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266Y1 - 급수장치를 갖는 소변기 - Google Patents

급수장치를 갖는 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266Y1
KR200202266Y1 KR2020000017221U KR20000017221U KR200202266Y1 KR 200202266 Y1 KR200202266 Y1 KR 200202266Y1 KR 2020000017221 U KR2020000017221 U KR 2020000017221U KR 20000017221 U KR20000017221 U KR 20000017221U KR 200202266 Y1 KR200202266 Y1 KR 200202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supply
tank
ur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이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철 filed Critical 이영철
Priority to KR2020000017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2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2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7Waterless or low-flush urinals;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관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급수탱크를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는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별도로 급수탱크에 물의 공급장치인 펌프를 설치하여 사용시 일단 사용한 물을 공급하여 수세시키므로 악취를 발생시키지 않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수도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공급장치와 공급된 물을 사용시에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장치를 갖는 급수조에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구와 급수로를 형성한 소변기에 가스를 차단하는 트랩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배수로와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 소변기에 있어서,
소변기(1)의 소변기조(2) 하단에 설치되어 덥개(14)로 개폐되며 물을 공급하도록 주입구(16)와 물의 공급구(15)를 갖는 급수조(10)와;
상기 급수조(10)에, 스위치(13)에 의하여 제어되는 급수파이프(12)가 급수조(10)의 공급구를 통하여 소변기조(2)에 공급되도록 설치된 펌프(11)와;
상기 펌프(11)를 설치하여 스위치(13)의 작동으로 급수로(3)와 급수구(4)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수도시설이 없는 곳에서도 저수조에 일단 사용된 물을 수시로 물을 공급하므로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고 저수조에 펌프를 설치하여 소변기의 상부로부터 물을 공급하므로 적은 양의 물로 깨끗하게 악취를 발생시키지 않게 수세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급수장치를 갖는 소변기{water supply equipment have toilet}
본 고안은 수도관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급수탱크를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는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별도로 급수탱크에 물의 공급장치인 펌프를 설치하여 사용시 일단 사용한 물을 공급하여 수세시키므로 악취를 발생시키지 않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변기에는 수도관에 연결되어 밸브를 누르면 상부로부터 물이 소변기의 벽을 타고 흘러내려 소변기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설치되어 있는 트랩의 세정과 함께 트랩에서 소변으로부터 발생되는 냄새를 막아 냄새발생을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수도시설이 되어 있지 않은 곳에서는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암모니아성 악취를 발생시켜, 하절기 같은 경우에는 견디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양을 발생시키므로 불쾌하게 하며 비위생적이다.
그리고 수시로 세척을 하여야 하는데, 세척을 게을리 하여 불결한 상태로 사용하다가 세척하려면 세척할 수 없는 곤란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는 일반 세제로는 곤란하고 불가분하게 염산과 같은 화공약품을 사용하여야만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악취발생을 막고 소변기를 청결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소변기 근처에 물통을 준비하여 소변기를 사용하고 난 다음 별도의 용기로 물을 부어 소변기를 세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매우 번거롭고 물의 소모가 많았으며 소변기를 고르게 세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수도시설이 없는 곳에서도 저수조에 펌프를 설치하여 소변기의 상부로부터 물을 공급하므로 적은 양의 물로 깨끗하게 악취를 발생시키지 않게 수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좌변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변기 2 : 소변기조
3 : 급수로 4 ; 급수구
5 : 트랩 6 : 배수로
10 : 급수조 11 : 펌프
12 : 급수파이프 13 : 스위치
14 : 덥개 15 : 공급구
16 : 주입구
수도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공급장치와 공급된 물을 사용시에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장치를 갖는 급수조에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구와 급수로를 형성한 소변기에 가스를 차단하는 트랩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배수로와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 소변기에 있어서,
소변기(1)의 소변기조(2) 하단에 설치되어 덥개(14)로 개폐되며 물을 공급하도록 주입구(16)와 물의 공급구(15)를 갖는 급수조(10)와;
상기 급수조(10)에, 스위치(13)에 의하여 제어되는 급수파이프(12)가 급수조(10)의 공급구를 통하여 소변기조(2)에 공급되도록 설치된 펌프(11)와;
상기 펌프(11)를 설치하여 스위치(13)의 작동으로 급수로(3)와 급수구(4)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실시 예를 예시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소변기(1)를 보인 사시도로서 소변기(1)의 급수조(10)는 소변기조(2)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통상과 같이 소변기조(2)의 상단에 급수로(3)와 급수구(4)가 형성되어 있다.
물과 소변이 트랩(5)을 거쳐 배수되는 것은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소변기조(2)에 급수조(10)로 부터 물의 공급은, 스위치(13)를 온(on)시켜 전원공급으로 급수조(10)의 내부에 설치된 펌프(11)의 작동으로 공급되어 지는데, 스위치(13)는 내부에 지연회로(미도시)가 내장되어 소정시간(약 2 ∼ 5초)동안 온(on) 상태를 유지하다가 회로의 제어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오프(off)된다.
스위치(13)는 누름 버튼 스위치를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약 2 ∼ 3초 정도로 가압하여 자동으로 복귀하는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물의 공급량은 펌프(15)의 동작시간에 의하여 설정되는데, 약 2 ∼ 5초 정도의 동작으로 0.1 ∼ 0.3리터의 물을 공급하므로 소량의 물을 공급하므로 소변기조(2)의 급수로(3)와 급수구(4)를 통하여 물이 공급되므로 소변기조(2)의 상부로부터 벽을 고르게 타고 소변기조(2)의 세정이 이루어 지게된다
급수조(10)로 부터 물이 공급되어지는 소변기조(2)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스위치를 온(on) 시키게 되면 펌프(11)의 급수관(12)을 통하여 소변기조(2)에 공급되면 물은 급수로(3)와 급수구(4)를 통하여 상부로 부터 소변기조(2)의 벽을 타고 흘러내려 내부를 세정시키게 된다.
소변기(1)의 소변기조(2) 하단에 급수조10가 설치되어 덥개(14)를 개방시킨 다음 주입구(16)를 통하여 물을 공급하게 되는데, 물은 일단 사용한 허드렛물을 사용하여도 되며, 허드렛 물을 재사용 하므로 물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급수조(10)에 물을 공급한 다음 덥개(14)를 닫으므로 일정 량의 물을 유지하게 되며 물의 사용에 따라 재 공급하면 되고, 공급된 물은 상기 급수조(10)에, 스위치(13)에 의하여 제어되는 펌프(11)의 동작으로 펌프(11)와 연결된 급수파이프(12)가 급수조(10)의 공급구(15)를 통하여 소변기조(2)의 급수로(3)와 급수구(4)를 통하여 공급된다.
소변은 급수조(10)의 펌프(11)로 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하여 소변기조(2)의 내벽을 타고 흘러내리며 씻겨 트랩(5)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는데, 트랩(5)은 배수로(6)를 통하여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하면서 흘러 들어온 소변과 혼합된 물을 배수로(6)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수도시설이 없는 곳에서도 저수조에 펌프를 설치하여 일단 사용된 물을 급수조에 공급하므로 물을 절약할 수 있으며, 소변기의 상부로부터 물을 공급하므로 적은 양의 물로 깨끗하게 악취를 발생시키지 않게 수세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도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공급장치와 공급된 물을 사용시에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장치를 갖는 급수조에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구와 급수로를 형성한 소변기에 가스를 차단하는 트랩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배수로와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 소변기에 있어서,
    소변기(1)의 소변기조(2) 하단에 설치되어 덥개(14)로 개폐되며 물을 공급하도록 주입구(16)와 물의 공급구(15)를 갖는 급수조(10)와;
    상기 급수조(10)에, 스위치(13)에 의하여 제어되는 급수파이프(12)가 급수조(10)의 공급구를 통하여 소변기조(2)에 공급되도록 설치된 펌프(11)와;
    상기 펌프(11)를 설치하여 스위치(13)의 작동으로 급수로(3)와 급수구(4)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를 갖는 소변기.
KR2020000017221U 2000-06-13 2000-06-13 급수장치를 갖는 소변기 KR200202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221U KR200202266Y1 (ko) 2000-06-13 2000-06-13 급수장치를 갖는 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221U KR200202266Y1 (ko) 2000-06-13 2000-06-13 급수장치를 갖는 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266Y1 true KR200202266Y1 (ko) 2000-11-15

Family

ID=1966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221U KR200202266Y1 (ko) 2000-06-13 2000-06-13 급수장치를 갖는 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2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682A (ko)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비에스티엠 소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682A (ko)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비에스티엠 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6934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of fill valve in water toilet
KR200202266Y1 (ko) 급수장치를 갖는 소변기
KR200439371Y1 (ko) 물 절감 좌변기
KR100498243B1 (ko)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KR20100071911A (ko) 양변기의 절수를 위한 소형함체 및 보조장치
KR200262753Y1 (ko) 수세식 절수 변기
KR0140372Y1 (ko) 절수용 변기
KR200191217Y1 (ko) 수돗물 사용수를 세척수로 이용할 수 있는 수세식변기절수장치
KR200384911Y1 (ko) 비데용 급수 커넥터
KR200172008Y1 (ko) 생활용수의 재활용장치
KR20010020980A (ko) 용수 재활용 겸용 양변기장치
KR100499329B1 (ko)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KR100218648B1 (ko) 수세식 변기
KR200202440Y1 (ko) 수세식 변기장치
US20240011270A1 (en) Grey water rinse toilet
KR20100012699A (ko) 세척장치가 구비된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 시스템
KR100438675B1 (ko) 변기의 수세용 수조
KR200419551Y1 (ko) 절약형 양변기
WO1997002387A1 (en) Sanitary system and method for utilization of used household water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KR200389635Y1 (ko) 세면수를 이용하는 양변기
KR200150862Y1 (ko) 중수도를 이용하는 절수형 변기
KR100197423B1 (ko) 절수형 프레쉬밸브
JP2002364049A (ja) 中水利用設備
KR960010615Y1 (ko) 변기의 세정수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