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418B1 -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418B1
KR102308418B1 KR1020200126439A KR20200126439A KR102308418B1 KR 102308418 B1 KR102308418 B1 KR 102308418B1 KR 1020200126439 A KR1020200126439 A KR 1020200126439A KR 20200126439 A KR20200126439 A KR 20200126439A KR 102308418 B1 KR102308418 B1 KR 102308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ubject
inspection
vision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성
박용문
Original Assignee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6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01N2021/8861Determining coordinates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Abstract

본 발명은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부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접촉핀이 형성된 핀블록을 이용하여 피검사체의 커넥터와 연결되어 검사장치로부터 신호를 인가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를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단자가 상기 핀블록의 접촉핀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압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촉핀과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단자의 정렬상태를 영상으로 판단하는 비전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를 흡착하여 상기 연결부를 향해 이송 및 승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비전부에 의해 판단된 정렬상태에 따라 상기 피검사체의 위치를 가변시켜 정렬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connection device for Inspection to be capable of automatic alignment of the subject through vision-based recognition}
본 발명은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넥터 위치를 검사장치와 연결된 접촉핀에 위치를 정렬시켜 자동으로 연결 및 검사가 진행되도록 하는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모듈은 기능 단위로서의 부품 집합을 말하며 모듈 내부에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전자 부품 및 반도체가 장착된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듈에는 커넥터가 형성되어 있어 전자기기에 형성된 제어 기판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거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제어 기판에서 발생되는 명령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모듈은 전자기기의 제어 기판에 커넥터로 연결되기 전 해당 모듈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검사장치에 커넥터를 연결시켜 상태를 점검하게 되며, 검사장치에는 각 모듈의 커넥터 모델에 따라 접촉핀을 통해 검사장치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모듈을 연결장치에 연결할 때 연결장치에 형성된 접촉핀에 모듈의 커넥터를 접촉시켜 모듈에 전원을 인가시키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모듈의 커넥터가 연결장치의 접촉핀에 접촉될 때 정렬이 잘못 된 경우 작업자가 힘을 가하여 커넥터 또는 접촉핀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작업자가 수동으로 모듈을 연결장치에 안착시키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정렬 상태가 달라지고, 정렬된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 전원을 인가시킨 후 커넥터 접촉 불량인지 모듈 불량인지 판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8-006572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모듈이 공급되면 자동으로 이송 및 정렬시켜 연결장치에 안착시키고, 자동으로 검사공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전 인식을 통해 접촉핀과 커넥터 단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를 기반으로 커넥터를 정렬시켜 접촉핀과 커넥터가 일대일로 매칭되어 접촉되도록 하는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흡착시켜 비전 인식을 통해 커넥터 정렬과 안착을 동시에 진행하고, 안착 중 발생하는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는 각종 부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접촉핀이 형성된 핀블록을 이용하여 피검사체의 커넥터와 연결되어 검사장치로부터 신호를 인가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를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단자가 상기 핀블록의 접촉핀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압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촉핀과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단자의 정렬상태를 영상으로 판단하는 비전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를 흡착하여 상기 연결부를 향해 이송 및 승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비전부에 의해 판단된 정렬상태에 따라 상기 피검사체의 위치를 가변시켜 정렬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상기 이송부는 상기 커넥터를 독립적으로 흡착하여 고정함으로써 이송 또는 정렬 중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하여 상기 비전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상기 연결부는 다수 개의 접촉핀이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핀블록과, 상기 핀블록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를 검사하기 위해 신호를 인가하는 검사장치와 연결되는 PCB와, 상기 PCB 및 상기 핀블록이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면 상기 피검사체의 하부면을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검사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핀블록, 상기 PCB, 상기 검사대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전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접촉핀 및 상기 커넥터의 단자를 촬영하여 정렬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피검사체를 흡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의 정렬상태에 따라 회전시켜 정렬시키는 정렬유닛과, 상기 정렬유닛에 의해 흡착된 피검사체를 상기 연결부 방면으로 이송 및 승강시키는 이송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상기 정렬유닛은 상기 피검사체를 흡착하기 위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흡착구와, 상기 커넥터를 흡착하여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2흡착구와, 상기 제1흡착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정렬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흡착구의 위치를 지지하고, 상기 제2흡착구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위치조절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상기 핀블록은 상기 커넥터가 안착되면 상기 커넥터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하부면에는 상기 접촉핀의 상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지그와, 상기 안착지그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다수 개의 삽입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다수 개의 접촉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촉핀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상기 접촉핀의 하단을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검사장치와 연결되도록 하는 하부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상기 접촉핀은 상기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단과, 상기 접촉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S자 형태로 형성되는 제1탄성단과, 상기 제1탄성단 하부에 형성되어 다수 개의 반복되는 S자 형태로 이루어져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2탄성단과, 상기 제2탄성단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검사장치와 연결되도록 돌출되는 연결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핀블록을 향해 수평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며 수직 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블록의 위치에 따라 상기 커넥터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가압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상기 비전부는 상기 핀블록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접촉핀과 상기 커넥터의 단자 위치를 촬영하는 비전카메라와,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비전카메라를 지지하고 상기 비전카메라의 위치를 X축, Y축, Z축 게이지를 이용하여 촬영 위치를 보정하는 조절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이 공급되면 자동으로 이송 및 정렬시켜 연결장치에 안착시키고, 자동으로 검사공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에 의하면, 비전 인식을 통해 접촉핀과 커넥터 단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를 기반으로 커넥터를 정렬시켜 접촉핀과 커넥터가 일대일로 매칭되어 접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에 의하면, 이송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흡착시켜 비전 인식을 통해 커넥터 정렬과 안착을 동시에 진행하고, 안착 중 발생하는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전체적인 배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이송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이송부에 형성된 정렬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이송부에 형성된 정렬유닛이 피검사체를 흡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연결부 및 가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피검사체가 안착되어 연결부 및 가압부가 동작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가압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연결부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비전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비전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낸 참고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넥터 위치를 검사장치와 연결된 접촉핀에 위치를 정렬시켜 자동으로 연결 및 검사가 진행되도록 하는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M)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전체적인 배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M)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는 각종 부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접촉핀(214)이 형성된 핀블록(210)을 이용하여 피검사체(M)의 커넥터(C)와 연결되어 검사장치(600)로부터 신호를 인가하는 연결부(200)와, 연결부(2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커넥터(C)를 가압하여 커넥터(C)에 형성된 단자(T)가 핀블록(210)의 접촉핀(214)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압부(300)와, 프레임(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접촉핀(214)과 커넥터(C)에 형성된 단자(T)의 정렬상태를 영상으로 판단하는 비전부(500)와,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피검사체(M)를 흡착하여 연결부(200)를 향해 이송 및 승강되도록 형성되고, 비전부(500)에 의해 판단된 정렬상태에 따라 피검사체(M)의 위치를 가변시켜 정렬하는 이송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100)은 각종 부재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프레임(100)의 상부면에는 연결부(200), 가압부(300), 검사장치(600)가 장착되고, 하부면에는 비전부(5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1에서는 생략되었으나, 연결부(200)의 상부에 이격되어 형성된 이송부(4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송부(400)의 양측에도 프레임(100)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이전 공정에서 작업이 완료된 피검사체(M)가 거치될 수 있도록 공급지그(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급지그(110)에 위치된 피검사체(M)는 이송부(400)에 의해 연결부(200)로 이송되어 검사가 진행되게 된다.
여기서 피검사체(M)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의미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에는 커넥터(C)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00)는 피검사체(M)와 검사장치(600)를 서로 연결시켜 검사장치(600)에서 전송되는 구동전원 및 테스트 신호를 피검사체(M)로 인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프레임(100)에 장착된 검사장치(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200)에는 피검사체(M)의 커넥터(C)와 접촉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접촉핀(214)이 형성된 핀블록(210)을 포함하고 있으며, 핀블록(210)에 형성된 접촉핀(214)을 통해 피검사체(M)의 커넥터(C)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부(200)에는 이송된 피검사체(M)를 흡착하여 고정함으로써 피검사체(M)가 검사 중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가압부(300)는 연결부(200)에 형성된 핀블록(210)을 향해 이송 및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C)가 핀블록(210)의 상부에 안착되면 가압부(300)가 커넥터(C)를 하부 방면으로 가압하여 커넥터(C)가 접촉핀(214)에 밀착되어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송부(400)는 공급지그(110)에 거치된 피검사체(M)를 흡착하여 연결부(200)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피검사체(M)를 흡착 및 이송하기 위해 수평방면 및 수직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고, 피검사체(M)의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해 흡착된 부위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이송부(400)는 공급지그(110)를 향해 하강하여 피검사체(M)를 흡착하게 되며, 상승 및 연결부(200) 방면으로 이동한 후 커넥터(C)의 위치를 핀블록(210)에 형성된 접촉핀(214)에 맞게 위치를 정렬시켜 연결부(200)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이송부(400)가 피검사체(M)를 정렬하기 위해 연결부(200)의 하부에는 접촉핀(214)과 커넥터(C) 단자(T)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비전부(500)가 형성되어 있으며, 비전부(500)는 이송부(400)에 의해 핀블록(210)에 안착되는 커넥터(C)의 단자(T)와 접촉핀(214)을 동시에 촬영하여 위치가 정렬되었는지 판단하게 된다.
비전부(500)를 통해 틀어진 위치가 판단되면 이송부(400)는 이송 및 회전을 통해 커넥터(C) 단자(T)와 접촉핀(214)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연결부(200), 가압부(300), 비전부(500), 이송부(400)에 관한 세부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M)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이송부(400)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M)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이송부(400)에 형성된 정렬유닛(420)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M)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이송부(400)에 형성된 정렬유닛(420)이 피검사체(M)를 흡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M)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이송부(400)는 피검사체(M)를 흡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피검사체(M)의 정렬상태에 따라 회전시켜 정렬시키는 정렬유닛(420)과, 정렬유닛(420)에 의해 흡착된 피검사체(M)를 연결부(200) 방면으로 이송 및 승강시키는 이송유닛(41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부(400)는 정렬유닛(420)과 이송유닛(410)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정렬유닛(420)은 공급지그(110)에 피검사체(M)가 거치되면 이송유닛(410)에 의해 공급지그(110) 상부 방면으로 이송된 후 하강하여 피검사체(M)를 흡착시켜 도 1의 연결부(200)로 이송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이송유닛(410)은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LM가이드와 볼스크루를 통해 정렬유닛(420)을 X축, Y축, Z축 방면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이송유닛(410)에는 X축이송대(411), Y축이송대(412), Z축이송대(413)가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이송대에 형성된 모터에 의해 정렬유닛(420)이 연결부(200) 또는 공급지그(110) 방면으로 이송 및 승강될 수 있게 되며, 수치제어를 통해 각 피검사체(M)의 모델에 따라 연결부(200)에 이송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렬유닛(420)은 피검사체(M)를 흡착하기 위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흡착구(421)와, 커넥터(C)를 흡착하여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2흡착구(422)와, 제1흡착구(42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정렬모터(425)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424)과, 회전판(424)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2흡착구(422)의 위치를 지지하고, 제2흡착구(422)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위치조절대(4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송부(400)는 커넥터(C)를 독립적으로 흡착하여 고정함으로써 이송 또는 정렬 중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하여 비전부(5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흡착구(421)는 음압에 의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Z축이송대(413)에 의해 하강되어 피검사체(M)에 밀착되면 피검사체(M)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피검사체(M)를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흡착구(421)는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피검사체(M)를 안정적으로 흡착 및 이송시킬 수 있게 되며, 다수 개의 제1흡착구(421)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1흡착구(421)의 상부에는 회전판(424)이 형성되게 된다.
회전판(424)에는 다수 개의 장방형 홀이 형성되어 있어 제1흡착구(421)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되며, 피검사체(M)의 모델에 따라 제1흡착구(421)의 위치를 가변시켜 제1흡착구(421)가 흡착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전판(424)은 상부에 형성된 정렬모터(425)와 축 결합되어 정렬모터(425)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흡착구(421)에 흡착된 피검사체(M)도 회전판(424)을 따라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즉, 정렬모터(425)에 의해 피검사체(M)를 회전 시킬 수 있게 되고, 이와 더불어 이송유닛(410)에 의해 X축, Y축, Z축으로 피검사체(M)를 이송될 수 있으므로 피검사체(M) 및 커넥터(C)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흡착구(421)는 피검사체(M)와 접촉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중단에 스프링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중앙에 중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접촉시 하단이 상부 방면으로 이동되면서 피검사체(M)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회전판(424)의 일측에는 커넥터(C)를 흡착하기 위한 제2흡착구(422)를 지지하는 위치조절대(4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위치조절대(423)에도 장방형 홀이 형성되어 있어 제2흡착구(422)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위치조절대(423)는 피검사체(M)의 모델에 따라 제2흡착구(422)가 커넥터(C)를 흡착할 수 있도록 회전판(424)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장방형 홀을 통해 커넥터(C)가 형성된 위치까지 제2흡착구(422)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제2흡착구(422)는 음압에 의해 커넥터(C)의 상부면에 밀착되면 커넥터(C)를 흡착시켜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제2흡착구(422)에 의해 이송되는 커넥터(C)는 진동에 의한 흔들림이 방지되고 커넥터(C)를 수평한 상태로 유지시켜 도 1의 비전부(500)가 촬영할 때 영상의 왜곡을 방지하여 정밀하게 커넥터(C)의 정렬 위치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C)가 핀블록(210)에 안착될 때 제2흡착구(422)가 커넥터(C)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안착 중에 커넥터(C)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M)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연결부(200) 및 가압부(3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M)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피검사체(M)가 안착되어 연결부(200) 및 가압부(300)가 동작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M)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가압부(3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M)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연결부(200)는 다수 개의 접촉핀(214)이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커넥터(C)의 단자(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핀블록(210)과, 핀블록(210)의 하부에 형성되며 피검사체(M)를 검사하기 위해 신호를 인가하는 검사장치(600)와 연결되는 PCB(220)와, PCB(220) 및 핀블록(210)이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피검사체(M)가 이송부(400)에 의해 이송되면 피검사체(M)의 하부면을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검사대(2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부(200)는 도 1의 이송부(400)에 의해 피검사체(M)가 이송되면 검사장치(600)와 연결시켜 검사장치(600)로부터 피검사체(M)에 전원 및 테스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검사대(230)는 피검시체가 도 1의 이송부(400)에 의해 이송 된 후 정렬되면 피검사체(M)의 하부면을 흡착하여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검사대(230)는 판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다수 개의 고정구(231)가 형성되어 있어 음압에 의해 피검사체(M)를 흡착하여 고정할 수 있고, 일측에는 핀블록(210) 및 PCB(2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PCB(220)는 도 1의 검사장치(600)와 연결되어 있는 회로기판으로, 핀블록(210)에 형성된 접촉핀(214)과 접촉되어 검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인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검사대(230)의 일측 상부에 검사장치(600)와 연결된 PCB(220)가 부착되고, PCB(220)의 상부에는 핀블록(210)이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핀블록(210)의 상부면에는 커넥터(C)가 안착되어 피검사체(M)의 커넥터(C)가 핀블록(210) 및 PCB(220)를 통해 검사장치(600)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핀블록(210)의 세부 구조에 관한 내용은 도 8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가압부(300)는 핀블록(210)을 향해 수평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블록(330)과, 이송블록(330)의 상부에 형성되며 수직 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블록(320)과, 승강블록(3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승강블록(320)의 위치에 따라 커넥터(C)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가압대(3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압부(300)는 핀블록(2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핀블록(210)의 상부에 안착된 커넥터(C)를 하부 방면으로 가압하여 커넥터(C)와 핀블록(210)에 형성된 접촉핀(214)이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송블록(330)은 도 1의 프레임(100) 상부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지지블록(340)을 따라 수평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블록(340)에 형성된 레일에 결합되어 핀블록(210)을 향해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송블록(330)은 내부에 수평방면으로 설치된 실린더가 형성되어 있어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핀블록(210) 방면으로 이송되거나 핀블록(21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승강블록(320)은 이송블록(33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수직방면으로 설치된 실린더 및 수직축이 형성되어 있어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이송블록(330)의 상부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압대(310)는 승강블록(320)의 일단 상부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일면에는 11자 형태로 돌출되어 있어 핀블록(210)에 안착된 커넥터(C)의 양측 가장자리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검사 대기 중인 상태에서는 승강블록(320)은 이송블록(330)의 상부 방면으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송블록(330)은 핀블록(21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대기함으로써, 핀블록(210)에 커넥터(C)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이후 도 1의 이송부(400)에 의해 피검사체(M)가 정렬되어 핀블록(210)에 커넥터(C)가 안착되면 이송블록(330)이 핀블록(210) 방면으로 이송되고, 승강블록(320)은 하강하여 가압대(310)가 커넥터(C)의 양측 가장자리를 가압하게 되면서 커넥터(C)와 접촉핀(214)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접촉핀(214)과 커넥터(C)가 서로 연결되어 피검사체(M)에 검사를 위한 전원 및 테스트 신호가 인가될 수 있게 되며, 신호에 의해 피검사체(M)에서 동작되는 상태를 별도의 검사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확인하여 피검사체(M)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검사유닛(도시되지 않음)은 검사대(230)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이송대에 검사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여 이송 및 검사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M)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연결부(200)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M)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핀블록(210)은 커넥터(C)가 안착되면 커넥터(C)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하부면에는 접촉핀(214)의 상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고정홈(2111)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지그(211)와, 안착지그(211)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다수 개의 삽입홈(212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다수 개의 접촉핀(2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212)과, 하우징(212)의 하부에 형성되며 접촉핀(214)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접촉핀(214)의 하단을 외부로 노출시켜 검사장치(600)와 연결되도록 하는 하부고정홈(2131)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2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부(200)는 핀블록(210), PCB(220), 검사대(230)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비전부(500)는 관통홀을 통해 접촉핀(214) 및 커넥터(C)의 단자(T)를 촬영하여 정렬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착지그(211)는 커넥터(C)가 안착되는 위치를 물리적으로 한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면에는 일단에는 커넥터(C)의 일면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단(2113)이 상부 방면으로 돌출되어 있고, 타단에는 커넥터(C)의 일면을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단(2114)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단(2113)과 고정단(2114)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커넥터(C)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커넥터(C)가 안착지그(211)의 상부면에 안착되면 지지단(2113)과 고정단(2114)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C)가 안착되는 공간의 중앙에는 비전촬영을 위한 제1관통홀(2112)이 형성되고 관통홀을 중심으로 양측 하부면에는 접촉핀(214)의 상부면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상부고정홈(2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고정홈(2111)을 통해 접촉핀(214)의 상부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접촉핀(214)은 제1관통홀(2112) 방면으로 연장된 후 상부 방면으로 돌출되는 접촉단(2141)이 형성되어 있어 안착지그(211) 상부에 안착된 커넥터(C)의 단자(T)와 접촉단(2141)이 서로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1의 비전부(500)는 관통홀을 통해 접촉핀(214)의 접촉단(2141)과 커넥터(C)의 단자(T)를 동시에 촬영하여 정렬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도 1의 이송부(400) 및 비전부(500)에 의해 커넥터(C)가 정렬될 수 있게 된다.
하우징(212)은 접촉핀(214)을 설정된 간격대로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에는 비전촬영을 위한 제2관통홀(2122)이 형성되어 있고, 제2관통홀(2122)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각각 접촉핀(2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홈(2121)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2121)을 통해 접촉핀(214)은 하우징(212)의 상부에서 하부 방면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되며,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고정판(213)은 하우징(212)의 하부에 위치되어 하우징(212)에 삽입된 접촉핀(214)이 하부 방면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에는 비전촬영을 위한 제3관통홀(2132)이 형성되어 있고 제3관통홀(2132) 양측에는 접촉핀(214)이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면서 접촉핀(214)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단(2144)을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검사장치(600)와 연결된 PCB(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비전부(500)가 접촉핀(214)과 커넥터(C)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핀블록(210)의 하부에 형성되는 PCB(220)에도 제4관통홀(221)이 형성되어 있고, PCB(220)가 안착되는 검사대(230)에도 제5관통홀(2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의 비전부(500)는 검사대(230), PCB(220), 핀블록(210)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커넥터(C)와 접촉되는 접촉단(2141)을 촬영할 수 있게 되며, 도 1의 이송부(400)에 의해 이송되는 커넥터(C)의 단자(T) 위치를 접촉핀(214)의 위치와 비교하여 정렬상태를 판단하여 이송부(400)에 의해 커넥터(C)를 접촉핀(214)에 맞게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촉핀(214)은 커넥터(C)의 단자(T)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단(2141)과, 접촉단(214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S자 형태로 형성되는 제1탄성단(2142)과, 제1탄성단(2142) 하부에 형성되어 다수 개의 반복되는 S자 형태로 이루어져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2탄성단(2143)과, 제2탄성단(2143) 하부에 형성되어 검사장치(600)와 연결되도록 돌출되는 연결단(214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촉단(2141)은 커넥터(C)에 형성된 단자(T)와 직접 접촉하여 전원 또는 테스트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제1관통홀(2112)에 위치되어 상부에서 제1관통홀(2112)에 삽입되는 커넥터(C) 단자(T)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부 방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탄성단(2142)은 접촉단(2141)에 커넥터(C)가 접촉되었을 때 발생하는 외력이나 충격력에 의해 접촉단(2141)이 파손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폭이 길게 형성된 S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접촉단(2141)에 외력이 가해지면 접촉단(2141)이 하강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제2탄성단(2143)은 제1탄성단(2142)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제1탄성단(2142)에 비해 폭이 짧은 S자가 다수 개가 반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탄성단(2142)에 외력이나 충격이 발생된 경우 제2탄성단(2143)이 압축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단(2144)은 하부 제2탄성단(2143) 하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PCB(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PCB(220)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및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며, PCB(220)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부 방면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고정홈(2131)을 통해 고정판(213) 외부로 돌출되어 PCB(220)와 연결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M)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비전부(5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M)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비전부(500)에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M)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의 비전부(500)는 비전부(500)는 핀블록(2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접촉핀(214)과 커넥터(C)의 단자(T) 위치를 촬영하는 비전카메라(510)와, 프레임(100)과 연결되어 비전카메라(510)를 지지하고 비전카메라(510)의 위치를 X축, Y축, Z축 게이지를 이용하여 촬영 위치를 보정하는 조절유닛(5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전부(500)는 도 1의 프레임(100) 하부에 위치되어 있는데, 연결부(200)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비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프레임(100)에도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전부(500)는 비전카메라(510)와 조절유닛(530)으로 이루어지며, 비전카메라(510)에는 렌즈(520)가 형성되어 있어 마이크로 또는 나노단위 간격으로 배치된 접촉핀(214)과 커넥터(C)를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전카메라(510)에 의해 촬영된 접촉핀(214)과 커넥터(C)의 위치를 바탕으로 비전부(500)는 도 1의 이송부(400)를 X축, Y축, Z축으로 가변시키거나 회전시켜 각각의 접촉핀(214)과 커넥터(C)를 일대일로 매칭시켜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10-A와 같이 비전카메라(510)는 커넥터(C)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촉핀(214)을 촬영할 수 있게 되고, 커넥터(C)가 안착되면서 커넥터(C)에 형성된 단자(T)가 촬영되면 접촉핀(214)과 단자(T) 위치를 분석하여 정렬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커넥터(C)의 중앙에는 십자 형태의 마크가 형성되어 있어 비전부(500)가 마크를 중심으로 좌우 정렬상태 및 상하 정렬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자(T)와 접촉핀(214)의 간극을 촬영하여 하나의 접촉핀(214)에 하나의 단자(T)가 위치되었는지 분석함으로써 정렬상태를 판단한 후 이에 대한 보정값을 도 1의 이송부(400)로 전송하여 정렬위치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조절유닛(530)은 비전카메라(510) 및 렌즈(520) 위치를 마이크로 게이지로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X축, Y축, Z축에 각각 레일 및 블록이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있으며, 각각의 블록에 형성된 마이크로 게이지를 형성하여 비전카메라(510) 및 렌즈(520)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X축게이지(531), Y축게이지(532), Z축게이지(533)를 이용하여 비전카메라(510) 및 렌즈(520)의 위치를 마이크로 단위로 조절할 수 있게 되며, 기계 작동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비전카메라(510) 및 렌즈(520)의 위치가 틀어진 경우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마이크로 게이지 대신 모터를 형성하여 자동으로 정밀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이 공급되면 자동으로 이송 및 정렬시켜 연결장치에 안착시키고, 자동으로 검사공정이 진행되도록 하고, 비전 인식을 통해 접촉핀과 커넥터 단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를 기반으로 커넥터를 정렬시켜 접촉핀과 커넥터가 일대일로 매칭되어 접촉되도록 하며, 이송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흡착시켜 비전 인식을 통해 커넥터 정렬과 안착을 동시에 진행하고, 안착 중 발생하는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M : 피검사체 C : 커넥터
T : 단자 100 : 프레임
110 : 공급지그 200 : 연결부
210 : 핀블록 211 : 안착지그
2111 : 상부고정홈 2112 : 제1관통홀
2113 : 지지단 2114 : 고정단
212 : 하우징 2121 : 삽입홈
2122 : 제2관통홀 213 : 고정판
2131 : 하부고정홈 2132 : 제3관통홀
214 : 접촉핀 2141 : 접촉단
2142 : 제1탄성단 2143 : 제2탄성단
2144 : 연결단 220 : PCB
221 : 제4관통홀 230 : 검사대
231 : 고정구 232 : 제5관통홀
300 : 가압부 310 : 가압대
320 : 승강블록 330 : 이송블록
340 : 지지블록 400 : 이송부
410 : 이송유닛 411 : X축이송대
412 : Y축이송대 413 : Z축이송대
420 : 정렬유닛 421 : 제1흡착구
422 : 제2흡착구 423 : 위치조절대
424 : 회전판 425 : 정렬모터
500 : 비전부 510 : 비전카메라
520 : 렌즈 530 : 조절유닛
531 : X축게이지 532 : Y축게이지
533 : Z축게이지 600 : 검사장치

Claims (10)

  1. 각종 부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접촉핀이 형성된 핀블록을 이용하여 피검사체의 커넥터와 연결되어 검사장치로부터 신호를 인가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를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단자가 상기 핀블록의 접촉핀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압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촉핀과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단자의 정렬상태를 영상으로 판단하는 비전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를 흡착하여 상기 연결부를 향해 이송 및 승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비전부에 의해 판단된 정렬상태에 따라 상기 피검사체의 위치를 가변시켜 정렬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커넥터를 독립적으로 흡착하여 고정함으로써 이송 또는 정렬 중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하여 상기 비전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다수 개의 접촉핀이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핀블록과;
    상기 핀블록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를 검사하기 위해 신호를 인가하는 검사장치와 연결되는 PCB와;
    상기 PCB 및 상기 핀블록이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면 상기 피검사체의 하부면을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검사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핀블록, 상기 PCB, 상기 검사대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전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접촉핀 및 상기 커넥터의 단자를 촬영하여 정렬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피검사체를 흡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의 정렬상태에 따라 회전시켜 정렬시키는 정렬유닛과;
    상기 정렬유닛에 의해 흡착된 피검사체를 상기 연결부 방면으로 이송 및 승강시키는 이송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유닛은
    상기 피검사체를 흡착하기 위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흡착구와;
    상기 커넥터를 흡착하여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2흡착구와;
    상기 제1흡착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정렬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흡착구의 위치를 지지하고, 상기 제2흡착구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위치조절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블록은
    상기 커넥터가 안착되면 상기 커넥터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하부면에는 상기 접촉핀의 상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지그와;
    상기 안착지그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다수 개의 삽입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다수 개의 접촉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접촉핀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상기 접촉핀의 하단을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검사장치와 연결되도록 하는 하부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핀은
    상기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단과;
    상기 접촉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S자 형태로 형성되는 제1탄성단과;
    상기 제1탄성단 하부에 형성되어 다수 개의 반복되는 S자 형태로 이루어져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2탄성단과;
    상기 제2탄성단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검사장치와 연결되도록 돌출되는 연결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핀블록을 향해 수평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며 수직 방면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블록의 위치에 따라 상기 커넥터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가압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부는
    상기 핀블록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접촉핀과 상기 커넥터의 단자 위치를 촬영하는 비전카메라와;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비전카메라를 지지하고 상기 비전카메라의 위치를 X축, Y축, Z축 게이지를 이용하여 촬영 위치를 보정하는 조절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KR1020200126439A 2020-09-28 2020-09-28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KR102308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439A KR102308418B1 (ko) 2020-09-28 2020-09-28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439A KR102308418B1 (ko) 2020-09-28 2020-09-28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418B1 true KR102308418B1 (ko) 2021-10-05

Family

ID=7807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439A KR102308418B1 (ko) 2020-09-28 2020-09-28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4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99763A (zh) * 2021-10-28 2022-03-18 深圳市信维智能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连接器视觉检测的高精度定位载具
CN114542904A (zh) * 2022-02-16 2022-05-27 包哲 会计凭证的检测装置及方法
CN116500050A (zh) * 2023-06-28 2023-07-28 四川托璞勒科技有限公司 一种pcb板视觉检测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1486A (ko) * 2010-05-31 2011-12-07 (주)디알시스템 Led용 테스트 핸들러
KR101534778B1 (ko) * 2014-01-24 2015-07-09 리노공업주식회사 검사장치
KR101570215B1 (ko) * 2014-05-13 2015-11-18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전자 디바이스의 검사장치
US20170146567A1 (en) * 2015-11-24 2017-05-25 Photon Dynam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al inspection of flat panel displays using cell contact probing pads
KR20180065727A (ko) 2016-12-08 2018-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37446B1 (ko) * 2018-08-14 2019-10-28 주식회사 티에스아이코리아 하부접속방식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1486A (ko) * 2010-05-31 2011-12-07 (주)디알시스템 Led용 테스트 핸들러
KR101534778B1 (ko) * 2014-01-24 2015-07-09 리노공업주식회사 검사장치
KR101570215B1 (ko) * 2014-05-13 2015-11-18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전자 디바이스의 검사장치
US20170146567A1 (en) * 2015-11-24 2017-05-25 Photon Dynam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al inspection of flat panel displays using cell contact probing pads
KR20180065727A (ko) 2016-12-08 2018-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37446B1 (ko) * 2018-08-14 2019-10-28 주식회사 티에스아이코리아 하부접속방식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검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99763A (zh) * 2021-10-28 2022-03-18 深圳市信维智能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连接器视觉检测的高精度定位载具
CN114542904A (zh) * 2022-02-16 2022-05-27 包哲 会计凭证的检测装置及方法
CN114542904B (zh) * 2022-02-16 2023-11-03 广州新锦成信息科技有限公司 会计凭证的检测装置及方法
CN116500050A (zh) * 2023-06-28 2023-07-28 四川托璞勒科技有限公司 一种pcb板视觉检测系统
CN116500050B (zh) * 2023-06-28 2024-01-12 四川托璞勒科技有限公司 一种pcb板视觉检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418B1 (ko) 비전인식을 통한 피검사체 자동정렬이 가능한 검사용 연결장치
TW201810483A (zh) 用於積體電路裝置視覺對準之離線視覺輔助方法及裝置
KR100915592B1 (ko) 고해상도 카메라모듈의 포커싱 장비와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
TW201430356A (zh) 電子元件作業單元、作業方法及其應用之作業設備
JP4498561B2 (ja) 配線板支持装置の段取替え装置
KR100534023B1 (ko)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CN110211889B (zh) 检查系统
KR102181039B1 (ko) 지그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검사용 연결 장치
JP2577140B2 (ja) 基板の位置合わせ装置
JP5730664B2 (ja) 電子部品実装機
KR101859423B1 (ko) 듀얼 카메라모듈 정렬유닛 및 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모듈 정렬방법
US20090057372A1 (en) Conductive ball mounting apparatus
KR1019698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장치
TWI467197B (zh) An electronic component operating unit for an image capturing device, and a working device for its application
KR101035066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본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b 이송방법
WO2018026237A1 (ko) 인쇄 회로 기판의 검사 및 불량 교정 장치와 그 방법
KR101075588B1 (ko) 디스플레이 모듈의 광 특성 검사장치
KR101126756B1 (ko)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KR100562587B1 (ko) 패널 공급장치
KR20210007935A (ko)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
CN111122129A (zh) 一种光轴标定机
JP2012145370A (ja) 基板検査装置
KR102519475B1 (ko)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동시키면서 검사가 가능한 캐리어 지그
CN220473619U (zh) 一种插接件电阻焊接机电阻测试模组
KR20230131359A (ko) 표시 모듈 컨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모듈 컨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