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9984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9984A
KR20070029984A KR1020050084681A KR20050084681A KR20070029984A KR 20070029984 A KR20070029984 A KR 20070029984A KR 1020050084681 A KR1020050084681 A KR 1020050084681A KR 20050084681 A KR20050084681 A KR 20050084681A KR 20070029984 A KR20070029984 A KR 20070029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door
case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5803B1 (ko
Inventor
한성석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4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803B1/ko
Publication of KR20070029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07Details of pivots of dampe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컨 가동 후 또는 에어컨 정지 후 증발기의 응축수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고, 악취의 발생이 없는 난방모드시에는 유로 상에 전혀 노출되지 않는 공기필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유입구와 다수의 공기유출구를 갖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증발기(12) 및 히터코어(Heater Core, 13)와;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코어를 우회하는 냉기통로(C) 및 상기 히터코어 전방의 온기통로(H)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Temp Door, 14)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냉기통로(C) 근처에 형성되는 필터수납부(10a)와; 상기 템프도어(14)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냉방 모드의 경우에는 냉기통로(C)의 전체를 차단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냉기통로(C)를 통과하는 공기와 그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여과하고, 난방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10)의 상기 필터 수납부(10a)에 완전히 삽입되는 공기필터(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조장치, 에어컨, 필터, 템프도어, 슬라이딩 도어, 악취, 탈취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조장치의 최대 냉방모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조장치에 장착되는 도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조장치의 최대 난방모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조장치의 냉/난방 혼합모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공조케이스 10a: 필터 수납부
10b: 가이드 홈 11: 공기유입구
12: 증발기 13: 히터코어(Heater Core)
14: 템프도어(Temp Door) 15a, 31a: 가이드 핀
16, 18, 20: 공기유출구 30: 공기필터
31: 필터케이스(Filter Case) 32: 필터미디어(Filter Media)
40: 구동기구 41: 구동축
42: 피니언기어(Pinion Gear) 43: 래크(Rack)
C: 냉기통로 H: 온기통로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컨 가동 후 또는 에어컨 정지 후 증발기의 응축수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템프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기에 의해 차량 실내로 유입된 공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Evaporator) 또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코어(Heater Core)로 통과시켜 열교환 시킨 후, 차량 실내의 여러 구역으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형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송풍기, 증발기 및 히터코어의 세개의 유니트가 독립적으로 구성된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 증발기 및 히터코어가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된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Semi-Center Mounting Type) 및 송풍기, 증발기 및 히터코어가 모두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된 센터 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은, 그 일례로서 일반적인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Semi-Center Mounting Type) 공조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의 케이스(50)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 측에 설치된 송풍기(도시 생략)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Evaporator, 51)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어(Heater Core, 5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51)와 히터코어(52)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를 우회하는 냉기통로(53)와, 히터코어 전방의 온기통로(54)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고, 도어축(55a)을 중심으로 상/하향으로 회동하는 템프도어(Temp Door, 5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50)에는, 유입된 공기를 자동차 앞유리창 쪽으로 토출하여 앞유리창의 성에(Frost)를 제거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56), 공기를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로 토출하기 위한 페이스 벤트(Face Vent, 57) 및 공기를 자동차 실내의 하반부로 토출하기 위한 플로어 벤트(Floor Vent, 58)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각 벤트(56, 57, 58)를 통하여 유출되는 냉/온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도어(Defrost Door, 59), 페이스도어(Face Door, 60), 및 플로어도어(Floor Door, 6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송풍기의 작동으로 케이스(50)내로 유입되고 증발기(51)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템프도어(55)에 의해 히터코어(52)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 또는 가열되며, 이와 같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도어들(59, 60, 61)의 개폐동작에 의해 상기 각 벤트들(56, 57, 58)을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냉/난방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조장치에는 각종 유해성분 예를 들어 배기가스로부터 배출되는 벤젠, 톨루엔 등의 유기화합물, 분진 등의 입자상 유해물질 및 차량 외부에서 발생 된 악취 등이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필터(Air Filter)가 장착된다. 그 구조는 보통 활성탄(Activated Carbon) 입자를 이용하여 상기한 공기 중의 유해물질 또는 악취원인물질 등을 흡착하여 여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면, 지그재그식으로 접힌 부직포 또는 지류 재질의 필터미디어(Filter Media)를 프레임 또는 필터케이스 내에 장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차량용 에어필터는, 차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해화학물질이나 먼지,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등을 제거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증발기의 전방, 즉, 송풍기의 상류측 또는 송풍기와 증발기 사이에 장착되기 때문에 증발기의 응축수에서 발생하여 증발기의 후방으로 흘러가는 악취를 포함하는 유동을 여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에어컨을 동작시키면 증발기의 냉매가 기화되기 시작하여 그 표면에는 많은 양의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응축수는 대부분 공조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드레인 홀(Drain Hole, 50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지만, 응축수의 표면 장력으로 인하여 상기 드레인 홀을 통하여 전량 배출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부 응축수가 공조케이스나 증발기의 코어에 남아 있게 된다. 결국, 이러한 잔류 응축수가 악취의 원인인 곰팡이나 세균의 서식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악취는 에어컨 동작시 송풍기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차량 실내로 그대로 인입됨으로써 차량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심한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동중인 에어컨이 정지된 다음부터는 증발기 표면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증발기의 응축수에 서식하는 곰팡이 및 세균이 상대적으로 매우 빠르게 증식하게 됨으로써, 그 다음에 에어컨을 다시 가동하게 되 는 경우에 그동안 발생하여 축적된 악취가 차량 운전자나 탑승자 쪽으로 그대로 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에어컨 가동 후 또는 에어컨 정지 후 증발기의 잔류 응축수로 인하여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고, 여름철에 비해 악취에 대한 고려가 상대적으로 덜 필요한 겨울철 난방모드시에는 필터미디어가 유로상에 노출되지 않는 공기필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유입구와 다수의 공기유출구를 갖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증발기(12) 및 히터코어(Heater Core, 13)와;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코어를 우회하는 냉기통로(C) 및 상기 히터코어 전방의 온기통로(H)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Temp Door, 14)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냉기통로(C) 근처에 형성되는 필터수납부(10a)와; 상기 템프도어(14)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냉방 모드의 경우에는 냉기통로(C)의 전체를 차단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냉기통로(C)를 통과하는 공기와 그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여과하고, 난방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10)의 상기 필터수납부(10a)에 완전히 삽입되는 공기필터(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템프도어(14)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고 원호형상으로 만곡 형 성된 도어부재(15)와, 상기 도어부재의 양측 하단에 각각 돌출형성된 가이드핀(Guide Pin, 15a)과, 상기 도어부재의 상면 양측단을 따라 형성되고 피니언 기어(Pinion Gear, 42)와 맞물리는 래크(Rack, 43)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슬라이딩 도어(Sliding Door)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필터(30)는, 내부공간을 갖고 원호형상으로 만곡 형성된 필터케이스(Filter Case, 31)와,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공간에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미디어(Filter Media, 32)와, 상기 필터케이스의 양측 상단에 각각 돌출형성된 가이드핀(3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조 케이스(10)에는, 일체로 형성된 상기 템프도어(14)와 상기 공기필터(3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핀(15a, 31a)이 상기 히터코어 입구에서부터 상기 필터수납부(10a) 내부에 이르기까지 상/하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템프도어 및 상기 공기필터의 만곡된 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측 양 벽면에 원호상으로 가이드 홈(10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도 2, 4 및 도 5는, 상기 도어가 공조장치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각각 최대 냉방모드, 최대 난방모드 및 냉/난방 혼합모드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장착되는 도어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입구단에 공기유입구(11)를 갖고, 타측 출구측에 다수개의 공기유출구(16, 18, 20)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에 상기 공기유입구(11)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증발기(12) 및 히터코어(13)를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증발기와 히터코어 사이에는, 상기 히터코어를 우회하는 냉기통로(C)와, 상기 히터코어 전방의 온기통로(H)의 개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면서, 상기 각각의 공기유출구(16, 18, 20)를 거쳐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템프도어(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공기유출구에는, 상기 템프도어의 개도에 따라 각 공기유출구를 통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냉/온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모드도어(17, 19, 2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모드도어(17, 19, 21)는, 각 공기유출구(16, 18, 20)로의 공기유동에 의한 통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버터플라이(Butterfly)형 도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템프도어(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형태의 도어로서,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고 원호형상으로 만곡 형성된 도어부재(15)와, 상기 도어부재의 양측단 상면을 따라 형성되는 래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래크(43)는, 구동기구(40)로부터 상기 템프도어(14)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피니언 기어(42)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구(40)는, 공조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하는 통상의 액츄에이터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발생한 동력을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도어에 전달하기 위하여, 공조케이스(10)의 양 측벽에 형성된 축공(미도시)에 연결된 구동축(41)과, 상기 구동축의 양단부 근처에 형성되어 상기 래크(43)와 맞물리는 구동기어인 피니언 기어(42)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어 양측단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후술할 공조케이스 내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원호모양의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끼워질 가이드 핀(15a)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원호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필터(30)는, 전체적으로 냉기통로(C)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폭과 길이를 구비하며,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동시에 만곡 형성되는 필터케이스(31)와,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공간에 탈착할 수 있게 설치되는 필터미디어(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의 양측단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후술할 공조케이스 내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원호모양의 가이드 홈에 대응하여 끼워질 가이드 핀(31a)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필터가 상기 템프도어(14)와 함께 원호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15a, 31a)에 의하면, 일체로 결합되어 같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공기필터 및 상기 템프도어는 슬라이드 이동시 마찰저항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교체시의 편의를 위해 상기 필터의 측면에 공지의 필터커버 및 손잡이를 체결하여 탈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기필터(30)가, 냉방모드의 경우에는 냉기통로 전체에 걸쳐 여과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난방모드의 경우에는 필터수납부(10a)에 완전히 삽입됨으로써 필터가 유동에 노출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필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필터의 유지관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가 있다.
또한, 이러한 공기필터(30)는, 종전과 같이 차량 외부에서 발생한 이물질 등을 여과하기 위하여 증발기(12)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통상의 에어필터와 함께 사용할 때, 그 효율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 필터(30)가 템프도어(14)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템프도어와 함께 원호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각 냉/난방 모드에 따라 효율적으로 동작하기 위하여, 공조케이스의 양 내측 벽에는 상기 템프도어 및 공기필터의 만곡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10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체적으로 온기통로 입구 하단에서부터 냉기통로를 지나 상기 필터수납부(10a)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원호 모양의 가이드 홈(10b)이 상기 템프도어 및 공기필터의 만곡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 상기 템프도어와 상기 필터케이스가 그 양측단에 형성되는 가이드 핀(15a, 31a) 을 이용하여, 공조케이스 양 내측벽의 상기 가이드 홈 내부를 따라 원호상으로 이동하면서 각 냉/난방 모드에 맞게 냉/온기의 비율을 조절하는 동시에 악취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핀(15a,31a)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홈(10b)에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끼워지고 상기 가이드 홈(10b)을 따라 이동하므로 마찰저항을 줄이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가이드 홈(10b)은 공조 케이스 측벽상에 음각되거나 별도의 원호상의 가이드 레일 등의 가이드 부재를 상기 케이스 내부 양 측벽에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냉/난방 모드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템프도어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대 냉방 모드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템프도어(14)는,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41)에 의하여 지지되는 피니언기어(42)와 도어부재(51) 양측단의 상면에 이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래크(43)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공조케이스의 가이드 홈(10b)을 따라 하향이동 하게 된다. 그 결과, 히터코어의 입구측 온기통로(H)를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온기통로를 우회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템프도어 상단에 냉기통로(C)의 유로 전체를 여과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상기 템프도어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공기필터(30)는, 블로어 유닛에 의해 공기유입구(11)로부터 유입되고 증발기(15)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공기 및 증발기의 응축수에서 발생한 오염원인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여과하게 된다. 그 결과, 여과된 공기유동이 공조케이스(10)의 출구에 형성된 공기유출구(16, 18, 20)을 통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청정한 공기로 냉방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최대 냉방 모드의 경우, 냉각된 공기가 온기통로를 우회함과 동시에 냉기통로를 지나는 모든 공기의 여과가 가능해 지고 악취가 없는 청정한 분위기로 차량 실내를 냉방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 공기필터(30)는 미세먼지 제거 필터와 냄새제거 필터를 일체화한 복합필터, 또는 악취 등의 냄새성분을 제거하는 카본필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다양한 공기 필터 예를들면 항균필터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최대 난방모드의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템프도어(14)가 히터코어 입구인 온기통로(H)를 완전히 개방하도록 상기한 공조케이스의 원호상의 가이드 홈(10b)을 따라 냉기통로(C) 입구측으로 이동하여 냉기통로를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이때 템프도어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공기 필터(30)는, 냉기통로 근처의 상기 가이드홈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필터수납부(10a) 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안착됨으로써, 일반적인 난방모드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필터케이스(31) 내부의 필터미디어(32)가 공기 유동에 의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필터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에어컨 가동 후 또는 에어컨 정지 후에 응축수가 발생하는 시점은 응축수발생 여부 판단수단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응축수 발생 여부 판단수단은, 증발기(15) 코어에 각각 설치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일 반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실험 데이타를 이용하면, 상기 공기 필터가 냉기통로(C)를 완전히 차단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공기 필터, 필터케이스 및 템프도어 등의 상대적인 크기 또는 치수를 좀더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냉/난방 혼합모드의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템프도어(14)가 냉기통로(C)와 온기통로(H)의 일부를 동시에 차단함으로써 냉기와 온기가 혼합된다. 이 경우에 공기 필터는 템프도어에 의해 일부 개방되는 냉기통로를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상기한 악취원인물질을 포함하여 흐르는 공기를 여과하게 된다.
본 발명은, 공조장치로서 상기한 세미 센터 타입의 공조장치에 대하여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쓰리 피스 타입 또는 센터 마운팅 타입 등의 공조장치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공조장치에 사용되는 템프도어 이외의 도어 즉, 모드도어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공기필터를 상단에 일체형으로 형성한 도어를 제공함으로써 최소한의 공간으로 차량 내 증발기의 응축수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악취발생이 없는 난방모드의 경우에는 도어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기 공기필터가 필터수납부에 완전히 삽입됨으로써 냉/난방 모드에 따라 공기필터의 공간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필터미디어(Filter Media) 또는 필터가 유로 상에 전혀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공기유입구와 다수의 공기유출구를 갖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증발기(12) 및 히터코어(Heater Core, 13)와;
    상기 증발기와 상기 히터코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코어를 우회하는 냉기통로(C) 및 상기 히터코어 전방의 온기통로(H)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Temp Door, 14)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냉기통로(C) 근처에 형성되는 필터수납부(10a)와;
    상기 템프도어(14)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냉방 모드의 경우에는 냉기통로(C)의 전체를 차단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냉기통로(C)를 통과하는 공기와 그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여과하고, 난방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10)의 상기 필터수납부(10a)에 완전히 삽입되는 공기필터(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프도어(14)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고 원호형상으로 만곡 형성된 도어부재(15)와, 상기 도어부재의 양측 하단에 각각 돌출형성된 가이드핀(Guide Pin, 15a)과, 상기 도어부재의 상면 양측단을 따라 형성되고 피니언 기어(Pinion Gear, 42)와 맞물리는 래크(Rack, 43)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슬라이딩 도어(Sliding Doo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필터(30)는, 내부공간을 갖고 원호형상으로 만곡 형성된 필터케이스(Filter Case, 31)와,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공간에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미디어(Filter Media, 32)와, 상기 필터케이스의 양측 상단에 각각 돌출형성된 가이드핀(3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케이스(10)에는, 일체로 형성된 상기 템프도어(14)와 상기 공기필터(3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핀(15a, 31a)이 상기 히터코어 입구에서부터 상기 필터수납부(10a) 내부에 이르기까지 상/하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템프도어 및 상기 공기필터의 만곡된 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측 양 벽면에 원호상으로 가이드 홈(10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050084681A 2005-09-12 2005-09-12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55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681A KR101155803B1 (ko) 2005-09-12 2005-09-12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681A KR101155803B1 (ko) 2005-09-12 2005-09-12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984A true KR20070029984A (ko) 2007-03-15
KR101155803B1 KR101155803B1 (ko) 2012-06-12

Family

ID=3810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681A KR101155803B1 (ko) 2005-09-12 2005-09-12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8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802B1 (ko) * 2012-09-28 2013-12-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증발기 습기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22105A (ko) 2013-08-22 2015-03-0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이온발생기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4015U (ko) * 1986-01-31 1987-08-06
JPH0359210U (ko) * 1989-10-13 1991-06-11
KR100501563B1 (ko) * 1998-03-19 2005-09-30 한라공조주식회사 공조시스템의유니트배출공기악취흡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802B1 (ko) * 2012-09-28 2013-12-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증발기 습기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22105A (ko) 2013-08-22 2015-03-0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이온발생기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803B1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267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US5876277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deodorizing filter
US69266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odorizing compartment of vehicle
WO2005115780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5944375B2 (ja) フィルタを再生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暖房、換気および/または空調装置、および実施方法
KR10115580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1907287A (zh) 车辆用空调系统及其二氧化碳收集模块
KR101207140B1 (ko) 냄새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공조장치
JP3207322B2 (ja) 空気清浄器及びこの空気清浄器と連動する自動車用空調装置
KR101207062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1970766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20140114191A (ko) 차량용 공조 장치
JP2004291863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692226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200356252Y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501563B1 (ko) 공조시스템의유니트배출공기악취흡수장치
JPH11129729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1088608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DE102010022441A1 (de) Kraftfahrzeug mit einer Innenraumluftentfeuchtungseinrichtung
JP2925343B2 (ja) 車両用空気清浄装置
KR200157691Y1 (ko) 공기정화기를 갖춘 공기조화기
JP2001171343A (ja) 車両用空調装置
JP326195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48406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052718U (ja) 車両用空気清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