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5023A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5023A
KR20070015023A KR1020060070683A KR20060070683A KR20070015023A KR 20070015023 A KR20070015023 A KR 20070015023A KR 1020060070683 A KR1020060070683 A KR 1020060070683A KR 20060070683 A KR20060070683 A KR 20060070683A KR 20070015023 A KR20070015023 A KR 20070015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ylinder
operation knob
switch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6433B1 (ko
Inventor
케이이치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5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통의 개구를 통과하여 케이스 내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에 있어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가 내부에 수납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상에 마련되고 상하로 개구하여 케이스(1)의 내부와 연통하는 통(3)과, 상기 통(3)의 개구를 덮도록 마련된 조작 노브(8)를 구비하고, 조작 노브(8)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의 입절을 행하는 스위치 장치(100)에 있어서, 케이스(1)상의 통(3)의 주위의 조작 노브(8)의 외주면(8e)보다 통(3)에 가까운 위치에, 통(3)측을 향하여 올라가는 단차(7)를 마련한다.
스위치 장치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ING ARRANG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동 스위치 장치의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동 스위치 장치에 커버를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동 상태의 측방 단면도.
도 5는 동 상태의 주요부 측면도.
도 6은 동 상태의 주요부 측방 단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1f, 1g, 1h : 측면
1u : 케이스의 윗면 3 : 통
3b : 통의 상부 개구 6 : 홈
6a : 홈의 개방 단부 6b, 6b’ : 홈의 바닥
6e : 홈의 통과 반대측의 단부 7 : 단차
8 : 조작 노브 8e : 조작 노브의 외측면
12 : 스위치 20 : 커버
20a : 커버의 구멍 20e : 커버의 구멍의 통측의 단부
100 : 스위치 장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조작 노브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의 입절(入切)을 행하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 내부에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수형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자동차의 도어의 암-레스트나 센터의 콘솔 등에는, 자동차의 창 개폐 장치(파워 윈도우 장치)에 이용되는 스위치 장치가 배설되어 있다. 이 스위치 장치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 내에, 스위치나 회로 기판 등이 수납되어 있고, 케이스상에, 상하로 개구하여 케이스 내와 연통하는 통(筒)이 마련되어 있고, 통에는, 통의 상부의 개구를 덮도록 조작 노브가 부착되어 있다. 조작 노브에는, 압하, 요동, 또는 회전 등의 조작이 가능한 여러가지 타입의 것이 있다. 조작 노브를 조작함에 의해, 그 조작 노브의 움직임이 조작 노브로부터 스위치에 액추에이터 등을 통하여 전달되고, 스위치가 입절된다. 즉, 스위치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접점이, 조작 노브의 조작에 따라 ON(도통) 또는 OFF(비도통)의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한 스위치 장치에는, 일반적으로 케이스 윗면을 덮도록 커버가 부착되 고, 상기 커버에 마련된 구멍에서는, 조작 노브가 조작 가능하게 노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우천시 등에 다소의 빗물이 커버 상에 튀어도, 상기 빗물이 스위치 장치의 케이스 내로 들어가는 일은 거의 없다. 그러나, 음료 등(이하, 「물(水)」이라고 한다)을 커버상에 다량 엎지른 경우는, 상기 물이 커버의 구멍과 조작 노브의 간극을 통과하고 케이스상으로 흘러내리고, 통측 등으로 흘러 간다. 그리고, 통측으로 흐른 물은, 그 세력에 의해 조작 노브와 통의 간극을 상승하여, 통의 개구를 통과하여 케이스 내로 침입하고, 스위치나 회로 기판에서의 부식이나 단락의 원인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물의 침입 방지 대책으로서, 특허 문헌 1에서는, 요동조작 타입의 조작 노브가 부착되는 통의 전후의 케이스상에 물 포착 홈을 형성하여, 그 홈 바닥을 케이스의 전방을 향하여 경사 성형하고 또는 아울러서 중앙부에 분수령을 갖는 산형상으로 성형하고, 케이스의 앞면이나 측면에 물 포착 홈의 최심부에 관통하는 배수구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상의 압하조작 타입의 조작 노브가 부착되는 통의 주위에, 단부가 개방된 홈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하기한 특허 문헌 2에서는, 케이스에 형성된 버튼구멍 내에의 물의 침입에 의한 압하조작 타입의 조작 노브 등의 동작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버튼구멍 내에 스토퍼를 돌설하고, 케이스와는 별도로 버튼구멍 내에 마련된 통(홀더)의 단부에 계합부를 돌설하고, 스토퍼의 기부측 이면을 계합부의 당접부(當接部)로 하고, 선단부 이면을 계합부의 비(非)당접부로 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상에 케이스와 일체로 마련된 통의 주위에, 홈을 형성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특허 제3111221호 공보
특허 문헌 2 : 실개평6-77127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 1, 2에서는 어느것이나, 케이스상에 통에 인접시켜서 홈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흘러온 물이, 홈 내로 들어가서 홈 바닥 등에 충돌한 세력에 의해 튀어올라서, 조작 노브와 통의 간극을 상승하고, 통의 개구를 통과하여 케이스 내로 침입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통의 개구를 통과하여 케이스 내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가 내부에 수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상에 마련되고 상하로 개구하여 케이스 내부와 연통하는 통과, 상기 통의 개구를 덮도록 마련된 조작 노브를 구비하고, 조작 노브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의 입절을 행하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상의 통의 주위의 조작 노브의 외주면보다 통에 가까운 위치에, 통측을 향하여 올라가는 단차(段差)를 마련한다.
이와 같이, 케이스상의 통의 주위에 단차를 마련하면, 외부로부터케이스상의 조작 노브 부근으로 흘러온 물이 통을 향하여 흘러가는 것을 단차에 의해 받아내어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노브의 외주면보다 통측에 단차 및 단차의 상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케이스상의 조작 노브 부근으로 흘러온 물이, 단차의 하부와 단차를 경유하지 않고 단차의 상부로 직접 흘러가는 일은 없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통의 개구를 통과하여 케이스 내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 가능하게 된 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케이스상의 통의 주위에, 부근의 케이스의 측면과 연속하여 상기 측면측의 단부가 개방된 홈을 마련하고, 상기 홈 내에 상기 단차를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상에 마련한 홈 내에 단차를 마련하면, 외부로부터 케이스상의 조작 노브 부근으로 흘러온 물이 홈 내의 단차의 하부로 들어가고, 그 하부로부터 통을 향하여 플러가는 것을 단차에 의해 저지할 수 있음과 함께, 물을 홈 내의 단차의 하부에 체류시키는 일 없이, 홈의 개방 단부를 통과하여 케이스의 옆으로 배출할 수 있고, 케이스 내에의 물의 침입을 한층 방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케이스의 윗면을 덮도록 부착되고, 조작 노브를 조작 가능하게 노출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홈의 통과 반대측의 단부를, 커버의 구멍의 통측의 단부보다 통으로부터 멀리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커버와 조작 노브의 간극의 바로 아래에 홈 및 단차의 하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그 간극을 통과하여 흘러 내려오는 물을 직접 홈 내의 단차의 하부로 들어가게 하여, 홈의 개방 단부로부터 케이스의 옆으로 배출할 수 있고, 케이스 내에의 물의 침입을 한층더 방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홈의 바닥을, 부근의 케이스의 측면을 향하여 하강 경사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홈 내의 단차의 하부로 들어간 물을, 상기 하부에 체류시키 는 일 없이, 수시로 홈의 바닥에 따라 흘러, 개방 단부로부터 케이스의 옆으로 스무스하게 배출할 수 있고, 케이스 내에의 물의 침입을 한층더 방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케이스상의 조작 노브 부근으로 흘러온 물이, 확실하게 단차의 하부로 들어감과 함께, 그 하부로부터 단차의 상부 및 그 앞의 통을 향하여 흘러가는 것을 단차에 의해 받아내어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통의 개구를 통과하여 케이스 내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스위치 장치(100)의 사시도, 도 2는 스위치 장치(100)의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스위치 장치(100)에 커버(20)를 마련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동 상태의 측방 단면도, 도 5는 동 상태의 주요부 측면도, 도 6은 동 상태의 주요부 측방 단면도이다.
도 1 등에서, 스위치 장치(100)는 파워 윈도우 장치에 이용되고, 차량의 운전석의 도어에 마련되어 있는 암-레스트(도시 생략)에 부착된다. 1은 스위치 장치(100)의 케이스이다. 케이스(1)의 윗면(1u)에는, 도 2 및 도 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개구하여 케이스(1)의 내부와 연통하는 통(3 내지 5)이 케이스(1)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1)의 내부에는, 도 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1)이나 상기 회로 기판(11)에 실장된 스위치(12, 13) 등이 수납되어 있다. 케이스(1)의 하측은, 개구하여 있고, 아래 커버(2)를 감합(嵌合)함에 의해 막혀 있다. 아래 커버(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14는 회로 기판(11)에 실장된 커 넥터이다. 이 커넥터(14)에,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을 감합함으로써, 스위치 장치(100)로부터 제어 장치에 스위치(12, 13) 등의 출력 신호를 송신 가능하게 된다. 케이스(1)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20)가 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커버(20)에 의해 케이스(1)의 윗면(1u)이 덮힌다. 커버(20)는, 도어의 암-레스트에 후크 편(片)(20x)을 거는 등 하여 부착된다.
도 1,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3)에는, 창 로크 스위치의 압하조작 타입의 조작 노브(8)가 통(3)의 상부 개구(3b)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조작 노브(8)의 내측에 일체적으로 돌출 형성된 통형상의 감합부(8a)(도 6)에, 통(3)을 관통하고 있는 스위치(12)의 액추에이터(12a)의 선단부를 감합시킴에 의해, 조작 노브(8)는 통(3)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 노브(8)는, 차량의 창을 개폐될 수 없도록 로크하고 또는 상기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 압하조작된다. 스위치(12)는, 창 로크용의 스위치로서, 공지의 로크식 압입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6(a)에 도시한 초기 상태로부터, 한번 조작 노브(8)를 손가락으로 압하조작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12)의 액추에이터(12a)가 본체(12b) 내에 압입되어 상기 압입 상태로 고정됨과 함께, 조작 노브(8)가 압하조작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상태로부터, 다시 한번 조작 노브(8)를 손가락으로 압하조작하면, 액추에이터(12a)의 고정이 해제되고, 액추에이터(12a)가 본체(12b) 내에 구비되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본 체(12b) 내로부터 최대한 돌출하고, 도 4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2a) 및 조작 노브(8)가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액추에이터(12a)가 압입 고정된 상태에서는, 스위치(12)의 본체(12b) 내에 구비되는 도시하지 않은 접점이 ON(도통) 상태가 되고, 압입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그 접점이 OFF(비도통) 상태가 된다. 즉, 조작 노브(8)의 조작 위치에 따라 스위치(12)가 입절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4)에는, 도어 로크 스위치의 요동조작 타입의 조작 노브(9)가 통(4)의 상부 개구(4b)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고, 통(5)에는, 창 개폐 스위치의 요동조작 타입의 조작 노브(10)가 통(5)의 상부 개구(5b)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 조작 노브(9, 10)를 상방에서 각 통(4, 5)에 씌워서, 각 통(4, 5)의 좌우의 외측면에 돌설된 축(4a, 5a)(도 2)에 각 조작 노브(9, 10)의 좌우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9c, 10c)(도 1)을 감합시킴에 의해, 각 조작 노브(9, 10)는 각 통(4, 5)에 축(4a, 5a)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 노브(9)는, 차량의 도어를 개폐될 수 없도록 로크하고 또는 상기 록을 해제하기 위해 압하조작된다. 조작 노브(10)는, 차량의 창을 개폐하기 위해 압하조작된다. 케이스(1) 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조작 노브(10)에 대응하는 창 개폐용의 스위치(13)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의 스위치는 공지의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각 조작 노브(10)의 내측에는, 조작봉(15)이 일체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봉(15)은, 조작 노브(10)로부터 통(5)의 상부 개구(5b)를 관통하여 케이스(1) 내로 늘어나서, 각 스위치(13)의 액추에이터(13a)와 감합되어 있다. 또한, 도 4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조작 노 브(9)에 대해서도, 이것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성된 도어 로크용의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고, 조작 노브(9)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조작봉이 통(4)의 상부 개구(4b)를 관통하여 케이스(1) 내로 늘어나서, 도어 로크용의 스위치의 액추에이터와 감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중립 상태로부터, 조작 노브(10)를 손가락으로 앞측으로 쓰러뜨리거나 후측으로 일으키거나 하여 요동조작하면, 조작 노브(10)가 축(5a)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하여, 조작봉(15)이 상기 움직임을 액추에이터(13a)에 전달하고, 스위치(13)의 본체(13b) 내에 구비되는 도시하지 않은 접점이 ON(도통) 또는 OFF(비도통)의 상태로 전환된다. 즉, 조작 노브(10)의 조작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스위치(13)가 입절된다. 조작 노브(9)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케이스(1)에 커버(20)를 부착한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조작 노브(8 내지 10)는 커버(20)에 마련된 구멍(20a 내지 20c)으로부터 노출하고,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하게 된다. 조작 노브(8, 9)는, 상방으로부터 압압하는 것만으로 조작 가능하기 때문에, 구멍(20a, 20b)의 개구 면적은 작고, 조작 노브(10)는, 손가락을 걸어 전방으로 쓰러뜨리거나 후방으로 일으키거나 하는 조작을 행하기 때문에, 구멍(20c)의 개구 면적이 손가락을 삽입 가능하도록 크게 되어 있다.
케이스(1)상의 통(3)의 주위에는, 도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3)의 전둘레에 걸쳐서 홈(6)이 마련되어 있다. 이 홈(6)은, 케이스(1)의 앞측을 향한 측면(1f) 및 도 2에서 좌측을 향한 측면(1g, 1h)과 연속하여, 상기 측면(1f 내지 1h)측의 단부(6a)가 각각 개방되어 있다. 홈(6)의 통(3)과 반대측의 단부(6e)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20)의 구멍(20a)의 통(3)측의 단부(20e)보다, 통(3)으로부터 먼 위치에 있다. 홈(6) 내에는, 도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3)의 전둘레에 걸쳐서 통(3)측을 향하여 올라가는 단차(7)가 마련되어 있다. 이 단차(7)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노브(8)의 외주면(8e)보다 통(3)에 가까운 위치에 있고, 단차(7)의 상부(7a) 및 하부(7b)가 케이스(1)의 윗면(1u)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단차(7)의 하부(7b)는, 홈(6)의 바닥(6b)과 일치(즉, 동일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구조의 스위치 장치(100)에 있어서, 미처 닫지 못한 창으로부터 침입하는 빗물이나 차 내에서 잘못하여 엎지른 음료 등(이하, 「물」이라고 한다)이, 커버(20)상의 구멍(20a)까지 흘러오면, 상기 물은, 도 5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20)와 조작 노브(8)의 간극(18)을 통과하여 케이스(1)상으로 흘러내려 간다. 그리고, 흘러내린 물은, 바로 아래에 있는 홈(6) 내의 단차(7)의 하부(7b)로 들어가고, 대부분이 도 5에 굵은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홈(6)의 개방 단부(6a)로부터 케이스(1)의 옆으로 배출된다. 또한, 일부의 물은 단차(7)의 하부(7b)에 낙하 충돌한 세력에 의해, 가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통(3)측으로 흘러 가지만, 상기 물은 단차(7)에서 되튀겨서, 단차(7)를 상승하여 상부(7a) 및 통(3)에 도달하는 일 없이, 단차(7)의 하부(7b)상을 흘러 홈(6)의 개방 단부(6a)로부터 케이스(1)의 옆으로 배출된다. 또한, 일부의 물은 상기 세력에 의해, 가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통(3)과 반대측으로 흘러 가는 것도 있지만, 상기 물은 홈(6)의 통(3)과 반대측의 측면(6c)에서 되튀겨서, 케이스(1) 윗면(1u)에 도달하는 일 없이, 단차(7)의 하부(7b)상을 흘러 홈(6)의 개방 단부(6a)로부터 케이스(1)의 옆으로 배출된다.
이상에 의하면, 케이스(1)상의 통(3)의 주위에 단차(7)를 마련함으로써, 물이 외부로부터 커버(20)와 조작 노브(8)의 간극(18)을 통과하여 케이스(1)상의 조작 노브(8)의 부근으로 흘러 내려 와도, 상기 물이 통(3)을 향하여 흘러 가는 것을 단차(7)에 의해 받아내어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노브(8)의 외주면(8e)보다 통(3)측에 단차(7) 및 단차(7)의 상부(7a)가 위치하기 때문에, 간극(18)으로부터 흘러 내려온 물이, 단차(7)의 하부(7b)와 단차(7)를 경유하지 않고, 단차(7)의 상부(7a)에 직접 흘러 가는 일은 없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온 물이, 통(3)에 따라 상승하여 조작 노브(8)와 통(3)의 간극(19)(도 6(a)) 및 통(3)의 상부 개구(3b)를 통과하여 케이스(1)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1)상에 마련한 홈(6) 내에 단차(7)를 마련함으로써, 간극(18)으로부터 흘러 내려온 물이, 케이스(1)의 윗면(1u)을 흘러 가지 않고, 홈(6) 내의 단차(7)의 하부(7b)로 들어가고, 상기 하부(7b)로부터 통(3)을 향하여 흘러 가는 것을 단차(7)에 의해 저지할 수 있음과 함께, 물을 홈(6) 내의 단차(7)의 하부(7b)에 체류시키는 일 없이, 부근의 케이스(1)의 측면(1f 내지 1h)과 연속하는 홈(6)의 개방 단부(6a)로부터 케이스(1)의 옆으로 즉석에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 내에의 물의 침입을 한층더 방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홈(6)의 통(3)과 반대측의 단부(6e)를, 커버(20)의 구멍(20a)의 통(3)측의 단부(20e)보다, 통(3)으로부터 멀리 위치시킴으로써, 커버(20)와 조작 노 브(8)의 간극(18)의 바로 아래에 홈(6) 및 단차(7)의 하부(7b)가 위치하기 때문에, 간극(18)을 통과하여 흘러 내려온 물을, 직접 홈(6) 내의 단차(7)의 하부(7b)로 들어가게 하여, 홈(6)의 개방 단부(6a)로부터 케이스(1)의 옆으로 배출할 수 있고, 케이스(1) 내에의 물의 침입을 한층더 방지 가능하게 된다.
이상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도 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6)의 바닥(6b)이 케이스(1)의 윗면(1u)과 평행하며 또한 수평인 예를 들었지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6)의 바닥(6b')을, 부근의 케이스(1)의 측면(1f 내지 1h)을 향하여 하강 경사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커버(20)와 조작 노브(8)의 간극(18)을 통과하여 홈(6) 내의 단차(7)의 하부(7b')로 들어간 물을,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7b')에 체류시키는 일 없이, 수시로 홈(6)의 바닥(6b)을 따라 흘러, 개방 단부(6a)로부터 케이스(1)의 옆으로 스무스하게 배출할 수 있고, 케이스(1) 내에의 물의 침입을 한층더 방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상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상의 압하조작 타입의 조작 노브(8)를 마련하는 통(3)의 주위에 홈(6) 및 단차(7)를 마련한 예를 들었지만, 이 이외에, 예를 들면, 조작 노브(9, 10)를 부착하는 통(4, 5)과 같은 요동조작 타입의 조작 노브를 배치하는 통의 주위에도, 마찬가지의 홈 및 단차를 마련하여도 좋고, 미러 컨트롤 스위치용의 회전 조작 타입의 조작 노브를 배치하는 통의 주위에도, 마찬가지의 홈 및 단차를 마련하여도 좋다. 즉,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압하조작 타입, 요동조작 타입, 또는 회전조작 타입 등의 조작 노브를 배치하는 통의 개구로부터 케이스 내에의 물의 침입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상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파워 윈도우 장치에 이용되는 스위치 장치(100)에 적용한 예를 들었지만, 본 발명은, 문 개폐 장치에 이용되는 스위치 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차량탑재 이외의 용도에 이용되는 스위치 장치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케이스상의 조작 노브 부근으로 흘러온 물이, 확실하게 단차의 하부로 들어감과 함께, 그 하부로부터 단차의 상부 및 그 앞의 통을 향하여 흘러가는 것을 단차에 의해 받아내어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통의 개구를 통과하여 케이스 내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Claims (4)

  1.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가 내부에 수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상에 마련되고 상하로 개구하여 케이스 내부와 연통하는 통과, 상기 통의 개구를 덮도록 마련된 조작 노브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노브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위치의 입절을 행하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상의 통의 주위의 조작 노브의 외주면보다 통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통측을 향하여 올라가는 단차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상의 통의 주위에, 부근의 케이스의 측면과 연속하여 상기 측면측의 단부가 개방된 홈을 마련하고, 상기 홈 내에 상기 단차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윗면을 덮도록 부착되고, 상기 조작 노브를 조작 가능하게 노출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홈의 통과 반대측의 단부를, 상기 커버의 구멍의 통측의 단부보다 통으로부터 멀리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바닥을, 부근의 케이스의 측면을 향하여 하강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060070683A 2005-07-29 2006-07-27 스위치 장치 KR100796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1020 2005-07-29
JP2005221020A JP4007379B2 (ja) 2005-07-29 2005-07-29 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023A true KR20070015023A (ko) 2007-02-01
KR100796433B1 KR100796433B1 (ko) 2008-01-21

Family

ID=37216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683A KR100796433B1 (ko) 2005-07-29 2006-07-27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97884B2 (ko)
EP (1) EP1748452B1 (ko)
JP (1) JP4007379B2 (ko)
KR (1) KR100796433B1 (ko)
CN (1) CN100495611C (ko)
AT (1) ATE396490T1 (ko)
BR (1) BRPI0603070A (ko)
CA (1) CA2552629A1 (ko)
DE (1) DE60200600126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6015670D1 (de) * 2006-12-20 2010-09-02 Ford Global Tech Llc Schaltergerät für Fensterhebeantrieb
DE102007002311B4 (de) * 2007-01-16 2017-03-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ippschalter
JP4671179B2 (ja) * 2007-09-12 2011-04-13 日本精機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5340251B2 (ja) * 2010-11-15 2013-1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DE102014202882B4 (de) * 2013-02-15 2018-05-17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Schaltervorrichtung
JP2014157694A (ja) * 2013-02-15 2014-08-28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スイッチ装置
JPWO2016079871A1 (ja) * 2014-11-21 2017-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7539230B (zh) * 2016-06-23 2021-09-21 阿尔派株式会社 电子装置以及开关防水机构
JP6359698B1 (ja) 2017-02-07 2018-07-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揺動スイッチ装置
DE102017113661B4 (de) * 2017-06-21 2021-03-04 Bcs Automotive Interface Solutions Gmbh Kraftfahrzeugbedienvorrichtung
JP7369648B2 (ja) * 2020-03-18 2023-10-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7369649B2 (ja) * 2020-03-18 2023-10-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6941A (en) 1981-05-13 1982-11-17 Kangiyou Denki Kiki Kk Coil for motor
JP2557557Y2 (ja) * 1991-02-12 1997-12-10 ミネベア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JPH0677127A (ja) 1992-08-24 1994-03-18 Hitachi Ltd 化合物半導体装置とその製法
US5414231A (en) * 1993-03-15 1995-05-09 Tokyo Denso Kabushiki Kaisha Switch device
JPH0677127U (ja) * 1993-04-08 1994-10-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押釦装置
JP3111221B2 (ja) 1993-12-17 2000-11-20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車両用スイッチユニットの排水構造
JP3527000B2 (ja) * 1996-01-26 2004-05-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付きスイッチボックス
JP3798182B2 (ja) * 1999-06-03 2006-07-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2003059368A (ja) * 2001-08-22 2003-02-28 Mitsumi Electric Co Ltd キースイッチ
JP3998174B2 (ja) * 2001-08-30 2007-10-24 ナイルス株式会社 スイッチ
US6610948B1 (en) * 2002-02-12 2003-08-26 Behavior Tech Computer Corporation Pushbutton of keyboard
DE20208796U1 (de) * 2002-06-06 2002-08-22 Liang, Ming-Ching, Anding Druckknopf für ein Zellulartelefon
JP4461033B2 (ja) * 2005-01-27 2010-05-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4286794B2 (ja) * 2005-02-09 2009-07-01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4464846B2 (ja) * 2005-02-16 2010-05-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4312739B2 (ja) * 2005-05-23 2009-08-12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52629A1 (en) 2007-01-29
CN1913067A (zh) 2007-02-14
JP4007379B2 (ja) 2007-11-14
EP1748452A1 (en) 2007-01-31
KR100796433B1 (ko) 2008-01-21
CN100495611C (zh) 2009-06-03
DE602006001268D1 (de) 2008-07-03
ATE396490T1 (de) 2008-06-15
US20070023261A1 (en) 2007-02-01
JP2007035571A (ja) 2007-02-08
US7297884B2 (en) 2007-11-20
EP1748452B1 (en) 2008-05-21
BRPI0603070A (pt)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433B1 (ko) 스위치 장치
KR100762601B1 (ko) 스위치 장치
KR100858405B1 (ko) 스위치 장치
US7183510B2 (en) Switching device
JP4286794B2 (ja) スイッチ装置
US20130220063A1 (en) Switch device
KR100817407B1 (ko) 스위치 장치
JP2014160556A (ja) スイッチ装置
KR20070030997A (ko) 전기점성유체를 이용한 도어체크
KR0129625B1 (ko) 자동차 테일게이트의 잠금장치
KR100746947B1 (ko)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
KR20000020200U (ko)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어셈블리
JP2005113618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9980051058A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오픈감지스위치 구조
KR19980035920U (ko) 차량의 도어 윈도우 자동 닫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