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547A - 얼라인 마크를 포함한 액정표시소자 - Google Patents

얼라인 마크를 포함한 액정표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547A
KR20070000547A KR1020050055965A KR20050055965A KR20070000547A KR 20070000547 A KR20070000547 A KR 20070000547A KR 1020050055965 A KR1020050055965 A KR 1020050055965A KR 20050055965 A KR20050055965 A KR 20050055965A KR 20070000547 A KR20070000547 A KR 20070000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black matrix
alignment marks
crystal display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0241B1 (ko
Inventor
박광순
권극상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5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241B1/ko
Priority to DE102006029223A priority patent/DE102006029223B4/de
Priority to US11/474,978 priority patent/US7532277B2/en
Publication of KR20070000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4Arrangements for aligning or assembling substrates

Abstract

본 발명은 화소 영역 내에 얼라인 마크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는,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상에서 횡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 상기 게이트라인과 수직 교차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과 함께 단위 화소들을 정의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타라인의 교차영역에 형성되는 다수의 스위칭소자; 상기 단위 화소들마다 형성되는 다수의 화소전극; 상기 단위 화소들의 경계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기판 상의 영역에 형성되는 블랙 매트릭스; 상기 하부 기판 상에서 상기 데이터라인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및 제 2 얼라인마크;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얼라인 마크의 일측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일측이 일직선상에 있으며, 상기 제 2 얼라인 마크의 일측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타측이 일직선상에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액정표시소자, 얼라인 마크

Description

얼라인 마크를 포함한 액정표시소자{LIQUID CRSYTAL DISPLAY DEVICE USING ALLIGN MARK}
도 1은 액정표시소자의 기판 상에 형성된 종래 얼라인 마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c는 액티브 영역 내에서 단위 화소의 경계영역과 블랙 매트릭스 사이에 미스 얼라인이 발생했을 때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하부 기판 200: 상부 기판
101: 게이트라인 103: 데이터라인
103a: 소스전극 130b: 드레인전극
105: 화소전극 107: 드레인 컨택홀
120a: 제 1 얼라인 마크 120b: 제 2 얼라인 마크
120c: 제 3 얼라인 마크 120d: 제 4 얼라인 마크
205: 공통전극 209: 컬러필터
211: 블랙 매트릭스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소 영역 내에 얼라인 마크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소자는 소정의 간격 만큼 격리된 두 개의 기판과, 그 사이에 삽입된 액정과, 두 개의 기판과 액정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레이어(layer)들로 이루어져 있다.
얼라인 마크는 대향된 두 기판 상에 각각 형성되어서, 두 기판을 합착하기 위해 두 기판을 얼라인하는 기준점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얼라인 공정의 작업자는 두 기판상의 얼라인 마크의 패턴이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보고 두 기판의 얼라인 정도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얼라인 마크는 구성요소가 형성되지 않는 기판 상의 비액티브 영역에 형성되기 때문에 얼라인 공정이 완료되면, 커팅(cutting)되어 폐기된다.
최근, 자연색에 가까운 풀컬러(full color)를 구현하기 위해서 액정표시소자는 과거보다 더욱 더 고 집적화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소자간 간격을 매우 협소해지고 있다.
따라서, 얼라인이 조금만 틀어져도 초기 설계 위치가 아닌 곳에 해당 소자가 형성되어 컬러 재현성을 저하시키고, 이와 함께 수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얼라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소자의 얼라인 마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액정표시소자의 기판상에 형성된 얼라인 마크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평면적으로 기판(1)은 각종 소자들이 형서오디는 액티브 영역(3)과, 공정이 완료되면 커팅하여 폐기되는 비액티 브영역(5)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비액티브 영역(5)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얼라인 마크(7)가 형성되고, 그 형태는 일반적으로 십자(+) 형상이다.
이러한 얼라인 마크는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의 초기 공정 단계에서 각각의 기판에 형성되지만, 상기 얼라인 마크들이 사용되는 시점은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의 합착공정이다.
액정표시소자의 상, 하부 기판이 액정을 사이에 두고 합착되면, 평면적으로는 상부 기판의 얼라인 마크와 하부 기판의 얼라인 마크가 겹쳐져서 보여, 작업자는 상, 하부 기판이 적절히 합착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부 및 하부 기판의 얼라인 마크는 기판 상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고, 한 모서리 부분과, 그 부분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대응된 모서리 부분에 각각 하나씩, 즉 2개를 형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필요에 따라, 각 모서리에 하나씩 즉 4개를 형성하기도 하며, 어떤 경우에는 한 모서리에 하나만 형성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얼라인 마크는 사람의 눈으로 직접 식별하기에는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현미경을 이용해서 얼라인 마크를 식별하여 기판의 얼라인 정도를 판단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표시소자의 얼라인 마크는 기판의 전체적인 얼라인은 판별할 수 있으나, 액티브 영역 내의 배선 간 정밀한 합착정도, 즉 미스얼라인 정도를 확인시키지 못한다.
실제로 액정표시소자는 그 제조과정에 있어서, 다수의 노광 공정 등 고온 공정 및 테스트를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기판의 유리가 디스톨션(distortion)되어 내부의 배선 패턴이 틀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판의 모서리에 형성된 얼라인 마크 만으로는 배선간 정확한 얼라인 정도를 판별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이러한 내부 디스톨션 현상은 기판이 대형화되고, 배선이 더욱 고정세화되면서 심각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의 액티브 영역 내에 얼라인 마크를 형성함으로써, 고집적화, 고정세화된 배선 간의 얼라인 정도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는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후술되는 발명의 구성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는,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상에서 횡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 상기 게이트라인과 수직 교차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과 함께 단위 화소들을 정의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타라인의 교차영역에 형성되는 다수의 스위칭소자; 상기 단위 화소들마다 형성되는 다수의 화소전극; 상기 단위 화소들의 경계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기판 상의 영역에 형성되는 블랙 매트릭스; 상기 하부 기판 상에서 상기 데이터라인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및 제 2 얼라인마크;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얼라인 마크의 일측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일측이 일직선상에 있으며, 상기 제 2 얼라인 마크의 일측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타측이 일직선상에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데이터라인과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기판상의 영역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는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각형 또는 삼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는 상기 게이트라인과 동일층에 형성되는데,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는,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상에서 횡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 상기 게이트라인과 수직 교차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과 함께 단위 화소들을 정의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타라인의 교차영역에 형성되는 다수의 스위칭소자; 상기 단위 화소들마다 형성되는 다수의 화소전극; 상기 단위 화소들의 경계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기판 상의 영역에 형성되는 블랙 매트릭스; 상기 하부 기판 상에서 상기 게이트라인의 상,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제 3 및 제 4 얼라인마크;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3 얼라인 마크의 일측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일측이 일직선상에 있으며, 상기 제 4 얼라인 마크의 일측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타측이 일직선상에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데이터라인과 제 3 및 제 4 얼라인 마크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기판상의 영역에 형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a는 어레이 기판인 하부 기판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고, 도 2b는 도 2a의 I-I'선에 대한 단면도로서, 하부 기판과 함께 상기 하부 기판에 대응되는 상부 기판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소자는 하부 기판(100)인 어레이 기판과, 상부 기판(200)인 컬러필터 기판, 및 상기 상, 하부 기판(100, 200)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 기판(100)에는 다수의 게이트라인(101)이 횡 방향으로 배열되고, 다수의 데이터라인(103)이 상기 게이트라인(101)과 수직 교차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101)과 함께 다수의 단위 화소들을 정의한다.
상기 게이트라인(101)과 데이타라인(103)의 교차영역에는 상기 단위 화소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소자, 예컨데,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상기 스위칭소자는 게이트라인(101)이 연장되어 형성된 게이트전극(101a)과, 상기 게이트전극(101a)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절연막(110)과, 상기 게이트절연막(110)의 상부에서 상기 데이터라인(103)의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소스전극(103a)과, 상기 소스전극(103a)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드레인전극(103b)이 형성된다. 또한, 스위칭 소자는 소스전극(103a)과 드레인전극(103b) 간에 도통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반도체층(미도시) 및 오믹컨택층(미도시)을 더 구비한다. 이러한 스위칭소자는 게이트라인(101)으로부터의 게이트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103)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선택적으로 단위 화소에 공급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 화소 내에는 상기 스위칭소자로부터 데이터신호를 인가받는 화소전극(105)이 형성된다.
화소전극(105)은 데이터라인(103)과 게이트라인(101)에 의해 분할된 셀 영역에 위치하며,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또는 ITZO(Indium Tin Zinc Oxide) 또는 TO(Tin Oxide) 등의 광투과율이 높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화소전극(105)은 어레이 기판(100) 전면에 도포되는 보호막(120) 상부에 형성되며, 보호막(120)을 관통하는 드레인 컨택홀(107)을 통해 드레인전극(103b)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화소전극(105)은 스위칭소자를 경유 하여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의해 상부 기판(200)에 형성되는 공통전극(205)과 전위차를 발생시키기 된다. 하부 기판(100)과 상부 기판(200)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은 이러한 전위차에 의해 유전율이방성에 기인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되는 액정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화소전극(105)을 경유하여 상부 기판(200) 쪽으로 투과되는 광량이 조절되어, 화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기판(200)에는 공통전극(205) 이외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구현을 위한 컬러필터(209)가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컬러필터(209)는 적색, 녹색 및 청색광 중 어느 하나를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역을 가지는 빛을 흡수하여 원하는 색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단위 화소들의 경계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블랙 매트릭스(211)가 형성되어, 광 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하부 기판(100) 상 데이터라인(103)의 좌, 우측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 1 얼라인 마크(120a) 및 제 2 얼라인 마크(120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120a, 120b)는 상기 게이트라인(101)과 동일층에 동일 마스크 공정으로 형성되며, 어떠한 배선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아일랜드(irland) 형태로 형성되어, 화소 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얼라인 마크(120a)의 일측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211)의 일측이 일직선상에 있으며, 상기 제 2 얼라인 마크(120b)의 일측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211)의 타측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블랙 매트릭스(211)는 상기 데이터라인(103)과 제 1 및 제 2 얼라 인 마크(120a, 120b)를 포함하는 영역의 상부에 형성되며, 이때, 상기 블랙 매트릭스(211)의 좌변과 상기 제 1 얼라인 마크(120a)의 좌변이 일직선 상에 놓이고, 상기 블랙 매트릭스(211)의 우변과 상기 제 2 얼라인 마크(120b)의 우변이 일직선 상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 기판(200) 및 하부 기판(100)이 정확히 얼라인되어 합착되면, 평면적으로는 상부 기판(200)의 블랙 매트릭스(211)에 의해 하부 기판(100)의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120a, 120b)가 겹쳐져, 작업자에 의해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120a, 120b)가 관찰되지 않게 된다. 즉, 상부 기판(200)과 하부 기판(100)이 정확이 얼라인되어 합착되고, 액티브 영역 내 배선이 설계대로 정확히 패턴되면, 상부 기판(200)의 블랙 매트릭스(211)와 하부 기판(100)의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120a, 120b)가 매칭(matching)되어, 하부 기판(100)의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120a, 120b)가 관찰되지 않는다.
이로써, 상부 기판(200) 및 하부 기판(100)의 정렬 상태와, 배선 패턴의 위치가 정확히 검사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상부 기판(200)과 하부 기판(100)의 정렬이 틀어지거나, 배선이 설계대로 정확이 패터닝되지 못할 경우, 액정표시소자의 불량 분석 단계에서 제 1 얼라인 마크(120a) 또는 제 2 얼라인 마크(120b)가 블랙 매트릭스(211)에 의한 차광영역을 벗어나, 작업자에게 관찰되게 되고, 이를 통해 작업자는 상부 및 하부 기판(200, 100)을 합착하기 위한 얼라인 단계에서 두 기판(200, 100)이 정확이 얼라인 되어있는지, 아니면,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시프트되어 있는지, 특히, 특 정 영역에서 어떤 배선이 어느 방향으로 시프트 되어 있는지를 한눈에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2c는 액티브 영역 내에서 단위 화소의 경계영역과 블랙 매트릭스(211) 사이에 미스 얼라인이 발생했을 때의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기판(100)의 배선, 예컨데, 데이터라인(103),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120a, 120b), 화소전극(105)이 상부 기판(200)의 블랙 매트릭스(2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좌측으로 이동되어 형성될 경우, 제 1 얼라인 마크(120a)의 일부(A)가 블랙 매트릭스(211)의 차광영역을 벗어나, 작업자에 의해 관찰된다.
만일, 이와 같이, 두 기판(200, 100) 혹은 배선들이 합착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광이 누설되어 액정 셀의 구동 시 원하는 화질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120a, 120b)는 액티브 영역 즉, 단위 화소 내에 배치됨으로써, 상, 하부 기판(200, 100) 사이의 합착 정도 뿐 아니라, 고집적화, 고정세화된 배선 간의 얼라인 정도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120a, 120b)은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사각형의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120a, 120b)의 예가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120a, 120b)는 삼각형 혹은 원형으로도 형성되어, 단위 화소별로 얼라인의 불량 여부를 정확히 확인시켜 주며, 광 누설 등 합착 기인성 불량을 방지해 준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를 개략적으로 나 타낸 도면으로서, 어레이 기판인 하부 기판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 부호는 제 1 실시예와 동일 구성을 의미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및 제 4 얼라인 마크(120c, 120d)는 각각 게이트라인(101)의 상, 하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3 및 제 4 얼라인 마크(120c, 120d)는 데이터라인(103)과 동일층에 동일 마스크 공정으로 형성되며, 어떠한 배선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아일랜드(irland) 형태로 형성되어, 화소 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얼라인 마크(120c)의 일측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일측이 일직선상에 있으며, 상기 제 4 얼라인 마크(120d)의 일측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타측이 일직선상에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100)이 정확히 얼라인되어 합착되면, 평면적으로는 상부 기판의 블랙 매트릭스에 의해 하부 기판(100)의 제 3 및 제 4 얼라인 마크(120c, 120d)가 겹쳐져, 작업자에 의해 제 3 및 제 4 얼라인 마크(120c, 120d)가 관찰되지 않게 된다. 즉,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100)이 정확이 얼라인되어 합착되고, 액티브 영역 내 배선이 설계대로 정확히 패턴되면, 상부 기판의 블랙 매트릭스와 하부 기판(100)의 제 3 및 제 4 얼라인 마크(120c, 120d)가 매칭(matching)되어, 하부 기판의 제 3 및 제 4 얼라인 마크(120c, 120d)가 보이지 않는다.
결국,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의 정렬 상태와, 배선 패턴의 위치가 정확히 검사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의 정렬이 틀어지거나, 배선이 설계대로 정확이 패터닝되지 못할 경우, 액정표시소자의 불량 분석 단계에서 제 3 얼라인 마크(120c) 또는 제 4 얼라인 마크(120d)가 블랙 매트릭스에 의한 차광영역을 벗어나, 작업자에게 관찰되게 되고, 이를 통해 작업자는 상부 및 하부 기판(100)을 합착하기 위한 얼라인 단계에서 두 기판이 정확이 얼라인 되어있는지, 아니면,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시프트되어 있는지, 특히, 특정 영역에서 어떤 배선이 어느 방향으로 시프트 되어 있는지를 한눈에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에서는 액티브 영역 내에 얼라인 마크가 형성됨으로써, 배선의 정확한 위치 정보가 획득되어, 불량의 원인이 실시간으로 파악되고, 이를 통해 공정 시간이 단축되며, 불량의 원인에 관련된 공정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의 액티브 영역 내에 얼라인 마크를 형성함으로써, 단위 화소별로 얼라인의 불량 여부를 정확히 확인시켜 주어, 광 누설 등 합착 기인성 불량을 방지해 줄 수 있다.
또한, 불량의 원인을 거의 실시간으로 검출함으로써, 공정 시간을 단축시켜, 액정표시소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상에서 횡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
    상기 게이트라인과 수직 교차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과 함께 단위 화소들을 정의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타라인의 교차영역에 형성되는 다수의 스위칭소자;
    상기 단위 화소들마다 형성되는 다수의 화소전극;
    상기 단위 화소들의 경계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기판 상의 영역에 형성되는 블랙 매트릭스;
    상기 하부 기판 상에서 상기 데이터라인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및 제 2 얼라인마크;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얼라인 마크의 일측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일측이 일직선상에 있으며, 상기 제 2 얼라인 마크의 일측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타측이 일직선상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데이터라인과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기판상의 영역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는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는 사각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는 삼각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는 원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는 상기 게이트라인과 동일층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얼라인 마크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9.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상에서 횡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
    상기 게이트라인과 수직 교차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과 함께 단위 화소들을 정의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타라인의 교차영역에 형성되는 다수의 스위칭소자;
    상기 단위 화소들마다 형성되는 다수의 화소전극;
    상기 단위 화소들의 경계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기판 상의 영역에 형성되는 블랙 매트릭스;
    상기 하부 기판 상에서 상기 게이트라인의 상,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제 3 및 제 4 얼라인마크;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3 얼라인 마크의 일측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일측이 일직선상에 있으며, 상기 제 4 얼라인 마크의 일측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타측이 일직선상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데이터라인과 제 3 및 제 4 얼라인 마크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기판상의 영역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KR1020050055965A 2005-06-27 2005-06-27 얼라인 마크를 포함한 액정표시소자 KR101140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965A KR101140241B1 (ko) 2005-06-27 2005-06-27 얼라인 마크를 포함한 액정표시소자
DE102006029223A DE102006029223B4 (de) 2005-06-27 2006-06-26 LCD mit einer Ausrichtungsmarkierung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11/474,978 US7532277B2 (en) 2005-06-27 2006-06-27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align ma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965A KR101140241B1 (ko) 2005-06-27 2005-06-27 얼라인 마크를 포함한 액정표시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547A true KR20070000547A (ko) 2007-01-03
KR101140241B1 KR101140241B1 (ko) 2012-04-26

Family

ID=3751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965A KR101140241B1 (ko) 2005-06-27 2005-06-27 얼라인 마크를 포함한 액정표시소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32277B2 (ko)
KR (1) KR101140241B1 (ko)
DE (1) DE102006029223B4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277A (ko) * 2013-12-02 2015-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프로세스 키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KR20160141189A (ko) * 2015-05-29 2016-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016347B2 (en) 2019-08-02 2021-05-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4740A1 (ja) * 2005-09-22 2007-03-29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パネル用の基板とこの基板を備える表示パネル
TWI498626B (zh) * 2005-11-15 2015-09-01 Semiconductor Energy Lab 液晶顯示裝置
JP2010503166A (ja) * 2006-09-07 2010-01-28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有機発光デバイス用基板、基板の使用法およびを製造プロセス、ならびに有機発光デバイス
WO2008059185A2 (fr) * 2006-11-17 2008-05-22 Saint-Gobain Glass France Electrode pour dispositif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sa gravure acide, ainsi que dispositif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l'incorporant
FR2913146B1 (fr) * 2007-02-23 2009-05-01 Saint Gobain Electrode discontinue, dispositif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l'incorporant, et leurs fabrications
FR2924274B1 (fr) 2007-11-22 2012-11-30 Saint Gobain Substrat porteur d'une electrode, dispositif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l'incorporant, et sa fabrication
FR2925981B1 (fr) * 2007-12-27 2010-02-19 Saint Gobain Substrat porteur d'une electrode, dispositif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l'incorporant.
US20090195736A1 (en) * 2008-02-04 2009-08-06 Himax Display, Inc. Liquid crystal on silico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284354B2 (en) * 2008-02-04 2012-10-09 Himax Display, Inc. Liquid crystal on silico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FR2936358B1 (fr) 2008-09-24 2011-01-21 Saint Gobain Procede de fabrication d'un masque a ouvertures submillimetriques pour grille electroconductrice submillimetrique, masque a ouverture submillimetriques, grille electroconductrice submillimetrique.
FR2936362B1 (fr) 2008-09-25 2010-09-10 Saint Gobain Procede de fabrication d'une grille submillimetrique electroconductrice revetue d'une grille surgrille, grille submillimetrique electroconductrice revetue d'une surgrille
FR2944145B1 (fr) 2009-04-02 2011-08-26 Saint Gobain Procede de fabrication d'une structure a surface texturee pour dispositif a diode electroluminescente organique et structure a surface texturee
FR2955575B1 (fr) 2010-01-22 2012-02-24 Saint Gobain Substrat verrier revetu d'une couche haut indice sous un revetement electrode et dispositif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comportant un tel substrat.
US8780315B2 (en) * 2012-05-31 2014-07-1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CD panel, color filter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lor filter substrate
KR101497524B1 (ko) * 2013-04-22 2015-03-02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코드가 기록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63358B1 (ko) * 2014-07-21 2020-10-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482960B2 (ja) * 2015-06-11 2019-03-13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光学素子
CN104965326A (zh) * 2015-07-30 2015-10-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和制备方法、显示装置
CN106610742B (zh) * 2015-10-21 2023-08-29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KR20180063937A (ko) * 2016-12-02 2018-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리페어하기 위한 방법
KR20180078409A (ko) * 2016-12-29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7384B1 (ko) * 2017-10-31 202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프로세스 키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538411B1 (ko) 2018-07-25 2023-05-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025799B (zh) * 2019-12-02 2021-07-27 苏州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364B2 (ja) * 1992-02-25 2000-08-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液晶表示装置
CN1538228A (zh) * 1997-07-23 2004-10-20 ������������ʽ���� 液晶装置及电子设备
JP3099812B2 (ja) * 1998-07-30 2000-10-16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2311449A (ja) * 2001-02-06 2002-10-23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100662780B1 (ko) * 2002-12-18 2007-01-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테스트화소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랙 매트릭스를 제작하는 방법
KR100652053B1 (ko) * 2003-06-28 2006-11-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050033223A (ko) * 2003-10-06 2005-04-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KR100566457B1 (ko) * 2003-10-22 2006-03-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다양한 크기의 유리기판에 적용되는 포토 마스크 및 이를이용한 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277A (ko) * 2013-12-02 2015-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프로세스 키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KR20160141189A (ko) * 2015-05-29 2016-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016347B2 (en) 2019-08-02 2021-05-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29223A1 (de) 2006-12-28
US20060290841A1 (en) 2006-12-28
US7532277B2 (en) 2009-05-12
DE102006029223B4 (de) 2011-06-09
KR101140241B1 (ko)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241B1 (ko) 얼라인 마크를 포함한 액정표시소자
US9618816B2 (en) Array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18337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41637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patterned alignment fiducial mar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47273B1 (ko)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1303476B1 (ko) 액정표시장치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374435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40085558A1 (en) Color filter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2010577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9471279B (zh) 阵列基板以及液晶显示面板
US770152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39701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100324913B1 (ko)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650400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75852B1 (ko) 액정표시소자
KR10079900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220317508A1 (en)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isplay device
JP2002333628A (ja) 液晶表示装置、カラーフィルタ基板およびアレイ基板
KR20150137278A (ko)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50136339A (ko)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40051073A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과 그 제조방법
KR20130031738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1090673A (ja) 液晶表示装置
JP2005091644A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検査方法
KR10125479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