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4262A - 개선된 토출구를 가지는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개선된 토출구를 가지는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4262A
KR20060134262A KR1020050053820A KR20050053820A KR20060134262A KR 20060134262 A KR20060134262 A KR 20060134262A KR 1020050053820 A KR1020050053820 A KR 1020050053820A KR 20050053820 A KR20050053820 A KR 20050053820A KR 20060134262 A KR20060134262 A KR 20060134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water
discharge port
reservoi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434B1 (ko
Inventor
박종인
Original Assignee
박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인 filed Critical 박종인
Priority to KR1020050053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434B1/ko
Publication of KR20060134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꼭지가 저수부 내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수도꼭지 사용시 편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저수부 내측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도꼭지는, 온수 및 냉수 급수관에 연결되어 설치된 밸브 카트리지, 및 밸브 카트리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토출구를 포함하며, 토출구는 저수부 내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도꼭지, 토출구, 베인, 세면대

Description

개선된 토출구를 가지는 수도꼭지{faucet with improved mouth}
도 1은 종래의 수도꼭지가 설치된 세면대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꼭지가 설치된 세면대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꼭지가 설치된 세면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꼭지 토출구의 횡단면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꼭지 토출구 내의 베인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물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토출구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세면대 본체
2: 세면대 저수부
3: 종래 기술에 의한 수도꼭지
4: 본 발명에 의한 수도꼭지
5: 온수 및 냉수 공급관
41: 수도꼭지 밸브 카트리지
42: 수도꼭지 토출구
43: 가이드 베인
44: 그물망
45: 직수식 및 샤워식 물 배출 변환 장치
본 발명은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꼭지가 저수부 내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수도꼭지 사용시 편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저수부 내측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며, 주로 세면대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꼭지는 세면대, 욕조, 싱크대, 야외 수돗가 등의 급수 장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저수부 내로 소정의 길이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면대 수도꼭지(3)는 저수부(2) 내로 소정의 길이가 돌출되도록 세면대(1)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도꼭지는, 특히 세면대 수도꼭지의 경우에, 사용자가 세면 또는 머리를 감는 경우 머리가 수도꼭지에 충돌하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으며, 돌출된 수도꼭지에 의하여 저수부에서 사용 가능한 면적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수도꼭지에서 방출되는 온수 및 냉수는 토출구에서 아래 방향으로 방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방출되는 물을 저수부에 담지 않고 직접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수도꼭지에 호스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수도꼭지 및 저수 용기에 의하여 제한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도꼭지가 저수부 내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하며, 수도꼭지 토출구에서 물이 수평으로 방출되도록 하여, 수도꼭지 사용시 편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저수부 내측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수도꼭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온수 및 냉수 급수관에 연결되어 설치된 밸브 카트리지, 및 밸브 카트리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토출구를 포함하며, 토출구는 저수부 내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출구는 물이 수평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방출되도록 하는 가이드 베인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출구는 물에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그물망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출구는 샤워식으로 물을 분출할 수 있도록 전환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세면대에 대한 수도꼭지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꼭지가 설치된 세면대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세면대(1)는 그 가운데에 오목하게 파인 저수부(2)가 형성되어 있고, 저수부(2)에 물을 받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세면대(1) 상부에는 수도꼭지(4)가 설치되어 있다.
수도꼭지(4)는 밸브 카트리지(41) 및 토출구(42)로 이루어져 있다. 밸브 카트리지(41)는 온수 및 냉수 공급관(5)에 연결되어, 수도꼭지 레버의 조작에 의해 온수 및 냉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거나, 온수 및 냉수의 양을 조절하여 혼합한 뒤 공급 또는 차단한다.
밸브 카트리지(41)에서 공급되는 물은 토출구(42)를 통하여 방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토출구(42)는 밸브 카트리지(41)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저수부(2)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를 가진다. 토출구(42)로부터의 물은 토출구 단부에서 수평으로 방출되고, 중력에 의하여 포물선을 그리며 저수부(2)로 하강한다. 토출구(42)의 높이는 방출된 물이 저수부(2)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허용된다. 또한 토출구(42)가 저수부(2)를 침범하지 않고 방출된 물이 저수부(2)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토출구(42)는 수평으로부터 작은 경사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저수부(2)의 사용 가능 공간이 넓어지고, 머리를 수도꼭지(4)와 부딪칠 염려가 줄어든다. 또한 수도꼭지와 호스를 연결하려고 할 때, 수도꼭지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어 연결이 더 용이하고 세면대의 방해가 없어 호스의 굴절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토출구(42) 내에 가이드 베인(43)을 설치할 수 있다(도 4 참조). 가이드 베인(43)은 물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측을 향하게 형성되어 있 어 물흐름을 베인의 각도에 따라 하측으로 향하게 한다. 그리하여 토출구(42) 단부에서 방출되는 물은 토출구(42)의 수평 방향보다 아래를 향하게 되고 포물선을 그리며 저수부(2)로 하강한다. 이는 특히 수압이 강한 경우, 방출된 물이 저수부(2)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베인은 물의 진행 방향을 따라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인은 수도꼭지의 형상, 용도 및 제작의 용이성에 따라서, 판형, 격자형 등으로 수도꼭지 내부 공간에 형성될 수 있으며(도 5 및 도 6 참조), 또는 수도꼭지 내부면에 돌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베인은 토출구 내에 견고하게 지지되며, 방출되는 물을 아래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토출구(42)는 내부에 그물망(44)을 설치하여, 그물망(44)에서 생성된 기포로 인하여 수질을 부드럽게 할 수도 있다(도 4 참조).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토출구(42)는 그 단부에 직수식 및 샤워식으로 전환 가능한 장치(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8 참조). 이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간단한 버튼 조작에 의하여 방출되는 물이 직수식으로 나올 뿐만 아니라 샤워식으로도 나올 수 있게 한다. 이 장치는 버튼 조작에 따라 방출되는 물이 장치 중앙부만을 통과하게 하는 직수식 및 장치 전체를 통과하게 하는 샤워식을 가능하게 한다. 이 장치에 의하여 직수식 외에 샤워식도 가능하게 되어 특히 머리를 감을 때에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도꼭지는 세면대에 적용이 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것은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당연할 것이다. 본 발 명에 의한 수도꼭지는 욕조, 싱크대, 실외 수돗가 등의 다양한 급수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도꼭지가 저수부 내로 돌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세면을 하거나 머리를 감는 경우 머리를 수도꼭지에 충돌한 염려가 줄어들어 안전성이 향상되며, 저수부에서 수도꼭지에 의하여 사용할 수 없는 면적이 제거되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토출구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방출된 물을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넓어지고, 외부 호스를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6)

  1. 온수 및 냉수 급수관에 연결되어 설치된 밸브 카트리지, 및 상기 밸브 카트리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는 저수부 내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토출구를 가지는 수도꼭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꼭지는 세면대 수도꼭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토출구를 가지는 수도꼭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물이 수평 방향에 대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방출되도록 하는 가이드 베인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토출구를 가지는 수도꼭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은 판형, 격자형 또는 내부 돌기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토출구를 가지는 수도꼭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물에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그물망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토출구를 가지는 수도꼭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직수식 및 샤워식 물 배출 변환 장치를 단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토출구를 가지는 수도꼭지.
KR1020050053820A 2005-06-22 2005-06-22 개선된 토출구를 가지는 수도꼭지 KR10069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820A KR100699434B1 (ko) 2005-06-22 2005-06-22 개선된 토출구를 가지는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820A KR100699434B1 (ko) 2005-06-22 2005-06-22 개선된 토출구를 가지는 수도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262A true KR20060134262A (ko) 2006-12-28
KR100699434B1 KR100699434B1 (ko) 2007-03-23

Family

ID=3781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820A KR100699434B1 (ko) 2005-06-22 2005-06-22 개선된 토출구를 가지는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369B1 (ko) * 2008-01-10 2009-11-23 대림통상 주식회사 토출수 안정화장치가 내장된 수도꼭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9183A (ja) * 1993-12-20 1995-08-29 Toto Ltd 自動水栓
JPH07268917A (ja) * 1994-03-28 1995-10-17 Toto Ltd 水 栓
JPH10280502A (ja) 1997-04-03 1998-10-20 Kitamura Gokin Seisakusho:Kk 水 栓
KR100304791B1 (ko) * 1998-06-22 2001-11-22 장동립 착탈이 쉬운 수도꼭지용 에어레이터
KR200270132Y1 (ko) 2001-12-19 2002-04-03 김기범 세면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369B1 (ko) * 2008-01-10 2009-11-23 대림통상 주식회사 토출수 안정화장치가 내장된 수도꼭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434B1 (ko) 200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9375B2 (en) Washbasin
KR20120111452A (ko) 물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비데
KR100699434B1 (ko) 개선된 토출구를 가지는 수도꼭지
KR200464868Y1 (ko) 유동방지샤워기
KR200392166Y1 (ko) 세면대용 세안장치
CN203307886U (zh) 一种组合卫生洁具
KR20110003797A (ko) 발 세척용 수전
JP3429903B2 (ja) 洗米機
US20220112701A1 (en) Water output device
KR20070117205A (ko) 수도꼭지가 매입된 세면대
KR101468884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KR200196442Y1 (ko) 세면기
CN210597533U (zh) 一种小便器
KR100957889B1 (ko) 출수방향 및 출수량 조절이 가능한 노즐
JP4817301B2 (ja) 水栓装置
KR200452869Y1 (ko) 급수제어밸브의 역류방지구조
KR100451904B1 (ko) 세면대
JP3127297U (ja) 洗面台
KR200289234Y1 (ko) 세면대
JP2002300982A (ja) 浴室ユニットのカウンタ
JP5363640B1 (ja) 洗面台用蛇口
JP2006063518A (ja) 洗面化粧台
KR19980032609U (ko) 수도꼭지 및 이 수도꼭지의 세면대 설치구조
KR200217068Y1 (ko) 세척구가 구비된 세면대
JP2009254720A (ja) 洗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