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527B1 - 글루타치온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글루타치온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527B1
KR102572527B1 KR1020230071867A KR20230071867A KR102572527B1 KR 102572527 B1 KR102572527 B1 KR 102572527B1 KR 1020230071867 A KR1020230071867 A KR 1020230071867A KR 20230071867 A KR20230071867 A KR 20230071867A KR 102572527 B1 KR102572527 B1 KR 102572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solution
weight
parts
mixed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1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운
윤범식
장석훈
정용현
김도희
Original Assignee
광동제약 주식회사
(주)씨엘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제약 주식회사, (주)씨엘팜 filed Critical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71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1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93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제조 방법은 친수성 용매에 수용성 원료를 혼합하여 제1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1 단계, 소수성 용매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제2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혼합액에 상기 제1 혼합액을 점진적으로 첨가하면서, 상기 친수성 용매를 증발시켜 제3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혼합액을 건조 및 절단하여 기능성 필름을 제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글루타치온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Dissolving functional film for cosmetics including glutathion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smetic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글루타치온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화장품은 피부의 외부에 사용되는 제품으로, 피부 관리와 미용을 위해 사용된다. 최근에는 피부의 특정 문제를 개선하거나 피부 건강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화장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은 특정 성분이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피부 표면에 부착되거나 흡수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화장품은 액체 상의 형태로 피부에 흡수되기 전 닦여지거나, 피부에 흡수되지 않고 단순히 피부 상에 남아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기능성 화장품의 효능을 최대한 발휘하기 어렵고, 피부 흡수율이 낮아 효과를 제한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마스크팩과 같이 피부에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부착하여 그 효능을 최대화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 마스크팩을 피부에 붙인 상태로 다른 업무를 보거나, 외출을 할 수 없다는 점 등 사용상의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용해용 필름을 적절히 조제하여 화장품 제조 과정에 통합하고, 제조된 화장품에서 기능성 화장품의 효능을 지속적으로 피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능성 화장품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은 용해용 필름을 적절히 조제하여 화장품 제조 과정에 통합하고, 제조된 화장품에서 기능성 화장품의 효능을 지속적으로 피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능성 화장품용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은 용해용 필름을 적절히 조제하여 화장품 제조 과정에 통합하고, 제조된 화장품에서 기능성 화장품의 효능을 지속적으로 피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능성 화장품용 필름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제조 방법은 친수성 용매에 수용성 원료를 혼합하여 제1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1 단계, 소수성 용매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제2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혼합액에 상기 제1 혼합액을 점진적으로 첨가하면서, 상기 친수성 용매를 증발시켜 제3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혼합액을 건조 및 절단하여 기능성 필름을 제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혼합액의 부피와 상기 제1 혼합액의 부피의 비율이 30:1이 되도록, 상기 제2 혼합액에 상기 제1 혼합액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친수성 용매는 정제수,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디메틸설폭시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소수성 용매는 아르간 오일, 미네랄 오일, 호호바 오일, 실리콘 오일, 세타놀, 베헤닐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코코넛 알칼린 및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성 원료는 글루타치온, 엘라스틴, 콜라겐, 풀루란, 히알루론산, 니아신아마이드, 비타민 C, 그린티 추출물, 알로에 베라 추출물, 판테놀, 아데노신, N-아세틸 시스테인, 알파 리포산, 비타민 E, 코엔자임 Q10, 알란토인, 메트릭실, 아르지렐린, 레티놀 및 아자엔카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 솔발라이저, 소듐 라우릴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 코코설페이트, 소듐 코코암포아세테이트, 코카마이드 MEA, 코카마이드 DEA,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디소듐라이레스설포신, 디소듐 코코암포니아세테이트, 소듐 트라이데세스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글루타메이트,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메칼폴라아세테이트 및 세틸 트리메칠프로핀아민 올리에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혼합액의 상/하면에 고체원료를 분사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은 상기 기능성 필름을 미립자화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립자화된 기능성 필름을 화장품 용매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제조 장치는 액체원료를 보관 및 공급하는 액체원료 공급부, 상기 액체원료의 점도를 측정하여 점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점도 검사부, 상기 액체원료를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점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액체원료 공급부의 상기 액체원료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상기 건조부의 건조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체원료를 보관 및 공급하는 고체원료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체원료 공급부의 분사량을 더 조절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고체원료 공급부는 상기 액체원료의 상/하면에 상기 고체원료를 분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액체원료는 상기 제1 항의 상기 제3 혼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은 피부의 온도 및 피지와 반응하여 용해되는 필름으로써, 피부에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흡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은 피부에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흡착하고, 피부 상에서 점진적으로 용해됨으로써 내부 기능성 성분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제조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체원료의 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체원료의 배합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제조 장치는 제어부(10), 점도 검사부(20), 액체원료 공급부(30), 고체원료 공급부(40) 및 건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제조 장치가 제어부(10), 점도 검사부(20), 액체원료 공급부(30), 고체원료 공급부(40) 및 건조부(50)만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제조 장치는 콘베이어, 절단부 등과 같은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점도 검사부(20)로부터 액체원료의 점도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공받은 점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액체원료 공급부(30), 고체원료 공급부(40) 및 건조부(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는 점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량의 기능성 필름을 제조할 수 있도록 액체원료 공급부(30), 고체원료 공급부(40) 및 건조부(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는 점도 검사부(20)로부터 제공받은 액체원료의 점도 데이터에 따라, 액체원료 공급부(30)의 공급 시간 및/또는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원료의 점도가 높은 경우, 액체원료 공급부(30)에서 배출되는 액체원료의 유속은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액체원료의 점도가 낮은 경우, 액체원료 공급부(30)에서 배출되는 액체원료의 유속은 상대적으로 빠를 수 있다. 제어부(10)는 액체원료 공급부(30)가 미리정한 양의 액체원료를 배출하도록, 액체원료 공급부(30)의 공급 시간 및/또는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설명이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예시는 후술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는 점도 검사부(20)로부터 제공받은 액체원료의 점도 데이터에 따라, 고체원료 공급부(40)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원료의 점도가 높은 경우 기능성 필름과 기능성 필름의 포장재가 서로 흡착하여, 포장재로부터 기능성 필름을 분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체원료 공급부(40)는 분말 형태의 고체원료를 액체원료의 상/하면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는 액체원료의 점도에 따라, 고체원료 공급부(40)에서 분사되는 분말 형태의 고체원료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설명이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예시는 후술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는 점도 검사부(20)로부터 제공받은 액체원료의 점도 데이터에 따라, 건조부(50)의 건조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원료의 점도가 높은 경우 액체원료가 두껍게 도포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0)는 액체원료의 점도가 높은 경우, 액체원료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부(50)의 건조 조건(예를 들어, 건조 열량, 건조 풍량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설명이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예시는 후술한다.
점도 검사부(20)는 액체원료 공급부(30)와 결합되어, 액체원료 공급부(30)에 보관된 액체원료의 점도를 측정하고, 이를 점도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점도 검사부(20)는 예를 들어, 액체원료 내에서 회전하는 스핀들과, 스핀들의 회전을 방해하는 저항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원료 공급부(30)는 액체원료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이를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체원료 공급부(30) 내에는 점도 검사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체원료 공급부(40)는 분말 형태의 고체원료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이를 분사할 수 있다. 고체원료 공급부(40)에 보관된 고체원료는 제조된 기능성 필름과 포장재가 서로 흡착하여, 이를 분리하기 어려운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액체원료막의 상/하면에 분사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고체원료 공급부(40)는 액체원료 공급부(30)에 보관된 액체원료의 점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만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고체원료 공급부(40)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제외시킬 수 있다.
건조부(50)는 열 및/또는 바람을 이용하여 액체원료를 건조시킬 수 있다. 즉, 건조부(50)는 액체원료를 건조하여 이를 기능성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액체원료가 열에 취약한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건조부(50)는 바람만을 이용하여 액체원료를 건조시킬 수도 있다.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필름 제조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을 더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제조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액체원료 공급부(30)에 액체원료가 제공될 수 있다(S10).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원료 공급부(30)는 액체원료 보관부(31), 액체원료 공급 조절부(32) 및 액체원료 배출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원료 보관부(31)는 액체원료를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액체원료 공급 조절부(32)는 액체원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액체원료 공급 조절부(32)는 예를 들어, 레귤레이터일 수 있다. 액체원료 배출부(33)는 액체원료를 컨베이어에 제공할 수 있다.
점도 검사부(20)를 이용하여, 액체원료에 대한 점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20). 예를 들어, 점도 검사부(20)는 액체원료 보관부(31)에 설치될 수 있다. 점도 검사부(20)는 액체원료 보관부(31)에 보관된 액체원료의 점도를 측정하여, 점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점도 검사부(20)에서 생성된 점도 데이터는 제어부(1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점도 검사부(20)에서 생성된 점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액체원료 공급부(30)의 액체원료 공급 조건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액체원료를 컨베이어에 제공할 수 있다(S30). 예를 들어, 점도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즉 액체원료의 점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제어부(10)는 액체원료 공급 조절부(32)를 제어하여 액체원료의 공급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점도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제어부(10)는 액체원료 공급 조절부(32)를 제어하여 액체원료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조건을 정한 것일 뿐,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공급 조건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베이어에 도포된 액체원료를 제1 액체원료(100)로 정의한다.
제어부(10)는 점도 검사부(20)에서 생성된 점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체원료 공급부(40)의 고체원료 공급 조건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고체원료를 제1 액체원료(100)의 상/하면에 분사할 수 있다(S40).
고체원료 공급부(40)는 고체원료 보관부(41), 고체원료 공급 조절부(42), 제1 분사부(43) 및 제2 분사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체원료 보관부(41)는 고체원료를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고체원료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고체원료 공급 조절부(42)는 고체원료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분사부(43) 및 제2 분사부(44)는 고체원료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제1 분사부(43)는 액체원료 배출부(33) 보다 선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분사부(44)는 액체원료 배출부(33) 보다 후행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체원료 공급부(40)에서 분사된 고체원료를 제1 고체원료(200)로 정의한다.
제1 분사부(43)는 컨베이어에 액체원료가 제공되기 전, 컨베이어의 상면에 제1 고체원료(200)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제2 분사부(44)는 컨베이어에 액체원료가 제공된 후, 즉 제1 액체원료(100)가 형성된 후, 제1 액체원료(100)의 상면에 제1 고체원료를 분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분사부(43)는 제1 액체원료(100)의 하면에 제1 고체원료(200)를 분사하기 위한 것이며, 제2 분사부(44)는 제1 액체원료(100)의 상면에 제1 고체원료(200)를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 액체원료(100)가 제1 분사부(43) 및 제2 분사부(44)를 통과하면, 제1 액체원료(100)의 상/하면에는 제1 고체원료(200)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액체원료(100)의 상/하면에 부착된 제1 고체원료(200)는 추후 기능성 필름이 포장재로부터 분리되기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도 3은 제2 분사부(44)가 건조부(50)에 후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제2 분사부(44)를 건조부(50)에 선행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제2 분사부(44)는 액체원료 배출부(33)에는 후행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점도 검사부(20)에서 생성된 점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조부(50)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건조부(50)를 동작시킬 수 있다(S50). 건조부(50)는 점도 데이터에 따라 건조부(50)에서 생성하는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설명이며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액체원료(100)는 건조부(50)를 통과하면서 용매가 증발하여 필름화될 수 있다. 이때, 건조부(50)를 통과한 제1 액체원료(100)는 유연한 겔의 형태일 수도 있고, 고형화되어 있을 수도 있다. 건조부(50)를 통과한 제1 액체원료(100)가 결국 기능성 필름의 원재료가 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건조부(50)를 통과하고, 상/하면에 제1 고체원료(200)가 부착된 제1 액체원료(100)를 제1 기능성 필름(110)으로 정의한다.
절단부(60)는 제1 기능성 필름(110)을 용도에 맞게 절단하여, 제2 기능성 필름(120)을 제조할 수 있다. 제2 기능성 필름(120)은 단순히 제1 기능성 필름(110)을 특정 크기로 절단한 것이며, 제2 기능성 필름(120)을 각각 포장재로 포장하여 최종 납품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S60).
절단부(60)에 의해 생성된 제2 기능성 필름(120)의 하면을 먼저 하부 포장재(LS)에 제공하고, 이어서 제2 기능성 필름(120)의 상면을 상부 포장재(US)가 덮도록 포장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포장 방식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블로어부(70)는 에어를 컨베이어에 제공하여, 컨베이어에 남아 있는 고체 원료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점도가 높더라도 포장재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기능성 필름의 제조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액체원료의 배합과정에 대해 상세히 상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체원료의 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체원료의 배합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친수성 용매(SV1)에 수용성 원료(SL1)를 혼합하여, 제1 혼합액(ST1)을 생성할 수 있다(S100).
친수성 용매(SV1)는 정제수,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디메틸설폭시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친수성 용매는 정제수와 글리세린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수용성 원료(SL1)는 글루타치온, 엘라스틴, 콜라겐, 풀루란, 히알루론산, 니아신아마이드, 비타민 C, 그린티 추출물, 알로에 베라 추출물, 판테놀, 아데노신, N-아세틸 시스테인, 알파 리포산, 비타민 E, 코엔자임 Q10, 알란토인, 메트릭실, 아르지렐린, 레티놀 및 아자엔카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성 원료는 글루타치온, 엘라스틴 콜라겐 및 풀루란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정제수 100 내지 120 중량부, 글리세린 3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친수성 용매(SV1)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친수성 용매(SV1)에 액상 글루타치온 80 내지 120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5 내지 15 중량부, 마린 엘라스틴 0.5 내지 3 중량부, 풀루란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혼합액(ST1)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친수성 용매(SV1) 및 수용성 원료(SL1)의 종류는 예시적인 것일 뿐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공지된 다양한 친수성 용매 및 수용성 원료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수성 용매(SV2)에 계면활성제(SL2)를 혼합하여, 제2 혼합액(ST2)을 생성할 수 있다(S110).
소수성 용매(SV2)는 아르간 오일, 미네랄 오일, 호호바 오일, 실리콘 오일, 세타놀, 베헤닐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코코넛 알칼린 및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SL2)는 폴리소르베이트, 솔발라이저, 소듐 라우릴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 코코설페이트, 소듐 코코암포아세테이트, 코카마이드 MEA, 코카마이드 DEA,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디소듐라이레스설포신, 디소듐 코코암포니아세테이트, 소듐 트라이데세스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글루타메이트,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메칼폴라아세테이트 및 세틸 트리메칠프로핀아민 올리에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이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SL2)는 일반적으로 친수성 머리와 소수성 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소수성 용매(SV2)에 계면활성제(SL2)를 용해시키는 경우, 계면활성제(SL2)는 소수성 용매(SV2) 내에서 역미셀(RM: reverse micelle)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르간 오일 10 내지 12 중량부에 폴리소르베이트 80을 0.5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역미셀(RM)을 형성할 수 있다. 역미셀(RM)을 보다 효과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역미셀(RM)의 응집을 위한 수용성 물질을 함께 첨가해줄 수 있으나, 이는 후술할 제3 혼합액(ST3)을 형성하는 과정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혼합액(ST2)에 제1 혼합액(ST1)을 점진적으로 추가하면서, 제3 혼합액(ST3)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혼합액(ST2)은 소수성 용매(SV2)가 베이스인 소수성 용액이며, 제1 혼합액(ST1)은 친수성 용매(SV1)가 베이스인 친수성 용액일 수 있다. 제2 혼합액(ST2)에 제1 혼합액(ST1)을 첨가할 때에는, 제1 혼합액(ST1)을 점진적으로 첨가해야 하며, 한 번에 많은 양을 혼합하면 제2 혼합액(ST2)에 형성된 역미셀(RM)이 깨어지거나, 역미셀(RM)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없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제2 혼합액(ST2)에 제1 혼합액(ST1)을 일부 첨가하면, 제2 혼합액(ST2)에 형성된 역미셀(RM)의 핵으로 제1 혼합액(ST1)에 포함된 수용성 원료(SL1)가 침투할 수 있다. 이때, 역미셀(RM)의 핵은 친수성 머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용성 원료(SL1)가 역미셀(RM)의 핵으로 침투하면, 친수성 머리 사이의 응집력이 증가하므로, 역미셀(RM)의 응집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제2 혼합액(ST2) 내에서 아직 역미셀(RM)을 형성하지 못한 계면활성제(SL2)의 경우에도, 수용성 원료(SL1)와 친수성 머리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2 혼합액(ST2)에 비해 제1 혼합액(ST1)이 매우 소량만 첨가되어 있으므로, 즉, 제2 혼합액(ST2)과 제1 혼합액(ST1)의 혼합물은 오일 페이즈인 상태에서, 수용성 원료(SL1)와 친수성 머리가 결합한 부분끼리 응집하여 역미셀(RM)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혼합액(ST2)에 제1 혼합액(ST1)의 일부를 첨가함으로써, 추가적인 역미셀이 형성되면 이 용액에 미량의 열을 가해 용매가 증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친수성 용매(SV1)의 증발점은 소수성 용매(SV2)의 증발점보다 낮으므로, 친수성 용매(SV1)의 증발이 소수성 용매(SV2)의 증발보다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증발 과정을 통해 혼합액을 오일 페이즈인 상태로 남겨둘 수 있다.
이어서, 제1 혼합액(ST1)의 일부를 다시 첨가하여,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제3 혼합액(ST3)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3 혼합액(ST3)은 역미셀(RM)과 수용성 원료(SL1)의 결합물인, 결합 역미셀(CRM)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역미셀(CRM)은 전술한 기능성 필름의 주 원료로써, 수용성 원료(SL1)를 내포하고 있는 소수성 물질일 수 있다. 최종적으로 형성된 제3 혼합액(ST3)은 기능성 필름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액체원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역미셀(CRM)의 외부는 소수성 꼬리로 둘러쌓여 있으며, 이로 인해 물에는 잘 용해되지 않으나, 기름에는 잘 용해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역미셀(CRM)을 피부에 제공한다면, 피부의 온도 및 피부 기름과 반응하여 점진적으로 용해될 수 있다. 만약 결합 역미셀(CRM)이 피부에서 용해된다면, 결합 역미셀(CRM)에 내포되어 있던 수용성 원료(SL1)가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역미셀(CRM)과 피부가 서로 닿은 부분은 용해되어 피부로 수용성 원료(SL1)를 제공하며, 결합 역미셀(CRM)과 피부가 닿지 않은 부분은 수용성 원료(SL1)가 피부에 흡수될 때까지, 수용성 원료(SL1)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역미셀(CRM)을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을 제조하여, 이를 화장품에 첨가함으로써 기능성 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할 수 있는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생성된 액체원료를 이용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물론, 제3 혼합액(ST3)을 직접 화장품 조성물로써 이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제3 혼합액(ST3)은 오일 페이즈인 상태이므로, 친수성 용매(SV1)를 이용하는 화장품의 제조에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제3 혼합액(ST3)을 필름으로 제조하는 경우, 친수성/소수성 용매에 국한되지 않고 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기능성 필름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을 미립자화할 수 있다(S70). 예를 들어,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을 분쇄하여 미립자화할 수 있다.
이어서, 화장품 용액에 미립자화된 기능성 필름을 첨가할 수 있다(S80). 미립자화된 기능성 필름은 화장품 용액에 완전히 용해되지는 않으며, 일부는 결합 역미셀(CRM)의 형태로 화장품 용액에 남아있을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역미셀(CRM)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피부와 결합 역미셀(CRM)이 닿은 부분은 피부에 용해되기 시작하므로 상대적으로 피부에 오래 흡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결합 역미셀(CRM)에 내포된 수용성 원료(SL1)가 피부로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실험예와 비교예의 효과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실험예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한 화장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비교예는 기능성 필름에 이용된 성분과 동일한 함량이지만 기능성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 단순 재료 혼합만으로 제조한 화장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1. 실험예 제조 방법
정제수 100 중량부, 글리세린 4 중량부를 혼합하여, 친수성 용매(SV1)를 생성한다. 액상 글루타치온 100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10 중량부, 마린 엘라스틴 1 중량부 및 풀루란 16 중량부를 생성된 친수성 용매(SV1)와 혼합하여 제1 혼합액(ST1)을 생성하였다.
아르간 오일 10 중량부에 폴리소르베이트80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 혼합액(ST2)을 생성하였다.
제2 혼합액(ST2)에 제1 혼합액(ST1)을 일부 첨가하였다(이하, 제1 용액). 이때, 제1 용액을 생성하기 위한, 제2 혼합액(ST2)과 제1 혼합액(ST1)의 부피 비율은 30:1이다. 제1 용액이 생성되면, 핫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제1 용액을 35도로 설정하고, 4시간 유지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제1 혼합액(ST1)의 정제수가 대부분 증발한다. 이때, 제1 용액에서 제1 혼합액(ST1)과 제2 혼합액(ST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교반기를 이용하여 제1 용액을 지속적으로 혼합하였다.
제1 용액에 제1 혼합액(ST1)을 일부 첨가하였다(이하, 제2 용액). 위와 비슷하게, 제2 용액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용액과 제1 혼합액(ST1)의 부피 비율은 30:1이다. 제2 용액을 교반기로 지속적으로 혼합하면서, 35도로 4시간 유지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제1 혼합액(ST1)을 모두 혼합하였다. 이로써 생성되는 제3 혼합액(ST3)을 기능성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액체원료로 이용하였다.
제3 혼합액(ST3)을 액체원료 공급부(30)에 제공하고, 고체원료 공급부(40)에 비타민 C 분말을 제공하였다. 점도 검사부(20)를 가동하여 액체원료의 점도를 측정함으로써 점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근거로 제어부(10)가 액체원료 및 고체원료를 컨베이어에 제공하였다. 건조부(50)를 이용하여 제1 액체원료(100)를 건조하고, 절단부(60)를 통해 이를 절단함으로써 제2 기능성 필름(120)을 제조하였다.
제2 기능성 필름(120)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해, 제2 기능성 필름(120)을 분쇄하여 미립자화하였다. 정제수 100 중량부와 글리세린 5 중량부를 혼합한 용액에, 미립자화된 제2 기능성 필름(120)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2. 비교예 제조 방법
정제수 100 중량부, 글리세린 9 중량부, 액상 글루타치온 37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2 중량부, 마린 엘라스틴 0.5 중량부, 풀루란 6 중량부, 아르간 오일 4 중량부 및 폴리소르베이트80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이때, 실험예에 이용된 미립자화된 제2 기능성 필름(120) 50 중량부와 동일/유사한 비율을 갖도록, 액상 글루타치온,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마린 엘라스틴, 풀루란, 아르간 오일 및 폴리소르베이트80의 비율을 조절하였다.
3. 비교 실험 방법
1) 전제 실험
실험예와 비교예로 제조된 화장품은 각각 동일/유사한 성분 및 배합비를 가지므로, 실험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항산화 활성도, 미백 활성도, 주름 생성 저해 활성도 및 보습 활성도는 서로 실질적으로 유사한 수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도의 경우,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및 비교예 각각 100μl에 0.2mM DPPH 용액 400ul와 에탄올 100μl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40분간 반응시키고,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521nm에서 측정하였으며, DPPH 라디칼의 소거율을 계산하였다.
미백 활성도의 경우, 티록시나제의 감소율을 비교하기 위해, 티록시나제를 분주한 후 24시간 이상 배양하였다. 이후 a-MSH를 72시간 처리하여 티록시나제를 증가시킨 후 실험예와 비교예를 37도에서 15분간 반응시킴으로써 티록시나제의 감소율을 계산하였다.
주름 생성 저해 활성도의 경우,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30mM Tris-HCl buffer에 1mM N-succinyl-Ala-Ala-Ala-ρ-nitroanilide를 제조한 용액 200μL를 첨가하고, 실험예와 비교예 각각 50μL와 0.5 Unit/mL 엘라스타아제 효소 용액 100μL와 buffer 200uL를 넣어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뒤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보습 활성도의 경우, 히알루론산 생성능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피부각질 세포주인 HaCaT 세포는 5% CO2, 37℃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HaCaT 세포는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DMEM (High) 배지로 2번 세척한 후 DMEM (High) 배지로 교체하고 시료를 48시간 처리하였다. 이후, 350㎕의 media를 걷어내고, 10,000xg에서 4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을 걷어내어 enzyme-linkedimmunosorbent assay(ELISA)를 수행할 때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각 실험에 대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실험예 비교예
DPPH 라디칼소거 활성(%) 143.2 139.4
티록시나제 함량(%) 91 89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 53.3 49.8
보습 활성 (%) 540 532
따라서, 실험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실험예와 비교예의 비교 실험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기능성 성분이 직접 피부에 흡수되는 정도를 검증할 필요가 있었다.
2) 실험대상 선정 및 배분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20대~30대 남녀 각각 30명을 대상으로 인체적용시험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고, 피부와 관련된 특별한 질병이 없는 대상으로 시험자를 제한한다는 조건을 설명하였다. 이에 동의한 20대~30대 남녀 각각 30명에 대해 독립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 본 시험에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인물을 각 성별에서 2명씩 제외시켰으며, 최종적으로 20대~30대 남녀 각각 28명으로 인체적용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실험예와 비교예는 동일하게 20대~30대 남녀 각각 14명씩, 즉 비교예와 실험예 각각 총 28명을 배정하여 인체적용시험을 수행하였다.
3) 실험 방법
실험예와 비교예에 배정된 인물에 대해, 사용하는 화장품의 종류만 다를 뿐 화장품 도포 방법과 주기는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아침과 저녁 세안 후 마사지하듯이 충분히 흡수되도록 바르게 하였으며, 정량을 도포할 수 있도록 1회용으로 개별 포장된 화장품을 배포하였다. 이를 4주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시험 대상들에 대해 매일 수면시간, 운동량, 물 섭취량, 식사 횟수 및 식사 종류를 4주간 기입하도록 하였다.
4) 효과 측정 방법
눈 꼬리와 코의 외방이 교차하는 볼 지점을 인체적용시험 전/후의 수분지수, 탄력지수, 색소지수, 거칠기지수, 모공크기를 각각 Aramo TS Diagnosis System을 이용하여 비침습적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각 시험 대상이 기입한 수면시간, 운동량, 물 섭취량, 식사 횟수 및 식사 종류에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n=28) 비교예(n=28)
수분지수 47.21±4.65 46.98±3.45
후(4주후) 53.33±2.41 48.43±2.88
탄력지수 56.86±8.95 57.60±9.30
후(4주후) 59.12±6.34 58.10±10.30
색소지수 49.62±13.65 48.33±14.69
후(4주후) 36.21±13.02 46.52±11.51
거칠기지수 23.65±2.45 24.66±2.64
후(4주후) 20.12±1.39 22.36±3.65
모공크기 80.64±12.74 79.23±11.54
후(4주후) 75.41±10.74 77.51±10.54
상기와 같이, 실험예의 경우 비교예와 실험상의 효과는 유사한 수준이지만, 실제 인체에 적용하였을 때의 적용 효과는 확연히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화장품(실험예)은 기능성 성분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흡수력과 지속력을 증가시키므로, 실제 적용 효과에서 더욱 큰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정제수 100 내지 120 중량부, 글리세린 3 내지 5 중량부, 액상 글루타치온 80 내지 120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5 내지 15 중량부, 마린 엘라스틴 0.5 내지 3 중량부 및 풀루란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1 단계;
    아르간 오일 10 내지 12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80을 0.5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역미셀을 포함하는 제2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혼합액과 상기 제1 혼합액의 부피 비율을 30:1로 교반하여 결합 역미셀을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용액을 교반하면서, 상기 제1 용액을 4시간동안 35도의 열을 가하여 제2 용액을 생성하는 제4 단계;
    상기 제2 용액과 상기 제1 혼합액의 부피 비율을 30:1로 교반하여, 제3 용액을 생성하는 제5 단계;
    상기 제3 용액을 교반하면서, 상기 제3 용액을 4시간동안 35도의 열을 가하여 제4 용액을 생성하는 제6 단계;
    상기 제1 혼합액이 상기 제2 혼합액에 모두 혼합될 때까지, 상기 부피 비율을 유지하면서 혼합하고, 4시간동안 35도의 열을 가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결합 역미셀을 포함하는 제3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7 단계;
    상기 제3 혼합액을 건조 및 절단하여 기능성 필름을 제조하는 제8 단계; 및
    상기 기능성 필름을 미립자화하는 제9 단계;
    정제수 100 중량부와 글리세린 5 중량부에 상기 미립자화된 기능성 필름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0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을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혼합액의 상/하면에 고체원료를 분사하는 제7-1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을 이용하는 화장품 제조 방법.

  6. 삭제
  7. 액체원료를 보관 및 공급하는 액체원료 공급부;
    상기 액체원료의 점도를 측정하여 점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점도 검사부;
    상기 액체원료를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점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액체원료 공급부의 상기 액체원료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상기 건조부의 건조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원료는,
    정제수 100 내지 120 중량부, 글리세린 3 내지 5 중량부, 액상 글루타치온 80 내지 120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5 내지 15 중량부, 마린 엘라스틴 0.5 내지 3 중량부 및 풀루란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1 단계;
    아르간 오일 10 내지 12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80을 0.5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역미셀을 포함하는 제2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혼합액과 상기 제1 혼합액의 부피 비율을 30:1로 교반하여 결합 역미셀을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용액을 교반하면서, 상기 제1 용액을 4시간동안 35도의 열을 가하여 제2 용액을 생성하는 제4 단계;
    상기 제2 용액과 상기 제1 혼합액의 부피 비율을 30:1로 교반하여, 제3 용액을 생성하는 제5 단계;
    상기 제3 용액을 교반하면서, 상기 제3 용액을 4시간동안 35도의 열을 가하여 제4 용액을 생성하는 제6 단계;
    상기 제1 혼합액이 상기 제2 혼합액에 모두 혼합될 때까지, 상기 부피 비율을 유지하면서 혼합하고, 4시간동안 35도의 열을 가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결합 역미셀을 포함하는 제3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제조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고체원료를 보관 및 공급하는 고체원료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체원료 공급부의 분사량을 더 조절하는,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제조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원료 공급부는 상기 액체원료의 상/하면에 상기 고체원료를 분사하는,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제조 장치.
  10. 삭제
KR1020230071867A 2023-06-02 2023-06-02 글루타치온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 KR102572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867A KR102572527B1 (ko) 2023-06-02 2023-06-02 글루타치온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867A KR102572527B1 (ko) 2023-06-02 2023-06-02 글루타치온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527B1 true KR102572527B1 (ko) 2023-08-31

Family

ID=8784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1867A KR102572527B1 (ko) 2023-06-02 2023-06-02 글루타치온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5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738A (ko) * 2000-07-01 2002-01-15 서경배 친수성 또는 염의 형태로 된 약물을 함유하는 서방형생체삽입용 생분해성 고분자 매트릭스
JP2008503580A (ja) * 2004-06-22 2008-02-07 イーエルシー マネージメント エルエルシー 可溶性フィルム組成物
KR20090086317A (ko) * 2008-02-07 2009-08-12 미벨레 아게 피부과용 및 화장품용 활성제를 위한 비히클로서의 수분산성 또는 수용성 중합체 필름
KR20190014999A (ko) * 2017-08-04 2019-02-13 (주)아모레퍼시픽 순간 유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738A (ko) * 2000-07-01 2002-01-15 서경배 친수성 또는 염의 형태로 된 약물을 함유하는 서방형생체삽입용 생분해성 고분자 매트릭스
JP2008503580A (ja) * 2004-06-22 2008-02-07 イーエルシー マネージメント エルエルシー 可溶性フィルム組成物
KR20090086317A (ko) * 2008-02-07 2009-08-12 미벨레 아게 피부과용 및 화장품용 활성제를 위한 비히클로서의 수분산성 또는 수용성 중합체 필름
KR20190014999A (ko) * 2017-08-04 2019-02-13 (주)아모레퍼시픽 순간 유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4519B1 (en) Dermal rejuvenation compositions
CN101166512A (zh) 包含二肽的个人护理组合物
TW201532621A (zh) 抗氧化劑組成物及其使用方法
CN109568169B (zh) 一种具毛发生长作用的活性多肽
EP3164198B1 (en) Cosmetic methods and products
EP2229131A1 (en) Nanoparticle compositions providing enhanced color for cosmetic formulations
CN104203210A (zh) 合欢提取物与对应局部合成物的新型化妆品应用
ES2825653T3 (es) Preparaciones cosméticas y/o dermatológicas extemporáneas
KR20070081192A (ko) 오리자놀, 미강유 및 인지질이 내포된 리포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796459A (zh) 一种含水解珍珠粉柔性纳米脂质体的保湿凝胶
CN103494719B (zh) 一种抗衰老面霜的制备方法
JPH06279227A (ja) 皮膚外用製剤及び化粧料
EP2769709B1 (en) Pseudolipid complex mixture and a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20100100466A (ko) 피부탄력증진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1330902A (zh) 包含ppar gamma拮抗剂的个人护理组合物
US20050175559A1 (en) Method and preparation for reducing skin hyperpigmentation
WO2012130979A2 (en)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fluenc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n cutaneous extracellular matrix protein production
WO2022155656A1 (en) Cosmetic compositions
KR102572527B1 (ko) 글루타치온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기능성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방법
CN110652658A (zh) 使用光和葡糖胺盐酸盐处理皮肤病症的组合物和方法
KR20170127165A (ko) 이산화티탄을 함유하는 고형 에멀젼 비드 및 이를 사용하는 즉시 미백용 화장조성물
CN112618428A (zh) 一种清爽控油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302090A (zh) L-5-甲基四氢叶酸氨基葡萄糖盐在化妆品中的应用
KR102036141B1 (ko) 이중캡슐공정을 이용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11246338A (ja) 抗老化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