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0701A -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을 위한 스냅인 캐스터네츠 에어백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을 위한 스냅인 캐스터네츠 에어백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0701A
KR20060130701A KR1020067020369A KR20067020369A KR20060130701A KR 20060130701 A KR20060130701 A KR 20060130701A KR 1020067020369 A KR1020067020369 A KR 1020067020369A KR 20067020369 A KR20067020369 A KR 20067020369A KR 20060130701 A KR20060130701 A KR 20060130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eering wheel
vehicle
airbag module
snap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5980B1 (ko
Inventor
데이빗 브이. 존스
유진 알. 디어덴
데이빗 더블유. 한센
티에리 마트라
쟝 베르날드 테시어
양 피로퀘
로렝 헬롯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filed Critical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ublication of KR20060130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1/21656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 B60R21/21658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with integrated switches, e.g. horn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용 에어백 모듈은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장착가능한 스냅링과, 상기 스냅링에 연결되며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스냅링, 하우징, 장착 레그, 쿠션, 경적, 커버, 기폭기, 피봇점

Description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을 위한 스냅인 캐스터네츠 에어백 모듈{SNAP-IN CASTANET AIRBAG MODULE FOR A VEHICULAR STEERING WHEEL}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용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충돌시 차량이 급격히 감속될 때 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쿠션이나 백, 예를 들어 에어백을 사용하여 차량 탑승자를 보호하는 것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에어백 쿠션은 점유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팽창되지 않은 절첩된 상태로 수용된다. 시스템의 작동에 따라, 쿠션은 통상적으로 "팽창기"라 불리우는 장치에 의해 공급되거나 생성되는 가스에 의해 천분의 수초 이내로 팽창되기 시작한다.
전형적으로,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는 에어백 모듈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에어백 모듈은 전방 충격이나 충돌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을 수용하거나 지지하도록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장착되어 있다. 심미안적 목적을 위해 일반적으로 에어백 모듈 하우징에 부착되거나 연결되는 커버는 전개시까지 에어백 모듈 하우징내에 에어백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이러한 설비에 있어서, 차량 경적이나 경고 신호를 작동시키기 위해, 에어백 모듈 및/또는 커버는 예를 들어 스프링에 의해 초기 위치로 가압되며; 에어백 모듈 및/또는 커버를 스티어링 휘일로 이동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커버에 힘 또는 압력을 인가하므로써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차량 경적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적 조립체 접점이 정지상태의 접점과 접촉하게 하므로써, 경적조립체를 작동시킨다. 힘 또는 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스프링은 경적조립체 접점 사이에 간극이나 공간을 제공하는 초기 위치를 향해 에어백 모듈 및/또는 커버를 가압한다. 이러한 디자인은 부품의 생산 및 제조시 엄격한 제조공차를 요구하며, 시간소모적이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복잡한 설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생산 및 제조가 용이하고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는 에어백 모듈이 지속적으로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을 위한 개선된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한가지 이상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어링 휘일에 장착가능한 스냅링과 이러한 스냅링에 연결되며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용 에어백 모듈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종래기술은 일반적으로 부품의 생산 및 제조시 엄격한 공차를 요구하지 않으며 설치가 복잡하지 않은, 하우징 디자인을 갖는 에어백 모듈을 제공할 수 없었다. 특히, 종래기술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하우징을 구비한 에어백 모듈을 제공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제1장착 레그가 구비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용 에어백 모듈을 부가로 포함한다. 스냅링은 제1장착 레그에 장착된다. 에어백 모듈의 하우징은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스냅링 주위에서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을 포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용 에어백 모듈을 부가로 포함한다. 제1장착 레그는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으며, 피봇점을 한정하기 위한 홈을 형성한다. 제2장착 레그는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으며, 간극을 형성한다. 스냅링은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장착된다. 스냅링의 제1부분은 제1장착 레그에 의해 형성된 홈의 내부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며, 스냅링의 제2부분은 제2장착 레그에 의해 형성된 간극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은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피봇점 주위에서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을 서술함에 있어 "스냅인" 이라는 용어는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에어백 모듈의 연결 또는 부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해야 하며, 예를 들어 에어백 모듈은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압입되거나 스냅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을 서술함에 있어 "캐스터네츠" 라는 용어는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 등과 같은 구조체에 고정된 제1단부와, 상기 고정된 제1단부 주위에서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2단부를 갖는 에어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장착된 관련의 조립체 부품의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장착된 관련의 조립체 부품의 후방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용 에어백 모듈의 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에어백 모듈의 측면도.
도5는 도3에 도시된 에어백 모듈의 평면도.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장착가능한 또는 부착가능한 에어백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백 모듈은 스냅인 캐스터네츠 에어백 모듈임을 인식해야 한다. 도1 및 도2에는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99)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범위한 실행은 어떤 특정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정한 경우에 있어서, 적합한 차량의 스티 어링 휘일로는 예를 들어 자동차 또는 트럭의 스티어링 휘일이 될 수도 있다.
에어백 모듈(10)은 적절한 물질로 제조된 하우징(2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은 성형된 또는 직조된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에 개시된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을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갖는 복합물이나 금속 또는 합금 등과 같은 기타 다른 적절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취하며, 팽창가능한 억제 에어백 쿠션(10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극 또는 격벽(22)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설명에 의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적절한 팽창가능한 억제 에어백 쿠션(100)은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팽창가능한 억제 에어백 쿠션(100)은 격벽(22)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수용된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격벽(22) 위에 스티어링 휘일 커버(24)를 지지하기 위해 다수의 클립 또는 돌출부(23)를 포함한다. 스티어링 휘일 커버(24)는 양호하게 전개되거나 팽창될 때까지, 격벽(2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아직 팽창되지 않은 팽창가능한 억제 에어백 쿠션(100)을 지지한다. 상기 팽창가능한 억제 에어백 쿠션(100)은 팽창기 장치 및 제어조립체(도시않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광범위한 실행은 팽창기 장치에 사용되거나 또는 이러한 팽창기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그 작동은 불꽂형 가스 발생제를 함유한 팽창기 장치에 대해 서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개시된 설명에 의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필요할 경우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타 다른 형태의 팽창기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팽창기 장치의 작동중, 기폭기(initiator)는 팽창기 장치와의 작동가능한 제어연결에 의해 제어조립체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조립체는 반응 기폭신호를 기폭기에 송신하며; 상기 기폭기는 연소물 가스를 생성하기 위해, 기폭기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공급된 불꽃형 가스 발생제 물질의 적어도 일부의 반응을 기폭시킨다. 상기 연소물 가스는 팽창기 장치로부터 배출되어, 그 연결되어 있는 팽창성 억제 에어백 쿠션(100)을 전개시킨다. 본 발명에 개시된 설명에 의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공지되어 있는 적절한 팽창기 장치 및/또는 제어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일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 양호하기로는 다수의 장착 레그(25)는 하우징(20)으로부터 연장된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착 레그(25)는 하우징(20)과 함께 성형되거나 또는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며, 하우징(20)의 후방 대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제1레그(25)는 피봇점(27)을 한정하는 홈 또는 노치(26)를 형성한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장착 레그(25)는 하우징(20)의 제1부분이나 하우징에 배치된다.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스냅링(30)에 연결되거나 장착되며,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99)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냅링(30)의 제1부분은 홈(26)의 내부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며, 차량의 스티 어링 휘일(99)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냅링(30)은 스냅링(30)이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99)에 스냅되거나 압입될 수 있는, 예를 들어 금속, 합금, 플라스틱 및/또는 복합물 등과 같은 적절한 물질로 제조된다. 스냅링(30)의 제조시 충분한 강도와 탄성을 갖기만 한다면, 본 발명에 개시된 설명에 의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기타 다른 적절한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장착된 스냅링(30)에 의해, 하우징(20)은 적어도 제1장착 레그(25)에 의해 스냅링(30)에 부착되며, 상기 하우징(20)은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99)에 대해 피봇점(27) 주위에서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20)은 적어도 하나의, 양호하기로는 다수의 제2장착 레그(35)를 부가로 포함한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장착 레그(35)는 하우징(2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우징에 성형되며, 하우징(20)의 후방 대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제2장착 레그(35)는 간극 또는 오목부(36)를 형성하며, 이러한 오목부내에서 스냅링(3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조정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착 레그(25) 주위에 형성된 피봇점(27) 주위로 하우징(20)이 피봇될 때, 2개의 제2장착 레그(35)에 의해 하우징(20)은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각각의 제2장착 레그(35)는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99)에 단단히 장착된 스냅링(30)에 대해 이동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장착 레그(25) 사이에 배치된 스냅링(30)의 일부와 및/또는 제1장착 레그(25)와 이에 대응하는 제2장착 레그(35) 사이에 배치된 스냅링(30)의 일부는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99)에 대해 장착될 수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호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20)은 하우징(20)에 대해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또는 상부 경적 접점소자(40)를 포함한다. 상부 경적 접점소자(40)는 하우징(2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우징과 함께 성형되며, 하우징(20)의 후방 대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제1위치 또는 초기위치와 제2위치 또는 경적 작동위치 사이에서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99)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경적 접점소자(40)는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99)에 대해 장착되어 있는 대응의 제2 또는 하부 접점소자(50)와 접촉된다. 상기 하부 접점소자(50)는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99)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과 함께 성형되며, 하우징(20)의 후방 대향면에 대해 반대방향 위치에서,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99)의 전방 대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된다. 하부 접점소자(50)는 차량 경적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차량 경적조립체(도시않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설명에 의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적절한 차량 경적조립체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용면에서 유리한 방식으로 생산 및 제조될 수 있으며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적절히 장착될 수 있는,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스냅인 캐스터네츠 에어백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15)

  1.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용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장착가능한 스냅링과,
    상기 스냅링에 연결되며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피봇점에서 스냅링에 연결된 제1장착 레그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피봇점 주위에서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은 제1장착 레그에 의해 형성된 홈의 내부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2장착 레그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장착 레그는 간극을 형성하며, 상기 스냅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간극내에서 위치조정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팽창가능한 억제 에어백 쿠션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대해 연결되는 제1경적 접점소자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위치에서 제1경적 접점소자는 경적을 작동시키기 위해,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배치된 제2경적 접점소자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9.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용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제1장착 레그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제1장착 레그에 장착되는 스냅링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스냅링 주위에서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 레그는 피봇점을 한정하는 홈을 형성하며, 상기 스냅링의 제1부분은 홈의 내부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 어백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간극을 형성하는 제2장착 레그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냅링의 제2부분은 간극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팽창가능한 억제 에어백 쿠션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경적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4.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용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1장착 레그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2장착 레그와,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장착되는 스냅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장착 레그는 홈을 형성하고, 피봇점을 한정하며; 상기 제2장착 레그는 간극을 형성하며; 스냅링의 제1부분은 제1장착 레그에 의해 형성된 홈의 내부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며; 스냅링의 제2부분은 제2장착 레그에 의해 형성된 간극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피봇점의 주위에서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경적을 작동시키기 위해,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KR1020067020369A 2004-03-03 2005-03-02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용 에어백 모듈 KR101115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92,536 2004-03-03
US10/792,536 US7055854B2 (en) 2004-03-03 2004-03-03 Snap-in castanet airbag module for a vehicular steering wheel
PCT/US2005/006802 WO2005084347A2 (en) 2004-03-03 2005-03-02 Snap-in castanet airbag module for a vehicular steering whe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701A true KR20060130701A (ko) 2006-12-19
KR101115980B1 KR101115980B1 (ko) 2012-02-13

Family

ID=3491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369A KR101115980B1 (ko) 2004-03-03 2005-03-02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용 에어백 모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055854B2 (ko)
EP (1) EP1720740B1 (ko)
JP (1) JP4740228B2 (ko)
KR (1) KR101115980B1 (ko)
CN (1) CN1972823B (ko)
AT (1) ATE462614T1 (ko)
BR (1) BRPI0508360B1 (ko)
DE (1) DE602005020257D1 (ko)
WO (1) WO20050843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16519U1 (de) * 2003-10-27 2004-03-04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Gassackrückhaltesystem
GB2440158A (en) * 2006-07-20 2008-01-23 Autoliv Dev A modular assembly for use in a steering wheel arrangement
DE202006014054U1 (de) * 2006-09-13 2006-12-21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Fahrzeuglenkrad
US8056477B2 (en) * 2009-06-10 2011-11-15 Autoliv Asp, Inc. Protection system for use with airbag inflators and initiators
JP5497485B2 (ja) * 2010-03-04 2014-05-21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432011B2 (ja) * 2010-03-12 2014-03-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部構造
US9242614B2 (en) * 2014-03-07 2016-01-26 Autoliv Asp, Inc. Airbag systems with energy-absorbing components
CN104369765A (zh) * 2014-11-10 2015-02-25 江苏中翼汽车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方向盘用塑料承盘及方向盘
DE102016005020B4 (de) * 2016-04-26 2019-08-14 Dalphi Metal Espana, S.A. Gassackeinheit und Fahrzeuginsassensicherheitssystem mit einer solchen Gassackeinheit sowie Herstellungsverfahren
DE102017119886A1 (de) * 2017-08-30 2019-02-28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Federelement zur befestigung eines gassackmoduls an einem fahrzeuglenkrad sowie lenkradbaugruppe mit einem solchen federelement
KR20210126327A (ko) * 2020-04-10 2021-10-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0037A (en) * 1993-10-25 1995-01-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Snap-in inflatable restraint module mounting mechanism including latch elements
US5470100A (en) * 1994-08-25 1995-11-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inflator retainer
US5738369A (en) * 1996-10-09 1998-04-1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Snap-on air bag and horn switch module
DE19725684C2 (de) * 1997-06-18 2003-10-09 Autoliv Dev Lenkrad mit einem mittels Rastverbindung daran befestigten Airbagmodul
US6092832A (en) 1998-03-04 2000-07-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mounting mechanism and method of making
FR2790044B1 (fr) 1999-02-19 2001-05-25 Gersteen Iso Delta Element de volant de direction de vehicule et volant comportant cet element
DE29906374U1 (de) 1999-04-09 1999-06-24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Lenkrad mit Airbagmodul und Hupkontakt
DE19927032A1 (de) * 1999-06-04 2000-12-14 Petri Ag Anordnung zur Verrastung eines Airbagmoduls mit einem Lenkrad
JP2001233159A (ja) * 2000-02-18 2001-08-28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組付構造
US6276711B1 (en) 2000-03-27 2001-08-21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Quick disconnect feature for snap-in driver air bag module
EP1418095B1 (en) * 2000-06-27 2006-04-26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with an airbag device
FR2812606B1 (fr) 2000-08-02 2002-10-31 Autoliv Isodelta Element de volant de direction de vehicule avec systeme d'encliquetage, et volant le comportant
DE20017527U1 (de) * 2000-10-12 2001-02-22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ahrzeuglenkrad
DE20021532U1 (de) * 2000-12-20 2001-04-26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ahrzeuglenkrad
DE20106694U1 (de) * 2001-04-18 2001-08-23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Baueinheit aus Gassackmodul und Fahrzeuglenkrad
DE20108596U1 (de) 2001-05-22 2001-09-27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Gassackmodul und Fahrzeuglenkrad mit Gassackmodul
US6840537B2 (en) * 2002-02-08 2005-01-11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module attachment arrangement
GB2385834A (en) 2002-03-01 2003-09-03 Autoliv Dev Air bag mounting arrangement on vehicle steering wheel
DE20206310U1 (de) * 2002-04-16 2002-08-08 Takata Petri Ag Kraftfahrzeugbaugruppe
JP2005199789A (ja) * 2004-01-14 2005-07-28 Takata Corp 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20257D1 (de) 2010-05-12
EP1720740A4 (en) 2008-10-08
CN1972823A (zh) 2007-05-30
EP1720740A2 (en) 2006-11-15
CN1972823B (zh) 2012-11-07
BRPI0508360A (pt) 2007-07-24
WO2005084347A2 (en) 2005-09-15
KR101115980B1 (ko) 2012-02-13
BRPI0508360B1 (pt) 2016-07-19
ATE462614T1 (de) 2010-04-15
JP4740228B2 (ja) 2011-08-03
US20050194766A1 (en) 2005-09-08
WO2005084347A3 (en) 2006-01-19
US7055854B2 (en) 2006-06-06
EP1720740B1 (en) 2010-03-31
JP2007526176A (ja) 200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980B1 (ko) 차량의 스티어링 휘일용 에어백 모듈
JP4907159B2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4870214B2 (ja) ホーンアクチュエータ及びホーン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る自動車用安全装置
US8376398B2 (en) Airbag and horn switch module and method of assembly of the module
US11034319B2 (en) Air bag module
US7802810B2 (en) Airbag module for a motor vehicle
US7261317B2 (en) Airbag system
JP2007500648A (ja) 膝エアバッグ用のアダプタユニット
JP3726101B2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US7552519B2 (en) Airbag module attachment
JP3895896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2002012115A (ja) エアバッグ装置
JPH08318806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6072713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ブラケット装置
JP329945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H09183350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294949B1 (ko) 에어백
KR100520988B1 (ko) 차량용 측면 에어백
KR101263034B1 (ko) 에어백 조립체
JP2005199789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145185A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9990026011U (ko) 사이드 에어백
KR20050006793A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JPH10194070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H04132852U (ja) 自動車のエアバツ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7

Year of fee payment: 9