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4350A -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 Google Patents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4350A
KR20070004350A KR1020050059867A KR20050059867A KR20070004350A KR 20070004350 A KR20070004350 A KR 20070004350A KR 1020050059867 A KR1020050059867 A KR 1020050059867A KR 20050059867 A KR20050059867 A KR 20050059867A KR 20070004350 A KR20070004350 A KR 20070004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mounte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link coup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756B1 (ko
Inventor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9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756B1/ko
Publication of KR20070004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05K13/0069Holders for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을 제공한다. 상기 백업테이블은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안착판과, 지지판과, 상기 안착판과 상기 지지판의 사이에 장착된 링크결합부 및 상기 안착판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BACK-UP TABLE FOR CHIP MOUNTER}
도 1은 종래의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의 동작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의 동작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링크결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A방향을 따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B방향을 따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백업테이블이 칩마운터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10 : 안착판
280 : 지지판
300 : 구동부
310 : 실린더몸체
320 : 가변축
400 : 링크결합부
410 : 제 1몸체
420 : 제 2몸체
430 : 회전연결부
본 발명은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구조가 개선된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칩마운터는 반도체 칩과 같은 소형의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하는 장치이다. 상기 칩마운터는 부품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전자부품을 X,Y축 프레임 상에 이동가능한 픽업도구에 의하여 픽업한 후, 기판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된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한다.
상기 픽업도구는 헤더부에 수직으로 승하강 가능한 흡착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흡착수단은 전자부품을 진공으로 흡착할 수 있다. 이어, 상기 픽업도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하강하여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기판이송장치에 의하여 전자부품이 실장될 위치까지 이송이 완료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된 백업테이블에 의하여 소정 위치까지 상승되어 대기될 수 있다.
이어, 상기 픽업도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으로 이동하고, 상기 흡착수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하강하여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백업테이블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백업테이블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백업테이블은 상기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안착되는 상부테이블(100)과, 상기 상부테이블(100)의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하부테이블(100)과, 상기 하부테이블(120)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테이블(110)을 승하강 시킬수 있는 공압실린더(15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테이블(100)과 하부테이블(120)의 가장자리부에는 가이드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상부테이블(100)의 하부면에 고정된 복수개의 가이드봉(131)과, 상기 하부테이블(120)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봉(131)이 관통되는 가이드홀(13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압실린더(150)는 상기 상,하부테이블(100, 12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공압실린더(150)의 가변축(151)의 일단은 상기 상부테이블(110)의 하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상,하부테 이블(100, 120)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테이블(100)은 상기 하부테이블(12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한 상기 백업테이블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상부테이블(100)의 상면부에 안착되면, 상기 공압실린더(150)는 외부로 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상기 상부테이블(100)을 소정 위치까지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크기와 폭이 큰 경우에는 상기 상부테이블(100)의 실질적인 수평도 유지가 틀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상기 공압실린더(150)는 상기 상부테이블(100)의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상승력이 가해지며,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상부테이블(100)의 수평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상기 상부테이블(100)의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상부테이블(100)의 상승동작을 가이드한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홀(132)의 직경이 상기 가이드봉(131)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클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상기 상부테이블(100)이 미세하게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상부테이블(100)의 상면부에 안착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기울어질 수 있고, 상기 전자부품(미도시)은 기울어진 인쇄회로기판 상에 부정확한 위치로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의 제품손실을 가져오는 문제가 더 발생한다.
또한, 상기 하부테이블(120)의 하방으로 가이드봉(131)이 돌출되는 구조를 하고 있으므로 상기 하부테이블(120)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상부테이블(100)의 복수위치에서 상기 공압실린더(150)를 설치하여 상기 상부테이블(100)을 승하강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이는 제조비용의 상승과, 정기점검 작업이나 고장 발생시 수리와 같은 점검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테이블이 승/하강동작시, 안착판에 안착된 인쇄회로기판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안착판의 승하강동작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제조비용을 절감시키고, 정기점검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업테이블은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안착판과, 지지판과, 상기 안착판과 상기 지지판의 사이에 장착된 링크결합부 및 상기 안착판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결합부는 상기 안착판과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복수조로 장착되되, 상기 링크결합부는 상기 안착판의 하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제 1몸체와,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 도록 연결된 제 2몸체와, 상기 제 1,2몸체를 연결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대응되는 적어도 한 조의 상기 회전연결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공압실린더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대응되는 복수조의 상기 회전연결부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복수개로 설치된 공압실린더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압실린더는 실린더몸체와, 실린더몸체에 장착된 가변축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변축 중 어느 하나가 다른 가변축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의 동작전과 동작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은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안착되는 안착판(210)과, 상기 안착판(210)의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판(280)과, 상기 안착판(210)과 상기 지지판(280)을 연결하는 링크결합부(400)와, 상기 링크결합부(400)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안착판(210)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링크결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로 하여, 상기 링크결합부(4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링크결합부(400)는 상기 안착판(210)과 상기 지지판(280)의 테두리부를 따라 소정 위치에 배치되되, 서로 대응되도록 복수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링크결합부(400)는 상기 안착판(210)의 하부면에 회전되도록 연결된 제 1몸체(410)와, 상기 지지판(280)의 상부면에 회전되도록 연결된 제 2몸체(420)와, 상기 제 1몸체(410)와 상기 제 2몸체(420)를 서로 회전되도록 연결하는 회전연결부(4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결합부(400)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안착부(210)의 하부면과 상기 지지판(280)의 상부면에는 한조의 지지돌기(211, 281)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11, 281)에는 각각 끼움홀(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2몸체(410, 420)는 양단에 홀(411, 42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몸체(410)의 일단의 홀(411)은 상기 안착판(210)의 지지돌기(211)의 끼움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411)과 끼움홀에는 상기 제 1몸체(410)를 지지하는 지지핀(10)이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몸체(420)의 일단에 마련된 홀(421) 역시 상기 제 1몸체(410)와 동일하게 상기 지지판(280)의 지지돌기(281)의 끼움홀의 위치와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홀(421)과 상기 끼움홀에는 지지핀(10)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 1,2몸체(410, 420)를 연결하는 회전연결부(430)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몸체(410)의 타단이 제 2몸체(420)의 타단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와 같이 연결되거나, 제 2몸체(420)의 타단이 상기 제 1몸체(410)의 타단에 일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2몸체(410, 420)의 타단에 마련된 홀(431)들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431)들에는 지지핀(10)이 끼워질 수 있다.
다음은 도 3 및 도 6을 참조로하여 상기 구동부(3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A방향을 따르는 정면도이다.
상기 구동부(300)는 외부로부터 공압을 제공받는 실린더몸체(310)와, 상기 실린더몸체(310)에 삽입되어 가변되는 가변축(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몸체(310)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연결부(430)에 마련된 지지핀(10)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회전될 수 있는 제 1연결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변축(320)의 일단부는 제 1연결부(311)와 같은 제 2연결부(32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링크결합부(400)는 안착판(210)과 지지판(280)의 테두리부를 따라 서로 대응되도록 복수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조의 링크결합부(400)중 어느 한 조의 회전연결부들(430)을 서로 링크시켜 연결할 수 있는 상기 구동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연결부들(430)에 마련된 각각의 상기 지지핀들(10) 중 하나는 상기 제 1연결부(311)의 홀(미도시)에 끼워질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 2연결부 (321)의 홀(미도시)에 끼워져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한 조의 링크결합부(4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00)는 단동식 공압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0)의 실린더몸체(310)는 공압제공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동부(300)는 복동식 공압실린더 일 수도 있다. 복동식 공압실린더의 경우, 실린더몸체를 경계로 양단에 마련되는 각각의 가변축의 일단부가 상기 한 조의 링크결합부(400)의 회전연결부(430)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일 실시예의 동작을 통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 하면, 반도체 칩과 같은 전자부품(미도시)이 실장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안착판(210)의 상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어, 상기 구동부(300)는 공압제공부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상기 안착판(210)을 소정 위치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소정 위치로 승하강 시킬 수 있다.
상기 공압제공부는 상기 실린더몸체(310)로 공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몸체(310)에 설치된 가변축(320)은 상기 실린더몸체(310)로부터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조의 회전연결부들(430)을 서로 연결시키는 상기 구동부 (30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힘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2연결부(311, 321)에 연결된 한 조의 상기 링크결합부(400)는 상기 힘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2연결부(311, 321)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대응되는 방향에 위치된 상기 회전연결부들(430)에는 서로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될 수 있다. 이어, 상기 링크결합부(400)의 제 1,2몸체(410, 420)는 수직방향으로 펴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 2몸체(420)는 상기 지지판(280)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몸체(410)는 상기 안착판(2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2몸체(410, 420)가 수직으로 펴지는 방향으로 동작되면, 상기 제 1몸체(410)는 상기 안착판(210)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도록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판(210)과 상기 지지판(280)의 테두리부를 따라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기 링크결합부들(400)의 제 1몸체들(410)은 상기와 같이 상기 안착판(210)을 상방으로 밀어올려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소정위치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한 조의 링크결합부(400)의 제 1몸체(410)는 상기 안착판(210)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한 개의 공압실린더를 사용하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상기 복수 조의 링크결합부들(40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안착판(210)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결합부들(400)을 상기 안착판(210)과 지지판(280)의 테두리부를 따라 서로 대응되도록 복수 조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안착판의 지지력을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크기에 대응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안착판(210)의 승하강동작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평상태에서 후속 작업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압실린더와 같은 하나의 구동부(300)만을 설치하여 복수 조의 링크결합부(400)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백업테이블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백업테이블이 고장이 발생함으로 인해 유지, 보수등의 정기점검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8은 칩마운터(500)에 백업플레이트가 배치된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백업플레이트는 베이스(11)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판(210)과 상기 지지판(280)과의 사이 공간에 돌출된 타구조물이 적어 상기 지지판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몸체(310)로의 공압제공이 균일하여 상기 가변축(320)의 가변속도가 일정할 때, 상기 안착판(210)의 상승속도는 초기에 빠르고, 최대 상승높이에서 느려지기 때문에 최대 상승높이에서 발생하는 상기 안착판(210)의 진동을 최소화하여, 상기 안착판(210)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칩마운터용 링크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다른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 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와 다른 구성은 상기 한 조의 링크결합부를 연결하는 구동부이다.
상기 구동부(300)는 공압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조의 링크결합부(400) 중 어느 한조의 회전연결부들(430)을 서로 연결하는 제 1구동부(330)와, 다른 한조의 회전연결부들(430)을 서로 연결하는 제 2구동부(3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2구동부(330, 350)는 제 1,2실린더몸체(331, 351)와, 각각 상기 제 1,2실린더몸체(331, 352)에 설치된 제 1,2가변축(332, 3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가변축(352)에는 상기 제 1가변축(332)이 관통되는 이동홀(352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홀(352a)의 내면은 상기 제 1가변축(332)의 외면이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2실린더몸체들(331, 351)에 외부로부터 공압이 제공되어 상기 제 1,2가변축(332, 352)이 가변되는 경우, 상기 제 1가변축(332)의 외면이 상기 이동홀(352a)의 내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통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300)의 동작은 상기 일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 할 수 있다.
상기 안착판(210)을 상방으로 밀어올리기 위해, 공압제공부는 상기 제 1,2실린더몸체(331, 351)에 공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 1,2실린더몸체(331, 351)에 제공되는 공압은 동일한 압력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 1,2가변축(332, 352)은 각각 상기 제 1,2실린더몸체(331, 351)로 부터 돌출되고, 이에 따라 상기 1,2구동부들(330, 350)은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힘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2구동부들(330, 350)은 각각의 링크결합부(400)의 회전연결부(430)에 연결되어 상기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연결부들(430)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상기 링크결합부들(400)의 제 1몸체들(410)은 각각 동시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펴지면서 상기 안착판(210)을 상방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판(210)의 상부면에 안착된 인쇄회로기판은 소정 위치까지 상승되어 후속 작업까지 대기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안착판(210)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링크결합부들(400)이 상기 안착판(210)과 상기 지지판(280)의 테두리부를 따라 한 조로 대응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안착판(210)이 기울어지지않는 상태에서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복수조의 링크결합부(400)에 각각 연결된 제 1,2구동부(330, 350)에 공압이 제공되고, 상기 안착부(210)의 테두리부를 따라 배치된 각각의 링크결합부(400)에 동일한 힘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안착판(210)을 더욱 안정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판(210)이 기울어지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소정 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고, 후속 공정 진행시 안정적으로 공정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품 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안착판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안착판의 테두리부를 따라 복수조로 링크결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조의 링크결합부들을 서로 공압실린더로 연결시킴으로써, 안착판이 승하강동작시, 상기 안착판의 지지력을 균등분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인쇄회로기판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안착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의 승하강동작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하며, 백업테이블의 유지, 보수와 같은 정기점검 작업시 정기점검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이에 따른 공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안착판;
    지지판;
    상기 안착판과 상기 지지판의 사이에 장착된 링크결합부; 및
    상기 안착판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결합부는 상기 안착판과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복수조로 장착되되, 상기 링크결합부는 상기 안착판의 하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제 1몸체와,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제 2몸체와, 상기 제 1,2몸체를 연결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대응되는 적어도 한 조의 상기 회전연결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공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대응되는 복수조의 상기 회전연결부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복 수개로 설치된 공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실린더는 실린더몸체와, 실린더몸체에 장착된 가변축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변축 중 어느 하나가 다른 가변축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KR1020050059867A 2005-07-04 2005-07-04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KR101126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867A KR101126756B1 (ko) 2005-07-04 2005-07-04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867A KR101126756B1 (ko) 2005-07-04 2005-07-04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350A true KR20070004350A (ko) 2007-01-09
KR101126756B1 KR101126756B1 (ko) 2012-03-30

Family

ID=3787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867A KR101126756B1 (ko) 2005-07-04 2005-07-04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7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7588B2 (en) 2007-04-13 2011-10-18 Samsung Techwin Co., Ltd. Back-up table for chip mounter
US9049809B2 (en) 2011-12-26 2015-06-02 Samsung Techwi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ouble-sided mounting substrate
CN114698261A (zh) * 2022-04-24 2022-07-01 万小官 一种便于定位的电子元器件贴片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9819B2 (ja) * 1997-06-02 2006-03-29 株式会社スギヤス リフト装置の立ち上げ機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7588B2 (en) 2007-04-13 2011-10-18 Samsung Techwin Co., Ltd. Back-up table for chip mounter
KR101251559B1 (ko) * 2007-04-13 2013-04-0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US9049809B2 (en) 2011-12-26 2015-06-02 Samsung Techwi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ouble-sided mounting substrate
CN114698261A (zh) * 2022-04-24 2022-07-01 万小官 一种便于定位的电子元器件贴片机
CN114698261B (zh) * 2022-04-24 2023-09-08 陕西秦芯产研院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定位的电子元器件贴片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756B1 (ko) 201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559B1 (ko)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KR102308418B1 (ko)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KR101126756B1 (ko)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KR100415324B1 (ko) 백업플레이트 승강장치
JP2002057498A (ja) 配線板作業システム
JP4942624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の基板位置決め装置及び基板位置決め方法
JP2010143085A (ja) 基板支持装置及びスクリーン印刷機
KR101133124B1 (ko) 부품실장기용 기판지지장치
JP4378896B2 (ja) 基板の下受け方法
KR102258824B1 (ko) 스크린프린터용 얼라인테이블 구동장치
KR101189779B1 (ko) 기판 고정 장치
KR100636302B1 (ko) 기판의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
JP4567517B2 (ja) 印刷装置
KR100412271B1 (ko) 인쇄회로기판의 클램핑 장치
KR101054955B1 (ko) 전자부품 이송장치
JP2889012B2 (ja) プリント基板支持装置
KR200168360Y1 (ko) 인쇄회로기판의 지지장치
JP2009043846A (ja) 基板搬送装置
KR200492667Y1 (ko) 디스플레이 모듈 검사를 위한 커넥터 연결 장치
KR100503042B1 (ko) 기판지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승강장치
CN214675896U (zh) 一种线路板半成品转移装置
JPH01186324A (ja) 基板位置決めクランプ装置
KR100316805B1 (ko) 핸들러의 얼라이너 상승장치
JP2010177250A (ja) 基板へのフラックス印刷及びはんだボール搭載装置
KR20140147928A (ko) 기판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