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888B1 -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 - Google Patents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888B1
KR101943888B1 KR1020180092268A KR20180092268A KR101943888B1 KR 101943888 B1 KR101943888 B1 KR 101943888B1 KR 1020180092268 A KR1020180092268 A KR 1020180092268A KR 20180092268 A KR20180092268 A KR 20180092268A KR 101943888 B1 KR101943888 B1 KR 101943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bowl
toilet
bubbles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순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주)에코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에코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80092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울 상부의 거품이송로를 따라 거품이 채워져 정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고, 오물이 많이 묻게 되는 정면측으로 갈수록 거품이 두텁고 넓게 배출되어 오물이 거품을 타고 원활하게 흘러내려 갈 수 있도록 하는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변기들과 같이 거품배출홀 등의 형성을 위해 별도의 타공작업이 불필요하고, 각 구성간의 조립 및 결합을 통해 거품이 보울 상부를 따라 균등하게 이동될 수 있는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거품이송로의 하면 경사를 후면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함으로써 비가동시에는 거품이송로에 잔존하는 거품이 다시 폭기조로 복귀하여 이물질이 거품이송로 및 거품배출홀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 {FOAM TYPE STOOL WITH EASY BUBBLE EXHAUST}
본 발명은 보울 상부의 거품이송로를 따라 거품이 채워져 정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고, 오물이 많이 묻게 되는 정면측으로 갈수록 거품이 두텁고 넓게 배출되어 오물이 거품을 타고 원활하게 흘러내려 갈 수 있도록 하는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변기들과 같이 거품배출홀 등의 형성을 위해 별도의 타공작업이 불필요하고, 각 구성간의 조립 및 결합을 통해 거품이 보울 상부를 따라 균등하게 이동될 수 있는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거품이송로의 하면 경사를 후면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함으로써 비가동시에는 거품이송로에 잔존하는 거품이 다시 폭기조로 복귀하여 이물질이 거품이송로 및 거품배출홀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변기의 종류는 대부분 물을 이용한 수세식 변기지만, 최근 환경보호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수세식 변기 사용시 물 소비량이 많아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며, 섬이나 고산 지대와 같이 수도 시설이 없거나 물 공급량이 저조한 곳에서는 설치 및 이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세식 변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포세식 변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포세식 양변기(bubble flushtoilet)는 물과 소량의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세정수로 거품을 발생시켜 변기의 보울로 흘러나가게 하고, 변기 사용시 용변은 거품 위에 안착되어 미끄러져 처리되는 변기에 관한 것으로, 수세식 변기에 비해 현저히 적은 물이 소비된다. 또한, 포세식 양변기는 악취가 적고, 벌레가 발생하지 않으며, 오물 및 오수가 방치되지 않기 때문에 위생적이며 환경친화적이다.
특히, 수세식과 달리 별도의 수도시설이 필요하지 않아 유동인구가 많거나 수도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 용이하게 설치 및 이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포세식 양변기에 관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0294호에는 "포세식 양변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물과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세정수로 발생시킨 거품이 양변기에 일정량이 지속적으로 잔류되게 조절하여 양변기의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시키고, 악취를 물리적으로 차단하고 거품의 역류를 방지하는 포세식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거품배출벽을 통해 거품이 배출되고 거품확장벽에 거품이 충돌하여 변기통의 경사면으로 거품이 균등하게 공급된다고 기재되어 있다(청구항 4 참조).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을 포함한 포세식 양변기는 변기통(이하, 보울(bowl)) 부분이 아닌 양변기의 몸체부분에서 거품이 발생되어 보울로 거품을 이송시키며, 변기통으로 거품이 배출되어 오물이 거품에 의해 미끄러져 배수구로 처리되는데 보울의 후면측, 즉 몸체 부분에서부터 반대 방향측으로 보울을 따라 거품이 이송시키기 때문에 보울의 후면 측에서 배출되는 거품은 많으나 전면 측으로 갈수록 배출되는 거품의 양은 감소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기계의 공기 발생 수치를 높임으로써 거품양을 증가시켜 전면측까지 충분히 거품을 채우지만 후면측에서 요홈에 의해 배출되는 거품의 양 또한 증가하게 되므로 거품을 낭비한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는 보울 내측면을 따라 감싼 거품 위에 떨어지는 오물이 윤활 마찰을 통해 처리되는데 보울의 전면 측으로 갈수록 거품이 적어 보울 내 위치에 따라 오물 처리 능력에 차이가 보인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보울의 형상은 후면측보다 전면측이 길고 넓게 설계되어 있는데 이는 양변기 사용자의 소변위치와 소변시 튀는 현상과 왜소한 사용자의 오물 위치 등을 고려한 것으로 보울을 감싸고 있는 거품이 오물과 함께 미끄러져 처리되는 경우 대변보다도 소변을 사용하는 용도가 더 많기 때문에 보울의 청결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존 변기의 전면측으로 갈수록 거품이 배출되는 양이 적어지는 단점을 해결하여 후면부 거품의 양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전면부 거품발생 양을 늘려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양변기 사용시 소변이 먼저 나올 경우 보울 내측면에 소변이 닿은 곳에는 거품이 사라져 윤활성이 약해지며, 이러한 부분에 대변이 떨어지게 되면 보울 내측면에 달라붙기 때문에 후면부 거품의 양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전면부 거품발생 양을 늘려 주어야 할 필요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포세식을 포함한 변기는 도기(陶器)로 제작되는데 이때 도기는 가마에서 구워질 때 수축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각각의 변기마다 치수가 미세하게 차이가 나 정밀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다른 재질로는 유리강화섬유플라스틱(FRP)가 있는데, 이는 제작시 사람이 직접 손으로 유리섬유를 눌러 만들기 때문에 두께가 일정치 않고 타공 또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정밀하지 못하다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생성된 거품은 보울 상부를 따라 균등하게 이동할 수 있어 보울 내측면 모두 거품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타공작업이 불필요하며, 제작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오물이 많이 떨어지는 보울의 정면측으로 거품이 많이 배출되도록 하되 후면측으로 배출되는 거품의 낭비를 줄여야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0294호 (2012.07.31.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8095호 (2012.03.22.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010호 (2015.12.09.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보울 상부의 거품이송로를 따라 거품이 채워져 정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고, 오물이 많이 묻게 되는 정면측으로 갈수록 거품이 두텁고 넓게 배출되어 오물이 원활하게 흘러내려 갈 수 있도록 설계된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품배출홀 등의 형성을 위한 별도의 타공작업이 불필요하고, 각 구성간의 조립 및 결합을 통해 거품이 보울 상부를 따라 균등하게 이동될 수 있는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포세식 변기가 비가동시에는 거품이송로의 하면 경사를 따라 거품이 다시 폭기조 측으로 복귀하여 거품이송로 내부에 거품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잔류된 거품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거품이송로와 거품배출홀을 막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는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거품을 생성하는 본체부(2)와 사용자가 착석하여 생성된 오물을 받아 처리하는 변기부(1)로 구성된 포세식 변기에 있어서,
변기부(1)는 상면이 개방되고, 지면에 지지되는 변기 프레임(10), 상기 변기 프레임(10)에 내장되며, 용변이 유입되는 보울(21)과 상기 보울(21)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어 본체부(2)로부터 제공받은 거품이 채워지는 거품이송로(22)가 구비된 용변처리부(20) 및 상기 용변처리부(20)가 내장된 상기 변기 프레임(10)의 상측을 마감하고, 중앙이 천공되어 용변이 보울(21)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천공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하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거품이송로(22)를 따라 이동하는 거품이 부딪혀 상기 보울(21) 내측벽으로 이동하게 하는 거품마찰벽(31)이 구비된 상측마감부(30)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마감부(30)가 상기 거품이송로(22)와 결합시 상기 거품이송로(22)와 상기 거품마찰벽(31)의 사이에는 거품배출홀(23)이 형성되고, 상기 거품이송로(22)는 상기 본체부(2)와 멀어질수록 너비가 좁아져 거품이 빠르게 채워져 보울(21) 내측면에 균등하게 거품을 이송 및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거품이송로(22)의 하면 경사는 본체부(2)와 멀어질수록 상측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품이송로(22)는 보울(21)의 상단 가장자리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보울(21) 상단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거품이 상기 보울(21)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면이 개방되며, 상기 보울(21) 방향에 형성된 이송로 내측벽(22b)과 상기 변기 프레임(10) 방향에 형성된 이송로 외측벽(22c)을 구성하고, 거품은 상기 이송로 내측벽(22b)과 상기 이송로 외측벽(22c)의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송로 내측벽(22b)의 높이는 이송로 외측벽(22c)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본체부(2)와 멀어질수록 상기 이송로 내측벽(22b)과 이송로 외측벽(22c) 간의 높이차가 커지게 된다.
또한, 거품이송로(22)를 채운 거품이 상기 이송로 내측벽(22b)측으로 밀려 넘치면 상기 거품마찰벽(31)에 충돌하여 넓게 퍼지면서 거품이 상기 보울(21) 내측벽을 따라 흘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거품배출홀(23)은 상기 본체부(2)와 멀어질수록 단면 너비가 증가하여 상기 보울(21) 내측벽으로 배출되는 거품의 양이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변기 프레임(10)의 상단에는 일정간격으로 하측으로 함몰된 결합홈(12)이 형성되며, 상기 거품이송로(22)의 상단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천공된 끼움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마감부(30)의 내측 하면에는 상기 결합홈(12)과 상기 끼움홈(24)에 대응되는 위치에 따라 하면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32)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32)는 상기 끼움홈(24)과 상기 결합홈(12)의 내측에 위치하여 결합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거품이송로(22)의 후측면에는 거품저장구(25);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거품저장구(25)는 일면 하부가 상기 본체부(2)와 연결되어 거품을 제공받고, 타면 상부가 상기 거품이송로(22)와 연결되어 상기 거품저장구(25)가 거품으로 채워진 후에 상기 거품이송로(22)로 거품이 이동하며, 포세식 변기 미가동시 상기 거품이송로(22)에 잔존하는 거품이 상기 거품저장구(25)를 거쳐 본체부(2)로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에서 생성된 거품이 보울 상측을 따라 균등하게 이동될 수 있고, 보울 정면측에서 배출되는 거품일수록 보울 내측으로 거품이 두텁고 넓게 배출되어 오물이 원활하게 흘러내려 갈 수 있도록 하여 변기 특성상 보울의 정면측에 쌓이는 오물을 빠르고 원활하게 흘려내려 악취가 적고 세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품배출홀 등의 형성을 위한 별도의 타공작업이 불필요하고, 각 구성간의 조립 및 결합을 통해 거품이 보울 상부를 따라 균등하게 이동되고 배출될 수 있는 거품 배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포세식 변기가 비가동시에는 거품이송로의 하면 경사를 따라 거품이 다시 폭기조 측으로 복귀하여 거품이송로 내부에 거품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거품이송로와 거품배출홀에 잔류된 거품으로 생성된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세식 변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변처리부의 평면도와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측마감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단면도 B-B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부의 측단면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거품이송로를 따라 이동하는 거품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거품이 균등하게 배출되는 포세식 변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의 첨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세식 변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변처리부의 평면도와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측마감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단면도 B-B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부의 측단면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거품이송로를 따라 이동하는 거품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변기부(1) 내부 구성의 설치 위치 및 거품의 이동방향 등을 설명하기 위하여 본체부(2)가 구비된 측을 후면 방향이라고 기재하였으며, 본체부(2)와 반대되는 방향을 정면 방향이라고 기재하여 설명하였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체부(2)의 내부 구성의 경우 통상의 포세식 변기의 본체의 내부와 동일하며, 본 발명에서 기술적 특징이 되는 부분이 아니므로 생략한다.
변기부(1)는 지면 위에 구비되는 변기 프레임(10), 변기 프레임(10)에 내장되고 본체부(2)로부터 공급받은 거품을 이송 및 배출시켜 오물이 배수구로 미끄러져 배출되게 하는 용변처리부(20) 및 상기 용변처리부(20)의 상측과 결합되어 용변처리부(20)의 거품이송로(22)를 따라 이동하는 거품이 부딪혀 보울(21)로 배출시키는 상측마감부(30)로 구성된다.
변기 프레임(10)은 상면이 개방되고, 용변처리부(20)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용변처리를 할 수 있도록 지면이 지지되는 것으로, 변기 프레임(1a)의 후면 상측에는 본체부(2)의 폭기조(2a)와 연결되어 후에 내장된 용변처리부(20)의 거품이송로(22)로 거품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변기 프레임(10)은 조립 제작시 먼저 내측에 용변처리부(20)를 내장한 후 상측마감부(30)가 개방된 상측에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변기 프레임(10)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걸림턱(11)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걸림턱(11)은 상측마감부(30)가 걸려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에 상측마감부(3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외측걸림턱(11)을 중심으로 내측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돌출된 부분에는 일정 간격으로 함몰된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측마감부(30)에 구비된 가이드돌기(32)가 끼워지고 후에 인두작업을 통해 상측마감부(30)와 변기 프레임(10)이 결합고정된다.
용변처리부(20)는 사용자의 용변을 받는 보울(21)과, 상기 보울(21) 상측을 따라 구비되며, 본체부(2)의 폭기조(2a)로부터 제공받은 거품이 이동하게되는 거품이송로(22)로 구비된다.
이러한 용변처리부(20)에는 폭기조(2a)에서 생성된 거품이 후면측부터 정면측으로 거품이송로(22)를 따라 밀려들어오게 되어 거품배출홀(23)을 통해 보울(21) 내측면으로 거품이 흘려내려가게 되며, 보울(21) 내측으로 사용자가 용변을 보면 거품에 의해 보울(21) 하측 배수홀(21a)로 오물과 거품이 함께 흘러내려가게 된다.
먼저, 보울(21)은 기존의 좌변기에 사용되는 보울(bowl)들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정면측이 넓고 길게 설계되어있다.
이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격과 용변 위치 등을 고려할 경우 전면측으로의 오물배출량이 많이 배출되기 때문에 보울(21)의 전면측이 후면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고 넓게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보울(21)의 정면 측은 넓은 면적을 갖게 되며, 대부분의 오물은 보울(21)의 정면방향 내측으로 떨어지며, 거품이송로(22)를 따라 배출되는 거품에 의해 원활하게 미끄러져 배수홀(21a)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후술될 거품이송로(22)의 내측벽(22b)은 보울(21)의 상면과 연결되어 있어 후술될 거품배출홀(23)을 통해 배출되는 거품은 거품이송로(22)를 따라 채워지고 보울(21)의 내측면으로 이동하여 흘러내려가게 된다. 즉, 보울(21)과 거품이송로(22)는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거품이송로(22)의 형상은 도 3과 같이 보울(21)의 상부 외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며, 후면측에는 거품유입홀(22a)이 형성되어 폭기조(2a)와 결합되고, 변기 프레임(10)과 보울(21)의 상단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구비된다.
이러한 거품이송로(22)는 변기 프레임(10)과 보울(21) 사이에 이격된 거리만큼의 너비를 가져 변기 프레임(10)과 보울(21) 사이에 위치하고, 양측면에 이송로 내측벽(22b)과 외측벽(22c)이 구비된다. 이러한 이송로 내측벽(22b)과 외측벽(22c)은 변기 프레임(10) 방향의 측면인 이송로 외측벽(22c)과 보울(21) 방향에 위치한 이송로 내측벽(22b)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송로 내측벽(22b)과 외측벽(22c)의 사이에 거품이송로(22)가 위치하여 거품이 후면측부터 채워지며 전면측으로 이동하게되는데 전면측으로 향할수록 이송로 내측벽(22b)과 외측벽(22b) 사이가 좁아져 거품이 빠르게 채워지며 이동하게 된다.
즉, 도 3의 (A)와 같이 거품이송로(22)의 너비는 후면측부터 전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1>W2>W3). 이는 거품이 거품이송로(22)를 가득 차게 될 경우 거품배출홀(23)을 통해 배출되는데 거품이송로(22)의 전면측과 후면측의 너비가 동일할 경우 전면측으로 거품이 채워지며 이동하기 전에 이미 후면측에서는 거품이 배출됨으로써 후면측에서 낭비되는 거품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면측으로 갈수록 거품이송로(22)의 너비를 좁혀지도록 설계함으로써 거품이 거품이송로(22)를 빠르게 채워져 낭비되는 거품의 양을 줄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 단면도 A-A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이송로 외측벽(22c)과 이송로 내측벽(22b)은 높이가 동일하지 않으며, 이송로 내측벽(22b)이 이송로 외측벽(22c)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정면측으로 갈수록 이송로 외측벽(22c)과 이송로 내측벽(22b)의 높이차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송로 외측벽(22c)의 경우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마감부(30)가 안착되기 때문에 상측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지만, 내측벽(22b)의 경우 정면측으로 갈수록 상측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외측벽(22c)과의 높이차가 점차 증가하게 된다.
한편, 이송로 외측벽(22c)에는 상측마감부(30)와 결합시 끼움돌기(32)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24)이 형성되며, 이송로 외측벽(22c)의 상부 말단은 변기 프레임(10) 측로 돌출확장되고, 이송로 외측벽(22c)의 상면에 후에 결합될 상측마감부(30)가 걸쳐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거품이송로(22)의 후면에는 거품이송로(22) 내측과 연통되며, 폭기조(2a)와 직접 연결되어 거품을 받고, 받은 거품을 타원형 형상의 거품이송로(22)로 이송시키는 거품저장구(25)가 구비된다.
거품저장구(25)는 후면에서 정면방향으로 갈수록 하면의 기울기가 상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가진다. 또한 정면 상부에는 타원형 형상의 거품이송로(22)와 연결되어 거품이 거품저장구(25)를 먼저 채우게 되고 거품이 차올라 정면 상측에 연결된 타원형의 거품이송로(22)로 거품이 공급 및 이송된다.
이러한 거품저장구(25)는 거품이 이동하여 보울(21)로 배출될 때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거품이 튀어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후술된 거품이송로(22)의 하면 경사로 인해 비가동시 거품이송로(22)에 잔존하던 거품이 경사를 타고 다시 거품저장구(25)를 통해 폭기조(2a)로 이송되며, 하면 경사를 통해 이송된 거품이 다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잔존하는 거품에 의해 발생되는 이물질을 차단함으로써 이물질이 거품이송로(22)와 거품배출홀(23)을 막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거품저장구(25)의 상면 양측에는 걸림홈(26)이 형성되어 상측마감부(30)가 상면에 결합시 후술된 끼움턱(33)이 걸림홈(26) 내측으로 인입되어 용이하게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상측마감부(30)는 변기 프레임(10)의 상면에 결합되어 변기 프레임(10)을 포함한 보울(21)과 거품이송로(22)의 상면을 폐쇄하고, 거품이송로(22)를 따라 채워진 거품이 상측마감부(30)와 충돌하여 보울(21)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과 같이 상측마감부(30)는 변기 프레임(1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보울(21)의 상면과 대응되는 위치가 천공되어 천공된 부분으로 용변이 보울(21)내로 인입된다. 이때, 천공된 부분의 가장자리에는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거품마찰벽(31)이 구비된다.
이러한 거품마찰벽(31)은 이송로 내측벽(22b)과 이격되어 있는데 이격된 공간이 거품배출홀(23)이 되어 거품이송로(22)를 채운 거품이 거품배출홀(23)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별도의 거품배출을 위한 구멍을 타공작업이 필요치 않고, 거품이송로(22)와 상측마감부(30)의 결합만으로도 거품배출홀(23)이 자동으로 형성된다는 이점을 가진다.
상측마감부(30)의 상면은 지면과 평행한 형태의 평탄면(30a)이 형성되고, 상측마감부(30)의 하면은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상측으로 함몰되어 변기 프레임(10)을 덮을 수 있으며, 변기 프레임(10)의 외측걸림턱(11)에 걸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외측걸림턱(11)과 대응되는 형상에 내측걸림턱(30b)이 구비되어 외측걸림턱(11) 상면에 걸려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측마감부(30)의 내측 상면에는 가이드돌기(32)가 거품이송로(22)의 끼움홈(24)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측마감부(30)가 거품이송로(22) 상측으로 결합시 가이드돌기(32)가 끼움홈(24) 내측으로 끼워짐으로써 결합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고, 후에는 별도의 인두작업을 통해 상측마감부(30)와 용변처리부(20)가 내장된 변기 프레임(10)이 결합된다.
이때, 가이드돌기(32)는 거품이송로(2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끼움홈(24) 뿐만 아니라 끼움홈(24)과 동일한 위치에 구비된 변기 프레임(10)의 결합홈(12)도 함께 끼워짐으로써 상측마감부(30)가 변기 프레임(10)과 결합시 올바른 위치에 안착될 수 있고, 결합도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측마감부(30)의 후면에는 거품저장구(25)의 너비와 대응되게 함몰되어 있고, 함몰된 부분의 양측에는 끼움턱(33)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턱(33)은 걸림홈(26)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측마감부(30)가 거품이송로(22)의 상면에 안착되어 결합 및 고정된다.
도 8의 (A)와 같이 거품저장구(25)를 채운 거품은 하면 경사를 타고 올라가 거품이송로(22)로 공급되며, 거품이송로(22)의 후면측에서부터 거품이 채워나가게 된다.
이때, 거품이송로(22)의 하면은 정면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가짐으로써 정면으로 갈수록 거품이송로(22)의 공간이 좁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정면측으로 갈수록 거품은 더 빠르게 채워지게 된다.
도 8의 (A)에서 정면측을 부분확대한 도 8의 (B)와, 후면측을 부분확대한 도 8의 (C)를 살펴보면, 후면측 이송로 외측벽(22c)의 높이(h1)와 정면측 이송로 외측벽(22c)의 높이(h2)는 차이가 존재하며(h1>h2), 이송로 외측벽(22c)과 이송로 내측벽(22b)간에 차이도 후면측(h'1)보다 정면측(h'2)의 차이가 더 크기 때문에 정면측으로 갈수록 거품이 이동하는 면적이 좁아지면서 거품이 빠르게 채워지며, 정면측으로 이동할수록 이송로 외측벽(22c)과 이송로 내측벽(22b)의 높이차가 커지기 때문에(h'2>h'1) 후면의 거품 토출력을 균등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송로 내측벽(22b)과 거품마찰벽(31)간의 간격 또한 후면측 간격(w1)에 비해 정면측 간격(w2)으로 갈수록 간격의 너비가 커지므로(w2>w1) 거품이 두텁게 배출되어 정면으로 쏟아지는 오물을 원할하게 떠내려 보낼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오물이 주로 노출되는 위치는 보울(21)의 정면측이기 때문에 정면측으로 거품을 두텁게 배출함으로써 정면 측으로 유입되는 오물이 원활하게 쓸려내려 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거품의 이동력이 약한 정면측으로도 거품이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거품이 보울(21)의 전 방향에 걸쳐 균등하게 채워져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정면측으로 갈수록 이송로 외측벽(22c)과 이송로 내측벽(22b)의 높이차와 거품배출홀(23)의 너비가 증가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정면측으로 갈수록 거품이 두텁게 배출되고, 보울(21)의 넓은 면을 따라 넓게 배출됨으로써 보울(21) 정면측의 오물 처리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8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8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변기부 2: 본체부
2a: 폭기조
10: 변기 프레임 11: 외측걸림턱
12: 결합홈 20: 용변처리부
21: 보울 21a: 배수홀
22: 거품이송로 22a: 거품유입홀
22b: 내측벽 22c: 외측벽
23: 거품배출홀 24: 끼움홈
25: 거품저장구 26: 걸림홈
30: 상측마감부 30a: 평탄면
30b: 내측걸림턱 31: 거품마찰벽
32: 가이드돌기 33: 끼움턱

Claims (8)

  1. 거품을 생성하는 본체부(2)와 사용자가 착석하여 생성된 오물을 받아 처리하는 변기부(1)로 구성된 포세식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부(1)는,
    상면이 개방되고, 지면에 지지되는 변기 프레임(10); 상기 변기 프레임(10)에 내장되며, 용변이 유입되는 보울(21)과 상기 보울(21)의 상단 가장자리 외측을 따라 구비되어 본체부(2)로부터 제공받은 거품이 채워지는 거품이송로(22)가 구비된 용변처리부(20); 및 상기 용변처리부(20)가 내장된 상기 변기 프레임(10)의 상측을 마감하고, 중앙이 천공되어 용변이 보울(21)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천공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하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거품이송로(22)를 따라 이동하는 거품이 부딪혀 상기 보울(21) 내측벽으로 이동하게 하는 거품마찰벽(31)이 구비된 상측마감부(30);로 구성되며,
    상기 거품이송로(22)는 상기 보울(21) 방향의 측면은 이송로 내측벽(22b) 및 상기 변기 프레임(10) 방향 측면은 이송로 외측벽(22c)이 구성되고, 상기 이송로 내측벽(22b)의 높이는 이송로 외측벽(22c)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본체부(2)와 멀어질수록 상기 이송로 내측벽(22b)과 이송로 외측벽(22c) 간의 높이차가 커지고,
    상기 상측마감부(30)가 상기 거품이송로(22)와 결합시 상기 거품이송로(22)와 상기 거품마찰벽(31)의 사이에 형성되는 거품배출홀(23)은 상기 본체부(2)와 멀어질수록 단면 너비가 증가하여 상기 보울(21) 내측벽으로 배출되는 거품의 양과 두께가 증가하며,
    상기 거품이송로(22)는,
    상기 본체부(2)와 멀어질수록 너비가 좁아져 거품이 빠르게 채워져 보울(21) 내측면에 균등하게 거품을 이송 및 배출시킬 수 있고,
    후측면에는 거품저장구(25)가 형성되며, 상기 거품저장구(25)는 일면 하부가 상기 본체부(2)와 연결되어 거품을 제공받고, 타면 상부가 상기 거품이송로(22)와 연결되어 상기 거품저장구(25)가 거품으로 채워진 후에 상기 거품이송로(22)로 거품이 이동하며, 포세식 변기 미가동시 상기 거품이송로(22)에 잔존하는 거품이 상기 거품저장구(25)를 거쳐 본체부(2)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이송로(22)의 하면 경사는 본체부(2)와 멀어질수록 상측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이송로(22)를 채운 거품이 상기 이송로 내측벽(22b)측으로 밀려 넘치면 상기 거품마찰벽(31)에 충돌하여 넓게 퍼지면서 거품이 상기 보울(21) 내측벽을 따라 흘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프레임(10)의 상단에는 일정간격으로 하측으로 함몰된 결합홈(12)이 형성되며,
    상기 거품이송로(22)의 상단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천공된 끼움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마감부(30)의 내측 하면에는 상기 결합홈(12)과 상기 끼움홈(24)에 대응되는 위치에 따라 하면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32)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32)는 상기 끼움홈(24)과 상기 결합홈(12)의 내측에 위치하여 결합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
  8. 삭제
KR1020180092268A 2018-08-08 2018-08-08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 KR101943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268A KR101943888B1 (ko) 2018-08-08 2018-08-08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268A KR101943888B1 (ko) 2018-08-08 2018-08-08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888B1 true KR101943888B1 (ko) 2019-01-31

Family

ID=6532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268A KR101943888B1 (ko) 2018-08-08 2018-08-08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8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095A (ko) 2010-09-14 2012-03-22 (주)고려엘앤에스 포세 방식 변기의 거품 배출 구조
KR101170294B1 (ko) 2012-04-09 2012-07-31 박영순 포세식 양변기
KR200479010Y1 (ko) 2015-09-16 2015-12-09 송준용 거품공급량 자동조절 구조를 갖는 포세식 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095A (ko) 2010-09-14 2012-03-22 (주)고려엘앤에스 포세 방식 변기의 거품 배출 구조
KR101170294B1 (ko) 2012-04-09 2012-07-31 박영순 포세식 양변기
KR200479010Y1 (ko) 2015-09-16 2015-12-09 송준용 거품공급량 자동조절 구조를 갖는 포세식 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0295B2 (ja) 溢れ防止補助水槽を有する洋風便器
CN107949276A (zh) 模块式宠物排便器清洁装置
CN104093918A (zh) 节水坐便器
JP4798555B2 (ja) 洗浄水タンクおよび洗浄水タンクを備えた水洗便器
US3843976A (en) Method of and an apparatus for saving water used in toilets
JP6862690B2 (ja) 水洗大便器
JP2001279767A (ja) 水洗便器
JP5185067B2 (ja) 水洗小便器
JP2015063808A (ja) 洗浄水量調整装置、この洗浄水量調整装置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こ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JP2010101117A5 (ko)
KR101943888B1 (ko) 거품 배출이 용이한 포세식 변기
JP2018003263A (ja) 水洗大便器
JP2014047561A (ja) 水洗大便器
JP7483216B2 (ja) 水洗大便器
KR20210034840A (ko) 양변기 단부 세척기 또는 이를 포함한 양변기
JP2011208416A (ja) 水洗大便器
CN217679471U (zh) 一种发泡马桶
KR20200136682A (ko) 소변기
CN105919497B (zh) 一种男性小便池与座便式马桶结合的新型马桶
JP7411926B2 (ja) 水洗便器及び便器装置
JP6222616B2 (ja) 洗浄水量調整装置、この洗浄水量調整装置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こ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JPS6343265Y2 (ko)
KR102382562B1 (ko) 포세식변기
JP3814599B2 (ja) 小便器装置
KR101028851B1 (ko) 오수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