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845A -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845A
KR20070023845A KR1020050078117A KR20050078117A KR20070023845A KR 20070023845 A KR20070023845 A KR 20070023845A KR 1020050078117 A KR1020050078117 A KR 1020050078117A KR 20050078117 A KR20050078117 A KR 20050078117A KR 20070023845 A KR20070023845 A KR 20070023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ncyclopedia
cosmetic composition
aqueous solution
ginkgo bilob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호
차재영
신상민
강윤경
김미옥
김희주
조영국
Original Assignee
(주)씨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엠 filed Critical (주)씨엔엠
Priority to KR1020050078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3845A/ko
Publication of KR20070023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8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백과(白果)로부터 유효 활성성분을 추출하여 고농축, 고분획하여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들 원료들로부터 얻은 추출물에서 탁월한 피지제거, 피부 미백효과, 항산화 효과, 항노화 및 항균작용을 가지고, 특히 이들 원료가 함유하는 유효활성물질은 플라보놀(flavonol),플라보논(flavone), 디하이드로플라보논(dihydroflavonol), 바이플라보논(biflavone), 글리코사이드(glucoside), 진코닉산(ginkgoic acid), 아나카딕산(anacardic acid), 유기산류, 알코올류, 알칼로이드(alkaloid) 이며, 이들 물질들을 이용하여 피지제거, 피부 미백,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작용 등 각종 기능성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
백과, 기능성 화장료

Description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Ginkgo biloba L.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ir products}
본 발명은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백과(白果)로부터 유효 활성성분을 추출하여 고농축, 고분획하여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하는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한방 원료를 사용한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런 각종 한방 원료를 추출하고, 그 추출물의 기능을 확인하고, 이용하여 각종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천연 한방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사용되어지지 않았던 한방재료를 이용하여 화장품으로의 응용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백과의 추출물이 추출방법에 따라 피지제거, 미백효과,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 등과 같은 화장품으로서의 효능이 기대이상으로 커 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백과(白果)는 은행나무과의 낙엽성 큰키나무인 은행나무(Ginkgo biloba L.)의 열매의 속씨로서 한방에선 백과(白果)라 하여 해수,천식,유정(遺精), 소변백탁(小便白濁) ,자양(滋養) 등에 처방하여 복용한다. 은행나무 껍질을 백과수피라 하고 뿌리를 백과근이라 하여 관상동맥경화, 흉통 ,심장통, 심계, 고혈압,천식,해수 등에 처방한다. 가을철 종자가 성숙했을 때 채취하여 육질외종피(肉質外種皮)를 제거하고 깨끗이 세척한 다음 조금 찌거나 혹은 대략 삶은 후 불에 쬐어 말린다. 은행에는 간놀, 펙틴, 히스티딘, 전분, 단백질, 지방, 당분 등이 많이 들어 있어서 폐결핵 환자나 천식 환자가 오래 먹으면 기침이 없어지고 가래가 적게 나온다. 이 같은 효과는 은행이 호흡기능을 왕성하게 하고 염증을 소멸하며 결핵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은행의 특이한 작용 가운데 하나는 레시틴과 비타민 B의 모체가 되는 엘고스테린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서 성욕감퇴·뇌빈혈·신경쇠약·전신피로 등에 뇌혈관을 개선해 주는 효능이다.
백과(白果)의 성상은 난형이고 높이 15∼25 mm, 지름 10∼15 mm이다. 내과피는 백색∼회백색으로 매끈하고 단단하며 가장자리에는 2∼3 개의 모서리가 있다. 그 속에는 길면서 납작한 원형의 씨가 엷은 갈색의 종피로 싸여 있고, 속씨는 엷은 황색∼황록색이며 자른 면은 백색의 분질이다. 이 약은 냄새는 별로 없고 맛이 달면서 조금 떫다.
백과(白果)의 건조감량 50.0 % 이하이고 주요성분으론 단백질(蛋白質), 지방(脂肪), 전분(澱粉), Ginnol, Ginkgolic acid, Hydroginkgolinic acid 등이 있다. 백과(白果)의 효능으론 예로부터 많은 것들이 알려져 있는데, 특히 렴폐정천(斂肺定喘), 지대탁(止帶濁), 축소편(縮小便)의 효능이 있어서 담다천해(痰多喘咳), 대하백탁(帶下白濁), 유뇨뇨빈(遺尿尿頻) 등에 응용되어 왔다. 백과(白果)는 내과피가 백색이고 종인은 살이 찌고 속이 백색이어야 한다.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백과(白果)추출물은 첫번째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에 대한 제거작용으로 백과(白果)추출물은 시험관시험에서 비교적 강한 자유기 제거제이며, 쉽게 수산화기(OH-)와 반응한다.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은 하나 이상의 짝을 이루지 못한 전자를 가지고 있는 원소 또는 분자로서 다른 분자로부터 전자를 뺏어 안정화하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자유라디칼의 수명은 수천분의 일초정도로 매우 짧으며, 불안정하여 매우 공격적인 성질을 나타낸다. 피부의 노화에 관여하는 라디칼로는 히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슈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활성산소(Singlet Oxygen),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 H2O2) 등이 있다. 이들 라디칼들은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어, 생체의 모든 물질과 반응할 수 있다. 자유라디칼은 지질(Lipid)을 공격하여 지질과산화물(Lipid peroxide)을 생성시켜 세포막의 기능을 변형시키고, 단백질을 공격하여 변성시키거나 기능을 상실하게 하며, 유전정보 물질인 DNA를 공격한다. 이런 자유라디칼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계속 노출되면 피부의 노화, 태양광에 의한 화상 및 염증, 접촉성 피부염, 주름 등이 발생하게 된다. 현대인들은 대기환경의 오염, 불건전한 식생활, 자외선 노출, 스트레스 및 질병들의 유해환경에 노출되어 여러 자유라디칼들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충분히 소거하기 어려 운 형편이다. 따라서 자유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물질은 피부에 대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제거하여 피부의 노화를 방지 또는 지연할 수 있다.
두번째는 항균작용으로 은행과실의 즙과 육질 및 백과(bilobol), 백과산(ginkgolic acid)은 시험관중에서 결핵간균의 생장을 억제시켰으며, 연구결과, 다른 알킬기쪽 사슬의 아나카딕산(anacardic acid)은 은행 중의 주요 항균성분으로 여러 종류의 그람음성균 및 양성균에 대하여 억제작용이 있다. 은행의 외종피추출물은 진균에 대하여 현저한 억제작용이 있었다. 은행 외종피의 단체(單體)성분인 빌로베틴A (bilobetin A), 빌로베틴B (bilobetin B)를 0.1%농도로 25종의 치병성진균(致病性眞菌)에 대한 균생장 억제실험 결과, 진균의 생장을 현저히 억제하는 작용이 나타났으며, 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유효율은 각각 92%, 53%였다.
세번째는 디플로본(diflavone)으로 만든 윤부유(潤膚油)는 피지선(皮脂腺)의 분비를 증가시켜 건조하거나 노쇠(老衰)한 피부가 홍윤(紅潤)하고 광택이 나는 것을 증가시켜 준다. 노년의 생쥐에게 12일간 구복시킨 후 비장(脾臟)조직의 노년색소과립(老年色素顆粒)의 형성을 막았고, 아울러 이미 형성된 색소과립(色素顆粒)의 변이(變異)를 분산시키고, 수량도 감소시켰다.
은행잎을 응용한 국내 특허나 기술을 통하여 알려져 은행의 효능이 알려져 왔으나, 종래의 기술은 모두 은행잎을 통해서만 추출이나 유효성분의 분석이 이루어져 있다. 은행의 종자인 백과(白果)에서의 유효성분의 추출이나 이것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기술은 종래의 기술로서 이루어지지 않은 신기술이다.
본 발명자들은 백과(白果)추출물 제조시 특정 추출 용매선택시 목적 효능이 더욱 크게 나타난 점으로부터 피지제거, 피부 미백,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작용 등의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한방 원료 중 백과(白果)를 선택하여, 화장품 원료로서의 효능을 확인하고 그 사용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다양하고 기능성이 뛰어난 화장품의 원료의 선택범위를 높이고, 또 이들 원료들을 사용하여 보다 자극이 없으면서도 소정의 기능성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백과(白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은행나무과의 낙엽성 큰키나무인 은행나무(Ginkgo biloba L.)의 열매의 속씨인 백과(白果)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백과 추출물은 화장료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15∼15 중량 함량으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백과 추출물은 플라보놀, 플라보논, 디하이드로플라보논, 바이플라보논, 글리코사이드, 진코닉산, 아나카딕산, 유기산류, 알코올류 및 알칼로이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백과 추출물은 물, 에탄올, 에탄올 수용액,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수용액, 핵산, 디에틸 에테르, 이소-프로판올, 메탄올 및 메탄올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백과 추출물은 백과를 고형상태로 추출하거나 분말로 만들어 추출용매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백과 추출물은 피지제거용, 피부미백용, 항산화효과용, 항노화용 및 항균작용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백과 추출물은 Pesudomanas aeruginosa (KCTC2513), Staphylococcus aurens subsp . aurens (KCTC1916) 및 Escherichia coli (KCTC2571)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대하여 향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은행나무과의 낙엽성 큰키나무인 은행나무(Ginkgo biloba L.)의 열매의 속씨인 백과를 분말화하는 단계; 상기 분말을 물, 에탄올, 에탄올 수용액,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수용액, 핵산, 디에틸 에테르, 이소-프로판올, 메탄올 및 메탄올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백과 추출원액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백과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된 백과 추출원액을 동결건조하여 전조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백과(白果)로부터 유효 활성성분을 추출하여 고농축, 고분획하여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함유되는 백과추출물은 고형화되어 있거나 분말화된 백과 가루로부터 물, 에탄올, 에탄올 수용액,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또는 1,3-부틸렌 글리콜 수용액, 헥산, 디에틸 에테르, 이소-프로판올, 메탄올, 메탄올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고 감압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과 추출물은 상기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40℃∼65℃에서 4∼24시간, 1∼5일간 추출한 후, 감압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 공정 수행 후 4∼10℃에서 3∼7일간 저온 숙성할 수 있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을 최대한 함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탄올 50∼90% 함유하는 추출용매와 1,3-부틸렌 글리콜을 이용하여 45℃∼60℃에서 4∼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백과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백과의 고형화된 건조중량 및 분말화된 중량의 1배 내지 50배로 사용하였다.
상기 백과추출물은 통상 화장품 첨가제를 가하여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화장료 건조량에 대하여 0.0015 중량 내지 15 중량으로 사용할 수 있고, 가장 좋은 유효성분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1 중량 내지 5 중량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병은 플라보놀(flavonol), 플라보논(flavone), 디하이드로플라보논(dihydroflavonol), 바이플라보논(biflavone), 글리코사이드(glucoside), 진코닉산(ginkgoic acid), 아나카딕산(anacardic acid), 유기산류, 알코올류, 알칼로이드(alkaloid)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지제거용, 피부 미백용, 항산화효과용, 항노화 및 항균작용 등의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 뿐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백과를 멸균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백과 가루를 만들기 위하여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백과를 분쇄하여 가루로 만들고, 고형화되어있는 백과와 분말화된 백과를 각각 500g씩 물 2.5ℓ에 넣고 50℃에서 36시간 추출한 후 원심분리 기술을 통하여 분리 한 후, 이 추출물을 4℃에서 36시간 저온숙성 한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65℃로 감압농축하여 고형화된 백과에선 41.5g, 분말화된 백과에선 43.3g의 건조중량을 갖는 백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백과를 멸균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백과 가루를 만들기 위하여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백과를 분쇄하여 가루로 만들고, 고형화되어있는 백과와 분말화된 백과를 각각 500g씩 50% 에탄올 2.5ℓ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6시간 추출한 후 원심분리 기술을 통하여 분리한 후, 이 추출물을 4℃에서 36시간 동안 저온숙성 한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5℃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고형화된 백과에선 84.2g, 분말화된 백과에선 89.2g의 건조중량을 갖는 백과 추 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표1의 기재 용매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2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표1 기재와 같이 건조중량을 제조하였다.
[표1]
구분 용매 고형화된 백과 분말화된 백과
실시예 3 70% 에탄올 93.5 98.1
실시예 4 90% 에탄올 94.6 99.3
실시예 5 100% 에탄올 92.1 97.2
실시예 6 아세톤 92.1 33.5
실시예 7 에틸에세테이트 29.4 29.8
실시예 8 50% 1,3-부틸렌글리콜 수용액 94.1 98.7
실시예 9 1,3- 부틸렌 글리콜 94.2 99.5
실시예 10 헥산 18.1 19.8
실시예 11 디에틸에테르 23.3 25.2
실시예 12 이소프로판올 31.1 33.1
실시예 13 70% 메탄올 53.1 58.3
실시예 14 100% 메탄올 68.1 69.5
[실험예 1]
백과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실험은 50㎛의 1,1-디페닐-2-피크릴 히드라질(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에탄올 용액 1㎖에 백과 추출물의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을 가해 6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자유라디컬 소거 효과를 구하였다. 각 실시예 추출물의 자유라디컬 소거 효과는 하기의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분말화된 백과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대부분의 백과 추출물은 자유라디컬 제거에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표2]
백과 추출물 자유라디컬 소거 효과(%)
실험농도(㎍/㎖)
0 15 30 60 120
실시예1 0 20.1 26.2 60.4 69.288.2
실시예2 0 39.5 63.5 81.9 88.289.89.1
실시예3 0 40.1 64.3 82.2 89.188.9
실시예4 0 39.6 64.0 82.2 88.9
실시예5 0 35.1 60.3 78.5 82.187.7
실시예6 0 37.5 63.1 81.1 87.7
실시예7 0 38.1 64.5 81.9 88.0
실시예8 0 37.1 62.6 77.1 81.9
실시예9 0 39.7 64.2 83.1 89.1
실시예10 0 32.5 45.8 57.3 74.8
실시예11 0 31.2 43.7 52.9 72.2
실시예12 0 31.0 42.1 50.8 71.2
실시예13 0 30.7 43.5 52.4 73.2
실시예14 0 31.4 44.2 53.1 74.4
[실험예 2]
백과 추출물은 진균에 대하여 뛰어난 향균능력을 갖고 있다. 항균실험은 피부에 기생하는 대표적인 미생물로서 Pesudomanas aeruginosa (KCTC2513), Staphylococcus aurens subsp . aurens (KCTC1916), Escherichia coli (KCTC2571)를 실험균주로 사용하였다. 이들 미생물은 균주은행을 통해 분양받아 액상배지에서 배양한 후 고체배지에서 생존률(survival test,%)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피부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 시험을 수행하였다. 고체배지 15㎖에 각 분말화된 백과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0에서 120㎍/㎖으로 희석한 후, 전체 미생물의 수가 1000 cells/㎖이 되도록 희석하여 미생물을 고체배지에 5장에 접종한 다음 35℃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한 후 미생물의 개체수를 측정한다. 생존률의 계산은 하기의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대부분의 추출물에서 높은 향균력이 나타났다.
[표3]
생존률(%)
실험균주 P.AERUGINPSA(KCTC2513) S.AURENS(KCTC1916) E.COLI(KCTC2571)
실험농도 (㎍/㎖) 0 30 60 120 0 30 60 120 0 30 60 120
백 과 추 출 물 실시예1 100 84.2 76.2 62.1 100 85.4 78.2 61.1 100 85.2 78.2 65.1
실시예2 100 64.2 55.6 37.7 100 68.1 52.2 38.7 100 61.2 53.7 35.2
실시예3 100 63.2 54.1 33.2 100 64.3 55.7 33.8 100 63.2 54.1 32.0
실시예4 100 68.2 53.6 39.7 100 69.0 58.6 38.6 100 63.2 50.6 37.6
실시예5 100 70.2 59.2 30.8 100 71.2 55.2 35.5 100 71.8 49.2 31.9
실시예6 100 72.7 58.3 49.4 100 74.7 58.9 50.3 100 75.9 59.1 50.2
실시예7 100 75.4 65.1 48.8 100 77.4 64.1 47.6 100 77.4 60.1 42.9
실시예8 100 79.1 53.2 40.2 100 77.9 52.2 40.2 100 78.1 50.1 35.1
실시예9 100 75.9 50.2 36.2 100 75.8 55.2 34.9 100 70.9 48.2 32.2
실시예10 100 81.2 53.2 49.1 100 86.2 54.2 49.9 100 85.2 55.2 48.2
실시예11 100 79.3 50.2 48.5 100 81.3 53.2 46.5 100 77.3 56.2 45.5
실시예12 100 81.1 52.8 47.2 100 84.1 62.9 48.2 100 81.1 59.8 48.2
실시예13 100 82.2 57.6 48.1 100 83.3 66.8 50.2 100 89.2 60.3 49.7
실시예14 100 81.5 58.5 46.9 100 84.3 67.1 51.1 100 87.4 61.2 48.2
본 실험에 사용된 B16/F10 melanoma 세포는 CO2 세포배양기(37℃, 5% CO2)에서 10% 페이탈 보닌 시럼이 포함된 배지를 사용하였다. 멜라닌 양은 잘 알려진 Hosoi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고, 세포를 배양하여 PBS로 2회 세척한 후 원심분리하여 세포 침전물을 만들었다. 10% DMSO가 첨가된 1N NaOH 용액을 200㎕ 첨가하고 80℃에서 1시간 동안 용해하였으며,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양은 합성 멜라닌(Sigma Co.)을 사용하여 작성된 표준 직선에서 구하고, 실험군의 멜라닌 양은 대조군의 멜라닌 양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α-MSH(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는 생체내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물질 중 하나로서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며 3-이소부틸-1-메틸잔틴(1-isobutyl-1-methyxanthine,IBMX),디부틸릴씨에이엠피(dibutyryl cAMP)와 마찬가지로 cAMP의존형 신호전달 경로인 PKA(cAMP dependent protein kinase)경로로 멜라닌화를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B16/F10 멜라노마세포의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6 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1×106 cels/㎖ 농도로 세포를 부착시킨 후 1㎍/㎖에서 120㎍/㎖의 다양한 농도로 백과 추출물을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트립신-이디티에이 (trypsin-EDTA)로 떼어낸 후 멜라닌의 생성양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백과 추출물 중에서 에탄올과 1,3-부틸렌 글리콜추출물에서 멜라닌 양이 대조군에 비해 두드러지게 적은 결과를 보였다.
[표4]
백과 추출물 멜라닌의 함량(%)
대조군 100±0
실시예1 98±1.4
실시예2 74±2.2
실시예3 71±1.5
실시예4 76±1.56
실시예5 86±1.23
실시예6 89±2.21
실시예7 92±3.2
실시예8 75±2.1
실시예9 72±1.1
실시예10 95±1.2
실시예11 89±2.67
실시예12 93±3.1
실시예13 89±2.5
실시예14 87±3.1
본 발명의 백과 추출물은 피지제거, 피부 미백, 항산화효과, 항노화 및 항균작용 등의 기능성 원료로서 백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은 기능성을 갖는 화장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은행나무과의 낙엽성 큰키나무인 은행나무(Ginkgo biloba L.)의 열매의 속씨인 백과(白果)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과 추출물은 화장료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15∼15 중량 함량으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과 추출물은 플라보놀, 플라보논, 디하이드로플라보논, 바이플라보논, 글리코사이드, 진코닉산, 아나카딕산, 유기산류, 알코올류 및 알칼로이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과 추출물은 물, 에탄올, 에탄올 수용액,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수용액, 핵산, 디에틸 에테르, 이소-프로판올, 메탄올 및 메탄올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과 추출물은 백과를 고형상태로 추출하거나 분말로 만들어 추출용매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과 추출물은 피지제거용, 피부미백용, 항산화효과용, 항노화용 및 항균작용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과 추출물은 Pesudomanas aeruginosa (KCTC2513), Staphylococcus aurens subsp . aurens (KCTC1916) 및 Escherichia coli (KCTC2571)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대하여 향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8. 은행나무과의 낙엽성 큰키나무인 은행나무(Ginkgo biloba L.)의 열매의 속씨인 백과를 분말화하는 단계; 상기 분말을 물, 에탄올, 에탄올 수용액,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수용액, 핵산, 디에틸 에테르, 이소-프로판올, 메탄올 및 메탄올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백과 추출원액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백과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된 백과 추출원액을 동결건조하여 전조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50078117A 2005-08-25 2005-08-25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23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117A KR20070023845A (ko) 2005-08-25 2005-08-25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117A KR20070023845A (ko) 2005-08-25 2005-08-25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845A true KR20070023845A (ko) 2007-03-02

Family

ID=3809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117A KR20070023845A (ko) 2005-08-25 2005-08-25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384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904B1 (ko) * 2011-01-21 2011-09-16 주식회사 씨앤피차앤박화장품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9361B1 (ko) * 2010-09-15 2013-03-05 한국콜마주식회사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용 과일 추출액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6495A (ko) * 2019-04-30 2020-11-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은행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1939182A (zh) * 2019-05-16 2020-11-17 大江生医股份有限公司 银杏愈伤组织萃取物的用途、及培养银杏愈伤组织的方法
RU2767255C1 (ru) * 2021-02-02 2022-03-1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ухого экстракта из листьев гинкго двулопастного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361B1 (ko) * 2010-09-15 2013-03-05 한국콜마주식회사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용 과일 추출액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64904B1 (ko) * 2011-01-21 2011-09-16 주식회사 씨앤피차앤박화장품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6495A (ko) * 2019-04-30 2020-11-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은행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1939182A (zh) * 2019-05-16 2020-11-17 大江生医股份有限公司 银杏愈伤组织萃取物的用途、及培养银杏愈伤组织的方法
RU2767255C1 (ru) * 2021-02-02 2022-03-1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ухого экстракта из листьев гинкго двулопастного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13159A (ja) コケモモ抽出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
KR101669359B1 (ko) 멜라닌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1769461B1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또는 황사로부터 발생하는 피부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2354412B1 (ko) 혼합 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7345B1 (ko) 미성숙 사과 추출물 및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84660B1 (ko) 프로폴리스, 로얄젤리 및 꿀을 포함하는 천연물의 효소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8887B1 (ko) 히카마, 콜리플라워, 말로우 및 아이슬란드 이끼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보습,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0150A (ko) 황칠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KR20070023845A (ko)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210001260A (ko) 야생 딸기잎 추출물, 플로레틴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 배양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5742A (ko) 하수오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황촉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9755B1 (ko)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능이 향상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gfc 160704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23654B1 (ko) 미생물에 의한 골담초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172626A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9178A (ko) 천마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Wąsik et al. Extracts from as a source of antioxidants useful in cosmetic preparations
KR101793104B1 (ko) 꾸지뽕잎 및 뽕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1543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