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730A - 용해성 필름 조성물 - Google Patents

용해성 필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730A
KR20070024730A KR1020077001080A KR20077001080A KR20070024730A KR 20070024730 A KR20070024730 A KR 20070024730A KR 1020077001080 A KR1020077001080 A KR 1020077001080A KR 20077001080 A KR20077001080 A KR 20077001080A KR 20070024730 A KR20070024730 A KR 20070024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tive agent
skin
aci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4802B1 (ko
Inventor
피터 제이 렌티니
앤드류 베백쿠아
트레이시 킬러
줄스 젝키노
폴린 배실리오우
Original Assignee
이-엘 매니지먼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엘 매니지먼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엘 매니지먼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24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29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r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olyvinylmethyl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수용성 폴리머 필름으로 편입되는 유효량의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상기 수용성 폴리머 필름을 용해시킬 수 있는 첨가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에 유효량의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키트 및 방법.

Description

용해성 필름 조성물 {DISSOLVABLE FILM COMPOSITION}
발명의 분야
본원 발명은 피부에 적용하기 위한 용해성 필름 조성물에 관계한다. 특히, 본원 발명은 피부에 전달하기 위한 안정한 활성제제를 제공하는 용해성 필름 조성물에 관계한다.
발명의 배경
화장 조성물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피부에 대한 활성 제제의 효과적인 전달이었다. 화장 조성물은 종종 화장용으로 수용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수많은 성분들을 가지기 때문에, 활성 제제의 양은 종종 희석된다. 더욱이, 그밖의 다른 성분들의 존재는 피부 내부에 실제적으로 전달되는 활성 제제의 양을 저해한다. 화장용 조성물에 있는 성분들이 피부에 대한 활성 제제의 효과적인 전달을 저해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활성 제제는 피부에 필수적인 활성 제제들을 전달하기 위하여 피부에 성공적으로 접착하지 못할 수 있다.
더욱이, 많은 활성 제제들은 화장용 매질에서 불안정하다. 예를 들면, 녹차의 활성 성분인 폴리페논 E는 물을 포함하는 에멀젼으로 편입될 때 현저히 탈색하며 활성을 잃는다. 폴리페논 E는 잠재적인 항-티로시나아제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피부 착색 및 태닝은 표피 멜라노솜에 있는 멜라닌의 양에 관계된다. 멜라노솜에서, 효소 티로시나아제는 티로신을 산화시키고, 생성된 중간 화합물을 중합하여, 흑갈색의 멜라닌 색소를 형성한다. 멜라닌의 형성은 사람의 피부를 유해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사람의 방어 기전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지연된 태양 노출에 따른 또는 표피 멜라닌 단위의 무질서로 인한 멜라닌의 과다 형성은 흑반, 주근깨, 및 색소침착된 화장 피부염의 원인이다. 과량의 멜라닌 형성의 명확한 기전이 완전히 해명되지 않았으나, 티로시나아제의 활성화가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티로시나아제의 효소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화학적 제제의 개발은 상기 바람직하지 않은 피부 질환의 통제에 상당히 가치가 있을 것이다. 미국 특허 제 5,466,718호를 참조하라.
히노키티올은 항-자극, 항균 및 피부 미백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박테리아 살균제이다. 그러나, 히노키티올이 에멀젼으로 편입되는 경우, 히노키티올은 강하고 불쾌한 냄새를 발달시키고, 보관시 에멀젼을 황색 기미의 갈색으로 탈색시킨다.
레티노이드는 비타민 A 알콜인 레티놀과 관계되는 합성 및 천연적으로 발견되는 화합물 중 많은 그룹을 구성한다. 포유동물에서, 레티노이드는 상피 세포의 유지를 포함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레티노이드는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물에서 거의 불용성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레티노이드는 화장용 조성물로 편입시키기 어렵다.
그밖의 다른 예에는 화장용 조성물에서 불안정한 비타민들이 있다. 예를 들 면, 비타민 C는 미백 및 콜라겐 합성을 자극하는 것을 포함하여, 피부를 위한 많은 피부적 이점을 가진다.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콜라겐 합성은 피부를 더욱 강하게 만들고, 이것은 주름살 및 주름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그러나, 비타민 C는 물, 산소 및 빛에 노출될 때 매우 불안정해 지므로 그 활성을 손실하며 현저하게 탈색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위한 안정한 환경을 생성하면서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피부에 전달하는데 효과적인 국부적 전달 시스템이 계속 필요하다.
발명의 요약
본원 발명은 수용성 폴리머 필름으로 편입되는 유효량의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상기 수용성 폴리머 필름을 용해시킬 수 있는 첨가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피부에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키트 및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다음은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정의를 제공한다.
정의:
"유효량"이라는 용어는 피부에 화장 효과를 유발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수용성"이라는 용어는 물질이 물에서 95% 이상 용해가능함을 의미한다.
"불안정한 활성 제제"라는 용어는 제제의 천연 상태로부터 변화 또는 분해하는 및/또는 대기, 물, 및 빛과 같은 환경 요인에 노출될 때 효능 또는 활성을 잃는 활성 제제 및 에멀젼과 같은 화장용 제형을 말한다.
화장용 조성물은 종종 에멀젼의 형태이기 때문에, 보호되지 않은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물에 대한 노출 또는 환경적 노출에 대하여 거의 보호를 제공하지 않는 포장으로 제공된다. 그러므로, 보호되지 않은 불안정한 활성 제제가 화장용 조성물에 제공되는 경우, 활성 제제의 원하는 효과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의 분해로 인하여 감소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활성 제제의 불안정성을 없애는 포장 뿐 아니라, 보호되는 방식으로 활성 제제를 전달하는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원 발명은 유효량의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피부에 보호되는 방식으로 전달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시스템은 수용성 폴리머 필름 내부로 편입되는 유효량의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상기 수용성 폴리머 필름을 용해시킬 수 있는 첨가 조성물을 포함한다.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예를 들면, 항산화제, 항노화제, 미백제, UV-보호제, 스킨 컨디셔닝 제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환경적으로 분해되게 되는 화장용 성분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원 발명의 활성 제제는 폴리페놀 활성 제제로부터 선택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구체적으로는 녹차 추출물, 백차 추출물, 레드티(red tea) 추출물, 홍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파이토스핑고신, 에틸비스이미노메틸구아이아콜 망가니즈 클로라이드, 흰 자작나무 추출물, 히노키티올, 커피 추출물, 백복신 버섯 추출물, 아스코르브산, 시에즈베키아, 로즈마리 추출물, 실리마린, 유향 추출물, 유비퀴논, 레티노이드, 레스베라트롤, 포타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프로테아제 효소, 리파아제 효소, 아피제닌, 비타민 E, 포도씨 추출물, 루테인, 리코칼콘, 루테올린, 우르소산, 병풀 추출물, 지메니닉 애시드, 페룰린산, 아멘토플라본, 디하이드록시아세톤, 공액된 리놀레이트, 살리실산, 1, 3-베타 글루칸, 및 트리클로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다. 추출물이 상기와 같이 언급된 경우, 그들에 대한 언급은 또한 그 추출물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불안정한 활성 성분들을 포함해야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불안정한 활성 제제 및 추출물, 및 이들의 불안정성의 원인이 아래 표 1에 나열되어 있다.
성분 중요한 문제 기능 대기(A), 빛(L), 열(H), 물(W), 금속(M)
녹차 추출물 및 분리물 안정성 항산화 ALHWM
리코라이스 추출물 용해성, 안정성 항산화, 항염, 미백 ALHWM
파이토스핑코신/바이오신 용해성, 제제 상용성 장애 보수 용해성
에틸비스이미노메틸구아이아콜 망가니즈 클로라이드 항산화 HLA
흰 자작나무 추출물 용해성 HSP 유도제, 항염 용해성
히노키티올 향, 안정성 항티로시나아제, 항균, 항염 LHM
커피 추출물 향, 색 장애 보수 LH
백복신 버섯 추출물 용해성, 색, 향 항염 HL
아스코르브산/아스코르빌 글루코시드 안정성, 제제 상용성 항산화, 미백, 콜라겐 합성 ALHWM
시에즈베키아 색, 안정성 항콜라게나아제 ALH
로즈마리 추출물 용해성, 색 항산화 ALH
실리마린 용해성, 색 항엘라스타제p ALH
보스웰리아 추출물 항염, 세포 생성 자극 LAH
유비퀴논 안정성 항산화, 세포 에너지 ALH
레티놀 안정성 세포분화 조절 ALHWM
레스베라트롤 항산화 ALH
포타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용해성 장애 보수 용해성
효소(프로테아제, 리파아제, 등) 안정성 박리 ALHWM
UVA/UVB 흡수제 용해성(약간), 향 UV 감쇠 LHM
아피제닌 세포 보호 L
비타민 E 색, 안정성 항산화 LAH
포도씨 추출물 색, 안정성 항산화, 항엘라스타제/콜라게나제 ALHM
루테인 색, 안정성 항산화 ALHWM
리코칼콘 색, 안정성 항염, 미백 ALHWM
루테올린 색, 안정성 항히스타민, 항콜라게나제 ALH
우르솔산 용해성 항엘라스타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아제 저해 ALHM
병풀 추출물 용해성 콜라겐 합성 자극 LHM
지메니닉 애시드 안정성, 색 항염 ALHWM
페룰린산 안정성, 색, 향, 용해성 항산화, 미백, UVA 흡수 ALHWM
아멘토플라본 색 용해성 항염 ALH
디하이드록시아세톤 색, 향, 제제 상용성 태양이 필요없는 태닝제 ALHWM
FD&C 블루#1(애시드 블루) 및 기타 색, 제제 상용성 염료 ALHM
공액된 리놀레이트(CLA) 색, 향, 제제 상용성 EFA, 지방분해 ALHW
에센셜 오일 및 아로마 오일과 같은 다양한 향수 성분 색, 향, 제제 상용성 감각기관적, 아로마테라피적 ALHWM
살리실산 및 유도체 제제 상용성, 용해성 각질용해, 항-여드름 AHWM
1,3-베타 클루칸(1'6') 제제 상용성, 용해성 상처 치료제 AHM
트리클로산 제제 상용성, 용해성 항균제 LHM
본원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의 유효량은 선택되는 활성 제제 및 원하는 화장적 이점에 따라 달라질 것이나, 통상적으로 선택된 물질에 대한 공지된 활성 제제의 농도 범위에 속하거나, 몇몇 경우에서는, 더 큰 보류 활성으로 인하여 더 낮을 수도 있다. 종합적인 가이드라인으로서, 그 범위는 전형적으로 총 조성물의 0.001 중량% 내지 5 중량%가 될 것이다. 예로서,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히노키티올의 유효량은 0.001% 내지 0.5%,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3%,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이다. 또다른 예로서, 식물 추출물과 같은 항산화제의 유효량은, 0.001% 내지 2%, 바람직하게는 0.01 % 내지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 내지 1 %이다. 각각의 활성이 그밖의 다른 활성 제제의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는한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본원 발명의 시스템에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당업자는 상이한 활성 제제의 불안정성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허용가능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러한 조합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 발명의 시스템의 또다른 성분은 수용성 폴리머 필름인데, 이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편입시킨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필름-형성 제제를 포함한다. 놀랍게도, 수용성 폴리머 필름은 편입되기 전 불안정성에 기여하는 모든 요인들로부터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보호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성 폴리머 필름은 어떠한 물 또는 물-기초 성분들도 함유하지 않음으로써, 전형적인, 물-함유 화장용 매질 안에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편입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직면하는 용해성 및 안정성 문제를 해결한다.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폴리머 필름의, 피부를 접촉하는 면으로 편입된다. 피부에 수용성 폴리머 필름을 적용하고 후속하여 필름을 분리시킬 때,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실질적으로 변성되지 않은 상태로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원하는 화장적 이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수용성 폴리머 필름은 본래 점착성이거나 끈끈하거나/접착성이어서, 수용성 폴리머 필름을 피부에 처리할 때 그 필름이 피부에 접착할 수 있어야 한다.
점착성의, 수용성 폴리머 필름을 생성할 수 있는 수용성 필름-형성 제제의 예에는 콜라겐 유도체,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컨대,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에테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풀루란, 비닐 파이롤리돈의 호모- 및 코폴리머, 예컨대, PVP 또는 PVP/PVA 코폴리머; 폴리비닐 알콜과 같은 비닐 알콜의 호모- 또는 코폴리머, 아크릴릭 및/또는 메트아크릴릭 애시드의 호모- 또는 코폴리머, 및 이들의 염 및 에스테르, 전분 및 이들의 유도체, 또는 잔탄 검, 검 아라비카, 구아 검, 카로브 빈 검, 셀룰로오스 검과 같은 검, 알긴산, 식물성 단백질, 셸락, 크로톤산 폴리머, 아디프산 폴리머 또는 카라기난,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수용성 필름-형성 제제로부터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당해 분야에 공지이다.
하나 이상의 수용성 폴리머 필름-형성 제제는 조합하여 사용되어, 불안정한 활성 제제가 편입되어 있는 제 1층을 형성할 수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적어도 두 층의 폴리머 필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수용성 폴리머 필름은 또한 최종 조성물에 물리적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그에 의해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편입시키는 접착성 수용성 필름에 대하여 더 많은 윤활성 및 퍼짐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필름은 피부에 대한 조성물의 용해성을 저해하지 않는 양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제 2 수용성 폴리머 필름은 두 개의 개별층들이 유지될 수 있도록 활성 제제를 함유하는 제 1 수용성 폴리머 필름과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유용한 수용성 필름-형성 제제의 예에는 폴리에틸렌,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친수성 실록시실리케이트, 친수성 실리콘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본 리스트에서 체크)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 이상의 수용성 필름-형성 제제는 수용성 폴리머 필름의 제 2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제 2층의 제제 각각은 두 개의 별개의 층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 1 층의 수용성 필름-형성 제제와 상이하여야 함을 유념하여야 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제 1 접착성 필름층의 수용성 필름-형성 제제는 습식 조성물 중량의 3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75%,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의 양으로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제 2 필름층의 수용성 필름-형성 제제는 습식 조성물 중량의 2%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6% 내지 30%의 양으로 존재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편입시킨 수용성 폴리머 필름의 제 1층은 필름을 주조하기 위한 용액으로 제조된다. 이 용액은 소량의 수용성 필름 형성 폴리머를 물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선택된 유효량의 불안정한 활성 제제 성분은 생성되는 용액에 직접 첨가된다. 이후 용액은 균일하게 혼합되고, 예를 들면, 깨끗한 세라믹 타일 플레이트 또는 그밖의 다른 적절한 표면 위에 부어지고, 용액의 균일한 코팅이 이루어질 때까지 플레이트 위에서 압연된다. 이 플레이트는 물의 증발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오븐에서 베이크되거나 (불안정한 활성 제제가 내열성인 경우), 상업적 휴대용 헤어 드라이어와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수단으로 건조되거나, 팬으로 밤새도록 건조되어, 필름에 용액 코팅을 만든다. 건조 방법은 사용되는 활성 제제 및 물에 대한 활성 제제의 반응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면, 더욱 물에 민감한 활성 제제들을 함유하는 필름은 즉시 건조될 것이지만, 물에 안정한 활성 제제들은 밤새도록 건조될 수 있다. 수용성 폴리머 필름은 필름이 본질적으로 건조된 상태이며 2%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의 물을 함유할 수 있도록 건조된다.
두 층의 조성물을 제조할 때, 제 2 수용성 폴리머 필름층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제 1 수용성 폴리머 필름에 있는 활성 제제의 반대면에 인접하여 부착되어, 제 2 폴리머 필름은 활성 제제를 저해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수용성 폴리머 필름층 및 제 2 수용성 폴리머 필름층 모두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된다. 그 후, 제 2 수용성 폴리머 필름층은 제 2 수용성 폴리머 필름층을 압연 적층함에 의하여와 같은, 폴리머 층을 생성하기 위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 1 수용성 폴리머 필름층 위에 접착되어, 제 1 층에 인접하게 접착됨으로써, 두 개의 개별 층을 생성한다. 제 2 수용성 폴리머 필름층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 1 수용성 폴리머 필름층 위에 압연 적층될 수 있다.
이후 생성된 수용성 폴리머 필름 조성물은 사이즈에 맞게 절단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필름 조성물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또는 호일 패킷 형태로, 패치 형태로, 또는 그밖의 다른 보호성 동봉의 형태로 더욱 포장될 것이다. 사용자의 손에서, 패치는 피부에 처리되고, 여기서 패치는 이하 설명되는 수단에 의하여 재용해된다. 생성된 제 1 수용성 폴리머 필름 조성물층의 예는 아래 실시예 1에 제공되어 있다. 생성된 제 2 필름 조성물 층의 예는 아래 실시예 2에 제공되어 있다.
전술한 단락에서는 수용성 폴리머 필름 내부로 편입된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기본적인 원소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필름에 그밖의 다른 원소들을 편입시키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원 발명의 수용성 폴리머 필름 조성물은 수용성 필름-형성 폴리머에 추가적인 윤활 및 퍼짐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안에 편입되는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소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저해하지 않는 물질이 될 수 있다. 가소제가 사용되는 경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가소제와 수용성 필름 형성 폴리머가 상기 설명한 방법을 사용하여 건조되기 이전에 가소제로 직접 편입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의 필름 형성 폴리머를 위한 가소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물질들의 비제한적인 리스트에는 디이소부틸 아디페이트, 아세틸 트리-n-부틸 티트레이트, 디(2-에틸 헥실) 아젤레이트, 2-에틸 헥실 디페닐 포스페이트, 디이소옥틸 이소프탈레이트, 이소옥틸 벤질 프탈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트리-2-에틸 헥실 트리멜리테이트, N-옥틸 네오펜타노에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콜로이드 흄드 실리카 (Cabot Corp.사가 판매하는 Cab-O-Sil®와 같은), 및 대부분의 향수 물질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소제는 1,3 부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올인데, 최소의 농도로 가소 효과를 제공하는 이것의 공지된 성질 때문이다.
가소제가 사용되는 경우, 가소제는 습식 조성물의 0.0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가장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5%의 양으로 존재한다.
당업자는 전술한 성분들이 본원 발명의 필름의 바람직한 원소들을 대표하지만, 화장적/치료적 효과를 구성하는 그밖의 다른 선택적 원소들도 포함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선택적 원소들은 불안정한 활성 제제의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선택되며, 몇몇 경우에서는 활성 제제의 안정성을 바람직하게는 증진시킬 것이다. 이러한 선택적인 성분들에는 안정화제, 보존제, 계면활성제, 유화제, 염료 및 그밖의 다른 비-불안정성 활성 제제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의 부가적인 성분으로서, 습식 용액 또는 첨가 용액이 사용된다.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물 또는 대기와 같은 요인들에 노출될 때 비교적 불안정하므로, 이러한 불안정한 활성 제제들은 활성 제제들이 피부로 전달될 때까지 이러한 요인들로부터 보호되는 것이 권고된다. 그러나, 피부 위에서 기능하기 위하여, 수용성 폴리머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적심 용액 또는 활성화제인 첨가 조성물로 습윤된다. 첨가 조성물은 활성 제제가 피부로 전달되기 이전에 조성물이 불안정한 활성 제제의 불안정성에 기여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수용성 폴리머 필름과 별도로 제공된다. 첨가 조성물은 수용성 폴리머 필름을 습윤시켜, 불안정한 활성 제제가 피부를 접촉할 때 그것이 수용성 폴리머 필름을 녹이면서 피부에 전달된다.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자의 피부에 실제 적용되는 순간까지 필름의 일부로서 비교적 안정한 상태로 보유된다.
첨가 조성물은 사용되는 수용성 폴리머 필름의 상대적 수용성 및 본원 발명의 조성물에 있는 부가적 성분들의 성질에 따라 통상적인 물 또는 폴리올과 같은 물과 혼화가능한 성분들 또는 첨가 성분들과 같은 간단한 조성물이 될 수 있다. 첨가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필름 안에 있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방출하기 위하여 필름을 처리할 때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운반하면서 필름을 습윤시킬 수 있다.
첨가 조성물은 첨가제와 활성 제제가 첨가 조성물의 수성 성질을 저해하는 성질이 아니거나 이러한 성질을 저해하는 양으로 사용되지 않는 한 수많은 첨가제 및 활성 제제를 유리하게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에는 연마제, 흡착제, 향수, 안료, 착색제/염료, 에센셜 오일, 스킨 센세이트, 아스트린젠트, 등과 같은 감각적 성분들, 항-여드름제, 항-케이크제, 소포제, 항균제, 항산화제, 결합제, 생물학적 첨가제, 완충제, 벌크제, 킬레이트제, 화학적 첨가제, 착색제, 화장용 아스트린젠트, 화장용 살생제, 변성제, 약물 아스트린젠트, 외용 진통제, 조성물의 필름 형성 성질 및 지속성을 돕기 위한 폴리머와 같은 필름 형성제 또는 물질, 불투명화 제제, pH 조절제, 추진제, 환원제, 담즙산, 피부 표백 및 미백제, 피부-컨디셔닝 제제 (예컨대, 보습제, 연화제 또는 습윤제), 피부 진정제 및/또는 치료제, 피부 처리제, 증점제, 및 비타민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TFA Cosmetic Ingredient Handbook, Tenth Edition (2004)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은 성분 분류들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편리한대로 분류되어 있지만, 본원에 유용한 활성 제제들은 몇몇 경우에서는 하나 이상의 이점을 제공하거나 하나 이상의 작용 방식을 통하여 작동할 수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원에 있는 분류는 편의상 이루어진 것이며, 나열되어 있는 특정한 적용에 활성 제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첨가 조성물에서 유용한 첨가 성분들의 더욱 구체적인 예에는 레티놀과 같은 레티노이드, 및 이들의 에스테르, 산, 및 알데히드; 아스코르브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및 금속 염, 토코페롤 및 이들의 에스테르 및 아미드 유도체; 상어 연골; 유단백질; 알파- 또는 베타-하이드록시 산; DHEA 및 이들의 유도체; 국소적 심혈관 제제; 클로트리마졸, 케토코나졸, 미코노졸, 그리세오풀빈, 히드록시진, 디펜하이드라민, 프라목신, 리도카인, 프로카인, 메피바카인, 모노벤존, 에리쓰로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클린다마이신, 메클로사일린(meclocyline), 하이드로퀴논, 미노사일린, 나프록센, 이부프로펜, 테오필린, 크로몰린, 알부테롤, 하이드로코르티손, 하이드로코르티손 21-아세테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 17-발러레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 17-부티레이트, 베타메타손 발러레이트,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트리아미놀론 아세토나이드, 플루옥시노나이드, 클로베타솔, 프로프리오네이트, 벤조일 퍼옥사이드, 크로타미톤, 프로프라놀, 프로메타진,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본원 발명의 시스템 제제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는 히노키티올과 같은 활성 제제를 편입시킨 미백 제품으로서 사용되는 피부 캐어 패치이다.
첨가 조성물에 있는 성분들은 수용성 필름 형성 폴리머에서 불안정한 활성 제제로서 확인된 제제들과 부분적으로 중복될 수도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그러나, 첨가 조성물 중의 활성 제제는 화장용 제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사용되며, 본원 발명의 시스템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이, 비교적 더 우수한 보호 상태로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함에 의하여 제공되는 놀라운 효과적인 화장적 이점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키트
불안정한 활성 제제 및 첨가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 개의 필름 요소들을 포함하는 본원 발명의 시스템은 별개의 요소들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필름을 피부에 처리할 수 있으며, 그 후 간단히 물을 가볍게 덧바르거나, 물-기초 에멀젼 또는 토너와 같이 필름을 용해시킬 수 있는, 별도로 수득되는 첨가 화장용 조성물을 처리함으로써 필름을 용해시킬 수 있다. 그러나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최종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시스템은 키트, 즉, 첨가 조성물을 함유하는 별도의 용기와 결합되어 있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함유하는 수용성 필름 모두를 함유하는 단위 패키지로서 제공된다. 단위 패키지는 박스, 깡통, 판지 실린더, 또는 성분들을 함께 편하게 묶을 수 있는 수축 랩이 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패키지는 환경적 요인들에 대한 노출을 감소시킴으로써 성분들을 더욱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채택될 수 있는데, 즉, 빛에 대한 노출을 피하기 위하여 패키지는 밀폐되거나 어두워질 수 있다. 또한 패키지에 제공되는 원소들은 상이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은 편리한 디스펜서로 제공되거나, 플라스틱, 호일, 종이, 셀로판, 또는 글라신지 패킷 또는 패치 형태의 외피에 개별적으로 포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유체 성질인 첨가 조성물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병 (예컨대, 압착 또는 붓는 병, 또는 에어로졸 또는 비-에어로졸 펌프), 또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단지, 또는 유체 조성물을 보유하기에 적합한 그밖의 다른 용기에 포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한 사용 방법
본원 발명의 시스템과 키트는 수많은 이점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편입시킨 수용성 폴리머 필름은 피부에 적용되고 첨가 조성물을 사용하여 재습윤 시킴으로써,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안정한 형태로 피부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스템 및/또는 키트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피부에 전달하는 탁월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운반하는 필름은 필요한 처리를 수용하기 위하여 어떠한 형상 또는 크기로도 제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반점 처리를 위해 적절한 형상의 필름이 사용되거나 보다 큰 부위의 처리를 위해 마스크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는 미백 효과를 제공하는 활성 제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또는 키트의 사용이다. 미백 조성물을 전체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보다, 필름 패치가 노인성 반점 또는 변색된 부위에 직접 미백제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히노키티올, 코직산, 하이드로퀴논, 아스코르브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및 아스코르빌 글루코시드와 같은 미백제가 필름으로 편입되고, 첨가 조성물을 사용하여 습윤되어, 미백제가 필요한 피부 부위에 미백제를 전달할 수 있다.
시스템 및/또는 키트는 눈의 귀퉁이, 윗 입술, 및 예를 들면, 노화 방지 또는 주름 방지 처리와 같은 집중적 직접 처리가 필요한 그밖의 다른 부위들과 같은 다양한 피부 부위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원 발명의 시스템 및/또는 키트의 더욱 바람직한 용도는 반점 주름 처리를 위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주름 방지 활성 제제를 함유하는 패치는 처리될 부위, 예를 들면, 눈가의 잔주름, 눈 밑, 입술 주위, 목 부위, 이마 위의 깊은 주름살, 및 이마 부위에 직접 처리될 수 있다. 불안정한, 주름 방지 또는 노화 방지 활성 제제의 예에는 레티노이드, 비타민 C, 2-하이드록시알카노익 애시드, 프로스타글란딘, 세라마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가 있다.
가능한 활성 제제 및 해당 이점들의 비제한적인 열거가 상기 표 1에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불안정한 활성 제제가 본원 발명의 키트 안에 포함되는 경우, 활성 제제들은 각각의 특별한 불안정한 활성 제제의 공지된 유효 사용량을 전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편입될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원 발명을 더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원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편입시킨 본원 발명의 수용성 폴리머 필름은 아래 표 2에 제공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표 2는 필름을 건조시키기 이전에, 조성물의 원소들의 중량 백분율을 제공한다.
성분 CTFA 명칭 백분율
메토셀 K4M 프리미엄 셀룰로오스 에테르 2.00%
1,3-부틸렌 글리콜 1,3 부틸렌 글리콜 2.00%
녹차 폴리페놀 폴리페놀 0.5%
탈이온수 정제수 Q/s
실시예 2
아래 표 3에 나타나있는 조성들은 본원 발명의 대안적 구체예의 실시예를 제공하는데, 이 구체예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편입시킨 제 1 접착성의 수용성 폴리머 필름층 및 제 1층에 인접하여 접착된 제 2 수용성 폴리머 필름층을 제공한다. 이 패치는 주로 피부 미백을 위한 것이다. 원소들의 중량 백분율은 최종, 건조된 조성물에서의 양을 나타낸다.
활성화제 또는 첨가 조성물의 예가 아래 표 4에 제공되어 있다. 조합된 표 3과 표 4의 조성물은 본원 발명의 시스템 및 키트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폴리머 필름 조성물
성분 기능 화학명 백분율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함유하는 접착성 수용성 필름 형성층
PVP 접착성 필름층 폴리비닐파이롤리돈 47.558900
폴리비닐 알콜 접착성 필름층 폴리비닐 알콜 4.750000
정제수(AQUA PURIFICATA) 1.797700
동백나무 잎 추출물 불안정한 활성 제제 녹차 추출물 1.050300
히노키티올 불안정한 활성 제제 히노키티올 0.100000
디소듐 EDTA 킬레이트제 0.040000
소듐 술파이트 안정화제 0.040000
부틸렌 글리콜 가소제 0.035000
프로필렌 글리콜 가소제 0.025000
큐큐미스 새티버스 푸룻 추출물 불안정한 활성 제제 오이 추출물 0.010000
파이루스 말루스 푸룻 추출물 불안정한 활성 제제 사과 추출물 0.010000
황금 추출물 불안정한 활성 제제 0.0020000
블루 1(CI 42090) 불안정한 활성 제제 0.001100
제2 필름 형성층
PEG-9 제2필름 형성-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41.350000
세테스-10 계면활성제 3.040000
글리세린 가소제 글리세린 0.150000
첨가 조성물
성분 화학명 백분율
레드 토르말린 토르말린 0.0050
메틸 파라벤 NF 메틸 파라벤 0.3000
디소듐 EDTA/트릴론 BD 디소듐 EDTA 0.1000
카페인 분말 카페인 0.2000
슈크로스, 울트라 퓨어 슈크로스 2.0000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HMW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0.0900
AS-G 분말 아스코르빌 글루코시드 2.0000
가성 소다 30% 물/소듐 하이드록사이드 0.7500
트윈 40 폴리소르베이트 40 2.5000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18-베타) 글리시레티닉 애시드 0.0500
실리콘 200(100 CTS.) 디메치콘 5.0000
다우 코닝 245 플루이드 시클로펜타실록산 15.0000
미리스틸 알콜 M-43 미리스틸 알콜 1.2500
에머레슨스 1160(로즈 에테르) 페녹시에탄올 0.7000
알파 비사보롤 네추럴 비사보롤 0.1000
GRASNOW-HP 하이드롤라이즈드 라이스 추출물 0.1000
INFLAN-ATM 용담뿌리 추출물 0.1000
이스트 추출물 AE 이스트 추출물 1.0000
N-아세틸-D-글루코사민 아세틸 글루코사민 0.1000
ACTIPHYTE OF THYME BG50P 부틸렌 글리콜/물/백리향(타임) 추출물 0.1000
은행 추출물 HS 2464 G/A 은행잎 추출물 0.0100
하이드롤라이트 5, 2/016020 펜틸렌 글리콜 2.0000
SANGUIIN BR-25 버넷(오이풀) 추출물 0.0100
ABSCENT DEODORIZING POWDER 2000 제올라이트 0.2500
피부 미백 블렌드 3ELN 검은뽕(멀베리) 뿌리 추출물/황금추출물/비티스 비니페라(유럽종포도 추출물) 1.0000
SEPIGEL 305 폴리아크릴아미드/C13-14 이소파라핀/라우레쓰-7 3.0000
FRAGRANCE RL-1797 향수 0.1650
SEPIGEL 305 0.5000
탈이온수 정제수 Q/s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본원 발명의 시스템의 용도 및 성능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2개월의 제품 사용으로 구성되는 대조 연구이다. 테스트 부위는 선택된 여성 패널리스트의 얼굴이다. 여성은 제공되는 테스트 제품을 제외하고, 테스트 기간 동안 테스트 부위에 어떠한 제품도 처리하지 말 것을 지시받는다. 처리전 (바셀린), 및 처리 과정 중 2주, 4주 및 8주 후 평가가 수행된다.
여성은 아침에 하루에 한 번 얼굴의 한쪽에 상기 표 3에 설명된 조성물의 패치 2개를 부착할 것을 지시받는다. 패치는 15 내지 30초 동안 피부 위에 견고하게 압착된다. 탭을 부드럽게 다시 떼어내고, 푸른색의 활성 필름을 얼굴 위에 남긴다. 상기 표 4에 설명되어 있는 첨가 조성물을 가볍게 두드려 각 패치에 적용하고, 필름이 용해하여 피부 속으로 흡수될 때까지 10 내지 15 주기 동안 피부 속으로 융합한다. 테스트 날, 여성은 측정하기 전에 적어도 12시간 동안 제품을 처리하지 않는다. 제품 사용을 매일의 다이어리로 모니터하고, 연구가 끝날때 남아있는 패키지 함량을 평가한다.
피부 톤 연구:
연구 시작시, 각 패널리스트의 볼 위에 피부 톤을 측정할 특정 부위를 표시한다. 얼굴의 특정 부분의 이미지를 640x320 (대략 1 sq. cm.)의 분해능의 광섬유 현미경 (Scalar, Vacaville, CA)을 사용하여 수득한다. 각 볼에서 세 개의 이미지를 기록한다. 최초 방문 후 매번 동일한 부위를 사진찍는다. 저장된 RGB 이미지를 디지털화하고,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 Optimas 6.51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세 가지 색상 채털의 각각의 평균 명암도의 표준 편차를 결정한다. 이것은 사진에서의 변화량을 색상으로 측정한 것이다. 제품이 저녁때의 피부 색에 유효한 경우, 명암도 변화의 감소 및 부수물 감소가 존재할 것이다.
노인성 반점 연구:
연구 시작시, 각 패널리스트의 볼 또는 손 위에 노인성 반점을 보이는 특정 부위를 표시한다. 얼굴 또는 손의 특정 부위 이미지는 2Ox 배율의 광섬유 현미경 (Hi-Scope)을 사용하여 수득한다. 각 패널리스트 당 세 개의 노인성 반점이 선택된다. 최초 방문 후 매번 동일한 부위를 사진찍는다. 저장된 RGB 이미지를 디지털화하고,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 Optimas 6.51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저장된 RGB 이미지를 디지털화하고 분석하여 해당 노인성 반점의 평균 명암도 (즉, 밀도) 및 면적을 결정한다. 제품이 노인성 반점의 출현을 감소시키는데 유효한 경우, 명암도(밀도)의 증가 및 반점 면적의 감소가 일어날 것이다.
피부 미백 연구:
피부 미백이 평가되고 접근 사진으로 기록된다. 오른쪽과 왼쪽 얼굴 볼의 사진을 Nikon M3 디지털 카메라로 찍는다. 패널들의 머리는 자세의 반복을 확보하기 위하여 머리받침에 둔다. 32의 F 스탑에 있는 패널리스트로부터 2피트 떨어뜨려 카메라를 둔다. 사진으로부터 모든 섬광을 제거하기 위하여 교차 편광 렌즈를 사용한다. 사진은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 Optimas 6.51을 사용하여 평가되고, 제품을 사용하기 전과 사용한 후를 비교한다. 각 사진에서 세 가지 색상 채널(RGB)의 평균 명암을 결정함으로써 미백을 분석한다. 제품이 피부 미백에 효과적이라면, 명암도의 증가가 있을 것이다.
아래 표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키트는 측정 기준에 비하여, 피부 톤을 평균 46%만큼 현저히(p<0.05) 개선시켰으며, 노인성 반점의 출현을 평균 44% 만큼 감소시키고, 제품 사용 8주 후 예비-처리에 비하여 평균 36% 만큼 피부 미백을 개선하였다.
개선 백분율
항목: 2주 4주 8주
피부 톤 32% 41% 46%
노인성 반점 25% 38% 44%
미백 21% 31% 36%
실시예 4
17명의 다른 여성들로 구성된 새로운 패널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연구가 표 3과 4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반복된다.
아래 표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시스템은 기준 평가선에 비하여 49% 만큼 피부 톤을 개선시켰으며, 노인성 반점의 출현을 47% 만큼 감소시키고, 피부 미백을 40% 만큼 개선하였다.
개선 백분율
항목: 2주 4주 8주
피부 톤 39% 47% 49%
노인성 반점 29% 42% 47%
미백 30% 37% 40%
수용성 폴리머 필름으로 편입되는 유효량의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상기 수용성 폴리머 필름을 용해시킬 수 있는 첨가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에 유효량의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키트 및 방법.

Claims (51)

  1. 다음을 포함하는, 피부에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하는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폴리머 필름으로 편입되는 유효량의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수용성 폴리머 필름을 용해시킬 수 있는 첨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항산화제, 항노화제, 미백제, UV-보호제, 스킨 컨디셔닝 제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녹차 추출물, 백차 추출물, 레드티(red tea) 추출물, 홍차(black tea) 추출물, 감초 추출물, 파이토스핑고신, 에틸비스이미노메틸구아이아콜 망가니즈 클로라이드, 흰 자작나무 추출물, 히노키티올, 커피 추출물, 백복신 버섯 추출물, 아스코르브산, 시에즈베키아, 로즈마리 추출물, 실리마린, 유향 추출물, 유비퀴논, 레티놀, 레스베라트롤, 포타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프로테아제 효소, 리파아제 효소, 아피제닌, 비타민 E, 포도씨 추출물, 루테인, 리코칼콘, 루테올린, 우르소산, 병풀 추출물, 지메니닉 애시드(ximenynic acid), 페룰린산, 아멘토플라본, 디하이드록시아세톤, 공액된 리놀레이트, 살리실산, 1, 3-베타 글루칸, 및 트리클로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히노키티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폴리페놀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은 녹차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둘 이상의 폴리머 필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름은 피부-접착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피부-접착성 필름으로 편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제 2 폴리머 필름이 상기 피부-접착성 필름에 인접하게 접 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필름은 단지 0.1% 내지 2%의 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머 필름은 콜라겐 유도체, 셀룰로오스 유도체, 풀루란, 비닐 파이롤리돈의 호모- 및 코폴리머, 비닐 알콜의 호모- 또는 코폴리머, 아크릴릭 및 메트아크릴릭 애시드의 호모- 및 코폴리머, 및 이들의 염 및 에스테르, 전분 유도체, 검, 알긴산, 식물성 단백질, 헬락, 크로톤산 폴리머, 아디프산 폴리머, 카라기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 조성물은 펩티드, 파르네솔, 비사보롤, 피탄트리올, 글리세롤, 유레아, 구아니딘, 비타민 및 이들의 유도체, 썬스크린, 리소르시놀, 살리실산, 파이토스테롤, 리포산, 플라보노이드, 알로에 베라 추출물, 알란토인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활성 제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 1항의 시스템을 함유하는 단위 패키지를 포함하는, 피부에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하는 키트.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유효량의 항산화제, 항노화제, 미백제, UV-보호제, 스킨 컨디셔닝 제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유효량의 녹차 추출물, 백차 추출물, 레드티 추출물, 홍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파이토스핑고신, 에틸비스이미노메틸구아이아콜 망가니즈 클로라이드, 흰 자작나무 추출물, 히노키티올, 커피 추출물, 백복신 버섯 추출물, 아스코르브산, 시에즈베키아, 로즈마리 추출물, 실리마린, 유향 추출물, 유비퀴논, 레티놀, 레스베라트롤, 포타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프로테아제 효소, 리파아제 효소, 아피제닌, 비타민 E, 포도씨 추출물, 루테인, 리코칼콘, 루테올린, 우르소산, 병풀 추출물, 지메니닉 애시드, 페룰린산, 아멘토플라본, 디하이드록시아세톤, 공액된 리놀레이트, 살리실산, 1,3-베타 글루칸, 및 트리클로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히노키티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폴리페놀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은 녹차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둘 이상의 폴리머 필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름은 피부-접착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피부-접착성 필름으로 편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3. 제 21항에 있어서, 제 2 폴리머 필름은 상기 피부-접착성 필름에 인접하게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4.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필름은 단지 0.1% 내지 2%의 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머 필름은 콜라겐 유도체, 셀룰로오스 유도체, 풀루란, 비닐 파이롤리돈의 호모- 및 코폴리머, 비닐 알콜의 호모- 또는 코폴리머, 아크릴릭 및 메트아크릴릭 애시드의 호모- 및 코폴리머, 및 이들의 염 및 에스테르, 전분 유도체, 검, 알긴산, 식물성 단백질, 헬락, 크로톤산 폴리머, 아디프산 폴리머, 카라기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 조성물은 펩티드, 파르네솔, 비사보롤, 피탄트리올, 글리세롤, 유레아, 구아니딘, 비타민 및 이들의 유도체, 썬스크린, 리소르시놀, 살리실산, 파이토스테롤, 리포산, 플라보노이드, 알로에 베라 추출물, 알란토인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활성 제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7. 수용성 폴리머 필름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편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건조시켜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머 필름은 콜라겐 유도체, 셀룰로오스 유도체, 풀루란, 비닐 파이롤리돈의 호모- 및 코폴리머, 비닐 알콜의 호모- 또는 코폴리머, 아크릴릭 및 메트아크릴릭 애시드의 호모- 및 코폴리머, 및 이들의 염 및 에스테르, 전분 유도체, 검, 알긴산, 식물성 단백질, 헬락, 크로톤산 폴리머, 아디프산 폴리머, 카라기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항산화제, 항노화제, 미백제, UV-보호제, 스킨 컨디셔닝 제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30.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녹차 추출물, 백차 추출물, 레드티 추출물, 홍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파이토스핑고신, 에틸비스이미노메틸구아이아콜 망가니즈 클로라이드, 흰 자작나무 추출물, 히노키티올, 커피 추출물, 백복신 버섯 추출물, 아스코르브산, 시에즈베키아, 로즈마리 추출물, 실리마린, 유향 추출물, 유비퀴논, 레티놀, 레스베라트롤, 포타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프로테아제 효소, 리파아제 효소, 아피제닌, 비타민 E, 포도씨 추출물, 루테인, 리코칼콘, 루테올린, 우르소산, 병풀 추출물, 지메니닉 애시드, 페룰린산, 아멘토플라본, 디하이드록시아세톤, 공액된 리놀레이트, 살리실산, 1, 3 -베타 글루칸, 및 트리클로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31.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히노키티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32.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폴리페놀임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은 녹차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34.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둘 이상의 폴리머 필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35. 제 3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름은 피부-접착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상기 피부-접착성 필름으로 편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제 2 폴리머 필름은 상기 피부-접착성 필름에 인접하게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3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필름은 단지 0.1% 내지 2%의 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39. 제 27항에 있어서, 필름-형성 제제를 용해시킬 수 있는 첨가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40. 유효량의 불안정한 피부 캐어 활성 제제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폴리머 필름을 포함하는 제 1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을 용해시킬 수 있는 제 2 조성물을 필름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에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하는 방법.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머 필름은 콜라겐 유도체, 셀룰로오스 유도체, 풀루란, 비닐 파이롤리돈의 호모- 및 코폴리머, 비닐 알콜의 호모- 또는 코폴리머, 아크릴릭 및 메트아크릴릭 애시드의 호모- 및 코폴리머, 및 이들의 염 및 에스테르, 전분 유도체, 검, 알긴산, 식물성 단백질, 헬락, 크로톤산 폴리머, 아디프산 폴리머, 카라기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수용성 제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하는 방법.
  42.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항산화제, 항노화제, 미백제, UV-보호제, 스킨 컨디셔닝 제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 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하는 방법.
  43.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녹차 추출물, 백차 추출물, 레드티(red tea) 추출물, 홍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파이토스핑고신, 에틸비스이미노메틸구아이아콜 망가니즈 클로라이드, 흰 자작나무 추출물, 히노키티올, 커피 추출물, 백복신 버섯 추출물, 아스코르브산, 시에즈베키아, 로즈마리 추출물, 실리마린, 유향 추출물, 유비퀴논, 레티놀, 레스베라트롤, 포타슘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프로테아제 효소, 리파아제 효소, 아피제닌, 비타민 E, 포도씨 추출물, 루테인, 리코칼콘, 루테올린, 우르소산, 병풀 추출물, 지메니닉 애시드, 페룰린산, 아멘토플라본, 디하이드록시아세톤, 공액된 리놀레이트, 살리실산, 1, 3-베타 글루칸, 및 트리클로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하는 방법.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히노키티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하는 방법.
  45.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폴리페놀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하는 방법.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은 녹차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하는 방법.
  47.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성물은 둘 이상의 폴리머 필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하는 방법.
  48. 제 4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름은 피부-접착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하는 방법.
  49.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활성 제제는 상기 피부-접착성 필름으로 편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하는 방법.
  50. 제 40항에 있어서, 제 2 폴리머 필름은 상기 피부-접착성 필름에 인접하게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하는 방법.
  5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필름은 단지 0.1% 내지 2%의 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불안정한 활성 제제를 전달하는 방법.
KR1020077001080A 2004-06-22 2005-06-21 용해성 필름 조성물 KR100874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8184204P 2004-06-22 2004-06-22
US60/581,842 2004-06-22
PCT/US2005/021739 WO2006009987A2 (en) 2004-06-22 2005-06-21 Dissolvable film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730A true KR20070024730A (ko) 2007-03-02
KR100874802B1 KR100874802B1 (ko) 2008-12-19

Family

ID=3578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080A KR100874802B1 (ko) 2004-06-22 2005-06-21 용해성 필름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60002987A1 (ko)
EP (1) EP1773366A4 (ko)
JP (1) JP2008503580A (ko)
KR (1) KR100874802B1 (ko)
AU (1) AU2005265249A1 (ko)
CA (1) CA2571553A1 (ko)
WO (1) WO200600998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488A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제닉 스피큘을 포함하는 용해성 필름 및 이의 용도
KR20180069487A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제닉 스피큘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9810B (zh) * 2003-11-07 2014-11-05 美国无烟烟草有限责任公司 烟草组合物
US8627828B2 (en) * 2003-11-07 2014-01-14 U.S. Smokeless Tobacco Company Llc Tobacco compositions
US20070275135A1 (en) * 2005-02-09 2007-11-29 First Flavor, Inc. Taste sampling process and product
MX2007010966A (es) * 2005-03-10 2008-03-12 Mary Kay Inc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agua retenida y agentes retenidos en matrices sensibles al agua.
EP2046359B1 (en) * 2006-06-20 2020-05-27 Izun Pharmaceuticals Corporation Anti-inflammatory dissolvable film
US20080233075A1 (en) * 2007-03-22 2008-09-25 Marina Sokolinsky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tightening
BRPI0811706A2 (pt) * 2007-06-29 2014-09-30 Union Carbide Chem Plastic Película dissolvível de cuidado pessoal e gel
BRPI0811707A2 (pt) * 2007-06-29 2014-09-30 Union Carbide Chem Plastic Película dissolvível para cuidados pessoais
BRPI0811808A2 (pt) * 2007-06-29 2014-11-11 Union Carbide Chem Plastic "película dissolvível para cuidades pessoais e gel"
US20100278886A1 (en) * 2007-06-29 2010-11-04 Wei Hong Yu Personal care dissolvable films
WO2009005814A2 (en) * 2007-07-03 2009-01-08 Marchitto Kevin S Drug-delivery patch comprising a dissolvable layer and uses thereof
DE102007041475A1 (de) * 2007-08-31 2009-03-05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 aus Glycyrrhetinsäure und Erythrulose und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diese Wirkstoffkombination enthaltend
CA2711721C (en) * 2008-01-08 2020-02-11 David Rubi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preserving wine
CH699835B1 (de) 2008-02-07 2010-05-14 Mibelle Ag Wasserdispergierbarer oder wasserlöslicher Polymerfilm als Träger von dermatologischen und kosmetischen Wirkstoffen.
US9233080B2 (en) * 2008-03-27 2016-01-12 Agigma,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delivery of agents
EP2262469A4 (en) * 2008-04-15 2013-12-04 Immanence Integrale Dermo Correction Inc SKIN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090263513A1 (en) * 2008-04-18 2009-10-22 Jan Marini Cosmetic skin lightening formulation
FR2932679B1 (fr) * 2008-06-24 2010-08-27 Oreal Utilisation de l'acide ferulique ou ses derives pour ameliorer l'etat de surface d'une peau alteree.
DE102008002744A1 (de) * 2008-06-27 2009-12-31 Herrmann Ultraschalltechnik Gmbh & Co. Kg Ultraschallschwingeinheit mit Halterung
US20090324693A1 (en) * 2008-06-30 2009-12-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elivery Product for Topical Compositions
KR20110055535A (ko) * 2008-08-04 2011-05-25 닥터. 수버랙 스킨& 헬쓰 케어 아게 지혈제로서 콜레스테릴 설페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EP2174643A1 (en) 2008-10-13 2010-04-14 Johnson & Johnson Consumer France SAS Self tanning compositions containing dihydroxyacetone, a retinoid and ascorbic acid glucoside as a stabilizer
WO2010096598A2 (en) * 2009-02-19 2010-08-26 Elc Management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ermanent shaping of hair
US20100247693A1 (en) * 2009-03-24 2010-09-30 Marini Jan L Cosmetic formulation to treat rosacea telangiectasia
TR200907338A1 (tr) * 2009-09-28 2011-04-21 Yedi̇tepe Üni̇versi̇tesi̇ Doğal bileşenler içeren bir film şeridi.
KR20120009953A (ko) * 2010-07-23 2012-02-02 (주)아모레퍼시픽 아멘토플라본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방지용 조성물
KR20130115309A (ko) 2010-11-22 2013-10-21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국소적 화장품 조성물 내의 레스베라트롤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uv-필터의 용도
TW201313155A (zh) * 2011-09-30 2013-04-01 Chuang Li Jie Technology Co Ltd 乾性面膜組及有機酸乾性面膜
CN103005460A (zh) * 2012-12-04 2013-04-03 吉林博大农林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林蛙油抗衰老食品
KR102142539B1 (ko) 2012-12-11 2020-08-07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복합체 형성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경구 섭취용 조성물
WO2014159798A1 (en) 2013-03-13 2014-10-02 Avery Dennison Corporation Improving adhesive properties
KR101835950B1 (ko) * 2013-06-19 2018-04-19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피부 위의 과색소침착된 스폿 미백을 위한 방법, 조성물 및 키트
US9237831B1 (en) 2013-08-22 2016-01-19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Water soluble sheet soap in a waterless pump bottle, ready to make a foam cleanser by adding water
EP3089854B1 (en) 2013-12-31 2018-11-21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Single-pass process for forming a multilayered shaped film product, product and apparatus
RU2700870C2 (ru) 2013-12-31 2019-09-23 Джонсон энд Джонсон Консьюмер Инк. Способ формования пленочного продукта
WO2015103030A1 (en) 2013-12-31 2015-07-09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Process for forming a multi layered shaped film
US20160367491A1 (en) * 2015-06-22 2016-12-22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ethod for providing a benefit to skin
CN105106181A (zh) * 2015-09-23 2015-12-02 成都艾比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水杨酸普鲁兰多糖涂膜剂及其制备方法
US10813435B2 (en) 2018-06-06 2020-10-27 Janet Kranes Device for tightening loose neck ski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21026565A1 (en) * 2019-08-07 2021-02-11 Mary Kay Inc. Dissolvable vitamin c and retinol film
KR102572527B1 (ko) * 2023-06-02 2023-08-31 광동제약 주식회사 글루타치온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
CN117426999B (zh) * 2023-10-23 2024-05-28 王叔和生物医药(武汉)有限公司 一种可循环抗氧剂高效递送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8373A (en) * 1976-02-26 1980-02-12 Cooper Laboratories, Inc. Clear, water-miscible, liquid pharmaceutical vehicles and compositions which gel at body temperature for drug delivery to mucous membranes
US4990339A (en) * 1987-11-16 1991-02-05 H. B. Fuller Company Dermal treatment film
ES2141168T3 (es) * 1992-09-10 2000-03-16 Mcneil Ppc Inc Aposito para herida de espuma liofilizada.
US5466718A (en) * 1993-04-02 1995-11-14 Takasago Institute For Interdisciplinary Tyrosinase inhibitors
AU7568394A (en) 1993-08-19 1995-03-14 Cygnus Therapeutic Systems Water-soluble pressure-sensitive mucoadhesive and devices provided therewith for emplacement in a mucosa-lined body cavity
JP3595069B2 (ja) 1995-06-27 2004-12-02 花王株式会社 シート状入浴剤組成物
EP0750905B1 (en) 1995-06-27 2003-01-02 Kao Corporation Patch comprising water soluble adhesive sheet
JP3595056B2 (ja) * 1996-02-09 2004-12-02 花王株式会社 シート状化粧料組成物
JPH09295929A (ja) * 1996-05-02 1997-11-18 宰賢 ▲べ▼ 皮膚皺除去用皮膚粘着型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GR1002807B (el) * 1996-06-20 1997-11-13 Lavipharm A.E. Συστημα για την τοπικη θεραπεια της ακμης και μεθοδος παραγωγης του
ATE217519T1 (de) * 1996-07-02 2002-06-15 Procter & Gamble Hautaufhellungszusammensetzung
US5800832A (en) 1996-10-18 1998-09-01 Virotex Corporation Bioerodable film for delivery of pharmaceutical compounds to mucosal surfaces
DE19646392A1 (de) * 1996-11-11 1998-05-14 Lohmann Therapie Syst Lts Zubereitung zur Anwendung in der Mundhöhle mit einer an der Schleimhaut haftklebenden, Pharmazeutika oder Kosmetika zur dosierten Abgabe enthaltenden Schicht
US6139856A (en) * 1997-12-11 2000-10-31 Biomedical Development Corp. Composition useful for providing one-step surgical preparation and drape
MY119945A (en) 1998-03-30 2005-08-30 Asahi Chemical Ind Process for producing hinokitiol.
JP2000003598A (ja) 1998-06-15 2000-01-07 Nec Corp ブースト回路及びこれを備える半導体記憶装置
DE19917388A1 (de) 1999-04-16 2000-10-19 Merck Patent Gmbh Pigmentmischung
US6248341B1 (en) * 2000-01-14 2001-06-19 Color Access, Inc. Method of treating topical angiogenesis-related disorders
US6497887B1 (en) 2000-04-13 2002-12-24 Color Access, Inc. Membrane delivery system
FR2810238B1 (fr) * 2000-06-15 2002-07-19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filmogene
US20020192287A1 (en) * 2000-11-09 2002-12-19 Mooney Mark T. Extrudable compositions for topical or transdermal drug delivery
MXPA03008100A (es) * 2001-03-07 2003-12-12 Procter & Gamble Composicion topica que comprende un agente cosmetico enlazante con base de compuesto ciclico de tres miembros.
US20020187181A1 (en) * 2001-05-14 2002-1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for delivering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JP2003073250A (ja) * 2001-08-29 2003-03-12 Asahi Kasei Corp シート状美白化粧料
CA2473967C (en) * 2001-10-12 2011-06-14 Monosolrx Llc Thin film with non-self-aggregating uniform heterogeneity,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drug delivery systems made therefrom
US20030235606A1 (en) * 2002-06-21 2003-12-25 Nussen Kenneth H. Oral hygiene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oral hygiene products
US20030235630A1 (en) * 2002-06-21 2003-12-25 Nussen Kenneth H. Dental hygiene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dental hygiene products
US20040180077A1 (en) * 2003-03-05 2004-09-16 Riker Donald K. Rapidly dissolving edible strips for treating obesity
FR2868949B1 (fr) * 2004-04-19 2006-06-09 Oreal Kit de formulation d'un produit cosmetiqu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488A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제닉 스피큘을 포함하는 용해성 필름 및 이의 용도
KR20180069487A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제닉 스피큘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3366A4 (en) 2009-11-11
US8673345B2 (en) 2014-03-18
US20060002987A1 (en) 2006-01-05
CA2571553A1 (en) 2006-01-26
AU2005265249A1 (en) 2006-01-26
EP1773366A2 (en) 2007-04-18
JP2008503580A (ja) 2008-02-07
WO2006009987A3 (en) 2006-09-28
US20080102103A1 (en) 2008-05-01
WO2006009987A2 (en) 2006-01-26
KR100874802B1 (ko) 200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802B1 (ko) 용해성 필름 조성물
US11752084B2 (en) Methods for fat reduction or elimination of lipid droplets
KR101179900B1 (ko) 집중 케어와 총체적 트리트먼트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트리트먼트 용품
JP5780623B2 (ja) 肌の手入れ用のすすぎ洗い可能なマスク型化粧品組成物
EA023290B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способ и топ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моложения, регенерации и упрочнения кожи во время сна
WO2013187574A1 (ko)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US9468597B1 (en) Stabilized L-ascorbic acid skin serum
ES2829524T3 (es) Composiciones de limpieza
US20180092816A1 (en) Topical Hydrogen-Containing Skin Care Products
WO2012130979A2 (en)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fluenc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n cutaneous extracellular matrix protein production
EP3006016A1 (en) Dermatological kit comprising compositions based on Hibiscus flower and Buriti oil
JP2007332078A (ja) オゾン溶存グリセリン溶液を含む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医薬品)等の外用剤
US20220015992A1 (en) Topical composition using a two-part form factor
JPH06128137A (ja) 化粧料
JP4319850B2 (ja) 皮膚外用剤
KR102419399B1 (ko) 시카케어 크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4043313A (ja) 皮膚外用剤
CN1253773A (zh) 褪黑素美白护肤化妆品
JP2003040758A (ja) 化粧料
JP2023075542A (ja) 肌荒れ改善剤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JP2001240555A (ja) 美肌用外用剤
KR20240061308A (ko) 입술 피부장벽 기능 및 사용감이 개선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131043A (ja) 化粧料
JP2022166655A (ja) 皮膚化粧料
JP4889069B2 (ja) 保湿剤、美白剤および皮膚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