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252Y1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252Y1
KR200356252Y1 KR20-2004-0012026U KR20040012026U KR200356252Y1 KR 200356252 Y1 KR200356252 Y1 KR 200356252Y1 KR 20040012026 U KR20040012026 U KR 20040012026U KR 200356252 Y1 KR200356252 Y1 KR 200356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er
air inlet
evaporator
engin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0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식
서정훈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20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2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2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1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 B60H1/16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the air being heat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plant, e.g. air-coo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 정지후, 엔진룸 내의 고온의 공기를 일정시간동안 송풍기에 도입하여 증발기를 건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전환도어(58)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내기유입구(54) 및 제1외기유입구(56)가 형성된 송풍기 케이스(52), 상기 송풍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송풍팬(60) 및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62)를 포함하는 송풍기(50)와,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는 공조케이스(70)에 내장된 증발기(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송풍기 케이스에는 제2외기유입구(64)가 형성되고, 상기 제2외기유입구와 엔진룸(10)을 연통시키도록, 엔진룸과 승객실(20)을 구획하는 대시패널(Dash Panel, 30)에 송풍구(3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외기유입구와 송풍구에 걸친 유로에, 이를 개폐하는 도어(66)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구(32)와 제2외기유입구(64)는 덕트(Duct, 36)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 정지후, 엔진룸의 고온의 공기를 일정시간동안 송풍기에 도입하여 증발기를 건조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냉방시스템은,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로 유입되어 냉각팬의 강제송풍에 의하여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된 다음, 리시버 드라이어(Receiver Dryer),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차례로 통과하여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가 증발기를 거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 상태로 실내에 유입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방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냉방사이클 과정에서, 증발기 표면에는 증발기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증발기 외부를 거치는 공기와의 온도차에 의하여 응축수가 발생한다. 증발기에 발생하는 응축수는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세균 등이 증발기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증발기 표면의 습기에 의하여 증발기에 곰팡이가 생기게 되고 세균도 증식하게 된다. 증발기 표면에 곰팡이가 증식하면, 자동차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에 악취가 심하게 나서 탑승객으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게 한다. 또한,세균이 증식하면 자동차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에도 세균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세균에 의해 탑승객의 건강이 위협을 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증발기에 습기가 생긴 상태에서 장시간 주차한 후 다시 공조장치를 가동할 때 더욱 심하게 발생한다. 또한, 증발기 표면이 습기에 의해 결빙되면, 송풍공기와 냉매와의 열교환에 지장을 초래하여 공조장치의 성능저하의 원인이 되므로, 증발기에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증발기 표면을 건조시키기 위한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그 일 예로 엔진이 정지한 후 일정시간 동안 송풍기를 가동함으로써, 증발기의 표면 습기를 제거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 기술은 습기를 완전히 제거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안된 한국 공개특허 제2002-57161호에는, 엔진 정지후, 고온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증발기의 표면을 건조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열교환블록, 각종 감지수단, 냉각수를 히터코어로부터 분기하여 증발기측으로 순환시키는 펌프 등 각종의 구성요소가 요구되므로, 공조장치의 비용이 대폭적으로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들의 설치장소 및 설치경로가 별도로 요구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엔진 정지후, 엔진룸 내의 고온의 공기를 일정시간동안 송풍기에 도입하여 증발기를 건조시킬 수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룸, 20 : 승객실,
30 : 대시패널(Dash Panel), 34 : 필터(Filter),
36 : 덕트, 50 : 송풍기,
52 : 송풍기 케이스, 54 : 내기유입구,
56 : 제1외기유입구, 58 : 전환도어,
60 : 송풍팬, 62 : 모터,
64 : 제2외기유입구, 66 : 도어,
70 : 공조케이스, 80 : 증발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환도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내기유입구 및 제1외기유입구가 형성된 송풍기 케이스, 상기 송풍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는 공조케이스에 내장된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케이스에, 엔진룸 내의 공기를 유입하는 제2외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외기유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2외기유입구와 엔진룸을 연통시키도록 엔진룸과 승객실을 구획하는 대시패널(Dash Panel)에 송풍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엔진룸으로부터 제2외기유입구쪽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구와 제2외기유입구는 덕트(Duct)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풍구에는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나 세균등을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필터(Filter)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따르면, 공조장치의 냉방사이클의 가동에 의하여 증발기의 표면에 습기가 발생한 상태로 자동차를 주차시킨 경우에, 일정시간 동안 송풍기를 가동함과 아울러 제2외기유입구를 개방시킴으로써, 엔진룸의 고온의 공기가 송풍구 및 제2외기유입구를 통하여 공조케이스에 유입될 수 있으므로, 온기에 의하여 증발기의 습기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습기에 의하여 증발기에 표면에 곰팡이 및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의 엔진룸(10)과 승객실(20)은 대시패널(30)에 의하여 구획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패널(30)의 상단과 윈드 실드 글래스(Wind Shield Glass, 14)의 하단과의 사이에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대한 외기흡입통로를 형성하는 한편 와이퍼 등이 장착되는 박스형의 카울(Cowl, 1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대시패널(30)의 안쪽(즉, 승객실(20)쪽)에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가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공조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70)와, 상기 공조케이스(70)의 상류측에 내장되는 증발기(80)와, 상기 공조케이스(70)의 하류측에 내장되는 히터코어(Heater Core, 90)와, 상기 공조케이스(70)의 입구측에 연결되는 송풍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공조케이스(70)의 출구측에는, 도어(72d)에 의하여 개폐되며 공기를승객실(20)의 차창쪽으로 토출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72), 도어(74d)에 의하여 개폐되며 공기를 승객실(20)의 상반부로 송풍하기 위한 페이스 벤트(Face Vent, 74) 및 도어(76d)에 의하여 개폐되며 공기를 승객실(20)의 바닥쪽으로 송풍하기 위한 플로어 벤트(Floor Vent, 76)가 설치된다. 그리고, 히터코어(90)측 유로와 히터코어(90)를 우회하는 유로에 대한 개도를 조절하여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78)가, 공조케이스(70)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송풍기(50)는, 전환도어(58)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내기유입구(54) 및 제1외기유입구(56)가 형성된 송풍기 케이스(52), 상기 송풍기 케이스(52)에 내장되는 송풍팬(60) 및 상기 송풍팬(60)을 회전시키는 모터(62)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송풍기 케이스(52)에 제2외기유입구(64)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외기유입구(64)쪽에 선택적으로 엔진(12)에 의해 데워진 엔진룸(10)의 고온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외기유입구(64)와 엔진룸(10)을 연통시키는 송풍구(32)가 대시패널(30)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외기유입구(64)와 송풍구(32)에 걸친 유로는 도어(66)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엔진룸(10)으로부터 제2외기유입구(64)쪽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송풍구(32)와 제2외기유입구(64)는 덕트(36)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66)는 제2외기유입구(64)측, 덕트(36)측 또는 송풍구(32)측중 어느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지만, 여기서는 제2외기유입구(64)측에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나 세균등을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터(3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34)는, 그 교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송풍구(32)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냉방사이클 가동에 의하여 증발기(80)의 표면에 습기가 발생한 상태로 자동차를 주차시킨 경우에, 증발기(80) 표면에 잔존하는 습기와 공조케이스(70) 내부의 고온으로 인하여, 증발기(80)의 표면에는 곰팡이 및 세균이 쉽게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따라서, 주차후 자동적으로 송풍기(50)를 일정시간동안 가동함과 아울러 엔진룸(10)과 제2외기유입구(64)가 통하도록 하거나,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면, 엔진(12)에 의한 엔진룸(10)의 고온의 공기가 송풍팬(60)의 회전에 의하여 송풍구(32) 및 제2외기유입구(64)를 통해 송풍기(50) 내부로 유입되어 공조케이스(70)로 토출될 수 있으므로, 온기에 의하여 증발기(80)의 습기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습기에 의하여 증발기(80)의 표면에 곰팡이 및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증발기(80)를 건조시키는 기능 이외에도, 겨울철 난방시 제2외기유입구(64)를 통해 엔진룸(10)의 고온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초기난방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의하면, 증발기(80) 표면에 잔존하는 습기를, 주차후 엔진(12)에 의해 데워진 엔진룸(10)의 고온의 공기로 일정시간 동안 건조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증발기(80)의 표면에 곰팡이 및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조장치를 재가동한 경우에, 악취나 세균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승객이 악취로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객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겨울철 난방시, 엔진(12)의 열로 데워진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초기난방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전환도어(58)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내기유입구(54) 및 제1외기유입구(56)가 형성된 송풍기 케이스(52), 상기 송풍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송풍팬(60) 및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62)를 포함하는 송풍기(50)와,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는 공조케이스(70)에 내장된 증발기(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케이스에 엔진룸(10) 내의 고온의 공기를 유입하는 제2외기유입구(64)가 형성되고;
    상기 제2외기유입구를 개폐하는 도어(6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외기유입구와 엔진룸(10)을 연통시키도록, 엔진룸과 승객실(20)을 구획하는 대시패널(Dash Panel, 30)에 송풍구(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32)에는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나 세균등을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필터(Filter, 34)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10)으로부터 제2외기유입구(64)쪽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구(32)와 제2외기유입구(64)는 덕트(Duct, 36)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2004-0012026U 2004-04-29 2004-04-29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356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026U KR200356252Y1 (ko) 2004-04-29 2004-04-29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026U KR200356252Y1 (ko) 2004-04-29 2004-04-29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252Y1 true KR200356252Y1 (ko) 2004-07-14

Family

ID=49348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026U KR200356252Y1 (ko) 2004-04-29 2004-04-29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25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427B1 (ko) 2006-08-09 2007-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공조장치
KR20110065138A (ko) * 2009-12-09 2011-06-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75977B1 (ko) * 2014-09-16 2015-12-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증발기 건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427B1 (ko) 2006-08-09 2007-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공조장치
KR20110065138A (ko) * 2009-12-09 2011-06-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90485B1 (ko) 2009-12-09 2016-02-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75977B1 (ko) * 2014-09-16 2015-12-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증발기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3805B2 (ja) 自動車用の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356252Y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CN217022125U (zh) 车用空调箱、车用空调系统及车辆
JP365384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57810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566788B1 (ko) 공기조화장치의응축수제거시스템
KR10152921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5679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601834B1 (ko) 자동차 시트 공기조화장치
JP2008155893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9990027015U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차량의 공조 장치
KR100759425B1 (ko)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
JPH11129729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20050038484A (ko) 잔류 응축수 제거를 위한 자동차용 공조기 구조
KR20110065137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11301246A (ja) 車両用空調装置
JP313918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H119134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0343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0148661B1 (ko) 필름 컨베이어 방식을 이용한 자동차 내외기 조절장치
KR20040110383A (ko) 자동차 실내 급속 냉방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150934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2075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391329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0130669Y1 (ko) 프레시 에어 디프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