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906Y1 -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906Y1
KR200225906Y1 KR2020000034947U KR20000034947U KR200225906Y1 KR 200225906 Y1 KR200225906 Y1 KR 200225906Y1 KR 2020000034947 U KR2020000034947 U KR 2020000034947U KR 20000034947 U KR20000034947 U KR 20000034947U KR 200225906 Y1 KR200225906 Y1 KR 200225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ycling
drain
sink
water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평식
Original Assignee
최평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평식 filed Critical 최평식
Priority to KR2020000034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9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906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지의 세면대(10) 오목부(12)의 상기 배수공(12a)에 나란히 형성된 재활용 배수공(12b); 상기 재활용 배수공(12b)과 연통되며, 상기 세면대(10)의 하부로 소정길이를 갖고 설치되는 재활용 배수관(120); 및 상기 세면대(10)와 상기 재활용 배수관(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재활용배수공(12b)의 개폐를 제어하는 재활용 배수조절체(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에 의하면, 통상 세면 시 헹굼에 쓰인 오염도가 낮은 오수를 하수처리 않고, 별도의 저장용기로 배출 및 저장이 가능하여서, 하수 처리될 오염도가 낮은 오수를 이용하여 세족 및 걸레의 세탁이 가능하므로 재활용의 효과가 있게 된다.
따라서, 오수의 재활용으로 수돗물의 낭비를 방지하여 절수되는 효과가 발생되고, 그에 따른 가계의 비경제적 지출을 줄이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Washstand for economization of water}
본 고안은 세면대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면한 물을 하수구로 배수하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욕실에 구비된 세면대는 수돗물을 받아 세면을 할 수 있는 용기로서, 세면에 의해 발생된 오수는 배수관을 거쳐 하수구로 배출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 세면대의 배수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공(12a)이 형성된 세면대(10)의 배수구조는, 배수공(12a)과 하수구(미도시)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관(20)과, 세면대(10)에 결합되어 수돗물의 저장 및 배출을 제어하는 배수조절체(30)로 이루어진다.
세면대(10)는 수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오목부(12)와 오목부(12)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도물공급부(16)가 설치되는 편평부(14)로 이루어진다.
세면대(10)는 수돗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움푹 패인 오목부(12)가 형성되고, 하부중심에 배수공(12a)이 형성된다.
세면대(10)의 배수공(12a)에는 배수관(20)의 일단이 연통 설치되고, 배수관(20)의 타단은 하수구(미도시)와 연결된다.
수돗물은 세면으로 인해 오수로 변하면, 세면대(10)의 배수공(12a)을 통하여 배수관(20)을 거쳐 하수구(미도시)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 때, 오수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배수관(20)의 중간 부에는 배수밸브(22)가 결합된다.
한편, 세면대(10)에서 수돗물의 저장 및 배출은 배수조절체(30)에 의해 제어된다.
배수조절체(30)는 세면대(10)의 편평부(14)와 수도물공급부(16)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수레버(32)와, 배수레버(32)와 연동하는 제1 연동레버(34)와, 제1 연동레버(34)와 배수레버(32)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1 링크캡(36), 및 제1 연동레버(34)와 연동되게 결합되어 배수관(20) 내에서 배수공(12a)을 개폐시키는 제1 개폐수단(38)으로 이루어진다.
배수조절체(30)는 배수레버(32)의 조작에 의하여, 링크 결합된 제1 개폐수단(38)이 배수공(12a)을 개폐함으로써, 수돗물의 저장 및 배출을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세면대의 배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통상 세면 시에는 얼굴에 비누를 묻힌 후, 세면대에 받아 놓은 수돗물을 이용하여 씻게 되는데, 세면 후의 수돗물은 비누물의 농도가 진해 하수처리하고, 수돗물을 재 공급받아 얼굴을 헹군 후, 이 오수 또한 하수처리 하였다.
여기서, 재 공급받은 수돗물은 헹굼에만 그쳐, 그 오염도가 낮아 세족을 한다거나 걸레의 세탁용으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었으나, 세면대의 구조상 재활용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오수가 재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므로, 물의 낭비는 물론 그에 따른 가계의 비경제적 지출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창안된 것으로, 세면 시에 사용된 헹굼 물을 배수하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도록 재활용 배수조절체가 결합된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면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세면대 12 : 오목부
12a : 배수공 12b : 재활용 배수공
14 : 편평부 16 : 수도물공급부
120 : 재활용 배수관 120a : 유출공
122 : 재활용 배수밸브 130 : 재활용 배수조절체
132 : 재활용 배수레버 134 : 제2 연동레버
136 : 제2 링크캡 138 : 제2 개폐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서, 세면대(10) 오목부(12)의 하부 중심에 형성된 배수공(12a), 배수공(12a)과 연통되어 하수구와 결합된 배수관(20), 및 배수공(12a)을 개폐하는 제1 개폐수단(38)과 상기 제1 개폐수단(38)과 연동하도록 설치된 배수레버(32)로 구성된 배수조절체(30)를 포함하는 세면대의 배수구조에 있어서,
세면대(10) 오목부(12)의 배수공(12a)에 나란히 형성된 재활용 배수공(12b);
재활용 배수공(12b)과 연통되며, 세면대(10)의 하부로 소정길이를 갖고 설치되는 재활용 배수관(120); 및
세면대(10)와 재활용 배수관(120) 사이에 설치되어, 재활용배수공(12b)의 개폐를 제어하는 재활용 배수조절체(130);를 더 포함하는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세면대(10) 오목부(12)의 배수공(12a)과 나란하게 재활용 배수공(12b)이 더 형성되고, 재활용 배수공(12b)과 연통되며 세면대(10)의 하부로 소정길이를 갖는 재활용 배수관(120)이 설치되며, 세면대(10)와 재활용 배수관(120) 사이에 설치되는 재활용 배수조절체(130)가 재활용 배수공(12b)의 개폐를 제어하는 절수형 배수구조가 이루어진다.
세면대(10)의 오목부(12)에는 배수공(12a)과 나란한 재활용 배수공(12b)이 더 형성된다.
재활용 배수공(12b)에는 재활용 배수관(120)이 연통 결합된다.
재활용 배수관(120)은 세면대(10)의 하부로부터 소정길이를 갖고, 욕실바닥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일측단부가 개방된 유출공(120a)이 형성된다. 욕실바닥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이유는 욕실바닥과 유출공(120a) 사이에 저장용기(150)를 위치하여 유출공(120a)을 통하여 배출되는 오수를 저장하기 위함이다.
통상, 아파트욕실의 세면대가 욕실바닥으로부터 800㎜ 정도의 높이를 갖고 설치되기 때문에, 재활용 배수관(120)은 세면대(10)의 하부로부터 350㎜ ∼ 450㎜ 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활용 배수관(120)의 중간 부에는 재활용 배수밸브(122)를 설치하여, 재활용 배수관(120)을 통하여 배출되는 오수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세면대(10)와 재활용 배수관(120) 사이에는 재활용 배수조절체(130)가 설치되어 재활용 배수공(12b)의 개폐를 제어하게된다.
재활용 배수조절체(130)는 세면대(10)의 편평부(14)와 수도물공급부(16)를 관통하여 돌출 되는 재활용 배수레버(132)와, 재활용 배수레버(132)와 연동하는 제2 연동레버(134)와, 제2 연동레버(134)와 재활용 배수레버(132)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2 링크캡(136), 및 제2 연동레버(134)와 결합하여 재활용 배수관(120) 내에서 연동하며 재활용 배수공(12b)을 개폐시키는 제2 개폐수단(138)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배수구조를 갖는 세면대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세면대(10)에 수돗물을 받는다. 수돗물을 받기 위해서는 우선 배수레버(32)와 재활용 배수레버(132)를 조작하여, 각각 링크 결합된 제 1 개폐수단(38)과 제2 개폐수단(138)으로 배수공(12a)과 재활용 배수공(12b)을 폐쇄시킨다.
이어서, 물량조절손잡이(16a)를 이용하여 세면대(10)에 물을 받고, 세면을 하게된다. 세면에 의한 오수는 배수레버(32)를 조작하여 링크 결합된 개폐수단(38)으로 배수공(12a)을 개방시키면, 오수는 배수관(20)을 통하여 하수구(미도시)로 배출되어진다.
다시, 헹구고자 할 때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세면대(10)에 물을 받아서 헹구고, 헹굼 물을 하수구(미도시)로 배출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헹굼 물을 재활용하고 싶으면, 재활용 배수레버(132)를 조작하여 링크 결합된 제2 개폐수단(138)으로 재활용 배수공(12b)을 개방시켜서, 재활용 배수관(120)을 거쳐 저장용기(150)로 배출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 때, 수도물공급부(16)의 상부로 돌출 되는 배수레버(32)와 재활용 배수레버(132)는 사용자에게 혼동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재활용배수레버(132)의 상면에 표식을 형성하여 구분되도록 한다. 이 때, 표식은 예를 들어 '재활용' 이나 '절수'와 같은 문자를 각인 하거나 스티커로 부착하여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색상으로 표식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에 의하면, 통상 세면 시 헹굼에 쓰인 오염도가 낮은 오수를 하수처리 않고, 별도의 저장용기로 배출 및 저장이 가능하여서, 하수 처리될 오염도가 낮은 오수를 이용하여 세족 및 걸레의 세탁이 가능하므로 재활용의 효과가 있게 된다.
따라서, 오수의 재활용으로 수돗물의 낭비를 방지하여 절수되는 효과가 발생되고, 그에 따른 가계의 비경제적 지출을 줄이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3)

  1. 세면대(10) 오목부(12)의 하부 중심에 형성된 배수공(12a), 상기 배수공(12a)과 연통되어 하수구와 결합된 배수관(20), 및 상기 배수공(12a)을 개폐하는 제1 개폐수단(38)과 상기 제1 개폐수단(38)과 연동하도록 설치된 배수레버(32)로 구성된 배수조절체(30)를 포함하는 세면대의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10) 오목부(12)의 상기 배수공(12a)에 나란히 형성된 재활용 배수공(12b);
    상기 재활용 배수공(12b)과 연통되며, 상기 세면대(10)의 하부로 소정길이를 갖고 설치되는 재활용 배수관(120); 및
    상기 세면대(10)와 상기 재활용 배수관(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재활용배수공(12b)의 개폐를 제어하는 재활용 배수조절체(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배수관(120)의 중간 부에는 재활용 배수밸브(122)가 설치되어, 상기 재활용 배수관(120)으로 배출되는 오수의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배수관(120)은 직선형상을 갖고, 욕실 바닥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일측단부가 개방된 유출공(12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
KR2020000034947U 2000-12-13 2000-12-13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 KR200225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47U KR200225906Y1 (ko) 2000-12-13 2000-12-13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47U KR200225906Y1 (ko) 2000-12-13 2000-12-13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906Y1 true KR200225906Y1 (ko) 2001-06-01

Family

ID=7309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947U KR200225906Y1 (ko) 2000-12-13 2000-12-13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9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582A (ko) * 2013-12-18 2015-06-26 광주광역시 광산구 승강장치 및 세족대가 구비된 세면대
WO2021125692A1 (ko) * 2019-12-16 2021-06-24 강희찬 분수형 세면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582A (ko) * 2013-12-18 2015-06-26 광주광역시 광산구 승강장치 및 세족대가 구비된 세면대
KR101648372B1 (ko) * 2013-12-18 2016-08-16 광주광역시 광산구 승강장치 및 세족대가 구비된 세면대
WO2021125692A1 (ko) * 2019-12-16 2021-06-24 강희찬 분수형 세면대
KR20210077070A (ko) * 2019-12-16 2021-06-25 강희찬 분수형 세면대
KR102320626B1 (ko) * 2019-12-16 2021-11-03 강희찬 분수형 세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5906Y1 (ko) 세면대의 절수형 배수구조
KR100352822B1 (ko) 양변기용 생활하수 재활용장치
US6671891B2 (en) Commode-urinal
KR200251161Y1 (ko) 변기용 절수장치
KR200188217Y1 (ko) 오·폐수 재활용 장치
KR200172008Y1 (ko) 생활용수의 재활용장치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280007Y1 (ko) 중수 재활용 장치
KR200389635Y1 (ko) 세면수를 이용하는 양변기
KR200184957Y1 (ko)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
KR200191135Y1 (ko) 구강세척 기능이 있는 수도꼭지
KR20010002257A (ko) 가정용 생활용수 재활용 방법 및 장치
KR200247240Y1 (ko) 절수형 양변기
CN214530930U (zh) 带拖把池的节水型洗衣机台
KR200202266Y1 (ko) 급수장치를 갖는 소변기
KR200399352Y1 (ko) 양변기
KR200179569Y1 (ko) 절수형 변기
KR200169071Y1 (ko) 세면대의 오수 재활용장치에 있어서 저장탱크 자동 수위조절구조
KR20000067775A (ko) 생활용수의 재활용장치
KR200159227Y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 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KR200202286Y1 (ko) 대소변 구획을 가지는 절수형 좌변기
JP2812871B2 (ja) トイレットタンク構造
JP2591018Y2 (ja) シンク装置
KR20010100079A (ko) 절수형(節水形) 싱크대
JPH0714460Y2 (ja) 便器洗浄用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