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947B1 -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947B1
KR100746947B1 KR1020050101064A KR20050101064A KR100746947B1 KR 100746947 B1 KR100746947 B1 KR 100746947B1 KR 1020050101064 A KR1020050101064 A KR 1020050101064A KR 20050101064 A KR20050101064 A KR 20050101064A KR 100746947 B1 KR100746947 B1 KR 100746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opening
sliding door
oi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4862A (ko
Inventor
김기원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947B1/ko
Publication of KR2007004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을 개선하여 슬라이딩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주유구리드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운전석 인근에 마련된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와; 주유구에 마련되어 전원 공급에 따라 주유구리드를 탄력적으로 개방시키는 솔레노이드(200)와; 상기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와 솔레노이드(200) 사이에 연결되어, 슬라이딩도어(400)의 개폐에 따라 '온'과 '오프'로 동작하여 상기 솔레노이드(200)에 공급되는 전원선을 선택적으로 단락 시키는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300)로 구성되어, 차량의 상품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슬라이딩도어, 주유구리드, 스위치, 개폐감지부

Description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a fuel lid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에 대한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에 대한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 200 : 솔레노이드
300 :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 310 : 걸림턱
320 : 감지유닛 321 : 케이스
322 : 제1단자 323 : 제2단자
324 : 회전체 325 : 이동체
326 : 전도체 327 : 스프링
400 : 슬라이딩도어 500 : 차체
본 발명은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을 개선하여 슬라이딩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주유구리드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차량의 상품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유구에 마련된 주유구리드는 크게 케이블의 인출에 의하여 개방되는 기계식과 솔레노이드를 통하여 개방되는 전동식으로 구분되며, 최근 들어 전동식 주유구리드가 널리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주유구리드는 통상 차체 측면에 위치하고 있어, 슬라이딩도어가 적용된 차량의 경우 주유구리드와 슬라이딩도어 상호간의 개방시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주유구리드가 개방된 경우 슬라이딩도어의 개방을 제한하는 안전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안전장치의 경우 주유구리드가 개방된 경우 슬라이딩도어의 개방을 제한할 수 있는 반면, 차량의 슬라이딩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유구리드가 개방되는 것은 제한하지 못하기 때문에, 슬라이딩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만약 주유구리드가 열릴 경우, 슬라이딩도어 폐쇄시 슬라이딩도어는 물론 주유구리드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을 개선하여 슬라이딩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주유구리드가 열리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여 차량의 상품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석 인근에 마련된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와; 주유구에 마련되어 전원 공급에 따라 주유구리드를 탄력적으로 개방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와 솔레노이드 사이에 연결되어, 슬라이딩도어의 개폐에 따라 '온'과 '오프'로 동작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원선을 선택적으로 단락 시키는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에 대한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에 대한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석 인근에 마련된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와; 주유구에 마련되어 전원 공급에 따라 주유구리드를 탄력적으로 개방시키는 솔레노이드(200)와; 상기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와 솔레노이드(200) 사이에 연결되어, 슬라이딩도어(400)의 개폐에 따라 '온'과 '오프'로 동작하여 상기 솔레노이드(200)에 공급되는 전원선을 선택적으로 단락 시키는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3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 솔레노이드(200), 그리고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300)로 이루어져, 슬라이딩도어(400)가 개방된 경우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와 솔레노이드(200) 사이에 연결된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300)가 이를 검출하여 전원선을 단락 시킴으로써, 주유구리드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와 솔레노이드(200)는 기존의 차량에 마련된 구성요소로, 운전석 인근에 마련된 푸시버튼 형태의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를 조작할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200)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주유구리드를 탄력적으로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와 솔레노이드(200) 사이에 추가로 연결된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300)는 슬라이딩도어(40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만약 슬라이딩도어(400)가 폐쇄된 경우에는 '온'상태가 되어 상기 주 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와 솔레노이드(200) 사이를 연결시키며, 상기 슬라이딩도어(400)가 개방된 경우에는 '오프'상태가 되어 상기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와 솔레노이드(200) 사이를 단락 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슬라이딩도어(400)의 폐쇄 상태에서는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 조작에 따라 솔레노이드(200)가 동작하여 주유구리드를 개방시킬 수 있는 반면, 상기 슬라이딩도어(400)의 개방 상태에서는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를 조작하여도 솔레노이드(200)가 동작하지 않아 주유구리드를 개방시킬 수 없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300)는 상기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를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30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도어(400)의 내측면에 돌출된 걸림턱(310)과; 케이스(321)와, 상기 케이스(321)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에 연결된 제1단자(322) 및 상기 솔레노이드(200)에 연결된 제2단자(323)와, 상기 걸림턱(31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정역 회전하는 회전체(324)와, 일측은 상기 케이스(321) 내면에 탄성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체(324)에 접촉하며, 그 중단이 상기 제1단자(322)와 제2단자(323)를 선택적으로 통전 시키는 이동체(325)로 이루어져, 차체(500)에 마련된 감지유닛(320)으로 구성된다.
즉, 대략 'L'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걸림턱(310)을 슬라이딩도어(400)의 후측 내면에 고정시키고, 이 걸림턱(310)에 대응하는 감지유닛(320)을 차체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유닛(320)의 외부를 이루는 케이스(321) 내부에는 스프링(327)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이동체(325)가 마련되되, 상기 이동체(325)는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321)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체(324)는 일부가 상기 케이스(321) 외부로 돌출 되어, 슬라이딩도어(400)의 개폐에 따라 상기 걸림턱(310)에 접촉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케이스(321) 내부에는 두 개의 단자인 제1단자(322)와 제2단자(323)가 마련되되, 상기 제1단자(322)는 미도시된 도선에 의하여 상기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에 연결되고, 상기 제2단자(323)는 미도시된 도선에 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200)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300)는 상기 회전체(324)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도 2와 같이 상기 이동체(325)가 제1단자(322)와 제2단자(323)를 연결시키며, 상기 회전체(324)가 도 3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상기 이동체(325)가 제1단자(322)와 제2단자(323)를 단락 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감지유닛(320)의 회전체(324)에는, 상기 걸림턱(310)에 대응하는 외부노치(324a)와 상기 이동체(325)에 대응하며 서로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내부노치(324b, 324c)가 절입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이동체(325)의 중단에는, 상기 제1단자(322)와 제2단자(323)의 통전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전도체(326)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이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체(324)의 외측에는 상기 걸림턱(310)에 대응하도록 비교적 크 기가 큰 외부노치(324a)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324)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체(325)에 대응하도록 비교적 작은 크기의 두 내부노치(324b, 324c)를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딩도어(400)의 개폐에 따라 걸림턱(310)이 상기 회전체(324)의 외부노치(324a)를 통하여 상기 회전체(324)를 정역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체(325)는 상기 회전체(324)의 두 내부노치(324b, 324c) 중 하나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이동체(325)에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판형의 전도체(326)를 추가로 마련할 때에는, 상기 이동체(325)를 전도성 재질로 구성할 필요가 없으며 더욱 정확한 스위칭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에 대한 작동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슬라이딩도어(400)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3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여 스프링(327)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이동체(325)가 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체(324)의 내부노치(324b)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와 동시에,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에 연결된 제1단자(322)와 솔레노이드(200)에 연결된 제2단자(323)를 전도체(326)가 상호 연결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를 조작할 경우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300)를 통하여 솔레노이드(200)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주유구리드의 개방이 가능하다.
만약, 슬라이딩도어(400)가 개방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310)이 감지유닛(320)의 회전체(324)에 형성된 외부노치(324a)에 걸려 상기 회전체(32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체(325)가 도면상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스프링(327)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상기 회전체(324)의 내부노치(324c)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와 동시에,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에 연결된 제1단자(322)와 솔레노이드(200)에 연결된 제2단자(323)를 상호 연결시키고 있던 전도체(326)를 이격시켜 단락 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를 조작하여도 솔레노이드(20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주유구리드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상기 슬라이딩도어(400)를 닫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324)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은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100)와 솔레노이드(200) 사이에 연결된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300)를 슬라이딩도어(400)와 차체(500) 사이에 마련하여, 슬라이딩도어(400)의 폐쇄시에만 주유구리드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딩도어(400)가 열린 상태에서 주유구리드가 개방되어 발생할 수 있는 슬라이딩도어(400)와 주유구리드 상호 간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이 있는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 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을 개선하여 슬라이딩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주유구리드가 열리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여 차량의 상품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차량의 운전석 인근에 마련된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와; 주유구에 마련되어 전원 공급에 따라 주유구리드를 탄력적으로 개방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와 솔레노이드 사이에 연결되어, 슬라이딩도어의 개폐에 따라 '온'과 '오프'로 동작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원선을 선택적으로 단락 시키는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로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딩도어 개폐감지부는,
    슬라이딩도어의 내측면에 돌출된 걸림턱과;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주유구리드 개방스위치에 연결된 제1단자 및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제2단자와, 상기 걸림턱의 좌우 이동에 따라 정역 회전하는 회전체와, 일측은 상기 케이스 내면에 탄성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체에 접촉하며, 그 중단이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를 선택적으로 통전시키는 이동체로 이루어져, 차체에 마련된 감지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의 회전체에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외부노치와 상기 이동체에 대응하며 서로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내부노치가 절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중단에는,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의 통전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전도체가 추가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
KR1020050101064A 2005-10-26 2005-10-26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 KR100746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064A KR100746947B1 (ko) 2005-10-26 2005-10-26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064A KR100746947B1 (ko) 2005-10-26 2005-10-26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862A KR20070044862A (ko) 2007-05-02
KR100746947B1 true KR100746947B1 (ko) 2007-08-07

Family

ID=3827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064A KR100746947B1 (ko) 2005-10-26 2005-10-26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9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424U (ko) * 1997-10-28 1999-05-25 현성옥 차량의 시동 온.오프에 따른 주유구 캡 개폐장치
KR100288760B1 (ko) 1997-12-31 2001-06-01 이계안 슬라이딩 도어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424U (ko) * 1997-10-28 1999-05-25 현성옥 차량의 시동 온.오프에 따른 주유구 캡 개폐장치
KR100288760B1 (ko) 1997-12-31 2001-06-01 이계안 슬라이딩 도어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862A (ko)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15664T3 (es) Cierre para un aparato doméstico
US8991877B2 (en) Door lock for the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KR100796433B1 (ko) 스위치 장치
US4286125A (en) Electric switch with two switching parts acting at different times
JPH1122300A (ja) パワーウインド装置
KR101056813B1 (ko)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
KR100746947B1 (ko)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
KR102481001B1 (ko) 특히 가전기기를 위한 도어 잠금 장치
CN105781281A (zh) 车辆门锁装置的开关组件
US20200115927A1 (en) Appliance lock with magnetic sensing switch actuation in a hydrophobic enclosure
EP1709658B1 (en) Auxiliary contact configuration for switching device
EP2834829B1 (en) Door locking device with integrated door sensing switch
US20040124794A1 (en) Switch apparatus
JP2005158492A (ja) パワーウインドスイッチ装置
KR100711510B1 (ko) 차량용 래치의 스위치
CN220621478U (zh) 机动车锁
JP5153675B2 (ja) 開閉体駆動装置
KR19990006460U (ko) 차량용 도어 스위치
US1094798A (en) Safety-switch for motor-vehicles.
CN105723486B (zh) 用于确定位置的微动开关和应用
US20070158169A1 (en) Spring to actuator bearing mechanism
RU19647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ммутации электропотребителя в автомобиле
JP2015041460A (ja) パワーウインドウスイッチ装置
DE50201554D1 (de) Schaltgerät mit Klemmenverriegelung
KR100402610B1 (ko)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