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442Y1 - 세면기 - Google Patents

세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442Y1
KR200196442Y1 KR2020000009022U KR20000009022U KR200196442Y1 KR 200196442 Y1 KR200196442 Y1 KR 200196442Y1 KR 2020000009022 U KR2020000009022 U KR 2020000009022U KR 20000009022 U KR20000009022 U KR 20000009022U KR 200196442 Y1 KR200196442 Y1 KR 200196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 basin
washbasin
tap
w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란
Original Assignee
김영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란 filed Critical 김영란
Priority to KR2020000009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4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4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세면기가 세면수조의 정면에 수도가 형성되고, 수도가 세면수조의 상부면에 대해서 높게 설치되어 있어 세면시 머리를 찧을 염려가 매우 높다는 문제점과, 수돗물의 토출시 물이 많이 튀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는, 세면할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가 형성된 세면수조(23)와; 상기 세면수조(23)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세면수조(23)의 중앙에 구비된 배출공(21)과; 세면시 머리를 찧지 않도록 상기 세면수조(23)의 대각선방향에 형성된 수도(25,27)와; 상기 수도(25,27)에서 토출된 물이 상기 세면수조(23)와 닿을 시 물이 튀지 않도록 상기 수도의 아래측에 세면수조(23)의 경사면을 따라 홈이 패여 형성된 유수로(3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세면기는, 세면시 수도에 머리를 찧을 염려가 없고, 수도에서 토출된 물이 튀는 현상이 줄어들게 되고, 튀는 물에 의해 의복이 젖는 일도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면기{a washbowl}
본 고안은 세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돗물토출시 수돗물이 튀지않고, 세면시 수도에 머리를 찧을 염려가 없는 세면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냉온수 겸용 수도꼭지가 부설된 세면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1을 살펴보면, 세면할 수돗물을 수용하기 위해 수용구가 형성된 세면수조(3)가 있고, 상기 세면수조(3)의 중앙에는 세면한 수돗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면수조(3)의 정면에는 세면수조(3)의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출공(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세면수조(3)의 상부면의 중앙에 수도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도는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하고, 수돗물의 토출양을 조절하기 위한 수도콕(5)과, 상기 수도콕(5)의 아래측에는 수돗물을 토출하는 수도꼭지(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도를 자세하게 보인 것이 도2이다. 도2를 살펴보면, 수도콕(5)이 있고, 이 수도콕(5)의 아래에는 수도꼭지(7)가 있다. 그리고 이 수도꼭지(7)의 아래에는 냉온급수관(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온급수관(11)에는 급수관(13)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급수관(13)은 세면수조(3)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부면의 아래방향으로 매설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13)은 도2에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냉수급수관과 온수급수관 2개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급수관(13)은 상기 냉온급수관(11)에 연결된다.
상기 냉수급수관은 냉수가 공급되는 관이며, 상기 온수급수관은 온수가 공급되는 관이다. 그리고 상기 냉온급수관(11)은 상기 냉수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와 상기 온수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선택배출하는 관이다. 상기 수도콕(5)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냉온급수관(11)의 밸브가 냉수급수관과 연결되거나 또는 온수급수관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수도콕(5)의 좌우 회전선택에 따라 냉수가 수도꼭지(7)를 통해 토출되거나 또는 온수가 수도꼭지(7)를 통해 토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냉수나 온수의 토출량은 수도콕(5)의 회전량으로 조절되며, 수도콕(5)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는 양에 따라 회전량이 많으면 토출되는 물의 양도 많아진다.
이상 살펴본 종래의 세면기는 세면수조(3)의 정면에 수도(5,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수조(3)의 상부면위로 수도콕(5)과, 수도꼭지(7)와, 냉온급수관(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때문에 종래의 세면기는 세면수조(3)의 상부면위로 수도(5,7)가 돌출되는 부분이 많아 세면시 수도에 머리를 찧을 염려가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세면을 위해 허리를 굽혀 머리를 숙이는 도중 상기 수도(5,7)에 머리를 찧을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사실은 의식한 경우에는 수도(5,7)에 머리를 찧지 않기 위해서 허리를 약간만 구부리다 보니 세면이 부자연스럽게 되고, 세면수조(3)와 머리의 간격이 멀어 세면시 물이 많이 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2와 같이 수도(5,7)가 세면수조(3)의 상부면위로 높게 설치되어 있어 수도꼭지(7)를 통해서 물이 많이 토출될 때는 세면수조면(3)에서 물이 많이 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고, 튀긴 물에 의해 의복이 젖어 불쾌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세면시 수도에 머리를 찧을 염려가 없고 수돗물토출시 수돗물이 튀지않는 세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세면기의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세면기의 수도 구조.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의 수도 구조.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 배출공 3,23 : 세면수조
5,25 : 수도콕 7,27 : 수도꼭지
9,29 : 유출공 11,31 : 냉온급수관
13,33 : 급수관 35 : 유수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는, 세면할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가 형성된 세면수조와; 상기 세면수조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세면수조의 중앙에 구비된 배출공과; 세면시 머리를 찧지 않도록 상기 세면수조의 대각선방향에 형성된 수도와; 상기 수도에서 토출된 물이 상기 세면수조와 닿을 시 물이 튀지 않도록 상기 수도의 아래측에 세면수조의 경사면을 따라 홈이 패여 형성된 유수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도는, 냉온급수관이 세면수조의 상부면의 아래측에 매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수로는, 수도의 설치위치가 제약을 받지 않도록 세면수조의 좌우 대각선방향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의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 나타낸 세면기의 수도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3을 살펴보면, 세면할 수돗물을 수용하기 위해 수용구가 형성된 세면수조(23)가 있고, 상기 세면수조(23)의 중앙에는 세면한 수돗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면수조(23)의 정면에는 세면수조(23)의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출공(29)이 형성되어 있다. 세면수조(23)의 양 대각선방향으로 세면수조면(23)을 따라 홈이 패인 유수로(35)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세면수조(23)의 우측 대각선방향의 상부면에는 수도(25,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도(25,27)는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하고, 수돗물의 토출양을 조절하기 위한 수도콕(25)과, 상기 수도콕(25)의 아래측에는 수돗물을 토출하는 수도꼭지(2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도를 자세하게 보인 것이 도4이다. 도4를 살펴보면, 수도콕(25)이 있고, 이 수도콕(25)의 아래에는 수도꼭지(27)가 있다. 그리고 이 수도꼭지(27)는 세면수조(23)의 상부면 바로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상부면의 아래에는 냉온급수관(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온급수관(31)에는 급수관(33)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급수관(33)은 지면에 수직으로 매설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33)은 도4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냉수급수관과 온수급수관 2개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급수관(33)은 상기 냉온급수관(31)에 연결된다. 상기 냉수급수관은 냉수가 공급되는 관이며, 상기 온수급수관은 온수가 공급되는 관이다. 그리고 상기 냉온급수관(31)은 상기 냉수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와 상기 온수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선택배출하는 관이다. 상기 수도콕(25)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냉온급수관(31)의 밸브가 냉수급수관과 연결되거나 또는 온수급수관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수도콕(25)의 좌우 회전선택에 따라 냉수가 수도꼭지(27)를 통해 토출되거나 또는 온수가 수도꼭지(27)를 통해 토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냉수나 온수의 토출량은 수도콕(25)의 회전량으로 조절되며, 수도콕(25)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는 양에 따라 회전량이 많으면 토출되는 물의 양도 많아진다.
상기와 같이 수도콕(25)과 수도꼭지(27)와 냉온급수관(31) 등으로 형성된 수도는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면수조(23)의 우측 대각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3과 같이 세면수조(23)의 대각선방향에 수도(25,27)를 형성함으로써 세면시 머리를 찧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수도(25,27)의 방향을 세면수조(23)에 대해 우측에 구성하였지만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수도(25,27)의 방향을 세면수조(23)의 좌측 대각선방향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수조(23)의 상부면의 아래에 수도의 냉온급수관(31)을 매입형성함으로써 수도의 세면수조(23)의 상부면 위로 돌출되는 부분을 대폭 줄였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세면시 수도(25,27)에 머리를 찧을 염려가 없다. 그리고 수도꼭지(27)에서 세면수조(23)까지의 거리의 감소로 수도꼭지(27)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낙하거리가 줄어들게 된다.
낙하거리가 줄어들면 물의 위치에너지가 감소하기 때문에 이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되는 양도 감소한다. 따라서, 토출된 물이 세면수조(23)에 닿을 시 튀는 현상이 종래에 비해 감소한다. 따라서, 세면시 물의 낭비가 적고, 튀는 물로 인해 의복이 젖는 문제가 사라진다.
또한, 수도꼭지(27)의 아래측에는 세면수조면(23)을 따라 홈이 패인 유수로(3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도꼭지(27)를 통해 토출된 물의 튀는 현상이 대폭 줄어든다. 종래에는 세면수조(3)에 유수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도꼭지(7)에서 토출된 물이 사방으로 튀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고안에서는 유수로(35)를 따라 물이 흐르므로 사방으로 튀지 않고, 물이 튀더라도 일정방향으로 튄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물의 튀김이 덜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3과 같이 유수로(35)를 세면수조(23)의 양 대각선방향으로 대칭적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시각적인 효과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를 설치하는데 있어 수도(25,27)의 방향에 구애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즉, 수도(25,27)를 세면수조(23)에 대하여 좌측에 설치하든지 또는 우측에 설치하든지에 관계없이 유수로(35)를 제공할 목적으로 세면수조(23)의 좌우 양측 대각선 방향으로 동일한 유수로(35)를 형성하여 세면수조(23)를 구성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이유로 세면수조(23)의 좌우 대각선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유수로(35)를 형성하였지만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유수로(35)를 일측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수로(35)를 일측에만 형성할 때는 수도(25,27)의 설치위치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가능한한 양측에 유수로(3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는, 세면수조의 대각선방향으로 수도를 구성하고, 수도의 아래측에는 세면수조면을 따라 유수로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세면수조의 상부면 위로 돌출되는 부분이 적도록 수도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세면시 수도에 머리를 찧을 염려가 없고, 수도에서 토출된 물이 튀는 현상이 줄어들게 되고, 튀는 물에 의해 의복이 젖는 일도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세면할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가 형성된 세면수조(23)와;
    상기 세면수조(23)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세면수조(23)의 중앙에 구비된 배출공(21)과;
    세면시 머리를 찧지 않도록 상기 세면수조(23)의 대각선방향에 형성된 수도(25,27,31)와;
    상기 수도(27)에서 토출된 물이 상기 세면수조(23)와 닿을 시 물이 튀지 않도록 상기 수도(27)의 아래측에 세면수조(23)의 경사면을 따라 홈이 패여 형성된 유수로(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25,27,31)는, 냉온급수관(31)이 세면수조(23)의 상부면의 아래측에 매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로(35)는, 수도(25,27,31)의 설치위치가 제약을 받지 않도록 세면수조(23)의 좌우 대각선방향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KR2020000009022U 2000-03-30 2000-03-30 세면기 KR200196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022U KR200196442Y1 (ko) 2000-03-30 2000-03-30 세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022U KR200196442Y1 (ko) 2000-03-30 2000-03-30 세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442Y1 true KR200196442Y1 (ko) 2000-09-15

Family

ID=1964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022U KR200196442Y1 (ko) 2000-03-30 2000-03-30 세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44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1942A (zh) * 2010-12-21 2013-09-04 As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壁挂洗手水槽以避免传染性疾病传播
US9009882B2 (en) 2010-12-21 2015-04-21 As Ip Holdco, L.L.C. Hand wash wall hung sink to avoid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AU2018241147B2 (en) * 2017-10-05 2019-11-28 Gentec Australia Pty Ltd A Basi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1942A (zh) * 2010-12-21 2013-09-04 As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壁挂洗手水槽以避免传染性疾病传播
US9009882B2 (en) 2010-12-21 2015-04-21 As Ip Holdco, L.L.C. Hand wash wall hung sink to avoid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CN105951939A (zh) * 2010-12-21 2016-09-21 As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壁挂洗手水槽以避免传染性疾病传播
CN105951939B (zh) * 2010-12-21 2018-08-03 As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壁挂洗手水槽以避免传染性疾病传播
AU2018241147B2 (en) * 2017-10-05 2019-11-28 Gentec Australia Pty Ltd A Bas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6442Y1 (ko) 세면기
JP4291636B2 (ja) 水はね防止具
US20050125892A1 (en) Parabola type aqueduct
KR20110057617A (ko) 분수형 세면장치
KR102085962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JP2009074343A (ja) 水栓の吐水部構造
JPH09133232A (ja) 吐水スパウト切換機構
KR100554350B1 (ko) 포물선형 수도
KR200152836Y1 (ko) 싱글 레버식 혼합수전
KR200191135Y1 (ko) 구강세척 기능이 있는 수도꼭지
KR200290320Y1 (ko)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
JPH0240142Y2 (ko)
KR200268997Y1 (ko) 냉온수 혼합 수도밸브
JP2002282147A (ja) 洗面器
JPS6226077Y2 (ko)
KR200198046Y1 (ko) 수도 꼭지
KR200338514Y1 (ko) 연수기의 유로절환장치
KR200225906Y1 (ko)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
KR100748843B1 (ko) 벽면 매입형 냉, 온수 급수장치
KR200204752Y1 (ko) 세면대용 수도전
JP2001152497A (ja) 湯水混合水栓
KR200217068Y1 (ko) 세척구가 구비된 세면대
JP3662427B2 (ja) 水栓の取付構造
KR200192961Y1 (ko) 세면대용 수도관의 직수전
KR200281815Y1 (ko) 정수기가 내장된 급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