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0327A - 20〔S〕-진세노사이드 Rh2의 합성 방법 - Google Patents

20〔S〕-진세노사이드 Rh2의 합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0327A
KR20070040327A KR1020067015972A KR20067015972A KR20070040327A KR 20070040327 A KR20070040327 A KR 20070040327A KR 1020067015972 A KR1020067015972 A KR 1020067015972A KR 20067015972 A KR20067015972 A KR 20067015972A KR 20070040327 A KR20070040327 A KR 20070040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compound
group
ginsenoside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3010B1 (ko
Inventor
용젱 후이
지퀴 양
준야오 리우
지준 텡
후이퀸 시에
지에 쟝
Original Assignee
상하이 이노베티브 리서치 센터 오브 트레디셔날 차이니스 메디슨
상하이 팜벨리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이노베티브 리서치 센터 오브 트레디셔날 차이니스 메디슨, 상하이 팜벨리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상하이 이노베티브 리서치 센터 오브 트레디셔날 차이니스 메디슨
Publication of KR20070040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17/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having an oxygen-containing hetero ring not condensed with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9/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more than two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coprost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20 (S)-진세노사이드 Rh2, 즉 20 (S)-프로토파낙스디올-3-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합성 방법은, 우선 선택적으로 프로토파낙사디올을 보호하여 일치환된 프로토파낙사디올을 얻고, 포도당기 공여체와 일치환된 프로토파낙사디올을 루이스 산의 촉매 작용 하에 글리코사이드화 반응을 진행한 후, 보호기를 탈거하고, 분리 순화를 거쳐 20 (S)-진세노사이드 Rh2를 얻는다. 상기 방법은 반응 조건이 온화하고 원가가 저렴하며, 반응 생성물의 입체 선택성이 높고 생산률이 높으며 순도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합성 방법은 공업화 대규모 생산에 적합한 방법이다.

Description

20〔S〕-진세노사이드 Rh2의 합성 방법{A SYNTHETIC METHOD OF 20 (S)-GINSENOSIDE RH2}
본 발명은 일종의 생물 활성을 갖는 진세노사이드의 합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20 (S)-진세노사이드 Rh2, 즉 20 (S)-프로토파낙스디올-3-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20 (S)-protopanaxdiol-3-O-β-D-glucopyranoside, 하기 화학식 1과 같음]의 합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6056599161-PCT00001
인삼은 공인된 자양강장용의 귀중한 한방약재로서, 인삼의 주요 유효 성분은 진세노사이드이다. 이미 발견된 진세노사이드는 34 종류가 있으며, 진세노사이드는 사포게닌(sapogenins)을 기본으로 프로토파낙스디올-타입 진세노사이드(Protopanaxdiol-type Ginsenosides), 프로토파낙스트리올-타입 진세노사이드 (Protopanaxtriol-type Ginsenosides)와 올레아놀릭산류 진세노사이드로 분류된다. 20 (S)-진세노사이드 Rh2는 프로토파낙스디올류 진세노사이드에 속한다.
1985년 일본의 Odashima가 진세노사이드 Rh2가 멜라노마(melanoma) B16세포에 대하여 유도 분화작용을 지니고 있음을 발표한 이래(Odashima S 등 Cancer Res. 45(6), 2781,1985), 각국 과학자들의 관심을 일으키게 되었고, 후속 연구에서는 진세노사이드 Rh2가 종양세포를 억제하고(Ota T 등 Cancer Lett. 110(1-2), 193, 1996) 종양세포의 소멸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음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직접 인삼을 복용하여 종양에 대항하는 치료 효과는 한계가 있다. 그 이유는 첫째, 인삼 중에는 여러 종류의 진세노사이드가 함유되어 있는데, 진세노사이드 Rh2와 Rg3에 항종양 작용이 있고, Rg1, Re 등과 같은 기타 진세노사이드는 DNA 및 RNA 합성을 촉진하여 종양의 생장을 가속화시킬 가능성이 있어, 효과적으로 인삼의 항종양 작용을 이용하려면 반드시 고순도의 단일한 진세노사이드 Rh2를 추출하여야만 한다. 두 번째로 진세노사이드 Rh2는 2차성 진세노사이드로서, 백삼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증숙을 거쳐 홍삼으로 변화시켜야만 0.001 %의 진세노사이드 Rh2를 함유하게 된다. 너무 적은 함량은 진세노사이드 Rh2를 항종양 방면에 응용하는 데에 있어서 직접적인 제약이 된다.
20 (S)-진세노사이드 Rh2와 관련된 문헌자료의 조제방법은 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가 있다:
(1) 효소분해법(중국특허, CN1105781C; 金東史 등, 대련(大連) 경공업학원학보, 2001, 20(2):99-104)
진세노사이드-글루코시다아제(glucosidase) 또는 아라비노시다아제(Arabinosidase) 등 사포닌 효소를 채택하여, 인삼속(屬)에 속한 모든 종류의 삼의 진세노사이드를 가수분해 처리하여, 사포닌 분자 아글리콘 상의 부분적인 당기(糖基)가 가수분해되도록 함으로써 Rh2를 얻는다.
이러한 방법은 생물 기술을 이용하고 있으나, 필요한 사포닌 글리코시다아제의 배양 시간이 비교적 길고, 가수분해 후 얻어지는 산물 역시 혼합 사포닌이기 때문에, Rh2 모노머의 수율이 높지 않고, 이와 같은 방법의 원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2) 파낙사디올 성분을 반합성 원료로 하여 20 (S)-진세노사이드 Rh2를 합성하는 방법
a. 중국 특허: CN1091448C, 2002년
프로토파낙사디올 성분의 진세노사이드 수용액을 알칼리금속 저알코올화물 또는 금속 수산화물의 알코올 용액과 혼합하거나, 또는 프로토파낙사디올 성분의 진세노사이드 저급 알코올 용액을 알칼리금속 알코올화물의 저급 알코올 용액과 혼합하여, 고온 고압 상태에서 반응시킨 후 저급 알코올로 추출한 다음, 저압 실리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을 통하여 크로마토그래피로 순화한 후, 세척물을 수집하여 메틸알콜/물로부터 재결정하여 20 (S)-진세노사이드 Rh2를 얻는다.
상기 방법의 주요 단점은 개시 원료로서 프로토파낙사디올 성분의 진세노사이드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반응을 고온 고압 상태에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조건이 비교적 까다롭고 실행 원가도 높으며, 목표 생성물인 20 (S)-진세노사이드 Rh2 의 수율이 높지 않다는 데 있다.
b. 한국 담배인삼 연구소에서는 인삼 성분으로부터 20 (R&S)-진세노사이드 Rh2를 조제하는 방법을 공개하였는바, 그 특징은 우선 프로토파낙사디올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얻은 다음 탄수화물 분해 처리를 거쳐 20 (R&S)-진세노사이드 Rg3를 얻고, 진세노사이드 Rg3를 처리하여 진세노사이드 Rh2를 얻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의 개시 원료 역시 프로토파낙사디올 성분의 진세노사이드가 필요하며, 반응 절차가 비교적 복잡하고, 원료의 손실이 크며 조작이 번거롭다. 따라서 원가가 증가되고 생산율을 제고시키기가 어려우며, 가수분해 후 얻어지는 산물 역시 (R&S) 구조형의 혼합 사포닌이다.
(3) 프로토파낙사디올을 반합성 원료로 하여 20 (S)-진세노사이드 Rh2를 합성하는 방법
a. 일본 특허: 특허평 8-208688, 1996년
상기 방법의 선형 합성 노선은 6 단계가 있으며, 또한 글리코사이드화 반응 중 적당량의 탄산은을 촉매제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상당히 비싸므로, 상기 방법의 원가가 비교적 높으며, 상기 촉매제의 반응 생성물은 입체선택성이 좋지 않다. 따라서 원가와 수율 두 방면으로 고려할 때 대규모 생산에 불리하다.
Figure 112006056599161-PCT00002
b. 한국 담배인삼연구소에서는 강알칼리의 알코올 용액을 이용하여 인삼잎과 뿌리를 가수분해시킨 건조분말로 20 (S)-진세노사이드 아글리콘을 얻은 후, 다시 탄산은 등의 촉매제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포도당과 함께 축합하여 20 (S)-진세노사이드 Rh2를 조제하는 방법을 공개하였다.
상기 방법 역시 탄산은을 촉매제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지므로 원가가 비교적 높으며, 또한 탄산은을 촉매제로 사용한 반응 생성물이 α,β 두 종류의 글리코사이드 결합(glycosidic bond) 구조형 혼합물이다.
c. Atopkina, L. N., Denisenko, V.A., Novikov, V.L., Uvarova, N.I., CHNCA8, Chem.Nat. Compd.(Engl. Transl.), 1986, 22(3), 279-288
프로토파낙사디올과 아세토브로모 글루코스를 산화은의 작용 하에 축합하여 20 (S)-진세노사이드 Rh2를 조제하는 방법.
상기 방법은 프로토파낙사디올의 12위 및 20위의 수산기가 모두 보호되지 못하는데, 즉 포도당기에 의해 매우 쉽게 일치환(mono-substituted)과 다치환(multi-substituted)되며, 얻어지는 것은 3위, 12위 및 20위의 포도당기가 일치환된 파낙사디올과 3위 및 12위, 3위 및 20위의 포도당기가 이치환(di-substituted)된 프로토파낙사디올 등 5가지 생성물의 혼합물로서(그 중 3위 포도당기 일치환된 프로토파낙사디올 함량은 27 %에 불과함), 목표 산물인 20 (S)-진세노사이드 Rh2를 분리하기 어렵고 수율이 매우 낮다.
이상의 문헌에 보고된 조제 방법은 반응 조건, 수율, 원가 또는 반응 생성물의 입체선택성 방면에 있어서 모두 이러저러한 결함을 지니고 있어 모두 대규모 공업화 생산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0 (S)-진세노사이드 Rh2, 즉 20 (S)-프로토파낙사디올-3-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합성 방법을 제공코자 하는데 있다. 상기 방법은 반응 조건이 온화하고 원가가 낮으며, 반응 생성물인 β 구조형 글리코사이드 결합(glycosidic bond) 선택성이 높고, 생산률이 높으며, 순도가 높은 특징을 지니고 있어 공업화 생산에 적합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하기 반응식 2로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06056599161-PCT00003
본 발명의 합성 방법은 먼저 프로토파낙사디올(A1)을 선택적으로 보호하여 일치환된 프로토파낙사디올(A2)을 얻고, 다시 포도당기 공여체(B3)와 일치환된 프로토파낙사디올(A2)을 분자체의 존재와 루이스 산의 촉매 작용 하에서 화합물(C1)을 생성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재결정 순화를 거친 후, 보호기를 탈거하여 재결정을 거친 다음, 고순도의 20 (S)-진세노사이드 Rh2(C2)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합성방법은 프로토파낙사디올을 원료로 하며, 다음과 같은 공정을 포함한다:
1. 프로토파낙사디올(A1)을 선택적으로 보호하여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04
인 일치환 프로토파낙사디올(A2)을 얻는다. 상기 화학식 중 R'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아실기 또는 알칸(alkane)이 치환된 방향 탄화수소류 알킬기, C3-C6의 알칸기 치환 알킬기, C3-C9의 알칸기 치환 실리카기 또는 C9-C16의 방향기 치환 실리카기이며, 예를 들어 벤조일(benzoyl), 파라메톡시 벤조일, 피발로일(pivaloyl), t-부틸디메틸실릴(tert-butyldimethylsilyl) 또는 t-부틸디페닐실릴 등이다. 반응 중 화합물(A1)과 보호기단을 함유한 반응물의 몰비는 1:3.0-5.0이고, 반응 온도는 -10~25℃이며, 반응 시간은 1.5~12시간이고, 반응 용제는 C2-C4의 클로로알칸, 트리에틸아민, 피리딘(pyridine), N, N-디메틸 포름아미드 중 1 종류 이상의 혼합물이며, 용량은 1 mol의 화합물 (A1)에 6.5~10 리터의 유기용제를 사용한다. 반응 수율은 85~95 %이다.
2. 유기용제 중에서 및 불활성 기체의 보호 하에,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05
인 포도당기 공여체 (B3)와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06
인 일치환된 프로토파낙사디 올(A2)은 루이스 산의 촉매 작용하에 -20~40 ℃에서 글리코사이드화 반응을 진행하고, 0.5~4.5 시간 동안 반응한다. 반응 중 분자체를 추가하면 반응이 더욱 완전해진다. 반응이 끝나면 소멸제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한다. 용제를 농축하여 일반적인 처리를 거친 후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07
인 다치환된 20 (S)-진세노사이드 Rh2 화합물(C1)을 얻는다.
그 중 화합물(A2) 및 화합물(B3)과 루이스 산 촉매제의 몰비는 1:0.8-5.0:0.01-1.0이다. 루이스 산 촉매제는 C3-C9의 할로겐아미드, C1-C6의 플루오로알킬 설폰산, C2-C8의 실리카기 플루오로알킬 설폰산 에스테르, C1-C6의 플루오로알킬 설폰산은,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에틸에테르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예를 들어 N-요오도숙신이미드(NIS), N-요오도숙신이미드(NIS)-실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AgOTf) 혼합물, N-요오도숙신이미드(NIS)-트리플릭산(TfOH) 혼합물, 실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AgOTf),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TMSOTf) 등이다. 반응 중 분자체를 추가하면 반응에 유리하며, 상기 분자체는 3Å-5Å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분자체 또는 이들의 분말로서, 화합물(A2)와 분자체의 중량비는 1:0-7.0이다. 반응용제는 C2-C4의 클로로알칸 또는 톨루엔이며, 용제 용량은 1 mol의 화합물 (A2)에 4~12 리터의 용제를 사용한다. 불활성 보호 가스는 질소가스, 아르곤 가스 또는 헬륨 가스이다. 반응이 끝났을 때 소멸제를 첨가하여 반응을 소멸한다. 소멸제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또는 티오황산나트륨 (Sodium Thiosulfate)이다. 생성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재결정으로 순화하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는 실리카겔, 산화알루미늄 또는 마크로-레티큘라 수지(macro-reticular resin)등이며, 실리카겔이 비교적 바람직하다. 실리카겔과 생성물의 중량비는 20-10:1이고, 실리카겔은 입도가 비교적 우수한 것이 40~60 ㎛이며, 세척용 용제는 석유에테르, 디클로로메테인, 에틸 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테인, 메틸알콜 또는 시클로헥세인 중의 1 종류 이상의 혼합물이다. 반응 수율은 70-85 %이다.
화학식 중 R'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아실기 또는 알칸(alkane)이 치환된 방향 탄화수소류 알킬기, C3-C6의 알칸기 치환 알킬기, C3-C9의 알칸기 치환 실리카기 또는 C9-C16의 방향기 치환 실리카기이며; R은 C2-C6의 알칸기 치환 알킬기, 벤조일 또는 벤질기이고; X는 OC(NH)CCl3 또는 SEt이다.
3. 상기 다치환된 20 (S)-진세노사이드 Rh2(C1)와 1가 알칼리금속 화합물의 수용액을 극성 용제 중에서 탈보호기 반응을 진행하여 20 (S)-진세노사이드 Rh2(C2)를 생성한다. 1가 알칼리금속 화합물은 수산화나트륨, 메톡사이드 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리튬으로, 그 수용액의 중량 백분비 농도는 25~30 %가 바람직하며, 화합물(C1)과 1가 알칼리금속 화합물의 몰비는 1: 4-10이다. 극성 용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클로로메테인,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및 물 중 1 종류 이상의 혼합물이며, 용제의 용량은 1 몰의 화합물 (C1)에 10~30 리터의 용제를 사용한다. 반응 온도는 40~100 ℃이며, 반응 시간은 10~18 시간이다. 반응 생성물은 재결정을 거쳐 고순도의 20 (S)-진세노사이드 Rh2를 얻을 수 있으며, 재결정 순화에 사용되는 용제는 트리클로로메테인, C1-C4의 알킬 알코올,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물 중 1 종류 이상의 혼합물이다. 반응 수율은 80-90 %이다.
본 발명의 장점: 본 발명의 방법은 반응 조건이 비교적 온화하고, 합성 노선이 간단하고 합리적이며, 반응 원료가 값싸고 쉽게 얻을 수 있어 원가가 저렴하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생성된 산물은 β구조형 글리코사이드 결합의 선택성이 높고, 또한 산물의 수율이 비교적 높으며, 특히 관건이 되는 반응(글리코사이드화 반응)의 수율이 70~85 %에 달한다.
최종 산물인 20 (S)-진세노사이드 Rh2의 순화 과정 중, 재결정 방법을 이용하면 순도가 비교적 높은 산물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공업화 대규모 생산에 적합한 방법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더욱 명확히 하고자 하며, 다만 이로서 본 발명의 내용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일치환된 프로토파낙사디올
Figure 112006056599161-PCT00008
(A2)의 합성
(1) R'이 벤조일(Bz)(즉 12-벤조일-프로토파낙사디올)인 경우
프로토파낙사디올(A1)[중국발명특허(특허출원번호:200410018038.8)의 방법으로 조제된 것] 40 g(0.087 mol)을 피리딘(600 ml)에 용해시키고, 0 ℃ 하에서 벤조일 클로라이드 44.51 g(0.261 mol)을 첨가하여 25 ℃에서 교반하여 하루 지난 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을 진행한다. 반응이 완료되면 메틸알코올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농축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용해시킨 다음 포화 NaCl 수용액으로 중성이 되도록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여과 후 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분석[기울기 용리(gradient eluent): 석유에테르와 에틸아세테이트의 체적비는 6:1 내지 3:1임]을 거쳐 순화하여 화합물 (A2-1) 41.07 g을 얻는다. 수율은 84.3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3.63 %이다.
화합물 (A2-1)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H NMR(300 MHz, CDCl3): δ7.99-7.37(m, 5H), 5.2(m, 1H), 5.13(t, 1H), 3.9(dd, 1H), 3.15(m,1H), 2.0(m, 2H), 1.96-1.47(m, 16H), 1.44-1.24(m, 8H), 1.16-1.11(m, 12H)
(2) R'이 파라메톡시벤조일(MBz)(즉 12-파라메톡시벤조일-프로토파낙사디올)일 경우
프로토파낙사디올(A1)[중국발명특허(특허출원번호: 200410018038.8)의 방법으로 조제한 것] 40 g(0.087 mol)을 피리딘(600 ml)에 용해시키고, 0 ℃에서 MBzCl 59.35 g(0.348 mol)을 첨가하여 20 ℃에서 교반하여 하루 지나면 박층 크로마토그 래피로 검측한다. 반응이 완전해지면 메틸알코올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농축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용해시킨 다음 포화 NaCl 수액으로 중성이 될 때까지 세척하여 건조시킨다. 여과후 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분석[기울기 용리: 석유에테르와 에틸아세테이트의 체적비는 8:1 내지 3:1임]을 거쳐 순화하여 화합물 (A2-2) 44.6 g을 얻는다. 수율은 88.6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2.26 %이다.
화합물 (A2-2)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H NMR(300 MHz, CDCl3):δ8.1-7.86(m, 4H), 6.85(m, 4H), 5.13(t,1H), 3.84(t,6H), 3.2(s,1H), 2.15-1.72(m,12H), 1.64-1.22(m,14H), 1.05(s, 4H), 1.01(d, 4H), 0.81(s, 6H), 0.78(s, 2H)
(3) R'이 피발로일(Piv)(즉 12-피발로일-프로토파낙사디올)일 경우
프로토파낙사디올(A1)[중국발명특허(특허출원번호: 200410018038.8)의 방법으로 조제한 것] 40 g(0.087 mol)을 디클로로메테인(700 ml)과 트리에틸아민(85 ml) 혼합 용제에 용해시키고, 피발로일 36.5 ml(0.298 mol)를 첨가하여, -10~-5 ℃로 냉각시켜 1.5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으로 반응을 완료한다. 메틸알코올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후, 포화 NaCl 수액으로 세척하며, 상기 수액은 디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여 유기상을 합병한 다음 포화 NaCl 수액으로 중성이 될 때까지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여과후 농축하여 화합물 (A2-3) 42.5 g을 얻으며, 수율은 89.7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9.48 %이다.
화합물 (A2-3)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H NMR(300 MHz, CDCl3):δ5.28(d, 1H), 3.6(m, 1H), 3.2(s,1H), 2.2-1.8(m,6H), 1.72-1.38(m,14H), 1.28-1.14(m,22H), 1.1(s,3H), 0.98-0.72(m, 9H)
(4) R'이 t-부틸디메틸실릴(TBS)(즉 12-t 부틸디메틸실릴-프로토파낙사디올)일 경우
프로토파낙사디올(A1)[중국발명특허(특허출원번호: 200410018038.8)의 방법으로 조제한 것] 40 g(0.087 mol)을 디클로로메테인(700 ml)와 트리에틸아민(70 ml) 혼합 용제에 용해시키고, TBSCl 52.5 g(0.348 mol) 및 이미다졸(imidazole) 39.7(0.58 mol)을 첨가하여, 20~25 ℃에서 교반하여 5 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으로 반응을 완료한다. 포화 NaCl 수액으로 세척하며, 상기 수액은 디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여 유기상을 합병하여 건조시킨다. 여과 후 농축하여 화합물 (A2-4) 41.2 g을 얻으며, 수율은 84.5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9.21 %이다.
화합물 (A2-4)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H NMR(300 MHz, CDCl3):δ5.13(t, 1H), 3.65(m, 1H), 3.16(m,1H), 2.15-1.72(m,6H), 1.67-1.58(d,8H), 1.55-1.15(m,12H), 1.08(s,3H), 0.96(d, 6H), 0.89(s, 9H), 0.81(s, 7H), 0.76(s, 3H), 0.08(s, 6H)
(5) R'이 t-부틸디페닐실릴(TBDPS) (즉 12-t-부틸디페닐실릴-프로토파낙사디올)일 경우
프로토파낙사디올(A1)[중국발명특허(특허출원번호: 200410018038.8)의 방법으로 조제한 것] 4 g(0.0087 mol)을 85 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TBDPSCl 11.96 g(0.0435 mol) 및 이미다졸 3.97 g(0.058 mol)을 첨가하여, 20~25 ℃에서 교반하여 5 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으로 반응을 완료한다. 포화 NaCl 수액으로 세척하며, 상기 수액은 디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여 유기상을 합병하여 건조시킨다. 여과 후 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분석[기울기 용리: 석유에테르와 에틸아세테이트의 체적비는 8:1 내지 3:1임]을 거쳐 순화하여 화합물 (A2-5) 4.9 g을 얻는다. 수율은 82.3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9.12 %이다.
화합물 (A2-5)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H NMR(300 MHz, CDCl3):δ7.54-7.36(m, 10H), 5.2(s, 1H), 3.2(s,1H), 3.19(s,1H), 1.96-1.71(m,8H), 1.56-1.40(m,14H), 1.31-1.21(m,9H), 1.16-1.11(m, 9H), 0.86(t, 9H)
실시예 2
완전히 보호되는 D-포도당,
Figure 112006056599161-PCT00009
(B2)의 합성
(1) R이 벤조일(즉 1, 2, 3, 4,6-pent-O-벤조일-D포도당)일 경우
D-포도당(150 g, 0.833 mol)을 1650 ml의 무수 피리딘에 용해시켜, 0 ℃ 상 태에서 벤조일클로라이드 532.5 ml(4.575 mo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여 하루 지난 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을 하여 반응이 완료되면, 이를 대량의 물에 부어 고체화될 때까지 담가 놓은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백색의 고체, 즉 화합물 (B2-1) 552.3 g을 얻는다. 수율은 94.9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7.21 %이다. 이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하기 문헌의 값과 일치한다: Eagle, Andrew J.; et al, J.Chem.Res., 1993, 10, 2663-2679(합성 방법은 R.K.Ness, et al, J.Amer. Chem. Soc., 1951, 296-299를 참고하였음)
(2) R이 아세틸기(즉 1, 2, 3, 4, 6-pent-O-아세틸기-D-포도당)일 경우
D-포도당(50 g, 28 mmol), 무수초산나트륨(25 g)에 무수초산(350 ml)을 첨가하여 고체가 용해될 때까지 150~160 ℃로 가열한 후, 이를 찬 물에 부어 고체를 석출하고, 고체를 물로 세척한다. 에틸알코올 재결정으로 화합물 (B2-2) 86 g을 얻는다. 수율은 79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8 %이다. 이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하기 문헌의 값과 일치한다: Johnson, Carl R.; et al, J.Amer.Chem.Soc. 1992, 114(24), 9414-9418(합성 방법은 Wolfrom, M.L.; Thompson, A. Methods Carbohydr.Chem.1963, 2, 211을 참고하였음)
(3) R이 피발로일기(즉 1, 2, 3, 4, 6-pent-O-피발로일기-D-포도당)인 경우
D-포도당(1.8 g, 0.01 mol), 4-디메틸아미노 피리딘을 18 ml의 피리딘에 용해시키고, 0 ℃ 상태에서 피발로일 9 ml(0.08 mol)를 점적 첨가하여 70 ℃에서 8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으로 반응을 완전히 한 후, 일반적인 처리를 거쳐 백색의 고체, 즉 화합물 (B2-3) 5.53 g을 얻는다. 수율은 92.13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7.62 %이다.
이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H NMR(300 MHz, CDCl3):δ6.66(d, 1H), 5.25(t, 2H), 4.78(dd,1H), 4.65(dd,1H), 4.34(d,1H), 4.09(d,1H), 1.24(5× s, 45H, 5C(CH3)3CO)
(합성 방법은 BingLi, et al, Carbohydrate Research, 2001, 331, 1-7을 참고하였음)
(4) R이 벤질기(즉, 1, 2, 3, 4, 6-pent-O-벤질-D-포도당)인 경우
D-포도당(1.8 g, 0.01 mol)을 25 ml의 무수 N,N-디메틸 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분량에 따라 수소화나트륨(0.088 g)을 첨가한 다음 계속 30 분 동안 교반한 후, 벤질브로마이드(0.5 ml)를 점적 첨가하여 실온 상태에서 교반하고 하루 지난 다음,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을 진행한 후, 메틸 알콜을 첨가하여 반응을 소멸시키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분석[기울기 용리: 석유에테르와 에틸아세테이트의 체적비는 5:1 내지 3:1임]으로 순화하여 백색 고체, 즉 화합물 (B2-4) 5.44 g을 얻는다. 수율은 86.32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6.82 %이다.
이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H NMR(300 MHz, CDCl3):δ7.19(5×s, 25H, 5C6H5), 5.27(m, 1H), 4.63(d,10H), 4.24(dd,1H), 3.63(m,1H), 3.59(m,2H), 3.26(s, 1H)
실시예 3
포도당기 공여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10
(B3)의 합성
(1) R이 벤조일이고, X가 OC(NH)CCl3일 경우
a. 화합물 (B2-1) 120 g(0.146 mol)을 600 ml의 N,N-디메틸 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교반하는 상태에서 빙초산 20.6 ml(0.36 mol)을 첨가하여 0 ℃에서 하이드라진 하이드레이트(hydrazine hydrate) 20.16 ml(0.36 mol)를 점적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한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으로 반응이 완료되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기울기 용리: 석유 에테르와 에틸아세테이트의 체적비는 5:1 내지 3:1임]를 거쳐 순화하여,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11
인 백색 고체 66 g을 얻는다. 수율은 64.97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5.89 %이다. 이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하기 문헌과 서로 일치한다: Mikamo, Masatomo; Carbohydr.Res., 1989, 191, 150-153.
b. 상기와 같은 단계로 얻어진 화합물 59 g(0.095 mol)에 150 ml의 무수 디클로로메테인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고체를 용해시킨다. 아르곤가스의 보호 하에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 17.37 ml(0.171 mol)과 1,8-디아자시클로-[5,4,0]-7-운데센(DBU) 0.708 ml(4.75 mmo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는 상태에서 1.5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액은 실리카겔 컬럼으로 순화하여, 무수디클로로메테인으로 세척한다. 화합물 (B3-1)[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12
임]을 함유한 여과액을 다음 단계의 글리코사이드화 반응에 직접 이용한다(합성 방법은 Fukase, K., et al, S.Chem.Express. 1993,8,409를 참고하였음)
(2) R이 아세틸기, X가 OC(NH)CCl3일 경우
a. 화합물 (B2-2) 3.9 g(10 mmol)을 암모니아 가스가 포화된 THF/MeOH 용액(7:3) 20 ml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 후 반응이 완료되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기울기 용리: 석유에테르와 에틸아세테이트의 체적비는 5:1 내지 4:1임]를 거쳐 순화하여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13
인 백색 고체 3.0 g을 얻으며, 수율은 86.17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9 %이다. 이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하기 문헌의 값과 일치한다: Fernandez-Lorente; Tetrahedron, 2003, 59(30), 5705-5712.
b. 상기 단계로 얻어진 화합물 3.0 g(8.62 mmol)에 10 ml의 무수디클로로메테인을 첨가하고, 고체가 용해되도록 교반한다. 아르곤 가스의 보호 하에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 1.6 ml(15.6 mmol)와 탄산칼륨 0.04 g(0.4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하는 상태로 1.5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액을 실리카겔 컬럼을 통해 순화하고, 무수디클로로메테인으로 세척한다. 화합물 (B3-2)[화학식은
Figure 112006056599161-PCT00014
임]를 함유한 여과액을 직접 다음 단계의 클리코사이드화 반응에 사용한다.
(3) R이 아세틸기이고, X가 SEt일 경우
화합물 (B2-2) 7.74 g(19.8 mmol)을 47 ml의 무수디클로로메테인에 용해시키고, 에탄에티올(ethanethiol) 1.76 ml(23.8 mmol)를 첨가하여, 0 ℃ 상태에서 무수 SnCl4 0.35 ml(2.99 mmol)를 첨가하여,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 후 반응이 완료되면, 일반적인 후처리를 거치며, 에틸알코올로 재결정하여,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15
인 백색 고체, 즉 화합물 (B3-3) 6.19 g을 얻는다. 수율은 80 %이다.
이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H NMR(300 MHz, CDCl3):δ5.22(t. 1H), 5.08(t, 1H), 5.03(t,1H), 4.49(d,1H), 4.24(dd,1H), 4.13(dd,1H), 3.71(ddd, 1H), 2.70(m, 2H), 2.09, 2.07, 2.04, 2.03(4× s, 12H, 4CH3CO), 1.28(t, 3H)
(합성 방법은 Contour, M.O.; et al, Carbohydr.Res., 1989, 193, 283을 참고하였음)
(4) R이 피발로일기이고, X가 SEt일 경우
화합물 (B2-3) 5.5 g(9.16 mmol)을 35 ml의 무수디클로로메테인에 용해시키고, 에탄에티올 0.81 ml(10.99 mmol)를 첨가하여, 0 ℃ 상태에서 무수 SnCl4 0.16 ml(1.38 mmol)를 첨가하고,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 후, 반응이 완료되면 일반적인 후처리를 거쳐,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16
인 백색 고체, 즉 화합물 (B3-4) 4.21 g을 얻는다. 수율은 82 %이다.
이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H NMR(300 MHz, CDCl3):δ5.25-5.23(m, 2H), 4.93(t, 1H), 4.78(t,1H), 4.65(t, 1H), 4.34-4.09(m,2H), 2.48(dd,2H), 1.24(4× s, 36H, 4C(CH3)3CO), 1.2(m, 3H)
실시예 4
20 (S)-진세노사이드 Rh2의 합성
(1) R이 벤조일기이고, R'이 파라메톡시 벤조일기이며, X가 OC(NH)CCl3인 경우
(a) 글리코사이드화 반응
화합물 (A2-2, 즉 12-파라메톡시 벤조일기-프로토파낙사디올) 3.84 g(6.24 mmol)과 화합물 (B3-1) 약 24.7 g(29.95 mmol, 실시예 3에 따라 조제한 여과액)을 75 ml의 무수디클로로메테인에 용해시키고, 4Å형 분자체 26.3 g과 함께,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0.5 시간 동안 교반한다.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0.06 ml(0.312 mmol)를 점적 첨가하여, 0 ℃ 상태에서 교반하며 0.5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이 끝난 후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여 반응을 소멸시키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농축한 다음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세척제: 석유에테르와 에틸아세테이트의 체적비는 6:1임]를 거쳐 순화하여,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17
인 백색 고체, 즉 화합물 (C1-1) 4.66 g을 얻는다. 수율은 78.6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2.8 %이다.
(b) 탈보호기 반응
화합물 (C1-1) 4.66 g(0.004 mol, HPLC:92.8 %)을 13.5 ml의 디클로로메테인과 27 ml의 에틸알코올 혼합 용제에 넣어 용해시킨 다음 교반하는 상태에서 4.32 g(50 %, 0.04 mol)의 메톡사이드 나트륨 10 ml 메틸알코올 용액을 점적 첨가하여, 80 ℃에서 10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하여 반응을 완료한다. 반응 액을 농축하여 백색의 고체를 얻으며, 에틸알코올과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액으로 재결정하여 화합물 (C2) 2.13 g을 얻는다. 수율은 85.4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9.16 %이다. 이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하기 문헌의 값과 일치한다: Chen Yingjie et al, Journal of Shenyang College of Pharmacy, 1987, 11(33), 282-289.
화합물 (C2)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H NMR(300 MHz, C5D5N):δ0.89-1.58(24H, 18-C, 19-C, 21-C, 26-C, 27-C, 28-C, 29-C, 30-C× CH3), 5.24(d, 1H), 4.83(d, 1H), 3.98(d, 1H), 3.36(dd, 3H);
13C NMR(300 MHz, C5D5N):130.68, 126.3, 106.87, 88.75, 78.7, 78.26, 75.73, 72.91, 71.87, 70.95, 63.07, 56.37, 54.75, 51.68, 50.38, 48.56, 40.0, 39.64, 39.12, 36.95, 35.85, 35.14, 32.03, 31.32, 28.13, 27.07, 26.82, 26.81, 25.76, 23.0, 18.43, 17.64, 17.02, 16.75, 16.32, 15.82;
ESI-MS(m/z):645.3(M+Na).
(2) R이 아세틸기이고, R'가 파라메톡시벤조일기이며, X가 SEt일 경우
(a) 글리코사이드화 반응
화합물 (A2-2, 즉 12-파라메톡시벤조일기-프로토파낙사디올) 3.84 g(6.24 mmol)과 화합물 (B3-3) 약 6.19 g(12.48 mmol)을 37.5 ml의 무수 디클로로메테인에 넣고 용해시켜, 5Å 분자체 19.2 g과 함께 아르곤 가스 보호 하에 실온에서 교반하며 0.5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20 ℃까지 냉각시켜, N-요오도숙신이미드 고체 0.28 g(1.24 mmol)을 첨가하여, 트리플릭산 0.45 ml(5 mmol)을 점적 첨가하고, 10 ℃에서 교반하여 3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이 끝나면 Na2S2O3를 첨가하여 반응을 소멸한다. 여과하여 일반적인 후처리를 거쳐 디클로로메테인과 메틸알코올 혼 합 용제를 통해 재결정 순화하여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18
인 백색 고체, 즉 화합물 (C1-2) 4.22 g을 얻는다. 수율은 71.14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4.25 %이다.
(b) 탈보호기 반응
화합물 (C1-2) 3.92 g(3.83 mmol)을 12.8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25.6 ml의 에틸알코올 혼합 용제에 넣고 용해시켜, 교반하는 상태에서 0.92 g(96 %, 23 mmol)의 수산화나트륨의 1.3 ml 수용액을 점적 첨가하여 50 ℃에서 10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으로 반응을 완료한다. 반응액을 농축하여 백색 고체를 얻으며, 아세톤으로 재결정하여 화합물 (C2) 1.86 g을 얻는다. 수율은 77.1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9.43 %이다.
이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실시예 4(1)과 일치한다.
(3) R이 아세틸기이고, R'가 파라메톡시벤조일기이며, X가 SEt일 경우
(a) 글리코사이드화 반응
화합물 (A2-2, 즉 12-파라메톡시벤조일기-프로토파낙사디올) 3.84 g(6.24 mmol)과 화합물 (B3-3) 약 3.7 g(7.488 mmol)을 50 ml의 무수 디클로로메테인에 넣고 용해시켜, 3Å 분자체 8 g과 함께 아르곤 가스 보호 하에 실온에서 교반하며 0.5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20 ℃까지 냉각시키고, N-요오도숙신이미드 고체 0.1 g을 첨가한 후, 트리플릭산 0.222 ml(2.5 mmol)을 점적 첨가하고, 반응이 끝나면 Na2S2O3를 첨가하여 반응을 소멸한다. 여과 후 일반적인 후처리를 거쳐, 산화알루미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분석[기울기 용리: 석유에테르와 에틸아세테이트의 체적비는 8:1 내지 5:1임]을 거쳐 순화하여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19
인 백색 고체, 즉 화합물 (C1-3) 4.17 g을 얻는다. 수율은 70.3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4.46 %이다.
(b) 탈보호기 반응
화합물 (C1-3) 0.92 g(0.9 mmol)을 3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6 ml의 메틸알코올 혼합 용제에 넣고 용해시키고, 교반하는 상태에서 0.584 g(50 %, 5.4 mmol)의 수산화나트륨이 포함된 0.3 ml 수용액을 점적 첨가하여 50 ℃에서 18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으로 반응을 완료한다. 반응액을 농축하여 백색 고체를 얻으며, 에틸알코올과 에틸아세테이트 혼합 용액으로 재결정하여 화합물 (C2) 0.46 g을 얻는다. 수율은 81.2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9.34 %이다. 이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실시예 4(1)와 일치한다.
(4) R이 벤조일기이고, R'가 피발로일기이며, X가 OC(NH)CCl3일 경우
(a) 글리코사이드화 반응
화합물 (A2-3, 즉 12-피발로일기-프로토파낙사디올) 42.5 g(0.0777 mol, HPLC:99.48 %)과 화합물 (B3-1) 약 83.3 g(0.101 mol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한 여과 액)을 850 ml의 무수디클로로메테인에 용해시키고, 4Å의 분자체 80 g을 첨가하여, 아르곤 가스의 보호 하에 0.5 시간 동안 교반하고,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1.43 ml(0.0078 mol)를 점적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여 0.5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이 끝나면 트리메틸아민 1.2 ml(0.0086 mol)를 첨가하여 반응을 소멸한다. 여과하여 여과액을 농축한 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세척제: 석유에테르와 에틸아세테이트의 체적비는 6:1임]을 거쳐 순화하여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20
인 백색 고체, 즉 화합물 (C1-4) 78.5 g을 얻는다. 수율은 82.7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1.94 %이다.
화합물 (C1-4)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H NMR(300 MHz, CDCl3):δ8.1-7.2(m, 20H, 4C6H5), 5.92(t,1H), 4.86(d,1H), 5.53(dd, 2H), 5.14(s, 1H), 4.82(d, 2H), 4.48-4.67(m, 2H), 3.0-3.12(dd, 1H), 2.32-1.8(m, 8H), 1.58-1.0(m, 30H), 0.98-0.72(m, 9H), 0.65(d, 6H)
(b) 탈보호기 반응
화합물 (C1-4) 78.3 g(0.064 mol, HPLC:91.94 %)을 200 ml의 디클로로메테인과 700 ml의 에틸알코올 혼합 용제에 용해시키고, 교반 상태에서 21 g(96 %, 0.504 mol)의 수산화나트륨이 포함된 45 ml의 수용액을 점적 첨가하여, 40 ℃에서 16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을 거쳐 반응을 완료한다. 반응액 을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여 백색 고체를 얻으며, 에틸알코올과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액으로 재결정한 후, 화합물 (C2) 31.95 g을 얻는다. 수율은 80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9.67 %이다. 이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실시예 4(1)와 일치한다.
(5) R이 아세틸기이고, R'는 피발로일기이며, X가 OC(NH)CCl3일 경우
(a) 글리코사이드화 반응
화합물 (A2-3, 즉 12-피발로일기-프로토파낙사디올) 3.4 g(6.24 mmol)과 화합물 (B3-2) 약 3.4 g(6.86 mmol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한 여과액)을 50 ml의 무수디클로로메테인에 용해시키고, 5Å의 분자체 8 g을 첨가하여, 아르곤 가스의 보호 하에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에틸에테르 화합물 0.08 ml를 점적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여 1.5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이 끝난 후 트리메틸아민을 첨가하여 반응을 소멸시시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농축한 후 5.9 g의 담황색 고체를 얻는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분석[기울기 용리: 트리클로로메테인과 메틸알코올의 체적비는 10:1 내지 7:1임]을 거쳐 순화하여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21
인 백색 고체, 즉 화합물 (C1-5) 3.98 g을 얻는다. 수율은 72.6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9.8 %이다.
화합물 (C1-5)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H NMR(300 MHz, CDCl3):δ5.21(t, 1H), 5.14(m,3H), 4.81(dd,1H), 4.48(d, 1H), 4.23-4.16(m, 2H), 3.08(m, 1H), 2.67-2.44(m, 3H), 2.12-2.02(4× s, 12H, 4CH3CO), 1.73-1.1.54(m, 15H), 1.35-1.0(m, 24H), 0.98-0.72(m, 9H), 0.65(d, 6H)
(b) 탈보호기 반응
화합물 (C1-5) 0.8 g(0.9 mmol)을 3 ml의 디클로로메테인과 6 ml의 메틸알코올 혼합 용제에 용해시키고, 교반 상태에서 0.449 g(90 %, 7.2 mmol)의 수산화나트륨이 포함된 0.4 ml의 수용액을 점적 첨가하여, 50 ℃에서 18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을 거쳐 반응을 완료한다. 반응액을 농축하여 백색 고체를 얻으며, 메틸알코올과 에틸아세테이트 혼합 용액으로 재결정하여 화합물 (C2) 0.45 g을 얻는다. 수율은 80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9.55 %이다. 이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실시예 4(1)와 일치한다.
(6) R이 아세틸기이고, R'가 피발로일기이며, X가 OC(NH)CCl3일 경우
(a) 글리코사이드화 반응
화합물 (A2-3, 즉 12-피발로일기-프로토파낙사디올) 3.4 g(6.24 mmol)과 화합물 (B3-2) 약 2.47 g(4.992 mmol 실시예 3에 따라 조제한 여과액)을 25 ml의 무수디클로로메테인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의 보호 하에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11.4 ml(0.0624 mmol)를 점적 첨가하여, 35 ℃에서 교반하여 4.5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이 끝난 후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여 반응을 소멸시킨다. 여과하여 여과액을 마크로-레티큘라 수지 컬럼으로 흡착하여, 먼저 메틸알코 올로 세척하고, 다시 시클로헥세인으로 컬럼을 세척하여 세척액을 얻은 후 농축하여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22
인 백색고체, 즉 화합물 (C1-6) 2.84 g을 얻는다. 수율은 71.2 %, HPLC 측정 순도는 99.2 %이다.
(b) 탈보호기 반응
화합물 (C1-6) 2.84 g(3.19 mmol)을 32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64 ml의 메틸알코올 혼합 용제에 용해시키고, 교반 상태에서 0.866 g(56 %, 12.76 mmol)의 수산화이튬이 포함된 1.1 ml 수용액을 점적 첨가하여 50 ℃에서 12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하여 반응을 완료한다. 반응액을 농축하여 백색의 고체를 얻으며, 트리클로로메테인과 아세톤 혼합용액으로 재결정하여 화합물 (C2) 1.64 g을 얻는다. 수율은 82.3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9.24 %이다. 이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실시예 4(1)와 일치한다.
(7) R이 피발로일기이고, R'가 피발로일기이며, X는 SEt인 경우
(a) 글리코사이드화 반응
화합물 (A2-3, 즉 피발로일기-프로토파낙사디올) 5.11 g(9.375 mmol)과 화합물 (B3-4) 약 4.2 g(7.5 mmol)을 40 ml의 무수디클로로메테인에 용해시키고, 헬륨 가스의 보호 하에, 실온에서 교반하여 0.5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20 ℃까지 냉각하여, N-요오도숙신이미드 고체 0.15 g을 첨가하고, AgOTf 0.964 g(0.75 mmol)이 함유된 톨루엔 용액(28 ml)을 점적 첨가하여, 10 ℃에서 교반하여 2.5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이 끝나면 Na2S2O3를 첨가하여 반응을 소멸한다. 여과한 후 일반적인 후처리를 거쳐, 디클로로메테인과 메틸알코올 혼합 용제로 재결정하여 순화시켜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23
인 백색 고체, 즉 화합물 (C1-7) 5.9 g을 얻는다. 수율은 75.36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6.13 %이다.
(b) 탈보호기 반응
화합물 (C1-2) 5.9 g(5.66 mmol)을 19.2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38.4 ml의 에틸알코올 혼합 용제에 용해시키고, 교반 상태에서 2.12 g(90 %, 33.96 mmol)의 수산화나트륨이 함유된 2 ml 수용액을 점적 첨가하여, 55 ℃에서 12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검측으로 반응을 완료한다. 반응액을 농축하여 백색 고체를 얻고, 메틸알코올과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제로 재결정하여 화합물 (C2) 2.9 g을 얻는다. 수율은 82.34 %이고, HPLC 측정 순도는 99.12 %이다. 이의 물리화학적 데이터는 실시예 4(1)와 일치한다.

Claims (11)

  1. 프로토파낙사디올을 원료로 일종의 20 (S)-진세노사이드 Rh2를 합성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공정 (a), (b) 및 (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프로토파낙사디올[화합물 (A1)]을 선택적으로 보호하여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24
    [상기 화학식 중 R'는 방향족 탄화수소류 아실기 또는 알칸이 치환된 방향 탄화수소류 알킬기, C3-C6의 알칸기 치환 알킬기, C3-C9의 알칸기 치환 실리카기 또는 C9-C16의 방향기 치환 실리카기임]인 일치환된 프로토파낙사디올[화합물 (A2)]을 수득하며, 반응 중 화합물 (A1)과 보호기단을 함유한 반응물의 몰비는 1:3.0-5.0이고, 반응 온도는 -10~25 ℃이며, 반응 시간은 1.5~12 시간이고, 반응 용제는 C2-C4의 클로로알칸,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및 N, N-디메틸 포름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류 이상의 혼합물이며, 용량은 1 mol의 화합물 (A1)에 6.5~10 리터의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공정;
    (b)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25
    인 일치환된 프로토파낙사디올[화합물 (A2)], 및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26
    인 포도당기 공여체[화합물 (B3)], 루이스 산 촉매제와 분자체를 불활성 기체의 보호 하에 유기 용제 중에서 글리코사이드화 반응을 진행하여 화학식이
    Figure 112006056599161-PCT00027
    인 다치환된 20 (S)-진세노사이드 Rh2[화합물 (C1)]를 생성하며, 글리코사이드화 반응 중 화합물 (A2)와 화합물 (B3)과 루이스 산 촉매제의 몰비는 1: 0.8-5.0:0.01-1.0이고, 화합물 (A2)와 분자체의 중량비는 1:0-7.0이며, 반응 온도는 -20-40 ℃이고, 반응 시간은 0.5~4.5 시간이며, 반응 용제의 용량은 1 mol의 화합물 (A2)에 4~12 리터의 유기 용제를 사용하고, 반응이 끝난 후 소멸제를 첨가하여 반응을 소멸시켜 수득된 생성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재결정으로 순화시키는 공정[상기 화학식 중 R'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아실기 또는 알칸이 치환된 방향 탄화수소류 알킬기, C3-C6의 알칸기 치환 알킬기, C3-C9의 알칸기 치환 실리카기 또는 C9-C16의 방향기 치환 실리카기이며; R은 C2-C6의 알칸기 치환 알킬기, 벤조일 또는 벤질기이고; X는 OC(NH)CCl3 또는 SEt임];
    (c) 화합물 (C1)과 1가 알칼리금속 화합물은 극성 용제 중에서 탈보호기 반응을 진행하여 20 (S)-진세노사이드 Rh2(C2)를 생성하며, 탈보호기 반응 중 화합물 (C1)과 1가 알칼리금속 화합물의 몰비는 1: 4-10이고, 반응 온도는 40~100 ℃이며, 반응 시간은 10~18 시간이고, 극성 용제의 용량은 1 mol의 화합물 (C1)에 10~30 리터의 용제를 사용하며, 생성물을 재결정을 거쳐 순화하는 공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사이드화 반응에 사용되는 루이스 산 촉매제는 C3-C9의 할로겐아미드, C1-C6의 플루오로알킬 설폰산, C2-C8의 실리카기 플루오로알킬 설폰산 에스테르, C1-C6의 플루오로알킬 설폰산은,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에틸에테르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사이드화 반응 중 불활성 보호 가스는 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 또는 헬륨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사이드화 반응 중 유기 용제는 C2-C4의 클로로알칸 또는 톨루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사이드화 반응 중 첨가되는 소멸제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 민 또는 티오황산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사이드화 반응 중 사용되는 분자체는 3Å-5Å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분자체 또는 이들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사이드화 반응 중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사용되는 충전제는 실리카겔, 산화알루미늄 또는 마크로-레티큘라 수지(macro-reticular res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사이드화 반응 중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순화하는 과정에서 세척용으로 사용되는 용제는 석유에테르, 디클로로메테인, 에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테인, 메틸알코올 및 시클로헥세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보호기 반응 중 1가 알칼리금속 화합물은 수산화나트륨, 메톡사이드 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리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보호기 반응 중에 사용되는 극성 용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메틸알코올, 디클로로메테인, 에틸알코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보호기 반응 후 재결정 순화에 사용되는 용제는 트리클로로메테인, C1-C4의 알킬 알코올,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7015972A 2004-07-29 2005-05-16 20〔S〕-진세노사이드 Rh2의 합성 방법 KR100913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B2004100532692A CN1252083C (zh) 2004-07-29 2004-07-29 20(S)-人参皂苷Rh2的合成方法
CN200410053269.2 2004-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327A true KR20070040327A (ko) 2007-04-16
KR100913010B1 KR100913010B1 (ko) 2009-08-20

Family

ID=3460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972A KR100913010B1 (ko) 2004-07-29 2005-05-16 20〔S〕-진세노사이드 Rh2의 합성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275225A1 (ko)
JP (1) JP4856071B2 (ko)
KR (1) KR100913010B1 (ko)
CN (1) CN1252083C (ko)
WO (1) WO20060103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51451B (zh) * 2004-12-10 2011-06-08 海南亚洲制药有限公司 20(s)-原人参二醇衍生物、含有它们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KR101098027B1 (ko) 2009-09-18 2011-12-27 한국과학기술원 로다노박터 진세노시디뮤탄스 kctc22231t 유래의 진세노시드 글리코시다제 및 이의 용도
CN102731604A (zh) * 2011-03-31 2012-10-17 上海兰蒂斯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20(R)-人参皂苷Rh2的合成方法
CN102336800B (zh) * 2011-07-22 2014-03-05 中国科学院上海有机化学研究所 一种20位接糖的原人参三醇类人参皂苷及类似物的合成方法
CN103360442B (zh) * 2012-03-30 2016-03-30 中国科学院上海有机化学研究所 一种原人参三醇类人参皂苷的制备方法
CN107058446B (zh) 2012-12-06 2021-10-22 中国科学院分子植物科学卓越创新中心 一组糖基转移酶及其应用
JP6201823B2 (ja) * 2014-03-05 2017-09-27 株式会社ツムラ 4’−o−グルコシル−5−o−メチルビサミノールの製造方法
CN105461767B (zh) * 2014-08-07 2019-03-12 富力 一种连翘苷的化学合成方法
CN104447895B (zh) * 2014-10-24 2017-08-29 济南尚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五特戊酰基吡喃葡萄糖的制备方法
CN105801661A (zh) * 2016-04-29 2016-07-27 吉林省君诚生物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人参皂苷新衍生物的合成方法和生产的产品及其应用
CN113480591A (zh) * 2021-05-27 2021-10-08 吉林大学 一种人参皂苷衍生物及其合成方法与应用
CN114702540A (zh) * 2022-01-23 2022-07-05 吉林农业大学 化合物20(s)-原人参二醇ppd的制备新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066B1 (ko) * 1991-09-20 1994-05-11 재단법인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인삼 성분으로부터 20(r & s) 진세노사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KR940008291B1 (ko) * 1991-09-20 1994-09-10 재단법인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신물질 20(R)-전세노사이드 Rh₂
KR950007250B1 (ko) * 1992-04-15 1995-07-07 주식회사대웅제약 사포닌의 제조방법
KR960003662B1 (ko) * 1993-08-25 1996-03-21 대우전자주식회사 220v용 브이 씨 알의 110v 입력시 동작 방지 회로
JP3535588B2 (ja) * 1994-11-18 2004-06-07 株式会社ネオス ジンセノサイドRh2の製造方法
KR0148717B1 (ko) * 1995-08-30 1998-08-01 박명규 진세노사이드 유도체 및 그것의 제조방법
AU6121898A (en) * 1997-03-12 1998-09-29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Sterol compounds
CN1091448C (zh) * 1998-02-05 2002-09-25 沈阳天马医药科技开发有限公司 20(S)-人参皂甙-Rh2的制备
KR100293968B1 (ko) * 1998-12-30 2001-09-17 박명규 20(에스)-진세노사이드알에이취투의제조방법
US6753414B2 (en) * 2001-08-07 2004-06-22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Inc. Process for preparing saponin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08194A (ja) 2008-03-21
US20080275225A1 (en) 2008-11-06
CN1252083C (zh) 2006-04-19
CN1587273A (zh) 2005-03-02
JP4856071B2 (ja) 2012-01-18
WO2006010307A1 (fr) 2006-02-02
KR100913010B1 (ko)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010B1 (ko) 20〔S〕-진세노사이드 Rh2의 합성 방법
US5830871A (en) Inhibitors of E-, P- and L-selectin binding
Kaskiw et al. Structural analogues of diosgenyl saponins: synthesis and anticancer activity
Udodong et al. n-pentenyl glycosides in the efficient assembly of the blood group substance B tetrasaccharide
Morzycki et al. Synthesis of a cholestane glycoside OSW-1 with potent cytostatic activity
JP3231765B2 (ja) デメチルエピポドフィロトキシンの製造方法
CN113527388B (zh) 一种β-2-脱氧糖、2-脱氧-2-叠氮糖和葡萄糖苷键立体选择性合成的方法
JPS6345293A (ja) シアロシルセラミド類及びその製造方法
CA2065265A1 (en) Alkylated oligosaccharides and acetyl derivatives of the same
Haskell et al. Synthesis ov deoxy sugar. Deoxygenation of an alcohol utilizing a facile nucleophilic displacement step
Ghosh et al. Synthesis of the hexasaccharide repea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cell wall lipopolysaccharide of Azospirillum irakense KBC1
EP0204344A2 (en) Sialosylcerebrosides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1456885A (zh) 玫瑰红景天中活性成份rosavin的制备方法
Zhang et al. Total synthesis of cleistetroside-2, partially acetylated dodecanyl tetrarhamnoside derivative isolated from Cleistopholis patens and Cleistopholis glauca
Khong et al. Total synthesis of phenylpropanoid glycoside osmanthuside-B 6 facilitated by double isomerisation of glucose–rhamnose orthoesters
Arnoštová et al. Synthesis of the sulfates derived from 5α-cholestane-3β, 6α-diol
CN114644679B (zh) 葡萄糖醛酸糖苷类化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WO2005082924A1 (fr) 23-hetero-analogues de saponine ornithogalum caudatum osw-1,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N114644678B (zh) 葡萄糖醛酸糖苷类化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KR100460453B1 (ko) 아르부틴 제조용 중간체의 제조방법
CN104744526A (zh) 一种水苏糖的化学合成方法
CN111978360B (zh) 石莼b3s型硫酸寡糖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i et al. Synthesis of two natural oleanolic acid saponins
Zhang et al. Regio-and stereoselective anomeric esterification of glucopyranose 1, 2-diols and a facile preparation of 2-O-acetylated glucopyranosyl trichloroacetimidates from the corresponding 1, 2-diols
JPS6341493A (ja) ガングリオシドgm↓2関連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