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688A -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688A
KR20070008688A KR1020067023329A KR20067023329A KR20070008688A KR 20070008688 A KR20070008688 A KR 20070008688A KR 1020067023329 A KR1020067023329 A KR 1020067023329A KR 20067023329 A KR20067023329 A KR 20067023329A KR 20070008688 A KR20070008688 A KR 20070008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microwave
pressure
temperatur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하루 쓰루타
다다히사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기타큐슈 파운데이션 포 더 어드밴스먼트 오브 인더스트리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후쿠오카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큐슈 파운데이션 포 더 어드밴스먼트 오브 인더스트리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후쿠오카켄 filed Critical 기타큐슈 파운데이션 포 더 어드밴스먼트 오브 인더스트리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070008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al treatment, e.g. ultrasonic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15Preserv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out heat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15Preserv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out heat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the whole or part of a circle
    • F26B15/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the whole or part of a circle in a horizontal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trays or racks or receptacles, which may be connected to endless chains or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3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in combination with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26B5/04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in combination with heat developed by electro-magnetic means, e.g. microwave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11)을 넣는 챔버(13)와, 챔버(13)와 접속되어 챔버(13) 내를 감압하는 감압 펌프(22)와, 챔버(13) 내의 대상물(11)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 수단(12)과, 외부로부터 챔버(13) 내에 기체를 도입하여 챔버(13) 내에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 발생 수단과,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35)을 구비하고, 챔버(13) 내에 있는 대상물(11)을, 감압 상태이면서 주위에 기류를 발생시킨 상태에서, 온/오프(on/off)하는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대상물(11)을 변질 온도 미만의 온도로 건조한다.
마이크로파, 감압, 건조, 챔버, 변질 온도, 식품, 캐리어 가스

Description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ED PRESSURE DRYING USING MICROWAVE}
본 발명은, 온도에 의해 변질되는(실질적으로 성분이 바뀌고, 그 외 변형 등도 포함하는) 대상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감압 건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리비의 패주 또는 전복 등의 식품 재료는, 3개월 정도 햇볕에 말려서 건조하고 있다. 또한, 건강식품이나 인스턴트 식품에 사용되는 건조 야채는, 생 야채를 분쇄하여, 그대로 혹은 물과 혼합하여, 100 ~ 200℃로 건조하여 제조되고 있다. 또한, 일본국 일본국 특개평 7-208862호 공보에는, 내압 용기 내에 피건조물(대상물)을 넣어 내압 용기 내를 감압하는 동시에, 마이크로파를 피건조물에 조사함으로써 피건조물 중의 물 분자를 가열하여 건조하는 감압하 전자파 가열식 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햇볕에 말려서 식품 재료를 건조하는 경우에는, 곰팡이 등의 발생에 의한 수율의 악화 및 인건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야채 등을 고온으로 건조하면 비타민 등이 분해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7-208862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감압함으로써 저온으로 건조할 수 있지만, 피건조물에 마이크로파를 연속적으로 조사하므로 대량의 열이 피건조물에 가해져서, 피건조물이 변질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슬릴 우려가 있다.
특히, 식품의 경우에는 마이크로파로 건조하면 단시간에 건조할 수 있지만, 비교적 낮은 온도로 가열하더라도 단백질이나 전분은 변질되고, 그 성분이 바뀌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탁물을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건조하면, 온도가 너무 높아져서, 천이 상하거나 수축되는 문제도 있다. 목재의 경우에는 내부의 셀룰로오스가 변질되어 목재 본래의 성능을 발휘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전기 기기 등의 가열 건조에 있어서는, 온도에 의해 소자나 재료가 변질 또는 변형되어서 기기 자체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대상물을 변질시키지 않는 낮은 온도로 단시간에 건조 가능한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방법은, 감압 펌프가 접속된 챔버(chamber) 내에 대상물을 넣고, 상기 챔버 내가 감압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행하는 감압 건조 방법으로서, a) 상기 챔버 내는, 상기 대상물의 변질 온도에 대응하는 포화 증기압 이하 감압되고, b) 상기 챔버의 외부로부터 상기 챔버 내에 기체를 공급하고, c) 상기 마이크로파를 온/오프(on/off) 처리하여, 상기 대상물의 온도를 상기 대상물의 변질 온도 미만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대상물을 건조한다.
상기 목적에 따르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는, 대상물을 넣는 챔버, 상기 챔버와 접속되어 상기 챔버 내를 감압하는 감압 펌프와, 상기 챔버 내의 상기 대상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 수단과, 상기 챔버의 외부로부터 상기 챔버 내에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챔버 내에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 발생 수단과,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 수단으로부터 사전에 결정된 주기로 상기 마이크로파를 조사시키고, 상기 대상물의 온도가 상기 대상물의 변질 온도 미만이 되도록 상기 마이크로파의 온/오프 처리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는 상기 감압 건조 장치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6은 감압 개시 스테이션, 마이크로파 가열 스테이션 및 복압 스테이션에 있는 커버 부착 트레이 주위의 기기 배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커버 부착 트레이의 일부 평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감압 건조 장치의 각 커버 부착 트레이의 배치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0a, 10b는 각각 감압 개시 스테이션, 마이크로파 가열 스테이션 및 복압 스테이션에 있는 커버 부착 트레이 주위의 기기 배치를 나타낸 정 단면도,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더 변형시킨 변형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에 있어서 챔버 내의 압력의 차이에 의한 건조 시간과 대상물의 함수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챔버 내로 공급되는 기체의 공급량의 차이에 의한 건조 시간과 대상물의 함수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마이크로파의 조사 방법에 의한 건조 시간과 대상물의 함수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마이크로파 건조와 온풍 건조에 의한 건조 시간과 대상물의 함수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a, 17b는 각각 시험예(마이크로파 건조) 및 비교예(온풍 건조)에 있어서 건조한 대상물의 표면으로부터 내부에 걸친 함수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a, 18b는 각각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건조하는 대상물의 건조 전후에 있어서의 표면 조직을 나타낸 설명도, 18c는 비교예에서의 건조 후의 대상물의 표면 조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감압 건조 장치(10)는, 대상물(예를 들면, 가리비의 패주)(11)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 수단의 일례인 전자레인지(12)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레인지(12) 내에는, 대상물(11)을 넣는 챔버(13)가 배치되어 있다. 챔버(113)는, 판유리(14)와, 판유리(14) 위에 탑재되는 범종형의 유리 용기(15)로 구성되며, 챔버(13)는, 챔버(13) 내를 감압함으로써 밀폐된다.
그리고, 대상물로서 식품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가리비의 패주 외에, 예를 들면, 전복, 생선 및 표고버섯 등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건어물의 원료와, 건조 과일의 원료가 되는 과일과, 건강식품이나 인스턴트 식품 등에 사용되는 야채와, 동물의 사료가 되는, 시장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야채 쓰레기 및 생선의 살을 발라내고 난 나머지 부분 등의 식품 폐기물이 있고, 식품을 건조하는 경우의 변질 온도는 식품의 성분, 예를 들면, 단백질, 전분, 또는 비타민류 등의 변성 온도(또는 분해 온도)로 설정한다.
또한, 대상물로서 세정 후의 의복, 목재, 표면에 액정 증착막이 설치된 유리, 세정 후의 전자 부품을 실장한 전자 기판, 또는 컨덴서 등의 전자 부품에 절연 체로서 사용되는 용지 등, 열에 의해 변형되는 물품일 수도 있다. 의복의 변질 온도는 의복의 천이 상하거나 수축되는 온도이다. 목재 및 유리의 경우, 변질 온도는 목재 및 유리가 깨지거나 뒤틀림이 발생하는 온도이며, 전자 기판의 변질 온도는 전자 부품이 망가지거나 전자 기판이 변형되는 온도이며, 용지의 변질 온도는 종이가 변형되는 온도이다.
그리고, 상기 감압 건조 장치(10)를 사용함으로써, 하수의 진흙탕, 축산 분뇨 등의 오물, 및 도장 후의 도료 등에, 변질(조성의 파괴, 그슬림)이나 변형되지 않도록 건조할 수도 있다.
전자레인지(12)는, 전자레인지(12) 내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의 일례인 도시하지 않은 마그네트론(magnetron)에 의해, 주파수가 2450MHz(2.45GHz)의 마이크로파를 발생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는, 파장의 범위가 대략 1 ~ 30cm, 주파수의 범위가 1000MHz ~ 30GHz인 전자파의 총칭으로서, 레이더나 전화, 텔레비전의 중계 등에 사용하는 것 외에, 물질의 분자 구조의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유리 및 종이 등을 투과하며, 금속에 의해 반사되지만, 물 등에는 잘 흡수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전자레인지(12)에 의해,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를 대상물(11)에 조사하여, 대상물(11) 중의 물분자를 진동시켜서, 물만 데워서 증발시켜서 대상물(11)을 건조한다.
마이크로파로 건조할 경우, 물의 이동 방향과 열의 이동 방향을, 둘다 대상물(1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건조 효율이 양호하게 된다. 그 리고, 마이크로파 조사 수단으로서는, 도파관(wave guide), 또는 안테나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챔버(13) 내의 대상물(11)의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 열전대(thermocouple) 또는 서미스트(thermistor) 등의 전기식의 온도계로는 계측이 곤란하므로, 예를 들면, 고주파 또는 고전압 하에서도 측정할 수 있는 형광식의 광섬유 온도계(이하, 간단하게 온도계라 한다)(16, 17)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온도계(16, 17)로, 각각 대상물(11)의 표면 및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있다. 유리 용기(15)의 상부에는, 온도계(16, 17)의 센서(18, 19)를 각각 삽입하는 관통공(20, 21)과, 챔버(13) 내를 감압하는 감압 펌프(예를 들면, 진공 펌프)(22)에 접속되는 감압용 파이프(23)를 장착하는 기체 배출구(24)와, 챔버(13) 내에 공기(기체의 일례)를 입력하는 기체 도입구(25)가 형성되어 있다. 기체 도입구(25)로부터 도입되는 기체(캐리어 가스(carier gas))로서는, 공기 또는 질소 등이 있고, 캐리어 가스에 의해, 마이크로파의 조사에 의해 증발된 물을 챔버(13)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챔버(13) 내의 물을 제거함으로써, 챔버(13) 내의 습도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건조가 촉진된다.
온도계(16, 17)는, 전자레인지(12)의 외부에 위치하고, 대상물(11)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센서(18, 19)가 각각 접속되는 온도계 제어부(26, 27)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18, 19)는, 그 선단에 도시하지 않은 형광 물질(예를 들면, 마그네슘 형광체)의 박막이 접착된 광 섬유를 내부에 포함하는 센서부(28, 29)와, 피복된 광 섬유 케이블(이하, 케이블이라 한다)(30, 31)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30, 31)은 온도계 제어부(26, 27)와 센서부(28, 29)를 각각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에 배치된 온도계 제어부(26, 27)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30, 31)을 통과시키는 관통공(32, 33)이 전자레인지(12)에 형성되어 있다.
대상물(11)의 온도 측정은, 온도계 제어부(26, 27)로부터 각각 광섬유를 통하여, 센서부(28, 29)의 형광 물질에 섬광을 쏘아서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형광 휘도의 감쇠(즉, 형광 완화 시간)를 측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센서부(28, 29)는, 각각 대상물(11)의 표면 및 내부에 배치 가능한 니들형(needle type)을 사용한다. 온도계 제어부(26, 27)는, 각각 측정한 데이터를 보존하는 계측 스테이션(3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계측 스테이션(34)에는, 계측 스테이션(34)에 보존한 데이터를 해석하는 동시에, 해석한 온도계(16, 17)의 측정치에 의해 전자레인지(12)의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온/오프하는 제어 수단의 일례인 컴퓨터(35)가 접속되어 있다. 컴퓨터(35)는, 해석된 데이터가 대상물(11)의 변성 온도 미만의 특정 온도 A가 되었을 경우에 전자레인지(12)를 제어하여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중지하고, 마이크로파를 멈춘 후, 챔버(13) 내의 압력에 대응하는 포화 증기압 온도 근방 또는 그 이상의 특정 온도 B(예를 들면, 30℃)가 된 경우에 전자레인지(12)를 제어하여 마이크로파를 대상물(11)에 조사하는, 온도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대상물(11)이 가리비의 패주이므로, 특정 온도 A를 그 변성 온도인 42℃ 미만인 40℃로 설정한다.
또한, 챔버(13) 내와 감압 펌프(22)를 접속하는 감압용 파이프(23)에는, 전자레인지(12)와 감압 펌프(22) 사이에, 상류(전자레인지측)로부터 순서대로 압력 센서(36), 개폐 밸브(37), 진공 탱크(38), 및 압력 조정 밸브(39)가 장착되어 있다. 압력 센서(36)는, 앰프(40)를 통하여 계측 스테이션(34)에 접속되고, 계측 스테이션(34)에는 압력 센서(36)로 측정된 소정 시간마다의 압력값이 보존되어 있다. 진공 탱크(38)에는 수은 나노메터(41)가 접속되고, 진공 탱크(38)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 있다. 전자레인지(12)에는, 감압용 파이프(23)를 통과시키는 관통공(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리 용기(15)의 기체 도입구(25)에는, 전자레인지(12)의 외부의 공기를 챔버(13) 내에 공급하는 흡기용 파이프(43)가 접속되고, 흡기용 파이프(43)의 타단부에는 전자레인지(12)의 외부에 배치한 유량계(44)가 접속되어 있다. 전자레인지(12)에는, 흡기용 파이프(43)를 통과시키는 관통공(45)이 설치되고, 흡기용 파이프(43)에는 유량 조정 밸브(46)가 형성되어 있다. 챔버(13) 내는 감압 펌프(22)에 의해 감압되므로, 유량 조정 밸브(46)를 열면, 전자레인지(12)의 외부의 공기는 흡기용 파이프(43)를 통하여 챔버(13) 내에 공급되고, 공급된 공기는 대상물(11)의 주위에 기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기류에 의해, 대상물(11)의 건조가 촉진된다. 흡기용 파이프(43), 유량계(44), 입구가 외기 개방이 된 유량 조정 밸브(46) 및 감압 펌프(22)를 구비하여 기류 발생 수단이 구성되며, 감압 펌프(22)에 의해 챔버(13) 내가 감압됨으로써, 유량계(44) 및 유량 조정 밸브(46)를 통과하는 외기가 챔버(13) 내에 흡기된다. 여기서, 감압 펌프(22)의 능력을 고려한 후에, 유량 조정 밸브(46)를 조정하고, 챔버(13) 내의 압력을 특정 온도 A에 대응하는 포화 증기압 이하로 설정한다(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
그리고, 챔버(13) 내의 공기를 감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감압 펌프(22)에 의해 흡인되는 챔버(13) 내의 공기와 흡기용 파이프(43)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각각 압력 조정 밸브(39), 유량 조정 밸브(46)에 의해 조정한다. 마이크로파의 조사에 의해 증발된 챔버(13) 내의 물은, 기체 배출구(24)로부터 감압용 파이프(23)를 통하여, 챔버(13)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챔버(13) 내의 물을 제거함으로써, 챔버(13) 내의 습도를 낮추어서 건조를 더욱 촉진할 수 있다.
여기서, 유리 용기(15)에 설치된 관통공(20, 21), 기체 배출구(24), 기체 도입구(25), 및 전자레인지(12)에 설치된 관통공(32, 33, 42, 45)에는, 도시하지 않은 오링(Oring) 또는 밀봉용 수지 등이 설치되고, 실링(sealing)되어 있다. 관통공(20, 21), 기체 배출구(24), 기체 도입구(25)가 실링되어 있으므로, 챔버(13) 내를 감압함으로써, 판유리(14)와 유리 용기(15)가 밀착되어, 챔버(13) 내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판유리(14)와 유리 용기(15)의 접촉면에 윤활유 등을 발라서 밀착시켜도 된다.
다음에, 감압 건조 장치(10)를 사용한 대상물(11)의 감압 건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대상물(11)의 표면 및 내부에 각각 온도계(16, 17)의 센서부(28, 29)를 설치하고, 대상물(11)을 챔버(13) 내에 탑재한다. 다음에, 감압 펌프(22)로 챔버(13)내의 공기를 흡인하거나, 또는 감압 펌프(22)로 챔버(13) 내의 공기를 흡인함과 동시에 유량 조정 밸브(46)를 열어 챔버(13) 내에 외부의 공기를 기체 도입구(25)로부터 공급한다. 이로써, 챔버(13) 내를, 특정 온도 A의 포화 증기압 이하, 예를 들면 50 ~ 150mmHg(6.7 ~ 20.0kPa)의 감압 상태로 유지한다. 챔 버(13) 내가 감압되므로, 물의 증발 온도가 낮아지고, 대상물(11)을 저온에서 건조할 수 있다. 여기서는, 대상물(11)을 가리비의 패주로 하고, 특정 온도 A를 가리비의 패주인 대상물(11)의 변성 온도(42℃정도) 미만인 40℃로 설정하였으므로, 특정 온도 A의 포화 증기압인 7.376kPa 이하가 되도록 감압 펌프로 감압한다.
대상물(11)의 표면 및 내부의 온도를 온도계(16, 17)로 각각 측정하면서, 전자레인지(12)의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로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고, 마이크로파를 대상물(11)에 조사하여 가열한다. 대상물(11)은, 마이크로파의 조사에 의해, 대상물(11) 중의 물분자가 진동하여 열을 발생하고, 이 열에 의해 대상물(11) 중의 물이 증발한다.
전자레인지(12)에 의해 마이크로파를 대상물(11)에 조사하고, 대상물(11)의 표면 또는 내부의 온도, 즉 온도계(16, 17)의 측정치 중 어느 하나가 40℃가 되었을 경우에, 컴퓨터(35)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전자레인지(12)의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중지한다. 이로써, 대상물(11)은 변성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지 않기 때문에, 대상물(11)을 변성시키지 않고 건조할 수 있다.
대상물(11)은, 마이크로파의 조사에 의해 증발한 물의 숨은열(latent heat)에 의해 냉각되어 온도가 낮아진다. 온도계(16, 17)로 측정한 대상물(11)의 온도의 측정치 중 어느 하나가, 챔버(13) 내의 압력에 대응하는 증기압 온도 근방 또는 그 이상의 특정 온도 B(예를 들면, 30℃)가 되었을 경우에, 컴퓨터(35)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전자레인지(12)를 온하고, 다시 마이크로파를 대상물(11)에 조사하여 대상물(11)을 가열한다.
대상물(11)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특정 온도 A가 될 경우에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중지하는 공정과, 마이크로파의 조사에 의해 증발한 물의 숨은열에 의해 대상물(11)의 온도가 낮아져서 특정 온도 B가 되었을 경우에 마이크로파를 다시 조사하는 공정을 반복하는, 온/오프 처리에 의한 온도 제어를 행하여, 대상물(11)을 건조한다. 이와 같이, 대상물(11)을 펄스적으로 가열함으로써, 대상물(11)의 표면의 물이 증발된 후, 대상물(11)의 내부의 물이 표면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건조 효율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챔버(13) 내의 공기를 감압 상태로 유지하면서, 유량 조정 밸브(46)를 열어 기체 도입구(25)로부터 챔버(13) 내에 공기를 도입하여 대상물(11)의 주위에 기류를 발생시킴으써, 대상물(11)의 건조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챔버(13) 내에 방출된 대상물(11)로부터 증발한 물은, 기체 배출구(24)로부터 챔버(13)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고, 이 때 챔버(13) 내의 습도가 낮아지므로, 더욱 대상물(11)의 건조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챔버(13)로부터 감압 펌프(22)에 공급되는 기체도 마이크로파의 온/오프 제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지 않고, 기류 발생 수단에 의해 챔버 내에 기체를 보내고 있으므로, 배기 가스의 상대 습도가 95% 이하가 되어, 감압 펌프(22)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50)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감압 건조 장치(10)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이 하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감압 건조 장치(50)는, 케이싱(51, casing) 내에 배치되는 밀폐 가능한 원통형의 챔버(52)를 구비하고 있다. 챔버(52)에는, 그 내측 방향으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 수단의 일례인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53)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감압 건조 장치(50)는,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53)로부터 사전에 결정된 주기로 마이크로파를 조사시키고, 대상물(가리비의 패주)(11)의 온도가 대상물(11)의 변성 온도(변질 온도) 미만인 특정 온도 A(40℃)를 넘지 않도록 마이크로파의 조사 시간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의 일례인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챔버(52)는, 내부에 배치된 대상물(11)을 적당하게 교반하기 위해, 그 축심이 수직축에 대하여 예를 들면 30°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51)은 상면으로 개방되고, 그 상면에는 대상물(11)을 투입하는 도어(5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챔버(52)를 밀폐하는 도시하지 않은 커버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54)의 내측에, 도어(54)를 닫았을 때에 챔버(52)를 밀폐하는 커버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챔버(52) 내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대상물(11)을 넣는 상부로 개방된 원통형의 건조 용기(55)가, 그 축심을 챔버(52)의 축심과 맞추어서 설치되어 있다. 건조 용기(55)의 측면에는, 대상물(11)이 통과되지 않을 만큼의 크기의 개구를 가지는 그물눈(mes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건조 용기(55)의 하부의 외주 면에는 큰 직경을 가지는 기어(5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56)와 서로 맞물리는 작은 직경을 가지는 구동 기어(57)는, 회전축(58)을 통하여 모터(59)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58)과 모터(59)의 모터 회전축(60)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고, 회전축(58)의 기단 및 모터(59)의 모터 회전축(60)의 선단은 각각 스파이럴(spiral) 기어(61, 62)가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모터(59)를 회전 구동시킴에 따라서, 건조 용기(55)가 저속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챔버(52)의 하부에는 기체 배출구(63)가 형성되고, 기체 배출구(63)는 배기용 파이프(64)를 통하여 챔버(52) 내를 감압하는 감압 펌프(예를 들면, 진공 펌프)(65)와 연결되어 있다. 배기용 파이프(64)에는, 상류측(챔버(52)측)으로부터 압력 조정 밸브(66)와, 챔버(52) 내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응축시켜서 저장하고 감압 펌프(65)에 물이 들어가지 않게 하는 응축기(67)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챔버(52)의 상부에는, 케이싱(51) 밖의 공기(기체의 일례)를 챔버(52) 내에 도입하는 흡기용 파이프(68)가 장착되는 기체 도입구(69)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용 파이프(68)의 도중에는 유량 조정 밸브(70)가 설치되어, 챔버(52) 내에 도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정하고 있다.
그리고, 흡기용 파이프(68)의 하류측 단부는, 원통형의 챔버(52)의 외주에 대해서 접선 방향이 되도록 장착되고, 기체 도입구(69)로부터의 공기는, 챔버(52)의 측벽에 대해서 실제로 접선 방향으로 유입되고, 대상물(11)을 넣은 건조 용기(55)의 주위에 선회류 α(즉,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흡기용 파이프(68) 및 유량 조정 밸브(70)를 구비하여, 기류 발생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류 발생 수단에 의해 생기는 선회류 α는, 건조 용기(55)의 그물눈으로부터 건조 용기(55) 내에 유입되어 대상물(11)과 접촉하므로, 대상물(11)의 건조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챔버(52) 내에서 대상물(11)로부터 증발된 물은, 선회류 α와 함께 기체 배출구(63)로부터 챔버(52)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고, 이 때 챔버(52) 내의 습도가 낮아지므로, 더욱 대상물(11)의 건조를 촉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감압 건조 장치(50)를 사용한 대상물(11)의 감압 건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복수개의 대상물(11)을 건조 용기(55) 내에 넣고, 챔버(52)에 커버를 닫아서 챔버(52)를 밀폐한 후, 도어(54)를 닫는다. 감압 펌프(65)로 챔버(52) 내의 공기를 흡인함과 동시에, 유량 조정 밸브(70)를 열어 챔버(52) 내에 외부의 공기를 기체 도입구(69)로부터 공급하고, 챔버(52) 내를, 예를 들면 50 ~ 150mmHg(6.7 ~ 20.0kPa, 구체적으로는 7.376kPa)까지 감압한다. 감압 펌프(65)로 흡인하는 공기의 양은, 압력 조정 밸브(66)에 의해 조정하고, 챔버(52) 내에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유량 조정 밸브(70)에 의해 조정한다.
대상물(11)을 가열하기 위해, 컴퓨터로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53)를 제어하여,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53)로부터 마이크로파를 주기적으로 온/오프에 의해 조사하여 대상물(11)을 펄스적으로 급속하게 가열하는, 이른바 시간 제어에 의한 건조를 행하고 있다. 대상물(11)을 건조할 때의 특정 온도 A는, 단백질의 변성 온도 인 42℃ 미만, 예를 들면, 40℃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를 온/오프시키는 주기는,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시간 a(온) 및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지 않는 시간 b(오프)의 주기이며, 사전에 실험에 의해 대상물(11)이 특정 온도 A를 넘지 않는 조사 시간 a 및 중지 시간 b를 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상물(11)은 그 변성 온도 미만으로 가열되므로, 대상물(11)을 변성시키지 않고 건조할 수 있다.
대상물(11)에 대한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중지할 때는, 마이크로파의 조사에 의해 대상물(11)이 특정 온도 A까지 가열되어 증발된, 대상물(11) 중의 물의 숨은열에 의해 냉각되어 대상물(11)의 온도가 낮아지고, 중지 시간 b가 경과한 후, 다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대상물(11)을 특정 온도 A까지 가열하여 건조한다. 조사 시간 a는, 대상물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를 들면 0.5초 ~ 수 분, 바람직하게는 1 ~ 수 초이며, 중지 시간 b는, 조사 시간 a와 같아도 되고 상이하여도 된다. 대상물(11)을 펄스적으로 급속히 가열함으로써, 대상물(11)의 표면이 증발한 후, 대상물(11)의 내부의 물이 표면으로 이동하므로 건조 효율이 양호하게 된다.
그리고, 챔버(52) 내를 통과하는 선회류 α와 함께, 기체 배출구(63)로부터 방출된 물은, 응축기(67)에 의해 응축되며, 감압 펌프(65)에는 유입되지 않으므로, 감압 펌프(65)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모터(59)에 의해 대상물(11)을 회전시키므로, 건조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이 때의 건조 용기(55)의 회전 방향을 선회류 α의 선회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설정하면, 대상물(11)에 공기가 접촉하기 용일하게 되므로 더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71)에 대하여 설명한다.
감압 건조 장치(71)는 밀폐된 원통형의 챔버(72)를 구비하고 있다. 챔버(72)에는, 도파관(73)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를 구비한 마이크로파 발생 기구(74)가 장착되어 있다. 마이크로파 발생 기구(74) 및 도파관(73)에 의해, 마이크로파 조사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챔버(72)의 상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밀폐 커버를 가지고, 건조할 대상물을 반입하고 건조한 대상물을 반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챔버(72)에 대상물을 탑재하는 트레이(tray) 등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챔버(72)에는, 기류 발생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고, 챔버(72)의 외부로부터 기체를 도입하는 기체 도입구(75)(유량 조정 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와 감압용 튜브(76)을 통하여 챔버(72) 내를, 예를 들면 50 ~ 150mmHg까지 감압하는 감압 펌프(7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챔버(72)에는, 챔버(72) 내의 압력 및 온도를 측정하는 압력계(78), 온도계(79)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감압 건조 장치(71)에는, 압력계(78) 및 온도계(79)로부터의 데이터를 해석하고, 챔버(72) 내의 온도, 즉, 챔버(72) 내의 대상물의 온도를 대상물의 변성 온도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 및 감압 펌프(77)의 온/오프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79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대상물은 그 변성 온도 미만에 가열되므로, 대상물을 변성시키지 않고 건조할 수 있다.
도 5 ~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80)에 대하여 설명한다.
감압 건조 장치(80)는, 대상물(11)을 넣는 챔버의 일례인 커버 부착 트레이(81)를 복수개, 예를 들면 18개 가지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착 트레이(81)는, 마이크로파를 반사하는 재료, 예를 들면, 금속(구체적으로는, 스테인레스)으로 형성되고, 대상물(11)을 탑재하는 트레이 본체(82)와 마이크로파가 통과하는 재료, 예를 들면, 석영 유리로 형성되고, 트레이 본체(82)의 상부에 씌우는 반구형의 커버(83)를 가지고 있다.
커버 부착 트레이(81)는, 도시하지 않은 개폐 기구에 의해 커버(83)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 본체(82)의 저부에는 감압 배관 접속구(84)와 기체 도입 배관 접속구(8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압 배관 접속구(84)와 기체 도입 배관 접속구(85)에는, 각각 항상 닫힌 상태의 개폐 밸브 부착 암 커플러(파이프 연결구)(86, 87)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압 건조 장치(80)는,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쌍이 되는 2개의 무단 레일(이하, 간단하게 레일이라 한다)(88, 89), 및 쌍이 되는 레일(88, 89)에 걸쳐 배치되고, 레일(88, 89)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결 상태로 배치되는 18대의 대차(90, truck)를 가지는 컨베이어(91)를 구비한다. 커버 부착 트레이(81)는, 각각의 대차(90) 상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 부착 트레이(81)가, 컨베이어(91)에 의해 일정 거리(레일의 전체 길이÷대차수)마다 간헐적으로 이동하도록 반송된다. 즉, 컨베이어(91)는 18개의 스톱 포지션을 갖추고, 각 스톱 포지션에서 커버 부착 트레이(81)가 차례로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대차(90)는, 커버 부착 트레이(81)를 탑재하는 판형의 대차 본체(92)와, 대 차 본체(92)의 전후에 장착되는 2개의 차축(93)의 양단에 설치되고, 레일(88, 89)을 주행하는 4개의 차륜(9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대차 본체(92)의 전후에는 서로 인접하는 대차(90)와 연결되는 연결부(95, 96)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95, 96)에는, 각각 연결핀(97)을 삽입할 수 있도록 축공(98)이 형성되어, 대차(90)가 레일(88, 89) 상을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컨베이어(91)에는, 대차(90)를 간헐적으로 내보내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 장치는, 대차(90)에 탑재해도 되지만, 레일(88, 89) 사이에 설치된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전송 장치라도 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9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입 컨베이어(99)로부터 대상물(11)이 커버 부착 트레이(81)에 반입되는 반입 스테이션 A를 가지고, 반입 컨베이어(99)로부터 반송된 대상물(11)을, 반입 스테이션 A에 있는 커버(83)가 열린 상태의 트레이 본체(82) 상에 탑재하도록 되어 있다.
반입 스테이션 A의 진행 방향 하류 측에는, 밀폐 스테이션 B가 설치되고, 4개의 스톱 포지션을 설정하고, 커버(83)를 트레이 본체(82) 상에 씌우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포지션을 사용하고 있지만, 하나 또는 2개 정도의 스톱 포지션에서 모든 폐 커버 동작을 행할 수도 있다.
밀폐 스테이션 B의 진행 방향 하류 측에는, 감압 개시 스테이션 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압 개시 스테이션 C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그리고,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106)는 설치되어 있지 않음), 컨베이어(91)의 하부에는 감압 펌프(100)에 접속되고, 승강 기구(101)에 의해 승강하는 수 커플러(102)와, 외기를 도입하는 유량 조정 밸브(103)에 연결되고 승강 기구(104)에 의해 승강하는 수 커플러(10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 커플러(102, 105)는, 각각 승강 기구(101, 104)에 의해 상승될 때, 상기 암 커플러(86, 87)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수 커플러(102, 105)가 승강 기구(101, 104)에 의해 하강될 경우에는, 암 커플러(86, 87)로부터 분리되고, 이 때 암 커플러(86, 87)는 닫힌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커버 부착 트레이(81)가 감압 개시 스테이션 C에서 일시적으로 정지했을 때, 커버 부착 트레이(81) 내의 공기가 감압된다. 이 때, 필요에 따라, 유량 조정 밸브(103)를 열어서 내부에 기류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유량 조정 밸브(103), 암 커플러(87) 및 수 커플러(105), 기체 도입 배관 접속구(85) 및 감압 펌프(100)를 구비하여, 기류 발생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 도 6에 있어서 84a, 84b는 각각 감압용 배관을 나타내고, 85a, 85b는 송풍 배관을 나타내고, 감압용 배관(84a, 84b)의 중간에 잠금 밸브가 부착된 커플러(암수 커플러(86, 102))가 설치되고, 송풍 배관(85a, 85b)의 중간에 잠금 밸브가 부착된 커플러(암수 커플러(87, 10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커플러는 승강 기구(101, 104)로 접속 및 분리되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링 등은 커플러 자체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 개시 스테이션 C의 진행 방향 하류 측에는, 7개의 스톱 포지션을 설정한 마이크로파 가열 스테이션 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 스테이션 D에는, 감압 개시 스테이션 C에서 커버 부착 트레이(81) 내를 어느 정도 감압하고, 수 커플러(102, 105)를 하강시켜서 암 커플러(86, 87)와 분리한 커버 부착 트레 이(81)가 반입된다. 각각의 7개의 스톱 포지션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에 감압 펌프(100)와 접속되고 승강 기구(101)에 의해 승강하는 수 커플러(102)와, 외기를 도입하는 유량 조정 밸브(103)에 연결되고 승강 기구(104)에 의해 승강하는 수 커플러(10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 스테이션 D에서는, 커버 부착 트레이(81) 내를 감압한 상태에서, 기류 발생 수단을 작동시켜서, 대상물(11)의 주위에 기류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각 스톱 포지션을 대차(90)에 실린 커버 부착 트레이(81)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승강 기구(101, 104)를 승강시켜서, 수 커플러(102, 105)와 암 커플러(86, 87)의 연결 및 분리를 행하게 된다.
마이크로파 가열 스테이션 D에 있어서, 각 스톱 포지션에 있는 커버 부착 트레이(81)의 상부에는, 마이크로파 조사 수단의 일례인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10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파 가열 스테이션 D에는,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106)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싱(10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파의 제어 수단은, 사전에 결정된 주기로 마이크로파의 온/오프를 행하여, 커버 부착 트레이(81) 내에 넣은 대상물(11)의 온도가 변질 온도 미만이 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실제 작업에 있어서는, 동일 환경에서 대상물(11)에 대해서 실험(예를 들면, 실시예 1과 동일 또는 개량한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을 행하고, 마이크로파를 조사한 대상물(11)의 온도를 측정하여, 대상물(11)의 온도가 소정 범위(예를 들면, 특정 온도 A와 B 사이)를 유지하도록 온/오프의 주기, 및 마이크로파의 전력을 결정한다.
마이크로파 가열 스테이션 D에서 소정의 건조 처리된 대상물(11)이 수납된 커버 부착 트레이(81)는 복압 스테이션 E로 이동한다. 복압 스테이션 E의 하부에는, 도 6(마이크로파 발생 소자(106), 감압 펌프(100), 승강 기구(101) 및 수 커플러(102)는 설치되어 있지 않음)에 나타낸 유량 조정 밸브(103)가 부착된 수 커플러(105) 및 이것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104)가 설치되고, 커버 부착 트레이(81) 내에 유량 조정 밸브(103)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후에, 커버 부착 트레이(81)는 개방 스테이션 F로 반송되며, 커버(83)가 열리고, 반출 스테이션 G에 간헐적으로 보내져서, 트레이 본체(82) 상의 건조한 대상물(11)이 반출 컨베이어(108)를 통하여 반출된다. 그리고, 반출 스테이션 G에, 대차(90)의 움직임에 따라서, 대상물(11)을 외부로 유도하는 가이드(109)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로써, 커버 부착 트레이(81)는 비게 되므로, 반입 준비 스테이션 H로 이동하고, 트레이 본체(82)를 청소하며, 반입 스테이션 A로 이동한다. 이들 대차(90)의 간헐적인 반송 작업을 반복하여, 다수의 대상물(11)을 연속적으로 건조한다.
도 9,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80a)에 대하여 설명한다.
감압 건조 장치(80a)는, 그 저부에 감압 배관 접속구(84)와 기체 도입 배관 접속구(85)가 설치되고, 트레이 본체(82)와 커버(83)를 구비한 커버 부착 트레이(81)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부착 트레이(81)는, 체인 컨베이어(컨베이어의 일 례)(91a)에 18대 장착되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입 스테이션 A, 밀폐 스테이션 B, 감압 개시 스테이션 C, 마이크로파 가열 스테이션 D, 복압 스테이션 E, 개방 스테이션 F, 반출 스테이션 G, 및 반입 준비 스테이션 H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 도입 배관 접속구(85)에는, 그 선단부에 유량 조정 밸브(87a)를 구비한 송풍 배관(85a)이 장착되어 있다. 감압 배관 접속구(84)에 개폐 밸브(전자 밸브)(86a)를 구비한 감압용 배관(84a)이 장착되어 있다. 18대의 커버 부착 트레이(81)의 트레이 본체(82)에 설치된 감압용 배관(84a)의 선단부는, 무단 플렉시블 튜브(95a)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플렉시블 튜브(95a)는, 펌프용 튜브(96a) 및 도시하지 않은 로터리 조인트를 통하여, 감압 펌프(10Oa)에 접속되어 있다. 로터리 조인트에 의해, 커버 부착 트레이(81)가 회전 이동하더라도, 펌프용 튜브(96a)가 얽히지 않게 된다.
그리고, 펌프용 튜브(96a)에는, 각 트레이 본체(82)에 설치된 개폐 밸브(86a)를 온/오프하기 위한 신호선(도시하지 않음)도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신호선은 상기 로터리 조인트를 통하여, 감압 펌프(10Oa)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어 수단(100b)에 접속되어, 제어 수단(100b)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감압 개시 스테이션 C, 마이크로파 가열 스테이션 D에 있는 커버 부착 트레이(81)에 접속되는 개폐 밸브(86a)를 온하여 내부를 감압하고, 또한, 기체 도입 배관 접속구(85)로부터 외부 공기를 주입하게 되어 있다.
마이크로파 가열 스테이션 D의 케이싱(107a)은, 전술한 바와 같은 감압 건조 장치(80)의 케이싱(107)과 달리, 내측의 하부 측면이 개방되어, 체인 컨베이 어(91a)의 반송에 따라 이동하는 커버 부착 트레이(81)에 접속되는 펌프용 튜브(96a) 및 이에 병설되는 신호선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 수단(100b)에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전기 개폐 밸브(86a)의 온/오프 제어 외에, 체인 컨베이어(91a)의 구동, 커버 부착 트레이(81)의 커버(83)의 개폐,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106)의 온/오프 제어를 행하는 신호를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각 스테이션 A ~ H에서의 동작은 기본적으로 감압 건조 장치(8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더 변형된 변형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감압 건조 장치(110)에는, 컨베이어(111)의 대차(112)가 도너츠형의 평판이고, 대차(112) 상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예를 들면, 8개의 커버 부착 트레이(81)가 장착되어 있다. 감압 건조 장치(11O)는, 순서대로 반입 스테이션 a, 밀폐 및 감압 스테이션 b, 마이크로파 가열 스테이션 c, 복압 스테이션 d, 개방 스테이션 e, 및 대상물(11)을 반출하는 반출 스테이션 f로 분할되어 있다.
반입 스테이션 a에서는 반입 컨베이어(99)로부터 대상물(11)이 커버 부착 트레이(81)에 반입되고, 밀폐 및 감압 스테이션 b에서는 커버 부착 트레이(81)의 커버(83)를 닫은 후, 밀폐된 커버 부착 트레이(81) 내의 공기가 감압 펌프(100)(도 6 참조)에 의하여 흡인된다. 마이크로파 가열 스테이션 c에서는, 감압된 커버 부착 트레이(81)를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를 내부에 구비한 케이싱(113) 내에 반입하고, 커버 부착 트레이(81) 내를 감압하는 동시에, 기류를 발생시키면 서,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로부터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대상물(11)을 건조한다. 복압 스테이션 d에서는 케이싱(113)으로부터 나온 커버 부착 트레이(81) 내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설정하고, 개방 스테이션 e에서는 커버 부착 트레이(81)의 커버(83)를 열고, 반출 스테이션 f에서는 커버 부착 트레이(81) 내의 건조한 대상물(11)을 반출 컨베이어(108)에 반출한다. 여기서, 커버 부착 트레이(81)는 마이크로파 가열 스테이션에 3개, 그 이외의 스테이션에 1개씩 배치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감압 건조 장치(120)는, 대상물(11)을 반송하는 롤러 컨베이어(컨베이어의 일례. 이하, 간단하게 「컨베이어」라고도 한다)(121)와, 컨베이어(121)에 의해 반송된 대상물(11)을 감압 상태에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122)가 설치된 마이크로파 건조실(챔버의 일례)(123)과, 마이크로파 건조실(123)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예비 감압실(124)과, 마이크로파 건조실(123)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복압실(125)을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121)의 상류측으로부터 연접되는 예비 감압실(124), 마이크로파 건조실(123) 및 복압실(125)에는, 대상물(11)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예비 감압실(124), 마이크로파 건조실(123) 및 복압실(125)을 각각 밀폐하기 위하여, 예비 감압실(124)의 상류측 입구, 예비 감압실(124)과 마이크로파 건조실(123) 사이, 마이크로파 건조실(123)과 복압실(125) 사이, 복압실(125)의 하류측 입구에 각각 도 어(126 ~ 129)가 형성되어 있다.
예비 감압실(124), 마이크로파 건조실(123) 및 복압실(125)의 컨베이어(121)의 진행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면, 컨베이어(121) 상에 소정 간격으로 탑재되는 대상물(11)을 각각 1개, 3개, 1개 배치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예비 감압실(124), 마이크로파 건조실(123), 및 복압실(125)에는, 도시하지 않은 감압 펌프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 건조실(123)에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예를 들면 3개의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122)와, 마이크로파 건조실(123) 내에 외부로부터 기체(예를 들면, 공기)를 도입하는 도시하지 않은 기체 도입구와, 마이크로파 건조실(123) 내의 기체를 교반하고, 대상물(11)의 주위에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1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감압 건조 장치(120)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의 일례인 컴퓨터에 의해,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122)로부터 사전에 결정된 주기로 마이크로파를 조사시키고, 대상물(11)의 온도가 대상물(11)의 변질 온도 미만이 되도록 마이크로파의 온/오프 처리를 행하고 있다. 또한, 컴퓨터는, 마이크로파의 온/오프 처리 외에, 컨베이어(121)의 반송 속도의 제어, 도어(126 ~ 129)의 개폐의 제어, 팬(130)의 작동의 제어, 감압 펌프의 작동의 제어도 행하고 있다. 또한, 컨베이어(121)는,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도어(126)의 상류측의 반송 스테이션 A, 예비 감압실(124) 내의 감압 스테이션 B, 마이크로파 건조실(123) 내의 가열 스테이션 C, 복압실(125) 내의 복압 스테이션 D, 및 도어(19)의 하류측의 반출 스테이션 E로 분할되고, 각각의 스테이션에 있어서 컨베이어(121)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감압 건조 장치(120)를 사용한 대상물(11)의 감압 건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어(127, 128)를 닫아서, 마이크로파 건조실(123)을 감압 펌프로 감압시킨다. 그리고, 마이크로파 건조실(123)은, 항상 감압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어(126)를 열어서, 반송 스테이션 A 및 감압 스테이션 B의 컨베이어(12)를 작동시켜서 대상물(11)을 예비 감압실(124)로 반송한 후, 도어(126)를 닫고, 예비 감압실(124) 내를 감압 펌프로 감압한다.
예비 감압실(124)을 소정 압력까지 감압한 후, 도어(127)를 열고, 감압 스테이션 B 및 가열 스테이션 C의 컨베이어(121)를 작동시켜서 대상물(11)을 마이크로파 건조실(123) 내에 반송한다. 대상물(11)을 마이크로파 건조실(123)에 반송한 후, 도어(127)를 닫아서 마이크로파 건조실(123)을 밀폐 상태로 한다. 대상물(11)에 마이크로파 발생 소자(122)로부터 마이크로파를 조사함과 동시에, 마이크로파 건조실(123) 내에 외부로부터 기체 도입구를 통하여 기체를 도입하고, 팬(130)을 작동시켜서 대상물(11)의 주위에 기류를 발생시켜서, 대상물(11)을 건조한다.
마이크로파 건조실(123)에서 대상물(11)을 건조중에, 도어(129)를 닫은 상태에서, 복압실(125) 내를 감압 펌프로 소정 압력까지 감압시킨다. 마이크로파 건조실(123) 내에서 대상물(11)을 건조시킨 후, 도어(128)를 열고, 가열 스테이션 C 및 복압 스테이션 D의 컨베이어(121)를 작동시켜서 대상물(11)을 복압실(125)로 반송하고, 도어(128)를 닫는다. 또한, 복압실(125)의 감압 펌프의 작동을 중지하여 복압실(125) 내의 압력을 상압(常壓)(대기압)까지 되돌린 후, 도어(129)를 열고 복압 스테이션 D 및 반출 스테이션 E의 컨베이어(121)을 작동시켜서, 대상물(11)을 반출 스테이션 E에 반출한다. 복압실(125)로부터 대상물(11)을 반출한 후에, 도어(129)를 닫고 복압실(125)을 감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감압 건조 장치(120)로 대상물(11)을 건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에서는, 1개의 대상물(11)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컨베이어(121)에 의해 대상물(11)을 소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하여 건조할 수도 있다. 또한, 컨베이어로서 롤러 컨베이어를 사용하였으나, 마이크로파 건조실(123), 예비 감압실(124), 및 복압실(125)를 밀폐하면서 대상물을 반송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 또는 체인 컨베이어도 사용할 수 있다.
(시험예 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감압 건조 방법을 적용한 감압 건조 장치(10)를 사용하여, 가리비의 패주를 대상물(11)로 하여,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하였다. 감압 건조 장치(10)의 유량 조정 밸브(46)을 닫음과 동시에, 개폐 밸브(37) 및 압력 조정 밸브(39)를 열고, 감압 펌프(22)에 의해 챔버(13) 내를 50, 100, 및 150mmHg로 감압하고, 특정 온도 A를 40℃, 특정 온도 B를 30℃로 설정하고, 각각의 압력에 있어서, 대상물(11)을 펄스적으로 가열하여 건조하고, 소정 시간에서의 대상물(11)의 함수율(含水率)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함수율은 대상물 중의 얼음의 중량(g)을 대상물을 완전하게 건조했을 때의 중량(g-dry)로 나눈 값이다(이하 동일).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챔버(13) 내의 압력이 낮을수록(50mmHg), 대상물 중의 함수율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시험예 2)
감압 건조 장치(10)를 사용하여, 가리비의 패주를 대상물(11)로 하여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하였다. 감압 건조 장치(10)의 유량 조정 밸브(46)를 엶과 동시에, 개폐 밸브(37) 및 압력 조정 밸브(39)를 열고, 감압 펌프(22)에 의해 챔버(13) 내를 50mmHg로 감압하고, 챔버(13) 내에 공급되는 공기(기체의 일례)의 유량을 0, 1.0, 1.5, 2.0, 2.5, 3.0 l/min으로 설정하고, 특정 온도 A를 40℃, 특정 온도 B를 30℃로 설정하고, 각각의 유량에 있어서, 대상물(11)을 펄스적으로 가열하여 건조하고, 소정 시간에서의 대상물의 함수율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유량 0 l/min은, 시험예 1과 동일하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챔버(13)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편이 건조 효율이 양호하였다. 또한, 챔버(13) 내에 공급하는 공기의 유량은 1.0 및 1.5 l/min의 경우가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시험예 3)
감압 건조 장치(10)를 사용하여, 가리비의 패주를 대상물(11)로 하여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하였다. 감압 건조 장치(10)의 유량 조정 밸브(46)를 엶과 동시에, 개폐 밸브(37) 및 압력 조정 밸브(39)를 열고, 감압 펌프(22)에 의해 챔버(13) 내를 50mmHg로 감압하며, 챔버(13) 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1.0 l/min으로 설정하고, 대상물(11)을 펄스적으로 가열하여 건조하였다(시험예 2의 공기유량 1.0 l/min의 경우와 동일). 동일한 조건으로 연속적으로 가열하여 건조한 경우를 비교예로 하고, 소정 시간에서의 대상물의 함수율을 측정하였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를 연속적으로 조사하는 경우에는, 펄스적으로 조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건조 시간이 길고, 사용한 전력량도 증가하였다. 또한, 연속적으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므로 대상물의 온도가 80 ~ 150℃로 높아지고, 대상물이 검게 변색되기도 하였다.
(시험예 4)
감압 건조 장치(10)를 사용하여, 가리비의 패주를 대상물(11)로 하여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건조하였다. 감압 건조 장치(10)의 유량 조정 밸브(46)를 엶과 동시에, 개폐 밸브(37) 및 압력 조정 밸브(39)를 열고, 감압 펌프(22)에 의해 챔버(13) 내를 50mmHg로 감압하고, 챔버(13) 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1.0 l/min으로 설정하고, 대상물(11)을 펄스적으로 가열하여 건조하였다(시험예 2의 공기유량 1.0 l/min의 경우와 동일). 또한, 비교예로서, 대상물을 넣는 챔버에 온풍을 불어넣어서 건조하는 건조기를 사용하여 대상물을 건조하였다. 여기서, 불어넣는 온풍의 온도를 40℃로 설정하고, 그 유량을 1.0 l/min으로 설정하였다. 챔버는 대기로 개방하여, 챔버 내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유지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감압 건조 방법은, 온풍 건조에 의한 건조 방법보다 건조 속도가 빠른 것을 알았다.
또한, 시험예 4에 있어서 대상물(11)을 건조할 때, 대상물(11)의 표면 및 내부의 함수율을, 대상물(11)의 한쪽 표면으로부터 다른 쪽 표면에 걸쳐서 (그 단면을) 9등분하여 전부 10개소에서 각각 소정 시간마다 측정하였다.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물(11)은 표면 및 내부에서 균일하게 건조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마찬가지의 조건으로 함수율을 측정한 온풍 건조에 의한 비교예에서는,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물(11)의 표면 부근에서는 건조되었지만, 내부에서는 건조가 별로 진행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았다.
또한, 시험예 4에 있어서 대상물(11)을 건조한 후의 대상물(11)의 표면 조직을 관찰한 결과, 건조 전후의 대상물의 표층 단면의 조직을 각각 나타낸 도 18a 및 18b로부터 명백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상물(11)의 표면 조직은, 건조 전후에서는 실질적으로 변화가 없고, 건조 후에 있어서도 대상물(11)의 표면 조직이 수축하고 있지 않고, 수분 유로가 확보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감압 건조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건조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도 1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의 온풍에 의한 건조 방법에서는, 대상물(11)의 표면 조직이 수축되어 조밀하게 되어, 수분 경로가 확보되지 않고, 대상물(11) 내부의 수분이 잘 빠져나오지 않아서, 건조 속도가 늦어지는 것을 알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예나 변형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시켜서 구성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챔버 내에는 내부의 기체를 교반하는 팬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마이크로파는, 도파관 또는 안테나 등의 마이크로파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방법 및 그 장치는, 마이크로파를 사전에 결정된 주기로 온/오프시켜서, 감압 펌프에 접속되어 감압된 챔버 내의 대상물의 상한 온도를 특정 온도 A 이하로 억제하면서 펄스적으로 급속하게 가열하여 건조를 행하므로, 대상물을 변질 온도 미만으로 단시간 내에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대상물을 변질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급속하게 건조할 수 있고, 식품(예를 들면, 조개살, 야채, 과일, 육류, 생선)의 건조 식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세탁물에 적용할 경우에는, 옷감을 손상시키지 않고 단시간 내에 건조할 수 있다. 그리고, 목재, 전자 기기 등의 건조에 사용할 경우에는, 내부를 파괴하지 않으면서 급속 건조 처리를 행할 수 있다.

Claims (9)

  1. 감압 펌프가 접속된 챔버 내에 대상물을 넣고, 상기 챔버 내를 감압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행하는 감압 건조 방법으로서,
    a) 상기 챔버 내는, 상기 대상물의 변질 온도에 대응하는 포화 증기압 이하로 감압되고,
    b) 상기 챔버의 외부로부터 상기 챔버 내에 기체를 공급하고,
    c) 상기 마이크로파를 온/오프(on/off) 처리하여, 상기 대상물의 온도를 상기 대상물의 변질 온도 미만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의 온/오프 처리는, 사전에 결정된 주기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의 온/오프 처리는, 상기 대상물의 변질 온도 미만의 특정 온도 A가 되었을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오프로 설정하고, 상기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중지한 후, 감압된 상기 챔버 내의 압력에 대응하는 포화 증기압 온도 부근 또는 그 이상의 특정 온도 B가 될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파의 조사를 온으 로 설정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은 식품이며, 상기 변질 온도는 상기 식품의 성분의 변성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은 열에 의해 변형되는 물품이며, 상기 변질 온도는 상기 물품의 변형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방법.
  6. 대상물을 넣는 챔버와,
    상기 챔버와 접속되어 상기 챔버 내를 감압하는 감압 펌프와,
    상기 챔버 내의 상기 대상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 수단과,
    상기 챔버의 외부로부터 상기 챔버 내에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챔버 내에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 발생 수단과,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 수단으로부터 사전에 결정된 주기로 상기 마이크로파를 조사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의 온도가 상기 대상물의 변질 온도 미만이 되도록 상기 마이크로파의 온/오프 처리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는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컨베이어에 의해 간헐적으로 반송되는 커버 부착 트레이로서,
    상기 커버 부착 트레이에는, 상기 감압 펌프에 연결되는 감압용 배관이 접속되는 감압 배관 접속구, 및 상기 기류 발생 수단의 일부가 되는 송풍 배관이 접속되는 기체 도입 배관 접속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용 배관 및 상기 송풍 배관의 도중에는 각각 떼어낼 수 있는 잠금 밸브가 부착된 커플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은 상기 챔버 내에 컨베이어에 의해 반입 및 반출되고, 상기 챔버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는 예비 감압실 및 복압실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장치.
KR1020067023329A 2004-04-12 2005-04-11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방법 및 그 장치 KR200700086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17116 2004-04-12
JP2004117116 2004-04-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258A Division KR100928275B1 (ko) 2004-04-12 2005-04-11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688A true KR20070008688A (ko) 2007-01-17

Family

ID=351500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329A KR20070008688A (ko) 2004-04-12 2005-04-11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방법 및 그 장치
KR1020087025258A KR100928275B1 (ko) 2004-04-12 2005-04-11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258A KR100928275B1 (ko) 2004-04-12 2005-04-11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65226B2 (ko)
JP (1) JP4474506B2 (ko)
KR (2) KR20070008688A (ko)
CN (1) CN100562700C (ko)
WO (1) WO20051008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298B1 (ko) * 2008-02-05 2009-02-10 이인구 감압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503B1 (ko) * 2002-11-2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건조 시간제어 방법
FR2849343B1 (fr) * 2002-12-23 2009-01-23 Aldivia Synthese chimique comportant un traitement thermique par chauffage dielectrique intermittent, combine a un systeme de recirculation
SE527166C2 (sv) * 2003-08-21 2006-01-10 Kerttu Eriksson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vfuktning
JP4474506B2 (ja) * 2004-04-12 2010-06-09 財団法人北九州産業学術推進機構 マイクロ波を用いた減圧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US8015726B2 (en) * 2005-06-23 2011-09-13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clothes dryer
JP3919798B2 (ja) * 2005-06-28 2007-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乾燥機
US7921578B2 (en) * 2005-12-30 2011-04-12 Whirlpool Corporation Nebulizer system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JP5039972B2 (ja) * 2006-03-30 2012-10-03 国立大学法人九州工業大学 細胞又は組織の凍結保存法
KR100731904B1 (ko) * 2006-08-30 2007-06-28 김순봉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US7676953B2 (en) * 2006-12-29 2010-03-16 Signature Control Systems, Inc. Calibration and metering methods for wood kiln moisture measurement
DE202007001123U1 (de) * 2007-01-25 2007-06-06 KRÜGER, Günter Anlage zum Trocknen von organischen Massen
AU2008293458B2 (en) 2007-08-28 2014-04-17 Texas Tech University System Method and system for preserving food
CA2678089C (en) * 2007-10-15 2011-10-04 Enwav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icrowave vacuum-drying of organic materials
US8729436B2 (en) * 2008-05-30 2014-05-20 Corning Incorporated Dry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ceramic greenware
WO2010013583A1 (ja) * 2008-07-30 2010-02-04 国立大学法人九州工業大学 乾燥物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10023857B2 (en) * 2008-09-12 2018-07-17 En Wav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hydrating biological materials with freezing and microwaving
US8505212B2 (en) * 2008-09-17 2013-08-13 Slack Associates, Inc. Method for reconditioning or processing a FCR APG-68 tactical radar unit
US8586899B2 (en) * 2008-11-24 2013-11-19 Jeffrey H. Mack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ss sterilization and pasteurization of food products
JP5371498B2 (ja) * 2009-03-11 2013-12-18 株式会社フリーザーシステム 連続式予備乾燥方法および冷凍方法並びに連続式予備乾燥装置および冷凍装置
JP5713596B2 (ja) * 2009-09-29 2015-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MX2012007766A (es) * 2010-01-18 2012-08-01 Enwave Corp Secado al vacio de materiales organicos por medio de microondas.
DE102010007658A1 (de) * 2010-02-10 2012-05-10 Case Tech Gmbh Verfahren zum Trocknen von Schlauchhüllen durch Mikrowellen
US20110224474A1 (en) * 2010-03-09 2011-09-15 Kurion, Inc. Advanced Microwave System for Treating Radioactive Waste
JP5335725B2 (ja) * 2010-03-26 2013-11-06 エスペック株式会社 密閉容器及び乾燥処理装置
JP5335724B2 (ja) * 2010-03-26 2013-11-06 エスペック株式会社 乾燥処理装置
BRPI1002602A2 (pt) * 2010-05-21 2012-02-07 Vieira Francisco Jose Duarte processo e equipamentos para esterilizar e retirar oxigênio de alimentos lìquidos, em baixa temperatura, por descompressão e/ou grandes acelerações lineares ou rotativas
WO2012046320A1 (ja) * 2010-10-06 2012-04-12 イビデン株式会社 セラミック焼成体の製造方法、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排ガス浄化装置の製造方法及び乾燥装置
JP5854729B2 (ja) * 2010-10-06 2016-02-09 イビデン株式会社 セラミック焼成体の製造方法及び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
JP2012150064A (ja) * 2011-01-21 2012-08-09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原子力発電所の使用済みイオン交換樹脂及びフィルタスラッジの処理システム
WO2013036209A1 (en) * 2011-09-09 2013-03-14 Thailand Research Fund System and method for cooking seafood products
US10876792B2 (en) 2012-02-01 2020-12-29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ying electronic devices
US8991067B2 (en) * 2012-02-01 2015-03-31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ying electronic devices
US10240867B2 (en) 2012-02-01 2019-03-26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ying electronic devices
US9970708B2 (en) 2012-02-01 2018-05-15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ying electronic devices
US10690413B2 (en) 2012-02-01 2020-06-23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ying electronic devices
US11713924B2 (en) 2012-02-01 2023-08-01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ying electronic devices
US9644891B2 (en) 2012-02-01 2017-05-09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ying electronic devices
KR101381196B1 (ko) * 2012-05-09 2014-04-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히트펌프와 진공고주파를 이용한 건조기의 제어시스템
EP2689666A1 (de) * 2012-07-27 2014-01-29 Bühl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arren von Darrgut
JP6086421B2 (ja) * 2012-10-13 2017-03-01 西光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低温減圧撹拌乾燥機及び低融点材料を含んだ被乾燥物の乾燥方法
CA2890228C (en) 2012-11-02 2021-11-16 Smithfield Foods, Inc. Multi-tier and spiral microwave oven dryers for rapid preparation of dry sausage
US9488565B2 (en) 2012-11-14 2016-11-08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oisture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2014141438A (ja) * 2013-01-24 2014-08-07 Sankyo:Kk 新規な雲南百薬加工物含有製剤及び飲食品
WO2014153007A1 (en) 2013-03-14 2014-09-25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ying electronic devices
US10309722B1 (en) * 2013-03-14 2019-06-04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Inc. Microwave and vacuum drying device, system, and related methods
JP6062317B2 (ja) * 2013-04-26 2017-01-18 恵子 河▲崎▼ 食品の減圧乾燥方法及び装置
JP6116410B2 (ja) * 2013-07-04 2017-04-19 大陽日酸株式会社 生体物質の脱水装置及び脱水方法
KR200473935Y1 (ko) * 2013-07-19 2014-08-11 김태형 다기능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US9194625B2 (en) * 2013-08-20 2015-11-2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drying articles
US9127400B2 (en) * 2013-10-14 2015-09-0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rticles
WO2015171967A1 (en) * 2014-05-07 2015-11-12 Dry Ventures, Inc. Self-service rescue of inundated cellphones
CN104236279A (zh) * 2014-08-13 2014-12-24 湖南有色新田岭钨业有限公司 一种白钨精矿的脱水干燥方法及其装置
EP3238309A4 (en) 2014-12-23 2019-01-02 Revive Electronics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to electronic devices
US10632396B2 (en) * 2015-04-29 2020-04-28 Kunmi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icrowave flash evaporation process and apparatus and use thereof
US9810480B2 (en) * 2015-06-12 2017-11-07 Targeted Microwave Solu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 processing of phyllosilicate minerals
CN106403514B (zh) * 2015-07-29 2019-03-05 广西梧州制药(集团)股份有限公司 对流传热方式在物料减压干燥过程中的应用
KR20170020131A (ko) 2015-08-13 2017-02-22 황현태 건조기
KR20170021684A (ko) 2015-08-18 2017-02-28 황현태 저온진공 건조기
US10837701B2 (en) * 2015-11-05 2020-11-17 Visys Makine Sanayi Ve Dis Ticaret Limited Sirketi Drier with solar radiation simulation
US9863086B2 (en) * 2016-05-31 2018-01-09 Wuxi Little Swan Co., Ltd. Heat pump mounting box and heat pump drier or heat pump washer-drier
WO2018079958A1 (ko) * 2016-10-25 2018-05-03 엔디티엔지니어링(주) 건조효율이 개선된 폐열을 활용한 음식물 건조장치
CN106766688A (zh) * 2016-12-28 2017-05-31 贵州大学 一种循环式烟秆破碎微波干燥一体机
JP6496797B1 (ja) * 2017-10-31 2019-04-10 アリアケジャパン株式会社 だしの素固形調味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10590594B2 (en) * 2017-11-28 2020-03-17 Elberto Berdut-Teruel Magnetic induction heating system and dehydrator
CN107965992A (zh) * 2017-12-29 2018-04-27 天津莱沃真空干燥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干燥回收含挥发性溶剂的超细粉末的装置和使用方法
IT201900007389A1 (it) * 2019-05-28 2020-11-28 Alessandro Pizzuti “apparato e procedimento per interventi conservativi anche in sito, su materiale sfuso idropermeabile venuto a contatto con acqua, a seguito di eventi casuali o calamita' naturali”
JP6956966B2 (ja) * 2019-08-30 2021-11-02 マイクロ波化学株式会社 焙煎カカオ豆、および生カカオ豆の焙煎方法
JPWO2021066108A1 (ko) * 2019-10-01 2021-04-08
JPWO2021186887A1 (ko) * 2020-03-16 2021-09-23
JP2022042523A (ja) 2020-09-03 2022-03-15 不二商事株式会社 乾燥方法
CN112856956A (zh) * 2021-01-10 2021-05-28 朱明花 一种医疗药剂用真空加热及碾碎系统
WO2022234644A1 (ja) * 2021-05-07 2022-11-10 株式会社アムノス 羊膜乾燥装置及び羊膜乾燥方法並びに乾燥羊膜
JP7458664B1 (ja) 2022-09-28 2024-04-01 兼松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減圧型マイクロ波乾燥装置及び減圧型マイクロ波乾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4209A (en) * 1967-04-10 1969-10-21 Rca Corp Dielectric heating
US3753651A (en) * 1970-08-27 1973-08-21 Wave Energy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surface sterilization
SE361998B (ko) * 1972-02-14 1973-11-19 Husqvarna Vapenfabriks Ab
JPS5135155A (ko) * 1974-09-19 1976-03-25 Tokyo Shibaura Electric Co
US4250628A (en) * 1979-06-21 1981-02-17 Smith Richard D Microwave fabric dryer method and apparatus
US4313786A (en) * 1979-07-23 1982-02-02 Smith Jerold B Magnetron solvent recovery system
US4330946A (en) * 1980-09-23 1982-05-25 Ralph S. Tillitt High efficiency material drying
US4742690A (en) * 1983-08-23 1988-05-10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ryopreparing biological tissue for ultrastructural analysis
US4865871A (en) * 1983-08-23 1989-09-12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 for cryopreparing biological tissue
US4676070A (en) * 1984-11-30 1987-06-30 The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Apparatus and method for cryopreparing biological tissue
US4799361A (en) * 1983-08-23 1989-01-24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 for cryopreparing biological tissue for ultrastructural analysis
US5024830A (en) * 1983-08-23 1991-06-18 The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Method for cryopreparing biological tissue for ultrastructural analysis
US4510169A (en) * 1983-08-23 1985-04-09 The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Method and apparatus for cryopreparing biological tissue for ultrastructural analysis
US4745771A (en) * 1983-08-23 1988-05-24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ryopreparing biological tissue for ultrastructural analysis
US4567847A (en) * 1983-08-23 1986-02-04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ryopreparing biological tissue for ultrastructural analysis
CA1272662A (en) * 1985-03-26 1990-08-14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trolling flow of fine particles
US4640020A (en) * 1985-11-27 1987-02-03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Zoned microwave drying apparatus and process
KR910007382B1 (ko) * 1987-08-07 1991-09-25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초전도 재료 및 초전도 박막의 제조방법
US4856203A (en) * 1988-01-15 1989-08-15 The Fitzpatrick Company Microwave vacuum dryer
US5020237A (en) * 1989-01-03 1991-06-04 The J. M. Smucke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ehydrating fruit
US5135122A (en) * 1989-01-03 1992-08-04 The J. M. Smucke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ehydrating fruit
CA2011740A1 (en) * 1989-04-07 1990-10-07 Glen Connell Microwave heatable materials
DE3924744C1 (ko) * 1989-07-26 1991-02-07 Nordpunkt Ag, Novaggio, Ch
JPH0374081A (ja) * 1989-08-12 1991-03-2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マイクロ波制御照射装置
JPH0756427B2 (ja) * 1990-06-29 1995-06-14 株式会社松井製作所 粉粒体の乾燥装置
US5837978A (en) * 1990-07-11 1998-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adiation control system
US6150645A (en) * 1990-07-11 2000-1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adiation control system
US5191182A (en) * 1990-07-11 1993-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uneable apparatus for microwave processing
US6097019A (en) * 1990-07-11 2000-08-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adiation control system
JP2707810B2 (ja) 1990-07-25 1998-0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塵芥処理装置
US5174042A (en) * 1990-08-20 1992-12-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Garbage disposer utilizing microwave heating
US5407641A (en) * 1990-10-25 1995-04-18 Helmut Katschnig Microwave apparatus, and container for use in a microwave apparatus
US5884417A (en) * 1992-02-10 1999-03-23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The Environment Microwave-assisted separations using volatiles
US5732476A (en) * 1992-02-10 1998-03-31 Pare; J.R. Jocelyn Microwave-assisted separations using volatiles, and apparatus therefor
US5675909A (en) * 1992-02-10 1997-10-14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Environment Microwave-assisted separations using volatiles
GB9203463D0 (en) * 1992-02-19 1992-04-08 Applied Res Lab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tical sample preparation
US5357086A (en) * 1992-03-16 1994-10-18 Golden Valley Microwave Foods Inc. Microwave corn popping package
FI940039A (fi) * 1993-01-08 1994-07-09 Shell Int Research Menetelmä huonolaatuisen puun jalostamiseksi
KR950003630U (ko) 1993-07-09 1995-02-17 장육현 하중물포장체
JPH07208862A (ja) 1994-01-19 1995-08-11 Shigeki Nakagawa 減圧下電磁波加熱式乾燥機
WO1995025572A1 (de) * 1994-03-22 1995-09-28 Lautenschlaeger Wern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bereiten und/oder extrahieren von proben mittels eines verdampfungsfähigen mittels bei erhöhter temperatur
US5411592A (en) * 1994-06-06 1995-05-02 Ovonic Battery Company, Inc. Apparatus for deposition of thin-film, solid state batteries
US5396715A (en) * 1994-06-09 1995-03-14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Microwave clothes dryer and method with fire protection
US5980962A (en) * 1994-07-11 1999-11-09 Microwave Processing Technologies Pty. Limited Process of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t least a partial barrier to moisture vapor transfer through the surface of a material and/or for removing moisture from a material
TW301599B (ko) * 1994-10-26 1997-04-01 Kiyokawa Shin
JPH0997586A (ja) * 1995-09-29 1997-04-08 Hitachi Ltd プラズマを用いた分析装置と方法、これに用いるインターフェース、及び、これに用いる試料導入部品
US5886326A (en) * 1996-01-19 1999-03-23 Thermotrex Corporation Microwave waste incinerator
DE19721461C2 (de) * 1997-05-22 1999-03-11 Daimler Benz Aerospace Airbus Verfahren zur Trocknung von Lacken auf metallischen oder nichtmetallischen Einzelteilen oder montierten Baugruppen beliiebiger Struktur
US5904553A (en) * 1997-08-25 1999-05-18 Motorola, Inc. Fabrication method for a gate quality oxide-compound semiconductor structure
JPH1183311A (ja) 1997-08-29 1999-03-26 Toyo Plant:Kk 汚泥の乾燥方法及び装置
DE19848558A1 (de) * 1998-10-21 2000-04-27 Mikrowellen Systeme Mws Gmbh 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Materialien
US6128831A (en) * 1999-06-03 2000-10-10 Durance; Timothy Douglas Process for drying medicinal plants
US6225611B1 (en) * 1999-11-15 2001-05-01 Hull Corporation Microwave lyophilizer having corona discharge control
US6734401B2 (en) * 2000-06-28 2004-05-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hanced sample process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7445671B2 (en) * 2000-06-29 2008-11-04 University Of Louisville Formation of metal oxide nanowire networks (nanowebs) of low-melting metals
US6701637B2 (en) * 2001-04-20 2004-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s for tissue dried with metal bands
US6534420B2 (en) * 2001-07-18 2003-03-1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for forming dielectric materials and methods for forming semiconductor devices
US6756085B2 (en) * 2001-09-14 2004-06-29 Axcelis Technologies, Inc. Ultraviolet curing processes for advanced low-k materials
US6646241B1 (en) * 2002-02-08 2003-11-11 Ecofriend Technologies, Inc. Microwave-assisted steam sterilization of dental and surgical instruments
US6900421B2 (en) * 2002-02-08 2005-05-31 Ecofriend Technologies, Inc. Microwave-assisted steam sterilization of dental and surgical instruments
JP4217764B2 (ja) 2002-03-14 2009-02-04 株式会社ムサシノエンジニアリング 衣類乾燥方法及び前記方法に使用するマイクロ波乾燥機
US6967315B2 (en) * 2002-06-12 2005-11-22 Steris Inc. Method for vaporizing a fluid using an electromagnetically responsive heating apparatus
KR100464853B1 (ko) * 2002-06-20 200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순간감압가열 건조방법 및 장치
US6635124B1 (en) * 2002-08-29 2003-10-2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depositing a thermal barrier coating
AT412999B (de) * 2002-11-12 2005-09-26 Wiedl Alfred Anlage zum trocknen von gütern
JP2004198066A (ja) * 2002-12-20 2004-07-15 Matsui Mfg Co 粉粒体材料の乾燥貯留装置及び粉粒体材料の供給システム
WO2004087989A1 (ja) * 2003-03-28 2004-10-14 Toyo Seikan Kaisha, Ltd. プラズマcvd法による化学蒸着膜及びその形成方法
DE102004014618B3 (de) * 2004-03-23 2005-11-10 Eads Space Transportation Gmbh Elektrothermisches Impuls-Triebwerk
JP4474506B2 (ja) * 2004-04-12 2010-06-09 財団法人北九州産業学術推進機構 マイクロ波を用いた減圧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6128075A (ja) * 2004-10-01 2006-05-18 Seiko Epson Corp 高周波加熱装置、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光源装置
US20070095823A1 (en) * 2005-10-27 2007-05-03 Sedlmayr Steven R Microwave nucleon-electron-bonding spin alignment and alteration of materials
EP1993928B1 (en) * 2006-03-10 2011-05-11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ontainer with microwave interactive web
US20080000892A1 (en) * 2006-06-26 2008-01-03 Applera Corporation Heated cover methods and technology
EP1886926A1 (en) * 2006-08-11 2008-02-13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onstruct for heating multiple food items in a microwave oven
US20090077825A1 (en) * 2007-07-17 2009-03-26 Semiconductor Analytical Services, Inc. (Sa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nd drying solid obje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298B1 (ko) * 2008-02-05 2009-02-10 이인구 감압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00891A1 (ja) 2005-10-27
US7665226B2 (en) 2010-02-23
JPWO2005100891A1 (ja) 2008-07-31
US20070271811A1 (en) 2007-11-29
CN100562700C (zh) 2009-11-25
KR100928275B1 (ko) 2009-11-24
KR20080096608A (ko) 2008-10-30
CN1950658A (zh) 2007-04-18
JP4474506B2 (ja)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275B1 (ko)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감압 건조 방법 및 그 장치
CN104769377B (zh) 有机材料的微波真空干燥
US10465985B2 (en) Bulk freeze drying using spray freezing and agitated drying with dielectric heating
KR100874332B1 (ko) 물품살균장치
US34271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esiccation effects in the microwave processing of unsealed food products
US200200064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or heat-treating products
JP5480874B2 (ja) マイクロ波減圧乾燥機及びマイクロ波減圧乾燥機を使用した乾燥方法
WO2002014764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crowave utilization
US20170115057A1 (en) Microwave vacuum-drying of organic materials
CN112205074A (zh) 固态射频技术与另一种食物热处理的结合
KR101768494B1 (ko) 식품 살균장치
JP6936426B2 (ja) マイクロ波減圧乾燥機及び乾燥食品等の製造方法
JP2010210189A (ja) 連続式予備乾燥方法および冷凍方法並びに連続式予備乾燥装置および冷凍装置
KR20200140859A (ko) 밀폐된 용기 내의 간편식품의 저온 살균
WO2008013749A1 (en) Pasteurization and sterilization of dry or low moisture particulate pharmaceutical and food products by high frequency microwaves
KR101830756B1 (ko) 식품 살균장치
KR100317016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음식물 살균장치
JPH08308911A (ja) 粉状経口品の殺菌方法および殺菌装置
JPS608710Y2 (ja) マイクロウエ−ブ加熱殺菌装置
RU2744079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JP3185647U (ja) 食品殺菌システム
KR101794064B1 (ko) 식품 살균장치
KR20230043572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JP2000060511A (ja) 加熱殺菌方法
JP2000225178A (ja) 連続式常圧高温殺菌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917

Effective date: 2009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