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393A - 화상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화소 배치 설계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화소 배치 설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393A
KR20070041393A KR1020060099836A KR20060099836A KR20070041393A KR 20070041393 A KR20070041393 A KR 20070041393A KR 1020060099836 A KR1020060099836 A KR 1020060099836A KR 20060099836 A KR20060099836 A KR 20060099836A KR 20070041393 A KR20070041393 A KR 20070041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ixels
luminance
pixe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9402B1 (ko
Inventor
히데쿠니 모리야
다쿠미 아라가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03431A external-priority patent/JP46264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4787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13334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6014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240658A/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1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2RGB geometrical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21Horizontal resolution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6Colour space transform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과제
시각에 대한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 4 색을 구성하는 화소가 배치된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소의 배치를 결정하는 화소 배치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화상 표시 장치는, 각각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4 개의 서브 화소를 한 조로서 갖는 표시 화소를 사용하여, 화상의 표시를 행한다. 표시 화소는, 휘도가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가 양단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휘도와,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각각에 인접하는 서브 화소의 휘도에서 2 개의 휘도 가산값을 얻은 경우에, 이들 휘도 가산값의 차이에 있어서의 절대값이 작아지도록, 중앙의 2 개의 서브 화소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오차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시각에 의해 관찰하였을 때의 엣지 블러 (blur)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화소 배치, 화상 표시 장치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화소 배치 설계 방법{IMAGE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PIXEL LOCATION DETERMINING METHOD}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는 표시부의 각 화소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도.
도 3 은 표시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4 는 표시부의 표시 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 은 휘도-반대색 성분에 대한 필터 특성을 나타내는 도.
도 7 은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에 의해 얻어진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8 은 4 색 RGBC 의 배치 후보를 나타내는 도.
도 9 는 도 8 의 12 개의 배치 후보에 대하여,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행하였을 때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
도 10 은 RGBC 의 휘도와 휘도 가산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11 은 서브 화소 배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표시 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13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4 는 RGBW 의 휘도와 휘도 가산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15 는 4 색 RGBW 의 배치 후보를 나타내는 도.
도 16 은 도 15 의 12 개의 배치 후보에 대하여,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행하였을 때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
도 17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8 은 3 색 RGB 에 있어서 표시 화소 배치를 변경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9 는 제 3 실시형태의 제 1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20 은 제 3 실시형태의 제 2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21 은 제 3 실시형태의 제 3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22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 기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23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 기기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
도 24 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표시 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25 는 R, YG, B, EG 의 휘도와 휘도 가산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26 은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7 은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표시 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28 은 R, YG, B, EG 의 휘도와 휘도 가산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29 는 표시부의 각 화소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도.
도 30 은 표시부의 표시 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31 은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2 는 휘도-반대색 성분에 대한 필터 특성을 나타내는 도.
도 33 은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에 의해 얻어진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34 는 RGBEGY 의 배치 후보를 나타내는 도.
도 35 는 도 34 의 60 개의 배치 후보에 대하여,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행하였을 때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
도 36 은 RGBEGY 의 휘도와 휘도 가산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37 은 서브 화소 배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8 은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표시 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39 는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0 은 RGBEGW 의 휘도와 휘도 가산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41 은 RGBEGW 의 배치 후보를 나타내는 도.
도 42 는 도 41 의 60 개의 배치 후보에 대하여,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행하였을 때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
도 43 은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표시 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44 는 RGBEGYW 의 휘도와 휘도 가산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45 는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6 은 3 색의 RGB 에 있어서 표시 화소 배치를 변경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7 은 제 9 실시형태의 제 1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8 은 제 9 실시형태의 제 2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9 는 제 9 실시형태의 제 3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설명하기 위 한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상 처리부 12 색 변환 회로
15 테이블 저장 메모리 16 γ 보정 회로
21 데이터선 구동 회로 22 주사선 구동 회로
23 표시부 100, 101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화소 배치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4 이상의 색 (이하,「다색」이라고도 함) 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여기서,「색」이란, 표시의 최소 단위인 서브 화소를 표시할 수 있는 색을 가리키고, 적색, 녹색, 청색의 3 색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상이한 색에 대응한 서브 화소의 표시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색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ed, Green, Blue, Cyan (이하, 단순히「RGBC」라고도 함) 의 4 색을 사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는, 시각에 대한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 RGBC 에 대 응하는 서브 화소의 배치를 행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각에 대한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 4 이상의 색을 구성하는 화소가 배치된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를 갖는 전자 기기, 및, 화소의 배치를 결정하는 화소 배치 설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서는, 각각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4 개의 서브 화소를 한 조로서 갖는 표시 화소를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화소는, 휘도가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가 상기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휘도와, 상기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각각에 인접하는 서브 화소의 휘도에서 얻어지는 2 개의 휘도 가산값의 차이에 있어서의 절대값이 작아지도록, 상기 표시 화소 중앙의 2 개의 서브 화소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의 화상 표시 장치는, 각각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4 개의 서브 화소를 한 조로서 갖는 표시 화소를 사용하여, 화상의 표시를 행한다. 이 표시 화소는, 휘도가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가 양단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휘도와,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각각에 인접하는 서브 화소의 휘도를 가산함으로써 2 개의 휘도 가산값을 얻은 경우에, 이들 휘도 가산값의 차이에 있어서의 절대값이 작아지도록, 중앙의 2 개의 서브 화소가 배치 되어 있다. 이로써,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오차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시각에 의해 관찰하였을 때의 엣지 블러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화상 표시 장치는,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화상 표시 장치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휘도 및 상기 휘도 가산값은, 휘도-반대색 공간에 있어서 정의되는 값이며, 상기 휘도-반대색 공간에 있어서의 시각 공간 특성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이로써, 시각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 서브 화소의 배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는, Red, Green, Blue, Cyan 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화소는,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가 Cyan, Red, Green, Blue 의 순으로 배치된다.
상기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는, Red, Green, Blue, White 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화소는,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가 Blue, White, Green, Red 의 순으로 배치된다.
또,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는, 적색, 황록색, 에메랄드그린, 청색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화소는,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가 청색, 황록색, 적색, 에메랄드그린의 순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한 하나의 예에서는,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의 색에 있어서의 각각의 착색 영역은, 파장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가시광 영역 가운데, 청색 계열 색상의 착색 영역, 적색 계열 색상의 착색 영역, 및 청색에서 황색까지의 색상 중에서 선택된 2 종의 색상의 착색 영역이다.
또한,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의 색에 있어서의 각각의 착색 영역은, 착색 영역을 투과한 광 파장의 피크가, 415 ∼ 500㎚ 에 있는 착색 영역과, 600㎚ 이상에 있는 착색 영역과, 485 ∼ 535㎚ 에 있는 착색 영역과, 500 ∼ 590㎚ 에 있는 착색 영역이다.
또,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표시 화소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으로 동일 색이 늘어서도록 직선 상에 복수 배치되어 있다. 즉, 표시 화소가 스트라이프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세로 방향과는 주사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다른 바람직한 예에는, 상기 표시 화소는,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하에 인접하는 상기 표시 화소끼리에 있어서, 각각의 표시 화소가 갖는 상기 서브 화소가 적어도 하나의 서브 화소분만큼 상하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표시 화상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가로 방향의 표시 화소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표시 장치를 저비용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화소의 가로폭은, 상기 표시 화소의 가로폭의 대체로 4 분의 1 이다. 또, 상기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서브 화소에 중첩되도록 배치된 컬러 필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서는, 각각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4 이상의 서브 화소를 한 조로서 갖는 표시 화소를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화소는, 상기 4 이상의 서브 화소의 휘도의 평균값보다도 작은 휘도를 갖는 2 개의 서브 화소가, 당해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오차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시각에 의해 관찰하였을 때의 엣지 블러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화상 표시 장치는,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표시 화소는, 상기 4 이상의 서브 화소 가운데, 휘도가 가장 큰 서브 화소가, 당해 표시 화소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엣지 주변부의 휘도 성분차의 가산값을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휘도 구배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표시 화소는, 상기 4 이상의 서브 화소 가운데, 휘도가 가장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가, 당해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효과적으로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또, 표시 화소는, 당해 표시 화소의 중앙으로부터 단을 향하여 상기 서브 화소의 휘도가 작아지도록, 상기 서브 화소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는, 당해 표시 화소의 중앙으로부터 일방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서브 화소에 있어서의 휘도를 가산한 휘도 가산값과, 당해 표시 화소의 중앙으로부터 타방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서브 화소에 있어서의 휘도를 가산한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아지도록 상기 서브 화소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좌우의 엣지의 휘도 구배를 동일한 정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서브 화소의 가로폭은, 상기 표시 화소가 5 개의 서브 화소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당해 표시 화소의 가로폭의 대체로 5 분의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하여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는, 각각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4 개의 서브 화소를 한 조로서 갖는 표시 화소를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의 배치를 결정하는 화소 배치 설계 방법은, 휘도가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의 위치를 상기 표시 화소의 양단에 결정하는 제 1 배치 결정 공정과, 상기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휘도와, 상기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각각에 인접하는 서브 화소의 휘도에서 얻어지는 2 개의 휘도 가산값의 차이에 있어서의 절대값이 작아지도록, 상기 표시 화소 중앙의 2 개의 서브 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2 배치 결정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한 화소 배치 설계 방법에 따라 결정된 서브 화소의 배치를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하여 적용함으로써,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오차가 저감됨과 함께, 시각에 의해 관찰하였을 때의 엣지 블러 현상이 경감된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 표시 장치 (100)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화상 표시 장치 (100) 는, 주로, 화상 처리부 (10) 와, 데이 터선 구동 회로 (21) 와, 주사선 구동 회로 (22) 와, 표시부 (23) 를 갖는다. 화상 표시 장치 (100) 는, 다색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표시 장치 (100) 는, Red, Green, Blue, 및 Cyan 의 4 색 (이하, 단순히「R」,「G」,「B」,「C」라고도 표기함) 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화상 처리부 (10) 는, I/F 제어 회로 (11) 와, 색 변환 회로 (12) 와, VRAM (13) 과, 어드레스 제어 회로 (14) 와, 테이블 저장 메모리 (15) 와, γ 보정 회로 (16) 를 구비한다. I/F 제어 회로 (11) 는, 외부 (예를 들어 카메라 등) 로부터 화상 데이터와 제어 커맨드를 취득하고, 화상 데이터 (d1) 를 색 변환 회로 (12) 에 공급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는, R, G, B 의 3 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색 변환 회로 (12) 는, 취득한 화상 데이터 (d1) 에 대하여, 3 색에서 4 색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색 변환 회로 (12) 는, 테이블 저장 메모리 (15) 에 기억된 데이터 등을 참조하여 색 변환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한다. 색 변환 회로 (12) 에서 화상 처리된 화상 데이터 (d2) 는, VRAM (13) 에 기록된다. VRAM (13) 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d2) 는, 어드레스 제어 회로로부터의 제어 신호 (d21) 에 기초하여, γ 보정 회로 (16) 에 의해 화상 데이터 (d3) 로서 판독됨과 함께, 주사선 구동 회로 (22) 에 의해 어드레스 데이터 (주사선 구동 회로 (22) 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동기를 취하기 때문에 ; d4) 로서 판독된다. γ 보정 회로 (16) 는, 테이블 저장 메모리 (15) 에 기억된 데이터 등을 참조하여, 취득한 화상 데이터 (d3) 에 대하여 γ 보정을 행한다. 그리고, γ 보정 회로 (16) 는, γ 보정 후의 화상 데이터 (d5) 를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에 공급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는, 2560 개의 데이터선에 대하여 데이터선 구동 신호 X1 ∼ X2560 을 공급한다. 주사선 구동 회로 (22) 는, 480 개의 주사선에 대하여 주사선 구동 신호 Y1 ∼ Y480 을 공급한다. 이 경우,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와 주사선 구동 회로 (22) 는, 동기하여 표시 패널 (23) 을 구동한다. 표시부 (23) 는, 액정 (LCD) 에 의해 구성되고, RGBC 의 4 색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또, 표시부 (23) 는, RGBC 에 대응하는 4 개의 화소 (이하,「서브 화소」라고 함) 를 한 조로서 갖는 단위 화소 (이하,「표시 화소」라고 함) 가,「세로 480 개 × 가로 640 개」갖는 VGA 사이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데이터선의 수가「640 × 4 = 2560 개」가 되어 있다. 표시부 (23) 는, 주사선 및 데이터선에 전압을 인가받음으로써, 표시해야 할 문자나 영상 등의 화상을 표시한다.
도 2 는 표시부 (23) 의 각 화소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백색 원 (153) 은, 표시 화소 (151) 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해칭의 차이는, 서브 화소 (152) 를 구성하는「R」,「G」,「B」,「C」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표시 화소 (151) 는, 세로 방향으로 동일 색이 늘어서도록 직선 상에 복수 배치되어 있는, 즉 스트라이프 배치되어 있다. 또, 표시 화소 (151) 의 가로세로의 길이비가「1:1」이기 때문에, 서브 화소 (152) 에 관해서는, 세로 방향의 길이 를「1」로 하면, 가로 방향의 길이는「0.25」가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세로 방향」이란 주사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가로 방향」이란 주사 방향으로 수평인 방향을 의미한다. 서브 화소 (152) 의 구체적인 배치, 및 서브 화소 (152) 의 배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3 은 표시부 (23) 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FT 어레이 기판 (23g) 의 내측에는 화소 전극 (23f) 이 형성되고, 대향 기판 (23b) 의 내측에는 공통 전극 (23d)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향 기판 (23b) 과 공통 전극 (23d) 사이에는, 컬러 필터 (23c) 가 형성되어 있다. 또, TFT 어레이 기판 (23g) 과 대향 기판 (23b) 의 외측에는, 백라이트 유닛 (23i) 과, 상하 편광판 (23a, 23h) 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TFT 어레이 기판 (23g) 및 대향 기판 (23b) 은, 유리·플라스틱 등의 투명 기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화소 전극 (23f) 및 공통 전극 (23d) 은, ITO (인듐 주석 산화물) 등의 투명 도전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소 전극 (23f) 은, TFT 어레이 기판 (23g) 에 형성된 TFT (Thin Film Transistor) 에 접속되어 있고, 당해 TFT 의 스위칭 구동에 따라, 공통 전극 (23d) 과 화소 전극 (23f) 사이의 액정층 (23e) 에 전압을 부여하게 되어 있다. 액정층 (23e) 은, 공통 전극 (23d) 과 화소 전극 (23f) 에 의해 부여된 전압값에 따라 배열이 변화하는 액정 분자를 갖고 있다.
이러한 액정층 (23e) 및 상하 편광판 (23a, 23h) 에 있어서는, 액정층 (23e) 에 부여되는 전압값에 따라 액정 분자의 배열이 변화함으로써, 액정층 (23e) 및 상 하 편광판 (23a, 23h) 을 투과하는 광량이 변한다. 그 때문에, 액정층 (23e) 은, 백라이트 유닛 (23i) 측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광량을 제어하여, 관찰자측에 소정의 투광량으로 투과시킨다. 백라이트 유닛 (23i) 은ㄱ내부에 균일하게 확산시켜, 도 3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광원광을 출사시키게 되어 있다. 광원은, 형광관이나 백색 LED 등으로 구성되고, 도광판은, 아크릴 등의 수지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표시부 (23) 는, 백라이트 유닛 (23i) 의 발광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해 출사시키고, 대향 기판 (23b) 측으로부터 꺼내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이다. 즉, 백라이트 유닛 (23i) 의 광원광을 이용하여 액정 표시를 행하게 되어 있다.
도 4 는 표시부 (23) 의 표시 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는 표시부 (23) 에서 사용되는 컬러 필터 (23c) 의 분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투과율 (%) 을 나타내고 있다. 도 4(b) 는 광원인 백라이트 유닛 (23i) 의 발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상대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c) 는 백라이트 유닛 (23i) 의 발광 특성에 대하여 컬러 필터 (23c) 의 투과 특성을 반영시킨 도면, 즉 4 색의 발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 도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상대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액정층 (23e) 에 의해 투과광의 제어를 행하고 있지만 투과 특성이 거의 평탄하기 때문에, 이것을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4(d) 는 4 색의 발광 특성에 대하여 색을 나타내는 3 자극값을 계산하여, xy 색도도 상에 플롯한 도면을 나타내는다. 도 4(d) 에 있어서의 사각형의 내부가 표시부 (23) 에 있어서 재현할 수 있는 색을 나타내고, 이 사각형이 표시부 (23) 에 있어서의 색 재현 영역에 대응한다. 또, 사각형의 정점이, 색을 구성하는 RGBC 에 대응한다.
(서브 화소 오차 확인 방법)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시각에 대한 영향을 충분히 고려한 형태로, 4 색 RGBC 의 서브 화소를 배치한다. 여기에서는, 서브 화소의 배치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시각 특성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브 화소의 배치가 상이한 경우에, 시각 특성상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설명한다.
도 5 는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란, RGBC 각 화소의 배열 순서 후보에 대하여, 각각의 후보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를 확인하기 위하여 행하는 처리이다. 서브 화소를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각 화소를 평면 상에 배열하여 배치하고, 미세한 발광의 혼색에 의해 색을 재현하지만, 시각 특성의 관계상, 각 화소의 배치에 의해 엣지 블러나 색 깨짐 (위색) 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에 있어서 확인하는「오차」는, 이러한 엣지 블러나 색 깨짐에 대응한다. 또한,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는, 컴퓨터 등에 의해 실행된다.
먼저, 단계 S101 에서는, RGBC 각 색의 XYZ 를 입력한다. 각 색의 XYZ 는, 컬러 필터 (23c) 나 백라이트 유닛 (23i) 의 분광 특성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는 값이며, 시뮬레이션이나 실측에 의해 구해진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102 로 진행된다. 단계 S102 에서는, XYZ 를 휘도-반대색 공간으로 변환하고, Lum, R/G, B/Y 의 각 성분으로서 나타내는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103 으로 진행된다.
단계 S103 에서는, 휘도-반대색 공간에 있어서 시각 특성에 따른 필터 처리를 행한다. 이 필터 처리는,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104 로 진행되고, 필터 처리 결과에 대하여 엣지 블러나 색 깨짐 등의 오차 확인을 행한다.
도 6 은 휘도-반대색 성분에 대한 필터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좌측에 Lum 성분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중앙에 R/G 성분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우측에 Y/B 성분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고, 각각 가로축에 화상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세로축에 중량감 (자세하게는, 시 (視)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 있어서의 Lum 성분을「1」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인 값) 을 나타내고 있다. 또, 상단에 시거리가 가까운 경우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하단에 시거리가 먼 경우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 특성은, 휘도-반대색 각각의 성분에 관하여 각각의 진폭 특성과 확산 폭을 가진다. 또, 필터 특성은 시각 특성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시거리에 따라서도 특성이 변화한다. 또한, R/G 성분 쪽이 B/Y 성분보다도 필터의 진폭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에 의해 얻어진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 는,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에 사용한 공간적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RGBC 의 순으로 배치된 표시 화소를 사용하여, 중앙의 부호 (160) 로 나타내는 표시 화소를 비점등 (전체 차단) 상태로 하고, 그 양측에 위치하는 부호 (161, 163) 로 나타내는 표시 화소군을 전체 점등 (전체 투과) 상태로 한다. 즉, 중앙 부분을 흑색으로 표시하고, 그 양측을 백색으로 표시시키는 공간적 패턴 (이하,「흑백 패턴」이라고도 함) 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서브 화소의 배치 순서를「RGBC」라고 표기한 경우에는, 좌측 또는 우측에서 순서대로「R」,「G」,「B」,「C」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7(b), (c), (d) 는, 가로축에 흑백 패턴에 대응하는 화상 위치를 나타내고, 세로축에 각각 Lum 성분, R/G 성분, B/Y 성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7(b) 에서는, 서브 화소 평면 배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간적으로 완전 혼색시킨 이상적 경우에 있어서의 그래프를 중첩하여 표시하고 있다. 도 7(b) 로부터, 서브 화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백색의 부분에서도 미세하게 관찰하면 색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래프의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흑색의 부분에서는, 주위의 서브 화소의 영향을 받아 엣지 블러의 원인이 되는 휘도 상승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R/G 성분 및 B/Y 성분에 관해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이상적 경우) 에는, 일정 주기로 반복하는 그래프가 된다. 그러나, 도 7(c), 도 7(d) 로부터, R/G 성분 및 B/Y 성분의 양방 모두, 흑색 주변에서는 주위의 서브 화소의 영향을 받아 색 성분이 증가되고, 색 깨짐을 일으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c) 의 R/G 성분에서는, 중앙 우측의 피크 부분에 있어서 정 (적색) 의 방향으로 증가하고 있음과 함께, 흑백의 패턴을 관찰하면 Red 화소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크게 정의 방향으로 증가하 는 것은, 시각 특성을 반영시킨 필터 처리의 결과이며, 필터 처리를 행하지 않으면 이러한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즉, 이러한 큰 색 성분은 본래 존재하고 있지 않지만, 시각에 의해 관찰함으로써, 색 성분이 발생하여 보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도 5 ∼ 도 7 에서 나타내는 사실을 고려하여, 4 색 RGBC 의 각 화소의 배치 후보에 대하여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를 고찰한다.
도 8(a) ∼ (l) 은, 4 색 RGBC 의 배치 후보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RGBC 에 있어서의 조합의 수는「4 × 3 × 2 × 1 = 24 개」이지만, 좌우의 대칭성을 고려하면, 배치 후보의 수는 이 절반인 12 개가 된다. 즉, 예를 들어「RGBC」를「CBGR」과 동일하게 취급한다.
도 9 는, 도 8(a) ∼ (l) 의 12 개의 배치 후보에 대하여,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행하였을 때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9(a) ∼ (l) 은, 가로축에 흑백 패턴에 대응하는 화상 위치를 나타내고, 세로축에 Lum 성분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 굵은 선은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에 의해 얻어진 그래프를 나타내고, 가는 선은 서브 화소 평면 배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간적으로 완전 혼색시킨 이상적 경우에 있어서의 그래프를 중첩하여 표시하고 있다. 이로부터, 도 9(l) 에 나타내는「BGRC」의 배치 순서로 한 경우에, 오차가 비교적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k) 등에 나타내는 배치 순서의 오차가 적어 보이지만, 흑색의 표시 화소의 중심 위치로부터 좌우 비대칭으로 휘도 Lum 이 어긋나 있기 때문에, 도 9(l) 에 나타내는 배치 순서보다도 오차는 크다.
이하에서, 이러한 결과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세하게는, 휘도 Lum 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이 휘도 Lum 은, 휘도-반대색 공간에 있어서 정의되고, 휘도-반대색 공간에 있어서의 시각 공간 특성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여기서, 휘도 Lum 에 주목하는 것은, 끝에 위치하는 서브 화소의 휘도가 높은 경우에는, 백색을 표시하였을 때의 끝의 휘도가 높아지고, 흑색과의 필터 처리의 결과, 엣지 블러의 원인이 되는 휘도 상승에 연결된다고, 바꾸어 말하면 오차가 커진다고 사료되기 때문이다. 즉, 휘도가 작은 서브 화소를 표시가 그 끝에 배치됨으로써, 상기한 오차가 적어진다고 사료된다.
또한, 이와 같이 표시 화소의 양측에 배치하는 서브 화소를 결정한 경우, 표시 화소에 있어서의 좌우 휘도의 밸런스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는,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와,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각각에 인접하는 서브 화소에서 얻어지는 2 개의 휘도 가산값 (본 명세서에서는,「휘도 가산값」이란, 인접하는 2 개의 서브 화소의 휘도를 가산한 값을 의미함) 에 있어서의 차이에 기초하여, 좌우 휘도의 밸런스를 고찰한다. 좌우 휘도의 밸런스에 주목하는 것은, 좌우 휘도의 밸런스가 깨지면, 편방의 엣지만 흐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고 사료되기 때문이다. 또, 서브 화소 단체가 아니라 2 개의 서브 화소의 휘도 가산값을 사용하는 것은, 시각 특성을 반영한 필터 특성에 의해, 2 개의 서브 화소가 합쳐진 형태로 주위에 영향을 준다고 사료되기 때문이다. 즉, 좌우의 2 개의 서브 화소에서 얻어지는 2 개의 휘도 가산값에 있어서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아지도록, 중앙의 2 개의 서브 화소를 배치함으로써, 오차가 적어진다고 사료된다.
도 10 은 RGBC 의 휘도와 휘도 가산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표이다. 도 10(a) 는, 좌측에서 순서대로, RGBC 각 색에 관하여, XYZ 로부터 구한 Lum 성분, R/G 성분, B/Y 성분을 나타내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휘도는 Y 에 상당하는 값으로서 사용하고, 채도는 색의 진함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사용한다.
또, 도 10(b) 는, RGBC 에서 선택한 2 색 (제 1 색, 제 2 색) 의 휘도를 가산한 값 (휘도 가산값) 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c) 는,「B」,「C」를 양단에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BR」(좌측 세트) 과「GC」(우측 세트) 를 조합한 경우 (즉,「BRGC」의 배치 순서로 한 경우) 의 2 개의 휘도 가산값에 있어서의 차이의 절대값을 위에 나타내고,「BG」(좌측 세트) 와「RC」(우측 세트) 를 조합한 경우 (즉,「BGRC」의 배치 순서로 한 경우) 의 2 개의 휘도 가산값에 있어서의 차이의 절대값을 아래에 나타내고 있다. 또한,「B」,「C」를 양단에 배치하였을 때에 얻어지는 값을 도시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0(a) 로부터, Blue 와 Cyan 의 휘도 Lum 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Blue 와 Cyan 을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하면, 오차가 적어진다고 사료된다. 여기서, 도 9 를 참조하면, Blue 와 Cyan 을 양단에 배치한 경우 (예를 들어, 도 9(k), (l)) 에는, Blue 와 Cyan 을 양단에 배치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도 9(f)) 와 비교하면, 오차가 실제로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10(c) 로부터, Blue 와 Cyan 을 양단에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BG」(좌측 세트) 와「RC」(우측 세트) 를 조합하였을 때에,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BRGC」의 배치 순서로 하는 것보다 도,「BGRC」의 배치 순서로 함으로써, 오차가 적어진다고 사료된다. 여기서, 도 9 를 참조하면,「BG」와「RC」를 조합한 경우 (도 9(l) 참조) 에는,「BR」과「GC」를 조합한 경우 (도 9(k) 참조) 와 비교하면, 오차가 실제로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BGRC」의 배치 순서 (도 9(l) 참조) 에 있어서의 오차가 적다는 결과가 얻어진 것은, 휘도가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를 양단에 배치함과 함께, 좌우의 2 개의 서브 화소로부터 각각 얻어지는 2 개의 휘도 가산값에 있어서, 휘도 가산값간의 차이가 작은 서브 화소를 중앙의 2 개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또한,「CRGB」는「BGRC」의 역의 배치이다. 즉,「CRGB」의 배치는「BGRC」의 배치와 동일하다. 따라서,「CRGB」의 배치에서는 도 9(l) 과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서브 화소 배치 방법)
다음으로, 상기의 결과 및 고찰을 고려하여 행하는, 서브 화소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휘도가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를 양단에 배치함과 함께,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와,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각각에 인접하는 서브 화소에서 얻어지는 2 개의 휘도 가산값에 있어서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아지도록, 중앙의 2 개에 서브 화소를 배치한다.
도 11 은, 서브 화소 배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이 처리는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실행된다. 또, 이 처리는, 화상 표시 장치 (100) 를 설계하는 단계 등에 실행된다.
먼저, 단계 S201 에서는, RGBC 각 색의 XYZ 를 입력한다. 각 색의 XYZ 는, 컬러 필터 (23c) 나 백라이트 유닛 (23i) 의 분광 특성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는 값이며, 시뮬레이션이나 실측에 의해 구해진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202 로 진행된다. 단계 S202 에서는, XYZ 를 휘도-반대색 공간으로 변환하고, Lum, R/G, B/Y 의 각 성분으로서 나타내는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203 으로 진행된다.
단계 S203 에서는, 단계 S202 에서 얻어진 휘도 Lum 에 기초하여, RGBC 의 배치를 결정한다. 먼저, 계산된 휘도 Lum 에 기초하여, 휘도 Lum 이 가장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를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한다. 도 10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휘도 Lum 이 작은「B」와「C」를 양단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끝의 서브 화소와 그 옆의 서브 화소의 휘도 가산값을 좌우에 있어서 2 개의 값을 얻어, 이들 휘도 가산값의 차이에 있어서의 절대값을 계산한 후, 절대값이 작은 후보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BR 과 GC 를 조합하는 후보와, BG 와 RC 를 조합하는 후보가 생각되지만, 도 10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은 BG 와 RC 를 조합하는 후보가 결정된다. 이로써,「BGRC」의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또한,「BGRC」는「CRGB」와 동일하다. 이상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당해 플로우를 빠져나온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하면, 시각 특 성을 충분히 고려한 형태로, RGBC 의 서브 화소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된 서브 화소의 배치를 화상 표시 장치 (100) 에 대하여 적용함으로써,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오차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시각에 의해 관찰하였을 때의 엣지 블러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로써, 화상 표시 장치 (100) 는,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에서는,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BGRC」의 서브 화소의 배치가 결정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 항상 이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고는 한정할 수 없다. 이들은, 도 10 에 나타내는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배치 순서이기 때문에, RGBC 의 각 화소로서 도 10 에 나타내는 것 이외의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이 배치 순서와 상이한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다색의 구성이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실시형태는, Cyan 대신에 White (이하, 단순히「W」또는「Wh」라고도 표기함) 를 사용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즉, RGBW 에 의해 색을 구성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기술한 화상 표시 장치 (100)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White」의 서브 화소에는, 착색층이 아니라 투명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다.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부 (23) 의 표시 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는 컬러 필터 (23c) 의 분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며,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투과율 (%) 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White 에 대응하는 컬러 필터 (23c) 를 사용하지 않았다. 도 12(b) 는, 백라이트 유닛 (23i) 의 발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상대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c) 는, RGBW 의 4 색의 발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상대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White 에 대응하는 화소부에는 컬러 필터 (23c) 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White 의 분광 특성은 백라이트 유닛 (23i) 의 분광 특성과 거의 동일한 형상이 된다. 도 12(d) 는, 4 색의 발광 특성에 대하여 색을 나타내는 3 자극값을 계산하여, xy 색도도 상에 플롯한 도면을 나타내는다. 도 12(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색 재현 영역은 사각형이 아니라, 삼각형으로 구성된다. 이 삼각형의 정점이 RGB 에 대응하고, W 는 삼각형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색 재현 영역은, 3 색에 있어서의 색 재현 영역과 동일하지만, White 를 추가하여 4 색으로 함으로써, 투과율이 상승된다. 그 때문에, 표시부 (23) 의 표면 휘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도, 휘도가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를 양단에 배치함과 함께,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와,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각각에 인접하는 서브 화소에서 얻어지는 2 개의 휘도 가산값에 있어서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아지도록, 중앙의 2 개에 서브 화소를 배치한다.
도 13 은 RGBW 의 서브 화소에 대한 서브 화소 배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이 처리는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실행된다. 또, 이 처리는, 화상 표시 장치 (100) 를 설계하는 단계 등에 실행된다.
먼저, 단계 S301 에서는, RGBW 각 색의 XYZ 를 입력한다. 각 색의 XYZ 는, 컬러 필터 (23c) 나 백라이트 유닛 (23i) 의 분광 특성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는 값이며, 시뮬레이션이나 실측에 의해 구해진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302 로 진행된다. 단계 S302 에서는, XYZ 를 휘도-반대색 공간으로 변환하고, Lum, R/G, B/Y 의 각 성분으로서 나타내는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303 으로 진행된다.
단계 S303 에서는, 단계 S202 에서 얻어진 휘도 Lum 에 기초하여, RGBW 의 배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RGBW 에 있어서의 휘도 Lum 과 휘도 가산값을 얻는다. 예를 들어 도 14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가 얻어진다.
도 14 는 RGBW 의 휘도와 휘도 가산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표이다. 도 14(a) 는, 좌측에서 순서대로, RGBW 각 색에 관하여, XYZ 로부터 구한 Lum 성분, R/G 성분, B/Y 성분을 나타내는다. 또, 도 14(b) 는, RGBW 에서 선택한 2 색 (제 1 색, 제 2 색) 의 휘도를 가산한 값 (휘도 가산값) 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4(c) 는,「B」,「R」을 양단에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BG」(좌측 세트) 와「WR」(우측 세트) 을 조합한 경우 (즉,「BGWR」의 배치 순서로 한 경우) 의 2 개의 휘도 가산값에 있어서의 차이의 절대값을 위에 나타내고,「BW」(좌측 세트) 와「GR」(우측 세트) 을 조합한 경우 (즉,「BWGR」의 배치 순서로 한 경우) 의 2 개의 휘도 가산값에 있어서의 차이의 절대값을 아래에 나타내고 있다.
도 14(a) 로부터, Blue 와 Red 의 휘도 Lum 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14(c) 로부터, Blue 와 Red 를 양단에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BW」(좌측 세트) 와「GR」(우측 세트) 을 조합하였을 때에,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즉,「BGWR」의 배치 순서보다도,「BWGR」의 배치 순서 쪽이,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다.
도 13 으로 되돌아와서, 단계 S303 에 있어서, RGBW 의 배치 순서를 결정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계산된 휘도 Lum 에 기초하여, 휘도 Lum 이 가장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를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한다. 도 14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휘도 Lum 이 작은「B」와「R」을 양단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끝의 서브 화소와 그 옆의 서브 화소의 휘도 가산값을 좌우에 있어서 2 개의 값을 얻어, 이들 휘도 가산값의 차이에 있어서의 절대값을 계산한 후, 절대값이 작은 후보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BG 와 WR 을 조합하는 후보와, BW 와 GR 을 조합하는 후보가 생각되지만, 도 14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은 BW 와 GR 을 조합하는 후보가 결정된다. 이로써,「BWGR」의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또한,「BWGR」는「RGWB」와 동일하다. 이상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당해 플로우를 빠져나온다.
여기서, 상기의 서브 화소 배치 처리의 결과와, 4 색 RGBW 의 각 화소의 배치 후보에 대하여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행하였을 때의 결과를 비교한다.
도 15(a) ∼ (l) 은, 4 색 RGBW 의 배치 후보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RGBW 에 있어서의 조합의 수는「4 × 3 × 2 × 1 = 24 개」이지만, 좌우의 대칭성을 고려하면, 배치 후보의 수는 이 절반인 12 개가 된다.
도 16 은 도 15(a) ∼ (l) 의 12 개의 배치 후보에 대하여,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행하였을 때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부터, 도 16(b) 에 나타내는「RGWB」의 배치 순서로 한 경우에, 오차가 비교적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6(a), (f) 에 나타내는 배치 순서의 오차가 적어 보이지만, 흑색의 표시 화소의 중심 위치로부터 좌우 비대칭으로 휘도 Lum 이 어긋나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도 16(b) 에 나타내는 배치 순서보다도 오차는 크다. 이상으로부터,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의 결과는, 서브 화소 배치 처리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휘도가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를 양단에 배치함과 함께,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와,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각각에 인접하는 서브 화소에서 얻어지는 2 개의 휘도 가산값에 있어서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아지도록, 중앙의 2 개에 서브 화소를 배치함으로써, 오차가 작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하면, 시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형태로, RGBW 의 서브 화소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된 서브 화소의 배치를 화상 표시 장치 (100) 에 대하여 적용함으로써,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오차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시각에 의해 관찰하였을 때의 엣지 블러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로써, 화상 표시 장치 (100) 는,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에서는,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BWGR」의 서브 화소의 배치가 결정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 항상 이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고는 한정할 수 없다. 이들은, 도 14 에 나타내는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배치 순서이기 때문에, RGBW 의 각 화소로서 도 14 에 나타내는 것 이외의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이 배치 순서와 상이한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술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부 (23) 에 있어서의 표시 화소의 배치가 스트라이프 배치임에 비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 화소의 배치 (이하,「표시 화소 배치」라고도 함) 를 스트라이프 배치로부터 변경한다.
도 17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 표시 장치 (101)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화상 표시 장치 (101)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 표시 장치 (100 ; 도 1 참조) 와는, 입력 신호에 대한 리샘플 회로 (11a) 가 추가되어 있는 점,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의 출력수가 상이한 점이 차이점이 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 및 신호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교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리샘플 회로 (11a) 는, 표시부 (23z) 의 표시 화소의 배치에 일치시키기 위하여, 가로 방향의 개수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리샘플 회로 (11a) 는,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D/A 변환기로 일단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후, 시간축 상에서 재샘플을 행함으로써, 상기의 변경을 행한다. 다른 예에서는, 리샘플 회로 (11a) 는, 디지털 신호인 채로 리사이즈를 행함으로써, 상기의 변경을 행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는, 1280 개의 데이터선에 대하여 데이터선 구동 신호 X1 ∼ X1280 을 공급한다. 또한,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의 출력수에 관해서는, 도 19 에 있어서 설명한다.
여기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소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3 색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표시 화소 배치를 스트라이프 배치로부터 변경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8 은 3 색 RGB 에 있어서 표시 화소 배치를 변경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 에 있어서, 흑색 작은 원의 격자상의 점 (180) 이, 입력 데이터가 존재하는 점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VGA 사이즈의 경우에는, 이 점 (180) 은「세로 480 개 × 가로 640 개」존재한다. 또, 도 18(a) 중의 화살표는 데이터선 구동 신호 및 주사선 구동 신호의 입력을 나타내고 있고, 백색 원의 점 (181) 은 변경 후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점 (이하,「샘플 점」이라고도 함) 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리샘플 회로 (11a) 는, 표시부 (23z) 의 표시 화소 배치에 일치시키기 위하여, 가로 방향의 개수를 변경한다. 이 경우, 점 (181) 의 간격 (A11 ; 바꾸어 말하면, 표시 화소의 가로길이) 을 2 배로 하고, 표시 화소의 개수를 절반으로 변경하고 있다. 자세하게는, 표시 화소의 세로길이 (A12) 를「1.0」으로 하면, 표시 화소의 가로길이 (A11) 는「A11 = A12 × 2 = 2.0」이 된다. 또, 가로 1 라인이 세로 방향으로 내려갈 때마다, 샘플 점을 반피치 (A11/2) 어긋나게 한다. 이와 같이 샘플 점을 반피치 어긋나게 함으로써, 가로 방향의 개수를 줄여도, 비교적 열화가 적어 화상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18(b) 를 사용하여, 3 색에 있어서의 표시 화소 배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경우, 표시 화소는 3 개의 서브 화소를 한 조로서 구성하고, 가로 방향의 간격 (A11) 이「2.0」이므로, 서브 화소의 가로길이는「B11 = A11/3 = 0.667」이 된다 (도 18(b) 의 우측 도면 참조). 또, 도 18(b) 의 좌측 도면으로부터, 세로 방향에서 보면 표시 화소로서 반피치 (A11/2) 어긋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서브 화소는「A11/2」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서브 화소 단위로서 보면「B11/2」어긋나 있다. 3 색을 사용한 표시부 (23z) 에 있어서는, 2 라인에 걸쳐 3 색의 한 조를 보면, 역삼각형의 정점 위치에 3 색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호 (185)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델타 배치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샘플 회로 (11a) 의 출력을 데이터 제어 회로 (도시 생략) 가 받고, 데이터선과 주사선의 타이밍 조정을 행하여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와 주사선 구동 회로 (22) 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 (101) 는, 이러한 표시 화소 배치에 대하여 적절히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에 대하여, 도 19 내지 도 21 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9 는 제 3 실시형태의 제 1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설명하기 위 한 도면이다. 도 1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샘플의 조건은 도 18 과 동일하다. 즉, 표시 화소의 세로길이 (A12) 를「1.0」으로 하면, 표시 화소의 가로길이 (A21) 는「A21 = A12 × 2 = 2.0」이다. 이 경우, 리샘플 회로 (11a) 의 입력 및 출력은 3 색 신호이며, 표시부 (23z) 가 4 색이기 때문에, 색 변환 회로 (12) 에 있어서 3 색에서 4 색으로의 색 변환이 행해진다. 도 19(b) 는, 표시 화소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b) 의 우측 도면으로부터, 서브 화소의 가로길이 (B21) 는「B21 = A21/4 = 0.5」가 된다. 또, 도 19(b) 의 좌측 도면으로부터, 세로 방향에서 보면, 표시 화소로서 반피치 (A21/2) 어긋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서브 화소는「A21/2」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서브 화소 단위로서 보면, 3 색의 경우 (도 18 참조) 와는 달리, 1 라인 내려가도 동일한 위치가 된다. 바꾸어 말하면, 하나의 라인에 있어서의 서브 화소 사이에, 다른 라인에 있어서의 2 개의 서브 화소의 경계가 위치하는 경우는 없다.
도 19 에 나타내는 표시 화소 배치를 갖는 표시부 (23z) 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가 VGA 인 경우에는, 리샘플 후의 표시 화소의 수는「세로 480 개 × 가로 320 개」가 된다. 이 경우, 가로 방향의 서브 화소의 개수로서는,「320 × 4 = 1280 개」가 된다. 상기의 도 17 에는, 도 19 에 나타내는 표시 화소 배치를 갖는 표시부 (23z) 를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 (101) 를 나타내고 있다. 그 때문에,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는, 1280 개의 데이터선에 대하여 데이터선 구동 신호 X1 ∼ X1280 을 공급하고 있다. 한편, 스트라이프 배치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 (100 ; 도 1 참조) 에서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로부터 표시부 (23z) 로 의 출력은「640 × 4 = 2560 개」이다. 이상으로부터, 제 1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입력에 있어서도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로부터의 출력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 (101) 를 저비용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0 은 제 3 실시형태의 제 2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소의 세로길이 (A12) 를「1.0」으로 하면, 표시 화소의 가로길이 (A31) 는「A31 = A12 × 1.5 = 1.5」이다. 도 20(b) 는, 표시 화소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서브 화소의 가로길이 (B31) 는「B31 = A31/4 = 0.375」가 된다. 또, 세로 방향에서 보면, 표시 화소로서 반피치 (A31/2) 어긋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서브 화소는「A31/2」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서브 화소 단위로서 보면, 1 라인 내려가도 동일한 위치가 된다. 제 2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적용한 경우에도, 동일한 입력에 있어서도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로부터의 출력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 (101) 를 저비용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1 은 제 3 실시형태의 제 3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소의 세로길이 (A12) 를「1.0」으로 하면, 표시 화소의 가로길이 (A41) 는「A41 = A12 × 1 = 1.0」이다. 도 20(b) 는 표시 화소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서브 화소의 가로길이 (B41) 는「B41 = A41/4 = 0.25」가 된다. 또, 세로 방향에서 보면, 표시 화소로서 반피치 (A41/2) 어긋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서브 화소는「A41/2」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서브 화소 단위로서 보면, 1 라인 내려가도 동일한 위치가 된다. 제 3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적용한 경우에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로부터의 출력의 수는 스트라이프 배치를 채용하는 경우 (도 2 참조) 와 비교하여 감소되지 않지만, 표시 화소가 반피치 어긋남으로써, 외관상, 가로 방향의 해상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의 제 1 예 ∼ 제 3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행한 경우에 있어서, 표시 화소를 구성하는 서브 화소의 배치는, 상기 기술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 및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된 서브 화소의 배치 순서를 적용할 수 있다. 즉, 표시 화소를 반피치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시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형태로, RGBC 및 RGBW 의 서브 화소의 배열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GBC 의 4 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 결정된 배치 순서를 적용하고, RGBW 의 4 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 결정된 배치를 적용한다.
상기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 및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를 적용할 수 있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 표시 장치 (101) 는, 리샘플 회로 (11a) 를 갖고 있지만, 리샘플 회로 (11a) 의 입출력은 3 색이기 때문에, 4 색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적다. 그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 (101) 는, 예를 들어 4 색으로서 흑백 패턴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 표시 장치 (100) 의 동작과 완전히 동일한 상태가 된다. 한편,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브 화소 단위에서의 가로길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시각 특성을 반영한 필터 특성이 약간 상이하지만, 오차의 대소 관계는 거의 그대로 보존된다고 사료된다. 이상으로부터,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 결정된 서브 화소의 배치 순서를,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행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표시 화소를 반피치 어긋나게 하여 배치해도,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색 성분 오차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시각에 의해 관찰하였을 때의 색 깨짐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저비용화한 화상 표시 장치나, 외관상 해상도를 향상시킨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해서도, 이러한 색 깨짐 현상 등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표시 화소의 가로길이 (표시 화소의 간격) 를「A21 = 2.0」,「A31 = 1.5」,「A41 = 1.0」으로 하여 표시 화소 배치를 변경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이외의 길이에 표시 화소를 설정하여 표시 화소 배치를 변경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다색의 구성을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것으로 한 실시형태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4 실시형태는, Green 대신에 황록색, Cyan 대신에 에메랄드그린을 사용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즉, 적색 (Red), 황록색 (Yellowish Green), 청색 (Blue), 에메랄드그린 (Emerald Green) 에 의해 색을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적색, 황록색, 청색, 에메랄드그린을 각각 단순히 R, YG, B, EG 라고도 표기한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기술한 화상 표시 장치 (100)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 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부 (23) 의 표시 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a) 는 컬러 필터 (23c) 의 분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투과율 (%) 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YG, EG 의 분광 특성은, 각각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Green, Cyan 의 분광 특성보다도 스펙트럼 폭이 좁은 점에서 상이하다. 도 24(b) 는, 백라이트 유닛 (23i) 의 발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상대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c) 는, R, YG, B, EG 의 4 색의 발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상대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d) 는, 4 색의 발광 특성에 대하여 색을 나타내는 3 자극값을 계산하여, xy 색도도 상에 플롯한 도면을 나타내는다.
다음으로,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에서도, 휘도가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를 양단에 배치함과 함께,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와,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각각에 인접하는 서브 화소에서 얻어지는 2 개의 휘도 가산값에 있어서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아지도록, 중앙의 2 개에 서브 화소를 배치한다.
도 26 은 R, YG, B, EG 의 서브 화소에 대한 서브 화소 배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이 처리는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실행된다. 또, 이 처리는, 화상 표시 장치 (100) 를 설계하는 단계 등에 실행된다.
먼저, 단계 S401 에서는, R, YG, B, EG 각 색의 XYZ 를 입력한다. 각 색의 XYZ 는, 컬러 필터 (23c) 나 백라이트 유닛 (23i) 의 분광 특성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는 값이며, 시뮬레이션이나 실측에 의해 구해진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402 로 진행된다. 단계 S402 에서는, XYZ 를 휘도-반대색 공간으로 변환하고, Lum, R/G, B/Y 의 각 성분으로서 나타내는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403 으로 진행된다.
단계 S403 에서는, 단계 S402 에서 얻어진 휘도 Lum 에 기초하여, R, YG, B, EG 의 배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R, YG, B, EG 에 있어서의 휘도 Lum 과 휘도 가산값을 얻는다. 예를 들어 도 25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가 얻어진다.
도 25 는 R, YG, B, EG 의 휘도와 휘도 가산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표이다. 도 25(a) 는, R, YG, B, EG 각 색에 관하여, 좌측에서 순서대로, XYZ 로부터 구한 Lum 성분, R/G 성분, B/Y 성분을 나타내는다. 또, 도 25(b) 는, R, YG, B, EG 에서 선택한 2 색 (제 1 색, 제 2 색) 의 휘도를 가산한 값 (휘도 가산값) 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5(c) 는,「B」,「EG」를 양단에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B(R)」(좌측 세트) 과「(YG)EG」(우측 세트) 를 조합한 경우 (즉,「B- R-YG-EG」의 배치 순서로 한 경우) 의 2 개의 휘도 가산값에 있어서의 차이의 절대값을 위에 나타내고,「B(YG)」(좌측 세트) 와「(R)EG」(우측 세트) 를 조합한 경우 (즉,「B-YG-R-EG」의 배치 순서로 한 경우) 의 2 개의 휘도 가산값에 있어서의 차이의 절대값을 아래에 나타내고 있다.
도 25(a) 로부터, B 와 EG 의 휘도 Lum 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25(c) 로부터, B 와 EG 를 양단에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B(YG)」(좌측 세트)와「(R)EG」(우측 세트) 를 조합하였을 때에,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즉,「B-R-YG-EG」의 배치 순서보다도,「B-YG-R-EG」의 배치 순서 쪽이,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다.
도 26 으로 되돌아와서, 단계 S403 에 있어서, R, YG, B, EG 의 배치 순서를 결정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계산된 휘도 Lum 에 기초하여, 휘도 Lum 이 가장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를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한다. 도 25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휘도 Lum 이 작은「B」와「EG」를 양단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끝의 서브 화소와 그 옆의 서브 화소의 휘도 가산값을 좌우에 있어서 2 개의 값을 얻어, 이들 휘도 가산값의 차이에 있어서의 절대값을 계산한 후, 절대값이 작은 후보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B(R) 과 (YG)EG 를 조합하는 후보와, B(YG) 와 (R)EG 를 조합하는 후보가 생각되지만, 도 25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은 B(YG) 와 (R)EG 를 조합하는 후보가 결정된다. 이로써,「B-YG-R-EG」의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또한,「B-YG-R-EG」는「EG-R-YG-B」와 동일하다. 이상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당해 플로우를 빠져나온다.
이렇게 하여 결정된「B-YG-R-EG」라는 화소 배치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서브 화소 오차를 가장 작게 할 수 있다. 즉,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하면, 시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형태로, R, YG, B, EG 의 서브 화소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된 서브 화소의 배치를 화상 표시 장치 (100) 에 대하여 적용함으로써,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오차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시각에 의해 관찰하였을 때의 엣지 블러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로써, 화상 표시 장치 (100) 는,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에서는,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B-YG-R-EG」의 서브 화소의 배치가 결정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 항상 이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고는 한정할 수 없다. 이들은, 도 25 에 나타내는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배치 순서이기 때문에, R, YG, B, EG 의 각 화소로서 도 25 에 나타내는 것 이외의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이 배치 순서와 상이한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5 실시형태는,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적색, 황록색, 청색, 에메랄드그린 (R, YG, B, EG) 을 4 색으로 하는 구성이며, 컬러 필터 (23c) 의 분광 특성 및 R, YG, B, EG 의 4 색의 발광 특성만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제 4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도 27 은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부 (23) 의 표시 특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a) 는 컬러 필터 (23c) 의 분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투과율 (%) 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EG 의 분광 특성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Cyan 의 분광 특성보다도 스펙트럼 폭보다도 좁은 점에서 상이하다. 도 27(b) 는, 백라이트 유닛 (23i) 의 발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상대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c) 는, R, YG, B, EG 의 4 색의 발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상대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d) 는, 4 색의 발광 특성에 대하여 색을 나타내는 3 자극값을 계산하여, xy 색도도 상에 플롯한 도면을 나타내는다.
다음으로,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5 실시형태에서도, 휘도가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를 양단에 배치함과 함께,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와,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각각에 인접하는 서브 화소에서 얻어지는 2 개의 휘도 가산값에 있어서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아지도록, 중앙의 2 개에 서브 화소를 배치한다. 서브 화소 배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는,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도 26 에 나타내어져 있다.
먼저, 단계 S401 에서는, R, YG, B, EG 각 색의 XYZ 를 입력한다. 계속되는 단계 S402 에서는, XYZ 를 휘도-반대색 공간으로 변환하고, Lum, R/G, B/Y 의 각 성분으로서 나타내는다.
단계 S403 에서는, 단계 S402 에서 얻어진 휘도 Lum 에 기초하여, R, YG, B, EG 의 배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R, YG, B, EG 에 있어서의 휘도 Lum 과 휘도 가산값을 얻는다. 예를 들어 도 28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가 얻어진다. 그리고, 계산된 휘도 Lum 에 기초하여, 휘도 Lum 이 가장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를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한다. 도 28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휘도 Lum 이 작은「B」와「EG」를 양단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끝의 서브 화소와 그 옆의 서브 화소의 휘도 가산값을 좌우에 있어서 2 개의 값을 얻어, 이들 휘도 가산값의 차이에 있어서의 절대값을 계산한 후, 절대값이 작은 후보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B(R) 과 (YG)EG 를 조합하는 후보와, B(YG) 와 (R)EG 를 조합하는 후보가 생각되지만, 도 28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은 B(YG) 와 (R)EG 를 조합하는 후보가 결정된다. 이로써,「B-YG-R-EG」의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또한,「B-YG-R-EG」는「EG-R-YG-B」와 동일하다. 이상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당해 플로우를 빠져나온다.
이와 같이 하여,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B-YG-R-EG」라는 화소 배치가 결정된다. 이 화소 배치에 의하면, 서브 화소 오차를 가장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된 서브 화소의 배치를 화상 표시 장치 (100) 에 대하여 적용함으로써,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오차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시각에 의해 관찰하였을 때의 엣지 블러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로써, 화상 표시 장치 (100) 는,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6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6 실시형태에서는, 다색의 구성을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것으로 한 실시형태이다.
또한,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기술한 화상 표시 장치 (100) 와 대체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는, 3200 개의 데이터선에 대하여 데이터선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전체 구성)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 (100) 는, 적색, 녹색, 청색, 에메랄드그린, 및 황색의 5 색 (이하, 각각을「R」,「G」,「B」,「EG」,「Y」라고 표기함) 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색 변환 회로 (12) 는, 취득한 화상 데이터 (d1) 에 대하여, 3 색에서 5 색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색 변환 회로 (12) 는, 테이블 저장 메모리 (15) 에 기억된 데이터 등을 참조하여 색 변환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한다. 색 변환 회로 (12) 에서 화상 처리된 화상 데이터 (d2) 는, VRAM (13) 에 기록된다. VRAM (13) 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d2) 는, 어드레스 제어 회로로부터의 제어 신호 (d21) 에 기초하여, γ 보정 회로 (16) 에 의해 화상 데이터 (d3) 로서 판독됨과 함께, 주사선 구동 회로 (22) 에 의해 어드레스 데이터 (주사선 구동 회로 (22) 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동기를 취하기 때문에 ; d4) 로서 판독된다. γ 보정 회로 (16) 는, 테이블 저장 메모리 (15) 에 기억된 데이터 등을 참조하여, 취득한 화상 데이터 (d3) 에 대하여 γ 보정을 행한다. 그리고, γ 보정 회로 (16) 는, γ 보정 후의 화상 데이터 (d5) 를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에 공급한다.
또,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는, 3200 개의 데이터선에 대하여 데이터선 구동 신호 X1 ∼ X3200 을 공급한다. 주사선 구동 회로 (22) 는, 480 개의 주사선에 대하여 주사선 구동 신호 Y1 ∼ Y480 을 공급한다. 이 경우,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와 주사선 구동 회로 (22) 는, 동기하여 표시 패널 (23) 을 구동한다. 표시부 (23) 는, 액정 (LCD) 에 의해 구성되고, RGBEGY 의 5 색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또, 표시부 (23) 는, RGBEGY 에 대응하는 5 개의 화소 (이하,「서브 화소」라고 함) 를 한 조로서 갖는 단위 화소 (이하,「표시 화소」라고 함) 가,「세로 480 개 × 가로 640 개」갖는 VGA 사이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데이터선의 수가「640 × 5 = 3200 개」가 되어 있다. 표시부 (23) 는, 주사선 및 데이터선에 전압을 인가됨으로써, 표시해야 할 문자나 영상 등의 화상을 표시한다.
도 29 는 표시부 (23) 의 각 화소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백색 원 (653) 은, 표시 화소 (651) 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해칭의 차이는, 서브 화소 (652) 를 구성하는「R」,「G」,「B」,「EG」,「Y」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표시 화소 (651) 는, 세로 방향으로 동일 색이 늘어서도록 직선 상에 복수 배치되어 있는, 즉 스트라이프 배치되어 있다. 또, 표시 화소 (651) 의 가로세로의 길이비가「1 : 1」이기 때문에, 서브 화소 (652) 에 관해서는, 세로 방향의 길이를「1」로 하면, 가로 방향의 길이는「0.2」가 된다. 또한, 본 명세서 에서는,「세로 방향」이란 주사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가로 방향」이란 주사 방향으로 수평인 방향을 의미한다. 서브 화소 (652) 의 구체적인 배치, 및 서브 화소 (652) 의 배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30 은 표시부 (23) 의 각 화소의 분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a) 는 표시부 (23) 에서 사용되는 컬러 필터 (23c) 의 투과 특성을 RGBEGY 각 화소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투과율 (%) 을 나타내고 있다. 도 30(b) 는, Blue LED 및 형광체에 의한 백색 LED 로 구성된 백라이트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고,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상대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0(c) 는, 각 화소의 분광 특성을 RGBEGY 각 화소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c) 도,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상대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0(d) 는, RGBEGY 각 화소의 분광 특성을 바탕으로, xy 색도도 상에 플롯한 도면을 나타내는다. 도 30(d) 에 있어서의 오각형의 내부가 표시부 (23) 에 있어서 재현할 수 있는 색을 나타내고, 이 오각형이 표시부 (23) 에 있어서의 색 재현 영역에 대응한다. 또, 오각형의 정점이, 색을 구성하는 RGBEGY 에 대응한다. RGBEGY 의 5 색의 가법 혼색에 의해 색 재현을 행함으로써, 통상적인 3 색에 의한 색 재현보다도, 보다 광범위한 선명한 색을 재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서브 화소 오차 확인 방법)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시각에 대한 영향을 충분히 고려한 형태로, RGBEGY 의 서브 화소를 배치한다. 여기에서는, 서브 화소를 배치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시각 특성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브 화소의 배치가 상이한 경우에, 시각 특성상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설명한다.
상기한 시각 특성상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행한다. 이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란, Original 화상에 대한 Reproduction 화상의 오차를 확인하기 위하여 행하는 처리이다. 「Original 화상」이란, 서브 화소를 사용하지 않고 공간적으로 완전 혼색시켜 구성된 이상적인 표시부를, 거리 X 떨어져 관찰하였을 때의, 인간의 외관을 재현한 화상이다. 또,「Reproduction 화상」이란, RGBEGY 의 서브 화소의 배치 순서 후보의 표시부를, 거리 X 떨어져 관찰하였을 때의, 인간의 외관을 재현한 화상이다.
여기서, 서브 화소를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각 화소를 평면 상에 배열하여 배치하고, 미세한 발광의 혼색에 의해 색을 재현하지만, 시각 특성의 관계상, 각 화소의 배치에 의해 엣지 블러나 색 깨짐 (위색) 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이들 엣지의 블러 정도나 색 깨짐을 오차로서 확인한다. 또한, 이 오차는, Original 화상과 Reproduction 화상의 L*, u*, v* 성분의 차이에 대응한다.
도 31 은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는, 컴퓨터 등에 의해 실행된다.
먼저, Original 화상의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원화상으로서 RGB 화상을 입력하고 (단계 S501), XYZ 로 변환한다 (단계 S502). 그리고, 단계 S503 에서는, XYZ 를 휘도-반대색 공간으로 변환하고, 이것을 Lum, R/G, B/Y 의 각 성분으로서 나타내는다. 이 경우, 휘도-반대색 공간으로의 변환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504 에서는, 각 화상을 휘도-반대색 공간에 있어서 시각 특성에 따른 필터 처리를 행한다. 이 필터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휘도-반대색 공간으로부터 각 화상을 XYZ 로 변환하고 (단계 S505), 얻어진 XYZ 를 L*u*v* 로 변환함 (단계 S506) 으로써, Original 화상을 제작한다.
다음으로, Reproduction 화상의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단계 S511 에서, 가로 1/5 배 밀도의 원화상을 입력한다. 그리고, 단계 S512 에서, 각 색의 XYZ 를 입력한다. 각 색의 XYZ 는, 컬러 필터나 백라이트의 분광 특성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는 값이며, 시뮬레이션이나 실측에 의해 구한다. 그리고, 단계 S513 에서, RGB 화상을 입력한 각 색의 XYZ 값을 사용하여 3 색 (RGB) → 5 색 변환 (RGBEGY) 을 행하고, 1 화소를 RGBEGY 각 화소의 배치 순서 후보에 맞추어 5 화소로 분해하여, XYZ 로 변환한다. 그리고, 얻어진 XYZ 를 휘도-반대색 공간으로 변환하고 (단계 S514), 시각 특성에 따른 필터 처리를 행하여 (단계 S515), 휘도-반대색 공간으로부터 XYZ 로 변환한다 (단계 S516). 그리고, 단계 S517 에 있어서, XYZ 로부터 L*u*v* 로 변환함으로써, Reproduction 화상을 제작한다.
다음으로, 단계 S520 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제작된 Original 화상과 Reproduction 화상의 L*, u*, v* 성분의 차이를 확인한다. 이상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당해 플로우를 빠져나온다.
도 32 는 휘도-반대색 성분에 대한 필터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 는, 좌측에 Lum 성분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중앙에 R/G 성분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우측에 Y/B 성분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고, 각각 가로축에 화상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세로축에 중량감 (자세하게는, 시거리가 가까운 경우에 있어서의 Lum 성분을「1」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인 값) 을 나타내고 있다. 또, 상단에 시거리가 가까운 경우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하단에 시거리가 먼 경우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 특성은, 휘도-반대색 각각의 성분에 관하여 각각의 진폭 특성과 확산 폭을 가진다. 또, 필터 특성은 시각 특성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시거리에 따라서도 특성이 변화한다. 또한, R/G 성분 쪽이 B/Y 성분보다도 필터의 진폭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도 33 은 도 31 에 나타내는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에 의해 얻어진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3(a) 는,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에 사용한 공간적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RGBEGY 의 순으로 배치된 표시 화소를 사용하여, 중앙의 부호 660 으로 나타내는 표시 화소를 비점등 (전체 차단) 상태로 하고, 그 양측에 위치하는 부호 661, 663 으로 나타내는 표시 화소군을 전체 점등 (전체 투과) 상태로 한다. 즉, 중앙 부분을 흑색으로 표시하고, 그 양측을 흰색으로 표시시키는 공간적 패턴 (이하,「흑백 패턴」이라고도 함) 을 사용 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서브 화소의 배치 순서를「RGBEGY」라고 표기한 경우에는, 좌측 또는 우측에서 순서대로「R」,「G」,「B」,「EG」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RGBEGY」의 배치 순서를 반대로 한「YEGBGR」은,「RGBEGY」와 동일한 배치 순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33(b), (c), (d) 는, 가로축에 흑백 패턴에 대응하는 화상 위치를 나타내고, 세로축에 각각 L*, u*, v* 성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33(b) 에서는, 서브 화소 평면 배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간적으로 완전 혼색시킨 Original 화상의 결과를 중첩하여 표시하고 있다. 도 33(b) 로부터, 엣지 주변부에 있어서, 주위의 서브 화소의 영향을 받아, 휘도 구배에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휘도 구배가 작아질수록, 엣지의 블러는 커진다. 또, 엣지 주변부에 있어서의 Original 화상과 Reproduction 화상의 L* 성분차의 가산값이 클수록, 좌우엣지의 휘도 구배가 작아짐과 함께, 콘트라스트 (휘도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 가 낮아져, 엣지의 블러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도 33(c), 도 33(d) 로부터, u* 성분, 및 v* 성분의 양방 모두, 주위의 서브 화소의 영향을 받아 색 성분이 증가하여, 색 깨짐을 일으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도 31 ∼ 도 33 에서 나타내는 사실을 고려하여, RGBEGY 의 각 화소의 배치 후보에 대하여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를 고찰한다.
도 34 는 RGBEGY 의 배치 후보를 모두 나타내고 있다. 또한, RGBEGY 에 있어서의 조합의 수는「5 × 4 × 3 × 2 × 1 = 120 개」이지만, 좌우의 대칭성을 고려하면, 배치 후보의 수는 이 절반인 60 개가 된다. 즉, 예를 들어「RGBEGY」를「YEGBGR」과 동일한 것으로서 취급한다.
도 35 는 도 34 에 나타내는 60 개의 배치 후보에 대하여,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행하였을 때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35 에 나타내는 그래프는, 가로축에 흑백 패턴에 대응하는 화상 위치를 나타내고, 세로축에 L* 성분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 각각의 그래프는, Original 화상과 Reproduction 화상을 중첩하여 표시하고 있다. 이들 그래프에 의해,「BYGREG」의 배치 순서로 한 경우 (도 35 에 있어서 굵은 선으로 둘러싼 그래프) 에, L* 성분차의 가산값이 비교적 작다는 결과가 얻어진다.
(서브 화소 배치 방법)
다음으로,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제 1 조건 ∼ 제 3 조건에 따라 서브 화소 배치를 행한다.
먼저, 제 1 조건으로서는, 복수의 서브 화소 가운데, 휘도 성분이 작은 서브 화소를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한다. 이렇게 하는 것은, 예를 들어 도 33(a) 에 나타내는 흑백의 패턴에 대하여 시각 특성의 필터 처리를 행하는 것을 생각하면, 5 개의 서브 화소를 한 조로 하는 표시 화소의 양단에 휘도가 작은 서브 화소를 배치하는 편이, 엣지 주변부의 L* 성분차의 가산값이 작아진다고 사료되기 때문 이다. 반대로 말하면, 표시 화소의 양단에 위치하는 서브 화소의 휘도가 높은 경우에는, 흰색을 표시하였을 때의 양단의 휘도가 높아져, 흑색과의 필터 처리 결과, 엣지 블러의 원인이 되는 휘도 상승에 연결되기 때문이다.
제 2 조건으로서는, 휘도 성분이 작은 서브 화소에서 순서대로, 표시 화소의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배치한다. 이렇게 하는 것은, 흑백의 엣지가 될 가능성이 있는 표시 화소의 양단에 가까운 서브 화소일수록, 시각 필터의 형상보다, 휘도 구배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표시 화소의 중앙으로부터 양단을 향하여 휘도 성분이 작은 서브 화소를 배치함으로써, 엣지 주변부의 L* 성분차의 가산값을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휘도 구배를 크게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제 3 조건으로서는, 표시 화소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서브 화소의 휘도 가산값과, 표시 화소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서브 화소의 휘도 가산값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서브 화소를 배치한다. 이렇게 하는 것은, 표시 화소의 좌측을 구성하는 서브 화소의 휘도 가산값과, 표시 화소의 우측을 구성하는 서브 화소의 휘도 가산값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편방의 엣지만 흐려지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즉, 이와 같이 표시 화소에 있어서의 좌우의 휘도 가산값의 차이를 작게 함으로써, 좌우의 엣지의 휘도 구배를 동일한 정도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6 은 RGBEGY 의 휘도와 휘도 가산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표이다. 도 36(a) 는, RGBEGY 각 색에 관하여, XYZ 로부터 구한 Lum 성분, R/G 성분, B/Y 성분을 나타내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휘도는, XYZ 에 있어서의「Y」에 상당하는 값으로서 사용한다. 또, 휘도를「Lum」또는「휘도 Lum」으로 표기한다.
또, 도 36(b) 는, RGBEGY 에서 선택한 2 색 (제 1 색, 제 2 색) 의 휘도를 가산한 값 (휘도 가산값) 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6(c) 는,「B」,「EG」를 양단에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BY」(좌측 세트) 와「REG」(우측 세트) 를 조합한 경우 (즉「BYGREG」의 배치 순서로 한 경우) 의 2 개의 휘도 가산값에 있어서의 차이의 절대값을 위에 나타내고,「BR」(좌측 세트) 과「YEG」(우측 세트) 를 조합한 경우 (즉「BRGYEG」의 배치 순서로 한 경우) 의 2 개의 휘도 가산값에 있어서의 차이의 절대값을 아래에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36 과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 상기한 제 1 조건 ∼ 제 3 조건에 기초하여 서브 화소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생각한다.
도 36(a) 로부터,「B」와「EG」의 휘도 Lum 이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1 조건에 따르면,「B」및「EG」를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하는 것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엣지 주변부의 L* 성분차의 가산값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도 36(a) 로부터,「B」와「EG」다음으로 휘도가 작은 것은,「R」과「Y」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2 조건에 따르면,「R」과「Y」를 표시 화소의 양단으로부터 2 번째에 배치하는 것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엣 지 주변부의 L* 성분차의 가산값을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휘도 구배를 크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표시 화소의 양단으로부터 2 번째에 서브 화소를 배치하는 경우, 좌측에「BY」를 배치하고, 우측에「REG」를 배치하는 배치 순서 (즉「BYGREG」) 와, 좌측에「BR」을 배치하고, 우측에「YEG」를 배치하는 배치 순서 (즉「BRGYEG」) 의 2 개의 후보가 얻어진다. 여기서, 도 36(c) 를 참조하면,「BY」(좌측 세트) 와「REG」(우측 세트) 를 조합하였을 때에,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3 조건에 따르면,「BY」(좌측 세트) 와「REG」(우측 세트) 의 조합이 결정된다. 이로써, 최종적으로「BYGREG」의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표시 화소에 있어서의 좌우의 엣지의 휘도 구배를 동일한 정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방법의 실행에 의한 결과와, 60 개의 배치 후보에 대한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에 의해 얻어진 결과 (도 35 참조) 가 동일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 1 조건 ∼ 제 3 조건에 기초하여 서브 화소를 배치함으로써, 오차가 적은 배치 순서를 얻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서브 화소 배치 처리)
다음으로, 도 37 을 사용하여,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7 은 서브 화소 배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이 처리는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실행된다. 또, 이 처리는, 화상 표시 장치 (100) 를 설계하는 단계 등에 있어서 실행된다.
먼저, 단계 S601 에서는, RGBEGY 각 색의 XYZ 를 입력한다. 각 색의 XYZ 는, 컬러 필터 (23c) 나 백라이트 유닛 (23i) 의 분광 특성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는 값이며, 시뮬레이션이나 실측에 의해 구해진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602 로 진행된다. 단계 S602 에서는, XYZ 를 휘도-반대색 공간으로 변환하고, Lum, R/G, B/Y 의 각 성분으로서 나타내는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603 으로 진행된다.
단계 S603 에서는, 단계 S602 에서 얻어진 휘도 Lum 에 기초하여,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하는 서브 화소를 결정한다. 이 경우, 계산된 휘도 Lum 에 기초하여, 휘도 Lum 이 가장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를,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한다. 즉, 제 1 조건에 기초하여 서브 화소의 배치를 행한다. 도 36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휘도 Lum 이 작은「B」및「EG」를,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한다. 또한, 이「B」및「EG」를 제 1 색으로 하였을 때의 휘도 가산값을 계산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도 36(b)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그래프를 얻는다. 이상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단계 S604 로 진행된다.
단계 S604 에서는, 다음으로 휘도가 작은 서브 화소를, 표시 화소의 양단에서 다음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아직 배치 위치가 결정되 어 있지 않은 서브 화소에 있어서 가장 휘도가 작은 서브 화소를, 서브 화소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지점에 있어서 서브 화소의 양단에서 다음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한다. 즉, 제 2 조건에 기초하여 서브 화소의 배치를 행한다. 도 36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휘도 Lum 이 가장 작은「B」와「EG」다음으로 휘도가 작은 것은「R」과「Y」이다. 그 때문에,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된「B」와「EG」의 각각의 옆에「R」과「Y」를 배치한다. 이로써,「BYGREG」와「BRGYEG」의 2 가지의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또한,「B」와「EG」의 각각의 옆에「R」또는「Y」가 배치되는 것이 결정됨으로써, 표시 화소의 중앙에「G」가 배치되는 것이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이「G」는, 휘도 Lum 이 가장 크다. 이상의 단계 S604 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단계 S605 로 진행된다.
단계 S605 에서는, 표시 화소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서브 화소에 있어서, 휘도 가산값의 차이가 작아지는 후보를 선택하여, 표시 화소의 양단에서 다음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서브 화소를 결정한다. 즉, 제 3 조건에 기초하여 서브 화소의 배치를 행한다. 도 36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좌측에「BY」를 배치하고, 우측에「REG」를 배치하는 배치 순서와, 좌측에「BR」을 배치하고, 우측에「YEG」를 배치하는 배치 순서를 비교한 경우, 좌측에「BY」를 배치하고, 우측에「REG」를 배치하는 배치 순서 쪽이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아진다. 따라서,「B」의 옆에「Y」를 배치하고,「EG」의 옆에「R」을 배치하는 것이 결정된다. 이로써,「BYGREG」의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이상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단계 S606 으로 진행된다.
단계 S606 에서는, 모든 서브 화소의 배치 위치가 결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전체 배치 위치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 (단계 S606 ; 예) 에는, 처리는 당해 플로우를 빠져나온다. 한편, 전체 배치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606 ; 아니오) 에는, 처리는 단계 S604 로 되돌아온다. 즉, 서브 화소의 배치를 재차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5 개의 서브 화소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단계 S604 ∼ S606 의 처리를 한 번 행하는 것만으로, 모든 서브 화소의 배치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에서는「BYGREG」의 배치 순서가 결정되는 예를 나타냈지만,「BYGREG」를 반대로 배치한「EGRGYB」가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BYGREG」와「EGRGYB」는 동일한 배치 순서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하면, 시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형태로, RGBEGY 의 서브 화소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된 서브 화소의 배치를 화상 표시 장치 (100) 에 대하여 적용함으로써, 엣지 주변부의 L* 성분차의 가산값을 작게 할 수 있어, 시각에 의해 관찰하였을 때의 엣지 블러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로써, 화상 표시 장치 (100) 는,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에서는,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BYGREG」의 서브 화소의 배치가 결정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 항상 이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고는 한정할 수 없다. 이 배치 순서는 도 36 에 나타내는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도 36 에 나타내는 것 이외의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이 배치 순서와 상이한 배치 순서가 결정될 가능성도 있다.
[제 7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7 실시형태에서는, 다색의 구성이 제 6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7 실시형태는, Yellow 대신에 White (이하, 단순히「W」라고 표기함) 를 사용하는 점에서, 제 6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즉, RGBEGW 에 따라 색을 구성한다. 또한,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기술한 화상 표시 장치 (100)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White」의 서브 화소에는, 착색층이 아니라 투명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다.
도 38 은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부 (23) 의 표시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a) 는 표시부 (23) 에서 사용되는 컬러 필터 (23c) 의 투과 특성을 RGBEGW 각 화소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투과율 (%) 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White 에 대응하는 컬러 필터 (23c) 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38(b) 는, Blue LED 및 형광체에 의한 백색 LED 로 구성된 백라이트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고,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상대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8(c) 는, 각 화소의 분광 특성을 RGBEGW 각 화소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c) 도,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상대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8(d) 는, RGBEGW 각 화소의 분광 특성을 바탕으로, xy 색도도 상에 플롯한 도면을 나타내는다. 도 38(d) 에 있어서의 사각형의 내부가 표시부 (23) 에 있어서 재현할 수 있는 색을 나타내고, 이 사각형이 표시부 (23) 에 있어서의 색 재현 영역에 대응한다. 또, 사각형의 정점이 색을 구성하는 RGBEG 에 대응하고, 사각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점이 W 에 대응한다. 이러한 색 재현 영역은, 4 색에 있어서의 색 재현 영역과 동일하지만, White 를 추가하여 5 색으로 함으로써, 투과율이 상승된다. 그 때문에, 표시부 (23) 의 표면 휘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오차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7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기술한 제 1 조건 ∼ 제 3 조건에 따라 서브 화소를 배치한다.
도 39 는 RGBW 의 서브 화소에 대한 서브 화소 배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이 처리는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실행된다. 또, 이 처리는, 화상 표시 장치 (100) 를 설계하는 단계 등에 실행된다.
먼저, 단계 S701 에서는, RGBEGW 각 색의 XYZ 를 입력한다. 각 색의 XYZ 는, 컬러 필터 (23c) 나 백라이트 유닛 (23i) 의 분광 특성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는 값이며, 시뮬레이션이나 실측에 의해 구해진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702 로 진행된다. 단계 S702 에서는, XYZ 를 휘도-반대색 공간으로 변환하고, Lum, R/G, B/Y 의 각 성분으로서 나타내는다. 예를 들어 도 40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가 얻어진다.
도 40 은 RGBEGW 의 휘도와 휘도 가산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표이다. 도 40(a) 는, 좌측에서 순서대로, RGBEGW 각 색에 관하여, XYZ 로부터 구한 Lum 성분, R/G 성분, B/Y 성분을 나타내는다. 또, 도 40(b) 는, RGBEGW 에서 선택한 2 색 (제 1 색, 제 2 색) 의 휘도를 가산한 휘도 가산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0(c) 는,「B」,「EG」를 양단에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BR」(우측 세트) 과「GEG」(좌측 세트) 를 조합한 경우 (즉,「BRWGEG」의 배치 순서로 한 경우) 의 2 개의 휘도 가산값에 있어서의 차이의 절대값을 위에 나타내고,「BG」(우측 세트) 와「REG」(좌측 세트) 를 조합한 경우 (즉,「BGWREG」의 배치 순서로 한 경우) 의 2 개의 휘도 가산값에 있어서의 차이의 절대값을 아래에 나타내고 있다.
도 40(a) 로부터,「B」와「EG」의 휘도 Lum 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40(c) 로부터,「B」와「EG」를 양단에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BG」(우측 세트) 와「REG」(좌측 세트) 를 조합하였을 때에,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즉,「BRWGEG」의 배치 순서보다도,「BGWREG」의 배치 순서 쪽이,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아진다.
도 39 로 되돌아와서, 설명을 행한다. 상기한 단계 S702 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단계 S703 으로 진행된다. 단계 S703 에서는, 단계 S702 에서 얻어진 휘도 Lum 에 기초하여,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하는 서브 화소를 결정한다. 이 경우, 계산된 휘도 Lum 에 기초하여, 휘도 Lum 이 가장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를,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한다. 즉, 제 1 조건에 기초하여 서브 화소의 배치를 행한다. 도 40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휘도 Lum 이 작은「B」및「EG」를,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한다. 또한, 이「B」및 「EG」를 제 1 색으로 하였을 때의 휘도 가산값을 계산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도 40(b)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그래프를 얻는다. 이상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단계 S704 로 진행된다.
단계 S704 에서는, 다음으로 휘도가 작은 서브 화소를, 표시 화소의 양단에서 다음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아직 배치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은 서브 화소에 있어서 가장 휘도가 작은 서브 화소를, 서브 화소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지점에 있어서 서브 화소의 양단에서 다음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한다. 즉, 제 2 조건에 기초하여 서브 화소의 배치를 행한다. 도 40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휘도 Lum 이 가장 작은「B」와「EG」다음으로 휘도가 작은 것은「R」과「G」이다. 그 때문에,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된「B」와「EG」의 각각의 옆에「R」과「G」를 배치한다. 이로써,「BRWGEG」와「BGWREG」의 2 가지의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또한,「B」와「EG」의 옆에「R」과「G」가 배치되는 것이 결정됨으로써, 표시 화소의 중앙에「W」가 배치되는 것이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이「W」는, 휘도 Lum 이 가장 크다. 이상의 단계 S704 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단계 S705 로 진행된다.
단계 S705 에서는, 표시 화소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서브 화소에 있어서, 휘도 가산값의 차이가 작아지는 후보를 선택하여, 표시 화소의 양단에서 다음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서브 화소를 결정한다. 즉, 제 3 조건에 기초하여 서브 화소의 배치를 행한다. 도 40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좌측에「BR」을 배치하고, 우측에「GEG」를 배치하는 배치 순서와, 좌측에「BG」를 배치하고, 우측에「REG」를 배치하는 배치 순서를 비교한 경우, 좌측에「BG」를 배치하고, 우측에「REG」를 배치하는 배치 순서 쪽이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아진다. 따라서,「B」의 옆에「G」를 배치하고,「EG」의 옆에「R」을 배치하는 것이 결정된다. 이로써,「BGWREG」의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이상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단계 S706 으로 진행된다.
단계 S706 에서는, 모든 서브 화소의 배치 위치가 결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전체 배치 위치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 (단계 S706 ; 예) 에는, 처리는 당해 플로우를 빠져나온다. 한편, 전체 배치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706 ; 아니오) 에는, 처리는 단계 S704 로 되돌아온다. 즉, 서브 화소의 배치를 재차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5 개의 서브 화소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단계 S704 ∼ S706 의 처리를 한 번 행하는 것 만으로, 모든 서브 화소의 배치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에서는「BGWREG」의 배치 순서가 결정되는 예를 나타냈지만,「BGWREG」를 반대로 배치한「EGRWGB」가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BGWREG」와「EGRWGB」는 동일한 배치 순서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의 서브 화소 배치 처리의 결과와, RGBEGW 의 각 화소의 배치 후보에 대하여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행하였을 때의 결과를 비교한다.
도 41 은 RGBEGW 의 배치 후보를 모두 나타내고 있다. 또한, RGBEGW 에 있어서의 조합의 수는「5 × 4 × 3 × 2 × 1 = 120 개」이지만, 좌우의 대칭성을 고려하면, 배치 후보의 수는 이 절반인 60 개가 된다.
도 42 는 도 41 에 나타내는 60 개의 배치 후보에 대하여,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를 행하였을 때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42 에 나타내는 그래프는, 가로축에 흑백 패턴에 대응하는 화상 위치를 나타내고, 세로축에 L* 성분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 각각의 그래프는, Original 화상과 Reproduction 화상을 중첩하여 표시하고 있다. 이들 그래프에 의해,「BGWREG」의 배치 순서로 한 경우 (도 42 에 있어서 굵은 선으로 둘러싼 그래프) 에, L* 성분차의 가산값이 비교적 작다는 결과가 얻어진다. 이로부터,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의 실행에 의한 결과와, 60 개의 배치 후보에 대한 서브 화소 오차 확인 처리에 의해 얻어진 결과 (도 42 참조) 가 동일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 1 조건 ∼ 제 3 조건에 기초하여 서브 화소를 배치함으로써, 오차가 적은 배치 순서를 얻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하면, 시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형태로, RGBEGW 의 서브 화소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된 서브 화소의 배치를, W 화상을 사용하여 구성된 화상 표시 장치 (100) 에 대하여 적용함으로써, 엣지 블러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표시 장치 (100) 는,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에서는,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BGWREG」의 서브 화소의 배치가 결정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 항상 이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고는 한정할 수 없다. 이 배치 순서는 도 40 에 나타내는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도 40 에 나타내는 것 이외의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이 배치 순서와 상이한 배치 순서가 결정될 가능성도 있다.
[제 8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8 실시형태에서는, 다색의 구성이 제 6 실시형태 및 제 7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8 실시형태는, RGBEGYW 의 6 개의 색에 의해 색을 구성한다. 또한,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기술한 화상 표시 장치 (100) 와 대체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는, 3840 개의 데이터선에 대하여 데이터선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점에서, 제 6 실시형태 및 제 7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도 43 은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부 (23) 의 표시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a) 는 표시부 (23) 에서 사용되는 컬러 필터 (23c) 의 투과 특성을 RGBEGYW 각 화소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투과율 (%) 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White 에 대응하는 컬러 필터 (23c) 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43(b) 는, Blue LED 및 형광체에 의한 백색 LED 로 구성된 백라이트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고,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상대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3(c) 는, 각 화소의 분광 특성을 RGBEGYW 각 화소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c) 도, 가로축이 파장 (nm) 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상대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3(d) 는, RGBEGYW 각 화소의 분광 특성을 바탕으로, xy 색도도 상에 플롯한 도면을 나타내는다. 도 43(d) 에 있어서의 오각형의 내부가 표시부 (23) 에 있어서 재현할 수 있는 색을 나타내고, 이 오각형이 표시부 (23) 에 있어서의 색 재현 영역에 대응한다. 또, 오각형의 정점이 색을 구성하는 RGBEGY 에 대응하고, 오각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점이 W 에 대응한다.
다음으로,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8 실시형태에서도, 기본적으로는, 상기 기술한 제 1 조건 ∼ 제 3 조건에 따라 서브 화소를 배치한다. 제 8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조건 ∼ 제 3 조건에 따름으로써, 이하와 같은 순서로 서브 화소의 배치 위치가 결정된다.
먼저, RGBEGYW 에 있어서 가장 휘도가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를,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한다 (이하, 이 배치를「1 회째 배치」라고 함). 1 회째 배치는, 제 1 조건에 따른 배치이다.
다음으로, 양단에 배치된 서브 화소 다음으로 휘도가 작은 서브 화소를, 양단에 배치된 서브 화소의 옆에 배치한다 (이하, 이 배치를「2 회째 배치」라고 함). 2 회째 배치는, 제 2 조건에 따른 배치이다. 그리고, 표시 화소의 중앙으로부터 좌측에 배치되는 서브 화소와, 표시 화소의 중앙으로부터 우측에 배치되는 서브 화소에 있어서, 휘도 가산값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양단에 배치된 서브 화소의 옆에 서브 화소를 배치한다 (이하, 이 배치를「3 회째 배치」라고 함). 보다 자세하게는, 3 회째 배치는, 2 개의 서브 화소에서 얻어지는 휘도 가산값을 비교함으로써 행해진다. 3 회째 배치는, 제 3 조건에 따른 배치이다. 이상에 의해, 4 개의 서브 화소의 배치 위치가 결정된다.
다음으로, 나머지 2 개의 서브 화소의 배치 위치를 결정한다. 이 경우, 나머지 2 개의 배치 위치에, 배치 위치가 미결정인 2 개의 서브 화소를 배치한다 (이하, 이 배치를「4 회째 배치」라고 함). 4 회째 배치는, 제 2 조건에 따른 배치이다. 다음으로, 표시 화소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서브 화소에 있어서, 휘도 가산값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나머지 2 개의 서브 화소의 배치 위치를 결정한다 (이하, 이 배치를「5 회째 배치」라고 함). 보다 자세하게는, 이 배치는, 3 개의 서브 화소에서 얻어지는 휘도 가산값을 비교함으로써 행해진다. 5 회째 배치는, 제 3 조건에 따른 배치이다. 이상에 의해, 6 개의 서브 화소의 배치 위치가 결정된다.
도 44 는 RGBEGYW 의 휘도와 휘도 가산값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표이다. 도 44(a) 는, RGBEGYW 각 색에 관하여, XYZ 로부터 구한 Lum 성분, R/G 성분, B/Y 성분을 나타내는다. 도 44(a) 는, 1 회째 배치를 행할 때에 참조된다.
도 44(b) 는, RGBEGYW 에서 선택한 2 색 (제 1 색, 제 2 색) 의 휘도를 가산한 휘도 가산값을 나타내고 있다. 자세하게는, 도 44(b) 는 휘도 Lum 이 가장 작은「B」및「EG」를 제 1 색으로서 선택한 경우에 상정되는 조합 (4 가지) 에 대한 휘도 가산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44(c) 는, 도 44(b) 에 나타내는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c) 는, 3 회째 배치를 행할 때에 참조된다.
도 44(d) 는,「B」및「EG」를 양단에 배치하고,「B」의 옆에「Y」를 배치하고,「EG」의 옆에「R」을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 이들의 옆에「W」또는「G」를 배치하였을 때의 3 색에 있어서의 휘도 가산값을 나타내고 있다. 자세하게는, 4 가지의 조합에 대한 휘도 가산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44(e) 는, 도 44(d) 에 나타내는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e) 는, 5 회째 배치를 행할 때에 참조된다.
여기서, 도 44 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 서브 화소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생각한다. 도 44(a) 로부터,「B」와「EG」의 휘도 Lum 이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 회째 배치에 의해,「B」와「EG」가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된다. 또, 도 44(a) 로부터,「B」와「EG」다음으로 휘도가 작은 것은,「R」과「Y」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2 회째 배치에 의해,「B」와「EG」의 각각의 옆에,「R」또는「Y」가 배치된다. 이러한 2 회째 배치에 의해, 도 44(b) 에 나타내는 휘도 가산값이 얻어진다. 그리고, 도 44(b) 에 나타내는 휘도 가산값에 기초하여, 도 4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얻어진다.
다음으로, 3 회째 배치에서는, 도 44(c) 를 참조함으로써,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아지는 배치가 결정된다. 이로써, 3 회째 배치에 의해, 양단에 배치된「B」의 옆에「Y」가 배치되고, 양단에 배치된「EG」의 옆에「R」이 배치된다. 그리고, 4 회째 배치에 의해,「BY」와「REG」의 각각의 옆에, 나머지「G」또는「W」가 배치된다. 이러한 4 회째 배치에 의해, 도 44(d) 에 나타내는 휘도 가산값이 얻어진다. 그리고, 도 44(d) 에 나타내는 휘도 가산값에 기초하여, 도 44(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얻어진다. 5 회째 배치에서는, 도 44(e) 를 참조함으로써,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 아지는 배치가 결정된다. 이로써, 5 회째 배치에 의해,「BY」의 우측 옆에「W」가 배치되고,「REG」의 좌측 옆에「G」가 배치된다. 이상에 의해,「BYWGREG」의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다음으로,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오차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8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기술한 제 1 조건 ∼ 제 3 조건에 따라 서브 화소를 배치한다.
도 45 는 RGBEGYW 의 서브 화소에 대한 서브 화소 배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이 처리는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실행된다. 또, 이 처리는, 화상 표시 장치 (100) 를 설계하는 단계 등에 실행된다.
먼저, 단계 S801 에서는, RGBEGYW 각 색의 XYZ 를 입력한다. 각 색의 XYZ 는, 컬러 필터 (23c) 나 백라이트 유닛 (23i) 의 분광 특성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는 값이며, 시뮬레이션이나 실측에 의해 구해진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802 로 진행된다. 단계 S802 에서는, XYZ 를 휘도-반대색 공간으로 변환하고, Lum, R/G, B/Y 의 각 성분으로서 나타내는다. 예를 들어 도 44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가 얻어진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803 으로 진행된다.
단계 S803 에서는, 단계 S802 에서 얻어진 휘도 Lum 에 기초하여,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하는 서브 화소를 결정한다. 이 경우, 계산된 휘도 Lum 에 기초하여, 휘도 Lum 이 가장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를,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한다. 즉, 제 1 조건에 기초하여 서브 화소의 배치를 행한다. 여기서, 1 회째 배치를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5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1 회째 배치에 있어서, 휘도 Lum 이 작은「B」및「EG」를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804 로 진행된다.
단계 S804 에서는, 다음으로 휘도가 작은 서브 화소를, 표시 화소의 양단에서 다음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아직 배치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은 서브 화소에 있어서 가장 휘도가 작은 서브 화소를, 서브 화소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지점에 있어서 서브 화소의 양단에서 다음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한다. 즉, 제 2 조건에 기초하여 서브 화소의 배치를 행한다. 여기서, 2 회째 배치를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4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휘도 Lum 이 가장 작은「B」와「EG」다음으로 휘도가 작은 것은「R」과「Y」이다. 그 때문에, 2 회째 배치에 있어서,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된「B」및「EG」의 각각의 옆에,「R」또는「Y」를 배치한다. 이로써,「BY**REG」와「BR**YEG」의 2 가지의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은, 배치되는 서브 화소가 미결정인 것을 나타냄). 이상의 단계 S804 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단계 S805 로 진행된다.
단계 S805 에서는, 표시 화소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서브 화소에 있어서, 휘도 가산값의 차이가 작아지는 후보를 선택하여, 표시 화소의 양단에서 다음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서브 화소를 결정한다. 즉, 제 3 조건에 기초하여 서브 화소의 배치를 행한다. 여기서, 3 회째 배치를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4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좌측 에「BY」를 배치하고, 우측에「REG」를 배치하는 배치 순서와, 좌측에「BR」을 배치하고, 우측에「YEG」를 배치하는 배치 순서를 비교한 경우, 좌측에「BY」를 배치하고, 우측에「REG」를 배치하는 배치 순서 쪽이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아진다. 그 때문에, 3 회째 배치에 있어서,「B」의 옆에「Y」를 배치하고,「EG」의 옆에「R」을 배치하는 것이 결정된다. 이로써,「BY**REG」의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이상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단계 S806 으로 진행된다.
단계 S806 에서는, 모든 서브 화소의 배치 위치가 결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전체 배치 위치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 (단계 S806 ; 예) 에는, 처리는 당해 플로우를 빠져나온다. 한편, 전체 배치 위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806 ; 아니오) 에는, 처리는 단계 S804 로 되돌아온다. 즉, 서브 화소의 배치를 재차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6 개의 서브 화소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단계 S804 ∼ S806 의 처리를 한 번 행하는 것만으로, 4 개의 서브 화소의 배치 위치가 결정될 뿐, 6 개 전부의 서브 화소의 배치 위치는 결정되지 않는다. 즉, 단계 S804 ∼ S806 의 처리를 한 번 실시하는 것만으로는, 1 회째 배치 ∼ 3 회째 배치만이 행해지고, 4 회째 배치 ∼ 6 회째 배치가 행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단계 S406 의 처리의 종료 후, 단계 S804 ∼ S806 의 처리를 재차 행한다.
여기서, 단계 S804 ∼ S806 의 처리를 재차 행함으로써 실행되는, 4 회째 배치 ∼ 6 회째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4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단계 S804 에서는, 배치 위치가 미결정인「G」와「W」가,「BY」와「REG」사이에 배치된다. 이로써, 4 회째 배치에 있어서,「BYWGREG」와「 BYGWREG」의 2 가지의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805 로 진행된다. 단계 S805 에서는,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아지는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4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BY」의 우측 옆에「W」를 배치하고,「REG」의 좌측 옆에「G」를 배치하는 배치 순서와,「BY」의 우측 옆에「G」를 배치하고,「REG」의 좌측 옆에「W」를 배치하는 배치 순서를 비교한 경우,「BY」의 우측 옆에「W」를 배치하고,「REG」의 좌측 옆에「G」를 배치하는 배치 순서 쪽이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아진다. 따라서, 5 회째 배치에 있어서,「BY」의 우측 옆에「W」를 배치하고,「REG」의 좌측 옆에「G」를 배치하는 것이 결정된다. 이로써,「BYWGREG」의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 즉, 6 개 전부의 서브 화소의 배치 위치가 모두 결정된다. 이상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단계 S806 으로 진행된다. 단계 S806 에서는, 전체 배치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고 판정되기 때문에 (단계 S806 ; 예), 처리는 당해 플로우를 빠져나온다. 또한, 상기에서는「BYWGREG」의 배치 순서가 결정되는 예를 나타냈지만,「BYWGREG」를 반대로 배치한「EGRGWYB」가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하면, 시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형태로, RGBEGYW 의 서브 화소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된 서브 화소의 배치를 화상 표시 장치 (100) 에 대하여 적용함으로써, 엣지 블러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표시 장치 (100) 는,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에서는,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BYWGREG」의 서브 화소의 배치가 결정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 항상 이 배치 순서가 결정된다고는 한정할 수 없다. 이 배치 순서는 도 44 에 나타내는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도 44 에 나타내는 것 이외의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이 배치 순서와 상이한 배치 순서가 결정될 가능성도 있다.
[제 9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술한 제 6 실시형태 내지 제 8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부 (23) 에 있어서의 표시 화소의 배치가 스트라이프 배치인 것에 비해, 제 9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 화소의 배치 (이하,「표시 화소 배치」라고도 함) 를 스트라이프 배치로부터 변경한다.
또,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기술한 화상 표시 장치 (101) 와 대체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는, 1600 개의 데이터선에 대하여 데이터선 구동 신호 X1 ∼ X1600 을 공급하는 점에서, 도 17 과 상이하다. 또한,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의 출력수에 관해서는, 도 47 에 있어서 설명한다.
여기서,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소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3 색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표시 화소 배치를 스트라이프 배치로부터 변경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6 은 3 색 RGB 에 있어서 표시 화소 배치를 변경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 한 도면이다. 도 46(a) 에 있어서, 흑색 작은 원의 격자상의 점 (980) 이, 입력 데이터가 존재하는 점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VGA 사이즈의 경우에는, 이 점 (980) 은「세로 480 개 × 가로 640 개」존재한다. 또, 도 46(a) 중의 화살표는 데이터선 구동 신호 및 주사선 구동 신호의 입력을 나타내고 있고, 백색 원의 점 (981) 은 변경 후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점 (이하,「샘플 점」이라고도 함) 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리샘플 회로 (11a) 는, 표시부 (23z) 의 표시 화소 배치에 일치시키기 위하여, 가로 방향의 개수를 변경한다. 이 경우, 점 (981) 의 간격 (A911 ; 바꾸어 말하면, 표시 화소의 가로길이) 을 2 배로 하고, 표시 화소의 개수를 절반으로 변경하고 있다. 자세하게는, 표시 화소의 세로길이 (A912) 를「1.0」으로 하면, 표시 화소의 가로길이 (A911) 는「A911 = A912 × 2 = 2.0」이 된다. 또, 가로 1 라인이 세로 방향으로 내려갈 때마다, 샘플 점을 반피치 (A911/2) 어긋나게 한다. 이와 같이 샘플 점을 반피치 어긋나게 함으로써, 가로 방향의 개수를 줄여도, 비교적 열화가 적어 화상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46(b) 를 사용하여, 3 색에 있어서의 표시 화소 배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경우, 표시 화소는 3 개의 서브 화소를 한 조로서 구성하고, 가로 방향의 간격 (A911) 이「2.0」이므로, 서브 화소의 가로길이는「B911 = A911/3 = 0.667」이 된다 (도 46(b) 의 우측 도면 참조). 또, 도 46(b) 의 좌측 도면으로부터, 세로 방향에서 보면 표시 화소로서 반피치 (A911/2) 어긋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서브 화소는「9A11/2」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서브 화소 단위로서 보면「B911/2」어긋나 있다. 3 색을 사용한 표시부 (23z) 에 있어서는, 2 라인에 걸쳐 3 색의 한 조를 보면, 역삼각형의 정점 위치에 3 색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호 985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델타 배치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샘플 회로 (11a) 의 출력을 데이터 제어 회로 (도시 생략) 가 받고, 데이터선과 주사선의 타이밍 조정을 행하여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와 주사선 구동 회로 (22) 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 (101) 는, 이러한 표시 화소 배치에 대하여 적절히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에 대하여, 도 47 내지 도 49 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7 은 제 9 실시형태의 제 1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샘플의 조건은 도 46 과 동일하다. 즉, 표시 화소의 세로길이 (A912) 를「1.0」으로 하면, 표시 화소의 가로길이 (A921) 는「A921 = A912 × 2 = 2.0」이다. 이 경우, 리샘플 회로 (11a) 의 입력 및 출력은 3 색의 신호이며, 표시부 (23z) 가 5 색이기 때문에, 색 변환 회로 (12) 에 있어서 3 색에서 5 색으로의 색 변환이 행해진다. 도 47(b) 는, 표시 화소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47(b) 의 좌측 도면으로부터, 서브 화소의 가로길이 (B921) 는「B921 = A921/5 = 0.4」가 된다. 또, 도 47(b) 의 좌측 도면으로부터, 세로 방향에서 보면, 표시 화소로서 반피치 (A921/2) 어긋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서브 화소는「A921/2」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도 47 에 나타내는 표시 화소 배치를 갖는 표시부 (23z) 에 있어서, 입력 데 이터가 VGA 인 경우에는, 리샘플 후의 표시 화소의 수는「세로 480 개 × 가로 320 개」가 된다. 이 경우, 가로 방향의 서브 화소의 개수로서는,「320 × 5 = 1600 개」가 된다. 제 9 실시형태에서는, 도 47 에 나타내는 표시 화소 배치를 갖는 표시부 (23z) 를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 (101) 를 사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는, 1600 개의 데이터선에 대하여 데이터선 구동 신호 X1 ∼ X1600 을 공급한다. 한편, 스트라이프 배치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 (100) 에서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로부터 표시부 (23z) 로의 출력은「640 × 5 = 3200 개」이다. 이상으로부터, 제 1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입력에 있어서도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로부터의 출력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 (101) 를 저비용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8 은 제 9 실시형태의 제 2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소의 세로길이 (A912) 를「1.0」으로 하면, 표시 화소의 가로길이 (A931) 는「A931 = A912 × 1.5 = 1.5」이다. 도 48(b) 는, 표시 화소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서브 화소의 가로길이 (B931) 는「B931 = A931/5 = 0.3」이 된다. 또, 세로 방향에서 보면, 표시 화소로서 반피치 (A931/2) 어긋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서브 화소는「A931/2」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제 2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적용한 경우에도, 동일한 입력에 있어서도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로부터의 출력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 (101) 를 저비용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9 는 제 9 실시형태의 제 3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소의 세로길이 (A912) 를「1.0」으로 하면, 표시 화소의 가로길이 (A941) 는「A941 = A912 × 1 = 1.0」이다. 도 49(b) 는, 표시 화소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서브 화소의 가로길이 (B941) 는「B941 = A941/5 = 0.2」가 된다. 또, 세로 방향에서 보면, 표시 화소로서 반피치 (A941/2) 어긋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서브 화소는「A941/2」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제 3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적용한 경우에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 (21) 로부터의 출력의 수는 스트라이프 배치를 채용하는 경우 (도 29 참조) 와 비교하여 감소되지 않지만, 표시 화소가 반피치 어긋남으로써, 외관상, 가로 방향의 해상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5 색을 사용하여 표시 화소를 구성한 경우의 표시 화소 배치의 예를 나타냈지만, 6 색을 사용하여 표시 화소를 구성한 경우에도 동일한 표시 화소 배치를 행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제 1 예 ∼ 제 3 예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행한 경우에 있어서, 표시 화소를 구성하는 서브 화소의 배치는, 상기 기술한 제 6 실시형태 내지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된 서브 화소의 배치 순서를 적용할 수 있다. 즉, 표시 화소를 반피치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시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형태로, RGBEGY, RGBEGW 및 RGBYW 의 서브 화소의 배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GBEGY 의 5 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 결정된 배치 순서를 적용하고, RGBEGW 의 5 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 결정된 배치를 적용하고, RGBEGYW 의 6 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 결정된 배치를 적용한다.
상기와 같이, 제 6 실시형태 내지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를 적용할 수 있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 표시 장치 (101) 는, 리샘플 회로 (11a) 를 갖고 있지만, 리샘플 회로 (11a) 의 입출력은 3 색이기 때문에, 5 색 또는 6 색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적다. 그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 (101) 는, 예를 들어 4 색으로서 흑백 패턴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제 6 실시형태 및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 표시 장치 (100) 의 동작과 완전히 동일한 상태가 된다. 한편,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브 화소 단위에서의 가로길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시각 특성을 반영한 필터 특성이 약간 상이하지만, 오차의 대소 관계는 거의 그대로 보존된다고 사료된다. 이상으로부터, 제 6 실시형태 내지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서브 화소 배치 처리에 의해 결정된 서브 화소의 배치 순서를,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 화소 배치를 행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9 실시형태에 의하면, 표시 화소를 반피치 어긋나게 하여 배치해도,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색 성분 오차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시각에 의해 관찰하였을 때의 색 깨짐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저비용화한 화상 표시 장치나, 외관상 해상도를 향상시킨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해서도, 이러한 색 깨짐 현상 등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표시 화소의 가로길이 (표시 화소의 간격) 를「A921 = 2.0」,「A931 = 1.5」,「A941 = 1.0」으로 하여 표시 화소 배치를 변경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이외의 길이에 표시 화소를 설정하여 표시 화소 배치를 변경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4 색으로서 RGBC 나 RGBW, 혹은 R, YG, B, EG 이외의 다른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yan 및 White 대신에 Yellow 를 사용한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는 Blue LED 에 형광체를 조합한 백색 LED 백라이트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백라이트가 다른 구성을 갖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GB 3 색 LED 백라이트 등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5 색으로서 RGBEGY 나 RGBEGW 이외의 다른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나, 6 색으로서 RGBEGYW 이외의 다른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5 색이나 6 색에 적용은 한정되지 않고, 4 색이나 7 색 이상을 사용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타내는「녹색 (Green)」을,「황록색 (Yellowish Green)」으로 대체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LCD) 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한 적용에 한정은 되지 않고, 유기 EL 표시 장치 (OLED), 플라스마 표시 장치 (PDP), 브라운관 표시 장치 (CRT), 전계 방출 표시 장치 (FED) 등의 평면 표시를 행하는 화상 표시 장 치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반사형이나 반투과 반사형의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사용하는 복수의 색으로서 R, G, B, C 등을 구체예로서 설명했지만, 복수의 색에는, R, G, B 나, 각각의 보색인 Y (옐로우), C (시안), M (마젠타) 외에, R, G, B 와 Y, C, M 사이의 색, 예를 들어 황록색이나 심록색 등의 색도 포함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는, 4 색을 사용하는 구성이지만, 이 대신에, 5 이상의 색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서도, 휘도가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가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됨과 함께,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휘도와, 상기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각각에 인접하는 서브 화소의 휘도에서 얻어지는 2 개의 휘도 가산값의 차이에 있어서의 절대값이 작아지도록, 상기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에 인접하는 서브 화소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자 기기]
다음으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 (100, 101) 를 적용한 전자 기기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 기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여기에 나타내는 전자 기기는, 화상 표시부로서의 액정 표시 장치 (700) 와, 이것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410) 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 (100, 101) 는 액정 표시 장치 (700) 내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 (700) 를, 패널 구조체 (403) 와, 반도체 IC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 회로 (402) 로 개념적으로 나누어 그려져 있다. 제어 수단 (410) 은, 표시 정보 출력원 (411) 과, 표시 정보 처리 회로 (412) 와, 전원 회로 (전원 장치 ; 413) 와, 타이밍 제너레이터 (414) 를 갖는다.
표시 정보 출력원 (411) 은, ROM (Read Only Memory) 나 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와, 자기 기록 디스크나 광기록 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토리지 유닛과, 디지털 화상 신호를 동조 출력하는 동조 회로를 구비하고, 타이밍 제너레이터 (414) 에 의해 생성된 각종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포맷의 화상 신호 등의 형태로 표시 정보를 표시 정보 처리 회로 (412) 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 정보 처리 회로 (412) 는, 시리얼-패러렐 변환 회로, 증폭·반전 회로, 로테이션 회로, 감마 보정 회로, 클램프 회로 등의 주지의 각종 회로를 구비하고, 입력한 표시 정보의 처리를 실행하여, 그 화상 정보를 클록 신호 CLK 와 함께 구동 회로 (402) 로 공급한다. 구동 회로 (402) 는, 주사선 구동 회로, 데이터선 구동 회로 및 검사 회로를 포함한다. 또, 전원 회로 (413) 는, 상기 기술한 각 구성 요소에 각각 소정의 전압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 기기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 2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관련된 화상 표시 장치 (100, 101) 를, 가반형의 퍼스널 컴퓨터 (이른바 노트북 컴퓨터) 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a) 는, 이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 (710) 는, 키보드 (711) 를 구비한 본체부 (712) 와, 본 발명에 관련된 화상 표시 장치 (100, 101) 를 적용한 표시부 (713) 를 구비하고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관련된 화상 표시 장치 (100, 101) 를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b) 는, 이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 (720) 는, 복수의 조작 버튼 (721) 외에, 수화구 (722), 송화구 (723) 와,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한 표시부 (724) 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화상 표시 장치 (100, 101) 를 적용 가능한 전자 기기로서는 그 밖에도, 액정 텔레비전, 화상 전화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실시예]
상기의 설명에서는, 복수의 색 (착색 영역) 으로서 RGBC 및 R, YG, B, EG 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적용은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다른 4 색의 착색 영역에 의해 하나의 표시 화소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4 색의 착색 영역은, 파장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가시광 영역 (380 ∼ 780㎚) 가운데, 청색 계열 색상의 착색 영역 (「제 1 착색 영역」이라고도 함), 적색 계열 색상의 착색 영역 (「제 2 착색 영역」이라고도 함) 과, 청색에서 황색까지의 색상 중에서 선택된 2 종의 색상의 착색 영역 (「제 3 착색 영역」,「제 4 착색 영역」이라고도 함) 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계」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청색 계열이면 순수 청색의 색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자색이나 청록색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적색 계열의 색상이면, 적색 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등색을 포함한다. 또, 이들 착색 영역은 단일의 착색층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복수의 상이한 색상의 착색층을 중첩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 이들 착색 영역은 색상으로 서술하고 있지만, 당해 색상은, 채도, 명도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색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인 색상의 범위는,
·청색 계열 색상의 착색 영역은, 청자색 내지 청록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남색 내지 청색이다.
·적색 계열 색상의 착색 영역은, 등색 내지 적색이다.
·청색 내지 황색까지의 색상에서 선택되는 일방의 착색 영역은, 청색 내지 녹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청록색 내지 녹색이다.
·청색 내지 황색까지의 색상에서 선택되는 타방의 착색 영역은, 녹색 내지 등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녹색 내지 황색이다. 혹은 녹색 내지 황록색이다.
여기서, 각 착색 영역은, 동일한 색상을 사용하는 경우는 없다. 예를 들어, 청색 내지 황색까지의 색상에서 선택되는 2 개의 착색 영역에서 녹색 계열의 색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타방은 일방의 녹색에 대하여 청색 계열 혹은 황록색 계열의 색상을 사용한다.
이로써, 종래의 RGB 의 착색 영역보다도 광범위한 색 재현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는 4 색의 착색 영역에 의한 광범위한 색 재현성을 색상으로 서 술했지만, 다른 구체적인 예로서, 착색 영역을 투과한 광의 파장으로 표현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 청색 계열의 착색 영역은, 그 영역을 투과한 광 파장의 피크가 415 ∼ 500㎚ 에 있는 착색 영역, 바람직하게는 435 ∼ 485㎚ 에 있는 착색 영역이다.
·적색 계열의 착색 영역은, 그 영역을 투과한 광 파장의 피크가 600㎚ 이상에 있는 착색 영역이며, 바람직하게는 605nm 이상에 있는 착색 영역이다.
·청색에서 황색까지의 색상에서 선택되는 일방의 착색 영역은, 그 영역을 투과한 광 파장의 피크가 485 ∼ 535㎚ 에 있는 착색 영역이며, 바람직하게는 495 ∼ 520㎚ 에 있는 착색 영역이다.
·청색에서 황색까지의 색상에서 선택되는 타방의 착색 영역은, 그 영역을 투과한 광 파장의 피크가 500 ∼ 590㎚ 에 있는 착색 영역, 바람직하게는 510 ∼ 585㎚ 에 있는 착색 영역, 혹은 530 ∼ 565㎚ 에 있는 착색 영역이다.
상기의 파장은, 투과 표시의 경우에는, 조명 장치로부터의 조명광이 컬러 필터를 통과시켜 얻어진 수치이다. 반사 표시의 경우에는, 외광을 반사하여 얻어진 수치이다.
또한, 다른 구체적인 예로서, 4 색의 착색 영역을 x, y 색도도로 표현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 청색 계열의 착색 영역은, x ≤ 0.151, y ≤ 0.200 에 있는 착색 영역이며, 바람직하게는 0.134 ≤ x ≤ 0.151, 0.034 ≤ y ≤ 0.200 에 있는 착색 영역이다.
·적색 계열의 착색 영역은, 0.520 ≤ x, y ≤ 0.360 에 있는 착색 영역이며, 바람직하게는 0.550 ≤ x ≤ 0.690, 0.210 ≤ y ≤ 0.360 에 있는 착색 영역이다.
·청색에서 황색까지의 색상에서 선택되는 일방의 착색 영역은, x ≤ 0.200, 0.210 ≤ y 에 있는 착색 영역이며, 바람직하게는 0.080 ≤ x ≤ 0.200, 0.210 ≤ y ≤ 0.759 에 있는 착색 영역이다.
·청색에서 황색까지의 색상에서 선택되는 타방의 착색 영역은, 0.257 ≤ x, 0.450 ≤ y 에 있는 착색 영역이며, 바람직하게는 0.257 ≤ x ≤ 0.520, 0.450 ≤ y ≤ 0.720 에 있는 착색 영역이다.
상기의 x, y 색도도는, 투과 표시의 경우에는, 조명 장치로부터의 조명광이 컬러 필터를 통과시켜 얻어진 수치이다. 반사 표시의 경우에는, 외광을 반사하여 얻어진 수치이다.
이들 4 색의 착색 영역은, 서브 화소에 투과 영역과 반사 영역을 구비한 경우, 투과 영역 및 반사 영역도 상기 기술한 범위에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의 4 색의 착색 영역을 사용한 경우, 백라이트에는 RGB 의 광원으로서 LED, 형광관, 유기 EL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는 백색 광원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백색 광원은 청색의 발광체와 YAG 형광체에 의해 생성되는 백색 광원이어도 된다.
단, RGB 광원으로서는,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B 는 파장의 피크가 435㎚ ∼ 485㎚ 에 있는 것.
·G 는 파장의 피크가 520㎚ ∼ 545㎚ 에 있는 것.
·R 은 파장의 피크가 610㎚ ∼ 650㎚ 에 있는 것.
그리고, RGB 광원의 파장에 의해, 상기 컬러 필터를 적절히 선정하면 보다 광범위한 색 재현성을 얻을 수 있다. 또, 파장이 예를 들어, 450㎚ 와 565㎚ 에 피크가 오는, 복수의 피크를 가지는 광원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의 4 색의 착색 영역의 구성의 예로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색상이 적색, 청색, 녹색, 시안 (청록색) 의 착색 영역.
·색상이 적색, 청색, 녹색, 황색의 착색 영역.
·색상이 적색, 청색, 심록색, 황색의 착색 영역.
·색상이 적색, 청색, 에메랄드그린, 황색의 착색 영역.
·색상이 적색, 청색, 심록색, 황록색의 착색 영역.
·색상이 적색, 청록색, 심록색, 황록색의 착색 영역.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오차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시각에 의해 관찰하였을 때의 엣지 블러 (blur)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9)

  1. 각각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4 개의 서브 화소를 한 세트로서 갖는 표시 화소를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화소는,
    휘도가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가 상기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휘도와, 상기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각각에 인접하는 서브 화소의 휘도에서 얻어지는 2 개의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아지도록, 상기 표시 화소 중앙의 2 개의 서브 화소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및 상기 휘도 가산값은, 휘도-반대색 공간에 있어서 정의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및 상기 휘도 가산값은, 상기 휘도-반대색 공간에 있어서의 시각 공간 특성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는, Red, Green, Blue, Cyan 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화소는,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가 Cyan, Red, Green, Blue 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는, Red, Green, Blue, White 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화소는,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가 Blue, White, Green, Red 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는, 적색, 황록색, 에메랄드그린, 청색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화소는,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가 청색, 황록색, 적색, 에메랄드그린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의 색에 있어서의 각각의 착색 영역은, 파장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가시광 영역 중, 청색 계열 색상의 착색 영역, 적색 계열 색상의 착색 영역, 및 청색부터 황색까지의 색상 중에서 선택된 2 종의 색상의 착색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의 색에 있어서의 각각의 착색 영역은, 착색 영역을 투과한 광 파장의 피크가, 415 ∼ 500㎚ 에 있는 착색 영역, 600㎚ 이상에 있는 착색 영역, 485 ∼ 535㎚ 에 있는 착색 영역, 및 500 ∼ 590㎚ 에 있는 착색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으로 동일 색이 늘어서도록 직선 상에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는,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하에 인접하는 상기 표시 화소끼리에 있어서, 각각의 표시 화소가 갖는 상기 서브 화소가 적어도 1 개의 서브 화소분만큼 상하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소의 가로폭은, 상기 표시 화소의 가로폭의 대략 4 분의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소에 중첩되도록 배치된 컬러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3. 각각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4 이상의 서브 화소를 한 세트로서 갖는 표시 화소를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화소는, 상기 4 이상의 서브 화소의 휘도의 평균값보다도 작은 휘도를 갖는 2 개의 서브 화소가, 당해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는, 상기 4 이상의 서브 화소 중, 휘도가 가장 큰 서브 화소가, 당해 표시 화소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는, 상기 4 이상의 서브 화소 중, 휘도가 가장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가, 당해 표시 화소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는, 당해 표시 화소의 중앙으로부터 끝을 향하여 상기 서브 화소의 휘도가 작아지도록, 상기 서브 화소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7.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는, 당해 표시 화소의 중앙으로부터 일방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서브 화소에 있어서의 휘도를 가산한 휘도 가산값과, 당해 표시 화소의 중앙으로부터 타방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서브 화소에 있어서의 휘도를 가산한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아지도록 상기 서브 화소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13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및
    상기 화상 표시 장치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9. 각각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4 개의 서브 화소를 한 세트로서 갖는 표시 화소를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4 개의 서브 화소의 배치를 결정하는 화소 배치 설계 방법으로서,
    휘도가 작은 2 개의 서브 화소의 위치를 상기 표시 화소의 양단으로 결정하 는 제 1 배치 결정 공정, 및
    상기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휘도와, 상기 양단에 배치된 2 개의 서브 화소의 각각에 인접하는 서브 화소의 휘도에서 얻어지는 2 개의 휘도 가산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작아지도록, 상기 표시 화소 중앙의 2 개의 서브 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2 배치 결정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소 배치 설계 방법.
KR1020060099836A 2005-10-13 2006-10-13 화상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화소 배치 설계 방법 KR100819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98803 2005-10-13
JP2005298803 2005-10-13
JP2005303431A JP4626478B2 (ja) 2005-10-13 2005-10-18 画像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画素配置設計方法
JPJP-P-2005-00303431 2005-10-18
JPJP-P-2006-00047875 2006-02-24
JP2006047875A JP2007133347A (ja) 2005-10-13 2006-02-24 画像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画素配置設計方法
JP2006060144A JP2007240658A (ja) 2006-03-06 2006-03-06 画像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画素配置設計方法
JPJP-P-2006-00060144 2006-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393A true KR20070041393A (ko) 2007-04-18
KR100819402B1 KR100819402B1 (ko) 2008-04-07

Family

ID=3791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836A KR100819402B1 (ko) 2005-10-13 2006-10-13 화상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화소 배치 설계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89216B2 (ko)
EP (1) EP1783656A3 (ko)
KR (1) KR100819402B1 (ko)
TW (1) TWI33338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00086A1 (en) * 2011-12-27 2014-11-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52943B (en) * 2007-09-28 2011-11-21 Au Optronics Corp Multi-primary color display and the manufacturing
US8593476B2 (en) 2008-02-13 2013-11-26 Gary Demos System for accurately and precisely representing image color information
DE102008049921A1 (de) * 2008-09-29 2010-04-15 Mobotix Ag Verfahren zur Videodatenstrom-Erzeugung
TWI372915B (en) * 2008-11-21 2012-09-21 Au Optronics Corp Pixel structure
KR101097341B1 (ko) * 2010-03-09 2011-12-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099042B2 (en) 2010-05-12 2015-08-0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TW201613086A (en) * 2014-09-30 2016-04-01 Ye Xin Technology Consulting Co Ltd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563494B (en) * 2015-03-03 2016-12-2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driving method
US9596372B2 (en) * 2015-07-29 2017-03-1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5185258B (zh) * 2015-08-28 2018-01-3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像素矩阵、显示装置及显示方法
EP3424403B1 (en) * 2016-03-03 2024-04-24 Sony Group Corporation Medical image processing device, system, method, and program
JP2018021963A (ja) * 2016-08-01 2018-02-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EP4073579A4 (en) * 2019-12-09 2023-04-26 General Electric Company DISPLAYS WITH EXTENDED COLOR COVERAGE AND LOW BLUE LIGHT EMISSION
CN116758825B (zh) * 2023-08-18 2023-12-12 长春希达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小间距球形显示屏模块处理方法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3387A (ja) * 1982-12-29 1984-07-17 Canon Inc 撮像装置
JPH01114884A (ja) * 1987-10-29 1989-05-08 Toshiba Corp カラー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77791B1 (ko) * 1999-11-12 2007-11-22 티피오 홍콩 홀딩 리미티드 높은 밝기를 지닌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2001306023A (ja) 2000-04-18 2001-11-02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
JP2005233982A (ja) 2001-06-25 2005-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表示情報形成装置、および表示情報伝送方式
KR100878280B1 (ko) 2002-11-20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4색 구동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에 사용하는 표시판
US6888604B2 (en) 2002-08-14 2005-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4152737A (ja) 2002-11-01 2004-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表示装置
US7230594B2 (en) * 2002-12-16 2007-06-12 Eastman Kodak Company Color OLED display with improved power efficiency
KR100563466B1 (ko) 2003-11-27 2006-03-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72375B1 (ko) 2003-12-29 2011-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별 개구율 자동제어가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JP4211669B2 (ja) * 2004-04-26 2009-01-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及び電子機器
TWI278827B (en) * 2004-05-12 2007-04-11 Seiko Epson Corp Display equipment and electronic apparatus
JP4507936B2 (ja) * 2005-03-24 2010-07-21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06018926A1 (ja) 2004-08-19 2006-02-23 Sharp Kabushiki Kaisha 多原色表示装置
TWI381742B (zh) * 2005-10-13 2013-01-01 Seiko Epson Corp 影像顯示裝置、電子機器及畫素配置設計方法
US7965305B2 (en) * 2006-05-08 2011-06-21 Global Oled Technology Llc Color display system with improved apparent resolu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00086A1 (en) * 2011-12-27 2014-11-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lay device
EP2800086A4 (en) * 2011-12-27 2015-04-15 Mitsubishi Electric Corp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03491A1 (en) 2007-05-10
EP1783656A2 (en) 2007-05-09
TWI333382B (en) 2010-11-11
KR100819402B1 (ko) 2008-04-07
TW200721852A (en) 2007-06-01
US7889216B2 (en) 2011-02-15
EP1783656A3 (en) 200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402B1 (ko) 화상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화소 배치 설계 방법
KR100832767B1 (ko) 화상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화소 배치 설계 방법
JP5172656B2 (ja) 表示装置
JP4507936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416218B (zh) Color display device
JP4120674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8552944B2 (en) Pixel structure an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7140456A (ja) 表示装置、画素配置方法および画素配置プログラム
JP2011203610A (ja) 画像表示装置
US9589494B2 (en) Display device
KR100825148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JP2006139058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8139528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194368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206392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7133347A (ja) 画像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画素配置設計方法
CN100562125C (zh) 图像显示装置、电子设备及像素配置设计方法
JP5194369B2 (ja) 画像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画素配置設計方法
JP4626478B2 (ja) 画像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画素配置設計方法
JP4949662B2 (ja) 画像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画素配置設計方法
JP2009251077A (ja) カラー表示装置の駆動制御回路および駆動制御方法
KR20070103616A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KR20060047379A (ko)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JP2007240658A (ja) 画像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画素配置設計方法
JP2007199513A (ja) 電気光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