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729A - 인디케이터를 갖는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인디케이터를 갖는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729A
KR20070024729A KR1020077001079A KR20077001079A KR20070024729A KR 20070024729 A KR20070024729 A KR 20070024729A KR 1020077001079 A KR1020077001079 A KR 1020077001079A KR 20077001079 A KR20077001079 A KR 20077001079A KR 20070024729 A KR20070024729 A KR 20070024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display element
hydrophilic
back shee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1246B1 (ko
Inventor
교 기쿠치
요시타카 미시마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4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체액이 배설되면 시인 가능하게 되는 인디케이터(19A)가 설치되어 있다. 인디케이터(19A)는 친수성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의 한 면에 표시 요소(33)가 그려진 친수성 스펀본드 부직포를 라미네이트한 복합 부직포(31A)로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의 흡액성 코어에 대향하는 복합 부직포(31A)의 제1 대향면이 표시 요소(33)와 함께 코어의 내면에 밀착되고, 이면 시트(16)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이 이면 시트(16)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다. 표시 요소(33)는 건조 상태에 있는 복합 부직포(31A)에 의해 은폐되고, 복합 부직포(31A)가 체액을 흡수하였을 때에 표시 요소(33)는 부직포(31A)를 투과하여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인디케이터를 갖는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WITH INDICATOR}
본 발명은 체액이 배설된 것을 보호자 또는 개호자에게 인식시키는 인디케이터가 부착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투액성 표면 시트와, 광투과성이면서 액체 불투과성인 이면 시트와, 이들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흡액성 코어로 구성되고, 이면 시트와 코어 사이에 체액으로 젖으면 드러나는 인디케이터가 부착된 일회용 기저귀가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인디케이터는 가로 방향으로 긴 띠형상을 가지며, 앞 몸통 둘레 영역의 세로 방향 중앙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인디케이터는 종이제의 기재 시트와, 기재 시트의 코어에 대향하는 내면에 간헐적으로 도포된 제1 도료층과, 기재 시트의 이면 시트에 대향하는 외면에 간헐적으로 도포된 백색 또는 유백색을 나타내는 제2 도료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도료층은 이면 시트나 기재 시트, 제2 도료층과 다른 색조를 갖고, 실리카나 알루미나 등의 광산란성 무기 미세 입자를 함유한다. 제2 도료층은 실리카나 알루미나 등의 광산란성 무기 미세 입자를 함유하고, 광의 난반사를 이용하여 제1 도료층을 은폐한다. 이 기저귀에서는 그 착용 중에 배설된 체액이 제1 및 제2 도료층에 스며들면, 제1 및 제2 도료층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이 감소하고, 제1 도료층에 대한 은 폐 효과가 저하한다. 따라서, 제1 도료층이 기재 시트와 제2 도료층을 투과하여 이면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된다. 보호자나 개호자는 기저귀에 체액이 배설되었는지 여부를 인디케이터를 통해 이면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140742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저귀에서는 코어에 흡수된 체액이 제1 도료층과 기재 시트에 스며든 후, 기재 시트에서 제2 도료층으로 스며들기 때문에, 기저귀에 배설된 체액이 제2 도료층에 도달할 때까지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제2 도료층에 있어서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제2 도료층이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제2 도료층에 체액이 도달하였다고 해도 제2 도료층에 있어서 광의 산란이 감소할 때까지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체액이 배설되고 나서 제1 도료층이 잠재화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호자나 개호자가 체액의 배설을 즉시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체액이 배설되면 즉시 드러나 보호자나 개호자가 체액의 배설을 즉시 인식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제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광투과성이면서 액체 불투과성인 이면 시트와, 이들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흡액성 코어로 구성되고, 이면 시트와 코어 사이에 체액으로 젖으면 드러나 상기 이면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체액 배설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인디케이터가 부착된 흡수성 물품이다.
상기 전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특징은 인디케이터가 친수성 섬유 부직포와, 친수성 섬유 부직포에 그려진 표시 요소로 형성되고, 건조 상태에 있는 친수성섬유 부직포가 표시 요소를 은폐하며,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체액을 흡수하였을 때에 표시 요소가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를 투과하여 이면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투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를 갖는다.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친수성 멜트블로운 부직포층과 친수성 스펀본드 부직포층 중 어느 한쪽이다. 표시 요소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코어에 대향하는 제1 대향면에 그려지고,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제1 대향면이 표시 요소와 함께 코어의 표면에 밀착되며,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이면 시트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이 상기 이면 시트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다.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친수성 멜트블로운 부직포층과, 멜트블로운 부직포층 중 적어도 한 면에 라미네이트된 친수성 스펀본드 부직포층을 포함한다. 표시 요소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코어에 대향하는 제1 대향면에 그려지고,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제1 대향면이 표시 요소와 함께 코어의 표면에 밀착되며,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이면 시트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이 상기 이면 시트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다.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건조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20∼40%의 범위,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액체 흡수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60∼95%의 범위에 있다.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그 단위 중량당 0.5∼5.0 중량%의 친수화제를 함유한다.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1∼90 mm의 클렘 흡수도를 갖는다.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그 단위 중량당 5∼600 중량%의 흡수율을 갖는다.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그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인 복수의 열엠보스부를 갖고,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단위 면적에 대한 열엠보스부의 면적률이 5∼50%의 범위에 있으며, 표시 요소가 열엠보스부와 이 열엠보스부를 제외한 부위에 그려져 있다.
표시 요소가 친수성 섬유 부직포 상에 형성된 잉크층과 도료층 중 어느 한쪽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배설된 뇨가 인디케이터를 형성하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부직포에 신속하게 흡수 유지되고, 그것에 의해 부직포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이 감소하며, 건조시의 부직포에 은폐된 표시 요소가 드러난다. 이와 같이 하여, 보호자나 개호자가 인디케이터를 통해 체액이 배설되었는지 여부를 이면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식별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를 형성하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극세 섬유로 만들어진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인 흡수성 물품은 부직포의 밀도가 높고, 부직포의 표면이 평활하며, 결이 미세하기 때문에, 부직포층이 표시 요소에 대한 우수한 은폐 효과를 갖는 동시에, 표시 요소가 부직포층의 표면에 스며들지 않으며, 표시 요소를 부직포층에 명확하게 그릴 수 있다. 또한,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이 그 모세관 현상에 의해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하고, 부직포층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이 감소하여 건조시의 부직포층에 은폐된 표시 요소가 드러난다. 이와 같이 하여, 인디케이터를 통해 보호자나 개호자가 체액이 배설된 것을 이면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즉시 알 수 있다.
인디케이터를 형성하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연속 섬유로부터 만들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층인 흡수성 물품은 부직포층이 우수한 체액 확산 흡수성을 갖기 때문에, 체액이 부직포층에서 신속하게 확산하는 동시에, 부직포가 그 모세관 현상에 의해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하고, 부직포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이 조속하게 감소하며, 건조시의 부직포에 은폐된 표시 요소가 즉시 드러난다. 이 흡수성 물품에서는 인디케이터를 통해 보호자나 개호자가 체액이 배설된 것을 이면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즉시 알 수 있다.
인디케이터를 형성하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멜트블로운 부직포층과 스펀본드 부직포층을 라미네이트한 복합 부직포인 흡수성 물품은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의 표시 요소에 대한 우수한 은폐 효과와 스펀본드 부직포층의 우수한 체액 확산 흡수성을 이용할 수 있고, 표시 요소를 명확하게 그릴 수 있으며, 인디케이터에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시킬 수 있다. 이 흡수성 물품에서는 인디케이터를 통해 보호자나 개호자가 체액이 배설된 것을 이면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즉시 알 수 있다.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건조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20∼40%의 범위,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액체 흡수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60∼95%의 범위에 있는 흡수성 물품은 건조시의 부직포에 의해 표시 요소가 확실하게 은폐되는 동시에, 부직포가 체액을 흡수하였을 때에 표시 요소가 확실하게 드러난다.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그 단위 중량당 0.5∼5.0 중량%의 친수화제를 함유하는 흡수성 물품은 부직포에 있어서의 체액의 흡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부직포가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하기 때문에, 체액의 배설 후에 표시 요소를 즉시 드러나게 할 수 있다.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1∼90 mm의 클렘 흡수도를 갖는 흡수성 물품은 부직포에 있어서의 체액의 흡수 속도가 빠르고, 또한, 부직포에 있어서의 체액의 확산성이 높기 때문에, 체액이 부직포에 신속하게 확산되어 부직포에 흡수되어 체액의 배설 후에 표시 요소를 즉시 드러나게 할 수 있다.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그 단위 중량당 5∼600 중량%의 흡수율을 갖는 흡수성 물품은 부직포에 일정량의 체액을 확실하게 흡수시킬 수 있고, 체액의 배설 후에 요소를 즉시 드러나게 할 수 있다.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그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인 복수의 열엠보스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은 부직포가 체액을 흡수하였을 때에, 열엠보스부에 그려진 표시 요소가 선명하게 드러나기 때문에, 열엠보스부와 더불어 열엠보스부를 제외한 부위에 그려진 표시 요소 전체를 선명하게 드러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2-2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 3-3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선 4-4를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착용된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 4와 동일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 4와 동일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 4와 동일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 4와 동일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앞 몸통 둘레 영역
13 : 가랑이 영역
14 : 뒤 몸통 둘레 영역
15 : 투액성 표면 시트
16 :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
18 : 흡액성 코어
19A : 인디케이터
19B : 인디케이터
19C : 인디케이터
19D : 인디케이터
19E : 인디케이터
29 : 멜트블로운 부직포층
30 : 스펀본드 부직포층
31A : 복합 부직포
31B : 복합 부직포
31C : 복합 부직포
32 : 제1 대향면
33 : 표시 요소
34 : 열엠보스부
37 : 제2 대향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인 일회용 기저귀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 1∼4를 참조하면, 기저귀는 상호 병행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부(10)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11)를 갖는다. 기저귀는 양단부(10)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잇달아 배열된 앞 몸통 둘레 영역(12) 및 뒤 몸통 둘레 영역(14)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12, 14)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13)을 갖는다. 기저귀는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15)와, 착의 접촉측에 위치하는 광투과성이면서 액체 불투과성인 이면 시트(16)와, 한 쌍의 액체 불투과성 샘 방지 커프(17)와, 표리면 시트(15, 16) 사이에 개재되는 흡액성 코어(18)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16)는 양단부(10)와 양측부(11)를 제외한 앞뒤 몸통 둘레 영역(12, 14)과 가랑이 영역(13)에 배치되어 있다. 가랑이 영역(13)의 양측부(11)는 기저귀의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하여 호를 그리고 있다. 기저귀는 그 평면 형상이 모래시계형을 갖는다. 이면 시트(16)와 코어(18) 사이에는 보호자나 개호자가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체액 배설을 식별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19A)가 부착되어 있다.
표면 시트(15)에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20)가 사용되어 있다. 이면 시트(16)는 코어(18)에 대향하는 통기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21)과 필름(21)의 외측에 위치하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22)를 라미네이트한 복합 시트가 사용되어 있다. 샘 방지 커프(17)에는 발수 처리가 실시된 소수성 섬유 부직포(23)가 사용되어 있다. 섬유 부직포층(20, 22, 23)에는 스펀레이스, 니들펀치, 멜트블로운, 서멀본드, 스펀본드, 케미컬 본드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층(20, 22, 23)의 구성 섬유에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스티렌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구성 섬유에는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 병렬형 복합 섬유, 이형 중공 섬유, 미다공 섬유, 접합형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필름(21)에는 실리카나 알루미나 등의 무기물 미세 입자를 함유하는 연신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필름(21)은 무기물 미세 입자를 함유하는 무색 투명 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필름형으로 압출 성형한 후, 소정의 배율로 일축 또는 이축 연신하여 제조된다. 필름(21)의 표면에는 입자가 떠오르고 미세한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필름(21)은 백색 또는 유백색을 나타내고, 광반사성 및 광흡수성과 함께 광투과성을 갖는다. 필름(21)은 건조시에 그 표면에서 광이 난반사되기 때문에, 광반사성이 높고, 광투과성은 낮지만, 체액으로 젖으면 광의 산란이 감소하여 광반사성이 저하하고, 그것에 의해 광투과성이 증가한다. 필름(21)은 건조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55∼75%의 범위에 있으며, 체액으로 젖었을 때의 총 광선 투과율이 65∼99%의 범위에 있다.
부직포층(22)은 그 구성 섬유가 광을 난반사함으로써, 백색 또는 유백색을 나타내지만, 광이 섬유를 투과하는 동시에 섬유 간극을 통과하기 때문에, 광반사성 및 광흡수성과 함께 광투과성을 갖는다. 부직포층(22)은 건조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20∼40%의 범위에 있으며, 체액으로 젖었을 때의 총 광선 투과율이 60∼95%의 범위에 있다.
이면 시트(16)는 그것을 형성하는 필름(21)이 체액으로 젖음으로써 광투과성이 증가한다. 이면 시트(16)는 건조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50∼70%의 범위에 있으며, 체액으로 젖었을 때의 총 광선 투과율이 55∼90%의 범위에 있다. 또한, 이면 시트(16)는 필름(21)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부직포층(22)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필름(21)에는 무기물 미세 입자를 함유하지 않고, 표면이 평활한 무색 투명의 높은 광투과성을 갖는 연신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코어(18)는 입자형이나 섬유형의 고흡수성 폴리머와 플러프 펄프와의 혼합물, 또는 입자형이나 섬유형의 고흡수성 폴리머와 플러프 펄프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와의 혼합물이며, 소정의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 코어(18)는 그 형상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전체가 티슈 페이퍼(24)(도 4 참조)로 싸여져 있다.
샘 방지 커프(17)는 양측부(11)에 고착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25)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표면 시트(15)의 상측으로 기립 성향을 갖는 선단부(26)와, 기저귀의 가로 방향 내측으로 도복된 상태에서 양단부(10)에 고착된 양단부(27)로 형성되어 있다. 기부(25)와 선단부(26)는 양단부(10) 사이로 연장되어 있다.
선단부(26)의 정상 부분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축성 탄성 부재(28)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28)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신장된 상태로 선단부(26)에 고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28)가 수축하면, 기저귀가 표면 시트(15)를 내측으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만곡하는 동시에, 샘 방지 커프(17)의 선단부(26)가 세로 방향으로 줄어들어, 표면 시트(15)의 상측으로 기립하고,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한다. 기립하는 선단부(26)에 의해 배설물이 가로로 새는 것이 방지된다.
인디케이터(19A)는 세로 방향으로 긴 띠 형상을 갖고, 기저귀의 가로 방향 중앙에 위치하여 가랑이 영역(13)으로부터 앞뒤 몸통 둘레 영역(12, 14)을 향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인디케이터(19A)는 친수성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의 한 면에 친수성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을 라미네이트한 복합 부직포(31A)와, 복 합 부직포(31A)의 코어(18)에 대향하는 제1 대향면(32)에 그려진 표시 요소(33)로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복합 부직포(31A)는 그 구성 섬유가 광을 난반사함으로써 백색 또는 유백색을 나타내지만, 광이 섬유를 투과하는 동시에 섬유 간극을 통과하기 때문에, 광반사성 및 광흡수성과 함께 광투과성을 갖는다. 복합 부직포(31A)는 건조시에 광을 강하게 난반사하기 때문에, 광반사성이 높고, 광투과성은 낮지만, 체액으로 젖으면 광의 산란이 감소하여 광반사성이 저하하고, 광투과성이 증가한다.
복합 부직포(31A)에서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이 이면 시트(16)에 대향하고,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이 코어(18)에 대향하고 있다. 복합 부직포(31A)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인 복수의 열엠보스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열엠보스부(34)에서는 복합 부직포(31A)가 그 두께 방향으로 가열 가압하에서 압축되고, 복합 부직포(31A)가 실질적으로 필름화되며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과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이 일체화하고 있다.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은 그것에 단속적으로 도포된 접착제(35)를 매개로 하여 이면 시트(16)[필름(21)]에 고착되고, 이면 시트(16)에 밀착되어 있다.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은 그것에 단속적으로 도포된 접착제(36)를 매개로 하여 코어(18)에 고착되어 코어(18)에 밀착되어 있다. 복합 부직포(31A)는 제1 대향면(32)이 표시 요소(33)와 함께 코어(18)의 표면에 밀착되고, 이면 시트(16)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37)이 시트(16)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다.
복합 부직포(31A)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과 스펀본드 부직포층(30) 중 어느 한쪽이 제조되고, 그 후, 다른 한쪽을 네트 컨베어 상을 이 동하는 먼저 제조된 것의 표면에 퇴적시킨다. 복합 부직포(31A)에서는 이들 부직포층(29, 30)을 구성하는 섬유끼리 상호 교차하고, 교차 부위에서 섬유끼리 열융착하고 있다.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부직포(31A)를 제조한 후, 부직포(31A)는 상호 대향 배치되어 회전하는 2개의 엠보스롤 사이에 삽입되고, 이들 롤에 의해 부직포(31A)가 가열 가압하에서 압축되며, 그것에 의해 복합 부직포(31A)에 열엠보스부(34)가 형성된다. 이들 엠보스롤은 그 둘레면에 복수의 엠보스 돌기가 형성되고,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고 있다. 또한, 부직포층(29, 30)의 구성 섬유에는 부직포층(20, 22, 23)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은 그 평량이 1∼70 g/㎡이며, 그 밀도가 0.01∼0.1 g/㎥이다.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은 그 평량이 4∼70 g/㎡이며, 그 밀도가 0.001∼0.1 g/㎤이다. 복합 부직포(31A)는 그 평량이 5∼140 g/㎡이며, 그 밀도가 0.011∼0.2 g/㎤이다. 복합 부직포(31A)에는 일정량의 친수화제가 함유되어 있다.
표시 요소(33)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하여 나열되는 곰의 얼굴의 그림이며, 스펀본드 부직포층(30)에 있어서의 열엠보스부(34)와 열엠보스부(34)를 제외한 부위에 그려져 있다. 표시 요소(33)에는 이면 시트(16)나 복합 부직포(31A)와는 다른 색조의 수성 잉크, 또는 이면 시트(16)나 복합 부직포(31A)와는 다른 색조의 수성 도료 중 어느 한쪽이 사용되어 있다. 잉크나 도료는 복합 부직포(31A)에 인쇄 또는 도포되거나 복합 부직포(31A)에 열엠보스부(34)를 형성한 후에 인쇄 또는 도포되어도 좋고, 복합 부직포(31A)에 열엠보스부(34)를 형성하기 이전에 인쇄 또는 도포되어도 좋다.
양단부(10)는 코어(18)의 단 가장자리(38)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리면 시트(15, 16)의 단부(39, 40)와 샘 방지 커프(17)의 단부(27)로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의 양단부(10)에서는 표리면 시트(15, 16)의 단부(39, 40)와 샘 방지 커프(17)의 단부(27)가 겹치고, 표리면 시트(15, 16)의 내면끼리 고착되며, 샘 방지 커프(17)가 표면 시트(15)에 고착되어 있다. 뒤 몸통 둘레 영역(14)의 단부(10)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41)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41)는 표면 시트(15)의 단부(39)와 이면 시트(16)의 단부(40) 사이에 개재되고,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이들 시트(15, 16)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기저귀의 양측부(11)는 코어(18)의 측 가장자리(42)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리면 시트(15, 16)의 측부(43, 44)와 샘 방지 커프(17)의 기부(25)로 형성되어 있다. 양측부(11)에서는 표면 시트(15)의 측부(43)가 코어(18)의 측 가장자리(42)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약간 연장되고, 측부(43)로부터 더욱 가로 방향 외측으로 이면 시트(16)의 측부(44)와 샘 방지 커프(17)의 기부(25)가 연장되어 있다. 양측부(11)에서는 표리면 시트(15, 16)의 측부(43, 44)와 샘 방지 커프(17)의 기부(25)가 겹치고, 표리면 시트(15, 16)의 내면끼리 고착되며, 표리면 시트(15, 16)의 내외면과 샘 방지 커프(17)의 내면이 고착되어 있다. 양측부(11)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45)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45)는 이면 시트(16)의 측부(44)와 샘 방지 커프(17)의 기부(25) 사이에 개재되고,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신장시킨 상 태에서 이들 시트(16) 및 커프(17)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뒤 몸통 둘레 영역(14)의 양측부(11)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된 테이프 파스너(46)가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 파스너(46)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단부(47)와 자유 단부(48)를 갖는다. 고정 단부(47)는 이면 시트(16)의 측부(44)와 샘 방지 커프(17)의 기부(25) 사이에 개재되고, 이들 시트(16) 및 커프(17)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자유 단부(48)의 내면에는 복수의 훅을 갖는 수형의 메카니컬 파스너(49)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자유 단부(48)에는 메카니컬 파스너(49)가 아닌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어도 좋다.
앞 몸통 둘레 영역(12)에는 테이프 파스너(46)의 자유 단부(48)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타겟 테이프(50)가 부착되어 있다. 타겟 테이프(50)에는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루프로 형성된 암형의 메카니컬 파스너가 사용되고 있다. 타겟 테이프(50)는 가로가 긴 직사각형을 가지며, 이면 시트(16)의 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테이프 파스너(46)의 자유 단부(48)에 감압성 점착제를 도포하는 경우는 타겟 테이프(50)에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된다.
도 5는 뇨가 배설되고, 일부의 표시 요소(33)가 드러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기저귀의 착용 중에 배설된 뇨는 표면 시트(15)를 투과하여 코어(18)에 흡수되고, 또한, 인디케이터(19A)를 형성하는 복합 부직포(31A)에 흡수된다.
기저귀에 뇨가 배설되기 이전에는 인디케이터(19A)가 건조 상태에 있으며, 표시 요소(33)가 복합 부직포(31A)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우수한 은폐 효과를 갖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이 표시 요소(33)를 은폐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요 소(33)를 이면 시트(16)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에, 표시 요소(33)의 윤곽을 희미하게 인식할 수는 있지만, 표시 요소(33) 전체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는 없다.
기저귀에 배설된 뇨가 코어(18)로부터 스펀본드 부직포층(30)으로 이행하고, 뇨가 스펀본드 부직포층(30) 전체에 조속하게 확산되는 동시에,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과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이 그 모세관 현상에 의해 뇨를 신속하게 흡수하고, 이들 부직포층(29, 30)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이 조속하게 감소한다. 그것에 의해 부직포(31A)의 광투과성이 증가하여 이면 시트(16)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의 표시 요소(33)의 명도와 채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표시 요소(33)가 즉시 드러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요소(33) 전체를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기저귀에 뇨가 배설되면, 표시 요소(33)가 즉시 드러나기 때문에, 인디케이터(19A)를 통해 보호자나 개호자가 기저귀에 뇨가 배설된 것을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즉시 알 수 있다. 복합 부직포(31A)가 뇨에 의해 젖음에 따라 이면 시트(16)도 뇨에 의해 젖기 때문에, 이면 시트(16)의 광투과성이 증가하고, 드러난 표시 요소(33) 전체를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기저귀는 복합 부직포(31A)가 복수의 열엠보스부(34)를 갖고, 표시 요소(33)가 열엠보스부(34)를 제외한 부위뿐만 아니라, 열엠보스부(34)에도 그려져 있기 때문에, 부직포(31A)가 체액을 흡수하였을 때에, 열엠보스부(34)에 그려진 표시 요소(33)가 선명하게 드러나고, 열엠보스부(34)와 함께 열엠보스부(34)를 제외한 부위에 그려진 표시 요소(33) 전체를 선명하게 드러나게 할 수 있다.
복합 부직포(31A)는 그 건조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20∼40%의 범위에 있으며, 그 흡수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60∼95%의 범위에 있다. 복합 부직포(31A)의 건조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40%를 초과하면, 부직포(31A) 에 있어서의 표시 요소(33)의 은폐 효과가 작고, 이면 시트(16)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의 표시 요소(33)의 명도와 채도가 부직포(31A)의 건조시와 액체 흡수시에 크게 변하는 일은 없으며, 인디케이터(19A)에 있어서 뇨가 배설되기 전과 뇨가 배설된 후의 구별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복합 부직포(31A)의 액체 흡수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60% 미만에서는 부직포(31A)가 뇨를 흡수하였다고 해도 부직포(31A)의 표시 요소(33)에 대한 은폐 효과가 큰 상태이기 때문에,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표시 요소(33)를 명확하게 투시할 수 없고, 보호자나 개호자가 기저귀에 뇨가 배설된 것을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복합 부직포(31A)의 건조시와 액체 흡수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복합 부직포(31A)와 동일한 총 광선 투과율 측정용의 부직포 샘플(세로 치수 40 mm×가로 치수 40 mm)을 준비하였다. 총 광선 투과율을 측정하는 측정기에는 교조측광 방식 색차계(니혼덴쇼쿠고교샤제)를 사용하였다.
(2) 최초에, 샘플의 건조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측정기의 0점 조정을 행한 후(대에 아무것도 두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 투과 100%, 흑판에서 광을 차단한 상태로 측정: 투과 0%), 건조 상태에 있는 샘플을 대에 두고, 샘플의 TT 값(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이 때의 샘플의 TT 값을 부직포(31A)의 건조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로 하였다. TT 값은 20∼40%였다.
(3) 다음에, 샘플의 액체 흡수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물을 넣은 샬레에 샘플 전체를 침지하여(1 분간), 물로 적신 샘플을 대에 두고, 샘플의 TT 값(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이 때의 샘플의 TT 값을 부직포(31A)의 액체 흡수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로 하였다. TT 값은 60∼95%였다.
복합 부직포(31A)[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 및 스펀본드 부직포층(30)]가 함유하는 친수화제의 양은 부직포(31A)의 단위 중량당 0.5∼5.0 중량%이다. 복합 부직포(31A)의 단위 중량당에 대한 친수화제의 양이 0.5 중량% 미만에서는 부직포(31A)의 친수성이 약하고, 부직포(31A)에 있어서의 뇨의 흡수 속도가 늦어지며, 뇨가 부직포(31A)에 조속하게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뇨의 배설 후에 즉시 표시 요소(33)를 드러나게 할 수 없다. 친수화제는 복합 부직포(31A)[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 및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의 구성 섬유의 둘레면에 도포되는 경우와, 복합 부직포(31A)[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 및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의 구성 섬유에 이겨서 넣어지는 경우가 있다. 친수화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나 양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잉크나 도료에는 실리카나 알루미나 등의 광산란성 무기 미세 입자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고, 부직포(31A)에 함유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친수화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잉크나 도료에는 친수성 아크릴 바인더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잉크나 도료가 무기 미세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입자의 양은 잉크나 도료의 단위 중량당 5∼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나 도료가 친수화제를 함유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친수화제의 양은 잉크나 도료의 단위 중량당 0.5∼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나 도료가 친수성 아크릴 바인더를 함유하는 경우 에 있어서의 바인더의 양은 잉크나 도료의 단위 중량당 5∼2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부직포(31A)는 1∼90 mm의 클렘 흡수도를 갖는다. 복합 부직포(31A)의 클렘 흡수도가 1 mm 미만에서는 부직포(31A)에 있어서의 체액 확산 흡수성이 나쁘고, 부직포(31A)에 있어서의 뇨의 흡수 속도가 늦어지며, 뇨가 부직포(31A)에 조속하게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뇨의 배설 후에 즉시 표시 요소(33)를 드러나게 할 수 없다. 또한, 복합 부직포(31A)의 클렘 흡수도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복합 부직포(31A)와 동일한 클렘 흡수도 측정용의 부직포 샘플(세로 치수 150 mm×가로 치수 25 mm)을 준비하였다. 클렘 흡수도의 측정에는 물을 넣은 샬레와,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과 축의 상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아암을 갖는 스탠드와, 자를 사용하였다.
(2) 스탠드 아암의 하측에 샬레를 두고, 스탠드 아암의 선단에 샘플의 세로 방향 일단부를 부착하여, 샘플을 아암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하강시키고, 샘플의 세로 방향 타단부를 샬레 안의 물에 침지한 상태에서 10분간 방치한다. 10분 경과 후에 샘플이 물을 빨아올린 거리(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자로 측정하고, 그 때의 값을 클렘 흡수도로 하였다. 샘플이 물을 빨아올린 거리는 1∼90 mm였다.
복합 부직포(31A)는 그 단위 중량당 5∼600 중량%의 흡수율을 갖는다. 복합 부직포(31A)의 단위 중량당의 흡수율이 5 중량% 미만에서는 부직포(31A)가 뇨를 흡수하였다고 해도 부직포(31A)가 뇨에 의해 충분히 젖는 일은 없으며, 부직포(31A) 에 있어서의 광의 난반사를 충분히 저하시킬 수 없기 때문에, 뇨의 배설 후에 표시 요소(33)를 드러나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복합 부직포(31A)의 단위중량당의 흡수율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복합 부직포(31A)와 동일한 흡수율 측정용의 부직포 샘플(세로 치수 150 mm×가로 치수 25 mm)을 준비하였다. 흡수율의 측정으로는 물을 넣은 비커와, 중량계를 사용하였다.
(2) 샘플 건조시의 중량 A를 중량계로 측정하였다. 다음에, 샘플을 비커에 넣어 샘플 전체를 물에 침지하고, 1분간 방치하였다. 1분 경과 후에 샘플을 비커로부터 꺼내어 30초간 공중에서 방치한 후, 흡수 상태에 있는 샘플의 중량 B를 중량계로 측정하였다. 샘플의 흡수율은 {(B-A)/A}×100으로 산출하고, 그 값을 흡수율로 하였다. 샘플의 흡수율은 5∼600 중량%였다.
복합 부직포(31A)의 단위 면적에 대한 열엠보스부(34)의 면적률은 5∼50%의 범위에 있다. 면적률이 5% 미만에서는 열엠보스부(34)를 표시 요소(33)의 선명화에 충분히 이용할 수 없다. 면적률이 50%를 초과하면, 이면 시트(16)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의 표시 요소(33)의 명도와 채도가 부직포(31A)의 건조시와 액체 흡수시에 의해 크게 변하지 않으며, 인디케이터(19A)에 있어서 뇨가 배설되기 전과 뇨가 배설된 후가 구별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인디케이터(19B)를 도시한 도 6에 관해서는 인디케이터(19B)를 제외한 기저귀 그 외의 구성은 도 1∼도 3에 기초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도 1∼도 3을 원용함으로써 그 외의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인디케이터(19B)는 복합 부직포(31A)로 바꾸어 복합 부직포(31B)를 포함하는 점 외에 인디케이터(19A)와 동일하다.
복합 부직포(31B)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 부직포(31A)와 동일하게, 친수성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의 한 면에 친수성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이 라미네이트된 것이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이 이면 시트(16)에 대향하고,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이 코어(18)에 대향하고 있다.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과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의 평량 및 밀도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직포층(29, 30)과 동일하다. 복합 부직포(31B)의 평량 및 밀도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직포(31A)와 동일하다. 복합 부직포(31B)에는 일정량의 친수화제가 함유되어 있다. 표시 요소(33)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하여 나열되는 곰의 얼굴 그림이며,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에 있어서의 열엠보스부(34)와 열엠보스부(34)를 제외한 부위에 그려져 있다.
기저귀의 착용 중에 배설된 뇨는 표면 시트(15)를 투과하여 코어(18)에 흡수되고, 또한, 코어(18)로부터 인디케이터(19B)를 형성하는 복합 부직포(31B)에 흡수된다. 기저귀에 뇨가 배설되기 이전에는 인디케이터(19B)가 건조 상태에 있으며, 표시 요소(33)가 복합 부직포(31B)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기저귀는 우수한 은폐 효과를 갖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이 표시 요소(33)를 은폐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요소(33)를 이면 시트(16)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에, 표시 요소(33)의 윤곽을 희미하게 인식할 수는 있지만, 표시 요소(33) 전체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는 없다.
기저귀에 뇨가 배설되면, 뇨가 코어로부터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으로 이 행하고, 뇨가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에 흡수되는 동시에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으로부터 스펀본드 부직포층(30)으로 이행되어 부직포층(30) 전체에 조속하게 확산되면서 부직포층(30)에 흡수된다. 기저귀에서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과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이 그 모세관 현상에 의해 뇨를 신속하게 흡수하고, 이들 부직포층(29, 30)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이 조속하게 감소한다. 그것에 의해 부직포(31B)의 광투과성이 증가하여 이면 시트(16)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의 표시 요소(33)의 명도와 채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표시 요소(33)가 즉시 드러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요소(33) 전체를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기저귀에 뇨가 배설되면, 표시 요소(33)가 즉시 드러나기 때문에, 인디케이터(19B)를 통해 보호자나 개호자가 기저귀에 뇨가 배설된 것을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즉시 알 수 있다. 복합 부직포(31B)가 뇨에 의해 젖게 됨에 따라 이면 시트(16)도 뇨에 의해 젖기 때문에, 이면 시트(16)의 광투과성이 증가하고, 드러난 표시 요소(33) 전체를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복합 부직포(31B)의 건조시와 액체 흡수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직포(31A)와 동일하며, 복합 부직포(31B)의 단위 중량당에 대한 친수화제의 함유량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직포(31A)와 동일하다. 또한, 복합 부직포(31B)의 클렘 흡수도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직포(31A)와 동일하며, 복합 부직포(31B)의 단위 중량당의 흡수율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직포(31A)와 동일하다. 복합 부직포(31B)의 단위 면적에 대한 열엠보스부(34)의 면적률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직포(31A)와 동일하다. 복합 부직포(31B)의 총 광선 투과율, 클렘 흡수도, 흡수율의 측정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직포(31A)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인디케이터(19C)를 도시하는 도 7에 관해서는 인디케이터(19C)를 제외한 기저귀 외의 구성은 도 1∼도 3에 기초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도 1∼도 3을 원용함으로써 그 외의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인디케이터(19C)는 복합 부직포(31A)로 바꾸어 복합 부직포(31C)를 포함하는 점 외에, 인디케이터(19A)와 동일하다. 복합 부직포(31C)는 친수성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의 양면에 친수성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을 라미네이트한 것이며,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이 이면 시트(16)와 코어(18)에 대향하고,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이 스펀본드 부직포층(30)에 끼워져 있다. 복합 부직포(31C)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인 복수의 열엠보스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열엠보스부(34)에서는 복합 부직포(31C)가 그 두께 방향으로 가열 가압하에서 압축되고, 복합 부직포(31C)가 실질적으로 필름화되며,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과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이 일체화되고 있다.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은 그것에 단속적으로 도포된 접착제(35, 36)를 매개로 하여 이면 시트(16)와 코어(18)에 고착되고, 이면 시트(16)와 코어(18)에 밀착되어 있다. 복합 부직포(31C)는 제1 대향면(32)이 표시 요소(33)와 함께 코어(18)의 표면에 밀착되고, 이면 시트(16)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37)이 시트(16)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다.
복합 부직포(31C)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을 제조한 후, 네트 컨베어 상을 이동하는 스펀본드 부직포층(30) 위에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을 퇴적시키고, 또한,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 상에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을 퇴적시킨다. 이들 부직포층(29, 30)을 구성하는 섬유끼리 상호 교차하며, 교차부위에서 섬유끼리 열융착하고 있다. 부직포층(29, 30)의 구성 섬유에는 부직포층(20, 22, 23)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복합 부직포(31C)에 열엠보스부(34)를 형성하는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 부직포(31A)와 동일하다. 복합 부직포(31C)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과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의 평량 및 밀도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합 부직포(31A)와 동일하다. 복합 부직포(31C)는 그 평량이 9∼210 g/㎡이며, 그 밀도가 0.012∼0.3 g/㎤이다. 복합 부직포(31C)에는 일정량의 친수화제가 함유되어 있다.
기저귀의 착용 중에 배설된 뇨는 표면 시트(15)를 투과하여 코어(18)에 흡수되고, 또한, 코어(18)로부터 인디케이터(19C)를 형성하는 복합 부직포(31C)에 흡수된다. 기저귀에 뇨가 배설되기 이전에는 인디케이터(19C)가 건조 상태에 있으며, 표시 요소(33)가 복합 부직포(31C)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우수한 은폐 효과를 갖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이 표시 요소(33)를 은폐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요소(33)를 이면 시트(16)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에 표시 요소(33)의 윤곽을 흐르게 인식할 수는 있지만, 표시 요소(33) 전체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는 없다.
기저귀에 뇨가 배설되면, 뇨가 코어(18)로부터 스펀본드 부직포층(30)으로 이행되어 부직포층(30) 전체에 조속하게 확산되면서 부직포층(30)에 흡수된다. 동시에,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과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이 그 모세관 현상에 의해 서 뇨를 신속하게 흡수하고, 이들 부직포층(29, 30)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이 조속하게 감소한다. 그 결과, 부직포(31C)의 광투과성이 증가하여 이면 시트(16)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의 표시 요소(33)의 명도와 채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표시 요소(33)가 즉시 드러난다. 이와 같이 하여, 기저귀에 뇨가 배설되면, 표시 요소(33)가 즉시 드러나기 때문에, 인디케이터(19C)를 통해 보호자나 개호자가 기저귀에 뇨가 배설된 것을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즉시 알 수 있다. 이 기저귀에서는 복합 부직포(31C)가 뇨에 의해 젖음에 따라 이면 시트(16)도 뇨에 의해 젖기 때문에, 이면 시트(16)의 광투과성이 증가하고, 드러난 표시 요소(33) 전체를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건조시와 액체 흡수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 단위 중량당에 대한 친수화제의 함유량, 클렘 흡수도, 단위 중량당의 흡수율 및 단위 면적에 대한 열엠보스부(34)의 면적률에 관해서는 복합 부직포(31C)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직포(31A)와 동일하다. 복합 부직포(31C)의 총 광선 투과율, 클렘 흡수도, 흡수율의 측정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직포(31A)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인디케이터(19D)를 도시하는 도 8에 관해서는 인디케이터(19D)를 제외한 기저귀 외의 구성은 도 1∼도 3에 기초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도 1∼도 3을 원용함으로써, 그 외의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인디케이터(19D)는 그것이 친수성 멜트블로운 부직포(29)와, 그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의 코어(18)에 대향하는 제1 대향면(32)에 그려진 표시 요소(33)로 형성되어 있는 점 및 열엠보스부(3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 외에는 인디케이 터(19A)와 동일하다.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은 그것에 단속적으로 도포된 접착제(35, 36)를 매개로 하여 이면 시트(16)와 코어(18)에 고착되어 있다.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은 제1 대향면(32)이 표시 요소(33)와 함께 코어(18)의 표면에 밀착되고, 이면 시트(16)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37)이 이면 시트(16)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다.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의 평량과 밀도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직포층(29)과 동일하다. 부직포층(29)에는 일정량의 친수화제가 함유되어 있다.
기저귀의 착용 중에 배설된 뇨는 표면 시트(15)를 투과하여 코어(18)에 흡수되고, 또한, 코어(18)로부터 인디케이터(19D)를 형성하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에 흡수된다. 기저귀에 뇨가 배설되기 이전에는 인디케이터(19D)가 건조 상태에 있으며, 표시 요소(33)가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우수한 은폐 효과를 갖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이 표시 요소(33)를 은폐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요소(33)를 이면 시트(16)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에, 표시 요소(33)의 윤곽을 희미하게 인식할 수는 있지만, 표시 요소(33) 전체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는 없다.
기저귀에 뇨가 배설되면, 뇨가 코어(18)로부터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으로 이행하고, 부직포층(29)이 그 모세관 현상에 의해 뇨를 신속하게 흡수하며, 부직포층(29)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이 조속하게 감소하여 표시 요소(33)가 즉시 드러난다. 부직포층(29)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이 감소하면, 부직포층(29)의 광투과성이 증가한다. 그 결과, 이면 시트(16)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의 표시 요소(33)의 명도 와 채도가 증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요소(33) 전체를 이면 시트(16) 외측으로부터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기저귀에 뇨가 배설되면, 표시 요소(33)가 즉시 드러나기 때문에, 인디케이터(19D)를 통해 보호자나 개호자가 기저귀에 뇨가 배설된 것을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즉시 알 수 있다.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이 뇨에 의해 젖음에 따라 이면 시트(16)도 뇨에 의해 젖기 때문에, 이면 시트(16)의 광투과성이 증가하고, 드러난 표시 요소(33) 전체를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은 그 건조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20∼40%의 범위에 있으며, 그 액체 흡수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60∼95%의 범위에 있다. 부직포층(29)의 건조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40%를 초과하면, 부직포층(29)에 있어서의 표시 요소(33)의 은폐 효과가 작고, 이면 시트(16)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의 표시 요소(33)의 명도와 채도가 부직포층(29)의 건조시와 액체 흡수시에 크게 변하지 않으며, 인디케이터(19D)에 있어서 뇨가 배설되기 전과 뇨가 배설된 후를 구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부직포층(29)의 액체 흡수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60% 미만에서는 부직포층(29)이 뇨를 흡수하였다고 해도 부직포층(29)의 표시 요소(33)에 대한 은폐 효과가 큰 상태이기 때문에,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표시 요소(33)를 명확하게 투시할 수 없고, 보호자나 개호자가 기저귀에 뇨가 배설된 것을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부직포층(29)의 건조시와 액체 흡수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의 측정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직포층(29)과 동일하다.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의 단위 중량당에 대한 친수화제의 함유량, 클렘 흡수도 및 단위 중량당의 흡수율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직포(31A)와 동일하다. 멜트블로운 부직포층(29)의 클렘 흡수도 및 흡수율의 측정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직포(31A)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인디케이터(19E)를 도시하는 도 9에 관해서는 인디케이터(19E)를 제외한 기저귀 외의 구성은 도 1∼도 3에 기초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도 1∼도 3을 원용함으로써, 그 외의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인디케이터(19E)는 그것이 친수성 스펀본드 부직포층(30)과, 그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의 코어(18)에 대향하는 제1 대향면(32)에 그려진 표시 요소(33)로 형성되어 있는 점 및 열엠보스부(3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 외에, 인디케이터(19A)와 동일하다.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은 그것에 단속적으로 도포된 접착제(35, 36)를 매개로 하여 이면 시트(16)와 코어(18)에 고착되어 있다.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은 제1 대향면(32)이 표시 요소(33)와 함께 코어(18)의 표면에 밀착되고, 이면 시트(16)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37)이 이면 시트(16)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다.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의 평량과 밀도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직포층(30)의 이들과 동일하다. 스펀본드 부직포층(30)에는 일정량의 친수화제가 함유되어 있다.
기저귀의 착용 중에 배설된 뇨는 표면 시트(15)를 투과하여 코어(18)에 흡수되고, 또한, 코어(18)로부터 인디케이터(19E)를 형성하는 스펀본드 부직포층(30)에 흡수된다. 기저귀에 뇨가 배설되기 이전에는 인디케이터(19E)가 건조 상태에 있으 며, 표시 요소(33)가 스펀본드 부직포층(30)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이 표시 요소(33)를 은폐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요소(33)를 이면 시트(16)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에, 표시 요소(33)의 윤곽을 희미하게 인식할 수는 있지만, 표시 요소(33) 전체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는 없다.
기저귀에 뇨가 배설되면, 뇨가 코어(18)로부터 스펀본드 부직포층(30)으로 이행되어 부직포층(30) 전체에 신속하게 확산되고, 부직포층(30)이 그 모세관 현상에 의해 뇨를 신속하게 흡수하기 때문에, 부직포층(30)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이 조속하게 감소한다. 그것에 의해 부직포층(30)의 광투과성이 증가하여 이면 시트(16)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의 표시 요소(33)의 명도와 채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표시 요소(33)가 즉시 드러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요소(33) 전체를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기저귀에 뇨가 배설되면, 표시 요소(33)가 즉시 드러나기 때문에, 인디케이터(19E)를 통해 보호자나 개호자가 기저귀에 뇨가 배설된 것을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즉시 알 수 있다. 기저귀는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이 뇨에 의해 젖음에 따라 이면 시트(16)도 뇨에 의해 젖기 때문에, 이면 시트(16)의 광투과성이 증가하여, 드러난 표시 요소(33) 전체를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은 그 건조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20∼40%의 범위에 있으며, 그 액체 흡수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60∼95%의 범위에 있다. 부직포층(30)의 건조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40%를 초과하면, 부직포층(30)에 있어서의 표시 요소(33)의 은폐 효과가 작고, 이면 시트(16)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의 표시 요소(33)의 명도와 채도가 부직포층(30)의 건조시와 액체 흡수시에 크게 변하는 일이 없으며, 인디케이터(19E)에 있어서 뇨가 배설되기 전과 뇨가 배설된 후를 구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부직포층(30)의 액체 흡수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60% 미만에서는 부직포층(30)이 뇨를 흡수하였다고 해도 부직포층(30)의 표시 요소(33)에 대한 은폐 효과가 큰 상태이기 때문에, 이면 시트(16)의 외측으로부터 표시 요소(33)를 명확하게 투시할 수 없고, 보호자나 개호자가 기저귀에 뇨가 배설된 것을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부직포층(30)의 건조시와 액체 흡수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의 측정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직포층(30)과 동일하다.
스펀본드 부직포층(30)의 단위 중량당에 대한 친수화제의 함유량, 클렘 흡수도 및 단위 중량당의 흡수율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직포(31A)와 동일하다.
제1,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디케이터(19A, 19B 및 19C)에서는 복합 부직포(31A, 31B, 31C)에 열엠보스부(34)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제4 및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디케이터(19D, 19E)에서는 부직포층(29, 30)에 열엠보스부(34)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인디케이터(19A, 19B, 19C, 19D, 19E)에 그려진 표시 요소(33)는 곰의 얼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외의 도형이나 기호, 모양이어도 좋다. 또한, 인디케이터(19A, 19B, 19C, 19D, 19E)는 가랑이 영역(13)으로부터 앞뒤 몸통 둘레 영역(12, 14)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향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앞뒤 몸통 둘레 영역(12, 14)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여 이들 몸통 둘레 영역(12, 14)의 세로 방향 중앙을 가로 방향으로 연 장되어 있어도 좋다.
표면 시트(15)에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 외에, 다수의 구멍을 갖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미세한 다수의 구멍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면 시트(16)에는 2장 이상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층을 라미네이트한 복합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면 시트(16)나 샘 방지 커프(17)에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의 양면 또는 한 면에 스펀본드 부직포층을 라미네이트한 복합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표리면 시트(15, 16)끼리의 고착, 표리면 시트(15, 16)와 샘 방지 커프(17)와의 고착, 시트(15, 16)에 대한 코어(18)의 접합, 시트(15, 16) 및 커프(17)에 대한 탄성 부재(28, 41, 45)의 고착에는 접착제, 또는, 히트 시일이나 소닉 시일 등의 열에 의한 용착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에는 핫멜트형 접착제나 아크릴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는 표면 시트(15)나 이면 시트(16), 샘 방지 커프(17)에 스파이럴형이나 파형, 지그재그형, 도트형, 줄무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를 이들의 형태로 시트(15, 16) 및 커프(17)에 도포하면, 이들 시트(15, 16) 및 커프(17)에 접착제가 도포된 도포 영역과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비도포 영역이 형성되고, 이들 시트(15, 16) 및 커프(17)끼리 단속적으로 고착되며, 코어(18)가 시트(15, 16)에 단속적으로 접합되는 동시에, 탄성 부재(28, 41, 45)가 시트(15, 16) 및 커프(17)에 단속적으로 고착된다.

Claims (9)

  1. 투액성 표면 시트와, 광투과성이면서 액체 불투과성인 이면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흡액성 코어로 구성되고,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코어 사이에 체액으로 젖으면 드러나 상기 이면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체액 배설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인디케이터가 부착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가 친수성 섬유 부직포와,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에 그려진 표시 요소로 형성되고, 건조 상태에 있는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상기 표시 요소를 은폐하며,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체액을 흡수하였을 때에 상기 표시 요소가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를 투과하여 상기 이면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투시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친수성 멜트블로운 부직포층과, 친수성 스펀본드 부직포층 중 어느 한쪽이며, 상기 표시 요소가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상기 코어에 대향하는 제1 대향면에 그려지고,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제1 대향면이 상기 표시 요소와 함께 상기 코어의 표면에 밀착되며,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상기 이면 시트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이 상기 이면 시트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친수성 멜트블로운 부직포층과, 멜트블로운 부직포층 중 적어도 한 면에 라미네이트된 친수성 스펀본드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요소가 상기 복합 부직포의 상기 코어에 대향하는 제1 대향면에 그려지며,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제1 대향면이 상기 표시 요소와 함께 상기 코어의 표면에 밀착되고,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상기 이면 시트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이 상기 이면 시트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건조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20∼40%의 범위,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액체 흡수시에 있어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60∼95%의 범위에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그 단위 중량당 0.5∼5.0 중량%의 친수화제를 함유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1∼90 mm의 클렘 흡수도를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그 단위 중량당 5∼600 중량%의 흡수율을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가 그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인 복수의 열엠보스부를 갖고,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의 단위면적에 대한 상기 열엠보스부의 면적률이 5∼50%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표시 요소가 상기 열엠보스부와 상기 열엠보스부를 제외한 부위에 그려져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요소가 상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 상에 형성된 잉크층과 도료층 중 어느 한쪽인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077001079A 2004-07-28 2005-07-28 인디케이터를 갖는 흡수성 물품 KR100831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0165 2004-07-28
JPJP-P-2004-00220165 2004-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729A true KR20070024729A (ko) 2007-03-02
KR100831246B1 KR100831246B1 (ko) 2008-05-22

Family

ID=3573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079A KR100831246B1 (ko) 2004-07-28 2005-07-28 인디케이터를 갖는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11186B2 (ko)
EP (1) EP1774939B1 (ko)
JP (2) JP4855257B2 (ko)
KR (1) KR100831246B1 (ko)
CN (1) CN1988869B (ko)
MY (1) MY140200A (ko)
TW (1) TWI272091B (ko)
WO (1) WO20060115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162B1 (ko) * 2008-09-24 2009-03-10 (주)동란산업개발 옥상 녹화를 위한 방수 및 방근 시공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18737T2 (de) 2001-09-19 2006-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Farbbedruckte Mehrschichtstruktur, ein damit hergestellter absorbierender Artikel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8241263B2 (en) 2005-08-26 2012-08-14 Medline Industries, Inc. Absorbent article
JP4773310B2 (ja) * 2006-09-29 2011-09-14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JP5227073B2 (ja) * 2008-05-01 2013-07-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552250B2 (en) * 2008-12-30 2013-10-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multiple indicating widths
US9452090B2 (en) * 2008-12-30 2016-09-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gender specific indicia
US20100168701A1 (en) * 2008-12-30 2010-07-01 Mattias Schmidt Absorbent Articles With Primary and Secondary Indicia
US8674168B2 (en) * 2008-12-30 2014-03-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multiple indicating colors
US9895272B2 (en) * 2008-12-30 2018-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primary and secondary indicating
US9439811B2 (en) 2010-10-19 2016-09-13 Medline Industries, Inc. Absorbent articles and securement means
US10117792B2 (en) 2010-10-19 2018-11-06 Medline Industries, Inc.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769432B2 (ja) * 2011-01-27 2015-08-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ッド形態を有する吸水性物品
JP5390550B2 (ja) * 2011-02-28 2014-01-15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D716938S1 (en) 2011-10-19 2014-11-04 Medline Industries, Inc. Absorbent core
JP5946695B2 (ja) * 2011-11-30 2016-07-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5291236B1 (ja) * 2012-11-27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9486368B2 (en) 2013-12-05 2016-11-08 Medline Industries, Inc. Disposable hygienic article with means for diagnostic testing
US9375367B2 (en) 2014-02-28 2016-06-28 Medline Industries, Inc. Fastener for an absorbent article
US10226388B2 (en) 2014-04-21 2019-03-12 Medline Industries, Inc. Stretch breathable protective absorbent article using tri-laminate
US9622922B2 (en) 2014-04-21 2017-04-18 Medline Industries, Inc. Stretch breathable protective absorbent article using bilaminate
CN107106369A (zh) * 2015-01-14 2017-08-29 三大雅株式会社 吸收性物品
JP5916935B1 (ja) * 2015-11-05 2016-05-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愛玩動物用の吸収性物品
JP6374432B2 (ja) * 2016-04-15 2018-08-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マスク
JP6773500B2 (ja) * 2016-09-23 2020-10-2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水検知シート
JP6375354B2 (ja) * 2016-11-29 2018-08-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RU2724844C1 (ru) * 2017-03-15 2020-06-25 Као Корпорейшн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WO2018167881A1 (ja) * 2017-03-15 2018-09-20 花王株式会社 積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収性物品及び吸汗シート
RU2723405C1 (ru) * 2017-03-15 2020-06-11 Као Корпорейшн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JP7166877B2 (ja) * 2018-11-05 2022-11-0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NL2027163B1 (en) 2020-12-18 2022-07-15 Drylock Tech Nv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bottom distribution assembly
CN117445547B (zh) * 2023-12-20 2024-03-19 福建琦峰科技有限公司 变色印刷透气膜及其生产流水线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2311A (en) * 1977-12-05 1980-03-11 Felfoldi James J Disposable diaper with wetness indicator
SE445758B (sv) 1981-03-09 1986-07-14 Atlas Copco Ab Anordning for avskiljning av vetska fran vetskebemengd komprimerad gas
JPS57167709U (ko) * 1981-04-15 1982-10-22
JPS58121305A (ja) 1982-01-11 1983-07-19 Kobe Steel Ltd 油圧シリンダの伸縮保持用油圧回路
JPS58121305U (ja) * 1982-02-13 1983-08-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紙おむつ
JPS6075402A (ja) 1983-09-30 1985-04-27 Kuraray Co Ltd 殺菌剤
JPS6075402U (ja) * 1983-10-25 1985-05-27 アンネ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S6133810A (ja) 1984-07-27 1986-02-17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電縫管のビ−ド切削装置
JPS6133810U (ja) * 1984-07-31 1986-03-01 ピジヨン株式会社 布地
US4705513A (en) * 1986-06-27 1987-11-10 Sidney Sheldon Disposable diaper with wetness indicator
US5219341A (en) * 1991-12-20 1993-06-15 Kimberly-Clark Corporation Sanitary napkin with a faster transverse wicking absorbent layer to indicate the approach of maximum fluid capacity
JP3310842B2 (ja) * 1995-11-29 2002-08-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533285B2 (ja) 1996-05-16 2004-05-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6297424B1 (en) * 1999-06-15 2001-10-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wetness indicating graphics providing an interactive training aid
US6949689B2 (en) * 2000-04-19 2005-09-27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3811010B2 (ja) * 2001-01-12 2006-08-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4677597B2 (ja) * 2001-08-31 2011-04-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6772708B2 (en) * 2001-10-30 2004-08-1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Wetness indicator having improved colorant retention
JP3847680B2 (ja) * 2002-07-23 2006-11-22 花王株式会社 おむつ
JP3891930B2 (ja) * 2002-12-25 2007-03-1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426754B2 (ja) * 2002-12-27 2010-03-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のインジケ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162B1 (ko) * 2008-09-24 2009-03-10 (주)동란산업개발 옥상 녹화를 위한 방수 및 방근 시공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11186B2 (en) 2009-03-31
JP5092031B2 (ja) 2012-12-05
JPWO2006011564A1 (ja) 2008-05-01
JP2011156384A (ja) 2011-08-18
TWI272091B (en) 2007-02-01
CN1988869A (zh) 2007-06-27
CN1988869B (zh) 2011-06-15
US20060025733A1 (en) 2006-02-02
WO2006011564A1 (ja) 2006-02-02
EP1774939A1 (en) 2007-04-18
EP1774939A4 (en) 2011-03-09
KR100831246B1 (ko) 2008-05-22
EP1774939B1 (en) 2012-09-05
MY140200A (en) 2009-11-30
JP4855257B2 (ja) 2012-01-18
TW200614972A (en)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246B1 (ko) 인디케이터를 갖는 흡수성 물품
KR100831635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5868110B2 (ja) 吸収性物品
JP4393108B2 (ja) 吸収性物品
RU2261079C2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EP2640331B2 (en) Absorbent article
JP5624801B2 (ja) 吸収性物品
RU2501542C2 (ru)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JP3771432B2 (ja)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5600539B2 (ja) 吸収性物品
KR20020052984A (ko)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JP5624800B2 (ja) 吸収性物品
JP4124350B2 (ja) 吸収性物品
JP5816036B2 (ja) 吸収性物品
JP5607417B2 (ja) 吸収性物品
JP2004337386A (ja) 吸収性物品
JP4008206B2 (ja) 使い捨ての体液処理物品
JP4086712B2 (ja) 吸収性物品
JP2007130293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