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682A - 소변기 - Google Patents
소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36682A KR20200136682A KR1020190062534A KR20190062534A KR20200136682A KR 20200136682 A KR20200136682 A KR 20200136682A KR 1020190062534 A KR1020190062534 A KR 1020190062534A KR 20190062534 A KR20190062534 A KR 20190062534A KR 20200136682 A KR20200136682 A KR 202001366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rinal
- valve
- unit
- cleaning
- was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40—Devices for distribution of flush water inside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소변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소변기는, 벽면에 고정되는 소변기 본체와 상기 소변기 본체를 세정하기 위한 소변기 세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소변기 세정 유닛은, 수도 배관에 연결된 제1 유로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세정수조, 상기 세정수조 내 수돗물의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상기 제1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세정수조 내로 수돗물을 유입시키고, 상기 세정수조 내 수돗물의 수위가 기준 수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수도 배관으로부터의 수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 밸브, 사용자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의존하여 개방되는 제2 밸브, 상기 제2 밸브가 개방되는 경우 제2 유로에 합류된 제3 유로 측으로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해 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조 -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세정수조와 하기 펌핑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유로 상에 상기 제2 밸브가 위치함 -, 상기 소변기 본체 측으로 상기 세정수조 내 수돗물과 상기 세정액조 내 세정액의 혼합액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부, 및 상기 제4 유로를 통해 상기 세정수조 내 수돗물과 상기 세정액조 내 세정액의 혼합액을 상기 분사 노즐부 측으로 펌핑하기 위한 펌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변기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공중 화장실용 소변기에서 소변의 비산을 방지하고 적은 세정수의 사용으로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공중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소변기에는 다양한 종류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소변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소변기의 청결유지 문제, 소변시 또는 소변기의 세정을 위한 세정시 소변이나 세정수가 비산하여 사용자의 옷에 튀는 문제가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소변기가 개발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소변기의 예들로서, 도 1(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02266, 2000년 08월 28일 등록)은 수도 시설이 없는 곳에서 소변기 본체(1)를 세정하여 트랩(5)을 거쳐 배수될 수 있도록, 별도의 급수조(10)를 설치한 후 이를 상부로 펌핑하여 사용하는 방식의 소변기의 예이고, 도 2(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2-003457, 2012년 5월 18일 공개)는 낙하 방향 조절부(20)를 이용하여 트랩(배출구 덮개)(15) 측으로 세정수가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특히 배출구 덮개 측의 청결을 강화하기 위한 방식의 소변기의 예이다.
위의 종래의 소변기들은 세정수의 튀김 내지 비산이 심하게 발생하여, 사용자의 옷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이 아니라, 수압이 약하여 소변기 본체의 세정이 원활하지 않으며 세정수의 낭비가 심한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소변기들에 있어서 소변기 본체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세정수의 분출시 세정수의 튀김 내지 비산이 심하게 발생하여, 사용자의 옷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이 아니라, 수압이 약하여 소변기 본체의 세정이 원활하지 않으며 세정수 및 세정액의 낭비가 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소변기는, 벽면에 고정되는 소변기 본체, 및 상기 소변기 본체를 세정하기 위한 소변기 세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소변기 세정 유닛은, 수도 배관에 연결된 제1 유로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세정수조, 상기 세정수조 내 수돗물의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상기 제1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세정수조 내로 수돗물을 유입시키고, 상기 세정수조 내 수돗물의 수위가 기준 수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수도 배관으로부터의 수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 밸브, 사용자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의존하여 개방되는 제2 밸브, 상기 제2 밸브가 개방되는 경우 제2 유로에 합류된 제3 유로 측으로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해 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조 -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세정수조와 하기 펌핑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유로 상에 상기 제2 밸브가 위치함 -, 상기 소변기 본체 측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부, 및 상기 제4 유로를 통해 세정수조 내 수돗물과 상기 세정액조 내 세정액의 혼합액을 상기 분사 노즐부 측으로 펌핑하기 위한 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변기는, 상기 분사 노즐부에 의해 분사되는 수돗물과 세정액의 혼합액 중 전방으로 분사되는 혼합액을 차단하기 위한 세정수 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세정수 차단부는, 상기 분사 노즐부가 사용자 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분사 노즐부의 높이보다 더 아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면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세정수 차단부의 하단은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면의 윤곽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세정수 차단부의 하단은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면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변기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준 간격 이내로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상기 센싱부에 의해 생성되는 1차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 간격 이내로 접근한 이후 상기 기준 간격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센싱부에 의해 생성되는 2차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1차 센싱 신호와 상기 2차 센싱 신호를 모두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2 밸브 개방 신호를 상기 제2 밸브 측으로 송신하고, 상기 1차 센싱 신호와 상기 2차 센싱 신호를 모두 수신한 경우, 상기 펌핑부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펌핑부 동작 신호를 상기 펌핑부 측으로 송신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의 경과시, 상기 제2 밸브를 폐쇄하도록 제2 밸브 폐쇄 신호를 상기 제2 밸브 측으로 송신하고, 상기 펌핑부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펌핑부 중지 신호를 상기 펌핑부 측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세정수조 내 수돗물의 수위에 의존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의 하강시 개방되고, 상기 부력체의 상승시 폐쇄되는 플로팅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변기는 세정수 비산 방지부, 분사 노즐부, 펌핑부, 세정액조, 및 부유체 등의 구성요소들을 구비함으로써, 세정수 분출시 소변기 사용자 측으로 튀기거나 비산하는 세정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옷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고, 비교적 높은 수압으로 소변기 본체 측으로 분사함으로써 소변기의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세정수에 혼합되는 세정액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작은 용량의 세정수조 내에서 부유체를 이용한 플로팅 밸브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세정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소변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100)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소변기(100)에서 소변기 세정 유닛의 내부 구조(도 2에서 선 Y-Y를 따라 취한 단면 특징)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소변기 세정 유닛과 세정수 차단부 간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4는 측단면(도 2에서 X-X를 따라 취한 단면 특징)이고, 도 5는 평면도(도 2에서 화살표 Z1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100)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소변기(100)에서 소변기 세정 유닛의 내부 구조(도 2에서 선 Y-Y를 따라 취한 단면 특징)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소변기 세정 유닛과 세정수 차단부 간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4는 측단면(도 2에서 X-X를 따라 취한 단면 특징)이고, 도 5는 평면도(도 2에서 화살표 Z1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실시예들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100)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소변기(100)에서 소변기 세정 유닛의 내부 구조(도 2에서 선 Y-Y를 따라 취한 단면 특징)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소변기 세정 유닛과 세정수 차단부 간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4는 측단면(도 2에서 X-X를 따라 취한 단면 특징)이고, 도 5는 평면도(도 2에서 화살표 Z1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우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변기(100)는, 벽면에 고정되는 소변기 본체(120), 소변기 본체(120)를 세정하기 위한 소변기 세정 유닛(110)을 포함한다.
소변기 본체(120)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까지 길게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재료인 세라믹 재료 이외에도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소변기 본체(120)의 하부 중앙에는 배출구 덮개(140)가 구비되어 배출구(미도시) 측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가스의 역류를 방지한다.
소변기 세정 유닛(110)은, 사용자가 용무를 본 후 소변기 본체(120)의 내면(도 4의 121)에 묻은 소변을 씻어내어 배출구 측으로 흘려보내기 위한 용도로 구비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기 세정 유닛(110)은 세정수조(150), 제1 밸브(V1, 155), 센싱부(S1), 제2 밸브(V2), 세정액조(160), 분사 노즐부(도 4의 130) 및 펌핑부(PUMP)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변기 세정 유닛(110)은 제어부(C1)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 내에서 소변기 본체(120)의 내면(121)은 소변기 본체(120)에서 사용자와 마주하는 면으로서, 소변이 직접적으로 닿는 면을 일컫는다.
세정수조(150)는 수도 배관(미도시)에 연결된 제1 유로(P1)를 통해 수도 배관으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아 유지한다. 세정수조(150) 내 수위는 펌핑부(PUMP)의 미작동시에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펌핑부(PUMP)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낮아지며 제1 유로(P1)을 통해 수도 배관으로부터 계속해서 공급받는다. 세정수조(150) 내에 유지되는 수돗물(W)은 본 명세서 내에서는 세정수 또는 시수로도 일컬어진다.
제1 밸브(155, V1)는 세정수조(150) 내 수돗물의 수위에 의존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부력체(155)와, 부력체(155)의 하강시 개방되고 부력체(155)의 상승시 폐쇄되는 플로팅 밸브(V1)를 포함한다. 부력체(155)가 하강하여 플로팅 밸브(V1)가 개방되는 경우 세정수조(155) 내로 수돗물이 채워지고, 부력체(155)가 상승하여 플로팅 밸브(V1)가 폐쇄되는 경우 세정수조(155) 내로는 더 이상 수돗물이 공급되지 않아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밸브(155, V1)는 세정수조(150) 내 수돗물의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제1 유로(P1)를 개방하여 세정수조(150) 내로 수돗물을 유입시키고, 세정수조(150) 내 수돗물의 수위가 기준 수위에 도달한 경우 제1 유로(P1)를 폐쇄하여 수도 배관으로부터의 수돗물의 유입을 차단한다.
센싱부(S1)는 소변기 본체(120) 측으로 접근 또는 이탈하는 사용자를 센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센싱부(S1)는 통상의 적외선 센서 또는 모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센싱부(S1)에서는 사용자가 소변기 본체(120) 측으로 접근하는 경우 이를 센싱한다(본 명세서 내에서는 이를 '1차 인체 센싱' 으로 지칭한다). 사용자가 소변을 본 후 소변기 본체(120)의 전방에서 이탈하는 경우 센싱부(S1)에서는 이를 센싱한다(본 명세서 내에서는 이를 '2차 인체 센싱' 으로 지칭한다). 센싱부(S1)에서는 1차 인체 센싱 후 1차 인체 센싱 결과(이하 '1차 센싱 신호' 라 함)를 제어부(C1) 측으로 송신하고, 2차 인체 센싱 후 2차 인체 센싱 결과(이하 '2차 센싱 신호' 라 함)를 제어부(C1) 측으로 송신한다. 제어부(C1)에서는 1차 센싱 신호와 2차 센싱 신호를 모두 수신한 경우, 펌핑부(PUMP)의 작동을 개시하고 제2 밸브(V2)를 개방하도록, 펌핑부(PUMP)와 제2 밸브(V2) 측으로 각각 펌핑부 동작 신호와 제2 밸브 개방 신호를 송신한다. 센싱부(S1)는 사용자의 접근 및 이탈을 센싱하기에 유리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변기 세정 유닛(110)의 내부 공간은 협소하고 수분이나 습도가 높은 환경이므로, 보다 효율적인 내부 공간 활용을 위해, 센싱부(S1)와 제어부(C1)는 인쇄회로기판(170) 상에 연결 및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싱부(S1)에서의 센싱 및 제어부(C1)에서의 제어에 관하여는 이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 밸브(V2)는 센싱부(S1)의 센싱 결과에 의존하여 개방된다. 그리고, 제2 밸브(V2)는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 경과시 폐쇄된다. 제2 밸브(V2)의 개방 및 폐쇄에 관한 제어에 관하여는 제어부(C1)가 관여한다.
세정액조(160)는 소변기 본체(120)의 내면(121)에 묻은 소변 및 기타 이물질들의 원활한 제거를 위해 세정수조(150)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수(시수)에 첨가되는 세정액을 유지하는 부분이다. 세정액조(160)는 제2 밸브(V2)가 개방되는 경우 제2 유로(P2)에 합류되는 제3 유로(P3) 측으로 내부에 수용된 세정액을 공급한다. 세정액은 세정수에 혼합된 세정제로서의 기능 이외에도 방향성 탈취제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유로(P2)는 세정수조(150)와 펌핑부(PUMP) 사이에 위치한 유로로서, 세정조(150) 내의 세정수가 유출되는 경로이다. 또한, 제3 유로(P3) 상에 제2 밸브(V2)가 위치함으로써, 제3 유로(P3)를 통한 제2 유로(P2) 측으로의 세정액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분사 노즐부(130)는, 세정수와 세정액의 혼합액을 제4 유로(P4)를 통해 소변기 본체(120)의 내면(121)으로 분사하는 부분이다. 분사 노즐부(130)는, 펌핑부(PUMP)의 작동에 의해 제4 유로(P4)를 통해 제공되는 혼합액(세정수조(150) 내 세정수와 세정액조(160) 내 세정액의 혼합액임)을 소변기 본체(120)의 내면(121)으로 분사함으로써 소변기 본체(120)를 세정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노즐부(130)는 세정수와 세정액의 혼합액을 전 방향으로(omni directional) 방사하는 타입일 수도 있고, 소변기 본체(120)의 내면(121) 측으로만 분사하는 타입일 수도 있다. 특히, 전자인 경우, 즉 분사 노즐부(130)가 세정수와 세정액의 혼합액을 전 방향으로 방사하는 타입인 경우, 사용자 측으로 혼합액이 분사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세정수 차단부(190)가 구비된다. 세정수 차단부(190)는 분사 노즐부(130)가 전자와 같이 전 방향으로 분사하는 타입인 경우 뿐만 아니라, 후자인 경우에도 바깥으로 비산하는 세정수와 세정액의 혼합액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펌핑부(PUMP)는 제2 유로(P2)를 통해 세정수조(150) 내 세정수(수돗물)과 세정액조(160) 내 세정역의 혼합액을 유입시킨 후, 제4 유로(P4)를 통해 세정수조(150) 내 세정수와 세정액조(160) 내 세정액의 혼합액을 분사 노즐부(130) 측으포 펌핑하기 위한 부분이다. 펌핑부(PUMP)는 소변기 본체(120)의 내면(121) 측으로 노즐부(130)를 통해 강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어부(C1)는, 기준 간격 이내로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센싱부(S1)에 의해 생성되는 1차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기준 간격 이내로 접근하여 용변을 마친 이후 기준 간격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 센싱부(S1)에 의해 생성되는 2차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1차 센싱 신호와 2차 센싱 신호를 모두 수신한 경우, 제2 밸브(V2)를 개방하도록 제2 밸브 개방 신호를 제2 밸브(V2) 측으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C1)는 1차 센싱 신호와 2차 센싱 신호를 모두 수신한 경우, 펌핑부(PUMP)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펌핑부 동작 신호를 펌핑부(PUMP) 측으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펌핑부(PUMP)의 동작에 의해 소변기 본체(120)에 대한 세정이 진행되다가,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2 밸브(V2)를 폐쇄하도록 제2 밸브 폐쇄 신호를 제2 밸브(V2) 측으로 송신하고 펌핑부(PUMP)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펌핑부 중지 신호를 펌핑부(PUMP) 측으로 송신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위에서 언급한 세정수 차단부(190)에 관하여 설명하면, 세정수 차단부(190)는, 분사 노즐부(130)에 의해 분사되는 세정수(수돗물)와 세정액의 혼합액 중 전방으로 분사되거나 비산하는 혼합액을 차단하여 세정수와 세정액의 혼합액이 사용자 측으로 분사되거나 튀기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세정수 차단부(1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노즐부(130)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분사 노즐부의 높이보다 더 아래로 길게 형성되고, 소변기 본체(120)의 내면(121)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수 차단부(190)의 하단(191)은 소변기 본체(120)의 내면(121)의 윤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소변기 본체(120)의 내면(121)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세정수 차단부(190)의 하단(191)은 이러한 소변기 본체(120)의 내면(121) 윤곽에 대응되게 곡면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센싱부(S1)에 의한 사용자의 센싱에서부터, 제어부(C1)에서의 제어, 펌핑부(PUMP)의 동작, 제1 밸브(155, V1) 및 제2 밸브(V2)의 전반적인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소변을 보기 위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소변기(100) 측으로 접근하는 경우, 센싱부(S1)에서는 이를 센싱한다(1차 인체 센싱). 1차 인체 센싱시, 센싱부(S1)는 1차 센싱 신호를 제어부(C1) 측으로 송신하고 제어부(C1)는 1차 센싱 신호를 수신한다. 소변을 다 본 후에 사용자가 소변기(100)에서 이탈하는 경우, 이를 센싱부(S2)에서 센싱한다(2차 인체 센싱). 2차 인체 센싱시, 센싱부(S1)는 2차 센싱 신호를 제어부(C1) 측으로 송신하고 제어부(C1)는 2차 센싱 신호를 수신한다. 1차 센싱 신호와 2차 센싱 신호를 모두 수신한 경우, 제어부(C1)는 2차 센싱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밸브(V2)를 개방시키기 위한 제2 밸브 개방 신호를 제2 밸브(V2) 측으로 송신하고, 펌핑부(PUMP)의 동작 시작을 위한 펌핑부 동작 신호를 펌핑부(PUMP) 측으로 송신한다. 제2 밸브(V2)가 개방되고 펌핑부(PUMP)가 동작을 시작한다. 제2 밸브(V2)의 개방에 앞서 펌핑부(PUMP)가 동작할 수도 있고, 펌핑부(PUMP)의 동작에 앞서 제2 밸브(V2)가 개방될 수도 있다. 제2 밸브(V2)의 개방과 펌핑부(PUMP)의 동작에 의해 세정수조(150) 내의 세정수와 세정액조(160) 내의 세정액이 혼합되어 제4 유로(P4)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노즐부(130)를 통해 소변기 본체(120) 측으로 혼합액이 분사되어 소변기 본체(120)를 세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세정수조(150) 내의 수위는 차츰 하강하고 그에 따라 부력체(155)도 하강하게 된다. 부력체(155)가 하강하는 경우, 제1 밸브(플로팅 밸브)(V1)가 개방되어 수도 배관으로부터 수돗물이 세정수조(150) 내로 계속해서 유입된다. 분사 노즐부(130)에 의한 혼합액의 분사에 의해 소변기 본체의 세정이 일정 시간 동안 진행되다가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어부(C1)에서 제2 밸브 폐쇄신호를 제2 밸브(V2) 측으로 송신함으로써 제2 밸브(V2)가 폐쇄된다. 이와 함께, 기준 시간 경과 후 펌핑부(PUMP) 측으로 펌핑부 동작 중지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펌핑부(PUMP)의 동작이 중지되며, 펌핑부(PUMP)의 동작이 중지되는 경우, 제2 유로(P2)를 통한 세정수의 유출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세정수조(150) 내의 수위는 차츰 상승하게 되며, 기준 수위에 도달할 경우 부력체(155)의 작용에 의해 플로팅 밸브가 폐쇄됨으로써, 수도 배관을 통한 수돗물의 유입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게 되어 세정수조(150)는 오버플로우하지 않고 일정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소변기는, 세정수와 혼합액의 분출시 소변기 사용자 측으로 튀기거나 비산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옷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고, 비교적 높은 수압으로 소변기 본체 측으로 분사함으로써 소변기의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세정수에 혼합되는 세정액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작은 용량의 세정수조 내에서 부유체를 이용한 플로팅 밸브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세정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100 : 본 발명의 소변기
110 : 소변기 세정 유닛
120 : 소변기 본체
130 : 분사 노즐부
150 : 세정수조
160 : 세정액조
190 : 세정수 차단부
110 : 소변기 세정 유닛
120 : 소변기 본체
130 : 분사 노즐부
150 : 세정수조
160 : 세정액조
190 : 세정수 차단부
Claims (7)
- 벽면에 고정되는 소변기 본체; 및
상기 소변기 본체를 세정하기 위한 소변기 세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소변기 세정 유닛은,
수도 배관에 연결된 제1 유로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세정수조,
상기 세정수조 내 수돗물의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상기 제1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세정수조 내로 수돗물을 유입시키고, 상기 세정수조 내 수돗물의 수위가 기준 수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수도 배관으로부터의 수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 밸브,
사용자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의존하여 개방되는 제2 밸브,
상기 제2 밸브가 개방되는 경우 제2 유로에 합류된 제3 유로 측으로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해 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조 -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세정수조와 하기 펌핑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유로 상에 상기 제2 밸브가 위치함 -,
상기 소변기 본체 측으로 상기 세정수조 내 수돗물과 상기 세정액조 내 세정액의 혼합액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부, 및
상기 제4 유로를 통해 상기 세정수조 내 수돗물과 상기 세정액조 내 세정액의 혼합액을 상기 분사 노즐부 측으로 펌핑하기 위한 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는,
상기 분사 노즐부에 의해 분사되는 수돗물과 세정액의 혼합액 중 전방으로 분사되는 혼합액을 차단하기 위한 세정수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차단부는,
상기 분사 노즐부가 사용자 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분사 노즐부의 높이보다 더 아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면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차단부의 하단은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면의 윤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세정수 차단부의 하단은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면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준 간격 이내로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상기 센싱부에 의해 생성되는 1차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 간격 이내로 접근한 이후 상기 기준 간격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센싱부에 의해 생성되는 2차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1차 센싱 신호와 상기 2차 센싱 신호를 모두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2 밸브 개방 신호를 상기 제2 밸브 측으로 송신하고,
상기 1차 센싱 신호와 상기 2차 센싱 신호를 모두 수신한 경우, 상기 펌핑부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펌핑부 동작 신호를 상기 펌핑부 측으로 송신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의 경과시, 상기 제2 밸브를 폐쇄하도록 제2 밸브 폐쇄 신호를 상기 제2 밸브 측으로 송신하고, 상기 펌핑부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펌핑부 중지 신호를 상기 펌핑부 측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세정수조 내 수돗물의 수위에 의존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의 하강시 개방되고, 상기 부력체의 상승시 폐쇄되는 플로팅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2534A KR20200136682A (ko) | 2019-05-28 | 2019-05-28 | 소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2534A KR20200136682A (ko) | 2019-05-28 | 2019-05-28 | 소변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6682A true KR20200136682A (ko) | 2020-12-08 |
Family
ID=7377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2534A KR20200136682A (ko) | 2019-05-28 | 2019-05-28 | 소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3668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09508A1 (zh) * | 2022-11-21 | 2024-05-30 | 骊住(中国)投资有限公司 | 小便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2266Y1 (ko) | 2000-06-13 | 2000-11-15 | 이영철 | 급수장치를 갖는 소변기 |
-
2019
- 2019-05-28 KR KR1020190062534A patent/KR20200136682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2266Y1 (ko) | 2000-06-13 | 2000-11-15 | 이영철 | 급수장치를 갖는 소변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09508A1 (zh) * | 2022-11-21 | 2024-05-30 | 骊住(中国)投资有限公司 | 小便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32956B2 (en) | Multi-phase, high energy flushing system | |
KR101163357B1 (ko) | 절수형 양변기 | |
CN106413495B (zh) | 卫生洁具清洁系统 | |
CN107949276A (zh) | 模块式宠物排便器清洁装置 | |
CN115404957A (zh) | 一种马桶装置、冲洗系统及其冲洗方法 | |
KR20200136682A (ko) | 소변기 | |
CN101545278A (zh) | 冲水坐便器 | |
JP2007314973A (ja) | 洋風便器装置 | |
CN115461514A (zh) | 马桶动态冲水法及动态冲水式防臭防溅水无水箱马桶 | |
CN217679471U (zh) | 一种发泡马桶 | |
JP2014211034A (ja) | 小便器 | |
CN114960877B (zh) | 冲水大便器 | |
CN114960880B (zh) | 冲水大便器 | |
CN216664366U (zh) | 一种负压辅助冲刷的低水箱座便器 | |
JP2011208416A (ja) | 水洗大便器 | |
JPH11350578A (ja) | 水洗式大便器 | |
JP3737434B2 (ja) | 洋式小便器 | |
US20200002928A1 (en) | Toilet bowl device | |
JP2018053602A (ja) | 便器装置 | |
KR101943888B1 (ko) |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 | |
KR20160033487A (ko) | 냄새 없는 절수형 소변기 | |
JP3729180B2 (ja) | 圧送部付き便器 | |
CN108505601B (zh) | 一种防溅水蹲便器 | |
CN217379133U (zh) | 一种带发泡功能的低压冲洗系统及马桶 | |
CN108505600B (zh) | 一种防溅水马桶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