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066B1 - 인삼 성분으로부터 20(r & s) 진세노사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인삼 성분으로부터 20(r & s) 진세노사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066B1
KR940004066B1 KR1019910016457A KR910016457A KR940004066B1 KR 940004066 B1 KR940004066 B1 KR 940004066B1 KR 1019910016457 A KR1019910016457 A KR 1019910016457A KR 910016457 A KR910016457 A KR 910016457A KR 940004066 B1 KR940004066 B1 KR 940004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oside
acid
hydrolysis
product
final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6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047A (ko
Inventor
유광근
김신일
박기현
백남인
박종대
이유희
강규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유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유광근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인삼연초연구소
Priority to KR1019910016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066B1/ko
Publication of KR930006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3/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one carbon at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삼 성분으로부터 20(R & S) 진세노사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제1도는 적외분광 스펙트럼(브롬화칼륨정제)를 보인 도표.
제2도는 수소핵자기 공명스펙트럼(300메가헬츠, 중수소화피리딘)을 보인 도표.
제3도는 탄소핵자기 공명스펙트럼(75메가헬츠, 중수소화피리딘)을 보인 도표.
본 발명은 인삼에 미량으로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특히 다음의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20(R & S)-진세노사이드 Rg3와 20(R & S)-진세노사이드 Rh2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일반식에서 R1과 R2는 각각 OH기 또는 CH3기를 나타내는바, R1이 OH인 경우에는 R2가 CH3이고 R1이 CH3인 경우 R2는 OH 기이고, R3는 OH 또는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일반식에서 R1이 OH이고 R2가 CH3이며 R3가 OH인 20(R)-진세노사이드 RH2는 신규한 화합물이고, R1이 CH3이며 R2와 R3가 OH인 20(S)-진세노사이드 RH2는 암세포 억제제로 알려진 물질이다.
그리고 R1이 OH이고 R2가 CH3이며 R3인 20(R)-진세노사이드 Rg3및 R1
CH3이고 R2가 OH이며 R3인 20(S)-진세노사이드 Rg3도 이미 알려졌다.
인삼에 함유된 다미란계 사포닌은 수증기로 처리하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C-20의 제3급 알콜의 배당체 결합이 쉽게 가수분해되어 프로사포게닌으로 되는바, 이때 수산기가 반전 평형 반응을 일으켜 C-20(R)과 C-20(S)의 이성체 혼합물로 되게 된다. 따라서 수삼을 수증기 처리하여 가공한 홍삼에는 Rg2, Rg3, Rh1및 Rh2가 백삼보다 20-30배 정도 많아지게 된다. 특히 Rh2는 홍삼 특유의 성분으로서 미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Rh2성분을 홍삼으로부터 분리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Rh2를 얻기 위한 증거방법에 의하면 효소를 이용하여 Rg3로부터 Rh2를 제조하였으나 수율이 불량하여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중에 다량함유된 프로토파낙사다이올계 사포닌으로부터 20(R & S) 진세노사이드 Rg3와 20(R & S) 진세노사이드 Rh2를 고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인삼의 프로토파낙사다이올계 사포닌을 산으로 가수분해하여 아세틸화, 파라니트로 벤조일화 또는 트리니트로 벤조일화한 다음 필요에 따라 퍼아세틸화시키고, 알카리로 가수분해시킨후 알카리겔 칼람크로마토 그라프를 이용하여 입체 이성체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산으로는 염산, 황산, 질산 또는 인산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더아세틸화된 퍼아세틸화합물의 가수 분해를 알콜 용액중에서 수산화나트륨 같은 알카리 용액을 사용하여 달성되며, 가수분해 온도는 40℃ 내지 80℃에서 실시한다. 가수분해가 40℃에서 이루어 졌을때는 20(R & S)-진세노사이드 Rg3가 얻어지고 80℃에서 이루어 졌을때는 20(R & S) 진세노사이드 Rh2가 얻어진다.
그리고 각개 이성체의 분리에는 세미 분취용 칼람(1㎝ ×30㎝ , 알텍-NH2칼람/용리액 : 아스트나이트릴과 물의 90 : 10액)을 이용한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한다.
이와같은 화학적 방법에 의하면 종래 효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고수율로 진세노사이드 이성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분리제조되는 진세노사이드의 구조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화합물중 20(R)-진세노사이드 Rh2는 신규물질로서 그 물리화학적 성상은 다음과 같다.
20(R)-진세노사이드 Rh2의 물리화학적 성상
1) 무색미세결정(메탄올-다이옥산-물)
2) 융점 : 208 -210℃
3) 비선강도 : [a]D-6.2(c=3.0, 피리딘)
4) 적외선 분광 스펙트럼 : 제1도와 같음
5) Rf값 : 키셀겔 F60박층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클로로포름-메탄올-물-65 : 35 : 10 (아래층)으로 전개하였을때 0.65임.
6) 5)의 박층크로마토그라피에서 20% 수용성황산으로 분무하고 가열발색시키면 붉은 보라색을 나타내고, 아니소알데하이드로 발색시키면 청색을 나타냄.
7) 고속원자 충격 질량 스펙트럼 : M++ H=623
8) 원소분석 C36H62O8.H2O
계산치탄소 : 67.45, 수소 : 10.07%
분석치탄소 : 67.38, 수소 : 9.93%
9) 수소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 제2도와 같음
10) 탄소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 제3도와 같음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20(R & S)-진세노사이드 Rg3(3) + (4)의 제조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각각 1.5g의 혼합물 6g을 50% 초산 20ml에 용해시키고 2시간 동안 70℃에서 교반하면서 가열한 후 반응 혼합물을 상온까지 식힌다. 반응액을 증류수 200ml로 희석하고 n-부탄올 100ml로 3회 추출한다. 추출액을 합하여 포화 소디옴바이카보네이트 용액으로 2회 세척한 다음 n-부탄올층을 감압농축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칼람그로마토그라피(용리액 : 클로로포름 : 에탄올 : 물=100 : 30 :10)으로 분리하여 20(R & S) 혼합물을 얻었다.(수득율 : 2.25g)
[실시예 2]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각각 1.5g의 혼합물 6g을 1N 염산 200ml에 용해시키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20(R & S) 혼합물을 얻었다.(수득량 : 2.02g)
[실시예 3]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각각 1.5g의 혼합물 6g을 1N 황산 200ml에 용해시키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20(R & S) 혼합물을 얻었다.(수득량 : 1.84g)
[실시예 4]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각각 1.5g의 혼합물 6g을 1N 진산 20ml에 용해시키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20(R & S) 혼합물을 얻었다.(수득량 : 1.94g)
[실시예 5]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각각 1.5g 의 혼합물 6g을 1N-인산 200ml에 용해시키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20(R & S) 혼합물을 얻었다.(수득량 : 1.54g)
[실시예 6]
20(R & S)-진세노사이드 Rg3퍼아세틸화물의 제조 및 R·S 이성체의 분리
실시예 1의 생성물 1g을 혼합물 1g을 무소초산 20ml, 피리딘 20ml로 4℃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킨다. 반응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 30ml로 3회 추출하고 묽은 염산 20ml로서 3회, 포화 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 20ml로서 3회 세척 한 다음 에칠아세테이트층을 감압농축한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칼람 크로마토그라프(용리액 : 메칠렌클로라이드 : 에칠아세테이트=6 : 1)로 분리하여 20(R)-Rg3-완전아세틸화물(5)와 20(S)-Rg3-완전아세틸화물(6)를 각각 730mg, 670mg을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생성물 1g을 아세틸클로라이드 20ml, 피리딘 20ml로 실시예 6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20(R)-Rg3-완전아세틸화물와 20(S)-Rg3-퍼아세틸화물를 각각 620mg, 580mg을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생성물 1g을 파라니트로벤조일클로라이드 20ml로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20(R)-Rg3-퍼파라니트로벤조일화와 20(S)-Rg3-퍼파라니트로벤조일화물(6b)를 각각 670mg, 550mg을 얻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의 생성물 1g을 트리니트로페닐벤조일클로라이드 20ml로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20(R)-Rg3-퍼트리니트로페닐벤조일화물(6a)와 20(S)-Rg3-퍼트리니트로페닐벤조일화물(6b)을 각각 590mg, 500mg을 얻었다.
[실시예 10]
20(R)-진세노사이드 Rg3(3)와 20(S)-진세노사이드 Rg3(4)의 제조
실시예 6에서 분리한 퍼아세틸화물(5)와 (6)을 각각 200mg와 200mg을 따로 4℃에서 소디움하드록사이드-부탄올(5%) 10ml에 용해시키고 교반하면서 하룻밤 방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증류수로 세척하고 부탄올층을 감압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세미분취용칼람(1×30㎝, Allteck-NH2)/용리액 : 아세토나이크릴 : 물 = 90 : 10, 검출기 : 굴절율검출기)을 이용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프로 순수 분리하여 화합물(3)과 (4)를 각각 84.2mg, 80.8mg을 얻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6에서 분리한 퍼아세틸화물(5)와 (6)을 각각 200mg와 200mg을 따로 4℃에서 소디움하드록사이드-메탄올(5%) 10ml에 용해시키고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화합물(3)과 (4)를 각각 68.2mg, 72.4mg을 얻었다.
[실시예 12]
퍼아세틸화물(5)와 (6)을 각각 200mg와 200mg을 따로 4℃에서 소디움하드록사이드-메탄올(5%) 100ml에 용해시키고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화합물(3)과 (4)를 각각 47.3mg, 63.4mg을 얻었다.
[실시예 13]
퍼아세틸화물(5)와 (6)을 200mg와 200mg을 따로 4℃에서 소디움하드록사이드 3급 부탄올(5%) 10ml에 용해시키고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화합물(3)과 (4)를 각각 72.5mg, 70.3mg을 얻었다.
[실시예 14]
20(R)-진세노사이드 Rg2(1)와 20(S)-진세노사이드 Rg2(2)의 제조
실시예 6에서 분리한 퍼아세틸화물(5)와 (6)의 200mg와 200mg을 각각 다른 소디움하드록사이드 - 부탄올(5%) 10ml에 용해시키고 80℃에서 6시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하 20(R & S)-진세노사이드 Rg3의 제조때와 같은 방법으로 화합물(1)과 (2)를 얻고 세미분취용 칼람(1×30cm, Allteck-NH2/용리액=아세토나이크릴 : 물=90 : 10, 검출기 : 굴절율검출기)을 이용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프로 순수분리하여 각각 41.6 및 21.6mg을 얻었다. 생성물(1)의 탄소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은 도표 1에 기재하고 선광도는 도표 2에 기재한다.

Claims (8)

  1. 인삼의 프로토파낙사다이올계 사포닌을 산으로 산가수분해한 다음 아세틸화, 파라니트로벤조일화, 트리니트로벤조일하고 알카리로 가수분해시킨후 실리카겔 칼람크로마토그라프를 이용하여 입체 이성체를 분리하는 20(R & S)-진세노사이드의 제조방법.
  2. 청구범위 1항에서, 산이 초산, 염산, 황산, 질산, 또는 인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범위 1항에서, 최종생성물인 진세노사이드가 20(R)-진세노사이드 Rg3이고 산가수분해 생성물인 20(R)-진세노사이드 Rg3퍼아세테이트를 4℃에서 알카리 가수분해시켜 불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청구범위 1항에서, 최종생성물인 진세노사이드가 20(R)-진세노사이드 Rh2이고 산가수분해 생성물인 20(R)- 진세노사이드 Rg3퍼아세테이트를 80℃에서 가수분해시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청구범위 1항에서, 최종생성물인 진세노사이드가 20(S)-진세노사이드 Rg3이고 산가수분해 생성물인 20(R)- 진세노사이드 Rg3퍼아세테이트를 4℃에서 가수분해시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청구범위 1항에서, 최종생성물인 진세노사이드가 20(S)-진세노사이드 Rh2이고 산가수분해 생성물인 20(S)- 진세노사이드 Rg3퍼아세테이트를 가수분해시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청구범위 1항에서, 알카리 가수분해가 알콜중의 알카리 용액에 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청구범위 3, 4, 5 및 6항중의 한항에서, 최종 생성물의 분리가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라프에 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10016457A 1991-09-20 1991-09-20 인삼 성분으로부터 20(r & s) 진세노사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KR940004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457A KR940004066B1 (ko) 1991-09-20 1991-09-20 인삼 성분으로부터 20(r & s) 진세노사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457A KR940004066B1 (ko) 1991-09-20 1991-09-20 인삼 성분으로부터 20(r & s) 진세노사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047A KR930006047A (ko) 1993-04-20
KR940004066B1 true KR940004066B1 (ko) 1994-05-11

Family

ID=1932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457A KR940004066B1 (ko) 1991-09-20 1991-09-20 인삼 성분으로부터 20(r & s) 진세노사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0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0307A1 (fr) * 2004-07-29 2006-02-02 Shanghai Innovative Research Center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ynthese du 20 (s)-ginsenoside rh2
CN100343270C (zh) * 2000-11-15 2007-10-17 山东绿叶天然药物研究开发有限公司 一种从天然植物中提取治疗恶性肿瘤产品的生产工艺
CN102775461A (zh) * 2012-07-02 2012-11-14 云南农业大学 一种20(r)-人参皂苷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318B1 (ko) * 2005-11-16 2006-11-27 학교법인 함주학원 용해도 차이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이성질체 분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3270C (zh) * 2000-11-15 2007-10-17 山东绿叶天然药物研究开发有限公司 一种从天然植物中提取治疗恶性肿瘤产品的生产工艺
WO2006010307A1 (fr) * 2004-07-29 2006-02-02 Shanghai Innovative Research Center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ynthese du 20 (s)-ginsenoside rh2
CN102775461A (zh) * 2012-07-02 2012-11-14 云南农业大学 一种20(r)-人参皂苷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047A (ko) 199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rnforth et al. [11] Chemical syntheses of substrates of sterol biosynthesis
Tewson et al. New approaches to the synthesis of 3-deoxy-3-fluoro-D-glucose
YAHARA et al. Saponins of the leaves of Panax ginseng CA Meyer
Kozikowski et al. A simplified route to the phosphatidylinositol cascade inhibitor---(-)-1L-1-deoxy-1-fluoro-Myo-inositol
KR940004066B1 (ko) 인삼 성분으로부터 20(r & s) 진세노사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Brown et al. Additions to bicyclic olefins. VII. Electrophilic additions of hydrogen chloride and deuterium chloride to norbornene, 2-methylenenorbornane, and related bicyclic olefins. Evidence for a carbonium ion process and the capture of unsymmetrical (classical) 2-norbornyl cations
Tipson et al. Cyclic acetals of ketoses: Part IV. Re-investigation of the oxidation of 1, 2: 4, 5-DI-O-isopropylidene-β-D-fructopyranose with methyl sulfoxide—acetic anhydride
Grynkiewicz et al. Synthesis of 2, 3-dideoxy-D-hex-2-enopyranosyl cyanides
Adam et al. A rapid,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fluorinated carbohydrates: Addition of acetyl hypofluorite to vinyl ether derivatives of sugars
KR940008291B1 (ko) 신물질 20(R)-전세노사이드 Rh₂
Dahlhoff et al. Boron compounds. 45. 6-Deoxy-O-acyl-. alpha.-L-mannofuranoses via O-ethylboranediyl derivatives
Bessell et al. Fluorinated carbohydrates: Part XII. 6-deoxy-6-fluoro-D-glucose: an improved synthesis and the glycosyl fluoride derivatives
Flaherty et al. Branched-chain sugars. Part VII. The synthesis of D-mycarose and D-cladinose
US384645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5-hydroxy-cholesterol and esters thereof
Baer et al. Synthesis of 3-acetamido-2, 3, 6-trideoxy-D-lyxo-hexose (N-acetyl-D-daunosamine) and its D-arabino isomer
Lipták et al. Synthesis of 2-O-α-, 3-O-α-, 3-O-β-, and 4-O-α-l-rhamnopyranosyl-d-galactose
Levene et al. PENTAMETHYL GLUCOSE AND ITS DIMETHYL ACETAL.
Perlin Methanolysis of carbohydrate orthoacetates
Degraw et al. The synthesis of 5‐and 6‐hydroxy‐2‐methylisoquinuclidine
Fang et al. Synthesis of Substituted 2, 6-Dioxabicyclo [3.1. 1] Heptanes: 1, 3-Anhydro-2, 4-DI-O-Benzyl and 1, 3-Anhydrq-2, 4-DI-O-(p-Bromobenzyl)-β-D-Rhamnopyranose
NISHIKAWA et al. Chemical and biochemical studies on carbohydrate esters. IV. Preparation and analytical properties of 1-O-fattyacyl-α-D-glucopyranoses
AKIYAMA et al. Chemical Studies on the Oriental Plant Drugs. XXXII. Sapogenins from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3). The Structure of a Prosapogenin, 3-O-β-Glucosylplatycodigenin
US2688030A (en) 14-hydroxyequilenin and derivatives
AKIYAMA et al. Sapogenins of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and the stereochemistry of polygalacic acid
MacMillan et al. The solvolysis of gibberellin A 5 methyl ester toluene-p-sulphonate—a bicyclo [3, 2, 1] octane bridgehead deriva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