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320Y1 -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320Y1
KR200290320Y1 KR2020020018193U KR20020018193U KR200290320Y1 KR 200290320 Y1 KR200290320 Y1 KR 200290320Y1 KR 2020020018193 U KR2020020018193 U KR 2020020018193U KR 20020018193 U KR20020018193 U KR 20020018193U KR 200290320 Y1 KR200290320 Y1 KR 200290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faucet
buffe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흥묵
Original Assignee
강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흥묵 filed Critical 강흥묵
Priority to KR2020020018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3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320Y1/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물의 튐을 방지하고 물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가 개시되어 있다. 조절밸브는 수도꼭지 몸통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의 통과를 제어한다. 토출관은 수도꼭지 몸통에 일체로 돌출된다. 주 완충통은 주 토출관이 일측 하부에 연통된다. 주 출구는 주 완충통의 타측 상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물이 세면대나 싱크대에 부딪혀 튀는 현상이 감소되어 세면대 사용자의 옷이 젖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물 소비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FAUCET HAVING A BUFFER FUNCTION OF A SPOUTING PRESSURE}
본 고안은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엌의 싱크대나 욕실의 세면대에는 상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공급받도록 수도꼭지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수도꼭지는 상수원에 공급 파이프로 연결된 몸통, 몸통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의 통과를 제어하는 조절밸브, 그리고 몸통의 일측에 일체로 돌출되어 조절밸브의 개방에 의해 통과된 물이 분출되는 토출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도꼭지를 이용함에 있어, 작업자는 조절밸브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수도꼭지 몸통내에서는 상수원으로부터공급된 물이 토출관 방향으로 통과되어 물이 분출된다. 그 결과, 물은 세면대에 수용되어 손을 씻는다거나 세면을 할 수 있게 된다. 앞서와는 반대로, 조절밸브를 회전시키면, 상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수도꼭지 몸통를 통과할 수 없도록 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토출관으로 물이 분출될 때, 상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의 압력이 그대로 보존되기 때문에 세면대나 싱크대에 강하게 부딪혀 튀게 된다. 그 부딪힌 물은 세면대나 싱크대 등에 근접 위치한 사용자에게 튀어 옷을 적시는 경우가 많았다. 아울러, 물이 세면대나 싱크대에 에 강하게 부딪힌다는 것은, 그 만큼 다량의 물이 한꺼번에 많이 분출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물 소비량이 과다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의 튐을 방지하고 물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수도꼭지 몸통, 상기 수도꼭지 몸통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의 통과를 제어하는 조절밸브, 그리고 상기 수도꼭지 몸통에 일체로 돌출되는 토출관으로 이루어진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과 연통되어 물의 분출 압력을 완화시키도록 주 완충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주 완충수단은 주 완충통과 주 출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 완충통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주 토출관이 연통되고, 상기 주 출구는 상기 주 완충통의 전방상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수도꼭지 몸통에는 보조 완충수단을 더 설치하고,
상기 보조 완충수단은,
상기 수도꼭지 몸통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완충통의 방향을 향하여 구부려질 수 있도록 구비된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타단이 하부 일측면에 연통되는 보조 완충통; 그리고
상기 보조 완충통의 상부 타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보조 출구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출력의 완충 기능을 갖는 수도꼭지는 토출관과 연통되어 물의 분출 압력을 완화시키도록 주 완충수단을 구비한다. 주 완충수단은 주 완충통과 주 출구로 이루어진다. 수도꼭지 몸통에는 연결관, 보조 완충통, 그리고 보조 출구로 이루어진 보조 완충수단을 더 설치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세면대에서 물 사용시 물의 분출압력에 의한 튐을 방지하고 물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A - A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주완충통의 형태를 달리한 수도꼭지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의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수도꼭지 110: 수도꼭지 몸통
112: 공급관 114: 조절밸브
116: 토출관 120: 주 완충통
122: 주 출구
200: 수도꼭지 210: 수도꼭지 몸통
212: 공급관 214: 조절밸브
216: 토출관 220: 연결관
222: 보조 완충통 224: 보조 출구
300: 수도꼭지 310: 수도꼭지 몸통
312: 공급관 314: 조절밸브
316: 토출관 320: 주 완충통
322: 주 출구 330: 연결관
332: 보조 완충통 334: 보조 출구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하기의 제 1,2,3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도꼭지(100)는 수도꼭지 몸통(110), 조절밸브(114), 토출관(116), 그리고 주 완충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도꼭지 몸통(110)은 상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공급관(112)과 연통되어 있다. 조절밸브(114)는 수도꼭지 몸통(110)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을 통과시키거나 통과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토출관(116)은 수도꼭지 몸통(110)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물을 세면대로 분출시킨다.
주 완충장치는 토출관(116)과 연통되어 물의 분출 압력을 완화시킨다. 주 완충장치는 주 완충통(120)과 주 출구(122)로 이루어진다. 주 완충통(120)은 주 토출관(116)이 일측 하부에 연통된다. 주 완충통(120)은 원통 형상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주 완충통(120)의 내부는 빈 공간을 형성되어 있고, 그 빈 공간에는 물이 임시로 저장된다. 주 출구(122)는 주 완충통(120)의 타측 상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도 3은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주완충통의 형태를 달리한 수도꼭지의 사시도이다. 이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도 1과 도 2와 대비해 볼 때 주 완충통(120)의 형상이 다르다. 즉, 도 1과 도 2의 주 완충통(120)은 원통 형상을 갖는 반면, 도 3은 구 형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조절밸브(114)를 조작하여 수도꼭지 몸통(110) 내부를 개방한다. 그러면, 상수원으로부터 공급관(112)을 따라 이송된 물은 수도꼭지 몸통(110)을 통과 하여 토출관(116)으로 공급된다. 이때, 물은 주완충통(120)내로 공급되고, 그 공급된 물이 주 완충통(120)내에 가득 채워져 토출관(116)을 통해 넘쳐 흘러 세면대로 분출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주 완충통(120)내를 거친 물의 분출 압력은 최초의 압력에 비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이렇게 분출 압력이 낮아진 물은 토출관(116)을 통해 분출될 때 세면대에 부딪혀도 튀지 않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수도꼭지(200)는 수도꼭지 몸통(210), 주 조절밸브(214), 보조 조절밸브(214a), 그리고 토출관(216)으로 이루어진다. 수도꼭지 몸통(210)에는 냉수 공급관(212)과 온수 공급관(212a)이 각각 연통되어 있다. 수도꼭지 몸통(210)에는 완충장치 대신 보조 완충장치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보조 완충장치는 연결관(220), 보조 완충통(222), 그리고 보조 출구(224)를 포함한다. 보조 완충장치는 수도꼭지 몸통(210)으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서 물을 공급받을 때 상용된다. 연결관(220)은 수도꼭지 몸통(2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주 완충통(222)의 방향을 향하여 구부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조 완충통(222)은 연결관(220)의 타단이 하부 일측면에 연통된다. 보조 출구(224)는 보조 완충통(222)의 상부 타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주 조절밸브(214)는 냉수 및 온수를 선택하는 밸브이고, 보조 조절밸브(214a)는 선택된 냉수 및 온수를 토출관(216)이나 연결관(220) 방향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주 조절밸브(214)를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냉수 및 온수, 냉수와 온수의 혼합물을 선택한다. 그러면, 냉수 공급관(212)이나 온수 공급관(212a)으로 이송되어 온 냉수, 온수, 혹은 냉수와 온수의 혼합물이 수도꼭지 몸통(210)으로 유입된다. 이후, 작업자는 보조 조절밸브(214a)를 눌러 냉수, 온수, 혹은 냉수와 온수의 혼합물이 토출관(211) 또는 연결관(220)의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즉, 보조 조절밸브(214a)는 눌렀을 때 토출관(211)의 방향으로 개방되고 연결관(220)의 방향은 패쇄됨으로써, 냉수, 온수, 혹은 냉수와 온수의 혼합물은 토출관(216)을 통과하여 직접 세면대나 싱크대 등으로 배출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방법이다.
이와는 반대로, 조절밸브(214)를 당겼을 때, 토출관(211)의 방향으로 폐쇄되고 연결관(220)의 방향으로 개방됨으로써, 냉수, 온수, 혹은 냉수와 온수의 혼합물은 수도꼭지 몸통(210) 내를 통과하여 연결관(220)으로 공급된다. 이후, 그 물은 연결관(220)을 따라 이송되어 보조 완충통(222)에 채워진다. 이렇게 채워진 물은 보조 완충통(222)으로부터 흘러 넘쳐서 보조 출구(224)를 통해 세면대나 싱크대 등으로 배출된다. 이때, 물이 보조 완충통(222)을 통과하면, 공급관(212)을 따라 이송될 때의 압력보다 크게 낮아진 상태에서 보조 출구(224)로 분출됨으로써, 물이 세면대에 부딪힐 때 튐 현상은 크게 낮아지는 것이다.
[제 3 실시예]
도 5를 참조하면, 수도꼭지 몸통(310)에는 주 완충장치와 보조 완충장치를 함께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수도꼭지(300)는 수도꼭지 몸통(310),조절밸브(314), 보조 조절밸브(314a), 그리고 토출관(316)으로 이루어진다. 수도꼭지 몸통(310)은 냉수 공급관(312)과 온수 공급관(312a)에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주 조절밸브(314)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냉수, 온수, 그리고 냉수와 온수의 온합물을 선택한다.
주 완충장치는 토출관(316)과 연통되어 물의 분출 압력을 완화시킨다. 주 완충장치는 주 완충통(320)과 주 출구(322)로 이루어진다. 주 완충통(320)은 토출관(316)이 일측 하부에 연통된다. 주 출구(322)는 주 완충통(320)의 타측 상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보조 완충장치는 연결관(330), 보조 완충통(332), 그리고 보조 출구(334)를 포함한다. 연결관(330)은 수도꼭지 몸통(3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주 완충통(320)의 방향을 향하여 구부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조 완충통(332)은 연결관(330)의 타단이 하부 일측면에 연통된다. 보조 출구(334)는 보조 완충통(332)의 상부 타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주 조절밸브(314)를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냉수 및 온수, 냉수와 온수의 혼합물을 선택한다. 그러면, 냉수 공급관(312)이나 온수 공급관(312a)을 경유한 냉수, 온수, 혹은 냉수와 온수의 혼합물은 수도꼭지 몸통(310)으로 유입된다.
작업자가 보조 조절밸브(314)를 누르게 되면, 토출관(316)은 폐쇄되고 연결관(330)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수도꼭지 몸통(310)으로 유입된 냉수, 온수, 혹은 냉수와 온수의 혼합물은 연결관(330)을 통과하여 주 완충통(320)내로 공급되고, 그 공급된 물이 주 완충통(320)내에 가득 채워져 토출관(316)을 통해 넘쳐 흘러 세면대나 싱크대 등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주 완충통(320) 내를 거친 물의 분출 압력은 최초의 압력에 비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이렇게 분출 압력이 낮아진 물은 토출관(316)을 통해 분출될 때 세면대에 부딪혀도 튀지 않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작업자가 보조 조절밸브(314a)를 잡아 당기면, 토출관(316)은 개방되고 연결관(330)은 폐쇄된다. 이에 따라, 냉수 공급관(312)과 온수 공급관(312a)을 통해 수도꼭지 몸통(310)으로 유입된 물은 토출관(316)을 경유하여 보조 완충통(332)내로 채워진다. 이렇게 채워진 물은 보조 완충통(332)으로부터 흘러 넘쳐서 보조 출구(334)를 통해 세면대나 싱크대로 분출된다. 이때, 물이 보조 완충통(332)을 통과하면, 공급관(312)을 따라 이송될 때의 압력보다 크게 낮아진 상태에서 보조 출구(334)로 분출됨으로써, 물이 세면대에 부딪힐 때 튐현상은 크게 방지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출력의 완충 기능을 갖는 수도꼭지는 수도꼭지 몸통에 주 출구가 구비된 주완충통과 보조 출구가 구비된 보조 완충통을 선택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상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세면대로 분출할 때 분출 압력이 낮아진 상태에서 공급함에 따라, 물이 세면대에 부딪혀 튀는 현상이 감소되어 세면대 사용자의 옷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물의 양이라도 압력에 의해 고속으로 분출되는 물보다, 주완충통이나 보조 완충통에 의해 무압력으로 자연 낙차에 의해 분출되는 물의 양이 훨씬 많다는 느낌을 줌으로써, 조절밸브를 조금만 열어 놓아도 물의 사용자가 충분히 만족하기 때문에 물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온수와 냉수가 주완퉁통이나 보조 완충통을 거칠 때 충분히 혼합된 상태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적당한 온도를 갖는 냉수 및 온수의 혼합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상기한 실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통상의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4)

  1. 수도꼭지 몸통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의 통과를 제어하는 조절밸브, 그리고 상기 수도꼭지 몸통에 일체로 돌출되는 토출관으로 이루어진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과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물의 분출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한 주 완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완충수단은,
    상기 주 토출관이 일측 하부에 연통되는 주 완충통; 그리고
    상기 주 완충통의 타측 상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주 출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꼭지에는,
    상기 수도꼭지 몸통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주 완충통의 방향을 향하여 구부려지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타단이 하부 일측면에 연통되는 보조 완충통; 그리고
    상기 보조 완충통의 상부 타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보조 출구로 이루어진 보조 완충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완충통의 내부에는 오염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휠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
KR2020020018193U 2002-06-15 2002-06-15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 KR200290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193U KR200290320Y1 (ko) 2002-06-15 2002-06-15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193U KR200290320Y1 (ko) 2002-06-15 2002-06-15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320Y1 true KR200290320Y1 (ko) 2002-09-26

Family

ID=7312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193U KR200290320Y1 (ko) 2002-06-15 2002-06-15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3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55639A1 (en) Switching unit for pushbutton of kitchen water faucet
US6135154A (en) Water faucet
KR200399686Y1 (ko) 샤워기용 잔류수 제거장치
KR200290320Y1 (ko) 분출압 완충기능을 갖는 수도꼭지
JP2010007315A (ja) マイクロバブル洗浄ノズル
KR20110136087A (ko) 급수전
JP2007007026A (ja) シャワーヘッド
JP2009074343A (ja) 水栓の吐水部構造
KR102371303B1 (ko)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KR100396903B1 (ko) 연수기
US6912741B1 (en) Parabola type aqueduct
KR20050088971A (ko) 샤워기용 잔류수 제거장치
JP2007315011A (ja) 水洗便器
JP2720341B2 (ja) 水 栓
KR200196207Y1 (ko) 보조 수도꼭지
KR200196442Y1 (ko) 세면기
KR20210000382A (ko) 구스넥 타입의 주방용 수전
KR200330041Y1 (ko) 연수배출장치
JPH09133232A (ja) 吐水スパウト切換機構
KR200338514Y1 (ko) 연수기의 유로절환장치
KR102483441B1 (ko) 배출부재가 결합되어 냉·온수 및 정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수전
KR100992711B1 (ko) 샤워기헤드
KR200169243Y1 (ko) 양변기의 절수구
JP2000096643A (ja) 止水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を備えた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KR200349639Y1 (ko) 두 개의 토수구로 구성된 수도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