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4413A -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4413A
KR20060134413A KR1020050054071A KR20050054071A KR20060134413A KR 20060134413 A KR20060134413 A KR 20060134413A KR 1020050054071 A KR1020050054071 A KR 1020050054071A KR 20050054071 A KR20050054071 A KR 20050054071A KR 20060134413 A KR20060134413 A KR 20060134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water
vacuum cleaner
cleaned
brush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2642B1 (ko
Inventor
오장근
임순택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4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642B1/ko
Priority to JP2005359153A priority patent/JP2007000602A/ja
Priority to US11/317,279 priority patent/US20060288517A1/en
Priority to CNA2006100051583A priority patent/CN1883354A/zh
Priority to GB0601529A priority patent/GB2427351B/en
Priority to RU2006102322/12A priority patent/RU2321329C2/ru
Publication of KR20060134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47L11/20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having combined drive for brushes and for vacuum cleaning
    • A47L11/206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having combined drive for brushes and for vacuum cleaning for rotary disc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4Machines for treating carpets in position by liquid, foam, or vapour, e.g.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47L11/20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having combined drive for brushes and for vacuum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47L11/302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1Roll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5Machines using UV-lamps, IR-lamps, ultrasound or plasma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09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with means mounted on the nozzle; 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overy of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물과 물을 동시에 흡입할 수 있는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는 본체와, 피청소면과 마주하는 오물흡입구와 피청소면과 접하며 회전하도록 상기 오물흡입구에 설치된 브러시와 물을 토출하는 물토출 노즐을 포함하며 오물흡입구가 본체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브러시 조립체, 및 브러시 조립체의 하면에 설치되며 브러시의 전방 및 후방에 피청소면과의 마찰에 의해 선택적으로 오물흡입경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전방 및 후방차단부재를 포함한다.
물청소, 전방차단부재, 후방차단부재, 브러시, 회전돌기, 물토출노즐

Description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having wet clean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뚜껑을 분해한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의 전방차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의 후방차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의 단면도,
도 8은 도 1의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전진시킬 때, 전방 및 후방차단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1의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후진시킬 때, 전방 및 후방 차단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2; 피청소면
3,4; 오물흡입경로 10; 본체
11; 핸들 16; 모드 스위치
20; 브러시 조립체 21; 브러시 몸체
22; 오물흡입구 23; 커버
30; 흡입덕트 40; 전방차단부재
41; 차단판 43; 회전돌기
50; 후방차단부재 52; 차단부
60; 브러시 유닛 61; 브러시
62; 브러시 모터 70; 물토출 유닛
72; 에어펌프 74; 물토출 노즐
81; 대형 바퀴 90; 자외선 램프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에 물기가 없는 상태 에서 먼지 등의 오물을 흡입하여 청소를 하는 일반 청소와, 피청소면, 특히 장판, 마루, 대리석등과 같이 딱딱한 표면에 물을 뿌려 피청소면의 얼룩 등을 닦아 내고 물과 함께 오물 등을 흡입하는 물청소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청소기를 말한다.
따라서,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는, 물탱크와 물토출 밸브와 물토출 노즐로 구성되며 피청소면에 물을 토출하는 물토출 유닛과, 피청소면을 문질러 얼룩 등을 닦아 내는 브러시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물청소를 하는 경우에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에 물을 토출하고, 브러시로 피청소면을 문질러 얼룩 등을 제거하고, 브러시에 의해 제거된 얼룩 등과 함께 토출된 물을 흡입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 청소를 할 경우에는 이 브러시가 오물 등이 오물흡입구로 흡입되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브러시와 피청소면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일반 청소시에는 브러시가 피청소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오물 등이 원할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하고, 물청소시에는 브러시가 피청소면과 접촉하여 문지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는 브러시를 상하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브러시 조립체의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청소면을 물청소할 경우에, 먼저 브러시가 피청소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오물 등을 흡입하는 일반 청소를 하고, 그 후 브러시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물을 뿌리면서 브러시로 피청소면을 닦아내는 물청소를 해야하기 때문에 청소시간이 일반 청소만 하는 경우에 비해 2배 정도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청소를 완료한 후 물공급 밸브를 차단하여도 물공급 밸브와 물토출 노즐 사이에 잔류하였던 물이 물토출 노즐로부터 흘러나오기 때문에, 진공청소기의 주위를 더럽힌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브러시를 상승/하강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한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물을 흡입하면서도 물청소를 동시에 할 수 있기 때문에 물청소시 청소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피청소면과 마주하는 오물흡입구와 상기 피청소면과 접하며 회전하도록 상기 오물흡입구에 설치된 브러시와 물을 토출하는 물토출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오물흡입구가 상기 본체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브러시 조립체; 및 상기 브러시 조립체의 하면에 상기 브러시의 전방 및 후방에 상기 피청소면과의 마찰에 의해 선택적으로 오물흡입경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전방 및 후방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차단부재와 상기 후방차단부재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오물흡입경로를 개방하면, 다른 하나는 상기 오물흡입경로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브러시 조립체가 전진하면, 상기 전방차단부재가 상기 오물흡입경로 를 개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전방차단부재는, 상기 브러시 조립체의 하면에 상기 브러시의 전방에 상기 피청소면과의 마찰에 의해 소정 각도 선회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선회 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오물흡입경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방차단부재는, 상기 브러시 조립체 전방의 오물흡입경로를 차단하며, 판 형상으로 형성된 차단판; 상기 차단판의 양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 조립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된 회전축; 및 상기 차단판의 일면에 부채꼴로 형성되며, 상기 부채꼴의 원호부가 상기 차단판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회전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부채꼴의 원호부가 상기 피청소면과 접촉하면, 상기 차단판의 선단이 상기 피청소면과 이격된다.
또한, 상기 후방차단부재는, 상기 브러시 조립체에 형성된 후방차단부재 수납홈에 고정되는 머리부; 및 일면은 평면이고, 반대면은 복수의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돌기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 조립체의 진행방향에 따라 평면 또는 돌기면의 선단 일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피청소면에 눌리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상기 물토출 노즐로 공기를 포함하는 물을 토출하기 위한 에어펌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물토출 노즐은 상기 브러시 조립체의 전면에 적어도 한 개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일반 청소와 물청소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 스위치와 상기 모드 스위치가 물청소로 선택되면 상기 에어펌프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물토출 노즐로 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펌프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는 상기 브러시 조립체의 하면에 상기 후방차단부재의 뒤에 설치되며, 상기 피청소면을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자외선 램프의 전면에는 테프론 커버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1)는 본체(10)와 브러시 조립체(2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조립체(미도시)와, 브러시 조립체(20)를 통해 흡입된 오물과 물을 저장하는 오물수거통(미도시)과, 물청소를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0)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잡고 청소를 하는 핸들(11)이 설치되어 있다. 핸들(11)은 연장관(12)을 통해 본체(10)와 연결되어 있다. 본체(10)의 후면에는 브러시 조립체(20)와 본체(10)의 오물수거통을 연결하는 호스(13) 및 진공청소기(1)의 이동을 위한 손잡이(1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핸들(11)에는 모터 조립체를 동작시키는 전원 스위치(15)와, 일반 청소 모드와 물청소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스위치(16)와, 에어펌프(72, 도 3 참조)를 동작시키는 펌프 스위치(17)가 설치된다. 일반 청소 모 드는 모터 조립체의 모터 및 브러시 모터(62, 도 3 참조)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에어펌프(72)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전원 스위치(15)가 온(ON)되면 모터 조립체의 모터와 브러시 모터(62)는 회전하나, 펌프 스위치(17)가 온(ON)되어도 물토출 노즐(74)로부터 물이 토출되지 않는다. 물청소 모드는 모터 조립체의 모터와 브러시 모터(62), 및 에어펌프(72) 전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스위치가 온(ON)되면 모터 조립체의 모터 및 브러시 모터(62)가 회전하고, 펌프 스위치(17)가 온(ON)되면 에어펌프(72)가 동작하여 물토출 노즐(74)로 물이 토출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브러시 조립체(20)는 브러시 몸체(21), 흡입덕트(30), 전방 및 후방차단부재(40,50), 브러시 유닛(60), 물토출 유닛(70), 복수의 바퀴(81,82), 및 자외선 램프(90, 도 7 참조)를 포함한다.
브러시 몸체(21)의 하면 앞부분에는 피청소면으로부터 오물 및 물을 흡입할 수 있는 오물흡입구(22)가 형성되며, 후술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한다.
흡입덕트(30)는 브러시 몸체(21)의 상측에 설치되며, 일단은 오물흡입구(22)와 연결되고 타단(31)은 본체(10)의 호스(13, 도 1 참조)와 연결된다. 따라서, 흡입덕트(30)는 오물흡입구(22)로 흡입되는 오물과 물이 호스(13)를 통해 본체(10)의 오물수거통으로 수거되는 이동경로를 이룬다.
브러시 유닛(60)은 오물흡입구(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러시(61)와, 브러시(61)를 회전시키는 브러시 모터(62)와 브러시 모터(62)의 동력을 브러시(61)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63)을 포함한다. 브러시(61)는 원통형상의 브러시 드럼 (61a)과 브러시 솔(61b)로 구성된다. 브러시 드럼(61a)은 오물흡입구(22)의 양단에 설치된 베어링과 같은 회전지지요소(67)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브러시 드럼(61a)의 표면에는 복수의 브러시 솔(61b)이 설치된다. 복수의 브러시 솔(61b)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일정 간격으로 3줄로 브러시 솔(61b)을 배치하였다. 각각의 브러시 솔(61b)의 줄은 원호형상을 이룬다. 또한, 브러시 솔(61b)의 길이는 브러시 드럼(61a)이 회전할 때, 브러시 솔(61b)의 선단이 피청소면을 문지르며 지나갈 수 있도록 정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브러시(61)는 물 청소시에는 피청소면에 부착된 얼룩 등을 문질러 제거할 수 있고, 일반 청소시에는 피청소면의 오물 등이 오물흡입구(22)로 쉽게 흡입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동력전달수단(63)은 브러시 모터(62)와 브러시(61)에 각각 설치된 2개의 풀리(65,64)와 2개의 풀리(65,64)를 연결하는 벨트(66)로 구성된다. 따라서, 브러시 모터(62)가 회전하면, 2개의 풀리(65,64)와 벨트(66)에 의해 브러시 모터(62)의 동력이 브러시(61)로 전달되어 브러시(61)가 회전하게 된다.
전방차단부재(40)는 브러시 몸체(21)의 하면에 브러시(61)의 전방에 설치되며, 브러시 조립체(20) 전방의 오물이 오물흡입구(22)로 흡입되는 오물흡입경로(3, 도 7 참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한다. 전방차단부재(40)의 일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방차단부재(40)는 차단판(41), 2개의 회전축(42), 및 2개의 회전돌기(43)로 구성되며, 고무로 형성된다.
차단판(41)은 브러시 조립체(20) 전방의 오물이 오물흡입구(22)로 흡입되는 전방 오물흡입경로(3)를 차단하며,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차단판(41)의 높 이는 차단판(41)이 피청소면(2, 도 7 참조)에 수직으로 위치하였을 경우 차단판(41)의 선단(41a)이 약간 눌리는 정도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차단판(41)이 피청소면(2)에 수직으로 위치하면, 차단판(41) 전방의 오물은 오물흡입구(22)로 흡입되지 않는다. 회전축(42)은 차단판(41)의 양측단에 형성되며, 브러시 조립체(20)의 브러시 몸체(21)에 형성된 힌지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전방차단부재(40)가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회전축(42)은 내구성을 위해 차단판(41)을 관통하는 스테인레스봉으로 형성할 수 있다. 회전돌기(43)는 차단판(41)의 일면에 부채꼴로 형성되며, 부채꼴의 원호부(43a)가 차단판(41)의 선단(41a)으로부터 원호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부채꼴의 원호부(43a)는 회전축(42)으로부터 차단판 선단(41a)까지를 반지름으로 한다. 회전돌기(43)는 차단판(41) 일면의 양 끝에 한 개씩 2개를 형성하여 그 사이로 오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전돌기(43)의 원호각(θ)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돌기(43)의 일측면(44)이 피청소면(2)에 수직으로 위치할 때, 차단판(41)의 선단(41a)이 브러시 몸체(21)의 하면에 근접하도록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브러시 조립체(20)가 차단판(41)의 회전돌기(43)가 돌설된 방향으로 이동하면, 전방차단부재(40)는 피청소면(2)과의 마찰에 의해 브러시 조립체(20)의 이동방향과 반대로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차단판(41)과 양쪽의 회전돌기(43) 사이로 오물흡입경로(3)가 개방된다. 브러시 조립체(20)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전방차단부재(40)는 피청소면(2)과의 마찰에 의해 차단판(41)이 피청소면(2)에 수직한 상태로 되어 오물흡입경로(3)를 차단한다(도 9 참조). 따라서, 전방차단부재 (40)의 회전돌기(43)가 브러시 조립체(20)에 조립되는 방향에 따라 브러시 조립체(20)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전방차단부재(20)가 오물흡입경로(3)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가가 정해진다. 예컨대, 본 실시예와 같이 회전돌기(43)가 브러시 조립체(20)의 전방을 향하도록 전방차단부재(40)가 설치된 경우에는(도 7 참조), 브러시 조립체(20)를 전진시키면 전방의 오물흡입경로(3)가 개방되고, 브러시 조립체(20)가 후진하면 전방의 오물흡입경로(3)가 차단된다.
후방차단부재(50)는 브러시 몸체(21)의 하면에 브러시(61), 즉 오물흡입구(22)의 후방에 설치되며, 오물흡입구(22) 후방의 오물이 오물흡입구(22)로 흡입되는 오물흡입경로(4)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한다. 후방차단부재(50)의 일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를 참조하면, 후방차단부재(50)는 머리부(51)와 차단부(52)로 구성된다. 머리부(51)는 브러시 조립체(20)의 브러시 몸체(21)에 형성된 후방차단부재 수납홈(57)에 고정된다. 차단부(52)는 일면(53)은 평면이고, 반대면(54)은 복수의 돌기(55)가 일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돌기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돌기면(54)은 삼각치형을 갖는 랙기어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단부(52)의 높이는 브러시 조립체(20)가 피청소면(2)에 위치할 때, 차단부(52)의 선단(52a)이 피청소면(2)에 어느 정도 눌릴도록 정한다. 그러면, 브러시 조립체(20)가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후방차단부재(50)의 선단(52a)이 진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굽혀진 상태로 피청소면(2)과 마찰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브러시 조립체(20)의 진행방향에 따라 평면(53) 또는 돌기면(54)의 선단부분이 선택적으로 피청소면(2)에 눌리게 된다. 돌기면(54)이 피청소면(2)과 접촉하는 경 우에는 복수의 돌기(55) 사이의 공간(56)으로 오물이나 물이 흡입되므로 오물흡입구(22) 후방의 오물흡입경로(4)가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후방차단부재(50)의 돌기면(54)이 브러시 조립체(20)에 조립되는 방향에 따라 브러시 조립체(20)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후방차단부재(50)가 오물흡입경로(4)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가가 정해진다. 예컨대, 본 실시예와 같이 돌기면(54)이 브러시 조립체(20)의 후방을 향하도록 후방차단부재(50)가 설치된 경우에는(도 7 참조), 브러시 조립체(20)를 후진시키면 후방의 오물흡입경로(4)가 개방되고, 브러시 조립체(20)가 전진하면 후방의 오물흡입경로(4)가 차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브러시 조립체(20)가 전진하면, 전방차단부재(40)가 전방 오물흡입경로(3)를 개방하고 후방차단부재(50)가 후방 오물흡입경로(4)를 차단하며, 브러시 조립체(20)가 후진하면, 전방차단부재(40)가 전방 오물흡입경로(3)를 차단하고 후방차단부재(50)가 후방 오물흡입경로(4)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일 뿐이고 브러시 조립체(20)가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경우 전방 및 후방차단부재(40,50)가 상기와 반대로 동작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는 브러시 조립체(20)가 전진하는 경우는 전방 및 후방차단부재(40,50)가 오물흡입경로(3,4)를 모두 개방하고, 후진하는 경우는 오물흡입경로(3,4)를 모두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는 전방 및 후방차단부재(40,50)를 형상이 다른 것을 사용하였으나, 전방 및 후방차단부재(40,50)를 동일한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물토출 유닛(70)은 물청소를 할 경우에 피청소면(2)에 물을 토출하는 것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물탱크(미도시), 물공급 호스(71), 에어펌프(72), 물토출 호스(73), 및 물토출 노즐(74)로 구성된다. 물탱크는 소정량의 물을 저장하며, 물토출 노즐(74)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설치된다. 이때, 물탱크는 물토출 노즐(74)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공급 호스(71)는 물탱크와 에어펌프(72)를 연통시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에어펌프(72)로 공급되도록 한다.
에어펌프(72)는 물토출 노즐(71)로 토출되는 물에 공기가 혼합되도록 한다. 공기가 혼합된 물을 물토출 호스(73)를 통해 외부로 토출하면, 물토출이 차단된 경우에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물토출 호스(73)에 남아 있던 물이 물토출 노즐(74)을 통해 브러시 조립체(20)의 외부로 흘러 내리지 않게 된다. 에어펌프(72)는 전기모터로 회전하며, 캠의 원리를 이용하여 대기 중의 공기와 물공급 호스(71)로부터 공급된 물을 혼합/압축한 후 물토출 호스(73)를 통해 배출한다. 이때, 에어펌프(72)의 압축압력은 대략 0.8~1Kgf/㎠이다. 또한 다아이프램(diaphragm) 방식의 에어펌프(72)를 사용하면, 물이 역류하여도 에어펌프(72)가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에어펌프(72)는 토출되는 물의 양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에어펌프(72)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조절될 수 있는 물의 토출량은 대략 0~800CC/분이다. 에어펌프(72)의 물 토출량은 수동으로 에어펌프(72)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토출량 제어부(미도시)를 설치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는 토출량 제어부가 브러시 몸체(21)의 진행방향에 따라 에어펌프(72)의 물 토출량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토출량 제어부에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브러시 몸체(21)의 하면에 브러시 조립체(20)의 진행방향을 검출할 수 있는 방향센서(미도시)를 설치하고, 이 방향센서의 신호에 따라 에어펌프(72)가 물을 토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런 형태의 에어펌프(72)는 비데, 혈압계, 수족관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물토출 노즐(74)은 브러시 몸체(21)의 전면에 브러시 조립체(20)의 전방으로 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물토출 노즐(74)은 한 개를 설치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를 설치하는 것이다. 물토출 호스(73)는 2개의 물토출 노즐(74)과 에어펌프(72)를 연통하여 에어펌프(72)를 지나며 공기가 혼합된 물이 물토출 노즐(74)을 통해 토출되도록 한다.
바퀴(81,82)는 브러시 몸체(21)의 뒤쪽에 설치된 한 쌍의 대형 바퀴(81)와 브러시 몸체(21)의 하면에 후방차단부재(50) 뒷쪽에 설치된 한 쌍의 소형 바퀴(82)를 포함한다.
자외선 램프(90)는,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물청소가 완료된 피청소면(2)을 소독할 수 있도록 소형 바퀴(82)의 뒷쪽에 브러시 몸체(21)에 설치된다. 이때, 자외선 램프(90)의 상측에는 자외선 램프(90)에서 상측으로 방사된 자외선을 최대한 하측으로 반사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으로 된 반사판(93)을 설치하고, 자외선 램프(90)의 하측에는 투명의 테프론으로 된 보호창(91)을 설치한다. 이때, 보호창(91)은 플라스틱으로 된 테두리(92)를 사출할 때, 자외선이 투과되는 테프론을 일체로 사출하는 방법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23)는 2개의 물토출 노즐(74)이 노출되도록 하는 2개의 구멍(24)이 형성되며, 상술한 브러시 몸체(21)의 상부에 조립되어 상술한 구성요소들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1)의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1)로 물청소를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청소를 할 경우에는 핸들(11)에 설치된 모드 스위치(16)를 물청소 모드로 위치시킨다. 그 후, 펌프 스위치(17)를 온(ON)시켜 2개의 물토출 노즐(74)로부터 물이 브러시 조립체(20)의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펌프 스위치(17)가 온(ON)되면, 에어펌프(72)가 동작한다. 에어펌프(72)는 물공급 호스(71)를 통해 공급되는 물에 대기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혼합하여 물토출 호스(73)로 배출한다. 그러면, 2개의 물토출 노즐(74)을 통해 공기가 혼합된 물이 토출된다. 이때, 물토출 호스(73)에는 물과 공기가 번갈아서 흐르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에어펌프(72)가 동작할 때는 물이 연속적으로 토출되지만, 에어펌프(72)가 정지하면 물토출 호스(73)에 존재하는 공기가 물이 흐르는 것을 방해하여 물토출 노즐(74)과 에어펌프(72) 사이에 잔류하는 물이 물토출 노즐(74)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에어펌프(72)의 토출량을 조정하여 물토출 노즐(74)로 토출되는 물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브러시 조립체(20) 전방의 피청소면(2)에 물이 토출되면, 사용자는 전원 스 위치(15)를 온(ON)으로 한 후, 핸들(11)로 브러시 조립체(20)를 전진 및 후진시킨다. 그러면, 전방 및 후방차단부재(40,50), 모터 조립체의 모터 및 브러시 유닛(60)의 브러시 모터(62)가 동작하여 오물과 함께 물을 흡입하여 오물수거통으로 수거한다.
이때, 전방 및 후방차단부재(40,5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러시 조립체(20)가 피청소면(2) 상에 있을 때, 전방 및 후방차단부재(40,50)의 선단(41a,52a)은 브러시 조립체(20)의 자중에 의해 눌린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브러시 조립체(20)가 전진하면, 전방차단부재(40)는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돌기(43)가 피청소면(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반시계방향(도 8의 화살표 A)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전방차단부재(40)의 회전량이 증가함에 따라 차단판(41)의 선단(41a)과 피청소면(2) 사이의 간격이 점점 커지게 된다. 도 8과 같이 회전돌기(43)의 일측면(44)이 피청소면(2)에 대해 수직한 위치에 오면 차단판의 선단(41a)이 최대 높이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오물흡입구(22) 전방의 오물흡입경로(3)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브러시 조립체(20)가 전진할 때, 후방차단부재(50)는 차단부(52)의 선단(52a)이 브러시 조립체(20)의 후방으로 굽혀진 상태가 된다. 이때, 차단부(52)의 전면(53)은 평판으로 되어 있으므로, 오물흡입구(22) 후방의 오물흡입경로(4)가 차단된다. 따라서, 오물흡입구(22)의 뒷쪽으로부터 오물이 흡입되는 것은 차단된다. 이와 같이 브러시 조립체(20)가 전진하는 경우에는 전방차단부재(40)에 의해 전방 오물흡입경로(3)가 개방되고 후방차단부재(40)에 의해 후방 오물흡입경로(4)가 차단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 소기(1)는 브러시 조립체(20)의 전방에 토출된 물과 물에 적셔진 오물을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브러시 조립체(20)를 후진시키면, 전방차단부재(40)는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돌기(43)가 피청소면(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9 참조). 그러면, 전방차단부재(40)의 회전량이 증가함에 따라 차단판(41)의 선단(41a)이 점점 아래로 내려와서 오물흡입경로(3)를 차단하게 된다. 도 9와 같이 차단판(41)이 피청소면(2)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되면 전방 오물흡입경로(3)가 완전히 차단되게 된다. 또한, 후방차단부재(50)는 차단부(52)의 선단(52a)이 브러시 조립체(20)의 전방으로 굽혀진 상태가 된다. 이때, 차단부(52)의 후면(54)은 돌기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오물흡입구(22) 후방은 차단부(52)의 돌기면(54)의 복수의 돌기(55) 사이의 공간(56)을 통해 오물흡입구(22)와 연통되게 된다. 따라서, 후방 오물흡입경로(4)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브러시 조립체(20)를 후진시키는 경우에는 브러시 조립체(20)를 전진시킨 후에도 피청소면(2)에 잔류하는 물기를 주로 흡입하여 제거하게 된다.
또한, 전원 스위치(15)가 온되면, 브러시 모터(62)도 회전을 하게 된다. 브러시 모터(62)가 회전하면, 풀리(64,65)와 벨트(66, 도 3 참조)를 통해 브러시 모터(62)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브러시(61)도 회전하게 된다. 브러시(61)가 회전하면, 브러시 솔(61b)이 피청소면(2)을 문지르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물에 적신 상태로 있는 피청소면(2)에 부착된 얼룩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 솔(61b)은 브러시(61)의 회전방향으로 오목한 원호형상(도 4 참조)으로 설치되어 있 으므로 피청소면(2)으로부터 제거된 오물과 물을 오물흡입구(22)로 효과적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러시 조립체(2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킴에 따라 전방차단부재(40)와 후방차단부재(50)가 선택적으로 오물흡입경로(3,4)를 개방 또는 차단하고, 브러시(61)가 피청소면(2)을 문지르며 회전하므로 피청소면(2)에 있는 오물과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1)로 일반 청소를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핸들(11)에 설치된 모드 스위치(16)를 일반 청소 모드로 위치시킨다. 그 후, 전원 스위치(15)를 누르면, 본체(10)에 설치된 모터 조립체가 동작하여 흡입력이 발생한다. 그러면, 흡입력에 의해 브러시 조립체(20)의 오물흡입구(22)를 통해 피청소면(2)의 오물이 흡입되어 오물수거통으로 수납된다. 이때, 브러시 모터(62)도 동작하여 오물흡입구(22)에 설치된 브러시(61)를 회전시킨다. 즉.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와 동일하게 피청소면(2)의 오물을 흡입함으로써 청소를 하게 된다. 다만, 브러시 조립체(2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킴에 따라 전방 및 후방차단부재(40,50)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만이 차이가 있다. 즉, 브러시 조립체(20)가 전진하면, 전방차단부재(40)가 소정 각도 회전하여 전방 오물흡입경로(3)를 개방하고, 후방차단부재(50)의 선단(52a)이 오물흡입구(22) 반대쪽으로 굽혀진 상태가 되어 후방 오물흡입경로(4)를 차단한다. 반대로 브러시 조립체(20)가 후진하면, 전방차단부재(40)가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전방 오물흡입경로(3)를 차단하고, 후방 차단부재(50)의 선단(52a)은 오물흡입구(22) 쪽으로 굽혀진 상태가 되어 후방 오물흡입경로(4)를 개방한다.
또한, 브러시 몸체(21)의 하면에 자외선 램프(90)를 설치한 경우에는 자외선이 피청소면(2)을 조사하기 때문에 브러시 조립체(20)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피청소면(2)을 살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에 의하면, 전방 및 후방차단부재에 의해 오물흡입경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므로 브러시를 상승/하강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의 전방 및 후방차단부재도 피청소면과의 마찰에 의해 동작하므로 별도의 구동요소가 필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에 비해 매우 구조가 간단한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는 브러시의 솔로 피청소면의 얼룩을 닦는 물청소를 하는 경우에도 오물흡입경로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오물도 함께 흡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 먼저 일반 청소를 하고 물청소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에 비해 물청소시 청소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는 물청소를 완료하여 에어펌프를 정지시킨 경우에 에어펌프와 물토출 노즐 사이의 물토출 호스에 잔류하 는 물이 공기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물토출 노즐로부터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는 잔수(殘水)에 의해 진공청소기의 주위가 더럽혀지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11)

  1. 본체;
    피청소면과 마주하는 오물흡입구와 상기 피청소면과 접하며 회전하도록 상기 오물흡입구에 설치된 브러시와 물을 토출하는 물토출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오물흡입구가 상기 본체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브러시 조립체; 및
    상기 브러시 조립체의 하면에 상기 브러시의 전방 및 후방에 상기 피청소면과의 마찰에 의해 선택적으로 오물흡입경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전방 및 후방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차단부재와 상기 후방차단부재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오물흡입경로를 개방하면, 다른 하나는 상기 오물흡입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차단부재는 상기 브러시 조립체가 전진하면, 상기 오물흡입경로를 개방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차단부재는,
    상기 브러시 조립체의 하면에 상기 브러시의 전방에 상기 피청소면과의 마찰 에 의해 소정 각도 선회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선회 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오물흡입경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차단부재는,
    상기 브러시 조립체 전방의 오물흡입경로를 차단하며, 판 형상으로 형성된 차단판;
    상기 차단판의 양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 조립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된 회전축; 및
    상기 차단판의 일면에 부채꼴로 형성되며, 상기 부채꼴의 원호부가 상기 차단판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회전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부채꼴의 원호부가 상기 피청소면과 접촉하면, 상기 차단판의 선단이 상기 피청소면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차단부재는,
    상기 브러시 조립체에 형성된 후방차단부재 수납홈에 고정되는 머리부; 및
    일면은 평면이고, 반대면은 복수의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돌기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 조립체의 진행방향에 따라 평면 또는 돌기면의 선단 일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피청소면에 눌리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상기 물토출 노즐로 공기를 포함하는 물을 토출하기 위한 에어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일반 청소와 물청소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 스위치와 상기 모드 스위치가 물청소로 선택되면 상기 에어펌프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물토출 노즐로 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펌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토출 노즐은 상기 브러시 조립체의 전면에 적어도 한 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조립체의 하면에 상기 후방차단부재의 뒤에 설치되며, 상기 피청소면을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의 전면에는 테프론 커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KR1020050054071A 2005-06-22 2005-06-22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KR100662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071A KR100662642B1 (ko) 2005-06-22 2005-06-22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JP2005359153A JP2007000602A (ja) 2005-06-22 2005-12-13 水掃除機能を備えた真空掃除機
US11/317,279 US20060288517A1 (en) 2005-06-22 2005-12-23 Vacuum cleaner having wet cleaning function
CNA2006100051583A CN1883354A (zh) 2005-06-22 2006-01-13 具有湿法清洁功能的真空吸尘器
GB0601529A GB2427351B (en) 2005-06-22 2006-01-25 Vacuum cleaner
RU2006102322/12A RU2321329C2 (ru) 2005-06-22 2006-01-27 Пылесос с функцией влажной уборк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071A KR100662642B1 (ko) 2005-06-22 2005-06-22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413A true KR20060134413A (ko) 2006-12-28
KR100662642B1 KR100662642B1 (ko) 2007-01-02

Family

ID=36060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071A KR100662642B1 (ko) 2005-06-22 2005-06-22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88517A1 (ko)
JP (1) JP2007000602A (ko)
KR (1) KR100662642B1 (ko)
CN (1) CN1883354A (ko)
GB (1) GB2427351B (ko)
RU (1) RU2321329C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97413A2 (en) 2007-05-28 2008-12-03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Suction brush for vacuum cleaner
KR102018521B1 (ko) * 2019-05-29 2019-09-09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상황별 효율적인 청소가 용이한 무선 청소기
WO2020242180A1 (ko) * 2019-05-29 2020-12-03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상황별 효율적인 청소가 용이한 무선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620B1 (ko) * 2005-05-12 2005-10-04 조영만 침구용 살균장치
JP2008132299A (ja) * 2006-11-28 2008-06-12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掃除機
KR101349202B1 (ko) * 2007-05-23 2014-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노즐조립체
KR101361564B1 (ko) * 2007-06-11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US9820626B2 (en) 2008-03-17 2017-11-21 Aktiebolaget Electrolux Actuator mechanism for a brushroll cleaner
US10117553B2 (en) 2008-03-17 2018-11-06 Aktiebolaget Electrolux Cleaning nozzle for a vacuum cleaner
US9295362B2 (en) 2008-03-17 2016-03-29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agitator cleaner with power control
EP2273906B1 (en) 2008-03-17 2018-11-14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Agitator with cleaning features
ES2900664T3 (es) 2010-02-15 2022-03-17 Bissell Inc Limpiador profundo vertical
US8635740B2 (en) 2010-09-01 2014-01-28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Flow control of an extractor cleaning machine
RU2589565C2 (ru) * 2011-08-23 2016-07-1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Очис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содержащее щетку и скребковый элемент
WO2013027164A1 (en) * 2011-08-23 2013-02-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 surface comprising a brush and a squeegee element
US11253121B2 (en) 2011-10-03 2022-02-22 Koninklijke Philips N.V. Floor nozzle for vacuum cleaner
EP2770892B1 (en) 2011-10-26 2015-09-23 Aktiebolaget Electrolux Cleaning nozzle for a vacuum cleaner
CN104080384B (zh) * 2012-02-02 2016-10-12 伊莱克斯公司 用于真空吸尘器吸嘴的清洁装置
GB2504472C (en) * 2012-07-27 2018-11-28 Hoover Ltd Floor cleaning apparatus
JP6105886B2 (ja) * 2012-09-25 2017-03-2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DE202012103979U1 (de) * 2012-10-17 2014-02-06 Wessel-Werk Gmbh Reinigungskopf für ein Reinigungsgerät zur Nassreinigung von Bodenflächen
KR102075186B1 (ko) 2012-12-21 2020-02-07 악티에볼라겟 엘렉트로룩스 진공 청소기의 회전 가능 부재에 대한 청소 장치, 청소기 노즐, 진공 청소기 및 청소 유닛
US9072416B2 (en) 2013-03-15 2015-07-07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agitator cleaner with brushroll lifting mechanism
EP2975992B1 (en) * 2013-03-21 2018-08-08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nozzle with sealing edge
KR102071104B1 (ko) 2013-05-02 2020-01-29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진공 청소기용 청소 노즐
US9820627B2 (en) 2013-07-17 2017-11-21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fluid distribution system
CN104013354A (zh) * 2014-06-10 2014-09-03 常州华亿阳电器有限公司 具有杀菌功能的吸尘器
CN105559691B (zh) * 2014-10-09 2018-08-07 康塔有限公司 地面清洁头
CN105852739B (zh) * 2015-01-21 2018-08-28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吸尘器地刷及其吸尘器
CN105986553B (zh) * 2015-02-01 2017-08-29 郑应力 一种智能清扫吸尘洗地一体机
DE102015108534A1 (de) * 2015-05-29 2016-12-0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Reinigungsgerät mit einer Reinigungswalze
GB201603300D0 (en) * 2016-02-25 2016-04-13 Grey Technology Ltd Suction head for a vacuum cleaner
GB201603302D0 (en) 2016-02-25 2016-04-13 Grey Technology Ltd Dirt-collection chamber for a vacuum cleaner
CN106264321A (zh) * 2016-08-19 2017-01-04 苏州凯丽达电器有限公司 一种拖吸一体的吸尘器
KR200483483Y1 (ko) * 2017-02-16 2017-05-22 정진구 바닥 청소기
CN108652519A (zh) * 2017-03-28 2018-10-16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地刷及其清洗吸尘机
US20190133398A1 (en) * 2017-11-09 2019-05-09 Rug Doctor, LLC Liquid ex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CN111936023B (zh) 2017-12-18 2022-01-14 创科地板护理技术有限公司 具有无触发流体分配机构的表面清洁设备
US11382477B2 (en) 2017-12-18 2022-07-12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Surface cleaning device with automated control
DE102018105461A1 (de) 2018-03-09 2019-09-12 Carl Freudenberg Kg Reinigungsgerät
JP7081970B2 (ja) * 2018-04-20 2022-06-07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口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6420016B2 (ja) * 2018-06-13 2018-11-07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電気掃除機
AU2019343174A1 (en) 2018-09-21 2020-12-24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Cleaning tool for an extractor
CN109793460B (zh) * 2019-02-20 2020-11-13 济南市槐荫人民医院 一种医院室内地面清洁消毒自动化装置
CN112438663B (zh) * 2019-08-29 2022-08-26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清洁设备
CN110403535A (zh) * 2019-09-02 2019-11-05 深圳商斯迈科技有限公司 一种手持式洗地机
CN110792291A (zh) * 2019-11-21 2020-02-14 宁波普乐菲智能科技有限公司 水下清洁机器人吸污口流量增强结构
KR102325528B1 (ko) * 2020-04-28 2021-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CN112515572A (zh) * 2020-09-04 2021-03-19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清洁模块和清洁机器人
CN114680714B (zh) * 2020-12-25 2023-07-2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清洁机
CN113080787A (zh) * 2021-04-01 2021-07-09 安徽茂全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洗地机水渍吸取机构及其洗地机
ES2938277A1 (es) * 2021-10-05 2023-04-05 Cecotec Res And Development S L Cabezal inteligente para fregona electrica
DE212021000580U1 (de) * 2021-10-29 2024-05-06 Numatic International Limited Bodenbehandlungs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7144A (en) * 1950-04-15 1954-05-04 Gen Electric Squeegee nozzle for wet pickup suction cleaners
US3520012A (en) * 1968-02-20 1970-07-14 Hoover Co Squeegee nozzle for wet pickup suction cleaner
US3992747A (en) * 1975-04-09 1976-11-23 Service Master Industries Inc. Cleaning tool
DE3024113A1 (de) * 1980-06-27 1982-01-21 Alfred Kärcher GmbH & Co, 7057 Winnenden Reinigungskopf zur reinigung von planen flaechen
ES2038261T3 (es) * 1987-09-16 1993-07-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Una boquilla de suelo de un aspirador.
USRE33926E (en) * 1988-04-22 1992-05-19 Tennant Company Scrubber squeegees for scrubbing forward and backward
US5088149A (en) * 1990-08-06 1992-02-18 Tennant Company Vacuum powered scrub head
US5233723A (en) * 1992-11-12 1993-08-10 Hung Yung Feng Sterilizing vacuum cleaner
JP3270248B2 (ja) * 1993-10-22 2002-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EP0800783B1 (en) * 1996-03-01 2001-08-08 Unilever N.V. Apparatus for cleaning a ground
US6345408B1 (en) * 1998-07-28 2002-02-12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ic vacuum cleaner and nozzle unit therefor
US6647585B1 (en) * 2000-11-06 2003-11-18 Kaivac, Inc. Multi-functional floor-cleaning tool
US6513188B2 (en) * 2001-01-12 2003-02-04 Royal Appliance Mfg. Co. Mixing pump for carpet extrac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97413A2 (en) 2007-05-28 2008-12-03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Suction brush for vacuum cleaner
KR102018521B1 (ko) * 2019-05-29 2019-09-09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상황별 효율적인 청소가 용이한 무선 청소기
WO2020242180A1 (ko) * 2019-05-29 2020-12-03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상황별 효율적인 청소가 용이한 무선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00602A (ja) 2007-01-11
GB2427351A (en) 2006-12-27
GB2427351B (en) 2007-05-23
GB0601529D0 (en) 2006-03-08
US20060288517A1 (en) 2006-12-28
RU2006102322A (ru) 2007-08-20
KR100662642B1 (ko) 2007-01-02
CN1883354A (zh) 2006-12-27
RU2321329C2 (ru) 200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642B1 (ko)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ES2903222T3 (es) Aparato de limpieza de superficies y método para controlar el caudal para un aparato de limpieza de superficies
CN109528093B (zh) 一种自动化地面清洁设备
KR101402477B1 (ko) 바닥소독 기능을 갖는 로봇청소기
ES2223184T3 (es) Conjunto de cabezal limpiador para una aspiradora.
KR20180098228A (ko) 바닥 청소기, 클리닝 롤러 부품 및 스펀지 롤러
KR20090009425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KR200400658Y1 (ko)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벨트 세척장치
GB2419516A (en) Suction head for wet/ dry cleaner
JPH0260324B2 (ko)
CN209750929U (zh) 一种自动化地面清洁设备
KR100761762B1 (ko) 로봇청소기
KR100517930B1 (ko) 진공청소기의 회전브러쉬 높이조절장치
KR200407244Y1 (ko) 사이드 브러시를 구비한 로봇 청소기
KR102251953B1 (ko) 물걸레 청소 기능을 겸비한 진공청소기
CN113749567A (zh) 用于清洁设备的底座结构及清洁设备
KR20070016420A (ko) 청소기의 흡입 유닛
KR20070052367A (ko) 청소기
KR100442940B1 (ko) 스팀 발생기가 장착된 회전형 진공청소기
CN112716351B (zh) 地面清洁附件
KR102312759B1 (ko)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JPH06327591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CN219982792U (zh) 清洁装置
US20240081597A1 (en) Surface cleaning head and surface cleaning device
CN218684128U (zh) 清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