140℃ 가 되도록 하여 열판 사이에 두고 가열하고, 표면층이 용기 내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플러그 어시스트식의 압공 성형에 의하여,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플렌지부가 형성된 소정 형상인 용기 본체를 10개 얻었다. 얻어진 용기 본체는, 형(型) 재현성이 양호하지 않았다. 또, 얻어진 용기 본체 전체에 동일한 실린지를 넣어, 얻어진 10개의 용기 중 5개에 대해서는, 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덮개재 (듀폰제 : 타이벡) 를 사용하여,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고, 온도 150℃, 가열 시간 2.5초에서 플렌지부에 히트 시일했다. 남은 5개의 용기에 대해서는, 멸균지 (다이닛폰 인쇄제조) 를 사용하여,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고, 온도 190℃, 가열 시간 2.5초에서 플렌지부에 히트 시일했다.
또한, 실시예 1, 2, 4, 5 에서 표면층에 사용한 호모 폴리프로필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제조 : E-304GP) 의 융점은, 161℃ 로서, 실시예 3, 6 에서 표면층에 사용한 랜덤 폴리프로필렌 (이데미츠 석유 화학 제조 : F744NP) 의 융점은, 132℃ 였다. 또, 비교예 1, 2 에서 사용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미츠이 듀폰 폴 리케미칼제조 : 에바플렉스 P2505G) 의 융점은 80℃ 이었다.
[평가 기준]
실시예 1∼6 및 비교예 1, 2 에서 얻어진 각각 용기에 대하여, 121℃ 의 오토클레이브로 멸균 처리한 후, 하기 (a)∼(f) 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a) 덮개재의 박리 용이성
멸균 처리를 실시한 후, 용기가 상온으로 돌아와서, 덮개재에 타이벡을 사용한 용기와, 덮개재에 멸균지를 사용한 용기를, 각각 1개씩 무작위로 꺼내어 용기 본체로부터 덮개재를 박리했다. 덮개재를 손으로 박리할 때에 느끼는 저항을 평가 (관능 평가) 함과 함께, 덮개재의 박리 상태, 손상의 유무 등을 육안으로 관찰했다. 단, 꺼낸 용기의 덮개재가, 플렌지로부터 일부라도 박리되어 있을 경우에는, 덮개재가 박리되어 있지 않은 용기와 바꾸었다.
여기서, 비교예 2 의 용기 중, 덮개재에 멸균지를 사용한 것은, 덮개재를 손으로 박리할 때의 저항이 크고, 무리하여 박리하면, 덮개재의 접착면측의 일부가 얇게 박리되어 용기 플렌지부에 부착되거나 덮개재에 손상이 발생했다. 또, 덮개재에 타이벡을 사용한 것은 덮개재의 손상은 없었지만, 손으로 박리할 때의 저항이 커서 박리하기 어려웠다. 비교예 2 의 평가를 × 로 하고, 덮개재의 손상이 없고, 비교예 2 보다 덮개재를 박리할 때의 저항이 약한 경우에는, 덮개재의 박리 용이성이 우수한 것으로서 평가를 ○ 으로 했다.
(b) 스티킹성
얻어진 10개의 용기 중, 1개이어도, 실린지의 용기 내면에 접하는 부분이, 용기 본체의 내면과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평가를 × 로 했다. 또, 얻어진 10개의 용기 전체에 대하여, 실린지의 용기 내면에 접하는 부분이, 용기 본체의 내면과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평가를 ○ 으로 했다.
(c) 외관 평가
얻어진 10개의 용기 중, 1개라도, 플러그 라인을 명료하게 시인할 수 있거나, 용기 표면에 열판의 표면이 전사되어 있으며, 용기에 패임이나 변형이 인정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현상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평가를 × 로 했다. 또, 10개의 용기 전체에 대해서, 전체의 불량 현상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평가를 ○ 으로 하고, 플러그 라인을 조금 시인할 수 있지만, 기타의 2개의 불량 현상은 전체 용기 모두 시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평가를 △ 로 했다.
(d) 파손된 주머니의 유무
얻어진 10개의 용기 중, 1개라도, 덮개재가 용기의 플렌지로부터 박리되어 있는 것이 있으면, 그 평가를 × 로 했다. 또, 얻어진 10개의 용기 중, 덮개재가 용기의 플렌지로부터 박리되어 있는 것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는 그 평가를 ○ 으로 했다.
(e) 열판 부착성
열성형하기 전의 가열 공정에 있어서, 열판 사이에서 가열된 시트가, 열판 사이를 나올 때, 열판에 부착의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시트가 열판에 부착되지 않은 것은, 그 평가를 ○ 으로 했다. 시트가 열판에 부착되는 것도 있지만, 성형에 지장이 없는 것에 대해서는, 그 평가를 △ 로 했다. 또, 시트가 열판에 부착되어, 성형을 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그 평가를 × 로 했다. 또한, 열판의 온도는, 금형의 형 재현성이 양호해지는 온도 (155℃) 이었지만, 비교예 2 만, 표면층측의 온도를 100℃, 기재층측의 온도를 140℃ 로 했다.
(f) 투명성
비교예 1 에서 얻어진 용기는, 용기 측면이 백탁되어, 내용물인 실린지 (실린더부) 가 잘 보이지 않았다. 이 투명성을 기준으로 하여, 그 평가를 × 로 한다. 이에 대하여, 용기의 측면에서, 내용물인 실린지 (실린더부) 를 시인할 수 있지만, 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평가를 △ 로 했다. 또, 용기의 측면에서, 내용물인 실린지 (실린더부) 를 명료하게 시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평가를 ○ 으로 했다. 또한, 실린지의 실린더부는 PP제로서, 스리유리와 동일한 백색 외관이기 때문에, 용기 측면의 투명성이 악화되면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
박리 용이성 스티킹성 외관 평가 파손된 주머니의 유무 열판 부착성 투명성
비교예 1 - - - - × -
비교예 2 × × × × ×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산업상사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 용기는, 의료용 포장 용기 등의 용도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용기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공기 투과성 및 박테리아 배리어성을 구비한 덮개재를 히트 시일하여 이루어지는 포장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가 기재층과 용기 내면측에 위치하는 표면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층을 융점 130℃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재가, 다공성 필름, 부직포, 직포 또는 멸균지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서의 기재층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용기 본체에서의 표면층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50∼95중량% 와, 폴리에틸렌계 수지 5∼50중량% 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한 포장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필름, 부직포 또는 직포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포장 용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배합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호모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랜덤 폴리프로필렌인 포장 용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배합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 어느 하나인 포장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료 기구를 내용물로 하여 수용하고, 덮개재를 히트 시일한 후에, 110℃ 이상의 온도에서 감균 처리가 실시되는 포장 용기.
  7. 공기 투과성 및 박테리아 배리어성을 구비한 덮개재를 히트 시일하고, 의료 기구를 내용물로 하여 수용하는 데 사용하는 의료용 포장 시트로서, 기재층의 내용물과 접하는 면측에 표면층을 적층한 적층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표면층이 융점 130℃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포장 시트.
KR1020077002803A 2004-08-06 2005-08-04 포장 용기 및 의료용 포장 시트 KR101196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31279 2004-08-06
JPJP-P-2004-00231279 2004-08-06
PCT/JP2005/014287 WO2006013919A1 (ja) 2004-08-06 2005-08-04 包装容器及び医療用包装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559A true KR20070041559A (ko) 2007-04-18
KR101196682B1 KR101196682B1 (ko) 2012-11-06

Family

ID=3578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803A KR101196682B1 (ko) 2004-08-06 2005-08-04 포장 용기 및 의료용 포장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11852B2 (ko)
KR (1) KR101196682B1 (ko)
CN (1) CN101001747B (ko)
WO (1) WO20060139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0770B2 (en) 2003-05-20 2015-06-23 Ethicon Endo-Surgery, Inc. Robotically-driven surgical instrument with E-beam driver
JP5579394B2 (ja) * 2009-01-30 2014-08-27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
CN111163935B (zh) * 2017-10-03 2022-08-16 住友电木株式会社 包装体
CN112313077A (zh) * 2018-07-23 2021-02-02 住友电木株式会社 多层膜及包装体
JP7036100B2 (ja) * 2019-10-15 2022-03-1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包装体
CN111439481B (zh) * 2020-03-23 2022-08-12 深圳大学 一种可高效灭菌的医用灭菌包装材料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1505B2 (ja) * 1997-12-26 2006-10-11 生化学工業株式会社 医療用滅菌包装における滅菌方法
JP2000271150A (ja) * 1999-03-26 2000-10-03 Terumo Corp 医療用器具
JP3376542B2 (ja) * 1999-07-22 2003-02-10 株式会社静幸産業 包装構造
JP2001046472A (ja) * 1999-08-04 2001-02-20 Material Eng Tech Lab Inc 耐熱性医療用容器
US6960392B2 (en) * 2000-03-30 2005-11-01 Arkema Structure comprising a binder layer non-delaminable with respect to a metallized substrate and peelable with respect to a polypropylene substrate
JP3792484B2 (ja) * 2000-05-30 2006-07-05 川本産業株式会社 滅菌包装用容器
JP2003145696A (ja) * 2001-11-15 2003-05-20 Showa Denko Plastic Products Co Ltd 積層フィルム、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2003231540A (ja) * 2002-02-08 2003-08-19 Idemitsu Unitech Co Ltd 容 器
JP4299486B2 (ja) * 2002-03-14 2009-07-22 藤森工業株式会社 消毒材料包装体
JP4190868B2 (ja) * 2002-11-19 2008-12-03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容器及びレトルト食品用易開封性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682B1 (ko) 2012-11-06
CN101001747A (zh) 2007-07-18
WO2006013919A1 (ja) 2006-02-09
CN101001747B (zh) 2011-01-19
JP5111852B2 (ja) 2013-01-09
JPWO2006013919A1 (ja) 200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2465A (en) Clear, autoclavable, sealed container having good water vapor barrier properties and flex crack resistance
EP2108381B1 (en) Dual compartment pouch
CA2728823C (en) Evoh barrier film with reduced autoclave shock
US20110127188A1 (en) Method of Using Coextruded Film for Sterile Barrier System to Deliver Seal and Peel Characteristics
JP4702245B2 (ja) 共押出多層フィルム、並びに該フィルムを用いた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包装材
CA2891544C (en) Sterilization pouch
KR101196682B1 (ko) 포장 용기 및 의료용 포장 시트
JP5460944B2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およびポリプロピレン製容器用蓋材
JP5034237B2 (ja) 多層フィルム
US5755081A (en) Heat-sealable, multilayer film containing therein a colorant and method for making a package with such film
EP3808680A1 (en) Sustainable blister packaging
CN110475722B (zh) 具有蒸煮冲击恢复性的膜
JP5396797B2 (ja) 共押出多層フィルム
JP5152383B2 (ja) 多層フィルム
JP4599054B2 (ja) 滅菌用包装体
JP2021523858A (ja) スパウトパウチおよびそれを作製する方法
GB2592482A (en) Oven skin packaging film
JP4161528B2 (ja) 蓋材および軟包装体
EP0858885A2 (en) Multi-layer structure, container using sam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6930632B1 (ja) スキンパック包装体
JP2018162073A (ja) 蓋材用無延伸共押出積層フィルム
JP5256984B2 (ja) 共押出多層フィルム
JP2007099324A (ja) 深絞り成形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2006117247A (ja) 易開封性フィルム、蓋材及び容器
JP2014117486A (ja) 滅菌包装袋用積層体および滅菌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